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318B1 -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318B1
KR102241318B1 KR1020130121202A KR20130121202A KR102241318B1 KR 102241318 B1 KR102241318 B1 KR 102241318B1 KR 1020130121202 A KR1020130121202 A KR 1020130121202A KR 20130121202 A KR20130121202 A KR 20130121202A KR 102241318 B1 KR102241318 B1 KR 102241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uxiliary
communication
mai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486A (ko
Inventor
김현우
이헌용
차정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318B1/ko
Priority to CN201480055891.9A priority patent/CN105637976B/zh
Priority to AU2014332794A priority patent/AU2014332794B2/en
Priority to PCT/KR2014/004224 priority patent/WO2015053454A1/en
Priority to JP2014099458A priority patent/JP6567254B2/ja
Priority to EP14168632.9A priority patent/EP2860951B1/en
Priority to US14/286,855 priority patent/US20180131771A9/en
Publication of KR2015004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통신망과 연결된 메인 전자 장치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하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이벤트를 보조 전자 장치가 수신하는 과정, 상기 보조 전자 장치가 제2 통신망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보조 전자 장치가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망 기반으로 상기 메인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메인 전자 장치, 보조 전자 장치 및 서비스 지원 장치의 구성을 발명한다.

Description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Operating Method For Communica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통신 서비스 운용과 관련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전자 장치가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컨버전스(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전자 장치는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등과 같은 통화 기능,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이메일 등과 같은 메시지 송수신 기능, 전자수첩 기능, 촬영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 인터넷 기능, 메신저 기능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액세서리 장치와 연동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전자 장치는 액세서리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액세서리 장치가 전자 장치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액세서리 장치 및 전자 장치 운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메인 전자 장치와 보조 전자 장치 간의 운용을 상황에 맞게 적응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제1 통신망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 제2 통신망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1 네트웍 통신 모듈,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웍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는 보조 전자 장치에 전송하거나, 제1 네트웍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보조 전자 장치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간접 모드 실행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제1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서비스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망 기반으로 메인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보조 제어부, 상기 제2 통신망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2 네트웍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보조 전자 장치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제1 통신망과 연결된 메인 전자 장치와 제2 통신망을 통해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 전자 장치의 상기 제1 통신망 기반 송수신 데이터를 이용하는 보조 전자 장치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서비스 통신 모듈, 상기 메인 전자 장치와 상기 보조 전자 장치의 네트웍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지원 장치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제1 통신망과 연결된 메인 전자 장치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하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이벤트를 보조 전자 장치가 수신하는 과정, 상기 보조 전자 장치가 제2 통신망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보조 전자 장치가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망 기반으로 상기 메인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안하는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메인 전자 장치와 보조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등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상황에서 적절한 통신 서비스가 운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메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메인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보조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보조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서비스 지원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설정과 관련한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설정과 관련한 보조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전달과 관련한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전달과 관련한 메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전달과 관련한 보조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요청과 관련한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요청과 관련한 메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요청과 관련한 보조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운용에 적용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메인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와 같이 AP(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사용하는 모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휴대게임단말,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보조 전자 장치는 전자시계, 전자 팔찌, 전자 발찌, 전자 목걸이, 전자 귀걸이, 전자 반지, 전자 허리띠 등 메인 전자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등과 같이 다양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는 슈트나 팬츠 중 적어도 일부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보조 전자 장치는 특정 형상이나 배치 위치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보조 전자 장치는 메인 전자 장치와 유사한 휴대 단말,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보조 전자 장치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 또는 특정 형태의 전자 장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2 통신망에 접속하여 메인 전자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네트웍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는 보다 다양한 구성품들 예컨대 메인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품들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과, 해당 시스템에 포함되는 각 구성들, 시스템 운용 방법과 각 구성들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과 장치 및 운용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예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10)은 메인 전자 장치(100), 보조 전자 장치(200), 서비스 지원 장치(300), 제1 통신망(400), 제2 통신망(5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10)의 제1 통신망(400)은 타 전자 장치(101)와 메인 전자 장치(100) 간의 통신 서비스 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10)은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가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제2 통신망(500)을 통하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10)의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망(400)을 통한 타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 예컨대 음성 통화 서비스 데이터, 영상 통화 서비스 데이터, 메시지 서비스 데이터, 메신저 서비스 데이터 등을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10)의 보조 전자 장치(200)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메인 전자 장치(100)를 통하여 타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 서비스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10)은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 간의 거리나 상대적 위치에 관계없이 보조 전자 장치(200)를 통한 메인 전자 장치(100)의 통신 서비스 이용을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10)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에 대응하여 직접 모드 및 간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직접 모드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에 마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컨대, 직접 모드는 음성 통화 모드에서 타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메인 전자 장치(100)가 수신하여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의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직접 모드는 보조 전자 장치(200)가 수집한 오디오 신호를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해 메인 전자 장치(100)가 수신하고 이를 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는 모드일 수 있다.
간접 모드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에 마련된 네트웍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제2 통신망(500)을 기반으로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컨대, 간접 모드는 음성 통화 모드에서 타 전자 장치(101)가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를 메인 전자 장치(100)가 수신하여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간접 모드는 음성 통화 모드에서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제2 통신망(500)을 통해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를 메인 전자 장치(100)가 제1 통신망(400)을 통해 타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는 모드일 수 있다.
상기 직접 모드 및 간접 모드에서 통신 서비스에 따라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직접 모드 및 간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서 영상 통화 모드가 실행되면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타 전자 장치(101),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 간에 송수신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망(400)을 통한 통신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망(400)을 통해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와 통신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망(400)을 통해 전달된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제2 통신망(500)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2 통신망(500)을 통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해당 메시지에 대응하는 타 전자 장치(101)를 제1 통신망(400)을 통해 연결 시도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연결이 성립되면 타 전자 장치(101)와 보조 전자 장치(200) 간의 통신 서비스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제2 통신망(500)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예를 들면 메인 전자 장치(100)와 유사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착용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조 전자 장치(200)는 반지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착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팔찌나 시계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손목 등에 착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보조 전자 장치(200)는 파지 가능한 형태나 소지 가능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보조 전자 장치(200)를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보조 전자 장치(200)의 형태나 외관 또는 특정 기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배터리 등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전원을 기반으로 초기화 및 통신 서비스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운용 지원 시 보조 전자 장치(200)는 직접 모드와 간접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직접 모드 지원 시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을 이용하지 않고 근거리 통신 채널 또는 유선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메인 전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간접 모드 지원 시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을 이용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신 서비스 이용과 관련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전자 장치(200)는 메인 전자 장치(100)가 전달한 통신 서비스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여, 오디오 처리 후 오디오 출력하거나 이미지 처리 후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자 장치(200)는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오디오 알림, 램프 알림 뿐만 아니라 설정에 대응하여 진동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 요청에 대응하여 직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직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간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간접 모드 수행 과정에서,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 접속이 가능한 경우 간접 모드 실행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시점에 제2 통신망(500)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제2 통신망(500) 접속과 관련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 접속과 관련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검색을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 접속이 가능한 경우 이하에서 설명하는 간접 모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 접속 중에 간접 모드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간접 모드 실행과 관련한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제2 통신망(500)과 연결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제2 통신망(500)과 연결되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통신 서비스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보조 전자 장치(200) 요청에 대응하여 간접 모드 설정을 메인 전자 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간접 모드가 설정된 메인 전자 장치(100) 요청에 대응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제2 통신망(500) 접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 간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 중계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하나의 메인 전자 장치(100)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복수개의 보조 전자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복수개의 보조 전자 장치가 제공한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하나의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복수개의 메인 전자 장치와 보조 전자 장치(200) 간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 중계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복수개의 메인 전자 장치로부터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전 설정에 대응하여 하나의 보조 전자 장치(200)에 수신된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통신망(400)은 메인 전자 장치(100)의 통신 서비스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망(400)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스위칭 센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망(400)은 2G, 3G, 4G, 5G 등 다양한 세대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망(400)은 타 전자 장치(101)로부터의 음성 통화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통신망(400)은 메인 전자 장치(100)의 음성 통화 연결 허용을 수신하면 타 전자 장치(101)와 메인 전자 장치(100) 간 음성 통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망(400)은 타 전자 장치(101)로부터 영상 통화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통신망(400)은 메인 전자 장치(100)의 영상 통화 연결 허용을 수신하면 대역폭 등의 협의를 지원할 수 있다. 