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644B1 -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 - Google Patents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644B1
KR102225644B1 KR1020200150724A KR20200150724A KR102225644B1 KR 102225644 B1 KR102225644 B1 KR 102225644B1 KR 1020200150724 A KR1020200150724 A KR 1020200150724A KR 20200150724 A KR20200150724 A KR 20200150724A KR 102225644 B1 KR102225644 B1 KR 102225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patch
cover
main body
ey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건
Original Assignee
김유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건 filed Critical 김유건
Priority to KR102020015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2Azo-compounds
    • C08J9/103Azodicarbon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을 구비한 것으로,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기립 형성된 2개의 칸막이와, 상기 2개의 칸막이에 의해 구분된 상기 중공 내 공간에 적층 보관된 복수 개의 아이 패치(eye patch)를 포함한 본체; 상기 중공에 장착되어 아이 패치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중앙 부위가 관통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칸막이가 끼움 결합되는 슬릿을 구비한 베이스; 상기 본체의 바닥면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접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을 지나 커버에 이르도록 기립된 것으로,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매개로 상기 관통공과 나사산 결합을 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단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아이 패치를 토출하는 2개의 토출공을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에 의하면, 1개 층에 좌우 한 쌍의 아이 패치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것은 물론 간편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아이 패치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EYE PATCH CONTAINER FOR ENHANCED EASE OF USE}
본 발명은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름 개선, 미백, 보습과 같은 피부 개선 기능을 하도록 눈 밑에 붙이는 액상 또는 겔 타입의 아이 패치를 여러 장으로 안전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간편하고 편리하게 한 장씩 토출할 수 있는 아이 패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아이 패치는 눈 밑 영역에 상응하는 형상, 예를 들어 반달 또는 태극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주름 개선, 미백, 보습과 같은 피부 개선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보습 등의 성분을 액상 또는 겔상(겔 타입)으로 함유한 패치를 의미한다.
얼굴 피부 조직 중에서 특히 눈 주변, 더욱 구체적으로 눈 밑 영역은 다른 부위에 비하여 피부 조직이 얇아 주름이 쉽게 생길 뿐 아니라 피부가 건조할 경우 주름이 드러나는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상술한 겔 상태의 아이 패치를 제작하여 널리 사용하고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아이 패치는 일반적인 반창고 등의 패치와 달리 수분 등의 보습 성분을 넉넉히 함유한 겔 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미끈거리고 끈적이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아이 패치의 특성상, 여러 장의 아이 패치를 하나의 용기에 적층하여 보관하면 1장씩 떼어내기에 여간 불편할 뿐 아니라 떼어내는 과정에서 손끝에 힘이 들어가면 다른 아이 패치를 훼손할 우려가 있는 것은 물론 미끈거리는 성질에 의해 제대로 용기에서 토출시키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이 패치를 1장씩 별도의 포장지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포장 비용이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소비자 가격이 불필요하게 상승되는 문제가 따른다.
아이 패치를 보관하는 용기에 대한 선행기술을 참조하면, 국내 특허 제 1870154호인 아이 앤드 스팟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아이 앤드 스팟 패치가 저장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상부 캡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납부에 내 삽입되는 삽입부와 용기 본체 상단에 안착 결합되는 플랜지부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에 수납부의 기밀홈에 삽입되어 기밀력을 확보하는 링형의 기밀 돌기를 형성하는 리드로 구성하되; 상기 리드의 하단 모서리 위치에는 외주연을 따라 지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수납부의 내주연에는 기밀홈 하부 위치로 지지홈에 대응되는 지지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에서 지지 돌기 사이의 간격이 리드의 플랜지부에서 지지홈의 간격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하여 상부 캡의 나사 결합시 리드의 플랜지부를 가압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지지홈을 지지 돌기에 가압 밀착하도록 구성한 구조를 게시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하면, 기밀 유지를 강화하여 액상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고 공기 유통을 차단하여 아이 패치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그런데, 정작 아이 패치를 토출할 때는 집게를 통해 집어 뽑는 방식을 제공하는데, 이 경우 집게에서 아이 패치가 미끄러지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뿐 아니라 집게를 별도로 용기에 장착해야 해서 용기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진다는 문제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집게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한 조작으로 아이 패치 낱장을 편리하게 외부로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아이 패치 전용 화장품 용기를 개발할 필요가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러 장의 아이 패치를 적층 보관한 본체의 상부에 장착된 커버를 간편하게 회전 조작하여 1장의 아이 패치를 커버의 토출공을 통해 편리하게 빼어낼 수 있도록 하는 아이 패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를 덮는 캡에 보호 링을 설치하여 아이 패치 성분에 대한 외부로의 누액 방지 및 공기 차단 역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의 토출공 주변에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아이 패치가 미끄러져 정상 토출 궤도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최대한 차단할 수 있는 세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좌측, 우측 눈 밑별로 1쌍으로 이루어진 아이 패치를 본체 내의 칸막이를 통해 구분하여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을 구비한 것으로,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기립 형성된 2개의 칸막이와, 상기 2개의 칸막이에 의해 구분된 상기 중공 내 공간에 적층 보관된 복수 개의 