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738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738B1
KR102209738B1 KR1020140094808A KR20140094808A KR102209738B1 KR 102209738 B1 KR102209738 B1 KR 102209738B1 KR 1020140094808 A KR1020140094808 A KR 1020140094808A KR 20140094808 A KR20140094808 A KR 20140094808A KR 102209738 B1 KR102209738 B1 KR 102209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resource
menb
sen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736A (ko
Inventor
윤일진
권일원
이희광
최정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738B1/ko
Priority to US15/328,831 priority patent/US10149170B2/en
Priority to PCT/KR2015/007713 priority patent/WO2016013899A1/ko
Priority to EP15824551.4A priority patent/EP3174327B1/en
Publication of KR2016001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4Traffic adaptive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6Hybrid resource partitioning, e.g. channel borrowing
    • H04W16/08Load shed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imultaneous multiple data streams, e.g. cooperative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셀 크기를 갖는 기지국이 공존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기지국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부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기지국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에 대한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부하 분담이 가능한 세컨더리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추가 접속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매크로 셀의 기지국이 소형 셀의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오프로드(off load) 여부를 결정하고, 단말로부터 보고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매크로 셀과 소형 셀의 자원 분배율을 결정함으로써, 소형 셀의 부하 및 단말의 채널 상태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전송률을 증가시키고, 시스템 전체적으로 셀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DAPTIVE FL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에 대한 적응적 플로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여러 가지 신기술을 접목시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진화된 LTE 통신 시스템(LTE-Advanced, LTE-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LTE-A에 대한 새롭게 도입될 대표적인 기술로 캐리어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들 수 있다. 캐리어 집적이란 종래에 단말이 하나의 순방향 캐리어와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만을 이용해서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것과 달리, 하나의 단말이 다수의 순방향 캐리어와 다수의 역방향 캐리어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LTE-A에서는 기지국 내 캐리어 집적(intra-ENB carrier aggregation)에 대해서만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말의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하기 위해, 서로 다른 크기의 다수의 셀들이 중첩되어 운용되는 환경에서 서로 다른 셀을 집적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3GPP Rel-12에서는 서로 다른 기지국에 종속된 서빙 셀들을 통합하여 이용하는 기지국 간 캐리어 집적(inter-ENB carrier aggregation) 혹은 이종 기지국간 이중 접속 (Dual connectivity) 기술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3GPP Rel-12에서는 각 단말이 서로 다른 두 개의 기지국과 동시에 연결하는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을 수행하는 것을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중 접속 상태에서 단말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서로 다른 크기의 다수의 셀들이 중첩되어 운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에 대한 적응적으로 플로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단말이 매크로 셀과 소형 셀에 이중 접속 중인 상태에서 매크로 셀의 기지국이 소형 셀의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오프로드(off load)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단말이 매크로 셀과 소형 셀에 이중 접속 중인 상태에서 매크로 셀의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보고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매크로 셀과 소형 셀의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셀 크기를 갖는 기지국이 공존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기지국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부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기지국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에 대한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부하 분담이 가능한 세컨더리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추가 접속을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셀 크기를 갖는 기지국이 공존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기지국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부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마스터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에 대한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채널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에 대한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부하 분담이 가능한 세컨더리 기지국을 식별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에 대한 추가 접속을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지국들에 대한 이중 접속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셀의 기지국이 소형 셀의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오프로드(off load) 여부를 결정하고, 단말로부터 보고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매크로 셀과 소형 셀의 자원 분배율을 결정함으로써, 소형 셀의 부하 및 단말의 채널 상태에 따라 단말에 대한 전송률을 증가시키고, 시스템 전체적으로 셀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이중 접속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매크로 셀과 소형 셀에 이중 접속 중인 단말에 대한 베어러 분할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의 베어러 분할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매크로 셀과 소형 셀에 이중 접속 중인 상태에서 단말의 하향링크에 대한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에서 베어러 분할을 통해 단말의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간략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에서 단말의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상세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에서 단말의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상세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에서 이중 접속 단말의 신호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자원을 분할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임계값들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의 간략한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명세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단말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각 기지국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함)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혹은 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셀은 기지국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등과 같은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매크로 셀과 소형 셀이 중첩된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실시 예에서 매크로 셀과 소형 셀은 서로 다른 크기의 셀을 의미한다. 또한, 매크로 셀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소형 셀을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셀을 의미이며, 소형 셀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및 펨토 셀과 같이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포함되는 크기의 셀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서 매크로 기지국(macro base station, 혹은 macro eNB, MeNB)과 소형 기지국(small base station, 혹은 small eNB, SeNB) 각각은 다수의 셀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은 다수의 매크로 셀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소형 기지국은 다수의 소형 셀에 대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에서 지원하는 다수의 셀은 지리적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지리적으로 중첩된 셀들은 상이한 주파수를 지원할 수 있다.
단말(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서로 다른 크기의 다수의 셀들이 중첩되어 운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 시에 베어러 분할을 통해 하향링크에 대한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3GPP에서 정의된 LTE 시스템의 용어들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나,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LTE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다른 크기의 다수의 셀들이 중첩된 상황에서 단말의 이중 접속이 가능한 모든 무선 통신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이중 접속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매크로 셀(110)에 대한 매크로 기지국은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131)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형 셀(120)에 대한 소형 기지국은 중심 주파수가 f2인 캐리어(132)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하향링크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130)와 하향링크 중심 주파수가 f2인 캐리어(132)를 집적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서로 다른 기지국에 대한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기지국 간 캐리어 집적을 지원할 수 있다.
