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373B1 -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373B1
KR102206373B1 KR1020140018525A KR20140018525A KR102206373B1 KR 102206373 B1 KR102206373 B1 KR 102206373B1 KR 1020140018525 A KR1020140018525 A KR 1020140018525A KR 20140018525 A KR20140018525 A KR 20140018525A KR 102206373 B1 KR102206373 B1 KR 10220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rrection
input
handwriting input
hand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385A (ko
Inventor
김도현
안희범
장원석
황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155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70443B1/en
Priority to US14/186,805 priority patent/US9922014B2/en
Priority to CN201410163962.9A priority patent/CN104850254A/zh
Publication of KR20140105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37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에 있어서; 필기 모드시에,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교정 모드 조작이 있을 경우에, 교정 모드로 진입하여,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필기 입력된 내용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며, 해당 교정부호에 미리 설정된 편집 내용을 적용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CONTENTS CREATING METHOD AND APPARATUS BY HANDWRITING INPUT WITH TOUCH SCREE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등)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전자 펜(electronic pen)의 터치 상태를 입력으로 감지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핸드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태블릿 PC, 개인용 네비게이션 기기, 휴대용 게임기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소지 가능하도록 제조되는 휴대 단말기는 그 제한된 크기로 인하여 상하좌우 이동을 조작받기 위한 사방향 버튼 등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의 스크린 터치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즉, 터치스크린)를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널리 제공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전자펜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이때의 터치 입력 방식에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를 들어, 전자 펜)과의 접촉에 의한 터치 입력 방식과, 호버링(hovering)과 같은 비접촉 상태로의 입력 방식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터치 입력 방식은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전자펜을 이용한 터치 입력 방식은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입력 방식에 비해, 보다 정밀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므로, 필기 입력이나 스케치 등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시에 보다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예를 들어, 메모, 메시지, 일반 문서 등)의 작성 방식은 종래의 전통적인 자판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식과 비교하여 내용 작성의 자유도가 높으며, 보다 직관적이며 신속한 입력이 가능하고, 또한, 필기한 내용에 대한 문자 인식 기술의 향상으로 인해, 그 활용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식에서 작성 중인(또는, 작성한) 컨텐츠는 통상 이미지 파일로 처리되거나, 문자 인식을 통한 텍스트 파일로 처리되고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의 내용 편집에 대한 기술은 인식한 문자 위주의 간단한 첨삭 정도를 제공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에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하며,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에 필기 입력에 기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에 있어서; 필기 모드시에,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교정 모드 조작이 있을 경우에, 교정 모드로 진입하여,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필기 입력된 내용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며, 해당 교정부호에 미리 설정된 편집 내용을 적용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교정 모드로 진입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과정은,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입력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들 중에서 매칭되는 교정부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확인된 교정부호 외의 필기 내용은 교정용 컨텐츠 내용으로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한 교정부호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교정 기능 및 상기 교정용 컨텐츠 내용에 따라 현재 필기 입력 내용을 교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정된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는 것은, 교정모드 진입시에, 미리 설정된 초기 N개(예를 들어, 1개)의 획을 교정부호로 확인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교정부호는 내용 삽입을 가리키는 '삽입 교정부호'와, 내용 대체를 가리키는 '대체 교정부호'와, 필기 내용들 중에서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에 해당하는 부위의 기울기를 교정하는 것을 가리키는 '기울기 교정부호'와, 문단 정렬을 가리키는 '문단 정렬 교정부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또는 대체 교정부호에 다른 교정 동작시, 삽입 또는 대체되는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를 미리 입력된 필기 내용과 매칭되도록 상기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은, 필기 입력을 위한 화면에 미리 설정되는 메뉴바에서 교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미리 마련된 메뉴 항목의 선택이거나, 또는, 전자펜의 조작 버튼의 입력 또는 전자펜의 조작 버튼의 입력 유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안은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에 사용자에게 보다 유용하며,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필기 입력에 기반한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 화면과 종래의 필기 입력 화면의 비교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 필기 내용 편집을 위한 예시 화면들
도 6a, 도 6b 및 도 7은 도 5 중 필기 편집시 '삽입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
도 8a 및 도 8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대체(삭제 및 삽입)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기울기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
도 11a 및 도 11b는 도 5 중 '문단 정렬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
도 12는 도 5의 필기 내용 편집을 위한 상세 예시 화면들
