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003B1 - Tamping device - Google Patents

Tamp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003B1
KR102221003B1 KR1020190121589A KR20190121589A KR102221003B1 KR 102221003 B1 KR102221003 B1 KR 102221003B1 KR 1020190121589 A KR1020190121589 A KR 1020190121589A KR 20190121589 A KR20190121589 A KR 20190121589A KR 102221003 B1 KR102221003 B1 KR 102221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mper
pinion gear
teeth
recess
t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5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세광
Original Assignee
오세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광 filed Critical 오세광
Priority to KR102019012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0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0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mping device with improved durability of a pinion gea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mping device which is composed of a main body, 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a tamper and a driving means, wherein the tamp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recess in which the pinion gear of the driving means can idle in the tamper, so that, among teeth of the pinion gear, the teeth in contact with a sawtooth unit of the tamper can be changed, thereby dispersing the degree of fatigue received by each tooth by the tamping operation and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inion gear.

Description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TAMPING DEVICE}Tamping machine with improved durability of pinion gear{TAMPING DEVICE}

본 발명은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어퍼클램프 및 로어클램프, 탬퍼 및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탬퍼에 구동수단의 피니언기어가 공회전 할 수 있는 리세스를 더 구비함으로서, 피니언기어의 이빨 중 탬퍼의 톱니부에 접촉되는 이빨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여 탬핑동작에 의해 각각의 이빨이 받는 피로도를 분산시켜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탬핑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mping machine with improved durability of a pinion gea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composed of a main body, 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a tamper and a driving means, wherein the pinion gear of the driving means can be idle to the tamper. Regarding the tamping machine tha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inion gear by further providing a recess, the teeth that contact the teeth of the tamper among the teeth of the pinion gear can be changed, thereby distributing the fatigue that each tooth receives by the tamping operation. will be.

최근 커피 소비의 급격한 증가로 커피 전문점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상기 커피 전문점에서 커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갈아진 커피를 포터 필터에 채운 후 탬퍼로 탬핑을 하고 상기 포터 필터를 커피 머신에 장착하여 에스프레소를 제조한다. 상기 탬핑에 의해 상기 포터 필터에 채워진 커피의 상부면이 평탄하게 되어야 에스프레소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탬핑이 커피 전문점에서 근무하는 사람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는데 작업하는 사람에 따라 탬핑 압력이 달라지거나 탬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에스프레소가 균일한 맛을 내지 못할 수 있다. 또, 탬핑 작업을 장시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의 손목이나 팔에 통증이 생기거나 이상이 오는 문제점이 있다.Due to the rapid increase in coffee consumption in recent years, many coffee shops are emerging. In order to manufacture a coffee beverage at the coffee shop, in general, ground coffee is filled in a porter filter and then tamped with a tamper, and the porter filter is mounted on a coffee machine to prepare an espresso. Espresso can be formed smoothly only when the top surface of the coffee filled in the porter filter is flattened by the tamping. Conventionally, the tamping was manually performed by a person working at a coffee shop. However, depending on the person working, the tamping pressure may vary or the tamping may not be properly performed, so that the espresso may not have a uniform tast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pain or abnormality occurs in the wrist or arm of the worker by performing the tamping operation for a long tim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자동으로 포타필터 내의 원두를 탬핑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3-0067719호 "자동 탬핑 장치"를 들 수 있다.Accordingly, a device for automatically tamping the beans in the porta filter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may include “automatic tamping device”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3-0067719.

