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101B1 -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101B1
KR102229101B1 KR1020190091606A KR20190091606A KR102229101B1 KR 102229101 B1 KR102229101 B1 KR 102229101B1 KR 1020190091606 A KR1020190091606 A KR 1020190091606A KR 20190091606 A KR20190091606 A KR 20190091606A KR 102229101 B1 KR102229101 B1 KR 102229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mergency
state
detecte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3866A (ko
Inventor
조영민
Original Assignee
조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민 filed Critical 조영민
Priority to KR1020190091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1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단말에 대한 특정 조작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상 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고, 해당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전송하고, 비상 모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시 자동으로 착신 전환되어 해당 단말에서 수집되는 음성, 음향 등을 포함하는 소리 정보와 영상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구조 요청을 한 사실이나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 등을 범인이나 가해자에게 들킴으로써 사용자가 제2, 제3의 피해를 입거나 더 위급한 상황으로 악화되지 않도록 벨소리, 진동, 화면 등 단말의 외적 변화와 발신인의 목소리 등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 대한 안정적인 구조 요청을 통해 긴급 상황으로부터 사용자를 빠른 시간 내에 구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notifying emergenc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입력에 따른 단말에 대한 특정 조작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상 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고, 해당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전송하고, 비상 모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시 자동으로 착신 전환되어 해당 단말에서 수집되는 음성, 음향 등을 포함하는 소리 정보와 영상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구조 요청을 한 사실이나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 등을 범인이나 가해자에게 들킴으로써 사용자가 제2, 제3의 피해를 입거나 더 위급한 상황으로 악화되지 않도록 벨소리, 진동, 화면 등 단말의 외적 변화와 발신인의 목소리 등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한 경우, 위급 상황에 대한 통지 기능이 제공되고 있으나, 해당 통지 기능은 1회성에 그치고 있어, 실제 통지 기능에 따라 위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상대방이 해당 정보의 투명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상태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95894호 [제목: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단말에 대한 특정 조작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상 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고, 해당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전송하고, 비상 모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시 자동으로 착신 전환되어 해당 단말에서 수집되는 음성, 음향 등을 포함하는 소리 정보와 영상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구조 요청을 한 사실이나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 등을 범인이나 가해자에게 들킴으로써 사용자가 제2, 제3의 피해를 입거나 더 위급한 상황으로 악화되지 않도록 벨소리, 진동, 화면 등 단말의 외적 변화와 발신인의 목소리 등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구조 요청으로 인하여 되려 더 위험한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범인이나 가해자가 단말이 구조 요청을 위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과 자동으로 착신되어 통화 중인 사실 등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고, 알게 되더라도 단말의 동작을 임의로 제어하지 못하도록 단말이 비상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미리 설정된 해제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에 한해 비상 모드를 해제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은 비상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단말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로 전환하고, 무음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단말;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단말별 긴급 메시지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의 식별 정보와 관련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각각 전송하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메시지를 표시하는 상기 다른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로 통화 연결이 시도될 때, 상기 통화 연결에 대해 자동으로 착신 전환하고, 상기 단말의 화면 꺼짐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다른 단말과의 통화 연결 중,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통화음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단말에서 수집되는 발신 통화음 및 상기 단말을 통해 획득되는 단말 주변의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른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 시, 상기 단말에 전송 기록이 남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전송 기록을 남길 경우 긴급 메시지는 전송한 날짜 및 시각을 다른 날짜 및 시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내용도 미리 설정된 다른 내용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비상 모드 해제를 위해 미리 설정된 다른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비상 모드 직전의 단말의 상태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단말에서의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 방법은 비상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단말에 의해,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로 전환하고, 무음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확인된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로 통화 연결이 시도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통화 연결에 대해 자동으로 착신 전환하고, 상기 단말의 화면 꺼짐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다른 단말과의 통화 연결 중,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통화음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단말에서 수집되는 발신 통화음 및 상기 단말을 통해 획득되는 단말 주변의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긴급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확인된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단말별 긴급 메시지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의 식별 정보와 관련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각각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긴급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 빈도를 조절하며,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긴급 메시지에 상기 단말을 통해 획득되는 단말 주변의 영상 정보 및 단말 주변의 소리를 포함시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비상 모드 해제를 위해 미리 설정된 다른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비상 모드 직전의 단말의 상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단말에서의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단말의 배터리 잔량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확인되는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새로운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상기 시간 간격으로 상기 생성된 새로운 긴급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단말에 대한 특정 조작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상 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고, 해당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전송하고, 비상 모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시 자동으로 착신 전환되어 해당 단말에서 수집되는 음성, 음향 등을 포함하는 소리 정보와 영상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구조 요청을 한 사실이나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 등을 범인이나 가해자에게 들킴으로써 사용자가 제2, 제3의 피해를 입거나 더 위급한 상황으로 악화되지 않도록 벨소리, 진동, 화면 등 단말의 외적 변화와 발신인의 목소리 등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 대한 안정적인 구조 요청을 통해 긴급 상황으로부터 사용자를 빠른 시간 내에 구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조 요청으로 인하여 되려 더 위험한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범인이나 가해자가 단말이 구조 요청을 위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과 자동으로 착신되어 통화 중인 사실 등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고, 알게 되더라도 단말의 동작을 임의로 제어하지 못하도록 단말이 비상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미리 설정된 해제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에 한해 비상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구조가 완료되어 상황이 해제될 때까지 해당 단말의 비상 모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은 단말(100), 서버(200) 및 다른 단말(3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100) 및 상기 다른 단말(3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100)은 센서부(110), GPS 수신기(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표시부(150), 음성 출력부(160) 및 제어부(17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단말(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단말(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단말(100)의 일측에 구성(또는 형성/배치)한다.
