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529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529B1
KR102238529B1 KR1020130101845A KR20130101845A KR102238529B1 KR 102238529 B1 KR102238529 B1 KR 102238529B1 KR 1020130101845 A KR1020130101845 A KR 1020130101845A KR 20130101845 A KR20130101845 A KR 20130101845A KR 102238529 B1 KR102238529 B1 KR 102238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sture input
alarm
display device
additio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4654A (ko
Inventor
김지환
박시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1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529B1/ko
Priority to US14/080,525 priority patent/US9329693B2/en
Priority to CN201380079080.8A priority patent/CN105493001B/zh
Priority to PCT/KR2013/010467 priority patent/WO2015030302A1/en
Priority to EP13892429.5A priority patent/EP3039508B1/en
Publication of KR2015002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G04G13/023Adjusting the duration or amplitude of signa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6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acting at a number of different ti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제스처 입력 및 제 2 제스처 입력에 의해, 베이스 정보에 대하여 추가되는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그룹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결과를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베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베이스 정보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하고,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상기 추가 정보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터벌 및 상기 결정된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 {A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SETTING GROUP INFORMATION}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제스처 입력 및 제 2 제스처 입력에 의해, 베이스 정보에 대하여 추가되는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그룹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전화 통화, 메시지 발신/수신 이외에도, 동영상 재생, 사진 촬영, 웹서핑, 알람 설정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하여 알람을 설정하는 경우, 유저는 만약의 상태에 대비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복수 개의 알람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설정되는 복수 개의 알람을 각각 하나씩 설정하는 경우, 유저에게 다소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알람을 일정 간격으로 설정하는 경우, 용이하게 알람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유저의 제스처 입력을 통해, 그룹 알람을 빠르고 용이하게 설정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제스처 입력을 통해, 그룹 알람 전체를 삭제하거나 그룹 알람 중 일부만을 삭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제스처 입력을 통해, 'ON'으로 설정된 그룹 알람 전체를 한번에 'OFF'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는 스프레드 시트에 증감이 필요한 자료를 입력하는 경우, 제스처를 통해 용이하게 증감된 자료를 입력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결과를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베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베이스 정보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하고,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상기 추가 정보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터벌 및 상기 결정된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그룹 정보 설정 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베이스 정보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하는 단계;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길이에 따라, 상기 추가 정보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인터벌 및 상기 결정된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룹 정보 설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제스처 입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복수의 알람을 한번에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제스처 입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정된 복수의 알람을 한 번에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정된 복수의 알람이 'ON'상태인 경우, 제스처 입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OFF'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복수의 알람이 설정된 경우, 제스처 입력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다.
또란,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스프레드 시트에 증감이 가능한 자료를 입력하는 경우, 제스처 입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자료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명세서의 그룹 알람을 설정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그룹 알람을 설정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그룹 알람을 제어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그룹 알람을 제어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그룹 알람을 제어하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c는 본 명세서의 그룹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그룹 정보 설정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다만, 도 1은 일 실시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센서 유닛(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PDA(Persone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세서(13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주얼 정보는 그룹 정보 인터페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센서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디바이스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이를 신호 형태로 프로세서(1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20)은 유저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1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및 그립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유저의 다양한 입력 및 디바이스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30)가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에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센서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유저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13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저 입력은 제스처 입력으로서,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베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된 베이스 정보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정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인터벌 및 결정된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수행하는 동작들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동작들을 통칭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수행/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스토리지 유닛, 커뮤니케이션 유닛, 파워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은 동영상, 오디오, 이미지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은 프로세서(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 유닛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내/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이케이션 유닛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컨텐츠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케이션 유닛은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파워 유닛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그룹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나타낸다. 또한, 유저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그룹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룹 정보는 연관성이 있는 복수의 정보들이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생성되고 그룹화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그룹 정보는 그룹 알람, 엑셀과 같은 스프레드 시트에서 그룹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내지 도 6에서는 그룹 알람을 설정 및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7에서는 스프레드 시트에서 그룹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그룹 알람을 설정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는 제 1 제스처 입력에 의한 그룹 알람 설정을 나타내고, 도 2b 및 도 2c는 제 2 제스처 입력에 의한 그룹 알람 설정을 나타낸다.