도 13은 도 5 중 교정 영역 확대 동작을 수행한 예시 화면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 교정 부호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휴대 단말기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는 제어부(10), 무선통신부(11), 터치스크린(12), 키입력부(14), 저장부(15) 및 오디오 처리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은 휴대 단말기(1)에서 출력되는 출력 정보에 대한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 패널(120)과, 사용자에 의한 각종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 감지 패널(1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120)은 통상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서 PMOLED 또는 AMOLED)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력 감지 패널(130)과 구조적으로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20)은 해당 휴대 단말기(1)의 각종 동작 상태, 메뉴 상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등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입력 감지 패널(130)은 손가락, 전자펜(2; 이하 동일한 의미로서 '펜'으로도 약칭함) 등의 각종 물체를 이용한 사용자의 싱글 또는 멀티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필기 입력, 드로잉 입력 등의 각종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널로 구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 패널(130)은 손가락 입력 감지 및 전자펜 입력 감지가 모두 가능한 하나의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손가락 입력 감지가 가능한 손 감지 패널(134)과 전자펜 입력 감지가 가능한 펜 감지 패널(132)과 같이 두 개의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손 감지 패널(134)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손 감지 패널(134)은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손 감지 패널(134)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한다. 이때, 감지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 패널(1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손 감지 패널(134)은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손 감지 패널(134)은 사용자의 인체(예를 들어, 손가락)를 비롯하여 물리적인 도구 등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손 감지 패널(134)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 구성된 경우 손 감지 패널(134)은 유리의 양면에 얇은 금속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ITO(Indium Tin Oxide:산화 인듐주석) 막 등)을 코팅하여 유리표면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유전체로 코팅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손 감지 패널(134)에 물체에 의해 표면이 터치되면 정전기에 의해 일정량의 전하가 접촉 위치로 이동하고, 손 감지 패널(134)은 전하의 이동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인식해서 터치된 위치를 감지하게 되고 터치 이벤트를 추적한다. 여기서 손 감지 패널(134)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나, 정전용량변화를 가할 수 있는 다른 물체 예를 들면, 정전 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펜 감지 패널(132)은 전자펜(2)(예컨대, 스타일러스 펜, 디지타이저 펜)의 운용에 따른 전자펜의 근접 입력 또는 접촉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자펜 근접 이벤트 또는 전자펜 접촉 이벤트를 출력한다. 이러한 펜 감지 패널(132)은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전자기 공명)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펜 감지 패널(132)은 복수의 루프 코일이 미리 정해진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그리드 구조를 가지는 전자 유도 코일 센서(미도시)와 전자 유도 코일 센서의 각 루프 코일에 순차적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펜 감지 패널(132)의 루프 코일 근방에 공진회로를 내장하는 전자펜(2)이 존재하면, 해당 루프 코일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가 전자펜 내의 공진회로에 상호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전류를 기초로 하여, 전자펜 내의 공진 회로를 구성하는 코일로부터 유도 자계가 발생하게 되고, 펜 감지 패널(132)은 이 유도 자계를 신호 수신 상태에 있는 루프 코일에서 검출하게 되어 펜의 접근 위치 또는 터치 위치가 감지된다. 펜 감지 패널(132)을 통해서는 전자 유도에 기초한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체라면 접근 및 터치의 감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펜 감지 패널(132)은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활성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펜 감지 패널(132)은 표시 패널(120)의 하부에 일정 면적, 예를 들면 표시 패널(132)의 표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EMR 방식에 따른 전자펜(2)의 구성의 일 예시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자펜(2)은 터치스크린 상의 접촉 또는 호버링 상태에 따라 다른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기준 공진 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공진 회로 및, 메인 공진 회로와 연결되어, 메인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가변하는 접촉 가변 공진 회로가 구비된다. 접촉 가변 공진 회로는 전자 펜(2)에서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전자 펜의 끝 부분(tip)이 터치스크린과 접촉시 등과 같이, 접촉 압력에 따라 가변되는 인덕턴스 값을 가지는 가변 인덕터 성분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접촉 압력에 따라 가변되는 커패시턴스 값을 가지는 가변 커패시터 성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가변 공진 회로에 의해서, 전자 펜(2)과 터치스크린(12) 상의 접촉 또는 호버링 상태에 따라 메인 공진 회로에서 발생되는 공진 주파수는 얼마간의 차이가 있게 되며, 펜 감지 패널(132)에서 이러한 공진 주파수의 차이를 감지하여 전자 펜(2)이 터치스크린(12)과 접촉 상태인지 또는 호버링 상태인지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자 펜(2)에는 별도로 외부에 사용자 입력 조작이 가능하게 마련된 조작 버튼(2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작 버튼(21)의 입력 상태에 따라 메인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를 추가적으로 더 가변하는 버튼 입력 가변 공진 회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입력 가변 공진 회로는 버튼 입력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 인덕터 성분 또는 가변 커패시터 성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버튼 입력 가변 공진 회로에 의해, 펜 감지 패널(132)(또는 별도의 센서)은 전자 펜(2) 조작 버튼(21)의 입력 상태를 파악하게 되고, 조작 버튼(21)의 입력에 따른 미리 설정된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작 버튼(21)의 입력 상태는 전자 펜(2)과 터치스크린(12) 상의 접촉 또는 호버링 상태에 따라 구분되게 파악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무선통신부(11)는 해당 휴대 단말기(1)가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이다. 특히 휴대 단말기(1)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무선통신부(11)는 이동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 기능을 위한 무선 신호 송수신 및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와,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1)는 통신 기능이 요구되는 휴대 단말기(1)의 특정 기능 예를 들면 채팅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통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키입력부(14)는 해당 휴대 단말기(1)의 외관 하우징 등에 기구적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동작 조작을 위한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키로서는, 사이드 키나 별도로 마련된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4)는 휴대 단말기(1)의 턴-온 또는 턴-오프 수행을 위한 버튼 키, 휴대 단말기(1)가 지원하는 기본 화면으로의 복귀를 지원하는 홈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휴대 단말기(1)의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 및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한 마이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 마이크 및 스피커와 마이크를 통해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코덱(codec), 등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기능에 따른 전화 통화 수행시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가청음을 출력하며, 또한 각종 동작에 대응되는 처리음이나, 각종 디지털 오디오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한다.
