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118B1 -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118B1
KR102215118B1 KR1020180159123A KR20180159123A KR102215118B1 KR 102215118 B1 KR102215118 B1 KR 102215118B1 KR 1020180159123 A KR1020180159123 A KR 1020180159123A KR 20180159123 A KR20180159123 A KR 20180159123A KR 102215118 B1 KR102215118 B1 KR 102215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play item
augmented reality
reality content
recogni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407A (ko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영 filed Critical 최재영
Priority to KR102018015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1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플레이 아이템은 블록 구조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 아이템에는 플레이어에게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인식 패턴이 부착되어 있다고 할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소정 공간에 배열된 상태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특정 인식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USING PLAY ITEM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레이 아이템은 블록 구조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 아이템에는 플레이어에게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인식 패턴이 부착되어 있다고 할 때,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소정 공간에 배열된 상태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특정 인식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은 사람들에게 보다 입체적으로 다가와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현재의 생활속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게임 분야에서는 증강 현실 기술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일 예로 한때 큰 이슈를 불러모았던 '포켓몬 고' 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소정 공간에 블록들을 조합하고 배치하면서 놀이용으로서 증강 현실을 이용하는 기술의 경우에는 아직 큰 이슈가 되고 있지는 않고, 또한 블록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AR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은 유아들의 학습용 또는 놀이용으로도 추후 많이 이용될 것이므로, 본 발명자는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록 구조의 플레이 아이템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플레이어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 아이템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가 상황에 따라 변경되도록 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들도 인형놀이처럼 플레이 아이템을 조합하고 공간속에 배치하면서 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어에게 AR을 통한 다양한 홈퍼블리싱 정보들을 학습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 아이템은 블록 구조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 아이템에는 플레이어에게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인식 패턴이 부착되어 있다고 할 때, (a)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소정 공간에 배열된 상태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특정 인식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 아이템은 블록 구조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 아이템에는 플레이어에게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인식 패턴이 부착되어 있다고 할 때,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소정 공간에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특정 인식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블록 구조의 플레이 아이템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플레이어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 아이템에 대응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가 상황에 따라 변경되도록 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적 효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들도 인형놀이처럼 플레이 아이템을 조합하고 공간속에 배치하면서 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어에게 AR을 통한 다양한 홈퍼블리싱 정보들을 학습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플레이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 각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 아이템과 서브 아이템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인식 패턴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플레이 아이템 각각의 증강 현실 콘텐츠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플레이 아이템과의 관계에 따라 구분되는 플레이 아이템의 모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플레이 아이템이 조합되었을 때 플레이 아이템 각각에 설정된 친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 (100)는 통신부(110)와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도시하지 않음)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과는 달리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100)가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우선,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통신부(110)에 의해 접근이 가능하며, 프로세서(120)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플레이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 각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 아이템과 서브 아이템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블록 구조의 형태를 가지는 복수 개의 플레이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이 존재한다. 참고로, 상기 플레이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의 재료는 종이, 원목 등 다양할 수 있다.
우선, 상기 플레이 아이템은 의자, 긴 테이블, 짧은 테이블, 서랍장, 쇼파, 침대 등의 가구 형태의 블록 구조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 아이템 각각에는 플레이어에게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인식 패턴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 패턴은 스티커 형태로 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플레이 아이템의 형태는 반드시 가구 형태일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람(캐릭터), 동물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서브 아이템은 플레이 아이템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형태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서브 아이템은 플레이 아이템과 달리 독립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아니고, 플레이 아이템의 받침대, 다리 등 보조 역할을 하는 형태의 블록 구조를 가진다.
또한, 서브 아이템은 플레이 아이템과 결합(호환)이 용이하도록 상기 서브 아이템의 하나의 측면이 기설정된 복수 개의 규격 중 어느 하나를 가진다. 예를 들면, 도 2에서와 같이 서브 아이템 각각은 가로*세로*높이로 50*50*60, 45*45*40, 45*45*60, 40*40*60 등을 가진다. 이때, 서브 아이템의 가로*세로는 50*50, 45*45, 40*40 등 일정한 규격을 가지게 된다.
물론, 상기 서브 아이템과 결합되는 플레이 아이템의 한쪽 측면(가로*세로)의 규격 역시 45*45, 40*40, 50*50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도 2의 Table(100*45*15), Sofa(100*45*35), Bed(45*110*35)의 경우에는 아래 부분에 홈이 있기 때문에 다른 블록들과는 다른 크기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를 가진다.
