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005B1 -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005B1
KR102206005B1 KR1020197037188A KR20197037188A KR102206005B1 KR 102206005 B1 KR102206005 B1 KR 102206005B1 KR 1020197037188 A KR1020197037188 A KR 1020197037188A KR 20197037188 A KR20197037188 A KR 20197037188A KR 102206005 B1 KR102206005 B1 KR 102206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light
wall
partition wall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888A (ko
Inventor
토루 아사미
타카히로 토리우미
Original Assignee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4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1Level gauges for beverage storag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47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01F23/292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1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of liquid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5Froth control promo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18Heating an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146Component storage means
    • B67D2210/00149Fixed containers to be filled in situ
    • B67D2210/00152Automatically
    • B67D2210/00157Level detected electrically by contact with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01F23/292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 G01F23/2921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for discrete levels
    • G01F23/2922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for discrete levels with light-conducting sensing elements, e.g. pr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액체 음료의 유무 또는 잔량을 검지하는 검지 장치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검지 장치에서의 외기(外氣)의 진입에 기인하는 동작 불량의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한다. 음료 공급 장치(100)는, 냉각 장치(6)와, 냉각 장치(6)의 저장실(庫室; 6a) 내에 수용되는 밀크 탱크(5)와, 밀크의 유무 또는 잔량을 검지하는 검지 장치(7)를 구비한다. 검지 장치(7)는, 저장실(6a)을 구획하는 다층 구조의 박스체로 이루어진 격벽(12)의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1 도광체(7c)와, 격벽(12)의 제1 도광체(7c)와 대향하는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2 도광체(7d)와, 제1 도광체(7c)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되어 광을 제1 도광체(7c)를 통해 투광하는 투광부(7a)와, 제2 도광체(7d)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되어 밀크 탱크(5) 내부를 투과한 광을 제2 도광체(7d)를 통해 수광 가능한 수광부(7b)를 가지며, 수광부(7b)의 수광 상태에 근거하여 밀크의 유무 또는 잔량을 검지한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액체 음료 탱크 내의 액체 음료를 포함하는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단열벽이나 개폐 도어 등에 의해 구획된 고실(庫室)(이하, 저장실이라고 함)을 내부에 갖는 냉장부(이하, 냉각 장치라고 함)와, 저장실 내에 수용되는 밀크 팩 등의 밀크 용기(이하, 액체 음료 용기라고 함)를 구비하며, 저온 저장된 밀크를 공급하는, 밀크의 공급 장치(이하, 음료 공급 장치라고 함)가 개시(開示)되어 있다. 이 음료 공급 장치는, 액체 음료 용기 내의 밀크의 잔량을 측정하는 측정기를 더 구비하며, 밀크의 잔량을 모니터링하여, 액체 음료 용기의 교환을 관리자 등에게 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기로서는, 정전용량형의 센서나 중량계가 채용되고 있다. 상기 정전용량형의 센서는, 액체 음료 용기의 측면에 부착되어, 밀크의 잔량에 따라 변화하는 밀크의 정전용량을 액체 음료 용기의 외측으로부터 검출함으로써 밀크의 잔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중량계는, 저장실 내에 설치되어, 중량계 상에 놓여진 액체 음료 용기의 중량 변화에 근거하여 밀크의 잔량을 측정한다.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5-66314호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밀크의 잔량을 측정하는 측정기(정전용량형의 센서나 중량계)는, 모두, 개폐 도어를 갖는 냉각 장치의 저장실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액체 음료 용기의 교환 시 등에 있어서, 관리자 등이 개폐 도어를 열면, 저장실 내로의 외기(外氣)의 진입에 의해 측정기의 외면이나 내부 등에 결로수가 부착되며, 이 결로수에 기인하여, 측정기의 검지 동작 불량이나 파손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는, 밀크의 공급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액체 음료나 액체 음료와 공기의 혼합 음료 등의 액체 음료를 포함하는 음료의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공통되는 과제이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상기 측정기는, 밀크의 잔량을 측정(검지)하고 있지만, 단지 밀크 등의 액체 음료의 유무를 검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과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상을 감안하여, 액체 음료의 유무 또는 잔량을 검지하는 검지 장치이며, 냉각 장치의 저장실 내로의 외기 진입에 기인하는 검지 동작 불량이나 파손의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검지 장치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저장실(庫室)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저장실 내의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상기 저장실 내에 수용되는 액체 음료 용기와, 상기 액체 음료 용기 내의 액체 음료의 유무 또는 잔량을 검지하는 검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된 상기 액체 음료를 포함하는 음료를 외부로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다층 구조를 갖는 박스체이며, 그 일측부에 소정의 폐색(閉塞) 부재에 의해 폐색되는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제1 도광체와, 상기 제2 도광체와, 상기 투광부와, 상기 수광부를 가지며, 상기 수광부에 있어서의 수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액체 음료의 유무 또는 잔량을 검지한다. 상기 제1 도광체는, 상기 격벽의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 도광체는, 상기 격벽의 상기 제1 도광체와 대향(對向)하는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투광부는, 상기 제1 도광체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되어, 광(光)을 상기 제1 도광체를 통해 상기 액체 음료 용기를 향해 투광한다. 상기 수광부는, 상기 제2 도광체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액체 음료 용기의 내부를 투과한 광을 상기 제2 도광체를 통해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음료 용기는, 적어도 상기 제1 도광체 및 상기 제2 도광체에 대응하는 부위가 광을 투과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하나의 측면에 의한 상기 음료 공급 장치에서는, 상기 냉각 장치의 상기 저장실은, 다층 구조를 갖는 동시에 일측부에 소정의 폐색 부재에 의해 폐색되는 개구부를 갖는 박스체로 이루어진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격벽의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제1 도광체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되는 상기 투광부에 의해, 광을 상기 제1 도광체를 통해 상기 액체 음료 용기를 향해 투광한다. 나아가, 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격벽의 상기 제1 도광체와 대향하는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제2 도광체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되는 상기 수광부에 의해, 상기 액체 음료 용기의 내부를 투과한 광을 상기 제2 도광체를 통해 수광 가능하며, 상기 수광부에 있어서의 수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액체 음료 용기 내의 액체 음료의 유무 또는 잔량을 검지한다. 즉, 상기 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상기 제1 도광체를 통해 상기 저장실을 구획하는 상기 박스체로 이루어진 상기 격벽의 외부로부터 상기 저장실 내부를 향해 광을 투광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수광부는 상기 제2 도광체를 통해 상기 박스체로 이루어진 상기 격벽의 외부에서 상기 액체 음료 용기의 내부를 투과한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수광부가 모두 상기 박스체로 이루어진 상기 격벽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컨대, 상기 액체 음료 용기의 교환 시 등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로 외기가 진입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수광부가 모두 상기 격벽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투광부 및 상기 수광부로의 결로수의 부착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그 결과, 상기 검지 장치에 있어서의 검지 동작 불량이나 파손의 발생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액체 음료의 유무 또는 잔량을 검지하는 검지 장치이며, 냉각 장치의 저장실 내로의 외기 진입에 기인하는 검지 동작 불량이나 파손의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 가능한 검지 장치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료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상기 음료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배관 회로도이다.
