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257B1 -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257B1
KR102228257B1 KR1020200073450A KR20200073450A KR102228257B1 KR 102228257 B1 KR102228257 B1 KR 102228257B1 KR 1020200073450 A KR1020200073450 A KR 1020200073450A KR 20200073450 A KR20200073450 A KR 20200073450A KR 102228257 B1 KR102228257 B1 KR 102228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turmeric
cit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유안
김수민
김청룡
이은희
문규리
Original Assignee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200073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을 함유하여 단일 추출물 대비 NO 생성 및 염증매개인자인 TNF-α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와 P. acnes에 대한 항균효과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or anti-acne comprising extract of Immature Citrus Fruit, Curcuma longa and citrus blossom honey}
본 발명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상처나 질병에 반응하는 인체의 면역 반응으로,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자유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 인자를 활성화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혈관 활성 폴리펩타이드인 키닌(Kinin), 플라스민(Plasmin) 또는 보체 (Complement) 등이 혈관 확장과 수축 및 주화성(Chemotaxis) 작용을 하고, 그 외에 인터루킨-6(IL-6) 등과 같은 림포카인과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등이 염증 반응을 담당한다. 아라키돈산은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혹은 리포옥시게나아제(Lipooxygenase)의 2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또는 류코트리엔(Lukotriene)들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
한편,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또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또는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등이 있다. 또한 알란토인, 아즈엔 또는 하이드로코티손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 물질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염증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여드름(심상성 좌창:Acne vulgaris)은 모낭 및 피지선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여드름 발생원인은 크게 피지분비의 증가, 모낭상피의 이상 과각질화, 및 혐기성 피부 상재균인 프로피오니 박테리움 아크네의 증식 등이 원인이라할 수 있겠으나, 이 외에도 호르몬의 불균형, 스트레스, 치우친 식생활, 몸 상태의 불량 등 신체나 정신 상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드름의 발생원인은 매우 복잡하다.
종래에 여드름 치료를 위하여 에리스로마이신, 벤조일퍼록사이드 등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여드름 균을 억제하거나, 트리클로산, 살리실산 등을 이용하여 여드름 균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피부 정상균총을 파괴하고, 항생제 내성균을 증식키며, 여드름의 주원인 중 하나인 과도한 피지분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근본적인 여드름 치료방법으로서는 한계가 있다.
풋귤은「감귤(Citurus unshiu S.)의 기능성 성분을 이용할 목적으로 농약 안전사용을 준수하여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정한 날까지(2018년은 8월15일부터 9월15일까지) 출하되는 노지감귤」을 일컫는 말이다. 제주특별자치도 감귤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제2조). 즉, 노지감귤 미숙과를 말하는 것으로 2015년까지는 '청귤' 이라고 불리었는데, 제주 재래 감귤 품종 중 '청귤'과 혼동되어 현재는 '풋귤'이라고 불린다. 최근 기관들의 각종 실험으로 풋귤이 염증 억제를 돕고 피부 보습력을 높인다는 효능이 밝혀졌다. 풋귤의 기능성 성분으로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풋귤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껍질에서 19.59g/10g, 과육에서 4.01g/10g으로, 1월 중순 수확한 완숙과의 껍질 8.34g/10g, 과육 2.1g/10g보다 껍질에서 2.3배, 과육에서 1.9배 더 높다.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나리루틴(narirutin)과 헤스페리딘(hesperidin) 함량은 풋귤에서 348pm, 326pm으로 완숙과의 9pm과 158pm보다 높고, 특히, 폴리메톡시 플라보노이드인 노빌레틴과 탄저레틴 함량이 풋귤에서는 28pm, 9pm으로 완숙과의 7pm, 1.5pm보다 4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울금(Curcuma longa L.)은 생강과 Zingiberaceae의 근경으로 phenol류 및 그 배당체, monoterpene 배당체, tannin, 기타 sucrose 등의 성분으로 항염증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항균작용, 중추억제, 위액분비억제, 진경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한방에서 울금은 혈액순환을 돕는 약재 중 하나로 사용되었으며, 혈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기를 잘 통하게 하는 효능이 있어 간과 담에 기가 막힌 증상을 치료하고 혈분에 들어가 혈분의 열을 내리고 어혈을 풀어주는 역할까지 하기 때문에 혈중의 기약이라고 알려져 있다. 울금의 주성분으로는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유도체와 정유가 보고되어 있으며,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유도체로는 디아릴헵탄(diarylheptane)인 커큐민(curcumin)과 관련 유도체, 커큐민(curcumin)의 C9 chain 유도체(curcumins I-III)등이 보고되어 있고, 정유로는 세스쿼터핀(sesquiterpene) 관련 유도체로 튜메론(Turmerone), 컬론(curlone), 커큐멘(curcumene)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꿀은 꿀벌(Apis mellifera L.)이 식물체의 꽃 등에서 채집한 물 질을 벌집에 옮겨 축적하여 생산하는 자연 식품으로, 꿀은 종류에 따라 특징적인 색, 맛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각각 다른 종류의 화분과 지리적 차이로 인한 환경조건에 의해 기인된다. 꿀은 산화방지능, 항균, 미백, 화상치료, 항염증 효과 등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으며, 최근에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꿀 분획물의 산화방지능과 항균활성이 화종 및 지역에 따라 다르다고 보고되었다(Baek 등, 2015; Lee와 Lee, 2016). 이러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산 꿀 분획물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감귤꽃꿀은 제주 감귤농가 근처의 양봉장에서 채취한 꿀을 말한다. 