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506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506B1
KR102243506B1 KR1020190114371A KR20190114371A KR102243506B1 KR 102243506 B1 KR102243506 B1 KR 102243506B1 KR 1020190114371 A KR1020190114371 A KR 1020190114371A KR 20190114371 A KR20190114371 A KR 20190114371A KR 102243506 B1 KR102243506 B1 KR 10224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insert
tire
dispos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846A (ko
Inventor
한진혁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5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32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75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with special shape of the plug- t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하나 이상의 패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및 상기 제1 그루브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 방향으로의 이물에 대한 저항을 하도록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을 구비하는 삽입체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주행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데, 노면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주행이 제어되지 않을 경우, 즉, 타이어가 노면상에서 원하는 대로 제어되지 않을 때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노면에는 존재하는 작은 돌, 부스러기 등이 타이어의 일 영역, 예를들면 그루브와 같은 홈에 끼여 주행 특성을 저하할 수 있다.
또한, 빗길이나 노면에 물이 있는 경우에 노면에 수막이 생길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타이어를 통한 제동 및 주행 제어가 용이하지 않아 주행 안정성 및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하여 주행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하나 이상의 패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및 상기 제1 그루브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 방향으로의 이물에 대한 저항을 하도록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을 구비하는 삽입체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영역은 유체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제1 그루브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제1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에 대한 제어를 용이하게 하여 주행 안정성 및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K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P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삽입체를 제1 그루브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K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삽입체의 본체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구체적인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ⅩⅧ-Ⅹ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의 다른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ⅩⅩⅡ-Ⅹ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B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K의 확대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5의 삽입체의 지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5의 삽입체의 지지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도 25의 삽입체의 지지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포함된 삽입체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K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P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80), 제1 그루브(115) 및 삽입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110)는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110)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평면 형태가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115)는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트레드부(1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115)는 트레드부(1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1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루브(1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115)는 복수 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1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1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그루브(115)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1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 1의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RT)으로 길이를 갖는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그루브(115) 또는 이와 인접한 제2 그루브(미도시)에 의하여 트레드부(110)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110)의 인접한 2개의 패턴들이 제1 그루브(115)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10)와 연결된다. 사이드월(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1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1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1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19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100)는 바디 플라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30)는 타이어(1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1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60)는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플라이(120)는 바디 플라이(130)와 트레드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70)이 캡플라이(120)와 바디 플라이(1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110)와 노면이 접하는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1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체(140)는 제1 그루브(11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115)와 교차 또는 연결되는 제2 그루브(미도시)에 삽입체(140)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삽입체(140)는 제1 그루브(115)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적어도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하여 차량의 주행을 통한 타이어(100)의 마모가 있기 전에 삽입체(140)는 제1 그루브(115)내에 배치되고 제1 그루브(115)를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체(140)는 타이어(100)가 제조된 후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체(140)는 본체부(141) 및 관통 영역(142)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41)는 적어도 제1 그루브(115)의 공간을 향하여 유입될 수 있는 이물, 예를들면 돌부스러기 등에 대한 저항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141)는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포함할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41)는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141)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41)의 복수의 선형 부재들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제조시 일체화된 형태로 된 것이거나 각각 제조된 후 연결 또는 접합된 것일 수 있다.
본체부(14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돌부스러기 같은 고체 이물에 대한 저항을 하도록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금속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41)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제1 그루브(115)의 폭 방향으로 일 측 및 이와 마주하는 일측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삽입체(140)는 제1 그루브(115)의 내측면에 지지된 채 고정될 수 있다.
관통 영역(142)은 본체부(141)와 인접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141)가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로 형성된 경우, 관통 영역(142)은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 간의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141)는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관통 영역(142)은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의 본체부(141)의 영역 중 공극(VOID)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관통 영역(142)은 적어도 유체, 예를들면 공기 또는 물이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관통 영역(142)을 통하여 제1 그루브(115)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물이나 공기가 이동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인 제1 그루브(115)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물이나 공기가 이동할 수도 있다.
