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427B1 - 우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우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427B1
KR102217427B1 KR1020200186534A KR20200186534A KR102217427B1 KR 102217427 B1 KR102217427 B1 KR 102217427B1 KR 1020200186534 A KR1020200186534 A KR 1020200186534A KR 20200186534 A KR20200186534 A KR 20200186534A KR 102217427 B1 KR102217427 B1 KR 102217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opening
pipe
cover
coupl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이종훈
이성준
성하범
한현철
오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이
에스테크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성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이, 에스테크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성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이
Priority to KR102020018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38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는, 우수침투관; 상기 우수침투관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우수침투관에 결합되고, 우수를 통과시키는 개구가 구비된 덮개; 및 상기 우수침투관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덮개에 결합되고, 우수를 여과하는 여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우수침투관 및 상기 여과유닛 각각과 탈착 가능하다.

Description

우수 처리 장치{RAINWATER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우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반도는 온난기후대에 속하는 지역으로서 연간 1270억 톤가량 내리는 빗물 중 약 33%는 바다로 흘려보내고, 43% 정도가 증발하거나 지하로 침투함으로써 빗물 사용량은 총 강우량의 24%인 연간 305억 톤 정도에 불과하다.
이러한 빗물 손실로 인해 세계적으로 수자원 빈국으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빗물을 활용하기 위한 기술개발 및 시설설치가 지지부진한 상태이다.
이미 환경선진국들은 건물소유주에게 빗물을 집수하여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빗물을 단순하게 물탱크에 집수시켜 정원용수로 사용하거나 집수된 빗물을 물리적으로 정화하여 세탁용수 또는 화장실 용수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지하수나 상수도들이 없어서 빗물을 집수하여 사용하여야 할 지역만을 제외하면 전국적으로 건물지붕과 포장지면에 내린 빗물을 그대로 하천이나 하수로 흘러가도록 방치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초기 우수는 오염물질이 많아 조경용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화과정을 거쳐야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우수 처리 장치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를 효과적으로 정화 및 배출할 수 있는 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우수침투관; 상기 우수침투관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우수침투관에 결합되고, 우수를 통과시키는 개구가 구비된 덮개; 및 상기 우수침투관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덮개에 결합되고, 우수를 여과하는 여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우수침투관 및 상기 여과유닛 각각과 탈착 가능한, 우수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우수침투관 상면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된 제1 결합링; 및 상기 제1 결합링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된 제2 결합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수침투관은 상기 제1 결합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제2 결합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수침투관과 상기 제1 결합링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여과유닛과 상기 제2 결합링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여과유닛은, 원주면이 타공된 지지파이프; 및 상기 지지파이프 내부에 충전되는 여과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파이프는 상기 제2 결합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수침투관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파이프의 외주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우수침투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날; 및
상기 스크류날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개구는 우수를 상기 여과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개구; 및 우수를 상기 스크류날로 이동시키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의 크기는 상기 제2 개구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면은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타공홀이 마련되고, 상기 스크류날로 이동된 우수는 상기 하면과 상기 타공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플레이트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플레이트를 일괄 관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제1 개구; 및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의 크기는 상기 제2 개구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를 통과한 우수는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여과유닛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한 우수는 상기 우수침투관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우수침투관과 상기 여과유닛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여과유닛을 통과한 우수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우수침투관의 원주면에는 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으로 이동한 우수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타공홀을 통해 상기 우수침투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우수를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 처리 장치의 관리, 보수, 유지가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우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우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는, 우수침투관(100), 덮개(200), 여과유닛(300)을 포함하고, 스크류날(400), 하우징(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수침투관(100)은 우수를 집수하여 주변 토양으로 침투시킨다. 우수침투관(100)은 도로, 녹지 등의 지반에 삽입될 수 있다.
