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690B1 - 이동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이동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690B1
KR102212690B1 KR1020200118355A KR20200118355A KR102212690B1 KR 102212690 B1 KR102212690 B1 KR 102212690B1 KR 1020200118355 A KR1020200118355 A KR 1020200118355A KR 20200118355 A KR20200118355 A KR 20200118355A KR 102212690 B1 KR102212690 B1 KR 102212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support
movable housing
locking protrusion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섭
Original Assignee
신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섭 filed Critical 신정섭
Priority to KR102020011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690B1/ko
Priority to KR1020200147026A priority patent/KR1023991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01R13/207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by screw-in conn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는, 걸림턱이 구비된 레일 본체와, 전원 공급을 위해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을 갖는 전원공급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형 커넥터로서, 개구가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놓이도록 상기 레일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하우징; 상기 이동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극에 접촉할 수 있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단자 지지체 결합부가 구비되는 단자 지지체와,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걸림턱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지지체에 연결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단자 조립체; 및 상기 단자 지지체 결합부와 맞물리는 조임부재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턱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지지체와 맞물리는 조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커넥터{MOV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이동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레일에 설치되어 다양한 전자기기를 지지하면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이동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램프를 이동시켜야 하는 장소에서는 조명램프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원공급레일이 사용된다. 전원공급레일은 조명램프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천장 등의 구조물에 설치된다. 전원공급레일은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한다. 조명램프는 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접점단자가 한 쌍의 전극에 각각 접촉하여 이동하도록 전원공급레일에 설치된다.
전원공급레일을 이용하는 전자기기의 종류는 조명램프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다.
일예로, 등록특허 제1598937호에는 레일 조명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레일 조명등은 벽면 또는 천장면에 부착되는 레일본체와, 레일본체의 내측면에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접지와, 레일본체의 내측면에 대향되도록 돌출된 걸림턱부로 이루어진 레일에 설치된다. 레일 조명등은 레일의 하부에 결합되는 등기구프레임 및 등기구프레임의 상면에 구비되고 걸림턱부에 안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된 레일삽입돌부를 포함하는 조명등본체와, 조명등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빛을 발광하는 발광체가 그 하면에 연결된 회로기판과, 조명등본체의 천공부 내측면에 안착되고 접지에 안착되도록 양측으로 절곡된 접지단자부 및 회로기판과 직접 접촉된 기판접지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단자부를 포함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1722711호에는 전극 레일의 임의의 위치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음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음향 장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하우징과, 수용 하우징에 배치되는 스피커와, 수용 하우징의 위쪽 면에 결합되는 덮개와, 덮개에 결합되는 두 개의 연결 전극을 가진 체결 브래킷과, 두 개의 연결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 스트립이 배치된 전극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6-0020783호에는 전원공급레일용 이동식 콘센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원공급레일용 이동식 콘센트는, 한 쌍의 내향걸림턱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일본체 및 레일본체의 양측 내주면에 전원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레일에 장착되는 것으로, 일측에 플러그의 단자핀이 끼워지는 단자홈이 구비되고 타측에 한 쌍의 내향걸림턱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돌부가 돌출된 콘센트몸체와, 콘센트몸체의 삽입돌부를 가로지르도록 수평 돌출되어 내향걸림턱에 걸려지는 걸림돌기와, 한 쌍의 전극에 각각 접촉되도록 삽입돌부의 선단에서 걸림돌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한 쌍의 전기접점을 포함한다.