캐리어 집적은 복수의 서빙 셀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하나의 기지국이 송출하는 하향링크 캐리어와 해당 기지국이 수신하는 상향링크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단말이 임의의 하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상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하향링크 캐리어와 상향링크 캐리어를 특정 짓는 중심 주파수 및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캐리어 집적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단말이 복수의 서빙 셀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에 대한 복수의 서빙 셀은 역할에 따라 프라이머리 서빙 셀(primary cell, PCell)과 세컨더리 서빙 셀(secondary cell, SCell)로 구분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서빙 셀은 단말의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및 이동성을 담당하는 서빙 셀을 의미하며, 세컨더리 셀은 단말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데이터의 송수신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로 설정된 서빙 셀로서, 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에 대한 복수의 서빙 셀들은 프라이머리 셀 그룹(primary cell group, PCG)과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라이머리 셀 그룹(PCG)는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이라 칭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셀 그룹은 프라이머리 서빙 셀(PCell)을 제어하는 마스터 기지국(master eNB, MeNB)에 의해 제어되는 서빙 셀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세컨더리 셀 그룹은 프라이머리 서빙 셀(PCell)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아닌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eNB, S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의 서빙 셀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해당 셀이 PCG(혹은 MCG)에 속하는지 SCG에 속하는지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용어들을 이용하는 주목적은 단말의 프라이머리 서빙 셀(PCell)을 제어하는 마스터 기지국으로부터 제어를 받는 셀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지국 간 캐리어 집적을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이 하나의 프라이머리 서빙 셀에 대한 캐리어와 하나의 세컨더리 서빙 셀에 대한 캐리어를 집적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하나의 프라이머리 서빙 셀에 대한 캐리어와 다수개의 세컨더리 서빙 셀에 대한 캐리어들을 집적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실시 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라이머리 서빙 셀을 제어하는 마스터 기지국(MeNB)이 매크로 기지국이고, 세컨더리 서빙 셀을 제어하는 세컨더리 기지국(SeNB)이 소형 기지국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 본 명세서에서 MeNB는 마스터 기지국, 및/혹은 매크로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으며, SeNB는 세컨더리 기지국 및/혹은 소형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매크로 셀과 소형 셀에 이중 접속 중인 단말에 대한 베어러 분할 구조를 도시하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의 베어러 분할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UE,230)은 MeNB(210)와 SeNB(220)에 이중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MeNB(210)는 프라이머리 서빙 셀을 통해 단말(230)의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및 이동성과 관련된 제어 기능을 담당하면서, 단말(230)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SeNB(220)는 세컨더리 서빙 셀을 통해 단말(230)의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단말(230)이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P-GW(미도시)와 단말 사이에 두 가지 타입의 베어러가 생성될 수 있다. 즉, P-GW(미도시)와 단말 사이에 제 1 EPS 베어러(evolved packet system bearer #1)와 제 2 EPS 베어러(EPS bearer #2)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EPS 베어러는 S-GW(200), MeNB(210) 및 단말(230) 사이에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EPS 베어러는 S-GW(200), MeNB(210), SeNB(220), 및 단말(230) 사이에 생성될 수 있다. 즉, 제 2 EPS 베어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이중 접속에 의해 MeNB(210)에서 단말(230) 사이를 연결하는 베어러와 MeNB(210)에서 SeNB(220)를 통해 단말(230) 사이를 연결하는 베어러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EPS 베어러는 단말(230)의 MeNB(210)에서 분할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eNB(21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CP 계층(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layer, 212)에서 일부 PDCP PDU(packet data unit)들은 MeNB(210)의 RLC 계층(214-2)으로 전달하고, 일부 PDCP PDU들은 SeNB(220)로 라우팅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NB(210)는 제 1 EPS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계층(212-1), RLC 계층(radio link control layer, 214-1), 및 MAC 계층(medium access control layer, 216-1)과 제 2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계층(212-1), RLC 계층(214-1), 및 MAC 계층(216-1)을 포함할 수 있다. PDCP 계층(212-1 및 212-2)은 IP 패킷이 무선 링크를 통해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헤더 압축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고, 패킷의 재정렬(reordering) 및 재전송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230)이 이중접속 중인 상태인 경우, 제 2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계층(212-2)은 단말(230)로 전송될 하향링크 패킷들 중에서 일부 패킷들은 MeNB(210)의 RLC 계층(214-2)으로 전달하고, 일부 패킷들은 SeNB(220)의 RLC 계층(222)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말(230)이 이중접속 중인 상태에서, 제 2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계층(212-2)은 단말(230)로 전송될 모든 하향링크 패킷들을 MeNB(210)의 RLC 계층(214-2)으로 전달하거나, 단말(230)로 전송될 모든 하향링크 패킷들을 SeNB(220)의 RLC 계층(22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 2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계층(212-2)은 단말(230)에 대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MeNB(210)에서 단말(230)로 직접 전송할 데이터 량과 SeNB(220)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 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데이터 량에 따라 단말(230) 및/혹은 SeNB(220)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2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계층(212-2)은 MeNB(210)와 단말(230) 사이의 베어러 자원과 SeNB(220)와 단말(230) 사이의 베어러 자원에 대한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MeNB(210)에서 단말(230)로 직접 전송할 데이터 량과 SeNB(220)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 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계층(212-2)은 단말(230)이 이중 접속 중인 SeNB(220)의 부하 정보, 단말(230)와 MeNB(210) 사이의 채널 정보 및 단말(230)과 SeNB(220) 사이의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RLC 계층(214-1 및 214-2)은 해당 PDCP 계층(212-1 및 212-2)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무선링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해 분할한다. MAC 계층(216-1 및 216-2)은 무선 자원을 단말(230)에 동적으로 할당하고, 무선 베어러 별로 협상된 QoS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QoS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SeNB(220)는 제 2 베어러에 대응하는 RLC 계층(222) 및 MAC 계층(224)을 포함할 수 있다. RLC 계층(222)은 MeNB(210)의 PDCP 계층(212-2)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을 무선링크를 통해 단말(230)로 전송하기 위해 분할하고, MAC 계층(224)은 무선 자원을 단말(230)에 동적으로 할당하고, 무선 베어러 별로 협상된 QoS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QoS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도 2b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평면의 프로토콜 스택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서, MeNB(210)와 SeNB(220)이 통상적인 기지국의 동작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매크로 셀과 소형 셀에 이중 접속 중인 상태에서 단말의 하향링크에 대한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들(320, 321, 322)은 이중 접속을 지원하는 단말로서, 각 단말들은 지리적 위치 및/혹은 매크로 셀과 소형 셀 각각으로부터의 신호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매크로 셀에만 접속하거나, 매크로 셀과 소형 셀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단말(320)은 매크로 셀 내에 속해 있으나, 소형 셀 밖에 위치해 있으므로 매크로 셀의 기지국에만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321)은 매크로 셀 내에 속해 있으면서, 소형 셀의 경계에 위치해 있으므로 매크로 셀과 소형 셀에 이중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3 단말(322)은 매크로 셀 내에 속해 있으면서, 소형 셀 내에 속해 있으므로 매크로 셀과 소형 셀에 이중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매크로 셀의 기지국인 MeNB(300)는 제 1 단말(320), 제 2 단말(321) 및 제 3 단말(322)과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송수신한다. 