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347B1 - Clip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nd connection system for social safety ne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lip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nd connection system for social safety ne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347B1
KR102220347B1 KR1020150188130A KR20150188130A KR102220347B1 KR 102220347 B1 KR102220347 B1 KR 102220347B1 KR 1020150188130 A KR1020150188130 A KR 1020150188130A KR 20150188130 A KR20150188130 A KR 20150188130A KR 102220347 B1 KR102220347 B1 KR 102220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nsor
emergency situation
bio
safety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8029A (en
Inventor
이정기
양철승
유호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88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347B1/en
Publication of KR2017007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3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7Measuring contraction of parts of the body, e.g. organ, mus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rsing (AREA)
  • Critical Car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lmon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사용자 복부의 압박 및 상기 압박의 속도를 검출하여 호흡량 및 호흡 횟수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 상기 복부 내의 장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검출하는 마이크 센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발생되는 신체의 균형 및 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 상기 복부로 인해 발생되는 구부림을 검출하여, 복부 비만을 측정하는 플렉스(Flex) 센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부착 유무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마이크 센서, 상기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 상기 플렉스 센서, 상기 적외선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부 및 응급상황 발생시 위치정보 획득을 위한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respiration and the number of breaths by detecting the compression of the user's abdomen and the speed of the compression, a microphone sensor that detects sound generated in the organs in the abdomen, the An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balance and speed of the body caused by the user's movement, a Flex sensor that measures abdominal obesity by detecting the bend caused by the abdomen, and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ttachment to the user.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frared sensor, the pressure sensor, the microphone sensor, the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the flex sensor, and the infrared sensor, detects the user's biological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occurs ,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data transmission and a GPS sensor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Description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CLIP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ND CONNECTION SYSTEM FOR SOCIAL SAFETY NET USING THE SAME}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same {CLIP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ND CONNECTION SYSTEM FOR SOCIAL SAFETY N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a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same.

생체신호 측정 장치들은 크게 신체 외부의 신호를 측정하여 관리하는 개념과 신체 내부의 신호를 측정하여 관리하는 개념인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신체 외부 신호를 측정하고 활용하는 연구는 많은 발전이 되고 있지만, 신체 내부의 신호를 측정하고 활용하는 연구는 더 많은 발전이 필요하다. 특히, 신체 내부의 신호를 측정 장치들은 의료기관과 개개인이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대부분 신체 내부의 신호를 측정할 때, 신체가 부동자세가 되거나 또는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이 필요하고, 제한적인 환경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실정이다.Bio-signal measuring device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the concept of measuring and managing signals outside the body and the concept of measuring and managing signals inside the body. Research that measures and utilizes signals outside the body is making a lot of progress, but studies that measure and utilize signals inside the body require further development. In particular, devices that measure signals inside the body are generally used by medical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and most of them are used only in limited environments when the body is in an immobile position or requires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when measuring signals inside the body. This is possible.

한편, 개인의 위급 상황과 연계되는 기존의 사회 안전망 시스템과 관련 기술들은 CCTV와 스마트 기기간의 지속적인 연결을 계속적으로 유지함으로 인해서,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계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드론을 활용한 정찰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구간을 일정한 시간에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위급 상황에 대응되는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social safety net system and related technologies that are linked to an individual's emergency situation continuously maintain a continuous connection between CCTV and smart devices, so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may be continuously generated, and reconnaissance using drones is generally Since a certain section is repeatedly performed at a certain ti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decreases.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디바이스로 신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신체 정보에 대한 사항을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인식 가능한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directly recognizing more accurate body information in real time by a user by measuring bio-signals generated inside the body with a small device, and a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same.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무신경한 환경에서도 자동적으로 생체 신호의 측정이 가능하고, 통신으로 사용자의 기기에 센싱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헬스케어가 실시간으로 가능하고, 전송된 데이터의 저장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한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measure a bio-signal even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insensitive, and by transmitting sensing data to the user's device through communication, the user's healthcare is possible in real time, and through storage of the transmitted data. It is to provide a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continuous management and a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질병을 인지하기 전에 질병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여 위험상황을 조기에 발견 가능하도록 하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며, 위급상황 발생시 주변에 상황을 전파하여 드론 또는 CCTV의 호출을 실행하기 때문에 위급상황의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information about a disease before a user recognizes a disease to enable early detection of a dangerous situation, and it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so that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capable of immediate response 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same, because the situation is propagated and a drone or CCTV call is execut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사용자 복부의 압박 및 상기 압박의 속도를 검출하여 호흡량 및 호흡 횟수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 상기 복부 내의 장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검출하는 마이크 센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발생되는 신체의 균형 및 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 상기 복부로 인해 발생되는 구부림을 검출하여, 복부 비만을 측정하는 플렉스(Flex) 센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부착 유무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마이크 센서, 상기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 상기 플렉스 센서, 상기 적외선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senso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respiration and the number of breaths by detecting the compression of the user's abdomen and the speed of the compression, in the organs in the abdomen. A microphone sensor that detects the sound generated, an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balance and speed of the body generated by the user's movement, and a flex sensor that measures abdominal obesity by detecting the bend caused by the abdomen ,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ttachment to the user, and the pressure sensor, the microphone sensor, the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the flex sens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frared sensor, and detecting the user's biosignal,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occurs.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의복에 탈부착이 가능한 클립 형태 또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띠에 탈부착이 가능한 버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lip that is detachable to the user's clothing or a buckle form that is detachable to the user's waistband.