제1 통신망(400)은 타 전자 장치(101)와 메인 전자 장치(100) 간 영상 통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망(400)은 메인 전자 장치(100)의 메시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망(400)은 타 전자 장치(101)가 전송하는 문자나 음성 또는 영상 메시지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망(400)은 메인 전자 장치(100)가 전달한 메시지를 타 전자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망(500)은 제1 통신망(400)과 다른 특성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망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통신망(500)은 인터넷 네트워크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망(500)은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망(500)은 와이파이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치 예컨대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제어하는 제어기, 제어기에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망(500)은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정보 및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통신망(500)은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전 저장된 접속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접속 정보는 IP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망(500)은 메인 전자 장치(100)와 서비스 지원 장치(300) 간의 통신 채널, 서비스 지원 장치(300)와 보조 전자 장치(200) 간의 통신 채널,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 간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통신망(500)은 메인 전자 장치(100)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하며, 보조 전자 장치(200)의 문자, 오디오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타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망(400)을 통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타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망(400) 접속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타 전자 장치(101)는 이동통신 단말일 수 있다. 타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망(400)을 통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에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타 전자 장치(101)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허용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타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망(400)을 통해 메인 전자 장치(100)가 전송한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타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통신 서비스 연결 허용 메시지를 제1 통신망(400)에 전송하고, 메인 전자 장치(1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각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간접 모드 실행을 위한 앱 또는 프로그램 설치를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 실행 시, 프로그램 실행에 대응하여 상호 주소 정보를 확인하고, 제2 통신망(500)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는 고정적인 주소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는 유동적인 주소 정보를 상호 간에 갱신함으로서, 제2 통신망(500) 기반의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는 보안 등과 관련하여, 서비스 지원 장치(300)를 기반으로 하는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메인 입력부(120), 메인 오디오 처리부(130), 메인 표시부(140), 메인 저장부(150), 메인 제어부(160),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메인 전자 장치(100)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메인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을 기반으로 제1 통신망(4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기반으로 제2 통신망(5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망(400)에 연결된 타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2 통신망(500)에 연결된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전송하는 데이터 예컨대 문자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데이터를 제1 통신망(400)을 통해 타 전자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전자 장치(100)는 직접 모드 지원 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기반으로 보조 전자 장치(2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전자 장치(100)가 보조 전자 장치(200)와의 직접 연결 통신을 지원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경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메인 전자 장치(100)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인 전자 장치(10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통신에서 직접 모드를 지원하지 않고 디폴트로 간접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제1 통신망(4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제1 통신망(400)과 통신할 수 있는 모듈 예컨대 이동통신 모듈일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110)은 제1 통신망(400)의 특성에 대응하여 공중통신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용하는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통신 모듈(110)은 기지국에 접속하여 캠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기지국을 통해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채널 형성 및 형성된 통신 채널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문자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타 전자 장치(101)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제어부(160) 제어에 대응하여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입력부(12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입력부(120)는 예를 들면,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입력부(12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부 버튼들은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메뉴 불러오기 키, 화면 온/오프 키, 전원 온/오프 키 및 볼륨 조절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메인 전자 장치(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이벤트를 생성하여 메인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입력부(120)의 물리 키는 하드 키(hard key)라 하고 메인 표시부(140)에 표시되는 가상의(virtual) 키는 소프트 키(soft key)로 지칭될 수 있다.
메인 오디오 처리부(13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오디오 처리부(130)는 메인 제어부(160)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 speaker)로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오디오 처리부(13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메인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메인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MIC, microphone)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메인 제어부(16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인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는 통화 모드, 녹음(녹화) 모드, 미디어 컨텐츠 재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그리고 촬영 모드 등에서 통신 모듈(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메인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메인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컨대, 통화 연결 수신, 통화 연결 발신, 음악 파일 재생, 동영상 파일 재생, 촬영, 외부 출력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를 통한 통신 서비스 지원 과정에서 스피커는 무음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타 전자 장치(101)가 전송한 음성 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지 않고, 메인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는 간접 모드 설정 상태 및 직접 모드 설정 상태 변화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스피커는 간접 모드 설정이 수행된 경우 간접 모드 설정 상태에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는 간접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 간접 모드에서 직접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 직접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 직접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 직접 모드에서 간접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는 통화 모드, 녹음(녹화) 모드, 음성인식 모드, 그리고 촬영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통신 모듈(110)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는 직접 모드 설정 상태 및 간접 모드 설정 상태 시 비활성화될 수 있다.
메인 표시부(140)는 메인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메인 전자 장치(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표시한다. 또한 메인 표시부(140)는 메인 전자 장치(100)가 영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메인 표시부(140)는 메인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메인 표시부(140)는 상기 실행화면에서 메인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가상 입력 장치(예컨대, 가상의 터치패드)를 활성화하여 나타내고, 상기 가상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표시부(140)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통한 직접 모드 설정 및 해제를 안내하는 아이콘이나, 지시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표시부(140)는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통한 간접 모드 설정 및 해제를 안내하는 아이콘이나, 지시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설정에 따라, 메인 표시부(140)는 직접 모드 설정 및 해제, 간접 모드 설정 및 해제 시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메인 표시부(14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및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메인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CD),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표시부(140)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으로서 마련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메인 표시부(14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메인 표시부(14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메인 표시부(140)는 터치패널 및 표시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패널은 표시패널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표시패널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패널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메인 표시부(140)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는 사용자 입력을 메인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여기서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 터치 수단에 의해 발생한 사용자 입력은 터치, 멀티 터치,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탭 앤 터치(Tap & touch), 드래그(Drag), 플릭(Flick), 프레스(Press), 핀치인(pinch in) 및 핀치아웃(pinch ou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입력 생성은 후술하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보조 표시부(240)가 입력 수단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지원될 수 있다.
메인 저장부(150)는 메인 제어부(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앱을 저장할 수 있다. 메인 저장부(15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전화번호, 메시지, 오디오, 미디어 컨텐츠(예컨대,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어플리케이션 등)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인 저장부(150)는 메인 전자 장치(100) 기능 운용에 따른 사용 빈도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사용 빈도, 미디어 컨텐츠 재생 빈도, 그리고 전화번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 빈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저장부(150)는 직접 모드 지원 프로그램 및 간접 모드 지원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직접 모드 지원 프로그램은 직접 모드 설정을 확인하는 루틴, 통신 서비스 연결 시 보조 전자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루틴, 통신 서비스 지원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보조 전자 장치(200)를 기반으로 처리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간접 모드 지원 프로그램은 간접 모드 설정을 지원하는 루틴, 간접 모드 설정 요청 시 간접 모드를 활성화하는 간접 모드 활성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간접 모드 활성화 루틴은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 수신 시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활성화하여 제2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접속하는 루틴,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수집하는 루틴, 상기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루틴, 타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를 기반으로 처리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간접 모드 활성화 루틴은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 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타 전자 장치(101)와 연결 시도를 수행하는 루틴, 연결 성공 시 타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를 기반으로 처리하는 루틴, 연결 실패 시 보조 전자 장치(200)에 연결 실패를 알리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메인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인터넷 상에서 상기 메인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일정 근거리 이내의 통신을 무선으로 지원할 수 있는 또는 유선으로 지원할 수 있는 모듈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그리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보조 전자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이 연결될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보조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수신 받을 수 있다.