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480B1 -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480B1
KR102234480B1 KR1020180164983A KR20180164983A KR102234480B1 KR 102234480 B1 KR102234480 B1 KR 102234480B1 KR 1020180164983 A KR1020180164983 A KR 1020180164983A KR 20180164983 A KR20180164983 A KR 20180164983A KR 102234480 B1 KR102234480 B1 KR 102234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p irrigation
irrigation
water
buried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155A (ko
Inventor
이상훈
정기열
전현정
최영대
강항원
권순홍
김종순
서정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6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4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5Cyclic operations, timing systems, timing valves, impulse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00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 G01D1/02Measuring arrangement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variable, of general application giving mean values, e.g. root means squa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밭의 제1 매설부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점적 관개 호스와, 밭의 제2 매설부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점적 관개 호스와,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분배관과,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집수관과,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분배관과,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집수관과,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용수 탱크와, 상기 제1 분배관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1 관개 밸브와, 상기 제2 분배관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2 관개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관개밸브와 용수 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와, 상기 제1 및 제2 매설부에 각각 매설되어 토양의 수분 정보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센서 및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관개 여부를 결정하여 관개 밸브의 개폐 및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SUB-SURFACE DRIP IRRIGATION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밭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경작지(밭)의 경우, 배수 및 관개(또는 관개)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배수의 경우 지표 배수와 지하 배수를 이용하고 있다. 지표 배수는 강우 후에 발생한 경작지 내의 과잉수를 지표의 경사를 이용하여 배수시키는 방법으로 지표배수를 촉진하는 방법에는 주로 경지면에 배수도랑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지하배수는 지표 배수를 한 다음에 남는 지표의 잔류수와 토양 속의 중력수를 개거(open ditch)나 암거에 침출시켜 경지 밖으로 배제하는 방법으로 지하배수를 촉진하는 방법으로 주로 암거(subsurface drainage)가 이용된다.
암거는 토양 수분을 조절하기 위하여 지중에 토관, PVC관 자갈, 볏짚 등과 같은 재료를 묻어 지표배수만으로는 배제할 수 없는 지표 잔류수와 땅속의 중력수를 신속하게 배출하고, 지하수위를 낮출 목적으로 설치되는 시설을 말한다.
또한, 관개 방법(또는 관수 방법)에는, 고랑 관개, 호스 관개, 점적 관개, 분수 관개, 살수 관개, 미스트관개, 지중관개 등을 이용하고 있다.
고랑 관개는 경작지의 고랑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이며, 호스관개는 호스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또한, 점적 관개는 튜브나 플라스틱 파이프에 작은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연결된 가느다란 관의 선단 부분에 노즐이나 미세한 수분 배출구를 만들어 물이 방울져 소량씩 스며 나오도록 하여 관개하는 방법이다. 분수관개는 유공튜브에 물을 분출시켜 관개하고, 살수관개는 노즐을 이용하여 물을 뿌려 관개하며, 미스트 관개는 미스트장치로 물을 미세한 세무로 만들어 관개하는 방법이다. 지중 점적 관개는 지중에 매설한 관개 파이프로 작물 뿌리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이다.
