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915B1 -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915B1
KR102211915B1 KR1020200065161A KR20200065161A KR102211915B1 KR 102211915 B1 KR102211915 B1 KR 102211915B1 KR 1020200065161 A KR1020200065161 A KR 1020200065161A KR 20200065161 A KR20200065161 A KR 20200065161A KR 102211915 B1 KR102211915 B1 KR 102211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energy storage
fixing
storage system
ou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은
임채윤
Original Assignee
이온어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온어스(주) filed Critical 이온어스(주)
Priority to KR102020006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915B1/ko
Priority to PCT/KR2021/006514 priority patent/WO20212419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이 가능한 이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과 결합되며, 보관 공간을 가지는 보관 유닛과 그리고 상기 보관 유닛에 고정되어 이동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보관 유닛은 보관 공간을 가지는 보관 챔버와 상기 보관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이동 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고정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Storage device of removable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보관 장치를 이동 시 안전하게 이동 가능하며,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설치 시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은 장치 혹은 물리적 매체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시스템으로 전력계통에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주파수 조정, 신재생 발전기 출력 안정화, 부하평준화, 비상전원 등에 활용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전기에너지를 적게 사용할 때 저장하고 필요할 때 공급하여 에너지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재생에너지 활용도를 높이며, 전력공급시스템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ESS는 복수 개의 배터리가 내장된 외함을 포함하며, 이러한 ESS용 외함은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 배치될 수 있다. ESS용 외함은 내부에 복수 개의 배터리가 내장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사고 발생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각종 기관에서 기술규격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ESS 사용의 편의를 위해 이동식 ESS가 개발되고 있다. 이동식 ESS는 설치가 간편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다만, 이동식 ESS 이동 시 주변의 충격 등에 의해서 손상될 위험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5854호(2020.03.2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0108호(2020.03.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59301호(2019.12.1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0496호(2019.01.1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간편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보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과 결합되며, 보관 공간을 가지는 보관 유닛과 그리고 상기 보관 유닛에 고정되어 이동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보관 유닛은 보관 공간을 가지는 보관 챔버와 상기 보관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이동 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고정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보관 챔버의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부와 마주보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내부에 고정홈을 가지는 상부 고정부와 일단은 상기 하부 고정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의 중앙 영역을 지지하는 중앙 지지부와 일단은 상기 하부 고정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의 가장 자리 영역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지지부는 복수개가 제공되며, 복수개의 상기 외측 지지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외측 지지부는 탄성 스프링으로 제공되며 상기 중앙 지지부는 내부에 탄성 스프링을 가지며, 외측은 고무 재질로 제공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내체부와 상기 내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가지는 외체부와 그리고 상기 외체부의 일단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외체부와 결합 시 상기 고정돌기를 지지하는 외체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탄성체로 제공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외체 커버부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고정부재와 결합 시에는 상기 외체부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보다 큰 직경으로 제공되며, 상기 내체부는 상기 외체부에 삽입되며, 나선 결합을 하여 상기 외체부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를 향하도록이동가능하며, 상기 외체부가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외체부에는 복수개의 외체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체부에는 복수개의 눈금이 형성되며 상기 내체부와 외체부의 총 결합길이는 변경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복수개가 제공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와 대응되는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외부 또는 이동 후 장소에 설치 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이동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지지 부재는 일단은 상기 외체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이동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 몸체에 형성된 레일부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이동체와 그리고 일단은 상기 외체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홈에 삽입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외체부의 외체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체를 가지며, 상기 외체부에는 상기 이동 지지 부재와 결합되는 수용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상부 고정부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홈 및 고정돌기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는 탈착해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홈의 내측 벽면에서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체부는 상기 고정돌기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탈착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돌기는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결합 시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탈착해제부는 상기 상부 고정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탄성 재질로 제고 되는 탈착 몸체와 