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540B1 - 전기분해 살균모듈 - Google Patents

전기분해 살균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540B1
KR102243540B1 KR1020200062038A KR20200062038A KR102243540B1 KR 102243540 B1 KR102243540 B1 KR 102243540B1 KR 1020200062038 A KR1020200062038 A KR 1020200062038A KR 20200062038 A KR20200062038 A KR 20200062038A KR 102243540 B1 KR102243540 B1 KR 10224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space
electrolysis
raw water
electro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응석
Original Assignee
노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응석 filed Critical 노응석
Priority to KR1020200062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전기분해 살균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전기분해된 전해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추고, 천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내부격벽을 갖추며,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는 천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리브를 갖추어 상기 한쌍의 내부격벽과 연장리브와의 사이에 전해공간을 형성하는 제1전해본체 ; 상기 전해공간과 대응하는 영역에 제1,2단자공을 각각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전해본체의 개방된 일측테두리와 실링부재를 매개로 합형 조립되는 제2전해본체 ; 및 상기 제1,2단자공에 대응삽입고정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단자핀을 갖추고, 상기 제1,2단자핀의 각 일단에 조립되어 상기 전해공간에 배치되는 제1,2전극판을 갖추어 전원인가시 원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리브의 단부와 상기 제2전해본체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상기 배출구와 대각방향으로 마주하는 연통구를 갖추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상기 연통구를 통하여 상기 전해공간의 하부측으로 내부유입되고, 내부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2전극판사이에서 대각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전해분해된 다음, 전기분해된 전해수는 상기 전해공간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배출구를 통하여 출수된다.

Description

전기분해 살균모듈{Electrolysis sterilization module}
본 발명은 살균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입수되는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처리된 전해수로 전환시켜 출수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반적으로 웰빙 바람이 불면서 사람들이 사용하거나 음용하는 물도 높은 수질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특히 사람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식수원에 있어서는 더욱 관심을 갖게 되어 각 가정에서는 식수원의 수질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면서 정수기의 사용이 대중화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물을 전기분해하여 양이온의 무기질이 포함되는 음용수인 알칼리수(음극수)와 비음용수인 산성수(양극수)로 분리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전해수 생성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수기능과 전해기능을 모두 갖추어 정수가 이루어진 물을 전해조인 전해 살균모듈을 통과시켜 배출되도록 구성된 정수기능을 가지는 정수 시스템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 전해 살균모듈은 보통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진 전극판 사이에 격막을 설치한 본체 내에 물을 넣은 다음 직류 전기를 흘려주면, 음극에서는 칼슘(Ca), 칼륨(K), 마그네슘(Mg), 나트륨(Na) 등의 금속 알칼리성 양이온과 수소 양이온이 끌어 당겨지면서 알칼리수가 생성되고, 양극에서는 염화물 이온, 탄산 이온, 유산 이온, 질산 이온 등의 음이온은 양극으로 끌어 당겨지면서 산성수가 생성된다.