한편, 밭의 경우, 토양의 상태 및 재배 작물을 고려하여 배수와 관개가 다르게 조절되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부분이 전혀 반영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경작지의 상태, 재배 작물 및 기상 조건을 고려하여 배수와 관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작물이 생장하는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밭의 제1 매설부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점적 관개 호스와, 밭의 제2 매설부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점적 관개 호스와,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분배관과,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집수관과,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분배관과,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집수관과,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용수 탱크와, 상기 제1 분배관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1 관개 밸브와, 상기 제2 분배관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2 관개 밸브와, 상기 제1 및 제2 관개밸브와 용수 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와, 상기 제1 및 제2 매설부에 각각 매설되어 토양의 수분 정보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센서 및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관개 여부를 결정하여 관개 밸브의 개폐 및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경작지의 상태, 재배 작물 및 기상 조건을 반영하여 배수 및 관개 조절을 제어함에 따라, 재배 작물이 생장하는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두 개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되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한 개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되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밭의 위치에 따라 토양의 경사 또는 조성 상태가 상이한 지형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 또는 펌프 용량이나 점적 관개 호스의 간격 및 유량 등을 고려할 때 밭의 면적이 커서 한번에 전체 면적을 관개하기가 곤란한 경우, 밭의 매설부를 여러 개로 나누어 설정한다. 본 발명의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매설부가 설정된 밭에 적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따른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은 여러 개의 매설부의 관개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2 이상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두 개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되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 하나 이상의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 제1 분배관(200a), 제1 집수관(300a), 제2 분배관(200b), 제2 집수관(300b), 용수 탱크(400), 제1 관개 밸브(500a), 제2 관개 밸브(500b), 펌프(600), 제1 센서(700a), 제2 센서(700b) 및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밭의 제1 매설부(A)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를 포함한다. 또한, 밭의 제2 매설부(B)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분배관(200a)과,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집수관(300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분배관(200b)과,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집수관(30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으로 물을 공급하는 용수 탱크(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분배관(200a)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400)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1 관개 밸브(500a)와, 상기 제2 분배관(200b)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400)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2 관개 밸브(50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와 용수 탱크(400)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매설부(A, B)에 각각 매설되어 토양의 수분 정보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센서(700a, 700b)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센서(700a, 700b)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관개 여부를 결정하여 밸브(500a, 500b)의 개폐 및 상기 펌프(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토양의 수분 정보」매설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지중의 수분 함량을 의미한다.
도 1은 2 개의 매설부에 적용되는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출원의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3개, 4개, 그 이상의 매설부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경사면을 갖는 제1 매설부(A), 제2 매설부(B), 제3 매설부(미도시)가 존재할 경우, 상기 점적 관개 호스, 분배관 및 집수관은 독립된 라인을 갖고 제1 매설부, 제2 매설부, 제3 매설부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 제1 분배관(200a) 및 제1 집수관(300a)은 제1 매설부(A)에 적용되며,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 제2 분배관(200b) 및 제2 집수관(300b)은 제2 매설부(B)에 적용되고, 제3 점적 관개 호스(미도시), 제3 분배관(미도시) 및 제3 집수관(미도시)은 제3 매설부(미도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매설부에 각각 적용되는 점적 관개 호스, 분배관 및 집수관은 서로 독립된 라인을 가질 수 있다. 