상술한 것과 같은 레일 조명등과, 음향 장치와, 이동식 콘센트 등의 전자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과정에서 레일로부터 당겨질 수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전자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질 때 전자기기가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레일 상에서 자세가 변경되기 쉽고, 이 과장에서 레일이 변형되거나 손상되고, 전자기기가 레일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등록특허 제1598937호 (2016. 02. 24.) 등록특허 제1722711호 (2017. 03. 28.) 공개특허 제2016-0020783호 (2016. 02. 2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원공급레일과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전원공급레일로부터의 이탈 위험이 적고, 전원공급레일이 변형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는 이동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는, 걸림턱이 구비된 레일 본체와, 전원 공급을 위해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을 갖는 전원공급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형 커넥터로서, 개구가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놓이도록 상기 레일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하우징; 상기 이동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극에 접촉할 수 있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단자 지지체 결합부가 구비되는 단자 지지체와,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걸림턱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지지체에 연결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단자 조립체; 및 상기 단자 지지체 결합부와 맞물리는 조임부재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턱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지지체와 맞물리는 조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 지지체 결합부는 단자 지지체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재 결합부는 상기 단자 지지체 나사부에 맞물리는 조임부재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조립체는 상기 단자 지지체의 회전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자 지지체에서 돌출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에는 상기 레버가 통과할 수 있는 슬릿과, 상기 슬릿의 일측에서 상기 단자 지지체가 상기 조임부재에 의해 당겨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록킹 그루브가 마련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단자 지지체가 상기 조임부재와 맞물림에 따라 상기 록킹 그루브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하우징은, 상기 개구와 연결되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레일 본체의 측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하우징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과 평행한 접촉면이 구비되되, 상기 접촉면은 상기 레일 본체의 외곽과 동일 평면 또는 상기 레일 본체의 외곽과 동일 평면보다 높은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레일에는 상기 걸림턱이 상호 마주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한 쌍의 걸림턱에 대응하도록 한 쌍이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하우징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개방되는 연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홀에는 상기 단자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연결튜브 홀이 형성된 연결튜브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자 조립체는 한 쌍이 상호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는, 촬영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지지되는 거치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는, 복수의 링크와, 상기 복수의 링크를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과 상기 거치기구를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는, 상기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지지되는 램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유닛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기구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램프 유닛에 둘러싸이는 위치에 놓이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는,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가 접속할 수 있는 콘센트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단자가 상기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지지되는 콘센트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는 조임부재에 의해 전원공급레일에 밀착된 상태로 전원공급레일과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더라도 전원공급레일로부터 이탈하는 위험이 적고, 전원공급레일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는 전원공급레일 상에서 위치 이동한 상태로 조임부재에 의해 전원공급레일에 고정될 수 있어 이에 결합되는 전자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는 전원공급레일의 양 측부까지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전원공급레일과 결합되므로 전원공급레일에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는 촬영장치를 거치하고 촬영장치의 위치나, 높이, 촬영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1인 방송 등 소규모 촬영 작업에 효과적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가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가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가 전원공급레일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전원공급레일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전원공급레일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이동형 커넥터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가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가 전원공급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가 전원공급레일에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100)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공급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하우징(110)과, 전원공급레일(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동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 조립체(140)와, 단자 조립체(14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이동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조임부재(155)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형 커넥터(100)는 전원공급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다양한 전자기기를 지지하면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레일(10)은 내부에 채널(12)이 구비되고 일측에 채널(12)과 연결되는 개방부(13)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 본체(11)와, 레일 본체(11)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15)을 포함한다. 레일 본체(11)에는 한 쌍이 걸림턱(14)이 개방부(13)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레일 본체(11)의 내부에는 한 쌍의 전극(15)을 지지하기 위한 절연물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 하우징(110)은 두 개의 분할 하우징(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단자 조립체(140) 등의 부품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114)이 마련된다. 이동 하우징(110)의 외부 일측에는 레일 본체(11)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16)가 구비된다. 삽입부(116)의 양측으로는 삽입홈(119)이 삽입부(116)와 이웃하게 배치된다. 삽입홈(119)에는 전원공급레일(10)의 걸림턱(14)과 레일 본체(11)의 측부가 삽입된다. 삽입부(116)의 양 측부에는 복수의 개구(117)가 형성된다. 삽입부(116)의 한쪽 측부에 형성되는 개구(117)는 하나의 삽입홈(119)과 연결되고, 삽입부(116)의 다른 측부에 형성되는 개구(117)는 다른 하나의 삽입홈(119)과 연결된다.
