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647B1 -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647B1
KR102214647B1 KR1020190153592A KR20190153592A KR102214647B1 KR 102214647 B1 KR102214647 B1 KR 102214647B1 KR 1020190153592 A KR1020190153592 A KR 1020190153592A KR 20190153592 A KR20190153592 A KR 20190153592A KR 102214647 B1 KR102214647 B1 KR 102214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platform
blockchain
platform device
heterogeneous
blockchain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원
강원태
이스마일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3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647B1/ko
Priority to PCT/KR2019/018677 priority patent/WO202110725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04L61/15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52Lookup mechanisms between a plurality of directories; Synchronisation of directories, e.g. metadirect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81Prox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IoT 플랫폼 장치에 의해 디바이스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되는 제1 블록체인 노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에 부여한 DID 기반의 통합 식별자를, 장치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와,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에서,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의 액세스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접속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된 제2 블록체인 노드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상기 통합 식별자에 대응된 고유 식별자를 조회하는 단계, 및 IoT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고유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의 액세스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FACE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IOT PLATFORM DEVICES}
본 발명은 분산형 사물인터넷(Distributed IoT)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하게는 블록체인(Block Chain)과 DID(Decentralized Identity)의 기반의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식별체계 및 프로토콜의 호환을 통한 상호 연동 지원에 연관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1) 등록번호: 10-1785158 (2017.09.28), "이종 시스템의 실시간 가상 통합 및 키워드 기반 통합쿼리 시스템"
2) 등록번호: 10-1866415 (2018.06.04), "편리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로컬망 또는 원격망 IoT 서비스의 융합 및 전환 방법 및 시스템"
3) 공개번호: 10-2018-0061150 (2018.06.07), "이종 시스템에서 상호연동에 대한 방법 및 장치"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각종 사물에 부착한 센서를 통해 주변환경의 정보를 획득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기술로서, 최근 인공지능(AI) 등 관련 기술의 개발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기술은 냉장고, 헤어드라이기, 스마트폰, IPTV 등 댁내의 다양한 장치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이로 인해 사물인터넷 장치에 대한 데이터 관리와, 보안, 접근제어, 서비스 관리 등이 복잡해지고, 사물인터넷 장치 간 연결이 어려워지는 문제 또한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기종의 사물인터넷 장치의 체계를 정립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통 모듈로서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가 개발되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는, 보다 쉽게 이기종 사물인터넷 장치들을 제어 및 관리하고 각 장치들이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각 장치들에 대한 식별체계를 정의하고 각 장치들이 주고받는 메시지 형태를 정형화 하여, 이기종의 사물인터넷 장치들 사이에서 다양한 서비스들을 하나의 공통 플랫폼으로 호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하지만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에 의해 구축되는 식별체계와 메시지 형식은 플랫폼에 종속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다른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에 속하는 사물인터넷 장치와의 연동이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장치들이 어느 하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에 속하는 중앙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 공격이나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모든 사물인터넷 장치들에서 공통적으로 장애가 발생될 수 있어 보안이 취약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과 DID 기술을 이용한 분산형 사물인터넷 시스템 구현을 통해 기존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의 확장성을 높이고 중앙화된 구조를 탈피하여 외부 공격이나 시스템 장애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의 식별체계 및 프로토콜에 블록체인(Block Chain) 및 DID(Decentralized Identity) 기술을 적용하여,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IoT 플랫폼 장치에 의해 디바이스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되는 제1 블록체인 노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에 부여한 DID 기반의 통합 식별자를, 장치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와,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에서,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의 액세스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접속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된 제2 블록체인 노드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상기 통합 식별자에 대응된 고유 식별자를 조회하는 단계, 및 IoT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고유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의 액세스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IoT 플랫폼 장치에 의해 디바이스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되는 제1 블록체인 노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에 부여한 DID 기반의 통합 식별자를, 장치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에서,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의 액세스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접속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된 제2 블록체인 노드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상기 통합 식별자에 대응된 고유 식별자를 조회하는 조회부, 및 IoT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고유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의 액세스 요청을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중에서, 액세스 요청을 발생하는 소스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장치에 상응하는 제1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 생성되어 있으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중에서, 상기 액세스 요청이 지정하는 타겟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장치를, IoT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타겟 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소스 장치와 상기 타겟 장치 간 연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중에서, 액세스 요청을 발생하는 소스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소스 장치에 상응하는 제1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소스 확인부와,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 생성되어 있으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중에서, 상기 액세스 요청이 지정하는 타겟 장치를 검색하는 타겟 검색부, 및 상기 소스 장치를, IoT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타겟 장치와 연결하여, 상기 소스 장치와 상기 타겟 장치 간 연동을 제어하는 연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및 DID 기술을 적용한 분산형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통해, 기존 사물인터넷 플랫폼이 가지는 식별체계의 종속성을 해소하여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확장성을 보다 높이고, 탈중앙화를 통해 기존 중앙화된 시스템이 가지는 단일 장애 가능성을 해소하여 시스템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A의 등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A, B간 상호 작용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DID 다큐먼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원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갱신해 구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oT 플랫폼 장치란, 사물인터넷(IoT)으로 데이터 통신하는 장치들에 공통으로 정의된 메시지 형식이나 프로토콜 등의 표준 플랫폼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표준 플랫폼의 예로는 OCF, OneM2M, Watson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메시지 형식이나 프로토콜 등의 플랫폼이 서로 다른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에 속하는 장치들 사이의 상호 연동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이 IoT 플랫폼 장치(101, 103)의 외부에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애초에 IoT 플랫폼 장치(101, 103)의 제작 과정에서 내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IoT 플랫폼 장치(101, 103)는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을 정해진 서비스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내장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이 오류로 인해 실행되지 않거나, 업데이트가 필요하거나,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을 내장하지 못한 오래된 버전의 IoT 플랫폼 장치(101)의 경우에도,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의 설치에 의해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103)와 상호 연동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접속부(110), 기록부(120), 조회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변환부(150) 및 수집부(160)를 각각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접속부(110)는 IoT 플랫폼 장치(101)에 의해 디바이스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IoT 플랫폼 장치(101)와 연관되는 제1 블록체인 노드(170)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기능을 한다.