즉, 이러한 전기분해 모듈인 전해모듈을 갖는 정수기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음용이 가능한 pH7.4 ~ 8.5의 약알칼리수를 식수로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정수기의 구조는 전기분해가 일어나는 전해모듈과, 상기 전해모듈을 통하여 전기분해되어 생성된 약알칼리수를 정수시켜 음용토록 하기 위한 정수부로 구성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8911 B1
특허문헌 1에는 물의 Ph를 조절함은 물론 격막에서의 이온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격막과의 사이를 완전하게 차단하도록 함으로서 2차 전기분해에 의한 물의 분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분해 정수기의 이중 전해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해조는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전기분해에 의하여 얻어지는 물의 전체적임 Ph를 맞추면서 전기분해에 의하여 얻어지는 정확한 알칼리수의 분리와 이로 인하여 얻어지는 충분한 물의 양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전해조 본체의 내부에서 원수가 공급되는 입수구와 전기분해된 전해수가 배출되는 배수구와의 사이의 거리가 짧아 원수의 전기분해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원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극판과 연결된 전극봉은 전해조 본체의 전극홀에 삽입되고, 와셔, 조임너트에 의해서 단순결합되기 때문에 밀착부위에 실링용 오링부재를 구비하더라도 장시간 사용시 누수의 위험성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전해조 본체의 내부에서 원수의 전기분해시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스케일이 전해수와 더불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수가 전기분해공간을 통과하는 경로를 길게 연장하면서 원수가 전극판의 외측으로 바이패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분해 살균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수의 전기분해시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스케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근복적으로 차단하면서 비중차이에 의해서 낙하되는 스케일을 임시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전기분해 살균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모듈은,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전기분해된 전해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추고, 천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내부격벽을 갖추며,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는 천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리브를 갖추어 상기 한쌍의 내부격벽과 연장리브와의 사이에 전해공간을 형성하는 제1전해본체 ; 상기 전해공간과 대응하는 영역에 제1,2단자공을 각각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전해본체의 개방된 일측테두리와 실링부재를 매개로 합형 조립되는 제2전해본체 ; 및 상기 제1,2단자공에 대응삽입고정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단자핀을 갖추고, 상기 제1,2단자핀의 각 일단에 조립되어 상기 전해공간에 배치되는 제1,2전극판을 갖추어 전원인가시 원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리브의 단부와 상기 제2전해본체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상기 배출구와 대각방향으로 마주하는 연통구를 갖추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상기 연통구를 통하여 상기 전해공간의 하부측으로 내부유입되고, 내부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2전극판사이에서 대각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전해분해된 다음, 전기분해된 전해수는 상기 전해공간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배출구를 통하여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통구는 상기 제1전해본체의 천정면으로부터 제2전해본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리브의 하부단과 상기 제2전해본체의 상부면과의 사이의 간격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구부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전해본체의 천정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전해본체의 상부면에 접해지는 연장리브의 하부단에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구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구의 입구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전해본체는 스케일이 수집되어 임시 저장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의 스케일 저장용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해본체의 천정면에는 병렬배치되는 제1,2전극판들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2전극판의 상단 양측테두리와 상단 중앙테두리와 접하여 위치고정하도록 한쌍의 외측 상부지지턱과 한쌍의 중앙 상부지지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외측 상부지지턱과 한쌍의 중앙 상부지지턱은 각 단부의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산단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전해본체의 상부면에는 병렬배치되는 제1,2전극판들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2전극판의 하단 양측테두리와 접하여 위치고정하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하부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구와 마주하는 외측 하부지지턱에는 상기 제1,2전극판의 하단 일측테두리와 접해지도록 밀폐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단자핀은 길이중간에 상기 제1,2단자공의 각 내부면에 형성되는 내부단턱과 접하여 밀착되는 제1,2오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오링이 걸림배치되는 제1,2오링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전해본체는 하부면에 외부전원과 하네스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단자핀의 각 하단을 둘러싸 보호하는 스커트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극판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하부연결편을 관통하는 제1단자핀의 상단이 접하여 걸리는 제1상부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하부연결편과 제1상부연결편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전극판의 타측면에 호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핀의 상단이 관통배치되는 제1중간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극판의 양측에 병렬배치되는 제2전극판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하부연결편을 관통하는 제2단자핀의 상단이 접하여 걸리는 제2상부연결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자핀과 대응하는 제1전극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상,하부연결편 및 제1중간연결편과 접하지 않으면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호형 단면상의 프레스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원수가 전기분해공간을 통과하는 경로를 길게 연장하면서 원수가 전극판의 외측으로 바이패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해공간으로 내부공급되는 원수에 대한 전기분해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시간당 처리효율을 높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원수의 전기분해시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스케일을 전해공간에 구비되는 요홈에 임시로 수용하여 저장함으로써 이물질이나 스케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근복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제2전해본체와 제1,2단자핀이 결합되는 조립부위에 대한 실링력을 높임으로써 단자핀의 조립부위를 통한 원수 및 전해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제품에 대한 불량율을 낮출수 있다.
