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371B1 -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371B1
KR102245371B1 KR1020167000216A KR20167000216A KR102245371B1 KR 102245371 B1 KR102245371 B1 KR 102245371B1 KR 1020167000216 A KR1020167000216 A KR 1020167000216A KR 20167000216 A KR20167000216 A KR 20167000216A KR 102245371 B1 KR102245371 B1 KR 10224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ntainer
door
contact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187A (ko
Inventor
김나미
이재열
이성훈
김진동
임지현
김현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701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740B1/ko
Publication of KR2016002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05C19/12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6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with a keeper caught between two pivoting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2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28Hooking, e.g. using bayonets; 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부재에 설치되고, 면을 이루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걸림부; 및 제2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대해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도록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촉부에 접촉해서 걸릴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편을 구비하고,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를 향해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편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후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FIX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주된 저장실 이외의 별도의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대해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주된 저장실 또는 별도의 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구비된 저장실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음식물 등을 냉동 보관 또는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예들 들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주된 저장실 이외의 별도의 저장공간(이하 편의상 “보조 저장실”이라 함)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저장공간을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기 않고도 접근 가능하도록 한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주된 저장실 또는 보조 저장실에 선택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부재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되,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작용될 때에만 두 개의 부재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도어와 컨테이너를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부재를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하기 위해서, 돌출편이 형성된 후크를 구비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걸리는 면을 제공하는 걸림부를 제공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결합부와 걸림부 사이에 수평 방향 힘이 전달되는 부분과, 후크가 회전되는 회전 중심 사이에 소정 거리가 존재하기 때문에 수평 방향 힘에 의해서 후크를 회전시켜 두 개의 부재를 결합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부재에 설치되고, 면을 이루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걸림부; 및 제2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대해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도록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촉부에 접촉해서 걸릴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편을 구비하고,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를 향해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편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후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후크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 부재가 눌려서, 상기 후크가 회전 중심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돌출편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후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수평 방향에 대해 상측으로 소정 각도 만큼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부재에 접촉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편은, 상기 걸림부에 걸리기 시작할 때에 상기 걸림부에 접촉하는 제1경사면과, 상기 걸림부에 걸림이 해제될 때에 상기 걸림부에 접촉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각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촉부는,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기 시작할 때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서 걸림이 해제되기 시작할 때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는 서로 상이한 경사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캐비닛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고, 면을 이루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걸림부; 및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촉부에 접촉해서 걸릴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편을 구비하고,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를 향해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편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후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도어가 함께 상기 제1힌지 부재에 의해서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캐비닛에서 결합 해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도어가 결합되어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캐비닛에서 결합 해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저장 영역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컨테이너에서 상기 제2힌지 부재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에 두 개의 부재가 서로 결합 해제될 수 있도록 해서, 사용자가 쉽게 두 개의 부재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조 저장실이 설치된 컨테이너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도어만을 회전시키고, 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와 도어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도어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에서 도어 및 컨테이너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가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와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가 컨테이너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와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은 도 18의 좌측면도.
도 20는 도 18의 우측면도.