아이 패치(eye patch)를 포함한 본체; 상기 중공에 장착되어 아이 패치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중앙 부위가 관통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칸막이가 끼움 결합되는 슬릿을 구비한 베이스; 상기 본체의 바닥면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접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을 지나 커버에 이르도록 기립된 것으로,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매개로 상기 관통공과 나사산 결합을 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단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아이 패치를 토출하는 2개의 토출공을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이 패치 용기는,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캡에서 상면의 내측면에는, 상기 캡의 둘레에서 일정 거리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보호 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2개의 토출공은, 상호 대향된 영역에서, 상기 커버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둘레 영역에 이르면서 호 형상으로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에 의하면,
1) 1개 층에 좌우 한 쌍의 아이 패치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것은 물론 간편한 조작으로 편리하게 아이 패치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고,
2) 아이 패치 성분이 외부로 불필요하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3) 커버의 다양한 세부 구조에 의해 아이 패치가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외부로 토출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칸막이의 독특한 구조로 1쌍의 아이 패치가 서로 뭉치거나 눌러붙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커버로 더욱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이 패치 용기의 세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 내부에 아이 패치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에 칸막이와 베이스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커버의 토출공을 통해 아이 패치가 토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캡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도 4의 커버에서 블레이드 및 가이드 블록 중심의 측단면도 및 부분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칸막이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칸막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도 8의 칸막이의 결합 홈과 결합되도록 커버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이 패치 용기의 세부 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 내부에 아이 패치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아이 패치 용기는 아이 패치(1)를 보관하는 본체(10)의 상부에 커버(100)를 설치하고 커버(100)의 회전으로 본체(10) 내의 베이스(30)가 상승하면서 아이 패치(1)를 본체(10)의 상측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커버(100)의 저면에 아이 패치(1)가 닿았을 때 커버(100)의 회전으로 아이 패치(1)를 커버(100)의 토출공(110)으로 슬라이딩 이동 방식으로 간편하게 토출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아이 패치 용기는 칸막이(20)를 구비한 본체(10), 베이스(30), 회전축(40), 커버(100)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체(10)는 공지의 화장품 용기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 아이 패치(1)를 보관할 수 있는 중공(내부 공간)을 가진 입체적 형상을 취한 것으로, 특히 커버(100)의 회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원형으로 이루어진 횡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같이 본체(10)는 횡단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항아리 구조, 타원체 구조, 구형 구조, 원통형 구조와 같은 다양한 입체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원통형 구조를 예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에 칸막이와 베이스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이 본체(100)의 중공에는 2개의 칸막이(20)가 기립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20)는 좌측, 우측용 2개로 이루어진 1쌍의 아이 패치(1)를 중공 내에서 동일면에 보관하되 눌어붙지 않도록 상호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격벽과 같은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후술할 회전축(40)의 회전으로 베이스(30)를 상승 이동시키도록 베이스(30)를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칸막이(20)는 후술할 회전축(40)이 설치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본체(10)의 중심까지 연장되지 않는 것이 기본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기본적 구조만 지킨다면 칸막이(2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반달이나 태극 형상으로 이루어진 아이 패치(1)의 좌우 각각의 형상에 상응한 곡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바, 이러한 곡면 구조의 칸막이(2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이 패치(1)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보습 등의 액상 또는 겔상의 피부 개선 성분을 머금은 점성 성질을 가진 섬유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패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중공에 여러 겹으로 적층되면서 보관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체(10)의 중공 내의 동일면을 기준으로 2장의 아이 패치(1)가 보관되는데 이 2장의 아이 패치(1)는 좌우 측 눈 밑 형상 각각에 대응되도록 좌측, 우측 눈 밑 전용 형상으로 이루어져 1쌍을 이룬다. 다시 말해, 1쌍의 아이 패치(1)는 서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반달이나 태극 형상과 같이 실제 사람의 눈 밑 영역에 상응하도록 곡선형으로 연장된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1쌍의 아이 패치(1)는 상술한 칸막이(20)에 의해 분리되어 보관됨으로써 서로 엉키거나 눌어붙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30)는 본체(10)의 중공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본체(10)의 바닥 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도 3에서는 본체(10)의 바닥 면이 원형이므로 이에 맞게 베이스(30) 역시 원형 구조를 취한 구조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베이스(30)는 기본적으로 관통공(31)과 슬릿(32)을 구비한다.
관통공(31)은 베이스(30)의 중앙 부위에 관통 형성된 것으로, 후술할 회전축(40)과 같은 직경 또는 비슷한 직경으로 관통되어 회전축(40)이 삽입되는 구멍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관통공(31)의 내주 면(내벽)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역시 나사산(41)이 형성된 회전축(40)과 나사산 결합을 수행한다.