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보조 전자 장치(200)에 마련된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앞서 설명한 직접 모드 환경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태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거나 또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입력부(120) 또는 입력 기능의 메인 표시부(140)로부터 직접 모드 설정이 요청되거나,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간접 모드에서 직접 모드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활성화될 수 있다. 간접 모드 설정이 요청되는 경우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비활성화를 유지하거나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은 제2 통신망(500) 접속 및 보조 전자 장치(200)와 무선 링크(link)를 형성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 랜(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그리고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은 제2 통신망(500) 이용과 관련한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은 타 전자 장치(101)가 제1 통신망(400)을 통해 전송한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제2 통신망(500)에 운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은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변환된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은 제2 통신망(500)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은 간접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타 전자 장치(101)가 전송한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은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전송한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 및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메인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모드 실행이 요청되면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보조 전자 장치(200)와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 간의 데이터를 직접 송수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일정 조건에 대응하여 근거리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은 보조 전자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이 통신 가능 거리를 벗어난 경우 근거리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상술한 일정 조건에 대응하여 근거리 통신 채널이 해제되어 직접 모드가 종료되면, 사전 정의된 설정에 따라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간접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제어부(160)는 사전 정의된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보조 전자 장치(200)와의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이 가능한 경우 사전 정의된 설정에 따라 간접 모드를 종료하고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 기반의 직접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간접 모드 실행이 요청되면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활성화하여 제2 통신망(5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직접 모드 전환이 요청되거나 사전 정의된 조건 예컨대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 기반의 직접 모드 실행이 가능한 경우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비활성화하고,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 기반의 직접 모드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메인 전자 장치(100) 제어와 관련한 다양한 신호의 처리와 전달 및 데이터의 전달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제어부(160)는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보조 전자 장치(200)와의 직접 모드 및 간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 지원과 관련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메인 제어부(16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메인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160)는 제1 통신 처리 모듈(161) 및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메인 전자 장치(100)의 직접 모드 실행을 처리할 수 있다.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직접 모드 실행과 관련한 메뉴 아이템, 아이콘, 버튼 키 할당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직접 모드 실행이 요청되면,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활성화하여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하여 타 전자 장치(101)로부터의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보조 전자 장치(200)가 통신 서비스 연결 허용 메시지를 전달하면 제1 통신망(400)을 통한 타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타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보조 전자 장치(200)가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제1 통신망(400)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고 통신 모듈(110)을 기반으로 타 전자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메인 전자 장치(100)의 간접 모드 실행을 처리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간접 모드 실행과 관련한 메뉴 아이템, 아이콘, 버튼 키 할당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간접 모드 실행이 요청되면,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활성화하여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제2 통신망(500)에 연결된 서비스 지원 장치(300)로부터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수집된 접속 정보와 제2 통신망(500)을 기반으로 보조 전자 장치(2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제2 통신망(500)을 기반으로 형성된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하여 타 전자 장치(101)로부터의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보조 전자 장치(200)가 통신 서비스 연결 허용 메시지를 전달하면 제1 통신망(400) 및 제2 통신망(500)을 통한 타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 서비스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타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제2 통신망(500)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제2 통신망(500)으로 전송한 데이터를 제1 통신망(400)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고 통신 모듈(110)을 기반으로 타 전자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제2 통신망(500)을 통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제2 통신망(500) 접속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수신된 통화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입된 정보를 이용하여 타 전자 장치(101)와 제1 통신망(400) 기반의 통신 서비스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타 전자 장치(101)가 통신 서비스 연결을 허용하는 경우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제2 통신망(500)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보조 전자 장치(2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타 전자 장치(101)가 제1 통신망(400)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제2 통신망(500)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전송하는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제1 통신망(400)을 통해 타 전자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제1 통신망(400)에 적용되는 데이터 타입을 제2 통신망(500)에 적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변환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제2 통신망(500)에 적용되는 데이터 타입을 제1 통신망(400)에 적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변환 및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간접 모드 실행 이전에 수신된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 예컨대, 부재중 통화 정보 및 미확인 메시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실시간 업로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누적하고 일정 시점에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 누적량이 일정량 이상인 경우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 전송과 관련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형성된 네트웍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 중 사전 정의된 일정 개수만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 전체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직접 모드 실행 중에 간접 모드 실행 조건이 만족되면, 통신 서비스 관련 처리를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간접 모드 실행을 요청하는 이벤트를 수신하거나, 직접 모드 실행 중에 근거리 통신 채널 해제 조건이 만족되면 간접 모드 전환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일정 조건에 의하여 근거리 통신 채널이 해제되면 간접 모드 실행을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에 요청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직접 모드 실행 중에 간접 모드 실행 조건이 만족되면, 제1 통신 처리 모듈(161)로부터 통신 서비스 관련 처리를 이관 받을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간접 모드 실행과 관련하여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타 전자 장치(101)와 보조 전자 장치(20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과 제2 통신망(500)을 통하여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간접 모드 실행 중에 직접 모드 실행 조건이 만족되면, 통신 서비스 관련 처리를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통신 처리 모듈(163)은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모드 전환이 발생하면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활성화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채널 기반으로 타 전자 장치(101) 및 보조 전자 장치(200)와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통신 처리 모듈(161)은 직접 모드 실행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메인 입력부(120), 입력 기능의 메인 표시부(140), 보조 전자 장치(200) 등으로부터 수신되거나 사전 정의된 직접 모드 실행 가능 조건이 만족되면 직접 모드 전환을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망(400)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110), 제2 통신망(500)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 설정된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 모듈(11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통해 연결되는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하거나,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통해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110)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간접 모드 실행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제어부(160)는 상기 통신 모듈(110)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중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제어부(160)는 상기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에 연결되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실시간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의 상기 간접 모드 실행 요청 시 상기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제어부(160)는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와 상기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 기반의 상기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160)는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와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기반의 직접 모드 실행 중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간접 모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는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160)는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와 상기 간접 모드 실행 중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간접 모드 실행을 중지하고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와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기반의 직접 모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보조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보조 입력부(220),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 보조 표시부(240), 보조 저장부(250),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 보조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영상 통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입력부(22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조 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사이드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개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입력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숫자 키, 문자 키, 내비게이션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조 표시부(240)가 터치 시트나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보조 입력부(220)를 입력 수단으로서 보조 표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입력부(220)는 간접 모드 설정과 관련한 입력 신호, 간접 모드 해제와 관련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조 입력부(220)는 간접 모드 실행 중 직접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조 입력부(220)는 특정 메뉴 선택과 관련한 입력 신호, 전화번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 폰북 검색과 관련한 입력 신호, 메시지 작성과 관련한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보조 입력부(220)가 생성한 입력 신호는 보조 제어부(260)에 전달되어 해당 기능 수행과 관련한 명령어 또는 명령어 셋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오디오 신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는 메인 전자 장치(100)가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 통신 모듈(110)(2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외부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 등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출력과 관련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는 통화 서비스 지원과 관련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는 간접 모드 설정 및 해제를 안내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 직접 모드 설정 및 해제를 안내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 간접 모드에서 직접 모드 전환 또는 직접 모드에서 간접 모드 전환을 안내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은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여 생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음성 인식 기능, 음성 명령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는 음성 인식 기능이나 음성 명령 기능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음성 인식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음성 인식 지원과 관련한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포함하거나 또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지원하는 서비스 서버 장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진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또는 독립적으로 보조 전자 장치(200)는 특정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 실행 중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에서 직접 모드 전환 또는 직접 모드에서 간접 모드 전환에 대응하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 또는 직접 모드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문자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을 안내하는 진동을 출력할 수도 있다.