삽입체(140)는 적어도 트레드부(110)가 마모되기 전에 트레드부(110)의 상면의 연장선에 이르지 않을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삽입체를 제1 그루브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삽입체(140)는 제1 그루브(1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체(140)의 본체부(141)를 선형의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탄성을 구비할 경우 삽입체(140)는 제1 그루브(115)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제1 그루브(115)의 내측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115)로부터 삽입체(140)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제1 그루브(115)에 압력을 가하여 제1 그루브(115)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삽입체(140)는 제1 그루브(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h)를 가질 수 있고, 길이(h)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폭(w)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체(140)의 적어도 일 영역의 폭(w)은 제1 그루브(115)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와 인접한 제1 그루브 또는 제2 그루브에 삽입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삽입체가 제1 그루브에 배치되어 제1 그루브에 유입되는 불순물, 예를들면 자갈, 돌 부스러기 등이 제1 그루브에 끼이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삽입체의 본체부는 돌 부스러기 또는 작은 돌에 대한 저항을 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에 인접한 관통 영역보다 작지 않은 돌 부스러기 등과 같은 이물은 관통 영역을 통과하여 제1 그루브로 침투하지 못하고 본체부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 주행 시 돌과 같은 불순물이 타이어의 제1 그루브에 끼어 노면과 마찰하여 발생할 있는 소음을 감소하고 접지 특성을 향상하여 차량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와 인접한 복수의 관통 영역을 통하여 공기 또는 물등과 같은 유체는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어서 제1 그루브 또는 제2 그루브를 통한 배수 특성을 유지하거나 특성 감소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에 끼우거나 제1 그루브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타이어와 별도로 용이하게 제조한 후 타이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의 내측에 배치되어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주행에 따라 타이어의 트레드부가 점차 마모될 수 있고, 마모되는 양이 증가하면 제1 그루브에 배치된 삽입체의 일 영역이 노출되어 노면과 마찰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은 소리를 발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삽입체의 적어도 일 영역이 금속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금속을 포함하는 영역이 노면과 접할 시 인지 가능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마모 정도에 대한 고지를 용이하게 하여 마모 인디케이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K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ⅩⅢ-Ⅹ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는 트레드부(210), 사이드월(280), 제1 그루브(215) 및 삽입체(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타이어(2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2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210)는 타이어(2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210)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평면 형태가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215)는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트레드부(2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215)는 트레드부(2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2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루브(2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2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215)는 복수 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2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2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그루브(215)는 타이어(2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2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 1의 타이어(200)의 원주 방향(RT)으로 길이를 갖는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그루브(215) 또는 이와 인접한 제2 그루브(미도시)에 의하여 트레드부(210)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210)의 인접한 2개의 패턴들이 제1 그루브(215)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280)은 트레드부(210)와 연결된다. 사이드월(280)의 영역 중 트레드부(2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2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2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2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29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200)는 바디 플라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230)는 타이어(2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2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2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260)는 타이어(2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플라이(220)는 바디 플라이(230)와 트레드부(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270)이 캡플라이(220)와 바디 플라이(2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270)은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2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210)와 노면이 접하는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2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체(240)는 제1 그루브(21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215)와 교차 또는 연결되는 제2 그루브(미도시)에 삽입체(240)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삽입체(240)는 제1 그루브(215)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적어도 타이어(200)를 차량에 장착하여 차량의 주행을 통한 타이어(200)의 마모가 있기 전에 삽입체(240)는 제1 그루브(215)내에 배치되고 제1 그루브(215)를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체(240)는 타이어(200)가 제조된 후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체(240)는 본체부(241), 관통 영역(242) 및 지지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41)는 적어도 제1 그루브(215)의 공간을 향하여 유입될 수 있는 이물, 예를들면 돌부스러기 등에 대한 저항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241)는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포함할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41)는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241)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4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돌부스러기 같은 고체 이물에 대한 저항을 하도록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금속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41)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제1 그루브(215)의 폭 방향으로 일 측 및 이와 마주하는 일측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삽입체(240)는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에 지지된 채 고정될 수 있다.
