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899B1 -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 Google Patents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899B1
KR102222899B1 KR1020180043082A KR20180043082A KR102222899B1 KR 102222899 B1 KR102222899 B1 KR 102222899B1 KR 1020180043082 A KR1020180043082 A KR 1020180043082A KR 20180043082 A KR20180043082 A KR 20180043082A KR 102222899 B1 KR102222899 B1 KR 102222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groove
spherical
centr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742A (ko
Inventor
희민 박
안창모
Original Assignee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89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6Spherical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스페리컬 베어링의 기능을 가지면서 인발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스페리컬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페리컬 베어링은 베이스플레이트, 제 1,2 하부마찰판, 스테인레스판, 제 1,2 상부마찰판, 상부 및 하부 스페리컬캡, 상부플레이트,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 및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가이드플레이트에 의하여 일방향 가동단 방식으로 거동하며,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 및 가이드플레이트에 의한 부반력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SPHERICAL BEARING FOR WITHDRAWING PROTECTING FUNCTION USING T-TYPED UP-LIFT WITHDRAWING PROTECTING BAR AND GUIDE PLATE}
본 발명은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방향 가동단 방식의 스페리컬 베어링의 기능을 가지면서 인발력에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의 구성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교량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변위 및 이동 변위를 수용하는 교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각의 상측에 결착되고, 중앙 영역에 일정 곡률 반경의 구면자 안착홈이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71)와,
상기 구면자 안착홈에 상응하는 형상의 구면자와,
상기 구면자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교량 상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72)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72)에는 상기 교량의 교축 직각 방향으로 대향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73)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73)에 상기 교량의 교축 직각 방향으로 관통홀(74)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여 관통 삽입되는 핀(75)이 고정 형성되어,
상기 교량의 교축 방향으로의 회전 변위 발생시, 상기 구면자는 상기 구면자 안착홈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회전 변위를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의 관통홀에 관통 삽입된 핀(75)에 의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부발력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1b는 종래 가동형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즉, 교각에 앙카볼트에 의해 설치되고, 수평력을 받아주는 하부스토퍼(51)를 구비한 하답(50)과;
상판을 받쳐주고 수평력을 받아주는 상부스토퍼(61)를 구비한 상답(60)과;
상기 하답과 상답 사이에 설치되어 충격 및 진동(하중)을 받아주는 스페리칼베어링(70)으로 이루어진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답(50)의 하부스토퍼(51)와, 상답(60)의 상부스토퍼(61)의 내측면과 좌.우측면 사이에 상판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력을 받아주는 합성수지봉(80,90)이 각각 개재되어 있도록 함으로서,
평상시에 상부구조물로부터 발생하는 수평력을 합성수지봉(80,90)에 의해 효율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수평력에 의해 변위된 상답(60)이 하답(50)에 대하여 항상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c는 종래 상기 스페리컬 교량받침의 구성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 돌부(11)에 베어링플레이트(31)의 구면이 구름 회전되어지는 구면요입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양쪽으로 사이드블럭(14)이 설치되는 하부스토퍼(13)가 형성되어 있는 하답(10)과;
상기 하답(10)의 구면요부(12)에 안착되어 구름회전하는 구면을 형성하고 있고, 상면에는 상답(20)에 대하여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불소수지판(P.T.F.E)(34)을 포함 하는 고무패드(33)가 가황처리(열융착)되어 있으며, 불소수지판(34)의 구멍(34a)과 고무패드(33)의 구멍(33a)과 나란하는 핀고정구멍(32)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플레이트(31)로 이루어진 스페리컬베어링(30)과;
불소수지판(P.T.F.E)(34) 및 고무패드(33)를 구비한 베어링플레이트(30)의 핀고정구멍(32)에 끼워져, 상답(20)의 키홀에 삽입되는 핀(40)과;
상기 핀(40)의 끝단이 이격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는 깊이를 가지는 키홀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하답(10)의 하부스토퍼(13)에 규제되어지는 상부스토퍼(21)를 가지는 상답(20)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구면요부(12)를 가지는 돌부(11)와 이웃하는 양쪽에는 하부스토퍼(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스토퍼(13)에는 상답(20)을 잡아주는 사이드블럭(14)이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답(10)으로부터 상답(20)이 작용하중에 의하여 인발등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종의 스토퍼 역할을 하는 사이드블럭(14)을 채택하고 있지만 실제 이러한 사이드블록(14)은 걸림 수단 정도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속철도등과 같이 충격이 크게 작용하는 등의 여건에서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답(20)의 키홀에 삽입되는 핀(40)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핀은 