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950B1 - 터치패드 모듈 - Google Patents

터치패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950B1
KR102236950B1 KR1020190044783A KR20190044783A KR102236950B1 KR 102236950 B1 KR102236950 B1 KR 102236950B1 KR 1020190044783 A KR1020190044783 A KR 1020190044783A KR 20190044783 A KR20190044783 A KR 20190044783A KR 102236950 B1 KR102236950 B1 KR 102236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touch
center
point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032A (ko
Inventor
현의섭
정태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디
Priority to KR102019004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950B1/ko
Priority to US17/604,204 priority patent/US11366533B2/en
Priority to EP20790690.0A priority patent/EP3958099A4/en
Priority to CN202080029005.0A priority patent/CN113711167B/zh
Priority to PCT/KR2020/005130 priority patent/WO2020213966A1/ko
Priority to JP2021562068A priority patent/JP7229454B2/ja
Publication of KR20200122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8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from or to individual record carriers, e.g. punched card, memory card, integrated circuit [IC] card or smar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드(110)와, 센터터치패드영역과 각 사이드터치패드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경계막(120)과,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사이드버튼(130)과, 터치패드 FPCB 연결부(141) 및 사이드버튼접점(142)이 각각 형성된 FPCB(140)와, 상부/하부하우징(150,160)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1)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1)의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터치패드(110)의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패드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터치패드 모듈{Touch Pad Module}
본 발명은 기존의 마우스와 터치패드의 장점을 융합하고 기존의 구성과 구조를 변경하는 동시에 운용원리를 재설정함으로서 기존의 터치패드 보다 더 작은 면적의 터치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극소면적의 티치패드를 제공하여도 기존의 터치패드 UI 운용방식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기능뿐 아니라 추가적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효율과 편리성을 배가한 첨단의 진보적 터치패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터치패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과 IPTV의 스마트기기를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기능을 활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버튼이 구비된 제어신호 입력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25949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과, 내측공간의 내벽과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어느 하나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며,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과, 내측공간의 내벽과 밀기버튼의 외측벽 중 다른 하나를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단자스위치에 접촉되어 단자스위치를 접속시키는 도전체를 포함하여,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켜 신호입력장치에 구비되는 버튼의 개수를 줄이고, 별도의 가압센서가 구비되지 아니하더라도 측방향으로 미는 조작력을 감지하여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하지만,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단자스위치가 내벽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배선구조로 인해 초박형의 마우스를 제작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곡선의 내벽에 본딩작업 난이도가 높아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불량률이 높아지며, 빈번한 단자스위치와의 접속과 온도변화로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분리되어 오작동 가능성이 높아 제품 내구성이 저하되며, 원거리 포인팅은 가능하나 근거리 정밀 포인팅을 수행할 수 없고, 보조버튼을 추가로 설치하여야 마우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실용성과 외관상 제품의 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425949호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2014.08.0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26923호 (스마트 컨트롤러, 2018.11.28)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박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극소면적의 터치패드상에서 근거리 및 원거리 정밀 포인팅을 수행하고, 터치패드에 의해 다양한 부가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실용성과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터치패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하는 원판형상의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를 원형의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로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패드를 수용하면서 외곽영역은 분할되어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사이드버튼; 중앙영역에 상기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여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이 각각 형성된 FPCB; 및 상기 분할경계막과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버튼과 상기 FPCB가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되는 상부/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상기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상기 터치패드의 극소면적으로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는, 터치패드 모듈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하는 원판형상의 센터터치패드; 중앙영역에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센터터치패드를 수용하는 센터터치패드하우징;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이격되어 외곽에 호형상으로 2개 이상 분할형성되는 사이드터치패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하부에 상응하여 형성되며,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사이드버튼; 중앙영역에 상기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센터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며, 외곽영역 