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522B1 - Valve apparatus available for opening and closing and flow control - Google Patents

Valve apparatus available for opening and closing and flow contr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522B1
KR102218522B1 KR1020190012564A KR20190012564A KR102218522B1 KR 102218522 B1 KR102218522 B1 KR 102218522B1 KR 1020190012564 A KR1020190012564 A KR 1020190012564A KR 20190012564 A KR20190012564 A KR 20190012564A KR 102218522 B1 KR102218522 B1 KR 10221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flow
flow path
gea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5019A (en
Inventor
노성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양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양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양에코
Priority to KR1020190012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522B1/en
Publication of KR2020009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5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2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구조와 구성이 간단하면서 손쉬운 사용이 가능한 유체용 밸브의 레버 회전을 통한 개폐조절 기능과 유체의 유량조절 기능이 동시에 가능하고, 급격한 유량의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유속이나 압력 등에 따른 물리력에 의해 밸브의 고정 위치가 변화지 않고 견고히 지지되어 유체로 인한 밸브의 개폐가 발생되지 않으며, 유속이나 압력 등에 따른 밸브의 고정 위치가 변화지 않아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밀림 등이 발생되는 종래의 볼밸브 등에서 나타나던 문제점이 보완되면서 일정한 유량 확보가 가능하고, 유체의 흐름과 조절판의 각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난류의 발생에 따라 조절판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방지되고, 이를 통해 기계적인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개폐 및 유량 조절이 동시에 가능하면서 일정한 유로의 확보가 가능하여 고압의 유체를 다루는 소방분야 등을 포함하는 산업분야의 전반에 용이하게 접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유로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유로에 통과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되게 하는 유량조절부와, 상기 유량조절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유량조절부에 결합된 기어체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결합된 기어부 및 상기 기어체와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기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유체가 설정된 유량으로 통과하게 상기 유량조절부를 제어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The present disclosure enables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function and the flow rate control function of the fluid by rotating the lever of the fluid valv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configuration, and is easy to use, and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or pressure caused by rapid changes in flow rate. As a result, the fixed position of the valve does not change and is firmly supported, so that the valve does not open and close due to the fluid, and the fixed position of the valve does not chang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r pressure, so that it is rotated or pushed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A constant flow rate can be secured while th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ball valve are compensated, and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control plate is prevented by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flow of fluid and the angle of the control plate, thereby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 and noise. It is possible to open and close and control the flow rate at the same time and secure a certain flow path, so it is easily grafted into the entire industrial field including the firefighting field that handles high pressure fluid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quickly and conveniently. It relates to a valve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rate.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a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inlet and an outlet, a body portion having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and outlet therein, and a sliding movement inside the body portion in which the flow path is forme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possible, and a flow control unit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during sliding movement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and a gear coupled to the flow control unit such that the flow control unit slides in the body part A gear unit having a sieve therein, and one end of the gear unit coupled to the side of the body unit, and one end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rotatably provided in the gear unit, and rotating the rotation shaft by an external force to the flow path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lever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control unit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passage at a set flow rate.

Description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VALVE APPARATUS AVAILABLE FOR OPENING AND CLOSING AND FLOW CONTROL}Valves that can open and close and control flow rate {VALVE APPARATUS AVAILABLE FOR OPENING AND CLOSING AND FLOW CONTROL}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용 밸브의 레버 회전을 통한 개폐조절 기능과 유체의 유량조절 기능이 동시에 가능한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에 관한 것이다.
The cont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a flow rate, and in particular, to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a flow rate capable of simultaneously controlling an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through a lever rotation of a fluid valve and a flow rate control function of a fluid.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nclusion in this section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일반적으로 밸브는 관로의 도중이나 용기에 설치하여 유체의 유량, 압력 등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용도 및 목적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In general, valves are devices that are installed in the middle of a pipeline or in a container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a fluid, and are of various types according to use and purpose.

이러한, 밸브는 밸브 플러그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유량과 압력 등의 제어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밸브로는 볼밸브가 대표적이다.Such a valve allows the flow rate to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plug, and a ball valve is a typical valve that is commonly used for control of flow rate and pressure.

볼밸브는 직선형의 유로에 볼타입의 디스크가 직각 또는 분할되는 각도로 돌면서 밸브를 개폐하거나 방향을 전환 시켜주는 밸브이다.A ball valve is a valve that opens or closes a valve or changes its direction while rotating a ball-type disk in a straight flow path at a right angle or split angle.

여기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볼밸브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로서, 도 1에 따른 종래의 일반적인 볼밸브의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볼밸브는 기본적으로 본체(1), 레버(2), 볼(3), 씰(40) 그리고 씰플러그(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FIG.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ll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all valve according to FIG. 1, the ball valve is basically a main body 1, a lever 2, It consists of a ball (3), a seal (40) and a seal plug (5).

상기 볼(3)은 레버(2)와 연결되며 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전됨으로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며,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3)은 씰(4)에 의해 감싸여져 있고, 상기 씰(4)을 적정압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씰플러그(5)가 결합되어 있다.The ball (3) is connected to the lever (2) and is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ever to block the flow of fluid. In order to maintain airtightness, the ball (3) is enclosed by a seal (4), The seal plug 5 is coupled as a means to pressurize the seal 4 to an appropriate pressure.

이때, 상기 씰플러그(5)는 본체(1)와 나사결합되며, 이 씰플러그 내부에는 유로(5a)가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seal plug 5 is screwed with the main body 1, and a flow path 5a is formed inside the seal plug.

이와 같은 볼밸브는 사용이 간편하고 기밀성도 비교적 우수할 뿐 아니라 개방했을때 밸브의 유로가 정확하게 직선으로 개방되는 형식이므로 압력강하가 작은 장점을 갖는다.Such a ball valve is easy to use, has relatively excellent airtightness, and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mall pressure drop since the flow path of the valve is opened in a straight line when opened.

또한, 볼이 회전할때 밀착하여 구동하므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이나 점성이 높은 유체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비교적 개페의 신뢰성이 높은 등의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ll is driven in close contact when rotating, there is an advantage of relatively high reliability of opening and closing even when applied to foreign substances such as sludge or fluid with high viscosity.