상기 종래기술은 탬퍼에는 포터 필터로 인가된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감지부가 마련되고, 자동 탬핑 수단은 상기 탬퍼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탬핑 구동부,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 값을 설정하는 조작부, 상기 탬핑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에서 설정된 압력 값과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측정된 압력 값을 비교하고, 그 비교 값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탬핑 구동부를 일시 정지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탬핑 구동부, 제어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In the prior art, a pressure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pressure applied by a porter filter is provided in the tamper, and the automatic tamping means is a tamping driving unit that drives the tamper up and down, an operation unit that sets a pressure value desired by the user, and the tamping drive unit is controlled.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pressure value set by the control unit with the pressure value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and temporarily stopping the tamping driving unit when the comparison value matches, and the tamping driving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상기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탬핑동작, 즉 탬퍼를 2~3번 승하강 시켜 포타필터에 수용된 원두 파우더의 상면을 압착 및 평탄화할 때, 기어와 기어의 맞물림 동작으로 탬퍼를 승하강시키게 되는데, 이 때 기어에 형성되는 이빨들 중 특정 이빨만 계속 맞물리게 되어 탬핑 동작 시에 맞물리는 이빨이 받는 피로가 누적되어 마모되거나 쉽게 파손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Looking at the prior art, when the tamper is lifted and lowered 2 to 3 times to compress and flatt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ffee bean powder accommodated in the porta filter, the tamper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meshing motion of the gear and the gear. Among the teeth formed in the teeth, only certain teeth are continuously engaged, so that fatigue received by the teeth engaged during the tamping operation accumulates and wears out or is easily damaged, thereby reducing durabilit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본체, 어퍼클램프 및 로어클램프, 탬퍼 및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탬핑기에 있어서, 구동수단의 피니언기어가 공회전 할 수 있도록 탬퍼에 리세스를 구비한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mping machine comprising a main body, 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a tamper, and a driving means, which improves the durability of a pinion gear having a recess in the tamper so that the pinion gear of the driving means can idle.

구체적으로, 상기 피니언기어가 리세스 내에서 공회전함에 따라 기존에 탬퍼의 톱니부와 접촉했던 이빨이 아닌 다른 이빨이 톱니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변경됨으로서, 이빨이 받는 피로도를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Specifically, as the pinion gear idly rotates in the recess, teeth other than teeth that have previously contacted the teeth of the tamper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eeth, thereby distributing the fatigue of the teeth and improving the durability. It aims to provide a tamping machine.

또한 상기 탬퍼에는 피니언기어를 리세스에 위치시키도록 하강된 탬퍼를 다시 원위치 시키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탬퍼를 상승시킬 수 있는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mper with improved durability that can raise the tamper without a separate driving device by having an elastic body that repositions the lowered tamper to place the pinion gear in the recess in the tamper.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amping machine with improved durability of the pinion 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포타필터가 장착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탬퍼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A main body comprising a space portion on which a porta filter is mounted and a tamper housing provided above the space portion;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에 장착되는 포타필터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어퍼클램프 및 로어클램프;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respectively suppor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rta filter mounted in the space;

상기 공간부에 장착된 포타필터 내의 커피를 탬핑하도록 상기 어퍼클램프에 구비되는 탬퍼헤드와, 상기 탬퍼헤드에 구비되며 일측에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부 상부에 리세스가 형성된 탬퍼축을 포함하는 탬퍼;A tamper including a tamper head provided on the upper clamp to tamp coffee in the potafilter mounted on the space, and a tamper shaft provided on the tamper head and having a toothed portion formed at one side and having a reces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oothed portion ;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구비되며 상기 탬퍼축의 톱니부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A driving means including a drive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pinion gear provided in the drive motor and meshing with a toothed portion of the tamper shaft;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Including,

상기 피니언기어가 리세스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탬퍼를 하강시키면,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리세스내에서 공회전하여 톱니부에 맞물리는 이빨이 변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tamper is lowered so that the pinion gear is located in the recess, the pinion gear is idle in the recess so that the teeth meshing with the teeth can be chang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는As described above, the tamping machine having improved durability of the pinion 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탬핑동작을 위해 톱니부가 형성된 탬퍼와, 이 톱니부에 맞물리도록 복수의 이빨을 가진 피니언기어를 구비한 구동수단에 있어서,In the drive means having a tamper having a toothed portion for a tamping operation and a pinion gear having a plurality of teeth so as to mesh with the toothed portion,

상기 탬퍼에 피니언기어가 공회전 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리세스를 더 구비함으로서, 피니언기어의 이빨 중 톱니부에 접촉되는 이빨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하여 이빨이 받는 피로도를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further comprising a recess in the tamper to form a space so that the pinion gear can idle, the teeth of the pinion gear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eeth can be changed, thereby distributing the fatigue of the teeth and improving durability. There is an effect.

즉, 상기 피니언기어에 형성되는 이빨을 고르게 사용함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안정적인 탬핑동작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by evenly using the teeth formed in the pinion gear,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durability, extending life, and maintaining a stable tamping operation.

