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683B1 -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683B1
KR102212683B1 KR1020170030706A KR20170030706A KR102212683B1 KR 102212683 B1 KR102212683 B1 KR 102212683B1 KR 1020170030706 A KR1020170030706 A KR 1020170030706A KR 20170030706 A KR20170030706 A KR 20170030706A KR 102212683 B1 KR102212683 B1 KR 102212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weight
inorganic filler
mod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574A (ko
Inventor
박춘호
성기현
임재곤
이윤환
김현경
이희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엘지하우시스
한화토탈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엘지하우시스, 한화토탈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683B1/ko
Priority to US15/870,528 priority patent/US20180258269A1/en
Priority to DE102018200793.4A priority patent/DE102018200793A1/de
Priority to CN201810052885.8A priority patent/CN108570204A/zh
Publication of KR2018010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10Peculiar tactic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베이스 수지, 열가소성 탄성체, 개질된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경량화는 환경규제, 연비개선, 차세대 자동차(전기자동차 등) 등으로 인해 최근 선택이 아닌 필수적으로 달성해야 하는 이슈가 되었다. 자동차 플라스틱 부품 중 가장 큰 중량을 차지하는 범퍼의 경우, 사출물의 두께를 얇게 하여 무게를 절감시킴으로써 경향화할 수 있다. 그러나, 사출물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그 만큼 기계적 물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자동차 조립 작업성 및 사고시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 성형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낮추면서도 사고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초박막을 위한 고유동, 고강성 소재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낮은 비중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강성, 내충격성 및 도장 부착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베이스 수지, 열가소성 탄성체, 개질된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사출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낮은 비중을 유지하면서, 얇은 두께의 성형품에 적용되었을 때에도 우수한 강성, 내충격성 및 도장 부착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베이스 수지, 열가소성 탄성체, 개질된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무기 필러를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낮은 비중을 유지함과 동시에, 큰 중량을 차지하는 부품을 얇은 두께로 성형하였을 때에도 우수한 강성, 내충격성 및 도장 부착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수지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및 4 내지 20의 α-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2 및 4 내지 20의 α-올레핀 단량체는 예를 들어, 에틸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펜텐, 1-헵텐, 1-옥텐 및 1-데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및 4 내지 20의 α-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및 4 내지 20의 α-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블록공중합체 또는 랜덤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및 4 내지 20의 α-올레핀 단량체의 공중합체는 약 50중량% 이상의 프로필렌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 50중량% 이상 약 90중량% 이하의 프로필렌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프로필렌을 포함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결정성을 높이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포함된 수지 조성물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13C-NMR 법에 의한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약 0.80 내지 약 0.99일 수 있다. '펜타드 분율’은 13C-NMR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분자쇄 중의 펜타드 단위에서의 아이소택틱 연쇄의 존재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프로필렌 모노머 단위가 5개 연속하여 메소 결합한 연쇄의 중심에 있는 프로필렌 모노머 단위의 분율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범위의 펜타드 분율을 갖는 상기 베이스 수지에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ASTM D1238에 의해 230의 온도 및 2.16kg의 하중에서 측정된 용융지수가 약 20g/10분 내지 약 100g/10분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범위의 용융지수를 갖는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여 향상된 성형성과 외관 특성을 부여할 수 있고,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수지의 용융지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사출성형시 수지의 흐름성이 저하되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수지의 용융지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출물의 강성 및 내충격성 균형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수지를 약 50중량% 내지 약 8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도장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굴곡 탄성률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여, 우수한 충격강도, 내열성 및 도장 부착력을 부여할 수 있고, 우수한 사출 성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2의 α-올레핀의 올레핀 공중합체,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에서 상기 α-올레핀의 함유량은 약 20 중량% 내지 약 50중량%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3 내지 12의 α-올레핀은 1-프로펜,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켄, 1-운데켄, 1-도데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α-올레핀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올레핀 