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499B1 -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499B1
KR102207499B1 KR1020190016030A KR20190016030A KR102207499B1 KR 102207499 B1 KR102207499 B1 KR 102207499B1 KR 1020190016030 A KR1020190016030 A KR 1020190016030A KR 20190016030 A KR20190016030 A KR 20190016030A KR 102207499 B1 KR102207499 B1 KR 102207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signal
parameter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205A (ko
Inventor
조제훈
이영준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1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74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제2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단말에서 제2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를 측정하는 단계;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제1 조건 및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관련된 제2 조건에 기초하여,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어 신호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ATH OF UPLINK SIGNAL TRANSMITTED FROM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아래 실시예들은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5G 통신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5G 통신의 공식 명칭은 IMT-2020으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의한 5세대 통신 규격이다. 산업표준기구인 3GPP에서는 2019년 완료된 표준 내용을 ITU-R에 제안하여 IMT-2020의 최종 승인을 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ITU에서는 5G 통신의 특징을 크게 세 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5G 통신의 첫 번째 주요 특징은 '초고속(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이다. 예를 들어, 5G 통신에서는 최대 20G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5G 통신의 두 번째 주요 특징은 '초저지연(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이다. 예를 들어, 5G 통신에서는 응답 속도를 0.25ms까지 낮출 수 있다. 5G 통신의 세 번째 주요 특징은 '초연결(Massive Machin Type Communication, M-MTC)'이다. 예를 들어, 5G 통신에서는 최대 100만개/km 2의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다.
3GPP에서는 IMT-2020 규격을 진행하는 중간 단계로써, 비단독모드(Non-Standalone, NSA)를 추가하였다. 비단독모드는 4G 코어 네트워크에 5G 액세스망 장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로서, 5G 망을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4G망을 함께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비단독모드는 5G 상용화 초기 단계에서 네트워크가 충분히 구축되지 않았을 때 4G(LTE) 망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데이터의 끊김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제1 조건 및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관련된 제2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과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상이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각각 업링크 속도, 다운링크 속도, 및 지연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지국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5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경로는 상기 제1 기지국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하는 제1 구간, 상기 제2 기지국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하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하는 제3 구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과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관련된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 내 상기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를 상기 제1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1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2 기준값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 내 상기 필드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2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상기 제1 기준값 초과이고 상기 제2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비가 제3 기준값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 내 상기 필드를 상기 제2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비가 상기 제3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 내 상기 필드를 상기 제1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과 관련된 제1 파라미터를 최댓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와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이 상기 제1 파라미터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의 값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지 않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거나,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트리거 조건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리포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업링크 신호를 EPC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신호 및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EPC로 전송된 제1 업링크 신호는 상기 EPC에서 결합되어 목적지로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업링크 신호 및 상기 제2 업링크 신호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신호를 EPC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EPC로 전송된 상기 결합된 신호는 상기 EPC를 통하여 목적지로 전송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제1 조건 및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관련된 제2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 및 단말에서 제2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에 따른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의 생성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의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베어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을 위한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값을 조정하여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PDCP 데이터 PDU를 제1 RLC 개체 또는 제2 RLC 개체에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PDCP 데이터량과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에 기초하여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업링크 전송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단말(110), 제1 기지국(120), 제2 기지국(130), 및 EPC(Evolved Packet Core)(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0)은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태블릿 및 스마트폰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20) 및 제2 기지국(130)은 무선통신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와 단말을 연결하는 무선 통신설비일 수 있다. EPC(140)는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IMS(IP Multimedia Subsystem) 또는 다른 네트워크로 신호를 전송하는 코어 네트워크 구조일 수 있다.
제1 기지국(120)의 특성과 제2 기지국(130)의 특성은 상이할 수 있으며, 제1 기지국(120)의 특성과 제2 기지국(130)의 특성은 업링크 속도, 다운링크 속도, 및 지연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120)은 4G 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2 기지국(130)은 5G 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제2 기지국(130)의 업링크 속도 및/또는 다운링크 속도는 제1 기지국(120)의 업링크 속도 및/또는 다운링크 속도보다 빠를 수 있으며, 제2 기지국(130)의 지연시간은 제1 기지국(120)의 지연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단말(110)은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기지국으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10)은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경로(transmission path)를 결정할 수 있다. 전송 경로는 업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경로로, 예를 들어 제1 기지국(120) 및 제2 기지국(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경로는 업링크 신호가 전송되는 구간일 수 있다.
