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109B1 -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109B1
KR102234109B1 KR1020190085580A KR20190085580A KR102234109B1 KR 102234109 B1 KR102234109 B1 KR 102234109B1 KR 1020190085580 A KR1020190085580 A KR 1020190085580A KR 20190085580 A KR20190085580 A KR 20190085580A KR 102234109 B1 KR102234109 B1 KR 102234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plate
drying
medium oil
heat medium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052A (ko
Inventor
최낙운
Original Assignee
최낙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운 filed Critical 최낙운
Priority to KR102019008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1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vertical or steeply-inclined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판 내부에 충전되는 열매체유를 히팅코일로 가열하여 건조판이 고온으로 발열하면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킴으로써 건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ENHANCING DRY EFFICIENCY}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투입되어 건조되도록 상부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상하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서 내부에는 소정량의 열매체유가 충전되고 일측에는 상기 열매체유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코일이 장착되어 상기 히팅코일을 통해 가열된 열매체유에 의해 발열하면서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건조판과; 상기 본체의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면서 건조판 상의 피건조물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이동구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와; 상기 이동구에 의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피건조물이 하단으로 낙하되도록 상기 건조판 상에 형성되는 낙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조장치는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상수, 공업용수, 산업용 폐수, 하수 및 분뇨, 음식물 등의 대상물에 이용되는 것으로 그 이용범위가 매우 넓다.
종래의 건조장치는 보일러를 이용하여 가열되는 고온의 공기로 상기 건조물을 가열하여 수분을 줄이고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건조방법은 보일러를 열원으로 사용하고 상기 보일러를 통한 고온의 공기로써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는 것으로, 상기 열원으로 사용되는 보일러는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열을 얻는 작동방식을 갖는 것으로 물을 가열하여 얻어지는 열의 온도에는 한계가 있으며, 습도가 증가된 고온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하여 건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생활의 발달로 인해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버리는 음식물 찌꺼기, 식품의 판매·유통과정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가정과 식당 등 조리과정 중에 식품을 다듬으면서 버리는 쓰레기, 먹고 남긴 음식물 찌꺼기, 보관했다가 유통기관 경과로 그냥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의 하루 발생 양이 약 1만1237톤, 1년에 약 410만여 톤으로 8톤 트럭으로 1,400여 대에 달하며, 우리 나라 생활폐기물 발생은 1995년 쓰레기 종량제 도입 초반기에는 감소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시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하여 다양한 건조장치들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 예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894175에 "체류시간을 증대시킨 슬러지 건조장치"가 있다.
상기 건조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건조판에 열을 전달하기 위해 열풍기를 열원으로 사용하고, 상기 열원과 연결되며 건조판의 하단에 배치되는 공급관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판을 가열함으로써 건조판 상의 슬러지가 건조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의 건조장치는 외부에 구비되는 열풍기로부터 생성되는 열풍을 건조판 하단의 공급관까지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고압펌프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하며, 고압으로 열풍을 공급함에 따라 압력용기의 규제(2kg/cm2))를 받게 되어 건조판이 적어도 12t의 두께를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압력용기의 규제에 따라 건조판이 12t 이상의 두께를 갖게 되면 제조단가가 증가할 수밖에 없고, 건조판 내부에 투입할 수 있는 열풍의 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건조 효율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열풍기로부터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과정, 그리고 건조 후 증발된 열풍이 수취기를 거쳐 다시 열원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되어 고온을 유지하기 위해 열풍기를 지속적으로 가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건조판 상에서 피건조물이 건조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판 내부에 충전되는 열매체유를 히팅코일로 가열하여 건조판이 고온으로 발열하면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킴으로써 건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압으로 열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예를 들어 고압펌프)을 생략할 수 있어 압력용기의 규제를 받지 않아 건조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단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투입되어 건조되도록 상부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상하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서 내부에는 소정량의 열매체유가 충전되고 일측에는 상기 열매체유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코일이 장착되어 상기 히팅코일을 통해 가열된 열매체유에 의해 발열하면서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건조판과; 상기 본체의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면서 건조판 상의 피건조물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이동구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와; 상기 이동구에 의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피건조물이 하단으로 낙하되도록 상기 건조판 상에 형성되는 낙하홈;을 포함하되, 상기 건조판의 중앙부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열매체유가 저장되는 소정직경의 열매체유 저장부와, 상기 열매체유 저장부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내부로 투입되는 인풋 및 열매체유가 배출되는 아웃풋이 양측 단부가 형성되는 열매체유 이동로와, 양측 단부가 상기 인풋 및 아웃풋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아웃풋으로 배출되는 열매체유를 인풋으로 재투입시키는 연통관이 형성되고, 상기 히팅코일은 인풋과 아웃풋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열매체유 이동로는 열매체유가 건조판의 중앙부와 외연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건조판이 고르게 가열되도록 건조판 내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둘레를 따라 "ㄷ"자 형상의 브라켓이 형성되는 띠 형태의 하우징이 상기 건조판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는 건조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 내부에서 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되 상하 다단으로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상단 및 하단에 체결부와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건조판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순차적으로 설치한 다음 각 건조판의 하우징과 회전축을 결합함으로써 현장상황에 따라 건조판을 다단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피건조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증기를 냉각응축시키는 냉각응축기가 구비되어, 상기 냉각응축기를 거치면서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되고 잔존되는 저온저습의 공기를 다시 본체 내부로 투입하는 순환이 반복되면서 증기에 함유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건조판 내부에 충전되는 열매체유를 히팅코일로 가열하여 건조판이 고온으로 발열하면서 피건조물을 건조시킴으로써 건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압력용기의 규제를 받지 않으므로 건조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단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래퍼의 이동구에 의해 투입된 피건조물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 측으로 점차 이동되도록 하여 건조판 상에 체류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건조판 내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열매체유 이동로가 형성되어 히팅코일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열매체유가 건조판의 중앙부와 외연부를 따라 균일하게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효율성이 현저히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판과 샤프트가 상하 다단으로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건조장치이 설치되는 현장 상황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다.