일측에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사이드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여 외곽영역 타측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이 각각 형성된 FPCB; 상단에는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와 상기 센터터치패드하우징과 상기 사이드버튼과 상기 FPCB를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에 대향하여 형성된 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상기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상기 터치패드의 극소면적으로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는, 터치패드 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및 상기 사이드버튼은 상기 제2분할경계막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와 STD와 STL와 STR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와 SBD와 SBL과 SBR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터치패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또는 상기 사이드버튼의 단독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경계막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상기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TR의 터치에 의해 우클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TL 또는 상기 STR의 상하터치에 의해 상하 스크롤을 수행하거나, 상기 STU 또는 상기 STD의 좌우터치에 의해 좌우 스크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의 저면에는 진공흡착판 또는 부착패드가 형성되어, 마우스, 스마트폰, 스마트폰케이스, 태블릿, 노트북 또는 리모트컨트롤러에 부착되어 무선으로 또는 상기 FPCB의 회로라인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 상기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케이스, 상기 태블릿, 상기 노트북 또는 상기 리모트컨트롤러 자체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근거리포인팅 또는 미세조정을 수행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더블클릭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BU의 클릭에 의해 뒤로가기, 더블클릭에 의해 홈, 길게누름에 의해 바로가기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D의 클릭에 의해 마우스 기본설정, 더블클릭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안드로이드, 길게누름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iOS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R의 클릭에 의해 우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인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SBL의 클릭에 의해 좌클릭, 더블클릭에 의해 더블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화모드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전화받기, 더블터치에 의해 전화끊기, 길게터치에 의해 녹음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진모드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사진찍기, 더블터치에 의해 줌인, 길게터치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단독 또는 다른 사이드버튼과 연동한 조합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추가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단독으로 클릭/더블 클릭하는 4가지 경우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서로 연동하여 동시 클릭하여 이루는 6가지 조합을 포함하여 10가지의 경우를 생성하며, 상기 10가지 경우를 연동하여 다시 상기 해당 사이드버튼의 클릭/더블클릭/길게누름과 조합을 이루어, 사용자가 120가지의 추가기능을 임의로 설정하여 수행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조합을 기억하여 키보드의 기능키 및 자판의 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리적 이동없이 고정된 공간에서 포인팅기능을 수행하여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된 터치패드와 사이드버튼의 단독운용 및 조합운용에 의해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부감이나 이물감없이 부착하거나 크기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자체내에 내장시켜 일체화하여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마우스와 터치패드의 장점을 융합하고 기존의 구성과 구조를 변경하는 동시에 운용원리를 재설정함으로서 기존의 터치패드 보다 더 작은 면적의 터치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극소면적의 티치패드를 제공하여도 기존의 터치패드 UI 운용방식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기능뿐 아니라 추가적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효율과 편리성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초박형으로 형성하여 터치패드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기기의 전체 디자인과 연계하여 외관상으로 통합된 단일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패드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터치패드 모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터치패드 모듈의 FPCB의 배선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터치패드 모듈의 사이드버튼의 가압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패드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터치패드 모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5의 터치패드 모듈의 FPCB의 배선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5의 터치패드 모듈의 사이드버튼의 가압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패드 모듈의 터치패드 및 사이드버튼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패드 모듈을 적용한 마우스를 예시한 것이다.
도 11은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패드 모듈을 적용한 노트북을 예시한 것이다.
도 12는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패드 모듈의 부착형 및 일체형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13은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패드 모듈을 적용한 다양한 리모트컨트롤러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터치패드 모듈은, 전체적으로, 터치패드(110)와, 센터터치패드영역과 각 사이드터치패드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경계막(120)과,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사이드버튼(130)과, 터치패드 FPCB 연결부(141) 및 사이드버튼접점(142)이 각각 형성된 FPCB(140)와, 상부/하부하우징(150,160)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1)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1)의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터치패드(110)의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터치패드(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터치센서(미도시)의 터치에 의한 포인팅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한다.