이동 하우징(110)은 한 쌍의 걸림턱(14)과 레일 본체(11)의 양 측부가 한 쌍의 삽입홈(119)에 각각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레일 본체(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 하우징(110)은 전원공급레일(10)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전원공급레일(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동 하우징(110)의 단부에는 접촉부(121)가 구비된다. 접촉부(121)에는 걸림턱(14)과 평행한 접촉면(122)이 구비된다. 접촉면(122)은 레일 본체(11)의 외곽과 동일 평면 또는 레일 본체(11)의 외곽과 동일 평면보다 높은 위치에 놓인다. 전원공급레일(10)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접촉면(122)이 천장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면(122)이 천장에 접촉함으로써 이동 하우징(11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원공급레일(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접촉부(121)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하우징(110)의 측부에는 수용홈(124)과 슬릿(125) 및 록킹 그루브(126; 도 12 참조)가 형성된다. 이들 수용홈(124)과 슬릿(125) 및 록킹 그루브(126)는 한 쌍의 단자 조립체(140)에 대응하도록 한 쌍씩 구비된다. 수용홈(124)은 이동 하우징(110)의 외곽 둘레를 따라 단자 조립체(140)의 회전 방향으로 형성된다. 슬릿(125)과 록킹 그루브(126)는 수용홈(124) 속에 위치한다. 슬릿(125)은 단자 조립체(140)의 회전 방향으로 형성된다. 록킹 그루브(126)는 슬릿(125)의 일측으로부터 삽입홈(119)이 마련된 이동 하우징(110)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동 하우징(110)의 양쪽 단부 중에서 삽입홈(119)이 위치하는 단부와 반대 쪽 단부에는 연결홀(128)과 관통홀(130)이 마련된다. 연결홀(128)은 한 쌍의 단자 조립체(1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동 하우징(110)의 대략 중앙 부분에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관통홀(130)은 한 쌍의 단자 조립체(140)에 대응하도록 한 쌍이 관통홀(130)을 사이에 두고 관통홀(130)의 양측에 배치된다.
연결홀(128)에는 연결튜브(132)가 삽입된다. 연결튜브(132)의 내부에는 연결튜브 홀(133)이 구비되고, 연결튜브(132)의 외면에는 복수의 디텐트홈(134)이 연결튜브(132)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연결튜브(132)는 이동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디텐트 돌기(136)가 접할 수 있도록 연결홀(128)에 삽입되어 그 길이 방향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결튜브 홀(133)에는 단자 조립체(140)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디텐트 돌기(136)는 연결튜브(132)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 디텐트 돌기(136)는 이동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37)에 지지되어 연결튜브(132)의 디텐트홈(134)에 삽입될 수 있다. 디텐트 돌기(136)가 디텐트홈(134)에 삽입되어 연결튜브(132)에 밀착됨으로써 연결튜브(132)는 일정 크기 이상의 회전력을 받을 때에만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재(137)의 내부에는 디텐트 돌기(13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튜브(132)는 단자 조립체(140)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이동 하우징(110)의 외부로 가이드할 수 있다.
연결튜브(132)의 구체적인 구조나, 이동 하우징(110)과의 결합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하우징(1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분할 하우징(112)으로 이루어지는 구조 이외에, 전원공급레일(10)에 결합되어 전원공급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한 쌍의 단자 조립체(140)는 상호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동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한 쌍의 단자 조립체(140)는 연결튜브(132)를 사이에 두고 연결튜브(132)의 양측에 배치된다. 단자 조립체(140)는 전원공급레일(10)의 전극(15)에 접촉할 수 있는 단자(141)와, 단자(141)를 지지하는 단자 지지체(143)와, 단자 지지체(143)의 측부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148)와, 단자 지지체(143)의 측부에 연결되는 레버(150)를 포함한다.
