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482B1 - 연결 파스너 - Google Patents

연결 파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482B1
KR102242482B1 KR1020170088885A KR20170088885A KR102242482B1 KR 102242482 B1 KR102242482 B1 KR 102242482B1 KR 1020170088885 A KR1020170088885 A KR 1020170088885A KR 20170088885 A KR20170088885 A KR 20170088885A KR 102242482 B1 KR102242482 B1 KR 10224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holding
shape
mounting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2482B9 (ko
KR20180008312A (ko
Inventor
나카가와 야스시
아라이 토시미치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96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689730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82B1/ko
Publication of KR10224248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8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 F16B15/08Nails; Staples formed in integral series but easily separ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01Nail feeding devices
    • B25C1/003Nail feeding devices for belts of n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7/00Bolts, screws, or nuts formed in integral series but easily separable, particularly for use in automat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과제>
연결 벨트의 폭이 공구측에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짧은 파스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공구측의 변경을 하지 않아도 짧은 파스너를 사용할 수 있는 연결 파스너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연결 파스너는, 파스너(11)에 장착된 원통 부재(30)를 구비하고, 연결 벨트(20)는, 파스너(11)의 헤드부(12)측을 유지하는 상부 유지부(22)와, 파스너(11)의 선단부(15)측에 장착된 원통 부재(30)의 둘레면을 유지하는 하부 유지부(23)를 구비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연결 파스너{CONNECTION FASTENER}
이 발명은, 타입 공구에서 사용되는 연결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파스너를 연결 벨트로 연결한 연결 파스너는, 다량의 파스너를 모아 타입 공구에 세팅하여 연속적으로 사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타입 공구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결 파스너의 연결 벨트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 2군데에서 파스너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파스너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H03-96417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타입 공구에는, 길이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파스너를 사용 가능한 것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타입 공구에 사용되는 연결 파스너는, 공구측의 사양에 따른 연결 벨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길이가 달라도 같은 공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연결 벨트의 형상 등은 공구측의 사양에 의해 결정되어 있어, 자유로 변경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연결 벨트의 상하 폭(상부 유지부와 하부 유지부 사이의 거리)은, 공구측의 연결 파스너의 이송 동작이나 연결 벨트의 배출 동작에 대응할 수 있는 폭이 결정되어 있어, 자유로 변경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연결 벨트의 상하 폭보다 파스너의 축부(파스너 헤드부와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 사이의 스트레이트 부분. 또는, 헤드 하부 테이퍼부와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 사이의 스트레이트 부분. 스트레이트 부분은 완만한 테이퍼여도 좋다)의 길이가 짧은 파스너를 사용하고자 하면, 연결 벨트에 의해 파스너의 축부를 상하 2군데에서 유지할 수 없어, 파스너의 유지가 불안정한 문제가 있었다. 연결 벨트가 파스너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으면, 기운 상태로 타입된 파스너가 버클링되거나, 파스너로부터 이탈하여 펼쳐진 연결 벨트가 기계의 내부에 걸려 연결 파스너의 이송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 장해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종래에는 공구측에서 규정된 연결 벨트로 유지할 수 없는 파스너는 사용할 수 없고, 공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파스너의 길이에 제한이 가해져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연결 벨트(연결부)의 폭이 공구측에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짧은 파스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공구측의 사양을 변경하지 않아도 짧은 파스너를 사용할 수 있는 연결 파스너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하를 특징으로 한다.
(1)에 기재된 발명은, 일단측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파스너와, 상기 복수의 파스너를 병렬 방향으로 연결하는 시트 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파스너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부와의 별체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스너의 상기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둘레면의 일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부를 갖는 파스너에 장착된 상기 통형상 부재의 둘레면을 유지하는 제2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장착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 구멍과, 상기 제1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 구멍을 갖고, 상기 제2유지 구멍의 지름은, 상기 제1유지 구멍의 지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장착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 구멍과, 상기 제1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 구멍을 갖고, 상기 제2유지 구멍의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은, 상기 제1유지 구멍의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파스너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 마련된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스너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볼 때, 상기 제2유지부가, 상기 파스너의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에 겹치는 위치, 또는, 상기 파스너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장착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유지부와, 상기 제2유지부와, 상기 제1유지부와 상기 제2유지부를 연결하는 벨트모양부가 동일 평면에 형성된 1장의 긴 시트를 "ㄷ"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파스너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 마련된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스너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축부의 길이가 상기 벨트모양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5)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파스너는, 상기 축부에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헤드부측의 외경보다 상기 선단부측의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부 에지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통형상 부재는, 상기 하부 유지부보다 하방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유지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8)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이탈 방지 형상은, 상기 파스너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8)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이탈 방지 형상은, 상기 파스너의 선단측을 지름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단차 형상, 또는, 둘레에 형성된 홈 형태의 오목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8)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이탈 방지 형상은,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외주 방향으로 부풀린 팽출 형상, 또는,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지름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큰 지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일단측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파스너와, 상기 복수의 파스너를 병렬 방향으로 연결하는 시트 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파스너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부와의 별체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스너의 상기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둘레면의 일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장착부에 의해 파스너를 연장하여 제2유지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의 폭이 공구측에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파스너의 길이에 관계없이 파스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가 연결부와는 별체의 부재이기 때문에, 장착부가 연결부로부터 이탈할 때 연결부에 끌려 장착부가 기울어지는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파스너가 기울어져 버클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를 절단하기 위해 에너지가 손실되지도 않는다.