실시 예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상기 생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의 신체 상태를 감시하도록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bio-signal to the user's smar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user monitors his or her physical condition in real time. can do.

실시 예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상황 발생시, 상기 스마트 기기에 상기 위급상황의 발생을 알림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급상황에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외부의 CCTV 및 패트롤 드론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응급상황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it further comprises a GPS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mart device to control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at the same time as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smart devic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 emergency protocol for transmitting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to external CCTV and patrol drones in real time may be perform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은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 CCTV, 패트롤 드론 및 관제센터를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및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급 상황 및 상기 위급 상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회 안전망에 전달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a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 CCTV, a social safety net including a patrol drone and a control center, and the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it may include a smart device that transmits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social safety net.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시에만, 상기 위급 상황 및 상기 위급 상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회 안전망에 전달하고, 그와 함께, 상기 스마트 기기 내부에 저장된 연락처에 긴급 구호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mart device transmits the emergency situation and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social safety net only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automatically sends an emergency relief message to a contact stored in the smart device. Can be sent to.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소형의 디바이스로 신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신체 정보에 대한 사항을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a biosignal generated inside the body with a small device, the user can directly recognize a matter for more accurate body information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무신경한 환경에서도 자동적으로 생체 신호의 측정이 가능하고, 통신으로 사용자의 기기에 센싱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헬스케어가 실시간으로 가능하고, 전송된 데이터의 저장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measure a biosignal even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is insensitive, and by transmitting sensing data to the user's device through communication, the user's healthcare is possible in real time, Continuous management may be possible through storage of transmitted data.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질병을 인지하기 전에 질병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여 위험상황을 조기에 발견 가능하도록 하고, 소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며, 위급상황 발생시 주변에 상황을 전파하여 드론 또는 CCTV의 호출을 실행하기 때문에 위급상황의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user recognizes the disease, the information on the disease is detected so that the dangerous situation can be detected early, and it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respond to the emergency situation because the situation is propagated to the surrounding area and calls to a drone or CCTV are execu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의 앞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a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front side of a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a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의 신체 내부의 생체 신호 측정 및 검사는 측정 및 검사시, 신체가 부동자세로 되거나 또는 제한적인 환경이 필요하므로 측정과 검사를 위하여 사용자는 그에 따른 시간을 별도로 할애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그리고, 생체 신호 측정 및 검사시, 필요한 장치들이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측정 부담감을 느끼게 될 수 있었고, 또한 사용자 스스로가 생체 신호 측정 및 검사를 수행하였을 경우, 신뢰성 있는 측정이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and examination of a living body signal, the body is in an immovable posture during measurement and examination, or a limited environment is required. Therefore, for the measurement and examination, the user has to spend a separate time accordingly. In addition, when measuring and inspecting a physiological signal, necessary devices may feel a sense of burden of measurement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and in some cases, when a user himself/herself measures and inspects a physiological signal, reliable measurement may be difficult.

한편,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가 조금이라도 이상한 경우, 그제서야 신체의 문제를 인지하고, 신체에 대한 검사와 측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질병이 조기에 발견되기 어려웠고, 그에 따라 질병의 확산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또한, 미세한 생체신호를 계측함에 있어서, 외부환경 및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데이터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s body is even a little strange, then because the user recognizes the problem in the body and performs inspection and measurement on the body, it was difficult to detect the disease early, and there was concern about the spread of the disease. . In addition, in measuring fine biometric signals, data errors are often generated due to external environments and movements of the body, resulting in poor reliability.