도 21은 도 18의 분해 사시도.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2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식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실 예들 들어 냉장실이 구비되며, 하부에는 냉동실이 구비된다.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도어(20)가 힌지 부재(40)(이하 편의상 “제1힌지 부재”라 함)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2개의 도어(20)를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의 도어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어(20)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회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부(22)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부(22)의 형상이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어(2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물이나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다른 도어(20a)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 즉 냉장실(2)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장실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는 냉장실에 한정되지 않고 냉동실 등과 같은 식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면 적용가능하므로 이하 편의상 “제1저장 영역”이라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저장 영역(2)과는 다른 저장실(52)(이하 편의상 “제2저장 영역”이라 함)을 정의하는 컨테이너(100)가 구비된다. 컨테이너(100)는 도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캐비닛(10) 및 도어(2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캐비닛(10), 도어(20), 컨테이너(100)의 관계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컨테이너(100)가 캐비닛(10)에 수용된 상태이며, 도어(20)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캐비닛(10)에 대해서 도어(20)는 제1힌지 부재(40)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힌지 부재(40)는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제1힌지 부재(40)의 회전축(42)(이하 편의상 “제1회전축”)에 대해서 회동하며,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가스켓(26)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도어(2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도어(20)의 사각 형상을 따라 전체적으로 사각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상기 캐비닛(10)를 향해서 회전되어 상기 제1저장 영역(2)이 밀폐되면, 상기 가스켓(26)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부(12)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제1저장 영역(2)에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어(20)에는, 컨테이너(100)가 제2힌지 부재(200)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힌지 부재(200)의 회전축(이하 편의상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20)에 위치하며, 상기 제1힌지 부재(40)의 제1회전축(42)와는 별도로 구비된 회전축이다. 즉 상기 제1힌지 부재(40)는 캐비닛(10)과 도어(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도어(20)와 컨테이너(100)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이라는 용어을 사용한다. 컨테이너(100)의 크기(좌우방향 길이(폭) 및 상하방향 길이(높이))는 실질적으로 제1저장 영역(2)보다 적어도 크지 않도록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100)의 깊이(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깊이의 소정 부분을 점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도어(20)가 닫히는 경우에, 컨테이너(100)는 제1저장 영역(2)에 위치하게 되므로, 캐비닛(10)의 전면부(12)와 도어(20)의 내측 테두리부 사이에서만 냉기 누설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어(20)의 내측 테두리부에 1개의 가스켓(26) 만을 설치하여도,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100)을 위한 가스켓을 구비하지 않고, 도어(20)를 위한 가스켓(26) 만을 구비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가스켓의 설치로 인한 냉기 손실이나 히팅을 위한 에너지 낭비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 장치(6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 장치(600)는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할 때는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결합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도어(20)만을 개방할 때는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체결 장치(600)에 의한,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하여, 손잡이부(22)에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부(2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를 개방한 후에, 사용자가 상기 저장부(24)에 접근해서,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설치된 저장부(24)에 식품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20)의 저장부(24)를 구비하는 대신에, 컨테이너(100)의 깊이를 크게 하여, 상기 도어(20)의 저장부(24)가 점유하는 공간을 상기 컨테이너(100)가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도어(20)와 컨테이너(100)가 함께 개방된 것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1저장 영역(2)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어(20)와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하면, 상기 제1저장 영역(2)이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1저장 영역(2)의 구조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저장실의 구조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상기 제1저장 영역(2) 내에는 복수 개의 선반(4), 서랍(6)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 장치의 결합부(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도어(20) 만을 개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하며, 상기 도어(20) 및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할 때는 상기 컨테이너(100)과 상기 캐비닛(10)의 결합을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에 설치되는 걸림부와 제2부재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상기 제1부재는 상기 캐비닛(20)에 해당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컨테이너(100)에 해당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요소로 치환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캐비닛(10)으로 한정하고,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컨테이너(100)로 한정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2)에 걸림부(4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400)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상측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400)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상측, 즉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저장된 식품을 인출할 때에 상기 걸림부(400)에 의해서 방해를 받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걸림부(400)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의 바닥면이나 측면에 배치된다면, 사용자의 눈에 잘 띄게 될 뿐 아니라, 식품을 인출할 때에 쉽게 부딪힐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인입되는 동안에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걸림부(40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에서 상단에 배치되기 때문에, 높이가 높아 사용자의 손에 닿기 어렵고, 따라서 상기 결합부(500)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걸림부(400)에 접촉해서 상태가 변화되어서, 상기 걸림부(400)에 상기 결합부(500)가 결합이 되거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부(500)가 상기 걸림부(400)에 결합되면,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게 된다. 반면에 상기 결합부(500)가 상기 걸림부(400)에 결합 해제되면,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결합이 해제되어서,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에서 상기 제2힌지 부재(200)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편측에 설치될 수 있다(도 3에 구체적으로 도시됨). 상기 제2힌지 부재(200)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도어(20)에 연결하고, 상기 도어(20)에 가해지는 힘을 상기 컨테이너(10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제2힌지 부재(200)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상기 컨테이너(100)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 버팀력이 커질 수 있다. 왜냐하면 회전력은 가해지는 힘의 크기와 힘의 작용점과의 곱으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500)를 상기 제2힌지 부재(200)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해서, 상기 결합부(500)가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캐비닛(10)을 고정하는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와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서 A-A의 단면도이다.