관통 영역(242)은 본체부(241)와 인접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241)가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로 형성된 경우, 관통 영역(242)은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 간의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41)는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관통 영역(242)은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의 본체부(241)의 영역 중 공극(VOID)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삽입체(240)는 적어도 트레드부(210)가 마모되기 전에 트레드부(210)의 상면의 연장선에 이르지 않을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245)는 삽입체(240)에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지지부(245)는 삽입체(240)가 배치되는 그루브, 예를들면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 구체적인 예로서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245)는 제1 그루브(215)의 양측면에 지지될 수 있고, 임계 하중 이하에서는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24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245)는 본체부(241)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245)가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에 고정됨에 따라 지지부(245)와 연결된 본체부(241)도 안정적으로 제1 그루브(215)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241)의 적어도 일 영역이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지지부(245)를 통한 삽입체(240)의 고정이 용이하여 본체부(241)의 형태, 크기에 대한 설계가 자유로울 수 있고,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과 이격된 영역이 있을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245)는 서로 이격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격된 지지부(245)의 사이에 본체부(241)가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의 관통 영역(242)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부(245)는 일 방향으로의 두께가 본체부(241)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지지부(245)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서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둥 형태일 수 있고, 예를들면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체(240)는 제1 그루브(2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체(240)의 본체부(241)를 선형의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탄성을 구비할 경우 삽입체(240)는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215)로부터 삽입체(240)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제1 그루브(215)에 압력을 가하여 제1 그루브(215)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의 삽입체의 본체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삽입체의 지지부(245')는 길이 방향으로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형성된 돌출 부재(245p')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재(245p')는 지지부(245')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지지부(245')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재(245p')는 지지부(245')가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에 배치될 때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서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는 돌출 부재(245p')가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에 하중을 가하여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이 탄성 압축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245')가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구체적인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삽입체의 지지부(245")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서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245")는 제1 그루브(215)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245")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 부재(245p')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4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삽입체의 지지부(1245)는 길이 방향으로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형성된 돌출 부재(1245p)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재(1245p)는 지지부(1245)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지지부(1245)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재(1245p)는 지지부(124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폭이 지지부(1245)와 연결된 영역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245)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돌출 부재(1245p)는 지지부(1245)가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에 배치될 때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서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고, 돌출 부재(1245p)가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하중을 가하여 제1 그루브(215)의 내측면이 쉽게 탄성 압축하도록 할 수 있고, 돌출 부재(1245p)가 이탈되거나 불필요하게 움직이는 것을 감소하거나 차단하여 삽입체가 제1 그루브(215)내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와 인접한 제1 그루브 또는 제2 그루브에 삽입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삽입체가 제1 그루브에 배치되어 제1 그루브에 유입되는 불순물, 예를들면 자갈, 돌 부스러기 등이 제1 그루브에 끼이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삽입체의 본체부는 돌 부스러기 또는 작은 돌에 대한 저항을 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에 인접한 관통 영역보다 작지 않은 돌 부스러기 등과 같은 이물은 관통 영역을 통과하여 제1 그루브로 침투하지 못하고 본체부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 주행 시 돌과 같은 불순물이 타이어의 제1 그루브에 끼어 노면과 마찰하여 발생할 있는 소음을 감소하고 접지 특성을 향상하여 차량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와 인접한 복수의 관통 영역을 통하여 공기 또는 물등과 같은 유체는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어서 제1 그루브 또는 제2 그루브를 통한 배수 특성을 유지하거나 특성 감소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에 끼우거나 제1 그루브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타이어와 별도로 용이하게 제조한 후 타이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의 내측에 배치되어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주행에 따라 타이어의 트레드부가 점차 마모될 수 있고, 마모되는 양이 증가하면 제1 그루브에 배치된 삽입체의 일 영역이 노출되어 노면과 마찰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은 소리를 발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삽입체의 적어도 일 영역이 금속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금속을 포함하는 영역이 노면과 접할 시 인지 가능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마모 정도에 대한 고지를 용이하게 하여 마모 인디케이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지지부는 제1 그루브의 내측면의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는 본체부와 연결될 수 있고, 지지부가 제1 그루브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배치되어 지지부에 연결된 본체부도 안정적으로 제1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 대한 압력을 가하는 것을 통하여 삽입체의 삽입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일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 부재를 통하여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하중을 용이하게 가하여 지지부가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배치되고,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있다. 결과적으로 삽입체가 제1 그루브로부터 불필요하게 움직이거나 비정상적 이탈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만 임계치 이상의 외력을 주어 삽입체를 제1 그루브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ⅩⅧ-Ⅹ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는 트레드부(410), 사이드월(미도시), 제1 그루브(415) 및 삽입체(44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삽입체(440)는 제1 그루브(41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415)와 교차 또는 연결되는 제2 그루브(미도시)에 삽입체(440)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삽입체(440)는 제1 그루브(415)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적어도 타이어(400)를 차량에 장착하여 차량의 주행을 통한 타이어(400)의 마모가 있기 전에 삽입체(440)는 제1 그루브(415)내에 배치되고 제1 그루브(415)를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체(440)는 타이어(400)가 제조된 후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체(440)는 본체부(441), 관통 영역(442) 및 지지부(4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41)는 적어도 제1 그루브(415)의 공간을 향하여 유입될 수 있는 이물, 예를들면 돌부스러기 등에 대한 저항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441)는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포함할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441)는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441)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44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돌부스러기 같은 고체 이물에 대한 저항을 하도록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금속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441)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제1 그루브(415)의 폭 방향으로 일 측 및 이와 마주하는 일측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삽입체(440)는 제1 그루브(415)의 내측면에 지지된 채 고정될 수 있다.
