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404B1 -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404B1
KR102223404B1 KR1020180168271A KR20180168271A KR102223404B1 KR 102223404 B1 KR102223404 B1 KR 102223404B1 KR 1020180168271 A KR1020180168271 A KR 1020180168271A KR 20180168271 A KR20180168271 A KR 20180168271A KR 102223404 B1 KR102223404 B1 KR 102223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pair
optical fiber
module
aband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926A (ko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성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성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168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4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01B15/006Making a longitudinal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8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ru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광케이블(C)을 공급하는 공급모듈; 상기 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상기 폐광케이블(C)의 외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절개모듈; 상기 폐광케이블(C)의 광섬유와 절개된 외피를 분리시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하는 분리모듈; 및 상기 분리모듈로부터 이송된 상기 광섬유를 분쇄하여 포집하는 회수모듈;을 포함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업성 결여 및 수출 규제로 사업활성화가 부진하고 전국에 방치되어 국토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광섬유, 외피 등 각종 유용자원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어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Resource recovery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optical fiber cables}
본 발명은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폐광케이블의 자원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섬유를 보호 피복에 넣어 다양한 외부 환경에 견디도록 한 케이블을 의미한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지상용 및 해저용으로 구분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통신용, 영상 전달용 및 검출기용으로 분류될 수 있다.
광케이블은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대략 10~15년 주기로 교체됨에 따라 폐기량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때, 폐광케이블은 최근까지 90% 이상이 수출되고 나머지는 소각 및 매립되었으나, 현재는 수출 규제로 소각 및 매립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광케이블은 내부의 광섬유를 둘러싸고 있는 금속재로 된 내피와 내피 둘레에 압착되어 있는 폴리에틸렌(PE) 등의 소재로 된 외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폐기 처리되는 광케이블은 각 소재 종류별로 재활용을 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E) 등의 재질인 외피를 벗겨내서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폐광케이블의 외피는 내피 둘레에 견고하게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피를 내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히, 폐기 처리되는 광케이블의 탈피작업을 칼날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성이 매우 떨어져서 폐광케이블의 처리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광케이블 재활용 업체에서는 단순 탈피 장치로 외피만 회수 후 나머지는 현장에 야적 혹은 매립/소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써, 폐광케이블은 전국에 산재되어 방치된 상태로 국토의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광케이블을 환경 친화적 방법으로 분리하고 유용 자원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자원회수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의 도입이 시급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8232호(공개일자: 2016.04.07.)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광섬유, 외피 등 각종 유용자원의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업성 결여 및 수출 규제로 사업활성화가 부진하고 전국에 방치되어 국토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광섬유, 외피 등 각종 유용자원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폐광케이블(C)을 공급하는 공급모듈; 상기 공급모듈로부터 공급된 상기 폐광케이블(C)의 외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절개모듈; 상기 폐광케이블(C)의 광섬유와 절개된 외피를 분리시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하는 분리모듈; 및 상기 분리모듈로부터 이송된 상기 광섬유를 분쇄하여 포집하는 회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급모듈은, 상기 폐광케이블(C)이 인입되어 통과되도록 상기 폐광케이블(C)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가이드부; 및 구동부(P)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통과한 상기 폐광케이블(C)을 이송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모듈은, 절단칼날이 구비되어 상기 외피의 상하 또는 좌우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인출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모듈은, 구동부(P)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절개모듈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폐광케이블(C)을 가압하여 상기 광섬유와 상기 외피를 박리시키는 한 쌍의 가압롤러; 상기 광섬유와 박리된 상기 외피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를 통과한 상기 외피의 일부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1이송롤러; 및 상기 선별부를 통과한 상기 외피의 다른 일부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2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폐광케이블(C)의 접촉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폐광케이블(C)의 외경과 대응되는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는, 상기 폐광케이블(C)의 접촉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수모듈은, 상기 분리모듈로부터 이송된 상기 광섬유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분쇄된 상기 광섬유를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광섬유, 외피 등 각종 유용자원의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업성 결여 및 수출 규제로 사업활성화가 부진하고 전국에 방치되어 국토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광섬유, 외피 등 각종 유용자원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의 가압롤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의 가압롤러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의 커팅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의 가압롤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의 가압롤러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의 커팅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는, 폐광케이블(C)을 공급하는 공급모듈(100); 공급모듈(100)로부터 공급된 폐광케이블(C)의 외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절개모듈(200); 폐광케이블(C)의 광섬유와 절개된 외피를 분리시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하는 분리모듈(300); 및 분리모듈(300)로부터 이송된 광섬유를 분쇄하여 포집하는 회수모듈(40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는 공급모듈(100), 절개모듈(200), 분리모듈(300) 및 회수모듈(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폐광케이블(C)은 빛 신호를 전달하는 광섬유(optical fiber)와, 인장, 구부림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하도록 광섬유를 감싸는 아라미드(aramid)와, 철(Fe),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절단,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하도록 아라미드를 감싸는 내피, 폴리에틸렌(PE)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열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하도록 내피를 감싸는 외피 및 광섬유가 움직일 수 있도록 광섬유와 내피 사이에 위치하는 젤리(gelly) 포함한다.
