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060B1 -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060B1
KR102216060B1 KR1020200159985A KR20200159985A KR102216060B1 KR 102216060 B1 KR102216060 B1 KR 102216060B1 KR 1020200159985 A KR1020200159985 A KR 1020200159985A KR 20200159985 A KR20200159985 A KR 20200159985A KR 102216060 B1 KR102216060 B1 KR 10221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ing
information
self
server
is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희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앙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앙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앙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200159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상의 자가격리자의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그 현황을 제공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상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가격리자 이상징후 발생 시의 대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은, 보건당국서버로부터 자가격리대상자의 명단을 수신하며, 상기 자가격리대상자를 전담(專擔)하여 관리하는 전담요원을 배정하고,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서버, 상기 모니터링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자가격리대상자 중 신규 자가격리대상자를 선정 및 등록하며, 상기 전담요원의 배정을 관리하는 보건소단말기 및 상기 모니터링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이상징후 발생을 판단하고, 이상징후 발생 시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대응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전담요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대응지시 신호 수신 시, 경찰청서버, 지역의료기관서버 또는 유관기관서버로 알람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에 대한 가상 위치정보 및 가상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상데이터생성모듈 및 상기 가상 데이터에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며, 상기 가상 데이터에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전담요원단말기가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대응지시 신호를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니터링서버가 대응지시 신호 수신 시, 상기 경찰청서버, 상기 지역의료기관서버 또는 상기 유관기관서버로 알람정보를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대한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MONITORING VERIFICATION SYSTEM FOR SUSPECTED INFECTIOUS DISEASES USING VIRTUAL DATA}
본 발명은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의 자가격리자의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그 현황을 제공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상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가격리자 이상징후 발생 시의 대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국가 간 이동이 잦아지고 환경 파괴, 기후·환경 및 생태계 변화로 인해 다양한 신종감염병이 나타나고 있다. 2015년 메르스 사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국내로 유입·확산된 감염병은 개인의 생명과 재산에 대한 커다란 피해를 야기하고 더 나아가 국가적·사회적으로도 막대한 경제적·사회적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한편,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감염병예방법) 제47조와 제49조에서 정부가 감염병의 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하여 감염병병원체에 감염되었다고 의심되는 사람(감염병 의심대상자)을 적당한 장소에 일정한 기간 격리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고 정하였다.
감염병 의심대상자는 밀접접촉자(Close contact, 매일 1회 전화 확인)와 일상접촉자(문자안내)로 구분하며, 현재 감염병 의심대상자 관리 업무는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보건소 행정력 한계에 따른 감시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
밀접접촉자는 질병관리본부로 보고된 후 관할 보건소의 관리하에 자가격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밀접접촉자로 판단된 경우 질환의 최장 잠복기 동안 자택에서의 자가격리 및 증상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격리는 공중보건학적으로 감염병의 확산을 막고 예방하기 위하여 가장 필수적인 조치로 공중을 감염병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이다.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해 자가격리자의 감시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하며, 15년 메르스 국내 유행 시 접촉자 중 자가격리자는 관할 보건소에서 자가격리자 주거 방문 및 전화를 통한 모니터링을 시행하였다. 하지만, 향후 대규모 접촉자 발생 시 소규모 인력으로는 자가격리자를 대응하는 것에 대한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ICT 기술은 소규모 인원으로 대규모 자가격리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실제 개발된 기술을 현장에서 적용해본 경험이 없는 상태이다.