상기 센서부(또는 동작 인식부)(110)는 상기 단말(100)에 인접한 사용자의 동작(또는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360도 카메라, 동작 인식 센서(Motion Recognition Sensor)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또는 움직임)은 양쪽 다리의 방향, 다리의 움직임(예를 들어 이동, 회전 등 포함), 팔의 방향, 팔의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주먹쥐기 동작, 손가락 모으기 동작, 손가락 벌리기 동작, 손바닥 터치 동작, 손가락 펴기 동작, 손가락 구부리기 동작, 손/팔을 이용한 도형 그리기 동작, 손/팔을 이용한 좌우 방향/상하 방향/대각선 방향으로의 흔들기 동작, 사용자 시선 움직임이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 이상의 움직임(또는 흔들림/왕복 운동), 이들 동작들 간의 조합에 의한 동작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360도 카메라(또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 정보(예를 들어 연속된 복수의 이미지, 동영상 등 포함)를 근거로 공지된 다양한 객체(또는 사용자) 인식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해당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를 획득(또는 촬영)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또는 부착)되는 복수의 동작 인식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센싱 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 인식 센서는 물체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하는 센서, 지자기 센서(Geomagnetism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관성 센서(Inertial Sensor), 고도계(Altimeter), 진동 센서 등의 센서를 포함하며, 동작 인식에 관련된 센서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팔, 손, 손가락 등 포함)의 기울어진 방향, 기울어진 각도 및/또는 상기 기울어지는 속도, 상하/좌우/대각선 등의 방향으로의 진동 방향 및/또는 진동 횟수, 사용자 시선의 방향 및 움직임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되는 정보들(예를 들어 기울어진 방향, 기울어진 각도 및/또는 상기 기울어지는 속도, 진동 방향 및/또는 진동 횟수, 사용자 시선의 방향 및 움직임 등 포함)은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디지털화되어, 상기 디지털화된 정보들이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 손가락, 팔, 다리 등 포함)에 착용된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단말(100)(또는 사용자)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관성 센서(Inertial Sensor), 고도계(Altimeter), 진동 센서,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단말(100)은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단말(100)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동작(또는 모션) 인식 기능, 음성 인식 기능, 입술 움직임 인식 기능, 눈동자의 움직임 인식 기능(또는 시선 추적 기능)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나 입술 움직임이나 눈동자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한 동작 인식 모듈, 음성 인식을 위한 음성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표시부(150)의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산출(또는 검출/확인)한다.
즉,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단말(100) 주변의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110)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미도시), 촬영부(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 시선 움직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시선 움직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시선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시선을 산출(또는 추적)하기 위한 기술은 비디오 분석 방식, 콘택트렌즈 방식, 센서 부착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상기 비디오 분석 방식은 촬영부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또는 영상)의 실시간 분석을 통해 동공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각막에 반사된 고정 위치를 기준으로 시선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콘택트렌즈 방식은 거울 내장 콘택트렌즈의 반사된 빛, 코일 내장 콘택트렌즈의 자기장 등을 이용하여 시선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편리성이 떨어지는 반면 높은 정확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센서부착 방식은 눈 주위에 센서를 부착하여, 눈의 움직임에 따른 전기장을 이용하여 시선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눈을 감고 있는 경우(예를 들어 수면 등 포함)에도 눈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시선을 산출하기 위한 기술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단말(100)과 관련한 이벤트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단말(100)의 표시부(150)에 대한 터치/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50)의 일측에 표시되는 미리 설정된 메뉴/항목/버튼(예를 들어 볼륨 버튼 등 포함)에 대한 터치/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50)를 통한 사용자 지문 인식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예를 들어 온 스크린 지문 인식 기능 사용시 지문 인식 기능을 위해 1초 이내의 시간이 필요한 상태에서, 비상 모드 전환을 위해 5초 이상 지문 인식 기능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에 대한 일정 횟수 이상의 터치/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기울임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단말(10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기울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 이상의 움직임(또는 흔들림/왕복 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의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동작(또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상기 GPS 수신기(120)는 해당 단말(100)의 GPS 위치 정보를 산출(또는 획득)한다.