도 1a 와 도 1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 모듈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 모듈의 제1전해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 모듈의 유입구과 배출구를 기준으로 단면한 길이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 모듈의 유입구를 기준으로 단면한 폭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 모듈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 모듈의 몸체 중앙을 기준으로 단면한 폭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 모듈의 제1전해본체와 제1,2전극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 상세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 모듈의 전기분해부를 도시한 사시도, 조립도 및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 모듈의 전기분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분해 살균모듈(100)은 도 1a, 도 1b,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입수는 원수를 전기분해하고, 전기분해되어 살균처리되는 전해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출수할 수 있도록 제1전해본체(10), 제2전해본체(20) 및 전기분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해본체(10)는 도 1a, 1b,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원수가 내부 유입되는 통로인 유입구(11)와, 전기분해된 전해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구(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해본체(20)와 마주하는 일측이 도면상 하부로 개방된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성형 구조물이다.
상기 유입구(11)와 배출구(12)는 원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및 전해수를 배출하는 배출라인과 각각 연통연결되도록 상기 제1전해본체(10)의 외부면으로 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전해본체(10)는 천정면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내부격벽(13)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11)와 인접하는 제1전해본체(10)의 천정면으로부터 직하부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판상의 연장리브(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리브(15)의 양단은 상기 한쌍의 내부격벽(13)과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전해본체의 내면 일부, 한쌍의 내부격벽(13) 및 연장리브(15)와의 사이에는 상기 전기분해부(30)가 위치하여 배치되면서 내부유입된 원수에 대한 전기분해가 이루어져 전해수를 제조하는 일정크기의 전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내부격벽(13)의 각 양단은 제1전해본체(10)의 내부면과 일체로 연결되고,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의 출구단과, 전해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의 입구단은 상기 한쌍의 내부격벽사이의 영역에 위치된다.
한쌍의 내부격벽(13)과 이에 마주하는 제1전해본체(10)의 내부면과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연결리브(14)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내부유입된 원수의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는 전해공간을 형성하는 판상의 내부격벽(13)에 대한 구조적인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해본체(10)의 하부단 외측테두리에는 상기 제2전해본체(20)의 외측테두리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공(29)을 통하여 삽입되는 복수개의 체결나사(28)와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보스(19)를 구비한다.
상기 제2전해본체(20)는 도 1a, 1b,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해공간과 대응하는 영역인 상부면에 후술하는 제1,2단자핀(33,34)이 각각 대응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제1,2단자공(21,22)을 각각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전해본체(10)의 개방된 일측테두리와 실링부재(27)를 매개로 하여 합형 조립되는 구조물이다.
상기 제2전해본체(20)는 상기 실링부재(27)와 접하여 밀착되는 돌출리브(27a)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1전해본체(10)는 상기 실링부재(27)가 대응배치되어 위치하는 실링홈(17)을 함몰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해본체(10)와 제2전해본체(20)는 상기 체결공을 통하여 체결보스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에 의해서 상하합형되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2전해본체사이의 조립부위는 실링부재에 의해서 실링되면서 상기 전기분해부(30)를 내장하여 배치하는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전해본체(10)의 개방된 하부는 상기 제2전해본체(20)와의 결합에 의해서 차단되어 밀폐됨으로써, 상기 제1,2전해본체(10,20)와의 사이에는 내부격벽(13) 및 연장리브(15)에 의해서 전기분해부(30)의 제1,2전극판(31,32)이 위치하는 전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리브(15)에 의해서 상기 전해공간과 분할되어 유입구(11)를 통해 강제 입수공급되는 원수가 일시 체류하게 되는 일정크기의 원수유입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전해본체(10)와 제2전해본체(20)와의 합형조립시 상기 연장리브와 제2전해본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의해서 상기 원수유입공간의 원수가 전해공간으로 공급되도록 