신종감염병에 의한 공중보건 위기에 적절한 대비와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초기 바이러스 확산의 조기 진압 실패 및 정확한 정보공개의 지연 등 국가적으로 위기 상황과 재난상황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신종감염병 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한 실효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며, 그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 시스템의 구축도 함께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3145호 (2017. 05. 1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9705호 (2017. 09. 20.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8860호 (2020. 07. 02.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의 자가격리자의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그 현황을 제공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상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가격리자 이상징후 발생 시의 대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은, 보건당국서버로부터 자가격리대상자의 명단을 수신하며, 상기 자가격리대상자를 전담(專擔)하여 관리하는 전담요원을 배정하고,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서버, 상기 모니터링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자가격리대상자 중 신규 자가격리대상자를 선정 및 등록하며, 상기 전담요원의 배정을 관리하는 보건소단말기 및 상기 모니터링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이상징후 발생을 판단하고, 이상징후 발생 시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대응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전담요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대응지시 신호 수신 시, 경찰청서버, 지역의료기관서버 또는 유관기관서버로 알람정보를 송신하되,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에 대한 가상 위치정보 및 가상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상데이터생성모듈 및 상기 가상 데이터에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며, 상기 가상 데이터에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전담요원단말기가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대응지시 신호를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니터링서버가 대응지시 신호 수신 시, 상기 경찰청서버, 상기 지역의료기관서버 또는 상기 유관기관서버로 알람정보를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대한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서버의 모니터링 정보의 제공은, 상기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이 생성한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격리자정보를 산출하여 생성한 화면컨텐츠를 상기 보건소단말기, 상기 전담요원단말기 및 상기 격리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시보드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가 기 저장된 관리대상자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특정 상황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특정 상황에 따라 상기 관리대상자DB에서 기 저장된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이상징후는, 격리장소이탈 징후 및 유증상 징후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징후가 격리장소이탈 징후인 경우, 상기 전담요원단말기는, 상기 격리자단말기로 격리장소를 이탈한 정보를 전송하여 복귀지도를 수행하고, 상기 격리자단말기가 상기 격리장소로 복귀하지 않을 시 상기 경찰청서버로 상기 알람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이상징후가 유증상 징후인 경우, 상기 전담요원단말기는, 상기 지역의료기관서버 또는 상기 유관기관서버로 상기 알람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전담요원 배정은, 가용 모니터링 요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전담요원으로 배정하며, 가용 모니터링 요원의 업무쏠림현상을 판단하며, 상기 보건소단말기는, 상기 업무쏠림현상 발생 시 소지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담요원을 배정한다.
본 발명인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에 따르면, 가상의 자가격리자의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생성하고 그 현황을 제공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상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가격리자 이상징후 발생 시의 대응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10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1000)은, 도 1을 참조하면, 자가격리대상자 현황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모니터링서버(100)와 그 모니터링서버(100)에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접속가능한 보건소단말기(10), 전담요원단말기(20) 및 격리자단말기(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1000)은, 상세하게는, 보건당국서버(1)로부터 자가격리대상자의 명단을 수신하며, 상기 자가격리대상자를 전담(專擔)하여 관리하는 전담요원을 배정하고,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서버(100), 상기 모니터링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자가격리대상자 중 신규 자가격리대상자를 선정 및 등록하며, 상기 전담요원의 배정을 관리하는 보건소단말기(10), 상기 모니터링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기기(미도시)를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에게 할당하고, 할당된 상기 모니터링기기의 정보 및 상태를 상기 모니터링서버(100)에 등록하며, 상기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이상징후 발생을 판단하고, 이상징후 발생 시 상기 모니터링서버(100)로 대응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전담요원단말기(20) 및 상기 자가격리대상자가 할당받은 상기 모니터링기기로부터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서버(100)로 송신하는 격리자단말기(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는, 보건당국서버(1)로부터 자가격리대상자의 명단을 수신한다. 본 명세서에서 보건당국서버(1)는, 보건과 관련된 정부기관 또는 시·도에서 감염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보건당국서버(1)는 감염병 검사를 받은 자 중 의사환자 또는 조사대상 유증상자가 아닌 자(이하, 자가격리대상자)의 목록을 모니터링서버(100)로 제공한다. 자가격리대상자는 본인의 집에서 스스로 외출을 금하고 외부 접촉을 삼가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건소단말기(10)는,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보건소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기이다. 