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383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383B1
KR102234383B1 KR1020140128991A KR20140128991A KR102234383B1 KR 102234383 B1 KR102234383 B1 KR 102234383B1 KR 1020140128991 A KR1020140128991 A KR 1020140128991A KR 20140128991 A KR20140128991 A KR 20140128991A KR 102234383 B1 KR102234383 B1 KR 102234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air
catalyst
led
cataly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853A (ko
Inventor
김재호
김기홍
이동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3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383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케이스(210, 300)와, 상기 케이스(210, 300)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410)와, 상기 케이스(210, 300)에 고정되는 광촉매 장치(1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장치(100)는, 광 촉매 반응을 일으켜 과산소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촉매부(110); 상기 촉매부(110)의 일측에서 상기 촉매부(110) 측으로 자외선(UV) 광을 조사하는 제1LED 및 상기 제1LED(121)를 고정하는 제1기판(122)을 포함하는 제1광원부(120); 상기 촉매부(110)의 타측에서 상기 촉매부(110) 측으로 자외선(UV) 광을 조사하는 제2LED(131) 및 상기 제2LED(131)를 고정하는 제2기판(132)을 포함하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광원부(120)와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2광원부(130); 및 상기 촉매부(110) 및 광원부를 지지하는 몸체(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높이방향으로 제1광원부(120)와 제2광원부(130)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촉매부(110) 전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효과적으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촉매 장치가 구비되어 공기를 정화할 수 있으며, 차량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 등의 조건을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차량 보급률이 계속 증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 있는 시간도 늘어나고 있어 차량 내부의 쾌적성 유지를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실내는 좁고 밀폐되어 있어 오염되기 쉬우며, 도심의 미세먼지와 각종 오염물질 때문에 차량 실내의 오염은 더욱 가중됨에 따라, 최근에는 차량의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일 예로서, 선 출원된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2549032호(1997.05.30)에는 자동차용 탈취기 부착 냉방 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탈취기 부착 냉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차용 탈취기 부착 냉방 장치는 제1케이스(20)에 외기 흡입구(21)와 내기 흡입구(22)가 구비되며, 외기 흡입구(21)와 내기 흡입구(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인테이크 도어(23)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인테이크 도어(23)의 회동 축에는 액추에이터(30)가 연결되어 제어 수단(31)에 의해 제어된다. 인테이크 도어(23)의 하류 측에는 내,외기 흡입구(21)(22)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하류 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25)가 설치되고, 송풍기(25)는 팬(32)과 상기 팬(32)을 회전시키는 모터(33)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25)의 하류 측에는 증발기(26)가 내설되어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 함으로써 공기를 냉각시킨다. 증발기(26)의 하류 측의 공기 통로(28)에는 장파장 빛의 조사에 의해 활성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촉매 필터(27)가 설치된다. 상기 광촉매 필터(27)는 자외선 램프(29)의 조사에 의해 활성 산소를 발생해, 이 활성 산소가 악취를 일으키는 물질을 극 저농도의 피산화성 화합물까지 산화 분해한다. 상기 자외선 램프(29)는 증발기(26)와 광촉매 필터(27)의 사이에 배치된다. 광촉매 필터(27)의 하류 측에는 유동 공기중에 포함되는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금속촉매 필터(34)가 설치된다. 미설명된 부호 35는 온도 센서이고, 36은 악취 레벨을 센싱하는 센서이며, 37은 팬 스위치이고, 24는 공기 토출구이다.