또한, 금속제의 파스너보다 치수 정밀도를 안정시키기 쉬운 장착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장착부의 치수와 제2유지부의 치수를 적합시킬 수 있게 되어, 제2유지부에 의한 장착부를 통한 파스너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스너에 장착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파스너의 선두측(선단부측)의 지름이 커지기 때문에, 타입시에 파스너가 사출 경로 내에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파스너의 타입 자세를 안정시켜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제2유지부에 마련된 장착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 구멍의 지름은, 제1유지부에 마련된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 구멍의 지름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지름이 작은 제1유지 구멍에 의해 파스너의 축부를 유지하고, 비교적 지름이 큰 제2유지 구멍에 의해 장착부를 유지하기 때문에, 장착부를 장착한 만큼 굵어진 하부에서도 확실히 파스너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제2유지부에 마련된 장착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 구멍의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은, 제1유지부에 마련된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 구멍의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연결부에 파스너를 장전할 때, 비교적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이 작은 제1유지 구멍에 파스너의 축부가 장전 유지되고, 비교적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이 큰 제2유지 구멍에 장착부가 장전 유지되기 때문에, 장착부를 장착한 만큼 굵어진 하부에서도 파스너를 무리 없이 장전 유지할 수 있고, 조립성이 우수하다. 또한, 파스너를 타입할 때도, 제2유지 구멍의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이 크기 때문에, 원활하게 연결부로부터 파스너를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상기 파스너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 마련된 축부를 구비하고, 제2유지부가, 파스너의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에 겹치는 위치, 또는, 파스너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장착부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유지부가 파스너의 선단부에 겹치는 위치나 파스너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오는 짧은 파스너여도, 이 짧은 파스너를 장착부로 연장하여 제2유지부가 유지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공구측의 사양에 의해 제한되어 있던 짧은 파스너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짧은 파스너여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타입 자세가 안정되기 때문에, 타입시의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파스너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축부의 길이가 벨트모양부의 길이보다 짧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축부의 길이가 벨트모양부의 길이보다 짧은, 짧은 파스너여도, 이 짧은 파스너를 장착부로 연장하여 제2유지부가 유지하기 때문에, 파스너의 축부의 상하 부분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파스너는, 축부에 단차부를 구비하고, 단차부는, 헤드부측의 외경보다 선단부측의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장착부의 상부 에지부를 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파스너에 장착부를 장착할 때, 단차부에 의해 장착부의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파스너에 대한 장착부의 장착 위치가 너무 얕거나 너무 깊거나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장착부는, 제2유지부보다 하방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에 의해 제2유지부의 빠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제2유지부가 장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플랜지부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파스너의 선두측의 지름이 커지기 때문에, 타입시에 파스너가 사출 경로 내에서 쓰러지는 것의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스너의 타입 자세를 안정시켜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장착부는, 제2유지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탈 방지 형상에 의해 제2유지부의 빠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제2유지부가 장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이탈 방지 형상을 파스너에 마련한 경우, 파스너의 관입 저항이 증가하거나, 파스너가 버클링되기 쉬어지는 바와 같은 문제가 있지만, 장착부에 이탈 방지 형상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그와 같은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연결 파스너의 측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a)는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고, (b)는 종래의 연결 파스너의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a)는 연결 벨트(연결부)의 전개도이고, (b)는 연결 벨트(연결부)의 측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a)는 통형상 부재(장착부)의 평면도이고, (b)는 통형상 부재(장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타입시의 자세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통형상 부재가 있는 경우의 도면이고, (b)는 통형상 부재가 없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타입시의 자세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파스너가 드라이버에 접촉하기 전의 도면이고, (b)는 파스너가 드라이버에 접촉한 직후의 도면이고, (c)는 통형상 부재가 연결 벨트로부터 이탈한 상태의 도면이고, (d)는 파스너가 연결 벨트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통형상 부재를 연결 벨트와 일체로 형성한 경우의 타입시의 자세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파스너가 드라이버에 접촉하기 전의 도면이고, (b)는 파스너가 드라이버에 접촉한 직후의 도면이고, (c)는 통형상 부재가 연결 