보건소단말기(10)는 모니터링서버(100)에 접속하여 자가격리대상자의 명단을 수신한다. 보건소단말기(10)는 수신한 자가격리대상자 명단에서 자가격리대상자 중 신규 자가격리대상자를 선정한다. 보건소단말기(10)는, 일정주기(예를 들어, 매일 오전 6시)로 모니터링서버(100)에 접속하여 자가격리대상자의 명단을 수신한다. 보건소단말기(10)는 수신한 자가격리대상자의 명단과 기 수신한 자가격리대상자의 명단을 비교하여 신규 자가격리대상자를 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건소단말기(10)는, 선정한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의 명단을 생성하며, 생성한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를 모니터링서버(100)에 송신하며, 모니터링서버(100)는 수신한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를 저장한다. 보건소단말기(10)는 모니터링서버(100)로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신규 자가격리대상자를 모니터링서버(100)에 등록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는, 수신한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를, 후술하게 될, 대시보드의 형태로 보건당국서버(1), 보건소단말기(10), 전담요원단말기(20) 및/또는 격리자단말기(30)에 제공한다. 모니터링서버(100)가 제공하는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는 일일현황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100)는,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관리대상자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대상자DB에는, 후술하게 될, 모니터링기기에 의해 측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이때, 모니터링서버(100)는 신규 자가격리대상자 각각이 속한 실거주지 관할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보건소관리자가 소지하는 보건소단말기(10)로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는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의 격리자단말기(30)로 신규 자가격리대상자로 선정 및 등록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서버(100)는, 격리자단말기(30)로 신규 자가격리대상자가 된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는,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를 수신한 후 신규 자가격리대상자를 전담하여 관리하는 전담요원을 배정한다. 모니터링서버(100)의 전담요원 배정은, 기 저장된 가용 모니터링 요원 중 어느 하나를 전담요원으로 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니터링 요원 및 전담요원은, 공무원 중 자가격리대상자를 전담하여 관리하도록 지정된 자가격리자 전담공무원일 수 있다. 모니터링 요원 및 배정된 전담요원의 정보는 모니터링서버(100)가 포함하는 요원DB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는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에게 전담요원을 배정할 때 가용 모니터링 요원의 업무쏠림현상을 판단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100)는 전담요원을 배정할 때, 요원DB에서 모니터링 요원의 가동 현황을 조회한다. 모니터링서버(100)는 모니터링 요원의 가동 현황을 조회한 후, 소수의 모니터링 요원에게 다수의 모니터링 요원보다 더 많은 자가격리대상자가 배정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전체 모니터링 요원에게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평균값이 이용될 수 있다. 전담요원 배정 시 평균값의 이용은, 예를 들어, 전체 모니터링 요원에게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평균값의 10% 초과의 자가격리대상자의 전담 배정이 소수의 모니터링 요원에게 배정된 경우 모니터링서버(100)는, 보건소단말기(10)로 업무쏠림현상의 발생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건소단말기(10)는, 모니터링서버(100)로부터 업무쏠림현상의 발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건소단말기(10)는 업무쏠림현상 발생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담요원의 배정을 관리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업무쏠림현상의 발생신호를 수신한 보건소단말기(10)의 소지자는 보건소단말기(10)로 가용 모니터링 요원의 자가격리대상자를 전담할 전담요원을 입력하여 전담요원을 배정한다. 따라서 모니터링 요원의 업무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보건소단말기(10)는 업무쏠림현상 발생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만 전담요원의 배정을 관리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건소단말기(10)는 모니터링서버(100)가 배정한 전담요원을 재배치하여 전담요원의 배정을 관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업무쏠림현상을 파악하는 평균값의 초과 % 값은 기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업무쏠림현상에서 이용될 평균값의 초과 % 값은, 복수의 모니터링 요원에게 각각 기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수에 비례하여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모니터링 요원에게 기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평균값이 한 자리수(0~9)인 경우에는 소수의 모니터링 요원에게 기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평균값이 전체 모니터링 요원에게 기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평균값 초과 20%일 때 모니터링서버(100)는 업무쏠림현상을 판단하고, 전체 모니터링 요원에게 기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평균값이 두 자리수(10~99)인 경우에는 소수의 모니터링 요원에게 기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평균값이 전체 모니터링 요원에게 기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평균값 초과 10%일 때 모니터링서버(100)는 업무쏠림현상을 판단하며, 전체 모니터링 요원에게 기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평균값이 세 자리수(100~999)인 경우에는 소수의 모니터링 요원에게 기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평균값이 전체 모니터링 요원에게 기 배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평균값 초과 5%일 때 모니터링서버(100)는 업무쏠림현상을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서버(100)의 업무쏠림현상을 판단할 때 초과 % 값이 변동함에 따라 모니터링 요원의 업무분담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빈번한 업무쏠림현상 발생 판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1000)은, 모니터링서버(100) 또는 보건소단말기(10)에 의해 배정된 전담요원이 소지하는 전담요원단말기(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담요원단말기(20)는, 모니터링서버(100)에 접속하여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다. 모니터링서버(100)가 제공하는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정보는 후술하도록 한다.