예컨대, 터치패드(110)는 근거리포인팅을 단독 수행하는 센터터치패드(111)와, 원거리포인팅과 터치패드의 다양한 기본기능 및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부가기능을 병행 수행하는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는 후술하는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Side Touch Up)(112a)와 STD(Side Touch Down)(112b)와 STL(Side Touch Left)(112c)와 STR(Side Touch Right)(112d)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1)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설계되어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센터터치패드(111)에서 시작하여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에 터치가 지속되는 동안에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무한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서, 기존터치패드와 비교되지 않는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원거리포인팅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분할경계막(1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드(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터치패드(110)의 상부영역을 원형의 센터터치패드(111)와 외곽의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로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121)과,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를 호형상으로 균등하게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1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분할경계막(120)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b,c,d) 사이의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원거리포인팅을 위한 센터터치패드(111)와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분할경계막(120)은 터치패드(110)를 분할하여 다양하고 세분화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센터터치패드(111)와 각 사이드터치패드(112a,b,c,d)별로 설정된 선택적 기능의 경계를 넘어선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의 촉각으로 제1분할경계막(121)과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한 물리적 경계를 쉽게 인식하도록 한다.
다음, 사이드버튼(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113)이 관통하는 관통홀(131)이 형성되고, 터치패드(110) 상부가 노출되도록 터치패드(110)를 수용하는 하우징역할(A)을 하면서 외곽영역은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분할되어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12a,b,c,d)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B)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사이드버튼(130)은 전술한 제2분할경계막(122)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BU(Side Button Up)(132a)와 SBD(Side Button Down)(132b)와 SBL(Side Button Left)(132c)과 SBR(Side Button Right)(132d)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센터터치패드(111), 사이드터치패드(112a,b,c,d) 또는 사이드버튼(130)의 단독으로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로서의 기본기능 및 부가기능의 다양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FPCB(1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11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패드 FPCB 연결부(141)가 형성되고, 사이드버튼(130)에 상응하여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해당 사이드버튼(130)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탄성적인 사이드버튼접점(142)이 각각 형성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BU(132a)와 SBD(132b)와 SBL(132c)과 SBR(132d)의 사이드버튼(130)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사이드버튼접점(142a,b,c,d)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이드버튼(SB;132a,b,c,d)의 가압(push)에 의해 대응하는 하나의 사이드버튼접점(SBCP;142a,b,c,d)이 통전되도록 하여 사이드버튼(SB)의 클릭과 더블클릭과 길게누름을 각각 인식하게 된다.
다음, 상부/하부하우징(150,1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경계막(120)과 터치패드(110)와 사이드버튼(130)과 FPCB(140)가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한다.
또한, 터치패드 배선라인(113)과 사이드버튼 배선라인(144)으로 구성된 회로라인(C)은 상부하우징(150) 또는 하부하우징(160)의 일측에 개구된 연결홈(미도시)을 통해 외부기기의 연결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의 터치패드 모듈의 구성에 의해서, 근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며, 물리적 이동없이 고정된 공간에서 포인팅기능을 수행하여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분할된 터치패드와 사이드버튼의 단독운용 및 조합운용에 의해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며, 거부감이나 이물감없이 부착하거나 크기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자체내에 내장시켜 일체화하여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초박형으로 형성하여 터치패드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기기의 전체 디자인과 연계하여 외관상으로 통합된 단일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터치패드 모듈은, 전체적으로, 센터터치패드(110)와, 센터터치패드(110)를 수용하는 센터터치패드하우징(120)과, 센터터치패드(110) 외곽에 분할형성되는 사이드터치패드(125)와, 사이드터치패드(125)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사이드버튼(130)과, 센터터치패드 FPCB 연결부(141), 사이드터치패드 FPCB 연결부(142) 및 사이드버튼접점(143)이 각각 형성된 FPCB(140)와, 제1분할경계막(151a) 및 제2분할경계막(151b)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151)이 형성된 상부하우징(150)과, 하부하우징(160)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0)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에는, 센터터치패드(110)와 사이드터치패드(125)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0)의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25)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25)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센터터치패드(110) 및 사이드터치패드(125)의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센터터치패드(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터치센서(미도시)의 터치에 의한 포인팅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한다.