먼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베이스 알람(2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 알람(2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미리 설정되어 있던 알람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알람(200)은 유저(10)가 그룹 알람을 설정하기 전에 설정해놓은 알람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제 1 제스처 입력은 유저(10)에 의한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서 제스처 입력은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해당한다. 또한, 제 1 제스처 입력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베이스 알람(200) 내에서 디텍트되기만 하면 되고,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는 특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a에서 제스처 입력은 오른쪽 방향으로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유저(10)가 그룹 알람을 설정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스처 입력이 드래그 입력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의 처음과 마지막을 디텍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a에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은 제 1 제스처 입력의 처음과 마지막의 위치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면, 타임 인터벌(time interval) 인터페이스(2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를 디텍트하는 때, 베이스 알람(200)의 상하좌우 중 일측에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2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a에서,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230)는 베이스 알람(200)의 상측에 디스플레이된다.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230)는 베이스 알람의 시간을 기준으로 그룹 알람이 설정되는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는 그룹 알람이 설정되는 시간 간격을 5분, 10분, 15분, 20분, 25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간격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유저(1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는 25분까지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가 오른쪽으로 더 이동할수록, 5분 간격으로 타임 인터벌은 증가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의 마지막 위치를 디텍트하는 때,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제스처 입력의 마지막 위치에 대응되는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230)의 위치에 따라,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a의 실시예에서,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은 유저(10)의 손의 위치에 기초하여, 15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에 따라 그래픽 효과(235)를 제공하여,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유저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도 2a의 실시예에서, 제 1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에서 그래픽 효과(235)는 베이스 알람(200)의 좌측 일부이나, 제 1 제스처 입력이 오른쪽으로 움직임에 따라 그래픽 효과(235)는 점차 오른쪽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저(10)는 타임 인터벌을 설정하는 때에 결정되는 타임 인터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은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스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스처 입력은 유저(10)에 의한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서 제스처 입력은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해당한다. 또한, 제 2 제스처 입력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디텍트되기만 하면 되고, 반드시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스처 입력일 필요는 없다. 또한, 도 2b에서 제스처 입력은 아래쪽 방향으로의 입력에 해당하고, 도 2c에서 제스처 입력은 위쪽 방향으로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제스처 입력은 제 1 제스처 입력에 연속한 입력이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디텍트한 제스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b 및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한 후,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스처 입력은 제 1 제스처 입력에 연결되는 입력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제스처 입력과 제 2 제스처 입력의 방향은 서로 수직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오른쪽 방향으로의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고 바로 다음에 아래쪽으로 향하는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다라, 추가 알람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의 변화량은 제 2 제스처 입력의 처음과 마지막의 위치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면,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2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240)는 베이스 알람(200)의 시간을 기준으로 결정된 타임 인터벌에 따라 추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b를 참조하면,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240)는 타임 인터벌이 15분인 경우, '7:30 AM'으로부터 15분 간격으로 추가될 알람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b에서는 제 2 제스처 입력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240)가 아래쪽으로만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나, 제스처 입력의 방향과 무관하게 위쪽 및 아래쪽 모두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24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입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베이스 알람(200)의 시간에 대하여 추가 알람의 시간이 전후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2 제스처 입력의 방향이 제 1 방향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을 베이스 알람(200)의 시간 후로 타임 인터벌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2 제스처 입력의 방향이 아래쪽 방향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의 시간 후로 추가 알람을 추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7:45', '8:00', '8:15'의 세 개의 추가 알람을 추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제 2 제스처 입력의 방향이 제 2 방향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을 베이스 알람(200)의 시간 전으로 타임 인터벌에 따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방향은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 2 제스처 입력의 방향이 위쪽 방향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의 시간 전으로 추가 알람을 추가하는 것으로 결정할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기초하여 '7:15', '7:00', '6:45'의 세 개의 추가 알람을 추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입력에 따라 그래픽 효과(245)를 제공하여, 추가될 추가 알람을 유저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도 2b의 실시예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에서 그래픽 효과(235)는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240)의 일부이나, 제 2 제스처 입력이 아래쪽으로 움직임에 따라 그래픽 효과(245)는 점차 아래쪽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저(10)는 추가 알람을 설정하는 때에 결정되는 추가 알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타임 인터벌 및 결정된 추가 알람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a에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15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의 개수를 베이스 알람(200)의 시간 후로 3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의 아래쪽으로 15분 간격의 추가 알람(250) 3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2a에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15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c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의 개수를 베이스 알람(200)의 시간 전으로 3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의 위쪽으로 15분 간격의 추가 알람(250) 3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250)을 베이스 알람(200)과 그래픽 효과가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알람(250)과 베이스 알람(200)의 용이한 구별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250)의 크기를 베이스 알람(200)의 크기보다 작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250)의 색상을 베이스 알람(250)의 색상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를 통하여, 유저(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대한 직관적인 2개의 제스처 입력을 통하여, 복수의 알람을 빠르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그룹 알람을 설정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은 제 1 제스처 입력 내지 제 3 제스처 입력을 이용한 그룹 알람 설정을 나타낸다.
