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432B1 - Managing apparatus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Google Patents

Managing apparatus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432B1
KR102227432B1 KR1020190095035A KR20190095035A KR102227432B1 KR 102227432 B1 KR102227432 B1 KR 102227432B1 KR 1020190095035 A KR1020190095035 A KR 1020190095035A KR 20190095035 A KR20190095035 A KR 20190095035A KR 102227432 B1 KR102227432 B1 KR 102227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equipment
unit
equipment
battery
uninterruptib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6805A (en
Inventor
육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름테크
Priority to KR102019009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432B1/en
Publication of KR20210016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8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4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의 상태 또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 중 동작 오류가 발생한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자장비 식별자와 함께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장비 식별자를 구비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개별적으로 원격에서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tely monitors the state of the battery provided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or the operation state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It can monitor and transmit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electronic equipment in which an operation error has occurred among a number of electronic equipment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or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electronic equipment identifier,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identifier from the management server or user terminal. It relates to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individually remotely maintaining an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identifier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by receiving a control command provided therein.

Description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MANAGING APPARATUS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MANAGING APPARATUS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의 상태 또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 중 동작 오류가 발생한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자장비 식별자와 함께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장비 식별자를 구비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개별적으로 원격에서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motely monitors the state of the battery provided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or the operation state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It can monitor and transmit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of electronic equipment in which an operation error has occurred among a number of electronic equipment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to the management server or user terminal together with the electronic equipment identifier,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identifier from the management server or user terminal. It relates to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individually remotely maintaining an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an electronic device identifier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by receiving a control command provided therein.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전자장비로 공급되는 전원을 모니터링하면서 전원이 갑작스럽게 전자장비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 작동되어 전원을 전자장치에 공급한다.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monitors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es when power is suddenly not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용 전원을 다수의 전자장비로 공급하는 동시에 배터리를 충전하며, 정전 등의 이유로 상용 전원을 다수의 전자장비로 공급하기 곤란한 경우 배터리 전원을 다수의 전자장비로 공급하도록 동작한다.When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operates normally, it supplies commercial power to a number of electronic equipment and charges the battery at the same time.When it is difficult to supply commercial power to a number of electronic equipment due to a power outage, etc., it supplies battery power to a number of electronic equipment Work to do it.

이를 위해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다수 개의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는 충전된 상태에서, 언제든지 작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To this end,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ies, and the batteri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need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y can be operated at any time while being charged.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반복 제어하며 정전시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전자장비로 공급하는데, 배터리는 열화 등의 이유로 인하여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배터리 자체 또는 배터리 보호 회로의 결함으로 인하여 배터리 화재가 일어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가 소규모 시설 또는 관리자가 근접하여 관리하기 곤란한 장소에 배치되는 경우,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의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곤란하며 이로 인하여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의 배터리 화재가 일어나는 경우 재산 또는 인명의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repeatedly controls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and supplies the power charged to the battery to the electronic equipment in case of a power outage.The battery may not operate normally due to deterioration, etc., and the battery itself or the battery protection circuit In some cases, a battery fire may occur due to a defect in the battery. If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is deployed in a small facility or in a place that is difficult to manage in close proximity to the administrator, it is difficult to monitor the battery status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in real time.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cause damage.

한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무정전 전원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로 전원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전자장비가 소규모 시설 또는 관리자가 근접하여 관리하기 곤란한 장소에 배치되는 경우,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Meanwhile,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provides power to a number of electronic equipment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f such electronic equipment is placed in a small facility or a place where it is difficult for an administrator to manage it, it is difficult to monit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It has a proble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8397호 (2018.01.08.)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18397 (2018.01.08.)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의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mention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remotely monitoring the state of a battery provided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It is to do.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받는 다수의 전자장비를 전자장비 식별자로 구분하여 인식하며, 전자장비 식별자에 기초하여 전자장비별로 동작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to receive power by dividing them into electronic device identifiers, and to remotely monitor the operation state of each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er. It is to provide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동작 상태 또는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알리기 위한 리포트를 관리 서버 또는 설정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여 리포트에 기초하여 배터리 또는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원격에서 확인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a report for notifying the battery operation status or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ctronic equipment to the management server or a set user terminal to remotely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the battery or electronic equipment based on the report. It is to provide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 중 동작 오류가 발생한 전자장비를 개별적으로 원격에서 초기화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individually remotely initializing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n operation error has occurred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별로 초기화 설정값이 기등록 저장되어 있으며 다수의 전자장비 중 동작 오류가 발생한 전자장비를 기등록한 초기화 설정값에 따라 초기화하여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하며 원격에서 초기화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register and store an initialization setting value for each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and initialize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an operation error has occurred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the previously registered initialization setting value. It is to provide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that can be initialized remotely while maint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electronic equipment as befo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의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제1 통신 모듈이 통신 불능인 상태에서도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배터리 또는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of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management server or a user terminal, so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is performed even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s incapable of communication. It is to provide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n operation state of a battery or electronic device using a modu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가 설치된 장소 또는 근접 장소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며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에 기초하여 다수의 전자장비 중 하나인 공기청정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a place where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is installed or a nearby plac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an air purifier, which is one of a number of electronic equipment, based on the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It is to provide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배터리셀로 이루어진 배터리부와,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로 전자장비별 정격 전원을 공급하며 정전시 배터리부의 충전 전원을 전자장비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배터리부의 온도나 배터리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여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관리부와, 배터리부의 동작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 또는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rated power for each electronic device to a battery unit composed of at least one battery cell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by receiving commercial power.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charging power from the battery unit to electronic equipment, a battery management unit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unit or smoke generated from the battery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battery, and a management server or a set user who manage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battery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연결된 전자장비의 장비 식별자를 수신하여 연결된 전자장비를 식별하며 식별한 전자장비별로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비 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정보 제공부는 장비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장비별 동작 상태 정보를 장비 식별자와 함께 관리 서버 또는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equipment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the equipment identifier of the connected electronic equipment, identifies the connected electronic equipment, and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each identified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from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It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the provide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or each electronic device together with the device identifier to a management server or a set user terminal.