도 3은, 상기 음료 공급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음료 공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음료 공급 장치의 냉각 장치 및 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검지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검지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음료 공급 장치의 기본 구성]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음료 공급 장치(100)의 배관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음료 공급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상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화살표 A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100)가 커피 서버(5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커피 서버(50)의 옵션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커피 서버(50)는, 예컨대, 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고, 추출한 커피를 컵(C)에 넣어 제공하는 것이다. 커피 서버(50)는, 고객 등의 요구에 따라, 추출한 커피에 액체 음료로서의 액상 밀크(이하, 간단히 밀크라고 함)나 밀크 폼(즉, 점조도(粘稠度)가 비교적 낮은, 밀크와 공기의 혼합 음료)이나 휘핑 밀크(즉, 점조도가 높은, 밀크와 공기의 혼합 음료)를 더하여, 기호에 맞는 커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음료 공급 장치(100)는, 밀크 또는 밀크와 공기의 혼합 음료를 각각 따뜻하게 한 상태 또는 차갑게 한 상태로 공급 가능한 장치이며, 장치의 외각(外殼)을 이루는 케이스(1)와, 제어부(2)와, 장치 본체부(3)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공급 장치(100)는, 커피 서버(50)에 설치되는 컵(C) 내에, 밀크 또는 혼합 음료, 즉, 밀크를 포함하는 음료를 외부(커피 서버(50))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1)는, 예컨대, 대략 세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체(도시 생략)와 그 프레임체에 부착되는 복수의 외장 커버(1a) 등으로 이루어진 박스체이다. 제어부(2) 및 장치 본체부(3)는, 케이스(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자세하게는, 케이스(1)의 전후 방향의 전단부(前端部)(자세하게는, 음료 공급 장치(100)의 관리자의 조작면측 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이 케이스(1)의 전단부에는, 그 개구부를 개폐하여 폐색할 수 있는 도어(4)(도 3 및 도 4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관리자는 상기 도어(4)를 개방함으로써, 후술하는 밀크 탱크(5)의 교환이나 밀크 탱크(5) 내로의 밀크의 보충 등의 작업을 행한다.
제어부(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부(3)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2)는, 예컨대, 커피 서버(50)로부터의 명령에 근거하여, 밀크 또는 혼합 음료를 각각 따뜻하게 한 상태 또는 차갑게 한 상태로 공급하도록, 장치 본체부(3)의 각 기기(후술하는, 냉각 장치(6), 가열 장치(8), 펌프(9), 물 공급 장치(10), 에어 공급 장치(11), 개폐 밸브(V1) 및 전환 밸브(V2)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음료 공급 장치(100)는, 제어부(2)에 따뜻한 밀크의 공급 명령(S1)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따뜻한 밀크를 공급하고, 제어부(2)에 따뜻한 혼합 음료의 공급 명령(S2)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따뜻한 혼합 음료를 공급하고, 제어부(2)에 차가운 밀크의 공급 명령(S3)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차가운 밀크를 공급하고, 제어부(2)에 차가운 혼합 음료의 공급 명령(S4)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차가운 혼합 음료를 공급하도록, 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음료 공급 장치(100)는, 제어부(2)에 어느 공급 명령(S1∼S4)도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치 본체부(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크 탱크(5)와, 냉각 장치(6)와, 검지 장치(7)와, 가열 장치(8)와, 펌프(9)와, 물 공급 장치(10)와, 에어 공급 장치(11)를 포함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장치 본체부(3) 중 가열 장치(8)와 펌프(9)와 에어 공급 장치(11)에 대해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밀크 탱크(5)는, 액체 음료로서의 밀크를 저류(貯留)하는 탱크이며, 냉각 장치(6)(자세하게는, 후술하는 저장실(6a)) 내에 수용되어, 밀크를 적절한 저온하에서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크 탱크(5)는, 그 전체가 광을 투과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자세하게는, 밀크 탱크(5)는, 투명한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사출 성형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크 탱크(5)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음료 용기」에 해당한다.