또한, 피건조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가 아웃풋을 거쳐 냉각응축기로 투입되어 함유된 응축수가 제거된 후 본체 내부로 재투입되어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악취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건조물이 순차적으로 하단으로 이송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조판이 상하 다단으로 조립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의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건조장치는 피건조물을 투입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상부 일측에 투입구(110)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본체(100)가 구비되고, 본체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피건조물이 건조되는 건조판(200)이 구비된다.
상기 건조판(200)은 내부가 비어있고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서, 내부에는 소정량의 열매체유(211)가 충전되며, 일측에는 상기 열매체유를 가열하는 히팅코일(230)이 장착된다. 열매체유라 함은 250~300℃까지 가열이 가능하여 가용범위가 넓은 공지된 물질이다. 본 발명은 히팅코일(230)을 통해 가열된 열매체유가 건조판을 직접적으로 가열하여 건조판이 현저히 높은 온도로 발열하면서 피건조물이 건조되도록 한다.
종래에 개시된 건조장치 중에서 외부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열을 고압분사를 통해 피건조물에 전달하여 건조시키는 방식은 이송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열손실이 발생되며, 고압분사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압력용기의 규제(2kg/cm2))를 받게 되어 건조판의 두께가 적어도 12t 이상을 유지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건조판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제조단가가 상승될 수 밖에 없으며, 건조판 상의 피건조물에 열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없으므로 건조 효율이 저하될 수 밖에 없고, 열원의 가동시간이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히팅코일(230)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유(211)가 건조판(200)을 직접적으로 가열하는 구조로서, 고압펌프나 공급관과 같이 외부의 열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고압으로 이송하는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압력용기의 규제를 받지 않으므로 건조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건조판의 두께가 얇아지면 피건조물에 더욱 원활하게 열이 전달되므로 건조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판 내부에는 열매체유가 저장되는 열매체유 저장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열매체유 저장부와 연통되는 열매체유 이동로(220)가 형성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열매체유 저장부(210)는 상기 건조판의 중앙부로부터 하부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열매체유가 저장될 수 있도록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열매체유 이동로(220)는 상기 건조판 내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열매체유 저장부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내부로 열매체유가 투입되는 인풋(221) 및 열매체유가 배출되는 아웃풋(222)이 양측 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히팅코일(230)은 인풋과 아웃풋 사이에 배치되며, 아웃풋 측에는 열매체유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240)이 마련되며, 상기 건조판 내부에는 양측 단부가 상기 인풋 및 아웃풋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아웃풋으로 배출되는 열매체유를 인풋으로 재투입시키는 연통관(223)이 구비된다.
