KR102246448B1 -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448B1
KR102246448B1 KR1020160179831A KR20160179831A KR102246448B1 KR 102246448 B1 KR102246448 B1 KR 102246448B1 KR 1020160179831 A KR1020160179831 A KR 1020160179831A KR 20160179831 A KR20160179831 A KR 20160179831A KR 102246448 B1 KR102246448 B1 KR 102246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m
closing
modu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095A (ko
Inventor
박경기
이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448B1/ko
Priority to CN201780047262.5A priority patent/CN109791015B/zh
Priority to US15/718,427 priority patent/US10330374B2/en
Priority to EP17858679.8A priority patent/EP3472539B1/en
Priority to PCT/KR2017/010793 priority patent/WO2018066885A1/en
Publication of KR2018004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revolving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8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lev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1Component storage means
    • B67D2001/0092Containers for gas, for, e.g. CO2, N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34Modules
    • B67D2210/00036Modules for use with or in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은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 및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제 2 축을 중심으로 피벗팅하여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개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축 및 상기 제 2 축은 소정 각도로 교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디스펜서가 내장된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물 또는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가 냉장고에 장착되고 있다.
디스펜서가 장착된 냉장고는 토출구를 통해 냉장고에서 생성 된 얼음 및 물을 냉장고 외부로 취출 한다. 냉장고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은 모터를 회전시켜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 및 모터와 연결된 캠이 회전하면서 개폐 시스템에 포함된 개폐모듈을 동작시켜 토출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모듈은 축을 중심으로 피벗팅(pivoting)하면서 토출구를 개폐하는데, 캠 및 레버에 의해 모터의 회전 운동이 레버의 왕복운둥으로 변환되면서 개폐모듈이 축(이하 ‘피벗축’으로 칭함)을 중심으로 피벗팅 할 수 있다.
즉, 캠은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모터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운동을 하며, 캠의 편심 운동에 따라 레버는 왕복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폐모듈은 피벗축을 중심으로 피벗팅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모터 및 캠의 회전축은 개폐모듈의 피벗축과 평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터의 직경 또는 캠의 직경이 개폐 시스템 전체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개폐 시스템의 두께를 슬림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페모듈이, 개폐 동작을 원할히 하기 위해서는 레버가 일정한 거리 이상의 운동 범위를 가져야 되므로, 레버를 동작시키는 캠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캠의 크기로 인해 개폐시스템의 두께를 슬림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캠의 구조 및 모터의 배치 구조를 변경하여 슬림화된 개폐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은,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 및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제 2 축을 중심으로 피벗팅하여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개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축 및 상기 제 2 축은 소정 각도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시스템은,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개폐모듈이 피벗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구동부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시스템은,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개폐모듈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축 및 상기 제 2 축은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은 캠면 및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캠의 외주면에는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는 일정 각도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 시스템은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 시스템은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스위치 모듈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캠면은 제 1 평면, 제 2 평면,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평면 및 상기 제 2 평면은 높이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평면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모듈은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일 측에는 상기 캠의 캠면과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개폐모듈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제 1 평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개폐모듈은 상기 토출구를 최대로 개방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 2 평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개폐모듈은 상기 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개폐모듈을 2등분하는 중심선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의 돌출부는 구면(spherical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캠면의 단차에 의해 상기 개폐모듈을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피벗팅 시킬 수 있다.
상기 캠의 1회전 동안, 상기 개폐모듈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피벗팅 하다가 다시 폐쇄 상태로 피벗팅 할 수 있다.
상기 캠의 캠면은 상기 레버를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평면은, 상기 캠이 회전하여도 상기 개폐모듈이 일정시간 동안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평면은, 상기 캠이 회전하여도 상기 개폐모듈이 일정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감속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에서는 캠 및 모터의 회전축이 개폐모듈의 피벗축과 일정 각도로 교차하도록 캠 및 모터를 배치함에 따라 모터의 직경 및 캠의 직경이 개폐 시스템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개폐 시스템의 두께를 슬림(slim)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외관을 보다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디스펜서의 토출구 및 개폐모듈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 개폐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캠을 도시한다.
도 8은 개폐모듈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개폐모듈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개폐모듈의 회전 벡터 방향 및 캠면의 수직 벡터 방향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는 개폐모듈이 열린 상태에서, 캠과 제 1 스위치 레버 및 제 2 스위치 레버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개폐모듈이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캠과 제 1 스위치 레버 및 제 2 스위치 레버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에 사용되는 캠의 사시도이다.