또한, MeNB(300)는 SeNB들(310, 312)로부터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부하(load) 정보와 채널 품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 정보는 각 SeNB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 각각의 부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정보는 SeNB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률 정보, SeNB의 버퍼 상태 정보, SeNB에 연결된 단말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품질 정보는 NeNB(300)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과 각 SeNB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 사이의 채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eNB(300)는 매크로 셀을 통해 접속 중인 단말들(320, 321, 322)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MeNB(300)는 SeNB들(310, 312)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단말들(320, 321, 32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 중인 단말들에 대한 이중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300)는 접속 중인 단말로부터 보고되는 단말과 SeNB들(310, 312) 사이의 채널 정보 및 SeNB들(310, 312) 각각의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SeNB들(310, 312)이 특정 단말에 대한 부하를 분담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SeNB(310)가 특정 단말들(321, 322)에 대한 부하를 분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말들(321, 322)이 특정 SeNB(310)에 추가적인 접속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MeNB(300)는 특정 단말이 보고한 특정 SeNB의 소형 셀 대한 수신신호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더라도, 특정 SeNB의 소형 셀의 부하가 높은 경우, 특정 단말이 특정 SeNB에 추가 접속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MeNB(300)는 특정 단말이 보고한 특정 SeNB의 소형 셀 대한 수신신호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더라도, 특정 SeNB의 소형 셀의 부하가 높은 경우, 특정 단말이 특정 SeNB에 추가 접속만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해당 SeNB로 특정 단말의 부하를 분담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MeNB(3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이중 접속 중인 SeNB(312)로부터 수신된 정보, 단말들(320, 321, 322)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각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을 기반으로, 접속 중인 단말들에 대한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분배율이란 MeNB(300)가 특정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MeNB(300)와 단말 사이의 베어러 자원과 SeNB(310)와 단말 사이의 베어러 자원의 사용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300)가 특정 단말(321)로 전송할 데이터 량을 100이라고 가정할 때, MeNB에서 단말로 직접 전송할 데이터 량을 A로 결정하고, SeNB(310)를 통해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을 (100-A)로 결정할 수 있고, 이때 자원 분배율은 "MeNB:SeNB = A : 100-A"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MeNB(300)는 제 1 단말(320)이 매크로 셀을 통해 MeNB(300)에만 접속 중이므로, SeNB들(310, 312)로 제 1 단말(310)에 대한 부하를 분담시킬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100 :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MeNB(300)는 제 2 단말(321)이 매크로 셀을 통해 MeNB(300)에 접속 중이고 소형 셀을 통해 SeNB(310)에 접속 중이므로, 제 2 단말(321)에 대한 부하를 분담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고, 제 2 단말(321)이 보고한 SeNB(310)에 대한 수신신호세기를 기반으로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50 : 5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MeNB(300)는 제 3 단말(322)이 매크로 셀을 통해 MeNB(300)에 접속 중이고 소형 셀을 통해 SeNB(310)에 접속 중이므로, 제 3 단말(322)에 대한 부하를 분담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고, 제 3 단말(322)이 보고한 SeNB(310)에 대한 수신신호세기를 기반으로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100 : 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MeNB(300)는 단말이 보고한 SeNB(310)의 수신신호세기를 기반으로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300)는 단말이 보고한 SeNB(310)의 수신신호세기가 클수록, MeNB(300)와 단말 사이의 베어러 자원보다 SeNB(310)와 단말 사이의 베어러 자원을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고, 단말이 보고한 SeNB(310)의 수신신호세기가 작을수록, MeNB(300)와 단말 사이의 베어러 자원보다 SeNB(310)와 단말 사이의 베어러 자원을 적게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에서 베어러 분할을 통해 단말의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간략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매크로 기지국이 접속 중인 하나의 단말에 대한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MeNB는 401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SeNB로부터 수신된 SeNB의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에 대한 오프로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MeNB는 해당 매크로 셀 영역과 지리적으로 중첩된 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소형 셀에 대응하는 SeNB들로부터 부하 정보를 수신하고, MeNB로 부하 정보를 전송한 SeNB들 중에서 단말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SeNB를 식별하고, 식별된 SeNB가 해당 단말에 대한 MeNB의 부하를 분담할 수 있는 상황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SeNB의 부하 정보는 SeNB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률 정보, SeNB의 버퍼 상태 정보, SeNB에 연결된 단말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SeNB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PRB 중에서 현재 SeNB에 연결 중인 단말들을 위해 사용 중인 PRB 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SeNB의 버퍼 상태 정보는 SeNB에 연결된 모든 단말들로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 량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RLC 계층의 버퍼에 저장된 하향링크 데이터 량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MeNB는 특정 SeNB가 단말에 대한 오프로드가 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403단계에서 단말이 오프로드가 가능한 특정 SeNB로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MeNB는 단말로 특정 SeNB의 소형 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SeNB의 소형 셀에 추가 접속을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MeNB의 매크로 셀에 접속 중인 상태에서 SeNB의 소형 셀에 추가 접속을 수행하여, MeNB와 SeNB에 동시에 접속한 이중 접속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MeNB는 405단계에서 단말과 SeNB 사이의 채널 정보, 단말과 MeNB 사이의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자원 사용에 대한 분배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채널 정보는 단말이 해당 기지국의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를 기반으로 측정한 신호수신 세기 및/혹은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수신 세기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 상태 정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SeNB 및 MeNB 각각에 대한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에 이용될 MeNB의 베어러 자원과 SeNB의 베어러 자원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예로, MeNB는 단말이 보고한 SeNB의 수신신호세기가 클수록, 해당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MeNB와 단말 사이의 베어러 자원보다 SeNB와 단말 사이의 베어러 자원을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eNB는 단말이 보고한 SeNB의 수신신호세기가 작을록, 해당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MeNB와 단말 사이의 베어러 자원보다 SeNB와 단말 사이의 베어러 자원을 적게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
이후, MeNB는 407단계에서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MeNB는 결정된 자원 분배율에 따라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분할하여 일부 데이터는 단말로 직접 전송하고, 나머지 데이터는 SeNB로 전달하여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eNB는 단말의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절차를 종료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에서 단말의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상세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에만 접속 중인 상태에서 매크로 기지국이 단말의 이중 접속 및 플로우를 제어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매크로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소형 기지국들로부터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기적으로 부하 정보 및 채널 정보를 보고받고, 단말로부터 단말과 매크로 기지국 사이의 채널 정보 및 단말과 소형 기지국 사이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주기적으로 보고받는 것을 가정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채널 정보로 신호수신 세기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정보(예: CQI)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MeNB는 501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수신된 SeNB 리스트에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SeNB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주기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SeNB로부터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을 수신하여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고, SeNB의 CRS에 대한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주기적으로 MeNB로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MeNB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리스트에서 제 2 임계값보다 큰 수신신호세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 2 임계값보다 큰 수신신호세기가 존재할 경우, 해당하는 SeNB를 식별한다. 