상기 결합부(500)는 하측 외관을 이루는 제1하우징(502)과 상측 외관을 이루는 제2하우징(504)을 포함한다. 상기 제2하우징(504)은 상기 컨테이너(100)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500)가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걸림부(400)가 배치되는 상측을 향해서 상하로 회전 운동할 수 있는 후크(5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크(510)는 일단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511)은 상기 후크(510)의 몸체에 비해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편(511)은 상기 걸림부(400)와 접촉해서 상기 후크(510)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제1경사면(512)과 제2경사면(5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512)은 상기 후크(510)가 상기 걸림부(400)에 진입할 때에 상기 걸림부(400)에 접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경사면(514)은 상기 후크(510)가 상기 걸림부(400)로부터 멀어질 때에 상기 걸림부(400)에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경사면(512)과 상기 제2경사면(514)의 경사각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경사면(512)과 상기 걸림부(400)를 접촉시켜서 상기 컨테이너(100)를 이동시킬 때에 필요로 하는 힘과, 상기 제2경사면(514)과 상기 걸림부(400)를 접촉시켜서 상기 컨테이너(100)를 이동시킬 때에 필요로 힘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될 때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캐비닛(10)의 결합을 해제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큰 힘으로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구현한다.
상기 후크(510)는 상기 제1하우징(502)과 상기 제2하우징(504) 내에서 회전될 수 있어서, 상기 걸림부(40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걸림부(400)는 상기 후크(510)가 상기 걸림부(400)에 걸리기 시작할 때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402)와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400)에 걸림이 해제되기 시작할 때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40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촉부(402)와 상기 제2접촉부(404)는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접촉부(402)와 상기 제2접촉부(404)의 경사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촉부(402)와 상기 제2접촉부(404)는 평면 형상을 이루어서, 각각 상기 제1경사면(512)와 상기 제2경사면(514)을 평면 형상의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402)와 상기 제2접촉부(404)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후크(510)가 상기 제1접촉부(402)와 접촉해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이동될 때에 필요로 하는 힘과, 상기 후크(510)가 상기 제2접촉부(404)와 접촉해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이동될 때에 필요로 하는 힘을 서로 상이하다.
한편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후크(510)가 상기 걸림부(400)를 향해서 이동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52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520)는 외력에 의해서 압축 변형이 가능한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520)는 상기 후크(510)를 기준으로 상기 걸림부(40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서, 상기 후크(510)가 상기 걸림부(400)를 향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돌출편(511)과 상기 걸림부(400)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후크(51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d) 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편(511)과 상기 걸림부(400)가 접촉되는 부분은, 반대편에 마련된 상기 후크(510)의 회전 중심의 높이 보다 소정 거리(d) 만큼 높이차가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상기 돌출편(511)과 상기 걸림부(400)가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후크(510)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게 되면, 상기 후크(510)를 우측으로 당기는 힘(도 7기준)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후크(510)는 아래쪽으로 회전될 수 없다. 왜냐하면 큰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후크(510)의 회전 중심에 대해서 수직한 작용암이 없기 때문에, 상기 후크(510)를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후크(510)는 회전되지 못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돌출편(511)과 상기 걸림부(400)는 계속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컨테이너(100)는 결합이 해제될 수 없다.