우수침투관(100)은 우수를 수용할 수 있는 관으로 내부에 중공부(A2)가 마련되고 상하가 개방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우수침투관(100)은 플라스틱,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수침투관(100)은 측면에는 타공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우수침투관(100)의 측면은 우수침투관(100)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 원주면을 의미한다. 즉, 개방된 상하면을 제외한 면들을 의미한다. 타공홀(110)은 측면에 형성된 홀로서, 우수침투관(100)의 내외부를 연결한다. 타공홀(11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우수침투관(100)의 상면으로부터 우수침투관(100)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우수침투관(100)의 하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우수침투관(100)의 상면으로부터 우수침투관(100)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우수침투관(100)의 타공홀(110)을 통해 우수침투관(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수침투관(100) 내부로 유입된 우수 중 적어도 일부는 타공홀(110)을 통해 우수침투관(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우수침투관(100)의 하측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수침투관(100)이 지반에 삽입될 때 삽입이 유리할 수 있다.
덮개(200)는 우수침투관(100)의 상면을 덮도록 우수침투관(100)에 결합된다. 또한, 덮개(200)에는 우수를 통과시키는 개구가 구비된다. 이러한 개구는 덮개(20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우수가 덮개(200)를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덮개(200)는 우수침투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덮개(200)와 우수침투관(100)은 나사결합되고, 덮개(200) 또는 우수침투관(100)의 회전에 따라 덮개(200)는 우수침투관(100)에 조여지거나 우수침투관(100)으로부터 풀릴 수 있다.
여과유닛(300)은 우수를 여과하기 위한 구성으로 우수는 여과유닛(30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특히, 덮개(200)의 개구를 통해 우수침투관(100)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여과유닛(300)을 통과하여 이동하며 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200)의 중앙부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유닛(300)을 하측으로 통과하여 정화될 수 있다.
여과유닛(300)은 우수침투관(100) 내에 삽입되도록 덮개(200)에 결합된다. 여과유닛(300)은 우수침투관(100)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우수침투관(100) 내부에 위치한다. 여과유닛(300)은 우수침투관(100) 내부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과유닛(300)의 길이는 우수침투관(10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여과유닛(300)은 여과를 담당하는 여과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재(320)는 섬유여과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재(320)는 복수의 섬유사가 꼬여서 형성될 수 있다. 여과재(320)는 우수침투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여과유닛(300)은 지지파이프(310)와 여과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파이프(310)는 원주면이 타공된 것일 수 있다. 즉, 지지파이프(310)의 측면(원주면)에 타공홀(311)이 형성된다.
여과재(320)는 지지파이프(310) 내부에 충전될 수 있다. 지지파이프(310)의 하면은 개방될 수 있다. 하지만, 지지파이프(310)의 하면이 개방되더라도 여과재(320)가 하면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파이프(310)의 하면에는 메쉬구조의 커버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지지파이프(310)의 하면은 완전히 개방될 수 있고, 여과재(320)는 지지파이프(310)에 억지끼움되어 지지파이프(310) 하면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여과재(320)에는 와이어(W)가 결합되고, 와이어(W)는 여과재(320)의 상면에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W)는 여과재(320)를 지지파이프(31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손잡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과유닛(300)은 덮개(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여과유닛(300)과 덮개(200)는 나사결합되고, 여과유닛(300) 또는 덮개(200)의 회전에 따라 여과유닛(300)은 덮개(200)에 조여지거나 덮개(200)로부터 풀릴 수 있다.
특히, 지지파이프(310)와 덮개(2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파이프(310)와 덮개(200)는 나사결합되고, 지지파이프(310) 또는 덮개(200)의 회전에 따라 지지파이프(310)는 덮개(200)에 조여지거나 덮개(200)로부터 풀릴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덮개(200)는 우수침투관(100) 및 여과유닛(300) 각각과 탈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처리 장치의 덮개(200)는 우수침투관(100) 및 여과유닛(300) 각각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탈착식 결합에 따르면, 우수침투관(100), 덮개(200), 여과유닛(300)은 각각 분리가 가능하여, 세척, 교체, 관리가 용이해진다.