냉각 장치(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12)에 의해 구획되는 저장실(6a)을 갖는 동시에 저장실(6a) 내의 공기를 냉각하는 것이다. 냉각 장치(6)는, 밀크 탱크(5)를 저장실(6a) 내에 수용하여, 저장실 온도를 적절한 저온 설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각 장치(6)의 저장실 온도는, 예컨대, 10℃ 미만, 자세하게는, 2∼3℃의 범위로 유지되도록 제어되고 있다. 또한, 냉각 장치(6)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 중의 도어(4)의 부착단부(즉, 케이스(1)의 전단부)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냉각 장치(6)의 격벽(12)은, 다층 구조를 갖는 박스체이며, 일측부(도면에서는 전단부)에 도어(4)에 의해 폐색되는 개구부(121)를 갖는 박스체로 이루어진다. 자세하게는, 격벽(12)은, 냉각 장치(6)의 외각을 이루는 것이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냉각 장치(6)는, 저장실(6a)과 구획된 기계실을 내부에 가지고 있다. 이 기계실에는, 저장실(6a)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유닛 등의 기기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4)가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폐색 부재」에 해당한다. 또한, 격벽(12)의 상기 다층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검지 장치(7)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크 탱크(5) 내의 밀크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이며, 밀크 탱크(5)를 향해 광을 투광하는 투광부(7a)와, 밀크 탱크(5)를 투과한 광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부(7b)와, 도시가 생략된 검지부를 포함하며, 수광부(7b)에 있어서의 수광 상태에 근거하여 밀크의 유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투광부(7a)는, 예컨대,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제어부(2)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발광한다. 수광부(7b)는, 예컨대, 수광 소자로 이루어지며, 광의 수광 강도에 따른 신호를 상기 검지부에 출력한다. 상기 검지부는, 예컨대, 제어부(2)에 내장되어, 수광부(7b)로부터의 신호 레벨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즉, 수광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하인 경우)에, 밀크가 있음을 검지하고, 수광부(7b)로부터의 상기 신호 레벨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즉, 수광 강도가 상기 소정의 레벨을 초과한 경우)에, 밀크가 없음을 검지한다. 제어부(2)는, 검지 장치(7)의 상기 검지부에 의해 밀크가 없다는 검지 결과가 얻어진 경우, 예컨대, 경고음이나 경고표시등에 의해 밀크 탱크(5) 내에 밀크가 없음을 알리는 동시에 밀크의 공급을 강제적으로 중지하고, 관리자에게 밀크 탱크(5)의 교환을 촉구한다. 또한, 「밀크 없음」이란, 밀크가 밀크 탱크(5) 내에 전혀 없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밀크의 잔량이 적게 남아 있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투광부(7a) 및 수광부(7b)의 부착 구조 및 부착 위치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가열 장치(8)는, 밀크 또는 혼합 음료를 따뜻하게 데우기 위한 장치이다. 가열 장치(8)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크 탱크(5)와 음료 토출구(13)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밀크 유통로(음료 유통로)(L1)의 도상(途上)에 배치된다. 가열 장치(8)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밀크 유통로(L1)로 유통되는 밀크 또는 혼합 음료를 가열하는 열원부(熱源部)를 가지고 있다. 밀크 유통로(L1)는, 밀크 탱크(5) 내에 배치된 스트레이너(strainer)(14)와 음료 토출구(13)와의 사이를 접속하여, 주로 밀크나 혼합 음료를 유통시키는 유로이다.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가열 장치(8)는, 상기 열원부를 우회하는 바이패스관을 가지고 있다. 가열 장치(8)는, 유입되는 밀크 또는 혼합 음료를 상기 바이바스관을 경유하여 가열하지 않고 그대로 유출시키는 동작과, 유입되는 밀크 또는 혼합 음료를 상기 열원부를 경유하여 가열해서 유출시키는 동작을, 제어부(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배수관(L2)이 밀크 유통로(L1) 중의 가열 장치(8)와 음료 토출구(13)와의 사이의 유통로의 소정 부위(도 2에서는 후술하는 전환 밸브(V2)가 접속되어 있는 부위)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음료 토출구(13)는, 예컨대, 밀크나 혼합 음료가 토출되는 노즐부이며, 컵(C)의 상방에 배치된다.
펌프(9)는, 주로 밀크 탱크(5)로부터 밀크를 흡인하여 토출하는 것이며, 밀크 유통로(L1)에 있어서의 가열 장치(8)보다 밀크 탱크(5)측의 소정 부위에 설치된다.
물 공급 장치(10)는, 예컨대, 밀크나 혼합 음료를 공급한 후에 밀크 유통로(L1) 내부를 헹구어 세정하기 위한 물(헹굼수)을, 물 유통로(L3)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물 공급 장치(10)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물을 저류하는 물탱크나, 제어부(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하는 펌프나 전자 구동식의 개폐 밸브 등을 구비하고 있다. 물 유통로(L3)는, 일단부(一端部)가 물 공급 장치(10)에 접속되고, 타단부(他端部)가 밀크 유통로(L1)에 있어서의 펌프(9)와 스트레이너(14)와의 사이의 소정 부위(이하, 접속부(Z1)라고 함)에 접속된다. 물 공급 장치(10)는, 접속부(Z1)를 경유하여 물을 밀크 유통로(L1) 내로 공급한다.