여기서 장비 관리부는 전자장비별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 명령에 구비된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device management unit receives a control command from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or each electronic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er provided in th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

여기서 제어 명령은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초기화하는 것이며, 장비 관리부는 제어 명령에 따라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초기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trol command is to initializ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and the equipment manag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is initializ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여기서 장비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장비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초기화 설정값 정보를 검색하며,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로 인가되는 전원을 순차적으로 온/오프 제어한 후, 검색한 초기화 설정값 정보로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초기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searches the initialization setting value information mapped to the equipment identifier stored in the database, sequentially turns on/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and then searches the initial setting.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er is initialized and controlled with value information.

여기서 장비 관리부는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의 초기화 후, 초기화한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초기화한 전자장비가 계속해서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경우 설정된 횟수 이내에서 반복하여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초기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equipment manager monitor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initialized electronic equipment after initialization of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and if the initialized electronic equipment continues to operate abnormally,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is repeated within a set number of tim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quipment is initialized and controlled.

여기서 정보 제공부는 전자장비 또는 배터리의 동작 상태 정보를 구비하는 리포트를 생성하며, 정보 제공부는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주기적으로 리포트를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generates a repor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ctronic equipment or battery,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transmits and controls the report to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periodically or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do.

여기서 다수의 전자장비 중 1개는 공기청정기이며, 장비 관리부는 미세먼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미세먼지 측정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청정기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is an air purifier, and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when a measurement value of fine dust received from the fine dust sensor exceeds a threshold value.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데, 정보 제공부는 제1 통신 모듈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며 제1 통신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정보 제공부는 제1 통신 모듈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management server or a user terminal,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normal opera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perates normally, communicates with the management server or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nage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perates abnormal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server or a user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effect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의 상태 또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다.First,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tely monitor the state of a battery provided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or the operation state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 중 동작 오류가 발생한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전자장비 식별자와 함께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며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자장비 식별자를 구비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개별적으로 원격에서 초기화할 수 있다. Second,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an operation error has occurred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together with an electronic device identifier, to a management server or a user terminal. By receiving a control command including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er from the terminal, the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device identifier can be individually initialized remotely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별로 초기화 설정값을 기등록 저장함으로써, 전자장비의 초기화시 초기화 설정값에 따라 초기화함으로써,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하며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다. Third,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registers and stores the initialization setting valu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thereby initializing the electronic equipment according to the initialization setting values when the electronic equipment is initialized,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It remains the same as before and can be managed remotely.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의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제1 통신 모듈이 통신 불능인 상태에서도 제2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배터리 또는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Fourth,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of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which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management server or a user terminal, even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is unable to communicate. Using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battery or electronic device may be safely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장비 관리부에서 장비 식별자에 기초하여 전자장비를 개별적으로 관리 보수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와 배터리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quipmen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dividually managing and maintaining electronic equipment based on an equipment identifier in an equipment manager.
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attery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mperature sensor unit disposed in the battery.
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human meaning or an excessively reduced meaning.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of the elements or some steps are include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may not b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ily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네트워크(30)에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 사용자 단말기(50) 및 관리 서버(70)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5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와 관리 서버(7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Looking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1,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100, a user terminal 50, and a management server 70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30. Here, the network 30 is a variety of wired wir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50 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70. Alternatively, a wireless network can be used.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장비(10)가 접속되어 있으며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전자장비(1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한다.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자장비(1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배터리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한 전자장비(10) 또는 배터리의 동작 상태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50) 또는 관리 서버(70)로 송신한다.Various types of electronic equipment 10 are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commercial power and supplies power to the electronic equipment 10 or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Charges a battery (not shown) provided in the.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10 or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the battery, and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10 or the battery through the network 30. ) Or to the management server 70.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자장비(10)로 공급되는 전원이 정전 등의 이유로 차단되는 경우,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전자장비(10)로 제공하며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한 정보를 전자장비(10) 또는 배터리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50) 또는 관리 서버(70)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는 배터리의 충전 전원을 전자장비(10)로 제공하는 경우 배터티의 전원 소비를 줄이기 위해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한 정보만을 사용자 단말기(50) 또는 관리 서버(70)로 송신하고 전자장비(10) 또는 배터리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는 송신 중단할 수 있다.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provides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to the electronic device 10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device 10 is cut off due to a power outage or the like,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to the electronic device ( 10) Alternatively,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50 or the management server 70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battery. Preferably,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provides only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rge of the battery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when providing the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to the electronic device 10 by the user terminal 50 or the management server 70 ), and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or the battery may be stopped.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50)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를 관리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 사용자 단말기(50)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 PDA 등 다양한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50 is a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who manages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user terminal 5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Various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PDAs capable of outputting received data or inputting user commands may be used.