보조 표시부(240)는 보조 전자 장치(200) 운용과 관련한 다양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표시부(24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대기 화면은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표시부(240)는 대기 화면에서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일부 영역만을 다른 영역에 비하여 밝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보조 표시부(240)는 대기 화면에서 시간 정보와 현재 실행되고 있는 기능 관련 아이콘 영역만을 다른 영역에 비하여 밝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년, 월, 일, 시, 분, 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표시부(240)는 간접 모드 및 직접 모드 관련 메뉴 아이템이나 간접 모드 관련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보조 표시부(240)는 간접 모드 및 직접 모드 설정 및 해제와 관련된 지시자 또는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표시부(240)는 통신 서비스 지원과 관련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표시부(240)는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 수신 관련 화면, 통신 서비스 연결 허용과 관련한 화면, 통신 서비스 연결 관련 화면, 통신 서비스 종료와 관련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표시부(24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과 관련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표시부(240)는 전화번호 입력과 관련한 다이얼 화면, 폰북 검색 화면, 통화 이력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폰북 정보를 사전 저장하거나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화 이력 정보를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화 이력 정보 출력 시 보조 전자 장치(200)를 통해 수행된 통화 이력과 메인 전자 장치(100)를 통해 수행된 통화 이력을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보조 전자 장치(200)를 통해 수행된 통화 이력만을 출력할 수 있으며, 설정 또는 요청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를 통해 수행된 통화 이력과 함께 또는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저장부(250)는 보조 전자 장치(200) 운용과 관련한 앱(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저장부(250)는 보조 전자 장치(200) 운용을 지원하는 운영 체제, 통화 서비스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화 서비스 프로그램은 간접 모드 관련 루틴 및 직접 모드 관련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서비스 프로그램은 보조 전자 장치(200)에서의 간접 모드 설정 및 해제 지원 루틴, 보조 전자 장치(200)에서의 직접 모드 설정 및 해제 지원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서비스 프로그램은 간접 모드 및 직접 모드 설정 또는 해제와 관련한 위젯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저장부(25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메인 저장부(150)와 유사한 형태로 마련되고, 보조 전자 장치(200) 운용을 위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은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은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과 호환 가능한 통신 모듈 또는 동일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은 설정에 대응하여 대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은 설정에 대응하여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스캔하여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은 직접 모드 실행 시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조 제어부(2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은 직접 모드 실행 시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가 수집한 오디오 데이터, 보조 입력부(220)가 입력한 메시지 등을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은 직접 모드 해제 시 또는 간접 모드 실행 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제2 통신망(50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무선 인터넷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제2 통신망(500)을 통하여 서비스 지원 장치(3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접속 정보 예컨대 IP 주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제2 통신망(500)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보조 제어부(2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보조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수집된 문자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제2 통신망(500)을 통하여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간접 모드 실행 시 활성화될 수 있다.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직접 모드 실행 시 비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직접 모드와 독립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직접 모드 수행 시, 보조 제어부(260) 제어에 따라 제2 통신망(500)을 통하여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는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은 제2 통신망(500)을 통하여 인터넷 네트웍에 연결된 특정 서비스 서버 장치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보조 전자 장치(200) 제어와 관련한 다양한 신호 흐름 제어 및 신호 처리, 데이터 전송과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제어부(260)는 직접 모드 실행 제어, 간접 모드 실행 제어, 직접 모드와 간접 모드 간 모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조 제어부(2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보조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제어부(260)는 제1 모드 처리부(261) 및 제2 모드 처리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 처리부(261)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직접 모드를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 처리부(261)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 기반의 스캔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스캔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모드 처리부(261)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 요청을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모드 처리부(261)는 형성된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해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며, 보조 입력부(220) 및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 등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 처리부(261)는 보조 입력부(220)에서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를 스캔할 수 있다. 제1 모드 처리부(261)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허용 여부 등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모드 처리부(261)는 보조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드 처리부(261)는 직접 모드에서 간접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직접 모드를 해제하고 간접 모드 전환을 위한 처리를 제2 모드 처리부(263)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모드 처리부(261)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 가능 거리를 보조 전자 장치(200)가 이탈하는 경우 제1 모드 처리부(261)는 해당 이벤트 발생 시점에 또는 사전 정의된 일정 시간 경과 후 간접 모드 전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1 모드 처리부(261)는 모드 전환을 묻는 팝업창을 출력하고, 확인 여부에 따라 간접 모드 전환을 제2 모드 처리부(263)에 요청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간접 모드 전환을 요청받으면, 제2 통신망(500) 접속 가능 여부에 따라 간접 모드 실행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간접 모드를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보조 입력부(220) 또는 입력 기능의 보조 표시부(24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간접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모드 처리부(263)는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을 활성화하여 제2 통신망(500)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제2 통신망(500)에 연결된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제2 통신망(500) 접속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메인 전자 장치(100)에 간접 모드 실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요청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보조 전자 장치(200) 이동에 대응하여 접속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접속 정보 변경을 안내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가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상태를 추적하고, 변경에 대응하여 갱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간접 모드 실행과 관련한 입력 신호 수신 시점에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 접속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 접속을 지원하는 접속점이 주변에 배치되지 않았거나, 신호 환경의 정도가 일정 이하여서 접속점에 접속이 불가능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간접 모드 실행이 요청되더라도 제2 통신망(500)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 이에 대한 알람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모드 처리부(263)는 제2 통신망(500) 접속 불가 상태에 해당하는 메시지나 안내음, 특정 진동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제2 통신망(500) 접속 가능 시점이 되면 간접 모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모드 처리부(263)는 간접 모드 실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2 모드 처리부(263)는 간접 모드 실행을 할 것인지 묻는 팝업창을 출력한 후, 확인 여부에 따라 간접 모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제2 통신망(500)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 및 보조 표시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통신 서비스 연결 허용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연결 허용을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타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모드 처리부(263)는 타 전자 장치(101)가 메인 전자 장치(100)를 통해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가 수집한 오디오 데이터를 메인 전자 장치(100)를 통해 타 전자 장치(101)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보조 입력부(220) 또는 입력 기능의 보조 표시부(240)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 예컨대 전화번호 및 통화 걸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제2 통신망(500)을 통하여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메인 전자 장치(100)에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 및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정보들을 토대로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서비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가 통신 서비스 연결이 성공하면,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해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서비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가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서비스 연결이 실패하면,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 실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수신된 통신 서비스 연결 실패 메시지를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 및 보조 표시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일정 시간 이내 또는 통신 서비스 연결 실패 메시지 수신 시에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이 다시 발생하지 않는 경우 네트웍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 처리부(263)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로부터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메인 전자 장치(100)와 제2 통신망(500)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형성된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가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서비스 연결을 수행하면,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메인 전자 장치(100)를 통한 타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 서비스 연결을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제2 모드 처리부(263)는 통신 서비스 연결 실패 메시지를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연결 실패 시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네트웍 통신 채널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는 설정된 스케줄 정보 또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간접 모드 실행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간접 모드 실행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활성화하여 제2 통신망(5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전자 장치(100)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로부터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수집하거나 또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를 통해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제2 모드 처리부(263)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인 전자 장치(1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드 처리부(263)는 간접 모드 해제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2 통신망(500) 접속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모드 처리부(263)는 간접 모드 해제 요청 시 메인 전자 장치(100)와 형성한 네트웍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간접 모드 해제가 발생하거나 직접 모드 전환 요청이 발생하면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제2 모드 처리부(263)는 제1 모드 처리부(261)로부터 간접 모드 실행 요청을 전달받으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을 활성화하고 제2 통신망(500) 접속 처리 및 서비스 지원 장치(300) 접속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1 통신망(400)을 통해 송수신되는 통신 서비스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망(500) 기반으로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보조 제어부(260), 상기 제2 통신망(500)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제어부(260)는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네트웍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중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제어부(260)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수신한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서비스 지원 장치(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제어부(260)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통신망(500) 접속 정보를 상기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보조 전자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260)는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와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기반의 직접 모드 실행 중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간접 모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는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해제 또는 형성을 안내하는 메시지 및 상기 간접 모드 전환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조 표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는 상기 간접 모드 전환 중 상기 제2 통신망(500) 접속 불가 시 그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조 표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260)는 상기 간접 모드 해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 기반의 직접 모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는 상기 간접 모드 실행 또는 해제 설정과 관련한 위젯을 출력하는 보조 표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전화번호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이 가능한 다이얼 화면, 저장된 폰북 또는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폰북 정보 표시 화면,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제공한 통화 목록 및 저장된 통화 목록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통화 목록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보조 표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서비스 지원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서비스 통신 모듈(310), 서비스 저장부(350) 및 서비스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통신 모듈(310)은 제2 통신망(500)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통신 모듈(310)은 인터넷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서비스 통신 모듈(310)은 제2 통신망(500)과 접속 상태를 유지하고,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통신 모듈(310)은 메인 전자 장치(100)의 사용자 인증 정보 및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통신 모듈(310)은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통신 모듈(310)은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의 통신 서비스 연결을 서비스 지원 장치(300)를 통해 수행하는 경우, 서비스 통신 모듈(310)은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통신 모듈(310)은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하고,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저장부(350)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 운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저장부(350)는 사용자 인증 데이터베이스(351) 및 사용자 접속 정보 데이터베이스(35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데이터베이스(351)는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 인증 및 식별과 관련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증 데이터베이스(351)는 메인 전자 장치(100) 식별 정보, 메인 전자 장치(100) 등록과 관련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정보, 메인 전자 장치(100)와 연계된 보조 전자 장치(200)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 식별 정보는 기기 고유 정보 예컨대 MAC 주소 정보, 전화번호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 특정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데이터베이스(351)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시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인증 정보와 비교되는 기준 정보들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접속 정보 데이터베이스(353)는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접속 정보 데이터베이스(353)는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제2 통신망(50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제2 통신망(500)으로부터 할당받는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접속 정보 데이터베이스(353)는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들의 제2 통신망(500) 접속 상황 변경에 대응하여 주소 정보가 변경되면, 그에 대응하여 정보 갱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저장부(350)는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전자 장치(100)의 부재중 통화 정보 및 미확인 메시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는 설계 방식에 따라 발생 시마다 업로드되어 서비스 저장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는 보조 전자 장치(200) 요청에 따라 또는 보조 전자 장치(200)가 간접 모드 실행을 요청하는 시점에 서비스 제어부(360) 제어에 따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요청될 수 있다. 