슬릿(32)은 상술한 칸막이(20)의 횡단 형상과 같은 형상은 물론 칸막이(20)와 같은 개수로 이루어진 것으로, 앞서 언급하였듯이 칸막이(20)가 2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슬릿(32) 역시 베이스에서 2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32)은 베이스(30)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칸막이(20)의 횡단 형상으로 파인 홈이라 할 수 있다.
즉, 본체(10)의 중공 상부에서 칸막이(20)를 향해 베이스(30)를 진입시킨 다음 베이스(30)의 슬릿(32)에 칸막이(20)를 끼움 결합하면서 베이스(30)를 본체(10)의 바닥 면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30)는 초기 상태에 본체(10)의 바닥 면에 접하고 이 베이스(30)의 상면인 중공의 공간이 가장 넓게 확보되는바 이 베이스(30)의 상면에 아이 패치(1)가 적층 방식으로 안착된다.
이러한 베이스(30)는 후술할 회전축(40)의 회전으로 상승하면서 아이 패치(1)를 커버(10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회전축(40)은 본체(10)의 바닥 면의 중심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접한 상태에서 중공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봉 형상의 구조체이다.
여기서, 회전축(40)이 본체(10)의 바닥 면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였다는 것은 본체(10)의 바닥 면 중심에 회전축(40)의 하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거나 도 7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체(10)의 바닥 면 중앙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중공을 가진 지그(zig)(15)가 설치되어 이 홈이나 지그(15)에 회전축(40)의 하단부가 안착됨으로써 회전축(40)이 이를 기준으로 회전(제자리 회전, 즉 공회전)을 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회전축(40)은 베이스(30)의 관통공(31)을 지나 중공의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회전축(40)의 상단부는 후술할 커버(100)의 저면에 고정 결합되어 커버의(100) 회전 시 회전축(40) 역시 함께 회전된다.
이때, 회전축(40)의 외주 면에는 나사산(41)이 형성되어 베이스(30)의 관통공(31)과 나사산 결합을 한다.
즉, 회전축(40)이 회전되면 이에 결합된 베이스(30) 역시 회전되는 것이 정상인데, 베이스(30)는 슬릿(32)을 매개로 칸막이(20)에 끼움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되지 않고 대신 회전축(40)과 나사산 결합이 된 것을 기반으로 회전축(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축(40) 및 슬릿(3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축(40)이 회전하면 칸막이(20)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되지 않는 베이스(30)의 관통공(31)의 내주 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회전축(40)의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회전축(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버(100)는 커버(100)의 저면 측 중앙 부위에서 회전축(40)의 상단부와 고정 결합한 상태에서 본체(10)의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판이다.
도면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커버(100)는 본체(10)의 최상단에서 약간 아래로 내려간 일 부위(즉, 본체의 상측)의 내주 면에서 둘레를 따라 함입 형성된 결합 슬릿(11)에 결합되어 이 결합 슬릿을 따라 회전(제자리 회전, 즉 공회전)할 수 있다. 즉, 결합 슬릿의 두께가 커버(100)의 두께보다 약간 높게 이루어져 결합 슬릿에 커버(100)가 안정적으로 수용되어 커버(100)가 본체(1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 커버(100)에는 2개의 토출공(3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토출공(31)은 본체(10)에 수용된 아이 패치(1)가 외부로 나오는 구멍이라 할 수 있다.
이 2개의 토출공(31)은 커버(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각각 형성될 수 있어, 커버(100)를 한 바퀴 회전시켰을 때 앞서 언급한 본체(10)의 중공에서 동일면에 위치한 2개(1쌍)의 아이 패치(1)를 각각의 토출공(110)을 통해 순차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아이 패치 용기의 조작 방법은 물론 아이 패치(1)가 토출공(110)으로 토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커버의 토출공을 통해 아이 패치가 토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사용자가 커버(100)를 베이스(30)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커버(100)에 고정 결합된 회전축(40) 역시 회전된다. 이때, 베이스(30)는 슬릿(32)과 칸막이(20)의 결합에 의해 본체(10)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구조임과 동시에 회전축(40)과 나사산 결합을 하므로 회전축(40)과 함께 회전되지 않고 회전축(4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커버(100)를 향한 상 방향으로 상승한다.
이때, 베이스(30)에 적층된 아이 패치(1)가 커버(100)의 저면에 접촉하면 접촉된 아이 패치(1)가 베이스(30)의 상승과 함께 상 방향으로 밀리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 방향, 즉 토출공(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면, 사용자가 굳이 아이 패치(1)를 손에 묻히지 않으면서 커버(100)를 돌리는 간편한 조작으로 본체(10)에 보관된 좌우 1쌍의 아이 패치(1)를 빼낼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뿐 아니라 칸막이(20)를 매개로 좌우 측 아이 패치(1)를 각각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본체(10)의 중공에서 동일면에 위치한 2개의 아이 패치(1)가 서로 뭉치거나 엉겨 붙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캡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아이 패치 용기는 커버(100)를 덮는 캡(20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커버(100)의 토출공(110)으로 아이 패치(1)를 보관한 본체(10)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토출공(110)으로 아이 패치(1)의 겔상/액상 주요 성분이 유출되는 문제를 방지할 필요가 있는바, 바로 커버(100)의 상면을 탈착 방식으로 개폐하는 캡(200)에 의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캡(200)은 상면과 이 상면의 둘레에서 하방 절곡되어 측면을 가리는 하부 개방 구조(즉, 종단 구조가 역 U 형상)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공지의 캡의 형상과 유사하다.