여기서 관리 서버(70)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관리 서버(70)는 무정전 전원 관리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며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Here, the management server 70 is a server that manages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7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server 100 or receives data received from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It saves or prints, and operates so that user commands can be input.

한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전자장비(10) 또는 배터리의 동작 상태 정보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50) 또는 관리 서버(70)로부터 전자장비(10) 또는 배터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는 제어 명령에 구비된 장비 식별자에 기초하여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100)에 접속된 다수의 전자장비 중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개별적으로 초기화 설정하여 전자장비의 동작 오류를 원격에서 유지 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receive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10 or the battery from the user terminal 50 or the management server 70 in response to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0 or the battery. Preferably,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individually initializes an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device identifier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00 based on the device identifier provided in the control command. By setting, operation errors of electronic equipment can be remotely maintain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전자장비 또는 배터리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한 전자장비 또는 배터리의 동작 상태에 대한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상태 리포트를 송신한다(S10). 여기서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상태 리포트를 송신하거나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상태 리포트를 송신한다.Looking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2,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monitors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equipment or battery, generates a status report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nitored electronic equipment or battery, and sends the status report to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It transmits (S10). Here,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transmits a status report to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or periodically transmits a status report to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배터리 또는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중 배터리 또는 전자장비의 동작 오류가 감지되는 경우, 배터리 또는 전자장비의 동작 오류를 경고하기 위한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S30).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generates an alarm message to warn of the operation error of the battery or electronic equipment when an operation error of the battery or electronic equipment is detected while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battery or electronic equipment in real time, and generates an alarm message. It transmits to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S30).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의 관리자는 상태 리포트 또는 알람 메시지에 기초하여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접속된 다수의 전자장비 중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전자장비를 보수하거나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며 생성한 제어 명령을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로 송신한다(S50). The administrator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generates and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repairing abnormally operating electronic equipment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based on a status report or an alarm message. A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S50).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을 중단 제어하거나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전자장비를 초기화 설정하여, 초기화 설정 이후 해당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 또는 제어 명령에 따른 배터리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는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S70).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stops charging of the battery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r initializes and sets an abnormally operating electronic device. A status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status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S7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3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원 공급부(110)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접속되어 있는 다수의 전자장비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부(130)를 충전한다. 전원 공급부(110)는 상용전원의 인가 상태를 판단하는데, 상용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는 경우 인가된 상용전원을 전자장비로 공급하며 상용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부(130)에 충전된 전원을 전자장비로 공급한다. Looking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3, the power supply unit 110 receives commercial power and supplies power to a plurality of connected electronic equipment or charges the battery unit 130. The power supply unit 110 determines the state of application of commercial power. When the commercial power is normally applied, the applied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equipment. When the commercial power is not normally applied, the power charged to the battery unit 130 is supplied. It is supplied by electronic equipment.

바람직하게, 전원 공급부(110)는 다수의 전자장비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스위치가 온된 상태에서 전자장비로 전원이 공급되며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전자장비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여기서 스위치는 FET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ower supply unit 110 includes a switch (not shown) that individually supplies or cuts off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When the switch is on,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when the switch i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nic equipment is cut off. Here, the swit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ET switch.