단말(110)은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값에 기초하여,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및 PrimaryPath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는 청구항의 제1 파라미터에 대응될 수 있고, PrimaryPath 파라미터는 청구항의 제2 파라미터에 대응될 수 있다.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는 TS 36.323 [8]에서 명시되는 임계값으로서,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의 값에 기초하여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은 단말로부터 전송되도록 예정된 데이터량과 비교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의 값이 b100인 경우, 단말로부터 전송되도록 예정된 데이터의 양이 100바이트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단말로부터 전송되도록 예정된 데이터량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보다 큰 경우,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결정될 수 있다. E-UTRAN은 분할 DRB(split DRB)에 대해서만 이러한 필드를 구성할 수 있다.
PrimaryPath 파라미터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도록 예정된 데이터량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보다 작을 때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말로부터 전송되도록 예정된 데이터량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보다 작을 때, PrimaryPath 파라미터 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는 제1 기지국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반면, 단말로부터 전송되도록 예정된 데이터량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보다 작을 때, PrimaryPath 파라미터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는 제2 기지국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동작을 규정한다.
Figure 112019014574803-pat00001
여기서, PDCP는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의 약자이고, PDU는 Protocol Data Unit의 약자이며, RLC는 Radio Link Control의 약자이다.표 1을 참조하면, 두 개의 연관된 RLC 개체들에서 초기 전송을 위해 계류중인 PDCP 데이터 볼륨 및 RLC 데이터 볼륨의 총량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보다 작은 경우, PDCP 데이터 PDU를 제1 RLC 개체에 등록할 수 있다. 반면, PDCP 데이터 볼륨 및 RLC 데이터 볼륨의 총량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PDCP 데이터 PDU를 제1 RLC 개체 또는 제2 RLC 개체에 등록할 수 있다.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및 PrimaryPath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7을 통하여 후술한다.
PDCP 데이터 PDU를 제1 RLC 개체 또는 제2 RLC 개체에 등록하는 것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8을 통하여 후술한다.
PDCP 데이터 볼륨 및 RLC 데이터 볼륨의 총량과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것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9를 통하여 후술한다.
단말(110)은 결정된 전송 경로에 따라, 제1 기지국(120) 및 제2 기지국(1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은 제1 기지국(120)에만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거나, 제1 기지국(120) 및 제2 기지국(130)에 업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하는 전송 경로로 결정되는 경우, 업링크 신호를 분할하여 복수의 기지국들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업링크 신호의 전송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업링크 신호를 중복하여 복수의 기지국들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전송 다이버시티(diversity)가 향상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송 경로는 i)제1 기지국(120)만을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전송 경로, 및 ii)제1 기지국(120)과 제2 기지국(130)을 함께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전송 경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실시예들은 제2 기지국(130)만을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거나, 혹은 셋 이상의 기지국들을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시나리오 등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경로는 제2 기지국(130)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 및 단말에서 제2 기지국(130)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송 경로는 제2 기지국(130)에서 결정될 수 있다. 전송 경로가 i)제1 기지국(120)만을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전송 경로, 및 ii)제1 기지국(120)과 제2 기지국(130)을 함께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전송 경로를 포함하는 경우, 전송 경로에 따라, 단말(110)이 제2 기지국(130)에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단말(110)은 제2 기지국(130)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10)은 제2 기지국(130)에서 수신한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110)은 측정한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제1 기지국(120) 또는 제2 기지국(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은 제2 기지국(130)으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는 MR(measurement report)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30)은 단말(110)로부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설계에 따라, 제2 기지국(130)은 단말(110)로부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제1 기지국(120)을 통하여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트리거 조건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는 0.1초마다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1dBm 이상 변화할 때마다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는 미리 정해진 임계 값과의 비교에 기초한 트리거 조건을 통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제2 기지국(130)은 단말(110)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30)은 단말(110)에서 수신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110)에서 수신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 및 제2 기지국(130)에서 단말(110)로 전송한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130)은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30)에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2 및 도 7을 통하여 후술한다.