이때, 본체(10)의 상측 외주 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캡(200)의 측면의 내주 면 역시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 결합, 즉 캡(20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방식으로 본체(10)에서 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캡(200)과 본체(10)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하여 이를 통해 상술한 아이 패치(1)의 주요 성분이 유출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캡(200)의 상면에서 안쪽 면(즉, 저면 또는 내측 면)에는 캡(200)의 둘레에서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보호 링(210)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캡(200)을 본체(10)에 결합하였을 때 보호 링(210)과 캡(200)의 둘레 사이 공간에 본체(10)의 상단 둘레 면이 위치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본체(10)에서 유출되는 아이 패치(1)의 주요 성분의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커버에서 블레이드 및 가이드 블록 중심의 측단면도 및 부분확대단면도이다.
상술한 커버(100)는 아이 패치(1)의 원활한 토출을 도울 뿐 아니라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을 증가하기 위한 다양한 세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바, 이러한 세부 구성에 대해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2개의 토출공(110)은 서로 반대 측 영역, 다시 말해 상호 대향 측 영역에서 커버(100)의 중심(또는 주변 영역을 포함한 중심 영역)으로부터 커버(100)의 둘레 영역에 이르기까지 호 형상으로 관통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토출공(110)은 커버(100)의 중심 측 폭보다 커버(100)의 둘레 측 폭이 넓게 이루어지는데, 이를 통해 커버(100)의 회전 시 원심력에 의해 둘레 측으로 몰리는 아이 패치(1)를 더욱 수월하게 토출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토출공(110)의 주변 일 측 영역,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100)가 회전할 때 아이 패치(1)가 커버(100)에 먼저 닿는 토출공(110) 전방 측 영역에서 후방으로 떨어진 토출공(110) 후방 측 영역은 상술한 토출공(110)과 마찬가지로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토출공(110)에 접한 부위에서부터 외측(토출공의 반대 방향)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순차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구조로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이를 블레이드(blade)(120)라 한다.
블레이드(120)는 토출공(110) 주변 영역의 두께로 인해 아이 패치(1)가 원활하게 토출공(110)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 아이 패치(1)를 슬라이스 방식으로 썰 듯이 1장씩 떼어내면서 토출공(110)으로 배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블레이드(120)는 빗살부(121)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빗살부(121)는 커버(10)의 중심 측에서 커버(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된 것으로서, 블레이드(120)의 두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 빗살부(121)는 아이 패치(1) 자체의 점성으로 외부로 토출된 아이 패치(1)의 선단 부위가 블레이드(120)의 표면에 밀착되어 원활하게 아이 패치(1) 전부가 외부로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빗살부(121)는 블레이드(120) 표면에 일정한 마찰력을 부여하여 아이 패치(1)가 불필요하게 블레이드(120)의 표면에 밀착하는 현상을 막으면서 더욱 매끄럽게 아이 패치(1) 선단에서 후단까지 원활하게 토출되는 것을 보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복수 개의 빗살부(121)는 동일 높이로 돌출될 수 있으나, 더 나아가 블레이드(120)의 두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순차적으로 높이가 증가하도록 하여 상술한 기능이 더욱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토출공(110)의 주변 타 측 영역, 구체적으로 커버(100)가 회전할 때 아이 패치(1)가 커버(100)에 먼저 닿는 토출공(110) 전방 측 영역(토출공을 기준으로 블레이드의 반대 측 영역)에는 라운드 스트랩(130)이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 스트랩(round strap)(130)은 블레이드(120)(또는 토출공)의 반대 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된 띠 형상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구조체를 말한다.
이 라운드 스트랩(130)은 사용자가 커버(10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와 같은 역할을 제공함과 아울러, 블레이드(120) 표면을 따라 토출된 아이 패치(1)가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반대 측으로 휘어지는 경우 라운드 스트랩(130)에 둘러싸인 공간에 아이 패치(1)의 단부를 수용할 수 있어 아이 패치(1)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한다.