즉, 상기 GPS 수신기(120)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에 포함된 경도 좌표 및 위도 좌표를 근거로 해당 단말(100)의 위치 데이터(또는 위치 정보)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GPS 수신기(12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제안한 무선 LAN 및 일부 적외선 통신 등을 포함하는 무선 LAN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의 표준 규격인 802.11과, 블루투스,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하는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5과, 도시 광대역 네트워크(Fixed Wireless Access: FWA) 등을 포함하는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 BWA)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6과,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무선 MAN(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MBWA)에 대한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20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100)의 정밀 위치 정보를 상기 단말(100)에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GPS 수신기(120)는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해당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상기 서버(200), 상기 다른 단말(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서버(200), 상기 다른 단말(300)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제어 신호, 정보 등을 수신한다.
상기 저장부(14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단말(10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단말(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단말(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단말(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되고, 단말(100)에 설치되어, 제어부(170)에 의하여 상기 단말(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다양한 제어 신호, 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또는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다양한 제어 신호, 정보 등을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160)는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6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60)는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60)는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다양한 제어 신호, 정보 등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효과)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controller, 또는 MCU(microcontroller unit)(170)는 상기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상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또는 긴급 모드/긴급 상황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표시부(150)에 대한 터치/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50)의 일측에 표시되는 미리 설정된 메뉴/항목/버튼(예를 들어 볼륨 버튼 등 포함)에 대한 터치/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50)를 통한 사용자 지문 인식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예를 들어 온 스크린 지문 인식 기능 사용시 지문 인식 기능을 위해 1초 이내의 시간이 필요한 상태에서, 비상 모드 전환을 위해 5초 이상 지문 인식 기능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에 대한 일정 횟수 이상의 터치/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기울임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단말(10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기울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 이상의 움직임(또는 흔들림/왕복 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의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동작(또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제스처는 탭(tap), 터치&홀드(touch & hold), 더블 탭(double tap), 드래그(drag), 플릭(flick),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핀치(pinch) 및 스와이프(swip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동작(또는 움직임)은 미리 설정된 양쪽 다리의 방향, 다리의 움직임(예를 들어 이동, 회전 등 포함), 팔의 방향, 팔의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주먹쥐기 동작, 손가락 모으기 동작, 손가락 벌리기 동작, 손바닥 터치 동작, 손가락 펴기 동작, 손가락 구부리기 동작, 손/팔을 이용한 도형 그리기 동작, 손/팔을 이용한 좌우 방향/상하 방향/대각선 방향으로의 흔들기 동작, 사용자 시선 움직임이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 이상의 움직임(또는 흔들림/왕복 운동), 이들 동작들 간의 조합에 의한 동작 등을 포함한다.
"탭(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예컨대, 전자 펜)를 이용하여 화면(예를 들어 객체, 지명, 부가 정보 등 포함)을 터치한 후 움직이지 않은 채 화면에서 즉시 들어올리는 동작을 나타낸다.
"터치&홀드(touch & hold)"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예컨대, 전자 펜)를 이용하여 화면(예를 들어 객체, 지명, 부가 정보 등 포함)을 터치한 후, 임계 시간(예컨대, 2초) 이상 터치 입력을 유지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터치-인 시점과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임계 시간(예컨대, 2초)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터치 입력이 탭인지 터치&홀드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이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임계 시간은 구현 예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더블 탭(double ta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예를 들어 객체, 지명, 부가 정보 등 포함)을 두 번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드래그(drag)"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예를 들어 객체, 지명, 부가 정보 등 포함)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오브젝트가 이동되거나 후술할 패닝 동작이 수행된다.
"플릭(flick)"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예를 들어 객체, 지명, 부가 정보 등 포함)에 터치한 후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하여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 이상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의 이동 속도가 임계 속도(예컨대, 100 pixel/s) 이상인지에 기초하여 드래그(또는 패닝)와 플릭을 구별할 수 있다.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이용해 오브젝트(예를 들어 객체, 지명, 부가 정보 등 포함)를 화면 내 소정 위치에 드래그한 후 놓는 동작을 의미한다.
"핀치(pinch)"는 사용자가 두 손가락을 화면(예를 들어 객체, 지명, 부가 정보 등 포함) 위에 터치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나타낸다.