이들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부(30)는 도 1a, 1b, 도 2,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해공간에 배치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제1,2전극판(31,32)을 갖추어 전원인가시 공급되는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제1,2전극판(31,32)은 상기 제1,2단자공(21,22)에 하부단이 각각 대응삽입고정되어 하네스(39)를 매개로 하여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단자핀(33,34)의 각 상부단과 연결되는 대략 사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전극판 중 어느 하나의 전극판은 외부전원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전극판으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전극판은 외부전원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 전극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극 전극판은 티타늄(Ti), 루테늄(Ru) 및 이리듐(Ir) 중 어느 하나의 금속이 표면에 선택적으로 코팅처리디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음극 전극판은 티타늄(Ti) 소재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부(30)를 구성하는 하나의 제1전극판(31)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에 원수가 통과하면서 전기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제2전극판(22)이 나란하게 병렬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전해본체(10)에 구비되는 연장리브(15)의 단부인 하부단과 상기 제2전해본체(20)의 상부면과의 사이에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2)와 대각방향으로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구(P)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구(P)는 상기 제1전해본체(10)의 천정면으로부터 제2전해본체(20)의 상부면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리브(15)의 하부단과 상기 제2전해본체(20)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의한 개구부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통구(P)는 상기 제1전해본체(10)의 천정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전해본체(20)의 상부면에 접해지는 연장리브(15)의 하부단에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구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1)로부터 강제유입되어 공급되는 원수는 상기 연장리브(15)에 의해서 상기 전해공간과 분할되는 원수유입공간에 일시 체류한 다음 상기 연통구(P)를 통하여 상기 전해부가 배치되는 전해공간의 하부측으로 내부유입되고, 내부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2전극판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서 대각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전기분해된 다음, 전기분해된 전해수는 상기 전해공간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배출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해공간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연통구(P)를 통하여 내부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전해공간의 상부측에 대각방향으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출수되기 까지의 경로를 대각방향으로 길게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2전극판사이에 원수가 전기분해되는 소요시간 및 경로를 길게 연장하면서 전기분해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2전극판(31,32)과 각 상단이 결합되는 제1,2단자핀(33,34)의 각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1,2단자공의 각 내부면에 형성되는 내부단턱과 접하여 밀착되는 제1,2오링(35,36)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오링이 걸림배치되는 제1,2오링걸림턱(33a,34a)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2단자핀의 각 하단은 상기 제1,2단자공(21,22)을 관통하여 제2전해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며, 상기 제1,2오링걸림턱과 이에 걸리는 제1,2오링은 제1,2단자공의 각 내부면에 형성된 내부단턱과 접하여 밀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전해본체(10)와 제2전해본체(20)와의 상하합형시 상기 제1,2오링걸림턱에 걸림배치되어 내부단턱에 접해지는 제1,2오링(35,36)은 상기 제1,2전해본체의 결합력에 의해서 제1,2전극판과 더불어 직하부로 가압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1,2단자공과 제1,2단자핀과의 조립부위를 통하여 원수나 전해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벽하게 실링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1,2단자공(21,22)을 통하여 제2전해본체의 하부단으로 노출되는 제1,2단자핀(33,34)의 각 하단은 외부전원과 하네스(39)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전해본체(20)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2단자핀(33,34)의 각 하단과 하네스(39)와의 접속연결부위를 보호하도록 전체적으로 둘러싸 보호하는 스커트 리브(20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2)의 입구단에는 도 2,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해공간에서의 원수 전기분해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스케일이나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외부배출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필터망(16)을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12)의 