제1 기지국(120)과 제2 기지국(130)은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신호를 EPC(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120) 및 제2 기지국(130)이 단말(110)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기지국(120)은 수신한 업링크 신호를 제2 기지국(130)으로 전송할 수 있고, 제2 기지국(130)은 복수의 업링크 신호들을 결합하여 EPC(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EPC(140)는 결합된 신호를 수신하여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120) 및 제2 기지국(130)이 단말(110)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기지국(120)은 수신한 업링크 신호를 EPC(140)로 전송할 수 있고, 제2 기지국(130)도 수신한 업링크 신호를 EPC(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EPC(140)는 수신한 업링크 신호들을 결합하여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다. EPC(140)가 한 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업링크 신호는 EPC(140)에서 목적지로 전송될 수 있다. 목적지는 IMS를 포함할 수 있고, 인터넷 등의 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 및 단말에서 제2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에 따른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기지국은 단말에서 수신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 및 제2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은 도 1의 단말(110)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기지국은 도 1의 제2 기지국(130)에 대응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는 제2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MR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어 신호의 생성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진 제1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를 제1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1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210, 240). 제1 기지국은 도 1의 제1 기지국(120)에 대응될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어 신호의 생성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진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를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2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230, 260).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1 기준값을 초과하고 제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제어 신호의 생성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제2 기지국에도 업링크 신호가 전송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가 제3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를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2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220). 반면,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가 제3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를 제1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1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250).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1 기준값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를 제1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1 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고(210, 240),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제2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가 전송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220, 250).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2 기준값과 일치하는 경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미리 정해진 제3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제2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가 전송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고(220, 250),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를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2 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다(230, 260).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제3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제2 기지국에 업링크 신호가 전송될지 여부가 결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가 제3 기준값과 일치하는 경우,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를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2 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고(220),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를 제1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1 정보로 설정할 수도 있다(250).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고, 상기 제2 기지국은 5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준값은 -110dBm일 수 있고, 제2 기준값은 -95dBm일 수 있고, 제3 기준값은 4dB일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110dBm보다 작은 경우,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지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210, 240).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95dBm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및 5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시국을 지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230, 260).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110dBm과 -95dBm 사이의 값을 가지면서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가 4dB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및 5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시국을 지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220).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110dBm과 -95dBm 사이의 값을 가지면서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가 4dB보다 작은 경우,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지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250).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의 생성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관련된 통신 시스템은 단말(301), 제1 기지국(302), 및 제2 기지국(303)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301)은 도 1의 단말(110)에 대응될 수 있고, 제1 기지국(302)은 도 1의 제1 기지국(120)에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기지국(303)은 도 1의 제2 기지국(130)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302)을 이용하여 단말(301)에서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제2 기지국(303)이 추가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에 제2 기지국(303)을 추가하기 위하여, 제1 기지국(302)은 제2 기지국(303)으로 추가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304). 제2 기지국(303)은 추가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응답 신호를 제1 기지국(302)으로 전송할 수 있다(305). 응답 신호는 추가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정보 및 제2 기지국(303)이 통신 시스템에 추가될 수 있는지 여부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302)은 제2 기지국(303)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응답 신호가 제2 기지국(303)이 통신 시스템에 추가될 수 없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통신 시스템에 제2 기지국(303)이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응답 신호가 제2 기지국(303)이 통신 시스템에 추가될 수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기지국(302)은 단말(301)에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306). 단계 306에 대응되는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는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을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306에 대응되는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는 PrimaryPath 파라미터 값을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요청 또한 포함할 수 있다.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는 도 1의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에 대응될 수 있고, PrimaryPath 파라미터는 도 1의 PrimaryPath 파라미터에 대응될 수 있다.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 단말(301)은 RRC 연결의 구조를 변경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 기지국(302)으로 전송할 수 있다(307). RRC 연결의 구조를 변경하였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 제1 기지국(302)은 제2 기지국(303)이 통신 시스템에 추가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2 기지국(303)으로 전송할 수 있다(308).
단계 306 및 단계 307을 통해, 단말(301)과 제2 기지국(303)은 다운링크와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값을 교환할 수 있다. 단말(301)은 제2 기지국(303)과의 업링크 동기화를 위하여 RACH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RACH)(309).