매설부는 토양의 상태에 따라 수분 보수 또는 배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토양의 상태는, 토양의 경사각, 토양의 조성 상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독립된 라인을 갖는 점적 관개 호스, 분배관 및 집수관을 두 개의 매설부에 개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토양 상태가 다른 매설부의 효과적인 배수 및 관개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 및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는 일정한 깊이 및 간격으로 제1 및 제2 매설부(A, B)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깊이 및 간격 등은 매설부의 크기, 재배 작물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는 용수 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에 의해 점적 관개 호스 내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매설부 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반면,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의 외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다시 말해, 토양이 함유하는 수분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경우(과잉수), 토양의 수분이 홀을 통해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로 유입되고, 배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은 서로 독립된 라인을 갖고, 제1 및 제2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용수 탱크(400)에 저장된 물을 제1 및 제2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집수관(300a, 300b)는 서로 독립된 라인을 갖고, 제1 및 제2 점적 관개 호스(100a, 100b)의 타단에 연결되어, 매설부의 과잉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집수관(300a, 300b)의 다른 일단에는 배수로와 연결되고, 과잉수는 제1 및 제2 집수관(300a, 300b)를 통해 배수로 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집수관(300)은 제1 및 제2 배수 밸브(310a, 310b)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배수 밸브(310a, 310b)는, 배수로 측으로 배수되는 과잉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제어부(800)는 각각의 센서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배수 여부를 결정하여 배수 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매설부(A)의 작물의 생장에서 요구 수분량보다 수분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제어부(800)는 제1 매설부(A)의 배수를 결정하고, 제1 배수 밸브(310a)를 열수 있다. 제1 배수 밸브(310a)가 열리면, 제1 매설부의 과잉수가 점적 관개 호스(200a)의 홀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과잉수의 제거 이외 점적 관개 호스(200a)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서 배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적 관개 호스(200a)는 겨울철과 같이 비재배기간 동안은 사용이 제한됨에 따라 점적 관개 호스(200a)의 내부에는 이물질들이 쌓일 수 있다. 제어부(800)는 비재배기간이 지난 후 점적 관개 호스를 사용하기 전에 배수를 결정하여, 점적 관개 호스(200a)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의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 매설부(A)에 수분이 지나치게 많거나 이물질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 상기 배수 절차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용수 탱크(400)는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로 물을 공급한다. 용수 탱크는 지하수 펌프를 이용하여 지하수를 끌어올려 저장할 수 있다. 용수 탱크(400)에 저장된 지하수는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를 통해 분배관(200a, 200b)으로 유입되는 유입량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는 독립된 라인을 갖는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에 각각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의 개폐는 제어부(8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용수 탱크(400)는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200c)이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200c)은 일단이 분지되어 독립된 라인을 갖는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펌프(600)는 상기 배출관(200c)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c)의 라인은 상기 배출관(200c)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700a, 700b)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서가 한 개일 경우, 매설부의 대표 지점에 각각 매설될 수 있다. 상기 대표 지점은 토양 상태 및 재배 작물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반면, 복수 개일 경우, 매설부의 임의의 지점에 매설되고, 제어부에서는 복수 개의 센서에서 측정된 수분 정보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밸브의 개폐 및 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센서에서 측정된 수분 정보와 작물의 생장 상태를 고려하여 관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작물의 생장이 요구하는 수분량에 비해 매설지 내 수분이 부족한 경우, 관개를 결정하고, 수분이 부족한 매설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해당 관개 밸브(500a, 500b)를 열고, 펌프(6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지중 점적 관개 시스템은, 기상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상 정보는 예를 들어, 온도, 상대 습도, 풍향, 풍속, 일사량, 강수량, 및 증발산량 등일 수 있다. 