플레이어들은 "레고"처럼, 상기 플레이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을 이용하여 블록 쌓기, 블록 배열 등을 하면서 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 아이템을 가구 형태로 상정하였으므로 플레이어들은 상기 플레이 아이템(가구 블록)으로 모형 집 안에 가구 배치를 하면서 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플레이어에게 실제로 집 형태의 모형 판을 제공하여 그 위에서 상기 플레이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으로 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집 형태의 판에 포함된 벽면 및 바닥에도 인식 패턴 스티커를 부착하여 여러가지 증강 현실 효과(ex 창문에서 비가 내림, 바닥에 먼지가 쌓임, 크리스마스 배경 디자인 등)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소정 공간(ex 집 형태의 판)에 존재하는 플레이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후술될 상기 아이템들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역시 사용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인식 패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인식 패턴은 플레이어에게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며, 본 발명에서는 인식 패턴이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되는 것을 상정하였다. 물론, 서브 아이템에 부착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상기 플레이 아이템 각각에 부착된 인식 패턴은 복수 개의 미니 패턴이 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니 패턴 각각은 복수 개의 플레이 아이템의 블록 구조를 변형한 것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미니 패턴 각각은 의자, 침대, 쇼파, 테이블, 서랍장 등의 블록 구조를 변형한 것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는 것이다.
설명을 돕기 위해 예를 들면, 의자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인식 패턴 및 침대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인식 패턴은 복수 개의 미니 패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포함된 복수 개의 미니 패턴은 의자, 침대, 쇼파, 테이블, 서랍장 등의 블록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물론, 의자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인식 패턴과 침대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인식 패턴은 서로 미니 패턴의 배열 구조, 인식 패턴의 크기 등이 달라 구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 예로서, 도 4와 같이 의자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인식 패턴은 의자 블록 구조가 변형된 복수 개의 미니 패턴만을 가지고, 침대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인식 패턴은 침대 블록 구조가 변형된 복수 개의 미니 패턴만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미니 패턴이 해당 플레이 아이템의 블록 구조를 변형한 것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미니 패턴 각각은 각도 내지 방향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소정 공간에 배열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는,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서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공간은 앞에서 서술한 집 형태의 모형 판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인식 패턴이 부착된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가 5개 이상이라면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화면으로 인식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프로세서(120)가 한번에 인식할 수 있는 인식 패턴이 특정 숫자(ex 4개)이하이기 때문이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배열이 하나의 화면에 인식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ex 인식 패턴이 부착된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가 4개 이하), 프로세서(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각각의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화면을 통해 상기 특정 인식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 증강 현실 콘텐츠를 플레이어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플레이 아이템 각각의 증강 현실 콘텐츠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는 플레이 아이템의 모션을 포함하고 있다. 즉, 플레이어가 의자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 아이템의 인식 패턴을 사용자 단말로서 인식한 경우, 상기 의자 블록에서 양쪽 팔이 나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흔드는 증강 현실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제1 특정 인식 패턴 및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제2 특정 인식 패턴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상에서 인식되었다고 할 때,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특정 인식 패턴에 대응하여 제1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특정 인식 패턴에 대응하여 제2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자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 아이템에서는 양쪽 팔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흔들고, 침대 형태를 가지는 플레이 아이템에서는 한쪽 팔을 흔들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모션 동작은 다양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증강 현실 콘텐츠에 해당하는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모션과 상기 제2 증강 현실 콘텐츠에 해당하는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모션은 형태, 속도,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의자 형태의 플레이 아이템(510)은 양쪽 팔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크고 빠르게 흔들고, 큰 테이블 형태의 플레이 아이템(520)은 한쪽 팔을 크고 빠르게 흔들며, 작은 테이블 형태의 플레이 아이템(530)은 한쪽 팔을 크고 빠르게 흔들고, 서랍장 형태의 플레이 아이템(540)은 한쪽 팔을 작고 느리게 흔들며, 쇼파 형태의 플레이 아이템(550)은 양쪽 팔을 서로 같은 방향으로 크고 느리게 흔들고, 침대 형태의 플레이 아이템(560)은 한쪽 팔을 아주 작고 빠르게 흔들고 있다.
