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898B1 - Fire Alarm System Including a Repeter For self-diagnosis of Fire Detector - Google Patents

Fire Alarm System Including a Repeter For self-diagnosis of Fire De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898B1
KR102206898B1 KR1020190077468A KR20190077468A KR102206898B1 KR 102206898 B1 KR102206898 B1 KR 102206898B1 KR 1020190077468 A KR1020190077468 A KR 1020190077468A KR 20190077468 A KR20190077468 A KR 20190077468A KR 102206898 B1 KR102206898 B1 KR 10220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detector
unit
power
re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1413A (en
Inventor
이창혁
Original Assignee
이창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혁 filed Critical 이창혁
Priority to KR1020190077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898B1/en
Publication of KR2021000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4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8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145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04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 G01R19/1652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using diodes, e.g. Zener di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 시스템은 중계장치와 화재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장치는, 2선식 선로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와 반이중통신방식의 전원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감지기통신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통하여 자가진단 실행이 선택되면 2선식 선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를 차례로 호출하고 화재감지기의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화재감지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기는, 열감지 또는 연기감지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온도 또는 습도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센싱하는 화재센서부;와, 브릿지 다이오드(D1 ~ D4)로 구성되고 2선식 선로와 연결되어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전원통신모듈;과 상기 전원통신모듈과 연결되어 정류된 DC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감지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통신모듈과 연결되고 화재감지기의 송신패킷을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재경보 시스템에 따르면 자가진단 기능을 통하여 화재수신기 설치 전에라도 중계장치가 화재감지기 등 단말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므로 공사현장에서 시공상의 편익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device and a fire detector, and the relay device is connected to a two-wire line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one or more fire detectors and a half-duplex communication system. ; And, an input unit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us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us of one or more fire detectors; And, when the self-diagnosis executio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one or more fire detectors connected to the 2-wire line are sequentially called And a second control unit that analyz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e detector and displays a state of the fire detector on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 fire detector is a fire sensor unit that detect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or senses an analog data value of temperature or humidity by detecting heat or smoke; and, it is composed of bridge diodes (D1 to D4) and is connected to a two-wire line to relay. A power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tifi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vice to DC power; and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the rectified DC power and convert it into power required for a fire detector and supply it; And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and connection And a transmission unit for converting the transmission packet of the fire detector into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a relay device; and a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data of a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fire ala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before the fire receiver is installed through the self-diagnosis function, the relay device can diagnose the state of the terminal such as a fire detector, thus providing constructional convenience at a construction site.

Description

화재감지기 및 자가진단이 가능한 중계장치를 구비하는 화재경보 시스템 {Fire Alarm System Including a Repeter For self-diagnosis of Fire Detector}Fire Alarm System Including a Repeter For self-diagnosis of Fire Detector}

본 발명은 화재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2선식 선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에 대한 자가진단이 가능한 중계장치를 구비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alarm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alarm system having at least one fire detector connected to a two-wire line and a relay device capable of self-diagnosis for the fire detector.

건물 등에서 화재발생을 감지하고 경보를 하기 위한 화재경보 시스템은 열감지 또는 연기감지식 화재감지기를 이용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경보 신호를 화재수신기로 보내어 화재 경보를 발생시키게 된다. 화재수신기는 건축물의 화재 감시와 경보를 위하여 설치된 연기/온도 화재감지기와 경종 등의 경보설비 또는 소화설비 연동을 위한 입출력 장치를 갖추고 있는 장비이다. 아파트와 같이 대규모의 건축물의 경우 화재수신기의 입출력 단자에 연결해야 할 화재감지기 등과 같은 단말의 개수가 너무 많아 화재수신기 본체에 모든 단말을 직접 연결하기가 곤란하거나, 화재수신기와 단말과의 거리가 멀어 직접 연결이 곤란한 상황이 자주 있다. 이런 경우에는 구역별로 중계기 또는 중계반으로 호칭되는 중계장치를 설치하고 화재감지기 등의 단말들과 연결하여 시리얼 통신 등의 방법으로 해당 단말들의 입출력 데이터를 중계장치가 받아 화재수신기에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통신방식으로 화재감지기 등 단말과 중계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전원선로와 통신선로를 별개로 설치하는 시공상의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기존의 접점 방식의 구형 화재감지기 선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2선식 선로를 이용하여 중계장치로부터 화재감지기 등 단말로 전원 공급과 데이터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경우 중계장치는 송신 신호를 통하여 다수의 감지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너무 많은 수의 화재감지기가 연결되는 경우 전원부하의 증가로 인하여 화재감지기 등 단말과 중계장치와의 통신이 동작불능상태에 이를 수 있다.The fire alarm system for detecting and alarming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 building, etc., uses a heat detection or smoke detection type fire detector to detec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sends an alarm signal to the fire receiver to generate a fire alarm. A fire receiver is an equipment equipped with a smoke/temperature fire detector installed for fire monitoring and alarm of a building, and an input/output device for interlocking with an alarm facility such as an alarm or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n the case of large-scal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the number of terminals such as fire detectors to be connected to the input/output terminals of the fire receiver is too high, making it difficult to directly connect all terminals to the main body of the fire receiver, or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e receiver and the terminal is too far. There are often situations where direct connection is difficult. In this case, a repeater called a repeater or a repeater can be installed for each area and connected to terminals such as fire detectors, so that the relay device receives input/output data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s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etc., and transmits/receives to the fire receiver. . In this case, when a terminal and a relay device such as a fire detector are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method, the two-wire type is to solve the constructional economic problem of installing the power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separately, or to use the old fire detector line of the existing contact method. It should be possible to simultaneously supply power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from a relay device to a terminal such as a fire detector using a line. In this case, the relay device supplies power to a number of detectors through the transmission signal. However, if too many fire detectors are connected,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relay device such as a fire detector becomes inoperative due to an increase in the power load. I can.

또한 하나의 통신 선로를 통하여 다수의 화재감지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순차적으로 화재감지기 등 접속된 장치들의 상태를 확인하는 폴링(polling) 방식을 사용하는데 하나의 통신선로에 화재감지기 등의 단말이 너무 많이 연결되거나, 아날로그 데이터와 같이 송신 패킷 길이가 긴 경우에는 저속도의 통신속도를 사용하는 화재감지기로서는 응답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전체 화재감지기들을 스캔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서 화재경보가 늦게 전달될 수도 있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llect data from multiple fire detectors through one communication line, a polling method that sequentially checks the status of connected devices such as fire detectors is used. However, there are too many terminals such as fire detectors on one communication line. If there are many connections, or if the transmission packet length is long, such as analog data, the time required for response becomes longer for a fire detector using a low communication speed, so the time it takes to scan all fire detectors becomes longer, and the fire alarm may be delivered lat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may be.