또한, 블레이드(120)와 상기 라운드 스트랩(130) 사이에는 2개의 가이드 블록(14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블록(140)은 블레이드(120)의 후단에서 라운드 스트랩(130)을 향한 방향으로 커버(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즉, 커버(100)의 반지름 방향을 따른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블록체로서 특히 블레이드(120)의 후단에서 라운드 스트랩(130)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돌출 높이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가이드 블록(140)은 블레이드(120) 표면으로 토출된 아이 패치(1)가 블레이드(120) 후단으로 진행되면서 가이드 블록(140) 측으로 이동될 때 아이 패치(1)의 좌우 양측을 안정적으로 받치면서 아이 패치(1)를 상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아이 패치(1)가 고유의 점성이 있으므로 블레이드(120), 더 나아가 커버(100)의 표면에 불필요하게 밀착될 수 있는데 가이드 블록(140)에 의해 자연스럽게 블레이드(120) 또는 커버(100)의 표면에서 아이 패치(1)를 이탈시키면서 상 방향(커버의 표면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안내하여, 결과적으로 아이 패치(1)를 완벽하게 토출공(110)에서 토출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이드 블록(140)의 종단(커버의 표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 형상은 제 1,2 가이드부(141,142)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이드부(141)는 블레이드(120)의 후단에서 상기 라운드 스트랩(130)을 향한 방향을 따라 커버(100)의 표면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즉, y=x의 제곱에 대한 2차 방정식 곡선을 예시하면 아래로 볼록한 상태에서 양의 x축을 따라 돌출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을 가진 부위이다.
제 2 가이드부(142)는 제 1 가이드부(141)의 단부에서 커버(100)의 표면까지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즉, 상술한 2차 방정식 곡선이 y=-x의 제곱일 때 아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가이드부(141)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 부위를 말한다.
제 1 가이드부(1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20)의 후단에서 라운드 스트랩(130)을 향한 방향을 따라 진행하는 길이보다 돌출 높이가 크게 증가(예를 들어, 2차 방정식 곡선과 같은 비례 관계)하기 때문에 토출된 아이 패치(1)가 가이드 블록(140)을 벗어난 외측 부위로 이동되지 않고 가이드 블록(140)의 단부, 즉 제 1 가이드부(141)의 단부에 수렴되거나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기능, 즉 아이 패치(1)의 이탈 방지 기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제 2 가이드부(142)는 제 1,2 가이드부(141,142)의 경계 부위가 뾰족하게 솟아 사용자가 다치는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바, 다시 말해 제 1,2 가이드부(141,142)의 경계 부위를 챔퍼 처리하는 것은 물론 토출된 아이 패치(1)가 행여 제 1 가이드부(141)의 단부를 벗어날 경우에도 가급적 제 2 가이드부(142)의 볼록한 곡면을 따라 가이드 블록(140)에 밀착하도록 아이 패치(1)를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정리하면, 제 1,2 가이드부(141,142)로 이루어진 가이드 블록(140)은 아이 패치(1)의 이탈 방지는 물론 아이 패치(1)가 가이드 블록(140) 주변에 머무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증강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칸막이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칸막이(20), 특히 칸막이(20)의 횡단(본체의 높이 방향과 수직 방향) 형상은 아이 패치(1)의 곡률진 형상에 상응하도록 곡선 처리될 수 있으나, 1쌍의 아이 패치(1)를 더욱 효율적으로 구분하도록 추가적인 형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칸막이(20)(2개의 칸막이 모두)의 횡단 형상은 서로 마주보는 본체(10)의 내주 면의 양 위치로부터 본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본체(10)의 중심에 못 미치는 지점까지 대칭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는바, 다시 말해 칸막이(20)는 본체(10)의 중심 또는 둘레부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 사이를 잇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기반에서, 칸막이(20)는 제 1,2 라운딩부(21,22)를 포함한다.
제 1 라운딩부(21)는 아이 패치(1)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즉 태극 형상과 같이 연장되는 라인 중 넓은 부위를 차지하는 연장 라인 부위에서의 곡도에 상응한 제 1 곡도로 연장된 부위를 의미한다. 즉, 제 1 라운딩부(21)는 아이 패치(1)의 형상에 대응되는 연장 형상을 가져 불필요한 보관 공간을 줄이면서도 아이 패치(1)가 구겨지거나 겹치지 않도록 구분 보관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제 2 라운딩부(22)는 상술한 제 1 곡도보다 큰 제 2 곡도로 제 1 라운딩부(21)와 벌어지도록 연장된 부위이다. 이때, 제 2 곡도는 아이 패치(1)의 형상을 고려하여 제 1 곡도보다 너무 크지 않는 곡도 범위를 갖도록 한다.