일단은 상기 탈착 몸체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고정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의 결합을 해제 시 상기 탈착 몸체를 상기 고정홈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 상기 체결홈 및 탈찰 돌기의 결합을 해제 후 결합 해제하도록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보관 유닛은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보관 공간의 온도, 습도 또는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부재와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내부 공간에 화재 발생 시 이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 부재와 상기 보관 챔버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외부에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보관 챔버에 복수개 위치하는 환기 부재와 기 보관 챔버의 내측벽에 위치하며, 작업자의 정전기를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 부재와 그리고 상기 센서 부재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화재 정보를 기초로 보관 챔버 내부의 상황을 외부로 알리거나, 상기 환기 부재를 작동하여 상기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보관 챔버의 내측벽에 복수개 위치하며, 상기 보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와 상기 보관 챔버의 내측벽에 복수개 위치하며, 상기 보관 공간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부와 그리고 상기 보관 챔버의 내측벽에 복수개 위치하며, 상기 보관 공간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전기 방지 부재는 정전기 방지 패드와 상기 정전기 방지 패드가 위치한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부재는 상기 센서 부재에서 측정된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상기 센서 부재에서 측정된 정보 중 기설정된 온도, 습도 또는 화재 발생 시 이를 알려주는 알람부와 상기 환기 부재를 제어하여 내부의 온도 또는 습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 및 결합 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동 시 안정적으로 지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의 안정적인 지지 및 충격 흡수를 통해서 이동 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관 챔버 내부의 각종 센서를 통해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중 보관 유닛의 내부를 일부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중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중 상부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이동 지지 부재 및 결합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 중 외체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이동 지지 부재 및 결합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부분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ESS)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다양한 용도 사용을 위해 다른 장치로 전기를 공급 할 수 있다. 일 예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다음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주파수 조정 또는 전압조정 등 전력 안정화용과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저장 및 전력거래, DR서비스 등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마이크로-그리드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원을 전력원으로 갖춘 전력망에서 디젤발전기의 대안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한정된 자원의 배전선로에서 가용성을 확보하고, 디젤발전기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의 용도는 상술한 용도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장치(1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을 안정적으로 탑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 중 보관 유닛의 내부를 일부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 중 고정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 중 상부 지지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이동 지지 부재 및 결합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2 중 외체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이동 지지 부재 및 결합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장치(10)는 이동 유닛(100), 보관 유닛(200) 그리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을 제공한다.
이동 유닛(10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을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동 유닛(100)은 자동차의 형태로 제공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을 탑재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보관 유닛(20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보관할 수 있다. 보관 유닛(20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을 이동 시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다.
보관 유닛(200)은 보관 챔버(210), 고정 부재(220), 센서 부재(230), 소화 부재(240), 환기 부재(250), 정전기 방지 부재(260) 그리고 제어 부재(290)를 포함한다.
보관 챔버(2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보관 챔버(210)는 이동 유닛(10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관 챔버(210)는 트레일러 또는 컨테이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예와는 달리, 보관 챔버(210)는 차량과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고정 부재(22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을 탑재하여 이동 시 충격 완화, 안정적 지지를 통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이 이동 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에 결합 부재(350)가 4개 제공되는 경우 고정 부재(220)도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을 이동시키는 경우 고정 부재(220)는 12개가 필요할 수 있다. 즉, 고정 부재(22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의 개수 및 결합 부재(350)의 제공 개수에 따라서 그에 맞도록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하부 고정부(221), 중앙 지지부(222), 외측 지지부(223), 상부 고정부(224), 탈착 해제부(227)를 포함한다.
하부 고정부(221)는 보관 챔버(210)의 바닥과 밀착할 수 있다. 하부 고정부(221)는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 고정부(221)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부 고정부(224)는 하부 고정부(221)와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상부 고정부(224)는 하부 고정부(22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고정부(224)의 내부에는 고정홈(225)이 제공될 수 있다. 고정홈(225)은 후술하는 고정돌기(397)가 삽입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을 고정할 수 있다. 상부 고정부(224)는 하부 고정부(221)와 동일한 크기로 제공되거나, 조금 작은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고정부(224)에는 체결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226)은 고정홈(225)의 내측면 중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226)에는 탈착 돌기가 결합될 수 있다.