또한 상기 후크(510)는 수평 방향에 대해서 상측으로 소정 각도(θ)만큼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510)는 상기 후크(510)의 회전 중심에 비해서, 상기 돌출편(511)의 위치가 높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식품이 저장되어서 하중 증가로 인해서, 상기 컨테이너(100)가 아래쪽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돌출편(511)과 상기 걸림부(400)가 접촉이 가능하도록 해서, 고정 장치에 의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캐비닛(10)이 결합 또는 결합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도 3의 상태)에는 사용자는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함께 당길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체결 장치(600)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당길 때에 상기 컨테이너(100)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당기게 되면(도 7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 상기 후크(510)의 상기 제2경사면(514)은 상기 제2접촉부(404)에 일시적으로 걸려서 상기 컨테이너(100)는 정지하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제2경사면(514)이 상기 제2접촉부(404)를 벗어날 수 있을 정도의 힘, 즉 상기 탄성 부재가 도 8과 같이 압축되도록 하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 부재(520)가 압축되면서 상기 제2경사면(514)과 상기 제2접촉부(404)의 접촉면적이 점점 줄어들면서 도 10과 같이 상기 걸림부(400)와 상기 결합부(50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 10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함께 이동시켜서 도 10의 좌측편에 위치하는 제1저장 영역(2)에 접근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과 결합시키고자,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향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는 도 7 내지 도 10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이 반대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경사면(512)은 상기 제1접촉부(402)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1경사면(512)은 상기 제2경사면(514)과 달리 상기 걸림부(400)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접촉부(402)는 상기 제2접촉부(404)와 달리 상기 결합부(500)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경사면(512)이 상기 제1접촉부(402)에 접촉하면서 상기 컨테이너(100)를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제2경사면(514)이 상기 제2접촉부(404)에 접촉하면서 상기 컨테이너(100)를 이동시킬 때보다 작은 힘으로 상기 컨테이너(100)가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경사면(512)과 상기 제1접촉부(402)는 서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접촉부(402)와 상기 제1경사면(512)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록, 상기 탄성 부재(520)는 압축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상기 탄성 부재(520)가 충분히 압축되어 상기 후크(510)가 상기 걸림부(400)에 간섭을 받지 않을 때까지 이동되면, 최종적으로 도 7의 상태로 변화되면서 상기 후크(510)는 상기 걸림부(400)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캐비닛(1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520)가 상기 후크(510)를 최대로 이동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결합부(500)와 상기 걸림부(400)가 체결되었다가 체결이 해제되는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탄성 부재(520)가 상기 후크(510)를 최대로 이동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결합부(500)와 상기 걸림부(400)는 체결이 해제된 상태였다가 체결되는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1힌지 부재(40)에 의해서 회전되는 경우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가 상기 체결 장치(600)에 의해서 결합된 상태이다. 이때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회전시키는 힘이 상기 컨테이너(100)에 충분히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서 결합 해제시킬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도어(20)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도록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경우와 달리, 사용자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도 2에 도시된 상태). 이 경우에는 도 7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캐비닛(10)과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이 해제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탄성 부재(520)를 압축시킬 수 있을 만한 힘이 상기 컨테이너(100)에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당겨서 개방하더라도 상기 컨테이너(100)에는 힘이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0)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부(500)가 상기 걸림부(400)에 걸린 상태(도 7에 도시됨)와 상기 결합부(500)가 상기 걸림부(400)에 걸림이 해제된 상태(도 10에 도시됨)에서 상기 후크(510)의 위치는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510)는 상기 걸림부(400)에 접촉해서 위치가 변화된 상태(도 8 및 도 9에 도시됨)에서는 위치가 변화되다가 상기 걸림부(400)에 걸림이 완료되거나, 걸림 해제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컨테이너(100)를 회전시켜서 상기 결합부(500)에 접근이 가능한 상태에, 상기 후크(510)를 임의로 조작하더라도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후크(510)는 상기 탄성 부재(520)의 복원력에 의해서 도 7 또는 도 10에 도시된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불필요한 조작을 하더라도 상기 결합부(500)의 동작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통해서 유사하게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보충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나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다른 부분은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400)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걸림부(400)에 