다음, 센터터치패드하우징(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111)이 관통하는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센터터치패드(110) 상부가 노출되도록 센터터치패드(110)를 수용한다.
다음, 사이드터치패드(12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터치패드(110)와 이격되어 외곽에 호형상으로 2개 이상 분할형성된다.
여기서, 센터터치패드(110)는 근거리포인팅을 단독 수행하는 반면,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는 센터터치패드(110)와 조합하여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고, 터치패드의 다양한 기본기능 및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부가기능을 병행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원거리포인팅은 센터터치패드(110)에서 터치를 시작하여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설계되어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센터터치패드(110)에서 시작하여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에 터치가 지속되는 동안에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기억된 터치반응감도대로 무한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서, 기존터치패드와 비교되지 않는 극소면적으로도 원하는 만큼의 원거리포인팅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사이드버튼(13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126)이 관통하는 관통홀(131)이 형성되고, 해당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의 가압에 의해 해당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사이드버튼(130)은 후술하는 제2분할경계막(151b)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BU(132a)와 SBD(132b)와 SBL(132c)과 SBR(132d)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센터터치패드(110), 사이드터치패드(125a,b,c,d) 또는 사이드버튼(130)의 단독으로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로서의 기본기능 및 부가기능의 다양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FPCB(14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영역에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1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터터치패드 FPCB 연결부(141)가 형성되고, 외곽영역 일측에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126)이 연결되는 사이드터치패드 FPCB 연결부(142)가 형성되고, 각 사이드버튼(130)에 상응하여 외곽영역 타측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특정 사이드버튼(130)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143)이 각각 형성된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BU(132a)와 SBD(132b)와 SBL(132c)과 SBR(132d)의 사이드버튼(130)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사이드버튼접점(143a,b,c,d)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사이드버튼(SB;132a,b,c,d)의 가압(push)에 의해 대응하는 하나의 사이드버튼접점(SBCP;143a,b,c,d)이 통전되도록 하여 사이드버튼(SB)의 클릭과 더블클릭과 길게누름을 각각 인식하게 된다.
다음, 상부하우징(1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는 센터터치패드(110)와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를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151a)과,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를 호형상으로 균등하게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151b)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151)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하우징(160)은 상부하우징(150)에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부하우징(150)과 하부하우징(160) 내측공간에는 센터터치패드(110)와 센터터치패드하우징(120)과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와 사이드버튼(130)과 FPCB(140)를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된다.
