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574B1 - 자재 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재 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574B1
KR102208574B1 KR1020190111148A KR20190111148A KR102208574B1 KR 102208574 B1 KR102208574 B1 KR 102208574B1 KR 1020190111148 A KR1020190111148 A KR 1020190111148A KR 20190111148 A KR20190111148 A KR 20190111148A KR 102208574 B1 KR102208574 B1 KR 102208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fastening
horizontal
cutting device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식
Original Assignee
신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식 filed Critical 신동식
Priority to KR1020190111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4Devices for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자공 시스템은, 자재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호이스트; 및 상기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된 자재를 절삭 가공하는 절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재 가공 시스템 {System for fabricating materials}
본 발명은 자재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를 절단가공하는 과정에서 공정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종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및 건축 현장에서는 기초, 기둥, 벽, 보, 슬래브 등과 같은 부재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길이를 가진 자재가 대량으로 사용된다.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재는 대량으로 사용되며 가공되고 조립될 때 버려지는 양도 상당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사용길이 및 사용량에 맞게 자재를 효율적으로 절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자재 가공 시스템은 자재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과, 이송 수단에 의해 이송된 자재를 절단하는 가공 수단이 별도로 작동하여 작업자가 이송 수단에 의해 대략적으로 이송된 자재를 가공 수단에 정밀하게 이송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지연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 시간 및 결과물이 달라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797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4453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자재를 이송하는 호이스트를 정밀하게 구동하여 호이스트에 이송되는 자재가 절단 장치의 정확인 위치까지 이송되도록 하고, 절단 장치는 이송된 자재를 견고하게 파지하여 절단함으로써 작업자의 개입 없이 자동화된 가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자재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가공 시스템은, 자재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호이스트; 및 상기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된 자재를 절삭 가공하는 절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이스트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레일부가 형성된 주행레일;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 및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어 자재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는, 좌우 측면판과, 상기 좌우 측면판 각각의 전후단에서 수평하게 절곡되어 좌우 측면판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는 휠지지판을 포함하는 본체프레임; 상기 휠지지판 사이의 좌우 측면판 각각에 전후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좌우 수평레일부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4개의 상부주행휠과, 상기 일정간격 이격된 2개의 상부주행휠 사이의 중간위치 하측에서 좌우 측면판에 각각 설치되어 좌우 수평레일부의 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2개의 하부 주행휠을 포함하는 주행휠; 상기 휠지지판에 설치되어 좌우 수평레일부의 수직측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면서 주행휠의 직진 이동을 가이드하는 4개의 가이드휠;을 포함하며,
상기 4개의 상부주행휠과 2개의 하부주행휠은 좌우 측면판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수평축볼트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되, 상기 수평축볼트의 단부에는 체결의 해제시 렌치가 끼워져 수평축볼트를 구속할 수 있게 하는 렌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4개의 가이드휠은 상기 휠지지판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수직축볼트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되, 주행레일의 직진도에 따라 4개의 가이드휠과 수직측면 상호간의 간격조정이 가능하도록 수직축볼트가 체결되는 휠지지판에는 주행레일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축장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재 가공 시스템은,
상기 절단 장치의 양 측에 구비되어 상기 호이스트에 이송된 자재를 상기 절단 장치가 배치된 위치까지 이송하는 이송 장치; 및 상기 호이스트, 상기 절단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장치는 이송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이송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장치의 상부에는 이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 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절단 장치 방향으로 이송되는 자재의 이송을 제어하거나 상기 절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절단 공정 과정에서 자재를 파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이스트의 위치를 실시간 측정하여 상기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자재의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절단 장치의 절단 공정 진행 여부에 따라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실시간 제어하고, 상기 절단 장치가 절단 공정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체결 유닛이 상기 이송 장치에 체결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이송 장치에 안착된 자재가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해 고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절단 장치가 절단 공정이 종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체결 유닛의 체결을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해제시켜 상기 이송 장치에 안착된 자재가 상기 절단 장치쪽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절단 장치가 절단 공정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상기 이송 장치에 다음 절단 공정에 사용되는 자재가 안착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호이스트의 구동이 일시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투입구로 투입되는 다단으로 적재된종이를 견고하게 파지한 상태로 정확하게 투입구까지 이송시킬 수 있어 종이 절단 공정의 신뢰성을 향상실 수 있으며, 종이를 파지하는 한 쌍의 벽체간의 회전 각도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회전 각도를 보정함으로써 종래의 수동 검사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가공 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이 가공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선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종이 가공 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선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의 높이조절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가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가공 시스템(1)은 호이스트(1000), 이송 장치(2000) 및 절단 장치(3000)를 포함할 수 있다.
