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867B1 - 3d printing system capable of continuous production - Google Patents

3d printing system capable of continuous prod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867B1
KR102237867B1 KR1020190143681A KR20190143681A KR102237867B1 KR 102237867 B1 KR102237867 B1 KR 102237867B1 KR 1020190143681 A KR1020190143681 A KR 1020190143681A KR 20190143681 A KR20190143681 A KR 20190143681A KR 102237867 B1 KR102237867 B1 KR 102237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rinting
heating plate
axis dir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6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득
Original Assignee
이강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득 filed Critical 이강득
Priority to KR102019014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8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8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ing device, and specifically, to a 3D printing device including a belt conveyor installed together with a heater plate. In particular, in the 3D pri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D printing can be performed through a transfer module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printing head in which a jet nozzle is installed on the X-Y plane, and a belt conveyor that can control the position in the Z-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t of a belt conveyor part functions as a printing bed, and the spray nozzle performs the 3D printing while directly spraying a material with the belt.

Description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 {3D PRINTING SYSTEM CAPABLE OF CONTINUOUS PRODUCTION}3D pri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printing {3D PRINTING SYSTEM CAPABLE OF CONTINUOUS PRODUCTION}

본 발명은 3D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사노즐이 설치된 프린팅 헤드가 프린팅 베드 상에 소재를 공급해가면서 3차원 형상의 제품을 제작하는 3D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3D printing apparatus in which a printing head equipped with a spray nozzle supplies a material onto a printing bed and manufactures a three-dimensional product.

최근 들어, 제품 생산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제품 생산전 미리 시제품을 양산하기 위한 기술로 3D 프린트가 사용되고 있다.Recently, 3D printing has been used as a technology to reduce trial and error in product production and mass-produce prototypes before product production.

이러한 3D 프린트는 프로그램상에서 제작된 모델링 파일을 입력 값으로 설정하면 상기 모델링 파일과 대응되도록 열가소성 적층재를 베드에 적층하여 시제품을 제작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제품 생산전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어 그 사용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In this 3D print, if the modeling file produced in the program is set as an input value, a thermoplastic laminate is laminated on the bed to correspond to the modeling file to produce a prototype, so it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reduce trial and error before product production. It is increasing rapidly.

이와 관련하여, 3D 프린터의 방식을 살펴보면,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또는 FFF(Fused Filament Fabrication) 방식, SLA(Stereolithography Apparatus) 방식, SLS(Selective Layer Sintering)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LOM(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방식, MJM(Multi-Jet Modeling) 또는 MJP(Multi-Jet Printing) 방식, EBF(Electron Beam Freeform Fabrication) 방식 등 많은 상이한 방식이 있다. 각 방식마다 나름의 특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각 패스(pass)마다 소재를 얇은 레이어로 형성시키고, 이러한 레이어들을 층층이 쌓아서 입체적인 형상을 구현한다는 점에서는 모두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3D 프린터의 작동방식은 종래 대량생산을 위한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많은 가공방법들, 예를 들어 절삭, 단조, 주물, 사출, 압출 등에 비해 제작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어서, 대량생산보다는 소량생산이나 일회성 제작에 더욱 어울린다고 볼 수 있다.In this regard, looking at the 3D printer method, 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or FFF (Fused Filament Fabrication) method, SLA (Stereolithography Apparatus) method, SLS (Selective Layer Sintering) method,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method, LOM There are many different methods, such as the (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method, MJM (Multi-Jet Modeling) or MJP (Multi-Jet Printing) method, and EBF (Electron Beam Freeform Fabrication) method. Each method has its own characteristics, but basically, the material is formed in a thin layer for each pass, and these layers are stacked in layers to realize a three-dimensional shape. The operation method of this 3D print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manufacture compared to many processing methods used in conventional manufacturing processes for mass production, for example, cutting, forging, casting, injection, extrusion, etc. It can be seen that it is more suitable for small-scale production or one-time production.

한편, 3D 프린터를 이용해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으로 제품을 제작하고, 생산된 제품을 출력하기 위한 3D 프린팅 장치가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ss-produce products using a 3D printer, a 3D printing device is required to continuously manufacture products and output the produced products.