모니터링서버(100) 또는 보건소단말기(10)에 의해 배정된 전담요원은 자가격리대상자에게 모니터링기기를 할당한다. 할당된 모니터링기기는 전담요원단말기(20)에 의해 모니터링서버(100)에 그 정보 및 상태가 등록된다. 할당된 모니터링기기의 정보는 각 모니터링기기의 식별번호와 할당된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를 포함한다. 할당된 모니터링기기의 상태는, 대기, 사용 또는 폐기를 포함한다. 모니터링기기의 상태는 자가격리대상자에게 할당되기 전 모니터링기기의 상태는 ‘대기’ 이며, 할당된 후에는 ‘사용’ 이며, 자가격리대상자가 자가격리대상에서 해제 또는 자가격리가 종료된 후 모니터링기기의 상태는 ‘폐기’ 일 수 있다. 모니터링기기의 상태정보는 전담요원단말기(20)에 의해 모니터링서버(100)에 각각 그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모니터링기기의 상태는, ‘대기’, ‘사용’, ‘폐기’로 설정 및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어, 어느 한 자가격리대상자가 사용한 모니터링기기는 폐기되도록, 즉 일회용으로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기기는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한다. 모니터링기기에 의해 수집된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정보는, 격리자단말기(30)에 의해 모니터링서버(100)로 전송된다. 격리자단말기(30)는, 자가격리대상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서, 모니터링기기와 유무선연결이 가능하다. 모니터링기기는, 자가격리대상자의 체온, 심박수, 혈중 산소포와도, 호흡수 등 신체정보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 위치정보(이하,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종래의 자가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 앱에서는 자가격리대상자가 하루 두 번 정해진 시간에 직접 본인의 신체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기기는 자가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를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측정하며, 그 측정된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니터링기기에 의해 측정된 정보들은 용어, 형태, 단위, 주기 또는 표출방식 등이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기기는 공지된 스마트 워치 또는 공지된 스마트 패치를 포함한다. 또한 각 격리자가 소지하는 공지된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모니터링기기는 자가격리대상자가 소지 또는 착용하며, IoT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전담요원단말기(20)는 자가격리대상자가 자가격리대상자로 선정 및 등록될 때, 자가격리대상자가 자가격리 될 위치, 즉 격리장소를 모니터링서버(100)에 등록한다. 등록된 자가격리대상자 별 격리장소는 모니터링서버(100)가 포함하는 격리장소DB에 저장될 수 있다. 전담요원단말기(20)는 자가격리대상자가 접근할 수 없는 위치를 모니터링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으며, 자가격리대상자가 접근할 수 없는 위치는, 예를 들어, 대중 시설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는, 모니터링기기로부터 측정되어 수신한 자가격리대상자의 위치정보를 통해 자가격리대상자가 격리장소를 이탈한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수신한 자가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를 통해 자가격리대상자의 유증상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기기는, 자가격리대상자가 위치한 장소 또는 그 장소에 위치한 시간 정보도 함께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자가격리대상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가격리대상자가 특정위치에 머무른 시간정보와 자가격리대상자가 피해야할 장소 리스트와 매칭되는 장소에 위치한 정보도 함께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기기는, 자가격리대상자의 위치정보, 신체정보 및 그 위치정보 또는 신체정보로부터 연산된 활동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모니터링기기는, 자가격리대상자가 피해야 할 활동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자가격리대상자가 피해야 할 활동에는, 예를 들어, 과격한 운동, 음주 또는 흡연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기기는, 자가격리대상자의 심박수 또는 호흡수를 수집하여 모니터링서버(100)로 전송하고, 전담요원단말기(20)는, 모니터링서버(100)가 제공하는 자가격리대상자의 심박수의 증가 또는 호흡수의 증가를 통해 자가격리대상자의 유증상 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담요원단말기(20)는, 모니터링기기에 의해 측정된 자가격리대상자의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에 따라 자가격리대상자의 격리장소이탈 및 유증상 징후를 포함하는 이상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전담요원단말기(20)는, 모니터링서버(100)가 제공하는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자가격리대상자의 격리장소이탈 및 유증상 징후를 포함하는 이상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담요원단말기(20)는, 자가격리대상자의 이상징후 발생을 판단한 후, 모니터링서버(100)로 대응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모니터링서버(100)는 대응지시 신호를 수신한 후, 각 이상징후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실시한다.