또한, 연결부(23)는 제 1,2 라운딩부(21,22)의 단부를 잇는 부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칸막이(20)의 횡단 형상은 삼각형에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바, 다시 말해 제 1,2 라운딩부(21,22)가 평행하게 연장된 구조에 비하여 1쌍의 아이 패치(1)가 상술한 커버(100)에 닿아 외부로 토출될 때 제 1,2 라운딩부(21,22)의 곡도 차이에 의해 제 1,2 라운딩부(21,22)의 외관을 따라 더욱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 1 라운딩부(21)에 좌측 아이 패치(1)가 불필요하게 밀착할 때 우측 아이 패치(1)는 제 2 라운딩부(22)에 살짝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여 밀착성을 조절함으로써 좌우 측 모두의 아이 패치(1)가 칸막이에 눌어붙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더 나아가, 도 7에 따른 칸막이(20)는 제 1,2 라운딩부(21,22) 및 연결부(23) 사이에 빈 공간, 즉 스페이스(24)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제 1,2 라운딩부(21,22) 각각에는 상술한 스페이스(24)로 내통 가능한 내통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 1, 2 라운딩부(21,22)에 아이 패치(1)가 불필요하게 긴밀하게 밀착하여 외부로 제대로 토출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 1,2 라운딩부(21,22) 각각의 표면에서 스페이스(24)로 내통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여 커버(100)의 회전 시 회전 방향과 같거나 반대로 움직일 수 있는 공기 유로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스페이스(24) 내외로 이동되는 공기가 제 1,2 라운딩부(21,22)에 아이 패치(1)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아이 패치(1)가 외부로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칸막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8의 칸막이의 결합 홈과 결합되도록 커버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앞서 설명한 칸막이(20)는 칸막이(20)의 상면에서 이 상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도 8에서는 3개)의 결합 홈(25)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도 9를 참조하면 커버(100)의 저면에는 결합 돌기(150)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결합 돌기(150) 역시 결합 홈(25)의 개수에 상응한 개수(도 9에서는 3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칸막이(20)가 1쌍으로 총 2개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맞게 토출공(110) 사이의 양 측 저면 영역에 걸쳐 각각 1쌍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특히, 이러한 결합 돌기(150)는 커버(100)의 회전 방향(즉, 커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커버(100)의 반지름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 홈(25)의 개수에 상응한 복수 개로 형성된다. 이때, 결합 돌기(150)는 아이 패치에 먼저 닿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구조를 취한다. 더 나아가, 도 9를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아이 패치의 '일 측'은 토출공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합 홈(25)과 결합 돌기(150)는 아이 패치를 1장씩 토출하는 역할을 강화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커버(100)의 저면에 근접하도록 베이스(30)가 상승하였을 경우 블레이드(120)의 선단에 아이 패치(1)가 닿으면서 토출공(110)으로 빠져나가기 시작하는데, 이때 칸막이(20)의 결합 홈(25)에 커버(100)의 결합 돌기(150)가 결합하면서 해당 아이 패치(1)를 토출공 방향(110)으로 띄운다.
다시 말해, 겹겹이 적층된 아이 패치(1) 중에서 가장 위에 있는 아이 패치(1)만을 슬라이스 방식으로 상승하도록 밀어 결과적으로 그 아래 장의 아이 패치(1)까지 덩달아 토출공(110)으로 토출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이때, 결합 돌기(105)가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진행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일 측이 토출공(110) 일부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어 아이 패치(1)를 토출공(110) 방향으로 띄우듯이 상승시키는 역할을 촉진할 수 있다.
즉, 도 8,9에 따른 구조에 의하면 칸막이(20)의 결합 홈(25)과 커버(100)의 결합 돌기(150)가 상호 결합하는 과정에서 단 1장의 아이 패치(1)만을 띄우거나 부상시키는 방식으로 토출공(110)으로 자연스럽게 토출시키는 것을 강화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0)의 바닥 면에는 본체(10)의 내주 면과 제 1,2 라운딩부(21,22) 및 연결부(23)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라인을 이어 생성된 영역에서 일정 높이로 상 방향(커버 방향)으로 돌출된 완충 돌부(50)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완충 돌부(50)는 본체(10)의 내주면은 물론 제 1,2 라운딩부(21,22) 및 연결부(23)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돌출되어 초기 상태(아직 사용 전 상태)에서 베이스(30)의 저면에 접한다. 이러한 완충 돌부(50)에 의하면, 베이스(30)를 본체(10)의 바닥 면에서 적절하게 지지하여 커버(100)의 회전 시 베이스(30)가 회전축(40)을 따라 제대로 상승하지 못하면서 버벅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완충 돌부(5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이 완충 돌부의 표면에 상술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는 물론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와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를 혼합하여 제조된 탄성 보조층이 적층되는 것이 가능하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질기고 탄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충격 흡수 기능을 포함하여 휴대폰 케이스, 완충 매트리스, 소방 호스와 같이 고무를 대체하는 구조재로 널리 적용되고 있다.
즉, 완충 돌부(50)에 탄성을 제공하여 베이스(30)의 저면으로부터 탄성 반발하는 것을 촉진함으로써, 커버(100)의 회전 시 베이스(30)가 완충 돌부(50)에서 눌러붙지 않고 이의 탄성 반발로 더욱 수월하게 상승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할 수 있다.