한국 등록 특허 제10-1850688호 (2018. 05. 3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50688 (2018. 05. 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프린팅 헤드의 X-Y축 위치 제어를 위한 이송 모듈부와 함께, Z축 방향 위치 제어를 위해 벨트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부의 벨트면 자체가 프린팅 베드면으로 기능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이 벨트면이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Z축 방향 위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현함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o include a belt conveyor part for position control in the Z-axis direction together with a transfer module part for controlling the XY-axis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While the negative belt surface itself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a printing bed surface, as the belt surface moves back and forth, position control in the Z-axis direction is possible.

특히,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는 Z축 방향의 스트로크를 무한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을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belt conveyor unit can provide infinite strokes in the Z-axis direction, it can be implemented to enable continuous mass production of product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벨트 컨베이어부가 뒤틀리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히팅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한편, 상기 히팅 플레이트가 벨트 상면을 가열하면서 제품 성형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belt conveyor unit is supported by a heating plate so as not to be twisted or bent, there is another characteristic in that the heating plate is configured to maintain a product molding temperature while he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프린터 프레임;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프린팅 헤드; 상기 프린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프린팅 헤드를 X-Y평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 모듈부; 상기 X-Y평면에 수직한 Z축 방향의 이동 성분을 가지며, 상기 분사노즐에 대향하는 프린팅 베드면을 형성하는 벨트 컨베이어부; 및 상기 이송 모듈부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프린팅 헤드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의 상기 프린팅 베드면에 직접 소재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er frame; A printing head including a spray nozzle; A transfer module unit installed on the printer frame and configured to move the printing head on an X-Y plane; A belt conveyor unit having a moving component in a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and forming a printing bed surface facing the spray nozzl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by controlling the transfer module unit and the belt conveyor unit. 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ay nozzle provides a 3D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ly outpu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pray a material directly onto the printing bed surface of the belt conveyor.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 컨베이어부에 의해 Z축 방향 변위가 제어될 수 있으며, 벨트의 회전에 따라 Z축 방향 스트로크를 무한하게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을 연속적으로 무한하게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belt conveyor unit, and since the stroke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infinitely outpu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el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oduct can be continuously and infinitely output.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 컨베이어부의 벨트 자체가 프린팅 베드로 기능하면서 무한 궤도 방식의 제품 출력이 가능하므로, 설비를 컴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제품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어 대량 생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elt itself of the belt conveyor unit functions as a printing bed and outputs a product of an endless track type, the equipment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and product productivity is greatly improved,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의 좌우측 돌기부를 형성하여 벨트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제품 불량율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istortion of the belt by forming protrus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elt, and remarkably reducing the product defect r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팅 베드면을 저면과 일정한 각도를 두도록 배치하고, 벨트의 돌기부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벨트의 변위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more precise belt displacement control is possible by arranging the printing bed surface at a certain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of the bel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팅 플레이트가 벨트 저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벨트의 프린팅 베드면이 뒤틀리거나 벨트에 굴곡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heating plate to selectively contact the bottom of the belt, there is an effect of suppressing distortion of the printing bed surface of the belt or the occurrence of bending in the bel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제품 지지부가 설치된 3D 프린팅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3D printing device in which a product suppor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for distinguishing the constituent element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은 3D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3D 프린팅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과 관련하여 분사노즐이 설치된 프린팅 헤드(200) 및 상기 분사노즐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프린팅 베드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이들 프린팅 헤드(200) 및 프린팅 베드와 같은 기본 구성들은 설명함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3D 프린팅 장치의 구성들을 토대로 각 구성들의 개별적인 기능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3D 형상의 제품이 제작되는 과정에 주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각 구성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세부적인 구성들, 예를 들어 프린터 헤드를 특정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세부적인 구성요소들 중 본 발명의 기술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적은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프린팅 헤드(200)를 X-Y 축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니어 모터 및 프린팅 헤드(20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센서로부터 검출된 프린팅 헤드(200)의 위치에 따라 리니어 모터 및 분사 노즐(2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의 구성요소들은 기공지된 것으로, 이들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를 충분히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printing device, and basically includes a printing head 200 in which a spray nozzle is installed and a printing bed disposed to face the spray nozzle in relation to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3D printing device. In the following, in the description of the basic configurations such as the printing head 200 and the printing bed, a 3D-shaped product is formed by individual functions of each configuration and a combination thereof based on the configurations of the 3D printing apparatu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Meanwhile, in describing each of the components,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ortion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detailed components, for example, detailed components for moving the printer head in a specific axial direction I will omit it. For example, a linear motor for moving the printing head 200 on the XY axis,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200, a linear motor and a spray nozz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200 detected from the sensor Components such a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210 are known in advance, and although detailed descriptions of these configurations are not includ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the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and implement 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side view of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 3 shows a front view of a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는 기본 골격에 해당하는 프린터 프레임(100)을 포함하고, 이 프린터 프레임(100) 상에 3D 프린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들이 설치되는 구조이다.1 to 3, the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er frame 100 corresponding to a basic skeleton, and performs a 3D printing operation on the printer frame 100.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series of components are installed.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는 분사 노즐(210)을 포함하는 프린팅 헤드(200)를 포함하고, 이 프린팅 헤드(200)가 3차원 직교 좌표계인 X, Y, Z축 상에서 위치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가이드부(310) 내에서 프린팅 헤드가 이동하는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설정하고, 제2 가이드부(320)의 직립한 축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다. 또한, 벨트(410)의 주 이동 방향과 관련, X,Y축에 수직한 것을 Z축 방향으로 설정한다.Basically, the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ing head 200 including a spray nozzle 210, and the printing head 200 is position controllable on the X, Y, and Z axes, which are three-dimensional orthogonal coordinate systems. Is configured to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inting head moves within the first guide part 310 is set as the X-axis direction, and the upright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part 320 is set as the Y-axis direction. .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main movement direction of the belt 410, the one perpendicular to the X and Y axes is set in the Z-axis direction.