에어 공급 장치(11)는, 혼합 음료의 생성이나 밀크 유통로(L1) 내부 등의 에어 퍼지 등의 공기를, 공기 유통로(L4)를 통해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에어 퍼지는, 밀크 유통로(L1) 등의 배관 내에 공기를 힘차게 유통시킴으로써, 배관 내부의 물 등을 날려 버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실행된다. 상기 에어 퍼지용으로 필요한 공기의 양(유량)은, 혼합 음료 생성용으로 필요한 공기의 양(유량)보다 많기 때문에, 예컨대, 혼합 음료의 생성 시에 있어서, 공기의 양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에어 공급 장치(11)는, 밀크 유통로(L1)에 공급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 공급 장치(11)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제어부(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구동하며 토출 유량이 가변(可變)되는 공기 공급용 펌프나, 마찬가지로 제어부(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작동하는 전자 구동식의 개폐 밸브 등을 구비하고 있다. 공기 유통로(L4)는, 일단부가 에어 공급 장치(11)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물 유통로(L3)의 소정 부위(이하, 접속부(Z2)라고 함)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부(Z2)로부터 물 유통로(L3) 내로 공급된 공기는, 물 유통로(L3) 중의 접속부(Z2)와 접속부(Z1)와의 사이의 유로로 유통되며, 최종적으로 접속부(Z1)를 경유하여 밀크 유통로(L1) 내로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공급 장치(100)는, 에어 공급 장치(11)를 작동시켜(자세하게는, 추가로, 후술하는 개폐 밸브(V1)를 개방시켜) 밀크 유통로(L1)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동시에 펌프(9)를 구동시킴으로써, 밀크와 공기의 혼합 음료를 생성하고, 이 혼합 음료를 음료 토출구(13)로부터 토출하여 컵(C) 내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밀크 유통로(L1) 및 물 유통로(L3)에 설치되는 각 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밀크 유통로(L1)에는, 밀크 탱크(5)측으로부터 음료 토출구(13)를 향해 순서대로, 스트레이너(14), 개폐 밸브(V1), 펌프(9), 가열 장치(8), 및, 전환 밸브(V2)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Z1)는 개폐 밸브(V1)와 펌프(9)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개폐 밸브(V1)는, 밀크 유통로(L1)를 개폐하는 밸브이며, 예컨대, 초기 상태(전원 OFF)에서 폐쇄(NC; normal close)되어 있는 전자밸브로 이루어진다.
전환 밸브(V2)는, 밀크 유통로(L1)로 유통되는 밀크 등의 토출처를 음료 토출구(13)와 배수관(L2)으로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밸브이며, 예컨대, 전자 구동식의 삼방(三方) 밸브로 이루어진다. 전환 밸브(V2)는, 예컨대, 초기 상태(전원 OFF)에서는, 배수관(L2)측으로의 유통을 허용하는 동시에 음료 토출구(13)측으로의 유통을 저지하고 있다. 그리고, 전환 밸브(V2)는, 통전(通電) 상태(전원 ON)에서는, 배수관(L2)측으로의 유통을 저지하는 동시에 음료 토출구(13)측으로의 유통을 허용하도록 작동한다.
물 유통로(L3)에는, 체크 밸브(C1)가 설치되어 있다. 체크 밸브(C1)는, 접속부(Z1)와 접속부(Z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물 공급 장치(10)로부터 접속부(Z1)로 향하는 흐름을 허용하는 동시에, 접속부(Z1)로부터 물 공급 장치(10) 및 에어 공급 장치(11)로 향하는 흐름을 저지하는 것이다. 체크 밸브(C1)는, 물 공급 장치(10)나 에어 공급 장치(11)의 작동 시에, 신속하게 개방되도록 그 개방 압력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냉각 장치(6)의 격벽(12)의 상기 다층 구조에 대해, 도 2∼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B-B 단면 위치에 있어서의 음료 공급 장치(100)의 부분 단면도이며, 자세하게는, 음료 공급 장치(100)의 하부측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6)를 포함하는 부위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격벽(1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실(6a)로 노출되는 내면을 갖는 내벽(12a)과, 내벽(12a)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단열 부재(12b)와, 단열 부재(12b)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외벽(12c)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열 부재(12b)는, 내벽(12a)과 외벽(12c) 사이에 충전(充塡)되어 있다. 격벽(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격벽(12)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순서대로, 내벽(12a), 단열 부재(12b), 외벽(12c)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를 가진다. 내벽(12a)은, 예컨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사출 성형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벽(12c)은, 예컨대, 복수의 금속제 판재(板材)의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외벽(12c) 중의 바닥벽(底壁)(12c1)은, 예컨대, 케이스(1)의 바닥부(底部)를 겸용하고 있다. 내벽(12a)은, 내벽(12a)의 외면과 상기 조립체로 이루어진 외벽(12c)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배치되어 있다. 단열 부재(12b)는, 예컨대, 발포재를 내벽(12a)과 외벽(12c) 사이의 상기 틈새에 충전하여 발포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다음으로, 검지 장치(7)의 투광부(7a) 및 수광부(7b)의 부착 구조 및 부착 위치에 대해, 도 2∼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검지 장치(7)는, 투광부(7a)의 부착용 및 도광용의 제1 도광체(7c)와, 수광부(7b)의 부착용 및 도광용의 제2 도광체(7d)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1 도광체(7c)는, 격벽(12)의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도광체(7c)는, 예컨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관통하는 튜브 구멍(筒孔, tube hole)을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투광부(7a)는, 제1 도광체(7c)의 격벽 외면측 단부(외벽(12c)측 단부)에 부착된다. 그리고, 투광부(7a)는, 광을 제1 도광체(7c)를 통해 밀크 탱크(5)를 향해 투광한다.