한편 일반적인 건축물의 전기시설 설치공사 단계에서는 먼저 화재감지기 등의 입출력 단말장치와 중계장치 등이 구역별로 설치되고 화재수신기는 건축물의 전기공사의 마지막 단계에서 설치된다. 기존의 중계장치에는 단순히 데이터 중계기능만 있어서 중계장치에서 화재감지기 등의 단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공사 마지막 단계가 끝나고 화재수신기가 설치되어야만 각 구역의 화재감지기 및 경보장치의 정상 설치 유무를 점검할 수 있었다. 이 경우 단말의 설치 상태가 문제가 있는 경우 공사가 완료된 부분을 재시공해야 하는 등의 문제로 수정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공사중에도 화재감지기 등 단말의 설치 상태를 점검하여야할 필요성이 있다. Meanwhile, in the stage of electric facility installation work of a general building, input/output terminal devices such as fire detectors and relay devices are first installed for each area, and fire receivers are installed at the last stage of the building's electrical work. Existing relay devices simply have a data relay function, so the relay device could not check the status of terminals such as fire detectors. Accordingly, only after the final stage of construction was completed and a fire receiver was installed,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normal installation of fire detectors and alarms in each area. In this case,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erminal, it is often difficult to correct it due to problems such as having to rebuild the completed part, so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erminal such as a fire detector even during construction using a relay device. There is a need to do i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197호(2006.07.1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62197 (2006.07.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2선식 전원선로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과 통신을 동시에 사용하는 화재감지기를 다수 연결하였을 화재경보 시스템 완공 전이라도 화재감지기의 설치 상태를 자가진단하고 점검할 수 있는 중계장치를 구비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f-diagnose and check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ire detector even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fire alarm system, in which a number of fire detectors using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are connected using a two-wire power line. It provides a fire alarm system having a relay devi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 시스템은, 중계장치와 화재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장치는 2선식 선로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와 반이중통신방식의 전원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감지기통신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통하여 자가진단 실행이 선택되면 2선식 선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를 차례로 호출하고 화재감지기의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화재감지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device and a fire detector, and the relay device is connected to a two-wire line and uses one or more fire detectors and a half-duplex communication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A detector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nd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command from a user;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status of one or more fire detectors; and, when self-diagnosis executio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at least one fire connected to a two-wire line And a second control unit that sequentially calls the detectors, analyz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e detector, and displays the status of the fire detector on the display unit.

상기 화재감지기는 열감지 또는 연기감지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온도 또는 습도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센싱하는 화재센서부;와, 브릿지 다이오드(D1 ~ D4)로 구성되고 2선식 선로와 연결되어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전원통신모듈;과, 상기 전원통신모듈과 연결되어 정류된 DC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감지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통신모듈과 연결되고 화재감지기의 송신패킷을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한다. The fire detector is a fire sensor unit that detect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or senses an analog data value of temperature or humidity through heat detection or smoke detection; and bridge diodes (D1 to D4) and connected to a two-wire line from a relay device. A power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tifie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to DC power; And,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the rectified DC power and convert it into power required for a fire detector and supply it; And, Connect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And a transmission unit for converting the transmission packet of the fire detector into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a relay device; and a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data of a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또한 상기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는 터치패널일 수 있다.Also,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a touch panel.

상기 화재감지기의 상기 수신부는 브릿지 다이오드 중 D1 캐소드와 D2 애노드의 연결부분과 접지 사이의 전압변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ceiver of the fire detect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voltage change between a connection portion of a D1 cathode and a D2 anode among bridge diodes and a ground.

상기 화재감지기의 상태는 통신상태, 화재감지기의 종류 및 상태 값, 선로The status of the fire detector is the communication status, the type and status value of the fire detector, and the line

의 단락 유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t may be any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ragraph of.

본 발명의 중계장치와 화재감지기를 구비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에 따르면 중계장치의 자가진단 기능을 통하여 화재수신기 설치 전에라도 중계장치가 화재감지기 등 단말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므로 공사현장에서 시공상의 편익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e alarm system having a relay device and a fire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device can diagnose the condition of the terminal, such as a fire detector, even before the fire receiver is installed through the self-diagnosis function of the relay device, providing construction convenience at the construction site. can do.

또한 본 발명의 화재감지기를 통하여 2선식 선로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과 통신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다수의 단말을 연결하였을시 발생할 수 있는 전원부하의 증가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하여 하나의 통신선로에 연결될 수 있는 화재감지기의 설치 개수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power supply and communication are simultaneously used using a two-wire line through the fire det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blems due to an increase in power load that may occur when multiple terminals are connected can be connected to one communication line. There is an effect of expanding the number of installed fire detecto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 및 화재감지기를 구비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전원통신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반이중통신방식의 데이터 신호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가변길이 송신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고속스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의 자가진단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의 자가진단 결과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ire alarm system having a relay device and a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of the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ata signal waveform of the half-duplex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the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length transmission packet of a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gh-speed scan function of the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lf-diagnosis function of the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showing a result of self-diagnosis of a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for example, “between” and “just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as the existence of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and step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재경보 시스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화재경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지기(100)와 중계장치(200)와 화재수신기를 포함한다.The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e detector 100, a relay device 200, and a fire receiver as shown in FIG. 1.

화재경보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열감지 또는 연기감지식 화재감지기가 건물 등에서의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면 경보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장치를 통해 화재수신기로 보내게 되고 화재수신기는 화재 경보를 발생시키게 된다.이때 화재수신기는 어느 장소에 설치된 화재감지기가 동작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fire alarm system, when a heat or smoke detector detects whether a fire occurs in a building, etc., an alarm signal is sent to the fire receiver directly or through a relay device, and the fire receiver generates a fire alarm. At this time, the fire receiver can grasp which place the fire detector installed is operated.

화재감지기(100)는 일반적인 열감지 또는 연기감지 화재감지기일 수 있으며, 온도 또는 습도를 센싱하여 측정하는 아날로그 화재감지기일 수도 있다. 중계장치(200)는 중계반 또는 중계기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화재감시기와 화재수신기 사이에 설치되어 화재감지기의 화재 경보 등의 상태를 화재수신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건물의 대형화로 화재감지기의 설치 수량이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중계장치(200)의 역할이 점차 고도화되고 스마트화되는 추세에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계장치(200)에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100)가 2선식 선로(전원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2선식 선로는 중계장치(200)로부터 화재감지기(100)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중계장치(200)와 화재감지기(100) 간의 통신선로의 역할도 수행한다. The fire detector 100 may be a general heat detection or smoke detection fire detector, and may be an analog fire detector that senses and measures temperature or humidity. The relay device 200, also referred to as a relay board or a repeater, is generally installed between a fire detector and a fire receiver to transmit a fire alarm of the fire detector to the fire receiver.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fire detectors installed tends to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the size of buildings, and thus the role of the relay device 200 is gradually enhanced and smart. Referring to FIG. 1, one or more fire detector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relay device 200 through a two-wire line (power line), and the two-wire line supplies power from the relay device 200 to the fire detector 100 At the same time, it also serves as a communication line between the relay device 200 and the fire detector 100.