만일, MeNB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리스트에서 제 2 임계값보다 큰 수신신호세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수신된 리스트에서 제 2 임계값보다 큰 수신신호세기가 존재할 때까지 주기적으로 501단계를 재수행한다. 실시 예에 따라, 단말로부터 수신된 리스트는 수신신호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SeNB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MeNB는 503단계에서 식별된 SeNB의 PRB 사용률이 임계 사용률(예: X%)보다 작거나, 혹은 식별된 SeNB에 연결된 단말의 수가 임계 개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SeNB의 PRB 사용률이 임계 사용률보다 크거나 같고, 식별된 SeNB에 연결된 단말의 수가 임계 개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MeNB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식별된 SeNB로 오프로드가 불가능함을 결정한다. 예컨대, MeNB는 SeNB의 부하가 높기 때문에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의한 부하 분담이 불가능함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MeNB는 미리 설정된 주기가 될 때까지 대기하고, 미리 설정된 주기가 되면, 5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MeNB에 대해서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SeNB의 PRB 사용률이 임계 사용률보다 작거나, 혹은 SeNB에 연결된 단말의 수가 임계 개수보다 작은 경우, MeNB는 SeNB의 오프로드가 가능함을 결정하고, 507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이 해당 SeNB에 추가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MeNB는 SeNB의 부하가 높지 않으므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의한 부하 분담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단말로 SeNB로의 추가 연결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사용률 및 임계 개수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SeNB에 추가 연결될 확률을 높이기 위해, 임계 사용률을 가능한 높은 값(예: 80%이상)으로 설정하거나, 혹은 임계 개수를 가능한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503 단계 내지 507단계에서는 식별된 SeNB의 오프로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SeNB의 PRB 사용률과 SeNB에 연결된 단말의 수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eNB의 버퍼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오프로드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후, MeNB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MeNB에서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이 제 3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컨대, 단말과 SeNB 사이의 채널 상태가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MeNB는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보고되는 리스트를 기반으로 해당 SeNB의 CRS에 대한 단말의 신호수신 세기가 여전히 제 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MeNB는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을 제 3 임계값과 비교하여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오프로드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작거나, MeNB에서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이 제 3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MeNB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MeNB의 자원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MeNB와 SeNB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90 : 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MeNB의 자원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100 : 0"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자원 분배율 "MeNB:SeNB = 90 : 1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작거나, MeNB에서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이 제 3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도록 결정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MeNB는 511단계에서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됨을 나타내는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MeNB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11단계에서 MeNB의 자원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SeNB로 전송하지 않고, 직접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511단계에서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90 : 10"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중에서 90%의 데이터는 직접 단말로 전송하고, 10%의 데이터는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10%의 데이터는 SeNB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반면,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고, MeNB에서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이 제 3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513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부터 보고된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519단계로 진행하여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크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eNB는 523단계로 진행하여 MeNB와 SeNB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70 : 3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크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eN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 개의 단말 위치들(720 내지 723) 중에서 단말이 SeNB1(710)의 셀 경계 영역에는 가까우나 매크로 셀의 경계 영역에서는 먼 위치(722)인 것으로 추정하여, MeNB의 자원을 S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70 : 3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분배율 "MeNB:SeNB = 70 : 30"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도록 결정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MeNB는 523단계에서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됨을 나타내는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MeNB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23단계에서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70 : 30"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중에서 70%의 데이터는 직접 단말로 전송하고, 30%의 데이터는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30%의 데이터는 SeNB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반면,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크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521단계로 진행하여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거나, MeNB와 SeNB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10 : 9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크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 개의 단말 위치들(720 내지 723) 중에서 단말이 SeNB1(710)의 셀 중심에 가까운 위치(720)인 것으로 추정하여, SeNB의 자원을 M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10 : 9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분배율 "MeNB:SeNB = 10 : 90"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SeNB의 자원이 MeNB의 자원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도록 결정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MeNB는 521단계에서 SeNB의 자원이 M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됨을 나타내는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eNB가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도록 결정하는 것은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0 :100"임을 의미할 수 있다. 후, MeNB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21계에서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10: 90"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중에서 10%의 데이터는 직접 단말로 전송하고, 90%의 데이터는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90%의 데이터는 SeNB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521단계에서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도록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 직접 전송하지 않고,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는 모두 SeNB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MeNB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521단계로 진행하여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거나, MeNB와 SeNB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10 : 9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 개의 단말 위치들(720 내지 723) 중에서 단말이 SeNB2(710)의 셀 중심에 가까운 위치(721)인 것으로 추정하여, SeNB의 자원을 M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10 : 9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분배율 "MeNB:SeNB = 10 : 90"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SeNB의 자원이 MeNB의 자원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도록 결정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MeNB는 521단계에서 SeNB의 자원이 M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됨을 나타내는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eNB가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도록 결정하는 것은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0 :100"임을 의미할 수 있다. 