이와 더불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 폰과 연동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은 CCTV와의 지속적인 연결로 인한 배터리의 소모 전력이 크고, 하나의 CCTV가 다중 타겟을 동시에 관리할 수 없었고, 드론을 활용한 정찰시간을 제외한 시간대에는 계속적으로 위험상황 우발지역이 되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 social safety net system interlocking with wearable devices and smartphones consumes large battery power due to continuous connection with CCTV, and one CCTV could not manage multiple targets at the same time, and during times except for reconnaissance time using drones. There was a limit to being a contingency area of a dangerous situation continuously.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확장성 및 활용성이 용이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하거나 버클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WIFI, BT 등의 통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지 및 기록이 실시간으로 가능하고, 위급상황시에만 외부의 CCTV 및 드론과의 연계를 통한 응급상황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e or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uckle to facilitate expandability and us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and is connected to the user's smart device through communication such as WIFI, BT, etc. Recognition and recording are possible in real time, and we propose a technology that performs an emergency situation protocol through linkage with external CCTV and drones only in emergency situ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의 뒷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a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허리띠(120)에 탈부착이 가능한 클립 형태 또는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110 can be seen as an exampl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lip or buckle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aistband 120 that is used by a user.

도 1에 도시된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의 형태는 본 발명의 가용성, 휴대성, 편의성, 활용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의복 하의 등에 탈부착이 되어 신체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shape of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shown in FIG. 1 is an example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availability, portability, convenience, and ut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user's clothing, etc. As a result, it is not excluded that it is manufactured in various other forms that can reduce the burden of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110)는 압력센서(111),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112), 적외선 센서(113), 플렉스(Flex) 센서(114) 및 마이크센서(1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직접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해당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사용 수명 및 크기를 고려하여, 리튬 등을 이용한 소형 건전지가 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 1,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110 includes a pressure sensor 111, an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112, an infrared sensor 113, a flex sensor 114, and a microphone sensor 115. ) Can be includ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directly in FIG. 1,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ments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Here, the battery may be a small battery using lithium or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 life and size.

압력 센서(111)는 사용자 복부의 압박 및 해당 압박의 속도(주기)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호흡량 및 호흡 횟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 센서(111)는 검출된 압박 및 해당 압박의 속도와 함께, 사용자의 호흡량 및 호흡 횟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미도시)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111 may detect the compression of the user's abdomen and the speed (cycle) of the compression, and measure the user's respiratory volume and the number of breaths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111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user's respiration volume and the number of respirations, along with the detected compression and the corresponding compression rate, to a controller (not shown) in real time.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112)는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발생되는 신체의 균형 및 속도를 검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의 움직임은 사용자의 보행(걸음), 달리기, 앉기, 일어서기 및 눕기 등과 같은 다양한 움직임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112)는 검출된 신체 균형 및 속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112 can detect the balance and speed of the body generated by the user's movement, where the user's movement is a variety of movements such as the user's walking (walking), running, sitting, standing up and lying down. Includes. In addition, the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112 may transmit the detected body balance and spe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in real time.

적외선 센서(113)는 사용자가 해당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110)를 현재 착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부착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적외선 센서(113) 또한, 검출된 부착 유무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infrared sensor 113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user is currently wearing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110. In addition, the infrared sensor 113 may als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detected attachment or not to the control unit in real time.

플렉스 센서(114)는 구부림을 검출하는 센서로, 사용자의 복부로 인해 발생되는 구부림을 검출하고, 그에 기반하여 사용자 복부의 비만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렉스 센서(114)에 의하여 측정되는 복부 비만은 하복부 비만을 제외한 복부 비만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스 센서(114)는 측정된 복부 비만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flex sensor 114 is a sensor that detects bending, and may detect bending caused by the user's abdomen, and measure obesity of the user's abdomen based thereon. Here, the abdominal obesity measured by the flex sensor 114 may be abdominal obesity excluding lower abdominal obesity. In addition, the flex sensor 114 may transmit the measured information on abdominal obesity to the controller in real time.