상답을 베어링플레이트에 구속하기 위한 것이지 달리 인반력에 저항할 수 있는 수단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스페리컬 베어링에 있어 인반력을 제어하는 보다 효과적인 수단은 아직 소개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종래 스페리컬 베어링은 유지보수를 위한 분리형, 가동형 교량받침으로서 기능을 가지도록 제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지만, 특히 인반력에 효과적인 구성을 개시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98507(발명의 명칭: 스페리컬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공고일자: 2005년10월12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402133(발명의 명칭: 가동형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공고일자: 2005년11월2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34104(발명의 명칭: 강재를 이용한 교량 받침용 베어링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공고일자: 2011년08월3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3-0058993(발명의 명칭: 교량의 가동받침, 공고일자: 2003년07월07일)
이에 본 발명은 스페리컬 베어링에 있어서, 인발방지에 보다 효과적이며, 간단한 구조로서 일방향 가동단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중앙홀이 상면의 스페리컬홈 중앙 저면에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리컬홈에 수용 설치되는 하부 스페리컬캡; 상면에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상부 스페리컬캡을 수용할 수 있는 상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홈 저면 중앙에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가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소켓부를 관통하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의 스페리컬홈 상단에 상기 소켓부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홈에 수용 설치되는 상부 스페리컬캡; 상기 상부플레이트 상부 외주면에 가이드블록에 의하여 수평으로 고정 설치된 핀에 가이드되어 상부플레이트 상면에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 상부플레이트의 상면홈에 상부판과 수직나사봉 일부가 수용되면서, 상기 상부 스페리컬캡의 중앙홀, 상부플레이트의 중앙홀, 하부 스페리컬캡의 중앙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홀에 나사 체결되고, 상단은 상부플레이트의 상면홈 상단 내부에 형성되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를 포함하여, 상기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상부플레이트가 인발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페리컬 베어링은 체결방식으로 형성되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를 사용함에 따라 인발방지 효과가 매우 증진되며 추후 교체 시 회전방식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이며, 가이드플레이트에 의한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일방향 가동단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일방향 가동단 방식의 스페리컬 베어링의 구성사시도,
도 1b 및 도 1c는 종래 스페리컬 베어링의 구성사시도와 가동단 스페리컬 베어링의 구성사시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의 구성 입면도, 구성사시도 및 완성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100)의 구성 입면도, 구성사시도 및 완성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100)은 베이스플레이트(110), 제 1,2 하부마찰판(120a, 120b), 스테인레스판(130), 제 1,2 상부마찰판(140a, 140b), 상부 및 하부 스페리컬캡(150a, 150b), 상부플레이트(170),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 및 가이드플레이트(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교량하부구조물(예컨대 교각)에 미리 설치된 앵커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플레이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10) 상면은 스페리컬홈(112)이 파여진 홈 형태로 하부 스페리컬캡(150b)과 상부플레이트(170)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스페리컬홈(112)은 일정한 깊이와 직경을 가진 원형 홈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스페리컬홈(112) 중앙에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홀(11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상기 중앙홀(111) 내주면은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의 하단에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페리컬캡(150)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스페리컬캡(150a, 150b)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부 스페리컬캡(150b)은 교량상부구조물(예컨대 거더)의 온도, 작용하중에 의하여 교축방향등의 변위 발생을 상쇄 및 흡수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후술되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역시 중앙홀(151)이 형성되며 상면이 상방 만곡되고, 저면은 수평하게 형성된 링 형태의 강재, 황동판 등을 이용하게 되며, 이는 도 1a 및 도 1b를 기준으로 하면 베어링플레이트(31,70)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와 하부 스페리컬캡(150b) 사이에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제 1,2 하부마찰판(120a,120b)과 스테인레스판(1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하부마찰판(120a)은 상기 하부 스페리컬캡(150b)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수평판 형태의 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 스페리컬캡(150b)으로부터 전달되는 변위를 흡수하면서 지지하고, 작용하중을 베이스플레이트(1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스페리컬홈(112)에 수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스테인레스판(130)판은 제 1 하부마찰판(120a)과 스페리컬홈(112) 저면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하부마찰판(120a)과 하부 스페리컬캡(150b)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며 역시 중앙홀(131)이 형성된 링 형태로 스페리컬홈(112)에 