우수침투관(100)과 여과유닛(300)은 서로 이격되어, 우수침투관(100)과 여과유닛(300) 사이에는 이격공간(A)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200)의 중앙부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유닛(300)을 경유하여 우수침투관(100) 내부에서 상기 이격공간(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과유닛(300)이 지지파이프(310)와 여과재(320)를 포함하는 경우, 우수침투관(100)의 내두면과 지지파이프(310)의 외주면은 서로 이격되어, 우수침투관(100)과 지지파이프(310) 사이에 이격공간(A)이 마련될 수 있다. 덮개(200)의 중앙부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재(320)로 유입되어 여과재(320)에 의해 여과(정화)되며, 지지파이프(310)의 타공홀(311)을 통해 상기 이격공간(A)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덮개(200)는 플레이트(210), 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200)는 상부마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덮개(200)는 제1 결합링(240), 제2 결합링(25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우수침투관(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플레이트(210)는 우수침투관(100)의 상면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220)는 플레이트(210)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부분이다. 돌출부(220)는 플레이트(2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220)는 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0)의 직경은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돌출부(220) 내부에는 관통홀(H)이 마련되며, 관통홀(H)은 플레이트(210)까지 관통한다. 즉, 관통홀(H)은 돌출부(220) 및 플레이트(210)를 일괄 관통할 수 있다. 관통홀(H)은 덮개(200)의 개구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덮개(200)의 개구를 통과한 우수는 관통홀(H)을 경유하여 우수침투관(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돌출부(22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개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돌출부(220)의 상면에는 상부마개(23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마개(230)는 돌출부(22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부마개(230)의 측면에는 홈(231)이 형성되고, 돌출부(220)의 단부가 절곡되어 돌출부(220)의 절곡된 부분이 상기 홈(2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마개(230)는 돌출부(220)에 끼움 결합되지만, 탈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220)의 형상에 따라 상부마개(230)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개구는 덮개(20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는 형성 위치에 따라 제1 개구(H1), 제2 개구(H2)를 포함하고, 제3 개구(H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H1), 제2 개구(H2), 제3 개구(H3) 각각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H1)는 덮개(200)의 돌출부(220)의 측면에 형성된다. 제1 개구(H1)는 돌출부(220)의 관통홀(H)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1 개구(H1)를 통과한 우수는 관통홀(H)을 통해 우수침투관(100) 중앙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개구(H1)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유닛(300)을 통해 여과된다. 그리고 제1 개구(H1)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유닛(300)으로부터, 우수침투관(100)과 여과유닛(300) 사이의 이격공간(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에, 우수는 우수침투관(100)에 형성된 타공홀(110)을 통해 우수침투관(100)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1 개구(H1)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개구(H2)는 덮개(200)의 플레이트(210)에 형성된다. 제2 개구(H2)는 덮개(200)의 플레이트(21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1 개구(H1)와 제2 개구(H2)는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제2 개구(H2)를 통과한 우수는 우수침투관(100)의 외부로 이동하며, 우수침투관(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즉, 제2 개구(H2)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유닛(300)을 통해 여과되지는 않으며, 우수침투관(100) 외측으로 확산된다. 한편, 제2 개구(H2)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개구(H3)는 덮개(200)의 돌출부(220)의 상면에 형성된다. 특히, 제3 개구(H3)는 덮개(200)의 상부마개(2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개구(H3)는 우수 처리 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개구(H3)는 돌출부(220)의 관통홀(H)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3 개구(H3)를 통과한 우수는 관통홀(H)을 통해 우수침투관(100) 중앙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개구(H3)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유닛(300)을 통해 여과된다. 그리고 제3 개구(H3)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유닛(300)으로부터, 우수침투관(100)과 여과유닛(300) 사이의 이격공간(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에, 우수는 우수침투관(100)에 형성된 타공홀(110)을 통해 우수침투관(100)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3 개구(H3)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개구(H1)의 크기는 제2 개구(H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개구(H1)의 면적은 제2 개구(H2)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개구(H1)를 주로 통과하며, 우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 보조적으로 제2 개구(H2)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제1 개구(H1)를 통과하는 우수는 여과유닛(300)으로 여과될 수 있으며, 이 루트가 메인루트가 된다. 하지만, 여과유닛(300)이 모든 우수를 수용할 수 없고, 제2 개구(H2)를 통한 보조루트가 마련되는 것이다. 제2 개구(H2)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유닛(300)으로 여과되지는 않으며 우수침투관(100) 외측으로 확산된다.