관통 영역(442)은 본체부(441)와 인접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441)가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로 형성된 경우, 관통 영역(442)은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 간의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441)는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관통 영역(442)은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의 본체부(441)의 영역 중 공극(VOID)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삽입체(440)는 적어도 트레드부(410)가 마모되기 전에 트레드부(410)의 상면의 연장선에 이르지 않을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4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445)는 삽입체(440)에 복수 개, 예를들면 세 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지지부(445)는 삽입체(440)가 배치되는 그루브, 예를들면 제1 그루브(415)의 내측면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 구체적인 예로서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445)는 제1 그루브(415)의 양측면에 지지될 수 있고, 임계 하중 이하에서는 제1 그루브(415)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44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415)의 내측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445)는 본체부(441)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445)가 제1 그루브(415)의 내측면에 고정됨에 따라 지지부(445)와 연결된 본체부(441)도 안정적으로 제1 그루브(415)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441)의 적어도 일 영역이 제1 그루브(415)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지지부(445)를 통한 삽입체(440)의 고정이 용이하여 본체부(441)의 형태, 크기에 대한 설계가 자유로울 수 있고, 제1 그루브(415)의 내측면과 이격된 영역이 있을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445)는 서로 이격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격된 지지부(445)의 사이에 본체부(441)가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의 관통 영역(442)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부(445)는 일 방향으로의 두께가 본체부(441)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지지부(445)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서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둥 형태일 수 있고, 예를들면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체(440)는 제1 그루브(4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체(440)의 본체부(441)를 선형의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탄성을 구비할 경우 삽입체(440)는 제1 그루브(415)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제1 그루브(415)의 내측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415)로부터 삽입체(440)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제1 그루브(415)에 압력을 가하여 제1 그루브(415)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 본체부(441)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배치된 본체부(441) 및 이와 반대측에 배치된 본체부(441)는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두 개의 지지부(445)의 사이에 배치된 본체부(441) 및 이와 인접하고 두 개의 지지부(445)의 사이에 배치된 본체부(441)는 서로 직선을 이룰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두 본체부(441)는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 즉 도 14 내지 도 16의 어느 하나의 구조를 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삽입체(440')는 본체부(441'), 관통 영역(442') 및 지지부(445')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4개의 지지부(445')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5개 이상의 지지부(445')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4개의 지지부(445')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그 사이의 영역에 각각 본체부(441')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441')는 지지부(445')에 연결되어 있고 지지부(445')가 제1 그루브(415')의 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본체부(441')도 용이하게 제1 그루브(415')에 배치될 수 있고,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본체부(441')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배치된 본체부(441') 및 이와 반대측에 배치된 본체부(441')는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두 개의 지지부(445')의 사이에 배치된 본체부(441') 및 이와 인접하고 두 개의 지지부(445')의 사이에 배치된 본체부(441')는 서로 직선을 이룰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두 본체부(441')는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445')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본체부(441')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타이어의 원주 형태에 대응하도록 다각형 또는 원호에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0은 도 18의 다른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삽입체(440")는 본체부(441"), 관통 영역(442") 및 지지부(445")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4개의 지지부(445")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5개 이상의 지지부(445")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4개의 지지부(445")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그 사이의 영역에 각각 본체부(441")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441")는 지지부(445")에 연결되어 있고 지지부(445")가 제1 그루브(415")의 내측에 배치됨에 따라 본체부(441")도 용이하게 제1 그루브(415")에 배치될 수 있고,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본체부(441")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 배치된 본체부(441") 및 이와 반대측에 배치된 본체부(441")는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두 개의 지지부(445")의 사이에 배치된 본체부(441") 및 이와 인접하고 두 개의 지지부(445")의 사이에 배치된 본체부(441")는 서로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일 지지부(445")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양측의 본체부(441")가 이루는 각은 둔각이고 180도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441")가 이루는 굴곡의 방향이 서로 상이한 방향, 예를들면 제1 그루브(415")의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아래, 반대 방향을 위라고 정의할 때 인접한 본체부(441")가 이루는 굴곡 방향이 아래인 것과 위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인접한 본체부(441")로 이루는 굴곡이 위, 아래 방향으로 교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체적 예로서 적어도 일 영역에서 삽입체(440")의 길이 방향, 예를들면 도 20의 도시된 가로축 방향으로 볼 때 요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441")들간의 굴곡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철 형태는 타이어를 통한 차량의 주행 시 무른 노면, 예를들면 진흙이나 눈길 등에서 접지 특성을 향상하여 차량의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와 인접한 제1 그루브 또는 제2 그루브에 삽입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삽입체가 제1 그루브에 배치되어 제1 그루브에 유입되는 불순물, 예를들면 자갈, 돌 부스러기 등이 제1 그루브에 끼이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삽입체의 본체부는 돌 부스러기 또는 작은 돌에 대한 저항을 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에 인접한 관통 영역보다 작지 않은 돌 부스러기 등과 같은 이물은 관통 영역을 통과하여 제1 그루브로 침투하지 못하고 본체부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 주행 시 돌과 같은 불순물이 타이어의 제1 그루브에 