대해서 동일한 수평면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와 고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결합부(500)는 상기 후크(510), 상기 후크(5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520)는 상기 후크(510)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크(510)는 상기 제1경사면(512)과 상기 제2경사면(514)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경사면(512)과 상기 제2경사면(514)은 경사각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400)는 상기 제1접촉부(402)와 상기 제2접촉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40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단면의 원형형상에 대한 상기 제1접촉부(402)와 상기 제2접촉부(404)의 접선은 서로 상이한 경사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경사면(512)과 상기 제1접촉부(402)가 접촉해서, 상기 후크(510)가 상기 탄성 부재(520)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520)가 상기 후크(510)를 충분한 위치만큼 회전시키도록 변형되면 상기 제1경사면(512)과 상기 걸림부(400)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상기 후크(510)가 상기 걸림부(400)에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에서도, 상기 후크(510)를 충분히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힘이 상기 후크(510)에 제공되면 상기 후크(510)가 상기 탄성 부재(520)를 압축해서 상기 후크(510)와 상기 걸림부(400)의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결합이 해제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경사면(514)과 상기 제2접촉부(404)가 접촉해서, 상기 후크(510)가 상기 탄성 부재(520)를 압축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2경사면(514)이 상기 제2접촉부(404)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520)가 압축되어 상기 후크(51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경사면(512)이 상기 제1접촉부(402)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520)가 압축되어 상기 후크(51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보다 더 큰 힘을 가해야 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해서 완충 부재가 추가된다는 차이뿐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B-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5에서 도 6의 위치에 대한 A-A단면은 도 7과 동일하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부(400)에 상기 결합부(500)가 부딪혔을 때에 상기 결합부(500)에 의한 충격 및 그 반동으로 인해서 상기 후크(510)가 상기 걸림부(400)에 걸리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 부재(56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큰 힘으로 인입시켰을 대에 상기 결합부(500)와 상기 걸림부(400)가 부딪힐 수 있다. 상기 결합부(500)가 상기 걸림부(400)를 타격할 때에 상기 완충 부재(560)에 설치된 스프링(562)이 압축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562)이 압축되면서, 상기 결합부(500)와 상기 걸림부(400)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고정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는 상기 제1저장 영역(2)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걸림부(101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1012)는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012)는 원통형 형태로 돌출된 가이드 핀(1016)과, 만곡된 형상을 갖는 완곡면(1015)이 형성된 가이드 벽(10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1016)은 곡선 형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원형 단면을 갖는 원통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소정 크기의 반경을 가지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1014)은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완곡면(1015)을 통해서 상기 고정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의 동작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가 상기 완곡면(1015)에 접촉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1016)과 상기 가이드 벽(1014)은 소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핀(1016)과 상기 가이드 벽(1014)의 사이에는 상기 고정 장치의 일부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은 도 18의 좌측면도이고, 도 20는 도 18의 우측면도이며, 도 21는 도 18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1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걸림부(1012)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결합부(1500)의 위치는 상기 걸림부(1012)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걸림부(1012)의 일측을 감싸는 제1후크(1510)와 상기 걸림부(1012)의 타측을 감싸는 제2후크(1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후크(1510)는 상기 가이드 핀(1016)의 일측을 감싸고, 상기 제2후크(10520)는 상기 가이드 핀(1016)의 타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에 설치되는 제1하우징(150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502)에는 복수 개의 구성요소가 설치되어서, 상기 걸림부(1012)에 접촉되면서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502)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일면에 고정된다. 즉 상기 제1하우징(1502)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하나의 면에만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제1하우징(1502)에는 상기 제1후크(1510)와 상기 제2후크(15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후크(1510)는 상기 제1하우징(1502)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결합부에 외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상기 제1후크(1510)는 상기 제2하우징(1504)에 대해서 정해진 위치에 정지해 있게 된다.