결국, 각각의 플레이 아이템은 서로 다른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특정 증강 현실 컨텐츠가 제1 모션, 제2 모션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때, 프로세서(120)는, 제1 모션, 제2 모션을 순서대로 화면을 통해 플레이어에게 반복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할 때, 의자 형태의 플레이 아이템(510)은 양쪽 팔을 양쪽으로 펼쳤다가(제1 모션), 다시 양쪽 팔을 모을 수 있다(제2 모션). 상기 플레이 아이템은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제2 모션, 제1 모션 순서대로 제공될 수도 있고, 각각의 모션이 랜덤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팔을 흔드는 것은 증강 현실 콘텐츠 하나의 예시일 뿐 도면과 다른 다양한 모션(눈을 깜빡이는 모습, 꽃을 들고 흔드는 모습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플레이 아이템이 근접 배치되는 경우, 플레이 아이템 하나의 모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소정 공간에 배열된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근접 배치(소정 거리 이하에 배치)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과 상기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기설정된 친밀도 정도에 기초하여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모션을 구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근접 배치되는 경우, 우선 제1 플레이 아이템은 눈치를 보며 좌우를 둘러보는 표정을 나타낼 수 있다(Emotion A). 그 후로는 친밀도 정도에 따라 모션이 달라질 수 있다.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과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친밀도 정도가 1~4로 구분될 수 있다고 할 때,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은 친밀도 1인 경우 땀방울이 아래로 떨어지는 모션(Emotion B)을 가질 수 있고, 친밀도 2인 경우 홍조가 피어오르는 모션(Emotion C)을 가질 수 있으며, 친밀도 3인 경우 손이 몸에서 나와 좌우로 흔드는 모션(Emotion D)을 가질 수 있고, 친밀도 4인 경우 손으로 꽃다발을 흔드는 모션(Emotion E)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친밀도 정도에 따라 모션이 구별되어 플레이어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모션과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모션이 대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근접 배치되는 경우,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오른손이 나오고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왼손이 나와 서로 악수하는 모션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하이 파이브를 하는 모션을 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플레이 아이템이 조합되었을 때 플레이 아이템 각각에 설정된 친밀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2개-4개의 플레이 아이템(ex 가구)의 조합에 따른 각각의 친밀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의자 형태의 플레이 아이템과 쇼파 형태의 플레이 아이템이 근접 배치된 경우 각각 친밀도를 2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의자, 쇼파 형태의 플레이 아이템 모두 홍조가 피어오르는 모션(Emotion C)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의자, 쇼파, 테이블(L), 테이블(S) 형태의 플레이 아이템이 근접 배치된 경우 모두 친밀도를 4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 아이템 모두 손으로 꽃다발을 흔드는 모션(Emotion E)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가구의 조합에 따라 증강 현실 콘텐츠 효과를 달리하여 가구의 조합에 대한 교육도 가능할 것이다. 참고로, 도 7에 나타난 수치는 모두 예시적인 것으로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침대 형태이고 상기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집 형태의 모형안에서 안방에 위치한다면 “만족해하는 표정”, 화장실에 위치한다면 “혼란스러워하는 표정” 등 플레이 아이템이 놓이는 위치에 따라 다른 모션을 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데이터베이스

Claims (7)

  1.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 아이템은 블록 구조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 아이템에는 플레이어에게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인식 패턴이 부착되어 있다고 할 때,
    (a)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소정 공간에 배열된 상태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특정 인식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화면 상의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화면 상의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가 상기 소정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하며,
    상기 특정 증강 현실 콘텐츠는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일부가 부착된 가상 객체의 모션에 해당하는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증강 현실 콘텐츠에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모션이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제1 특정 인식 패턴 및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제2 특정 인식 패턴이 인식되었다고 할 때,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특정 인식 패턴에 대응하여 제1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특정 인식 패턴에 대응하여 제2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되,
    상기 제1 증강 현실 콘텐츠에 해당하는 상기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모션과 상기 제2 증강 현실 콘텐츠에 해당하는 상기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모션은 형태, 속도,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공간에 배열된 상기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상기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근접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특정 플레이 아이템과의 기설정된 친밀도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모션이 구별되어 상기 플레이어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상기 인식 패턴이 복수 개의 미니 패턴이 조합된 것이라고 할 때,