도 20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0b는 도 20a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20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일부분(도 20a의 점선 부분(2009)에 대한 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외관을 보다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냉장고(1)는 물품을 저온에서 보관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물품을 저온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냉매(refrigerant)의 증발 및 압축을 반복함으로써 저장실의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먼저 냉장고(1)의 외관에 대해 설명하면, 냉장고(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20,30)과, 저장실(20,3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냉각 장치는 냉매의 증발 및 압축이 순환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증발기(evaporator), 압축기(compressor), 응축기(condenser) 및 팽창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는 저장실(20,30)을 형성하는 내상과,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과, 내상과 외상 사이에 배치되어 저장실(20,30)을 단열하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실(20,30)은 중간격벽(11)에 의해 상측의 냉장실(20)과, 하측의 냉동실(30)로 구획될 수 있다. 한편, 저장실(20, 30)의 구획 형태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등, 기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20)은 대략 영상 3 ℃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고, 냉동실(30)은 대략 영하 18.5 ℃ 의 온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다. 냉장실(2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23)과, 식품을 밀폐 보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 박스(27)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냉장실(20)과 냉동실(30)은 각각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갖고, 냉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힌지로 결합된 한 쌍의 회전 도어(21,22)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냉동실(30)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3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1,22)의 배면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도어 가드(2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21,22) 배면 테두리부에는 냉장실 도어(21,22)가 닫혔을 때 냉장실 도어(21,22)와 본체(10)의 사이를 밀폐하여 냉장실(20)의 냉기를 단속하는 가스켓(28)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21,22) 중 어느 하나의 냉장실 도어(21)에는 냉장실 도어(21,22)가 닫혔을 때 냉장실 도어(21)와 냉장실 도어(22)의 사이를 밀폐하여 냉장실(20)의 냉기를 단속하는 회전 바(2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20)의 상부 모퉁이에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실(81)이 제빙실 벽(82)에 의해 냉장실(20)과 구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제빙기(80)에서 제조된 얼음이 취수 공간(91)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얼음 공급 모듈과 취수 공간(91)을 연결하는 슈트(94)를 제어하는 제빙 공급 모듈과, 일반 물을 공급하는 정수 공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빙실(81)에는 일반 얼음 또는 탄산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80)와, 제빙기(80)에서 제조된 일반 얼음 또는 탄산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83)과, 아이스 버킷(83)에 저장된 일반 얼음 또는 탄산 얼음을 슈트(94)로 이송하는 오거(84)가 마련될 수 있다. 제빙 공급 모듈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을 통해 얼음을 생성하고, 오거(84)를 통해 생성한 얼음을 토출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얼음이란 탄산이 함유되지 않은 일반 물이 냉각되어 형성된 얼음을 의미하고, 탄산 얼음이란 탄산이 함유된 탄산 물이 냉각되어 형성된 얼음을 의미한다. 또한, 일반 물이란 후술할 정수 공급 모듈을 통해 정수된 물을 의미하고, 탄산 물이란 탄산이 함유된 물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일반 물과 탄산 물을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순히 물이라고 하기로 하고, 일반 얼음과 탄산 얼음을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순히 얼음이라고 하기로 한다.
한편, 냉장실(20)에는 일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일반 물 탱크(70)가 마련될 수 있다. 일반 물 탱크(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납 박스(27)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냉장실(20) 내부의 냉기에 의해 일반 물 탱크(70)의 일반 물이 냉각될 수 있도록 냉장실(20)의 내부에만 마련되면 족하다.
일반 물 탱크(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4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정수 필터(50)를 통해 정수된 일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일반 물 탱크(70)에 연결된 급수 호스에는 물 밸브(V)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물 밸브(V)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유로를 거쳐 토출구(303)를 통해 공급되는 물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급수 호스에는 플로우 센서(F)가 마련되어, 공급되는 물 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정수 공급 모듈은 디스펜서(90)의 토출구(212)를 통해 배출되는 일반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탄산 물의 제조를 위해 탄산 물 공급 모듈에 일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정수 공급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된 일반 물을 저장하는 일반 물 탱크(70), 외부의 급수원(4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화시키는 정화 필터(73), 정수된 일반 물을 제빙실(81) 또는 일반 물 탱크(70)에 분배하는 일반 물의 양을 조절하는 물 밸브(V), 및 제빙 장치(81) 또는 탄산 물 제조 모듈(10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검출하는 플로우 센서(F)를 제어하여, 일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냉장실 도어(21,22) 중 어느 하나의 냉장실 도어(21)에는 냉장실 도어(21)를 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물 또는 얼음을 제공 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90)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디스펜서(90)의 위치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든 마련될 수 있다.