하지만, 전술된 바에 따른 일반적인 볼밸브는 단순한 구조의 유량 조정 밸브의 경우 개폐만 가능한 단순 구조로 되어 있어, 어느 일정한 유량이 통과하도록 밸브를 중간 상태로 고정시켜 놓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general ball valve according to the above has a simple structure that can only be opened and closed in the case of a flow control valve having a simple structure, so that it is impossible or not easy to fix the valve in an intermediate state so that a certain flow rate passes.

또한, 중간에 밸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에는 밸브 위치의 고정을 단순히 밸브에 부착된 회전축의 마찰력에만 의존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급격한 유량의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유속이나 압력 등에 따른 물리력에 의해 밸브의 고정 위치가 손쉽게 변화한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of the valve in the middle, most of the fixing of the valve position depends only on the frictional force of the rotating shaft attached to the valve, so it is due to the physical forc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r pressure generated by a sudden change in flow rat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ixed position of the valve is easily changed.

또한, 밸브 내에서 유체가 흐르는 동안 밸브의 조절판이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유체의 흐름과 조절판의 각도 차이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난류의 발생에 따라 조절판에 불필요한 진동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기계적인 진동은 물론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regulating the flow of fluid by the control plate of the valve while the fluid flows within the valve, unnecessary vibrations are generated in the control plate due to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that inevitably occurs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ow of the fluid and the angle of the control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is generated as well as mechanical vibration.

1. 한국 등록특허 제10-1081510호(2011.11.02)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81510 (2011.11.02) 2. 한국 등록실용 제20-0337349호(2003.12.18)2. Korean Registration Office No. 20-0337349 (2003.12.18) 3. 한국 등록실용 제20-0418253호(2006.05.30)3. Korean Registered Office No. 20-0418253 (2006.05.30) 4. 한국 등록실용 제20-0423664호(2006.08.03)4. Korean Registered Office No. 20-0423664 (2006.08.03)

구조와 구성이 간단하면서 손쉬운 사용이 가능한 유체용 밸브의 레버 회전을 통한 개폐조절 기능과 유체의 유량조절 기능이 동시에 가능한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which simultaneously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fluid and the opening/closing control function through the lever rotation of the fluid valve that is simple in structure and configuration and can be used easily.

급격한 유량의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유속이나 압력 등에 따른 물리력에 의해 밸브의 고정 위치가 변화지 않고 견고히 지지되어 유체로 인한 밸브의 개폐가 발생되지 않는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in which the valve does not open or close due to fluid because the fixed position of the valve does not change and is firmly supported by the physical forc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r pressure generated by a rapid change in flow rate.

유속이나 압력 등에 따른 밸브의 고정 위치가 변화지 않아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밀림 등이 발생되는 종래의 볼밸브 등에서 나타나던 문제점이 보완되면서 일정한 유량 확보가 가능한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provide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which can secure a constant flow rate, while compensating for the problems encountered in conventional ball valves, which rotate or push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because the fixed position of the valve does not chang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r pressure. do.

유체의 흐름과 조절판의 각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난류의 발생에 따라 조절판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방지되고, 이를 통해 기계적인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intended to provide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in which the flow of fluid and the turbulent flow generated by the difference in the angle of the control plate are prevented, and through this, mechanical vibration and noise are not generated.

개폐 및 유량 조절이 동시에 가능하면서 일정한 유로의 확보가 가능하여 고압의 유체를 다루는 소방분야 등을 포함하는 산업분야의 전반에 용이하게 접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개폐 및 유량 조절이 동시에 가능한 유체용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A fluid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controlled simultaneously and flow rate can be simultaneously opened and closed and flow rate can be controlled simultaneously by being easily grafted into the entire industrial field, including firefighting fields that handle high pressure fluids, as it is possible to secure a constant flow path. We want to provide a valve for

실시예에 의한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유로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유로에 통과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되게 하는 유량조절부와, 상기 유량조절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유량조절부에 결합된 기어체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결합된 기어부 및 상기 기어체와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기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유체가 설정된 유량으로 통과하게 상기 유량조절부를 제어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The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nd a body portion having a flow path communicating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formed therein, and the body portion having the flow path formed therein so as to be slidably installed The flow control uni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during sliding movement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and a gear body coupled to the flow control unit so that the flow control unit slides in the body part. And a gear unit coupled to the side of the body unit and one end of the gear unit is coupl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rotatably provided in the gear unit, and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by rotating the rotation shaft by an external force.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 lever unit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control unit so that the fluid passes at a set flow rate.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면을 가져 상기 유로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하며 상기 배출구측 상기 유로상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외측면을 갖고 상기 유입구측 상기 유로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측면에 결합된 상기 기어체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유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의 상기 유로가 차단되게 상기 고정부에 접촉되는 조절부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low rate control unit has an oute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flow path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ort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low path at the outlet sid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It has an out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let side and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flow path, and is slidably moved along the flow path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through the gear bod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body part. It consists of an adjustment part contacting the fixing part so that the flow path is blocked.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입구측을 향하는 전방측 단부가 상기 유입구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직경을 갖는 원뿔형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xing portion is a conical shape having a diameter that becomes narrower as the front end portion facing the inlet port becomes closer to the inlet port.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절부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연통홈이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유로연통홈은 상기 조절부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에 접촉시 상기 고정부의 단부가 삽입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djustment unit has a flow path communication groove in communication with the flow path, and the flow path communica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fixing unit when the adjustment unit slides and contacts the fixing unit.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어체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 운동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에 기어 물림되도록 상기 유량조절부에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로를 따라 직선 운동하는 제2 기어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ear body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 first gear that rotates at the same time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flow rate control uni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nd the first It consists of a second gear that moves linearly along the flow path by rotation of the gear.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버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범위를 제어하는 고정핀이 구비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ever unit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shaft.

이상에서와 같은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구조와 구성이 간단하면서 손쉬운 사용이 가능한 유체용 밸브의 레버 회전을 통한 개폐조절 기능과 유체의 유량조절 기능이 동시에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The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function and the flow rate control function of the fluid are simultaneously possibl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lever of the fluid valv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configuration and can be used easily.