후, MeNB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21계에서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10: 90"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중에서 10%의 데이터는 직접 단말로 전송하고, 90%의 데이터는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90%의 데이터는 SeNB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521단계에서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도록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 직접 전송하지 않고,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는 모두 SeNB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eNB는 517단계로 진행하여 MeNB와 SeNB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70-β1 : 30+β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eN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 개의 단말 위치들(720 내지 723) 중에서 단말이 SeNB2(712)의 셀 경계 영역에는 가까우면서, 매크로 셀의 경계 영역에도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723)인 것으로 추정하여, MeNB의 자원을 S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70-β1: 30+β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β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 위치 중에서 723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 단말이 722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 단말보다 상대적으로 MeNB의 자원을 적게 이용하고, 상대적으로 SeNB의 자원을 많이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값이다. 여기서, 자원 분배율 "MeNB:SeNB = 70-β1: 30+β1"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도록 결정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MeNB는 523단계에서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됨을 나타내는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MeNB는 525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23단계에서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70-β1: 30+β1"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중에서 70-β1%의 데이터는 직접 단말로 전송하고, 30+β1%의 데이터는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30+β1%의 데이터는 SeNB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eNB는 단말의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절차를 종료한다. 예를 들어, MeNB는 단말이 이중 접속 중인 상태인 경우, 525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하기에 설명되는 도 6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에서 단말의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상세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에 이중 접속을 수행한 상태에서 매크로 기지국이 단말의 플로우를 제어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매크로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소형 기지국들로부터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기적으로 부하 정보 및 채널 정보를 보고받고, 단말로부터 단말과 매크로 기지국 사이의 채널 정보 및 단말과 소형 기지국 사이의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목록을 주기적으로 보고받는 것을 가정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채널 정보로 신호수신 세기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정보(예: CQI)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MeNB는 601단계에서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추가 연결된 SeNB는 단말이 도 5의 실시 예에 따라 추가 접속한 SeNB를 의미한다. 단말은 추가 연결된 SeNB로부터 주기적으로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을 수신하여 수신신호세기를 측정하고, SeNB의 CRS에 대한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MeNB로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MeNB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SeNB의 CRS에 대한 수신신호세기 정보를 제 2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만일,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eNB는 단말이 SeNB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고 603단계로 진행하여 SeNB에 대한 단말의 연결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SeNB에 대한 단말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eNB가 별도의 제어 동작을 하지 않더라도 단말의 SeNB에 대한 연결이 해제될 수도 있다. MeNB는 단말이 SeNB에 대한 연결이 해제되었으므로, 단말의 이중 접속을 위해 도 5의 5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반면,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추가 연결된 SeNB의 PRB 사용률이 임계 사용률(예: X%)보다 작거나, 혹은 식별된 SeNB에 연결된 단말의 수가 임계 개수보다 작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일, SeNB의 PRB 사용률이 임계 사용률보다 크거나 같고, 식별된 SeNB에 연결된 단말의 수가 임계 개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MeNB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MeNB의 자원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MeNB와 SeNB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90 : 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MeNB의 자원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100 : 0"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자원 분배율 "MeNB:SeNB = 90 : 1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2 임계값보다 작거나, MeNB에서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이 제 3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도록 결정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MeNB는 511단계에서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됨을 나타내는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MeNB는 621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7단계에서 MeNB의 자원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SeNB로 전송하지 않고, 직접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607단계에서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90 : 10"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중에서 90%의 데이터는 직접 단말로 전송하고, 10%의 데이터는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10%의 데이터는 SeNB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반면, SeNB의 PRB 사용률이 임계 사용률보다 작거나, 혹은 SeNB에 연결된 단말의 수가 임계 개수보다 작은 경우, MeNB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부터 보고된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615단계로 진행하여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크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eNB는 619단계로 진행하여 MeNB와 SeNB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70 : 3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크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eN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 개의 단말 위치들(720 내지 723) 중에서 단말이 SeNB1(710)의 셀 경계 영역에는 가까우나 매크로 셀의 경계 영역에서는 먼 위치(722)인 것으로 추정하여, MeNB의 자원을 S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70 : 3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분배율 "MeNB:SeNB = 70 : 30"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도록 결정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MeNB는 619단계에서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됨을 나타내는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MeNB는 621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19단계에서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70 : 30"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중에서 70%의 데이터는 직접 단말로 전송하고, 30%의 데이터는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30%의 데이터는 SeNB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반면,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크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617단계로 진행하여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거나, MeNB와 SeNB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10 : 9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크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 개의 단말 위치들(720 내지 723) 중에서 단말이 SeNB1(710)의 셀 중심에 가까운 위치(720)인 것으로 추정하여, SeNB의 자원을 M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10 : 9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분배율 "MeNB:SeNB = 10 : 90"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SeNB의 자원이 MeNB의 자원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도록 결정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MeNB는 617단계에서 SeNB의 자원이 M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됨을 나타내는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eNB가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도록 결정하는 것은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0 :100"임을 의미할 수 있다. 