벨트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변형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a)는 짧은 파스너를 사용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고, (b)는 플랜지부로 연결 벨트를 가압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a)는 못을 사용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고, (b)는 나사를 사용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플랜지부가 없는 통형상 부재를 사용하고, (a)는 짧은 파스너를 사용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고, (b)는 중간 정도의 길이의 파스너를 사용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고, (c)는 긴 파스너를 사용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a)는 테이퍼 형상의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고, (b)는 단차 형상의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고, (c)는 오목 형상의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고, (d)는 팽출 형상의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고, (e)는 큰 지름 형상의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변형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a)는 통형상 부재에 단차부를 마련한 연결 파스너의 측면도이고, (b)는 통형상 부재에 단차부를 마련한 연결 파스너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파스너(1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파스너(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파스너(11)를 연결 벨트(연결부, 20)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다량의 파스너(11)를 모아 타입 공구에 세팅하여 연속적으로 사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타입 공구는, 특히 도시하지 않지만, 연결 파스너(10)를 수용하기 위한 매거진을 구비하고 있고, 이 매거진에 수용된 연결 파스너(10)를 공구 본체의 선단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이송 기구는, 타입 동작에 연동하여 연결 파스너(10)를 1개씩 이송하는 것에 의해, 연결 파스너(10)의 선두의 파스너(11)를 공구 본체의 선단에 마련된 사출 경로(40)에 세팅한다. 이와 같이 사출 경로(40)에 세팅된 파스너(11)는, 타입 공구의 타격 기구에 의해 작동하는 드라이버(41)에 의해 타출된다. 드라이버(41)에 의해 타출된 파스너(11)는, 사출 경로(40)를 통과하여 공구 본체의 선단에 마련된 사출구로부터 사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파스너(10)는, 파스너(11)의 중심을 이은 선이 직선이 되도록 파스너(11)를 평행(병렬 방향)으로 배열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결 파스너(10)는, 일직선의 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11)는, 예를 들면 콘크리트나 사이딩 부재 등에 타입되는 콘크리트용 핀이고,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12)와, 헤드부(12)에 연속되는 헤드 하부 테이퍼부(13)와, 헤드 하부 테이퍼부(13)에 연속되는 축부(14)와, 축부(14)에 연속되는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15)를 구비한다. 헤드부(12)는, 드라이버(41)의 타입을 받는 원반 모양의 부위이다. 헤드 하부 테이퍼부(13)는, 헤드부(12)와 축부(14)를 매끄럽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헤드부(12)에서 축부(14)의 방향으로 갈수록 서서히 지름이 축소되는 부위이다. 축부(14)는,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타입재에 타입되었을 때에 인발 저항을 발생시키는 부위이다. 선단부(15)는, 테이퍼 형태의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타입재에 박히는 부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단부(15)는 포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파스너(11)는, 헤드부와, 헤드부에 연속되는 완만한 테이퍼 형상의 축부(헤드부와 축부 사이에, 헤드부에 연속되는 헤드 하부 테이퍼부를 구비해도 좋다)와, 축부에 연속되는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를 구비한 형상이어도 좋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파스너(11)의 축부(14)에는, 관입 저항을 약화시키기 위한 단차부(14a)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축부(14)의 지름은, 단차부(14a)보다 헤드부(12)측의 스트레이트부의 지름과 비교하여, 단차부(14a)보다 선단부(15)측의 스트레이트부의 지름이 작게 되어 있다.
이 파스너(11)의 축부(14)에는, 통형상 부재(장착부)로서 원통 부재(30)가 장착되어 있다. 원통 부재(30)는, 알루미늄이나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 부재이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개구 에지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33)를 구비한다.
한편, 플랜지부(33)는, 하부 유지부(23)보다 하방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되고, 개구 에지 이외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원통부(31)의 외주면에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플랜지부(33)는, 원통부(31)와 별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플랜지부(33)의 형상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외주가 원통 궤적 상에 있는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면, 다각 형상이나, 노치부가 있는 직사각형 형상 등이어도 좋다. 또한, 원통 부재(30)의 형상도 마찬가지로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내주가 원통 궤적 상에 있는 통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면, 다각 형상이나, 노치부가 있는 축부(14)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직사각형 형상 등의 통형상 부재여도 좋다.
원통부(31)의 내경은, 파스너(11)의 축부(14)(단차부(14a)보다 선단부(15)측)를 압입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파스너(11)의 선단부(15)를 원통부(31)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파스너(11)에 원통 부재(30)를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의 상부 에지부(32)에 단차부(14a)가 면하는 위치까지 파스너(11)를 삽입 가능하고, 단차부(14a)에 의해 파스너(11)에 대한 원통 부재(30)의 삽입 위치가 결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우수하다.