먼저, 도 2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은 15분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입력 및 제 3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제스처 입력의 방향과 제 3 제스쳐 입력의 방향은 반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제스처 입력은 유저(10)의 엄지에 의한 입력이고, 제 3 제스처 입력은 유저(10)의 검지에 의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입력 및 제 3 제스처 입력을 거의 동시에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입력 및 제 3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베이스 알람(200)의 위아래에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2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타임 인터벌이 15분으로 결정된 경우, 베이스 알람(200)의 위아래에 베이스 알람(200)의 시간인 '7:30'에 대하여 15분 간격으로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2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 및 제 3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을 베이스 알람(200)의 전후로 타임 인터벌에 따라 추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이 엄지에 의한 입력인 경우, 제 2 제스처 입력의 끝의 위치는 '8: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된다. 또한, 제 3 제스처 입력이 검지에 의한 입력인 경우, 제 3 제스처 입력의 끝의 위치는 '7: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엄지 및 검지에 의한 입력의 위치에 따라, 베이스 알람(200)인 '7:30'의 전으로 2개의 알람 및 후로 3개의 알람을 추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제스처 입력 및 제 3 제스처 입력에 따라 그래픽 효과(245)를 제공하여, 추가되는 추가 알람을 유저(10)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이 엄지에 의한 입력인 경우, 제 2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에서 마지막 위치로 아래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래픽 효과(245)가 아래쪽으로 증가하게 된다. 또한, 도 3의 실시예에서, 제 3 제스처 입력이 검지에 의한 입력인 경우, 제 3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에서 마지막 위치로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래픽 효과(245)가 위쪽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저(10)는 추가 알람의 개수의 증감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타임 인터벌 및 결정된 추가 알람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인터벌이 15분이고, 추가 알람의 개수가 베이스 알람(200)의 시간 전으로 2개, 베이스 알람(200)의 시간 후로 3개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의 위로 15분 간격의 추가 알람(250) 2개 및 베이스 알람(200)의 아래로 15분 간격의 추가 알람(2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를 통해, 유저는 제 1 제스처 입력 후에 동시에 제 2 및 제 3 제스처 입력을 하여, 동시에 베이스 알람의 시간 전후로 복수 개의 알람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그룹 알람을 제어하는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는 그룹 알람 중 적어도 하나의 시간이 도달하는 경우, 제 4 제스처 입력에 의해 그룹 알람을 오프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250)을 추가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알람(200) 및 추가 알람(250)은 알람이 설정된 상태이므로, 'ON'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알람(200) 및 추가 알람(25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알람 시간이 도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의 알람 시간인 '7:30 AM'에 도달한 것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알람 시간에 도달하였음을 소리, 진동, 그래픽 효과 등을 통해 유저(10)에게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그룹 알람에 포함된 알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 4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4 제스처 입력은 유저(10)에 의한 입력으로서,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제 4 제스처 입력은 터치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 4 제스처 입력은 그룹 알람에 포함된 알람 중 알람 시간에 도달한 알람에 대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제 4 제스처 입력은 '7:30 AM' 알람에 대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4 제스처 입력의 위치는 '7:30 AM'의 알람의 'ON/OFF' 버튼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제 4 제스처 입력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4 제스처 입력에 기초하여, 그룹 알람에 포함된 전체 알람을 오프시킬 수 있다. 유저(10)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알람에 의해 유저(10)가 잠에서 깨지 않는 상황을 고려하여 그룹 알람을 설정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10)로부터 복수의 알람 중 하나에 대한 알람 설정을 오프하는 입력을 디텍트하는 경우, 유저(10)가 잠에서 깬 것으로 볼 수 있어, 그 이후에 설정된 알람들이 더 이상 울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전체 알람을 오프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7:30 AM' 알람에 대한 유저(10)의 제 4 제스처 입력에 기초하여, '7:30 AM' 알람뿐만이 아니라 그 이후에 설정된 4개의 나머지 알람들도 모두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와 달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4 제스처 입력에 기초하여, 그룹 알람에 포함된 알람 중 제 4 제스처 입력에 대응되는 알람만을 오프시킬 수 있다. 