끼어 노면과 마찰하여 발생할 있는 소음을 감소하고 접지 특성을 향상하여 차량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와 인접한 복수의 관통 영역을 통하여 공기 또는 물등과 같은 유체는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어서 제1 그루브 또는 제2 그루브를 통한 배수 특성을 유지하거나 특성 감소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에 끼우거나 제1 그루브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타이어와 별도로 용이하게 제조한 후 타이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의 내측에 배치되어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주행에 따라 타이어의 트레드부가 점차 마모될 수 있고, 마모되는 양이 증가하면 제1 그루브에 배치된 삽입체의 일 영역이 노출되어 노면과 마찰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은 소리를 발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삽입체의 적어도 일 영역이 금속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금속을 포함하는 영역이 노면과 접할 시 인지 가능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마모 정도에 대한 고지를 용이하게 하여 마모 인디케이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지지부는 제1 그루브의 내측면의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는 본체부와 연결될 수 있고, 지지부가 제1 그루브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배치되어 지지부에 연결된 본체부도 안정적으로 제1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 대한 압력을 가하는 것을 통하여 삽입체의 삽입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일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 부재를 통하여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하중을 용이하게 가하여 지지부가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배치되고,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있다. 결과적으로 삽입체가 제1 그루브로부터 불필요하게 움직이거나 비정상적 이탈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만 임계치 이상의 외력을 주어 삽입체를 제1 그루브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 및 지지부를 복수 개, 예를들면 지지부를 3개 이상 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지부를 다양한 형태로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고정할 수 있고 지지부에 연결된 본체부들의 직선 또는 굴곡 형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체부들이 이루는 요철 형태를 제어하여 타이어를 통한 노면에 대한 접지 특성, 예를들면 눈길에서의 접지 특성을 향상하여 차량의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ⅩⅩⅡ-Ⅹ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B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K의 확대도이고, 도 25는 도 23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500)는 트레드부(510), 사이드월(580), 제1 그루브(515) 및 삽입체(5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타이어(5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5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5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510)는 타이어(5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510)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평면 형태가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루브(515)는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트레드부(510)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515)는 트레드부(510)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510)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그루브(5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5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515)는 복수 개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51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그루브(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그루브(5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그루브(515)는 타이어(5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5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 1의 타이어(500)의 원주 방향(RT)으로 길이를 갖는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그루브(515) 또는 이와 인접한 제2 그루브(미도시)에 의하여 트레드부(510)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510)의 인접한 2개의 패턴들이 제1 그루브(515)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580)은 트레드부(510)와 연결된다. 사이드월(580)의 영역 중 트레드부(5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5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5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5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5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59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500)는 바디 플라이(5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530)는 타이어(5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5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5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5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5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560)는 타이어(5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플라이(520)는 바디 플라이(530)와 트레드부(5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570)이 캡플라이(520)와 바디 플라이(5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570)은 타이어(5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5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510)와 노면이 접하는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5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체(540)는 제1 그루브(51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그루브(515)와 교차 또는 연결되는 제2 그루브(미도시)에 삽입체(540)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삽입체(540)는 제1 그루브(515)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적어도 타이어(500)를 차량에 장착하여 차량의 주행을 통한 타이어(500)의 마모가 있기 전에 삽입체(540)는 제1 그루브(515)내에 배치되고 제1 그루브(515)를 벗어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체(540)는 타이어(500)가 제조된 후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체(540)는 본체부(541), 관통 영역(542) 및 지지부(54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41)는 적어도 제1 그루브(515)의 공간을 향하여 유입될 수 있는 이물, 예를들면 돌부스러기 등에 대한 저항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541)는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포함할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541)는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541)는 서로 교차하는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541)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돌부스러기 같은 고체 이물에 대한 저항을 하도록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금속을 함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541)의 적어도 일 영역은 제1 그루브(515)의 폭 방향으로 일 측 및 이와 마주하는 일측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삽입체(540)는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에 지지된 채 고정될 수 있다.