"스와이프(swipe)"는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로 화면 위의 오브젝트(예를 들어 객체, 지명, 부가 정보 등 포함)를 터치한 상태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이는 동작이다. 사선 방향의 움직임은 스와이프 이벤트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일반 모드(또는 대기 모드)에서 비상 모드로 전환된 상태임을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짧은 시간 내에 인지(또는 인식)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로 전환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표시)를 상기 표시부(150), 상기 단말(100)에 구비된 LED 램프(미도시) 등을 통해 출력(또는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해당 단말(100)의 상태(또는 소리 및 알림 상태)를 무음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추후 비상 모드 해제에 따라 단말(100)의 상태를 복원하기 위해서 무음 모드로 전환되기 전의 해당 단말(100)의 상태(예를 들어 벨소리 상태, 진동 상태, 무음 상태 등 포함)를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범인이나 가해자가 단말(100)의 동작(예를 들어 전원 오프)을 임의로 제어하지 못하도록 단말(100)이 비상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해당 단말(100)의 비상 모드가 해제되기 전까지 해당 단말(100)이 전원 오프 상태(또는 대기 모드 상태)인것처럼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해당 단말(100)의 위치 정보 확인 기능의 온/오프 상태에 무관하게(또는 상관없이), 상기 GPS 수신기(120)를 제어하여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 단말(10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확인된 단말(100)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메시지 내용 등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에 각각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을 1회로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비상 모드가 해제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5분 단위) 또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짧아지는 시간 간격(예를 들어 초기 1시간 이내에는 10분 간격, 1시간 ~ 2시간 내에는 7분 간격, 2시간 지난 후에는 5분 간격 등 포함)으로 해당 긴급 메시지 전송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확인된 단말(100)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메시지 내용 등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긴급 메시지를 수신할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상기 긴급 메시지와 함께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단말(100)의 배터리 잔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단말(1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해당 단말(100)의 위치 정보 확인 기능, 긴급 메시지 전송 기능 등의 빈도(또는 횟수)를 유동적으로 조절(또는 조정/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단말(1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해당 긴급 메시지 전송 시, 상기 단말(100)을 통해 획득되는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 단말(100) 주변의 소리(또는 사운드) 등을 해당 긴급 메시지에 포함시켜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 시,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단말(100)에 전송 기록(예를 들어 긴급 메시지 전송 기록)이 남지 않도록 구성(또는 제어)하거나 또는, 해당 전송 기록을 남길 경우 긴급 메시지를 전송한 날짜 및 시각을 다른 날짜 및 시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해당 긴급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내용도 미리 설정된 정형화된 내용(또는 문구)(예를 들어 철수야 잘 지내니? 등 포함)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다른 단말(300)(또는 임의의 발신 단말(미도시))로부터 해당 단말(100)로 통화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통화 연결에 대해 자동으로 착신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범인이나 가해자가 통화 연결이 시도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상기 다른 단말(300)로부터 통화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벨소리 기능, 진동 기능 등을 수행하지 않고, 무음 기능으로 동작 중인 상태이며, 통화 연결에 따른 착신 전환 후에도(또는 통화 중에도) 상기 표시부(150)가 화면 꺼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긴급 상황에 처한 해당 단말(100)에서 통화음을 출력함에 따라 더 위험한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상기 다른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통화음(또는 소리/사운드)을 상기 음성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하지 않고, 긴급 상황에 처한 해당 단말(100)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해당 다른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110)에서 수집되는 음성, 음향 등을 포함하는 발신 통화음(또는 소리/사운드 정보)을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해당 다른 단말(300)에 전송(또는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단말(1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발신 통화음 전송 시,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획득되는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 등을 해당 발신 통화음과 함께 상기 다른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100)과 상기 다른 단말(300) 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다른 단말(300)과의 통화 내역(또는 통화 기록)이 해당 단말(100)에 남지 않도록 구성(또는 제어)하거나 또는, 해당 통화 내역을 남길 경우 통화 내역에 따른 날짜 및 시각을 다른 날짜 및 시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해당 다른 단말(100)의 전화번호도 미리 설정된 다른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비상 모드 해제를 위해 미리 설정된 다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에서 일반 모드(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비상 모드의 해제에 따라 무음 기능으로 동작 중인 상기 단말(100)의 상태를 비상 모드 전환 전의 상태(예를 들어 벨소리 상태, 진동 상태, 무음 상태 등 포함)로 전환(또는 복원)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이벤트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전원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또는 횟수 이상)(예를 들어 2회) 반복하여 온/오프시키는 경우(또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재부팅하는 경우), 앞선 비상 모드로 전환한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또는 횟수 이상) 반복하여 발생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해당 단말(100)에서의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 상기 다른 단말(300) 등과 통신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200)는 통신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을 구성하는 상기 통신부(130), 상기 저장부(140), 상기 표시부(150), 상기 음성 출력부(160), 상기 제어부(170)에 대응하는 각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단말(100)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메시지 내용 등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에 각각 전송한다.