하지만, 종래의 자동차용 탈취기 부착 냉방 장치는 광촉매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램프(29)가 내부에 수은을 함유한 것으로서, 수은이 인체에 유해하고 여러 환경적 요건에 의해 차량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광촉매 필터(27)는 증발기(26)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증발기(26)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흡착하여 탈취시킴에 따라, 먼지량 과다 시 풍량 저하로 필터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용 탈취기 부착 냉방 장치는 자외선 램프(29)와 광촉매 필터(27)가 개별 부품으로써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2549032호(1997.05.3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함과 더불어 증발기를 살균 및 탈취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광촉매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장치는, 광 촉매 반응을 일으켜 과산소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촉매부; 상기 촉매부의 일측에서 상기 촉매부 측으로 자외선(UV) 광을 조사하는 1LED 및 상기 제1LED를 고정하는 제1기판을 포함하는 제1광원부; 상기 촉매부의 타측에서 상기 촉매부 측으로 자외선(UV) 광을 조사하는 제2LED 및 상기 제2LED를 고정하는 제2기판을 포함하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광원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2광원부; 및 상기 촉매부 및 광원부를 지지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높이방향으로 제1광원부와 제2광원부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광을 조사함으로써 촉매부 전체 영역에 광을 조사하여 효과적으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장치는 상기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가 각각 2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제1광원부가 공기 흐름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2개 이상의 제2광원부가 공기 흐름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어 광 조사 영역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함과 더불어 증발기를 살균 및 탈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는 상기 케이스 내벽면에 밀착되어 장착이 용이하며, 케이스를 유동하는 공기와 촉매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촉매 장치는 상기 촉매부를 회전하는 회전수단이 더 구비되어 정상 작동 시에 상기 촉매부가 공기 흐름방향에 나란하게 위치되며, 부하 작동(오염도가 높은 경우) 시 또는 청소 필요 시에 상기 촉매부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회전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광촉매 장치는 상기 몸체의 둘레가 골조 형태이며,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함께 전체가 회전되거나, 상기 광촉매 장치는 상기 촉매부를 고정하며, 상기 회전수단과 연동되는 회전판이 더 구비되어 회전판 및 촉매부만 회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함과 더불어 증발기를 살균 및 탈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탈취기 부착 냉방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사시도, 부분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장치의 광촉매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광촉매 장치의 촉매부를 나타낸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광촉매 장치를 나타낸 다른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광촉매 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를 나타낸 개략도, 사시도, 부분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장치의 광촉매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7은 광촉매 장치(100)의 촉매부(1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0)의 광촉매 장치(100)를 나타낸 다른 도면이며,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0)의 광촉매 장치(100)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이다.
상기 광촉매 장치(100)는 차량용 공조장치(1000)의 송풍케이스(210) 또는 공조케이스(300)에 고정되어 차량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구성으로서, 공기 흐름방향으로 차량용 공조장치(1000) 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410)의 전측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증발기(410)를 살균 및 탈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 장치(100)와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유입덕트, 내외기 전환도어(213), 송풍팬(214) 및 송풍케이스(210)를 포함하는 송풍장치(200)와, 온도 조절 및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들이 내장되는 공조케이스(3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덕트는 내기 유입구(211) 및 외기 유입구(21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내기 유입구(211)는 차량 내부와 연통되어 내기가 유입되며, 상기 외기 유입구(212)는 차량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가 유입된다.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213)는 상기 유입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기 유입구(211) 및 외기 유입구(212)를 개폐한다.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213)는 차량 탑승객의 설정에 따라 작동되어 외기 또는 내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송풍팬(214)은 내기 또는 외기를 강제 송풍한다.