감귤꽃은 1년에 오직 2주만 피는 하얀 꽃이며 이 시기에 채취한 꿀을 감귤꽃꿀이라고 한다. 꿀에는 페놀산(phenolic acid),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포도당 산화효소(glucose oxidase), 카탈 레이스(catalase), 유기산(organic acids), 아미노산(amino acids) 등 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9-00011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풋귤, 울금 또는 감귤꽃꿀 추출물은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풋귤, 울금 또는 감귤꽃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등의 추출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조성물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을 함유하여 단일 추출물 대비 NO 생성 및 염증매개인자인 TNF-α 발현을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와 P. acnes에 대한 항균효과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풋귤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울금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감귤꽃꿀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항염증 및 항여드름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특정 조성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이들 성분의 일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다른 조성비로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항염증 및 항여드름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실험예 1 내지 3 참조).
본 발명의 풋귤은「감귤(Citurus unshiu S.)의 기능성 성분을 이용할 목적으로 농약 안전사용을 준수하여 제주특별자치도지사가 정한 노지감귤」을 일컫는 말이다.
본 발명의 울금(Curcuma longa Radix)은 생강과의 식물로 일반적으로 커큐마(Curcuma longa)의 덩이뿌리를 말한다. 중국 남부와 인도, 오키나와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지역에서 자생하거나 재배되며 우리나라의 중남부지역에서도 재배된다.
본 발명의 감귤꽃꿀은 제주 감귤농가 근처의 양봉장에서 채취한 꿀을 말한다. 감귤꽃은 1년에 오직 2주만 피는 하얀 꽃이며 이 시기에 채취한 꿀을 감귤꽃꿀이라고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풋귤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 울금 추출물 100 중량부 및 감귤꽃꿀 추출물 10-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풋귤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 울금 추출물 100 중량부 및 감귤꽃꿀 추출물 20-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추출물'이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유효성분 원료로부터 추출물을 분리 및 수득한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준비된 유효성분 원료를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등의 추출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여과, 농축후 동결 건조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세럼, 화장수,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겔, 크림,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스프레이 등의 제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이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99 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 및 건강기능성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 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제조예 1> 풋귤 추출물의 준비
도 1을 참조하여 풋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감귤(Citurus unshiu S.) 미성숙 열매 풋귤 동결건조분말 100 g에 추출용매로 증류수 900 mL을 넣고 shaking water bath(KMC-1205SW1, Vision, Daejeon, Korea)에서 60℃, 9~11시간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여과액을 rotary evaporator(DL10-3000, Greatwall, 20L)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풋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을 멸균 처리(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제조예 2> 울금 추출물의 준비
도 2를 참조하여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울금 건조 절편 50 g을 40% Butylene glycol 용액 950ml로 실온에서 3일간 침지하여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여과액을 rotary evaporator(DL10-3000, Greatwall, 20L)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을 멸균 처리(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제조예 3> 감귤꽃꿀 추출물의 준비
도 3을 참조하여 감귤꽃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선별한 감귤꽃꿀 100 g 을 30 %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용액에 4℃ 7일간 침지하여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mesh)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여과액을 rotary evaporator(DL10-3000, Greatwall, 20L)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감귤꽃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을 멸균 처리(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의 혼합용액의 제조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용액을 하기 표 1 및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이 때,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고, 추출물을 멸균 처리(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중량비
풋귤 추출물 울금 추출물 감귤꽃꿀 추출물
실시예 1 1 1 1
비교예 1 1 - -
비교예 2 - 1 -
비교예 3 - - 1
비교예 4 1 1 -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용액의 최적배합비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이 때,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하고, 추출물을 멸균 처리(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보관하였다.