관통 영역(542)은 본체부(541)와 인접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541)가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로 형성된 경우, 관통 영역(542)은 복수 개의 선형 부재들 간의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541)는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관통 영역(542)은 그물망 또는 메쉬 형태의 본체부(541)의 영역 중 공극(VOID)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삽입체(540)는 적어도 트레드부(510)가 마모되기 전에 트레드부(510)의 상면의 연장선에 이르지 않을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타이어(5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545)는 삽입체(540)에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지지부(545)는 삽입체(540)가 배치되는 그루브, 예를들면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의 서로 마주하는 양측면, 구체적인 예로서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545)는 제1 그루브(515)의 양측면에 지지될 수 있고, 임계 하중 이하에서는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54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545)는 본체부(541)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545)가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에 고정됨에 따라 지지부(545)와 연결된 본체부(541)도 안정적으로 제1 그루브(515)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541)의 적어도 일 영역이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지지부(545)를 통한 삽입체(540)의 고정이 용이하여 본체부(541)의 형태, 크기에 대한 설계가 자유로울 수 있고,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과 이격된 영역이 있을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545)는 서로 이격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격된 지지부(545)의 사이에 본체부(541)가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의 관통 영역(542)이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545)는 일 방향으로의 두께가 본체부(541)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지지부(545)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서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둥 형태일 수 있고, 예를들면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체(540)는 제1 그루브(515)에서 분리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체(540)의 본체부(541)를 선형의 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탄성을 구비할 경우 삽입체(540)는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그루브(515)로부터 삽입체(540)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제1 그루브(515)에 압력을 가하여 제1 그루브(515)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삽입체의 지지부(545)는 길이 방향으로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형성된 돌출 부재(545p)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부재(545p)는 지지부(545)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지지부(545)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재(545p')는 지지부(545')가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에 배치될 때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서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는 돌출 부재(545p)가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에 하중을 가하여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이 탄성 압축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545')가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삽입체의 지지부(545)는 길게 연장된 형태로서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 부재(545p)는 지지부(545)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지지부(545)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 부재(545p)는 지지부(54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폭이 지지부(1245)와 연결된 영역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545)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 부재(545p)의 단부는 날카로운 팁(tip)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은 도 25의 삽입체의 지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삽입체의 지지부(545')는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는 지지부(545')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545')의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는 두 개의 돌출 부재(545p')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의 각각에 돌출 부재(545p')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545')의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는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는 서로 결합을 위한 제1 결합 영역(JTa) 및 제2 결합 영역(JTb)을 포함할 수있다.
제1 결합 영역(JTa) 및 제2 결합 영역(JTb)은 결합을 위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영역 및 이에 결합되는 홈 영역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은 도 25의 삽입체의 지지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삽입체의 지지부(545")는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의 각각에 돌출 부재(545p")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545")의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는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는 서로 결합을 위한 제1 결합 영역(JTa) 및 제2 결합 영역(JTb)을 포함할 수있다.
제1 결합 영역(JTa) 및 제2 결합 영역(JTb)은 결합을 위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부재 및 이에 결합되는 수용 영역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 특성을 향상하도록 제1 결합 영역(JTa) 또는 제2 결합 영역(JTb)에는 나사면(N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를 용이하게 제1 그루브(515)내에 배치한 후 결합할 수 있고, 결합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의 제거 시 제1 지지 부재(545ma") 및 제2 지지 부재(545mb")의 결합을 해제한 후 제1 그루브(515)의 내측면에 대한 손상이나 불필요한 파손을 감소하면서 삽입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은 도 25의 삽입체의 지지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삽입체의 지지부(1545)는 일 방향, 예를들면 제1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부(1545)의 양측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부재(1545p)가 연결될 수 있다.