공급모듈(100)은 본체(10)의 상부 전방측에 설치되어 폐광케이블(C)을 공급하는 것으로, 폐광케이블(C)이 인입되어 통과되도록 폐광케이블(C)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가이드부(110); 및 구동부(P)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가이드부(110)를 통과한 폐광케이블(C)을 이송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12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10)는 폐광케이블(C)이 인입되어 통과되도록 폐광케이블(C)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것으로, 전방 일측에서 후방 타측으로 갈수록 축경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110)는 폐광케이블(C)의 외경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탈부착된다.
한 쌍의 안내롤러(120)는 상하로 이격배치되어 구동부(P)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가이드부(110)를 통과한 폐광케이블(C)을 절개모듈(200)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안내롤러(120)는, 마찰력을 높여 폐광케이블(C)의 이송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폐광케이블(C)의 접촉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폐광케이블(C)의 외경과 대응되는 오목부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한 쌍의 안내롤러(120)는,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폐광케이블(C)의 접촉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안내롤러(120)와 폐광케이블(C)은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상호 간에 마찰력이 낮아 슬립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바, 폐광케이블(C)의 슬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와 돌기가 한 쌍의 안내롤러(120)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안내롤러(120)는 전후방향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공급모듈(100)은 한 쌍의 안내롤러(120)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한 쌍의 안내롤러(120)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절개모듈(200)은 공급모듈(1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광케이블(C)의 외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것으로, 인입되는 폐광케이블(C)의 외피의 상하 또는 좌우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인출한다.
절개모듈(200)은, 절단칼날(212)이 구비되어 폐광케이블(C)의 외피를 상하 또는 좌우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인출하는 커팅부(210);를 포함한다.
커팅부(210)는 가이드관의 상하 또는 좌우 양측에 절단칼날(212)이 구비되어 인입되는 외피의 상하 또는 좌우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분리모듈(300)로 이송시킨다.
이때, 절단칼날(212)은 조절볼트 등을 통해 절개되는 깊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가이드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분리모듈(300)은 절개모듈(20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폐광케이블(C)의 광섬유와 절개된 외피를 분리시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구동부(P)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절개모듈(200)로부터 인출되는 폐광케이블(C)을 가압하여 광섬유와 외피를 박리시키는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 광섬유와 박리된 외피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선별부(360); 선별부(360)를 통과한 외피의 일부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1이송롤러(320a, 320b); 및 선별부(360)를 통과한 외피의 다른 일부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2이송롤러(330a, 330b);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는 좌우로 이격배치되어 구동부(P)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절개모듈(200)로부터 인출되는 폐광케이블(C)을 가압하여 광섬유와 외피를 박리시키게 된다.
이때,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는, 마찰력을 높여 폐광케이블(C)의 이송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폐광케이블(C)의 접촉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폐광케이블(C)의 외경과 대응되는 오목부(312)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는, 폐광케이블(C) 외피를 물어 양단으로 벌어지도록 폐광케이블(C)의 접촉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의 돌기(314)가 각각 형성된다.
즉,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와 폐광케이블(C)은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상호 간에 마찰력이 낮아 슬립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바, 폐광케이블(C)의 슬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312)와 돌기(314)가 한 쌍의 안내롤러(120)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본체(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하면서 광섬유와 외피의 접착상태가 해제되도록 폐광케이블(C)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가압하고, 복수개의 돌기(314)가 폐광케이블(C) 외피를 물어 양단으로 벌어지함으로써 광섬유와 외피를 상호 분리하게 된다.