제어부는 기상 센서에서 측정된 기상 정보를 고려하여 관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어부(800)는 깊이에 따른 토양의 수분 임계치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토양 수분 임계치와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의 수분 정보를 비교하여, 관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설정된 수분 임계치보다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의 수분 함량이 부족한 경우, 제어부(800)는 관개 밸브(500)를 열고, 펌프(600)를 작동시켜 점적 관개 호스(100)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토양의 수분 임계치는 재배 작물의 요수량 및 토양의 상태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설정된 토양의 수분 임계치에 기초하여 밸브의 개폐 및 펌프(60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재배 작물이 생장하는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은 유량을 계측하는 계측 센서(2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는 배출관(200c)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계측 센서(210)는 용수 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배출관(200c)을 통해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으로 배출될 때, 라인으로 유입되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계측 센서는 펌프(600)와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계측 센서(210)에서 계측된 유량에 기초하여 관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개량은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의 개폐 및 펌프(600)의 작동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은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2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 센서는 배출관(200c)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20)는 용수 탱크(400)에 저장된 물이 배출관(200c)을 통해 제1 및 제2 분배관(200a, 200b)으로 배출될 때, 라인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20)는 펌프(600)와 계측 센서(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압력 센서(220)에 의해 측정된 유압에 기초하여 관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개량은 제1 및 제2 관개 밸브(500a, 500b)의 개폐 및 펌프(600)의 작동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용수 탱크(4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수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용수 탱크의 수위와 기준 수위를 비교하고, 지하수 펌프(900)를 이용하여 용수 탱크(400)로 지하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수위는 적정 관개에 필요한 용수 탱크(400)의 물의 최소 함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용수 탱크(400)의 수위가 기준 수위 미만인 경우, 지하수 펌프(900)가 작동하여 지하수를 용수 탱크(4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지하수 펌프(900)는 제어부(800)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수 탱크(400)의 수위가 기준 수위 이상으로 조절됨으로써, 적정 관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한개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밭의 제1 매설부에 적용되는 점적 관개 호스, 분배관, 집수관, 용수 탱크, 펌프,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와 관련된 설명은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한 개의 매설부를 갖는 밭에 적용되는 본 출원의 예시적인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중 관개 제어 시스템은 밭의 매설부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점적 관개 호스(100)를 포함한다. 상기 점적 관개 호스(100)의 일단에 연결되는 분배관(200)을 포함한다. 상기 점적 관개 호스의 타단에 연결되는 집수관(300)을 포함한다. 상기 분배관(200)으로 물을 공급하는 용수 탱크(400)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관(200)에 연결되어 용수 탱크(400)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관개 밸브(5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개밸브(500)와 상기 용수 탱크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설부의 임의의 지점에 매설되어 토양의 수분 정보를 측정하도록 마련된 하나 이상의 센서(7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700)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관개 여부를 결정하여 관개 밸브(500)의 개폐 및 상기 펌프(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중 점적 관개 시스템은 전술한, 유량 센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이하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점적 관개 호스
200: 분배관
210: 계측 센서
220: 압력 센서
300: 집수관
310: 배수 밸브
400: 용수 탱크
500: 관개 밸브
600: 펌프
700: 센서
800: 제어부
900: 지하수 펌프

Claims (11)

  1. 밭의 제1 매설부(A)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
    밭의 제2 매설부(B)에 매설되고,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분배관(200a);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집수관(300a);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분배관(200b);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집수관(300b);
    상기 제1 분배관(200a) 및 상기 제2 분배관(200b)으로 물을 공급하는 용수 탱크(400);
    상기 제1 분배관(200a)에 연결되어 상기 용수 탱크(400)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1 관개 밸브(500a);
    상기 제2 분배관(200b)에 연결되어 상기 용수 탱크(400)와의 연결을 개폐하는 제2 관개 밸브(500b);
    상기 제1 관개 밸브(500a) 및 상기 제2 관개 밸브(500b)와 상기 용수 탱크(400) 사이에 배치되는 펌프(600);
    상기 제1 매설부(A) 및 상기 제2 매설부(B)에 각각 매설되어 토양의 수분 정보를 측정하는 제1 센서(700a) 및 제2 센서(700b);
    온도, 상대 습도, 풍향, 풍속, 일사량, 강수량, 및 증발산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상 센서; 및