도 2를 참조하면 2선식 선로를 통한 통신은 반이중 통신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중계장치(200)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송신 데이터 비트(Bit)의 상태가 '1'인 경우 +24V로 전송되고 송신 데이터 비트가 '0'인 경우 -24V 전압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송신 신호는 -24V와 +24V를 교대로 전환하게 되는데 이는 화재감지기(100)에서 전원통신모듈(130)의 브릿지 회로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가 '0'이든 '1'이든 관계없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24V 전압 값은 예시일 뿐이며 현장상황에 따라 12V, 48V 등 다양한 전압이 기준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communication through a two-wire line is performed in a half-duplex communication method. Firs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200 is transmitted as +24V when the state of the transmission data bit is '1', and is transmitted as -24V when the transmission data bit is '0'. Therefore, the transmission signal alternately switches between -24V and +24V, which means that the fire detector 100 receives power regardless of whether the data signal is '0' or '1' through the bridge circuit of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It is to make it possible. Here, the 24V voltage value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voltages such as 12V and 48V can be used as a reference depending on the field situation.

2선식 선로에는 다수의 화재감지기(100)가 연결될 수 있으므로 화재감지기(100)들은 각자 고유의 주소(ID)를 가져야 한다. 중계장치(200)는 데이터 신호를 보낼때 패킷 헤더에 주소를 명시하여 응답할 화재감지기(100)를 지정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100)에서 응답하는 송신 신호는 2선식 선로에 + 전압 또는 - 전압이 걸린 상태에서 전송된다. 만약 전압이 없다면 화재감지기(100)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가 없어서 자체적인 배터리가 없는 한 응답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재감지기(100)의 송신 신호는 2선식 선로에 고용량의 부하를 인가함으로서 선로의 전압을 조금씩 변동시키는 방식으로 전송한다. 중계장치(200)는 감지기통신부(230)가 이러한 전압변동을 감지하여 화재감지기(100)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2선식 선로에 연결되는 화재감지기가 증가하면 선로의 전원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선로의 전원부하가 증가하면 특정 화재감지기가 송신하여야 할 때 선로에 인가해야 하는 고용량 부하의 부하량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소형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화재감지기의 특성상 송신시에 인가해야 할 고용량 부하량을 무한히 증가시키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필요하고, 본 발명에서는 타이머(140)를 이용하여 휴면모드와 활동모드를 도입한 것이다.Since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100 may be connected to a two-wire line, each fire detector 100 must have a unique address (ID). When transmitting the data signal, the relay device 200 may designate the fire detector 100 to respond by specifying an address in the packet header. The transmission signal responded by the fire detector 100 is transmitted while a + voltage or-voltage is applied to a two-wire line. This is because if there is no voltage, the fire detector 100 cannot be supplied with power, so that a response is impossible without its own battery. Referring to FIG. 2, 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fire detector 100 is transmitted in a manner in which the voltage of the line is gradually changed by applying a high-capacity load to the 2-wire line. The relay device 200 receives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fire detector 100 by the detector communication unit 230 detecting this voltage fluctuation. On the other hand, as the number of fire detectors connected to the two-wire line increases, the power load of the line increases. When the power load of the line increases, the amount of load of the high-capacity load that must be applied to the line increases when a specific fire detector needs to transmi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finitely increase the amount of high-capacity load to be applied at the time of transmiss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fire detector that must be implemented in a small size, so a solution is nee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p mode and the active mode are changed using the timer 140. Introduced.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100)는 도 1을 참조하면 열감지 또는 연기감지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온도 또는 습도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센싱하는 화재센서부(120);와 2선식 선로와 연결되어 중계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전원통신모듈(130);과 상기 전원통신모듈(130)과 연결되어 정류된 DC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감지기(100)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150);와 상기 전원통신모듈(130)과 연결되고 화재감지기(100)의 송신패킷을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장치(200)로 송신하는 송신부(160);와 상기 2선식 선로의 어느 하나의 선과 연결되어 중계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70);와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세트되는 타이머(140);와 화재센서부(120)와 전원통신모듈(130)과 전원부(150)와 송신부(160)와 수신부(170)와 타이머(140)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110)를 포함한다.The fire det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is a fire sensor unit 120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 fire has occurred or to sense an analog data value of temperature or humidity by detecting heat or smoke; and is connected to a two-wire line. A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that rectifi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200 to DC power; and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to receive the rectified DC power to provide power required for the fire detector 100. A power supply unit 150 for converting and supplying; and a transmission unit 160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converting the transmission packet of the fire detector 100 into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the relay device 200; and the 2 A receiving unit 170 connected to any one of the wires and receiving data of a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200; And a timer 140 that is set when the set time elapses; And the fire sensor unit 120 and A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a power supply unit 150, a transmission unit 160, a receiving unit 170, and a first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timer 140.

상기 제1 제어부(110)는 설정시간 동안 화재감지기(100)를 휴면모드(Sleep Mode)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verts the fire detector 100 to a sleep mode for a set time.

화재센서부(120)는 축열식 또는 차동식 열감지 센서일 수 있고, 광전식 연기감지 센서일 수 있다. 또한 화재센서부(120)는 아날로그 센서로서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값은 아날로그 데이터 값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경우 아날로그 데이터 값은 3바이트 길이를 갖는다.The fire sensor unit 120 may be a heat storage type or differential type heat sensor, and may be a photoelectric smoke sensor. In addition, the fire sensor unit 120 may be configured as a temperature sensor or a humidity sensor as an analog sensor. In this case, the output value may be an analog data value, and in general, the analog data value has a length of 3 bytes.

도 3을 참조하면 전원통신모듈(130)은 브릿지 다이오드(D1 ~ D4) 회로로 구성된다.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는 2식 선로와 연결되어 중계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DC 전원을 정류하여 화재감지기(100) 내부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중계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는 +와 - 전압으로 구성되므로 데이터 비트(Bit)의 상태( 0 또는 1 )와 관계없이 DC 전원을 화재감지기(100)로 공급할 수 있다.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의 다이오드 D1과 D4의 애노드는 접지와 연결되고, D1의 캐소드와 D2의 애노드는 수신부(170)과 연결되며, D2와 D3의 캐소드는 송신부(160) 및 전원부(150)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is composed of a bridge diode (D1 ~ D4) circuit. The bridge diode circuit is connected to the type 2 line and rectifies DC power from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200 so that it can be used as power inside the fire detector 100. Since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200 is composed of + and-voltages, DC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fire detector 100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data bit (0 or 1). The anodes of diodes D1 and D4 of the bridge diode circuit are connected to ground, the cathode of D1 and the anode of D2 are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170, and the cathodes of D2 and D3 are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unit 16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

전원부(150)는 전원통신모듈(130)과 연결되어 정류된 DC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감지기(100)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화재감지기(100) 내부에서 각종 소자들을 구동하는 전압은 2선식 선로로부터 정류되는 전압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전원부(150)가 공급하는 전압은 화재감지기 내부의 각종 소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3.3V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wer supply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to receive rectified DC power, and converts and supplies the power required for the fire detector 100. This is because the voltage that drives various elements inside the fire detector 100 may be different from the voltage rectified from the two-wire line. The voltage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3.3V for driving various elements inside the fire detec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송신부(160)는 상기 전원통신모듈(130)과 연결되어 화재감지기(100)의 송신패킷을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장치(200)로 송신한다. 상기 송신패킷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길이 송신패킷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재감지기(100)의 송신부(160)는 2선식 선로에 고용량의 부하를 인가하여 의 부하를 변동시켜 2선식 선로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동시킴으로서 송신 신호를 중계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송신부(160)는 전원통신모듈(130)과 전원부(150)가 연결되는 접점(D2와 D3의 캐소드)에 같이 연결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to convert the transmission packet of the fire detector 100 into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relay device 200. The transmission packet may be configured as a variable length transmission packet as shown in FIG. 5. The transmitter 160 of the fire detector 100 applies a high-capacity load to the two-wire line and changes the load of and transmits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relay device 200 by vary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two-wire line. To this end, the transmitter 160 may be connected to a contact point (cathodes of D2 and D3) to which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the power supply 150 are connected.