완충 보조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의 탄성을 보조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은 물론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와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완충 보조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75 내지 90 중량부와, 멜라민수지 5 내지 15 중량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5 내지 10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탄성 보조층은 180 내지 230℃에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용융시키고 멜라민수지와 아조디카본아마이드를 혼합한 다음 성형 틀에서 냉각해 제조되거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제조될 시 폴리올과 이소사이아네이트와 함께 멜라민수지와 아조디카본아마이드를 혼합한 다음 절개, 사출 성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멜라민수지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수지로서, 발포되었을 시 미세한 공극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렇게 발포된 멜라민수지가 예를 들어 0.1 내지 1mm의 입경을 가지도록 탄성 보조층에 포함될 경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보다 쉽게 압축되어 탄성 보조층에 가해진 충격이 멜라민수지로 흡수되도록 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충격 흡수를 보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조디카본아마이드는 두 개의 CONH2기를 질소와 질소의 이중결합인 아조기가 연결하고 있는 물질로서, 아마이드기에서 질소가 떨어져 나와 멜라민수지에 미세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완충 돌부(50)의 표면에 공극이 형성되는 것을 촉진하여 완충 돌부(50)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면서 상술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에 의한 탄성 기능과 함께 베이스(30)에 완충 돌부(50)가 눌어붙는 문제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완충 돌부(50)의 탄성 반발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강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탄성 보조층은 앞서 언급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탄성을 보조하는 기능을 증진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멜라민수지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외에 추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제조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조성물을 포함한 탄성 보조층은 1차 물질 제조 단계, 2차 물질 제조 단계, 3차 물질 제조 단계, 여과물 수득 단계, 완성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먼저, 1차 물질 제조 단계는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85 내지 95 중량부, 멜라민수지 5 내지 15 중량부를 150 내지 2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이소프로필알코올은 멜라민수지의 탄소-산소 부위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한 용매이다. 즉, 1차 물질 제조 단계에 의해 150 내지 2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혼합되는 과정에서 과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이 증발되어 멜라민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겔 상의 1차 물질이 제조될 수 있다.
다음, 2차 물질 제조 단계는 1차 물질 90 내지 95 중량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5 내지 10 중량부를 150 내지 20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아조디카본아마이드는 10 중량부보다 많이 혼합될 경우 멜라민수지의 공극 크기가 과하게 커져 멜라민수지가 충격을 지탱하기 어려울 수 있고, 5 중량부보다 낮게 혼합될 경우 멜라민수지에 공극이 적게 형성되어 압축을 통한 충격 흡수가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00℃이상에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의 아조기가 분해되어 발색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고, 150℃미만에서는 1차 물질이 잘 유동되지 않아 혼합이 곤란하므로 150 내지 200℃에서 혼합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어서, 3차 물질 제조 단계는 2차 물질 80 내지 95 중량부, 디부틸메틸페놀(Dibutylmethyl phenol)과 5 내지 20 중량부를 100 내지 150℃에서 500 내지 2000rpm으로 1 내지 2시간 동안 혼합하여 3차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디부틸메틸페놀은 라디칼을 받아들이는 성질을 가진 산화방지제로서, 라디칼이 경화 반응을 일으켜 탄성을 낮출 수 있는 개연성을 해소할 수 있는바, 다시 말해 탄성 보조층(42)의 탄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과물 수득 단계는 3차 물질 20 내지 30 중량부, 아세톤 70 내지 80 중량부를 10 내지 30분 동안 2000 내지 3000rpm으로 혼합한 다음 여과한 여과물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아세톤은 3차 물질을 분산시키는 용매이다.
이러한 여과물 수득 단계는 2000 내지 3000rpm으로 혼합하므로 다양한 입자 크기를 가진 완충 보조재가 수득될 수 있는데, 상술하였던 멜라민수지의 입자 크기인 0.1 내지 1mm의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미세한 입자 크기로 제조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이 구현되기 어려운 불량한 완충 보조재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완성 단계는 상술한 여과물 10 내지 25 중량부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75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완성 단계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혼합물을 성형 틀에서 냉각해 제조하거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제조 공정 중에 폴리올과 이소사이아네이트와 함께 상술한 여과물을 혼합한 다음 사출 성형 등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탄성 보조층은 상술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탄성 및 이를 기반으로 한 탄성 보조층의 충격 흡수 기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아이 패치 10: 본체
20: 칸막이 21: 제 1 라운딩부
22: 제 2 라운딩부 23: 연결부
24: 스페이스 25: 결합 홈
30: 베이스 31: 관통공
32: 슬릿 40: 회전축
41: 나사산 50: 완충 돌부
100: 커버 110: 토출공
120: 블레이드 121: 빗살부
130: 라운드 스트랩 140: 가이드 블록
141: 제 1 가이드부 142: 제 2 가이드부
150: 결합 돌기 200: 캡
210: 보호 링

Claims (14)

  1.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로서,
    상부가 개방된 중공을 구비한 것으로,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기립 형성된 2개의 칸막이와, 상기 2개의 칸막이에 의해 구분된 상기 중공 내 공간에 적층 보관된 복수 개의 아이 패치(eye patch)를 포함한 본체;
    상기 중공에 장착되어 아이 패치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중앙 부위가 관통되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칸막이가 끼움 결합되는 슬릿을 구비한 베이스;
    상기 본체의 바닥면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접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을 지나 커버에 이르도록 기립된 것으로,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매개로 상기 관통공과 나사산 결합을 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단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아이 패치를 토출하는 2개의 토출공을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패치 용기는,
    상기 커버를 개폐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캡에서 상면의 내측면에는,
    상기 캡의 둘레에서 일정 거리 내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보호 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토출공은,
    상호 대향된 영역에서, 상기 커버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둘레 영역에 이르면서 호 형상으로 관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의 주변 일 측 영역에는,