여기서 배터리부(130)는 다수의 배터리 셀을 구비하는데, 배터리 관리부(170)는 각 배터리 셀의 충전량을 모니터링하거나 배터리 셀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배터리 셀의 충전량 정보 또는 배터리 셀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정보 제공부(180)로 제공한다. 배터리 셀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배터리 관리부(170)는 배터리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 또는 배터리 셀 주변에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미도시)를 구비한다. 배터리 관리부(170)는 온도 센서 또는 연기 센서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온도가 설정한 온도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알람 신호를 정보 제공부(180)로 제공한다. Here, the battery unit 130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70 monitors the charge amount of each battery cell or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battery cell, and monitors the charge amount information or battery cell of the battery cell in real time. Provide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In order to monit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battery cell,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7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or a smoke sensor (not shown) that senses smoke around the battery cell.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70 generates an alarm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alarm signal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exceeds the set temperature threshold or that a fire has occurred based on a temperature sensor or a smoke sensor. Provided with.

바람직하게, 온도 센서는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어 배터리 셀 자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n order to accurate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itself.

한편 장비 관리부(150)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접속된 다수의 전자장비를 장비 식별자로 구분하여 전자장비별로 개별적으로 관리하는데, 장비 관리부(150)는 접속된 전자장비로부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를 정보 제공부(180)로 제공한다. 장비 관리부(150)는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비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알람 신호를 정보 제공부(180)로 제공한다. 여기서 장비 관리부(150)는 전자장비의 기준 동작 상태 정보와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전자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또는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150 separates a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by equipment identifiers and individually manages each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150 receives and receive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rom the connected electronic equipment. On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device operates abnormally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150 generates an alarm signal and provides the generated alarm signal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Here, the equipment manager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operates normally or abnormally by comparing the referenc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with the receive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정보 제공부(180)는 배터리 관리부(170)로부터 수신한 배터리 충전량 정보, 배터리의 동작 상태 정보,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정보로부터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며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이 있는 경우 통신부(190)를 통해 생성한 상태 리포트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 상태 리포트와 별개로 정보 제공부(180)는 장비 관리부(150) 또는 배터리 관리부(170)로부터 알람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태 리포트에는 장비 식별자 또는 셀 식별자로 구분되어 배터리 셀별 충전량 정보, 배터리 셀별 동작 상태 정보, 전자장비별 동작 상태 정보가 구분되어 생성되며, 알람 메시지에는 알람 대상이 되는 전자장비의 장비 식별자 또는 배터리 셀의 셀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generates a status report from battery charge amount information, battery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electronic equipment received from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70, and periodically or upon reques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0. The generated status report is sent to the user terminal or management server. Separate from the status report, when receiving an alarm signal from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150 or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70,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may generate an alarm message and transmit it to a user terminal or a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The status report is divided into equipment identifiers or cell identifiers, and the charge amount information for each battery cell,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or each battery cell, and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or each electronic equipment are classified and generated.The alarm message contains the equipment identifier of the electronic equipment or the battery cell to be alarmed. A cell identifier may be included.

정보 제공부(180)는 알람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제어 명령을 장비 관리부(150) 또는 배터리 관리부(170)로 제공한다. 장비 관리부(150)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전자장비를 초기화시켜 전자장비를 보수하며, 배터리 관리부(170)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온도 임계값을 초과하여 온도가 상승한 배터리 셀의 충전을 중단시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추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terminal or a management server in response to an alarm message,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provides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to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150 or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70.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150 initializes the electronic equipment that operates abnormally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to repair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battery management unit 170 charges the battery cell whose temperature has risen by exceeding the temperature threshold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Can be stopped to prevent further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 중 일부는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청정기가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장비 관리부(150)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가 배치된 주변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센서를 더 구비하는데, 장비 관리부(150)는 미세먼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미세먼지 측정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기청정기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장비 관리부(150)는 미세먼지 센서를 통해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장소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경우 공기청정기를 통해 미세먼지 줄임으로써,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 또는 전자장비가 관리자가 접근하기 곤란한 장소 또는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미세먼지로 인하여 전자장비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som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may be an air purifier. When the air purifier is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150 further includes a fine dust sensor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surrounding area where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is disposed, and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15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urifier is operated and controlled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ne dust received from the fine dust sensor exceeds the set value. In this way,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150 reduces the fine dust through the air purifier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place where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is disposed through the fine dust sensor is high, so that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or electronic equipment can be accessed by the administrator. Even if it is placed in a difficult place or an area where a lot of fine dust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of electronic equipment due to fine dus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비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quipment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자장비 식별부(151)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에 전자장비가 접속되는 경우 전자장비로 장비 식별자를 요구하여 접속되는 전자장비를 식별하며 식별한 전자장비의 장비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부(153)에 등록한다.Referring to FIG. 4 in more detail, the electronic equipment identification unit 151 identifies the connected electronic equipment by requesting the equipment identifier as the electronic equipment when the electronic equipment is connected to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and the equipment of the identified electronic equipment. The identifier is registered in the database unit 153.