접속부(110)는 상기 디바이스 등록 요청에 따라 IoT 플랫폼 장치(101)의 내부에 제1 블록체인 노드(170)를 생성하고, IoT 플랫폼 장치(101)에 발급된 보안 인증서가 인증 처리 됨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시킬 수 있다.
제1 블록체인 노드(170)는, 블록체인 원장(171) 및 스마트 컨트랙트(172)를 포함할 수 있다.
기록부(120)는 제1 블록체인 노드(170)를 통해 IoT 플랫폼 장치(101)에 부여한 DID 기반의 통합 식별자를, 장치(101)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블록체인 원장(171)에 기록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통합 식별자를 블록체인 원장(171)에 기록하기에 앞서, 제1 블록체인 노드(170)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기록부(120)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접속된 제2 블록체인 노드(180)를 식별하고, 제2 블록체인 노드(180)에 구비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가져와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상기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져오는 데이터에는,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103)으로부터 수집된 고유 식별자와 DID 기반의 통합 식별자를 대응시킨 매핑 테이블과,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103)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또는 제어명령 포맷에 관한 장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변환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변환부(150)는 IoT 플랫폼 장치(101)에서 수집된 고유 식별자('장치ID')를, 제1 블록체인 노드(170) 내 스마트 컨트랙트(172)에 의해 DID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식별자를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DID(Decentralized Identity) 형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분산신원확인에 사용되는 표준 포맷을 의미할 수 있다.
IoT 플랫폼 장치(101, 103)의 고유 식별자로는 장치ID, 주소체계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플랫폼 장치 마다 장치ID의 식별 체계가 다르므로 각각의 IoT 플랫폼 장치는 고유 식별자로는 상호 연동하려는 장치를 식별, 검색하기 어렵고, 고유 식별자인 장치ID를 DID 형태로 변환한 통합 식별자를 통해서 상호 연동하려는 장치를 식별, 검색할 수 있다.
기록부(120)는 상기 통합 식별자를, 상기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작성한 매핑 테이블을, 제1 블록체인 노드(170)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171)에 기록할 수 있다.
기록부(120)는 상기 매핑 테이블이 블록체인 원장(171)에 기록되면, 스마트 컨트랙트(172)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2 블록체인 노드(180)에 통지하여, 상기 매핑 테이블을 제2 블록체인 노드(180)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록부(120)는 각 블록체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하여, 자신이 가진 블록체인 원장에서의 데이터의 리드, 삭제, 추가 등의 모든 변경 사항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블록체인 노드로 통지하고, 다른 블록체인 노드의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상기 변경 사항을 수용(accept) 함에 따라 각자 보유한 블록체인 원장에서도 상기 변경 사항이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체 블록체인 노드의 블록체인 원장에는 디바이스의 신규 등록이 발생되더라도 손쉽게 동기화 되므로, 분산형 사물인터넷 시스템 구현을 통해 확장성을 높이고 기존의 중앙화된 시스템을 탈피하여 단일 장애 가능성의 예방이 가능해진다.
조회부(130)는 IoT 플랫폼 장치(101)과 플랫폼(표준)이 다른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103)로부터, IoT 플랫폼 장치(101)로의 액세스 요청이 발생 됨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접속된,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103)와 연관된 제2 블록체인 노드(180)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IoT 플랫폼 장치(101)의 통합 식별자에 대응된 고유 식별자를 조회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조회부(130)는 제2 블록체인 노드(180) 내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제2 블록체인 노드(180) 내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된 매핑 테이블에서, IoT 플랫폼 장치(101)의 통합 식별자에 대응된 고유 식별자를 조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수집부(160)를 더 추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수집부(160)는 상기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하는 IoT 플랫폼 장치(101)로부터, 고유 식별자 및 프로토콜 또는 제어명령 포맷에 관한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한다.
변환부(150)는 제1 블록체인 노드(170)에서, 스마트 컨트랙트(171)를 통해 상기 장치 정보를 DID 형태로 변환하여, DID 다큐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DID(Decentralized Identity) 형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분산신원확인에 사용되는 표준 포맷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c에는 DID 형태로 변환된 DID 다큐먼트(43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기록부(120)는 상기 DID 다큐먼트를, 상기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170) 내 블록체인 원장(171)에 기록하고, 스마트 컨트랙트(172)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2 블록체인 노드(180)에 통지하여, 상기 DID 다큐먼트를 제2 블록체인 노드(180)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103)로부터의 액세스 요청(정보조회, 원격제어 등)을, IoT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고유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IoT 플랫폼 장치(101)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조회부(130)는 IoT 플랫폼 장치(101)의 고유 식별자가 조회되면, 상기 조회한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DID 다큐먼트를, 제2 블록체인 노드(180) 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더 조회할 수 있다.