프린팅 헤드(200)에 포함되는 분사 노즐(210)은 3D 프린팅을 위한 소재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재가 압출되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분사 노즐(210)은 소재를 용융시켜 노즐 측으로 압출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pray nozzle 210 included in the printing head 2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materials for 3D printing, for example,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are extruded and sprayed through the nozzle. It may include a series of configurations for melting and extruding to the nozzle side.

또한, 상기 분사 노즐(210)은 프린팅 헤드(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따라서 프린팅 헤드(200)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소재가 분사되는 위치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ray nozzle 210 is installed on the printing head 200, and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200, the position at which the material is sprayed can be directly controlled.

이와 관련, 상기 프린팅 헤드(200)는 X-Y 평면 상에서 위치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프린팅 베드로 기능하는 벨트 컨베이어부(400)에 의해 Z축 방향의 위치가 제어됨에 따라 3D 모델링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구현예에서는 제품의 3D 모델링에 따라 미리 결정된 X축, Y축 좌표로 상기 프린팅 헤드(200)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송 모듈부(300)와 프린팅 베드를 Z축 상에서 전후로 이송시키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부(400)가 포함된다.In this regard, the printing head 200 is configured to enable position control on the XY plane, and is configured to produce a 3D modeled product as the position in the Z-axis direction is controlled by the belt conveyor unit 400 functioning as a printing bed. do.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the transfer module unit 300 and the printing bed to move the printing head 200 to the X-axis and Y-axis coordinates determin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3D modeling of the product and the printing bed are transferred back and forth on the Z-axis. A belt conveyor unit 400 is included.

도 1에서는 이러한 이송 모듈부(300)의 개략적인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는데, 분사 노즐(210)이 설치된 프린팅 헤드(200)가 제1 가이드부(310)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제2 가이드부(320)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족하다. 도 1의 예에서는 제1 가이드부(310)가 제2 가이드부(320) 상에 설치되며, 제2 가이드부(320)에 의해 제1 가이드부(31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프린팅 헤드(200)의 Y축 위치가 제어된다.In FIG. 1, only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module unit 300 is shown, but the printing head 200 in which the spray nozzle 210 is installed is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by the first guide unit 310 or the second It is sufficient if it is configured to be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by the guide part 320. In the example of FIG. 1, the first guide part 310 is installed on the second guide part 320, and as the first guide part 310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by the second guide part 320, it is substantially As a result, the Y-axis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200 is controlled.