한편, 전담요원단말기(20)에 의해서만 이상징후의 발생이 판단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니터링서버(100)는, 모니터링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가격리대상자에게 이상징후가 발생한 것을 판단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서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기기에 의해 측정되어 수신한 자가격리대상자의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에 기반하여 자가격리대상자에게 이상징후가 발생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전담요원단말기(20)에 의해 자가격리대상자에게 이상징후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담요원단말기(20)는 모니터링서버(100)로 대응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대응지시 신호를 수신한 모니터링서버(100)는 이상징후의 종류에 따라 경찰청서버(3), 지역의료기관서버(5) 또는 유관기관서버(7)로 이상징후의 발생에 따른 정보가 담긴 알람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이상징후 발생의 판단은 모니터링서버(100)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상징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격리장소이탈 징후 및 유증상 징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가 판단한 이상징후 또는 모니터링서버(100)가 수신한 대응지시 신호에 따른 이상징후가 자가격리대상자의 격리장소이탈 징후인 경우, 모니터링서버(100)는, 전담요원단말기(20)로 자가격리대상자의 격리장소이탈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자가격리대상자의 격리장소이탈 정보를 수신한 전담요원단말기(20)는 격리자단말기(30)를 향해 격리장소를 이탈하였다는 정보를 전송하여 복귀지도를 수행한다. 복귀지도 시의 정보 전송은, 팝업(pop-up)을 이용한 문자메시지 방법 또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의 음성전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전담요원단말기(20)의 복귀지도 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도 격리자단말기(30)의 위치정보가 기 저장된 격리장소로 복귀되지 않았을 경우, 전단요원단말기는 모니터링서버(100)로 자가격리대상자의 격리장소이탈 정보를 송신하며, 모니터링서버(100)는 경찰청서버(3)로 자가격리대상자의 격리장소이탈 정보가 포함된 알람정보를 송신한다. 이후, 경찰청서버(3)는 자가격리대상자의 격리장소로의 복귀 또는 호송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복귀지도 시 자가격리대상자의 이동 범위 이탈 및 대중 시설 방문 시 1차적으로 경고 사운드를 재생할 수 있으며, 단순 실수로 인한 범위 이탈의 경우, 즉 경고 사운드 재생 후 격리장소에 복귀한 경우 다시 평시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경고 사운드 재생 후에도 격리장소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 전술한 방법으로 격리장소 이탈 정보를 전송하고, 이후에도 격리장소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 경찰청서버(3)에 의한 수송차량 및 제압 인원을 송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가 판단한 이상징후 또는 모니터링서버(100)가 수신한 대응지시 신호에 따른 이상징후가 자가격리대상자의 유증상 징후인 경우, 모니터링서버(100)는, 전담요원단말기(20)로 자가격리대상자의 유증상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담요원단말기(20)는 지역의료기관서버(5) 또는 유관기관서버(7)로 자가격리대상자의 유증상 정보가 포함된 알람정보를 송신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지역의료기관서버(5)는, 감염병관리센터 또는 지역보건소의 감염병관리과에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유관기관서버(7)는, 출입국관리사무소에서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알람정보를 수신한 지역의료기관에서는 유증상 징후를 갖는 자가격리대상자를 이송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유관기관에서는 자가격리대상자의 출입을 금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 또는 전담요원단말기(20)는, 자가격리대상자의 자가격리해제가 가능하다. 자가격리해제는, 감염병별, 사례별 또는 지자체별 기준이 다를 수 있으며, 그 기준에 따라 모니터링서버(100) 또는 전담요원단말기(20)에 의해 자가격리대상자의 자가격리 해제가 가능하다. 모니터링서버(100)는, 보건당국서버(1)로부터 그 기준을 수신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서버(100) 또는 전담요원단말기(20)는 수신한 기준에 따라 자가격리대상자의 자가격리 해제를 모니터링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자가격리대상자의 자가격리 해제 후 모니터링서버(100)는 자가격리 해제에 따른 정보를 보건당국서버(1)에 전송할 수 있다. 자가격리 해제에 대한 정보는 격리자단말기(30)로도 송신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는,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정보를 보건소단말기(10), 전담요원단말기(20) 및/또는 격리자단말기(30)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정보는, 격리자단말기(3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격리자정보를 산출하여 생성한 화면컨텐츠를 보건소단말기(10), 전담요원단말기(20) 및/또는 격리자단말기(3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링서버(100)가 각 단말기를 향해 제공하는 모니터링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dashboard)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니터링서버(100)가 각 단말기로 제공하는 대시보드는, 각 단말기의 한 화면에서 다양한 정보를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찾을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가능한 방식을 의미한다. 모니터링서버(100)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정보는, 여러 종류의 웹 기반 콘텐츠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문서, 웹 페이지, 메시징, 미디어 파일 등 다양한 콘텐츠를 한 화면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가 제공하는 화면컨텐츠는, 보건소별 자가격리대상자 현황 및 GIS 기반 자가격리자 정보를 포함한다. 모니터링서버(100)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정보의 화면컨텐츠가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되는 일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한편, 모니터링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모니터링 정보 외의 정보들은 보건당국서버(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가 제공하는 모니터링 정보는, 도 2를 참조하면, 자가격리대상자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 자가격리대상자 현황이 제공될 수 있고(도 2의 4번), 일별/주간별/월간별 모니터링대상자 등록현황이 제공될 수 있으며(도 2의 5번), 자가격리대상자 총원, 유증상자 총원 및 여유병상수가 제공될 수 있다(도 2의 6번).