    호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토출공에 접한 부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두께가 증가하는 블레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커버의 중심 측에서 상기 커버의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된 것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두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된 빗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의 주변 타 측 영역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반대 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딩 처리된 상태로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라운드 스트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라운드 스트랩 사이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후단에서 상기 라운드 스트랩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 높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2개의 가이드 블록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의 종단 형상은,
    상기 블레이드의 후단에서 상기 라운드 스트랩을 향한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의 표면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돌출 높이가 증가하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커버의 표면까지 외측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가이드부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 제 2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칸막이의 횡단 형상은,
    서로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의 양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의 중심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본체의 중심에 못 미치는 지점까지 대칭을 이루도록 연장된 것으로,
    상기 아이 패치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제 1 곡도로 연장된 제 1 라운딩부와,
    상기 제 1 곡도보다 큰 제 2 곡도로서 상기 제 1 라운딩부와 벌어지도록 연장된 제 2 라운딩부 및,
    상기 제 1,2 라운딩부의 단부를 잇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기 제 1,2 라운딩부 및 연결부 사이에 빈 공간으로 형성된 스페이스를 포함하고,
    제 1,2 라운딩부 각각에는, 상기 스페이스로 내통 가능한 내통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상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결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커버 저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연장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 홈과 결합하는 결합 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제 1,2 라운딩부 및 연결부에서 이격된 영역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된 완충 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돌부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형성되고,
    상기 완충 돌부의 표면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멜라민수지(Melamine resin)와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를 혼합하여 제조된 탄성 보조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조층은,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85 내지 95 중량부, 멜라민수지 5 내지 15 중량부를 150 내지 20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혼합하여 1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물질 90 내지 95 중량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5 내지 10 중량부를 150 내지 20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혼합하여 2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물질 80 내지 95 중량부, 디부틸메틸페놀(Dibutylmethyl phenol)과 5 내지 20 중량부를 100 내지 150℃에서 1000 내지 2000rpm으로 1 내지 2시간 동안 혼합하여 3차 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3차 물질 20 내지 30 중량부, 아세톤 70 내지 80 중량부를 10 내지 30분 동안 2000 내지 3000rpm으로 혼합한 다음 여과하여 여과물을 수득하는, 여과물 수득 단계;
    10 내지 25 중량부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75 내지 90 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 패치 용기.
KR1020200150724A 2020-11-12 2020-11-12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 KR102225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724A KR102225644B1 (ko) 2020-11-12 2020-11-12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724A KR102225644B1 (ko) 2020-11-12 2020-11-12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644B1 true KR102225644B1 (ko) 2021-03-08

Family

ID=7518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724A KR102225644B1 (ko) 2020-11-12 2020-11-12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6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8Y1 (ko) * 2005-08-23 2005-11-01 (주)연우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119786B1 (ko) * 2011-03-23 2012-03-22 황재광 정량 배출 파우더 용기
KR101870154B1 (ko) * 2017-11-27 2018-07-19 이효근 아이 앤드 스팟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8Y1 (ko) * 2005-08-23 2005-11-01 (주)연우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119786B1 (ko) * 2011-03-23 2012-03-22 황재광 정량 배출 파우더 용기
KR101870154B1 (ko) * 2017-11-27 2018-07-19 이효근 아이 앤드 스팟 패치 포장용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6948A1 (en) Urethane foam for use in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CN1274258C (zh) 制造保护头盔的方法
KR101619128B1 (ko) 화장품 용기
RU2437606C2 (ru) Емкость для чая или кофе
US4674204A (en) Shock absorbing innersol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2407049A2 (en) Cosmetics 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contents before use
KR102225644B1 (ko) 사용의 편의성을 강화한 아이 패치 용기
US20120111883A1 (en) Gum dispenser for dispensing gum by vertical lifting
EP1863724A1 (en) Child-resistant cap
CN105492332A (zh) 具有枢转盖的消费品包装
US20140120218A1 (en) Container With Improved Puncture Design
GB2517996A (en) Helmet liner
US10231582B2 (en) Container and cap for dispensing wipes
JP7060410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20070089755A1 (en) Tube-formed earplug with integral stem
KR101882197B1 (ko)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용 NBR(nitrile butadiene rubber) 스폰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492277B (zh) 包装闭锁装置的旋转切割装置的切割齿
WO2006041885B1 (en) Shaving implement
KR20210036339A (ko) 가정용 박엽지 수납 용기
CN111683880A (zh) 家庭用薄纸收纳容器
CN105050468A (zh) 分配***
CN101535144B (zh) 具有圆形密封表面的非圆形的防潮且能够再密封的容器
CA2118887C (en) Hockey stick blade
KR20160128099A (ko)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FR2888221A1 (fr) Emballage pour produit alimentaire comportant un buvard absorb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