파스너(11)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트 형태의 부재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 수지제이다. 한편, 도면상에는 연결 벨트(20)의 길이를 짧게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의 연결 벨트(20)는, 도 3(a)의 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형상이 연속되는 1장의 긴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벨트(20)는, 파스너(11)의 헤드부(12)측을 유지하는 상부 유지부(22)(제1유지부)와, 파스너(11)에 장착된 원통 부재(30)를 유지하는 하부 유지부(23)(제2유지부)와, 상부 유지부(22)와 하부 유지부(23)를 연결하는 벨트모양부(21)를 구비한다. 상부 유지부(22)와 하부 유지부(23)는, 각각 대응하도록 동일 수량으로 마련되어 있고, 대응하는 한쌍의 상부 유지부(22) 및 하부 유지부(23)로 1개의 파스너(11)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벨트모양부(21)는, 모든 상부 유지부(22) 및 하부 유지부(23)를 연결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연결 벨트(20)는, 상부 유지부(22)와 하부 유지부(23)와 벨트모양부(21)가 동일 평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 유지부(22)와 벨트모양부(21) 사이, 및, 하부 유지부(23)와 벨트모양부(21) 사이에 절곡용 홈(2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곡용 홈(20a)을 따라 연결 벨트(20)를 절곡하는 것에 의해,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장의 긴 시트로 형성된 연결 벨트(20)가 "ㄷ"자 모양으로 변형되어 파스너(11)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 유지부(22)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스너(11)의 축부(14)의 최상부를 유지한다. 이 상부 유지부(22)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스너(11)의 축부(14)의 최대 지름보다 폭이 좁은 상부 슬릿(22a)과, 이 상부 슬릿(22a)의 안쪽에 마련된 상부 유지 구멍(22b)(제1유지 구멍)을 구비한다. 상부 유지 구멍(22b)의 지름은, 파스너(11)의 축부(14)의 최대 지름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슬릿(22a)은, 상부 유지 구멍(22b)의 개구 에지부로서 마련되어 있고, 상부 유지 구멍(22b)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하부 유지부(23)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의 원통부(31)를 유지한다. 더욱이, 하부 유지부(23)는 원통 부재(30)의 적어도 둘리면의 일부를 유지하는 형태여도 좋다. 이 하부 유지부(23)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의 원통부(31)의 지름보다 폭이 좁은 하부 슬릿(23a)과, 이 하부 슬릿(23a)의 안쪽에 마련된 하부 유지 구멍(23b)(제2유지 구멍)을 구비한다. 하부 유지 구멍(23b)의 지름은, 원통 부재(30)의 원통부(31)의 지름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하부 슬릿(23a)은, 하부 유지 구멍(23b)의 개구 에지부로서 마련되어 있고, 하부 유지 구멍(23b)에 연통되어 있다.
이 때, 하부 슬릿(23a)의 폭(DW1)(하부 유지 구멍(23b)의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은, 상부 슬릿(22a)의 폭(UW1)(상부 유지 구멍(22b)의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 유지 구멍(23b)의 지름(DW2)은, 상부 유지 구멍(22b)의 지름(UW2)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것에 의해, 원통 부재(30)를 장착한 만큼 굵어진 파스너(11)의 하부에 맞춰 하부 유지 구멍(23b)의 내경이 크게 되어 있어, 파스너(11)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벨트(20)에 파스너(11)를 장전할 때는, 상부 슬릿(22a)으로부터 파스너(11)의 축부(14)를 상부 유지 구멍(22b)에 장전하고, 하부 슬릿(23a)으로부터 원통 부재(30)를 하부 유지 구멍(23b)에 장전한다. 이 때, 원통 부재(30)를 장착한 만큼 굵어진 파스너(11)의 하부에 맞춰, 하부 슬릿(23a)의 폭(DW1)이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파스너(11)를 무리 없이 장전 유지할 수 있고, 조립성이 우수하다.
또한, 파스너(11)를 타입할 때도, 하부 슬릿(23a)의 폭(DW1)이 크기 때문에, 원활하게 연결 벨트(20)로부터 파스너(11)를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 벨트(20)의 벨트모양부(21)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스너(11)의 유지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송용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이송용 구멍(21a)은, 타입 공구의 이송 기구가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송 기구의 이송 갈고리가 이 이송용 구멍(21a)에 체결되어 작동하는 것에 의해, 파스너(11)가 순차 사출 경로(40)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송용 구멍(21a)을 구비한 벨트모양부(21)의 폭(파스너(11)의 축방향으로 본 벨트모양부(21)의 길이(H1). 도 2(a) 참조)은, 타입 공구에 의해 규정되어 있어, 쉽게 변경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벨트모양부(21)의 길이(H1)를 짧게 하면, 이송 기구가 정상적으로 이송 동작을 실시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따라서, 벨트모양부(21)의 길이(H1)는 변경할 수 없지만, 종래의 구조에서는 벨트모양부(21)의 길이(H1)를 짧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짧은 파스너(11)를 연결 벨트(20)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스너(11)를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파스너(11)의 축부(14)의 길이(H2)가, 연결 벨트(20)의 벨트모양부(21)의 길이(H1)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부 유지부(23)가, 파스너(11)의 선단부(15)에 겹치는 위치에 와 있다. 종래의 구조에서 이와 같은 짧은 파스너(11)를 유지하고자 하면,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유지부(23)가 파스너(11)의 선단부(15)로부터 빠져버릴 우려가 있어, 파스너(11)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없었다. 이 점에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파스너(11)에 원통 부재(30)가 장착되어 있고, 하부 유지부(23)가 원통 부재(30)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파스너(11)의 상하 부분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공구측의 사양에 의해 제한되어 있던 짧은 파스너(11)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파스너(11)의 타입 자세가 안정되기 때문에, 타입시의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입 공구의 사출 경로(40) 내에서 드라이버(41)에 의해 파스너(11)가 타입될 때에는, 파스너(11)의 선두에 원통 부재(30)가 장착된 상태로 사출 경로(40) 내를 이동한다. 이 때문에, 파스너(11)의 기울기가 억제된다. 한편, 원통 부재(30)가 없는 경우,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스너(11)가 사출 경로(40) 내에서 기울어져 비스듬히 타입되어, 파스너(11)의 버클링 등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파스너(10)는, 파스너(11)의 선두(선단부(15)측)에 원통 부재(30)가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타입시의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벨트(20)와는 별체로 원통 부재(3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파스너(11)의 타입시에 원통 부재(30)를 연결 벨트(20)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타입 공구의 사출 경로(40) 내에서 드라이버(41)에 의해 파스너(11)가 타입될 때에, 도 6(a) 내지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가 연결 벨트(20)로부터 이탈하지만, 원통 부재(30)가 연결 벨트(20)에 끌려 기울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파스너(11)가 기울어져 버클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벨트(20)를 절단하기 위해 에너지가 손실되지도 않는다.