알람 오프에 대한 설정은 유저(10)의 설정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그룹 알람을 제어하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a는 제 5 제스처 입력에 의해 그룹 알람 전체를 삭제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5b는 제 6 제스처 입력에 의해 그룹 알람 중 일부를 삭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 및 복수 개의 추가 알람(25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일 예로서, 유저에게 그룹 알람이 더이상 필요없게 되거나, 그룹 알람의 시간의 변경을 위해 그룹 알람의 전체 삭제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 5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제 5 제스처 입력은 그룹 알람의 중심이 되는 베이스 알람(200)을 삭제하는 것으로서, 이는 베이스 알람(200) 뿐만 아니라 파생된 추가 알람(250)까지 모두 삭제하기 위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제 5 제스처 입력은 유저(10)에 의한 입력으로서,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드래그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서, 제 5 제스처 입력은 드래그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5 제스처 입력의 방향은 도 2에서 상술한 그룹 알람의 설정을 위한 제 1 제스처 입력의 방향과 반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서, 제 5 제스처 입력은 오른쪽 방향인 제 1 제스처 입력과 반대 방향인 왼쪽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5 제스처 입력의 위치는 베이스 알람(200)의 내에서 시작하기만 하면 되고, 제 5 제스처 입력의 마지막 위치가 베이스 알람(200)의 내에 위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제 5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도 정해진 것이 아니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향하는 움직임만 있으면 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5 제스처 입력에 따라, 그룹 알람의 전체를 삭제할 수 잇다. 도 5a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에 대한 왼쪽 방향의 입력에 따라, 그룹 알람에 포함된 알람 5개를 삭제할 수 있다. 도 5a의 실시예를 통하여, 유저(10)가 그룹 알람을 모두 삭제하기 원하는 경우, 한 번의 제스처 입력을 통해서 전체 알람을 용이하게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예로서, 그룹 알람에 포함된 알람의 개수가 많거나 그룹 알람에 포함된 알람이 유저에게 전부 필요한 상황이 아닌 경우, 그룹 알람 중 일부의 삭제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250)에 대한 제 6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250)에 대한 제 6 제스처 입력은 그룹 알람에 포함된 복수 개의 알람 중 제 6 제스처 입력이 디텍트된 알람에 대한 삭제를 위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b에서, 제 6 제스처 입력은 유저(10)에 의한 드래그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6 제스처 입력의 방향은, 상술한 제 5 제스처 입력의 방향과 동일하게 제 1 제스처 입력과 반대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6 제스처 입력의 위치는 추가 알람(250)의 내에서 시작하기만 하면 되고, 제 6 제스처 입력의 마지막 위치는 추가 알람(250)의 내에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제 6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은 정해진 것이 아니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향하는 움직임만 있으면 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6 제스처 입력에 따라, 그룹 알람 중 제 6 제스쳐 입력이 디텍트된 추가 알람을 삭제할 수 있다. 도 5b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 중 '8:00 AM'에 대한 왼쪽 방향의 입력에 따라, '8:00 AM' 알람 한 개를 삭제할 수 있다. 도 5b의 실시예를 통하여, 유저(10)가 그룹 알람 중 일부만을 삭제하기 원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그룹 알람을 제어하는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a는 제 7 제스처 입력에 의해 제 2 추가 알람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6b는 제 8 제스처 입력에 의해 제 2 추가 알람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의 제 2 추가 알람을 설정하는 실시예에서 도 2에서 추가 알람을 설정하는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알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유저(10)는 추가 알람에서 파생되는 제 2 추가 알람을 설정하기를 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가 알람(250)은 제 1 추가 알람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에 대한 제 7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7 제스처 입력은 유저(10)에 의한 입력으로서, 터치 입력, 호버링 입력, 드래그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 제 7 제스처 입력은 드래그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7 제스처 입력의 방향은 도 2에서 상술한 제 1 제스처 입력의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 제 7 제스처 입력의 방향은 오른쪽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 7 제스처 입력의 위치는 제 2 추가 알람이 설정되기 위한 추가 알람 내에서만 디텍트되면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7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제 2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텍트된 제 7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a에서, 제 7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은 제 7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과 마지막 위치의 차이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7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면,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에 대한 제 7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를 디텍트하는 때, 추가 알람의 상하좌우 중 일측에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230)는 그룹 알람이 설정되는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6a에서는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간격은 2분, 4분, 6분, 8분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간격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또는 유저(10)에 의해 설정된 시간 간격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에 대한 제 7 제스처 입력의 마지막 위치를 디텍트하는 때,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제 7 제스처 입력의 마지막 위치는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에서 4분의 위치에 대응되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을 4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8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8 제스처 입력은 도 2에서 상술한 제 2 제스처 입력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b에서 제 8 제스처 입력은 추가 알람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8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제 2 추가 알람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텍트된 제 8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추가 알람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b에서, 제 8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은 제 8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 및 마지막 위치의 차이에 해당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8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면,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2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240)는 추가 알람의 시간을 기준으로 결정된 타임 인터벌에 따라 추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가 알람을 나타낸다. 