저장부(15)는 휴대 단말기(1)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15)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및 관련 컨텐츠와, 동작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저장부(15)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을 위한 동작 프로그램인 필기 어플리케이션(150)이 추가로 더 저장됨이 도시되고 있다. 필기 어플리케이션(150)에는 필기 내용 편집을 위해 사용되는 후술할 교정부호 테이블(152)이 미리 저장된다.
제어부(10)는 상기 각 기능부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터치스크린(12)이나 키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기(1)의 동작을 전환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어부(10)는 전자펜(2)을 이용하여 필기 이미지를 입력 받아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관련 동작들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필기 입력 기반의 내용 편집을 위해 필기 입력 내용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고, 해당 교정부호에 미리 설정된 편집 내용을 적용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의 상세한 동작은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동작의 흐름도로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을 위하여 미리 설정된 메뉴 선택 항목의 입력 조작 등을 확인함으로써, 필기 모드 동작이 시작되면, 먼저, 300단계에서는, 펜 감지에 따른 일반 모드에서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이러한 일반 모드의 동작은 펜 감지에 따라 펜 감지 위치의 궤적에 따른 적절한 필기 이미지를 생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이 경우에, 필기 이미지에서 각 획의 굵기, 색상 등도 별도의 메뉴 환경 등에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300단계의 일반 모드에서 필기 입력 내용 표시 동작을 수행 중에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교정 모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조작이 있으면 이를 302단계에서 확인하여, 이후 310단계로 진행한다. 교정 모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작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필기 입력을 위한 화면의 상단에 적절히 설정되는 메뉴바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교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일명 '교정 모드'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메뉴바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설치되는 교정 모드 메뉴 항목을 비롯하여, 다양한 필기 환경 설정을 위한 다수의 메뉴 항목들의 나열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302단계에서, 교정 모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작은,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인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필기 모드 중에서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시에는 교정 모드로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이외에도,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교정 모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조작은,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 상태가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필기 모드 중에서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필기 입력이 있을 경우에 해당 필기 입력을 교정부호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의 동작은 상기 일 실시예의 동작과 병행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310단계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필기 기반의 교정 동작을 수행하는 교정 모드 동작으로서, 필기 입력 내용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또는 교정부호들)를 확인하고, 해당 교정부호에 미리 설정된 편집 내용을 적용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310단계의 교정 모드 동작은 311단계 내지 319단계의 상세 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먼저, 311단계에서는 펜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을 표시하며, 이후 313단계에서는 필기 입력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들 중에서 매칭되는 교정부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경우에 확인된 교정부호 외의 필기 내용은 추가 또는 변경되는 컨텐츠 내용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313단계에서, 매칭되는 교정부호가 없을 경우에는, 해당 필기 내용은 삭제하고 상기 311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교정부호 입력과, 표시 및 확인 동작을 재수행 할 수도 있다.
이후 315단계에서는, 상기 확인한 교정부호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교정 기능을 확인하여 현재 필기 입력 내용을 교정하고, 이후 317단계에서는 교정된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한다.