수신부(170)는 상기 2선식 선로의 어느 하나의 선과 연결되어 중계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릿지 다이오드 중 D1 캐소드와 D2 애노드의 연결부분과 접지 사이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수신부(170)는 D4 캐소드와 D3 애노드의 연결부분과 접지 사이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receiving unit 17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two-wire lines and receives data of a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200. More specifically,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voltage fluctuations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1 cathode and the D2 anode among the bridge diodes and the gr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the receiving unit 170 may include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D4 cathode and the D3 anode.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voltage fluctuations between grounds.

타이머(140)는 동작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타이머(140) 동작이 시작되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 후에 타이머(140)가 세트(set up)된다. 세트의 의미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로서 제1 제어부(110)에게 추후 설명하게 될 휴면모드의 지속시간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timer 140 may set an operation time,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timer 140 starts, the timer 140 is set up after a set time elapses. The meaning of the set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t time has elapsed, and serves to inform the first control unit 110 that the duration of the sleep mo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as ended.

제1 제어부(110)는 화재센서부(120)와 전원통신모듈(130)과 전원부(150)와 송신부(160)와 수신부(170)와 타이머(140)를 제어한다. 제1 제어부(110)는 화재센서부(120)의 센싱 결과를 송신패킷에 실어 송신부(160)를 통해 중계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0)는 수신부(170)로부터 수신되는 중계장치(200)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해석하여 자신의 주소(ID)와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응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irst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fire sensor unit 120,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the power supply unit 150, the transmission unit 160, the reception unit 170, and the timer 140. The first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o load the sensing result of the fire sensor unit 120 on a transmission packet and transmit it to the relay device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160. The first control unit 110 interprets the data signal from the relay device 200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70 to determine whether it matches its own address (ID) and responds if it matches.

한편 최근 건물의 대형화로 화재감지기(100)의 설치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동일한 2선식 선로에 연결되는 화재감지기(100)가 증가하면 이는 중계장치(200)가 공급해야 할 전원부하가 증가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전원부하의 증가는 화재감지기(100)의 송신부(160)가 데이터를 송신하려고 할 때 점점 더 고용량의 부하를 2선식 선로에 인가하여야 하는 부담을 지운다. 그 결과 연결 가능한 화재감지기(100)의 갯수는 한계가 발생하며 기존의 화재경보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선로에 최대 128개 정도의 화재감지기(100)를 연결할 수 있었다. Meanwhile, the number of fire detectors 100 installed tends to increase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building size. When the number of fire detectors 100 connected to the same two-wire line increases, this appears as a result of an increase in power load to be supplied by the relay device 200. The increase in power load removes the burden of applying an increasingly high-capacity load to the two-wire line when the transmission unit 160 of the fire detector 100 tries to transmit data. As a result, the number of connectable fire detectors 100 is limited, and in the existing fire alarm system, up to 128 fire detectors 100 could be connected to one line.

하지만 본 발명의 화재감지기(100)는 타이머(140)를 이용하여 제1 제어부(110)가 휴면모드(Sleep Mode)와 활동모드(Active Mode)로 동작 상태를 제어함으로서 화재경보 시스템의 하나의 선로에 연결 가능한 화재감지기(100)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However, the fire det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imer 140 to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control unit 110 in a sleep mode and an active mode. It is possible to dramatically increase the number of fire detectors 100 that can be connected to.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어부(110)는 수신부(17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수신자 주소가 자신의 주소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타이머(140)를 동작시킨 후 화재감지기(100)를 휴면모드로 전환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여 타이머(140)가 세트되면 화재감지기(100)를 활동모드로 전환한다. 휴면모드에서 화재감지기(100)는 2선식 선로에 전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화재센서부(120), 송신부(160), 전원부(150) 등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즉 주소가 일치하는 화재감지기(100)만 활동모드가 되고 나머지 화재감지기(100)들은 휴면모드가 되므로 해당 화재감지기(100)는 중계장치(200)로 송신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모든 화재감지기가 활동모드에 있는 경우보다 매우 작은 용량의 부하를 2선식 선로에 인가하여도 되기 때문에 소형의 화재감지기(100)의 송신부담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고 그에 따라 같은 선로에 보다 많은 화재감지기(100)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address of the recipient of the data packet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70 does not match its own address, the first control unit 110 operates the timer 140 and then switches the fire detector 100 to the dormant mode. And, when the set time elapses and the timer 140 is set, the fire detector 100 i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In the dormant mode, the fire detector 1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e sensor unit 120, the transmission unit 16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so as not to put a power burden on the two-wire line. That is, only the fire detector 100 with the same address is in the active mode, and the other fire detectors 100 are in the dormant mode, so all the fire detectors are active in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relay device 200. Since it is possible to apply a load of very small capacity to the two-wire line than in the case in the mode,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transmission burden of the small fire detector 100, and accordingly, more fire detectors 100 are connected to the same line. Makes it possible.

타이머(140)의 설정시간은 다른 화재감지기(100)가 중계장치(200)로 데이터 송신을 완료할 수 있는 시간 범위일 수 있다. 화재감지기(100)의 송신패킷은 약 4 ~ 5바이트 길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32 ~ 40비트 길이가 된다. 예를 들어 전송속도가 9600bps라고 한다면 1비트 전송시간은 약 0.1 mS 이므로 설정시간은 최소 4 mS 이상 되어야 한다. 또한 설정시간이 너무 길면 전체 화재감지기(100)를 스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간 설정이 필요하다.The set time of the timer 140 may be a time range in which the other fire detector 100 can complete data transmission to the relay device 200. The transmission packet of the fire detector 100 may be configured to be about 4 to 5 bytes long, which is 32 to 40 bits long. For example, if the transmission speed is 9600bps, the 1-bit transmission time is about 0.1 mS, so the setting time should be at least 4 mS. In addition, if the setting time is too long, the time required to scan the entire fire detector 100 may be increased, so an appropriate time setting is required.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중계장치(200)는 2선식 선로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100)와 반이중통신방식의 전원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감지기통신부(230),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20)와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입력부(220)를 통하여 자가진단 실행이 선택되면 2선식 선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100)를 차례로 호출하고 화재감지기(100)의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감지기(10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는 제2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중계장치(200)는 하나의 선로에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선로를 채널이라 부를 수 있다. 하나의 중계장치(200)에는 다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채널은 다양한 시리얼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RS-232C, RS-485, RS-422, 모드버스 등의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relay device 200 is connected to a two-wire line, and a detector communication unit 23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of one or more fire detectors 100 and a half-duplex communication method, and a user's command. When the self-diagnosis executio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20 receiving the input 220, the display unit 210 displaying the status of one or more fire detectors, and the input unit 220, one or more fire detectors 100 connected to the two-wire line are sequentially selected. It includes a second control unit 250 for calling and analyzing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e detector 100 to display the state of the fire detector 100 on the display unit 210. The relay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one or more fire detectors 100 on one line. This single line can be called a channel. One relay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channels. In addition, each channel may be configured to use various serial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RS-232C, RS-485, RS-422, and Modbus can be used.