후, MeNB는 621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17계에서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10: 90"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중에서 10%의 데이터는 직접 단말로 전송하고, 90%의 데이터는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90%의 데이터는 SeNB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617단계에서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도록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 직접 전송하지 않고,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는 모두 SeNB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MeNB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617단계로 진행하여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거나, MeNB와 SeNB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10 : 9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큰 경우, MeN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 개의 단말 위치들(720 내지 723) 중에서 단말이 SeNB2(710)의 셀 중심에 가까운 위치(721)인 것으로 추정하여, SeNB의 자원을 M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10 : 9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분배율 "MeNB:SeNB = 10 : 90"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SeNB의 자원이 MeNB의 자원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도록 결정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MeNB는 617단계에서 SeNB의 자원이 M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됨을 나타내는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MeNB가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도록 결정하는 것은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0 :100"임을 의미할 수 있다. 후, MeNB는 621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17계에서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10: 90"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중에서 10%의 데이터는 직접 단말로 전송하고, 90%의 데이터는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90%의 데이터는 SeNB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 617단계에서 SeNB의 자원만을 이용하도록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단말로 직접 전송하지 않고,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는 모두 SeNB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eNB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MeNB와 SeNB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70-β1 : 30+β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추가 연결된 SeNB에 대한 단말의 수신신호세기가 제 5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eN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 개의 단말 위치들(720 내지 723) 중에서 단말이 SeNB2(712)의 셀 경계 영역에는 가까우면서, 매크로 셀의 경계 영역에도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723)인 것으로 추정하여, MeNB의 자원을 S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70-β1: 30+β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β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 위치 중에서 723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 단말이 722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 단말보다 상대적으로 MeNB의 자원을 적게 이용하고, 상대적으로 SeNB의 자원을 많이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값이다. 여기서, 자원 분배율 "MeNB:SeNB = 70-β1: 30+β1"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말의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사용되도록 결정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MeNB는 613단계에서 MeNB의 자원이 SeNB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됨을 나타내는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MeNB는 621단계로 진행하여 결정된 자원 분배율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13단계에서 자원 분배율이 "MeNB:SeNB = 70-β1: 30+β1"으로 결정된 경우, MeNB는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중에서 70-β1%의 데이터는 직접 단말로 전송하고, 30+β1%의 데이터는 SeNB로 전달한다. 이 경우, 30+β1%의 데이터는 SeNB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eNB는 단말의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MeNB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도 6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재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a, 도 5b 및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MeNB가 이중 접속을 수행한 단말에 대해, 단말의 SeNB에 대한 수신신호세기를 제 2 임계값 및 제 5 임계값과 비교하고, 단말의 MeNB에 대한 수신신호세기를 제 4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해당 단말이 도 7의 네 위치(720 내지 723) 중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지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임계값과 △1만큼 큰 값을 갖는 임계값을 추가로 설정하여, 단말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추정하고, 정밀하게 추정된 위치를 바탕으로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eNB(810)의 신호수신 세기에 대한 임계값인 제 2 임계값과 제 5 임계값 사이에 새로운 임계값(제 2 임계값+△1)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MeNB(800)는 단말의 MeNB에 대한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크고, 단말의 SeNB(810)에 대한 수신신호가 새로운 임계값(제 2 임계값+△1)보다 크거나 같고 제 5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MeNB(800)와 SeNB(810)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50: 5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MeNB(800)는 단말의 MeNB(800)에 대한 수신신호세기가 제 4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고, 단말의 SeNB(810)에 대한 수신신호가 새로운 임계값(제 2 임계값+△1)보다 크거나 같고 제 5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MeNB(800)와 SeNB(810)의 자원 분배율을 "MeNB:SeNB = 50-β1: 50+β1"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매크로 기지국의 간략한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은 제어부(900), 송수신부(910) 및 저장부(9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단말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900)는 베어러 분할 제어부(902)를 포함함으로써, 매크로 기지국에 접속 중인 단말의 이중 접속을 제어 및 처리한다. 예를 들어, 베어러 분할 제어부(902)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 및 소형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부하 정보를 기반으로, 소형 셀로 단말의 부하를 분담시킬지 여부를 결정한다. 소형 셀로 단말의 부하 분담이 결정된 경우, 베어러 분할 제어부(902)는 단말로 소형 셀의 기지국에 추가 접속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 정보는 해당 소형 기지국이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셀 각각의 부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정보는 소형 기지국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률 정보, 소형 기지국의 버퍼 상태 정보, 소형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러 분할 제어부(902)는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에 이중 접속 중인 단말에 대한 플로우를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어러 분할 제어부(902)는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에 이중 접속 중인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의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정보는 단말이 해당 기지국의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를 기반으로 측정한 신호수신 세기 및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수신 세기는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채널 상태 정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베어러 분할 제어부(902)는 해당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 량을 기반으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의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베어러 분할 제어부(902)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기지국의 자원 분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베어러 분할 제어부(902)는 결정된 자원 분배율에 따라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베어러 분할 제어부(902)는 결정된 자원 분배율에 따라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중 일부 데이터는 매크로 기지국에서 단말로 직접 전송되고, 나머지 데이터는 소형 기지국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베어러 분할 제어부(902)는 결정된 자원 분배율에 따라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체를 매크로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하거나, 단말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체를 소형 기지국으로 전달하여, 소형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송수신부(910)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송수신부(91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수의 부호화기, 다수의 변조기, 다수의 부반송파 매핑기, 다수의 변조기 및 다수의 RF 송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910)는 X2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소형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920)는 