단자(141)는 한 쌍의 전극(15)에 각각 접할 수 있도록 한 쌍이 단자 지지체(143)에 결합되고, 걸림돌기(148)는 한 쌍의 걸림턱(14)에 각각 접할 수 있도록 한 쌍이 단자 지지체(143)에 구비된다. 한 쌍의 단자(141)와 한 쌍의 걸림돌기(148)는 단자 지지체(143)의 회전에 따라 이동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다가 개구(117)를 통과하여 이동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단자(141)는 이동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한 쌍의 전극(15)에 각각 접촉하고, 한 쌍의 걸림돌기(148)는 이동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한 쌍의 걸림턱(14)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단자 지지체(143)의 일단에는 조임부재(155)가 결합되는 단자 지지체 결합부(144)가 구비된다. 단자 지지체 결합부(144)는 조임부재(155)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단자 지지체 홈(145)을 포함한다. 단자 지지체 홈(145) 속에는 암나사산 구조의 단자 지지체 나사부(146)가 마련된다. 단자 지지체(143)는 조임부재(155)와 맞물릴 때 조임부재(155) 쪽으로 가압력을 받게 된다.
레버(150)는 사용자 조작을 위해 단자 지지체(143)에 연결된다. 레버(150)는 단자 지지체(143)의 측부로부터 단자 지지체(143)의 회전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레버(150)는 슬릿(125)을 통과하여 끝단이 이동 하우징(110)의 외부에 놓인다. 레버(150)는 이동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그 끝단이 수용홈(124) 속에 위치한다.
이동형 커넥터(100)를 전원공급레일(10)에 설치할 때, 사용자가 레버(150)를 조작하여 이동형 커넥터(100)를 전원공급레일(1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레버(150)를 조작하여 단자 지지체(143)를 회전시킴으로써 단자(141)와 걸림돌기(148)를 이동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단자(141)와 걸림돌기(148)가 개구(117)를 통해 이동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이동형 커넥터(100)가 전원공급레일(10)에 기구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레버(150)가 단자(141)와 걸림돌기(148)를 이동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시키는 위치는 레버(150)가 록킹 그루브(126)에 놓이는 위치이다. 이 상태에서 단자 조립체(140)가 조임부재(155)에 의해 당겨지면 레버(150)가 록킹 그루브(126) 속으로 진입한다. 레버(150)는 록킹 그루브(1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움직임이 구속된다.
한 쌍의 조임부재(155)는 한 쌍의 단자 조립체(140)와 각각 맞물릴 수 있도록 이동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조임부재(155)는 단자 지지체(143)의 단자 지지체 결합부(144)에 대응하는 조임부재 결합부(156)와, 조임부재 결합부(156)의 끝단에 연결되는 조임부재 헤드(158)를 포함한다. 조임부재 결합부(156)는 단자 지지체 나사부(146)에 맞물릴 수 있는 수나사산 구조의 조임부재 나사부(157)를 구비하고 단자 지지체 홈(145) 속에 삽입되어 단자 지지체(143)와 결합된다.
조임부재 결합부(156)는 이동 하우징(110)의 관통홀(130)을 통해 단자 조립체(140)의 단자 지지체 홈(145) 속에 삽입될 수 있다. 조임부재 결합부(156)가 단자 지지체 홈(145)에 삽입되어 조임부재(155)가 단자 지지체(143)와 맞물린 상태에서 조임부재 헤드(158)를 돌리면 단자 지지체 나사부(146)와 조임부재 나사부(157) 간의 나사 운동에 의해 단자 지지체(143)가 조임부재(155) 측으로 당겨진다. 이때, 레버(150)가 록킹 그루브(126) 속으로 진입하고 걸림돌기(148)가 걸림턱(14)에 압착된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100)는 접지 단자(160)를 포함한다. 접지 단자(160)는 이동 하우징(110)을 관통하도록 이동 하우징(110)의 단부에 결합되어 레일 본체(11)에 접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100)를 전원공급레일(10)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의 (a) 및 도 12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자(141)와 걸림돌기(148)가 이동 하우징(110) 속에 위치한 상태에서 한 쌍의 걸림턱(14)이 삽입홈(119)에 각각 삽입되도록 이동 하우징(110)을 레일 본체(11)를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전원공급레일(10)에 가결합한다. 이때, 삽입부(116)가 개방부(13)를 통해 레일 본체(11) 속으로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10의 (b) 및 도 12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레버(150)를 조작하여 단자 조립체(140)를 회전시킨다. 