돌출 부재(1545p)는 지지부(154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폭이 지지부(1545)와 연결된 영역의 폭보다 작을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545)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돌출 부재(1545p)의 단부는 날카로운 팁(tip)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9의 지지부(1545)의 일 돌출 부재(1545p) 및 이와 연결되는 지지부(1545)의 일 영역만을 확대 도시하였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돌출 부재(1545p)와 지지부(1545)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1548)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돌출 부재(1545p)에 압력이 가해질 때, 예를들면 삽입체를 제1 그루브에 삽입하기 위하여 제1 그루브의 내측면으로부터 삽입체의 지지부(1545)의 양측에 배치된 돌출 부재(1545p)에 압력이 가해질 때 돌출 부재(1545p)가 받은 압력은 탄성 부재(1548)를 통하여 완충될 수 있고, 탄성 부재(1548)의 운동을 통하여 돌출 부재(1545p)는 제1 방향(T1), 예를들면 지지부(1545)를 향하는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돌출 부재(1545p)는 탄성 부재(1548)의 탄성을 통하여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 방향(T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T2), 예를들면 지지부(154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1545)의 내측 영역에 수용홈(1549)이 형성될 수 있고, 탄성 부재(1548)는 수용홈(1549)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돌출 부재(1545p)의 적어도 일 영역이 수용홈(1549)에 배치될 수 있고, 탄성 부재(1548)를 통한 돌출 부재(1545p)의 운동 시 돌출 부재(1545p)는 수용홈(1549)에 연결된 채 운동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와 인접한 제1 그루브 또는 제2 그루브에 삽입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삽입체가 제1 그루브에 배치되어 제1 그루브에 유입되는 불순물, 예를들면 자갈, 돌 부스러기 등이 제1 그루브에 끼이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삽입체의 본체부는 돌 부스러기 또는 작은 돌에 대한 저항을 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본체부에 인접한 관통 영역보다 작지 않은 돌 부스러기 등과 같은 이물은 관통 영역을 통과하여 제1 그루브로 침투하지 못하고 본체부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 주행 시 돌과 같은 불순물이 타이어의 제1 그루브에 끼어 노면과 마찰하여 발생할 있는 소음을 감소하고 접지 특성을 향상하여 차량 핸들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와 인접한 복수의 관통 영역을 통하여 공기 또는 물등과 같은 유체는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어서 제1 그루브 또는 제2 그루브를 통한 배수 특성을 유지하거나 특성 감소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에 끼우거나 제1 그루브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서 타이어와 별도로 용이하게 제조한 후 타이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는 제1 그루브의 내측에 배치되어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주행에 따라 타이어의 트레드부가 점차 마모될 수 있고, 마모되는 양이 증가하면 제1 그루브에 배치된 삽입체의 일 영역이 노출되어 노면과 마찰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은 소리를 발생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삽입체의 적어도 일 영역이 금속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금속을 포함하는 영역이 노면과 접할 시 인지 가능한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어의 마모 정도에 대한 고지를 용이하게 하여 마모 인디케이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삽입체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지지부는 제1 그루브의 내측면의 폭 방향으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는 본체부와 연결될 수 있고, 지지부가 제1 그루브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배치되어 지지부에 연결된 본체부도 안정적으로 제1 그루브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에 대한 압력을 가하는 것을 통하여 삽입체의 삽입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의 양측 단부 중 적어도 일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 부재를 통하여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하중을 용이하게 가하여 지지부가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배치되고,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있다. 결과적으로 삽입체가 제1 그루브로부터 불필요하게 움직이거나 비정상적 이탈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만 임계치 이상의 외력을 주어 삽입체를 제1 그루브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도록 하여 지지부를 폭이 좁은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용이하게 끼워 이를 통하여 삽입체를 제1 그루브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양측면 또는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돌출 부재가 지지부에 연결 시 탄성 부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를 용이하게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배치할 수 있고, 돌출 부재의 탄성 운동으로 제1 그루브의 내측면에 대한 손상을 감소하거나 방지하면서 지지부와 제1 그루브간의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0)는 트레드부(2110), 사이드월(미도시), 제1 그루브(2115) 및 삽입체(2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31은 타이어(2000)의 트레드부(2110)를 향햐여 도시한 평면도의 일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삽입체(214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삽입체(2140)는 일 제1 그루브(2115)에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서로 이격되도록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복수 개의 삽입체(2140)는 서로 다른 길이, 즉 서로 다른 개수의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갖는 삽입체(2140)를 준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삽입체(2140)를 구별하여 제1 그루브(2115)에 배치하여 타이어(20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원하는 곳에 용이하게 삽입체(2140)를 배치할 수 있다.