기지국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9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상태 정보, 소형 기지국의 부하 정보,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 량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은 단일의 제어부에 의해 그 동작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단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이나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기지국 또는 릴레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서로 다른 셀 크기를 갖는 기지국이 공존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의 부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의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 중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기지국에 액세스 중인 단말이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마스터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제1 채널 상태 정보, 및 상기 단말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 사이의 제2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채널 상태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마스터 기지국이 전송할 제1 데이터 량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이 전송할 제2 데이터 량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1 데이터 량에 기초한 제1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이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 량에 기초한 제2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게 송신하도록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과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에 대한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자원 분배율에 따라 상기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원 분배율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에 대한 부하 정보 중에서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부하 정보, 및 상기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상태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마스터 기지국 또는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를 기반으로 측정된 신호수신 세기 및 채널 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부하 정보는,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 사용률,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의 수, 및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버퍼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과의 채널 상태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에서 자원 사용률이 임계 사용률보다 작은 기지국을 상기 단말에 대한 부하 분담이 가능한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과의 채널 상태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에서 연결된 단말의 수가 임계 개수보다 작은 기지국을 상기 단말에 대한 부하 분담이 가능한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식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과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의 분배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신호수신 세기를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1 임계값보다 크고 제 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을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보다 클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을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상기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1 임계값보다 크고 제 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을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마스터 기지국의 수신신호 세기를 제 3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마스터 기지국의 수신신호 세기가 제 3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대한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 사용률이 상기 마스터 기지국의 수신신호 세기가 제 3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대한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 사용률보다 크도록 상기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과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의 분배율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마스터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을 제 4 임계값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이 제 4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만을 사용하도록 상기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서로 다른 셀 크기를 갖는 기지국이 공존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마스터 기지국의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부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의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 중에서 세컨더리 기지국을 결정하고,
    상기 마스터 기지국에 액세스 중인 단말이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에 상기 단말이 접속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마스터 기지국과 상기 단말 사이의 제1 채널 상태 정보와 상기 단말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 사이의 제2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채널 상태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마스터 기지국이 전송할 제1 데이터 량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이 전송할 제2 데이터 량을 결정하고,
    상기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1 데이터 량에 기초한 제1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이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 량에 기초한 제2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게 송신하도록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을 제어하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과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에 대한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자원 분배율에 따라 상기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과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자원 분배율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지국에 대한 부하 정보 중에서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부하 정보, 및 상기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상태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상태 정보는,
    상기 마스터 기지국 또는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를 기반으로 측정된 신호수신 세기 및 채널 품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부하 정보는,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 사용률,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에 연결된 단말의 수, 및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버퍼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제2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과의 채널 상태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에서 자원 사용률이 임계 사용률보다 작은 기지국을 상기 단말에 대한 부하 분담이 가능한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식별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제2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과의 채널 상태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중에서 연결된 단말의 수가 임계 개수보다 작은 기지국을 상기 단말에 대한 부하 분담이 가능한 세컨더리 기지국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된 장치.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신호수신 세기를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1 임계값보다 크고 제 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을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고, 상기 세컨더리 기지국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1 임계값 및 제 2 임계값보다 클 경우, 세컨더리 기지국의 자원을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상기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19. 청구항 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세컨더리 기지국의 신호수신 세기가 제 1 임계값보다 크고 제 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마스터 기지국의 수신신호 세기를 제 3 임계값과 비교하고, 마스터 기지국의 수신신호 세기가 제 3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대한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 사용률이 상기 마스터 기지국의 수신신호 세기가 제 3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대한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 사용률보다 크도록 상기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20.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을 제 4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마스터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량이 제 4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마스터 기지국의 자원만을 사용하도록 상기 자원 분배율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 장치.