단말(301)이 단계 306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RACH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제1 기지국(302)은 단말(301)에 전송하지 못하고 버퍼에 쌓아 놓은 다운링크 데이터 및/또는 단말(301)로부터 수신하였으나 EPC에 전달하지 못하고 버퍼에 쌓아 놓은 업링크 데이터를 제2 기지국(303)으로 전달할 수 있다. (Data Forwading)(309).
제2 기지국(303)이 통신 시스템에 추가되면, 단말(301)에서 제1 기지국(302) 및 제2 기지국(303)을 이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310).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기지국(303)은 단말(301)로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301)은 제2 기지국(303)에서 수신한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고, 측정한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제1 기지국(302) 또는 제2 기지국(303)으로 전송할 수 있다(311).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트리거 조건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단말(301)에서 측정한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1 기지국(302)으로 전송된 경우, 제1 기지국(302)은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제2 기지국(30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지국(303)은 단말(301)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기지국(303)은 단말(301) 또는 제1 기지국(302)에서 수신한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 및 측정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에 기초하여,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312). 제2 기지국은 생성한 제어 신호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312). 예를 들어,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가 제1 기지국(302)을 지시하는 정보로 설정된 경우, 제1 기지국(302)은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를 단말(301)로 전송할 수 있다(313). 단계 313에 대응되는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는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을 최댓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313에 대응되는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는 PrimaryPath 파라미터 값을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요청 또한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수신한 단말(301)은 제2 기지국(303)을 이용하지 않고, 제1 기지국(302)을 이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314).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지국(302)은 현재 전송 경로와 갱신되는 전송 경로가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NSA 단말(401)은 도 1의 단말(110)의 일 예시로서, LTE(4G) 코어 네트워크에 5G 액세스망 장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인 비단독모드(Non-Standalone, NSA)를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LTE 기지국(402)은 도 1의 제1 기지국(120)의 일 예시로서, LTE 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5G 기지국(403)은 도 1의 제2 기지국(130)의 일 예시로서, 5G 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EPC(404)는 도 1의 EPC(140)에 대응될 수 있다.
NSA 단말(401)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는 LTE 기지국(402) 및 5G 기지국(403)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할 수 있다(a, b). 업링크 전송에 LTE 기지국(402) 및 5G 기지국(403)이 모두 이용되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LTE 기지국(402)은 수신한 제1 업링크 신호를 5G 기지국(40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5G 기지국(403)은 LTE 기지국(402)으로부터 수신한 제1 업링크 신호 및 단말(401)로부터 수신한 제2 업링크 신호를 결합하여 EPC(404)로 전송할 수 있다. EPC(404)로 전송된 업링크 신호는 목적지인 IMS 또는 타 네트워크(405)로 전송될 수 있다(a).
업링크 전송에 LTE 기지국(402) 및 5G 기지국(403)이 모두 이용되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LTE 기지국(402) 및 5G 기지국(403)은 수신한 업링크 신호를 EPC(4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LTE 기지국(402)을 통하여 EPC(404)로 전송된 제1 업링크 신호 및 5G 기지국(403)을 통하여 EPC(404)로 전송된 제2 업링크 신호는 EPC(404)에서 결합되어 목적지인 IMS 또는 타 네트워크(405)로 전송될 수 있다(b).
NSA 단말(401)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는 LTE 기지국(402)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할 수도 있다. LTE 기지국(402) 은 수신한 업링크 신호를 EPC(404)로 전송할 수 있다. LTE 기지국(402)을 통하여 EPC(404)로 전송된 업링크 신호는 EPC(404)에서 목적지인 IMS 또는 타 네트워크(405)로 전송될 수 있다(c).