상기 송풍케이스(210)는 일측이 상기 유입덕트와 연결되고 타측이 공조케이스(300)의 입구측과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송풍팬(214)이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송풍케이스(210)는 상기 유입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송풍팬(214)이 안착되는 팬안착부와, 상기 팬안착부의 둘레로부터 연장되어 공조케이스(300)의 입구측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도 11에서, 상기 송풍케이스(210)의 연결부의 토출측(공조케이스(300)와 연결되는 측)에 상기 광촉매 장치(100)가 장착된 예를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300)는 공기유입구와 송풍케이스(210)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며 내부에는 증발기(410) 및 히터코어(420)가 구비되어 상기 송풍장치(2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고, 복수개의 벤트(310)들을 통해 차량 실내로 공급된다. 이 때, 일반적으로, 상기 증발기(410)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되어 공기를 냉각하며, 상기 히터코어(420)는 가열된 냉각수가 유동되어 공기를 가열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300)는 내부에 증발기(410)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코어(420)를 통과하는 정도를 결정하는 온도조절도어(320)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온도조절도어(320)는 증발기(410)를 통과한 공기가 전량 히터코어(420)를 통과하는 온기통로와, 히터코어(420)를 통과하지 않는 냉기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300)는 상기 증발기(410) 및 히터코어(420)에 의해 온도 조절된 공기가 차량 실내로 토출되는 벤트(310)가 형성된다. 상기 벤트(310)는 페이스 벤트(310)(Face Vent), 디프로스트 벤트(310)(Defrost Vent), 및 플로어 벤트(310)(Floor Vent)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스 벤트(310)는 차량 실내의 전측(앞좌석)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부분이며,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310)는 차량 실내의 차창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부분이고, 상기 플로어 벤트(310)는 차량 실내의 앞좌석 바닥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부분이며, 상기 페이스 벤트(310), 디프로스트 벤트(310), 및 플로어 벤트(310)는 각각의 모드도어(310d)를 통해 개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의 광촉매 장치(100)는 촉매부(110), 제1광원부(120), 제2광원부(130), 및 몸체(140)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부(110)는 광 촉매 반응을 일으켜 과산소 라디칼을 발생시킨다. 상기 촉매부(110)는 상기 광원부에 의해 조사되는 광에 의해 광 촉매 반응을 일으켜 과산소 라디칼을 발생시킨다. 상기 촉매부(110)는 상기 제1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광 촉매 반응을 일으키며, 광 촉매 반응에서 발생된 과산소 라디칼의 산화 작용으로, 공조케이스(300)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물질과, 증발기(410) 내의 균류, 각종 오염물질 및 악취를 제거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광촉매는 제1광원부(120)에서 조사되는 광을 흡수하게 되면, 전자가 채워져 있는 가전자대(Valence Band:VB)의 전자가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가 비어있는 전도대(Conduction Band:CB)로 점프하게 된다. 가전자대의 빈 전자자리인 정공(Hole)은 표면에 물 분자를 산화시켜 자신은 원래의 상태로 되고, 산화된 물분자는 ㅇOH 라디칼을 형성한다. 아울러, 전도대로 여기된 여기 전자(Excited Electron)라 하는 전자는 산소와 반응하여 강한 산화력의 과산소 라디칼을 생성한다.
한편, 상기 촉매부(110)는 담지체와, 조촉매와 산성 첨가제를 첨가하여 겔 형태로 액상화된 촉매를 상기 담지체에 코팅하여 담지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참조) 상기 담지체는 그물망을 포함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탈 또는 탄성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촉매로서, 10나노미터 내지 60나노미터 크기로 입자화된 산화티타늄을 구비하고, 상기 산화티타늄의 표면적 값은 330m2/g 이상으로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광촉매로 사용되는 산화티타늄(TiO2)은 400nm 이하의 자외선을 받아 과산소 라디칼을 생성하며, 생성된 과산소 라디칼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안전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한다. 상기 산화티타늄은 나노 입자화되어 비교적 세기가 약한 자외선 파장을 나타내는 광원을 사용하여도 다량의 과산소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물의 분해 능력이 우수하고, 환경 변화에도 지속적인 내구성 및 안정성을 가지며, 반영구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다량으로 발생된 과산소 라디칼은 유기물뿐만 아니라 악취, 세균 등 다양한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촉매부(110)는 나노 입자화된 산화티타늄의 표면적 값을 330m2/g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통상의 산화티타늄에 비해 같은 면적당 광 에너지를 받는 입자수가 월등히 많이 존재하게 되어 과산소 라디칼의 발생량이 증가한다.
이 때, 상기 조촉매는 알루미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촉매부(110)의 담지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담지체의 고정 능력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촉매부(110)의 제조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면, 산화티타늄을 고온에서 소성과 상온 건조 과정을 거쳐 10나노미터 ~ 60나노미터 크기로 입자화 한 후, 알루미나로 구성된 조촉매를 첨가하여 액상으로 가공한다. 이후에, 액상을 사용 용도에 맞게 2차 가공하여 담지체에 담지하고, 2차 건조 소성 과정을 거쳐 담지체에 고정한다.