급격한 유량의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유속이나 압력 등에 따른 물리력에 의해 밸브의 고정 위치가 변화지 않고 견고히 지지되어 유체로 인한 밸브의 개폐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The fixed position of the valve is not changed by the physical forc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r pressure generated by a rapid change in flow rate, etc., and has the advantage that the valve does not open and close due to the fluid.

유속이나 압력 등에 따른 밸브의 고정 위치가 변화지 않아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밀림 등이 발생되는 종래의 볼밸브 등에서 나타나던 문제점이 보완되면서 일정한 유량 확보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Since the fixed position of the valve does not chang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r pressure, the problem that occurs in the conventional ball valve, etc., in which the valve is rotated or pushed in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is compensated, and a constant flow rate can be secured.

유체의 흐름과 조절판의 각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난류의 발생에 따라 조절판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방지되고, 이를 통해 기계적인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Vibration generated in the throttle plate is prevent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caused by the flow of fluid and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throttle plate, thereby preventing mechanical vibration and noise from being generated.

개폐 및 유량 조절이 동시에 가능하면서 일정한 유로의 확보가 가능하여 고압의 유체를 다루는 소방분야 등을 포함하는 산업분야의 전반에 용이하게 접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n and close and control the flow rate at the same time and secure a certain flow path, so that it can be easily grafted into the entire industrial field, including the firefighting field handling high pressure fluid, and can be used quickly and conveniently.

도 1은 본 종래기술에 따른 볼밸브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밸브의 배출구측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에 구비된 기어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레버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의 레버부의 변형예.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개시의 밸브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레버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의 변형예.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에 에어 포켓을 형성시킨 밸브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개시의 밸브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ll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a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view showing an outlet side of the valv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wn in FIG. 2.
4 is a view for showing a gear body provided in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view for showing the inside of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adjust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ever shown in Figure 5;
7 is a modified example of a lever portion of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adjust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view for showing the inside of the valv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wn in FIG. 7.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lever shown in FIG.
10 is a modified example of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a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valve in which an air pocket is formed in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a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valv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wn in FIG. 1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i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종래의 본밸브에서 발생되는 장점을 보완하면서 유체용 밸브의 레버 회전을 통한 개폐조절 기능과 유체의 유량조절 기능이 동시에 가능한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볼밸브, 기어, 베어링, 유로 등 본 개시가 속한 관련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function and the flow rate control function of the flui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lever of the valve for fluid while supplementing the advantages generated in the conventional valve And it relates to a valve capable of adjusting the flow rate, a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the related art, such as ball valve, gear, bearing, flow path, etc.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개시의 밸브의 배출구측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에 구비된 기어체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레버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adjusting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view showing an outlet side of the valv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view for showing a gear body provided in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6 is shown in FIG.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ever unit.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몸체부(10), 유량조절부(30), 기어부(20), 레버부(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2 to 6,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a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body part 10, a flow control part 30, a gear part 20, and a lever part 40 It consists of a configuration.

몸체부(10)는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구비되며, 유입구(11)와 배출구(12)에 연통되는 유로(13)가 내부에 형성된다.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n inlet 11 and an outlet 12, and a flow path 13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1 and the outlet 12 is formed therein.

몸체부(1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체로 구비되며, 관로의 도중이나 용기에 설치하여 유체의 유량, 압력 등을 제어하게 된다.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body as shown in Figs. 2 to 6, and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a pipe or in a container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fluid.

이때, 몸체부(10)는 관로나 용기에 설치가 유리하도록 유입구(11)와 배출구(12)는 플랜지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so that the inlet 11 and the outlet 12 are flange-coupled so that installation in a pipe or container is advantageous.

여기서, 몸체부(10)는 압력 등의 문제로 인하여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body portion 1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cylindrical body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due to problems such as pressure, but of course it may be provided to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이러한, 몸체부(10)의 내부에는 유체의 유량 조절을 위한 유량조절부(30)가 구비된다.
In this way,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flow rate control unit 30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fluid.

유량조절부(30)는 유로가 형성된 몸체부(10)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 이동시 유로(13)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유로(13)에 통과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되게 한다.The flow rate control unit 30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able inside the body portion 10 in which the flow path is formed,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13 when the flow path is formed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13.

이러한, 유량조절부(30)는 도 2와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부(31)와 조절부(32)로 이루어진다.This, the flow control unit 30 is made of a fixing unit 31 and a control unit 32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nd 5 to 6.

고정부(31)는 몸체부(10)의 내주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면을 가져 유로(13)가 배출구(12)와 연통되게 하며 배출구(12)측 유로(13)상에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fixing part 31 has an outer surfac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so that the flow path 13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ort 12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low path 13 at the discharge port 12 side. .

이러한, 고정부(31)는 유입구(11)측을 향하는 전방측 단부가 유입구(11)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직경을 갖는 원뿔형으로 구비된다.Such, the fixing portion 31 is provided in a conical shape having a diameter that becomes narrower as the front end of the inlet 11 toward the inlet 11 becomes narrower.

즉, 고정부(31)는 콘 아이스크림과 같은 원뿔형으로 구비되되, 아이스크림의 과자부분에 해당하는 전방측이 유입구(11)를 향하고 과자 부분에 해당하는 후방측이 배출구(12)를 향하도록 하면서 배출구(12)측의 유로(13)에 위치된다.That is, the fixing part 31 is provided in a conical shape such as a cone ice cream, and the front side corresponding to the confectionery part of the ice cream faces the inlet 11 and the rear side corresponding to the confectionery part faces the discharge port 12. It is located in the flow path 13 on the (12) side.

이때, 아이스크림과 콘의 경계부에 해당하는 가장 큰 직경을 갖는 중심측은 몸체부(10)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 직경을 가져 유로(13)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게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entral side having the largest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ice cream and the cone has a diameter maintain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13. It is desirable to avoid it.

상기와 같은 고정부(31)는 유로(13)가 형성된 몸체부(10)의 중심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지지대(31a)를 통해 몸체부(10)에 견고히 고정되는게 바람직한다.The fixing part 31 as described above is firmly fixed to the body part 10 through the three supports 31a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flow path 13 can be fixed to the center of the body part 10 in which the flow path 13 is formed. It is desirable to be.