    각각의 센서들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관개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1 관개 밸브(500a) 및 상기 제2 관개 밸브(500b)의 개폐 및 상기 펌프(6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배관(200a) 및 상기 제2 분배관(200b)이 분기되지 않은 전단이되 상기 펌프(600)의 후단에, 유량을 계측하는 계측 센서(210) 및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계측 센서(210)에 계측된 유량 및 상기 압력 센서(220)에 의해 계측된 유압에 기초하여 관개량을 제어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0)는 깊이에 따른 토양의 수분 임계치를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토양 수분 임계치와 상기 제1 센서(700a) 및 상기 제2 센서(700b)에서 측정된 토양의 수분 정보를 비교하여, 관개 여부를 결정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의 수분 임계치는 재배 작물의 요수량 및 토양의 상태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탱크(4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수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용수 탱크(400)의 수위와 기준 수위를 비교하여, 지하수 펌프(900)를 이용하여 상기 용수 탱크(400)로 지하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 탱크(400)의 수위가 기준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지하수 펌프(900)가 작동하여 상기 용수 탱크(400)로 지하수가 공급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수관(300a) 및 상기 제2 집수관(300b)은 제1 배수 밸브(310a) 및 제2 배수 밸브(310b)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각각의 센서들에서 측정된 정보에 따라 배수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1 배수 밸브(310a) 및 상기 제2 배수 밸브(310b)의 개폐를 각각 조절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 밸브(310a)가 열리면, 상기 제1 매설부(A) 의 과잉수가 상기 제1 점적 관개 호스(100a)의 홀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고, 상기 제2 배수 밸브(310b)가 열리면, 상기 제2 매설부(B)의 과잉수가 상기 제2 점적 관개 호스(100b)의 홀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는,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11. 삭제
KR1020180164983A 2018-12-19 2018-12-19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KR10223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983A KR102234480B1 (ko) 2018-12-19 2018-12-19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983A KR102234480B1 (ko) 2018-12-19 2018-12-19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155A KR20200076155A (ko) 2020-06-29
KR102234480B1 true KR102234480B1 (ko) 2021-03-31

Family

ID=7140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983A KR102234480B1 (ko) 2018-12-19 2018-12-19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8639A (zh) * 2022-05-07 2022-08-09 南京泰宇环境检测有限公司 一种具有实时监控功能的土壤水分控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82B1 (ko) * 2009-01-02 2011-08-09 대한민국 지중 관배수시스템
KR101356583B1 (ko) * 2011-11-10 2014-02-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토양의 수분장력을 근거로 이루어지는 능동형 관수 제어방법 및 관수 제어장치
JP2015023879A (ja) * 2014-11-07 2015-02-05 西日本圃場改良株式会社 地下灌漑システム
JP2015173653A (ja) * 2014-03-17 2015-10-05 茂 増田 植物栽培における灌水の供給制御方法及びそのコントロー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82B1 (ko) * 2009-01-02 2011-08-09 대한민국 지중 관배수시스템
KR101356583B1 (ko) * 2011-11-10 2014-02-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토양의 수분장력을 근거로 이루어지는 능동형 관수 제어방법 및 관수 제어장치
JP2015173653A (ja) * 2014-03-17 2015-10-05 茂 増田 植物栽培における灌水の供給制御方法及びそのコントローラ
JP2015023879A (ja) * 2014-11-07 2015-02-05 西日本圃場改良株式会社 地下灌漑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155A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emmens et al. Irrigation techniques and evaluations
Criddle Methods for evaluating irrigation systems
KR101054882B1 (ko) 지중 관배수시스템
RU2346427C1 (ru) Орос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WO2009057050A2 (en) Crop irrigation system
KR102234480B1 (ko)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CN207948433U (zh) 一种基于农作物需水量的计量灌溉装置
RU2683520C1 (ru) Способ орошения плодовых деревьев и кустарников на склонах оврага
Benami Sprinkler irrigation
CN108575678A (zh) 一种基于农作物需水量的计量灌溉装置
Heermann et al. Efficiency and uniformity
CN106376430A (zh) 一种基于滴灌的农田水利循环排灌***
Worstell An experimental buried multiset irrigation system
US6953156B1 (en) Irrigation method for sloping land
Leib et al. Erosion control practices integrated with polyacrylamide to reduce sediment loss in furrow irrigation
Barta et al. Colorado high plains irrigation practices guide
JP2732770B2 (ja) 水田の用水制御機構および地区内の用水管理機構
Kemper et al. Cablegation: Automate supply for surface irrigation
Gyasi-Agyei Pond water source for irrigation on steep slopes
JP4544611B2 (ja) 水位調整システム
Trout et al. On‐farm system design and operation and land management
RU2608049C1 (ru) Способ реконструкции осушительной сети
Humpherys Improving farm irrigation systems by automation
Heermann et al. Management of water balance components
JP3839893B2 (ja) 水田の水位調節装置及び用水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