이후 319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이 없으면, 상기 311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교정 모드 동작을 반복 수행하며,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이 있을 경우에는 교정 모드 동작을 종료하고 이후 320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뉴바의 교정 모드 메뉴 항목이 재차 입력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교정 모드 메뉴 항목의 입력 및 재입력을 통해 교정 모드의 진입 및 해제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319단계에서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은,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재입력인 것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교정 모드 중에서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시에는 이를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인 것으로 간주하여, 필기 모드로 다시 진입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교정 모드 종료 조작은,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 상태가 해제된 것으로, 즉, 조작 버튼(21)이 입력되지 않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즉, 교정 모드 중에서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이 유지되지 않고 해제되면, 곧바로 필기 모드로 다시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필기 모드시에 교정부호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 버튼(21)을 누른 상태에서 교정부호를 입력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310단계에서의 교정 모드 동작이 종료되면, 이후 320단계에서는 미리 설정된 필기 모드 종료 조작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필기 모드 종료 조작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300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과정을 반복 진행하며, 필기모드 종료 조작이 있을 경우에는 필기 모드를 종료한다. 상기 필기 모드 종료 조작은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동작을 종료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메뉴 선택 항목의 입력 조작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작성된 컨텐츠의 저장이나, 메시지 전송 등과 같은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작업 수행 조작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 화면과 종래의 필기 입력 화면의 비교 예시도로서, 도 4의 (a)에는 예를 들어, 메시지 작성시, 종래의 필기 입력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4의 (b)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필기 입력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필기 입력 방식의 일 예에 따르면, 전체 화면에서 미리 설정된 필기 입력 영역(400)에 필기 입력을 할 경우에 이를 문자 인식하여, 인식된 문자를 메시지 표시 영역(420)에 표시한다. 이때, 필기 입력 영역(400)의 상단에는 다수의 메뉴 항목이 구비된 메뉴바(410)가 마련되는데, 메뉴 항목에는 입력 내용의 교정 동작을 위하여 일명 '사이띄기' 메뉴 항목(410a)과, '행바꾸기' 메뉴 항목(410b) 등이 있을 수 있다. 필기 입력시 이러한 교정 동작을 위한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이는 메시지 표시 영역(420)에 인식된 문자들에서 다음 문자의 입력 위치가 변경된다.
이와 같이, 도 4의 (a)에 도시된 방식은 다양한 교정 항목들을 적용하는 것이 어려우며, 적용된 교정 항목들을 사용자가 활용하는 방식도 불편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로이 (다수의 행들에 해당하는 비교적 많은 분량의) 필기 입력을 수행하면서도, 간단히 교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시 필기 내용 편집을 위한 예시 화면으로서, 도 5의 (a)에는 상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기 내용과 동일한 필기 입력을 받은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5의 (b)에서는 해당 필기 내용에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교정부호 및 추가 또는 변경되는 컨텐츠 내용이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5의 (c)에서는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의 필기 입력 화면에 컨텐츠 입력 방식과 마찬가지로 교정부호를 자유로이 필기할 수 있도록 하며, 필기된 교정부호에 따라 필기 내용이 교정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5의 (b)에서는 마치, 다수의 교정부호들 및 교정될 내용이 모두 입력된 후에 교정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론 이러한 동작도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교정부호의 입력에 따른 교정 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각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도 6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일명 '삽입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로서, 도 6a의 (a)에는 입력된 필기 내용에 '삽입 교정'을 위한 교정부호 및 교정될 컨텐츠 내용이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6a의 (b)는 해당 삽입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6b의 (a), (b)에는 각각 상기 도 6a의 (a), (b)의 화면 중 필기 입력 화면 영역이 도시되고 있으며, 도 6b의 (c), (d)에는 각각 도6b의 (a), (b) 중 교정할 필기 내용 및 교정된 필기 내용의 확대 영상이 도시되고 있다.