여기서, 상기된 바와 같은 지지대(31a)는 3개 이하 또는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그 형태도 도시된 바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ree or more supports 31a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nd the shape may have a different shape than that shown.

이러한, 고정부(31)는 뾰족한 전방과 비스듬한 측면을 갖는 콘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유로(13)에 통과되는 유체가 막힘없는 자연스런 흐름으로 유도되어 통과될 수 있게 된다.Since the fixing part 31 has a cone shape having a pointed front and an oblique side,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13 can be guided and passed through a natural flow without clogging.

조절부(32)는 몸체부(10)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외주면을 갖고 유입구(11)측 유로(13)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측면에 결합된 기어체(21)를 통해 회전축(41)의 회전시 유로(1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고정부(31)와 몸체부(10) 사이의 유로(13)가 차단되게 고정부(31)에 접촉된다.The adjustment unit 32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and is slidably installed in the flow path 13 on the inlet 11 side, and the rotation shaft 41 through the gear body 21 coupled to the side surface. )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part 31 so that the flow path 13 between the fixing part 31 and the body part 10 is blocked by sliding along the flow path 13.

이러한, 조절부(32)는 유로(13)와 연통되는 유로연통홈(33)이 내부에 형성되되, 유로연통홈(33)은 조절부(32)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고정부(31)에 접촉시 고정부(31)의 단부가 삽입된다.In this, the adjustment unit 32 has a flow path communication groove 33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th 13 is formed therein, the flow path communication groove 33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unit 31 by sliding the adjustment unit 32 When the end of the fixing part 31 is inserted.

즉, 조절부(32)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내주면에 대응하는 외주면을 가진 원통형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몸체부(10)의 유로(13)와 연통되는 유로연통홈(33)이 형성되어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가 조절부(32)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연통홈(33)을 통해 내부로 통과될 수 있게 한다.That is, the adjusting unit 32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 as shown in FIGS. 4 to 5, and communicates with the flow path 13 of the body portion 10 therein. The flow path communication groove 33 is formed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can pass through the flow path communication groove 33 formed inside the control unit 32.

여기서, 조절부(32)는 몸체부(10)의 유입구(11)측에서 유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조절부(32)의 외주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볼(32a)이 구비된다.Here, the adjusting part 32 is installed to slide along the flow path from the inlet 11 side of the body part 10, and for this purpose, a plurality of balls 32a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usting part 32 as shown in the drawing. ) Is provided.

이러한, 조절부(32)는 고정부(31)를 향하는 후방의 단부측 내주면이 콘 형상을 가진 고정부(31)의 측면인 외주측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조절부(32)가 고정부(31)를 향해 유로(1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 고정부(31)의 단부가 삽입되게 되고, 최종적으로 고정부(31)의 경사면이 조절부(32)의 경사부에 맞닿게 되어지면 유로연통홈(33)이 고정부(31)에 의해 폐쇄되게 되고, 이로 인해 유로(13)가 차단되게 되어 유체의 이동 경로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Such, the adjustment unit 32 is form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end side facing the fixing unit 31 has an inclined portion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surfa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which is a side surface of the fixing unit 31 having a cone shape, through which the adjustment unit When 32 slides along the flow path 13 toward the fixing part 31, the end of the fixing part 31 is inserted, and finally,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ixing part 31 is the inclined part of the adjusting part 32.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w path communication groove 33 is closed by the fixing portion 31, thereby blocking the flow path 13,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low path of the fluid.

이때, 조절부(32)를 고정부(31)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슬라이딩 이동거리를 조절하요 이동을 제한시키면 유체의 유량 변동이 발생되지 않고 일정한 유량으로 지속적인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liding movement distance is adjusted so that the adjustment unit 32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ing unit 31. If the movement is restricted, the flow rate of the fluid does not fluctuate, and the fluid can be continuously moved at a constant flow rate.

한편, 전술된 바에 따른 조절부(32)가 유로(13)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내주면에 인접된 외주면 상에는 다수의 볼(32a)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balls 32a ar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adjustment unit 32 according to the above can slide in the flow path 13 And, since this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러한, 조절부(32)가 유체의 이동을 위한 개폐 조절 및 유량의 조절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어부(20)와 레버부(40)에 의해 가능해진다.
In order for the control unit 32 to perform opening/closing control and flow rate control for fluid movement, it is possible by the gear unit 20 and the lever unit 40.

기어부(20)는 유량조절부(30)가 몸체부(10)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유량조절부(30)에 결합된 기어체(21)를 내부에 구비하며 몸체부(10)의 측면에 결합된다.The gear unit 20 has a gear body 21 coupled to the flow control unit 30 so that the flow control unit 30 slides in the body unit 10 and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body unit 10 do.

기어체(2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21a)와 제2 기어(21b)로 이루어진다.The gear body 21 is composed of a first gear 21a and a second gear 21b as shown in FIGS. 3 to 5.

제1 기어(21a)는 회전축(41)에 결합되어 회전축(41)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 운동한다.The first gear 21a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41 and rotates simultaneously when the rotation shaft 41 rotates.

제1 기어(21a)는 회전축(41)의 하부 단부측 외주면에 둘러진 원형의 고리 형태로 구비되고, 외주면에 기어 물림을 위해 일정한 간격의 돌기(기어의 이)가 형성된다.The first gear 21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wrapp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side of the rotation shaft 41, and protrusions (gear teeth)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gear engagement.

상기된 바를 통해 제1 기어(21a)는 회전축(41)이 회전하게 되면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 회전되게 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도 동시에 회전되는 회전 운동을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on shaft 41 rotates, the first gear 21a rotates simultaneously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es simultaneously.

제2 기어(21b)는 막대 형의 바(bar) 형태로 구비되고, 일측면에 상기된 제1 기어(21a)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제1 기어(21a)에 기어 물림되도록 유량조절부(30) 중 조절부(32)에 하부 일측이 결합되며, 제1 기어(21a)의 회전에 의해 유로(13)를 따라 직선 운동한다.The second gear 21b is provided in a bar shape, and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ear 21a is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first gear 21a One side of the lower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trol unit 32 of the flow control unit 30 so that the gear is engaged, and linearly moves along the flow path 13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21a.