모니터링부(157)는 접속된 전자장비로부터 실시간으로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동작 상태 정보를 장비 식별자에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53)에 등록 저장한다. 여기서 각 전자장비는 동작 상태 정보와 함께 장비 식별자를 함께 모니터링부(157)로 제공함으로써, 모니터링부(157)는 동작 상태 정보를 장비 식별자에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53)에 등록 저장한다.The monitoring unit 157 receive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rom the connected electronic device in real time, maps the received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an equipment identifier, and registers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unit 153. Here, each electronic device provides the device identifier together with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unit 157, so that the monitoring unit 157 map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to the device identifier and registers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unit 153.

동작 제어부(159)는 데이터베이스부(153)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정보 제공부(180)로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동작 제어부(159)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전자장비를 개별적으로 유지 보수한다. The operation control unit 159 provide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equipment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53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8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Meanwhile, when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a user terminal or a management server, the operation control unit 159 individually maintains the electronic equipment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전자장비를 보수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 명령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장비의 장비 식별자를 추출하여 장비 식별자로부터 보수하고자 하는 전자장비를 판단하며, 판단한 전자장비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 후 다시 인가하도록 전원 공급부의 스위치를 제어한다. 전자장비의 전원을 차단했다가 다시 초기화하는 방식으로 전자장비의 동작 오류를 상당수 해결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가 소규모 시설이나 접근하기 곤란한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전자장비의 초기화만으로 용이하게 전자장비의 동작 오류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repairing electronic equipment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in more detail, the electronic equipment to be repaired is determined from the equipment identifier by extracting the equipment identifier of the electronic equipment provided in the control command,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determined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the switch of the power supply so that it is applied again after shutting off. Many electronic equipment operation errors can be solved by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equipment and then re-initializing it.In this way, if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is located in a small facility or in an area that is difficult to access, the initialization of electronic equipment that operates abnormally Only operation errors of electronic equipment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repaired.

바람직하게, 동작 제어부(159)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장비의 초기화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조건으로 또는 전자장비가 정상 동작시 동작 조건으로 초기화시킬 수 있는데, 초기화 설정부(155)는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조건에 해당하는 초기화 설정값을 장비 식별자에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53)에 등록 저장하거나 전자장비가 정상 동작시 동작 조건을 판단하여 정상 동작시 동작 조건에 대당하는 초기화 설정값을 장비 식별자에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53)에 등록 저장한다. 여기서 전자장비가 정상 동작시 동작 조건은 알람 신호가 생성하기 전 전자장비의 동작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59 may initialize the electronic equipment to an operation condition set by the user when initializing the electronic equipment or to an operation condition when the electronic equipment operates normally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and the initialization setting unit 155 is set by the user. The initial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condition is mapped to the equipment identifier and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53, or the operation condition is determined when the electronic equipment operates normally, and the initial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condition during normal operation is stored in the equipment identifier. It is mapped and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53. Here, when the electronic device operates normally, the operating condition is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efore generating an alarm signal.

동작 제어부(159)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초기화 설정값을 데이터베이스부(153)에서 검색 후 검색한 초기화 설정값으로 전자장비를 초기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조건 또는 이전 정상 동작시와 동일한 동작 조건으로 원격에서 보수 관리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 control comm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159 searches for an initialization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in the database unit 153 and initializes the electronic equipment with the searched initialization setting value. Maintenance can be managed remotely under the same operating conditions as during operation.

바람직하게, 동작 제어부(159)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 명령에 따라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초기화 후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판단하는데, 전자장비가 초기화 후에도 계속해서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설정된 횟수 이내에서 초기화를 반복 수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동작 제어부(159)는 설정된 횟수는 중 마지막 초기화시에는 기본 모드로 초기화 제어할 수 있다. Preferably, when receiving a control comm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159 initializes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onic equipment operates normally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equip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it continues to operate abnormally even after initialization, the initializ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within the set number of times. More preferabl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59 may initialize and control the set number of times to a basic mode at the time of the last initialization.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동작 제어부(159)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전자장비를 초기화하는데, 제1 초기화 후에도 전자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제2 초기화 및 제3 초기화까지 초기화를 설정된 횟수인 3번 반복할 수 있다. 제2 초기화 후 전자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3 초기화는 생략한다. 제2 초기화 후에도 전자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은 경우 마지막 제3 초기화시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초기화 설정값 또는 정상 동작시 초기화 설정값이 아닌 기본 모드에 해당하는 초기화 설정값으로 초기화 제어한다. 이와 같이 초기화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전자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보수하며, 마지막 초기화시에는 기본 모드로 초기화 제어하여 전자장비가 임시적으로 기본적인 동작만을 수행하도록 보수하고 이후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여 전자장비를 보다 완벽하게 보수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control unit 159 initializes the electronic equipment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f the electronic equipment does not operate normally even after the first initialization, the initialization is repeated three times,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the initialization is set until the second initialization and the third initialization. can do. If the electronic device operates normally after the second initialization, the third initialization is omitted. If the electronic device does not operate normally even after the second initialization, the initialization control is performed with the initial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basic mode rather than the initial setting value set by the user at the time of the last third initialization or the initialization setting value during normal operation.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initializa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equipment is repaired to operate normally.At the last initialization, the electronic equipment is initialized and controlled in the basic mode so that the electronic equipment temporarily performs only basic operations. Can be made to be repaired.