중앙 지지부(222)는 상부 고정부(224)의 중앙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중앙 지지부(222)는 일단은 상부 고정부(224)와 결합되며, 타단은 하부 고정부(221)와 결합될 수 있다. 중앙 지지부(222)는 탄성체를 가지며, 외부는 고무 재질을 가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 지지부(222)는 내부에 탄성 스프링을 가지며, 외부는 고무재질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몸체를 가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중앙 지지부(222)가 탄성 재질을 가지어, 외부의 충격 시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의 흔들림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외측 지지부(223)는 상부 고정부(224)의 가장자리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외측 지지부(223)는 일단은 상부 고정부(224)와 결합되며, 타단은 하부 고정부(221)와 결합될 수 있다. 외측 지지부(223)는 상부 고정부(224)의 4개의 가장자리 및 하부 고정부(221)의 4개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도록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외측 지지부(22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측 지지부(223)는 탄성 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중앙 지지부(222)와 동일하게 내부는 탄성 스프링 형태로 제공되며, 외측은 고무 재질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외측 지지부(223) 및 중앙 지지부(222)가 탄성체 재질을 가지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의 이동 시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충격에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이 흔들려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탈착 해제부(227)는 고정 부재(220) 및 후술하는 결합 부재(350)의 결합을 해제 할 수 있다. 탈착 해제부(227)는 탈착 몸체(228)와 누름부(229)를 포함한다. 탈착 몸체(228)는 상부 고정부(224)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탈착 몸체(228)는 탄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누름부(229)는 탈착 몸체(228)와 결합될 수 있다. 누름부(229)의 일부는 탈착 몸체(228)와 결합되며, 일부 영역은 상부 고정부(224)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220)와 결합 부재(350)의 결합을 해제 시 작업자는 누름부(229)를 누를 수 있다. 작업자가 누름부(229)를 누르는 경우 탈착 몸체(228)의 탄성체를 가압하여 고정홈(225)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탈착돌기(399)가 체결홈(226)의 외측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이 때, 후술하는 고정돌기(397)를 상부로 이동시켜 고정 부재(220)와 결합 부재(350)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고정 부재(220)의 구성을 통해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의 이동 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센서 부재(230)는 보관 공간의 내부 공간의 온도, 습도 그리고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부재(230)는 온도 센서부(231), 습도 센서부(233) 그리고 화재 감지부(235)를 포함한다.
온도 센서부(231)는 보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부(231)는 보관 챔버(210)의 내부 벽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온도 센서부(231)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온도 센서부(231)는 측정된 온도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 부재(290)로 전송할 수 있다.
습도 센서부(233)는 보관 공간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 센서부(233)는 보관 챔버(210)의 내부 벽면에 위치할 수 있다. 습도 센서부(233)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습도 센서부(233)는 측정된 습도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 부재(290)로 전송할 수 있다.