상기된 바에 따른 제2 기어(21b)는 조절부(32)에 결합된 상태로 제1 기어(21a)와 기어 물림되어져 제1 기어(21a)가 회전되면 기어의 물림에 의해 유로(13)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 되고, 이를 통해 조절부(32)가 유로(1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된다.The second gear 21b according to the above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21a in a state coupled to the adjustment unit 32, so that when the first gear 21a is rotated, the flow path 13 is directed by the gear bite. The linear motion is performed, through which the adjustment unit 32 slides along the flow path 13.

전술된 바와 같은, 제1 기어(21a)와 제2 기어(21b)로 이루어진 본 개시의 기어체(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조합에 의한 것으로서, 제1 기어(21a)와 제2 기어(21b)에 의한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본 개시의 랙 앤 피니언 기어의 조합이외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의 다양한 기어 결합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gear body 21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sisting of a first gear 21a and a second gear 21b is a combination of a pinion gear and a rack gear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first gear (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f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onal motion and linear motion by 21a) and the second gear 21b is possible, a variety of known gear coupling methods other than the combination of the rack and pinion gear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used.

레버부(40)는 기어체(21)와 일단이 결합되며 기어부(20)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41)에 일단이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회전축(41)을 회전시켜 유로(13)를 통과하는 유체가 설정된 유량으로 통과하게 유량조절부(30)를 제어한다.The lever unit 40 is coupled to the gear body 21 and one en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41 rotatably provided in the gear unit 20, and rotates the rotation shaft 41 by an external force to rotate the flow path 13 Controls the flow rate control unit 30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passes at the set flow rate.

즉, 레버부(4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21a)가 단부에 구비되되 중심측에 구비된 베어링(41a)을 통해 기어부(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세워 설치된 회전축(41)의 단부에 봉상의 형태로서 수평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lever unit 40 is provided with a first gear 21a at the end, but is built to be rotatable to the gear unit 20 through a bearing 41a provided at the center side. The rod-shaped end of the installed rotation shaft 41 is coup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상기된 바를 통해 레버부(40)를 회전시키면 회전축(41)이 회전되어 제1 기어(21a)와 제2 기어(21b)의 연동에 의해 유량조절부(30)가 작동하게 된다.When the lever unit 40 is rotated through the above bar, the rotation shaft 41 is rotated so that the flow rate control unit 30 operates by interlocking the first gear 21a and the second gear 21b.

이러한, 레버부(40)는 기어체(21)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고정핀(42)이 구비된다.Such, the lever unit 40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42 for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gear body 21.

고정핀(42)은 몸체부(1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돌출된 회전축(41)을 향해 레버부(40)로부터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회전축(41)에 걸림되어 회전축(41)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xing pin 42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10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ever part 40 toward the protruding rotation shaft 41, and is caught by the rotation shaft 41 to prevent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1. Let it happen.

이를 위해, 회전축(41)의 단부측 외주면에는 고정핀(42)이 걸림될 수 있는 홈이 외주면에 다수로 형성된 핀걸림부(41b)가 구비되며, 이 핀걸림부(41b)는 회전축(41)이 회전되는 정도를 알려주는 눈금의 기능을 하여 회전축(41)의 회전에 의해 조절부(32)가 슬라이딩 이동된 거리 즉, 유량 확인을 위한 유로(13)의 개방 정도를 가늠케 한다.To this e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side of the rotation shaft 41 is provided with a pin engaging portion 41b formed in a plurality of groov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which the fixing pin 42 can be engaged, and the pin engaging portion 41b is the rotation shaft 41 ) Functions as a scale indicating the degree of rotation, and measures the distance in which the adjustment unit 32 slides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1, that i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path 13 for checking the flow rate.

언급된 바와 같은 고정핀(42)은 핀걸림부(41b)의 다수의 홈 각각에 이동되어 걸릴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fixing pin 42 as mentione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moved and caugh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grooves of the pin engaging portion 41b.

상기된 바를 위해 레버부(40)는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에 연결된 단부가 회전축(41)에 일부 삽입된 구조를 갖되, 삽입된 단부 및 단부에 대향된 회전축(41)의 측면에는 탄성체고정부(43)가 각각 구비된다.For the sake of the above, the lever unit 40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nd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41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rotation shaft 41 as shown in FIGS. 5 and 6, but the inserted end and the rotation shaft 41 opposite the end. ) Is provided with an elastic body fixing portion 43, respectively.

이때, 탄성체고정부(43) 각각에는 체결홈(43a)이 형성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탄성체로서 연결되게 되며, 이를 통해 레버부(40)가 회전축(41)으로부터 이격된 단부측인 후방으로 당겨질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elastic body fixing portions 43 is formed with a fastening groove (43a), which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is connected as an elastic body, through which the lever unit 40 is pulled rearward, which is the end side spaced from the rotation shaft 41. I can.

따라서, 전술된 바에 따른 레버부(40)는 후방으로 당겨 고정핀(42)이 최초 삽입되어져 걸림된 핀걸림부(41b)로부터 이격되게 한 후, 좌우방향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거리만큼 회전시킨 후 이동된 위치의 핀걸림부(41b)의 홈에 다시 끼워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개방 및 개폐 조절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lever unit 40 according to the above is pulled rearward so that the fixing pin 42 is first inserted and separated from the pin-engaged portion 41b, and then rotated by the desired distance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n moved. It can be re-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pin-engaged portion (41b) of the position, whereby the opening and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종래의 유량조절 밸브를 개선되도록 한 것으로서, 랙 앤 피니언기어를 이용하는 제2 및 제1 기어(21b, 21a)에 의해 유량조절 기능과 유로 개폐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콘밸브 형태를 갖는 유량조절 밸브다.The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the above i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flow control valve, and the flow control function and flow path by the second and first gears 21b and 21a using rack and pinion gears It is a flow control valve that has the form of a cone valve that can simultaneously open and close functions.

상기된 바에 따른 본 개시는 피니언기어와 연결된 레버를 90도 범위에서 회전시키면 랙기어가 직선운동을 하여 콘형상의 유량조절부(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신속한 레버 조작을 통해 개폐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작동축으로 유량조절 기능과 유로 개폐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ver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is rotated in the range of 90 degrees, the rack gear moves linearl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e-shaped flow control unit 30 to adjust the flow rate, and through quick lever operation It can play a role of opening and closing. That is, the flow rate control function and the flow path opening/clos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one operating shaft.