선별부(360)는 광섬유와 박리된 외피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로부터 박리된 광섬유를 후방측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고, 박리된 외피의 일부를 후방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며, 박리된 외피의 다른 일부를 후방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선별부(360)는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광섬유와 박리된 외피가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 쌍의 제1이송롤러(320a, 320b)는 선별부(360)를 통과한 외피의 일부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선별부(360)로부터 박리된 외피의 일부를 후방일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제1외피분리가이드(340)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한 쌍의 제2이송롤러(330a, 330b)는 선별부(360)를 통과한 외피의 다른 일부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선별부(360)로부터 박리된 외피의 일부를 후방타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제2외피분리가이드(350)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한 쌍의 제1이송롤러(320a, 320b)와 한 쌍의 제2이송롤러(330a, 330b)는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폐광케이블(C)의 접촉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제1외피분리가이드(340)는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외피의 일부를 후방측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고, 제2외피분리가이드(350)는 본체(10)의 상부 타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외피의 다른 일부를 후방측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제1, 제2외피분리가이드(350)는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가이드홈을 따라 외피가 이동하게 된다.
회수모듈(400)은 분리모듈(300)로부터 이송된 광섬유를 분쇄하여 포집하는 것으로, 분리모듈(300)로부터 이송된 광섬유를 분쇄부(420)로 투입하기 위한 회수부(410); 회수부(410)로부터 이송된 광섬유를 분쇄하는 분쇄부(420); 및 분쇄된 광섬유를 포집하는 포집부(4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분리모듈(300)은 회수부(410)를 통해 이송된 광섬유를 분쇄부(420)를 통해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포집부(430)에 저장하게 된다.
즉, 회수부(41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롤러를 통해 분리모듈(300)로부터 이송된 광섬유를 분쇄부(420)로 투입하게 되고, 분쇄부(420)는 회전커터가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회수부(410)를 통해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폐광케이블(C)을 연속적으로 절단하여 포집부(430)로 방출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커터는 회전축에 끼움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몸체의 외주면에 방사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칼날을 포함하며, 복수의 칼날이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폐광케이블(C)을 일정크기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자원회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개모듈(200)이 공급모듈(100)로부터 공급된 폐광케이블(C)의 외피를 절단칼날(212)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분리모듈(300)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분리모듈(300)이 폐광케이블(C)의 광섬유와 절개된 외피를 가압롤러(310)를 통해 분리시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회수모듈(400)이 분리모듈(300)로부터 이송된 광섬유를 회전커터를 통해 분쇄하여 포집하게 된다.
여기서, 분리모듈(300)의 제1, 제2이송롤러(330)가 분리된 외피를 제1, 제2외피분리가이드(350)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업성 결여 및 수출 규제로 사업활성화가 부진하고 전국에 방치되어 국토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광케이블(C)의 재활용을 위한 광섬유, 외피 등 각종 유용자원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어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00 : 공급모듈
110 : 가이드부
120 : 안내롤러
130 : 간격조절부
200 : 절개모듈
210 : 커팅부
212 : 절단칼날
300 : 분리모듈
310 : 가압롤러
312 : 오목부
314 : 돌기
320 : 제1이송롤러
330 : 제2이송롤러
340 : 제1외피분리가이드
350 : 제2외피분리가이드
360 : 선별부
400 : 회수모듈
410 : 회수부
420 : 분쇄부
430 : 포집부
C : 폐광케이블

Claims (7)

  1. 폐광케이블(C)을 공급하는 공급모듈(100);
    상기 공급모듈(100)로부터 공급된 상기 폐광케이블(C)의 외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절개모듈(200);
    상기 폐광케이블(C)의 광섬유와 절개된 외피를 분리시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하는 분리모듈(300); 및
    상기 분리모듈(300)로부터 이송된 상기 광섬유를 분쇄하여 포집하는 회수모듈(400);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모듈(300)은,
    구동부(P)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절개모듈(200)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폐광케이블(C)의 상기 광섬유와 상기 외피를 박리시키는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
    상기 광섬유와 박리된 상기 외피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선별부(360);
    상기 선별부(360)를 통과한 상기 외피의 일부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1이송롤러(320a, 320b);
    상기 선별부(360)를 통과한 상기 외피의 다른 일부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2이송롤러(330a, 330b);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롤러(320a, 320b)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외피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제1외피분리가이드(340); 및
    상기 한 쌍의 제2이송롤러(330a, 330b)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외피의 다른 일부를 배출시키는 제2외피분리가이드(35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와 상기 외피의 접착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폐광케이블(C)의 외면을 가압하며,