제1 개구(H1) 및 제2 개구(H2)가 각각 복수로 형성된 경우, 하나의 제1 개구(H1)의 면적은 하나의 제2 개구(H2)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H1) 전체 면적합은 제2 개구(H2) 전체 면적합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제1 개구(H1) 크기와 하나의 제2 개구(H2) 크기는 동일하더라도, 제1 개구(H1)의 개수가 제2 개구(H2)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제1 결합링(240)과 제2 결합링(250)은 플레이트(2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링(250)은 제1 결합링(240)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링(240)의 직경이 제2 결합링(25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제2 결합링(250)은 돌출부(22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링(250)은 관통홀(H)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220)의 관통홀(H)은 제2 결합링(25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고, 제1 개구(H1), 제3 개구(H3)를 통과한 우수는 돌출부(220)의 관통홀(H)을 지나 제2 결합링(250)의 내부공간으로 빠져나온다. 제1 결합링(240)의 수직 길이는 제2 결합링(250)의 수직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제1 결합링(240)은 우수침투관(100)과 결합되고, 제2 결합링(250)은 여과유닛(300)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덮개(200)는 우수침투관(100) 및 여과유닛(300)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우수침투관(100)은 제1 결합링(2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여과유닛(300)은 제2 결하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여과유닛(300)의 상기 지지파이프(310)는 상기 제2 결합링(2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우수침투관(100)과 상기 제1 결합링(240)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여과유닛(300)과 상기 제2 결합링(250)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여과유닛(300)의 상기 지지파이프(310)와 상기 제2 결합링(250)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우수침투관(100)의 외주면은 제1 결합링(240)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되고, 여과유닛(300)의 지지파이프(310)의 내주면은 제2 결합링(250)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수침투관(100)의 외주면, 제1 결합링(240)의 내주면, 여과유닛(300)의 지지파이프(310)의 내주면, 제2 결합링(25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T)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200)에 대해서, 우수침투관(100)과 여과유닛(300)(지지파이프(310))은 각각 독립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우수침투관(100)의 내주면과 지지파이프(310)의 외주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200)의 중앙부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유닛(300)(여과재(320))을 경유하여, 우수침투관(100)의 내주면과 지지파이프(310)의 외주면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덮개(200)의 제1 개구(H1) 및/또는 제3 개구(H3)를 통과한 우수는 여과유닛(300)(여과재(320))을 경유하여 여과됨과 동시에, 우수침투관(100)의 내주면과 지지파이프(310)의 외주면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류날(400)은 우수침투관(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우수침투관(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날(400)은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우수침투관(100)의 상측에서 하측까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날(400)은 우수침투관(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우수침투관(100)으로부터 우수침투관(100)의 타공홀(110)을 통해 유출된 우수는 스크류날(400)을 따라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덮개(200)의 제2 개구(H2)를 통과한 우수는 스크류날(400)로 직접 이동하여 스크류날(400)을 따라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개구(H1) 및/또는 제3 개구(H3)를 통과한 우수는 우수침투관(100)의 여과유닛(300)으로 직접 이동하며, 제2 개구(H2)를 통과한 우수는 스크류날(400)로 직접 이동한다. 다만, 제1 개구(H1) 및/또는 제3 개구(H3)를 통과한 우수 중 적어도 일부는 여과유닛(300)을 경유하여 스크류날(400)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500)은 스크류날(400)을 둘러싸는 것으로, 스크류날(400)을 둘러싸도록 내부에 중공부(A1)를 포함하는 파이프일 수 있다. 한편, 덮개(200)는 하우징(50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500)이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이고, 스크류날(400)을 둘러싸며, 덮개(200)는 하우징(50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500)의 하면은 개방되고, 하우징(500)의 측면에는 타공홀(510)이 마련될 수 있다. 스크류날(400)로 이동된 우수는 하우징(500)의 하면과 타공홀(5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500) 내부에는 여과볼(또는 여과석(예를 들어, 자갈류))이 충전될 수 있다. 즉, 여과볼이 스크류날(400)을 따라 켜켜이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날(400)을 따라 이동하는 우수는 여과볼에 의해 여과되면서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수 처리 장치가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는 하우징(500)과 덮개(200)만 보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플레이트(210))의 직경은 하우징(50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덮개(200)와 하우징(500)은 별도의 고정구조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우수 처리 장치의 설치 시, 하우징(500)을 지반에 삽입한 후에, 우수침투관(100)을 하우징(500) 내부에서 지반으로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우수침투관(100)에는 덮개(200)가 결합되고, 덮개(200)에는 여과유닛(300)이 결합되어 있다. 우수침투관(100)이 하우징(500)만큼 깊이 삽입되면, 덮개(200)는 하우징(50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수 처리 장치는 각 부위 별로 분리될 수 있다. 여과유닛(300)은 우수침투관(100) 내부에 위치하거나 분리되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우수침투관(100)과 여과유닛(300)은 덮개(200)에 각각 결합되되, 각각이 덮개(200)에 대해 탈착 가능하다. 한편, 우수침투관(100)은 하우징(500)과 분리될 수 있다.