상기 감지기통신부(230)는 2선식 선로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100)와 반이중통신방식의 전원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감지기통신부(230)는 데이터 수신시에도 2선식 선로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인가하여 화재감지기(100)로 전원을 공급한다. 화재감지기(100)는 2선식 선로에 고용량의 부하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중계장치(200)로 송신신호를 전송하게 되는데 2선식 선로에 고용량의 부하가 인가되면 도 2의 화재감지기(100) 송신신호 패턴과 같이 전압 변동을 일으킨다. 이러한 2선식 선로의 전압 변동을 감지기통신부(230)가 검출하여 화재감지기(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The detector communication unit 230 is connected to a two-wire lin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one or more fire detectors 100 and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of a half-duplex communication method. The detector communication unit 230 continuously applies power to the two-wire line even when receiving data to supply power to the fire detector 100. The fire detector 100 transmits a transmission signal to the relay device 200 by applying a high-capacity load to the two-wire line. When a high-capacity load is applied to the two-wire line, the fire detector 100 of FIG. It causes voltage fluctuations like a pattern. The sensor communication unit 230 detects the voltage fluctuation of the two-wire line and receives data from the fire detector 100.

중계장치(200)의 수신기통신부(240)는 화재수신기와 연결되어 화재감지기(100)들의 상태를 화재수신기로 전송하고, 화재수신기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한다. 화재수신기와의 연결은 이더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의 고속의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The receiver communication unit 240 of the relay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transmits the status of the fire detectors 100 to the fire receiver, and receives a command from the fire receiver. The connection with the fire receiver can use a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n Ethernet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2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220)와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입력부(220)를 통하여 자가진단 실행이 선택되면 감지기통신부(230)를 통하여 2선식 선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100)를 차례로 호출하고 화재감지기(100)의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화재감지기(10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는 제2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화재수신기가 연결되지 않아도 중계장치(200)가 화재감지기와 같은 단말들의 상태를 직접 점검할 수 있다. In the re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lf-diagnosis executio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20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and the display unit 210 and input unit 220 to display the status of one or more fire detectors, the detector communication unit Through 230, one or more fire detectors 100 connected to the two-wire line are sequentially called, and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e detector 100 is analyzed to display the status of the fire detector 100 on the display unit 210. It includes 2 control unit 250. Accordingly, even if the fire receiver is not connected, the relay device 200 can directly check the status of terminals such as fire detectors.

상기 제2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를 통하여 자가진단 실행이 선택되면 2선식 선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100)를 차례로 호출하고 화재감지기(100)의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10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화재감지기(100)의 상태는 통신상태, 화재감지기의 종류 및 상태 값, 선로의 단락 유무 등일 수 있다When the self-diagnosis executio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20, the second control unit 250 sequentially calls one or more fire detectors 100 connected to the two-wire line and analyz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e detector 100 The state of the fire detector 1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0. The state of the fire detector 100 may be a communication state, a type and a state value of the fire detecto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hort circuit.

입력부(220)와 디스플레이부(210)는 키보드와 모니터와 같이 별개의 장비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구현되어 하나의 장비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input unit 220 and the display unit 210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devices such as a keyboard and a monitor, and may be implemented on a touch screen as necessary and included in a single device.

도 4를 참조하면 중계장치가 자가진단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자가진단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중계장치(200)의 입력부(220)를 통하여 자가진단 기능이 선택되면 자가진단을 수행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중계장치(200)가 선택된 채널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순서대로 호출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중계장치(200)가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단말의 상태를 디스플레이부(21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해당 단말의 상태는 단말과의 통신상태, 단말의 종류 및 상태 값, 선로의 단락 유무 등에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7은 하나의 채널을 자가진단한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10)에 나타내는 하나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4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the relay device to perform a self-diagnosis function. In the self-diagnosis method, when the self-diagnosis function is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20 of the relay device 200, the step of selecting a channel to perform self-diagnosis, and one or more terminals connected to the selected channel by the relay device 200 in order. Analyzing the signal that is called and received as it is, and displaying, by the relay device 200, the statu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on the display unit 21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statu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may be any one or more in the communication status with the terminal, the type and status value of the terminal, whether or not there is a short circuit.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result of self-diagnosis of one channe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0.

상기 단말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100)일 수 있다. 화재감지기(100)는 도 1을 참조하면 열감지 또는 연기감지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온도 또는 습도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센싱하는 화재센서부(120);와 2선식 선로와 연결되어 중계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전원통신모듈(130);과 상기 전원통신모듈(130)과 연결되어 정류된 DC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감지기(100)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150);와 상기 전원통신모듈(130)과 연결되고 화재감지기(100)의 송신패킷을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장치(200)로 송신하는 송신부(160);와 상기 2선식 선로의 어느 하나의 선과 연결되어 중계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70);와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세트되는 타이머(140);와 화재센서부(120)와 전원통신모듈(130)과 전원부(150)와 송신부(160)와 수신부(170)와 타이머(140)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110)를 포함한다.The terminal may be the fire det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1, the fire detector 100 is a fire sensor unit 120 that sense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or senses a temperature or humidity analog data value by detecting heat or smoke; and a relay device 200 connected to a 2-wire line. A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that rectifies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o DC power; and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to receive the rectified DC power and convert and supply the power required for the fire detector 100. A power supply unit 150; and a transmission unit 160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converting a transmission packet of the fire detector 100 into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relay device 200; and any of the two-wire lines A receiving unit 170 connected to one line and receiving data of a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200; And a timer 140 that is set when the set time elapses; And the fire sensor unit 120 and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 130), a power supply unit 150, a transmitting unit 160, a receiving unit 170, and a first control unit 110 for controlling the timer 140.

도 3을 참조하면 전원통신모듈(130)은 브릿지 다이오드(D1 ~ D4) 회로로 구성된다.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는 2식 선로와 연결되어 중계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DC 전원을 정류하여 화재감지기(100) 내부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중계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는 +와 - 전압으로 구성되므로 데이터의 상태( 0, 1 )와 관계없이 DC 전원을 화재감지기(100)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이오드 D1과 D4의 애노드는 접지와 연결되고, D2와 D2의 캐소드는 송신부(160) 및 전원부(150)와 연결된다.Referring to Figure 3,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is composed of a bridge diode (D1 ~ D4) circuit. The bridge diode circuit is connected to the type 2 line and rectifies DC power from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200 so that it can be used as power inside the fire detector 100. Since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200 is composed of + and-voltages, DC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fire detector 100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data (0, 1 ). The anodes of the diodes D1 and D4 are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cathodes of D2 and D2 ar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16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전원부(150)는 전원통신모듈(130)과 연결되어 정류된 DC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감지기(100)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화재감지기(100) 내부에서 각종 소자들을 구동하는 전압은 2선식 선로에서 정류되는 전압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전원부(150)가 공급하는 전압은 3.3V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wer supply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to receive rectified DC power, and converts and supplies the power required for the fire detector 100. This is because the voltage driving various elements inside the fire detector 100 may be different from the voltage rectified in the two-wire line. The voltage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unit 150 may be 3.3V, but is not limited thereto.