또한 상기 리세스는 상기 탬퍼의 탬퍼축 상부에 구비되어, 피니언기어를 공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탬퍼를 하강시키되, 상기 탬퍼 상부에 탄성체를 더 구비하여 별도의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 없이 다시 원위치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구성을 간단히 하고, 다음번 탬핑동작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cess is provided above the tamper shaft of the tamper to lower the tamper to idle the pinion gear, but by further providing an elastic body above the tamper so that i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ithout a driving means such as a separate motor.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and allowing the next tamping operation to proceed smooth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의 실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mping machine with improved durability of a pinion 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 tamping machine with improved durability of a pinion 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mplementation view of a tamping machine with improved durability of a pinion g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of the bar, implementation (態樣, aspect) (or embodiment) that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tens and ones, or the same number of tens, ones, and alphabet indicate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of the drawings The member indicated by the reference number can be identifie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criteria.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in each drawing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 (or thick) or small (or thin) or simplified the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but this limi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n'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sun, 態樣, aspect)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consist~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기어(53)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T)는 본체(10)와, 어퍼클램프(20) 및 로어클램프(30), 탬퍼(40), 구동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tamping machine (T) with improved durability of the pinion gear 5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n upper clamp 20 and a lower clamp 30, a tamper 40, and a driving means 50 As a result,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먼저, 본 명세서에서의 탬핑기(T)는 분쇄기(G)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체(10)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쇄기(G)는 포타필터에 원두를 분쇄하여 파우더 형식으로 채우기 위한 장치이며, 도면과 달리 상기 분쇄기(G)와 탬핑기(T)가 각각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Firs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amping machine (T) consists of a main body (10) in which a grinder (G) consists of one component, and the grinder (G) is a device for pulverizing coffee beans in a portafilter and filling them in a powder form. Unlike the drawings, the grinder G and the tamping machine T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devices,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and interpreted.

다시, 상기 탬핑기(T)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어퍼클램프(20) 및 로어클램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 전면에는 안착부(11)가 형성되며, 이 안착부(11)는 포타필터가 장착되는 공간으로, 상기 포타필터는 어퍼클램프(20)와 로어클램프(30) 사이에 안착된다.Again, the tamping machine T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n upper clamp 20 and a lower clamp 3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more specifically,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seating portion 11 is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11, which is a space in which a porta filter is mounted, and the porta filter is seated between the upper clamp 20 and the lower clamp 30.

상기 본체(10)에는 탬퍼(40)가 승하강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탬퍼(40)하우징(15)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탬퍼(40)하우징(15) 하부에 어퍼클램프(20)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종래에는 상기 탬퍼(40)하우징(15)과 어퍼클램프(20)가 일체형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탬퍼(40)하우징(15)을 수평방향으로 분할시켜 하부에 어퍼클램프(20)를 탈착 가능하게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탬퍼(40)하우징(15)의 하부면과 상기 어퍼클램프(20)의 상부면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tamper 40 housing 15 so that the tamper 40 can elevate and descend, and the upper clamp 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amper 40 housing 15. It consists of a structure, and conventionally, the tamper 40 housing 15 and the upper clamp 20 were made of an integral memb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mper 40 housing 15 is di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upper clamp 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form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amper 40 housing 1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lamp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coupled and separated by a coupling means. It is characterized.

다시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제어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어부(13)는 상기 탬퍼(40)의 동작을 실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압착 강도 및 횟수, 빠르기 등을 설정하거나, 탬퍼(40)를 아래로 내리는 동작을 하기 위한 제어부(13)로, 탬퍼(40)의 탬핑동작은 후술하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탬퍼(40)를 아래로 내리기 위한 동작은 탬퍼(40)를 청소하기 위함이거나, 피니언기어(53)를 리세스(433) 내에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Again, a control unit 1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ntrol unit 13 does not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tamper 40, but sets the compression strength, the number of times, the speed, etc., or the tamper ( A control unit 13 for lowering the 40), and the tampering operation of the tamper 40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a sensor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peration for lowering the tamper 40 is a tamper. It is for cleaning 40, or for seating the pinion gear 53 in the recess 433.