즉,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또는 등록된) 단말별 긴급 메시지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100)(또는 해당 긴급 메시지/해당 긴급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100)의 식별 정보)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100)에서 미리 등록한 가족/친구/동료 등이 소지한 다른 단말의 전화번호, 범죄신고 전화번호(예를 들어 112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각각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에서 상기 긴급 메시지와 함께 전송되는 해당 긴급 메시지를 수신할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 시, 상기 단말(100)의 배터리 잔량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확인되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 상기 메시지 내용, 해당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 해당 단말(100) 주변의 소리(또는 사운드) 등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서버(200)에서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메시지를 최초 수신한 이후, 해당 단말(100)에서의 비상 모드가 해제될 때까지(또는 해당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비상 모드가 해지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 단말(100)에 단말(100)의 위치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요청에 응답하여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100)의 위치 정보, 해당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 해당 단말(100) 주변의 소리(또는 사운드)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단말(100)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상기 메시지 내용, 해당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 해당 단말(100) 주변의 소리(또는 사운드)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새로운 긴급 메시지를 앞서 수신측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로 자동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서버(200)에서 상기 단말(100)로의 위치 정보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100)로부터 해당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서 수신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서버(200)는 마지막으로(또는 최신) 수신된 해당 단말(100)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새로운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새로운 긴급 메시지를 앞서 수신측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로 자동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다른 단말(300)(또는 임의의 발신 단말(미도시))로부터 해당 단말(100)로 통화 연결이 시도되어 통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이 상기 단말(100)과 관련한 소리, 영상 등의 주변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300)에 제공하고, 상기 다른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통화음을 출력하지 않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른 단말(300)에서 상기 비상 모드 상태인 상기 단말(100)과 통화 연결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다른 단말(300)에서 상기 단말(100)로 제공되는 수신 통화음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다른 단말(300)에 제공하고, 상기 다른 단말(300) 및 상기 단말(100)과 연동하여, 상기 단말(100)에서 상기 다른 단말(300)로의 정보(예를 들어 소리, 영상 등 포함) 전송을 허용하고, 상기 다른 단말(300)에서 상기 단말(100)로의 정보 전송을 차단하도록 구성(단, 통신 기능 수행, 미리 설정된 기본 기능 수행 등을 위한 정보 전송은 예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비상 모드 해제를 위해 미리 설정된 다른 이벤트가 발생하여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에서 일반 모드(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에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중지(또는 중단/종료)한다.
상기 다른 단말(300)은 상기 단말(100), 상기 서버(2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다른 단말(300)은 상기 단말(100)을 구성하는 상기 통신부(130), 상기 저장부(140), 상기 표시부(150), 상기 음성 출력부(160), 상기 제어부(170)에 대응하는 각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단말(300)은 상기 서버(200)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다른 단말(300)은 상기 수신된 긴급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다른 단말(300)과 상기 단말(100) 간의 통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다른 단말(300)은 상기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음향 등을 포함하는 발신 통화음(또는 소리/사운드 정보),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 등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다른 단말(300)은 해당 다른 단말(300)의 사용자가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주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된 발신 통화음(또는 소리/사운드 정보),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 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 상태이고, 상기 단말(100)과의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른 단말(300)은 해당 다른 단말(300)에서 수집되는 음성, 음향 등의 소리(또는 사운드) 및/또는 획득되는 영상을 상기 단말(100)에 전송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른 단말에 대한 특정 조작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상 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고, 해당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전송하고, 비상 모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시 자동으로 착신 전환되어 해당 단말에서 수집되는 음성, 음향 등을 포함하는 소리 정보와 영상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구조 요청을 한 사실이나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 등을 범인이나 가해자에게 들킴으로써 사용자가 제2, 제3의 피해를 입거나 더 위급한 상황으로 악화되지 않도록 벨소리, 진동, 화면 등 단말의 외적 변화와 발신인의 목소리 등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가 구조 요청으로 인하여 되려 더 위험한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범인이나 가해자가 단말이 구조 요청을 위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과 자동으로 착신되어 통화 중인 사실 등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고, 알게 되더라도 단말의 동작을 임의로 제어하지 못하도록 단말이 비상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미리 설정된 해제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에 한해 비상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 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비상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또는 긴급 모드/긴급 상황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단말(100)의 표시부(150)에 대한 터치/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50)의 일측에 표시되는 미리 설정된 메뉴/항목/버튼(예를 들어 볼륨 버튼 등 포함)에 대한 터치/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50)를 통한 사용자 지문 인식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예를 들어 온 스크린 지문 인식 기능 사용시 지문 인식 기능을 위해 1초 이내의 시간이 필요한 상태에서, 비상 모드 전환을 위해 5초 이상 지문 인식 기능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에 대한 일정 횟수 이상의 터치/선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기울임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단말(100)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기울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 이상의 움직임(또는 흔들림/왕복 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의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동작(또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제스처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핀치 및 스와이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의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동작(또는 움직임)은 미리 설정된 양쪽 다리의 방향, 다리의 움직임(예를 들어 이동, 회전 등 포함), 팔의 방향, 팔의 시계/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주먹쥐기 동작, 손가락 모으기 동작, 손가락 벌리기 동작, 손바닥 터치 동작, 손가락 펴기 동작, 손가락 구부리기 동작, 손/팔을 이용한 도형 그리기 동작, 손/팔을 이용한 좌우 방향/상하 방향/대각선 방향으로의 흔들기 동작, 사용자 시선 움직임이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 이상의 움직임(또는 흔들림/왕복 운동), 이들 동작들 간의 조합에 의한 동작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일반 모드(또는 대기 모드)에서 비상 모드로 전환된 상태임을 해당 단말(100)의 사용자가 짧은 시간 내에 인지(또는 인식)할 수 있도록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로 전환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또는 표시)를 해당 단말(100)에 구비된 표시부(150), LED 램프(미도시) 등을 통해 출력(또는 표시)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해당 단말(100)의 상태(또는 소리 및 알림 상태)를 무음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일 예로, 제 1 단말(100)에 구비된 볼륨 버튼이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초) 이내에 미리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5회) 이상 연속으로 터치(또는 클릭/선택)될 때, 상기 제 1 단말은 해당 제 1 단말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로 전환하고, 벨소리 상태였던 제 1 단말의 상태를 무음 모드로 자동 전환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해당 제 1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로 전환된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해서, 램프 모양으로 상기 제 1 단말의 표시부의 일부를 1초 동안 온/오프(또는 점멸)시킨 후, 전원 오프 상태인 것처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 1 단말은 해당 LED 램프의 색상을 해당 제 1 단말의 주변 광도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온/오프시킬 수 있다(S310).