송신부(160)는 상기 전원통신모듈(130)과 연결되어 화재감지기(100)의 송신패킷을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장치(200)로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선식 선로의 부하를 변동시켜 2선식 선로에 인가되는 전압을 변동시킴으로서 송신 신호를 중계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송신부(160)는 전원통신모듈(130)과 전원부(150)가 연결되는 접점(D2와 D2의 캐소드)에 같이 연결될 수 있다. The transmission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to convert the transmission packet of the fire detector 100 into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relay device 200. As described above, a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peater 200 by varying the load of the two-wire line to vary the voltage applied to the two-wire line. To this end, the transmitter 160 may be connected to a contact point (cathodes of D2 and D2) to which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the power supply 150 are connected.

수신부(170)는 상기 2선식 선로의 어느 하나의 선과 연결되어 중계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릿지 다이오드 중 D1 캐소드와 D2 애노드의 연결부분과 접지 사이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수신부(170)는 D4 캐소드와 D3 애노드의 연결부분과 접지 사이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receiving unit 17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two-wire lines and receives data of a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200. More specifically,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voltage fluctuations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1 cathode and the D2 anode among the bridge diodes and the gr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the receiving unit 170 may include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D4 cathode and the D3 anode.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voltage fluctuations between grounds.

타이머(140)는 동작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타이머(140) 동작이 시작되면 설정된 시간이 경과후에 타이머(140)가 세트(set up)된다. 세트의 의미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로서 제1 제어부(110)에게 추후 설명하게 될 휴면모드의 지속시간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timer 140 may set an operation time,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timer 140 starts, the timer 140 is set up after a set time elapses. The meaning of the set i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et time has elapsed, and serves to inform the first control unit 110 that the duration of the sleep mo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as ended.

제1 제어부(110)는 화재센서부(120)와 전원통신모듈(130)과 전원부(150)와 송신부(160)와 수신부(170)와 타이머(140)를 제어한다. 제1 제어부(110)는 화재센서부(120)의 센싱 결과를 송신 패킷에 실어 송신부(160)를 통해 중계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0)는 수신부(170)로부터 수신되는 중계장치(200)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해석하여 자신의 주소(ID)여부를 판단하고 응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fire sensor unit 120,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130, the power supply unit 150, the transmission unit 160, the reception unit 170, and the timer 140. The first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o load the sensing result of the fire sensor unit 120 in a transmission packet and transmit it to the relay device 200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160. The first control unit 110 interprets a data signal from the relay device 200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70 to determine whether its own address (ID) or not, and respond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어부(110)는 수신부(17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수신자 주소가 자신의 주소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타이머(140)를 동작시킨 후 화재감지기(100)를 휴면모드로 전환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여 타이머(140)가 세트되면 화재감지기(100)를 활동모드로 전환한다. 휴면모드에서 화재감지기(100)는 2선식 선로에 전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화재센서부(120), 송신부(160), 전원부(150) 등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주소가 일치하는 화재감지기(100)만 활동모드가 되고 나머지 화재감지기(100)들은 휴면모드가 되므로 해당 화재감지기(100)는 중계장치(200)로 송신신호를 전송함으로서 보다 작은 고용량의 부하를 2선식 선로에 인가하여도 되기 때문에 화재감지기(100)의 송신부담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고 그에 따라 같은 선로에 보다 많은 화재감지기(100)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address of the recipient of the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170 does not match its own address, the first control unit 110 operates the timer 140 and then switches the fire detector 100 to the dormant mode. When the set time has elapsed and the timer 140 is set, the fire detector 100 i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In the dormant mode, the fire detector 1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e sensor unit 120, the transmission unit 160, and the power supply unit 150 so as not to put a power burden on the two-wire line. Since only the fire detector 100 with the same address is in the active mode and the other fire detectors 100 are in the dormant mode, the fire detector 100 transmits a transmission signal to the relay device 200 to reduce the 2 Since it may be applied to a wired lin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transmission burden of the fire detector 100, and accordingly, more fire detectors 100 can be connected to the same line.

타이머(140)의 설정시간은 다른 화재감지기(100)가 중계장치(200)로 데이터 송신을 완료할 수 있는 시간 범위일 수 있다. The set time of the timer 140 may be a time range in which the other fire detector 100 can complete data transmission to the relay device 20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화재감지기(100)가 아날로그 화재감지기(100)인 경우의 화재감지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송신패킷의 데이터 포맷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5 shows an embodiment of a data format of a transmission packet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or 100 in the case where the fire detector 100 is an analog fire detector 100.

아날로그 화재감지기(100)는 온도 또는 습도를 센싱하여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생성하는 아날로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기(100)로부터 송신되는 송신패킷은 주소부, 타입부, 데이터부, 체크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서 송신패킷의 주소부는 1 바이트(Byte), 타입부는 2 비트(Bit), 데이터부는 0 ~ 3바이트(Byte) 길이의 가변 길이, 체크섬부는 1바이트(Byte) 길이로 설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상황에 맞게 조정되어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특히 2 비트 크기의 타입부는 패킷 구성시 필요하다면 1 바이트 이상의 크기로 변경할 수 있으며 주소부 및 데이터부도 필요에 따라 각각 1 바이트 이상 및 3 바이트 이상의 크기로도 변경이 가능하다.The analog fire detector 100 includes an analog sensor that senses temperature or humidity to generate an analog data value, and the transmission packet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or 100 includes an address part, a type part, a data part, and a checksum part. .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ress part of the transmission packet is designed to be 1 byte, the type part is 2 bits, the data part is a variable length of 0 to 3 bytes, and the checksum part is designed to be 1 byte long.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adjusted and applied to a specific situation. In particular, the 2-bit type part can be changed to a size of 1 byte or more if necessary when configuring a packet, and the address part and the data part can be changed to a size of 1 byte or more and 3 byte or more, respectively, as necessary.

다수의 화재감지기(100)를 고속으로 스캔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화재감지기(100)의 응답시간을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 화재감지기(100)의 채널당 스캔 속도를 2~3배 증가시키는 것은 통상 저속(9600bps)의 통신 속도로 운용되는 화재감지기(100)의 특성상 매우 중요한 성능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재감지기(100)의 응답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송신패킷의 길이를 줄여야 하는데 이때 송신패킷의 길이를 단축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이 필요하다. 온도 또는 습도 데이터와 같은 아날로그 데이터의 특성은 데이터 값의 변동 폭이 시간에 따라 빠르지 않다는 성질이 있다. 아날로그 데이터 값은 일반적으로 3바이트 길이의 데이터로 전송된다. 만약 데이터 값의 변동 폭이 미미한 경우 3바이트 데이터를 줄여서 송신패킷을 구성한다면 그만큼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연결되는 아날로그 화재감지기(100)가 많을수록 그 효과는 증가하게 될 것이다. In order to scan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100 at high speed, it is necessary to shorten the response time of each fire detector 100. Increasing the scan speed per channel of the fire detector 100 by 2 to 3 times is because it can be a very important performance facto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 detector 100 that is normally operated at a low speed (9600 bps) communication speed. Therefore, in order to shorten the response time of the fire detector 100,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packet must be shortened. In this case, a special method for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transmission packet is required. The characteristic of analog data such as temperature or humidity data has the property that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data value is not fast with time. Analog data values are generally transmitted as 3-byte long data. If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data value is insignificant, if the transmission packet is configured by reducing the 3-byte data, the time required for response can be reduced by that amount, and the effect will increase as the number of analog fire detectors 100 connected increases.