디스펜서(90)는 용기를 삽입하고, 삽입된 용기에 물 또는 얼음이 취수 받을 수 있는 취수 공간(91)과, 디스펜서(90)의 각종 설정을 조작하는 입력 버튼과 디스펜서(9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92)와,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되도록 디스펜서(90)를 작동시킬 수 있는 레버(9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90)에는 물 또는 얼음을 담는 용기를 받치는 용기 받침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받침부(95)는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용기 받침부(95)는 상하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받침부(95)에 용기가 올려지면, 냉장고(1)는 용기 받침부(95)에 포함된 모터를 제어하여 용기 받침부(95)를 토출구(212)와 근접한 위치로 이동시켜, 물 또는 얼음이 토출될 때 용기 밖으로 물 또는 얼음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받침부(95)는 용기 받침부(95) 상에 위치한 용기를 고정시켜, 용기가 용기 받침부(95)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받침부(95)의 상면에는 용기가 놓일 수 있는 홈이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홈에 용기를 삽입함으로써, 용기가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용기 받침부(9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받침부(95) 상의 홈에 용기가 위치한 것으로 감지되면, 냉장고(1)는 모터를 통해 홈 사이에 용기가 고정되도록 용기 받침부(95)의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전면에는 인터페이스부(9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92)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기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냉장고(1)에 관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전부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장고(1)에 관한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현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인터페이스부(9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펜서(90)에는 냉장실 도어(21)의 수용 홈에서 마련되는 취수 공간(9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취수 공간(91)에는 얼음 또는 물 토출 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토출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레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레버의 조작에 따라 얼음, 및 물 중 적어도 하나를 토출하는 토출구(21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레버(93)의 조작에 의해서만 얼음, 및 물 중 적어도 하나가 토출되는 것은 아니고, 인터페이스부(92)를 통해 공급 명령을 입력 받아 토출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90)에는 토출구(212)를 개폐하는 개폐모듈(30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디스펜서의 토출구 및 개폐모듈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토출구(303), 개폐모듈(301) 및 지지부재(305)가 도시되어 있다.
개폐모듈(301)은 지지부재(305)에 피벗팅 가능하게 결합되어, 토출구(303)를 개방(open) 하거나 또는 폐쇄할(close) 수 있다.
도 5a에서는 개폐모듈(301)의 열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개폐모듈(301)은 캡(cap)(301a) 및 개스킷(gasket)(301b)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gasket)(301b)는 예를 들면 고무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토출구(303)를 압착한 상태로 폐쇄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개폐모듈(301)은 캡(301a)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캡(301a) 및 개스킷(gasket)(301b)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개폐모듈(301), 지지부재(305) 및 스프링(307)이 도시되어 있다. 도 5b에서는 개폐모듈(301)이 토출구를 닫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스프링(307)은 개폐모듈(301) 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개폐모듈(301)을 닫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될 수 있다. 개폐모듈(301)은 스프링(307)에 의해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구 개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개폐 시스템은, 구동부(320), 구동부(320)에 의해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309) 및 캠(309)의 회전에 따라 제 2 축을 중심으로 피벗팅하여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개폐모듈(301)을 포함하고, 제 1 축(319) 및 제 2 축(321)은 소정각도로 교차할 수 있다. 소정각도는 예컨대 45도에서 135도 범위일 수 있다.
개폐모듈(301), 지지부재(305) 및 스프링(307)에 대한 설명은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개폐 시스템은 지지부재(30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모듈(301)은 지지부재(305)에 피벗팅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 2축(321)을 중심으로 피벗팅(pivoting)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305)에는 홀이 형성되고 개폐모듈(301)의 상단 부분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홀에 삽입되어 개폐모듈(301)은 제 2 축(321)을 중심으로 피벗팅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6을 사용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개폐모듈(301)은 레버(30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302)는 개폐모듈(30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개폐모듈(301)에 부착될 수 있다. 레버(302)의 일 측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캠(309)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구면을 통해 돌기는 캠(309)과의 접촉면적이 최소로 되어 마찰이 작아질 수 있다. 캠(309)이 회전함에 따라 돌기와 캠면의 접촉 지점이 변경되며, 캠면의 높이 단차로 인해 레버(302)는 캠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레버(302)가 캠면의 높이 단차로 인해 이동함에 따라 개폐모듈(301)은 제 2 축(321)을 중심으로 피벗팅할 수 있다.
레버(302)는 개폐모듈(301)을 가로로 2등분하는 중심선(3015)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레버(302)의 부착 위치가 피벗축(321)에 가까이 위치함에 따라 레버(302)의 이동 범위가 작더라도 개폐모듈이 움직이는 범위는 커질수 있으므로, 캠의 최대 높이를 줄일 수 있어, 개폐 시스템의 전체 두께(317)를 슬림하게 할 수 있다.
캠(309)은 구동부(320)에 의해 제 1 축(319)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캠(309)은 원기둥을 일정 각도로 절개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캠면을 포함할 수 있다. 캠면은 회전축인 제 1 축(319)을 중심으로 회전 각도에 따라 높이가 다른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캠(309)이 회전함에 따라 캠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캠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레버(3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캠(309)은 제 1 돌출부(313) 및 제 2 돌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돌출부(311)는 제 2 스위치 모듈(316)만 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제 1 돌출부(313)는 제 1 스위치 모듈(315) 및 제 2 스위치 모듈(316)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지지부재(305)에는 개폐모듈(301)이 제 2 축(321)을 중심으로 피벗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05)에는 구동부(320), 제 1 스위치 모듈(315) 및 제 2 스위치 모듈(316)이 장착될 수 있다. 지지부재(305)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해서는 도 18 을 참조하여 후술할 것이다.