도 5는 장비 관리부에서 장비 식별자에 기초하여 전자장비를 개별적으로 관리 보수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individually managing and maintaining electronic equipment based on an equipment identifier in an equipment manager.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157)는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EQ1, EQ2, EQ3, EQ4)로부터 각각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데,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시 전자장비의 장비 식별자와 함께 수신한다. 모니터링부(157) 동작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 저장하는데, 장비 식별자로 구분하여 장비 식별자에 매핑하여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 저장한다.As shown in Figure 5 (a), the monitoring unit 157 receive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connected electronic equipment (EQ1, EQ2, EQ3, EQ4), respectively. It is received with the equipment identifier. The monitoring unit 157 registers and store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unit, which is classified by equipment identifiers and mapped to the equipment identifiers to register and stor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electronic equipment in the database unit.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작 제어부(159)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 명령에 구비된 장비 식별자에 기초하여 초기화하고자 하는 전자장비를 식별하며, 초기화하고자 하는 전자장비로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하고 초기화하고자 하는 전자장비에 매핑되어 있는 초기화 설정값을 검색하여 검색한 초기화 설정값으로 초기화한다. As shown in Fig. 5(b), when receiving a control comm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159 identifies the electronic equipment to be initialized based on the equipment identifier provided in the control command, and powers the electronic equipment to be initialized. It controls the on/off of the switch that supplies the power, searches for the initial setting value mapped to the electronic device to be initialized, and initializes it with the retrieved initial setting valu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attery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온도 센서부(171)는 배터리의 온도를 감지하며, 연기 센서부(173)는 배터리 주변에 존재하는 연기를 감지한다. 여기서 온도 센서부(171)와 연기 센서부(173)는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부(171), 연기 센서부(173) 이외에 다른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Referring to FIG. 6 in more detail,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71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and the smoke sensor unit 173 detects smoke existing around the battery. Here,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71 and the smoke sensor unit 173 are for detecting a fire occurring in the battery, and in order to detect a fire occurring in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71, In addition to the smoke sensor unit 173, other sensors may be used and this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태 판단부(175)는 배터리의 온도 정보, 배터리 주변에 존재하는 연기량 정보 및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를 정보 제공부로 제공한다. 한편, 상태 판단부(175)는 온도 센서부(171)로부터 수신한 배터리의 온도 정보 및 연기 감지부(173)로부터 수신한 배터리 주변의 연기량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태 판단부(175)는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정보 제공부로 제공한다.The state determination unit 175 provides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smoke existing around the battery, and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rge of the battery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On the other hand,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175 determin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 the battery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battery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71 and the smoke amount information around the battery received from the smoke detection unit 173 do. The status determination unit 175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a fire occurs in the battery and provides it to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본 발명에서 배터리는 다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센서부(171)는 배터리 셀에 각각 배치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온도 센서부(171)는 배터리 셀 자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onsists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Preferabl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7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each of the battery cells, and more preferably, the temperature sensor unit 171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itself. For this purpo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와 배터리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mperature sensor unit disposed in the battery.

도 7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터리는 다수의 배터리 셀(BT)로 구성되는데, 배터리 셀(BT)는 다수의 랙을 구비하는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more detail, the battery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BT, and the battery cells BT may be installed in a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racks.

온도센서(TS)는 랙에 각각 설치된 배터리 셀(BT)마다 설치되어 랙에 각각 설치된 배터리 셀(BT)마다 배터리 셀(BT)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 온도센서(TS)는 배터리 셀(BT) 자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BT)의 외주면에 배치되는데, 각 온도센서(TS)는 각 배터리 셀(BT)의 외주면에 접착제(AD)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접착제(AD) 외에도 양면테이프나 그 외에 온도센서(TS)를 각 배터리 셀(BT)에 결합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도 이용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TS is installed for each battery cell BT installed in the rack, and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BT for each battery cell BT installed in the rack. Each temperature sensor TS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T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BT itself, and each temperature sensor TS is an adhesive (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battery cell BT. Can be combined by Depending o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addition to the adhesive (AD), any configuration capable of coupling a double-sided tape or other temperature sensor (TS) to each battery cell (BT) may be used.