수용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하부 스페리컬캡(150b) 상면에도 제 2 하부마찰판(120b)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하게 되는데 하부 스페리컬캡(150b) 상면은 곡면이므로 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중앙홀(121)이 형성되며 상면이 만곡된 링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부플레이트(170)의 하단 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제 2 하부마찰판(120b)은 상부플레이트(17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하부 스페리컬캡(150b)과 사이에서 전달 및 지지하면서 역시 링 형태로 홈인 스페리컬홈(112)에 수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상부 스페리컬캡(150a)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후술되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의 상부판(181) 저면과 상부플레이트(170)에 형성된 상면홈(172) 저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플레이트(170)의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스페리컬캡(150b) 보완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스페리컬캡(150a)도 역시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홀(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저면은 하방 만곡되도록 형성된 링 형태의 황동판 등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의 상부판(181) 저면과 상부플레이트(170)에 저면이 만곡되도록 형성된 상면홈(172) 저면 사이에는 제 1,2 상부마찰판(140a,140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마찰판(140a)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상부 스페리컬캡(150a) 저면과 상부플레이트(170)에 형성된 상면홈(172) 저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게 되는데 상부 스페리컬캡(150a) 저면은 곡면이므로 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중앙홀(141)이 형성되며 저면과 상면이 각각 만곡된 링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상면홈(172) 저면에 형성된 저면홈(173)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상부마찰판(140b)은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의 상부판(181) 저면과 상부 스페리컬캡(150a) 상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게 되는데 역시 중앙홀(141)이 형성되며 저면과 상면이 수평한 링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부 스페리컬캡(150a) 상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2 하부마찰판(140a,140b)은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상부플레이트(170) 내측에서 보다 용이하게 회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상부플레이트(170)에 형성된 상면홈(172)에 수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7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교량상부구조물(예컨대 거더)에 미리 설치된 소울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저면에 소켓부(174)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도 1a 및 도 1b를 기준으로 하면 상답(20,60)에 해당한다.
상기 소켓부(174) 하부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스페리컬홈(112) 상단 일정 깊이 끼워져 삽입 될 수 있도록 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연결된다.
이에 상기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면에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와 상부 스페리컬캡(150a)을 수용할 수 있는 상면홈(172)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홈(172) 저면 중앙에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소켓부(174)를 관통하는 중앙홀(17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중앙홀(171)에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체결되지 않고 관통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170) 저면은 하부 스페리컬캡(150b)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부 스페리컬캡(150b) 형상에 대응하는 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단 외주면에는 가이드플레이트(190)을 구성하는 핀(192)가 수평으로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핀홀을 형성시키게 되며, 핀(192)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가이드블록(391)이 역시 핀홀 주위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원형판 형태의 상부판(181)과 상부판(181) 중앙 저면 하방으로 연장된 원형 봉 형태의 수직나사봉(182)을 포함하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앙홀(111)에 하단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단 외주면에만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는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면홈(172)에 상부판(181)과 수직나사봉(182) 일부가 수용되면서,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면홈(172)에 역시 수용된 제 2 상부마찰판(140b)의 중앙홀(141), 상부 스페리컬캡(150a)의 중앙홀(151), 제 1 상부마찰판(140a)의 중앙홀(141), 상부플레이트의 중앙홀(171), 제 1 하부마찰판(120a)의 중앙홀(121), 하부 스페리컬캡(150b)의 중앙홀(151), 제 2 하부마찰판(120b)의 중앙홀(121)과 스테인레스판(130)의 중앙홀(131)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나사 체결된 상태가 되고, 수직나사봉(182)은 달리 나사 체결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되어 작용하중에 의한 스페리컬 베어링의 인발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0)는 상부플레이트(170)에 형성시킨 핀(192)에 끼워진 가이드플레이트(190)의 가이드(194)의 가이드홈(195)에 의하여 가이드플레이트(190)가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0)는 가이드블록(191), 핀(192), 가이드상부판(193), 가이드(194), 가이드홀(195), 상부 스테인레스판(196), 가이드 마찰판(197)을 포함한다.