직하부에 해당하는 제2전해본체(20)의 상부면에는 상기 필터망에 의해서 걸러진 다음 비중차이에 의해서 낙하되는 스케일이 수집되어 임시 저장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의 스케일 저장용 요홈(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망(16)의 외측테두리는 상기 배출구의 입구단에 돌출형성되는 환고리형 돌출턱(16a)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스케일 저장용 요홈(26)은 상기 연통구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는 상기 배출구의 직하부에 일정크기의 원형 요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케일 저장용 요홈(26)은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는 제2전해본체의 상부면에 함몰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해부와 대응하는 제2전해본체의 상부면 임의위치에 함몰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해본체(10)의 천정면에는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2전극판(31,32)들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2전극판의 상단 양측테두리 그리고 상기 제1,2전극판의 상단 중앙테두리와 접하여 이들을 위치고정하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상부지지턱(14a,14b)과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상부지지턱(14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상부지지턱(14a,14b)의 하부단과 상기 중앙 상부지지턱(14c)의 하부단은 각 단부의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산단면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전해본체(20)에 전기분해부(30)가 설치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해본체(10)와의 상하 합형조립시 상기 제2전해본체(20)의 제1,2단자공(21,22)에 제1,2단자핀(33,34)을 대응삽입하여 고정된 제1,2전극판(31,32)의 상단테두리가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상부지지턱(14a,14b)들사이 그리고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상부지지턱(14c)들사이에 걸림없이 정위치되면서 제1,2전해본체를 합형조립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면서 이들간의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전해본체(20)의 상부면에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2전극판(31,32)들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2전극판의 하단 양측테두리와 접하여 이들을 위치고정하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하부지지턱(25a,2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구(P)와 마주하는 외측 하부지지턱(25a)에는 상기 제1,2전극판(31,32)의 하단 일측테두리와 접해지면서 상기 제1,2전극판의 조립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제2전해본체(20)에 전기분해부(30)가 설치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해본체(10)와의 상하 합형조립시 상기 제1전해본체(10)의 연장리브(15)가 제1,2전극판(31,3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제1,2전해본체를 합형조립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면서 이들간의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전해본체(10)와 제2전해본체(2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해공간에 배치되어 전원인가시 내부유입된 원수를 전기분해하는 복수개의 제1,2전극판(31,32)은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중앙 측에 배치되는 제1전극판(31)과, 그 좌우양측에 나란하게 병렬배치되는 한쌍의 제2전극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판(31)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하부연결편(31a)을 관통하는 제1단자핀(33)의 상단이 접하여 걸리는 제1상부연결편(31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전극판(31)의 일측면에 호형 단면상으로 돌출되는 제1하부 연결편(31a)의 내경은 상기 제1단자핀(33)이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제1단자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큰 크기로 구비되는 반면에, 상기 제1상부연결편(31b)의 내경은 상기 제1단자핀의 상단과 접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제1단자핀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하부연결편(31a)과 제1상부연결편(31b)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전극판(31)의 타측면에 호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핀의 상단이 관통배치되는 제1중간연결편(3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전극판과 결합되도록 상기 제1하부연결편 및 제1중간연결편을 관통하는 제1단자핀(33)의 내경중심이 제1전극판(31)과 일치됨으로써 상기 제1전극판과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전극판들사이의 간격을 서로 동일하면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전극판들사이를 통과하는 원수에 대한 전기분해 효율을 균일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판(31)의 양측면과 마주하여 병렬배치되는 제2전극판(32)의 각 일측면에는 제1전극판과 동일하게 돌출형성되는 제2하부연결편(32a)을 관통하는 제2단자핀(34)의 상단이 접하여 걸리는 제2상부연결편(32b)을 포함한다.