도 6a에서는, 전체 화면 중에서 필기 입력 화면 영역(600)과 더불어, 필기 입력 화면 영역(600)의 상단에는 다수의 메뉴 항목들이 구비되는 메뉴바(610)가 마련되는데, 메뉴 항목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교정모드로 진입/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메뉴 항목(610a)과, 각각 다른 필기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펜 종류 중에서 특정 펜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항목(610b) 및 필기 입력을 지우기 위한 지우기 메뉴 항목(610c) 등을 비롯하여, 필기 입력을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메뉴 항목이나, 이전 필기 입력 상태로 되돌려진 상태를 되살리기 위한 메뉴 항목이나, 그림파일 삽입 메뉴 항목 등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전자펜(2)의 조작 버튼(21)의 입력 또는 입력 유지 상태를 확인하여 교정모드로 진입/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그럴 경우에는, 상기 교정모드로 진입/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메뉴 항목(610a)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그럴 경우에도 사용자의 조작을 돕기 위하여 상기 교정모드로 진입/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메뉴 항목(610a)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필기 입력한 N개 획으로 교정부호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교정부호를 정의한 제스처 획 개수를 의미하며, N은 1로 설정하여, 교정 모드에서 처음 입력되는 첫번째 획은 교정부호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미리 설정되는 모든 교정부호는 1개의 획만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첫번째 획이 교정부호인 것으로 간주하여 첫번째 입력된 획의 형상과 미리 설정된 다수의 교정부호에 해당하는 형상을 비교하여 어떠한 교정부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게 된다. 물론 이 외에도 획 입력 순서 등의 구분 없이, 문자 인식 방식만으로 미리 설정된 형상의 교정부호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의 교정부호는 일명 '삽입' 교정부호(601)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삽입 교정부호(601)를 인식할 경우에, 삽입 교정부호(601)의 변곡점(601a)을 확인하여,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영통구'로 표시된 바와 같은 추가 내용(602)을 삽입할 위치를 확인한다. 이후, N+1획부터 필기된 입력 글자들을 삽입할 추가 내용(602)으로 간주하여, 상기 삽입 위치에 삽입한다. 물론 이 경우에 삽입될 위치의 기존 필기된 내용들(예를 들어, 우측 위치의 내용,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영통동')은 상기 삽입할 추가 내용(602)과 겹쳐지지 않도록 이동(예를 들어, 우측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때, 이때 기존 필기된 글자들의 크기가 삽입될 글자들의 크기와 다를 수 있으므로, 설정 여부에 따라, 삽입할 위치 주변의 문자들에 대한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추출한 다음, 상기 삽입할 추가 내용(602)을 상기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바탕으로 삽입 위치에 동일한 비율로 확대/축소하여 삽입한다.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영통구'의 내용이 주변 문자들의 높이와 맞도록 보다 확대되어 삽입되는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때, 문자들의 폭이나 간격을 좁히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삽입할 위치 주변의 글자들은 그 자체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기준 라인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입력 글자들의 기울기를 맞추어 삽입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5 중 필기 편집시 일명 '삽입 교정'을 위한 또다른 예시 화면들로서, 삽입할 필기 내용을 주변 글자들의 기준 라인의 기울기와 맞추어 삽입하는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7의 (a), (b)에는 각각 교정부호 및 교정될 컨텐츠 내용이 입력된 상태 및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입력 화면 영역이 도시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v'자 형태의 '삽입' 교정부호(701)를 인식할 경우에, 삽입 교정부호(701)의 변곡점(701a)을 확인하여, '031)'로 표시된 바와 같은 추가 내용(702)을 삽입한다. 이때, 삽입할 위치 주변의 문자들에 대한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추출한 다음, 상기 삽입할 추가 내용(702)을 상기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바탕으로 삽입 위치에 동일한 비율로 확대/축소하여 삽입함과 아울러, 삽입할 위치 주변의 글자들은 그 자체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기준 라인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입력 글자들의 기울기를 맞추어 삽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일명 '대체(삭제 및 삽입)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로서, 도 8a의 (a)에는 입력된 필기 내용에 '대체 교정'을 위한 교정부호 및 교정될 컨텐츠 내용이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8a의 (b)는 해당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8b의 (a), (b)에는 각각 상기 도 8a의 (a), (b)의 화면 중 필기 입력 화면 영역이 도시되고 있으며, 도 8b의 (c)에는 교정할 필기 내용 및 교정된 필기 내용의 확대 영상이 도시되고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원('ㅇ') 형태의 교정부호는 일명 '대체' 교정부호(801)로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대체 교정부호(801)를 인식할 경우에, 대체 교정부호(801)의 점유 영역을 확인하여, 도 8a 및 도 8b의 예에서는, 점유 영역 내의 '영통동'으로 표시된 필기 내용을 '매탄동'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대체 내용(802)으로 대체한다.
이때, 삽입 교정 방식과 유사하게, 대체되는 문자들에 대한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추출한 다음, 상기 대체 내용(802)을 상기 기준 높이(l)와 기준 라인을 바탕으로 삽입 위치에 동일한 비율로 확대/축소하여 삽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일명 '기울기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이다. '기울기 교정은' 필기 내용들 중에서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에 해당하는 부위의 기울기를 교정하는 것이다. 이때, 도 9a 및 도 9b에서는, 기울기 교정 중에서, 특히, 문자열의 기울기가 '0'을 향하도록 하는, 일명 '수평면 정렬' 방식으로 기울기를 교정하는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된다.