도 6b에서, 제 8 제스처 입력의 방향이 아래쪽을 향하므로, 제 2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는 추가 알람을 기준으로 시간이 증가하는 쪽으로 아래쪽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타임 인터벌 및 결정된 제 2 추가 알람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 2 추가 알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 2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은 4분으로 결정되고, 제 2 추가 알람의 개수는 2개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8:15 AM' 알람에 인접하여 제 2 추가 알람 '8:19 AM' 및 '8:23 AM'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추가 알람의 위치는 추가 알람에 인접하면 되고, 정해진 위치는 없다. 예를 들어, 도 6b에서, 제 2 추가 알람은 '8:15 AM' 추가 알람의 우측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알람에 대한 제 7 제스처 입력 및 제 8 제스처 입력에 따라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여, 추가 알람의 타임 인터벌 및 추가 개수를 유저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7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그래픽 효과가 점차 오른쪽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그래픽 효과가 점차 아래쪽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추가 알람은 추가 알람과 상이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알람(200), 추가 알람(250) 및 제 2 추가 알람의 용이한 구별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의 크기를 가장 크게 디스플레이하고, 추가 알람(250)은 베이스 알람(200)보다 작게 디스플레이하고, 제 2 추가 알람은 추가 알람(250)보다 작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알람(200), 추가 알람(250) 및 제 2 추가 알람 각각의 색상을 상이하게 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를 통해, 유저(10)는 추가 알람뿐만 아니라 추가 알람에 파생되는 제 2 추가 알람을 제스처 입력을 통해 용이하고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그룹 정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a는 제 1 제스처 입력에 의해 추가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7b는 제 2 제스처 입력에 의해 추가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스프레드 시트에서 그룹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도 7a에 도시된 스프레드 시트(300)에 베이스 정보(310)로서 '숫자 1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 정보(310)는 숫자뿐만이 아니라, 날짜, 요일 등의 증감이 가능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10)는 베이스 정보(310)를 이용하여 쉽게 그룹 정보를 생성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정보(31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제 1 제스처 입력은 우측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정보(310)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면, 베이스 정보(310)의 상하좌우 중 일측에 인터벌 인터페이스(3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터벌 인터페이스(320)는 베이스 정보(310)를 기준으로 추가될 정보의 간격을 나타낸다. 도 7a에서는, 인터벌 인터페이스(320)에 10, 20, 30 및 4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에 따라,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은 제 1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 및 마지막 위치의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도 7a에서, 제 1 제스처 입력의 마지막 위치는 인터벌 인터페이스(320)에 디스플레이된 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3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정보(310)에 대한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은 아래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정보(310)에 대한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면, 베이스 정보(310)의 상하좌우 중 일측에 추가 정보 인터페이스(3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가 정보 인터페이스(330)는 베이스 정보(310)를 기준으로 전후에 결정된 인터벌에 따라 추가될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를 나타낸다. 도 7b에서는, 추가 정보 인터페이스(330)는 인터벌 30에 따라 아래쪽으로 130, 160, 190, 220, 250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정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에 따라, 추가 정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은 제 2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 및 마지막 위치의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도 7b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의 마지막 위치는 추가 정보 인터페이스(330)에 디스플레이된 '220'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추가 정보의 개수를 4개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결정된 인터벌 및 결정된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c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베이스 정보(310)의 아래쪽으로 추가 정보 '130', '160', '190', '2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를 통하여, 유저(10)는 엑셀과 같은 스프레드 시트에서 마우스 조작없이 제스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표를 작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그룹 정보 설정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베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10).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정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정된 알람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정보는 스프레드 시트에 입력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베이스 정보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S820).