호이스트는 주행레일(200), 트롤리(100) 및 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트롤리(100)는 주행레일(2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트롤리(100)가 설치되는 상기 주행레일(200)은 천정 또는 공중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시된 것처럼 H형 또는 I형 단면구조를 갖는 빔으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상기 주행레일(200)은 중앙의 수직부(220)를 기준으로 하여 하부 좌우측에 본 발명의 트롤리(100)가 주행하게 되는 수평레일부(210)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주행레일(200)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트롤리(100)는 도 2 및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체프레임(10)과, 주행휠(20)과, 가이드휠(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트롤리(100)의 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주행레일(200)의 양쪽으로 이격되면서 수직으로 배치되는 좌우 측면판(11)과, 상기 좌우 측면판(11) 각각의 하단부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하부판(12)과, 상기 좌우 측면판(11) 각각의 전후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휠지지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 측면판(11)에는 축공과 축장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축공에는 후술하는 상부주행휠(20a)이 설치되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축장공에는 후술하는 하부주행휠(20b)이 위치조정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휠지지판(13)에도 축장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축장공은 상기 주행레일(200)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축장공에는 후술하는 가이드휠(30)이 위치조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주행휠(20)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내부 좌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레일(200)의 좌우 수평레일부(210)를 따라 주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주행휠(20)은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수평축볼트(21)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주행휠(20)이 결합된 수평축볼트(21)가 상기 좌우 측면판(11)에 형성된 축공(15)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주행휠(20)이 좌우 측면판(11)에 설치된다.
여기서, 트롤리(100)가 주행레일(20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에서는,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한 주행휠(20)의 수평축볼트(21)가 측면판(11)의 내측에 위치됨과 함께 주행레일(200)의 수직부(220)와 대면하게 되므로 공구로 수평축볼트(21)를 구속시킬만한 작업공간이 제한되어 수평축볼트(21)의 체결을 해제하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트롤리(100)의 설치 및 사용상태에서 주행휠(20)의 손상이나 파손에 따라 교체가 필요한 경우 교체대상 주행휠(20)만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트롤리(100) 자체를 주행레일(200)로부터 분리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주행휠(20)만을 용이하게 분리시켜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평축볼트(21)의 단부에 렌치가 삽입될 수 있는 렌치홈(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주행휠(20)은 구름운동이 이루어지는 좌우 수평레일부(210)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에 따라, 수평레일부(210)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상부주행휠(20a)과, 수평레일부(210)의 저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는 하부주행휠(20b)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상부주행휠(20a)은 트롤리(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수평레일부(210)의 상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게되고, 하부주행휠(20b)은 수평레일부(210)의 저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함으로써 트롤리(100)에 편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본체프레임(10)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주행휠(20a)과 하부주행휠(20b)은 각각 수평레일부(210)의 상면과 저면에 접촉되므로, 본 발명의 트롤리(100)가 설치되는 주행레일(200)의 수평레일부(210) 두께가 상이해지는 경우 상부주행휠(20a)과 하부주행휠(20b)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 전술한 것처럼 좌우 측면판(11)에는 수직방향으로 축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주행휠(20b)은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수평축볼트(21)가 상기 축장공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수평레일부(210)의 두께에 따라 상하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상부주행휠(20a)은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안정적인 주행을 위해 본체프레임([0040] 10)의 전후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하부주행휠(20b)은 상기 상부주행휠(20a)의 사이 중간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부주행휠(20a)과 하부주행휠(20b)의 갯수나 배치형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계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휠(30)은 