도 9a의 (a)에는 입력된 필기 내용에 '기울기 교정'을 위한 교정부호가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9a의 (b)는 해당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9b의 (a) 내지 (g)에는 기울기 교정을 위한 각각의 세부 변환 단계들의 상태에 대한 예들이 도시되고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필기 내용에서 교정부호의 확인시에,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는 형태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기울기 교정부호로 인식한다. 이때 해당 교정부호의 획을 가이드 라인으로 하여 기울기가 0도가 되는 방향으로 각 문자들을 이동 및 회전 변환한다.
이때, 가이드라인에 대응되는 문자들의 무게 중심값들을 이용하여 근사 곡선을 추출한다. 문자들의 무게 중심값은 각 문자별로 해당 문자의 획에 해당하는 픽셀 값들의 평균한 값에 해당한다.
각 문자들이 이동 회전 변환하는 방안은 각 문자들의 중심 위치 x 좌표와 대응되는 근사곡선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각도로 산정하여 이동 및 회전 변환한다. 근사 곡선이 여러 개의 획 좌표들의 조합이라고 가정한다면 문자들의 중심 위치 x좌표에 대응되는 획 좌표에 그 이웃한 점들로부터 기울기 각도를 산정할 수 있다.
도 9b의 (a)에서는 기울기 교정할 문자열이 도시되며, 도 9b의 (b)에서는 문자열들의 각 문자의 무게 중심값을 표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9b의 (c)에서는 이러한 무게 중심값들 간의 근사 곡선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도 9b의(d)에서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가 0인 기준 라인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9b의 (e)에서는 기준 라인에 맞추어 각 문자들의 위치를 이동하며, 회전 변환을 수행한 최종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이외에도, 도 9b의 (d) 및 (e)에서는 기준 라인이 문자열의 아래쪽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상태의 예가 도시되고 있는데, 대응되는 상태인 도 9b의 (f) 및 (g)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라인이 문자열의 중앙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9b에 도시된 근사 곡선이나, 무게 중심값, 기준 라인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으로서, 실제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5 중 필기 편집시 일명 '기울기 교정'을 위한 또다른 예시 화면들로서, 기울기 교정 중에서, 특히, 문자열의 기울기가 해당 문자열의 평균적인 근사 기울기를 향하도록 하는, 일명 '근사 기울기 정렬' 방식으로 기울기를 교정하는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된다.
도 10a의 (a)에는 입력된 필기 내용에 '기울기 교정'을 위한 교정부호가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10a의 (b)는 해당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10b의 (a) 내지 (e)에는 기울기 교정을 위한 각각의 세부 변환 단계들의 상태에 대한 예들이 도시되고 있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필기 내용에서 교정부호의 확인시에,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는 형태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기울기 교정부호로 인식한다. 이때 해당 교정부호의 획을 가이드 라인으로 하여 가이드라인의 근사 기울기에 맞추도록 각 문자들을 이동 및 회전 변환한다.
이때, 가이드라인에 대응되는 문자들의 무게 중심값들을 이용하여 근사 곡선을 추출하고, 근사 곡선의 끝점을 기준으로 근사 직선을 추출한다. 이후, 각 문자들의 중심 위치 x 좌표와 대응되는 근사 곡선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를 각도로 산정하여 이동 및 회전 변환한다. 이때의 이동 변환은 상기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기울기 보정 방식과는 달리, 문자들의 중심 위치 x를 기준으로 대응되는 근사 곡선과 근사 직선의 위치만큼 이동한다.
도 10b의 (a)에서는 기울기 교정할 문자열이 도시되며, 도 10b의 (b)에서는 문자열들의 각 문자의 무게 중심값을 표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10b의 (c)에서는 이러한 무게 중심값들 간의 근사 곡선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도 10b의 (d)에서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근사 직선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10b의 (e)에서는 근사 직선의 기울기에 맞추어 각 문자들의 위치를 이동하며, 회전 변환을 수행한 최종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도 10b에 도시된 근사 곡선이나, 무게 중심값, 근사 직선 등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으로서, 실제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5 중 일명 '문단 정렬 교정'을 위한 예시 화면들로서,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문단 정열 교정 중에서, 특히, '내어 쓰기' 방식으로 문단을 정렬하는 상태의 화면의 예들이 도시된다. 도 11a의 (a)에는 입력된 필기 내용에 '문단 정렬 교정'을 위한 교정부호가 입력된 상태의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11a의 (b)는 해당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이 완료된 상태의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고 있다. 도 11b의 (a) 내지 (d)에는 문단 정렬 교정을 위한 각각의 세부 변환 단계들의 상태에 대한 예들이 도시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필기 내용에서 교정부호의 확인시에, 미리 설정된 문단 정렬에 해당하는 형태를 확인하고, 이를 문단 정렬 교정부호(1101)로 인식하여 해당 문단(줄)을 확인하여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 세부적으로 문단 정렬을 위한 교정부호(1101)를 구성하는 획으로부터 변곡점들을 추출하고, 변곡점들의 가로 위치(x)를 기준으로 정렬할 문단(줄) 영역을 탐지한 후 문단별로 가로 위치를 조정한다.