도 6은 이러한 아날로그 화재감지기(100)의 상태를 고속으로 스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화재감지기(100)는 상술한 화재감지기(1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canning the state of the analog fire detector 100 at high speed. Here, since the fire detector 100 is the same as the fire detector 100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화재감지기(100)의 상태를 고속으로 스캔하기 위한 방법은 화재감지기(100)의 제1 제어부(110)는 측정된 아날로그 데이터 값과 마지막에 송신된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비교하여 변동 범위를 분석하는 단계, 변동 범위가 사전에 설정된 설정 값 이하이면 송신패킷의 타입부을 ‘00’으로 설정하고 데이터부의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생략하여 송신하는 단계, 변동 범위가 사전에 설정된 설정 값을 초과하고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구성하는 3바이트 데이터 중에서 하위 1바이트 이내이면 송신패킷의 타입부를 ‘01’로 설정하고 데이터부에 아날로그 데이터 값 중에서 하위 1바이트만 송신하는 단계, 변동 범위가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구성하는 3바이트 데이터 중에서 하위 1 바이트를 초과하면서 하위 2 바이트 이내이면 송신패킷의 타입부를 ‘10’으로 설정하고 데이터부에 아날로그 데이터 값 중에서 하위 2바이트 길이의 데이터만 송신하는 단계, 변동 범위가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구성하는 3바이트 데이터 중에서 하위 2 바이트 범위를 초과하면 송신패킷의 타입부를‘11’로 설정하고 데이터부에 전체 아날로그 데이터 값인 3바이트 길이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송신패킷은 가변길이 송신패킷이 되어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한다.The method for scanning the state of the fire detector 100 at high speed is the step of analyzing the variation range by comparing the measured analog data value with the last transmitted analog data value by the first control unit 110 of the fire detector 100 , If the fluctuation range is less than the preset set value, the transmission packet type part is set to '00' and the analog data value of the data part is omitted to transmit.The fluctuation range exceeds the preset set value and the analog data value is configured. If it is within the lower 1 byte of the 3 byte data, the transmission packet type part is set to '01' and only the lower 1 byte of the analog data value is transmitted to the data part. If it exceeds 1 byte and is within the lower 2 bytes, the type part of the transmission packet is set to '10' and only the data of the lower 2 bytes of the analog data values are transmitted to the data part. If the range of the lower 2 bytes of the data is exceeded, the transmission packet type part is set to '11', and the data part is transmitted with 3 bytes of total analog data value. In this way, the transmission packet becomes a variable length transmission packet,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data transmission.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화재감지기(100)의 제1 제어부(110)는 현재의 아날로그 데이터 값과 이전 값을 비교하여 변동 범위를 분석하고 변동범위가 사전에 설정된 일정 설정값 이하라면 데이터 값을 전송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타입(Type)부에 표시를 한 송신패킷에 데이터부를 생략하여 송신함으로서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는 의미를 부여할 수 없을 정도의 작은 변동인 경우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음으로서 송신 시간을 줄여 다수의 화재감지기(100)를 고속으로 스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전에 설정된 일정 설정 값은 변동이 없거나 4~5비트 범위의 작은 값이 설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trol unit 110 of the fire detec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current analog data value with the previous value to analyze the variation range, and if the variation ran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preset value, the data valu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a response by omitting the data part to the transmission packet in which the content of not transmitting is displayed in the Type part. This reduces the transmission time by not transmitting data in the case of small fluctuations that cannot be given meaning so that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100 can be scanned at high speed. Therefore, the preset predetermined setting value may be unchanged or a small value in the range of 4 to 5 bits may be set.

또한 현재의 아날로그 데이터 값과 이전 값을 비교하여 하위 1바이트 이내의 변동 범위라면 하위 1바이트만 전송한다는 내용을 타입(Type)부에 표시를 한 송신패킷에 하위 1바이트 데이터만을 실어서 송신하여도 그만큼 응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변동 범위가 하위 2바이트 범위라면 하위 2바이트만 전송한다는 내용을 타입부에 표시를 한 송신패킷에 하위 2바이트 데이터만을 실어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변동 범위가 크거나 전체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보낼 필요가 있을 때에는 타입부에 이러한 내용을 표시한 후 3바이트 크기의 전체 데이터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송신 패킷의 주소(ID)부는 해당 단말의 주소가 표시되며 통상 1바이트 크기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나 연결되는 단말의 개수에 따라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타입(Type)부는 아날로그 데이터 값의 내용을 구분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2비트의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00', '01','10','11'의 구분자를 가질 수 있다. 타입부가 '00'의 경우 후속하는 데이터부가 0바이트 길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타입부가 '01'의 경우 후속하는 데이터부가 1바이트 길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타입부가 '10'의 경우 후속하는 데이터부가 2바이트 길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타입부가 '11'의 경우 후속하는 데이터부가 3바이트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변동되지 않은 데이터의 송신을 생략함으로서 송신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다수의 화재감지기(100)를 고속으로 스캔할 수 있도록 한다.Also, if the current analog data value is compared with the previous value, and if the range is within the lower 1 byte, only the lower 1 byte is transmitted. As such, the time required for response can be shortened. Likewise, if the variable range is in the lower 2 byte range, only the lower 2 byte data can be loaded and transmitted in the transmission packet indicating that only the lower 2 byte is transmitted. When the range of fluctuation is large or it is necessary to send the entire analog data valu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entire data value of 3 bytes after indicating this in the type part. The address (ID) portion of the transmission packet indicates the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and may have a length of 1 byte, but may be configured to be more than that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nnected terminals. The Type part is a part for classifying the contents of an analog data value, and may be configured in a size of 2 bits, and may have separators of '00', '01', '10', and '11'. When the type part is '00', it may indicate that the subsequent data part is 0 bytes long. When the type part is '01', it may indicate that the subsequent data part is 1 byte long. When the type part is '10', it may indicate that the subsequent data part is 2 bytes long. If the type part is '11', it may indicate that the subsequent data part is 3 bytes. Through this, by omitting the transmission of unchanged data, it is possible to scan a plurality of fire detectors 100 at high speed 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ransmission.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계장치와 화재감지기를 포함하는 화재경보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ire alarm system including a relay device and a fire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limit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above.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s well as all changes and deformable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화재감지기
110 : 제1 제어부
120 : 화재센서부
130 : 전원통신모듈
140 : 타이머
150 : 전원부
160 : 송신부
170 : 수신부
200 : 중계장치
210 : 디스플레이부
220 : 입력부
230 : 감지기통신부
240 : 수신기통신부
250 : 제2 제어부
100: fire detector
110: first control unit
120: fire sensor unit
130: power communication module
140: timer
150: power supply
160: transmitter
170: receiver
200: relay device
210: display unit
220: input unit
230: sensor communication department
240: receiver communication department
250: second control unit