여기서,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는 제2분할경계막(151b)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125a)와 STD(125b)와 STL(125c)와 STR(125d)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분할경계막(151)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센터터치패드(110)와 사이드터치패드(125a,b,c,d) 사이의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원거리포인팅을 위한 센터터치패드(110)와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의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분할경계막(151)은 터치패드를 분할하여 다양하고 세분화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센터터치패드(110)와 각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별로 설정된 선택적 기능의 경계를 넘어선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의 촉각으로 제1분할경계막(151a)과 제2분할경계막(151b)에 의한 물리적 경계를 쉽게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111)과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126)과 사이드버튼 배선라인(144)으로 구성된 회로라인(C)은 상부하우징(150) 또는 하부하우징(160)의 일측에 개구된 연결홈(미도시)을 통해 외부기기의 연결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하부하우징(160)의 저면에는 진공흡착판(미도시) 또는 부착패드(패치)(미도시)가 형성되어, 마우스(도 10), 스마트폰(도 12의 (a)), 스마트폰케이스(도 12의 (b)), 태블릿, 노트북(도 11), 또는 리모콘(도 13의 (a))과 드론조정기(도 13의 (b))와 게임조정기(도 13의 (c))와 VR조정기(도 13의 (d))의 다양한 리모트컨트롤러(도 13)에 부착되어서, 무선모듈(미도시)을 통해 무선으로 또는 FPCB(140)의 회로라인(C)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부착없이, 마우스, 스마트폰(도 12의 (c)), 스마트폰케이스(도 12의 (d)), 태블릿, 노트북(도 11) 또는 리모콘(도 13의 (a))과 드론조정기(도 13의 (b))와 게임조정기(도 13의 (c))와 VR조정기(도 13의 (d))의 다양한 리모트컨트롤러(도 13) 자체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0의 (a)에서와 같이 기존 마우스에 결합시켜 구성하거나, 도 10의 (b) 및 (c)에서와 같이 초박 평면형 마우스에 적용시키거나, 도 10의 (d) 및 (e)에서와 같이 초박 굴곡형 마우스에 적용시키거나, 도 10의 (f)에서와 같이 변형형 마우스에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g)에서와 같이 사원증 겸용 초박 평면형 마우스에 적용시켜, 프리젠테이션시, 사용자가 사원증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며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 및 다음의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여, 센터터치패드(110), STU(125a)와 STD(125b)와 STL(125c)와 STR(125d)의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132a)와 SBD(132b)와 SBL(132c)과 SBR(132d)의 사이드버튼(130)의 단독운용 또는 조합운용에 의한 기본기능 및 다양한 부가기능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포인팅 근거리(미세조정) 원거리
CT CT + ST
클릭 좌클릭 우클릭
CT, STL, SBL STR, SBR
스크롤 아래
STR, STL STU, STD
드래그 앤 드롭 CT(더블클릭) + ST
즉, STR(125d)의 터치에 의해 우클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STL(125c) 또는 STR(125d)의 상하터치에 의해 상하 스크롤을 수행하거나, STU(125a) 또는 STD(125d)의 좌우터치에 의해 좌우 스크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센터터치패드(110)의 터치에 의해 근거리포인팅 또는 미세조정을 수행하며, 센터터치패드(110)의 더블클릭과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의 조합에 의해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드래그 앤 드롭은, 센터터치패드(110)의 더블클릭 후 포인팅하며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를 터치하면, 터치가 유지되는 동안 계속하여 드래그가 수행되고 원하는 좌표지점에 도달할 때 터치를 떼어 드롭하여 수행한다.
또한, 사이드터치패드(125a,b,c,d)의 단독 내지는 다른 사이드버튼(130)과 연동한 조합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추가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를 단독으로 클릭/더블 클릭하는 4가지 경우와 사이드터치패드(125a,b,c,d)를 서로 연동하여 동시 클릭하여 이루는 6가지 조합을 포함하여 10가지의 경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10가지 경우를 연동하여 다시 해당 사이드버튼(130)의 클릭/더블클릭/길게누름과 조합을 이룬다면 사용자가 120가지의 추가기능을 임의로 설정하여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조합을 기억할 수만 있다면 키보드의 기능키뿐만 아니라 자판의 기능까지도 설정하여 수행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설정한 조합을 기억할 수만 있다면 키보드의 기능키뿐만 아니라 자판의 기능까지도 설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사이드버튼 운용 기능 사이드버튼 운용 기능

SBU
V 뒤로가기
SBR
V 우클릭
W W
~ 바로가기 ~ 줌인

SBD
V 기본설정
SBL
V 좌클릭
W MP/안드로이드 W 더블클릭
~ MP/iOS ~ 줌아웃
즉, SBU(132a)의 클릭(V)에 의해 뒤로가기, 더블클릭(W)에 의해 홈, 길게누름(~)에 의해 바로가기를 수행하도록 하며, SBD(132b)의 클릭에 의해 마우스 기본설정, 더블클릭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안드로이드, 길게누름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iOS를 수행하도록 하며, SBR(132d)의 클릭에 의해 우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인을 수행하도록 하고, SBL(132c)의 클릭에 의해 좌클릭, 더블클릭에 의해 더블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터치 사용중 사진모드