이때, 단자 조립체(140)의 단자(141)와 걸림돌기(148)가 개구(117)를 통과하여 이동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동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단자(141)는 전극(15)에 접촉하고, 이동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48)는 걸림턱(14)에 접촉하여 걸림턱(14)에 지지된다. 따라서 이동형 커넥터(100)는 전원공급레일(10)에 기구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형 커넥터(100)는 전원공급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의 (a) 및 (b)와, 도 12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조임부재(155)를 단자 조립체(140)에 결합한다. 조임부재(155)가 단자 지지체(143)와 맞물린 상태에서 조임부재(155)를 돌리면 단자 조립체(140)의 단자 지지체 나사부(146)와 조임부재(155)의 조임부재 나사부(157) 간의 나사 운동에 의해 단자 지지체(143)가 조임부재(155) 측으로 당겨진다. 이때, 레버(150)가 록킹 그루브(126) 속으로 진입하여 레버(150)의 회전이 구속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레버(150)가 회전하여 이동형 커넥터(100)가 전원공급레일(10)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걸림돌기(148)가 걸림턱(14)에 압착됨으로써 이동형 커넥터(100)가 전원공급레일(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임부재(155)를 강하게 조여 이동형 커넥터(100)를 전원공급레일(10) 상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임부재(155)의 조임력을 줄이면 이동형 커넥터(100)를 전원공급레일(10)과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레일(10)을 따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전원공급레일(10)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이동 하우징(110)의 접촉면(122)이 천장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하우징(110)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원공급레일(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100)는 조임부재(155)에 의해 전원공급레일(10)에 밀착된 상태로 전원공급레일(10)과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더라도 전원공급레일(10)로부터 이탈하는 위험이 적고, 전원공급레일(10)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100)는 전원공급레일(10) 상에서 위치 이동한 상태로 조임부재(155)에 의해 전원공급레일(10)에 고정될 수 있어 이에 결합되는 전자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100)는 전원공급레일(10)의 양 측부까지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전원공급레일(10)과 결합되므로 전원공급레일(10)에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100)는 전원공급레일(10)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단부가 천장에 직접 접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더라도 전원공급레일(10)로부터 이탈하는 위험이 적고, 전원공급레일(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이동형 커넥터의 일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200)는 전원공급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하우징(110)과, 전원공급레일(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동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 조립체(140)와, 단자 조립체(14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이동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조임부재(155)와, 이동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연결기구(210)와, 연결기구(210)를 통해 이동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램프 유닛(224)과, 촬영장치(300)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기구(228)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이동 하우징(110)과, 단자 조립체(140)와, 조임부재(155)는 상술한 것과 같다.
연결기구(210)는 복수의 링크(211)와, 복수의 링크(211)를 연결하는 링크 조인트(214)를 포함한다. 링크(211)의 내부에는 단자(141)와 연결되는 케이블(216)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212)가 마련된다. 링크 조인트(214)는 두 개의 링크(211) 사이에 배치되는 두 개의 링크(211)를 틸팅 가능하게 연결한다. 링크 조인트(214)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두 개의 링크(211)를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연결기구(210)의 끝단에는 커넥팅 박스(218)가 결합된다.