마이크 센서(115)는 사용자 복부 내의 장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검출하는 장치로, 복부 내의 장음을 측정하여 질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게 한다. 마이크 센서(115)도 측정된 소리(장음)를 제어부에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microphone sensor 115 is a device that detects sound generated in an organ in the user's abdomen, and enables early diagnosis of a disease by measuring a bowel sound in the abdomen. The microphone sensor 115 may also transmit the measured sound (long sound) to the controller in real time.

제어부는 압력센서(111),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112), 적외선 센서(113), 플렉스(Flex) 센서(114) 및 마이크센서(115)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압력센서(111),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112), 적외선 센서(113), 플렉스(Flex) 센서(114) 및 마이크센서(115)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에 기반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gener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sensor 111, the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112, the infrared sensor 113, the flex sensor 114 and the microphone sensor 115, and the pressure sensor 111 ),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112, infrared sensor 113, flex (Flex) sensor 114, by detecting the user's bio-signals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icrophone sensor 115, whether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occurs Can judge.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110)는 소리 출력부 및 진동 발생부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기준 및 제어부에서 판단된 결과에 따라,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자체가 사용자에게 위급상황 발생 등을 알릴 수도 있다.And, although not shown,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110 may additionally include a sound output unit and a vibration generation unit, an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nd a result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itself You can also notify them of an emergency situation.

또한,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110)는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110)는 해당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등)로 감지된 생체 신호를 전달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의 신체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통신부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 모듈은 wifi 및 bluetooth 에 관한 통신 모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11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n addition,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110 transmits a biosignal detected by a smart device (smart phone, etc.) possessed by the user through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user can monitor his or her physical condition in real time. Here,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s, and in detai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related to wifi and bluetooth.

위와 같은 구성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생체 신호 측정방법이 아닌 사용자 의복 또는 허리띠 등에 부착하여, 사용자가 무신경한 환경에서도 자동적으로 생체 신호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결국,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 측정된 생체 신호를 전송함으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헬스케어가 가능하고 하였고, 측정된 정보를 저장하여 생체 신호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s,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user's clothing or waistband, not a complicated and cumbersome biosignal measurement method, so that the biosignal can be automatically measured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user is insensitive. Eventually,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transmits the measured biometric signal to the user's smar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enabling the user to perform health care in real time, and store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enable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biosig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의 앞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front side of a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허리띠(120)의 버클(130)에 부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예이며,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자체가 허리띠(120)의 버클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2, it can be seen that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is attached to the buckle 130 of the waistband 120, which is an example, and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itself is in the form of a buckle of the waistband 120 It can be produced as described abov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위급상황 발생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 신체에 위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실시간으로 알림과 동시에, 해당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위치 정보 및 발생된 위급상황에 관련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외부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in real time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in the user's smart device, and at the same time, controls the smart device to control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generated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related to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in real time. To this end,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P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그리고,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위치 정보 및 발생된 위급상황에 관련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대상은 외부의 CCTV 및 패트롤 드론이 될 수 있고, 또한 해당 CCTV 및 패트롤 드론을 제어하는 관제센터가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external CCTV and patrol drones can be the targets that transmit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ergent situation in real time, and the control center that controls the CCTV and patrol drones It could be.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실시간으로 응급상황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외부의 기기(또는 관제센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or control center) to perform an emergency protocol in real time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user's bod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소형 PCB에 제작될 수 있고, 앞서 설명된 구성들이 모두 패키징된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센싱된 데이터를 내장되는 메모리(SD카드 등)에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의료기관 방문시 해당 메모리를 탈착하여 제출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on a small PCB,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module in which all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packaged. In addition,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may store the sensed data in a built-in memory (SD card, etc.), and the user may detach and submit the memory when visiting a medical institution.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질병을 인지하기 전에 위험상황을 조기에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위급상황시 응급상황 프로토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클립 형태 또는 버클 형태와 같이 소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용성, 편의성, 활용성이 증가될 수 있다.Eventually,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determine a dangerous situation early before recognizing a disease, and to perform an emergency protocol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clip type or a buckle type. It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so that i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so that availability, convenience, and utility can be increas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a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은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310), 사용자 스마트 기기(320), 방법 CCTV(330) 및 패트롤 드론(34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nd the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same may include a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310, a user smart device 320, a method CCTV 330, and a patrol drone 340. have.