다만, 이러한 제1 가이드부(310), 제2 가이드부(320)의 구조는 리니어 모터, 모터에 결합된 볼-스크류 구조 등과 같은 구조가 채용될 수 있으며, X-Y 평면 상에서 프린팅 헤드(2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적용 될 수 있다.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first guide unit 310 and the second guide unit 320 may have a structure such as a linear motor, a ball-screw structure coupled to the motor, and the like, and the printing head 200 may be formed on the XY plane. Any form that can control the position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프린팅 헤드(200)를 X-Y 평면 상에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모듈부(300)는 프린터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며, 도 1에서와 같이 프린터 프레임(100)의 하부 베이스면 상에 제2 가이드부(320)가 수직하게 설치되고, 제1 가이드부(310)는 이 제2 가이드부(320) 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The transfer module unit 300 for transferring the printing head 200 on the XY plane is installed on the printer frame 100, and a second guide unit ( 320 may be installed vertically, and the first guide part 310 may have a structure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second guide part 320.

이와 관련, 도 1에서는 설비의 하부 베이스 구조물로 기능하는 프린터 프레임(10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과 상부면 등에 배치되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는 예일 수 있다.In this regard, only the printer frame 100 functioning as the lower base structure of the facility is shown in FIG. 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may be an example including a frame structure disposed on the side and the upper surface. .

한편, 본 구현예에 따르면, Z축 방향에 대한 프린팅 베드의 위치 제어는 벨트 컨베이어부(400) 자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구현예에서의 벨트 컨베이어부(400)는 스스로 Z축 방향의 이동량을 제공하는 프린팅 베드 자체로 기능하며, 롤러(421, 422, 423)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벨트(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에서는 이송 모듈부(300)와 벨트 컨베이어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며, 이 제어기를 통해 소재가 분사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control of the printing bed in the Z-axis direction is performed by the belt conveyor unit 400 itself. The belt conveyor unit 400 in this embodiment functions as a printing bed itself that provides a movement amount in the Z-axis direction, and includes a belt 410 that moves back and forth by rollers 421, 422, and 423. . In addition, the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module unit 300 and the belt conveyor unit 400, and the position at which the material is sprayed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ler.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부(40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400)는 X-Y 평면 상에 평행한 구동축(본 구현예에서는 X축에 평행한 구동축으로 도시되고 있음)을 가지며 회전하는 2 이상의 롤러들 및 이 롤러들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41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벨트(410)는 도 1에서와 같이 프린팅 헤드(200)의 분사 노즐(210)에 대향하는 면이 프린팅 베드로 기능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롤러부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부는 프린터 프레임의 측면 구조물 상에 구동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belt conveyor unit 400 is shown in detail in FIGS. 1 to 3. 1 to 3, the belt conveyor unit 400 has a driving shaft parallel to the XY plane (in this embodiment, shown as a driving shaft parallel to the X axis), and two or more rollers rotating and It includes a belt 410 rotated by rollers. In particular, the belt 410 has a surface facing the spray nozzle 210 of the printing head 200 as shown in FIG. 1 to function as a printing bed. Although not shown, the belt conveyor unit including the roller unit may be installed in a driveable form on the side structure of the printer frame.

본 구현예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프린팅 베드는 노즐부에 대향할 수 있도록 프린터 프레임(100)의 베이스면으로부터 90도 내의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프린팅 베드면(B)은 프린터 프레임(100) 상의 베이스면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바, 설비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벨트(410)의 위치 제어를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의 이동량을 'S'라고 했을 때, 벨트의 Z축 방향 이동량은 "S*cos(α)" (여기서, 'α'는 프린팅 베드면(B)과 베이스면 사이의 각도)가 되므로, 벨트의 z축 방향 이동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inting bed may b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hile forming a certain angle within 90 degrees from the base surface of the printer frame 100 so as to face the nozzle part.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the printing bed surface (B) is formed obliquely while forming a certain angle with the base surface on the printer frame 100, the size of the facility can be compactly configured, and the belt 410 The position control of can be performed more precisely. For example, when the moving amount of the belt is'S', the moving amount of the belt in the Z-axis direction is "S*cos(α)" (where'α' is the angle between the printing bed surface (B) and the base surface) As a result,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belt can be more precisely controlled.

따라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400)는 Z축 방향으로 프린팅 베드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벨트(410)가 움직이는 방향은 Z축 방향의 변위 이외에 다른 축 방향의 변위가 합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elt conveyor unit 400 is for transporting the printing bed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elt 41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displacements in other axial directions other than the displacement in the Z-axis direction are combined. .