상기 탬퍼(40)는 포타필터에 수용된 커피 파우더를 가압하도록 탬퍼헤드(41)와, 상기 탬퍼헤드(41)에 구비되는 탬퍼축(4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탬퍼축(43)의 외면 일측에는 톱니부(431)가 형성되고, 이 톱니부(431)에 구동수단(50)의 피니언기어(53)가 맞물리는 형태로 구성된다.The tamper 40 is composed of a tamper head 41 and a tamper shaft 43 provided in the tamper head 41 to pressurize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porta filter, and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amper shaft 43 The toothed portion 431 is formed, and the pinion gear 53 of the driving means 50 is meshed with the toothed portion 431.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수단(50)은 구동모터(51)와, 상기 구동모터(51)의 축에 구비되되 외면에 복수의 이빨(531)을 갖는 피니언기어(5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피니언기어(53)의 이빨(531)이 상기 톱니부(431)에 맞물림에 따라 구동수단(50)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상기 탬퍼(40)를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driving means 50 is made of a driving motor 51 and a pinion gear 53 provided on the shaft of the driving motor 51 a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531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nd the pinion gear ( As the teeth 531 of 53) are engaged with the teeth 431, the tamper 40 can be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ing means 50.

아울러 상기 탬퍼(40)와 구동수단(50)은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며, 상기 탬퍼축(43)과 피니언기어(53)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47)가 더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the tamper 40 and the driving means 50 ar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 separate cover 47 for protecting the tamper shaft 43 and the pinion gear 53 is further provided. It is equipped.

도2는 상기 커버(47)가 구비된 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커버(47)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2 shows the inside of the cover 47, and FIG. 3 shows the cover 47 in a separated state.

도2 및 도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탬퍼축(43)의 톱니부(431)가 피니언기어(53)의 이빨(531)과 맞물려 탬핑동작, 즉 탬퍼(40)의 승하강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때 원형의 피니언기어(53) 외측에 형성된 이빨(531) 중 어느 특정한 이빨(531)만 상기 톱니부(431)와 접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in more detail, the teeth 431 of the tamper shaft 43 are engaged with the teeth 531 of the pinion gear 53 to perform a tamping operation, that is,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of the tamper 40 The operation is repeated. At this time, only a specific tooth 531 among the teeth 531 formed outside the circular pinion gear 5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oothed portion 431.

이는 탬핑동작에 의해 일어나는 문제인데, 탬핑동작은 상기 탬퍼(40)를 2~3회 짧게 승하강시켜 포타필터 내부의 파우더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특정한 이빨(531)만 접촉하게 되면 이 이빨(531)의 피로도가 다른 이빨(531)들보다 높아져 쉽게 마모 또는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This is a problem caused by the tamping operation, and the tamping operation is driven by a method of pressing the powder inside the porta filter by briefly raising and lowering the tamper 40 2 to 3 times, and when only specific teeth 531 contact Since the fatigue of the teeth 531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eeth 531, a problem that can be easily worn or damaged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피니언기어(53)를 공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변칙적, 임의적, 또는 설정된 회전각 만큼 피니언기어(53)를 공회전 시켜 톱니부(431)와 접촉되는 이빨(531)을 변경하여 피로도를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ion gear 53 is configured to be idle, and the pinion gear 53 is idle by an anomalous, arbitrary, or set rotation angle to change the teeth 531 in contact with the teeth 431 to reduce fatigu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ersion.

이를 위하여 상기 탬퍼축(43) 상부, 즉 톱니부(431) 상부에는 리세스(433)가 구비되어 피니언기어(53)의 이빨(531)이 맞물리지 않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To this end, a recess 433 is provided on the tamper shaft 43, that is, on the toothed portion 431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teeth 531 of the pinion gear 53 do not mesh.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버튼 또는 제어부(13)를 통하여 상기 탬퍼(40)를 하강시키면 상기 피니언기어(53)는 톱니부(431)와 맞물리다가 리세스(433)에 위치하면 공회전이 가능해지고, 이 때 상기 피니언기어(53)가 설정된 회전각, 또는 임의적으로 공회전을 하며, 다시 탬퍼(40)가 상승하면 기존에 톱니부(431)와 접촉되었던 이빨(531)이 아닌 다른 이빨(531)이 톱니부(431)에 접촉하여 탬핑동작에 의해 이빨(531)이 받는 피로도를 고르게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lowers the tamper 40 through a separate operation button or the control unit 13, the pinion gear 53 engages with the toothed portion 431 and is positioned in the recess 433 to allow idle rotation. , At this time, the pinion gear 53 is set at a set rotation angle, or is idling at random, and when the tamper 40 rises again, a tooth 531 other than the teeth 531 that were in contact with the tooth 431 It is possible to improve durability by evenly distributing the degree of fatigue received by the teeth 531 by contacting the teeth 431 and tamping.