또한, 도 7에서는 온도센서(TS)가 배터리 셀(BT)의 상면의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온도센서(TS)는 배터리 셀(BT)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면 배터리 셀(BT)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FIG. 7 shows that the temperature sensor TS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T, the temperature sensor TS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cell BT according to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f it can measure accurately, it can be installed in any position of the battery cell BT.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8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리포트 생성부(185)는 송신 제어부(181)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 배터리의 동작 상태 정보,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 정보를 구비하는 상태 리포트를 생성하며, 송신 제어부(181)는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이 있는 경우 생성한 상태 리포트를 통신부(19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송신 제어하거나, 배터리의 알람 또는 전자장비의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메시지를 통신부(19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송신 제어한다. The report generation unit 185 generates a status repor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charge of the battery,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battery,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electronic equipment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81, and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81 periodically Alternatively, when there is a request, the generated status report is transmitted and controlled to the user terminal or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0, or an alarm message providing an alarm of a battery or an electronic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or managem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90. Transmission control to the server.

송신 제어부(181)는 상태 리포트 또는 알람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송신 제어시, 먼저 통신 상태 판단부(183)를 통해 통신부(190)의 통신 상태를 판단 후 통신부(190)의 제1 통신 모듈(191) 또는 제2 통신 모듈(193) 중 선택된 1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로 상태 리포트 또는 알람 메시지를 송신 제어한다. When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status report or alarm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or the management server,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81 first determines the communication status of the communication unit 190 through the communication status determination unit 183, and then the first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190 A status report or a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and controlled to a user terminal or a management server through one of the module 191 or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93.

통신부(190)는 제1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191)과 제2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193)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은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제2 통신 방식은 제1 통신 방식에 비해 저전력, 저속, 저성능의 특징으로 가지는 통신 방식이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제1 통신 방식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통신 방식은 소물(small thing),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9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191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or a management server in a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93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or a management server in a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t is equipped with. Here,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re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is a communication method having characteristics of low power, low speed, and low performance compar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for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 Internet network,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may be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small thing, Bluetooth, ZigBee, or the like.

송신 제어부(181)는 제1 통신 모듈(191)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며, 제1 통신 모듈(191)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 통신 모듈(191)을 통해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태 메시지 또는 알람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제1 통신 모듈(191)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2 통신 모듈(193)을 통해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상태 리포트 또는 알람 메시지를 송신 제어한다.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81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91 operates normally, an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91 operates normally, a status message is sent to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91. Alternatively, a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an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91 operates abnormally, a status report or an alarm message is transmitted and controlled to a management server or a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93.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CD-ROM, DVD, etc.), and a carrier wave (e.g., the Internet. Transmiss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ttached registration claims.

10: 전자장비 30: 네트워크
50: 사용자 단말기 70: 관리서버
100: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
110: 전원 공급부 130: 배터리부
150: 장비 관리부 170: 배터리 관리부
180: 정보 제공부 190: 통신부
10: electronic equipment 30: network
50: user terminal 70: management server
100: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110: power supply unit 130: battery unit
150: equipment management unit 170: battery management unit
180: information providing unit 190: communication unit

Claims (9)