한편, 구현 방식에 따라 X,Y,Z축 3축 성분이 모두 존재하는 방향(즉, 각 축 방향으로의 이동 성분이 '0'이 아닌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으나, 본 구현예에서와 같이, X,Y,Z축 중 Y축(중력방향)과 Z축 방향만의 벨트(410) 이동 변위를 제한하는 것이 프린팅 헤드(200)의 위치 제어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it may also be considered to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all three axis components of the X, Y, and Z axis exist (that is, the movement component in each axis direction is not '0'), but this implementation As in the example, it is more preferable in terms of position control of the printing head 200 to limit the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belt 410 only in the Y-axis (gravity direction) and Z-axis directions among the X, Y, and Z axes.

본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의 경우, 롤러들(421, 422, 423)에 의해 벨트(410)가 회전하면서 Z축 방향으로 무한한 스트로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부(400)의 구동에 따라 제품(P)을 연속적으로 무한하게 출력할 수 있는 구조이다.In the case of the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belt 410 is rotated by the rollers 421, 422, 423 and can provide an infinite stroke in the Z-axis direction, the belt conveyor unit 400 is driven. It is a structure that can continuously and infinitely output the product (P) according to the following.

또한, 본 구현예에서의 벨트 컨베이어부(400)는 도 1에서와 같이 3개의 롤러들(421, 422, 423)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단지 2개의 롤러들에 의해 벨트가 구동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벨트 컨베이어부(400) 내부에는 후술할 히팅 플레이트(500) 및 이 히팅 플레이트(5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3 개 이상의 롤러들을 설치하여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벨트 내부 공간이 대체로 삼각 기둥 형상이 되도록 세 개의 롤러들(421, 422, 423)에 의해 지지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belt conveyor unit 400 in this embodiment may include three rollers 421, 422, 423 as shown in FIG. 1, and the belt is driven by only two rollers. Can be configured. However, since the heating plate 500 and components for moving the heating plate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hould be arranged inside the belt conveyor 400, it is more preferable to secure enough internal space by installing three or more rollers. Do. In this regard, FIGS. 1 and 2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inner space of the belt is supported by three rollers 421, 422, and 423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belt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column shape.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400)는 벨트의 위치를 정밀 제어하기 위해, 벨트 및 롤러 상에 요철 구조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벨트에는 그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부(411)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들(421, 422, 423)은 상기 벨트의 다수의 돌기부(411)에 계합하는 다수의 함몰부(424)가 그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elt conveyor unit 400 may have an uneven structure formed on a belt and a roller in order to precisely control the position of the belt. 2 and 3, a plurality of protrusions 411 are formed on the bel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rollers 421, 422, 423 are a plurality of protrusions 411 of the belt. ), a plurality of depressions 424 engaging with each other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따라서, 벨트의 돌기부(411)가 롤러의 함몰부(424)에 계합된 상태로 롤러의 회전에 따라 벨트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돌기부(411)는 상기 벨트의 양측 단부에 2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벨트 돌기부(411)의 위치 또는 롤러 함몰부(424)의 위치(즉, 롤러의 회전량)을 제어함에 따라 벨트 컨베이어부(400)의 Z축 방향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elt moves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ller while the protrusion 411 of the belt is engaged with the depression 424 of the roller. The protrusions 411 may be formed in two rows at both ends of the belt, and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belt protrusion 411 or the position of the roller depression 424 (that is,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roller), the belt conveyor unit The position of the 400 in the Z-axis direction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에서는, 상기 벨트의 돌기부(411)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벨트 돌기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벨트 돌기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돌기부(411)의 위치에 따라 Z축 방향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반대로, 롤러부의 함몰부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롤러 함몰부 검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롤러 함몰부 검출 센서에 의해 롤러의 회전량을 검출함으로써 Z축 방향 위치 제어를 구현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t protrusion detection sensor further includes a belt protrus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411 of the belt, and the controller is detected by the belt protrusion detection sensor.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osition in the Z-axis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411. Conversely, a roller depress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epression of the roller part may be included, and position control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implemented by detecting the rotation amount of the roller by the roller depression detection sensor.