도 5a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베어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과 제2 기지국 사이에 스플릿 베어러(510)가 위치할 수 있다. 스플릿 베어러(510)는 4G(Master eNB) 및 5G(Secondary gNB) 자원을 모두 사용하여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베어러일 수 있다. 스플릿 베어러(510)가 5G Addition을 수행하는 경우, 스플릿 베어러(510)는 기존 MCG 베어러에서 SCG 스플릿 베어러로 전환될 수 있다. 스플릿 베어러(510)가 5G Release를 수행하는 경우, 스플릿 베어러(510)는 SCG 스플릿 베어러에서 MCG 베어러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하여, 스플릿 베어러(510)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에 동시에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베어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베어러가 이용하는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쳐(Radio Protocol Architecture)는 베어러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MCG 베어러, SCG 베어러, 및 스플릿 베어러(510)가 이용하는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쳐에 따른 특징은 아래의 표 2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MCG Bearer SCG Bearer Split Bearer
Use MeNB resources only Use SeNB resources only Use MeNB and SeNB resources
Similar to legacy bearer supporting both data and signaling Data only Data only
RRC is located at the MeNB → signaling radio bearers use MCG bearer and MeNB resources S1-U interface terminates at SeNB S1-U interface terminates at MeNB
Bearer level split at SGW Bearer level split at SGW DL data aggregation at PDCP layer
NO UL data aggregation at UE
VoLTE, IMS signaling Data Data
도 5c는 일실시예에 따른 스플릿 베어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도 5c를 참조하면, 스플릿 베어러(510)를 이용하여, 4G(Master eNB) 및 5G(Secondary gNB) 자원을 모두 사용하여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CG 스플릿 베어러를 이용하여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Option 3). 일실시예에 따르면, SCG 스플릿 베어러를 이용하여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Option 3x).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전송을 위한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기지국은 제2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단말 또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610). 단말은 도 1의 단말(110)에 대응될 수 있고, 제1 기지국은 도 1의 제1 기지국(120)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기지국은 도 1의 제2 기지국(130)에 대응될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트리거 조건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제2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단말에서 제2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를 측정할 수 있다(620). 제2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신호를 EPC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630). 제어 신호는 단계 610의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제1 조건 및 단계 620의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관련된 제2 조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640). 제어 신호 내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가 제1 기지국을 지시하는 정보로 설정된 경우, 제1 기지국은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수신한 단말은 제2 기지국을 이용하지 않고, 제1 기지국을 이용하여 업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 값을 조정하여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플릿 베어러가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701). 스플릿 베어러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 및 PrimaryPath 파라미터 값을 기본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702).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는 도 1의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에 대응될 수 있고, PrimaryPath 파라미터는 도 1의 PrimaryPath 파라미터에 대응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의 기본값은 b100일 수 있고, PrimaryPath 파라미터의 기본값은 0일 수 있다. 이 경우, 단말로부터 전송되도록 예정된 데이터량이 100바이트보다 작을 때,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는 제1 기지국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반면, 단말로부터 전송되도록 예정된 데이터량이 100바이트를 초과하면,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결정될 수 있다. ul-DataSplitThreshold 값이 충분히 작다면,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결정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단계 702에서, 제2 기지국은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를 제1 기지국을 거쳐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는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를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요청 및 PrimaryPath 파라미터를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요청 또한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는 도 3의 단계 306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rimaryPath 파라미터의 기본값이 0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실시예들은 PrimaryPath 파라미터의 기본값이 1인 시나리오 등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MR, 및 제2 기지국에서 측정된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에 기초하여 무선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703). 단말이 전송한 MR은 제2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지국에서 측정된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는 단말에서 제2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에 대응될 수 있다.
무선 환경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은 MR에 포함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RSRPmin 값보다 작은지, 또는 MR에 포함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RSRPmin 값보다 크고 RSRPmax 값보다는 작으면서 제2 기지국에서 측정된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는 SINRa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04). RSRPmin, RSRPmax, 및 SINRa 값은 제2 기지국에서 제1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제어 신호의 생성과 관련하여 미리 정해진 값으로서, RSRPmin 값은 도 2의 제1 기준값에 대응될 수 있고, RSRPmax 값은 도 2의 제2 기준값에 대응될 수 있고, SINRa 값은 도 2의 제3 기준값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704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MR, 및 제2 기지국에서 측정된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에 기초하여 무선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703). 모니터링은 반드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의 시간 간격을 두고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은 단말이 전송하는 새로운 MR을 수신할 때마다 행해질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은 일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단계 704의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기지국은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을 최댓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하고, PrimaryPath 파라미터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705). 일실시예에 따르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은 구현될 수 있는 가장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ul-DataSplitThreshold 값이 최댓값에 대응하는 값이고, PrimaryPath 파라미터 값이 0으로 설정된 경우,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는 제1 기지국으로 결정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다.