이후, 상기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해당 단말(100)의 위치 정보 확인 기능의 온/오프 상태에 무관하게,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 단말(10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확인된 단말(100)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메시지 내용 등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에 각각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을 1회로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비상 모드가 해제될 때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5분 단위) 또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짧아지는 시간 간격(예를 들어 초기 1시간 이내에는 10분 간격, 1시간 ~ 2시간 내에는 7분 간격, 2시간 지난 후에는 5분 간격 등 포함)으로 해당 긴급 메시지 전송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상기 단말(100)은 상기 확인된 단말(100)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100)의 식별 정보, 메시지 내용 등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해당 긴급 메시지를 수신할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상기 긴급 메시지와 함께 상기 서버(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또는 등록된) 단말별 긴급 메시지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단말(100)(또는 해당 긴급 메시지/해당 긴급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100)의 식별 정보)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100)에서 미리 등록한 가족/친구/동료 등이 소지한 다른 단말의 전화번호, 범죄신고 전화번호(예를 들어 112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각각 전송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해당 단말(100)의 위치 정보 확인 기능, 긴급 메시지 전송 기능 등의 빈도(또는 횟수)를 유동적으로 조절(또는 조정/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해당 긴급 메시지 전송 시, 상기 단말(100)을 통해 획득되는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 단말(100) 주변의 소리(또는 사운드) 등을 해당 긴급 메시지에 포함시켜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정보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 시,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 전송 기록(예를 들어 긴급 메시지 전송 기록)이 남지 않도록 구성(또는 제어)하거나 또는, 해당 전송 기록을 남길 경우 긴급 메시지를 전송한 날짜 및 시각을 다른 날짜 및 시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해당 긴급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내용도 미리 설정된 정형화된 내용(또는 문구)(예를 들어 철수야 잘 지내니? 등 포함)으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 각각은 상기 서버(200)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긴급 메시지를 표시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은 해당 제 1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백그라운드로 상기 제 1 단말의 제 1 위치 정보(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23-45 나길 67)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해당 제 1 단말 주변의 제 1 스냅 사진을 획득(또는 촬영)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해당 제 1 단말 주변의 제 1 소리를 획득(또는 수집)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확인된 제 1 위치 정보, 상기 획득된 제 1 스냅 사진, 상기 획득된 제 1 소리, 상기 제 1 단말의 식별 정보, 제 1 메시지 내용(예를 들어 위험한 상태에 있으니 빨리 도와주세요) 등을 포함하는 제 1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긴급 메시지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긴급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해당 서버(200)에 미리 저장된 단말별 긴급 메시지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제 1 단말과 관련한 제 1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 내지 제 5 다른 단말(300)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범죄신고 전화번호, 남편의 전화번호, 남동생의 전화번호, 제 1 친구의 전화번호 및 제 2 친구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확인된 제 1 다른 단말의 식별 정보 내지 제 5 다른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다른 단말 내지 제 5 다른 단말로 상기 제 1 긴급 메시지를 각각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1 다른 단말 내지 제 5 다른 단말 각각은 상기 서버(200)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 1 긴급 메시지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긴급 메시지를 표시한다(S320).