제1 도광체(7c)는, 예컨대, 격벽(12) 중의 폭 방향의 일단벽(도 5에서는 좌측의 벽)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하부의 소정 높이의 부위를 관통한다. 자세하게는, 제1 도광체(7c)는, 연신(延伸) 방향의 일단면이 내벽(12a)의 내면과 면일(面一) 상태(즉, 단차가 없는 상태)이며, 연신 방향의 타단면이 외벽(12c)의 외면과 면일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도광체(7c)는, 격벽(12)의 상기 소정 부위(즉, 상기 일단벽의 상기 소정 높이의 부위)에 있어서, 내벽(12a), 단열 부재(12b), 및, 외벽(12c)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제1 도광체(7c)의 상기 튜브 구멍은, 그 구멍 직경이 내벽(12a)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도광체(7d)는, 격벽(12)의 제1 도광체(7c)와 대향하는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도광체(7d)는, 예컨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관통하는 튜브 구멍을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광부(7b)는, 제2 도광체(7d)의 격벽 외면측 단부(외벽(12c)측 단부)에 부착된다. 그리고, 수광부(7b)는, 밀크 탱크(5) 내부를 투과한 광을 제2 도광체(7d)를 통해 수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 도광체(7d)는, 예컨대, 격벽(12) 중의 폭 방향의 타단벽(도 5에서는 우측의 벽)에 있어서의 제1 도광체(7c)에 대응하는 소정 높이의 부위를 관통한다. 자세하게는, 제2 도광체(7d)는, 연신 방향의 일단면이 내벽(12a)의 내면과 면일 상태이며, 연신 방향의 타단면이 외벽(12c)의 외면과 면일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도광체(7d)는, 격벽(12)의 상기 소정 부위(즉, 상기 타단벽의 상기 소정 높이의 부위)에 있어서, 내벽(12a), 단열 부재(12b), 및, 외벽(12c)을 관통하고 있다. 제2 도광체(7d)의 상기 튜브 구멍은, 그 구멍 직경이 내벽(12a)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도광체(7c)는, 투광부(7a)로부터 투광된 광을 밀크 탱크(5)측으로 인도하는 제1 도광 부재(7c1)를 상기 튜브 구멍 내에 가진다. 투광부(7a)는, 광을 상기 제1 도광 부재(7c1)를 통해 밀크 탱크(5)를 향해 투광한다. 제1 도광 부재(7c1)는, 예컨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제1 도광체(7c)의 튜브 내부 직경에 맞추어 내벽(12a)을 향함에 따라 직경을 축소시킨 대략 절두(截頭) 원뿔형(圓錐形)으로 형성된다. 제1 도광 부재(7c1)는, 제1 도광체(7c) 내에 삽입되어, 제1 도광체(7c)의 튜브 구멍을 완전하게 폐쇄하고 있다. 또한, 제1 도광 부재(7c1)는, 그 내벽(12a)측의 일단면이 내벽(12a)의 내면과 면일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광부(7a)는, 제1 도광 부재(7c1)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됨으로써, 제1 도광체(7c)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제1 도광 부재(7c1)의 상기 격벽 외면측 단부에는, 제1 돌출설치부(突設部)(7c2)가 외벽(12c)의 외면으로부터 외측 방향(外方)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돌출설치부(7c2)에는, 오목한 형상의 제1 오목부(凹部)(7c3)가 형성되어 있고, 투광부(7a)는, 이 제1 오목부(7c3) 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도광체(7d)는, 밀크 탱크(5)를 투과한 광을 수광부(7b)측으로 인도하는 제2 도광 부재(7d1)를 상기 튜브 구멍 내에 가진다. 수광부(7b)는, 밀크 탱크(5) 내부를 투과한 광을 상기 제2 도광 부재(7d1)를 통해 수광한다. 제2 도광 부재(7d1)는, 예컨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제2 도광체(7d)의 튜브 내부 직경에 맞추어 내벽(12a)을 향함에 따라 직경을 축소시킨 대략 절두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제2 도광 부재(7d1)는, 제2 도광체(7d) 내에 삽입되어, 제2 도광체(7d)의 튜브 구멍을 완전하게 폐쇄(閉止)하고 있다. 또한, 제2 도광 부재(7d1)는, 그 내벽(12a)측의 일단면이 내벽(12a)의 내면과 면일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광부(7b)는, 제2 도광 부재(7d1)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됨으로써, 제2 도광체(7d)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제2 도광 부재(7d1)의 상기 격벽 외면측 단부에는, 제2 돌출설치부(7d2)가 외벽(12c)의 외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돌출설치부(7d2)에는, 오목한 형상의 제2 오목부(7d3)가 형성되어 있고, 수광부(7b)는, 이 제2 오목부(7d3) 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벽(12c)에는, 제1 도광체(7c) 지지용인 제1 지지부(12d)와, 제2 도광체(7d) 지지용인 제2 지지부(12e)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지지부(12d)는, 외벽(12c)에 있어서의 제1 도광체(7c)의 관통 부위에 설치되어 제1 도광체(7c)의 격벽 외면측 단부를 지지한다. 제1 지지부(12d)는, 자세하게는, 외벽(12c)의 상기 관통 부위에 있어서의 내면측에 고정되어, 제1 도광체(7c)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 구멍을 가지고 있다. 제1 도광체(7c)는, 예컨대, 격벽 내면측 단부가 내벽(12a)에 용착되고, 격벽 외면측 단부가 제1 지지부(12d)에 지지된다.
제2 지지부(12e)는, 외벽(12c)에 있어서의 제2 도광체(7d)의 관통 부위에 설치되어 제2 도광체(7d)의 격벽 외면측 단부를 지지한다. 제2 지지부(12e)는, 자세하게는, 외벽(12c)의 상기 관통 부위에 있어서의 내면측에 고정되며, 제2 도광체(7d)가 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 구멍을 가지고 있다. 제2 도광체(7d)는, 예컨대, 격벽 내면측 단부가 내벽(12a)에 용착되고, 격벽 외면측 단부가 제2 지지부(12e)에 지지된다. 또한,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는, 내벽(12a) 성형 시에, 내벽(12a)과 일체적으로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음료 공급 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00)의 음료 토출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밀크 탱크(5) 내에는, 충분히 밀크가 저류되어 있고, 검지 장치(7)는, 밀크가 있음을 검지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2)는, 커피 서버(50)로부터 공급 명령(S1∼S4)이 입력되면, 전환 밸브(V2)를 작동시켜서 밀크 유통로(L1)의 토출처를 음료 토출구(13)로 전환하는 동시에, 펌프(9)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는, 차가운 밀크를 공급하는 명령(공급 명령(S3))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냉각 장치(6)에 의해 냉각된 차가운 밀크를 가열 장치(8)에 있어서의 상기 바이패스관을 경유하여 유통시킨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부(3)는, 밀크 탱크(5)로부터 흡인한 소정량의 차가운 밀크를 음료 토출구(13)로부터 토출시켜 컵(C) 내에 공급한다.