상기 좌우 수평레일부(210)의 수직측면(211)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면서 상기 주행휠(20)이 좌우 수평레일부(210)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똑바로 직진 이동이 되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가이드휠(30)은 본체프레임(10)의 전후단 좌우측, 즉 본체프레임(10)의 후단 좌우측에 수평하게 형성된 상기 휠지지판(13)에 설치되며, 그에 따라 본체프레임(10)에는 네 개의 가이드휠(3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휠(30)은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수직축볼트(31)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휠(30)이 결합된 상기 수직축볼트(31)가 상기 휠지지판(13)에 형성된 축장공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휠(30)은 휠지지판(13)의 상부에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상기 가이드휠(30)이 축장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상기 가이드휠(30)은 축장공을 관통하는 수직축볼트(31)의 위치를 조정하여 체결함으로써, 주행레일(200)의 직진도에 따라 가이드휠(30)과 수평레일부(210)의 수직측면(211) 상호간의 간격을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100)의 작용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행레일(200)에 설치된 트롤리(100)의 본체프레임(10)에는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권상기(300)나 또는 도 7의 (b)에 예시된 것처럼 호이스트크레인의 거더(400)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렇게 권상기(300), 거더(400) 등이 결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트롤리(100)는 주행휠(20)의 구름운동을 통해 주행레일(200)을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주행휠(20)은 상부주행휠(20a)과 하부주행휠(20b)로 구성되어 수평레일부(210)의 상면과 저면을 따라 구름운동이 되므로 트롤리(100)에 편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전도될 위험없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행휠(20)의 주행시 수평레일부(210)의 수직측면(211)을 따라 전후좌우 4개의 가이드휠(30)이 구름운동을 하면서 직진 주행을 가이드하게 되므로 마찰의 발생없이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전술한 것처럼 주행레일(200)은 완벽한 직진도를 갖지 못하며 대개 1mm 정도의 범위 내에서 미세하게 휘어져 있게 되는데, 본체프레임(10)의 전후 좌우에 설치된 가이드휠(30)은 축장공에서의 설치위치 조정이 가능하므로, 주행레일(200)의 직진도에 따라 가이드휠(30)의 위치, 즉 가이드휠(30)과 수평레일부(210)의 수직측면(211) 상호간의 간극을 주행레일(200)의 직진도 오차에 대응되도록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끼임 현상 등의 발생없이 원활한 직진 주행이 가능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트롤리는 주행레일의 수직측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가이드휠과 하부주행휠을 통해 원활하고 안정적인 직진 주행이 가능하게 되고, 교체가 필요한 주행휠만을 간편하게 분리 교체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삭제
삭제
자재 가공 시스템은, 절단 장치의 양 측에 구비되어 호이스트에 이송된 자재를 절단 장치가 배치된 위치까지 이송하는 이송 장치; 및 호이스트, 절단 장치 및 이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
이송 장치는 이송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이송 롤러가 설치되고, 이송 장치의 상부에는 이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 유닛이 설치되어 절단 장치 방향으로 이송되는 자재의 이송을 제어하거나 절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절단 공정 과정에서 자재를 파지하고,
제어부는, 호이스트의 위치를 실시간 측정하여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자재의 위치를 추정하고, 절단 장치의 절단 공정 진행 여부에 따라 이송 롤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실시간 제어하고, 절단 장치가 절단 공정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체결 유닛이 이송 장치에 체결되도록 제어하여 이송 장치에 안착된 자재가 체결 유닛에 의해 고정되도록 제어하고, 절단 장치가 절단 공정이 종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체결 유닛의 체결을 이송 장치로부터 해제시켜 이송 장치에 안착된 자재가 절단 장치쪽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절단 장치가 절단 공정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상기 이송 장치에 다음 절단 공정에 사용되는 자재가 안착된 것으로 확인되면 호이스트의 구동이 일시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 장치는 이송 레일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부(5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삭제
삭제
도 5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500)는, 상부 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2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5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벽체(233)측에 설치되며, 하부 프레임(520)의 안착홈(530)에 다단으로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510)은, 상부 본체(511), 체결 돌기(512) 및 걸림턱(513)을 포함한다.
상부 본체(51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홈(530)에 삽입되며,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체결 돌기(512)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부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513)이 연장 형성된다.