상기 제1단자핀(33)과 대응하는 제2전극판(32)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전극판의 제1상,하부연결편 및 제1중간연결편과 접하지 않으면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호형 단면상의 프레스홈(32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판(31)에 형성되는 제1상,하부연결편 및 제1중간연결편 그리고 상기 제2전극판(32)에 형성되는 제2상,하부연결편 및 프레스홈은 상기 제1,2전극판에 슬릿을 절개형성한 다음, 슬릿이 형성된 전극판의 외부면을 프레스 금형에 의해서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대략 호형 단면상으로 돌출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판(31)의 양측에 병렬배치되는 제2전극판(32)과 대응하는 내부격벽(13)에는 상기 제2전해본체(20)와 제1전해본체(10)와의 상하 합형조립시 상기 제2전극판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된 제2상,하부연결편(32a,32b) 및 프레스홈(32c)이 상기 제2전해본체에 장착된 전기분해부(3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대략 호형 단면상의 제1돌출성형부(13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전극판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된 제2상,하부연결편(32a,32b) 및 프레스홈(32c)이 제1돌출성형부(13a)에 대응대치됨으로써, 상기 내부격벽(13)과 대응하는 제2전극판의 일측면을 내부격벽의 내면에 최대한 근접시키거나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해공간으로 내부유입되는 원수의 대부분은 전기분해가 이루어지는 제1전극판(31)과 제2전극판(32)과의 사이로 통과하는 반면에, 전기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내부격벽과 제1전극판과의 사이로 원수가 바이패스되지 않도록 최대한 방지하면서 전해공간에서 시간당 원수의 전기분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배출구(12)와 대응하는 내부격벽(13)에는 상기 배출구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필터망(16)을 배출구의 입구단에 초음파 융착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상기 필터망(16)과 대응하는 스케일 저장용 요홈(26)이 한쌍의 내부격벽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대락 호형 단면상의 제2돌출성형부(1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기분해 살균모듈(100)의 제1,2전해본체사이에 형성된 전해공간으로 원수가 유입되어 공급되고, 제1,2전극판이 배치된 전해공간의 하부 일측에 위치하는 연통구를 통하여 전해공간으로 내부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전해공간의 상부 타측에 위치하는 배출구 측으로 대략 대각방향으로 출수된다.
이러한 원수는 외부전원이 인가되어 전위차를 형성하는 제1전극판과 제2전극판들사이로 대략 대각방향으로통과하면서 제1,2전극판들간의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서 원수를 전기분해시키고, 원수에 용존해 있는 염소 음이온(Cl-)의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살균 전해수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전해공간에서 원수가 전기분해된 전해수는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정수기의 용수로 사용되거나 비데의 용수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제1전해본체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내부격벽
14 : 연결리브
15 : 연장리브
16 : 필터망
20 : 제2전해본체
20a : 스커트 리브
21,22 : 제1,2단자공
26 : 스케일 저장용 요홈
27 : 실링부재
30 : 전기분해부
31,32 : 제1,2전극판
33,34 : 제1,2단자핀
35,36 : 제1,2오링
P : 연통구

Claims (14)

  1.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전기분해된 전해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추고, 천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내부격벽을 갖추며,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는 천정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리브를 갖추어 상기 한쌍의 내부격벽과 연장리브와의 사이에 전해공간을 형성하는 제1전해본체 ;
    상기 전해공간과 대응하는 영역에 제1,2단자공을 각각 관통형성하고, 상기 제1전해본체의 개방된 일측테두리와 실링부재를 매개로 합형 조립되는 제2전해본체 ; 및
    상기 제1,2단자공에 대응삽입고정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단자핀을 갖추고, 상기 제1,2단자핀의 각 일단에 조립되어 상기 전해공간에 배치되는 제1,2전극판을 갖추어 전원인가시 원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리브의 단부와 상기 제2전해본체의 상부면과의 사이에 상기 배출구와 대각방향으로 마주하는 연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리브에 의해서 상기 전해공간과 분할되어 유입구를 통해 강제 입수공급되는 원수가 일시 체류하게 되는 일정크기의 원수유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제1전해본체의 천정면으로부터 제2전해본체 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연장리브의 하부단과 상기 제2전해본체의 상부면과의 사이의 간격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구부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1전해본체의 천정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전해본체의 상부면에 접해지는 연장리브의 하부단에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구부로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상기 연장리브에 의해서 상기 전해공간과 분할되는 원수유입공간에 일시 체류한 다음 상기 연통구를 통하여 상기 전해공간의 하부 측으로 내부유입되고, 상기 전해공간으로 내부유입된 원수는 상기 제1,2전극판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서 상기 연통구와 대각방향으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출수되기까지의 경로를 대각방향으로 길게 연장하면서 전기분해되고,