화재 감지부(235)는 보관 공간의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 감지부(235)는 보관 챔버(210)의 내부 벽면에 위치할 수 있다. 화재 감지부(235)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화재 감지부(235)에서는 측정된 화재 정보를 후술하는 제어 부재(29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화재 감지부(235)는 연기를 감지하거나, 불꽃 등을 감지하는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소화 부재(240)는 화재를 발생 시 불을 끌 수 있다. 소화 부재(240)는 보관 챔버(2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소화 부재(240)로 소화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관 챔버(210) 내부에 스프링 쿨러 형태 등 공지의 소화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환기 부재(250)는 보관 챔버(210)의 벽면에 위치할 수 있다. 환기 부재(250)는 보관 챔버(210) 내부 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환기 부재(250)는 보관 챔버(210)의 벽면에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환기 부재(250)는 환풍기 형태로 제공되며, 내부 온도 또는 습도 조절 또는 환기가 필요한 경우 작동되어 내부 및 외부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정전기 방지 부재(260)는 작업자의 정전기 방지를 통해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정전기 방지 부재(260)는 정전 패드부(261) 및 커버부(263)를 포함한다. 정전 패드부(261)는 반구 형상으로 제공되는 공지의 패드 일 수 있다. 정전 패드부(261)는 보관 챔버(210)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커버부(263)는 정전 패드부(261)를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부재(290)는 센서 부재(230)에서 측정된 정보를 통해서 환기 부재(250) 또는 소화 부재(2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부재(290)는 표시부(291), 알림부(293) 그리고 제어부(295)를 포함한다.
표시부(291)는 보관 챔버(210)의 벽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291)는 디스플레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291)는 센서 부재(230)에서 측정된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작업자는 이를 통해서 내부 공간의 관리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알림부(293)는 내부 정보를 소리로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알림부(293)는 내부 정보 중 기설정된 온도 범위, 기설정된 습도 범위 또는 화재 발생 등 위급 상황의 경우 경보음이나, 불빛 등을 통해서 작업자에게 이를 알려줄 수 있다.
제어부(295)는 온도 이상, 습도 이상 또는 화재 발생이 되는 경우 환기 부재(250)의 작동, 소화 부재(240)의 작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잉여 전력을 저장 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내부에 인버터나, 배터리 제어 시스템(BMS), 배터리 밸런싱 시스템(BBS) 등을 가질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공지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과 유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은 케이스(310), 에너지 저장 장치(320), 단자 부재(330), 이동 지지 부재(340) 그리고 결합 부재(350)를 포함한다.
케이스(3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케이스(310)의 내부에는 에너지 저장 장치(320)가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310)는 내부와 외부 공기가 출입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320)는 잉여 전력을 저장하거나, 다른 장치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320)는 케이스(3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단자 부재(330)는 에너지 저장 장치(320)에 위치할 수 있다. 단자 부재(330)는 각종 전기 시스템의 제어, 타 기계 충전을 위한 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 지지 부재(34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의 설치 시 안정적으로 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이동 지지 부재(34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을 안정적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다. 이동 지지 부재(340)는 결합 부재(3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지지 부재(340)는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결합 부재(350)에 복수개의 이동 지지 부재(34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결합 부재(350)에 이동 지지 부재(340)가 3개가 결합될 수 있다. 3개의 이동 지지 부재(340)는 바닥면과 접촉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결합 부재(3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지지 부재(340)는 이동 몸체(341), 이동체(343), 지지체(345), 레일부(347) 그리고 결합체(349)를 포함한다.
이동 몸체(341)는 외체부(390)의 수용 결합부(393)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몸체(341)는 한 쌍이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 몸체(341)는 서로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이동 몸체(341)는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 몸체(341)는 레일부(34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체(343)는 이동 몸체(34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체(343)는 이동 몸체(341)에 형성된 레일부(347)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동체(343)는 한 쌍의 이동 몸체(34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체(345)는 이동체(343)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체(345)는 일단은 외체부(390)의 수용 결합부(393)와 결합되며, 타단은 이동체(343)의 중앙에 형성된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체(345)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동 몸체(341)의 일단에는 결합체(349)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체(349)는 외체 결합부(395)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체(349)는 이동 지지 부재(340)를 외체부(390)에 체결 시 외체 결합부(395)와 결합하여 이동 지지 부재(340)를 외체부(39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이동 지지 부재(340)를 바닥면에 접촉하여 사용 시 결합을 해체할 수 있다.