상기된 바에 따른 본 개시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the above,

레버 회전을 통한 개폐조절 기능으로서, 기존 나사결합방식에 의한 개폐 시 On-Off에 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에 On/Off 밸브로 사용이 불가능했던 문제점이 보완된다. 이는, 피니언기어와 랙기어를 사용하여 레버 회전 시 피니언기어의 회전운동을 랙기어의 직선운동으로 바꿔 90도의 레버 조작만으로 On/Off를 가능하기 때문이다.As an open/close control function through lever rotation, the problem that it was impossible to use as an On/Off valve is compensated because it takes a long time to On-Off when opening and closing by the existing screw connection method. This is because, when the lever is rotated by using the pinion gear and the rack gear,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inion gear is converted into a linear motion of the rack gear, and ON/OFF is possible only by operating the lever at 90 degrees.

또한, 레버에 스프링과 핀을 이용하여 레버를 고정시켜 유량 조절 기능으로서, 90도 범위에서 레버의 회전위치에 따라 콘형상의 유량조절부의 위치를 달리하여 유량조절이 가능하고, 유체의 압력에 의해 콘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버를 스프링과 핀을 이용하여 레버를 고정시켜 일정 유량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 function to adjust the flow rate by fixing the lever to the lever using a spring and a pi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low rate by varying the position of the cone-shaped flow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lever in the range of 90 degrees. To prevent this movement, the lever can be fixed using a spring and a pin to maintain a constant flow rate.

한편,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의 레버부의 변형예,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개시의 밸브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레버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 7 is a modified example of a lever portion of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adjusting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view for showing the inside of the valv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wn in FIG. 7, and FIG. 9 is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lever portion shown in.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레버부(40)를 회전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 레버부(40)의 일부만 변경되고 전술된 나머지 구성들은 대동소이 하므로 이에 대하여만 간략히 설명한다.The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apply the lever unit 40 in a rotational type, and at this time, only a part of the lever unit 40 is changed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are largely or so. Briefly explain.

본 개시의 레버부(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되, 측면에 구비된 손잡이(도면부호 미기재)를 잡고 돌리게 되면 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The lever part 40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in a circular ring shape as shown in FIG. 7, but is rota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rcle when it is rotated while holding a handle (not shown) provided on the side. .

여기서, 레버부(40)의 중심부에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부(20)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베어링(도면부호 미기재)을 통해 내삽된 샤프트(41c)의 타단이 연결되어져 동시에 회전되게 된다.Here, in the center of the lever unit 40, the other end of the shaft 41c, which has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erted through a bearing (not shown in the drawing), is connected to the gear unit 20 as shown in Figs. It will rotate at the same time.

이때, 샤프트(41c)의 타단에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기어(41d)가 외삽되어 있어 샤프트(41c)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된다.At this time, the worm gear 41d is extrapolated to the other end of the shaft 41c as shown in FIGS. 8 and 9 and thus rotates simultaneously when the shaft 41c is rotated.

그리고, 레버부(40)의 회전축(41)에는 그 상단에 위치된 단부에 피니언기어 샤프트(41f)가 구비되어 회전축(41)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되되, 피니언기어 샤프트(41f)의 외주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 휠(41e)이 외삽되어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비된다.And, the rotation shaft 41 of the lever unit 40 is provided with a pinion gear shaft 41f at an end positioned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rotates simultaneously when the rotation shaft 41 is rotated, bu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nion gear shaft 41f is also As shown in Fig. 8, the worm wheel 41e is extrapolated and provided to rotate at the same time.

이때, 웜 휠(41e)은 외주면이 전술된 웜기어(41d)에 기어물림되어 있어 레버부(40)의 회전력을 회전축(41)의 회전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m wheel 41e is meshed with the above-described worm gear 41d,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unit 40 can be transmitte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1.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레버부(40)가 회전형으로 적용된 경우, 보다 신속하고 빠르게 조절부(32)를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유체용 밸브의 레버 회전을 통한 개폐조절 기능과 유체의 유량조절 기능이 가능해 진다.When the lever unit 40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the above is applied in a rotational type, it is possible to move the control unit 32 more quickly and quickly, so that the opening/closing control function and fluid control function through the lever rotation of the fluid valve more easily. Flow control function becomes possible.

한편, 본 개시의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도 3에 도시된 지지대(31a)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부(31)를 고정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 등을 통해 고정부(31)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체결시 사용된 볼트의 풀림 등이 발생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mentioned, the support 31a shown in FIG. 3 fixes the fixing part 31 throug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as shown in FIG. 7 It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art 31 through the like,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bolts used for fastening without any loosening or the like.

그리고, 본 개시의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콘 아이스크림과 같은 원뿔형의 고정부(31)를 포함하여 유체가 접촉하는 부분에 대하여 재질을 변경하거나 실링재를 부착하거나 코팅 등을 하여 내부식성 등을 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onical fixing portion 31 such as a cone ice cream, and the like by changing a material, attaching a sealing material, coating, etc. to a portion in contact with a fluid, etc. Can strengthen.

특히, 본 개시의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를 재질을 변경하거나 실링재를 부착하거나 코팅 등을 적용할 경우 물 뿐만 아니라 식품, 기름, 화학약품, 해수 등 다양한 유체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성과 범용성을 가질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material of the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hanged, a sealing material is attached, or a coating is applied,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luids such as food, oil, chemicals, seawater, etc. as well as water. It can have usability and versatility that can be applied to and used.

또한,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의 변형예로서, 본 개시의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레버부(40)가 웜 휠(41e)의 외주면이 웜기어(41d)에 기어물림되어 레버부(40)의 회전력을 회전축(41)의 회전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41g)에 의해 레버부(40)의 회전력을 회전축(41)의 회전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접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FIG. 10 is a modified example of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adjusting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adjust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lever portion 40 as mentioned above, and a worm wheel 41e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rm gear (41d) is geared by the worm gear (41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ever unit (40)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41), but as shown in Fig.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ethods such as allowing the rotational force of 40 to be transmitte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41 may be grafted.