변환부(150)는 상기 DID 다큐먼트에서 추출되는 IoT 플랫폼 장치(101)의 프로토콜에 맞추어,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103)의 프로토콜을 변환하고, 제어부(140)는 상기 변환에 의해 프로토콜이 일치되면,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103)로부터의 제어명령을 IoT 네트워크를 사용해 IoT 플랫폼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IoT 플랫폼 장치(101)는 IoT 네트워크를 사용 가능한 에어컨 장치나, 냉장고 장치, 공기청정기 장치, 헤어드라이기 장치 등의 다양한 가전제품일 수 있고,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103)는 IoT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가전제품의 상태를 조회하거나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앱, 리모컨 장치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앱에서 IoT 플랫폼이 상이한 에어컨 장치를 IoT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하려는 액세스 요청이 발생되면, 조회부(130)는 블록체인 노드 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에어컨 장치의 통합 식별자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 및 상기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장치 정보(프로토콜, 제어명령의 종류와 포맷 등)를 블록체인 원장에서 검색할 수 있다.
변환부(150)는 조회한 장치 정보(프로토콜)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앱이 실행되는 스마트폰의 프로토콜을, 에어컨 장치의 프로토콜에 맞춰서 변환하고,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앱에 입력한 제어명령('전원 온')을 에어컨 장치로 전달하여, 에어컨 장치를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변환부(150)는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103)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상기 DID 다큐먼트에서 더 추출한 상기 제어명령 포맷에 맞추어 변환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포맷이 변환된 상기 제어명령을 IoT 플랫폼 장치(101)로 전송하여, IoT 네트워크를 통해,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103)에서 IoT 플랫폼 장치(101)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부(150)는 조회한 장치 정보(제어명령의 종류와 포맷)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원격 제어 앱에 입력한 제어명령('전원 온')을, 에어컨 장치의 제어명령 포맷에 맞춰 변환하고, 제어부(140)는 포맷 변환한 제어명령을 에어컨 장치로 전달하여, IoT 플랫폼이 상이한 장치 간 상호 연동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사물인터넷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식별체계와 연계를 위한 정형화된 메시지 형식이 플랫폼에 종속됨으로써 생기는 한계점과 중앙화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지니게 되는 문제점을 블록체인과 DID 기술을 이용한 분산형 사물인터넷 시스템 구현을 통해 확장성을 상승시키고 기존의 중앙화된 시스템을 탈피하여 단일 장애 가능성을 예방하여 외부의 공격이나 시스템 장애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소스 확인부(210), 타겟 검색부(220) 및 연동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할당부(240), 네트워크 구성부(250), 정보 수집부(260) 및 블록체인 원장(270)를 각각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소스 확인부(210)는 복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중에서, 액세스 요청을 발생하는 소스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소스 장치에 상응하는 제1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소스 확인부(210)는 복수의 서로 다른 IoT 플랫폼 장치들 중, IoT 플랫폼 장치 A로부터 IoT 플랫폼 장치 B로의 액세스 요청이 발생되면, 액세스 요청을 발생한 IoT 플랫폼 장치 A를 소스 장치로서 식별하고, IoT 플랫폼 장치 A에 해당하는 제1 블록체인 노드(62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610)에 생성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블록체인 네트워크(610)는 상기 액세스 요청의 발생 이전에 등록 처리된 IoT 플랫폼 장치 B 내지 Z에 해당하는 블록체인 노드들로 이루어지고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610)에는 제1 블록체인 노드(620)가 생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액세스 요청을 처리하기에 앞서 상기 소스 장치의 등록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할당부(240) 및 네트워크 구성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할당부(240)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소스 장치에 대한 등록 요청을 발생하여, 상기 소스 장치에 통합 식별정보(도 1의 '통합 식별자'에 해당)를 할당한다.
일례로, 할당부(240)는 소스 장치로부터 수집된 장치ID(도 1의 '고유 식별자'에 해당)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DID 형태로 변환하여, DID 기반의 통합 식별정보를 소스 장치에 할당할 수 있다.
DID(Decentralized Identity)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분산신원확인에 사용되는 통합 식별정보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블록체인 원장(510)를 참조하면,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 A 내지 Z로부터 수집되는 장치ID는 서로 다른 포맷을 가지고, 또한 IoT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역시 서로 상이하므로, 종래에는 서로 다른 플랫폼 속한 장치들 간의 상호 연동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할당부(240)는 개별 포맷의 장치ID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분산신원확인에 사용되는 DID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플랫폼에 무관하게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통합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할당부(240)는 플랫폼의 식별자를 부여하고 자릿수를 통일하여, 통합 식별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DID 기반의 통합 식별정보에 의해 어느 하나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도록 탈중앙화를 도모하여, 기존 중앙화된 시스템이 가지는 단일 장애 가능성을 해소해 시스템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네트워크 구성부(250)는 상기 등록 요청의 발생 이전에 구성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상기 제1 통합 식별정보를 포함한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를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갱신하여 구성한다.
일례로, 네트워크 구성부(250)는 소스 장치에 발급된 보안 인증서로 상기 소스 장치를 인증 처리하고, 인증 처리가 완료되면, 제1 블록체인 노드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생성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갱신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구성부(250)는 이전에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610)에 소스 장치('IoT 플랫폼 장치 A')에 해당하는 제1 블록체인 노드(620)를 추가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610)를 갱신함으로써, 소스 장치를 등록 처리할 수 있다.