한편, 원통 부재(30)가 연결 벨트(20)의 일부로서 마련되어 있는 경우, 도 7(a) 내지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를 연결 벨트(20)로부터 분리할 때 연결 벨트(20)에 끌려 원통 부재(30)가 기울어져버린다. 이 때문에, 파스너(11)가 기울어져 버클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연결 벨트(20)를 절단하기 위해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한다. 이 점에서, 본 실시예와 같이 연결 벨트(20)와 원통 부재(30)를 별체로 하면,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파스너(11)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볼 때, 하부 유지부(23)가, 파스너(11)의 선단부(15)에 겹치는 위치에서 원통 부재(30)를 유지하고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다. 바꾸어 말하면, 파스너(11)의 축방향에서, 파스너(11)의 선단부(15)가 하부 유지부(23)에 도달하는 위치에서 하부 유지부(23)가 원통 부재(30)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스너(11)의 측면 방향에서 볼 때, 하부 유지부(23)가, 파스너(11)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원통 부재(30)를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파스너(11)의 축방향에서, 파스너(11)의 선단부(15)가 하부 유지부(23)에 도달하지 않는 위치에서 하부 유지부(23)가 원통 부재(30)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매우 짧은 파스너(11)를 사용한 경우에도, 원통 부재(30)에 의해 파스너(11)를 연장하는 것에 의해, 파스너(11)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의 플랜지부(33)가, 하부 유지부(23)의 하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하부 유지부(23)가 펼쳐지는 것을 플랜지부(33)에 의해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하부 유지부(23)가 원통 부재(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파스너(11)로서 콘크리트 핀을 예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스너(11)로서 못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스너(11)로서 나사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원통 부재(30)에 플랜지부(33)를 마련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에 플랜지부(33)를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10(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파스너(11)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에,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마련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의 원통부(31)를, 선단 방향으로 갈수록 서서히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34)으로 하고, 이 테이퍼 형상(34)을 하부 유지부(23)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벨트(20)에 파스너(11)를 장전할 때, 테이퍼 형상(34)에 의해 연결 벨트(20)의 하부 유지부(23)의 삽입 위치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스너(11)를 타입할 때에는, 테이퍼 형상(34)의 원통 부재(30)가 하부 유지부(23)로부터 그대로 빠져가기 때문에, 원활하게 연결 벨트(20)로부터 파스너(11)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의 원통부(31)에, 선단측이 지름이 큰 단차 형상(35)을 형성하고, 이 이상 형상(35)에 하부 유지부(23)를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벨트(20)에 파스너(11)를 장전할 때, 단차 형상(35)에 의해 연결 벨트(20)의 하부 유지부(23)의 삽입 위치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의 원통부(31)에, 둘레에 형성된 홈 형태의 오목 형상(36)을 형성하고, 이 오목 형상(36)에 하부 유지부(23)를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벨트(20)에 파스너(11)를 장전할 때, 오목 형상(36)에 의해 연결 벨트(20)의 하부 유지부(23)의 삽입 위치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의 원통부(31)의 선단 반대측에, 외주 방향으로 부풀어 오른 팽출 형상(37)을 마련하고, 이 팽출 형상(37)에 하부 유지부(23)를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벨트(20)에 파스너(11)를 장전할 때, 팽출 형상(37)에 의해 연결 벨트(20)의 하부 유지부(23)의 삽입 위치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의 원통부(31)의 선단 반대측을 큰 지름으로 하여 큰 지름 형상(38)을 형성하고, 이 큰 지름 형상(38)을 하부 유지부(23)에 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 벨트(20)에 파스너(11)를 장전할 때, 큰 지름 형상(38)에 의해 연결 벨트(20)의 하부 유지부(23)의 삽입 위치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30)의 원통부(31)에 단차부(39)를 마련해도 좋다. 이 단차부(39)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단차부(39)의 선단측이, 단차부(39)의 후단측보다 지름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차부(39)는, 하부 유지부(23)보다 파스너(11)의 선두측(선단부(15)측)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유지부(23)에 당접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도 11(b)에 제시하는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부 유지부(23)가 펼쳐지는 것을 단차부(39)에 의해 억제할 수 있고,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면이 직각으로 형성된 모서리부에 의해 단차부(39)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차부(39)의 모서리부를 직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하부 유지부(23)가 걸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하부 유지부(23)의 펼쳐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단차부(39)의 모서리부는 직각에 한정되지 않고, 가능한 작은 R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파스너(11)에 장착된 원통 부재(30)를 구비하고, 연결 벨트(20)는, 파스너(11)의 헤드부(12)측을 유지하는 상부 유지부(22)와, 파스너(11)에 장착된 원통 부재(30)를 유지하는 하부 유지부(2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통 부재(30)에 의해 파스너(11)를 연장하여 하부 유지부(23)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결 벨트(20)의 폭이 공구측에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파스너(11)의 길이에 관계없이 파스너(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원통 부재(30)가 연결 벨트(20)와는 별체의 부재이기 때문에, 원통 부재(30)가 연결 벨트(20)로부터 이탈할 때 연결 벨트(20)에 끌려 원통 부재(30)가 기울어지는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파스너(11)가 기울어져 버클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벨트(20)를 절단하기 위해 에너지가 손실되지도 않는다.