서비스 저장부(350)에 저장된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시점에 또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60)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 운용과 관련한 신호 처리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어부(36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 수집, 저장 및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60)는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의 간접 모드 등록 요청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와 보조 전자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6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시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정보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6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시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수집 및 저장 관리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 제어부(360)는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기준으로 수집된 접속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60)는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간접 모드 실행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부(360)는 메인 전자 장치(100)가 간접 모드 실행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제공하면, 해당 응답 신호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어부(360)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타 전자 장치(101)가 전송한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어부(360)는 메인 전자 장치(100) 요청에 대응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어부(360)는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 제어부(36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어부(36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요청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정보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가 제공한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정보를 토대로 메인 전자 장치(1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망(500)을 통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제1 통신망(400)과 연결된 메인 전자 장치(100)와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의 상기 제1 통신망(400) 기반 송수신 데이터를 이용하는 보조 전자 장치(2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서비스 통신 모듈(310),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와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의 네트웍 통신 채널 형성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360)는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제2 통신망(500) 접속 정보를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360)는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와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어부(360)는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시점 또는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설정과 관련한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 앞서,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에 관한 간접 모드 등록 정보를 사전 저장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2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접속하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간접 모드 서비스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 서비스 등록 요청 과정에서 식별 정보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를 간접 모드를 실행한 장치들로 등록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활성화하고, 제2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접속 정보를 제공한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적용되는 간접 모드 지원용 앱(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 지원용 앱을 활성화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정보 등록과 간접 모드 대기 상태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설정과 관련한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은 과정 701에서 간접 모드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가 간접 모드 요청 메시지 및 접속 정보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보조 입력부(220) 또는 입력 기능의 보조 표시부(240) 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보조 전자 장치(200)는 직접 모드 실행 상황에서 사전 정의된 조건에 대응하여 간접 모드 전환을 요청받을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간접 모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보조 전자 장치(200)와 함께 등록된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확인된 접속 정보를 토대로 과정 703에서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과정 705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간접 모드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간접 모드 실행에 대한 안내 정보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메인 전자 장치(100)는 간접 모드 실행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의 메인 표시부(140)는 별도의 팝업 출력 등을 수행하지 않고 이전 상태 예컨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과정 707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간접 모드 실행에 대한 응답 정보(Ack) 및 접속 정보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과정 709에서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접속 정보 저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통신망(500)이 IP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지원되는 경우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접속하는 접속점의 위치 및 접속점의 기기 특성에 대응하여 주소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2 통신망(500)에 대한 접속 정보 변경이 발생하면 변경된 접속 정보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상태를 추적하고, 접속 정보 변경 시 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제2 통신망(500)에서의 접속 정보가 변경되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변경된 접속 정보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정보 관리와 유사하게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상태를 추적하고 정보 변경 시, 접속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는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일정 정보 예컨대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보조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전자 장치(100)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 수신 이전에 수신한 부재중 통화 정보, 미확인 메시지 정보 등을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부재중 통화 정보, 미확인 메시지 정보를 실시간 업로드 하거나 또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 수신 시 누적된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간접 모드 실행 요청과 관련한 접속이 수행되면, 메인 전자 장치(100)가 업로드한 정보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 실행 이전에 메인 전자 장치(100)가 제공한 정보를 수신하면, 보조 표시부(240)나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 등의 출력 장치를 통해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 수신 시,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와 제2 통신망(500)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2 통신망(500) 기반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부재중 통화 정보나 미확인 메시지 정보 등 일정 정보를 직접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정 정보 전송 후, 메인 전자 장치(100)는 보조 전자 장치(200) 간에 형성된 통신 채널을 해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제2 통신망(500)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 접속이 가능한 경우 이하 절차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 접속이 불가능하면, 간접 모드 실행 불가와 관련한 메시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2 통신망(500)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접속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 접속이 가능한 상황 예컨대 접속점 접속 가능 범위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 자동으로 또는 확인 과정을 거쳐 간접 모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통신망(500) 접속이 성공하고, 간접 모드 실행을 메인 전자 장치(100)에 요청한 경우 간접 모드 실행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설정과 관련한 보조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설정과 관련한 보조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은 과정 801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기능 대기 또는 기능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제어부(260)는 시간 표시 기능, 문자 작성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등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과정 803에서, 예컨대 보조 제어부(26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가 간접 모드 요청에 관한 이벤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간접 모드 요청에 관한 이벤트가 아니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제어부(260)는 이벤트 종류에 대응하여 음악 재생 중 볼륨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과정 803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간접 모드 요청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과정 807에서 서비스 지원 장치(300)를 통해 간접 모드 실행을 메인 전자 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제어부(260)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2 네트웍 통신 모듈(280), 제2 통신망(500)을 거쳐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제어부(260)는 메인 전자 장치(100)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가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경우, 별도의 메인 전자 장치(100) 식별 정보 전송은 생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가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간접 모드 실행 요청을 수신함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보조 전자 장치(200)는 메인 전자 장치(100)가 전송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설정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 수신에 대응하는 팝업창 출력, 오디오 안내음 출력 및 알림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 실행 상태임을 지시하는 아이콘이나 지시자 등을 보조 표시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
과정 809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기능 종료에 대응하는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기능 종료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보조 전자 장치(200)의 기능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기능 종료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과정 805로 분기하여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제어부(260)는 간접 모드 실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사용자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전달과 관련한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10) 중 메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또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간접 모드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간접 모드 실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망(400)에 대한 대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전달과 관련한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은 과정 901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가 통신 서비스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망(400)과 연결된 타 전자 장치(101)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과정 903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보조 전자 장치(200) 접속 정보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활성화여 제2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지원 장치(300)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메인 전자 장치(100)는 간접 모드 실행 중에 서비스 지원 장치(300)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과정 905에서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가 제공한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과정 907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형성된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 수신 알림을 보조 전자 장치(200)에 알릴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과정 909에서 보조 전자 장치(200)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의 통신 서비스 수신 알림에 대응하여 수신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신 서비스 수신이 발생했음을 지시하는 팝업창을 출력하거나, 오디오 안내음을 출력하거나 사전 정의된 일정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보조 전자 장치(200)는 사전 정의된 일정 패턴의 램프 점멸을 수행할 수도 있다. 과정 911에서 보조 전자 장치(200)는 보조 입력부(220) 또는 입력 기능의 보조 표시부(240)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을 허용하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신 서비스 연결 허용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창 또는 메뉴 아이템을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연결 허용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되면, 연결 허용 이벤트 수신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과정 913에서, 보조 전자 장치(200)는 타 전자 장치(101)의 통신 서비스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연결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과정 915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서비스 연결 허용에 관한 메시지를 제1 통신망(400)을 통하여 타 전자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제1 통신망(400)을 통하여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채널 예컨대 음성 통화 채널, 영상 통화 채널 등을 형성할 수 있다.
과정 917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타 전자 장치(101)가 전송한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 등이 수집한 데이터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과정 917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타 전자 장치(101)가 제1 통신망(400)을 통해 제공한 데이터를 제2 통신망(500)에 맞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 후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제2 통신망(500)을 통해 제공한 데이터를 제1 통신망(400)에 맞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한 후 제1 통신망(400)을 통해 타 전자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는 이동통신 네트웍 형식으로 작성된 데이터를 인터넷 네트웍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과 인터넷 네트웍 형식의 데이터를 이동통신 네트웍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가 네트웍 통신 모듈 기반으로 형성된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서비스 수신 알림 및 연결 요청과 데이터 변환 및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는 메시지 및 데이터 전달을 서비스 지원 장치(300)를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서비스 수신 알림을 서비스 지원 장치(300)를 거쳐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를 통해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타 전자 장치(101)가 전송한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를 거쳐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를 거쳐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전달과 관련한 메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전달과 관련한 메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은 메인 제어부(160)가 과정 1001에서 기능 대기 또는 기능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제어부(160)는 메인 표시부(140)가 턴-오프된 상태이면서 통신 모듈(110)이 대기 상태인 슬립 상태를 운용할 수 있다. 과정 1003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이벤트가 통신 서비스 수신에 관한 이벤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통신 서비스 수신에 관한 이벤트가 아니면 과정 1005에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제어부(160)는 이전 상태인 슬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과정 1003에서 통신 서비스 수신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과정 1007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보조 전자 장치(200) 접속 정보 수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활성화하고, 제2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지원 장치(300)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접속 과정에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등록한 보조 전자 장치(200)의 현재 접속 정보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요청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수집하면, 수집된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과정 1009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타 전자 장치(101)로부터 통신 서비스 수신에 대응하는 통신 서비스 수신 알림을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제어부(160)는 타 전자 장치(101)의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포워딩하거나, 타 전자 장치(101)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별도의 메시지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과정 1011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통신 서비스 연결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연결 미허용 또는 연결 취소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과정 1013에서 사전 정의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제어부(160)는 제1 통신망(400)을 통해 타 전자 장치(101)에 연결 거절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연결 거절에 대응하는 메시지 송신에 대한 처리 알림을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연결 거절 수행에 대응하는 메시지 출력을 메인 표시부(140) 및 메인 오디오 처리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제어부(160)는 상술한 연결 거절 처리 과정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는 메인 표시부(140)가 턴-오프 상태인 슬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과정 1011에서 연결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면, 과정 1015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데이터 변환 및 송수신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제어부(160)는 타 전자 장치(101)에 통신 서비스 연결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타 전자 장치(101)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제2 통신망(500)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 또는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 후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제1 통신망(400)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 또는 통신 모듈(110)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 후 타 전자 장치(101)에 전송할 수 있다.