공중합체는 랜덤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스티렌-에틸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틸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블록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수지의 점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점도를 가지는 열가소성 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사출물인 성형품 표면에서 사출물이 형태상 늘어지는 것을 억제하고, 우수한 도장 부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약 2dl/g 내지 약 4dl/g의 고유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의 고유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도장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대비 약 24중량부 내지 약 44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성이 강화되어 굴곡 탄성률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용 부품으로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개질된 무기 필러를 포함하여, 무기 필러 간의 응집을 방지하고, 수지와의 호환성을 높여 수지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향상된 분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우수한 가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무기 필러를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지 않고도, 우수한 강성, 내충격성 및 도장 부착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유기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유기 실란계 커플링제,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을 그라프트한 변성 폴리올레핀, 지방산, 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표면 처리하여 개질된 무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필러는 이소프로필 트리이소스테아로일 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 비스(디-옥틸포스파이트)티타네이트, 이소프로필도데실벤젠 술포닐 티타네이트 등의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γ-글리시독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 사이클로헥실)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 에톡시) 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디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클로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실란계 커플링제; 말레인화 폴리프로필렌, 말레인화 폴리에틸렌, 말레인화 스티렌-에틸렌 부텐 스티렌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그라프트한 변성 폴리올레핀인 말레산 변성물; 라우린산, 스테아린산, 베헨산(Behenic acid), 몬탄산, 에루스산 등의 포화 및/또는 불포화 지방산;이들의 마그네슘, 칼슘, 리튬, 아연, 나트륨 등의 지방산 금속염; 이들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표면 처리제로 개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실란계 커플링제로 개질된 무기 필러를 포함하여 우수한 강성, 내충격성 뿐만 아니라, 도장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예를 들어, 상기 표면 처리제 약 0.01 중량% 내지 약 1.00 중량%수용액, 또는 수분 분산액 중에 상기 무기 필러를 침지한 후, 약 140℃ 내지 약 160℃의 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약 2시간의 열처리하여 개질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5㎛의 평균직경을 갖는 무기 필러를 포함하여 우수한 분산성을 가지며, 넓은 표면적으로 우수한 강성 및 내충격성 등의 향상된 기계적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필러의 평균직경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표면적이 너무 넓어져 베이스 수지와의 상용성이 문제되고, 강성이 감소할 수 있으며, 미세 분산이 어려워 뭉침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상기 무기 필러의 평균직경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되어, 얇은 두께의 성형품에 적용시 깨져서 물성이 감소하거나, 외관을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탈크, 휘스커, 나노클레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대비 약 8중량부 내지 약 41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굴곡탄성률과 도장 부착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경량성, 가공성 및 외관 특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수지와 상기 개질된 무기 필러를 적절히 혼합하여, 낮은 비중을 유지하면서, 얇은 두께의 성형품에 적용되었을 때에도 우수한 가공성, 높은 인장강도, 굴곡 탄성률, 충격강도 및 도장 부착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가공활제, 착색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Thiodipropion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가공활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수지 조성물 내에 포함된 할로겐 물질을 제거하거나 가공성을 증대시키는 특성이 있으며, 상기 가공활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사출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전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사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낮은 비중을 유지하면서 얇은 두께의 성형품에 적용되었을 때에도 우수한 가공성과 우수한 기계적 물성 즉, 높은 충격강도, 굴곡 탄성률 및 우수한 도장 부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성형품은 범퍼, 사이드실 몰딩, 및 도어트림 스포일러, 사이드바이저, 카울벤트그릴, 라디에이터 그릴, 사이드몰딩, 엔드패널가닛슈 등의 자동차 외장재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품은 얇은 두께를 가져 더욱 경량화함과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강성, 내충격성 및 우수한 도장 부착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형품은 약 2.5㎜ 미만의 두께에서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약 2.0㎜ 내지 약 2.4㎜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형품은 범퍼와 같은 자동차용 내외장재로 사용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ASTM D790에 의한 굴곡탄성률이 약 2500MPa 이상, 예를 들어, 2500MPa 내지 약 3000 MPa 일 수 있다.