또한, 금속제의 파스너(11)보다 치수 정밀도를 안정시키기 쉬운 원통 부재(30)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원통 부재(30)의 치수와 하부 유지부(23)의 치수를 적합시킬 수 있게 되어, 하부 유지부(23)에 의한 원통 부재(30)를 통한 파스너(11)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스너(11)에 원통 부재(30)가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파스너(11)의 선두측(선단부(15)측)의 지름이 커지기 때문에, 타입시에 파스너(11)가 사출 경로(40) 내에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파스너(11)의 타입 자세를 안정시켜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유지부(23)에 마련된 원통 부재(30)를 유지하는 하부 유지 구멍(23b)의 지름은, 상부 유지부(22)에 마련된 파스너(11)의 헤드부(12)측을 유지하는 상부 유지 구멍(22b)의 지름보다 크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비교적 지름이 작은 상부 유지 구멍(22b)에 의해 파스너(11)의 축부(14)를 유지하고, 비교적 지름이 큰 하부 유지 구멍(23b)에 의해 원통 부재(30)를 유지하기 때문에, 원통 부재(30)를 장착한 만큼 굵어진 하부에서도 확실히 파스너(11)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유지부(23)가, 파스너(11)의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15)에 겹치는 위치, 또는, 파스너(11)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원통 부재(30)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부 유지부(23)가 파스너(11)의 선단부(15)에 겹치는 위치나 파스너(11)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오는 짧은 파스너(11)여도, 이 짧은 파스너(11)를 원통 부재(30)로 연장하여 하부 유지부(23)가 유지하기 때문에, 파스너(11)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파스너(11)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축부(14)의 길이(H2)가 벨트모양부(21)의 길이(H1)보다 짧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축부(14)의 길이(H2)가 벨트모양부(21)의 길이(H1)보다 짧은, 짧은 파스너(11)여도, 이 짧은 파스너(11)를 원통 부재(30)로 연장하여 하부 유지부(23)가 유지하기 때문에, 파스너(11)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원통 부재(30)는, 하부 유지부(23)의 하부를 향하고, 원통 부재(30)의 외주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플랜지부(3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33)에 의해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하부 유지부(23)가 원통 부재(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플랜지부(33)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파스너(11)의 선두측의 지름이 커지기 때문에, 타입시에 파스너(11)가 사출 경로(40) 내에서 쓰러지는 것의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스너(11)의 타입 자세를 안정시켜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스너(11)는, 축부(14)에 단차부(14a)를 구비하고, 단차부(14a)는, 헤드부(12)측의 외경보다 선단부(15)측의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원통 부재(30)의 상부 에지부(32)를 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파스너(11)에 원통 부재(30)를 장착할 때, 단차부(14a)에 의해 원통 부재(30)의 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파스너(11)에 대한 원통 부재(30)의 장착 위치가 너무 얕거나 너무 깊거나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원통 부재(30)는,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탈 방지 형상에 의해 하부 유지부(23)의 빠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하부 유지부(23)가 원통 부재(30)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이탈 방지 형상을 파스너(11)에 마련한 경우, 파스너(11)의 관입 저항이 증가하거나, 파스너(11)가 버클링되기 쉬어지는 바와 같은 문제가 있지만, 원통 부재(30)에 이탈 방지 형상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그와 같은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1)에 기재된 발명은, 일단측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파스너와, 상기 복수의 파스너를 병렬 방향으로 연결하는 시트 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파스너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부와의 별체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스너의 상기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둘레면의 일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부를 갖는 파스너에 장착된 상기 통형상 부재의 둘레면을 유지하는 제2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장착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 구멍과, 상기 제1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 구멍을 갖고, 상기 제2유지 구멍의 지름은, 상기 제1유지 구멍의 지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장착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 구멍과, 상기 제1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 구멍을 갖고, 상기 제2유지 구멍의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은, 상기 제1유지 구멍의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파스너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 마련된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스너의 측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2유지부가, 상기 파스너의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에 겹치는 위치, 또는, 상기 파스너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장착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유지부와, 상기 제2유지부와, 상기 제1유지부와 상기 제2유지부를 연결하는 벨트모양부가 동일 평면에 형성된 1장의 긴 시트를 "C"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파스너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 마련된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스너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축부의 길이가 상기 벨트모양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5)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파스너는, 상기 축부에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헤드부측의 외경보다 상기 선단부측의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부 에지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유지부보다 하방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유지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8)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이탈 방지 형상은, 상기 파스너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8)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이탈 방지 형상은, 상기 파스너의 선단측을 지름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단차 형상, 또는, 둘레에 형성된 홈 형태의 오목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8)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더하여, 상기 이탈 방지 형상은,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외주 방향으로 부풀린 팽출 형상, 또는,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지름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큰 지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 연결 파스너