본 발명에 따른 보건소단말기(10)에서 신규 자가격리대상자 정보를 등록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자가격리대상자의 기본정보를 등록하며(도 3의 1번 내지 5번), 그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이력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도 3의 6번). 이때 해당 관리기관은 입력되는 거주지에 따라 자동적으로 등록될 수 있다(도 3의 5번).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를 목록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자가격리대상자의 목록 중, 자가격리대상자의 격리장소 이탈 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록에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자가격리대상자의 지역별 검색이 가능하며(도 6의 1번), 지역 선택값에 대한 당일 자가격리대상자 등록 변경 현황 정보가 제공되는 일일현황과(도 6의 2번), 지역 선택값에 대한 최근 10일간 일별 자가격리대상자 등록 변경 현황과 여유병상수가 그래프로 표현되는 일자별 현황과(도 6의 3번), GIS 기반 지역별 현재 기준 자가격리대상자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도 6의 4번).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기기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통해 판단된 격리장소이탈 징후 및 유증상 징후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도 7의 1번 및 2번). 격리장소이탈 징후의 경우, 자가격리대상자의 위치정보가 격리장소가 아닌 곳인 경우, 해당 상태 칸에 표시되며, 자가격리대상자의 신체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밖의 값이 측정된 경우 해당 상태 칸에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정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격리대상자에게 할당되는 모니터링기기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도 8의 2번). 이때, 모니터링기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는, 모니터링서버(100)가 모니터링기기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가상으로 생성하는 가상데이터생성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모니터링서버(100)에 입력받은 특정 상황을 기반으로 상황별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복수개의 가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연령, 직업, 중증도, 전파경로, 확산속도, 감염병 종류 등에 따른 입력값을 기준으로 가상 정보(또는 가상 데이터, 이하 같다)를 생성한다.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보건당국서버(1)으로부터 기 수집한 자가격리대상자의 연령, 직업, 중증도, 전파경로, 확산속도 또는 감염병 종류에 대한 상세정보와 함께 그 자가격리대상자의 자가격리 기간동안의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격리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관리대상자DB에 기 저장된 자가격리대상자의 연령, 직업, 중증도, 전파경로, 확산속도 또는 감염병 종류에 대한 상세정보와 함께 그 자가격리대상자의 자가격리 기간동안의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보건당국서버(1) 또는 관리대상자DB로부터 어느 자가격리대상자의 상세정보,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각 정보는 데이터화되며 모니터링기기로부터 직접 각 정보를 측정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대체할 수 있다. 또는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보건당국서버(1) 또는 관리대상자DB로부터 수신한 어느 특정 자가격리대상자의 상세정보,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기반으로 가상의 상세정보, 가상의 위치정보 및 가상의 신체정보를 복수개 생성할 수 있다.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가상의 정보를 생성할 때에는, 특정 범위로 출력되도록 지정된 난수가 자동발생하는 방식으로 가상의 정보를 복수개 생성할 수 있다.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이 가상의 정보를 생성하는 난수 발생 방식에는, 공지된 방식인, 중앙 제곱법, 합동식 방법, 메르센 트위스터, XOR 시프트 등의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는, 모니터링기기로부터 측정되어 수신한 정보 대신, 가상데이터생성모듈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화면컨텐츠를 모니터링 정보로 하여 각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각 단말기로의 제공은 각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시보드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상데이터생성모듈로부터 수신한 가상 정보에는 이상징후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링서버(100)는, 가상 정보에 이상징후가 포함될 경우, 그에 따른 조치가 적절히 수행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는 가상테스트검증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은,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이 수신 또는 생성한 가상 정보에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격리장소이탈 징후 및 유증상 징후를 포함한다.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은, 가상 정보에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전담요원단말기 또는 모니터링서버의 이상징후 발생에 관한 대응 또는 대응지시 신호가 전술한 알고리즘에 따라 송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은, 일실시예로서, 가상 정보에 GIS 기반의 좌표로서 표현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정된 격리장소를 벗어진 격리장소이탈 징후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은, 일실시예로서, 가상 정보에 체온이 기준범위 이상 상승하거나, 호흡수가 기준범위 이상 상승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 정보에 이상징후가 포함된 경우, 그 이상징후에 따라 단말기간 및/또는 서버간 정보가 전술한 알고리즘에 따라 송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가상 정보에 격리장소이탈 징후가 포함된 경우, 전담요원단말기(20)로 가상의 격리자단말기(30)가 격리장소를 이탈한 정보를 전송하여 복귀지도가 수행되고, 가상의 격리자단말기(30)가 격리장소로 복귀하지 않을 시 경찰청서버(3)로 알람정보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한 결과는, 모니터링 정보로 각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가상정보에 유증상 징후가 포함된 경우, 그 정보가 전담요원단말기(20)로 전송되거나, 전담요원단말기(20)가 지역의료기관서버(5) 또는 유관기관서버(7)로 가상의 자가격리대상자에게 유증상 징후가 발생한 것에 대한 정보가 담긴 알람정보를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자는, 모니터링서버(100)로 본 발명의 상황별 가상훈련을 하기 위하여, 특정 상황을 입력한다. 