상기 굴곡탄성률은 폴리머에 굴곡하중을 걸어 탄성한계 내에서의 응력과 변형의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성형품은 전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범위의 미만의 굴곡탄성률을 가지는 경우, 약 2.4㎜ 이하 두께의 성형품인 범퍼 등에 적용시 외부의 충격을 견딜 수 없는바, 자동차 외장재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ASTM D1238에 의해 230의 온도 및 2.16kg의 하중에서 측정된 용융지수가 100g/10분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인 베이스 수지; 열가소성 탄성체로 고유점도가 2.5dl/g인 에틸렌-옥텐 랜덤공중합체; 그리고 유기 실란계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평균 직경이 1.0㎛인 탈크 및 유기 실란계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휘스커를 포함하는 개질된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랜덤공중합체, 표면 개질된 탈크 및 휘스커를 약 62: 20: 12: 6의 중량%로 혼합하였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이축 압출기(SM PLATEK, 스크루 지름 30Ф)에 메인 호퍼(hopper)에 투입하고, 휘스커는 스크루 전단력에 의해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이드 피더(side feeder)에 적정량 투입하였다. 이때, 실린더 온도는 150℃ 내지 210℃에 맞추고, 압출량 30 kg/시간, 스크루 회전수 250 rpm 하에서 혼련하고, TOYO (형체력 180톤)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유기 실란계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평균 직경이 1.0㎛인 탈크 및 유기 실란계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휘스커를 약 9: 9의 중량%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유기 실란계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평균 직경이 1.0㎛인 탈크 및 유기 실란계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휘스커를 약 6: 12의 중량%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고유점도 약 1.5dl/g 인 에틸렌-옥텐 랜덤공중합체, 평균 직경 8.0㎛의 개질되지 않은 탈크 및 개질되지 않은 휘스커를 약 20: 12: 6의 중량%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평균 직경 8.0㎛의 개질되지 않은 탈크 및 개질되지 않은 휘스커를 약 9: 9의 중량%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평균 직경 8.0㎛의 개질되지 않은 탈크 및 개질되지 않은 휘스커를 약 6: 12의 중량%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성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62 62 62 62 62 62
에틸렌-옥텐 랜덤공중합체
고유점도
2.5dl/g
20 20 20
고유점도
1.5dl/g
20 20 20
표면개질O
탈크(1.0㎛) 12 9 6
휘스커 6 9 12
표면개질X
탈크(8.0㎛) 12 9 6
휘스커 6 9 12
<평가>
실험예 1: 비중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편의 비중을 ASTM D792에 의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굴곡탄성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편의 굴곡 탄성률을 ASTM D790을 이용하여 12.7×127×6.4mm의 시편 규격을 크로스헤드(Crosshead)의 속도는 10mm/min으로 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아이조드 ( IZOD ) 충격강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편의 이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의하여 상온(23℃)에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4: 도장 부착력
카처(Karcher) 고압 장비를 이용하여 시편과의 거리를 수직으로 10cm 두고 70℃, 65bar 고온 고압의 물을 파이프 노즐을 통해 테스트 시편 표면에 발사하여 도막 표면에 손상 여부로 평가하였다. 이때 도막 시편 표면은 cross-cut 자국을 내고 도장 후 약 24시간 방치한 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부착력 평가 기준은 박리가 없는 경우는 "0", 도막 표면이 약 5% 박리된 경우는 "1", 약 5~35% 박리된 경우는 "2", 약 35~65% 박리된 경우는 "3" 그리고, 전부 박리된 경우는 "4"로 표시하였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비중(g/cm3) 1.01 1.00 0.99 1.01 1.00 0.99
굴곡탄성률(MPa) 2,631 2,710 2,871 2,326 2,361 2,407
Izod 충격강도
(상온, kJ/cm2)
50이상 45 35 42 35 24
도장 부착력 1 0 1 3 2 3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낮은 비중을 유지하면서, 약 2500MPa 이상의 굴곡 탄성률, 높은 충격강도뿐만 아니라 우수한 도장 부착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6)

  1. 베이스 수지, 열가소성 탄성체, 개질된 무기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개질된 무기 필러는 개질된 탈크 : 개질된 휘스커를 1 : 0.5 내지 2로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프로필렌과 탄소수 2 및 4 내지 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ASTM D1238에 의해 230℃의 온도 및 2.16kg의 하중에서 측정된 용융지수가 20g/10분 내지 1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13C-NMR 법에 의한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이 0.80 내지 0.99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를 50중량% 내지 80중량%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2dl/g 내지 4dl/g의 고유점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는 에틸렌과 탄소수 3 내지 12의 α-올레핀의 올레핀 공중합체, 스티렌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를 24중량부 내지 44중량부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유기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유기 실란계 커플링제,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무수물을 그라프트한 변성 폴리올레핀, 지방산, 지방산 금속염,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표면 처리하여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0.1㎛ 내지 5㎛의 평균 직경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무기 필러를 8중량부 내지 41중량부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가공활제, 착색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사출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15. 제14항에 있어서,
    ASTM D790에 의한 굴곡탄성률이 2,500MPa 이상인
    성형품.