    상기 폐광케이블(C)의 접촉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복수개의 돌기(314)를 각각 형성하되, 각각의 돌기(314)가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의 회전에 따라 상호 맞닿도록 배치하고,
    상기 돌기(314)는,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의 회전에 따라 상기 폐광케이블(C)에 먼저 접촉하는 가장자리가 모서리지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압롤러(310a, 310b)가 회전할 때에 상기 외피로 파고들어 상기 외피를 물도록 구비됨으로써,
    가압에 의해 상기 광섬유와의 접착상태가 해제된 상기 외피의 일부를 상기 광섬유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롤러(320a, 320b) 방향으로 벌어지게 하고, 상기 외피의 다른 일부는 상기 광섬유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2이송롤러(330a, 330b) 방향으로 벌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100)은,
    상기 폐광케이블(C)이 인입되어 통과되도록 상기 폐광케이블(C)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가이드부(110); 및
    구동부(P)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부(110)를 통과한 상기 폐광케이블(C)을 이송하는 한 쌍의 안내롤러(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모듈(200)은,
    절단칼날(212)이 구비되어 상기 외피의 상하 또는 좌우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인출하는 커팅부(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가압롤러(310a, 310b)는,
    상기 폐광케이블(C)의 접촉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폐광케이블(C)의 외경과 대응되는 오목부(31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모듈(400)은,
    상기 분리모듈(300)로부터 이송된 상기 광섬유를 분쇄하는 분쇄부(420); 및
    분쇄된 상기 광섬유를 포집하는 포집부(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KR1020180168271A 2018-12-24 2018-12-24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KR102223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271A KR102223404B1 (ko) 2018-12-24 2018-12-24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271A KR102223404B1 (ko) 2018-12-24 2018-12-24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926A KR20200078926A (ko) 2020-07-02
KR102223404B1 true KR102223404B1 (ko) 2021-03-05

Family

ID=7159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271A KR102223404B1 (ko) 2018-12-24 2018-12-24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4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491B1 (ko) 2021-01-26 2023-06-02 주식회사 케이씨엠텍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749B1 (ko) * 2001-03-24 2003-07-12 임성기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소재 분리 회수장치
JP2004157317A (ja) 2002-11-06 2004-06-03 Nasu Seiko:Kk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層除去装置および被覆層除去方法
KR101039209B1 (ko) 2011-02-11 2011-06-03 이경호 광케이블 탈피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857A (ko) * 2010-12-16 2012-06-26 이동수 케이블의 피복체를 벗겨내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38232A (ko)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엘엠테크놀로지 폐광케이블 재생처리 시스템 및 재생처리 방법
KR101719333B1 (ko) * 2015-07-17 2017-03-24 주식회사 신아이앤아이 광케이블 박피 및 재활용 장치어셈블리
KR101835969B1 (ko) * 2016-05-13 2018-03-08 이영호 폐광케이블의 자원 재활용 제고를 위한 통합 재생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964081B1 (ko) * 2016-07-11 2019-07-31 최재성 광섬유 케이블 외피 탈피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749B1 (ko) * 2001-03-24 2003-07-12 임성기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소재 분리 회수장치
JP2004157317A (ja) 2002-11-06 2004-06-03 Nasu Seiko:Kk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層除去装置および被覆層除去方法
KR101039209B1 (ko) 2011-02-11 2011-06-03 이경호 광케이블 탈피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926A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306B1 (ko) 광케이블 탈피장치
KR102223404B1 (ko)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KR101778990B1 (ko) 폐자재용 파쇄장치
KR920004574B1 (ko) 폐기 타이어 절단 장치
AU2001253640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medical waste
KR101949965B1 (ko) 폐전선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폐전선의 유용 자원 회수 시스템
BR9913571A (pt) Aparelho cortador para unidade de descarte de resìduos
CN105976945A (zh) 一种无污染的废旧导线回收装置
KR101835969B1 (ko) 폐광케이블의 자원 재활용 제고를 위한 통합 재생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72984B1 (ko) 광케이블 피복 박리 및 절단장치
KR101998634B1 (ko)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KR100391749B1 (ko)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소재 분리 회수장치
KR20150012453A (ko) 케이블피복 절개롤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KR20180089002A (ko) 광케이블 탈피기
KR200482420Y1 (ko) 압착식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JP3974901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リサイクル方法および装置
KR20150012458A (ko) 케이블피복 탈피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피복 탈피장치
KR102072983B1 (ko) 광케이블 표면 절개장치
KR102203763B1 (ko) 잔해물 걸림이 없는 파봉장치
KR102467606B1 (ko) 광케이블용 외피 탈피 장치
KR101754621B1 (ko) 폐광케이블용 피복 분리장치
KR101968564B1 (ko) 폐 광케이블의 외부피복 분리시스템
KR200294404Y1 (ko) 폐전선 차핑시스템
CN106945331A (zh) 一种新型垃圾废料回收挤压装置
KR20020070408A (ko) 폐전선 차핑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