KR1020140094808A 2014-07-25 2014-07-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209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808A KR102209738B1 (ko) 2014-07-25 2014-07-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328,831 US10149170B2 (en) 2014-07-25 2015-07-2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daptive fl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5/007713 WO2016013899A1 (ko) 2014-07-25 2015-07-24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
EP15824551.4A EP3174327B1 (en) 2014-07-25 2015-07-2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daptive flow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808A KR102209738B1 (ko) 2014-07-25 2014-07-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736A KR20160012736A (ko) 2016-02-03
KR102209738B1 true KR102209738B1 (ko) 2021-01-29

Family

ID=5516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808A KR102209738B1 (ko) 2014-07-25 2014-07-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49170B2 (ko)
EP (1) EP3174327B1 (ko)
KR (1) KR102209738B1 (ko)
WO (1) WO2016013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356B1 (ko) * 2016-03-17 2018-12-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형셀 운용 방법 및 소형셀 기지국 및 마크로셀 기지국 및 단말
US10111206B2 (en) 2016-05-09 2018-10-23 Cisco Technology, Inc. Directing client devices between co-located macro and micro wireless cells
CN109075898B (zh) * 2016-05-12 2021-07-0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Mbms承载质量评估
CN109151891B (zh) 2017-06-15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处理方法和通信装置
BR112020009742A2 (pt) * 2018-09-18 2020-11-03 Ericsson Telecomunicações S.A. métodos, unidade de divisão de dados, unidade de coleta de dados para controlar a transmissão de dados através de duas conexões, meio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e portadora
CN109362087B (zh) * 2018-11-05 2020-08-04 北京邮电大学 基于异构云无线接入网络的流量卸载协作方法及***
KR102111130B1 (ko) * 2019-02-13 2020-05-14 국방과학연구소 이중 연결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999883B1 (en) 2019-06-04 2021-05-04 Sprint Spectrum L.P. Use of uplink power headroom as a basis to control configuration of dual-connectivity service
US10873986B1 (en) 2019-06-04 2020-12-22 Sprint Spectrum L.P. Use of buffer occupancy as a basis to control configuration of dual-connectivity service
US10873987B1 (en) 2019-06-04 2020-12-22 Sprint Spectrum L.P. Use of uplink noise as a basis to control configuration of dual-connectivity service
CN110557784B (zh) * 2019-08-06 2022-10-2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负载控制方法及装置
US11026282B1 (en) 2019-08-23 2021-06-01 Sprint Spectrum L.P. Use of secondary-node beamwidth as basis to control whether to use blind addition or rather threshold-based addition when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US10659978B1 (en) * 2019-08-23 2020-05-19 Sprint Spectrum L.P. Use of UE type as basis to control whether to use blind addition or rather threshold-based addition when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US11889345B2 (en) * 2020-05-15 2024-01-30 EXFO Solutions SAS Event-based load balancing in 4G-5G multi-radio dual connectivity
US11477832B2 (en) 2020-06-11 2022-10-18 T-Mobile Usa, Inc. Battery management using selective EN-DC enablement
US11290914B1 (en) 2020-09-14 2022-03-29 T-Mobile Usa, Inc. Dual connectivity control based on downlink data at a 4G base station
US11096096B1 (en) * 2020-09-14 2021-08-17 T-Mobile Usa, Inc. Dual connectivity control based on downlink data at a 5G base station
US11265943B1 (en) 2020-10-13 2022-03-01 Sprint Spectrum L.P. Use of fading as basis to control whether to use blind addition or rather threshold-based addition when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EP4320917A1 (en) * 2021-04-07 2024-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radio network nodes for handling commun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4640A1 (en) * 2012-03-14 2013-09-19 Fujitsu Limited Multiple time advance for radio acc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0899A (en) * 1985-05-31 1987-06-02 Northern Telecom Limited Load balancing for cellular radiotelephone system
EP2351422B1 (en) * 2008-05-22 2012-08-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r- plmn handover in a shared radio network
US8599784B2 (en) 2009-06-30 2013-12-03 Lg Electronics Inc. Femto base station and method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 thereof
CN102165802B (zh) * 2009-06-30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电信方法和设备
JP2011250211A (ja) * 2010-05-27 2011-12-08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3005105A2 (en) 2011-07-07 2013-01-10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a small cell in a heterogonous communication network
WO2013112082A1 (en) 2012-01-26 2013-08-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network node, a low power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s therein for controlling resource distribution
KR101949890B1 (ko) * 2012-04-02 2019-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814075B2 (en) 2012-05-09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185620B2 (en) * 2012-05-30 2015-11-10 Intel Corporation Adaptive UL-DL configurations in a TDD heterogeneous network
KR20140033657A (ko) 2012-09-10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기지국 간 협력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66291B1 (ko) 2012-09-10 2019-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기지국과 소형 셀 기지국 간 자원 관리 장치 및 방법
US9876539B2 (en) * 2014-06-16 2018-01-23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e load balancing across wireless heterogeneous MIMO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4640A1 (en) * 2012-03-14 2013-09-19 Fujitsu Limited Multiple time advance for radio acc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3899A1 (ko) 2016-01-28
US10149170B2 (en) 2018-12-04
EP3174327A1 (en) 2017-05-31
EP3174327B1 (en) 2020-05-27
EP3174327A4 (en) 2018-03-21
KR20160012736A (ko) 2016-02-03
US20170215076A1 (en)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73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적응적 플로우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812396B2 (en) Buffer status report and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for dual connectivity
US104125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communication of carrier aggregation between base stations
RU2714104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диапазона частот в активно используемом диапазоне частот
JP7043506B2 (ja) ロングタームエボリューション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マルチテクノロジアグリゲーションアーキテクチャ
US99678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using small data radio bearers
US9444605B2 (en) Base station
US20190098606A1 (en) Uplink selection for wireless network based on network based on network cell weight and linkspecific weight for wireless links
US9288694B2 (en) Partial failure handling of bearer mapping in dual connectivity
US105120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75699B2 (en) Dynamic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SCe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420103B2 (en) Uplink inter-site carrier aggregation based on UE transmission power and secondary cell load
US975002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mobil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0015814B2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10249072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결합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1045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eliminating inter-system neighbor cell interference
US989384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carrier aggregation between digital unit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in the same
WO2016082201A1 (zh) 一种多个单位载波的分配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20180288791A1 (en) User equipment assisted coordination for scheduled wireless transmissions
US202302923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restri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