타겟 검색부(220)는 제1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 생성되어 있으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중에서, 상기 액세스 요청이 지정하는 타겟 장치를 검색한다.
실시예에 따라,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정보 수집부(260) 및 블록체인 원장(270)를 각각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60)는 IoT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장치ID 및 프로토콜을 포함한 장치 정보를 수집하여, 블록체인 원장(270)에 기록한다.
또한 정보 수집부(260)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블록체인 노드로서 구성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의 각각에 할당된 DID 기반의 통합 식별정보를, 상기 장치ID와 연관시켜, 블록체인 원장(270)에 더 기록할 수 있다.
타겟 검색부(220)는 상기 액세스 요청으로부터 타겟 장치에 관한 장치ID를 추출하고, 타겟 장치에 관한 장치ID에 연관되는 통합 식별정보가, 블록체인 원장(270)에 기록되어 있으면, 타겟 장치에 관한 프로토콜을 블록체인 원장(270)로부터 조회하여, 타겟 정보로서 소스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타겟 장치를 검색(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원장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 수집부(260)는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 A 내지 Z로부터 수집한 장치ID와 프로토콜을, 할당부(240)에 의해 부여된 DID 기반의 통합 식별정보와 연관시켜 블록체인 원장(270, 510)에 기록할 수 있다.
할당부(240)는 서로 다른 포맷의 장치ID를, DID 형태로 변환하여 플랫폼에 무관하게 통합 식별정보를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 A 내지 Z에 할당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갱신해 구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구성부(250)는 IoT 플랫폼 장치 A에 해당하는 제1 블록체인 노드(620)를, 상기 IoT 플랫폼 장치 A로부터 액세스 요청이 발생하기 이전에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610)에 추가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610)를 갱신할 수 있다.
타겟 검색부(220)는 제1 블록체인 노드(620)가 추가된 블록체인 네트워크(610)를 이용하여, IoT 플랫폼 장치 B를 타겟 장치로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검색부(220)는 액세스 요청으로부터 추출한 장치ID 'B11110'에 연관되는 통합 식별정보를 블록체인 원장(270, 510)에서 조회하고, 통합 식별정보 'DID02_111100'가 조회되면, 해당 통합 식별정보를 가지는 블록체인 노드(즉, 타겟 장치)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10)에서 탐색할 수 있다.
타겟 검색부(2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610)에서 타겟 장치의 블록체인 노드를 찾으면, 상기 장치ID 'B11110'에 연관되는 프로토콜 'NETBIOS: port(139)'을 블록체인 원장(270, 510)로부터 조회하고, 조회한 프로토콜을 타겟 정보로서 IoT 플랫폼 장치 A에 제공할 수 있다.
연동 제어부(230)는 소스 장치를, IoT 네트워크를 통하여 타겟 장치와 연결하여, 소스 장치와 타겟 장치 간 연동을 제어한다.
연동 제어부(230)는 소스 장치에 관한 프로토콜을, 블록체인 원장(270)로부터 조회한 상기 타겟 장치에서의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환하고, 상기 변환에 의해 소스 장치와 타겟 장치 간 프로토콜이 일치되면, IoT 네트워크에서의, 소스 장치와 타겟 장치 간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프로토콜로는 FTP : port(20,21), TFTP : port(69), Telnet : port(23), HTTP : port(80), SNMP : port(161), SMTP : port(25), POP3 : port(110), DHCP : port(67,68), ICMP : port(1) 및 NETBIOS : port(139)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동 제어부(230)는 도 5의 블록체인 원장(270, 510)를 참조하면, 소스 장치인 IoT 플랫폼 장치 A의 프로토콜 'FTP: port(20, 21)'을, 타겟 장치인 IoT 플랫폼 장치 B의 프로토콜 'NETBIOS: port(139)'에 맞추어 변환해서 IoT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IoT 네트워크를 통해 IoT 플랫폼 장치 A와 IoT 플랫폼 장치 B 간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연동 제어부(230)는 IoT플랫폼 장치 A에 속하는 '에어컨 장치'에서, IoT플랫폼 장치 B에 속하는 '공기청정기 장치'에서 감지한 미세먼지 정보에 접근해, 그에 따라 에어컨의 가동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 IoT플랫폼 장치 A에 속하는 '에어컨 장치'에서, IoT플랫폼 장치 B에 속하는 '보일러 장치'에서 감지한 실내온도 정보에 접근해, 그에 따라 에어컨의 가동 여부를 결정하는 등, 플랫폼에 무관하게 IoT 장치들 사이의 자유로운 데이터 공유와 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및 DID 기술을 적용한 분산형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통해, 기존 사물인터넷 플랫폼이 가지는 식별체계의 종속성을 해소하여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확장성을 보다 높이고, 탈중앙화를 통해 기존 중앙화된 시스템이 가지는 단일 장애 가능성을 해소하여 시스템의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300)는, 복수의 IoT 플랫폼 장치(310, 320)와, IoT 네트워크(33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3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IoT 플랫폼 장치(310, 320) 각각은, 플랫폼이 다른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일 수 있다.