이하, 이동 지지 부재(340)의 기능을 설명한다. 이동 지지 부재(340)를 바닥면에 접촉시켜 놓은 경우 도 8과 같이 위치할 수 있다. 외부의 진동이 발행하면, 이동체(343)가 레일부(347)를 따라서 이동하여 지지체(345)를 상부로 밀어 올리며, 이 때 지지체(345)가 상부로 이동하면 충격을 흡수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에 가하는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지지 부재(340)가 복수개가 제공되어, 어느 방향으로 충격을 가하든 동일한 작동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의 충격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결합 부재(350)는 고정 부재(220)와 결합하여, 보관 챔버(210)에서 이동 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합 부재(350)는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 부재(350)는 하나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에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결합 부재(350)는 내체부(370)와 외체부(390)를 포함한다.
내체부(370)는 케이스(310)의 하부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내체부(370)는 일단은 케이스(310)의 하부면과 결합되며, 타단은 후술하는 외체부(390)와 결합될 수 있다. 내체부(370)는 원통형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내체부(370)에는 눈금(371) 표시가 있을 수 있다. 내체부(370)의 눈금(371) 표시는 결합 부재(350)의 높이를 조절할 때 작업자가 표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내체부(370)와 외체부(390)가 결합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외체부(390)는 내체부(370)와 결합될 수 있다. 외체부(390)는 원통형상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외체부(390)는 내체부(370)보다 직경이 큰 수 있다. 외체부(390)의 내부에 내체부(370)가 삽입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외체부(390)의 내측에는 나사홈 또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체부(370)의 내면에는 나사골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외체부(390) 및 내체부(370)는 나사선 결합을 통해서 외체부(390)를 회전하여 내체부(370) 및 외체부(390)의 결합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외체부(390)와 내체부(370)의 결합길이를 늘리고자 하는 경우 외체부(390)를 일방향으로 돌려 외체부(390)를 내체부(37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시켜 전체 결합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외체부(390)와 내체부(370)의 결합길이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 외체부(390)를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려 외체부(390)를 내체부(37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시켜 전체 결합길이를 늘릴수 있다.
상술한 외체부(390) 및 내체부(370)의 결합으로 결합 부재(350)가 4개가 제공되는 경우도 각각의 높이를 달리하며 바닥이 수평이 맞지 않아도 케이스(31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외체부(390)에는 외체홈(391)이 형성되어 있다. 외체홈(391)은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외체홈(391)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외체홈(391)은 상하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체홈(391)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내체부(370)의 외측에 형성된 눈금(371)을 통해서 정확한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외체부(390)에는 외측면에는 외체 결합부(395)가 형성될 수 있다. 외체 결합부(395)는 이동 지지 부재(340)와 결합되어 이동 지지 부재(340)의 미 사용 시 외체부(390)와 접촉하여 관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외체 결합부(395)는 결합체(349))와 결합될 수 있다.
외체부(390)에는 수용 결합부(393)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결합부(393) 이동 몸체(341)와 결합되며, 이동 몸체(341)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외체부(390)에는 고정돌기(397) 및 탈착돌기(399)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397)는 외체부(39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돌기(397)는 후술하는 외체 커버부(380)의 결합 해제 시 외체부(390)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돌기(397)는 탄성체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돌기(397)의 끝단은 고정홈(225)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돌기(397)는 평상시에는 외체 커버부(380)와 마주하며, 외체부(390) 내부에 위치한다. 고정 부재(220)와 결합 부재(350)의 결합 시 외체 커버부(380)를 해제하면, 고정돌기(397)는 외측으로 튀어나온다. 이 때, 고정돌기(397)를 고정홈(225)에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돌기(397)와 고정홈(225)은 끼움 결합으로 결합할 수 있다.
탈착돌기(399)는 고정돌기(397)의 일면에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탈착돌기(399)는 탄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탈착돌기(399)는 체결홈(226)에 체결될 수 있다. 탈찰돌기는 고정돌기(397)가 고정홈(225)에 결합 시 고정력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체결홈(226)에 체결될 수 있다.