상기 제1후크(1510)에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1안착면(15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면(1512)에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잦은 접촉으로 파손 또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후크(1510)는 제1스크류(1504)에 의해서 상기 제1하우징(150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크류(1504)는 상기 제1후크(1510)가 상기 제1하우징(1502)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제1후크(1510)를 고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제2하우징(1504)에 선택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1504)에는 원통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된 회전축(1508)이 마련된다.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회전축(1508)가 삽입가능한 중공(1524)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1524)은 상기 제2후크(15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접촉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돌출편이 마련되어서, 상기 제2후크(1520)는 전체적으로 ‘ㄱ’ 또는 ‘ㄷ’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후크(1520)는 제2스크류(1506)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150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스크류(1506)는 상기 제2후크(152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축(1508)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일정 영역에서 상기 제2후크(1520)가 상기 가이드 핀(1016)을 감싸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 부재(153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회전력을 가할 경우에 탄성 변형을 일으키고,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태로 복귀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일단(1534)은 상기 제2후크(15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타단(1532)는 상기 제1후크(15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의 동작을 한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일단(1534)은 상기 제2후크(15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타단(1532)는 상기 제1하우징(1502)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의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일단(1534)이 상기 제2후크(1520)에 고정되고,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타단(1532)이 고정된 어느 부분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가 일정 범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크(1520)를 회전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가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후크(1520)가 해당 범위를 넘어서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에 원래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힘을 가할 수는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가 일정 각도까지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크(15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복원력을 가하지만, 상기 제2후크(1520)가 일정 각도를 넘어서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크(1520)에 복원력을 가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1520)에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제2안착면(15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면(1521)에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잦은 접촉으로 파손 또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일면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제2후크(1520)가 상기 도어(20)에는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도어(20)에 접촉되지 않고 작동될 수 있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제1저장 영역(2)을 밀폐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100)는 도 2에서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에 완전히 가려져 도 1의 상태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는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상기 걸림부(1500)는 상기 걸림부(1012)에 결합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제1후크(1510)와 상기 제2후크(1520)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핀(1016)이 감싸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가 상기 컨테이너(100)에 맞닿아 있고 상기 도어(20)가 상기 컨테이너(100)의 이동을 막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는 회전될 수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제1탄성 부재(530)의 탄성력을 이길 수 있는 힘이 가해지면 회전될 수 있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2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전방을 통해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접근하거나, 상기 도어(20) 내측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술한 체결 장치(600)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만을 개방한 경우에는 상기 제2후크(1520)는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왜냐하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힘을 상기 도어(20)에서 상기 컨테이너(100)에 제공할 수 없다. 즉 상기 제1후크(1510)와 상기 제2후크(1520)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핀(1016)이 감싸지도록 배치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22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체결 장치(600)에 의해서 상기 도어(20)만을 회전시킨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1500)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캐비닛(10)에 결합시키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컨테이너(100)는 상기 도어(20)가 회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의 상태에서 고정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도 22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함께 회전되게 된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의 간격은 유지되면서, 함께 상기 제1힌지 부재에 의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회전되기 때문이다.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가 함께 동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체결 장치(600)를 앞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조작할 수 있다.
도 22의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캐비닛(10)를 약한 힘에 의해서 고정한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에 대해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회전력을 넘어설 정도의 힘을 가하면, 상기 제2후크(1520)는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핀(1016)은 상기 캐비닛(10)에 일체를 이루면서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도어(20)와 컨테이너(10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접촉해서 상기 가이드 핀(1016)에 의해서 반 시계 방향으로 충분히 회전되게 된다. 특히 상기 제2후크(1520)가 충분히 회전되면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더 이상 접촉하지 못한다.