CT 전화받기 사진찍기
CT 더블터치 전화끊기 줌인
CT 길게터치 녹음 줌아웃
즉, 전화모드시, 센터터치패드(110)의 터치에 의해 전화받기, 더블터치에 의해 전화끊기, 길게터치에 의해 녹음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진모드시, 센터터치패드(110)의 터치에 의해 사진찍기, 더블터치에 의해 줌인, 길게터치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제2실시예의 터치패드 모듈의 구성에 의해서, 근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며, 물리적 이동없이 고정된 공간에서 포인팅기능을 수행하여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으며, 분할된 터치패드와 사이드버튼의 단독운용 및 조합운용에 의해 기존의 터치패드가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며, 거부감이나 이물감없이 부착하거나 크기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자체내에 내장시켜 일체화하여 유무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초박형으로 형성하여 터치패드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기기의 전체 디자인과 연계하여 외관상으로 통합된 단일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실시예
110 : 터치패드 111 : 센터터치패드
112a,b,c,d : 사이드터치패드 112a : STU
112b : STD 112c : STL
112d : STR 120 : 분할경계막
121 : 제1분할경계막 122 : 제2분할경계막
130 : 사이드버튼 131 : 관통홀
132a : SBU 132b : SBD
132c : SBL 132d : SBR
140 : FPCB 141 : 터치패드 FPCB 연결부
142a,b,c,d : 사이드버튼접점 150 : 상부하우징
160 : 하부하우징
제2실시예
110 : 센터터치패드 111 :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
120 : 센터터치패드하우징 121 : 관통홀
125 : 사이드터치패드 125a : STU
125b : STD 125c : STL
125d : STR 126 :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
130 : 사이드버튼 131 : 관통홀
132a : SBU 132b : SBD
132c : SBL 132d : SBR
140 : FPCB 141 : 센터터치패드 FPCB 연결부
142 : 사이드터치패드 FPCB 연결부 143a,b,c,d : 사이드버튼접점
144 : 사이드버튼 배선라인 150 : 상부하우징
151 : 분할경계막 151a : 제1분할경계막
151b : 제2분할경계막 160 : 하부하우징

Claims (13)

  1. 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하는 원판형상의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의 상부를 원형의 센터터치패드와 사이드터치패드로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
    중앙영역에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터치패드를 수용하면서 외곽영역은 분할되어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사이드버튼;
    중앙영역에 상기 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여 외곽영역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이 각각 형성된 FPCB; 및
    상기 분할경계막과 상기 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버튼과 상기 FPCB가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되는 상부/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상기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상기 터치패드의 극소면적으로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는, 터치패드 모듈.
  2. 좌표를 인식하여 포인팅을 수행하는 원판형상의 센터터치패드;
    중앙영역에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 상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센터터치패드를 수용하는 센터터치패드하우징;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이격되어 외곽에 호형상으로 2개 이상 분할형성되는 사이드터치패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하부에 상응하여 형성되며,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가압에 의해 사이드버튼기능을 수행하는 해당 사이드버튼;
    중앙영역에 상기 센터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센터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며, 외곽영역 일측에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배선라인이 연결되는 사이드터치패드 FPCB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버튼에 상응하여 외곽영역 타측에 방사상 형태로 배열되어 상기 사이드버튼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2개 이상의 사이드버튼접점이 각각 형성된 FPCB;