체결 돌기(512)는, 상부 본체(51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안착홈(530)의 벽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부 본체(511)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걸림턱(513)은, 상부 본체(511)가 안착홈(530)을 따라 하강하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도 8의 (c)의 경우) 상부 본체(511)의 상부 외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520)은, 수평 프레임(25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부 프레임(5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510)의 하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530)이 상부에 형성하며,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착홈(530)에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510)의 삽입 깊이가 다단(도 8의 (a), (b) 또는 (c)의 경우)으로 조절된다.
도 6은 도 5의 하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520)은, 수직 통로(521), 제1 수평 통로(522), 제1 체결 통로(523), 제2 수평 통로(524) 및 제2 체결 통로(525)를 포함한다.
수직 통로(521)는, 체결 돌기(512)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착홈(530)의 벽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제1 수평 통로(522)가 연장 형성되며,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제2 수평 통로(524)가 연장 형성된다.
제1 수평 통로(522)는, 체결 돌기(512)가 수직 통로(521)를 따라 하강하다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521)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제1 체결 통로(523)가 연장 형성된다.
제1 체결 통로(523)는, 체결 돌기(5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522)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 통로(523)는, 하강 통로(5231), 체결구(5232) 및 탄성 지지판(5235)을 포함한다.
하강 통로(5231)는, 제1 수평 통로(522)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던 체결 돌기(512)가 하강된 후 하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522)의 말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체결구(5232)는, 하강 통로(5231)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5233)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5231)로 노출된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설치홈(52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설치홈(5233)에 삽입된 후단이 탄성체(5234)에 의해 지지되어 체결 돌기(512)가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 탄성체(5234) 방향으로 이동된 후(도 7의 (a)의 경우) 체결 돌기(512)가 경사면을 통과하여 하강 통로(5231)의 하측 공간에 안착되면 탄성체(5234)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이 설치홈(5233)으로부터 다시 노출되어 전단 하측면으로 체결 돌기(512)의 상측을 체결(도 7의 (b)의 경우)한다.
탄성 지지판(5235)은, 하강 통로(5231)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5231)의 하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탄성체(5236)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체결 돌기(51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수평 통로(524)는, 체결 돌기(51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521)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체결 통로(525)는, 체결 돌기(5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수평 통로(524)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수평 통로(524)와 제2 체결 통로(525)는, 제1 수평 통로(522)와 제1 체결 통로(52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체결 돌기(512)가 제1 체결 통로(523)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가 t1이 되고, 체결 돌기(512)가 제2 체결 통로(525)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가 t2이 됨에 따라 지지 높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자재 가공 시스템
1000: 호이스트
2000: 이송 장치
3000: 절단 장치

Claims (2)

  1. 자재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호이스트;
    상기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된 자재를 절삭 가공하는 절단 장치;
    상기 절단 장치의 양 측에 구비되어 상기 호이스트에 이송된 자재를 상기 절단 장치가 배치된 위치까지 이송하는 이송 장치; 및
    상기 호이스트, 상기 절단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장치는 이송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이송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 장치의 상부에는 이송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체결 유닛이 설치되어 상기 절단 장치 방향으로 이송되는 자재의 이송을 제어하거나 상기 절단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절단 공정 과정에서 자재를 파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이스트의 위치를 실시간 측정하여 상기 호이스트에 의해 이송되는 자재의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절단 장치의 절단 공정 진행 여부에 따라 상기 이송 롤러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실시간 제어하고, 상기 절단 장치가 절단 공정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체결 유닛이 상기 이송 장치에 체결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이송 장치에 안착된 자재가 상기 체결 유닛에 의해 고정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절단 장치가 절단 공정이 종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체결 유닛의 체결을 상기 이송 장치로부터 해제시켜 상기 이송 장치에 안착된 자재가 상기 절단 장치쪽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절단 장치가 절단 공정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상기 이송 장치에 다음 절단 공정에 사용되는 자재가 안착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호이스트의 구동이 일시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이송 레일의 높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이 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부 본체, 체결 돌기 및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본체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홈에 삽입되며,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체결 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부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안착홈의 벽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상부 본체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체결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안착홈을 따라 하강하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 외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은, 수직 통로, 제1 수평 통로, 제1 체결 통로, 제2 수평 통로 및 제2 체결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통로는, 상기 체결 돌기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착홈의 벽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 수평 통로가 연장 형성되며,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2 수평 통로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수평 통로는, 상기 체결 돌기가 상기 수직 통로를 따라 하강하다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체결 통로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통로는, 체결 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강 통로, 체결구 및 탄성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강 통로는, 상기 제1 수평 통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던 체결 돌기가 하강된 후 하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의 말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하강 통로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로 노출된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설치홈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설치홈에 삽입된 후단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 체결 돌기가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 탄성체 방향으로 이동된 후 체결 돌기가 경사면을 통과하여 하강 통로의 하측 공간에 안착되면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이 설치홈으로부터 다시 노출되어 전단 하측면으로 체결 돌기의 상측에 체결되고,
    상기 탄성 지지판은, 하강 통로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의 하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탄성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체결 돌기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며,
    상기 제2 수평 통로는, 체결 돌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자재 가공 시스템.