중량비
풋귤 추출물 울금 추출물 감귤꽃꿀 추출물
실시예 2-1 1 1 0.1
실시예 2-2 1 1 0.2
실시예 2-3 1 1 0.3
실시예 2-4 1 1 0.4
실시예 2-5 1 1 0.5
실시예 2-6 1 1 0.6
실시예 2-7 1 1 0.7
실시예 2-8 1 1 0.8
실시예 2-9 1 1 0.9
실시예 2-10 1 1 1.0
<실험예 1> NO 생성 억제효과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NO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2 X 106 cells/dish density로 60mm 플레이트(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다. 염증반응을 유발하기 위해 1㎍/㎖ 농도의 LPS(lipopolysaccharide)와 시험물질을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NO assay를 통한 항염 활성 평가는 griess A, B reagent를 이용한 방법으로, 1% sulfanilamide, 0.1% N-(1-napht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reagent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서 실시예 1, 실시예 2-1 내지 2-10 및 비교예 1 내지 4를 처리 후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된 배지의 상등액을 griess (A+B) reagent와 1:1 비율로 각각 50㎕씩 혼합하여 10분간 상온에서 보관한 후 540nm에서 ELISA 측정을 통해 NO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NO 생성 억제율 (%)은 대조군(100 %)을 기준으로 NO 생성률 (%)을 100 % 에서 뺀 값을 말한다.
구분 NO 생성 억제율 (%)
실시예 1 48.6
비교예 1 18.3
비교예 2 16.6
비교예 3 23.0
비교예 4 32.9
실시예 2-1 48.9
실시예 2-2 66.5
실시예 2-3 68.1
실시예 2-4 66.8
실시예 2-5 49.1
실시예 2-6 49.4
실시예 2-7 50.1
실시예 2-8 49.0
실시예 2-9 48.9
실시예 2-10 48.6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1 내지 2-10의 샘플은 모두 비교예 1 내지 4 대비 NO 생성 억제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NO 생성 억제율을 기준으로 콜비식(Colby's equation) 예측치를 계산하면, 48.33%가 나오는데, 실시예 2-1 내지 2-10의 실측치는 모두 콜비식 예측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2-2 내지 2-4의 샘플은 NO 생성 억제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2>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발현 억제효과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의 발현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12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뒤 12시간 동안 기아상태를 유지시킨 후, LPS 10ng/mL와 실시예 1, 실시예 2-1 내지 2-10 및 비교예 1 내지 4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여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통해 TNF-α의 발현율을 확인하였다. TNF-α 발현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었고, TNF-α 발현 억제율은 100 % 에서 TNF-α 발현율을 뺀 값을 말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TNF-α 발현율(%)=(시료 TNF-α 발현양/대조군 TNF-α 발현양)×100
구분 TNF-α 발현 억제율(%)
대조군 0.0
실시예 1 43.0
비교예 1 17.1
비교예 2 8.6
비교예 3 24.9
비교예 4 24.0
실시예 2-1 43.4
실시예 2-2 55.0
실시예 2-3 56.1
실시예 2-4 55.7
실시예 2-5 43.6
실시예 2-6 44.2
실시예 2-7 45.6
실시예 2-8 44.1
실시예 2-9 43.6
실시예 2-10 43.0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1 내지 2-10의 샘플은 모두 비교예 1 내지 4 대비 TNF-α 발현 억제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3 및 비교예 4의 TNF-α 발현 억제율을 기준으로 콜비식(Colby's equation) 예측치를 계산하면, 42.92%가 나오는데, 실시예 2-1 내지 2-10의 실측치는 모두 콜비식 예측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2-2 내지 2-4의 샘플은 TNF-α 발현 억제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3> P. acnes 항균력 측정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의 항여드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2-10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항균력 측정은 고체 배양 희석법(Agar Serial Dilution Method)을 이용하여 최소 저해 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였다. 배양배지는 Reinforced clostridial 배지(Merck,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먼저 72시간 동안 배양한 균주를 1.5x108 cfu/ml로 희석하고 각 well에 접종한 후 시료로 실시예 1 내지 2-10 및 비교예 1 내지 4를 각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균 희석액 및 시료를 접종한 well plate를 혐기조건, 37℃ incubator에서 3일간 배양 후 균의 생육이 나타나지 않는 최소 농도를 최소저해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로 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최소저해농도는 값이 작을수록 항균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 최소저해농도(MIC,μg/mL)
실시예 1 1.51
비교예 1 4.62
비교예 2 5.25
비교예 3 8.51
비교예 4 3.37
실시예 2-1 1.46
실시예 2-2 0.75
실시예 2-3 0.73
실시예 2-4 0.77
실시예 2-5 1.43
실시예 2-6 1.55
실시예 2-7 1.57
실시예 2-8 1.58
실시예 2-9 1.57
실시예 2-10 1.59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풋귤 추출물, 울금 추출물, 꿀 추출물의 단일 조성보다 복합 추출물 처리시 여드름 균주에 대한 강한 향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1 내지 2-10의 샘플은 모두 비교예 1 내지 4 대비 P. acnes에 대한 향균력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2-2 내지 2-4의 샘플은 P. acnes에 대한 향균력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화장료의 제제예
본 발명에 따른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화장료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유연 화장수의 제조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중량부
알란토인 0.10 중량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중량부
시트르산 0.01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 0.02 중량부
글리세레스-26 1.00 중량부
알부틴 2.00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중량부
에탄올 30.0 중량부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2> 영양 크림의 제조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0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D-판테놀 0.10 중량부
식물 추출물 3.20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0 중량부
PEG-40 스테아레이트 1.20 중량부
스테아르산 2.0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50 중량부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0 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0 중량부
세테아릴알코올 3.00 중량부
미네랄오일 4.00 중량부
스쿠알란 3.80 중량부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0 중량부
식물성오일 1.80 중량부
디메치콘 0.40 중량부