제 1 스위치 모듈(315) 및 제 2 스위치 모듈(316)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지지부재(305)에는 구동부(320)가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320)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구동부(320)는 모터와 동일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구동부(320)는 감속기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캠(309)은 모터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감속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캠(309)의 회전축인 제 1 축(319)과 개폐모듈(301)의 피벗축인 제 2 축(321)은 평행하지 않으며 소정 각도로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축(319)와 제 2 축(321)은 직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 크기 이상인 캠(309) 및 모터(320)의 직경이 개폐 시스템(317)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캠(309) 및 모터(320)의 직경은 y-z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캠(309) 및 모터(320)의 직경이 y-z 평면상에 배치되는 경우 캠(309) 및 모터(320)의 회전축(319)은 개폐모듈(301)의 피벗축(321)과 소정 각도로 교차할 수 있다.
캠(309)에 형성된 캠면의 단차는 레버(302)를 개폐모듈(301)의 회전 벡터 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은 단차로도 개폐모듈(301)을 충분히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캠면의 단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캠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폐 시스템의 전체 두께(317)는 작아질 수 있으므로 디스펜서는 슬림(slim)해질 수 있다.
도 7a는 캠의 사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캠(309)은 캠면(3091, 3093, 3095, 3097) 및 외주면(3098)을 포함할 수 있다. 외주면(3098)에는 제 1 돌출부(313) 및 제 2 돌출부(311)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돌출부(313) 및 제 2 돌출부(311)는 캠(309)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각도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돌출부(313) 및 제 2 돌출부(311)는 60도 이격 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캠면은 제 1 평면(3091), 제 1 경사면(3097), 제 2 평면(3095) 및 제 2 경사면(309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평면(3091), 제 1 경사면(3097), 제 2 평면(3095) 및 제 2 경사면(3093)은 서로 인접되어 연결되어 있다.
제 1 돌출부(313)는 제 1 평면(3091)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돌출부(311)는 제 1 경사면(3097)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평면(3091)은 캠의 하면(bottom surface)을 기준으로 높이가 가장 높으며, 제 2 평면(3095)는 캠의 하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가장 낮다. 즉, 제 1 평면(3091) 및 제 2 평면(3095)는 높이 단차를 가진다.
캠의 원주를 작게 하고 적은 힘으로 레버를 캠의 상면으로 이동시키고, 부드럽게 캠의 하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캠의 제 1 경사면(3097) 및 제 2 경사면(3093)은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경사면(3097)은 캠의 하면을 기준으로 대략 40도의 경사를 가지며, 제 2 경사면(3093)은 캠의 하면을 기준으로 대략 30도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 1 돌출부(313)의 높이(3131)는 제 2 돌출부(311)의 높이(3111)보다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제 1 돌출부(313)는 제 1 스위치 레버 및 제 2 스위치 레버와 접촉하며,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돌출부(311)는 제 2 스위치 레버와 접촉하며, 제 2 스위치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캠(309)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제 1 돌출부(313)가 제 1 스위치 레버 및 제 2 스위치 레버와 접촉하거나 또는 제 2 돌출부(311)가 제 2 스위치 레버와 접촉할 수 있다.
도 7b는 캠의 평면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캠면(3091, 3097, 3095, 3093)이 도시되어 있다. 캠면은 제 1 평면(3091), 제 1 경사면(3097), 제 2 평면(3095) 및 제 2 경사면(309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평면(3091), 제 1 경사면(3097), 제 2 평면(3095) 및 제 2 경사면(3093)은 서로 인접되어 연결되어 있다.
제 1 경사면(3097)은 원주 방향(3097d)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한다. 또한 제 1 경사면(3097)은 중심 방향(3097c)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제 1 경사면(3097)은 원주 방향(3097d) 및 중심 방향(3097c)을 따라 높이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제 2 경사면(3093)은 원주 방향(3093c)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이가 감소한다. 또한 제 2 경사면(3093)은 중심 방향(3093d)을 따라 점차적으로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 2 경사면(3093)은 원주 방향(3093d) 및 중심 방향(3093c)을 따라 높이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도 7c는 캠의 우측면을 도시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제 1 경사면(3097)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경사면(3097)은 중심 방향(도7b의 3097c)을 따라 높이 단차를 갖는다. 외주 부분의 경사 각도(3097a)는 중심 부분의 경사 각도(3097b)보다 작으며, 이에 따라 제 1 경사면(3097)은 중심 방향(도 7b의 3097c)을 따라 높이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도 7d는 캠의 좌측면을 도시한다.