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스처 입력은 유저에 의한 입력으로서,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스처 입력은 우측 방향을 향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면, 인터벌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터벌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정보를 기준으로 추가될 정보의 간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인터벌 인터페이스는 타임 인터벌 인터페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S830).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의 변화량에 따라,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의 변화량은 제 1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과 마지막 위치의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인터벌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S84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베이스 정보에 대한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제스처 입력은 유저에 의한 입력으로서,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호버링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제스처 입력은 아래쪽 방향을 위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면, 베이스 정보의 상하좌우 중 일측에 추가 정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가 정보 인터페이스는 베이스 정보를 기준으로 베이스 정보의 전후로 결정된 인터벌에 따라 추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에서 추가 정보 인터페이스는 추가 알람 인터페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 1 제스처 입력의 방향 및 제 2 제스처 입력의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스처 입력의 방향의 우측 방향을 향한 입력에 해당하고, 제 2 제스처 입력이 방향은 하측 방향을 향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 1 제스처 입력의 방향 및 제 2 제스처 입력의 방향은 서로 수직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제스처 입력 및 제 2 제스처 입력은 연속된 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정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S850).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에 따라, 추가 정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 변화량은 제 2 제스처 입력의 처음 위치와 마지막 위치의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추가 정보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기초하여,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결정된 인터벌 및 결정된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860).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알람 설정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알람 설정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디스플레이 유닛
120: 센서 유닛
130: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입력 신호를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결과를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베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베이스 정보에 대한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하고,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상기 추가 정보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터벌 및 상기 결정된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3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 및 상기 제 3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가 상기 베이스 정보 전후로 상기 인터벌에 따라 추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제스처 및 상기 제 3 제스처 입력에 따라 그래픽 효과를 제공하되,
    상기 인터벌은 시간적 간격을 의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정보 및 상기 추가 정보는 그룹 정보로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제스처 입력의 방향이 제 1 방향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가 상기 베이스 정보 전으로 상기 인터벌에 따라 추가되는 것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 2 제스처 입력의 방향이 제 2 방향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정보가 상기 베이스 정보 전으로 상기 인터벌에 따라 추가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은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스처 입력은 상기 제 2 제스처 입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정보는 베이스 알람이고, 상기 추가 정보는 추가 알람이고, 상기 그룹 정보는 그룹 알람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룹 알람에 포함된 알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알람 시간이 도달하는 경우, 상기 그룹 알람에 포함된 알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 4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면, 상기 그룹 알람에 포함된 전체 알람이 오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베이스 알람에 대한 제 5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되, 상기 제 5 제스처 입력의 방향은 상기 제 1 제스처 입력의 반대 방향인,
    상기 디텍트된 제 5 제스처 입력에 따라, 상기 그룹 알람의 전체를 삭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알람에 대한 제 6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6 제스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 알람 중 상기 제 6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추가 알람을 삭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면, 인터벌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인터벌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따라, 상기 추가 정보의 인터벌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제스처 입력을 디텍트하면, 추가 정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제스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추가 정보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따라, 상기 추가 정보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101845A 2013-08-27 2013-08-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 KR102238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845A KR102238529B1 (ko) 2013-08-27 2013-08-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