단계 705에서, 제2 기지국은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를 제1 기지국을 거쳐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는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를 최댓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요청 및 PrimaryPath 파라미터를 0으로 설정하는 요청 또한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는 도 3의 단계 313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MR, 및 제2 기지국에서 측정된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에 기초하여 무선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706). 무선 환경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기지국은 MR에 포함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RSRPmin 값보다 작은지, 또는 MR에 포함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RSRPmin 값보다 크고 RSRPmax 값보다는 작으면서 제2 기지국에서 측정된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는 SINRa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07).
단계 707의 조건이 만족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MR, 및 제2 기지국에서 측정된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에 기초하여 무선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706). 모니터링은 반드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의 시간 간격을 두고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은 단말이 전송하는 새로운 MR을 수신할 때마다 행해질 수 있다. 또는, 모니터링은 일정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단계 707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기지국은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 및 PrimaryPath 파라미터 값을 기본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702).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PDCP 데이터 PDU를 제1 RLC 개체 또는 제2 RLC 개체에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표준 36.323에서 PDCP 데이터 PDU는 LTE RLC(820) 또는 NR RLC(830)로 전송될 수 있으므로, PDCP 데이터 PDU는 제1 RLC 개체 또는 제2 RLC 개체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P Packet #1는 LTE RLC(820) 및 NR RLC(830) 양쪽에 전송되는 대신, LTE RLC 또는 NR RLC 중 어느 한 곳으로 전송될 수 있는데, 이는 NSA 구조는 PDCP는 하나이고 RLC는 두 개 이상인 구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말 PDCP 버퍼에 쌓아 놓은 데이터량이 기지국에서 설정한 ul-DataSplitThreshold 값 보다 큰 경우, 데이터는 4G 기지국과 5G 기지국으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PDCP 데이터량과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에 기초하여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기지국은 단말에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RRC 연결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제1 기지국 또는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지국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제2 기지국은 5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연관된 RLC 개체들에서 초기 전송을 위해 계류중인 PDCP 데이터 볼륨 및 RLC 데이터 볼륨은 단말 PDCP 버퍼에 쌓일 수 있다. 단말 PDCP 버퍼의 데이터량과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을 비교함으로써,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910). 제1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되는 RRC 연결의 구조 변경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는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 값의 설정 범위는 0비트 이상 6553600비트(218 Х 52) 이하의 값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6553600비트는 최댓값에 대응되는 값일 수 있다.
단말 PDCP 버퍼의 데이터량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보다 작고, PrimaryPath 파라미터 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는 제1 기지국(LTE)으로 결정될 수 있다(a)(920). 단말 PDCP 버퍼의 데이터량이 ul-DataSplitThreshold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는 제1 기지국(LTE) 및 제2 기지국(5G)으로 결정될 수 있다(b)(920).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1)

  1.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제1 조건 및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관련된 제2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제2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과 관련된 제1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와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파라미터 값과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이 상기 제1 파라미터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와 관련된 제2 파라미터 값이 지시하는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이 상기 제1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과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상이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각각 업링크 속도, 다운링크 속도, 및 지연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5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경로는
    상기 제1 기지국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하는 제1 구간,
    상기 제2 기지국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하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하는 제3 구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과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관련된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 내 상기 전송 경로에 해당하는 필드를 상기 제1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1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2 기준값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 내 상기 필드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지시하는 제2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상기 제1 기준값 초과이고 상기 제2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비가 제3 기준값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 내 상기 필드를 상기 제2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비가 상기 제3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 신호 내 상기 필드를 상기 제1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와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과 관련된 제1 파라미터를 미리 정해진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최댓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상기 제1 기준값 초과이고 제2 기준값 미만이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가 제3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최댓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이 상기 제1 파라미터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의 값이 지시하는 기지국으로 결정되고,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이 상기 제1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결정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지 않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거나,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트리거 조건에 기초하여 비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리포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업링크 신호를 EPC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업링크 신호 및 상기 제1 기지국을 통하여 상기 EPC로 전송된 제1 업링크 신호는 상기 EPC에서 결합되어 목적지로 전송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제2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업링크 신호 및 상기 제2 업링크 신호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신호를 EPC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EPC로 전송된 상기 결합된 신호는 상기 EPC를 통하여 목적지로 전송되는,