외체 커버부(380)는 외체부(39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외체 커버부(380)는 슬라이딩 결합의 형태로 외체부(390)와 결합될 수 있다. 외체 커버부(380)는 탈착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외체 커버부(380)는 외체부(390)와 결합시 고정돌기(397)를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의 고정 또는 해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의 고정 시 먼저 보관 챔버(210)로 이동한다. 보관 챔버(210)에는 복수개의 고정 부재(220)가 설치되어 있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300)의 결합 부재(350)와 고정 부재(220)를 결합한다. 일 예로, 먼저 외체 커버부(380)를 제거하고, 고정돌기(397)가 돌출되면 상부 고정부(224)의 고정홈(225)에 고정돌기(397)를 결합한다. 결합 과정에서 고정돌기(397)에 외측에 있는 탈착돌기(399)는 탄성 재질로 제공되며, 안쪽의 체결홈(226)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0)와 결합 부재(350)를 해제하는 경우는 누름부(229)를 눌러, 먼저 탈착돌기(399)과 체결홈(226)의 체결을 해제한다. 이 후, 고정돌기(397)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 및 결합 부재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동 시 안정적으로 지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의 안정적인 지지 및 충격 흡수를 통해서 이동 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관 챔버 내부의 각종 센서를 통해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장치
100: 이동 유닛 200: 보관 유닛
210: 보관 챔버 220: 고정 부재
230: 센서 부재 240: 소화 부재
250: 환기 부재 260: 정전기 방지 부재
290: 제어 부재 300: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310: 케이스 320: 에너지 저장 장치
330: 단자 부재 340: 이동 지지 부재
350: 결합 부재

Claims (3)

  1.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보관 장치에 있어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 유닛과
    상기 이동 유닛과 결합되며, 보관 공간을 가지는 보관 유닛과 그리고
    상기 보관 유닛에 고정되어 이동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되,
    상기 보관 유닛은,
    보관 공간을 가지는 보관 챔버와
    상기 보관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이동 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에너지 저장 장치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고정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보관 챔버의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고정부와 마주보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고, 내부에 고정홈을 가지는 상부 고정부와
    일단은 상기 하부 고정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의 중앙 영역을 지지하는 중앙 지지부와
    일단은 상기 하부 고정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고정부와 결합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의 가장 자리 영역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지지부는 복수개가 제공되며, 복수개의 상기 외측 지지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외측 지지부는 탄성 스프링으로 제공되며,
    상기 중앙 지지부는 내부에 탄성 스프링을 가지며, 외측은 고무 재질로 제공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내체부와
    상기 내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가지는 외체부와 그리고
    상기 외체부의 일단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외체부와 결합 시 상기 고정돌기를 지지하는 외체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는 탄성체로 제공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상기 고정 부재에 결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외체 커버부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고정부재와 결합 시에는 상기 외체부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결합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보다 큰 직경으로 제공되며, 상기 내체부는 상기 외체부에 삽입되며, 나선 결합을 하여 상기 외체부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를 향하도록이동가능하며, 상기 외체부가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외체부는 상기 내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외체부에는 복수개의 외체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체부에는 복수개의 눈금이 형성되며,
    상기 내체부와 외체부의 총 결합길이는 변경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복수개가 제공되며,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와 대응되는 개수로 제공되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외부 또는 이동 후 장소에 설치 시 상기 에너지 저장 장치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이동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지지 부재는
    일단은 상기 외체부와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이동 몸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 몸체에 형성된 레일부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이동체와 그리고
    일단은 상기 외체부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이동체에 형성된 홈에 삽입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외체부의 외체 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체를 가지며,