상기 벨트의 돌기부(411)와 상기 롤러의 함몰부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면에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형태라면 적절히 변경되어 채용될 수 있다.The specific shapes of the protrusion 411 of the belt and the depression of the roller are not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adopted if the shape includes an uneven structure.

물론, 이와 반대로, 벨트에 함몰부가, 롤러에 돌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on the contrary, a depression may be formed in the belt and a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roller.

또한, 상기 벨트의 돌기부(411)들은 도 3에서와 같이, 양측 단부에 2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2열 구조의 돌기부(411)들에 의해, 반복적인 벨트 컨베이어부(400)의 구동에도 불구하고, 벨트가 뒤틀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411)가 형성된 벨트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벨트 컨베이어부(400)의 내구성을 개선하고, 위치 제어 오차에 따른 제품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s 411 of the belt may be formed in two rows at both ends, as shown in FIG. 3, and by the protrusions 411 of the two-row structure, the belt conveyor 400 can be repeatedly driven. Nevertheless, it can solve the problem of belt warping. Therefore, by employing a belt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s 411 are formed, durability of the belt conveyor unit 400 can be improved, and product defects due to position control error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벨트 컨베이어부(4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벨트의 상기 프린팅 베드면(B)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 플레이트(500)가 위치할 수 있다.A heating plate 500 for heating the printing bed surface B of the belt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elt conveyor unit 400.

상기 히팅 플레이트(500)는 도 2에서와 같이, 분사 노즐(210)과 가까운 위치, 즉 벨트의 프린팅 베드면(B)의 하부 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벨트의 양쪽 돌기부(411)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heating plate 500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spray nozzle 210, that is, on the lower side of the printing bed surface B of the belt, and both protrusions ( 411) can be located between.

이러한 히팅 플레이트(500)는 벨트의 프린팅 베드면(B) 저부에서 벨트와 접촉하면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벨트를 가열하여 3D 프린팅을 위한 프린팅 베드면(B)의 공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히팅 플레이트(500)는 프린팅 베드면(B)과 접촉하면서, 실질적으로 프린팅 베드면(B)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프린팅 베드면(B)을 형성하는 벨트의 상면에 굴곡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본 구현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는 히팅 플레이트(500)가 벨트를 직접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바,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벨트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벨트의 상면 자체를 프린팅 베드면(B)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heating plate 500 heats the belt at a preset temperature while contacting the belt at the bottom of the printing bed surface B of the belt, thereby maintaining the process temperature of the printing bed surface B for 3D printing. In addition, the heating plate 500 is configured to substantially support the printing bed surface (B) while in contact with the printing bed surface (B), and is b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forming the printing bed surface (B). It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this. Therefore, in the 3D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ating plate 500 is configured to directly support the bel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lt from bending even without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belt, thereby prin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itself. It can be used as the bed side (B).

또한, 상기 히팅 플레이트(500)는 상기 벨트와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벨트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히팅 플레이트(500)는 로봇 아암 등에 의해 벨트에 대해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heating plate 50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etween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elt and a position not in contact with the belt. For example, the heating plate 50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belt by a robot arm or the like.

히팅 플레이트(500)를 후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벨트의 프린팅 베드면(B)을 선택적으로 가열하기 위함이고, 예를 들어 제품 출력 시에만 히팅 플레이트(500)를 전진시켜 벨트에 밀착시킨 다음, 제품 출력이 종료되면, 히팅 플레이트(500)를 후퇴시켜 벨트 가열을 중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Configuring the heating plate 500 to be retractable is to selectively heat the printing bed surface (B) of the belt, for example, by advancing the heating plate 500 only at the time of product output, and making it in close contact with the belt, When product output is finished, the heating plate 500 may be retracted to stop heating the belt.

상기 히팅 플레이트(500)는 히터를 포함하는 판상의 구조물로, 상기 히팅 플레이트(500)의 가열 온도는 170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히팅 플레이트(500)의 히팅 방식과 가열 온도는 소재와 공정에 따라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The heating plate 500 is a plate-shaped structure including a heater, and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plate 500 may be controlled so as not to exceed 170 degrees. However, the heating method and heating temperature of the heating plate 500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a material and process.