도 7d를 참조하면 제 2 경사면(3093)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경사면(3093)은 중심 방향(도7b의 3093c)을 따라 높이 단차를 갖는다. 외주 부분의 경사 각도(3097a)는 중심 부분의 경사 각도(3097b)보다 작으며, 이에 따라 제 1 경사면(3097)은 중심 방향(도 7b의 3097c)을 따라 높이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개폐모듈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개폐모듈(301), 스프링(307), 레버(302), 캠(309), 구동부(320), 제 1 스위치 모듈(315), 제 2 스위치 모듈(316), 제 1 스위치 레버(3151) 및 제 2 스위치 레버(3161)가 도시되어 있다.
개폐모듈(301)의 일 측에 형성된 레버(302)는 캠(309)의 제 2 평면(3095)와 접촉되어 있으며, 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스프링(307)은 개폐모듈(301)이 토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의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개폐모듈(301)은 레버(302)의 돌출부가 캠(309)의 가장 낮은 높이인 제 2 평면(3095)에 접촉하는 경우 토출구를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제 2 평면(3095)은 캠(309)이 회전하여도 개폐모듈이 일정시간 동안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한편 구동부(320)에 의해 캠(309)이 제 1 축(31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310)으로 회전함에 따라 레버(302)의 돌출부와 캠(309)이 접촉하는 접촉점은 제 1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개폐모듈(301)은 제 2 축(321)을 중심으로 피벗팅하면서 토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제 1 스위치 모듈(315) 및 제 2 스위치 모듈(316)는 캠(309)의 회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스위치 모듈(315)는 제 1 스위치레버(3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위치 모듈(316)는 제 2 스위치레버(316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20)가 회전함에 따라 캠(309)가 회전하며, 캠(309)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돌출부(도 7a의 313)는 제 1 스위치 레버(3151) 및 제 2 스위치 레버(3161)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320)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또한 구동부(320)가 회전함에 따라 캠(309)가 회전하며, 캠(309)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2 돌출부(도 7a의 311)는 제 2 스위치 레버(3161)를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320)는 회전을 멈추게 된다.
예를 들면, 개폐모듈(301)이 토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가 얼음 취출 버튼을 누르면, 구동부(320)가 회전하면서 토출구가 열린다. 구체적으로 구동부가 회전하면서 캠(309)이 회전하고, 캠(309)이 회전함에 따라 제 2 돌출부(311)가 제 2 스위치 레버(316)를 누른다.
이에 따라 구동부(320는 제 1 평면(3091)에서 멈추고, 개폐 모듈은 최대로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개폐모듈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개폐모듈(301), 스프링(327), 레버(302), 캠(309) 및 구동부(320)가 도시되어 있다.
개폐모듈(301)의 일 측에 형성된 레버(302)는 돌출부(3021)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302)의 돌출부(3021)는 캠면에 접촉되며 캠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면(3021)을 포함하는 반구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레버(302)의 돌출부가 캠(309)의 제 1 평면(3091)과 접촉하는 경우, 레버(302)는 캠(309)의 가장 높은 위치에 접촉됨에 따라 개폐모듈(301)은 제 2 축(321)을 중심으로 최대변위로 피벗팅하며, 토출구를 최대로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327)은 개폐모듈(301)을 닫는 방향(322)의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레버(302)의 돌출부가 제 1 평면(3091)과 접촉하는 동안, 개폐모듈(301)은 최대 개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 1 평면(3091)은 캠(309)이 회전하여도 개폐모듈(301)을 일정시간 동안 최대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320)에 의해 캠(309)이 제 1 축(319)을 중심으로 시계방향(310)으로 회전함에 따라 레버(302)의 돌출부는 캠의 제 2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고, 이에 따라 개폐모듈(301)은 제 2 축(321)을 중심으로 피벗팅하면서 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얼음 취출 동작이 종료됨에 따라 사용자가 다시 버튼을 누르면 구동부가 회전하면서 개폐모듈(301)의 레버(302)는 캠의 제 2 경사면과 접촉하면서 이동하고, 개폐모듈(301)은 토출구를 폐쇄하게 된다.
캠이 계속해서 회전함에 따라 개폐모듈(301)의 레버(302)가 캠(309)의 제 2 평면에 접촉하게 되고, 캠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돌출부(도 7a의 313)는 제 1 스위치 레버 및 제 2 스위치 레버를 누르고, 구동부는 제 2 평면에서(3095)에서 회전을 멈춘다. 이에 따라 개폐모듈(301)은 토출구를 폐쇄하고,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도 7a의 313)는 캠(309)의 외주면중, 제 2 평면(도 7a의 3095)의 반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캠(309)의 1회전 동안 개폐모듈(301)은 폐쇄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피벗팅 하다가 다시 폐쇄 상태로 피벗팅할 수 있다.
도 10은 개폐모듈의 회전 벡터 방향 및 캠면의 수직 벡터 방향을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개폐모듈(301) 및 캠이 도시되어 있다. 개폐모듈(301)은 캠이 회전함에 따라 캠과 접촉하는 레버의 움직임으로 인해 피벗팅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모듈(301)이 스프링의 힘에 의해 토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피벗팅하는 회전 벡터의 방향은 가상 원(1001)의 접선 방향(1002, 1003, 1004)이다.