즉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가이드 핀(1016)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컨테이너(100)와 상기 도어(20)를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회전시켜, 상기 저장실(2)에 저장된 식품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거나, 상기 저장실(2)에 식품을 넣은 후에는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때 상기 제2후크(152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제1탄성 부재(1530)는 상기 제2후크(1520)가 일정 영역 이상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크(152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1탄성 부재(1530)가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제2후크(1520)는 반 시계 방향을 회전되어 정지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20)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기 저장실(2)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2후크(1520)가 상기 가이드 벽(1014)에 구비된 상기 완곡면(1015)에 맞닿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컨테이너(100)를 상측으로 점점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제2후크(1520)는 상기 완곡면(1015)의 다른 부분에 연속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2후크(520)는 상기 완곡면(15)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제2후크(15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서, 도 22에 도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후크(1520)가 상기 완곡면(1015)에 소정 시간 동안 접촉해서, 일정 각도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제2후크(1520)는 시계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물론 도 24의 상태에서는 상기 제1탄성 부재(1530)의 탄성 지지력을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하면 상기 제2후크(1520)는 회전될 수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결합부(1500)는 상기 걸림부(1012)에 결합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식품을 저장하는 제1저장 영역을 정의하는 캐비닛과;
    상기 제1저장 영역을 개폐하기 위하여, 제1힌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위치한 제1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에 식품을 보관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1저장 영역에 수용되는 제2저장 영역을 정의하며, 제2힌지부재에 의하여, 상기 도어에 위치하는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캐비닛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고, 면을 이루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걸림부; 및
    상기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접촉부에 접촉해서 걸릴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편을 구비하고,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후크;
    상기 결합부는 상기 걸림부에 접촉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를 향해서 회전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편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후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도어가 함께 상기 제1힌지 부재에 의해서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캐비닛에서 결합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도어가 결합되어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캐비닛에서 결합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컨테이너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회전되면,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저장 영역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컨테이너에서 상기 제2힌지 부재가 설치되는 위치의 반대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 부재가 눌려서, 상기 후크가 회전 중심에 대해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과 상기 접촉부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후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수평 방향에 대해 상측으로 소정 각도 만큼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기 걸림부에 걸리기 시작할 때에 상기 걸림부에 접촉하는 제1경사면과,
    상기 걸림부에 걸림이 해제될 때에 상기 걸림부에 접촉하는 제2경사면을 구비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경사각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 걸리기 시작할 때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부에서 걸림이 해제되기 시작할 때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는 서로 상이한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7000216A 2013-06-14 2014-06-16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4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11827A KR102574740B1 (ko) 2013-06-14 2014-06-16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234 2013-06-14
KR20130068234 2013-06-14
KR1020130124735 2013-10-18
KR20130124735 2013-10-18
PCT/KR2014/005259 WO2014200318A1 (en) 2013-06-14 2014-06-16 Fix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827A Division KR102574740B1 (ko) 2013-06-14 2014-06-16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187A KR20160021187A (ko) 2016-02-24
KR102245371B1 true KR102245371B1 (ko) 2021-04-28

Family

ID=520225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216A KR102245371B1 (ko) 2013-06-14 2014-06-16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17011827A KR102574740B1 (ko) 2013-06-14 2014-06-16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827A KR102574740B1 (ko) 2013-06-14 2014-06-16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20557B2 (ko)
EP (2) EP3008268B1 (ko)
KR (2) KR102245371B1 (ko)