    상기 복수 개의 미니 패턴은 상기 플레이 아이템의 블록 구조를 변형한 것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증강 현실 콘텐츠에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제1 모션, 제2 모션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모션, 상기 제2 모션의 순서대로 상기 화면을 통해 상기 플레이어에게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 아이템에 결합될 수 있는 서브 아이템이 존재하고, 상기 플레이 아이템에 결합되는 상기 서브 아이템의 하나의 측면이 기설정된 복수 개의 규격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7.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 아이템은 블록 구조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 아이템에는 플레이어에게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인식 패턴이 부착되어 있다고 할 때,
    통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플레이 아이템이 소정 공간에 배열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상기 특정 인식 패턴에 대응하는 특정 증강 현실 콘텐츠를 상기 플레이어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면 상의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하지 못하고, 상기 화면 상의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의 개수가 상기 소정 개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부착된 특정 인식 패턴을 인식하며,
    상기 특정 증강 현실 콘텐츠는 상기 특정 플레이 아이템에 일부가 부착된 가상 객체의 모션에 해당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 제공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KR1020180159123A 2018-12-11 2018-12-11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215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123A KR102215118B1 (ko) 2018-12-11 2018-12-11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123A KR102215118B1 (ko) 2018-12-11 2018-12-11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407A KR20200071407A (ko) 2020-06-19
KR102215118B1 true KR102215118B1 (ko) 2021-02-09

Family

ID=7113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123A KR102215118B1 (ko) 2018-12-11 2018-12-11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1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117B1 (ko) 2017-09-15 2018-03-16 공근우 식품용기에 부착된 증강현실마커,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단말기 및 증강현실 제공 방법
KR101909994B1 (ko) 2017-08-09 2018-10-22 서영철 나노블럭을 이용한 3d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3062U (ko) * 2010-10-26 2012-05-04 김현곤 스토리텔링 블록 장난감
KR101342589B1 (ko) * 2011-01-14 2013-12-17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용 단말 장치,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 및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방법
WO2012160057A1 (en) * 2011-05-23 2012-11-29 Lego A/S Generation of building instructions for construction element models
KR101320247B1 (ko) * 2011-10-05 2013-10-22 (주)필링크 증강현실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영상 정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69366B1 (ko) * 2013-05-27 2020-01-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육용 로봇과 상호 작용하는 증강 현실 구현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73047A (ko) * 2015-12-18 2017-06-28 김영아 Iot 시스템을 이용한 블록놀이 방법
KR20180028764A (ko) * 2016-09-09 2018-03-19 몬스터스쿨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 학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994B1 (ko) 2017-08-09 2018-10-22 서영철 나노블럭을 이용한 3d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39117B1 (ko) 2017-09-15 2018-03-16 공근우 식품용기에 부착된 증강현실마커,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공 단말기 및 증강현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407A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low Toys, dolls, and the material culture of childhood
CN204764272U (zh) 一种隐藏式折叠书桌
KR102215118B1 (ko) 플레이 아이템을 이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N203676612U (zh) 一种柜式折叠床
US20070173175A1 (en) Doll house
CN205516407U (zh) 一种带桌面触摸屏的娱乐智能游戏台球桌
US20150355760A1 (en) Multi-modal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human memory using a video game
CN202567315U (zh) 儿童多功能滑板床
CN105640126A (zh) 一种智能床头柜的多功能双床
CN205457464U (zh) 一种智能床头柜的多功能双床
CN206197520U (zh) 多功能学生椅
CN104001331A (zh) 一种可升降四人娱乐的跷跷板桌
CN204032055U (zh) 多功能猫爬架
CN208388205U (zh) 一种多用桌椅组件
CN204850675U (zh) 一种窗帘式儿童游戏屋
US2063600A (en) Amusement apparatus
CN209596572U (zh) 一种娃娃床玩具
CN209846674U (zh) 儿童餐饮组合桌
CN209202724U (zh) 一种玩具收纳装置
Shapcott A beautiful learning environment: The Waldorf Kindergarten, Wall-am-Kiez, Pottsdam, Germany
CN206333642U (zh) 一种多功能双层儿童床
CN205659416U (zh) 卧室组合玩具
CN205513646U (zh) 儿童家用游戏玩具桌椅
CN207237299U (zh) 一种多功能玩具厨房
CN201609590U (zh) 一种双层玩具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