이때의 특정 상황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령, 직업, 중증도, 전파경로, 확산속도, 감염병 종류 등에 따른 입력값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연령에 대한 입력값으로 특정 연령을 입력하면,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보건당국서버(1) 또는 관리대상자DB로부터 입력된 연령값에 대한 가상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생성한다. 모니터링서버(100)는 수신 또는 생성된 가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화면컨텐츠를 구성하며, 그 정보는 모니터링 정보로 하여 각 단말기로 제공된다. 가상의 정보에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모니터링서버(100) 또는 전담요원단말기(20)는 지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으며,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은 그 적절한 대응을 판단한다.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은 이상징후에 대한 대응에 따른 정보의 송수신이 지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는지 판단하여, 그 결과를 화면컨텐츠로 재구성된 모니터링 정보로 하여 각 단말기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적절히 동작하는 지 가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DB는 데이터베이스부를 의미하며, 데이터베이스부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하, DBMS)을 포함할 수 있다. DBMS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베이스부 내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의 집합이다. DBMS는 IMS, CODASYL DB, DB2, ORACLE, INFORMIX, SYBASE, INGRES, MS-SQL, Objectivity, O2, Versanat, Ontos, Gemstone, Unisql, Object Store, Starburst, Postgres, Tibero, MySQL 또는 MS-access등을 포함할 수 있다. DBMS는 특정 명령어의 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특정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서버(100)와 각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무선통신 가능하며,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네트워크의 일 예로서 무선의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선의 근거리 통신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썬더볼트(ThunderboltTM)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건소단말기(10), 전담요원단말기(20) 및 격리자단말기(30)는, 예를 들면, 데스크탑 PC(desktop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ersonal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 등 유선 통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건소단말기(10), 전담요원단말기(20) 및 격리자단말기(3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수단과,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네트워크를 통해 모니터링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검색 정보 및 선택 정보의 입력과, 검색된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한 디지털 정보의 처리가 가능한 구성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보건당국서버(1), 모니터링서버(100), 경찰청서버(3), 지역의료기관서버(5) 및 유관기관서버(7)가 서버로서 포함하는 공지된 각 구성들과 가상데이터생성모듈 및 가상테스트검증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된 수행과정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들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로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 : 보건당국서버
3 : 경찰청서버
5 : 지역의료기관서버
7 : 유관기관서버
10 : 보건소단말기
20 : 전담요원단말기
30 : 격리자단말기
100 : 모니터링서버
1000 :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Claims (5)

  1. 보건당국서버로부터 자가격리대상자의 명단을 수신하며, 상기 자가격리대상자를 전담(專擔)하여 관리하는 전담요원을 배정하고,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서버;
    상기 모니터링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자가격리대상자 중 신규 자가격리대상자를 선정 및 등록하며, 상기 전담요원의 배정을 관리하는 보건소단말기; 및
    상기 모니터링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이상징후 발생을 판단하고, 이상징후 발생 시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대응지시 신호를 송신하는 전담요원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대응지시 신호 수신 시, 경찰청서버, 지역의료기관서버 또는 유관기관서버로 알람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에 대한 가상 위치정보 및 가상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가상데이터생성모듈; 및
    상기 가상 데이터에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며, 상기 가상 데이터에 이상징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전담요원단말기가 상기 모니터링서버로 대응지시 신호를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니터링서버가 대응지시 신호 수신 시, 상기 경찰청서버, 상기 지역의료기관서버 또는 상기 유관기관서버로 알람정보를 송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에 대한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테스트검증모듈;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서버는, 상기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가 기 저장된 관리대상자D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은, 특정 상황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특정 상황에 따라 상기 관리대상자DB에서 기 저장된 자가격리대상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서버의 모니터링 정보의 제공은,
    상기 가상데이터생성모듈이 생성한 위치정보 및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격리자정보를 산출하여 생성한 화면컨텐츠를 상기 보건소단말기 및 상기 전담요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시보드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징후는, 유증상 징후를 포함하며,
    상기 이상징후가 유증상 징후인 경우, 상기 전담요원단말기는, 상기 지역의료기관서버 또는 상기 유관기관서버로 상기 알람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담요원 배정은, 가용 모니터링 요원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전담요원으로 배정하며, 가용 모니터링 요원의 업무쏠림현상을 판단하며,