도 3의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310)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310 of FIG. 3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CCTV(330) 및 패트롤 드론(340)은 실시간으로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로, 이들을 제어하는(관할하는) 관제센터를 통하여, 사회 안전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CCTV(330), 패트롤 드론(340) 및 관제센터는 스마트 기기(32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위급상황에 CCTV(330) 및 패트롤 드론(340)이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The CCTV 330 and the patrol drone 340 are devices capable of acquiring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may perform a social safety net function through a control center that controls (controls) them. Here, the CCTV 330, the patrol drone 340 and the control center are connected to the smart device 320 through a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real time, and accordingly, the CCTV 330 and the patrol drone 340 in an emergency situ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respond in real time.

스마트 기기(3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스마트폰이 될 수 있지만,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310)와 무선 통신(wifi, bt 등)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위급 상황에 대한 정보 등을 외부의 사회 안전망(330, 340)에 전송할 수 있는 다른 장치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smart device 320 may be a smartphone as shown, but is connected to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310 by wireless communication (wifi, bt, etc.), so tha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society. Other devices capable of transmitting to the safety nets 330 and 340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함께, 스마트 기기(320)는 위급 상황 발생시에만, 위급 상황 및 위급 상황에 관한 정보를 사회 안전망(330, 340)에 전달함과 더불어, 스마트 기기 내부에 저장된 연락처 또는 미리 설정된 연락처에 긴급 구호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mart device 32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social safety nets 330 and 340 only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an emergency relief message to a contact stored inside the smart device or a preset contact. Can also be sent automatically.

종래에는 CCTV와 스마트 기기간의 연결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불필요한 경우에 까지 전력이 소모되거나 또는 패트롤 드론을 활용한 정찰은 일정한 구간에 일정한 시간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실제적인 위급 상황에 대한 대응 효율이 저하되었다. Conventionally,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CCTV and smart devices is continuously maintained, power is consumed until unnecessary cases, or reconnaissance using patrol drones is repeatedly perform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certain section,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response to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은 위급 상황 발생시에만 주변의 CCTV 및 패트롤 드론을 연계하여, 현재 상황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자 등에게 즉각적인 상황판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고, 지속적인 통신이 없는 상태에서도, 위급 상황 발생시, 신뢰성 높은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CCTV 및 패트롤 드론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일정한 구역 내의 다중 타겟에 대한 상황 추적이 가능하도록 패트롤 드론과 CCTV를 호출할 수 있게 한다.However,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same connect CCTV and patrol drones around the vicinity only in case of an emergency, so that the image of the current situation can be transmitted in real time, so that an immediate situation to a rescuer, etc. Make judgment possi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CCTV and patrol drones based on reliable biometric information in case of an emergency, even in the absence of user intention and continuous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all a patrol drone and CCTV to enable situation tracking for multiple targets within a certain area.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은 위급 상황 발생시에만 CCTV 및 패트롤 드론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추적하기 때문에, 평상시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 할 수 있다.Through this, since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the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ck the user using CCTV and patrol drones only when an emergency occurs,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battery consumption.

결국,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은, 소형의 디바이스로 신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신체 정보에 대한 사항을 사용자가 직접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무신경한 환경에서도 자동적으로 생체 신호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통신으로 사용자의 기기에 센싱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헬스케어가 실시간으로 가능하도록 하며, 전송된 데이터의 저장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lip-typ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and the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 a bio-signal generated inside the body with a small device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recognize in real time more accurate body information. It enables the user's healthcare to be performed in real time by allowing the user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bio-signal even in an insensitive environment, and by transmitting sensing data to the user's device through communication, and continuing through the storage of the transmitted data. You can make it manageable.