상기 촉매부(110)는 나란한 판 형태일 수 있는데, 일반적인 작동 시에 상기 촉매부(110)는 상기 케이스(210, 300) 내부의 공기 흐름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공기의 오염도가 높거나 상기 촉매부(110)를 청소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촉매부(110)가 공기의 흐름을 막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5, 도 6, 및 도 8 내지 도 13에서, 상기 촉매부(110)가 4개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촉매부(110)가 하나 및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부(120)는 상기 촉매부(110)의 일측에서 상기 촉매부(110) 측으로 자외선(UV) 광을 조사하는 제1LED 및 상기 제1LED(121)를 고정하는 제1기판(122)을 포함하며, 상기 제2광원부(130)는 상기 촉매부(110)의 타측에서 상기 촉매부(110) 측으로 자외선(UV) 광을 조사하는 제2LED(131) 및 상기 제2LED(131)를 고정하는 제2기판(132)을 포함하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광원부(120)와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1LED(121) 및 제2LED(131)는 40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UVA(Ultra Violet-A) 광 또는 UVC(Ultra Violet-C)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수은 램프에서 문제점이었던 수은 사용의 문제를 해결하고 작은 전력으로 효과적인 빛의 조사가 가능하다. 이 경우, UVA는 비교적 저가이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하고 광촉매 담체의 광 촉매 반응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아울러, UVC는 비교적 고가이나 광 촉매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살균 기능을 수행하여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부(120)는 상기 제1LED(121) 및 제2LED(131)는 UVA(Ultra Violet-A) 및 UVC(Ultra Violet-C)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으나, 조사하는 LED가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2LED(131)는 증발기(410) 전측에서 직접 광을 조사함에 따라 UVC(Ultra Violet-C) 광을 조사하여 증발기(410)를 직접 살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촉매 장치(100)는 상기 제1광원부(120)와 제2광원부(130)가 높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LED(121) 및 제2LED(131)의 광 조사 영역을 보다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6은 제1광원부(120) 및 제2광원부(130)가 하나씩 형성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광원부(120) 및 제2광원부(130)가 높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도 8은 상기 제1광원부(120)가 높이방향으로 2개 형성되고, 상기 제2광원부(130)가 높이방향으로 2개 형성되는 것으로서, 2개의 제1광원부(120) 및 2개의 제2광원부(130)가 모두 높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되, 높이방향으로 제1광원부(120) 및 제2광원부(130)가 교번되어 위치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또, 상기 광촉매 장치(100)는 상기 제1광원부(120) 및 제2광원부(130)가 각각 2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제1광원부(120)가 공기 흐름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2개 이상의 제2광원부(130)가 공기 흐름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서 상기 제1광원부(120) 및 제2광원부(130)가 공기 흐름방향으로 2개 위치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 도 9, 도 12 및 도 13에서 공기 흐름 방향을 화살표로 도시하였다.
상기 몸체(140)는 상기 촉매부(110) 및 광원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도 5, 도 6, 도 8 및 도 9에서 단면이 사각형인 예를 나타내었고, 도 11 내지 도 14에서 단면이 원형인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몸체(140)는 상기 촉매부(110) 및 광원부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210, 300)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광원부(120) 및 제2광원부(130)를 지지하는 부분이 판형태(도 5 참조)이거나, 골조형태(도 9 내지 도 13 참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40)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 300)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촉매 장치(100)를 케이스(210, 300)에 장착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며, 상기 케이스(210, 30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촉매부(110)와 안정적으로 접하여 정화된 후, 차량 실내로 공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촉매 장치(100)는 상기 촉매부(110)를 회전하는 회전수단(150)이 더 구비될 수 있는 데, 이 때, 상기 몸체(140)는 상기 케이스(210, 300) 내부에서 회전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광촉매 장치(100)는 상기 촉매부(110)를 회전하는 회전수단(150)이 더 구비되어 정상 작동 시에 상기 촉매부(110)가 공기 흐름방향에 나란하게 위치되며, 부하 작동(오염도가 높은 경우) 시 또는 청소 필요 시에 상기 촉매부(110)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140)는 상기 케이스(210, 300) 내부에 회전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도 11에 도시한 광촉매 장치(100)는 상기 촉매부(110) 및 상기 촉매부(110)를 지지하는 몸체(14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형태를 나타내었고, 상기 도 12 내지 도 14는 촉매부(110)만 회전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11에 도시한 경우, 상기 몸체(140)의 둘레가 골조 형태(상기 제1광원부(120) 및 제2광원부(130)를 지지하는 부분을 포함하여)로서, 케이스(210, 3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촉매부(110)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예는 상기 촉매부(110)만 회전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촉매부(110)를 고정하며, 상기 회전수단(150)과 연동되는 회전판(141)이 더 구비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정상 작동 시, 케이스(210, 300) 내부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판형태의 촉매부(110)가 공기 흐름방향에 나란하게 위치되며, 부하 작동(오염도가 높은 경우) 시 또는 청소 필요 시 촉매부(110)가 설정된 각도를 형성하도록 회전함으로써 촉매부(110)의 정화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촉매부(110)에 부착되는 경우 이를 청소하여 사용 안정성 및 수명을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12 및 도 14의 (a)는 정상 작동 시, 도 13 및 도 14의 (b)는 부하 작동 또는 청소 필요 시로서, 촉매부(110)가 공기 흐름방향에 수직(90°)하게 회전되는 예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0)는 상기 촉매부(110)와 공기 흐름방향이 형성하는 각도가 0을 초과하여 90° 이하로 설정될 수 있으며, 회전되는 정도가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거나, 부하 작동의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차량용 공조장치