  2. 삭제
KR1020190111148A 2019-09-08 2019-09-08 자재 가공 시스템 KR102208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148A KR102208574B1 (ko) 2019-09-08 2019-09-08 자재 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148A KR102208574B1 (ko) 2019-09-08 2019-09-08 자재 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574B1 true KR102208574B1 (ko) 2021-01-29

Family

ID=7423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148A KR102208574B1 (ko) 2019-09-08 2019-09-08 자재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5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7563A (ja) * 1987-05-19 1988-11-24 三洋電機株式会社 文書裁断機
KR20020066765A (ko) * 2001-02-13 2002-08-21 이익규 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KR101587974B1 (ko) 2015-06-18 2016-01-22 윤태엽 원자재 절단 플랜 시스템
KR101641908B1 (ko) * 2015-08-10 2016-07-22 주식회사 토시스 트롤리
KR101844532B1 (ko) 2017-12-01 2018-04-02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절단가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7563A (ja) * 1987-05-19 1988-11-24 三洋電機株式会社 文書裁断機
KR20020066765A (ko) * 2001-02-13 2002-08-21 이익규 경계석 절단가공시스템
KR101587974B1 (ko) 2015-06-18 2016-01-22 윤태엽 원자재 절단 플랜 시스템
KR101641908B1 (ko) * 2015-08-10 2016-07-22 주식회사 토시스 트롤리
KR101844532B1 (ko) 2017-12-01 2018-04-02 주식회사 신진에스엠 절단가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00564A (ja) 床版架け替え装置及び方法
US10494188B2 (en) Pallet transport device
JP2017218865A (ja) 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およびプレキャスト床版取替位置におけるプレキャスト床版架設機の移動方法
JP7045936B2 (ja) 床版架設機における吊具ユニット
KR102208574B1 (ko) 자재 가공 시스템
CN109179121B (zh) 一种用于施工升降机吊笼的调试装置
JPH09142614A (ja) 保管移送装置
AU778461B2 (en) Oxygen cutting of slabs
WO2006060862A1 (en) Roller support frame
KR102347609B1 (ko) 자동 연속 구동식 철근가공물 카트 시스템
JP2020093896A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JP6721997B2 (ja) 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用治具及び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方法
KR102077243B1 (ko) 자재 이송 시스템
US201300489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and lowering objects
JP6886872B2 (ja) 資材搬送装置、資材搬送方法
KR101613646B1 (ko) 압연용 롤의 슬리브 결합장치
KR20210041923A (ko) 복귀 장치 및 방법
JP6139146B2 (ja) トンネル用のプレキャスト板の設置方法
US20230033763A1 (en) Electric cutting machine
JP6911880B2 (ja) マンコンベア、マンコンベアの製造方法
KR102294759B1 (ko) 슬라브 이송 캐리지의 트랙 탈선 방지장치
JP7295560B2 (ja) 運搬装置、運搬装置の使用方法、及び、運搬方法
JP5972424B1 (ja) 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加熱炉の製造方法
JPS61140416A (ja) 移載装置
SU98684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ировани пакета прока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