우수 처리 장치 조립 시에는, 여과유닛(300)(지지파이프(310))을 먼저 덮개(200)의 제2 결합링(250)에 나사결합시키고, 우수침투관(100)과 제1 결합링(240)을 나사결합시킨다. 지반에 기 삽입된 하우징(500) 내부에 우수침투관(100)을 삽입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여과유닛(300)은 지지파이프(310)와 여과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수침투관(100)의 내주면과 지지파이프(310)의 외주면 사이에는 이격공간(A)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200)의 개구는 덮개(200)에서 특정 영역에 형성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개구는 제1 개구(H1), 제2 개구(H2) 및 제3 개구(H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H1)는 덮개(200)의 돌출부(220) 측면에, 제2 개구(H2)는 덮개(200)의 플레이트(210)에, 제3 개구(H3)는 덮개(200)의 상면(또는 상부마개(230)(도 4(c))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H1)의 크기는 제2 개구(H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210)는 제1 영역와 제2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영역은 우수침투관(100)의 외부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제2 영역은 우수침투관(100)의 내부에 대응되되, 관통홀(H)의 외부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제2 개구(H2)는 제1 영역에 형성되지만, 제2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레이트(210)에 형성된 제2 개구(H2)를 통과하는 우수는 우수침투관(100)의 외부(스크류날(400))로 직접 이동할 뿐, 우수침투관(100) 내부로 직접 이동하지 않는다. 제1 개구(H1)를 통과한 우수는 우수침투관(100)의 중앙의 여과유닛(300)으로 유입되며, 제2 개구(H2)를 통과한 우수는 우수침투관(100) 외부의 스크류날(400)로 유입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수의 흐름을 알 수 있다.
제1 개구(H1)를 통과하는 우수는 관통홀(H)을 통해 우수침투관(100) 내부로 유입되며, 특히 여과유닛(300) 내부로 유입된다. 여과유닛(300)의 여과재(320)에 의해 정화된 우수는 여과유닛(300)의 하측으로 배출되거나, 지지파이프(310)의 타공홀(311)을 통해 여과유닛(300)과 우수침투관(100) 사이의 이격공간(A)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여과유닛(300)과 우수침투관(100) 사이의 이격공간(A)으로 빠져나온 우수는 우수침투관(100)의 하측으로 배출되거나, 우수침투관(100)의 타공홀(110)을 통해 우수침투관(100) 외부의 스크류날(400)로 이동할 수 있다. 우수는 스크류날(400)을 따라 하강하여 하우징(500)의 하면으로 배출되거나, 하우징(500) 측면의 타공홀(5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 개구(H2)를 통과하는 우수는 우수침투관(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우수침투관(100) 외측의 스크류날(400)로 직접 이동하며, 스크류날(400)을 따라 하강하여 하우징(500)의 하면으로 배출되거나, 하우징(500) 측면의 타공홀(5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3 개구(H3)를 통과한 우수는 제1 개구(H1)를 통과한 우수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우수의 양이 중앙으로 집중되기 때문에, 우수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하지만,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수침투관(100) 외측에 있는 우수가 우수침투관(100)의 타공홀(110)을 통해 우수침투관(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우수침투관
110: 타공홀
200: 덮개
210: 플레이트
220: 돌출부
230: 상부마개
240: 제1 결합링
250: 제2 결합링
300: 여과유닛
310: 지지파이프
311: 타공홀
320: 여과재
400: 스크류날
500: 하우징
510: 타공홀

Claims (13)

  1. 우수침투관;
    상기 우수침투관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우수침투관에 결합되고, 우수를 통과시키는 개구가 구비된 덮개; 및
    상기 우수침투관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덮개에 결합되고, 우수를 여과하는 여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우수침투관 및 상기 여과유닛 각각과 탈착 가능하고,
    상기 우수침투관 상면에 안착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된 제1 결합링; 및
    상기 제1 결합링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하면에 형성된 제2 결합링을 포함하는,
    상기 우수침투관은 상기 제1 결합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여과유닛은 상기 제2 결합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플레이트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플레이트를 일괄 관통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제1 개구; 및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의 크기는 상기 제2 개구의 크기보다 큰,
    우수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침투관과 상기 제1 결합링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여과유닛과 상기 제2 결합링이 나사결합되는,
    우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유닛은,
    원주면이 타공된 지지파이프; 및
    상기 지지파이프 내부에 충전되는 여과재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파이프는 상기 제2 결합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우수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침투관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파이프의 외주면은 서로 이격된,