또한 상기 탬퍼(40)를 하강시키는 원리는 상기 탬퍼(40)에 별도의 구동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구동수단(50)의 피니언기어(53)를 회전시켜 탬퍼(40)를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피니언기어(53)가 회전하여 탬퍼(40)가 하강하면 피니언기어(53)가 리세스(433)에 위치하여 역회전시켜도 다시 탬퍼(40)를 상승시킬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탬퍼(40)를 상승시키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45)를 더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inciple of lowering the tamper 40 is to lower the tamper 40 by rotating the pinion gear 53 of the driving means 50 without having a separate driving device in the tamper 40, When the pinion gear 53 rotates and the tamper 40 descends, the tamper 40 cannot be raised again even if the pinion gear 53 is located in the recess 433 and rotates reverse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tamper 4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45 that imparts an elastic force so as to raise the tamper 40.

상기 탄성체(45)는 상기 탬퍼축(43) 상부 부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탬퍼축(43)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에 밀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47)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탬퍼(40)가 하강하면 상기 탄성체(45)가 수축되어 탬퍼(40)를 다시 상승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elastic body 45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amper shaft 43, and on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tamper shaft 43, and the oth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7 to tamper ( When 40) is lowered, the elastic body 45 is contract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raising the tamper 40 again.

나아가 상기 리세스(433) 내에서 상기 구동수단(50)이 지속적으로 공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탄성체(45)가 있다 하더라도 상기 탬퍼(40)는 다시 상승하기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구동수단(50)에 가해지는 부하가 사라지면 상기 구동수단(50)이 정 또는 역방향으로 무동력으로 공회전 될 수 있도록 설정하여 탄성력에 의한 탬퍼(40)의 상승을 유도하고,Furthermore, in the case where the driving means 50 continuously idles within the recess 433, even if the elastic body 45 is present, the tamper 40 is difficult to rise again, so a separate sensor is further provided.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drive means 50 disappears, the drive means 50 is set to be idle with no power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induce the rise of the tamper 40 by the elastic force

센서가 감지하는 시간적 딜레이 또는 설정값에 따라 리세스(433)내에서 일부 회전한 후 무동력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여 톱니부(431)에 접촉되는 이빨(531)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예를 들어 부하(톱니부(431)와의 접촉)가 사라지면 설정된 값 만큼 공회전 한 후 동력이 차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 temporal delay detected by the sensor or a set value, the teeth 531 contacting the teeth 431 can be changed by partially rotating in the recess 433 and then changing to a non-powered state. For example, when the load (contact with the teeth 431) disappears, the power can be set to be cut off after idle as much as a set value.)

본 발명의 탬핑기(T)에 장착되는 포타필터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피 파우더를 수용하는 바스켓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바스켓의 입구는 원형의 형상으로, 상기 필터헤드의 형상 또한 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스켓 내의 파우더를 균일하게 압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porta filter mounted on the tamping machine 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a basket for accommodating coffee powder is formed, and the inlet of the basket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filter head has a circular shape. It is made so that the powder in the basket can be uniformly compressed.

본 발명은 종래의 탬핑장치들과 마찬가지로, 포타필터를 안착부(11)에 장착하면 상기 탬퍼(40)가 하강하여 파우더를 압착하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은 탬퍼(40)가 하강할 때 포타필터의 바스켓을 정확한 위치에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맞춘다 하더라도, 상기 탬퍼(40)가 하강하면서 바스켓의 테두리에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in conventional tamping devices, when the porta filter is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11, the tamper 40 descends and compresses the powder. This method allows the porta filter when the tamper 40 is lowered. There is a problem of having to adjust the basket to the correct position, and even if the tamper 40 is adjusted to the correct position,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tamper 40 falls and collides with the edge of the basket.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어퍼클램프(20)를 도입한 것으로서, 상기 어퍼클램프(20)에는 관통공(25)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5)에 상기 탬퍼헤드(41)가 위치하고 있다가, 탬핑동작에 의해 포타필터로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troduce the upper clamp 20 to solve this problem, the through hole 25 is formed in the upper clamp 20, the tamper head 41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25 Then, it is made to be able to descend to the porta filter by the tamping operation.