적어도 1개 이상의 배터리셀로 이루어진 배터리부;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연결된 다수의 전자장비로 전자장비별 정격 전원을 공급하며, 정전시 상기 배터리부의 충전 전원을 상기 전자장비로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배터리부의 온도나 상기 배터리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배터리 관리부;
상기 배터리부의 동작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 또는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정보 제공부; 및
연결된 전자장비의 장비 식별자를 수신하여 연결된 전자장비를 식별하며, 식별한 전자장비별로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장비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장비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자장비별 동작 상태 정보를 상기 장비 식별자와 함께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설정된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며,
상기 장비 관리부는 상기 전자장비별 동작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구비된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 제어하며,
상기 제어 명령은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초기화하는 것이며,
상기 장비 관리부는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초기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
A battery unit made of at least one or more battery cell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rated power for each electronic device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by receiving commercial power, and supplying charging power of the battery unit to the electronic device in case of a power outage;
A battery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battery is abnormal by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unit or smoke generated from the battery unit;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controlling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battery unit to a management server or a set user terminal; And
It includes an equipment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the equipment identifier of the connected electronic equipment to identify the connected electronic equipment, and monitors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identified electronic equipment,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transmits and controls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or each electronic device provided from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together with the equipment identifier to the management server or a set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rom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for each electronic device,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included in th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
The control command is to initialize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Wherein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initializes and controls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관리부는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장비 식별자에 매핑되어 있는 초기화 설정값 정보를 검색하며,
상기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로 인가되는 전원을 순차적으로 온/오프 제어한 후, 검색한 상기 초기화 설정값 정보로 상기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초기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Retrieves the initial setting valu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mapped to the equipment identifier,
An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sequentially controlling on/off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initializing and controlling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based on the searched initial setting value information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관리부는
상기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의 초기화 후, 상기 초기화한 전자장비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초기화한 전자장비가 계속해서 비정상으로 동작하는 경우 설정된 횟수 이내에서 반복하여 상기 장비 식별자에 해당하는 전자장비를 초기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After initializing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monitor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initialized electronic equipment,
When the initialized electronic equipment continues to operate abnormally, the electronic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equipment identifier is repeatedly initialized and controlled within a set number of times.
제 1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전자장비 또는 상기 배터리의 동작 상태 정보를 구비하는 리포트를 생성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리포트를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and 6,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generates a report including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battery,
Wherei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transmits and controls the report to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periodically or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제 1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자장비 중 1개는 공기청정기이며,
상기 장비 관리부는 미세먼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미세먼지 측정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청정기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and 6,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nic equipment is an air purifier,
Wherein the equipment management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fine dust received from the fine dust sensor exceeds a set value.
제 1 항, 제 5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는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5, and 6, wherein the uninterruptible power management device is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having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perates normally, and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perates normally, communicates with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or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operates abnormally.
KR1020190095035A 2019-08-05 2019-08-05 Managing apparatus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1022274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35A KR102227432B1 (en) 2019-08-05 2019-08-05 Managing apparatus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035A KR102227432B1 (en) 2019-08-05 2019-08-05 Managing apparatus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05A KR20210016805A (en) 2021-02-17
KR102227432B1 true KR102227432B1 (en) 2021-03-15

Family

ID=7473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035A KR102227432B1 (en) 2019-08-05 2019-08-05 Managing apparatus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43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4622A (en) 2008-12-24 2010-07-08 Ricoh Co Ltd Monitoring syste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monitoring method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and monitoring progra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WO2014013655A1 (en) 2012-07-19 2014-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Management device, power supply system, electronic device, management method, shutdown method, and program
JP2014204447A (en) 2013-04-01 2014-10-27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Power supply management system and power supply switching controller
WO2016140805A1 (en) 2015-03-04 2016-09-0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test report system and method
KR101795446B1 (en) 2017-02-10 2017-11-10 주식회사 시스젠 Battery protection syste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397B1 (en) 2017-07-07 2018-01-15 김진한 A System for Detecting a Degradation of a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Battery
KR102462680B1 (en) * 2017-09-29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leaning apparatus and a method contro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4622A (en) 2008-12-24 2010-07-08 Ricoh Co Ltd Monitoring syste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monitoring method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and monitoring progra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vice
WO2014013655A1 (en) 2012-07-19 2014-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Management device, power supply system, electronic device, management method, shutdown method, and program
JP2014204447A (en) 2013-04-01 2014-10-27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Power supply management system and power supply switching controller
WO2016140805A1 (en) 2015-03-04 2016-09-0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test report system and method
KR101795446B1 (en) 2017-02-10 2017-11-10 주식회사 시스젠 Battery protection syste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05A (en)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33536A (en) Determine system,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index of battery group object internal leakage electric current
CN107590874A (en) Safety route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mobile terminal
US10498129B2 (en) Electrical device with failure monitoring function, electrical system and terminal device
JP2011055647A (en) Battery pack, an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attery pack
CN103904496A (en) Intelligent cable plug and detection system thereof
CN111551858A (en) Battery parameter remote acquisition system
CN112563592A (en) Storage battery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0900152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perations associated with a backup power source at a network terminal
CN109412819A (en) Method and device for warning device power down
JP7086169B2 (en) Charging device test system and method
CN204463278U (en) A kind of some inspection terminal, marking equipment and some cruising inspection system
KR102227432B1 (en) Managing apparatus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JP2017195453A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optical communication diagnostic monitoring method, and optical communication diagnostic monitoring program
KR20190031653A (en) Battery status based charging control method and appratus thereof
US20200264236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remaining battery energy estimation for wireless devices
US10841669B2 (en) Battery management device,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management method
CN1127638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ause of battery discharge of vehicle
CN110501554A (en) A kind of detection method and device of storage chip installation
KR20220095513A (en) Method for managing battery pack charging
CN106291383A (en) Battery detection method and battery check device
KR20210101576A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aging abnormality of energy storage system
CN111600347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sharing lithium battery
KR102529435B1 (en) Monitoring apparatus for monitoring battery equipment
KR20210069924A (en) Sensor board with battery life management
JP2001228221A (en) Capacity lowering detection circuit of lithium battery and small-sized wireless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