한편 개폐모듈(301)이 캠에 의해 열리는 방향으로 피벗팅하는 회전 벡터의 방향은 가상 원(1001)의 접선 방향(1005, 1006, 1007)이며, 레버(302)가 움직이는 방향(캠면에 수직인 방향(1010))과 유사하다. 즉, 캠(309)의 캠면은 레버를 가상원(1001)의 접선 방향(1005, 1006, 1007)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캠면의 원주 방향 및 중심 방향으로 높이 단차를 가지므로 캠면에 접촉하는 레버(302)는 캠이 회전함에 따라 캠면의 수직 벡터 방향(1010)으로 움직이게 되고, 개폐 모듈은 피벗팅을 하게 된다.
한편 레버가 움직이는 방향은 캠면의 수직 벡터 방향(1010)이며, 개폐모듈(301)이 열릴때, 피벗팅하는 회전 벡터 방향(1005, 1006, 1007)과 비슷하여 구동부의 작은 출력으로도 개폐모듈이 동작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개폐모듈이 열린 상태에서, 캠과 제 1 스위치 레버 및 제 2 스위치 레버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개페모듈(301), 레버(302), 캠(309), 제 1 스위치 레버(3151) 및 제 2 스위치레버(3161)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스위치레버(3151)는 제 1 스위치 모듈을 ‘온’시키고, 제 2 스위치레버(3161)은 제 2 스위치 모듈을 ‘온’시킬 수 있다.
레버(302)가 캠(309)의 제 1 평면(3091)과 접촉하는 경우, 개폐모듈은 토출구(303)를 최대로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제 1 스위치레버(3151) 및 제 2 스위치레버(3161)는 캠(309)의 돌출부와 접촉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은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이 ‘오프’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캠(309)은 시계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개페모듈(301), 레버(302), 캠(309), 제 1 스위치 레버(3151) 및 제 2 스위치레버(316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상태에서 캠(309)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2 돌출부(311)는 제 2 스위치레버(3161)와 접촉하여 제 2 스위치 모듈을 ‘온’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스위치레버(3151)는 제 2 돌출부(311)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 1 스위치 모듈은 ‘오프’상태를 유지하며, 개폐모듈(301)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도 13은 개폐모듈이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캠과 제 1 스위치 레버 및 제 2 스위치 레버의 접촉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개페모듈(301), 레버(302), 캠(309), 제 1 스위치 레버(3151) 및 제 2 스위치레버(3161)이 도시되어 있다.
레버(302)가 캠(309)의 제 2 평면(3095)과 접촉하는 경우, 개폐모듈(301)은 토출구(303)를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제 1 스위치레버(3151) 및 제 2 스위치레버(3161)는 캠(309)의 제 1 돌출부와 접촉하며, 이에 따라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은 ‘온’상태를 유지하며, 개폐모듈(301)은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도 14는 제 1 스위치 모듈(315) 및 제 2 스위치 모듈(316)을 도시한다.
제 1 스위치 모듈은 제 1 스위치 버튼(3153) 및 제 1 스위치 레버(3151)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 레버(3151)는 탄성체로 구성되며 캠(309)의 제 1 돌출부(3131)와 접촉하는 경우, 제 1 스위치 버튼(3153)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스위치 모듈(316)은 제 2 스위치 버튼(3163) 및 제 2 스위치 레버(3161)를 포함한다. 제 2 스위치 레버(3161)는 탄성체로 구성되며 캠(309)의 제 1 돌출부(3131) 및 제 2 돌출부(3111)와 접촉하는 경우, 제 2 스위치 버튼(3163)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개폐모듈(401), 레버(402), 지지부재(405), 스프링(407), 캠(409) 및 구동부(420)가 도시되어 있다.
개폐모듈(401), 레버(402), 지지부재(405), 스프링(407), 캠(409) 및 구동부(420) 대한 설명은 도 5a, 도 5b 및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캠(409) 및 구동부(420)는 개폐모듈(401)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캠(409)와 접촉하는 레버(402)는 개폐모듈(401)의 좌측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개폐모듈(401), 레버(402), 스프링(407), 캠(409) 및 지지부재(405)가 도시되어 있다.
개폐모듈(401)은 캡(401a) 및 개스켓(401b)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켓(401b)은 연한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캡(401a)의 중앙부분에는 스프링의 일측이 연결되며, 토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캡(401a)의 상단 제 1 측에는 제 1 돌기(4011)가 형성되며, 제 1 돌기(4011)는 지지부재(405)에 형성된 제 1 홀(405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1 홀(4051)의 직경은 제 1 돌기(4011)의 직경보다 크다.
캡(401a)의 상단 제 2 측에는 제 2 돌기(4012)가 형성되며, 제 2 돌기(4012)는 지지부재(405)에 형성된 제 2 홀(405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2 홀(4052)의 직경은 제 2 돌기(4012)의 직경보다 크다.