먼저 가이드블록(191)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부 외주면에 블록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핀(192)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되며, 핀(192)의 안정적인 수평고정에 유리하도록 하고, 가이드(194)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등을 상쇄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핀(192)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가이드블록(191)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단에 일정한 깊이로 관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서 가이드블록(191)에 체결되도록 하면서 단부가 상부플레이트에 끼워지도록 설치할 경우 안정적인 수평 세팅이 가능하고 추후 분리도 용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상부판(193)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교량상부구조의 소우플레이트와 접하여 일체화되는 부위로서 교량상부구조가 일방향으로 가동되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판부재이다.
상기 가이드(194)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ㅁ자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홀(195)이 형성되어 상면은 가이드상부판(193) 저면에 일체화되어 있게 된다.
이에 가이드홀(195)은 핀(192)이 관통되어 핀(192)에 의하여 가이드(194)는 일방향 가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하면서 핀(192)에 의하여 교량하부구조와 일체화된 가이드플레이트가 인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에 가이드 마찰판(197)이 상부플레이트(170)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부 스테인레스판(196)이 가이드 마찰판(197)과 가이드플레이트(190) 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일방향 가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도 2c에 의하면, 상기 일방향 가동단 방식의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100)은 교량하부구조(교대, 교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앵커볼트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0), 상부플레이트(170)에 수용된 상,하로 세팅된 제 1,2 하부마찰판(120a, 120b), 스테인레스판(130), 제 1,2 상부마찰판(140a, 140b), 상부 및 하부 스페리컬캡(150a, 150b),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170)는 교량상부구조(거더등)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소울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방향 가동단 방식의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100)에 있어 스페리칼 기능 증진을 위하여 상부플레이트(170)에 수용된 상,하로 세팅된 제 1,2 하부마찰판(120a, 120b), 스테인레스판(130), 제 1,2 상부마찰판(140a, 140b), 상부 및 하부 스페리컬캡(150a, 150b),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110: 베이스플레이트 111: 중앙홀
112: 스페리컬홈 120a,120b: 제 1,2 하부마찰판
130: 스테인레스판 140a,140b: 제 1,2 상부마찰판
141: 중앙홀 150: 스페리컬캡
150a,150b: 상부 및 하부 스레리칼캡
151: 중앙홀
170: 상부플레이트 171: 중앙홀
172: 상면홈 173: 저면홈
174: 소켓부
180: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
181: 머리부 182: 수직나사봉
190: 가이드플레이트
191: 가이드블록 192: 핀
193: 가이드상부판 194: 가이드
195: 가이드홀 196: 상부 스테인레스판
197: 가이드 마찰판

Claims (8)

  1.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중앙홀(111)이 상면의 스페리컬홈(112) 중앙 저면에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0);
    중앙홀(151)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리컬홈(112)에 수용 설치되는 하부 스페리컬캡(150b);
    상면에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와 상부 스페리컬캡(150a)을 수용할 수 있는 상면홈(172)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홈(172) 저면 중앙에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가 관통 체결될 수 있도록 소켓부(174)를 관통하는 중앙홀(171)이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스페리컬홈(112) 상단에 상기 소켓부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70);
    중앙홀(151)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홈(172)에 수용 설치되는 상부 스페리컬캡(150a);