과정 1017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기능 종료에 대응하는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기능 종료 이벤트 발생 시, 메인 전자 장치(100)의 기능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기능 종료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1011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전달과 관련한 보조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전달과 관련한 보조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은 과정 1101에서 보조 제어부(260)가 기능 대기 또는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제어부(260)는 보조 전자 장치(200)가 지원하는 음악 재생 기능이나, 사진 촬영 기능, 문자 작성 기능, 시간 표시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과정 1103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통신 서비스 수신 알림을 수신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통신 서비스 수신 알림이 없는 경우, 과정 1105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해당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제어부(260)는 이벤트 종류에 대응하는 음악 재생 기능 유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수신 알림은 서비스 지원 장치(300)로부터 수신하거나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과 관련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와 제2 통신망(500)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 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과정 1103에서 통신 서비스 수신 알림이 발생하면, 보조 제어부(260)는 과정 1107에서 수신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통신 서비스가 수신되었음을 안내하는 팝업창을 보조 표시부(240)에 출력하거나, 그에 대응하는 패턴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보조 제어부(260)는 통신 서비스 수신을 안내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램프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통신 서비스 연결 허용 여부를 묻는 팝업창을 출력할 수도 있다.
과정 1109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통신 서비스 연결과 관련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보조 제어부(260)는 과정 1111로 분기하여 통신 서비스 연결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통신 서비스 연결과 관련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연결 요청 메시지 또는 연결 허용 메시지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제2 통신망(500)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해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서비스 운용과 관련한 데이터를 메인 전자 장치(1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과정 1109에서 연결을 불허하는 입력 이벤트 예컨대 연결 거절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과정 1113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연결 취소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연결 취소 또는 연결 거절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과정 1115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기능 종료 이벤트 발생 시 보조 전자 장치(200)의 기능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기능 종료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서 통신 서비스 수신이 추가로 발생하면 과정 1109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보조 제어부(260)는 기능 종료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과정 1103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요청과 관련한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요청과 관련한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은 과정 1201에서 보조 전자 장치(200)가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과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전자 장치(200)는 폰북 리스트 출력 화면, 다이얼 화면, 통화 이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특정 전화번호 입력 및 통화 걸기 입력이 발생하면, 해당 입력을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발생으로 인식할 수 있다.
과정 1203에서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정보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제2 통신망(500) 접속 정보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에는 타 전자 장치(101)의 전화번호 정보 및 통화 걸기 요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와 함께 등록된 메인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제2 통신망(500) 접속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과정 1205에서,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 및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정보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제2 통신망(500)을 통해 메인 전자 장치(100)와 네트웍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해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제외한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과정 1207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서비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가 전송한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 내에 포함된 타 전자 장치(101)의 전화번호 정보를 토대로 타 전자 장치(101)에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타 전자 장치(101)가 통신 서비스 연결을 허용하는 경우 타 전자 장치(101)와 제1 통신망(400)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과정 1029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보조 전자 장치(200)와 제2 통신망(500)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데이터 변환 및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함께 수신된 보조 전자 장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타 전자 장치(101)의 통신 서비스 중계를 위하여 제1 통신망(400)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제2 통신망(500)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 후 전송하고, 제2 통신망(500)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제1 통신망(400)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 후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는 과정 1205에서 보조 전자 장치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과정 1207과 과정 1209 사이에 서비스 지원 장치(300)는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전자 장치(100)는 수집된 보조 전자 장치(200)의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보조 전자 장치(2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전자 장치(100)는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서비스 연결에 실패할 수 있다. 메인 전자 장치(10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실패 시, 보조 전자 장치(200)에 통신 서비스 연결 실패를 알릴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는 보조 전자 장치(2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 연결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서비스 지원 장치(300)를 통해 연결 실패 메시지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요청과 관련한 메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요청과 관련한 메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은 메인 제어부(160)가 과정 1301에서 기능 대기 또는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제어부(160)는 슬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과정 1303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이 발생하지 않으면, 과정 1305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거나 이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수신과 관련하여 제1 네트웍 통신 모듈(180)을 활성화하고 제2 통신망(500)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과정 1330에서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을 보조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면, 메인 제어부(160)는 과정 1307에서 연결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수신과정에서 타 전자 장치(101)의 전화번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타 전자 장치(101)에 통화 걸기를 수행할 수 있다.
과정 1309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서비스 연결이 수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통신 서비스 연결이 수행된 경우, 과정 1311에서 데이터 변환 및 송수신을 통한 통신 서비스 연결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제어부(160)는 보조 전자 장치(200)와 제2 통신망(500)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타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 서비스 중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제1 통신망(400)과 제2 통신망(500) 사이의 데이터 전달을 위한 데이터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과정 1309에서 통신 서비스 연결에 실패한 경우, 예컨대 타 전자 장치(101)가 연결을 거절하였거나,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연결 허용을 하지 않은 경우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연결이 수행되지 않으면, 메인 제어부(160)는 과정 1313에서 연결 실패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제어부(160)는 연결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결 실패 메시지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연결 실패 메시지 전송과 관련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일시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제어부(160)는 연결 실패 메시지를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달하고, 서비스 지원 장치(300)가 연결 실패 메시지를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과정 1315에서 메인 제어부(160)는 기능 종료와 관련한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기능 종료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면, 보조 전자 장치(200)의 기능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60)는 기능 종료 관련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과정 1301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요청과 관련한 보조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 서비스 요청과 관련한 보조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은 과정 1401에서 보조 제어부(260)가 기능 운용 또는 기능 대기를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제어부(260)는 시간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제어부(260)는 음악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과정 1403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에 관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보조 입력부(220), 입력 기능의 보조 표시부(2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에 관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과정 1405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발생되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과정 1403에서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에 관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과정 1407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제어부(26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타 전자 장치(101)의 전화 번호 정보 및 통화 걸기 정보를 포함하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비스 지원 장치(300)가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제어부(260)는 서비스 지원 장치(300)로부터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정보를 요청하고,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제2 통신망(500)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메인 전자 장치(100)와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네트웍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연결 요청 메시지를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과정 1409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통신 서비스 연결 성공에 대한 메시지 수신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연결이 성공하면 과정 1411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통신 서비스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제어부(260)는 메인 전자 장치(100) 요청에 대응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되는 타 전자 장치(101)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보조 오디오 처리부(23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해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영상 통화 서비스가 진행되는 경우 보조 제어부(260)는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하여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수집된 영상 정보를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해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달하고,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타 전자 장치(101)가 전송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과정 1409에서 통신 서비스 연결이 실패하면, 과정 1413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연결 실패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연결 실패 시 보조 제어부(260)는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연결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수신된 연결 실패 메시지에 대응하는 팝업창을 출력하거나, 그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과정 1415에서 보조 제어부(260)는 기능 종료 관련 이벤트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기능 종료 관련 이벤트 발생 시 보조 전자 장치(200)의 기능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보조 제어부(260)는 기능 종료 관련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과정 1403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은 제1 통신망(400)과 연결된 메인 전자 장치(100)의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이용하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이벤트를 보조 전자 장치(200)가 수신하는 과정,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제2 통신망(500)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가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망(500) 기반으로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망(400)을 통해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수신한 데이터 중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가 수신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출력 과정은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상기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망(500)에 연결된 서비스 지원 장치(300)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지원 장치(300)가 상기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망(500)을 통해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망(400) 기반으로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수신한 통신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가 상기 제2 통신망(500)을 통해 수신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의 통신 서비스 연결 허용 여부를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메인 전자 장치(100)가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2 통신망(500) 접속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와 상기 제2 통신망(500) 기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제1 통신망(400) 기반의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통신망(500) 기반으로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상기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에 기입된 정보를 기반으로 타 전자 장치(101)와 통신 서비스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상기 통신 서비스 연결 결과를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보조 전자 장치(200)와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 간의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해제 또는 형성을 안내하는 메시지 및 상기 간접 모드 전환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간접 모드 전환 중 상기 제2 통신망(500) 접속 불가 시 그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간접 모드 실행 또는 해제 설정과 관련한 위젯을 출력하는 과정, 전화번호 및 문자 입력이 가능한 다이얼 화면, 저장된 폰북 또는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폰북 정보 표시 화면, 상기 메인 전자 장치(100)가 제공한 통화 목록 및 저장된 통화 목록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통화 목록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운용에 적용될 수 있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설명에서 화면 인터페이스는 보조 전자 장치의 보조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하에서 설명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는 메인 전자 장치 및 보조 전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는 간접 모드 실행 및 해제 요청과 관련된 간접 모드 영역과 직접 모드 실행 및 해제 요청과 관련된 직접 모드 영역을 포함하는 위젯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보조 표시부(240)는 간접 모드 영역만을 포함하는 위젯, 직접 모드 영역만을 포함하는 위젯 등을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위젯은 아이콘 형태로 제공 가능할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보조 표시부(240)는 대기 화면(40)을 출력할 수 있다. 대기 화면(40)은 시간 표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표시부(240)는 간접 모드 및 직접 모드 선택이 가능한 모드 선택 위젯(241)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모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 간에 근거리 통신 모듈 기반의 근거리 직접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컨대, 직접 모드는 별도의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근거리 통신 모듈들을 통신 채널 형성을 기반으로 하는 모드일 수 있다. 간접 모드는 메인 전자 장치(100)와 보조 전자 장치(200)가 특정 통신망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인터넷 네트웍 기반의 망일 수 있다. 간접 모드에서 보조 전자 장치(200)와 메인 전자 장치(100)는 거리나 특정 배치 상태에 관계없이 인터넷 네트웍 접속이 가능한 위치에서 서로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모드 선택 위젯(241)은 간접 모드 영역(241a) 및 직접 모드 영역(241b)을 포함할 수 있다. 간접 모드 영역(241a)은 간접 모드 실행을 요청하는 영역일 수 있다. 직접 모드 영역(241b)은 직접 모드 실행을 요청하는 영역일 수 있다.