    우수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침투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날; 및
    상기 스크류날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우수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우수를 상기 여과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개구; 및
    우수를 상기 스크류날로 이동시키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구의 크기는 상기 제2 개구의 크기보다 큰,
    우수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은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타공홀이 마련되고,
    상기 스크류날로 이동된 우수는 상기 하면과 상기 타공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우수 처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를 통과한 우수는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여과유닛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한 우수는 상기 우수침투관의 외부로 이동하는,
    우수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침투관과 상기 여과유닛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여과유닛을 통과한 우수는 상기 이격공간으로 이동하는,
    우수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침투관의 원주면에는 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으로 이동한 우수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타공홀을 통해 상기 우수침투관 외부로 배출되는,
    우수 처리 장치.
KR1020200186534A 2020-12-29 2020-12-29 우수 처리 장치 KR102217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534A KR102217427B1 (ko) 2020-12-29 2020-12-29 우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534A KR102217427B1 (ko) 2020-12-29 2020-12-29 우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427B1 true KR102217427B1 (ko) 2021-02-22

Family

ID=7468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534A KR102217427B1 (ko) 2020-12-29 2020-12-29 우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4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993A (ko) * 2015-02-10 2016-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빗물 침투 및 집수 유도 관로 삽입형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빗물 활용 시스템
KR20160124956A (ko) * 2015-04-20 2016-10-31 그린로드(주)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2125814B1 (ko) * 2019-03-20 2020-07-08 정영호 우수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993A (ko) * 2015-02-10 2016-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빗물 침투 및 집수 유도 관로 삽입형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빗물 활용 시스템
KR20160124956A (ko) * 2015-04-20 2016-10-31 그린로드(주)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방법
KR102125814B1 (ko) * 2019-03-20 2020-07-08 정영호 우수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3373B1 (en) Stormwater pollu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8123935B2 (en) Filter for removing sediment from water
KR101340799B1 (ko) 빗물 집수장치 및 상기 집수장치를 이용한 집수활용시설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28208B1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KR101781334B1 (ko)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JP5677939B2 (ja) 雨水排出ます
KR20180071063A (ko) 집수식 투수블록
KR101334192B1 (ko) 초기빗물 배제 및 여과장치
KR101379204B1 (ko) 홈통용 배수트랩
KR101564083B1 (ko) 비점오염원 오염물질 여과 설비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JP2011520049A5 (ko)
KR10168381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160031282A (ko) 지반침투겸용 빗물받이 및 이를 구비한 보도연계형 빗물받이 구조물
KR100920060B1 (ko) 경계석이 일체로 된 도로 비점오염 저감설비
KR101738952B1 (ko) 고분자pe필터를 이용한 빗물 처리장치
KR102217427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331596B1 (ko) 초기 강우 정화 침투 수로관
JP4386952B2 (ja) 雨水桝の施工構造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KR102055268B1 (ko) 조립식 지표수 침투집수정
KR20150091603A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JP4608366B2 (ja) 暗渠排水構造及び雨水の浸透処理方法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