    상기 상부플레이트(170) 상부 외주면에 가이드블록(191)에 의하여 수평으로 고정 설치된 핀(192)에 가이드되어 상부플레이트(170) 상면에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플레이트(190);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면홈(172)에 상부판(181)과 수직나사봉(182) 일부가 수용되면서, 상기 상부 스페리컬캡(150a)의 중앙홀(151), 상부플레이트의 중앙홀(171), 하부 스페리컬캡(150b)의 중앙홀(151)을 관통하여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앙홀(111)에 나사 체결되고, 상단은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면홈 상단 내부에 형성되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를 포함하여,
    상기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0)로부터 상부플레이트(170)가 인발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하부 스페리컬캡(150b) 저면에는 제 1 하부마찰판(120a)이 더 장착되며, 상기 제 1 하부마찰판(120a)과 스페리컬홈(112) 상면 사이에 스테인레스판(130)이 더 설치되며, 상기 하부 스페리컬캡(150b) 상면에는 제 2 하부마찰판(120b)이 더 장착되며, 상기 제 1 하부마찰판(120a), 스테인레스판(130), 제 2 하부마찰판(120b)은 스페리컬홈(112)에 수용되며,
    상기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는,
    원형판 형태의 상부판(181)과 상부판(181) 중앙 저면 하방으로 연장된 원형 봉 형태의 수직나사봉(182)을 포함하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앙홀(111)에 하단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단 외주면에만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면홈(172)에 상부판(181)과 수직나사봉(182)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상면홈(172)에 수용 설치되는 상부 스페리컬캡(150a)의 상면과 저면에는 제 1 상부마찰판(140a)과 제 2 상부마찰판(140b)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 1 상부마찰판(140a)은 상부 스페리컬캡(150a) 저면과 상부플레이트(170)에 형성된 상면홈(172) 저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상면홈(172) 저면에 형성된 저면홈(173)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상부마찰판(140b)은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의 상부판(181) 저면과 상부 스페리컬캡(150a) 상면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되, 상부 스페리컬캡(150a) 상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2 하부마찰판(140a,140b)은 상부플레이트(170)에 형성된 상면홈(172)에 수용되도록 하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180)는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면홈(172)에 상부판(181)과 수직나사봉(182) 일부가 수용되면서,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면홈(172)에 수용된 제 2 상부마찰판(140b)의 중앙홀(141), 상부 스페리컬캡(150a)의 중앙홀(151), 제 1 상부마찰판(140a)의 중앙홀(141), 상부플레이트의 중앙홀(171), 제 1 하부마찰판(120a)의 중앙홀(121), 하부 스페리컬캡(150b)의 중앙홀(151), 제 2 하부마찰판(120b)의 중앙홀(121)과 스테인레스판(130)의 중앙홀(131)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앙홀(111)에 나사 체결되고, 상단은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면홈 상단 내부에 형성되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0)의 가이드블록(191)은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부 외주면에 블록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핀(192)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도록 하며,
    상기 핀(192)은 상기 가이드블록(191)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부플레이트(170)의 상단에 관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서 가이드블록(191)에 체결되도록 하면서 단부가 상부플레이트에 끼워지도록 설치할 경우 안정적인 수평 세팅이 가능하고 추후 분리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0)는 상부플레이트(170) 상면에 가이드상부판(193)이 슬라이딩 되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상부판(193)은 교량상부구조의 소우플레이트와 접하여 일체화되는 부위로서 교량상부구조가 일방향으로 가동되어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판부재이며,