커넥팅 박스(218)는 연결기구(210)와 램프 유닛(224)을 연결한다. 커넥팅 박스(218)는 커넥팅 박스 조인트(220)를 통해 연결기구(210)와 틸팅 가능하게 연결된다. 커넥팅 박스 조인트(220)는 도시된 것과 같은 볼 조인트 구조, 또는 그 밖에 커넥팅 박스(218)를 연결기구(210)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커넥팅 박스(218)에는 접속 포트(222)가 구비된다. 접속 포트(222)는 케이블(216)을 통해 단자(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속 포트(222)에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 케이블(50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박스(218)에는 마이크(400)가 설치된다. 마이크(400)는 커넥팅 박스(218)에 지지되어 케이블(216)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연결기구(210)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링크(211)가 링크 조인트(214)를 통해 연결되는 구조 이외에, 이동 하우징(110)에 연결되어 램프 유닛(224)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램프 유닛(224)은 연결기구(210)를 통해 이동 하우징(110)에 연결되어 단자(14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램프 유닛(224)은 빛을 발생하는 램프(225)와, 램프(225)를 지지하는 램프 케이스(226)를 포함하고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램프(225)는 단자(141)에 연결되는 케이블(216)을 통해 직접 전원을 공급받거나, 커넥팅 박스(218)의 접속 포트(22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거치기구(228)는 촬영장치(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시된 것과 같이 램프 유닛(224)에 결합되거나, 커넥팅 박스(218) 또는 연결기구(210)에 결합될 수 있다. 거치기구(228)는 링 형상의 램프 유닛(224) 안쪽에 배치되어 촬영장치(300)를 램프 유닛(224)에 둘러싸이도록 지지할 수 있다. 거치기구(228)가 지지하는 촬영장치(300)로는 스마트폰이나 각종 카메라 등 촬영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거치기구(228)의 구체적인 구조나, 설치 위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200)는 촬영장치(300)가 거치되는 거치기구(228)를 지지하는 이동 하우징(110)이 전원공급레일(10)을 따라 위치 이동할 수 있고, 거치기구(228)를 이동 하우징(110)에 연결하는 연결기구(210)의 각도나 높이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장치(300)의 위치나, 높이, 촬영 각도의 변화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1인 방송 등 소규모 촬영 작업에 효과적이고, 촬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200)는 촬영장치(300)를 램프 유닛(224)에 인접하게 거치하고 촬영장치(300)를 램프 유닛(224)과 함께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600)는 전원공급레일(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하우징(110)과, 전원공급레일(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동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단자 조립체(140)와, 단자 조립체(140)와 맞물릴 수 있도록 이동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조임부재(155)와, 이동 하우징(110)에 지지되는 콘센트 본체(6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이동 하우징(110)과, 단자 조립체(140)와, 조임부재(155)는 상술한 것과 같다.
콘센트 본체(620)는 단자(141)와 연결되는 콘센트 단자(622)를 포함하고, 이동 하우징(110)의 단부에 결합된다. 콘센트 단자(622)에는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플러그(700)의 플러그 단자(710)가 접속될 수 있다. 콘센트 본체(620)에는 조임부재(155)가 삽입될 수 있는 안내홈(624)이 마련된다.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동 하우징(110)을 전원공급레일(1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안내홈(624)을 통해 조임부재(155)를 단자 조립체(140)와 결합할 수 있다. 조임부재(155)가 안내홈(624) 속에 삽입되어 단자 조립체(140)에 결합되므로, 조임부재(155)의 조임부재 헤드(158)에는 조임부재(155)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조임부재 홈(159)이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형 커넥터(600)는 콘센트 본체(620)가 이동 하우징(110)과 함께 전원공급레일(1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다양한 위치에서 각종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콘센트 본체(620)의 구체적인 구조나, 콘센트 본체(620)와 이동 하우징(110)의 결합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커넥터는 조명장치나 콘센트 이외에 쿨링 팬이나 음향 장치 등 다양한 전자기기가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이동형 커넥터가 한 쌍의 단자 조립체(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단자 조립체(140)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한 쌍의 단자 조립체(140)가 각각 한 쌍의 단자(141)를 포함하고, 한 쌍의 단자(141)가 한 쌍의 전극(15)에 각각 접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동형 커넥터와 전원공급레일(10)의 전기적 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형 커넥터는 한 쌍의 단자 조립체를 포함하되, 한 쌍의 단자 조립체 중 하나의 단자 조립체는 하나의 전극에 접촉하고, 다른 하나의 단자 조립체는 다른 하나의 전극과 접촉하여 전원공급레일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원공급레일 11 : 레일 본체
14 : 걸림턱 15 : 전극
100, 200, 600 : 이동형 커넥터 110 : 이동 하우징
116 : 삽입부 117 : 개구
119 : 삽입홈 121 : 접촉부
124 : 수용홈 125 : 슬릿
126 : 록킹 그루브 132 : 연결튜브
136 : 디텐트 돌기 140 : 단자 조립체
141 : 단자 143 : 단자 지지체
144 : 단자 지지체 결합부 148 : 걸림돌기
150 : 레버 155 : 조임부재
156 : 조임부재 결합부 210 : 연결기구
211 : 링크 214 : 링크 조인트
216 : 케이블 218 : 커넥팅 박스
224 : 램프 유닛 228 : 거치기구
300 : 촬영장치 400 : 마이크
500 : 외부 케이블 620 : 콘센트 본체
700 : 플러그

Claims (13)

  1. 걸림턱이 구비된 레일 본체와, 전원 공급을 위해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을 갖는 전원공급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형 커넥터로서,
    개구가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놓이도록 상기 레일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하우징;
    상기 이동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극에 접촉할 수 있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단자 지지체 결합부가 구비되는 단자 지지체와,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걸림턱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지지체에 연결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단자 조립체; 및