또한,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다른 단말(300)(또는 임의의 발신 단말(미도시))로부터 해당 단말(100)로 통화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통화 연결에 대해 자동으로 착신 전환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100)은 범인이나 가해자가 통화 연결이 시도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상기 다른 단말(300)로부터 통화 연결이 시도되는 경우 벨소리 기능, 진동 기능 등을 수행하지 않고, 무음 기능으로 동작 중인 상태이며, 통화 연결에 따른 착신 전환 후에도(또는 통화 중에도) 해당 단말(100)의 표시부(150)는 화면 꺼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긴급 상황에 처한 해당 단말(100)에서 통화음을 출력함에 따라 더 위험한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상기 다른 단말(300)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통화음(또는 소리/사운드)을 출력하지 않고, 긴급 상황에 처한 해당 단말(100)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해당 다른 단말(300)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해당 단말(100)에서 수집되는 음성, 음향 등을 포함하는 발신 통화음(또는 소리/사운드 정보)을 해당 다른 단말(300)에 전송(또는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상기 단말(10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발신 통화음 전송 시, 상기 단말(100)을 통해 획득되는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 등을 해당 발신 통화음과 함께 상기 다른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100)과 상기 다른 단말(300) 간의 통화가 종료된 후,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다른 단말(300)과의 통화 내역(또는 통화 기록)이 해당 단말(100)에 남지 않도록 구성(또는 제어)하거나 또는, 해당 통화 내역을 남길 경우 통화 내역에 따른 날짜 및 시각을 다른 날짜 및 시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해당 다른 단말(100)의 전화번호도 미리 설정된 다른 전화번호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단말(300)은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발신 통화음,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 등을 수신하고, 해당 다른 단말(300)의 사용자가 해당 단말(100)과 관련한 주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된 발신 통화음, 단말(100) 주변의 영상 정보 등을 출력한다.
일 예로, 해당 제 1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남편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 2 다른 단말(300)로부터 상기 제 1 단말로 통화 연결이 시도될 때, 상기 제 1 단말은 무음 상태를 유지하며, 해당 통화 연결에 대해 자동으로 착신 전환하고, 상기 제 2 다른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통화음을 출력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해당 제 1 단말 주변의 음성, 음향 등을 포함하는 사운드를 수집하고, 상기 제 1 단말 주변의 동영상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수집된 사운드를 포함하는 발신 통화음과 상기 획득된 동영상을 상기 제 2 다른 단말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2 다른 단말은 통화 연결 후 실시간으로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발신 통화음, 동영상 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발신 통화음, 동영상 등을 출력한다(S330).
또한, 상기 단말(100)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비상 모드 해제를 위해 미리 설정된 다른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에서 일반 모드(또는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상기 단말(100)은 해당 비상 모드의 해제에 따라 무음 기능으로 동작 중인 상기 단말(100)의 상태를 비상 모드 전환 전의 상태(예를 들어 벨소리 상태, 진동 상태, 무음 상태 등 포함)로 전환(또는 복원)한다. 여기서, 상기 다른 이벤트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100)의 전원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또는 횟수 이상)(예를 들어 2회) 반복하여 온/오프시키는 경우(또는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재부팅하는 경우), 앞선 비상 모드로 전환한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또는 횟수 이상) 반복하여 발생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말(100)은 해당 단말(100)에서의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300)에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중지(또는 중단/종료)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말에 대한 재부팅이 미리 설정된 횟수인 2회만큼 일정 시간 이내에 반복될 때,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단말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제 1 단말의 무음 모드를 비상 모드 전환 이전의 상태였던 벨소리 상태로 자동 전환한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은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 1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1 다른 단말 내지 제 5 다른 단말로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종료한다(S34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따른 단말에 대한 특정 조작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상 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고, 해당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전송하고, 비상 모드 상태에서 전화 수신 시 자동으로 착신 전환되어 해당 단말에서 수집되는 음성, 음향 등을 포함하는 소리 정보와 영상 정보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가 구조 요청을 한 사실이나 통화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 등을 범인이나 가해자에게 들킴으로써 사용자가 제2, 제3의 피해를 입거나 더 위급한 상황으로 악화되지 않도록 벨소리, 진동, 화면 등 단말의 외적 변화와 발신인의 목소리 등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긴급 상황에 처한 사용자에 대한 안정적인 구조 요청을 통해 긴급 상황으로부터 사용자를 빠른 시간 내에 구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조 요청으로 인하여 되려 더 위험한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범인이나 가해자가 단말이 구조 요청을 위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과 자동으로 착신되어 통화 중인 사실 등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고, 알게 되더라도 단말의 동작을 임의로 제어하지 못하도록 단말이 비상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미리 설정된 해제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에 한해 비상 모드를 해제하여, 구조가 완료되어 상황이 해제될 때까지 해당 단말의 비상 모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100: 단말
200: 서버 300: 다른 단말
110: 센서부 120: GPS 수신기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50: 표시부 160: 음성 출력부
170: 제어부

Claims (9)

  1. 비상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단말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로 전환하고, 무음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는 상기 단말;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단말별 긴급 메시지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의 식별 정보와 관련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각각 전송하는 상기 서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메시지를 표시하는 상기 다른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로 통화 연결이 시도될 때, 상기 통화 연결에 대해 자동으로 착신 전환하고, 상기 단말의 화면 꺼짐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다른 단말과의 통화 연결 중,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통화음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단말에서 수집되는 발신 통화음 및 상기 단말을 통해 획득되는 단말 주변의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른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 확인 기능의 온오프 상태에 무관하게, GPS 수신기를 제어하여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메시지 내용 등을 포함하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상기 다른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 시, 상기 단말에 전송 기록이 남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전송 기록을 남길 경우 긴급 메시지는 전송한 날짜 및 시각을 다른 날짜 및 시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내용도 미리 설정된 다른 내용으로 변환하여 표시하고,