제어부(2)는, 차가운 혼합 음료를 공급하는 명령(공급 명령(S4))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에어 공급 장치(11)를 작동시켜서, 냉각 장치(6)에 의해 냉각된 밀크에 공기를 혼합시켜 생성한 차가운 혼합 음료를 가열 장치(8)에 있어서의 상기 바이패스관을 경유하여 유통시킨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부(3)는, 소정량의 차가운 혼합 음료를 그대로 음료 토출구(13)로부터 컵(C) 내에 공급한다. 즉, 음료 공급 장치(100)는, 공급 명령(S3) 및 공급 명령(S4)에서는, 냉각 장치(6)에 의해 냉각된 밀크를 포함하는 음료(밀크 또는 밀크와 공기의 혼합 음료)를 외부로 공급한다.
제어부(2)는, 따뜻한 밀크를 공급하는 명령(공급 명령(S1))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냉각 장치(6)에 의해 냉각된 차가운 밀크를 가열 장치(8)에 의해 가열하여 음료 토출구(13)를 향해 유출시킨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부(3)는, 밀크 탱크(5)로부터 흡인한 차가운 밀크를 가열 장치(8)에 의해 따뜻하게 데움으로써, 소정량의 따뜻한 밀크를 음료 토출구(13)로부터 토출하여 컵(C) 내에 공급한다.
제어부(2)는, 따뜻한 혼합 음료를 공급하는 명령(공급 명령(S2))이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에어 공급 장치(11)를 작동시켜서, 냉각 장치(6)에 의해 냉각된 밀크에 공기를 혼합시켜 생성한 차가운 혼합 음료를 가열 장치(8)에 있어서의 상기 바이패스관을 경유하여 유통시킨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부(3)는, 소정량의 따뜻한 혼합 음료를 음료 토출구(13)로부터 컵(C) 내에 공급한다. 즉, 음료 공급 장치(100)는, 공급 명령(S1) 및 공급 명령(S2)에서는, 가열 장치(8)에 의해 따뜻하게 데워진 밀크를 포함하는 음료(밀크 또는 밀크와 공기의 혼합 음료)를 외부로 공급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음료 공급 장치(100)에서는, 냉각 장치(6)의 저장실(6a)은, 다층 구조를 갖는 동시에 일측부에 도어(4)에 의해 폐색되는 개구부(121)를 갖는 박스체로 이루어진 격벽(12)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검지 장치(7)는, 격벽(12)의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1 도광체(7c)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되는 투광부(7a)에 의해, 광을 제1 도광체(7c)를 통해 밀크 탱크(5)를 향해 투광한다. 나아가, 검지 장치(7)는, 격벽(12)의 제1 도광체(7c)와 대향하는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2 도광체(7d)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되는 수광부(7b)에 의해, 밀크 탱크(5) 내부를 투과한 광을 제2 도광체(7d)를 통해 수광 가능하며, 수광부(7b)에 있어서의 수광 상태에 근거하여 밀크 탱크(5) 내의 밀크의 유무를 검지한다. 즉, 투광부(7a)는 제1 도광체(7c)를 통해 저장실(6a)을 구획하는 상기 박스체로 이루어진 격벽(12)의 외측으로부터 저장실(6a) 내부를 향해 광을 투광할 수 있는 동시에, 수광부(7b)는 제2 도광체(7d)를 통해 상기 박스체로 이루어진 격벽(12)의 외측에서 밀크 탱크(5) 내부를 투과한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지 장치(7)에 있어서, 투광부(7a) 및 수광부(7b)가 모두 상기 박스체로 이루어진 격벽(1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컨대, 밀크 탱크(5)의 교환이나 밀크 탱크(5) 내로의 밀크의 보충 시 등에 있어서, 저장실(6a) 내에 외기가 진입하였다 하더라도, 투광부(7a) 및 수광부(7b)가 모두 격벽(12)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투광부(7a) 및 수광부(7b)로의 결로수의 부착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그 결과, 검지 장치(7)에 있어서의 검지 동작 불량이나 파손의 발생이 방지 또는 억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밀크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장치(7)이며, 냉각 장치(6)의 저장실(6a) 내로의 외기 진입에 기인하는 검지 동작 불량이나 파손의 발생을 방지 또는 억제 가능한 검지 장치(7)를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투광부(7a) 및 수광부(7b)는, 격벽(12)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투광부(7a)나 수광부(7b)의 소자로서 방수(防水) 사양이나 방적(防滴) 사양의 소자를 채용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검지 장치(7)의 비용을 비교적 저비용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투광부(7a) 및 수광부(7b)는, 밀크나 밀크 탱크(5)에 접촉하는 일 없이, 밀크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광부(7a) 및 수광부(7b)는 밀크 탱크(5)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검지 장치(7)는 위생 면에 있어서 우수하다. 나아가, 관리자 등에게 있어서의 밀크 탱크(5)의 교환이나 밀크 탱크(5) 내로의 밀크의 보충 시에, 투광부(7a) 및 수광부(7b)를 탈착(脫着)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밀크 탱크(5)의 교환이나 밀크 보충 등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도광체(7c)의 상기 튜브 구멍 내에 제1 도광 부재(7c1)가 설치되고, 제2 도광체(7d)의 상기 튜브 구멍 내에 제2 도광 부재(7d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투광부(7a)로부터 투광된 광이 효율적으로 밀크 탱크(5)측으로 인도되어, 수광부(7b)에 있어서의 수광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제1 도광체(7c)의 상기 튜브 구멍을 제1 도광 부재(7c1)에 의해 폐쇄(閉止)하는 동시에, 제2 도광체(7d)의 상기 튜브 구멍을 제2 도광 부재(7d1)에 의해 폐쇄(閉止)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도광체(7c)의 상기 튜브 구멍 및 제2 도광체(7d)의 상기 튜브 구멍을 통한 저장실(6a) 내의 냉기 방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도광체(7c)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된 투광부(7a)나 제2 도광체(7d)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된 수광부(7b)가,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투광부(7a) 및 수광부(7b)로의 결로수의 부착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 도광 부재(7c1)는 제1 도광체(7c)의 튜브 내부 직경에 맞추어 내벽(12a)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도광 부재(7d1)는 제2 도광체(7d)의 튜브 내부 직경에 맞추어 내벽(12a)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도광체(7c)의 튜브 구멍 및 제2 도광체(7d)의 튜브 구멍을 밀폐성이 양호하게 폐쇄할 수 있어, 냉기의 방출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광부(7a)는, 제1 도광 부재(7c1)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됨으로써, 제1 도광체(7c)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설치되고, 수광부(7b)는, 제2 도광 부재(7d1)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됨으로써, 제2 도광체(7d)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설치된다. 