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559B1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559B1
KR102231559B1 KR1020140081033A KR20140081033A KR102231559B1 KR 102231559 B1 KR102231559 B1 KR 102231559B1 KR 1020140081033 A KR1020140081033 A KR 1020140081033A KR 20140081033 A KR20140081033 A KR 20140081033A KR 102231559 B1 KR102231559 B1 KR 10223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arable device
control unit
user authentication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520A (ko
Inventor
민정동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559B1/ko
Priority to PCT/KR2014/010706 priority patent/WO2016003024A1/ko
Publication of KR2016000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탈부착감지부 및 상기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탈착이 감지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한하며, 상기 동작 제한 중 상기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착용이 감지되면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이 통과되면 상기 동작 제한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단어 그대로 착용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람의 신체에 부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지칭하며, 휴대성, 사용편의성, 환경적응성 측면에서 기존 디바이스와는 차별화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동 중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액세서리 및 의복 등의 형태로 소형화 및 경량화하여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착용 형태 및 활용 분야에 따라 구분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 형태에 따라 시계와 같은 액세서리형(Accessory), 직물에 일체화된 의류 일체형(Clothing), 스킨 패치(Skin patch)와 같은 신체 부착형(Body-attached), 신체에 전자장치를 이식하는 생체 이식형(Bio-implemented) 등으로 구분되며, 활용 분야에 따라 피트니스 및 웰빙(Fitness & Wellness), 헬스케어 및 의료(Healthcare & Medical), 제조업 및 군사(Industrial & Military),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항상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결제나 자동 문열기 등 개인인증이 필요한 분야에 활용될 여지가 높으며, 이에 따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증 기능이 미흡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분실이나 도난 등으로 인한 부정사용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사용자 인증 기능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결제 인증 등의 기능을 수행할 때마다 매번 사용자 인증을 거쳐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99988호(2004.12.0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인증 기능이 존재하되 개인인증 기능 수행 시 매번 사용자 인증을 거칠 필요가 없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탈부착감지부; 및 상기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탈착이 감지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한하며, 상기 동작 제한 중 상기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착용이 감지되면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이 통과되면 상기 동작 제한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인증 수행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요구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지문인식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인증 수행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인식 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지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동차 문의 개폐 동작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키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자동차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작 제한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자동차로의 신호송신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탈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착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인증이 통과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 제한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요구됨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지문인식 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자동차로의 신호송신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부착을 감지하여 사용자 인증 필요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개인인증 기능 수행 시 사용자가 매번 인증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어부(100), 탈부착감지부(110), 표시부(120), 지문인식 모듈(130), 통신부(140)를 포함한다.
탈부착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한다. 탈부착감지부(110)는 맥박센서, 온도센서, 접촉감지센서, 압력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손목에 차는 시계형태일 경우, 맥박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의 맥박 감지를 통해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표시부(120)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요구된다는 것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재인증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지문인식 모듈(130)은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지문인식 모듈(130)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얻는 방식으로는 강한 빛을 플래턴(platen)에 쏘아 손끝의 지문 형태가 반사되면 반사된 지문 이미지를 고굴절 렌즈를 통과시켜 CCD를 통해 입력받는 광학식이나, 피부의 전기 전도 특성을 이용하여 실리콘 칩 표면에 접촉된 지문의 모양을 전기 신호로 읽어 들이는 반도체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문인식 모듈(130)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다양한 입력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자동차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자동차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파이 등 통신부(140)와 자동차 사이의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탈부착감지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착이 감지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한한다. 즉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해제하면 일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한하여 전자결제 등 개인인증이 필요한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승인 받지 않은 사용자의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동차 문의 개폐 동작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키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해제하면 제어부(100)는 스마트 키 기능을 제한하여 미승인 사용자가 자동차의 문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상황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키 기능 제한 시 제어부(100)는 자동차로의 신호송신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하여 스마트 키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미인증 사용자가 자동차 문의 개폐 버튼을 누르는 등 자동차 문의 제어를 시도하더라도, 제어부(100)는 자동차 문의 제어 신호가 자동차로 송신되지 않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하여 스마트 키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이 제한되는 중 탈부착감지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인증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를 탈착한 후 다시 착용하면 자동적으로 재인증을 수행하도록 하여 승인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사용자인증은 암호를 입력받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음성, 지문, 홍채 등을 입력받아 각 개인을 식별하는 생체인식(Biometrics)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지문인식 모듈(130)을 통해 입력받은 지문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받은 지문 정보가 최초로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한다면 승인된 사용자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입력받은 지문 정보가 최초로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한다함은 비교되는 양 지문 정보의 차이가 동일인이라고 볼 수 있는 범위 내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인증 수행 시 제어부(100)는 표시부(120)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요구됨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재인증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지문인식 모듈(130)을 통해 입력받은 지문 정보가 최초로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 등 승인된 사용자임이 확인되는 경우, 즉 사용자인증이 통과되는 경우에 제어부(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제한을 해제하여 승인된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계속 착용하고 있다면 개인인증이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때에도 별도의 인증을 요구하지 않으나, 일단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탈착하면 개인인증이 필요한 기능의 동작을 제한하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재착용하면 인증을 요구하고 사용자인증이 통과되는 경우에만 상기 동작 제한을 해제하여 승인 받지 않은 사용자의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100)는 탈부착감지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착 여부를 감지한다(S20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탈부착감시부(110)에 포함된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온도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0)에서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착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한한다(S210). 즉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탈착하면, 제어부(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한하여 자동차 문의 개폐 동작 등 개인인증이 필요한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탈부착감지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를 감지한다(S22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0)와 마찬가지로 온도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20)의 감지결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이 감지되었다면, 제어부(100)는 표시부(120)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요구됨을 표시한다(S230).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지문인증이 필요합니다." 등의 문구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인증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반면 상기 단계(S220)의 감지결과,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제어부는 상기 단계(S210)로 회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제한을 유지한다.