    상기 보건소단말기는, 상기 업무쏠림현상 발생 시 소지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전담요원을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KR1020200159985A 2020-11-25 2020-11-25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KR10221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985A KR102216060B1 (ko) 2020-11-25 2020-11-25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985A KR102216060B1 (ko) 2020-11-25 2020-11-25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060B1 true KR102216060B1 (ko) 2021-02-16

Family

ID=7468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985A KR102216060B1 (ko) 2020-11-25 2020-11-25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416B1 (ko) * 2021-12-31 2022-07-15 주식회사 리앙커뮤니케이션즈 IoT기반 취약계층 질병위해인자 비대면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856A (ko) * 2008-06-25 2010-01-06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착용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말기 및이를 이용하는 건강관제시스템
KR20110109603A (ko) * 2010-03-31 2011-10-06 (주)유카이트 생체신호 측정기기, 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KR20170053145A (ko) 2015-11-05 2017-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전염병 추적 관리 시스템
KR101779705B1 (ko) 2016-03-16 2017-09-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기반 신종 감염병 예측 대응 플랫폼 시스템
KR20200078860A (ko) 2018-12-24 2020-07-02 전자부품연구원 초소형 Disposable IoT 기반의 건강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0856A (ko) * 2008-06-25 2010-01-06 재단법인 첨단산업개발원 착용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단말기 및이를 이용하는 건강관제시스템
KR20110109603A (ko) * 2010-03-31 2011-10-06 (주)유카이트 생체신호 측정기기, 이를 이용한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안전 모니터링과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KR20170053145A (ko) 2015-11-05 2017-05-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전염병 추적 관리 시스템
KR101779705B1 (ko) 2016-03-16 2017-09-2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기반 신종 감염병 예측 대응 플랫폼 시스템
KR20200078860A (ko) 2018-12-24 2020-07-02 전자부품연구원 초소형 Disposable IoT 기반의 건강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416B1 (ko) * 2021-12-31 2022-07-15 주식회사 리앙커뮤니케이션즈 IoT기반 취약계층 질병위해인자 비대면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Spatial, temporal, and content analysis of Twitter for wildfire hazards
Timbie et al. Systematic review of strategies to manage and allocate scarce resources during mass casualty events
Hâncean et al. The impact of human mobility networks on the global spread of COVID-19
US201302751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d controlling epidemics
Elliot et al. Syndromic surveillance–a public health legacy of the London 2012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US20150309895A1 (en)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and decision-making support method
Duff et al. Pregnancy intentions among female sex workers: recognising their rights and wants as mothers
Bernard et al. COVID-19 and the rise of participatory SIGINT: an examination of the rise in government surveillance through mobile applications
Duff et al. Barriers to cervical screening among sex workers in Vancouver
Bayode et al. Spatial variability of COVID-19 and its risk factors in Nigeria: A spatial regression method
Todkill et al. Utility of ambulance data for real-time syndromic surveillance: a pilot in the West Midlands region, United Kingdom
Nam How did Korea use technologies to manage the COVID-19 crisis? A country report
KR102216060B1 (ko)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Agarwal et al. Infection risk score: Identifying the risk of infection propagation based on human contact
Benis Social media and the internet of things for emergency and disaster medicine management
KR102283866B1 (ko)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Varela et al. Risk factors for SARS-CoV-2 transmission in close contacts of adults at high risk of infection due to occupation: results from the contact tracing strategy of the CoVIDA epidemiological surveillance study in Bogotá, Colombia, in 2020–2021
Lubis Proximity-based COVID-19 contact tracing system devices for locally problems solution
Rafikasari Formulating Indonesia’s Covid-19 Policy based on South Korea’s Experience
KR102421416B1 (ko) IoT기반 취약계층 질병위해인자 비대면 모니터링 시스템
Bajaj et al. Sensing human activity for assessing participation in evacuation drills
Trestian et al. Privatt-a closer look at people’s data privacy attitudes in times of covid-19
Greenhalgh et al. Inclusive health: modeling COVID-19 in correctional facilities and communities
Modisenyane et al. COVID-19 response in South African communities: Screening, testing, tracing and movement modelling
Shrestha et al. A Bluetooth-based contact-tracing mobile app for airborne-based epidemic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