    상단에는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분할하는 링형상의 제1분할경계막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호형상으로 개별분할하는 직선형상의 제2분할경계막으로 구성되는 분할경계막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와 상기 센터터치패드하우징과 상기 사이드버튼과 상기 FPCB를 순차적으로 적층 수용하는 상부하우징; 및
    상기 상부하우징에 대향하여 형성된 하부하우징;을 포함하여,
    근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에 의해 단독 수행하도록 하고, 원거리포인팅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병행 수행하도록 하되,
    원거리포인팅은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를 시작하여 상기 해당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할 때의 터치반응감도를 기억하게 하고,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에 도달하여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반복 터치하지 않아도 상기 터치반응감도대로 이동이 계속되도록 하여, 원하는 포인팅좌표에 도달하여 터치를 떼면 원하는 포인팅좌표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도록 하여서, 상기 센터터치패드 및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극소면적으로 원하는 만큼의 무한대의 원거리포인팅을 수행하는, 터치패드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및 상기 사이드버튼은 상기 제2분할경계막에 의해 동등간격으로 STU와 STD와 STL와 STR의 해당 사이드터치패드 및 SBU와 SBD와 SBL과 SBR의 해당 사이드버튼으로 각각 4분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터치패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 또는 상기 사이드버튼의 단독 또는 특정조합으로 그래픽컨트롤러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경계막은 0.5mm 내지 1.0mm의 높이로 설정되어, 경계를 인식할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되, 상기 특정조합에 의한 연동시 터치하면서 경계를 쉽게 넘어갈 수준의 높이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TR의 터치에 의해 우클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TL 또는 상기 STR의 상하터치에 의해 상하 스크롤을 수행하거나, 상기 STU 또는 상기 STD의 좌우터치에 의해 좌우 스크롤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모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저면에는 진공흡착판 또는 부착패드가 형성되어, 마우스, 스마트폰, 스마트폰케이스, 태블릿, 노트북 또는 리모트컨트롤러에 부착되어 무선으로 또는 상기 FPCB의 회로라인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상기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케이스, 상기 태블릿, 상기 노트북 또는 상기 리모트컨트롤러 자체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터치패드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모듈.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근거리포인팅 또는 미세조정을 수행하고,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더블클릭과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조합에 의해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모듈.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BU의 클릭에 의해 뒤로가기, 더블클릭에 의해 홈, 길게누름에 의해 바로가기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D의 클릭에 의해 마우스 기본설정, 더블클릭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안드로이드, 길게누름에 의해 주플랫폼으로 iOS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R의 클릭에 의해 우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인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SBL의 클릭에 의해 좌클릭, 더블클릭에 의해 더블클릭, 길게누름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전화모드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전화받기, 더블터치에 의해 전화끊기, 길게터치에 의해 녹음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진모드시, 상기 센터터치패드의 터치에 의해 사진찍기, 더블터치에 의해 줌인, 길게터치에 의해 줌아웃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모듈.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터치패드의 단독 또는 다른 사이드버튼과 연동한 조합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추가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단독으로 클릭/더블 클릭하는 4가지 경우와 상기 사이드터치패드를 서로 연동하여 동시 클릭하여 이루는 6가지 조합을 포함하여 10가지의 경우를 생성하며, 상기 10가지 경우를 연동하여 다시 상기 해당 사이드버튼의 클릭/더블클릭/길게누름과 조합을 이루어, 사용자가 120가지의 추가기능을 임의로 설정하여 수행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조합을 기억하여 키보드의 기능키 및 자판의 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 모듈.