또한 상기 어퍼클램프(20) 하단에는 포타필터의 상부 테두리가 끼워질 수 있는 안착가이드(23)가 더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a seating guide 23 into which the upper edge of the porta filter can be fitted is furth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lamp 20.

따라서 사용자가 포타필터의 상부 테두리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안착가이드(23)에 끼우면, 상기 포타필터의 테두리와 상기 관통공(25)의 테두리가 밀착되고, 상기 장착공의 중점과, 상기 바스켓의 중점이 가상의 수직선상에 놓이도록 정위치되며, 이 결과, 상기 관통공(25)의 내벽과 상기 수용부의 내벽이 동일선상에 배치됨에 따라 탬퍼헤드(41)가 하강할 때 상기 탬퍼헤드(41)가 관통공(25)의 내벽과 수용부의 내벽을 따라 하강하여 파우더를 압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user inserts the upper rim of the porta filter into the seating guide 23 in a sliding manner, the rim of the porta filter and the rim of the through hole 25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midpoint of the mounting hole and the midpoint of the basket. The tamper head 41 is positioned so as to lie on this imaginary vertical line, and as a result, when the tamper head 41 descends as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5 and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ortion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It descends along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5 and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art to compress the powder.

아울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1)에는 로어클램프(30)가 더 구비되어, 포타필터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seating portion 11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wer clamp 30, 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 filter.

상기 로어클램프(30)는 포타필터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상의 장착부(31)를 형성하여, 상기 포타필터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lower clamp 30 is configured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porta filter by forming a mounting portion 31 having an open side to insert the porta filter in the sliding direction.

아울러, 상기 안착부(11)의 일측, 즉 본체(10)에는 센서부가 더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센서부는 금속 성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상기 센서부가 금속성분을 감지하면 상기 탬퍼(40)의 탬핑동작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sensor part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11, that is, the main body 10, and the sensor part is a sensor that detects a metal component, and when the sensor part detects a metal component, the tamper 40 is tamped. It serves to direct the action.

이는 일반적으로 포타필터, 보다 정확하게 포타필터의 바스켓은 내열성이 확보되는 금속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포타필터가 안착부(11)의 끝까지 정확하게 안착될 때 상기 센서부가 바스켓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is is generally a porta filter, and more accurately, the basket of the porta filter is made of a metal component that ensures heat resistance, and when the porta filter is accurately seated to the end of the seating portion 11, the sensor unit can recognize the basket, It ha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탬퍼헤드(41)가 어퍼클램프(20)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평상시에는 탬퍼헤드(4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서 탬퍼헤드(41) 외면에 이물질이 묻는 등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위생적이라는 특징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tamper head 41 is located inside the upper clamp 20 as described above, the tamper head 41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normal times, so that foreign substances are embed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amper head 41 It is hygienic by preventing it.

그러나 탬퍼헤드(41)는 탬핑동작에 의해 파우더에 접촉되고, 접촉된 파우더가 탬퍼헤드(41)가 승강할 때 함께 올라가 상기 관통공(25)의 내벽과 탬퍼헤드(41) 사이에 파우더가 묻거나, 교차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However, the tamper head 4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owder by the tamping operation, and the contacted powder rises together when the tamper head 41 is raised and lowered, and powder is deposit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5 and the tamper head 41. Or cross-contamination, etc. may occur,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수시로 탬퍼헤드(41)를 청소해야 하고, 탬퍼헤드(41)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탬퍼(40)를 어퍼클램프(20) 및 탬퍼(40)하우징(15)으로부터 분리 및 분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user has to clean the tamper head 41 from time to time, and in order to clean the tamper head 41, the tamper 40 must be separated and disassembled from the upper clamp 20 and the tamper 40 housing 15. This can cause hassle.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어퍼클램프(20)를 상기 탬퍼(40)하우징(15)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구성하며, 어퍼클램프(20)를 탬퍼(40)하우징(15)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탬퍼(40), 보다 정확하게는 탬퍼헤드(41)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under the tamper 40 housing 15, and the upper clamp 20 is separated from the tamper 40 housing 15. When separated, the tamper 40, more precisely, a part or all of the tamper head 41 may be exposed to facilitate cleaning.