11: 파스너
12: 헤드부
13: 헤드 하부 테이퍼부
14: 축부
14a: 단차부
15: 선단부
20: 연결 벨트(연결부)
20a: 절곡용 홈
21: 벨트모양부
21a: 이송용 구멍
22: 상부 유지부(제1유지부)
22a: 상부 슬릿
22b: 상부 유지 구멍(제1유지 구멍)
23: 하부 유지부(제2유지부)
23a: 하부 슬릿
23b: 하부 유지 구멍(제2유지 구멍)
30: 원통 부재(장착부)
31: 원통부
32: 상부 에지부
33: 플랜지부
34: 테이퍼 형상(이탈 방지 형상)
35: 단차 형상(이탈 방지 형상)
36: 오목 형상(이탈 방지 형상)
37: 팽출 형상(이탈 방지 형상)
38: 큰 지름 형상(이탈 방지 형상)
39: 단차부
40: 사출 경로
41: 드라이버

Claims (11)

  1. 일단측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파스너;
    상기 복수의 파스너를 병렬 방향으로 연결하는 시트 형상의 연결부; 및
    상기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파스너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부와의 별체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스너의 상기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둘레면의 일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장착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 구멍과, 상기 제1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 구멍을 갖고, 상기 제2유지 구멍의 지름은, 상기 제1유지 구멍의 지금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파스너.
  2. 삭제
  3. 일단측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파스너;
    상기 복수의 파스너를 병렬 방향으로 연결하는 시트 형상의 연결부; 및
    상기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파스너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부와의 별체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스너의 상기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둘레면의 일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장착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 구멍과, 상기 제1유지부에 마련된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 구멍을 갖고, 상기 제2유지 구멍의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은, 상기 제1유지 구멍의 개구 에지부의 개구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파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 연속하여 마련된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스너의 측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2유지부가, 상기 파스너의 상기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에 겹치는 위치, 또는, 상기 파스너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장착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파스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유지부와, 상기 제2유지부와, 상기 제1유지부와 상기 제2유지부를 연결하는 벨트모양부가 동일 평면에 형성된 1장의 긴 시트를 "C"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파스너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선단부 사이에 연속하여 마련된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스너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축부의 길이가 상기 벨트모양부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파스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상기 축부에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헤드부측의 외경보다 상기 선단부측의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부 에지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파스너.
  7. 일단측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파스너;
    상기 복수의 파스너를 병렬 방향으로 연결하는 시트 형상의 연결부; 및
    상기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파스너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부와의 별체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스너의 상기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둘레면의 일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부를 갖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유지부보다 하방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파스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유지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파스너.
  9. 일단측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파스너;
    상기 복수의 파스너를 병렬 방향으로 연결하는 시트 형상의 연결부; 및
    상기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파스너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부와의 별체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스너의 상기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둘레면의 일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부를 갖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유지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이탈 방지 형상은, 상기 파스너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파스너.
  10. 일단측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파스너;
    상기 복수의 파스너를 병렬 방향으로 연결하는 시트 형상의 연결부; 및
    상기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파스너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부와의 별체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스너의 상기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둘레면의 일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부를 갖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유지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이탈 방지 형상은, 상기 파스너의 선단측을 지름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단차 형상, 또는, 둘레에 형성된 홈 형태의 오목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파스너.
  11. 일단측에 헤드부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테이퍼 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된 복수의 파스너;
    상기 복수의 파스너를 병렬 방향으로 연결하는 시트 형상의 연결부; 및
    상기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 파스너에 장착되는 상기 연결부와의 별체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파스너의 상기 헤드부측을 유지하는 제1유지부와,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둘레면의 일부를 유지하는 제2유지부를 갖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유지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이탈 방지 형상은,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외주 방향으로 부풀린 팽출 형상, 또는, 상기 파스너의 헤드부측을 지름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큰 지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파스너.