상기 열매체유는 별도의 순환펌프(미도시)를 통해 건조판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히팅코일(230)을 통해 열매체유가 가열되면 열매체유 저장부 측의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여 열매체유 저장부(210)와 열매체유 이동로(220) 간에 온도차와 압력차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열매체유 저장부(210)의 공기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열매체유(211)가 인풋(221)으로 투입되는 위치변화가 발생되며, 건조판의 내부 전부위에 걸쳐 열평형이 이루어진다. 또한, 인풋(221)으로 투입된 열매체유(211)는 열매체유 이동로(220)를 따라 이동된 후 아웃풋(222)으로 배출된 다음 연통관(223)을 통해 열매체유 저장부(210)로 재투입되는 순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열매체유 이동로(220)는 열매체유(211)가 건조판(200)의 중앙부와 외연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건조판이 고르게 가열되도록 건조판 내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피건조물을 순차적으로 낙하하면서 건조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판(200)은 본체(100) 내부에 상하 다단으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의 중심에는 외부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통해 회전되는 샤프트(30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가장 높은 층에 설치되는 건조판으로부터 하단의 다음층에 설치되는 건조판으로 순차적으로 피건조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상방향으로 다수개의 스크래퍼(400)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래퍼(400)는 샤프트(300)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건조판(20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건조판 상의 피건조물을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저면에는 복수개의 이동구(410)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개의 이동구(410)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동구(410′)의 경사방향을 반대로 형성하여 피건조물의 이동속도를 감소시켜 피건조물이 건조판 상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400)는 하부에 톱니가 형성되는 교반구(420)를 더 설치하여 건조판 상의 피건조물이 교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판(200) 상에는 이동구(410)에 의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피건조물을 하단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낙하홈(500)이 형성된다. 상기 낙하홈(500)은 피건조물이 건조판 상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하 다단으로 설치되는 건조판에 교대로 그 중앙부와 외연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낙하홈(500)은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피건조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날카로운 재질의 칼날망(5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건조물로서 슬러지가 투입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입자가 작은 슬러지는 건조판 상에서 겉과 속이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으나 입자가 큰 슬러지의 경우 겉은 건조될 수 있으나 속은 수분을 그대로 함유한 상태로 하단으로 순차적으로 낙하되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입자가 큰 슬러지가 칼날망을 통해 파쇄된 후 하단의 건조판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겉과 속이 균일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크래퍼(400)가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되면 이동구(410)로 하여금 상하의 건조판(200)에서 교대로 피건조물을 건조판(200)의 중앙부와 외연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다단으로 설치되는 건조판에 설치되는 낙하홈(500)의 위치를 교대로 건조판의 중앙부 및 외연부에 설치하여 한 번은 건조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낙하홈으로 피건조물이 떨어지도록 하고 다음층에서는 건조판의 외연부에 형성된 낙하홈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건조판에 피건조물이 장시간 체류하도록 하여 건조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는 현장 상황에 맞게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건조판(200)의 외주면에는 띠 형태의 하우징(700)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700)은 건조판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둘레를 따라 "ㄷ"자 또는 역"ㄷ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닥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300)는 건조판(200)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축(310)과 상기 고정축 내부에서 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는 회전축(3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축은 상단 및 하단에 체결부(310)와 체결홈(320)이 각각 형성되어, 하부에 위치하는 회전축의 체결부가 상부에 위치하는 회전축의 체결홈에 끼움결합되면서 모터의 동력에 의해 복수의 회전축에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건조판의 하우징과 회전축의 상호 결합을 통해 건조판을 상하 다단으로 적층하여 건조장치를 조립할 수 있으며, 피건조물의 함수율이나 현장 상황에 따라 건조판을 추가로 적층하거나 적층된 건조판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수율이 높은 피건조물의 건조시 피건조물이 건조판 상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건조판을 추가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피건조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배출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에는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증기를 냉각응축시키는 냉각응축기(7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 슬러지를 건조할 경우, 슬러지의 건조과정에서 수분과 악취가 포함된 증기가 배출되는데, 이 증기가 그대로 대기중에 배출되면 대기오염은 물론 주변에 악취로 인한 심각한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증기배출구(120)를 통해 배출시켜 냉각응축기(700)를 거치면서 증기에 함유된 수분은 냉각응축기(700)의 드레인을 경유하여 응축수 형태로 외부로 배출되고, 잔존되는 저온저습의 악취를 포함한 공기는 다시 본체(100) 내부로 재투입된다. 본체(100) 내부는 건조판(200)으로부터 발산되는 고온의 열이 체류중인 상태로서, 재투입된 공기 중의 악취가 고온의 열에 의해 제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순환을 반복하면서 피건조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투입구 120 : 증기배출구
200 : 건조판
210 : 열매체유 저장부 211 : 열매체유
220 : 열매체유 이동로