상기 어퍼클램프(20)는 상기 탬퍼(40)하우징(15)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어퍼클램프(20)는 상기 탬퍼(40)하우징(15)에 결합수단(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clamp 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provided under the tamper 40 housing 15, and the upper clamp 20 is attached to the tamper 40 housing 15 and a coupling means (not shown).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bined by.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어퍼클램프(20)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돌기와, 상기 탬퍼(40)하우징(15)에 상기 결합돌기가 내삽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홀 및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 또는 결합홀의 내측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상호간에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마그넷을 포함하는 구성을 말한다.The coupling means includes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clamp 20, a coupling hole provided to allow the coupling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tamper 40 housing 15,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t refers to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agnet so that it is provided inside the end or the coupling hole, or both, and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magnetic properties.

이 때 상기 결합수단은 마그넷 뿐만 아니라, 후크결합, 부직포, 상호 결합되는 홈과 돌기 등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means may be composed of not only magnets, but also hook couplings, nonwoven fabrics, grooves and protrusions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and interpreted.

따라서, 사용자가 탬퍼헤드(41)를 청소할 때, 상기 어퍼클램프(20)를 탬퍼(40)하우징(15)로부터 아래로 분리시켜, 노출된 탬퍼헤드(41)를 청소하고, 청소 후 다시 결합시키면, 상기 마그넷의 자성에 의해 탬핑기(T)를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when the user cleans the tamper head 41, the upper clamp 20 is separated downward from the tamper 40 housing 15, the exposed tamper head 41 is cleaned, and then reassembled after cleaning. ,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leaning by allowing the tamping machine T to be operated by the magnetism of the magnet.

또한 상기 어퍼클램프(20)를 보다 손쉽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어퍼클램프(20)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돌기(21)가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eparate the upper clamp 20 more easily, one or two or more handle protrusions 21 protruding outward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lamp 20.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탬핑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bove, a tamping machine having a specific shap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substitu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 : 탬핑기 G : 분쇄기
10 : 본체 11 : 안착부
13 : 제어부 15 : 탬퍼하우징
20 : 어퍼클램프 21 : 손잡이돌기
23 : 안착가이드 25 : 관통공
30 : 로어클램프 31 : 장착부
40 : 탬퍼 41 : 탬퍼헤드
43 : 탬퍼축 431 : 톱니부
433 : 리세스 45 : 탄성체
47 : 커버 50 : 구동수단
51 : 구동모터 53 : 피니언기어
531 : 이빨
T: Tamping machine G: Grinder
10: main body 11: seating portion
13: control unit 15: tamper housing
20: upper clamp 21: handle protrusion
23: seating guide 25: through hole
30: lower clamp 31: mounting part
40: tamper 41: tamper head
43: tamper shaft 431: tooth portion
433: recess 45: elastic body
47: cover 50: drive means
51: drive motor 53: pinion gear
531: teeth

Claims (4)