KR1020170088885A 2016-07-15 2017-07-13 연결 파스너 KR102242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9922 2016-07-15
JPJP-P-2016-139922 2016-07-15
JP2017096995A JP6897302B2 (ja) 2016-07-15 2017-05-16 連結ファスナー
JPJP-P-2017-096995 2017-05-16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312A KR20180008312A (ko) 2018-01-24
KR102242482B1 true KR102242482B1 (ko) 2021-04-20
KR102242482B9 KR102242482B9 (ko) 2022-04-14

Family

ID=5936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885A KR102242482B1 (ko) 2016-07-15 2017-07-13 연결 파스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28853B2 (ko)
EP (1) EP3269987B1 (ko)
KR (1) KR102242482B1 (ko)
ES (1) ES2892752T3 (ko)
PL (1) PL326998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2491B2 (ja) 2018-12-27 2022-12-20 マックス株式会社 連結ファスナー
TWI689667B (zh) * 2019-06-24 2020-04-01 光柘企業有限公司 螺絲釘載帶
US10816025B1 (en) * 2019-08-23 2020-10-27 Guangzhe Enterprise Co., Ltd. Screw ban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020A (ja) * 1998-08-11 2000-02-22 Piolax Inc パネル状部品の固定用クリップ
WO2009040235A1 (en) 2007-09-27 2009-04-02 Samp S.P.A. Extruder screw for machines extruding plastics material
KR101144425B1 (ko) * 2009-05-13 2012-05-10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체결구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3294A (en) * 1939-03-16 1940-06-04 Ralph L Engle Nail for fastening sheeting
CA960189A (en) * 1971-07-12 1974-12-31 Hilti Aktiengesellschaft Nail holder assembly
US4606455A (en) * 1984-08-17 1986-08-19 Duo-Fast Corporation Collated fastener strip
DE3743049A1 (de) 1987-12-18 1989-06-29 Hilti Ag Nagel mit stauchbarer huelse
JPH0396417A (ja) 1989-09-08 1991-04-22 Mazda Motor Corp 車両用空調装置
US5178903A (en) * 1989-09-29 1993-01-12 Illinois Tool Works Inc. Coated metal fasten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H0637203Y2 (ja) 1990-01-23 1994-09-28 若井産業株式会社 連結釘のテープ
JPH07100208B2 (ja) * 1992-10-15 1995-11-01 大内 正年 ブラインドリベット保持体
CA2292166A1 (en) * 1999-01-13 2000-07-13 Kent B. Godsted Chemically coated fasteners having improved penetration and withdrawal resistance
JP2002081424A (ja) 2000-09-07 2002-03-22 Sakai Fastening:Kk コンクリートピンとその製造方法
US6779959B1 (en) 2003-04-21 2004-08-24 Testo Industry Corp. Belt of nails for nailers
US7273337B2 (en) * 2003-06-30 2007-09-25 Illinois Tool Works Inc. Partially coated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for coating
TWI530623B (zh) * 2007-11-06 2016-04-21 美克司股份有限公司 連接扣件組合
JP2009264585A (ja) 2008-03-31 2009-11-12 Max Co Ltd 連結ファスナー
US20120298716A1 (en) * 2011-05-23 2012-11-29 Ricardo Segura Fastener collation having a collation of frangible fastener alignment caps
US20130270135A1 (en) * 2012-04-13 2013-10-17 Ching Yun Huang Strip for supporting fasten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020A (ja) * 1998-08-11 2000-02-22 Piolax Inc パネル状部品の固定用クリップ
WO2009040235A1 (en) 2007-09-27 2009-04-02 Samp S.P.A. Extruder screw for machines extruding plastics material
KR101144425B1 (ko) * 2009-05-13 2012-05-10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482B9 (ko) 2022-04-14
ES2892752T3 (es) 2022-02-04
US20180017093A1 (en) 2018-01-18
US10428853B2 (en) 2019-10-01
KR20180008312A (ko) 2018-01-24
EP3269987A1 (en) 2018-01-17
EP3269987B1 (en) 2021-09-08
PL3269987T3 (pl) 202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482B1 (ko) 연결 파스너
US9341449B2 (en) Broadhead collars
EP2657545B1 (en) Two-piece clip
US11131411B2 (en) Fluid connection device
EP1408244A1 (en) A rivet provided with elastic feet
US9829135B2 (en) Pipe joint
GB2511104A (en) Connector
US9790976B2 (en) Fastener
US20120292212A1 (en) Nail belt
CN107620753B (zh) 连结紧固件
EP2628961A1 (en) Clip and fastening arrangement with a clip
JP5868807B2 (ja) シリンジ型二剤混合噴出器
JP2019060429A (ja) クリップ取付け座
KR101889741B1 (ko) 용이하게 카트리지를 착탈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터
EP3282134A1 (en) Exterior fixing mechanism for analysis device
WO2012137839A1 (ja) クリップ
EP2282100A1 (en) Connection-state check tool used for assembling a pipe coupling
US20240229998A9 (en) Pipe joint for quick releasable pipe connector assembly and quick releasable pipe connector assembly
JP2013104537A (ja) 取付具
JP5936814B2 (ja) 注射器の針カバー
US20200208668A1 (en) Connection fastener
CN210676747U (zh) 新型进模结构及冷镦机
JP5722816B2 (ja) 連結継手、調芯部材及びセグメント
JP4649139B2 (ja) 止め具
KR20090048502A (ko) 캐리어 부재에 하나 이상의 커플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