각 IoT 플랫폼 장치(310, 320)은 IoT 플랫폼 클라이언트(311, 321)와, 블록체인 노드(312, 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oT 플랫폼 클라이언트(311, 321)는 IoT 네트워크(330)를 통해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컴포넌트일 수 있다.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310, 320)에 포함되는 IoT 플랫폼 클라이언트(311)와 IoT 플랫폼 클라이언트(321)는 서로 다르게 정형화된 메시지 형식, 프로토콜을 사용해 IoT 네트워크(330)에 연결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310, 320)에 속하는 사물인터넷 장치들의 상호 연동을 위해, IoT 플랫폼 클라이언트(311)와 IoT 플랫폼 클라이언트(321) 사이에서 프로토콜을 일치시켜 호환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액세스 요청을 발생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A(소스 장치)의 프로토콜을, 액세스 요청에 의해 지정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B(타겟 장치)의 프로토콜에 맞추어 변환하고, 변환된 프로토콜에 따라 IoT 네트워크(330)에 연결하여, 소스 장치와 타겟 장치 간 상호 연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여러IoT 플랫폼 장치들 중에서 타겟 장치를 탐색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340)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디바이스 등록이 완료된 각 IoT 플랫폼 장치(310, 320) 내부에, 블록체인 노드(312, 322)를 생성, 마련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340)에 연결하기 위한 블록체인 인터페이스로서 활용할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312, 32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40)를 통해 데이터 통신할 디바이스(타겟 장치)를 탐색(look-up)하기 위한 컴포넌트일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312, 322)는, 블록체인 프록시(Block Chain Proxy)(301) 및 블록체인 원장(30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프록시(301)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로부터 수집한 장치 정보(장치ID, 프로토콜 등)를 블록체인 원장(304)에 저장하고,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 각각에 DID기반의 통합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디바이스 등록하고, 인증 처리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340)에 참여시키고, 상기 통합 식별정보와 블록체인 원장(304)에 저장한 장치 정보를 조회하여 엔드포인트(타겟 장치)를 식별, 검색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블록체인 프록시(301)는 ID 변환자(302) 및 디바이스 정보 조회부(303)로 구성될 수 있다.
ID 변환자(302)는 각각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로부터 수집한 장치ID를 DID 형태의 통합 식별정보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고, 디바이스 정보 조회부(303)는 블록체인 원장(304)에서 타겟 장치의 장치ID에 매핑되는 DID 기반의 통합 식별정보와 프로토콜을 조회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ID 변환자(302) 및 디바이스 정보 조회(303)는 통합해서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타겟 장치의 프로토콜이 조회되면, 블록체인 프록시(301)는 IoT 플랫폼 클라이언트(311, 321)를 통해, 해당 타겟 장치에 맞는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IoT 네트워크(330)에 연결함으로써, IoT 네트워크(330)를 통한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작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체인과 DID 기술을 이용한 분산형 사물인터넷 시스템 구현을 통해 기존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의 확장성을 높이고 중앙화된 구조를 탈피하여 외부 공격이나 시스템 장애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본 발명의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이종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디바이스 등록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들의 내부에 생성되는 블록체인 노드(312, 322)와,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들에 대한 인증 및 인가를 처리하는 인증 인가부, 및 각 블록체인 노드(312, 322)들이 상호 작용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4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기존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들의 데이터 관리 기능과 마찬가지로, 각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이 동일하게 사용되며, 각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에서 사용되는 블록체인 원장(미도시)는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각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에 속하는 장치들이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노드(312, 322)는 이종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 간 DID기반 통합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인터페이스로서, 블록체인 프록시(301)와, 블록체인 원장(30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인가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40)에 신규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가 등록되면, 기존에 등록된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신규 장치에 대한 인증 인가, 보안 인증서 발급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40)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 간 통합 식별정보의 교환을 통해 엔드포인트(타겟 장치)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IoT 네트워크(330)는 DID 기반 통합 식별정보를 통해 식별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 사이에서 프로토콜 변환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들에 상응하는 블록체인 노드(312, 322)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40)에 참여시키기 위해 인증 및 인가를 담당하는 인증 인가부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340)에서 각 블록체인 노드(312, 322)의 상호 연동을 제어하는 연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노드(312, 322)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에 DID기반의 통합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블록체인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인증 인가부는 인증 인가 처리한 블록체인 노드(312, 322)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40)에 참여시킬 수 있다.
상기 연동 제어부는, 이종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연동을 수행하는 IoT 플랫폼 클라이언트(311, 32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종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들이 서로 상호 연동 하는 과정은, 블록체인 프록시(301)를 통해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310, 320)의 통합 식별정보와 블록체인 원장(304)에 저장되어 있는 장치 정보를 조회하여 엔드포인트를 식별한 후, IoT 플랫폼 클라이언트(311, 321)를 이용하여 해당 장치에 맞는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IoT 네트워크(330)에 연결함으로써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A의 등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단계(401)에서 IoT 플랫폼 장치A(410)로부터 신규의 디바이스 등록이 요청되면, 단계(402)에서 블록체인 프록시(420)는 IoT 플랫폼 장치A(410)로부터 장치ID 및 프로토콜과 같은 세부적인 장치 정보를 조회 및 추출한다.
단계(403)에서 블록체인 프록시(420)는 IoT 플랫폼 장치A(410)로부터 조회 및 추출한 장치ID를, DID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플랫폼에 무관하게 통합적으로 식별이 가능한 식별정보를 IoT 플랫폼 장치A(410)에 부여한다.
단계(404)에서 블록체인 프록시(420)는 DID 형태로 변환한 통합 식별정보를, 일종의 DID 다큐먼트로서, IoT 플랫폼 장치A(410)의 장치ID에 매핑시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한다.