즉, 투광부(7a)의 부착부가 제1 도광 부재(7c1)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광부(7b)의 부착부가 제2 도광 부재(7d1)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컨대, 제1 도광체(7c)의 격벽 외면측 단부 및 제2 도광체(7d)의 격벽 외면측 단부 자체에 대해서는, 간소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의 고정 방법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1 도광체(7c)나 제2 도광체(7d)를 용이하게 내벽(12a)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격벽(12)은, 내벽(12a)과 단열 부재(12b)와 외벽(12c)을 가진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는, 각각, 내벽(12a), 단열 부재(12b), 및, 외벽(12c)을 관통하고 있다. 즉, 투광부(7a) 및 수광부(7b)는 각각 외벽(12c)의 외부에 배치되고, 저장실(6a)과 투광부(7a)와의 사이와, 저장실(6a)과 수광부(7b)와의 사이에, 각각, 단열 부재(12b) 및 외벽(12c)이 배치되게 된다. 그 때문에, 투광부(7a) 및 수광부(7b)가 냉각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투광부(7a) 및 수광부(7b)에 대한 결로수의 부착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광체(7c), 제2 도광체(7d), 제1 도광 부재(7c1) 및 제2 도광 부재(7d1)는, 모두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이들 부재(7c, 7d, 7c1, 7d1)는, 단열 부재로서도 기능하여, 투광부(7a) 및 수광부(7b)가 냉각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벽(12c)에 있어서의 제1 도광체(7c)의 관통 부위에 설치되어 제1 도광체(7c)의 격벽 외면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2d)와, 외벽(12c)에 있어서의 제2 도광체(7d)의 관통 부위에 설치되어 제2 도광체(7d)의 격벽 외면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12e)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컨대,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를 미리 내벽(12a)에 용착시키거나 또는 내벽(12a)과 일체적으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내벽(12a)을, 제1 지지부(12d) 및 제2 지지부(12e)를 이용하여, 외벽(12c)과 소정의 틈새를 유지하며, 용이하게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예컨대, 발포재를 내벽(12a)과 외벽(12c) 사이의 상기 틈새에 충전하여 발포시킴으로써, 단열 부재(12b)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내벽(12a)과 외벽(12c) 사이에 단열 부재(12b)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열 부재(12b)를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의 주위에 밀폐성이 양호하게 부착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가 단열 부재(12b)를 관통하는 구조에 기인하는 단열성의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도광체(7c), 제2 도광체(7d), 제1 도광 부재(7c1), 및, 제2 도광 부재(7d1)의 내벽(12a)측의 일단면은, 각각, 내벽(12a)의 내면과 면일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저장실(6a)을 청소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지지부(12d) 및 제2 지지부(12e)를 설치한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것들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예컨대, 제1 도광체(7c)의 격벽 외면측 단부를 외벽(12c)에 형성하는 관통구멍에 끼움결합시키고, 제2 도광체(7d)의 격벽 외면측 단부를 외벽(12c)에 형성하는 관통구멍에 끼움결합시킴으로써, 내벽(12a)을 외벽(12c) 내에서 위치결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가 단열 부재(12b)를 관통하는 구조에 기인하는 단열성 저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도광체(7c)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튜브 구멍 내에 제1 도광 부재(7c1)를 가지며, 제2 도광체(7d)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튜브 구멍 내에 제2 도광 부재(7d1)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즉,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는, 각각, 튜브체(筒體)와 도광 부재를 갖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격벽 내면측 단부가 폐색된, 바닥을 갖는 튜브 형상(筒狀)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중실(中實)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가 상기 바닥을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변형예 1)는,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는, 적어도 그 튜브 바닥 부위가 광을 투과 가능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가 중실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변형예 2)는,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는, 예컨대, 광을 투과 가능한 부재에 의해 전체적으로 원기둥(圓柱)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변형예 1 및 변형예 2에 있어서, 예컨대, 제1 돌출설치부(7c2)는 제1 도광체(7c)의 상기 격벽 외면측 단부에 고정되고, 제2 돌출설치부(7d2)는 제2 도광체(7d)의 상기 격벽 외면측 단부에 고정된다. 이 변형예 1 및 2에 있어서도, 투광부(7a)로부터의 광을 밀크 탱크(5)측으로 인도할 수 있는 동시에 밀크 탱크(5)를 투과한 광을 수광부(7b)로 인도할 수 있고, 또한, 저장실(6a)로부터의 냉기의 방출을 확실히 방지하며, 나아가서는, 투광부(7a) 및 수광부(7b)에 대한 결로수의 부착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격벽(12)은 내벽(12a)과 단열 부재(12b)와 외벽(12c)을 가지며,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는 각각 내벽(12a)과 단열 부재(12b)와 외벽(12c)을 관통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단열 부재(12b)의 주위에 외벽(12c)을 배치하지 않아도 충분한 단열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경우 등에는, 격벽(12)은 단지 내벽(12a)과 단열 부재(12b)를 가지며,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는 각각 내벽(12a) 및 단열 부재(12b)를 관통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단열 부재(12b)는 예컨대 미리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판 형상의 단열 부재(12b)를 내벽(12a)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하면 된다. 이에 의해, 외벽(12c)이 불필요해진 만큼, 냉각 장치(6)의 비용을 비교적 저비용으로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냉각 장치(6)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투광부(7a) 및 수광부(7b)는 각각 단열 부재(12b)의 외부에 배치되고, 저장실(6a)과 투광부(7a)와의 사이와, 저장실(6a)과 수광부(7b)와의 사이에, 각각, 단열 부재(12b)가 배치되게 된다. 