US14/080,525 US9329693B2 (en) 2013-08-27 2013-11-14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group information
CN201380079080.8A CN105493001B (zh) 2013-08-27 2013-11-18 设置组信息的显示设备和方法
PCT/KR2013/010467 WO2015030302A1 (en) 2013-08-27 2013-11-18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group information
EP13892429.5A EP3039508B1 (en) 2013-08-27 2013-11-18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group alarm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845A KR102238529B1 (ko) 2013-08-27 2013-08-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654A KR20150024654A (ko) 2015-03-09
KR102238529B1 true KR102238529B1 (ko) 2021-04-09

Family

ID=5258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845A KR102238529B1 (ko) 2013-08-27 2013-08-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29693B2 (ko)
EP (1) EP3039508B1 (ko)
KR (1) KR102238529B1 (ko)
CN (1) CN105493001B (ko)
WO (1) WO2015030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9132B2 (en) * 2014-06-19 2020-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WO2016036546A2 (en) * 2014-09-02 2016-03-10 Apple Inc. Reduced-size notification interface
KR102255456B1 (ko) * 2014-11-07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84639B1 (ko) * 2015-08-24 2022-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311696B2 (en) * 2017-04-26 2019-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Patient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providing incident grouping of alarm ev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653B1 (ko) * 2005-07-08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알람 설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3882B2 (ja) 2007-03-30 2012-06-13 京セラ株式会社 時計および警告プログラム
KR101446139B1 (ko) * 2007-12-06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알람 설정 방법
US20110191675A1 (en) 2010-02-01 2011-08-04 Nokia Corporation Sliding input user interface
US8487760B2 (en) * 2010-07-09 2013-07-16 Nokia Corporation Providing a user alert
US20130061122A1 (en) 2011-09-07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Multi-cell selection using touch input
KR101882724B1 (ko) * 2011-12-21 2018-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테고리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2968314B (zh) * 2012-10-26 2015-12-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闹铃控制方法、装置和设备
CN103064582A (zh) * 2012-12-19 2013-04-2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事件提醒的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653B1 (ko) * 2005-07-08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알람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9508A4 (en) 2017-05-10
KR20150024654A (ko) 2015-03-09
CN105493001A (zh) 2016-04-13
WO2015030302A1 (en) 2015-03-05
EP3039508A1 (en) 2016-07-06
US20150067613A1 (en) 2015-03-05
CN105493001B (zh) 2019-01-22
US9329693B2 (en) 2016-05-03
EP3039508B1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266B1 (ko)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1930B1 (ko) 홈 디바이스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를 위한 타임라인 ui
EP3211509B1 (en) Mobile device compris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US10635295B2 (en)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touch screens and screen change method for the device
WO2016066092A1 (zh) 多媒体播放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KR10223852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
EP314199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701057B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WO2017016339A1 (zh) 视频分享方法和装置、视频播放方法和装置
EP26701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 in portable terminal
KR102107469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JP6226225B2 (ja) 画像閲覧システム、調停端末、画像閲覧方法および調停方法
KR2016004842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92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06195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290661B2 (en) Subtitle presentation based on volume control
EP2690843A1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uses the same
CN111127595A (zh) 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166831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51522A1 (zh) 内容删除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99858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824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134785A (ko)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
KR20170078004A (ko)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9857294A (zh) 一种光标控制方法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