캡(401a)의 제 1 돌기(4011) 및 제 2 돌기(4012)가 지지부재(40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에 따라 개폐모듈(401)은 축(421)을 중심으로 피벗팅할 수 있다.
캠(409)은 개폐모듈(401)의 좌측에 배치되며, 레버(402)는 캠(409)과 접촉하며, 캠(409)이 회전함에 따라 캠면의 높이가 변경되면서 레버(402)를 캠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모듈(401)은 축(421)을 중심으로 피벗팅 할 수 있다.
레버(402)는 개폐모듈(401)의 중심(4015)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 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개폐모듈(401), 레버(402), 지지부재(405), 캠(409), 구동부(420), 제 1 스위치 모듈(415) 및 제 2 스위치 모듈(416)이 도시되어 있다.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캠(409), 구동부(420), 제 1 스위치 모듈(415) 및 제 2 스위치 모듈(416)은 개폐모듈(401)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레버(402)는 캠(409)와 접촉하며, 캠(409)이 회전함에 따라 레버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모듈(401)을 피벗팅 시킬 수 있다.
레버(402)가 캠(409)과 접촉하는 부분(4021)은 마찰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레버(402)에는 도 9의 레버(302)와는 달리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레버(402)는 돌기 없이 캠 접촉부(402)가 직접 캠(409)의 캠면에 접촉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부재(405)는 개폐모듈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제 1 홀(4051), 제 2 홀(4052), 구동부를 수납하는 제 1 하우징(4054),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을 수납하는 제 2 하우징(40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개폐 시스템에 사용되는 캠의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캠(409)은 캠면(4091, 4093, 4095, 4097), 제 1 돌출부(413) 및 제 2 돌출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캠(409)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각도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도 7a 내지 도 7d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돌출부(413)의 높이는 제 2 돌출부(411)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제 1 돌출부(413)는 제 1 스위치 레버 및 제 2 스위치 레버와 접촉하며,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돌출부(411)는 제 2 스위치 레버와 접촉하며, 제 2 스위치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캠(409)이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제 1 돌출부(413)가 제 1 스위치 레버 및 제 2 스위치 레버와 접촉하거나 또는 제 2 돌출부(411)가 제 2 스위치 레버와 접촉할 수 있다.
도 20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0a를 참조하면 냉장고 도어(2000)는 도어 플레이트(2001), 커버(2003) 및 취수공간(2005)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2003)의 내부에는 개폐 시스템(도 20b의 2011)이 장착될 수 있다. 커버(2003)는 도어 플레이트(200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폐 시스템이 슬림화됨에 따라 개폐 시스템은 취수공간(2005)을 통해 화살표(2007)(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방향) 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커버(2003)가 도어 플레이트(200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커버(2003)와 도어 플레이트(2001)간의 경계선이 없어지므로 미관상 좋으며, 도어 조립 작업 공정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20b는 도 20a에 도시된 냉장고 도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 20b를 참조하면 개폐 시스템(2011)이 도시되어 있다. 개폐 시스템(2001)은 도 20a에 도시한 커버(2003)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0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일부분(도 20a의 점선 부분(2009))에 대한 투시도 이다.
도 20c를 참조하면 도어 플레이트(2001)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커버(2003)의 내부에 개폐 시스템(2011)이 장착되어 있다.
개폐 시스템(2001)이 슬림화됨에 따라 취수공간(2005)를 통해 커버(2003)의 내부로 개페 모듈(2001) 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unit)”“기”“블록(block)”“부재(member)”“모듈(module)”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301 : 개폐모듈
302 : 레버
305 : 지지부재
307 : 스프링
309 : 캠
320 : 구동부
315 : 제 1 스위치 모듈
316 : 제 2 스위치 모듈

Claims (23)

  1.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캠; 및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제 2 축을 중심으로 피벗팅하여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개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축 및 상기 제 2 축은 소정 각도로 직교하고,
    상기 캠은
    상기 제1축에 대해 반경 방향 표면 상에 마련되는 외주면; 및
    상기 외주면에 대해 수직한 면에 마련되는 캠면으로서, 상기 제1축에 대한 상기 캠의 회전 각도에 따라 높이가 변하는 캠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모듈은 상기 캠면과 접촉하여 상기 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레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시스템은,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개폐모듈이 피벗팅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구동부가 장착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시스템은,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개폐모듈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힘을 제공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외주면에는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는 일정 각도 이격 되어 형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시스템은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모듈을 동작시키는, 냉장고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시스템은 제 1 스위치 모듈 및 제 2 스위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스위치 모듈만을 동작시키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제 1 평면, 제 2 평면,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평면 및 상기 제 2 평면은 높이 단차를 갖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평면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1 경사면에 인접하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 측에는 상기 캠의 캠면과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개폐모듈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 1 평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개폐모듈은 상기 토출구를 최대로 개방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스위치 모듈 및 상기 제 2 스위치 모듈을 동작시키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 2 평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개폐모듈은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개폐모듈을 2등분하는 중심선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돌출부는 구면(spherical surface)을 포함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캠면의 단차에 의해 상기 개폐모듈을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피벗팅 시키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1회전 동안, 상기 개폐모듈은 폐쇄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피벗팅 하다가 다시 폐쇄 상태로 피벗팅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캠면은 상기 레버를 상기 제 2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은,
    상기 캠이 회전하여도 상기 개폐모듈이 일정시간 동안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2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은,
    상기 캠이 회전하여도 상기 개폐모듈이 일정시간 동안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감속기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토출구 개폐 시스템.