간접 모드 실행이 요청된 경우, 보조 표시부(240)는 간접 모드 대기 화면(50)에서와 같이 모드 선택 위젯(241)의 이미지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표시부(240)는 간접 모드 영역(241a)과 직접 모드 영역(241b)이 서로 구분되도록 색이나 밝기,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간접 모드 실행 요청과 관련하여, 보조 전자 장치(200)는 모드 선택 위젯(241)에서 간접 모드 영역(241a)을 터치 하는 등의 영역 선택이 발생하면 간접 모드 실행 요청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간접 모드 실행을 위해 사전 정의된 특정 키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간접 모드 실행 요청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보조 전자 장치(200)는 폰북 리스트 화면, 다이얼 화면, 통화 이력 화면 등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화 번호 선택 및 통화 걸기가 요청되면 자동으로 간접 모드 실행 요청으로 인식할 수 있다.
간접 모드 실행에 따라 보조 전자 장치(200)가 제2 통신망(500)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간접 모드 대기 화면(50)은 제2 통신망(500)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네트웍 통신 상태 지시자를 상태바 영역이나 보조 표시부(240) 화면의 일정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간접 모드 대기 화면(50)은 현재 서비스 상태를 나타내는 특정 텍스트 정보 예컨대 통신 서비스 수신 대기에 해당하는 텍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간접 모드 대기 화면(50)은 특정 텍스트 정보를 대체하는 이미지 정보를 독립적으로 또는 텍스트 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직접 모드 실행이 요청된 경우 보조 표시부(240)는 직접 모드 화면(60)에서와 같이 모드 선택 위젯(241)의 이미지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표시부(240)는 현재 실행 중인 직접 모드에 대응하는 직접 모드 영역(241b)을 간접 모드 영역(241a)보다 밝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선택 위젯(241)의 이미지 변화는 상술한 밝기 변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모드 선택 위젯(241)의 이미지 변화는 실행 중인 모드에 대응하여 색 변화 및 형태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모드 영역(241b)이 선택되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직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전자 장치(200)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270)을 활성화하여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을 스캔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메인 전자 장치(100)의 제1 근거리 통신 모듈(170)과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직접 모드 화면(60)은 근거리 통신 채널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근거리 통신 상태 지시자를 상태바 영역이나 보조 표시부(240)의 일정 위치에 출력할 수 있다.
간접 모드 대기 화면(50)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라 보조 표시부(24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화면(70)을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과 관련하여 메뉴 아이템이나 아이콘 또는 특정 핫 키를 제공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과 관련한 이벤트 예컨대, 폰북 리스트 출력 요청이 발생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화면(70)을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폰북 리스트를 보조 저장부(250)에 저장한 상태에서 제공하거나, 메인 전자 장치(100)에 요청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표시부(240)는 다이얼 항목이 선택되면, 숫자 및 문자 입력이 가능한 다이얼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보조 표시부(240)는 통화 목록 항목이 선택되면, 이전 통화 목록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전자 장치(200)는 통화 목록 출력 시 보조 저장부(250)에 저장된 통화 이력을 출력하거나 메인 전자 장치(100)에 통화 이력을 요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보조 전자 장치(200)는 일정 기간 예컨대 일주일 또는 한 달 등의 기간 동안 송수신한 통화 이력을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보조 전자 장치(200)는 보조 전자 장치(200)를 통해 송수신한 통화 이력 및 메인 전자 장치(100)를 통해 송수신한 통화 이력을 구분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화면(70)에서 특정 전화번호 항목이 선택되거나 특정 전화 번호 항목이 지정된 상태에서 연결 항목이 선택되면 보조 전자 장치(200)는 메인 전자 장치(100)에 통신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따르면, 보조 전자 장치(200)가 메인 전자 장치(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탈되더라도 메인 전자 장치(100) 기반의 통신 서비스 운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보조 전자 장치(200)가 착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환경에서 메인 전자 장치(100)와의 상대적 위치에 관계없이 보조 전자 장치(200)를 이용한 메인 전자 장치(100)의 기능 운용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보조 전자 장치(200)의 활용성을 극대화하여 정보의 열람과 확인 및 기능 제어를 보다 손쉽고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모듈, NFC(Near Filed Communication) 모듈, 진동 모터, 액세서리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전자 장치(100) 및 보조 전자 장치(2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들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통신 서비스 운용 시스템
100 : 메인 전자 장치 101 : 타 전자 장치
110 : 통신 모듈 120 : 메인 입력부
130 : 메인 오디오 처리부 140 : 메인 표시부
150 : 메인 저장부 160 : 메인 제어부
170 : 제1 근거리 통신 모듈 180 : 제1 네트웍 통신 모듈
200 : 보조 전자 장치 220 : 보조 입력부
230 : 보조 오디오 처리부 240 : 보조 표시부
250 : 보조 저장부 260 : 보조 제어부
270 : 제2 근거리 통신 모듈 280 : 제2 네트웍 통신 모듈
300 : 서비스 지원 장치 400 : 제1 통신망
500 : 제2 통신망

Claims (29)

  1. 제 1 통신망 기반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통신 모듈과,
    제 2 통신망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 1 네트웍 통신 모듈과,   간접 모드를 지원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네트웍 통신 모듈을 통해 밖으로 연결되는 보조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 1 네트웍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보조 전자 장치와 전송되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도록 설정된 간접 모드의 실시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보조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해제 시, 상기 간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제어하는 메인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중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보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메인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네트웍 통신 모듈에 연결되는 서비스 지원 장치에 실시간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보조 전자 장치의 상기 간접 모드 실행 요청 시 상기 서비스 지원 장치에 전송하는 메인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자 장치와 상기 제1 네트웍 통신 모듈 기반의 상기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네트웍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보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메인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자 장치와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기반의 직접 모드 실행 중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간접 모드 실행을 제어하는 메인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1 근거리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보조 전자 장치와 상기 간접 모드 실행 중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간접 모드 실행을 중지하고 상기 보조 전자 장치와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기반의 직접 모드 실행을 제어하는 메인 전자 장치.
  7. 제1 통신망을 통해 통신 서비스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간접 모드 실행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망 기반으로 메인 전자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보조 제어부;
    상기 제2 통신망 기반의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2 네트웍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제2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해제 시, 상기 간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제어하는 보조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전자 장치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네트웍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메인 전자 장치가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중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보조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부는
    서비스 지원 장치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 전자 장치가 수신한 미확인 통신 서비스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서비스 지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보조 전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부는
    서비스 지원 장치와 네트웍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통신망 접속 정보를 상기 서비스 지원 장치에 전송하는 보조 전자 장치.