또한 블록체인 프록시(420)는 IoT 플랫폼 장치A(410)에서 수집한 프로토콜 등의 네트워크 정보를 상기 장치ID에 연관시켜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oT 플랫폼 장치A(410)에 대한 신규 디바이스 등록이 완료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A, B간 상호 작용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계(405)에서 IoT 플랫폼 장치A(410)로부터 연동하려는 IoT 플랫폼 장치B(430)에 대한 탐색(Lookup)이 요청되면, 단계(406)에서 블록체인 프록시(420)는 상기 요청으로부터 IoT 플랫폼 장치B(430)의 장치ID를 추출한다.
단계(407)에서 블록체인 프록시(420)는 상기 장치ID에 매핑된 DID 다큐먼트가 상기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조회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DID 다큐먼트에는, DID 형태로 변환한 통합 식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계(407)에서 DID 다큐먼트가 조회되지 않으면, 단계(408)에서 블록체인 프록시(420)는 "알 수 없는 장치"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연동 요청한 IoT 플랫폼 장치A(410)에 출력한다.
상기 단계(407)에서 DID 다큐먼트가 조회되면, 단계(409, 310)에서 블록체인 프록시(420)는 상기 DID 다큐먼트 내의 통합 식별정보로 상기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IoT 플랫폼 장치B(430)의 프로토콜을 조회하고, 타겟 정보로서 IoT 플랫폼 장치A(410)에 제공한다.
단계(411)에서 IoT 플랫폼 장치A(410)는 IoT 클라이언트를 통해 프로토콜을 상기 타겟 정보에 맞춰 변환하여 IoT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연결된 IoT 네트워크를 통하여, IoT 플랫폼 장치B(430)에 액세스 하여 상호 연동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에서, DID 다큐먼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에는 DID 다큐먼트의 일례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하는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 고유 식별자 및 프로토콜 또는 제어명령 포맷에 관한 장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된 제1 블록체인 노드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상기 장치 정보를 DID 형태로 변환하여, DID 다큐먼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DID 다큐먼트를, 상기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 내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통지하여, DID 다큐먼트를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시킬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사물인터넷 장치의 원래 식별자와 엔드포인트 그리고 해당 장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내 동작 서비스를 정의한 DID 다큐먼트를 통해 관련 정보들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도 7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술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10)에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복수의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중에서 서로 다른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로의 액세스 요청이 발생되는지 확인한다.
단계(720)에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액세스 요청을 발생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를, 소스 장치로서 식별한다.
단계(730)에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소스 장치에 상응하는 제1 블록체인 노드가, 상기 액세스 요청의 발생 전에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740)에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소스 장치를 신규 디바이스로 등록하고, 상기 소스 장치에 해당하는 제1 블록체인 노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추가하여 갱신한다.
단계(750)에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참조하여, 타겟 장치를 검색한다.
일례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액세스 요청으로부터 타겟 장치의 장치ID를 추출하고, 장치ID에 연관되는 DID 기반의 통합 식별정보를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조회하고, 상기 통합 식별정보를 가지는 블록체인 노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확인하여, 타겟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장치ID로 타겟 장치의 프로토콜을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조회하여, 타겟 정보로서 소스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760, 770)에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타겟 정보에 따라 소스 장치의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IoT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IoT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 연동을 제어한다.
즉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소스 장치인 IoT 플랫폼 장치 A의 프로토콜 'FTP: port(20, 21)'을, 타겟 장치인 IoT 플랫폼 장치 B의 프로토콜 'NETBIOS: port(139)'에 맞추어 변환하고, IoT 클라이언트를 프로토콜 'NETBIOS: port(139)'로 구동하여 IoT 네트워크에 연결함으로써, IoT 네트워크를 통해 IoT 플랫폼 장치 A와 IoT 플랫폼 장치 B 간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술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810)에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 신규의 디바이스 등록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디바이스 등록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단계(820 내지 830)에서,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되는 제1 블록체인 노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에 부여한 DID 기반의 통합 식별자를, 장치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한다.
IoT 플랫폼 장치의 고유 식별자는 도 5에 도시된 장치ID와 같이 IoT 플랫폼 마다 식별 체계가 다르므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IoT 플랫폼 장치의 고유 식별자를 DID형태로 변환하여 통합 식별정보를 IoT 플랫폼 장치에 부여하고, 상기 고유 식별자와 통합 식별정보를 대응시킨 매핑 테이블을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DID형태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분산신원확인에 사용되는 표준 포맷을 의미할 수 있다.
블록체인 노드는 자신이 보유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모든 블록체인 노드와 상호 교환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특성을 가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1 블록체인 노드의 블록체인 원장에 새롭게 기록된 매핑 테이블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블록체인 노드에 통지(배포)하여 모든 블록체인 노드의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모든 블록체인 노드는 도 5에 도시된 블록체인 원장(510)과 같이, 디바이스 등록된 IoT 플랫폼 장치들의 고유 식별자와 통합 식별자 간 매핑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단계(840)에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에서,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의 액세스 요청이 발생되는지 확인한다.
액세스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단계(850 내지 860)에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접속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된 제2 블랙체인 노드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상기 통합 식별자에 대응된 고유 식별자를 조회하고, IoT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고유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의 액세스 요청을 전달한다.