또한, 앞서 설명한 제어기에 의해, 상기 히팅 플레이트(500)의 가열 및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는 제품 성형 시에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500)가 상기 벨트와 접촉하도록 전진시킨 상태에서 히터를 구동시켜 상기 프린팅 베드면(B)을 가열하게 된다. 반면, 제품 성형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500)를 후퇴시켜 상기 벨트와 히팅 플레이트(500)와의 접촉을 해제시키고, 히터의 구동을 종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heating and movement of the heating plate 500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controller heats the printing bed surface B by driving the heater in a state in which the heating plate 500 moves forward so as to contact the belt during product moldi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oduct molding is complete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heating plate 500 to be retracted to release contact between the belt and the heating plate 500 and to terminate the driving of the hea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품(P)의 무한 출력 시, 출력된 제품(P)을 회수하기 위한 제품 회수부(6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 도 1 및 도 2에서는 이러한 제품 회수부(600)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품 회수부(600)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400)의 외측에 설치되며, 3D 프린팅으로 출력된 제품들이 벨트를 따라 이동한 후, 벨트의 일측 단부에서 프린팅 베드면(B)을 이탈한 제품들이 회수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품 회수부(600)는 롤러의 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품 가이드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duct P is infinitely output,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roduct recovery unit 600 for recovering the output product P. In this regard, FIGS. 1 and 2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such a product recovery unit 600 is installed. The product collection unit 600 is installed outside the belt conveyor unit 400, and after the products output by 3D printing move along the belt, the product deviated from the printing bed surface (B) at one end of the belt. Are positioned so that they can be retrieved. In addition, the product collection unit 6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oduct guide forme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roller.

한편, 도 4에서는 벨트의 궤도 너머 제품 지지부(700)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이러한 제품 지지부(700)는 실질적으로 벨트를 이탈한 제품들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제품군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대시켜줄 수 있다. 상술한 제품 가이드 또는 제품 지지부는 옵션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프린터 프레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oduct support part 700 is formed beyond the track of the belt. 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producing a product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the product support part 700 may support products that have substantially deviated from the belt, thereby expanding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various product groups. The product guide or product support described above may be installed on the printer frame to be detachably detachable as an op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into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embedded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general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프린터 프레임 200: 프린팅 헤드
210: 분사 노즐 300: 이송 모듈부
310: 제1 가이드 320: 제2 가이드
400: 벨트 컨베이어부 410: 벨트
421, 422, 423: 롤러 411: 돌기부
424: 함몰부 500: 히팅 플레이트
600: 제품 회수부 700: 제품 지지부
100: printer frame 200: printing head
210: spray nozzle 300: transfer module unit
310: first guide 320: second guide
400: belt conveyor unit 410: belt
421, 422, 423: roller 411: protrusion
424: depression 500: heating plate
600: product recovery unit 700: product support unit

Claims (12)