따라서,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refore,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사용자의 허리띠에 탈부착이 가능한 버클 형태로 제작되는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에 있어서,
사용자 복부의 압박 및 상기 압박의 속도를 검출하여 호흡량 및 호흡 횟수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
상기 복부 내의 장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검출하는 마이크 센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발생되는 신체의 균형 및 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
상기 버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허리띠 착용시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버클을 기준으로 상부 복부로 인해 발생되는 구부림을 검출하여, 복부 비만을 측정하는 플렉스(Flex) 센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부착 유무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 상기 마이크 센서, 상기 가속도 및 자이로 센서, 상기 플렉스 센서, 상기 적외선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In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uckle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user's waistband,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respiration volume and a number of breaths by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user's abdomen and the speed of the compression;
A microphone sensor that detects sound generated by organs in the abdomen;
An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for detecting the balance and speed of the body generated by the user's movement;
A flex sensor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uckle, protruding to the outside when the user wears the waistband, detecting bending caused by the upper abdomen based on the buckle, and measuring abdominal obesity;
An infrared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ttachment to the user; An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sensor, the microphone sensor, the acceleration and gyro sensor, the flex sensor, and the infrared sensor, detect a bio-signal of the user, and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has occurred.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상기 생체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자신의 신체 상태를 감시하도록 하는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A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the bio-signal to the user's smar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so that the user monitors his or her physical condition in real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급상황 발생시, 상기 스마트 기기에 상기 위급상황의 발생을 알림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위급상황에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외부의 CCTV 및 패트롤 드론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응급상황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PS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When the emergency occurs, the smart device is notified of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smart device is controlled to transmit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to an external CCTV and patrol drone in real time. A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that performs an emergency protocol that is transmitted to
제 1 항, 제3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생체신호 측정 디바이스;
CCTV, 패트롤 드론 및 관제센터를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및
상기 생체 신호 측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급 상황 및 상기 위급 상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회 안전망에 전달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는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A social safety net equipped with CCTV, patrol drones and control centers; And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using a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comprising a smart device that transmits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and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social safety net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o-signal measurement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위급 상황 발생시에만, 상기 위급 상황 및 상기 위급 상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회 안전망에 전달하고, 그와 함께, 상기 스마트 기기 내부에 저장된 연락처에 긴급 구호 메시지를 자동으로 송신하는 생체신호측정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회 안전망 연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smart device,
Using a biometric signal measuring device that transmits the emergency situation and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social safety net only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automatically transmits an emergency relief message to a contact stored in the smart device. Social safety net linkage system.
KR1020150188130A 2015-12-29 2015-12-29 Clip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nd connection system for social safety net using the same KR1022203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30A KR102220347B1 (en) 2015-12-29 2015-12-29 Clip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nd connection system for social safety net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30A KR102220347B1 (en) 2015-12-29 2015-12-29 Clip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nd connection system for social safety ne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029A KR20170078029A (en) 2017-07-07
KR102220347B1 true KR102220347B1 (en) 2021-02-26

Family

ID=5935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130A KR102220347B1 (en) 2015-12-29 2015-12-29 Clip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nd connection system for social safety ne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3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7977A (en) * 2021-11-09 2022-03-11 上海卓菡科技有限公司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wearable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and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5906A (en) * 2010-10-21 2012-05-10 Sharp Corp Device for monitoring living body, method for monitoring living body, system for monitoring living body,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ntrol program is recorde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658A (en) * 2007-05-14 2008-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aistband with health management function
KR20110077294A (en) * 2009-12-30 2011-07-07 (주)아이블포토닉스 Safety monitor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5906A (en) * 2010-10-21 2012-05-10 Sharp Corp Device for monitoring living body, method for monitoring living body, system for monitoring living body,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control program is record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029A (en)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6146B1 (en) Human body condition and behaviour monitoring and alarm system
CN101073494B (en) Non-invasive life evidence monitor, monitor system and method
KR102312272B1 (en)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a wearable device
US11253200B2 (en) Garment system providing biometric monitoring
US20150130613A1 (en) Selectively available information storage and communications system
CN205667545U (en) A kind of wearable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underwear
US20140135591A1 (en) Footwear capable of being wirelessly charged and transmitting biological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heal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footwear,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CN103919539A (en) Human physiological status monitoring spectacles
KR101817273B1 (en) Smart bel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611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hysiological signal
JP2001198110A (en) Body action sensing device
KR20200095457A (en) Systems and devices for non-surgical drinking detection
CA3110482A1 (en) Garment system providing biometric monitoring for medical condition assessment
JP2019155078A5 (en)
CN111213145A (en) Authentication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WO2018121244A1 (en) Wired system for monitoring and warning human body condition and behaviour
KR101986088B1 (en) Internet of thing device linked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 bio-signal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007533A (en) Wanderer position management system
KR101050280B1 (en) Physiological signal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092301A (en) IoT based Cardiopulmonary and Heart Rate Measuring System for Exercise Load Estimation
KR102220347B1 (en) Clip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and connection system for social safety net using the same
Meng et al. Wearable systems and applications for healthcare
KR20230049144A (en) Smart wristband for inpatient monitoring
US20240057876A1 (en) Medical monitoring and reporting device
AU2019315875A1 (en) Garment system providing biometric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