KR1020160179831A 2016-10-06 2016-12-27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246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831A KR102246448B1 (ko) 2016-10-06 2016-12-27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201780047262.5A CN109791015B (zh) 2016-10-06 2017-09-28 冰箱及其控制方法
US15/718,427 US10330374B2 (en) 2016-10-06 2017-09-28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858679.8A EP3472539B1 (en) 2016-10-06 2017-09-28 Refrigerator
PCT/KR2017/010793 WO2018066885A1 (en) 2016-10-06 2017-09-28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9136 2016-10-06
KR1020160129136 2016-10-16
KR1020160179831A KR102246448B1 (ko) 2016-10-06 2016-12-27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095A KR20180042095A (ko) 2018-04-25
KR102246448B1 true KR102246448B1 (ko) 2021-04-30

Family

ID=6182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831A KR102246448B1 (ko) 2016-10-06 2016-12-27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30374B2 (ko)
EP (1) EP3472539B1 (ko)
KR (1) KR102246448B1 (ko)
CN (1) CN109791015B (ko)
WO (1) WO2018066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9063B2 (en) 2017-12-20 2020-08-1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Water dispenser
CN111288178B (zh) * 2018-12-06 2022-04-29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出冰装置及冰箱
CN111854260B (zh) * 2019-04-26 2022-10-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分配器及具有该分配器的冰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5006A1 (en) * 2004-09-30 2006-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20060144075A1 (en) * 2005-01-03 2006-07-06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improved water and ice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257B1 (ko) * 1997-06-30 1999-11-01 전주범 냉장고의 자동제빙기
KR100510698B1 (ko) *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KR100621108B1 (ko) * 2004-12-2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0624711B1 (ko) * 2004-12-29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서
KR101252165B1 (ko) * 2006-09-21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820818B1 (ko) * 2006-11-13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DE102008013750A1 (de) * 2008-03-12 2009-09-24 Emz-Hanauer Gmbh & Co. Kgaa Eisklappenvorrichtung für einen Kühlschrank
KR101504214B1 (ko) * 2008-11-28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565415B1 (ko) * 2009-07-15 2015-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2102927B (zh) * 2009-12-22 2014-07-23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制冷器具及其工作方法
RU2014127896A (ru) * 2011-12-09 2016-01-27 Электролюкс Хоум Продакт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озирования льда и воды с одной лопастью
DE102012223626A1 (de) * 2012-12-18 2014-06-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dispenser
KR20140104640A (ko) * 2013-02-21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1714443B1 (ko) * 2016-07-07 201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얼음보관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5006A1 (en) * 2004-09-30 2006-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20060144075A1 (en) * 2005-01-03 2006-07-06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improved water and ic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91015B (zh) 2021-04-30
EP3472539A1 (en) 2019-04-24
CN109791015A (zh) 2019-05-21
EP3472539B1 (en) 2021-06-23
US20180100685A1 (en) 2018-04-12
EP3472539A4 (en) 2019-06-19
US10330374B2 (en) 2019-06-25
KR20180042095A (ko) 2018-04-25
WO2018066885A1 (en)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178B2 (en) Ice making tray for refrigerator
KR102674196B1 (ko) 냉장고
US9234688B2 (en) Ice maker
US8376483B2 (en) Rotatable shelf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9791198B2 (en) Refrigerator
US9291385B2 (en) Refrigerator
KR10224644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3404346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MXPA06002373A (es) Refrigerador.
US20120024003A1 (en) Refrigerator
US20100326122A1 (en) Refrigerator
US9448005B2 (en) Guard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1258437B1 (ko) 제빙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176725B1 (ko) 냉장고
US20160116208A1 (en) Cool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device
US8146783B2 (en) Refrigerator having dispenser
KR20090005753U (ko) 냉장고
KR102030847B1 (ko) 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0286034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에어댐퍼
US11441835B1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containment system for contents of refrigerator appliance
US20240210091A1 (en) Refrigerator
KR20070069774A (ko) 냉장고
KR100286038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에어댐퍼
KR20110041657A (ko) 힌지식 조명장치를 가지는 냉장고
KR19990023970U (ko) 냉장고의 냉장실 온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