포타필터가 장착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탬퍼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에 장착되는 포타필터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지지하는 어퍼클램프 및 로어클램프;
상기 공간부에 장착된 포타필터 내의 커피를 탬핑하도록 상기 어퍼클램프에 구비되는 탬퍼헤드와, 상기 탬퍼헤드에 구비되며 일측에 톱니부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부 상부에 리세스가 형성된 탬퍼축을 포함하는 탬퍼;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구비되어 상기 탬퍼축의 톱니부에 맞물리도록 복수의 이빨을 갖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피니언기어가 리세스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탬퍼를 하강시키면,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리세스내에서 공회전하여 톱니부에 맞물리는 이빨이 변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
A main body comprising a space portion on which a porta filter is mounted and a tamper housing provided above the space portion;
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respectively support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rta filter mounted in the space;
A tamper including a tamper head provided on the upper clamp to tamp coffee in the potafilter mounted on the space, and a tamper shaft provided on the tamper head and having a tooth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recess formed on the toothed portion ;
A driving means including a drive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pinion gear provided in the drive motor and having a plurality of teeth to mesh with the teeth of the tamper shaft;
Including,
Tamping with improved durability of a pinion gea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amper is lowered so that the pinion gear is located in the recess, the pinion gear is idle in the recess so that teeth meshing with the teeth can be changed. grou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탬퍼축의 상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가 리세스 내에 위치하도록 하강시킨 탬퍼를 다시 상승 시켜 원위치 시키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upper part of the tamper shaft
A tamping machine with improved durability of the pinion gea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body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tamper lowered so that the pinion gear is located in the recess is raised again to return the tamper to its original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탬퍼축의 리세스에 위치하도록 탬퍼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lowering the tamper so that the pinion gear is positioned in the recess of the tamper shaf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가 리세스에 위치하면, 기 설정된 회전량만큼 공회전 한 후 정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니언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탬핑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n the pinion gear is located in the recess, the tamping machine with improved durability of the pinion gear,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ion gear is made to stop after idling by a predetermined amount of rotation.
KR1020190121589A 2019-10-01 2019-10-01 Tamping device KR1022210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589A KR102221003B1 (en) 2019-10-01 2019-10-01 Tamp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589A KR102221003B1 (en) 2019-10-01 2019-10-01 Tamp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003B1 true KR102221003B1 (en) 2021-02-26

Family

ID=7468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589A KR102221003B1 (en) 2019-10-01 2019-10-01 Tamp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0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5965B1 (en) * 2022-09-15 2023-10-15 Alexander Gmainer Device for a portafilter that can be filled with coffee pow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7719A (en) * 2011-12-14 2013-06-25 조성래 Atomatic tamping apparatus
KR20160106234A (en) * 2015-03-02 2016-09-12 김영준 Chopping device of coffee beans
KR20180063846A (en) * 2016-12-02 2018-06-12 그루포 침발리 에스.피.에이. Apparatus for pressing a dose of coffee within the portafil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7719A (en) * 2011-12-14 2013-06-25 조성래 Atomatic tamping apparatus
KR20160106234A (en) * 2015-03-02 2016-09-12 김영준 Chopping device of coffee beans
KR20180063846A (en) * 2016-12-02 2018-06-12 그루포 침발리 에스.피.에이. Apparatus for pressing a dose of coffee within the portafil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5965B1 (en) * 2022-09-15 2023-10-15 Alexander Gmainer Device for a portafilter that can be filled with coffee powder
AT525965A4 (en) * 2022-09-15 2023-10-15 Alexander Gmainer Device for a portafilter that can be filled with coffee pow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4457B2 (en) Coffee grinder
DK2701563T3 (en) Weighing device for an espresso coffee machine, and an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such a device
KR102221003B1 (en) Tamping device
WO2011109873A1 (en) Conical burr grinder
AU2021407394A1 (en) Tamp and portafilter holder
US6802246B1 (en) Timer tea maker
CN2810441Y (en) Improved coffee machine
KR102255169B1 (en) Tamping device
CN108784367A (en) A kind of coffee bean grinding device convenient for cleaning
CN208925924U (en) Automatic powder feeding device and bean-grinding coffee machine
CN108784421A (en) A kind of granularity regulating mechanism of coffee bean grinding device
CN208892297U (en) A kind of coffee bean grinding device convenient for cleaning
CN108552959B (en) Coffee machine
CN208892296U (en) A kind of milling mechanism on coffee machine
KR101256960B1 (en) Massager with a bed
CN108542264A (en) A kind of milling mechanism on coffee machine
CN216098004U (en) Sand sheet machine for pan
JP3245754U (en) coffee bean grinder
CN208610611U (en) A kind of pressure-type coffee machine of band mill beans
CN220360323U (en) Novel coffee machine
CN115998152A (en) Coffee machine for simulating manual brewing
CN219556966U (en) Coffee powder pressing device
KR102412091B1 (en) Automatic tempering device for coffee machine
CN108542264B (en) Grinding mechanism on coffee machine
CN205125994U (en) Overware displacement config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