IoT 플랫폼 장치는 IoT 네트워크를 사용 가능한 에어컨 장치나, 냉장고 장치, 공기청정기 장치, 헤어드라이기 장치 등의 다양한 가전제품 또는 IoT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가전제품의 상태를 조회하거나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앱이나 리모컨 장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원격 제어 앱에서 IoT 플랫폼이 상이한 에어컨 장치를 IoT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하려는 액세스 요청이 발생되면, 블록체인 노드 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에어컨 장치의 통합 식별자에 대응되는 고유 식별자를 먼저 조회하고, 고유 식별자가 조회되면, 상기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장치 정보, 예를 들어 프로토콜, 제어명령의 종류와 포맷 등을 블록체인 원장에서 추가로 조회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IoT 네트워크 상에서 에어컨 장치(타겟 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장치 정보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앱의 프로토콜을 에어컨 장치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프로토콜이 일치되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앱에 입력한 제어명령(예 '전원 온')을, 에어컨 장치의 제어명령 포맷에 맞춰 변환하여 에어컨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원격 제어 앱과 에어컨 장치 간 IoT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 연동이 용이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제품들의 IoT 플랫폼이 원격 제어 앱과 상이하더라도, 원격 제어 앱에서 IoT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양한 가전제품들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01, 103: IoT 플랫폼 장치
102: IoT 클라이언트
110: 접속부
120: 기록부
130: 조회부
140: 제어부
150: 변환부
160: 수집부
170, 180: 블록체인 노드
171: 블록체인 원장
172: 스마트 컨트랙트

Claims (20)

  1. IoT 플랫폼 장치에 의해 디바이스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되는 제1 블록체인 노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에 부여한 DID 기반의 통합 식별자를, 장치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에서,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의 액세스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접속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된 제2 블록체인 노드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상기 통합 식별자에 대응된 고유 식별자를 조회하는 단계; 및
    IoT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고유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의 액세스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에서 수집된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에 포함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DID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식별자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통합 식별자를, 상기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작성한 매핑 테이블을,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 테이블이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 내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되면,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통지하여, 상기 매핑 테이블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의 내부에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를, 상기 IoT 플랫폼 장치에 발급된 보안 인증서가 인증 처리 됨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접속된 제2 블록체인 노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가져와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자를 조회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포함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 내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된 상기 매핑 테이블에서, 상기 IoT 플랫폼 장치의 통합 식별자에 대응된 고유 식별자를 조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하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 고유 식별자 및 프로토콜 또는 제어명령 포맷에 관한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 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상기 장치 정보를 DID 형태로 변환하여, DID 다큐먼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DID 다큐먼트를, 상기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 내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 내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통지하여, 상기 DID 다큐먼트를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서, 상기 조회한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DID 다큐먼트를,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더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DID 다큐먼트에서 추출되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의 프로토콜에 맞추어,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의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에 의해 프로토콜이 일치되면,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의 제어명령을 IoT 네트워크를 사용해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상기 DID 다큐먼트에서 더 추출한 상기 제어명령 포맷에 맞추어 변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포맷이 변환된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 전송하여, IoT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에서 상기 IoT 플랫폼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IoT 플랫폼 장치에 의해 디바이스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되는 제1 블록체인 노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접속부;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에 부여한 DID 기반의 통합 식별자를, 장치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는 기록부;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에서,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의 액세스 요청이 발생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접속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와 연관된 제2 블록체인 노드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상기 통합 식별자에 대응된 고유 식별자를 조회하는 조회부; 및
    IoT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고유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의 액세스 요청을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기록부는,
    변환부를 통해, 상기 IoT 플랫폼 장치에서 수집된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에 포함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DID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통합 식별자를, 상기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작성한 매핑 테이블을,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고,
    상기 매핑 테이블이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 내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되면,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통지하여, 상기 매핑 테이블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시키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의 내부에 생성한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를, 상기 IoT 플랫폼 장치에 발급된 보안 인증서가 인증 처리 됨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상기 기록부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 접속된 제2 블록체인 노드를 식별하고,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가져와서,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부는,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포함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 내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된 상기 매핑 테이블에서, 상기 IoT 플랫폼 장치의 통합 식별자에 대응된 고유 식별자를 조회하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하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 고유 식별자 및 프로토콜 또는 제어명령 포맷에 관한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 내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상기 장치 정보를 DID 형태로 변환하여, DID 다큐먼트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부는,
    상기 DID 다큐먼트를, 상기 고유 식별자에 대응시켜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 내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노드 내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통지하여, 상기 DID 다큐먼트를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 마련된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시키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부는,