    상기 외체부에는 상기 이동 지지 부재와 결합되는 수용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KR1020200065161A 2020-05-29 2020-05-29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KR102211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161A KR102211915B1 (ko) 2020-05-29 2020-05-29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PCT/KR2021/006514 WO2021241991A1 (ko) 2020-05-29 2021-05-25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161A KR102211915B1 (ko) 2020-05-29 2020-05-29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915B1 true KR102211915B1 (ko) 2021-02-04

Family

ID=74558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161A KR102211915B1 (ko) 2020-05-29 2020-05-29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1915B1 (ko)
WO (1) WO20212419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991A1 (ko) * 2020-05-29 2021-12-02 이온어스(주)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2071B1 (ja) * 2012-12-28 2014-1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貯蔵装置
KR101712073B1 (ko) * 2016-11-29 2017-03-03 김상범 내진 성능을 갖는 ess 함체
KR101940496B1 (ko) 2018-08-29 2019-01-21 (주)대은 공조기능을 포함하는 ess시스템
KR102059301B1 (ko) 2019-07-19 2019-12-24 나성호 Ess용 외함
KR102095854B1 (ko) 2017-12-29 2020-04-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할당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ess)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0108B1 (ko) 2013-09-12 2020-04-14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저장 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79581T3 (es) * 2015-04-15 2020-08-18 Pumpkin Mounts Llc Un montaje mejorado
KR102067244B1 (ko) * 2019-03-20 2020-02-17 박성훈 내진 구조물
KR102211915B1 (ko) * 2020-05-29 2021-02-04 이온어스(주)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2071B1 (ja) * 2012-12-28 2014-1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貯蔵装置
KR102090108B1 (ko) 2013-09-12 2020-04-14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저장 장치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1712073B1 (ko) * 2016-11-29 2017-03-03 김상범 내진 성능을 갖는 ess 함체
KR102095854B1 (ko) 2017-12-29 2020-04-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할당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ess)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40496B1 (ko) 2018-08-29 2019-01-21 (주)대은 공조기능을 포함하는 ess시스템
KR102059301B1 (ko) 2019-07-19 2019-12-24 나성호 Ess용 외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1991A1 (ko) * 2020-05-29 2021-12-02 이온어스(주)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991A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915B1 (ko) 이동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보관 장치
KR101779187B1 (ko)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US20200303696A1 (en) System consisting of a holder and stored energy sources which can be placed in the holder
KR10197023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함체
US20210013466A1 (en) Battery rack and power storag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476215B1 (ko) 화재감지 및 자동 경보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화재감지장치
KR101745655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시설 안전장치
WO2018120718A1 (zh) 空气盒子
KR102195835B1 (ko) 검출기를 기반으로 한 누설 전류의 실시간 감시 및 위치 정보의 실시간 식별이 허용되는 높이 조절형 내진 구조물
JP2021144809A (ja) ポール型太陽光発電機、該ポール型太陽光発電機を備えた照明装置、及び該ポール型太陽光発電機を備えた監視情報通信装置
KR20130062126A (ko) 재난 대비용 침대
CN210707114U (zh) 一种危险品运输车内危险品防碰撞结构
CN207662523U (zh) 一种便携式红外线仪
CN213816308U (zh) 一种改进的磷酸铁锂锂离子动力电池结构
WO2010116784A1 (ja) 放射線画像検出カセッテ
KR102570235B1 (ko) 배터리 충전 관리 시스템
CN108054316A (zh) 一种锂电池的安全存储装置***
CN114803083A (zh) 一种基于高温相变储热材料长时保温物流箱
CA3208749A1 (en) Utility-scale lithium-ion battery transporters
KR900702295A (ko) 물체안전보호와 힘의 측정장치
KR20130004211U (ko) 휴대용 태양 전지 충전 시스템
CN207850485U (zh) 一种基于电磁平衡式传感器的分析天平
CN207558151U (zh) 一种市政紧急疏散指示牌
CN214957146U (zh) 一种蓄电池箱体定位结构
CN210692613U (zh) 一种蓄电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