100 : 광촉매 장치
110 : 촉매부
120 : 제1광원부 121 : 제1LED
122 : 제1기판
130 : 제2광원부 131 : 제2LED
132 : 제2기판
140 : 몸체 141 : 회전판
150 : 회전수단
200 : 송풍장치
210 : 송풍케이스
211 : 내기 유입구 212 : 외기 유입구
213 : 내외기 전환도어 214 : 송풍팬
300 : 공조케이스
310 : 벤트 310d : 모드도어
320 : 온도조절도어
410 : 증발기
420 : 히터코어

Claims (6)

  1. 광 촉매 반응을 일으켜 과산소 라디칼을 발생시키고, 제1 모드에서 내부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평행하게 위치하며, 제1 모드와 다른 제2 모드에서 상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가 형성되도록 회전하는 다층의 판 형태인 복수의 촉매를 포함하는 촉매부;
    상기 촉매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촉매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LED 및 상기 제1LED를 고정하는 제1기판을 포함하는 제1광원부;
    상기 촉매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촉매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2LED 및 상기 제2LED를 고정하는 제2기판을 포함하되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광원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2광원부; 및
    상기 촉매부 및 상기 제1 및 제2광원부를 지지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장치는 상기 제1광원부 및 제2광원부가 각각 2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2개 이상의 제1광원부가 공기 흐름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2개 이상의 제2광원부가 공기 흐름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케이스 내벽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장치는 상기 제1모드에서는 상기 촉매부의 두께 면이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제2모드에서는 상기 촉매부의 판 면이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도록 상기 촉매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장치는 상기 몸체의 둘레가 골조 형태이며,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장치는 상기 촉매부를 고정하며, 상기 회전수단과 연동되는 회전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 장치.
KR1020140128991A 2014-09-26 2014-09-26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34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91A KR102234383B1 (ko) 2014-09-26 2014-09-26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991A KR102234383B1 (ko) 2014-09-26 2014-09-26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853A KR20160036853A (ko) 2016-04-05
KR102234383B1 true KR102234383B1 (ko) 2021-03-31

Family

ID=5580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991A KR102234383B1 (ko) 2014-09-26 2014-09-26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3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5503B1 (ko) * 2016-08-12 2021-12-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촉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US11406937B2 (en) * 2019-05-17 2022-08-09 Calsonic Kansei North America, Inc. Photocatalytic filtration in vehicle HVAC system
KR102480852B1 (ko) * 2020-04-29 2022-12-29 (주)디테크게엠베하 운송장치의 바이러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제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228A (ja) * 1999-12-01 2001-06-1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7105649A (ja) * 2005-10-14 2007-04-26 Wada Kinzoku Kogyo Kk 空気清浄器
JP2007245037A (ja) * 2006-03-17 2007-09-27 Ricotech:Kk 抗菌、脱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0722A (en) * 1991-02-27 1994-07-19 William E. Pick Germicidal air filter
JP2549032Y2 (ja) 1991-10-04 1997-09-24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脱臭器付き冷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228A (ja) * 1999-12-01 2001-06-12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7105649A (ja) * 2005-10-14 2007-04-26 Wada Kinzoku Kogyo Kk 空気清浄器
JP2007245037A (ja) * 2006-03-17 2007-09-27 Ricotech:Kk 抗菌、脱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853A (ko)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3272B2 (en) Photocatalyst device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having the same
US11730849B2 (en) Air treatment method
KR102184608B1 (ko) 광촉매 장치
US10143770B2 (en) Photocatalytic apparatus and HVAC equipment for vehicle comprising same
JP6229068B2 (ja) 光触媒モジュール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KR10201475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35503B1 (ko) 촉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73536B1 (ko) 광촉매 장치
KR101935813B1 (ko) 광촉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812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3438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02401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21342B1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CA30929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ir treatment
KR102174252B1 (ko) 광촉매 장치
KR10216688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26005B1 (ko) 광촉매 장치
KR2015002401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197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97874B1 (ko) 광촉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79947B1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91959A (ko) 볼필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2092564B1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21346B1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129198A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