221 : 인풋 222 : 아웃풋
223 : 연통배관
230 : 히팅코일
240 : 격벽
300 : 샤프트
310 : 고정축
320 : 회전축
321 : 체결부 322 : 체결홈
400 : 스크래퍼
410,410′ : 이동구 420 : 교반구
500 : 낙하홈 510 : 칼날망
600 : 하우징
610 : 브라켓 611 : 체결공
700 : 냉각응축기
M : 모터

Claims (4)

  1. 피건조물이 투입되어 건조되도록 상부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 내부에 상하 다단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형으로서 내부에는 소정량의 열매체유가 충전되고 일측에는 상기 열매체유를 가열하기 위한 히팅코일이 장착되어 상기 히팅코일을 통해 가열된 열매체유에 의해 발열하면서 피건조물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건조판(200)과;
    상기 본체의 중심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300)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면서 건조판 상의 피건조물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점차로 이동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지도록 결합된 복수의 이동구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판 상에 반경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400)와;
    상기 이동구에 의해 건조판의 중앙부 또는 외연부로 이동된 피건조물이 하단으로 낙하되도록 상기 건조판 상에 형성되는 낙하홈(500);을 포함하되,
    상기 건조판의 중앙부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에 열매체유가 저장되는 소정직경의 열매체유 저장부와, 상기 열매체유 저장부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내부로 투입되는 인풋 및 열매체유가 배출되는 아웃풋이 양측 단부가 형성되는 열매체유 이동로와, 양측 단부가 상기 인풋 및 아웃풋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아웃풋으로 배출되는 열매체유를 인풋으로 재투입시키는 연통관이 형성되고,
    상기 히팅코일은 인풋과 아웃풋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열매체유 이동로는 열매체유가 건조판의 중앙부와 외연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건조판이 고르게 가열되도록 건조판 내부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둘레를 따라 "ㄷ"자 형상의 브라켓이 형성되는 띠 형태의 하우징이 상기 건조판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는 건조판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 내부에서 모터의 동력을 통해 회전되되 상하 다단으로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상단 및 하단에 체결부와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건조판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순차적으로 설치한 다음 각 건조판의 하우징과 회전축을 결합함으로써 현장상황에 따라 건조판을 다단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피건조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증기를 냉각응축시키는 냉각응축기가 구비되어,
    상기 냉각응축기를 거치면서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되고 잔존되는 저온저습의 공기를 다시 본체 내부로 투입하는 순환이 반복되면서 증기에 함유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KR1020190085580A 2019-07-16 2019-07-16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KR102234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80A KR102234109B1 (ko) 2019-07-16 2019-07-16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580A KR102234109B1 (ko) 2019-07-16 2019-07-16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52A KR20210009052A (ko) 2021-01-26
KR102234109B1 true KR102234109B1 (ko) 2021-03-30

Family

ID=7431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580A KR102234109B1 (ko) 2019-07-16 2019-07-16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443B1 (ko) * 2021-04-09 2021-09-08 이종선 펠릿용 우드칩 건조장치 및 건조 우드칩
KR102453837B1 (ko) * 2022-05-18 2022-10-14 신창엔텍 주식회사 축사 악취제거기
KR102505271B1 (ko) * 2022-11-02 2023-03-03 신창엔텍 주식회사 악취가스 제거장치
CN115715812B (zh) * 2022-11-16 2023-09-08 河北万岁药业有限公司 一种中药饮片自动化杀菌烘干收集***
CN116878237B (zh) * 2023-09-07 2023-11-10 宁德市瑞元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白茶茶叶加工用干燥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878B1 (ko) * 2017-08-23 2017-11-09 중원플랜트 주식회사 폐기물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0645B2 (ja) * 1994-03-30 1999-10-12 日本碍子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スヒ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31450A (ko) * 2010-05-31 2011-12-07 유한회사 원진엔비텍 열풍 및 안개분사를 통한 폐수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878B1 (ko) * 2017-08-23 2017-11-09 중원플랜트 주식회사 폐기물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052A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109B1 (ko)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TW201211481A (en) Indirectly heated rotary dryer
KR102023080B1 (ko)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장치
CN202297334U (zh) 污泥半干化处理装置及污泥干化机
EP0531414B1 (en) Drying apparatus/method
CN102628642B (zh) 间接加热式干燥机
WO2009010018A1 (en) Device for drying loose and pasty materials and sludges
CN102557383A (zh) 一种用于污泥干化的倾斜盘式桨叶干燥机及处理方法
US46588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ly processing viscous, shear sensitive materials
CN106440708B (zh) 一种木屑烘干机
KR20210038890A (ko) 습윤 매트릭스들을 위한 건조 장치 및 습윤 매트릭스들의 상대적인 건조 방법
JPS5857672B2 (ja) ガンスイブツノカネツ ダツスイホウホウ
CN202254699U (zh) 一种新型圆盘干燥机
KR101615674B1 (ko) 건조 장치 및 그 건조방법
WO2013157427A1 (ja) 有機汚泥及び有機系廃棄物の処理装置
KR101472568B1 (ko) 폐기물 건조장치
CN207214057U (zh) 一种卧式高温干燥器
CN108627000A (zh) 一种热泵热源的烘干装置
JP2002039677A (ja) 乾燥装置
KR20110044700A (ko) 오니 처리 장치
CN202354320U (zh) 卧式圆盘连续干燥机
JP2005083644A (ja) 乾燥装置
KR20140115857A (ko) 습기 함유 폐기물용 건조 장치
JP5071975B2 (ja) 蒸発脱水装置
CN209081706U (zh) 污泥干燥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