    상기 단자 지지체 결합부와 맞물리는 조임부재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턱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지지체와 맞물리는 조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은, 상기 개구와 연결되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레일 본체의 측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공급레일에는 상기 걸림턱이 상호 마주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한 쌍의 걸림턱에 대응하도록 한 쌍이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지지체 결합부는 단자 지지체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부재 결합부는 상기 단자 지지체 나사부에 맞물리는 조임부재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조립체는 상기 단자 지지체의 회전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자 지지체에서 돌출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에는 상기 레버가 통과할 수 있는 슬릿과, 상기 슬릿의 일측에서 상기 단자 지지체가 상기 조임부재에 의해 당겨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록킹 그루브가 마련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단자 지지체가 상기 조임부재와 맞물림에 따라 상기 록킹 그루브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커넥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하우징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과 평행한 접촉면이 구비되되,
    상기 접촉면은 상기 레일 본체의 외곽과 동일 평면 또는 상기 레일 본체의 외곽과 동일 평면보다 높은 위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커넥터.
  6. 삭제
  7. 걸림턱이 구비된 레일 본체와, 전원 공급을 위해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을 갖는 전원공급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형 커넥터로서,
    개구가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놓이도록 상기 레일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하우징;
    상기 이동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극에 접촉할 수 있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단자 지지체 결합부가 구비되는 단자 지지체와,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걸림턱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지지체에 연결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단자 조립체; 및
    상기 단자 지지체 결합부와 맞물리는 조임부재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턱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지지체와 맞물리는 조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개방되는 연결홀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홀에는 상기 단자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연결튜브 홀이 형성된 연결튜브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조립체는 한 쌍이 상호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커넥터.
  9. 걸림턱이 구비된 레일 본체와, 전원 공급을 위해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을 갖는 전원공급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형 커넥터로서,
    개구가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놓이도록 상기 레일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하우징;
    상기 이동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극에 접촉할 수 있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단자 지지체 결합부가 구비되는 단자 지지체와,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걸림턱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지지체에 연결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단자 조립체; 및
    상기 단자 지지체 결합부와 맞물리는 조임부재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턱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지지체와 맞물리는 조임부재;를 포함하고,
    촬영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지지되는 거치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복수의 링크와, 상기 복수의 링크를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과 상기 거치기구를 연결하는 연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커넥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지지되는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유닛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기구는 상기 촬영장치를 상기 램프 유닛에 둘러싸이는 위치에 놓이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커넥터.
  13. 걸림턱이 구비된 레일 본체와, 전원 공급을 위해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극을 갖는 전원공급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형 커넥터로서,
    개구가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부에 놓이도록 상기 레일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하우징;
    상기 이동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전극에 접촉할 수 있는 단자와, 상기 단자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 단자 지지체 결합부가 구비되는 단자 지지체와,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걸림턱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 지지체에 연결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단자 조립체; 및
    상기 단자 지지체 결합부와 맞물리는 조임부재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걸림턱에 압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지지체와 맞물리는 조임부재;를 포함하고,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플러그의 플러그 단자가 접속할 수 있는 콘센트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 단자가 상기 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하우징에 지지되는 콘센트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커넥터.