디포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건강식품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건강식품으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식품 제조예 1>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 0.01-1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건강식품 제조예 2>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4 중량부, 율무 19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 (2 중량부),
영지(1.5 중량부), 및
지황(1.5 중량부).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강기능식품 제조예 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성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 제조예 2> 건강 기능 음료의 제조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 100 mg
구연산 100 mg
올리고당 100 mg
매실농축액 2 mg
타우린 100 m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5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풋귤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 울금 추출물 100 중량부 및 감귤꽃꿀 추출물 20-40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세럼, 화장수, 에센스, 페이스트, 마스크팩, 패치, 겔, 크림,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수분크림, 마사지크림,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풋귤, 울금 또는 감귤꽃꿀 추출물은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또는 압착법 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인,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풋귤, 울금 또는 감귤꽃꿀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인,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7. 풋귤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 울금 추출물 100 중량부 및 감귤꽃꿀 추출물 20-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풋귤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 울금 추출물 100 중량부 및 감귤꽃꿀 추출물 20-4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200073450A 2020-06-17 2020-06-17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8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50A KR102228257B1 (ko) 2020-06-17 2020-06-17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50A KR102228257B1 (ko) 2020-06-17 2020-06-17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257B1 true KR102228257B1 (ko) 2021-03-16

Family

ID=7522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50A KR102228257B1 (ko) 2020-06-17 2020-06-17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214A (ko) * 2021-06-15 2022-12-23 전라남도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1095B1 (ko) * 2021-09-02 2022-12-27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홍해삼 및 피쉬 콜라겐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이너뷰티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478A (ko) * 2007-06-25 2008-12-3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활성을 갖는 미성숙 감귤 정유추출물
KR20170051035A (ko) * 2015-11-02 2017-05-11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울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1163A (ko) 2017-06-26 2019-01-0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울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478A (ko) * 2007-06-25 2008-12-3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활성을 갖는 미성숙 감귤 정유추출물
KR20170051035A (ko) * 2015-11-02 2017-05-11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울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1163A (ko) 2017-06-26 2019-01-0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울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세럼추천] 제주온 풋귤세럼, [online], (2019.06.22. 공개)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214A (ko) * 2021-06-15 2022-12-23 전라남도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1369B1 (ko) * 2021-06-15 2023-11-14 전라남도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1095B1 (ko) * 2021-09-02 2022-12-27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홍해삼 및 피쉬 콜라겐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이너뷰티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920B1 (ko) 바위손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4234B1 (ko) 팥꽃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US2013012212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hardy kiwi for preventing or treating baldness disorders or seborrheic skin disorders
EP2520304A1 (en) Ceramide production enhancer and moisturizing agent
KR100919852B1 (ko)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25224B1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조성물
KR20240004199A (ko) 올벚나무 추출물,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37136B1 (ko)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2070789B1 (ko) 곰보배추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54747A (ko)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80098736A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42461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7948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004529B2 (ja) ヒスタミン遊離抑制剤
KR20180017974A (ko) 복합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8737A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80060611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133090A (ko)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80927B1 (ko) 모감주나무의 꽃(난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20160081211A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