    상기 비상 모드가 해제될 때까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짧아지는 시간 간격으로 해당 긴급 메시지 전송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비상 모드 해제를 위해 미리 설정된 다른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비상 모드 직전의 단말의 상태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단말에서의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중지하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단말의 표시부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표시되는 미리 설정된 메뉴 항목 버튼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한 사용자 지문 인식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에 대한 일정 횟수 이상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기울임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단말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기울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시계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의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단말이, 비상 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로 전환하고, 무음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백그라운드 상태로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및 메시지 내용을 포함하는 긴급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단말별 긴급 메시지 수신 단말의 식별 정보 중에서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의 식별 정보와 관련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로 상기 긴급 메시지를 각각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단말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긴급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로 통화 연결이 시도될 때, 상기 통화 연결에 대해 자동으로 착신 전환하고, 상기 단말의 화면 꺼짐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다른 단말과의 통화 연결 중, 상기 다른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통화음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단말에서 수집되는 발신 통화음 및 상기 단말을 통해 획득되는 단말 주변의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 확인 기능의 온오프 상태에 무관하게, GPS 수신기를 제어하여 백그라운드 상태로 해당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메시지 내용 등을 포함하는 상기 긴급 메시지를 상기 다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 시, 상기 단말에 전송 기록이 남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전송 기록을 남길 경우 긴급 메시지는 전송한 날짜 및 시각을 다른 날짜 및 시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긴급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내용도 미리 설정된 다른 내용으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비상 모드가 해제될 때까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짧아지는 시간 간격으로 해당 긴급 메시지 전송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가 비상 모드인 상태에서, 비상 모드 해제를 위해 미리 설정된 다른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를 비상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고, 비상 모드 직전의 단말의 상태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단말에서의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비상 모드가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에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중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단말의 표시부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표시되는 미리 설정된 메뉴 항목 버튼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한 사용자 지문 인식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에 대한 일정 횟수 이상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기울임이 감지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단말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의 기울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이나 대각선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 이상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시계 방향으로의 일정 횟수의 이상의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한 터치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91606A 2019-07-29 2019-07-29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29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06A KR102229101B1 (ko) 2019-07-29 2019-07-29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606A KR102229101B1 (ko) 2019-07-29 2019-07-29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866A KR20210013866A (ko) 2021-02-08
KR102229101B1 true KR102229101B1 (ko) 2021-03-17

Family

ID=7456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606A KR102229101B1 (ko) 2019-07-29 2019-07-29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1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807B1 (ko) * 2017-08-21 2018-09-10 (주) 지니테크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894B1 (ko) 2003-11-07 2006-06-30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83027A (ko) * 2010-01-13 2011-07-20 주식회사 에스원 모바일 단말의 시간 설정을 통한 자가 호출 및 긴급 신고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486402B1 (ko) * 2013-04-17 2015-01-28 이환규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KR20140019260A (ko) * 2013-12-17 2014-02-14 장형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개인대상범죄의 예방 및 대응 방법과 치안당국과의 정보공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807B1 (ko) * 2017-08-21 2018-09-10 (주) 지니테크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866A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1780B1 (e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59127B1 (ko) 전자 장치 및 정보 제공방법
EP3719623A1 (en) Application icon display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760165B2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input operation receiving method for switching input methods
CN108089891B (zh) 一种应用程序启动方法、移动终端
KR102293422B1 (ko)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09542279B (zh) 一种终端设备控制方法及终端设备
US111942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larm clock
US2015031274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video call service
CN107957843B (zh) 一种控制方法和移动终端
CN109062634B (zh) 一种应用启动方法及移动终端
CN108712555B (zh) 一种发送报警信息的方法及装置
CN110673783A (zh) 一种触控方法与电子设备
CN110971510A (zh) 一种消息的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8551525B (zh) 一种移动轨迹的状态确定方法和移动终端
CN108009031B (zh) 一种应用程序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8063869B (zh) 一种安全预警方法、移动终端
US201700756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pplication and smart device using the same
EP3001652B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6488168B (zh) 电子终端中采集的画面的角度切换方法及装置
KR102229101B1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41377A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60072637A (ko) 착용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CN109164951B (zh) 移动终端操作方法及移动终端
CN109068276B (zh) 一种消息转换方法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