    제2 기지국의 동작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5.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단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제2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2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제1 조건 및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관련된 제2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과 관련된 제1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와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파라미터 값과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을 비교하여,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이 상기 제1 파라미터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와 관련된 제2 파라미터 값이 지시하는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이 상기 제1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전송 경로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제2 기지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과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상이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의 특성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특성은 각각 업링크 속도, 다운링크 속도, 및 지연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4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5G망을 통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제2 기지국.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경로는
    상기 제1 기지국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하는 제1 구간,
    상기 제2 기지국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하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하는 제3 구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와 관련된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기준값과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와 관련된 미리 정해진 기준값과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 기지국.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와 관련된 제2 파라미터를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과 관련된 제1 파라미터를 미리 정해진 기본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최댓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세기가 상기 제1 기준값 초과이고 제2 기준값 미만이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신호 대 잡음 간섭 비가 제3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파라미터를 최댓값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이 상기 제1 파라미터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파라미터의 값이 지시하는 기지국으로 결정되고,
    상기 단말의 전송 데이터량이 상기 제1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상기 단말의 전송 경로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으로 결정되는
    제2 기지국.
KR1020190016030A 2019-02-12 2019-02-12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07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030A KR102207499B1 (ko) 2019-02-12 2019-02-12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030A KR102207499B1 (ko) 2019-02-12 2019-02-12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205A KR20200098205A (ko) 2020-08-20
KR102207499B1 true KR102207499B1 (ko) 2021-01-25

Family

ID=7224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030A KR102207499B1 (ko) 2019-02-12 2019-02-12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74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98B1 (ko) 2016-08-08 2016-1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패킷 전송 기지국 재선택 방법
WO2017219783A1 (zh) * 2016-06-24 2017-12-2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长期演进和5g紧耦合下的通信处理方法及装置
KR101888045B1 (ko) 2017-08-30 2018-09-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554A (ko) * 2010-02-12 2014-10-02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중 사이트 간의 데이터 분할
CN108390750A (zh) * 2012-10-05 2018-08-10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通信***、第一无线电站、核心网络节点和方法
KR20160052980A (ko) * 2014-10-29 2016-05-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shf/ehf 대역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9783A1 (zh) * 2016-06-24 2017-12-2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长期演进和5g紧耦合下的通信处理方法及装置
KR101679798B1 (ko) 2016-08-08 2016-11-2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기지국장치, 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다운링크패킷 전송 기지국 재선택 방법
KR101888045B1 (ko) 2017-08-30 2018-09-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네트워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205A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7727B2 (en)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a cellular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US107016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barring
US11757571B2 (en) Controlling data duplication
JP5641630B2 (ja) 測定情報を報告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4007354A1 (en) Method for improving measurement capability of terminal device, and chip and terminal device
CN111837438B (zh) 改善mr-dc sn添加过程的方法和装置
WO2015131844A1 (zh) 用于对物理随机接入信道prach的信道频域偏移量进行调整的方法及设备
CN109565719B (zh) 用于主小区改变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
US11647556B2 (en) Negotiation on bearer type configurations
KR1024874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을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068465A1 (en) Uplink carrier handover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05532024B (zh) 一种上行多信道的同时传输方法和基站以及用户设备
KR10215999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조건부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9506804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ハンドオーバー及びue自律的ハンドオーバーのためのハイブリッド解決策
CN114071479B (zh) 数据传输类型的设定方法和终端
EP422130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readable storage medium, and system
KR20200117847A (ko) 통신의 품질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10507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SCell의 동적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320639B2 (en) Method of controlling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with a network and correspond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22543228A (ja) 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の実行に関与するユーザ機器
US9781764B2 (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WO2013185657A1 (zh) 用户设备辅助信息拒绝方法、装置和***
KR102207499B1 (ko) 단말에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4026911A (zh) 用于双连接性或载波聚合的早期数据传输
US20240163954A1 (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ollback from small data transmission (sdt) to non-sd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