    상기 가이드상부판(193)에는 가이드(194)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194)는 ㅁ자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홀(195)이 형성되어 상면은 가이드상부판(193) 저면에 일체화되도록 하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195)은 핀(192)이 관통되어 핀(192)에 의하여 가이드(194)는 일방향 가동 범위가 제한되도록 하면서 핀(192)에 의하여 교량하부구조와 일체화된 가이드플레이트가 인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여, 가이드 마찰판(197)이 상부플레이트(170)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도록 하고, 상부 스테인레스판(196)이 가이드 마찰판(197)과 가이드플레이트(190) 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일방향 가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KR1020180043082A 2018-04-13 2018-04-13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KR102222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082A KR102222899B1 (ko) 2018-04-13 2018-04-13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082A KR102222899B1 (ko) 2018-04-13 2018-04-13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42A KR20190119742A (ko) 2019-10-23
KR102222899B1 true KR102222899B1 (ko) 2021-03-05

Family

ID=6846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082A KR102222899B1 (ko) 2018-04-13 2018-04-13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2337A (zh) * 2022-06-16 2022-10-04 中铁工程设计咨询集团有限公司 一种连续梁结构
CN117552325B (zh) * 2024-01-08 2024-05-10 中裕铁信交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视化桥梁球型支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174Y1 (ko) * 2003-02-19 2003-06-09 조영철 교좌장치
KR101351069B1 (ko) 2013-10-01 2014-01-14 (주)디에스엘 완충구조를 갖는 감쇠용 교좌장치
CN105908622B (zh) * 2016-05-26 2018-03-09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抗拉拔球型支座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6685B2 (ja) * 1995-09-08 1997-11-17 株式会社カイモン 上揚力と水平力の制御装置組込み弾性支承装置
KR20030058993A (ko) 2003-05-22 2003-07-07 주식회사 창신엔지니어링 교량의 가동받침
KR200398507Y1 (ko) 2005-07-27 2005-10-12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200402133Y1 (ko) 2005-08-19 2005-11-25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가동형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101334104B1 (ko) 2011-07-20 2013-11-29 (주)광원아이앤디 강재를 이용한 교량 받침용 베어링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받침
KR101488790B1 (ko) * 2013-02-21 2015-02-11 황병호 유지보수가 용이한 분리형 교량 받침장치
KR101483071B1 (ko) * 2013-03-26 2015-01-16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부반력 저항 면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174Y1 (ko) * 2003-02-19 2003-06-09 조영철 교좌장치
KR101351069B1 (ko) 2013-10-01 2014-01-14 (주)디에스엘 완충구조를 갖는 감쇠용 교좌장치
CN105908622B (zh) * 2016-05-26 2018-03-09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抗拉拔球型支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42A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899B1 (ko) T형 업-리프트 인발방지구와 가이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인발방지용 스페리컬 베어링
KR101803421B1 (ko) 중앙부 설치형 부반력키를 구비한 교량용 스페리컬 받침
KR200473182Y1 (ko)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KR101336899B1 (ko) 교량받침 고정용 앵커볼트/앵커소켓을 이용한 수평력 제어장치
KR101003775B1 (ko) 교좌 장치
KR200429970Y1 (ko) 교량 받침용 다기능 앵커 소켓
CA3006387A1 (en) Elevator guide rail attachment clip
KR101370820B1 (ko) 교량받침장치
JP2015190583A (ja) 免震装置
KR20140056798A (ko) 덮개판과 지지대가 구비된 구조물의 마찰 진자받침
KR102058684B1 (ko) 탄성복원력을 활용한 교량받침장치
KR100820001B1 (ko) 댐퍼부재를 갖는 교좌장치
KR100687452B1 (ko) 교좌장치
JP2009150112A (ja) 構造体用耐震システム
KR200402133Y1 (ko) 가동형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JP2009133475A (ja) 回転吸収層付支承装置
KR101822905B1 (ko) 교량용 면진장치
JP2011027251A (ja) 免震球支承装置
KR101939149B1 (ko)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포트 베어링
KR200398507Y1 (ko)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101949142B1 (ko) 인발방지용으로 제작된 스페리컬 베어링
KR100613027B1 (ko) 교량지지용 폴리우레탄 내진완충받침
KR102076740B1 (ko) 기구설계를 이용하여 수평력을 저항하는 포트 받침
KR100577967B1 (ko) 구조물용 베어링장치
KR100679637B1 (ko) 핀 댐퍼 방식의 교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