    상기 전해공간에서 전기분해된 전해수는 상기 전해공간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배출구를 통하여 출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입구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망을 포함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전해본체는 스케일이 수집되어 임시 저장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의 스케일 저장용 요홈을 포함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해본체의 천정면에는 병렬배치되는 제1,2전극판들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2전극판의 상단 양측테두리와 상단 중앙테두리와 접하여 위치고정하도록 한쌍의 외측 상부지지턱과 한쌍의 중앙 상부지지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외측 상부지지턱과 한쌍의 중앙 상부지지턱은 각 단부의 폭이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산단면상으로 구비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전해본체의 상부면에는 병렬배치되는 제1,2전극판들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2전극판의 하단 양측테두리와 접하여 위치고정하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외측 하부지지턱을 포함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와 마주하는 외측 하부지지턱에는 상기 제1,2전극판의 하단 일측테두리와 접해지도록 밀폐단을 형성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9.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단자핀은 길이중간에 상기 제1,2단자공의 각 내부면에 형성되는 내부단턱과 접하여 밀착되는 제1,2오링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오링이 걸림배치되는 제1,2오링걸림턱을 구비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10.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해본체는 하부면에 외부전원과 하네스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단자핀의 각 하단을 둘러싸 보호하는 스커트 리브를 포함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11.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판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하부연결편을 관통하는 제1단자핀의 상단이 접하여 걸리는 제1상부연결편을 포함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연결편과 제1상부연결편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1전극판의 타측면에 호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핀의 상단이 관통배치되는 제1중간연결편을 포함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13.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판의 양측에 병렬배치되는 제2전극판은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2하부연결편을 관통하는 제2단자핀의 상단이 접하여 걸리는 제2상부연결편을 포함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핀과 대응하는 제1전극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상,하부연결편 및 제1중간연결편과 접하지 않으면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호형 단면상의 프레스홈을 형성하는, 전기분해 살균모듈.
KR1020200062038A 2020-05-25 2020-05-25 전기분해 살균모듈 KR10224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038A KR102243540B1 (ko) 2020-05-25 2020-05-25 전기분해 살균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038A KR102243540B1 (ko) 2020-05-25 2020-05-25 전기분해 살균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540B1 true KR102243540B1 (ko) 2021-04-21

Family

ID=7574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038A KR102243540B1 (ko) 2020-05-25 2020-05-25 전기분해 살균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5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860A (ko) * 2009-05-22 2010-12-01 동양매직 주식회사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제조장치
JP2015097988A (ja) * 2013-11-19 2015-05-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気分解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温度調節水供給機
KR20190119835A (ko) * 2018-04-13 2019-10-23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생성 장치
KR102018911B1 (ko) * 2013-12-30 2019-11-04 (주)한우물 전기분해정수기의 이중전해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5860A (ko) * 2009-05-22 2010-12-01 동양매직 주식회사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제조장치
JP2015097988A (ja) * 2013-11-19 2015-05-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気分解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温度調節水供給機
KR102018911B1 (ko) * 2013-12-30 2019-11-04 (주)한우물 전기분해정수기의 이중전해조
KR20190119835A (ko) * 2018-04-13 2019-10-23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955B1 (ko) 정수기
CA2988984C (en) High volume water electrolyz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CN102372341B (zh) 电解离子水生成装置
JPH08112593A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2008168237A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器
CA2635366C (en) Membrane electrolytic reactors system with four chambers
KR100909670B1 (ko) 이온수기의 전해조
KR101323506B1 (ko)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43540B1 (ko) 전기분해 살균모듈
US20220194822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sinfectant
CN101643254A (zh) 多槽式电解水产生装置
KR100651654B1 (ko) 전기분해 정수기
JPH11319839A (ja) 電解中性水生成機の電解槽
WO2017119073A1 (ja) 電解水製造装置および電解水製造方法
JPH07204646A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3303263B2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
JP2002153874A (ja) 殺菌水製造方法と殺菌水製造装置
KR100825489B1 (ko) 전해조
KR102114355B1 (ko) 차아염소산수와 수소기체를 생성하는 장치
KR200365089Y1 (ko) 휴대용 이온수기
JP2007111647A (ja) 電解器
KR101870879B1 (ko) 이온교환수지 필터를 포함하는 살균수 제조 장치
JP2006035108A (ja) 電解水生成装置
KR970000718Y1 (ko) 이온수기용 전해조
JP2005095896A (ja) 電解水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