전술된 바와 같이 레버부(40)가 베벨기어(41g)가 적용된 경우, 관로를 흐르는 유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조절부(32)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량을 길이로 변환시켜 콘형상부의 고정부(31)와의 간격 조절을 통해 통과유량을 조절할 수 있고, 완전 밀폐도 가능하다. 이때, 조절부(32)는 나사방식으로 베벨기어(41g)와 조절부(32)에 가공된 기어(도면부호 미기재)의 작동에 의해 전, 후로 움직이며 미세유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evel gear 41g is applied to the lever unit 40, the amount of rotation is converted into a length by rotating the adjustment unit 32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pipe. By adjusting the interval with (31), the flow rate can be adjusted, and complete sealing is also possible. At this time, the adjusting part 32 mov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bevel gear 41g and the gear (not shown in the drawing) processed on the adjusting part 32 in a screw manner, and the fine flow rate can be adjusted.

한편,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에 에어 포켓을 형성시킨 밸브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개시의 밸브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11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valve in which an air pocket is formed in a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a flow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valve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wn in FIG. It is a drawing.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밸브를 완전히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해야 할 경우 조절부(32)와 콘형상의 고정부(31)는 완전히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해야 한다.The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ccording to the above is to completely close the valve to block the flow of fluid, the control unit 32 and the cone-shaped fixing unit 31 are completely in contact and airtight. Should be maintained.

이를 위해 본 개시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력 상태에서 유체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콘형상의 고정부(31)와 조절부(32)의 형상을 2단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To this end, the present disclosure may make the shape of the cone-shaped fixing part 31 and the adjusting part 32 contact in two stages in order to effectively block the flow of fluid in a high pressure state as shown in FIGS. 11 and 12. Do.

이를 위해, 본 개시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1)와 조절부(32)가 상호 접촉되는 면의 각각에 소정의 경사를 주어 1단 접촉부(32b-1)와 2단 접촉부(32b-2)가 구비되도록 하되, 1단 접촉부(32b-1)와 2단 접촉부(32b-2)가 만나는 지점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함몰된 유체 포켓(32c)을 두어 밀폐 효과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To this end, the present disclosure applie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 each of the surfaces in which the fixing part 31 and the adjusting part 3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S. 11 and 12, so that the first contact part 32b-1 and the 2 However, the contact part 32b-2 is provided, but the fluid pocket 32c recessed inward as shown in FIG. 11 is placed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contact part 32b-1 and the second contact part 32b-2 meet. By placing 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ealing effect.

상기된 바에 따르면, 초기의 압력 유체가 1단 접촉부(32b-1)에서 기밀을 유지하고 1단 접촉부(32b-1)를 통과하여 누설된 미세한 양의 유체를 유체 포켓(32c)에 머물게 하여 2단 접촉부(32b-2)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접촉부를 2단으로 나누어 결과적으로 단위 가공길이가 짧아지는 결과가 되어 기계 가공시 평탄도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initial pressure fluid maintains airtightness at the first contact portion 32b-1, and allows a minute amount of fluid leaked through the first contact portion 32b-1 to stay in the fluid pocket 32c. However, do not directly affect the contact portion (32b-2). 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is divided into two stages, resulting in a shorter unit processing length, which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flatness and precision during machining.

이상에서와 같은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는, 구조와 구성이 간단하면서 손쉬운 사용이 가능한 유체용 밸브의 레버 회전을 통한 개폐조절 기능과 유체의 유량조절 기능이 동시에 가능하고, 급격한 유량의 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유속이나 압력 등에 따른 물리력에 의해 밸브의 고정 위치가 변화지 않고 견고히 지지되어 유체로 인한 밸브의 개폐가 발생되지 않으며, 유속이나 압력 등에 따른 밸브의 고정 위치가 변화지 않아 유체의 흐름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밀림 등이 발생되는 종래의 볼밸브 등에서 나타나던 문제점이 보완되면서 일정한 유량 확보가 가능하고, 유체의 흐름과 조절판의 각도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난류의 발생에 따라 조절판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방지되고, 이를 통해 기계적인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개폐 및 유량 조절이 동시에 가능하면서 일정한 유로의 확보가 가능하여 고압의 유체를 다루는 소방분야 등을 포함하는 산업분야의 전반에 용이하게 접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Valves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controlling the flow rate as described above are capable of simultaneously opening and closing control function and fluid flow rate control function by rotating the lever of the fluid valv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configuration, and easy to use. The fixed position of the valve does not change due to the physical force caused by the flow rate or pressure, etc., and the valve does not open and close due to the fluid, and the fixed position of the valve does not chang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r pressure, so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The problem that occurs in conventional ball valves, which rotates or pushes, is compensated, and a constant flow rate can be secured, and vibration generated in the control plate is prevented due to the occurrence of turbulence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ow of fluid and the angle of the control plate. As a result, mechanical vibration and noise are not generated, and opening and closing and flow control are simultaneously possible, and a constant flow path can be secured, so it is easily grafted to the entire industrial field, including firefighting fields handling high pressure fluid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it conveniently.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disclosed contents are only example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claims claimed in the claims, s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disclosed contents is I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10 : 몸체부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유로
20 : 기어부 21 : 기어체
21a : 제1 기어 21b : 제2 기어
30 : 유량조절부 31 : 고정부
31a : 지지대 32 : 조절부
32a : 볼 32b-1 : 1단 접촉부
32b-2 : 2단 접촉부 32c : 유체 포켓
33 : 유로연통홈 40 : 레버부
41 : 회전축 41a : 베어링
41b : 핀걸림부 41c : 샤프트
41d : 웜기어 41e : 웜 휠
41f : 피니언기어 샤프트 41g : 베벨기어
42 : 고정핀 43 : 탄성체고정부
43a : 체결홈
10: body part 11: inlet
12: outlet 13: flow path
20: gear unit 21: gear body
21a: first gear 21b: second gear
30: flow control part 31: fixed part
31a: support 32: adjuster
32a: ball 32b-1: first stage contact
32b-2: two-stage contact part 32c: fluid pocket
33: euro communication groove 40: lever part
41: rotating shaft 41a: bearing
41b: pin engaging portion 41c: shaft
41d: worm gear 41e: worm wheel
41f: pinion gear shaft 41g: bevel gear
42: fixing pin 43: elastic body fixing portion
43a: fastening groove