    상기 제2 블록체인 노드에서, 상기 조회한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DID 다큐먼트를,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블록체인 원장으로부터 더 조회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DID 다큐먼트에서 추출되는 상기 IoT 플랫폼 장치의 프로토콜에 맞추어,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의 프로토콜을 변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에 의해 프로토콜이 일치되면,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의 제어명령을 IoT 네트워크를 사용해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 전송하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상기 DID 다큐먼트에서 더 추출한 상기 제어명령 포맷에 맞추어 변환하고,
    상기 제어부는,
    포맷이 변환된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IoT 플랫폼 장치로 전송하여, IoT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이종의 IoT 플랫폼 장치에서 상기 IoT 플랫폼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20. 삭제
KR1020190153592A 2019-11-26 2019-11-26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KR102214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92A KR102214647B1 (ko) 2019-11-26 2019-11-26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PCT/KR2019/018677 WO2021107256A1 (ko) 2019-11-26 2019-12-30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92A KR102214647B1 (ko) 2019-11-26 2019-11-26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647B1 true KR102214647B1 (ko) 2021-02-15

Family

ID=7456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592A KR102214647B1 (ko) 2019-11-26 2019-11-26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4647B1 (ko)
WO (1) WO202110725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046B1 (ko) * 2021-05-10 2021-09-23 주식회사 시티랩스 복수 개의 블록체인을 통합하여 하나의 미들 블록으로 api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원 증명 방법
CN113746916A (zh) * 2021-09-01 2021-12-03 北京泰尔英福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区块链的第三方服务提供方法、***及相关节点
KR20230013344A (ko) * 2021-07-19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장치 및 상기 가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WO2024010233A1 (ko) * 2022-07-06 2024-01-11 주식회사 쿵월드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는 플랫폼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949802B1 (en) 2022-11-29 2024-04-02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Blockchain-based platform system for interworking with one machine-to-machine(oneM2M) and lightweight machine-to-machine (LWM2M), and method of implementing blockchain-based plat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2704B (zh) * 2021-06-28 2022-08-09 湖南天河国云科技有限公司 基于分布式身份标识的异构工业设备可信互联方法及装置
CN113726522A (zh) * 2021-09-01 2021-11-30 北京泰尔英福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区块链的物联网设备处理方法及装置
CN115589433B (zh) * 2022-11-23 2023-05-30 北京大学 数据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561A (ko) * 2015-11-24 2017-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사물 id와 id/loc 분리 구조를 이용한 이종 사물네트워크 간 인터네트워킹 방법 및 시스템
KR101922565B1 (ko) * 2018-05-23 2018-11-27 (주)에스씨씨 이종 블록체인 간에 데이터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얼라이언스 블록체인 시스템
KR101979586B1 (ko) * 2018-12-19 2019-05-17 주식회사 마크애니 블록 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그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384B1 (ko) * 2012-08-09 2014-02-21 한국과학기술원 웹 플랫폼을 이용한 아이피 기반 IoT 사물 브라우징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19193A (ko) * 2018-03-29 2019-10-22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이기종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블록체인 인터워킹을 위한 인증인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561A (ko) * 2015-11-24 2017-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합 사물 id와 id/loc 분리 구조를 이용한 이종 사물네트워크 간 인터네트워킹 방법 및 시스템
KR101922565B1 (ko) * 2018-05-23 2018-11-27 (주)에스씨씨 이종 블록체인 간에 데이터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얼라이언스 블록체인 시스템
KR101979586B1 (ko) * 2018-12-19 2019-05-17 주식회사 마크애니 블록 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및 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046B1 (ko) * 2021-05-10 2021-09-23 주식회사 시티랩스 복수 개의 블록체인을 통합하여 하나의 미들 블록으로 api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원 증명 방법
KR102329075B1 (ko) * 2021-05-10 2021-11-19 주식회사 시티랩스 복수 개의 블록체인을 통합하여 하나의 미들 블록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KR102347337B1 (ko) * 2021-05-10 2022-01-06 주식회사 시티랩스 복수 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합 연결한 미들 블록 시스템
WO2022240027A1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시티랩스 복수 개의 블록체인을 통합하여 하나의 미들 블록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WO2022240268A1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시티랩스 복수 개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합 연결한 미들 블록 시스템
WO2022240026A1 (ko) *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시티랩스 복수 개의 블록체인을 통합하여 하나의 미들 블록으로 api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원 증명 방법
KR20230013344A (ko) * 2021-07-19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장치 및 상기 가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672425B1 (ko) * 2021-07-19 202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장치 및 상기 가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N113746916A (zh) * 2021-09-01 2021-12-03 北京泰尔英福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区块链的第三方服务提供方法、***及相关节点
WO2024010233A1 (ko) * 2022-07-06 2024-01-11 주식회사 쿵월드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는 플랫폼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949802B1 (en) 2022-11-29 2024-04-02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Blockchain-based platform system for interworking with one machine-to-machine(oneM2M) and lightweight machine-to-machine (LWM2M), and method of implementing blockchain-based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256A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647B1 (ko)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종 사물인터넷 플랫폼 장치 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US10469314B2 (en) API gateway for network policy and configuration management with public cloud
JP4311637B2 (ja) 記憶制御装置
JP4908819B2 (ja) 無線制御装置、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881308B (zh) 一种用户终端及其认证方法、***、介质
JP4974848B2 (ja)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ならびに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CN105577420A (zh) 自动产生伺服器网络拓扑的方法与***
KR20060053251A (ko) 중계기를 이용한 호스트와 클라이언트 간의 플러그 엔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US11917399B2 (en) Zero-touch deployment (ZTD) of cellular IoT devices and associated trust model
JP2004288187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機器情報の管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3131923A (ja) 仮想プライベートボリューム方式及びシステム
US20090049161A1 (en) Server management program in network system
KR20110071453A (ko) 지그비 게이트웨이 및 이의 메시지 동일화 방법
CN112198805A (zh) 设备控制方法、装置、***以及计算设备和存储介质
CN105704042A (zh) 报文处理方法、bng及bng集群***
CN101548263B (zh) 模拟用户和/或拥有者的不透明管理数据选项的方法和***
KR100714681B1 (ko) 네트워크 관리 장치 및 방법
CN106162387B (zh) 光接入模块的认证注册方法、装置及***
KR101076999B1 (ko)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리소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JP596676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中継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3779971B2 (ja) クライアント機器への接続をル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サーバ
CN114270785A (zh) 设定装置、通信***、设定方法以及程序
KR102560548B1 (ko) 액세스 포인트, 홈 게이트웨이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ip 통신 수행 방법
JP5362640B2 (ja) アドレス登録装置、アドレス登録方法、アドレス登録プログラム、及びアドレス登録システム
KR100492543B1 (ko) 홈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