도 11b의 (a)에서는 문단 정렬 교정 부호(1101)를 확인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11b의 (b)에서는 문단 정렬 교정 부호(1101)에서 변곡점들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11b의 (c)에서는 해당 추출한 변곡점들에 따라 정렬할 문단(줄)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한 상태가 도시되며, 도 11b의 (d)에서는 해당 영역의 위치를 보정한 최종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상기 도 6a 내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교정부호들의 입력 및 이에 따른 교정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2에는 (a) 내지 (k)에서는 이러한 다수의 교정부호들의 입력 및 이에 따른 교정 동작의 각 단계들에 순차적으로 수행될 경우에 각각의 단계들에 해당하는 상세 예시 화면들이 순차적으로 도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교정 모드의 동작시에, 교정부호가 검출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교정부호 주변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교정영역(1200a)으로 설정하여, 해당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교정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3의 (a)에는 교정 모드시에 교정부호가 입력된 상태의 교정영역(1200a) 설정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13의 (b)에는 해당 교정영역(1200a)이 전체 필기 입력 영역으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13의 (c)에는 해당 확대된 교정영역에서 교정할 추가 필기 내용을 입력하는 화면의 예가 도시되며, 도 13의 (d)에서는 교정 작업이 완료되어 화면 크기가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온 예가 도시되고 있다.
또한, 이외에도, 상기의 설명에서는 교정부호 및 관련된 교정 기능에 대해, '삽입 교정', '대체 교정', '기울기 교정', '문단 정렬 교정'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교정부호 및 관련된 교정 기능들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4에는 교정 부호 정보가 기록된 테이블의 예가 도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교정부호 및 관련된 교정 기능으로서, 일명 '사이붙이기', '사이띄기', '행바꾸기'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 입력 및 교정 동작이 전자펜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입력 동작시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현재에도 손가락 등을 이용한 필기 입력 동작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손가락을 이용한 필기 입력 동작시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필기 입력 모드에서 필기 입력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작업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문자 인식된 텍스트나 자판 입력 방식에 따라 입력된 텍스트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서에서도 해당 문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필기 기반의 교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휴대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14)

  1.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에 있어서,
    필기 모드시에,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교정 모드 조작이 있을 경우에, 교정 모드로 진입하여,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필기 입력된 내용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며, 해당 교정부호에 미리 설정된 편집 내용을 적용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교정부호는 필기 내용들 중에서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에 해당하는 부위의 기울기를 교정하는 것을 가리키는 ‘기울기 교정부호’를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 교정부호에 따른 교정 동작은,
    필기 내용에서 다수의 문자들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는 형태를 상기 기울기 교정부호로 인식하며, 상기 인식한 기울기 교정부호의 획을 가이드 라인으로 하여 상기 문자열의 전체 기울기가 가이드 라인의 근사 기울기에 맞추도록 각 문자들을 이동 및 회전 변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모드로 진입하여 필기 내용을 교정하는 과정은,
    필기 입력 감지에 따른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필기 입력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들 중에서 매칭되는 교정부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한 교정부호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교정 기능 및 교정용 컨텐츠 내용에 따라 현재 필기 입력 내용을 교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정된 필기 입력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를 확인하는 것은,
    교정모드 진입시에, 미리 설정된 초기 N개의 획을 교정부호로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은 1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호는 내용 삽입을 가리키는 '삽입 교정부호'와, 내용 대체를 가리키는 '대체 교정부호'와, 문단 정렬을 가리키는 '문단 정렬 교정부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교정부호에 다른 교정 동작시, 삽입되는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를 미리 입력된 필기 내용과 매칭되도록 상기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교정부호에 다른 교정 동작시, 대체되는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를 미리 입력된 필기 내용과 매칭되도록 상기 교정 컨텐츠 내용의 크기 또는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입력에서 미리 설정된 교정부호들 중에서 매칭되는 교정부호가 있는지 여부의 확인시 확인된 교정부호 주변의 미리 설정된 영역을 교정영역을 설정하여 확대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11.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은, 필기 입력을 위한 화면에 미리 설정되는 메뉴바에서 교정 모드로 진입하기 위해 미리 마련된 메뉴 항목의 선택임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12.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정 모드 조작은, 전자펜의 조작 버튼의 입력 또는 전자펜의 조작 버튼의 입력 유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에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
  14. 제13항의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40018525A 2013-02-22 2014-02-18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 KR102206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5898.1A EP2770443B1 (en) 2013-02-22 2014-02-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US14/186,805 US9922014B2 (en) 2013-02-22 2014-02-21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CN201410163962.9A CN104850254A (zh) 2013-02-22 2014-04-23 用于通过触摸屏上的书写输入产生内容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9338 2013-02-22
KR1020130019338 2013-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85A KR20140105385A (ko) 2014-09-01
KR102206373B1 true KR102206373B1 (ko) 2021-01-22

Family