  11. 삭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채널 해제 또는 형성을 안내하는 메시지 및 상기 간접 모드 전환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보조 전자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모드 전환 중 상기 제2 통신망 접속 불가 시 그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보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보조 전자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부는
    상기 간접 모드 해제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메인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 채널 기반의 직접 모드 실행을 제어하는 보조 전자 장치.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 모드 실행 또는 해제 설정과 관련한 위젯을 출력하는 보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보조 전자 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전화번호 및 문자 입력이 가능한 다이얼 화면;
    저장된 폰북 또는 상기 메인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폰북 정보 표시 화면;
    상기 메인 전자 장치가 제공한 통화 목록 및 저장된 통화 목록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통화 목록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보조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보조 전자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30121202A 2013-10-11 2013-10-11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41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202A KR102241318B1 (ko) 2013-10-11 2013-10-11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201480055891.9A CN105637976B (zh) 2013-10-11 2014-05-12 通信服务操作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AU2014332794A AU2014332794B2 (en) 2013-10-11 2014-05-12 Communication service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PCT/KR2014/004224 WO2015053454A1 (en) 2013-10-11 2014-05-12 Communication service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2014099458A JP6567254B2 (ja) 2013-10-11 2014-05-13 通信サービス運用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電子装置
EP14168632.9A EP2860951B1 (en) 2013-10-11 2014-05-16 Communication service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4/286,855 US20180131771A9 (en) 2013-10-11 2014-05-23 Communication service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202A KR102241318B1 (ko) 2013-10-11 2013-10-11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86A KR20150042486A (ko) 2015-04-21
KR102241318B1 true KR102241318B1 (ko) 2021-04-16

Family

ID=5079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202A KR102241318B1 (ko) 2013-10-11 2013-10-11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131771A9 (ko)
EP (1) EP2860951B1 (ko)
JP (1) JP6567254B2 (ko)
KR (1) KR102241318B1 (ko)
CN (1) CN105637976B (ko)
AU (1) AU2014332794B2 (ko)
WO (1) WO20150534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5163B2 (ja) 2008-04-08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端末、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079707A (zh) * 2013-03-28 2014-10-01 联想(北京)有限公司 通信方法和电子设备
JP6634694B2 (ja) * 2014-06-06 2020-01-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131348B1 (en) * 2015-06-12 2019-07-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consumption control method for wearable device, and wearable device
US10517132B2 (en) * 2015-07-17 2019-12-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rminal devices, network nod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JP2017050810A (ja) * 2015-09-04 2017-03-09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制御方法、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79344A (ja) * 2015-10-19 2017-04-2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水事業用通信システム
KR102638667B1 (ko) * 2016-06-17 202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423939B1 (en) * 2016-07-25 2020-11-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virtual input device
US10528607B2 (en) * 2016-07-29 2020-01-07 Splunk Inc. Syntax templates for coding
ES2880027T3 (es) * 2016-09-22 2021-11-23 Saronikos Trading & Services Unipessoal Lda Sistema, equipo de usuario, producto de programa de ordenador y método para proporcionar acceso a servicios de comunicaciones móviles
JP6988124B2 (ja) * 2017-03-27 2022-01-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装置、電子時計、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74409B1 (ko) * 2017-03-31 2019-08-28 주식회사 하이시스테크놀로지 블루투스를 이용한 양방향 영상정보 제공방법
US20190260708A1 (en) * 2018-02-21 2019-08-22 Abdullah Khalid Alrasheed Text-based telephonic system
CN111756604B (zh) * 2019-03-29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配合方法、装置及***
US10880356B1 (en) 2019-08-05 2020-12-29 Amazon Technologies, Inc. Techniques for switching communication channe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4215A (ja) 2008-09-16 2010-04-02 Pioneer Electronic Corp 通信機器、情報通信システム、通信機器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15771A (ja) * 2011-11-30 2013-06-10 Honda Access Corp 車載装置と携帯情報端末との間で利用される無線によるコンテンツ転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039A (ja) * 2000-10-16 2002-04-26 Casio Comput Co Ltd 通信システム、および、身体装着型無線通信端末。
US7526314B2 (en) * 2002-02-20 2009-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mote data storage and retrieval for portable electronics
US9179495B1 (en) * 2003-07-08 2015-1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plementing “all wireless” network over WiFi equipment using “scheduled TDMA”
US7299009B2 (en) * 2004-02-25 2007-11-20 Nokia Corporation Blue-tooth assis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home network systems
US7957733B2 (en) * 2004-07-16 2011-06-07 Sellerbi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communications with different user terminals
US7882238B2 (en) * 2005-07-08 2011-02-01 Qualcomm Incorporated Using bluetooth to establish ad-hoc connections between non-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US8543169B1 (en) * 2006-01-18 2013-09-24 At&T Mobility Ii Llc Location based caller identification
CN101282464B (zh) * 2007-04-03 2012-12-19 联想(北京)有限公司 转移视频的终端及方法
US8364139B2 (en) * 2007-04-19 2013-01-29 Apple Inc. Personal area network systems and device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WO2009018361A1 (en) * 2007-07-30 2009-02-05 Marvell Semiconductor, Inc. Simultaneously maintaining bluetooth and 802.11 connections to increase data throughput
US7970350B2 (en) * 2007-10-31 2011-06-28 Motorola Mobilit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ent sharing
JP4535163B2 (ja) * 2008-04-08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端末、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398136B2 (en) * 2009-04-20 2016-07-19 Apple Inc. Handheld device capable of providing data tethering services while maintaining suite of handheld service functions
ES2391603T3 (es) * 2009-06-02 2012-11-28 Vodafone Holding Gmbh Registro de un dispositivo móvil en una red de comunicaciones móviles
KR101652516B1 (ko) * 2009-07-13 201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으로 연결된 보조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CA2780064A1 (en) * 2009-11-06 2011-05-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sharing and displaying electronic content
US8848607B2 (en) * 2010-03-30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US9107579B2 (en) * 2010-12-14 2015-08-18 Powercast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owering devices using RF energy from a mobile transmitter
US8924585B2 (en) * 2011-06-03 2014-12-30 Apple Inc. Method for optimizing transport channels of devices
CN102291850A (zh) * 2011-08-26 2011-12-21 华南理工大学 一种家居通信***
US8606933B1 (en) * 2011-09-14 2013-12-10 Google Inc. Selective pairing of de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8953574B2 (en) * 2011-11-28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bridging in a hybrid communication network
CN103747391B (zh) * 2013-06-26 2018-03-06 苏州联科盛世科技有限公司 具有双无线模式的音箱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4215A (ja) 2008-09-16 2010-04-02 Pioneer Electronic Corp 通信機器、情報通信システム、通信機器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15771A (ja) * 2011-11-30 2013-06-10 Honda Access Corp 車載装置と携帯情報端末との間で利用される無線によるコンテンツ転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67254B2 (ja) 2019-08-28
EP2860951B1 (en) 2019-09-04
AU2014332794A1 (en) 2016-04-07
US20150134833A1 (en) 2015-05-14
EP2860951A1 (en) 2015-04-15
CN105637976A (zh) 2016-06-01
AU2014332794B2 (en) 2018-07-19
KR20150042486A (ko) 2015-04-21
CN105637976B (zh) 2020-10-02
WO2015053454A1 (en) 2015-04-16
US20180131771A9 (en) 2018-05-10
JP2015076876A (ja)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318B1 (ko) 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739957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3982246A1 (en) Display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KR102532366B1 (ko)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91021B1 (ko)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06804B1 (ko) 전자 장치의 소모 전력 감소 방법 및 장치
CN105426141B (zh) 信息处理方法及支持其的电子设备
KR102538955B1 (ko)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의 영상 디스플레이 및 전송 방법
KR102352172B1 (ko) 전자 장치들의 연동 방법 및 장치
KR20160042569A (ko) 다중 연결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47115B1 (ko)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270446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57474B1 (ko) 전자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545665B1 (ko) 알림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50092995A (ko)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230236714A1 (en) Cross-Device Desktop Management Method, First Electronic Device, and Second Electronic Device
KR2015011183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215465A1 (en) Communication message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068154B2 (en) Wearable apparatus and control apparatus
KR20160017907A (ko) 시계형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50080823A (ko) 물체 인식 기반 데이터 출력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