한편 상기 단계(S230) 이후, 제어부(100)는 지문인식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S240).
상기 단계(S240)의 확인결과, 지문인식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이 입력되었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된 지문 정보가 최초로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250). 반면 상기 단계(S240)의 확인결과, 지문인식 모듈(130)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30)로 회귀하여 사용자인증이 요구됨을 표시하는 것을 유지한다.
한편 상기 단계(S250)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지문 정보가 최초로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였다면, 제어부(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제한을 해제한다(S260). 즉, 입력된 지문 정보와 최초로 등록된 지문 정보가 일치한다면, 승인된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다시 착용한 경우이므로, 제어부(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제한을 해제하여 원래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상기 단계(S250)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된 지문 정보가 최초로 등록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지 않았다면, 미승인 사용자가 지문인식을 시도한 경우라고 볼 수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30)로 회귀하여 사용자인증이 요구됨을 표시하는 것을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분실 등에 의한 미승인 사용자의 부정사용을 방지하면서도, 인증된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탈착하지 않는다면 그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 매번 인증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을 줄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탈부착감지부
120: 표시부
130: 지문인식 모듈
140: 통신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탈부착감지부; 및
    상기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탈착이 감지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한하며, 상기 동작 제한 중 상기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착용이 감지되면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인증이 통과되면 상기 동작 제한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동차 문의 개폐 동작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키 기능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자동차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제한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자동차로의 신호송신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인증 수행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요구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는 지문인식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인증 수행 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인식 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지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삭제
  5. 삭제
  6.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탈부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탈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한하는 단계;
    상기 탈부착감지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착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인증이 통과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작 제한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동차 문의 개폐 동작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키 기능을 구비한 것이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자동차로의 신호송신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인증이 요구됨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지문인식 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81033A 2014-06-30 2014-06-30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102231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033A KR102231559B1 (ko) 2014-06-30 2014-06-30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4/010706 WO2016003024A1 (ko) 2014-06-30 2014-11-07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033A KR102231559B1 (ko) 2014-06-30 2014-06-30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20A KR20160002520A (ko) 2016-01-08
KR102231559B1 true KR102231559B1 (ko) 2021-03-25

Family

ID=5501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033A KR102231559B1 (ko) 2014-06-30 2014-06-30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1559B1 (ko)
WO (1) WO20160030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2215A1 (zh) * 2016-10-21 2018-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校验方法及设备
KR102406511B1 (ko) * 2017-07-04 2022-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985132B2 (en) 2018-05-02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access authent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5717B2 (en) * 2005-08-31 2010-05-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KR101615489B1 (ko) * 2007-09-24 2016-04-25 애플 인크. 전자 장치 내의 내장형 인증 시스템들
US8031172B2 (en) * 2007-10-12 2011-10-04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earable remote interface device
KR20110057626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바이오 인식을 이용한 명령 실행 장치 및 방법
KR20110125791A (ko) * 2010-05-14 2011-11-22 볼트라인 주식회사 보안을 위한 자동차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20A (ko) 2016-01-08
WO2016003024A1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4933B2 (ja) ウェアラブルキーデバイス、及び電子キーシステム
EP3078136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access to electronic devices using a body area network
JP6063859B2 (ja) 携帯鍵装置及び装置制御方法
KR101049869B1 (ko) 전자 기기
US20140157401A1 (en) Method of Dynamically Adjusting an Authentication Sensor
US11704400B2 (en) Authentication method, wearable device and mobile device
US20230154257A1 (en) Scheme for setting/using electronic device as keyless device of vehicle and adjusting devices in the vehicle
JP2017151556A (ja) 電子機器、認証方法および認証プログラム
EP3269905A1 (en) Electronic key system
KR102231559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CN105975828A (zh) 一种进行解锁的方法和装置
KR20120122587A (ko) 지문 및 얼굴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기 보안장치 및 방법
WO2016024608A1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ロック制御方法
US9793940B2 (en) Cover for mobile device
US20150181368A1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EP3133519B1 (en) Method for unlocking screen of mobile terminal by means of retina information matching
US2015034838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ecurity managing method
KR102614305B1 (ko) 전자 기기, 인증 방법 및 프로그램
US11626118B2 (en) Vehicle authentication device and vehicle control system
CN109828734A (zh) 智能终端显示屏幕控制方法、***及存储介质
KR20200022590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장애인 운전차량의 스마트 액세스 시스템
CN108135494B (zh) 用于机动车的准入***
KR20160071151A (ko) 웨어러블 기기
JP2016188477A (ja) 入室管理装置
KR20110000997A (ko) 스마트키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