ID=5136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525A KR102206373B1 (ko) 2013-02-22 2014-02-18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6373B1 (ko)
CN (1) CN1040079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0443B1 (en) * 2013-02-22 2023-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KR102393295B1 (ko) 2014-09-18 2022-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스타일링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53676B1 (ko) * 2014-11-03 2021-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싱 시스템과 그 구동 방법
US10169648B2 (en) * 2015-01-28 2019-01-01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handwriting character
CN108008845A (zh) * 2017-11-13 2018-05-08 上海雷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在电子墨水屏中实现文档的修订方法及电磁笔记本
CN108628455B (zh) * 2018-05-14 2021-10-15 中北大学 一种基于触摸屏手势识别的虚拟沙画绘制方法
CN111142985A (zh) * 2019-11-28 2020-05-12 南京艾凯特光电科技有限公司 光写入文本输出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20017231A (ko)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필기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438A (ja) * 2000-10-27 2002-05-10 Sharp Corp 手書入力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手書入力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7316754A (ja) * 2006-05-23 2007-12-06 Canon Inc 手書文字処理装置及び手書文字処理方法
US20080019591A1 (en) * 2006-07-19 2008-01-24 Fujitsu Limited Freehand input method, freehand input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0073185A (ja) * 2008-09-16 2010-04-02 Sharp Corp 入力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7588A (en) * 1988-01-04 1989-05-09 William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turbine nozzle
US5481278A (en) * 1992-10-21 1996-01-02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408518B1 (ko) * 2001-04-12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용 전자펜 데이타 입력장치 및 좌표 측정 방법
US7382358B2 (en) * 2003-01-16 2008-06-03 Forwo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KR100823083B1 (ko) * 2006-02-09 2008-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문서 표시장치의 문서 교정 방법 및그 장치
CN101082836A (zh) * 2007-06-29 2007-12-05 华中科技大学 一种整合语音输入和手写输入功能的汉字输入***
EP2053497A1 (en) * 2007-10-26 2009-04-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Text selection u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1751174B (zh) * 2008-12-12 2011-10-12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手写笔倾角校正方法
KR101623213B1 (ko) * 2009-12-24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80973B1 (ko) * 2011-03-15 2012-09-07 주식회사 솔라리스 터치펜 기능을 갖는 필기구
US8094941B1 (en) * 2011-06-13 2012-01-10 Google Inc. Character recognition for overlapping textual user inpu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438A (ja) * 2000-10-27 2002-05-10 Sharp Corp 手書入力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手書入力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7316754A (ja) * 2006-05-23 2007-12-06 Canon Inc 手書文字処理装置及び手書文字処理方法
US20080019591A1 (en) * 2006-07-19 2008-01-24 Fujitsu Limited Freehand input method, freehand input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0073185A (ja) * 2008-09-16 2010-04-02 Sharp Corp 入力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85A (ko) 2014-09-01
CN104007925B (zh) 2021-01-01
CN104007925A (zh)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373B1 (ko) 터치스크린에서 필기 입력을 통한 컨텐츠 작성 방법 및 장치
US99220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ents through writing input on touch screen
KR102184288B1 (ko) 입력 유닛에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102178845B1 (ko) 햅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9977497B2 (en)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set by a user in a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KR102189787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입력 처리 방법
US9898186B2 (e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pen and handwriting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20150068330A (ko) 터치 입력의 압력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EP2770422A2 (en) Method for providing a feedback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nd a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JP2018077867A (ja) 携帯端末機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および装置
KR102155836B1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객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EP3002664A1 (en) Text processing method and touchscreen device
KR20140115836A (ko)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JP2019514097A (ja) 文字列に文字を挿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対応するデジタルデバイス
KR20130034765A (ko) 휴대 단말기의 펜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102663B1 (ko)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US201501067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display
KR102073024B1 (ko) 사용자 단말에서 메모 편집장치 및 방법
KR20160018269A (ko) 디바이스 및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20150007577A (ko) 데이터 병합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CN103383630A (zh) 用于输入触摸的方法以及触摸显示装置
KR20160055552A (ko) 메모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JP7036862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194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electronic document in mobile terminal
CN102467297A (zh) 具文本输入功能的电子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