일 제1 그루브(2115)에 배치된 복수 개의 삽입체(2140)를 통하여 차량의 주행 중 타이어의 운동 시 연속적인 배수, 이물 끼임 방지 등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0)는 트레드부(3110), 사이드월(미도시), 제1 그루브(3115) 및 삽입체(3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32는 타이어(3000)의 트레드부(3110)를 향하여 도시한 평면도의 일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삽입체(314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삽입체(3140)는 일 제1 그루브(3115)에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일 제1 그루브(3115)에 구비된 삽입체(3140)는 복수 개의 지지부 및 이와 연결된 본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일 제1 그루브(3115)내에서 제1 그루브(3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제1 그루브(3115)와 인접한 다른 제1 그루브(3115)에 삽입체(314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른 제1 그루브(3115)는 상기 일 제1 그루브(3115)와 인접한 것일 수 있고 인접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일 제1 그루브(3115)에 배치된 삽입체(3140)는 이와 다른 제1 그루브(3115)에 배치된 삽입체(3140)와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기준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0)를 통한 차량의 주행 시 타이어(3000)의 폭 방향으로의 제1 그루브(3115)에 대한 돌 끼임으로 인한 주행 특성 저하를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배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제1 그루브(3115)에 배치된 삽입체(3140)는 이와 다른 제1 그루브(3115)에 배치된 삽입체(3140)와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3은 도 32에 포함된 삽입체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삽입체(3140')는 제1 그루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 힘을 가하여 제1 그루브에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삽입체(3140')는 복수 개의 지지부(3145') 및 이와 연결된 복수의 본체부(3141')를 포함하고, 본체부(3141')에 인접한 관통 영역(314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본체부(3141') 또는 본원에 포함된 다른 본체부들은 선형 부재로서 길게 연장된 형태로서 제1 그루브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쉽게 벤딩될 수 있고, 본체부(3141')를 내구성 및 연성이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경우 이러한 벤딩특성은 향상되어 타이어의 곡면을 따라 제1 그루브에 삽입체(3140')를 곡선에 대응하도록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의 일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0)는 트레드부(4110), 사이드월(미도시), 제1 그루브(4115) 및 삽입체(4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32는 타이어(4000)의 트레드부(4110)를 향햐여 도시한 평면도의 일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삽입체(414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들면 삽입체(4140)는 일 제1 그루브(4115)에 한 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일 제1 그루브(4115)에 구비된 삽입체(4140)는 복수 개의 지지부 및 이와 연결된 본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일 제1 그루브(4115)내에서 제1 그루브(4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제1 그루브(4115)와 인접한 다른 제1 그루브(4115)에 삽입체(414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른 제1 그루브(4115)는 상기 일 제1 그루브(4115)와 인접한 것일 수 있고 인접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다.
일 제1 그루브(4115)에 배치된 삽입체(4140)는 이와 다른 제1 그루브(4115)에 배치된 삽입체(4140)와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기준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4000)를 통한 차량의 주행 시 타이어(4000)의 폭 방향으로의 제1 그루브(4115)에 대한 돌 끼임으로 인한 주행 특성 저하를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배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제1 그루브(4115)에 배치된 삽입체(4140)는 이와 다른 제1 그루브(4115)에 배치된 삽입체(4140)와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적어도 일 영역에서 타이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삽입체(4140)를 통한 배수, 이물 끼임 방지 등의 효과의 균일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의 흐름을 통한 주기적 울림으로 인한 소음 원인 발생 가능성을 감소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400, 500, 2000, 3000, 4000: 타이어
110, 210, 410, 510, 2110, 3110, 4110: 트레드부
115, 215, 415, 515, 2115, 3115, 4115: 제1 그루브
140, 240, 440, 540, 2140, 3140, 4140: 삽입체

Claims (5)

  1.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의 하나 이상의 패턴을 정의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그루브;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및
    상기 제1 그루브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그루브 방향으로의 이물에 대한 저항을 하도록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 영역을 구비하는 삽입체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는 상기 타이어가 노면과 접촉하는 접지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삽입체는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길이 방향 양단에 상기 지지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는,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영역은 유체가 통과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된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제1 그루브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제1 그루브의 폭 방향으로의 양 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타이어.
KR1020190114371A 2019-09-17 2019-09-17 타이어 KR10224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71A KR102243506B1 (ko) 2019-09-17 2019-09-17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371A KR102243506B1 (ko) 2019-09-17 2019-09-17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846A KR20210032846A (ko) 2021-03-25
KR102243506B1 true KR102243506B1 (ko) 2021-04-22

Family

ID=7522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371A KR102243506B1 (ko) 2019-09-17 2019-09-17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5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564B1 (ko) * 2002-04-17 2005-06-1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그루브에 그물층이 형성된 공기입 타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564B1 (ko) * 2002-04-17 2005-06-1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그루브에 그물층이 형성된 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846A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7042B2 (en) Device for protecting a tire wall
CN107074039B (zh) 充气轮胎
KR20160022057A (ko) 스노 타이어의 트레드 커프
KR102243506B1 (ko) 타이어
WO2013157544A1 (ja) タイヤ
JP2017507842A (ja) 耐久性を向上させた土木工学型車両用タイヤ
RU2721367C1 (ru) Шип протектора зимней шины
KR102232828B1 (ko) 타이어
US11260700B2 (en) Tire with main kerfs and sub-kerfs
JP5205295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WO2018180683A1 (ja) タイヤ
KR102113314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07055498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05516B1 (ko) 타이어
KR102232827B1 (ko) 타이어
KR101905117B1 (ko) 타이어
KR102001983B1 (ko) 타이어
KR102376518B1 (ko) 타이어
KR102170727B1 (ko) 타이어
KR102077251B1 (ko) 타이어
KR102007923B1 (ko) 타이어
KR102606334B1 (ko) 타이어
KR102077250B1 (ko) 타이어
KR102217976B1 (ko) 타이어
KR102200528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