KR1020190044783A 2019-04-17 2019-04-17 터치패드 모듈 KR102236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83A KR102236950B1 (ko) 2019-04-17 2019-04-17 터치패드 모듈
US17/604,204 US11366533B2 (en) 2019-04-17 2020-04-17 Four-dimensional touch pad module
EP20790690.0A EP3958099A4 (en) 2019-04-17 2020-04-17 FOUR-DIMENSIONAL TOUCHPAD MODULE
CN202080029005.0A CN113711167B (zh) 2019-04-17 2020-04-17 四维触控板模块
PCT/KR2020/005130 WO2020213966A1 (ko) 2019-04-17 2020-04-17 4차원 터치패드 모듈
JP2021562068A JP7229454B2 (ja) 2019-04-17 2020-04-17 4次元タッチパッド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783A KR102236950B1 (ko) 2019-04-17 2019-04-17 터치패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32A KR20200122032A (ko) 2020-10-27
KR102236950B1 true KR102236950B1 (ko) 2021-04-06

Family

ID=7283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783A KR102236950B1 (ko) 2019-04-17 2019-04-17 터치패드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66533B2 (ko)
EP (1) EP3958099A4 (ko)
JP (1) JP7229454B2 (ko)
KR (1) KR102236950B1 (ko)
WO (1) WO2020213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639A (ko) * 2020-11-20 2022-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균일한 클릭 동작을 지원하는 터치패드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75B1 (ko) * 2016-10-26 2018-05-18 (주)에이치더블유엘 다이얼 리모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9230B2 (ja) 2001-09-04 2007-04-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JP4020246B2 (ja) 2002-03-26 2007-12-1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ッド装置
US7499040B2 (en) * 2003-08-18 2009-03-03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JP2005348036A (ja) 2004-06-02 2005-12-15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入力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057922A1 (en) * 2005-09-13 2007-03-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 having concentric touch pads
JP5169289B2 (ja) * 2008-02-19 2013-03-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リモコン送信機
US20100026626A1 (en) * 2008-07-30 2010-02-04 Macfarlane Scott Efficient keyboards
US8362349B2 (en) * 2009-09-11 2013-01-29 Gibson Guitar Corp. Touch pad disc jockey controller
JP5581904B2 (ja) 2010-08-31 2014-09-03 日本精機株式会社 入力装置
KR101364120B1 (ko) * 2011-08-17 2014-02-19 이주협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358357B1 (ko) * 2012-02-27 2014-02-06 주식회사 디오시스템즈 리모컨
WO2013168338A1 (ja) * 2012-05-09 2013-1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425949B1 (ko) 2012-08-24 2014-08-05 (주)아이티버스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KR20170094451A (ko) 2014-12-30 2017-08-17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동작 방법, 터치 동작 어셈블리 및 전자 디바이스
KR101817527B1 (ko) * 2015-11-19 2018-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조방법
KR101802667B1 (ko) * 2016-08-25 201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제품용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0169B1 (ko) 2017-05-19 2020-11-18 (주)아이티버스 스마트 컨트롤러
CN207115366U (zh) * 2017-08-01 2018-03-16 徐海波 一种多功能触控装置
KR102236945B1 (ko) * 2019-04-10 2021-04-05 주식회사 비엘디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75B1 (ko) * 2016-10-26 2018-05-18 (주)에이치더블유엘 다이얼 리모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032A (ko) 2020-10-27
WO2020213966A1 (ko) 2020-10-22
CN113711167A (zh) 2021-11-26
JP2022529482A (ja) 2022-06-22
EP3958099A4 (en) 2023-01-04
US11366533B2 (en) 2022-06-21
US20220147167A1 (en) 2022-05-12
EP3958099A1 (en) 2022-02-23
JP7229454B2 (ja) 202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699B2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KR102199442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TWI382739B (zh) 用以提供資訊的卷軸運動之方法、電腦程式產品、電子裝置及卷軸多功能鍵模組
US11121709B2 (en) Electronic watch with side input button
US20140002358A1 (en) Compact capacitive track pad
CN101373413A (zh) 斜触控制面板
JPWO2007138982A1 (ja) 入力装置
TWM452382U (zh) 兼具有聲功能以及無聲功能之滑鼠裝置
KR102236950B1 (ko) 터치패드 모듈
KR102236945B1 (ko) 마우스와 터치패드 결합형 t-마우스 모듈
JP4729991B2 (ja) 電子機器
KR20230027136A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1517833A (ja) 携帯用端末機の多方向スライド入力装置
KR102372938B1 (ko) 영역분할 및 이원구동의 터치 입력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
CN113711167B (zh) 四维触控板模块
AU2015271962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TW201516764A (zh) 具有多功能按鍵的滑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