Claims (6)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에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몸체부;
상기 유로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유로에 통과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되게 하는 유량조절부;
상기 유량조절부가 상기 몸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상기 유량조절부에 결합된 기어체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결합된 기어부; 및
상기 기어체와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기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에 일단이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유체가 설정된 유량으로 통과하게 상기 유량조절부를 제어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유량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외측면을 가져 상기 유로가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게 하며 상기 배출구측 상기 유로상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외측면을 갖고 상기 유입구측 상기 유로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측면에 결합된 상기 기어체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유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의 상기 유로가 차단되게 상기 고정부에 접촉되는 조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절부가 상호 접촉되는 면의 각각에 소정의 경사를 주어 1단 접촉부(32b-1)와 2단 접촉부(32b-2)가 구비되도록 하되, 1단 접촉부(32b-1)와 2단 접촉부(32b-2)가 만나는 지점에 내측으로 함몰된 유체 포켓(32c)을 두어서, 콘형상의 상기 고정부와 상기 조절부의 형상을 2단으로 접촉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입구측을 향하는 전방측 단부가 상기 유입구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직경을 갖는 원뿔형이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유로연통홈이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유로연통홈은 상기 조절부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에 접촉시 상기 고정부의 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기어체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동시에 회전 운동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에 기어 물림되도록 상기 유량조절부에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유로를 따라 직선 운동하는 제2 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범위를 제어하는 고정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

A body portion provided with an inlet port and an outlet port, and a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formed therein;
A flow rate control unit that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able inside the body portion in which the flow path is formed,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during sliding movement to control a flow rat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A gear unit having a gear body coupled to the flow control unit so that the flow rate control unit slides in the body unit and is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body unit; And
The gear body and one end are couple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rotatably provided in the gear part, and the flow control part is controlled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passes at a set flow rate by rotating the rotation shaft by an external force. Including;
Flow control unit,
The inlet side has an oute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flow path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and has a fixing part fixedly installed on the discharge port and an outer surface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It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flow path, and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through the gear body coupled to a side surface, it slides along the flow path and contacts the fixing part so that the flow path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body part is blocked. It consists of a control par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s given to each of the surfaces in which the fixing part and the adjusting par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stage contact part 32b-1 and the second-stage contact part 32b-2 are provided, and the first-stage contact part 32b-1 and A fluid pocket 32c recessed inward is placed at a point where the two-stage contact portion 32b-2 meets, so that the cone-shaped fixing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are in contact with two stages,
The fixing portion is a conical shape having a diameter that becomes narrower as the front end facing the inlet port is toward the inlet port,
The control unit has a flow passage communica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ssage formed therein,
In the flow path communication groove, when the adjustment unit slides and contacts the fixing unit, the end of the fixing unit is inserted,
The gear body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 first gear that rotates at the same time when the rotation shaft rotates, and one side of the flow control unit is coupled to the flow control unit so that the gear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and by rotation of the first gear It consists of a second gear linearly moving along the flow path,
The valve that can open and close and adjust the flow 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er unit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rotation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12564A 2019-01-31 2019-01-31 Valve apparatus available for opening and closing and flow control KR1022185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564A KR102218522B1 (en) 2019-01-31 2019-01-31 Valve apparatus available for opening and closing and flow contr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564A KR102218522B1 (en) 2019-01-31 2019-01-31 Valve apparatus available for opening and closing and flow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19A KR20200095019A (en) 2020-08-10
KR102218522B1 true KR102218522B1 (en) 2021-02-24

Family

ID=7204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564A KR102218522B1 (en) 2019-01-31 2019-01-31 Valve apparatus available for opening and closing and flow contr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5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031B1 (en) * 2021-12-13 2023-09-15 한국가스공사 Seal pa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54B1 (en) * 2007-05-11 2008-10-17 양세정 Worm gear type valv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484A (en) * 1998-11-16 1999-02-25 봉삼순 Expansion pipe valve
EP1129615B1 (en) 2000-03-01 2003-06-25 OM Partners Hortica Method for combinatorial optimization in plant or animal breeding
KR200418253Y1 (en) 2006-03-29 2006-06-12 (주) 에타 Flow Control Ball Valve
KR200423664Y1 (en) 2006-05-30 2006-08-09 노성근 Adjustable and Fixable Low- Vibration Valve for Fluid
KR101081510B1 (en) 2008-10-09 2011-11-08 세메스 주식회사 Valve apparatus for fastening and controlling flow rate.
KR101909251B1 (en) * 2016-11-16 2018-10-17 주식회사 기하정밀 corn valve for flow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54B1 (en) * 2007-05-11 2008-10-17 양세정 Worm gear type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19A (en)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911B2 (en) Media control valve with pressure balance loop
US7770815B2 (en) Adjustable flow nozzles
TWI448864B (en) Pressure reducing apparatus
KR102218522B1 (en) Valve apparatus available for opening and closing and flow control
US9874283B1 (en) Valve device capable of fast switching and fine adjustment of flow
US5332194A (en) Fluid flow controller
GB2549961A (en) Ball valve apparatus
US4371146A (en) Ball valve
KR101187045B1 (en) Fluid controlling ball valve
US3198479A (en) Metering and shut-off valve having straight-through flow characteristics
US721665A (en) Hose-nozzle.
US2733730A (en) turak
US3934604A (en) Proportioning apparatus
US2928421A (en) Valves
US4019534A (en) Needle valve assembly
US4928920A (en) Finely-adjustable flow control valve
EP3928013B1 (en) Flow controlled piston valve
KR20170064852A (en) Butterfly valve comprising a anti-cavitation disk
JP3020399B2 (en) Ball valve
JP2022540252A (en) pressure valve for liquids
US4306582A (en) Mixing valve
KR200493492Y1 (en) Adjustable Ball Valve
KR20170099971A (en) Rotor meter with integrated valve
US3460568A (en) Mixing and diverter water valve
US120925A (en) Improvement in automatic relief-va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