  16. 제14항에 있어서,
    자동차용 외장재의 용도를 갖는
    성형품.
KR1020170030706A 2017-03-10 2017-03-10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212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706A KR102212683B1 (ko) 2017-03-10 2017-03-10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15/870,528 US20180258269A1 (en) 2017-03-10 2018-01-12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DE102018200793.4A DE102018200793A1 (de) 2017-03-10 2018-01-18 Polypropylenharzzusammensetzung und geformtes Erzeugnis daraus
CN201810052885.8A CN108570204A (zh) 2017-03-10 2018-01-19 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成型产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706A KR102212683B1 (ko) 2017-03-10 2017-03-10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574A KR20180103574A (ko) 2018-09-19
KR102212683B1 true KR102212683B1 (ko) 2021-02-04

Family

ID=6325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706A KR102212683B1 (ko) 2017-03-10 2017-03-10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258269A1 (ko)
KR (1) KR102212683B1 (ko)
CN (1) CN108570204A (ko)
DE (1) DE102018200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897A1 (en) * 2020-01-17 2021-07-2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Wellbore treatment fluids with no-heat liquid solder additiv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7058A (ja) 2009-12-21 2011-06-30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射出成形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088A (ko) * 2000-05-19 2001-11-28 이계안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AU2003292690B2 (en) * 2003-03-28 2008-11-20 Mitsui Chemicals, Inc. Propylene copolymer, polypropylene composition, use thereof, transition metal compounds, and catalysts for olefin polymerization
EP1548054B1 (en) * 2003-12-26 2016-03-23 Japan Polypropylene Corporation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EP1600480A1 (en) * 2004-05-27 2005-11-30 Borealis Technology OY Novel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KR100657359B1 (ko) * 2005-02-28 2006-12-19 삼성토탈 주식회사 내스크래치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957303B1 (ko) * 2007-11-26 201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WO2011012500A1 (en) * 2009-07-31 2011-02-03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olyolefinic compositions
KR101299356B1 (ko) * 2011-04-13 2013-08-22 삼성토탈 주식회사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459951B1 (ko) * 2013-09-27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촉감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1558703B1 (ko) * 2013-12-20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646396B1 (ko) * 2014-12-03 2016-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유동, 고충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102008558B1 (ko) * 2016-12-08 2019-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취성능과 방향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KR102187566B1 (ko) * 2017-03-10 2020-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187560B1 (ko) * 2017-03-10 2020-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187583B1 (ko) * 2017-03-10 2020-1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7058A (ja) 2009-12-21 2011-06-30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射出成形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200793A1 (de) 2018-09-13
US20180258269A1 (en) 2018-09-13
KR20180103574A (ko) 2018-09-19
CN108570204A (zh)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396B1 (ko) 고유동, 고충격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KR10155870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45114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내외장재
CN107207802B (zh) 聚丙烯组合物
KR101714074B1 (ko) 자동차 도어 트림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2976387A1 (en) Mineral-filled polypropylene composition
KR20010105088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1215729B1 (ko) 고유동 흐름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110237709A1 (en) Production of molded fibrous basic magnesium sulfate filler-containing olefin polymer composition products
KR101847258B1 (ko)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299356B1 (ko)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21268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N107337841B (zh) 具有优异的触感和尺寸稳定性的聚丙烯的组合物
KR20190064875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783084B1 (ko) 저 비중, 저 선팽창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80103570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CN108570186B (zh) 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成型产品
KR10218758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180055401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올레핀계 마스터배치,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734772B1 (ko) 고충격성 및 고부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0435328B1 (ko)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47888A (ko)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복합 수지 조성물
KR102169604B1 (ko) 분말 슬러쉬 몰딩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분말
KR102036948B1 (ko) 내스크래치, 내오염 성능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