KR1020200118355A 2020-09-15 2020-09-15 이동형 커넥터 KR102212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355A KR102212690B1 (ko) 2020-09-15 2020-09-15 이동형 커넥터
KR1020200147026A KR102399161B1 (ko) 2020-09-15 2020-11-05 이동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355A KR102212690B1 (ko) 2020-09-15 2020-09-15 이동형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026A Division KR102399161B1 (ko) 2020-09-15 2020-11-05 이동형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690B1 true KR102212690B1 (ko) 2021-02-04

Family

ID=745585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355A KR102212690B1 (ko) 2020-09-15 2020-09-15 이동형 커넥터
KR1020200147026A KR102399161B1 (ko) 2020-09-15 2020-11-05 이동형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026A KR102399161B1 (ko) 2020-09-15 2020-11-05 이동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2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556B1 (ko) * 2023-08-08 2024-05-17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다목적 커넥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387A (ko) * 2015-06-17 2015-07-07 최수인 전기 레일용 이동 전원 공급 장치
KR20160020783A (ko) 2014-08-14 2016-02-24 김호철 전원공급레일용 이동식 콘센트
KR101598937B1 (ko) 2014-04-14 2016-03-02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단락방지수단이 구비된 레일 조명등
KR101722711B1 (ko) 2015-11-24 2017-04-03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전극 레일 결합 구조의 조명 기능을 가진 음향 장치
KR102048163B1 (ko) * 2018-12-20 2019-11-22 주식회사 파워건축디자인 이동형 조립식 주택용 전선 커넥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937B1 (ko) 2014-04-14 2016-03-02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단락방지수단이 구비된 레일 조명등
KR20160020783A (ko) 2014-08-14 2016-02-24 김호철 전원공급레일용 이동식 콘센트
KR20150077387A (ko) * 2015-06-17 2015-07-07 최수인 전기 레일용 이동 전원 공급 장치
KR101722711B1 (ko) 2015-11-24 2017-04-03 주식회사 유앤아이테크 전극 레일 결합 구조의 조명 기능을 가진 음향 장치
KR102048163B1 (ko) * 2018-12-20 2019-11-22 주식회사 파워건축디자인 이동형 조립식 주택용 전선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556B1 (ko) * 2023-08-08 2024-05-17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다목적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161B1 (ko) 2022-05-18
KR20220036306A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1657B2 (ja) ラインタイプの照明装置
WO2016082300A1 (zh) 一种灯具固定座和灯具连接座以及一种灯具固定装置
KR102212690B1 (ko) 이동형 커넥터
US10419836B2 (en) Combination of a loudspeaker housing and a suspension bracket
KR20090061622A (ko) 램프용 소켓 및 이 소켓을 구비한 등기구
US9458998B2 (en) Electrical fixtur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component for electrical as well as structural connections
KR101722711B1 (ko) 전극 레일 결합 구조의 조명 기능을 가진 음향 장치
KR20150077387A (ko) 전기 레일용 이동 전원 공급 장치
JP2003197026A (ja) 配線器具、配線装置およびライティングダクト装置
US20170025807A1 (en) Modular Electrical Union System
KR101681318B1 (ko) 회전각도 조절이 용이한 led 조명기기
KR101479544B1 (ko) 엘이디조명장치
US2799743A (en) Multiple lamp sockets, switch, and housing
US20050052877A1 (en) Adjustable lighting apparatus
US11378268B2 (en) Luminaire having a plug contact, the use of a luminaire of this kind, and a connector for a luminaire of this kind
US2655637A (en) Angle socket for electric lamps
JP5110705B2 (ja) 照明器具
KR102426359B1 (ko) 전기 공급 장치
EP3409995A1 (en) Combination of a loudspeaker box and suspension bracket for the suspension of such a loudspeaker box.
JP2005071821A (ja) 照明器具
JP4051898B2 (ja) 照明器具
JP2016115683A (ja) 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JP2022052284A (ja) 配線ダクト用アダプタおよび照明装置
KR20160004592A (ko) 멀티탭
JP2022042180A (ja) 配線ダクト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