Claims (5)

화재감지기 및 자가진단이 가능한 중계장치를 구비한 화재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는,
2선식 선로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와 반이중통신방식의 전원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감지기통신부;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부를 통하여 자가진단 실행이 선택되면 2선식 선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기를 차례로 호출하고 화재감지기의 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화재감지기의 상태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기는,
열감지 또는 연기감지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온도 또는 습도 아날로그 데이터 값을 센싱하는 화재센서부;와,
브릿지 다이오드(D1 ~ D4)로 구성되고 2선식 선로와 연결되어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를 DC 전원으로 정류하는 전원통신모듈;과,
상기 전원통신모듈과 연결되어 정류된 DC 전원을 공급받아 화재감지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통신모듈과 연결되고 화재감지기의 송신패킷을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중계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중계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
In a fire alarm system equipped with a fire detector and a relay device capable of self-diagnosis,
The relay device,
A detector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two-wire lin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one or more fire detectors and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of a half-duplex communication method;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state of one or more fire detectors; And,
When the self-diagnosis executio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second control unit sequentially calls at least one fire detector connected to the two-wire line, analyzes the response signal of the fire detector, and displays the status of the fire detector on the display unit,
The fire detector,
A fire sensor unit that detects whether a fire has occurred or senses temperature or humidity analog data values by detecting heat or smoke; And,
Power communication module consisting of bridge diodes (D1 to D4) and connected to a 2-wire line to rectify a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a relay device to DC power; And,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rectified DC power and convert and supply power required for a fire detector; And,
A transmission unit connected to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and converting the transmission packet of the fire detector into a transmission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a relay device; And,
A fire alarm system comprising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of the dat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는 터치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alarm system, wherein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touch pane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의 상기 수신부는 브릿지 다이오드 중 D1 캐소드와 D2 애노드의 연결부분과 접지 사이의 전압변동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receiver of the fire detector is configured to detect a voltage fluctuation between a connection portion of a D1 cathode and a D2 anode among bridge diodes and a groun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의 상태는 통신상태, 화재감지기의 종류 및 상태 값, 선로
의 단락 유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us of the fire detector is the communication status, the type and status value of the fire detector, and the line
Fire alarm system comprising any on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hort circu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는,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세트되는 타이머;와
화재센서부와 전원통신모듈과 전원부와 송신부와 수신부와 타이머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제어부는 설정시간 동안 화재감지기를 휴면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경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detector,
A timer that is set when the set time elapses;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e sensor unit, the power communication module, the power unit, the transmitting unit, the receiving unit, and a timer,
The first control unit is a fire alarm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he fire detector to the dormant mode for a set time.
KR1020190077468A 2019-06-28 2019-06-28 Fire Alarm System Including a Repeter For self-diagnosis of Fire Detector KR1022068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68A KR102206898B1 (en) 2019-06-28 2019-06-28 Fire Alarm System Including a Repeter For self-diagnosis of Fire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468A KR102206898B1 (en) 2019-06-28 2019-06-28 Fire Alarm System Including a Repeter For self-diagnosis of Fire Det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13A KR20210001413A (en) 2021-01-07
KR102206898B1 true KR102206898B1 (en) 2021-01-22

Family

ID=7412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468A KR102206898B1 (en) 2019-06-28 2019-06-28 Fire Alarm System Including a Repeter For self-diagnosis of Fire De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8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092B1 (en) 2023-03-27 2024-05-14 열두방재(주) Analogue type fire detector and add-on apparatus having fire alarm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657B1 (en) * 2022-05-24 2022-12-13 (주)전원테크 Fire monitoring system with repeater monitoring function
CN115273435A (en) * 2022-07-28 2022-11-01 阳江核电有限公司 Test system and test device of fire detection equipment
KR102576691B1 (en) * 2023-03-30 2023-09-11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Fixed temperature type sensing device with self-test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08B1 (en) 2010-10-25 2012-01-12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Method and p-type fire control panel for testing failure in fire alarm wiring
KR101410033B1 (en) 2014-03-20 2014-06-24 주식회사 엔토피아 Fire Sensing Apparatus having Self- Diagnosis
KR102022992B1 (en) 2019-03-19 2019-09-19 (주)세이프시스템 A Method of self-diagnosis for Fire Detector Using Fire Alarm Repeat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970B1 (en) 2004-07-08 2006-09-14 삼화이오씨알 주식회사 Password method of overcurrent relay
KR100973476B1 (en) * 2008-03-03 2010-08-03 동 훈 김 Automatic Fire Detection and Alarm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08B1 (en) 2010-10-25 2012-01-12 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Method and p-type fire control panel for testing failure in fire alarm wiring
KR101410033B1 (en) 2014-03-20 2014-06-24 주식회사 엔토피아 Fire Sensing Apparatus having Self- Diagnosis
KR102022992B1 (en) 2019-03-19 2019-09-19 (주)세이프시스템 A Method of self-diagnosis for Fire Detector Using Fire Alarm Repe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092B1 (en) 2023-03-27 2024-05-14 열두방재(주) Analogue type fire detector and add-on apparatus having fire alarm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413A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898B1 (en) Fire Alarm System Including a Repeter For self-diagnosis of Fire Detector
KR102022995B1 (en) Fire Detecter For self-diagnosis and high speed scanning
KR102022992B1 (en) A Method of self-diagnosis for Fire Detector Using Fire Alarm Repeater
CN102497274A (en) Power sourcing equipment having auto-zero circuit for determining and controlling output current
US7119678B2 (en) Wireless light sensor input to a security system
US7652483B2 (en) Network device, network connection detector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US20110217875A1 (en) Receptacl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anaging method thereof
KR102022986B1 (en) A Method For high speed scanning with Fire Detecter
EP2955806B1 (en) Protective relaying system and method for gathering data using thereof
CN102385358A (en) Multiple-network integrated intelligent internet-of-things center
KR101734462B1 (en) Remote managing method and apparatus of parking facility
KR20120087257A (en) Smart outlet and wireless electric power sav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0358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transmission apparatus
KR100877420B1 (en) Repeater of fire managing system monitoring detector condition and method for managing fire thereof
KR102160560B1 (en) system for fire receiver based on IoT
JP5190939B2 (en)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system
CN110573838A (en) Method for operating a supply system
KR100959098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feedback signal, power detecting apparatus therefor, and method therefor
JP3803075B2 (en)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system
US112723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CN109835787B (en) Remot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faults
KR100511950B1 (en) Error Checking System for Network Enable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789761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feedback signal, power detecting apparatus therefor, and method therefor
JP6618003B2 (en) Automatic fire alarm system slave unit, master unit, and automatic fire alarm system using the same
US11501631B2 (en) Fire alarm system and boo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