WO (1) WO2014200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8409B1 (en) * 2013-06-14 2019-10-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696817B1 (ko) * 2015-06-17 2017-01-1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버킷 록킹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아이스버킷 록킹장치의 설치 방법
KR101696850B1 (ko) * 2015-06-17 2017-01-1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버킷 록킹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아이스버킷 록킹장치의 설치 방법
US9580946B2 (en) * 2015-07-22 2017-02-28 Provisur Technologies, Inc. Screw conveyor having linked latch closure
KR102391409B1 (ko) * 2015-12-17 2022-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5696874B (zh) * 2016-01-29 2017-12-22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门中门冰箱用自锁装置及门中门冰箱
JP6629648B2 (ja) * 2016-03-14 2020-01-15 セイキ住工株式会社 横引きスクリーン装置
CN106123461A (zh) * 2016-07-07 2016-11-16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6869730A (zh) * 2017-03-24 2017-06-20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冰箱门中门的自动开关装置
US10279915B2 (en) * 2017-05-04 2019-05-07 Ami Industries, Inc. Low-profile latch interface for headrest storage compartment
CN107700988B (zh) * 2017-09-18 2019-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门体锁定装置及具有其的冰箱
CN107956344A (zh) * 2017-12-29 2018-04-24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锁扣装置
USD899891S1 (en) * 2018-06-12 2020-10-27 Tingyi Xie Refrigerator door lock
CN109441917B (zh) * 2018-11-27 2024-02-06 深德彩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挂接机构及应用其的显示装置
CN113865234B (zh) * 2020-06-30 2022-11-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可更换门面的冰箱门
US11656021B2 (en) 2020-09-18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865A (ja) * 2001-01-15 2002-07-31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US20100154457A1 (en) * 2008-12-18 2010-06-24 Dong-Jeong Kim Hinge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11069612A (ja) * 2010-12-21 2011-04-07 Yoshikazu Aoki 二重収納扉付き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645A (en) 1881-07-19 Geobge minchin
US2150064A (en) * 1933-02-08 1939-03-07 Boots Refrigerator
US2131680A (en) * 1934-02-05 1938-09-27 Crosley Radio Corp Refrigerator
FR1130891A (fr) 1955-09-09 1957-02-13 Bouton ouvre-porte
US2942438A (en) * 1955-11-23 1960-06-28 Gen Motors Corp Refrigerator
US3086830A (en) * 1960-06-09 1963-04-23 Malia John Peter Compartmentalized refrigerator
US3140134A (en) * 1961-12-21 1964-07-07 Mark A Nairn Cabinet
US5966963A (en) * 1998-07-30 1999-10-19 Kovalaske; Kenneth A. Refrigerator with a third door
KR20030061672A (ko) * 2002-01-15 2003-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GB2439251B (en) * 2005-03-16 2011-02-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omprising a Home Bar
KR101350025B1 (ko) * 2007-06-05 2014-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
KR100906878B1 (ko) 2007-11-05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저장용기
CN201233148Y (zh) 2008-06-27 2009-05-06 周冠宇 带自锁门的冰箱
KR20100037764A (ko)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202166266U (zh) 2011-07-18 2012-03-14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箱门锁紧装置及包含其的冰箱
JP2013053843A (ja) 2011-08-31 2013-03-21 Lg Electronics Inc 冷蔵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3865A (ja) * 2001-01-15 2002-07-31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貯蔵庫
US20100154457A1 (en) * 2008-12-18 2010-06-24 Dong-Jeong Kim Hinge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11069612A (ja) * 2010-12-21 2011-04-07 Yoshikazu Aoki 二重収納扉付き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8268A1 (en) 2016-04-20
US9920557B2 (en) 2018-03-20
EP3008268B1 (en) 2023-08-23
KR20160021187A (ko) 2016-02-24
WO2014200318A1 (en) 2014-12-18
KR20210046859A (ko) 2021-04-28
EP4293185A3 (en) 2024-07-03
EP3008268A4 (en) 2017-05-31
US20160145917A1 (en) 2016-05-26
EP4293185A2 (en) 2023-12-20
KR102574740B1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371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45373B1 (ko) 냉장고
KR101860718B1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RU248439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EP2770284B1 (en) Refrigerator
US9869112B2 (en) Refrigerator
EP3150946B1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US11199033B2 (en) Refrigerator
KR101697112B1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2229980B1 (ko) 냉장고
KR102078368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06239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988306B1 (ko) 냉장고
KR102078369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40104639A (ko) 이중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1952681B1 (ko) 냉장고
KR101956034B1 (ko)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160370098A1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KR2013008732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