프린터 프레임;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프린팅 헤드;
상기 프린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프린팅 헤드를 X-Y평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 모듈부;
상기 X-Y평면에 수직한 Z축 방향의 이동 성분을 가지며, 상기 분사노즐에 대향하는 프린팅 베드면을 형성하는 벨트 컨베이어부; 및
상기 이송 모듈부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프린팅 헤드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는,
세 개의 롤러와 상기 세 개의 롤러에 의해 이동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상기 벨트 내부 공간이 삼각 기둥 형상이 되도록 상기 세 개의 롤러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프린팅 베드면은 상기 프린터 프레임의 하부 베이스면과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면서 비스듬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
Printer frame;
A printing head including a spray nozzle;
A transfer module unit installed on the printer frame and configured to move the printing head on an XY plane;
A belt conveyor unit having a moving component in a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Y plane and forming a printing bed surface facing the spray nozzle; And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transfer module unit and the belt conveyor uni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rinting head,
The belt conveyor unit,
Including a belt that is moved by three rollers and the three rollers, the inner space of the belt is supported to be movable by the three rollers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belt becomes a triangular column shape,
3D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nting bed surface is formed obliquely whil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ower base surface of the printer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의 상기 프린팅 베드면에 직접 소재를 분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ray nozzle is configured to spray a material directly onto the printing bed surface of the belt conveyo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벨트의 상기 프린팅 베드면을 가열하기 위한 히팅 플레이트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3D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a heating plate for heating the printing bed surface of the belt is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el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는 상기 벨트와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벨트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기는 제품 성형 시에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가 상기 벨트와 접촉하도록 전진시켜 상기 프린팅 베드면을 가열하고, 제품 성형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를 후퇴시켜 상기 벨트와 접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heating plate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etween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elt and a position not in contact with the belt,
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during product molding, the heating plate advances to contact the belt to heat the printing bed surface, and when product molding is completed, the heating plate is retracted to prevent contact with the belt. 3D pri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printing.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가 상기 벨트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히팅 플레이트를 미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온도 제어하면서 가열하고, 상기 히팅 플레이트가 상기 벨트와 접촉하지 않는 경우 가열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ler heats the heating plate while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o maintain a preset temperature when the heating plate contacts the belt, and terminates heating when the heating plate does not contact the belt. Printable 3D prin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는 그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롤러들은 상기 벨트의 다수의 돌기부에 계합하는 다수의 함몰부가 그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l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rollers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depressions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of the bel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periphery thereof. 3D pri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printing.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벨트의 양측 단부에 2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3D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are formed in two rows at both ends of the bel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돌기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벨트 돌기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벨트 돌기 검출 센서에 의해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한 돌기부의 위치를 검출하여 Z축 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belt protrus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of the belt,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Z-axis direction b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by the belt protrusion detection sensor. 3D print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듈부는 X축 방향으로 상기 프린팅 헤드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module unit includes a first guide unit for moving the printing head in the X-axis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unit for moving the first guide unit in the Y-axis direc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이어부의 단부 측에는 상기 프린팅 베드면을 이탈한 제품을 지지하기 위한 제품 지지부 또는 제품 회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출력가능한 3D 프린팅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3D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output, characterized in that a product support part or a product recovery part for supporting a product deviating from the printing bed is installed at an end side of the belt conveyor part.
KR1020190143681A 2019-11-11 2019-11-11 3d printing system capable of continuous production KR1022378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681A KR102237867B1 (en) 2019-11-11 2019-11-11 3d printing system capable of continuous prod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681A KR102237867B1 (en) 2019-11-11 2019-11-11 3d printing system capable of continuous pro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867B1 true KR102237867B1 (en) 2021-04-08

Family

ID=7548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681A KR102237867B1 (en) 2019-11-11 2019-11-11 3d printing system capable of continuous prod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86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501B1 (en) * 2016-10-07 2017-05-15 (주)케이랩스 3d printer capable of continuous printing and continuous 3d printing system with the same
KR101850688B1 (en) 2016-11-01 2018-05-31 박지종 3D Printer for Continuous Production
WO2018194446A1 (en) * 2017-04-18 2018-10-25 Stephan Schürmann Holding B.V. A gantry-type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a three dimensional work piece in a layer wise man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501B1 (en) * 2016-10-07 2017-05-15 (주)케이랩스 3d printer capable of continuous printing and continuous 3d printing system with the same
KR101850688B1 (en) 2016-11-01 2018-05-31 박지종 3D Printer for Continuous Production
WO2018194446A1 (en) * 2017-04-18 2018-10-25 Stephan Schürmann Holding B.V. A gantry-type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a three dimensional work piece in a layer wise man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4094A1 (en) Multiple axis robotic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s
KR100771169B1 (en) Prototyp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flexible multiple array nozzle set
US8944802B2 (en) Fixed printhead fused filament fabrication printer and method
KR101430582B1 (en) 3D printer with extruder including multi feeder and rotable multi nozzle and thereof operating method
US20170015066A1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dditive manufacturing on thermoplastic sheets
US103508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by additive manufacturing
EP2851179B1 (en) Device for printing simultaneously three dimensional objects
TWI596000B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head module
TW201522019A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head module
KR102237867B1 (en) 3d printing system capable of continuous production
KR20180100875A (en) 3D printer and production system having the same
US20210346962A1 (en) Profiled rails for in multi-directional binder jetting
TWM523581U (en)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KR20150049736A (en) Three dimensional printer improving printing velocity
KR101959222B1 (en) A lower bed of 3d-printer
JP7446794B2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and a three-dimensional printing device
US11235534B2 (en) Fixtures for industrial tooling
JP7123356B2 (en)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ing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ing method
KR20170056164A (en) 3D printer of bed fixing type
CN106671410A (en) Three-dimensional jet-printing device
KR202300868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3D Printing
TWI572476B (en)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KR20150049737A (en) Three dimensional printing method improving printing velo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