그 때문에, 투광부(7a) 및 수광부(7b)가 냉각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투광부(7a) 및 수광부(7b)에 대한 결로수의 부착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는, 단열 부재(12b)에 접착 또는 끼움 부착 등에 의해 직접적으로 장착해도 된다. 나아가, 단열 부재(12b)의 외면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오목부에 투광부(7a) 및 수광부(7b)를 수용하여 고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투광부(7a) 및 수광부(7b)를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냉각 장치(6)의 외면이 되는 단열 부재(12b)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 없이 투광부(7a) 및 수광부(7b)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12)은 적어도 저장실(6a)에 노출되는 내면을 갖는 내벽(12a)과, 내벽(12a)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단열 부재(12b)를 가지며,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는 각각 내벽(12a) 및 단열 부재(12b)를 관통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벽(12a)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내벽(12a)은, 예컨대, 소정의 재질(알루미늄이나 수지 등)로 이루어진 필름, 포일(箔), 박판(薄板) 등이 판 형상의 단열 부재(12b)의 표면(저장실(6a)측의 면, 즉, 내면)에 붙여짐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즉, 내벽(12a)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내벽(12a)은 단열 부재(12b)의 내면에 방수, 방습 기능을 가진 얇은 층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단열 부재(12b)의 두께나 외벽(12c)의 두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내벽(12a)과 마찬가지로 얇은 층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즉, 격벽(12)은, 다층 구조를 갖는 박스체이며, 일측부에 도어(4)나 덮개 등의 소정의 폐색 부재에 의해 폐색되는 개구부(121)를 갖는 박스체로 이루어진 것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크 탱크(5)는, 그 전체가 광을 투과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제1 도광체(7c) 및 제2 도광체(7d)에 대응하는 부위가 광을 투과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격벽(12)의 개구부(121), 및, 케이스(1)의 상기 개구부는, 격벽(12) 및 케이스(1)의 전단부로 개구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개구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격벽(12)의 개구부(121), 및, 케이스(1)의 상기 개구부는, 예컨대, 격벽(12) 및 케이스(1)의 상단부나 후단부 등의 소정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예컨대, 개구부(121)가 상단부에 형성되는 경우는, 그 개구부(121)는, 도어(4)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 등의 소정의 폐색 부재에 의해 폐색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장치(7)는, 단지, 밀크 탱크(5) 내의 밀크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크 탱크(5) 내의 밀크의 잔량을 검지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예컨대, 투광부(7a) 및 수광부(7b)를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격(離間)하여 어레이 형상으로 배열시켜, 각 높이 위치에 있어서의 수광부(7b)에서의 수광 상태에 근거하여, 밀크의 잔량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공급 장치(100)는, 따뜻한 음료(밀크 또는 혼합 음료)와 차가운 음료(밀크 또는 혼합 음료)를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가운 음료만을 공급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크 또는 혼합 음료를 선택적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크만을 공급해도 되고, 혼합 음료만을 공급해도 된다. 또한, 따뜻한 음료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는, 가열 장치(8)는 불필요하며, 혼합 음료를 공급하지 않는 경우는, 에어 공급 장치(11)는 불필요하다. 또한, 밀크 유통로(L1) 내부를 헹굴 필요가 없는 경우는, 물 공급 장치(10)는 불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음료 공급 장치(100)는, 밀크 또는 혼합 음료를 선택적으로 공급 가능한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공급 명령에 대해, 밀크와 혼합 음료를 연속하여 공급해도 되고, 밀크만을 공급해도 되고, 혼합 음료만을 공급해도 된다. 또한, 음료 공급 장치(100)는, 밀크에 한정하지 않고 적절한 액체 음료를 공급해도 되며, 밀크와 공기의 혼합 음료에 한정하지 않고, 적절한 액체 음료와 공기의 혼합 음료를 공급해도 된다. 즉, 음료 공급 장치(100)는, 냉각 장치(6)에 의해 냉각된 액체 음료를 포함하는 음료를 외부로 공급하면 된다. 또한, 음료 공급 장치(100)는, 커피 서버(5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전체 또는 일부가 커피 서버(50) 내에 조립되어도 된다. 나아가, 음료 공급 장치(100)는, 커피 서버(50)의 옵션 장치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음료의 공급 장치의 옵션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단독으로 음료를 공급하는 장치로서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5 밀크 탱크(액체 음료 용기)
6 냉각 장치
6a 저장실
7 검지 장치
7a 투광부
7b 수광부
7c 제1 도광체
7c1 제1 도광 부재
7d 제2 도광체
7d1 제2 도광 부재
12 격벽
12a 내벽
12b 단열 부재
12c 외벽
12d 제1 지지부
12e 제2 지지부
100 음료 공급 장치
121 개구부

Claims (7)

  1.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저장실(庫室)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저장실 내의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상기 저장실 내에 수용되는 액체 음료 용기와, 상기 액체 음료 용기 내의 액체 음료의 유무 또는 잔량을 검지하는 검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된 상기 액체 음료를 포함하는 음료를 외부로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상기 격벽은, 다층 구조를 갖는 박스체이며, 일측부에 소정의 폐색(閉塞) 부재에 의해 폐색되는 개구부(開口部)를 갖는 박스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검지 장치는, 상기 격벽의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1 도광체와, 상기 격벽의 상기 제1 도광체와 대향(對向)하는 소정 부위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제2 도광체와, 상기 제1 도광체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되어 광을 상기 제1 도광체를 통해 상기 액체 음료 용기를 향해 투광하는 투광부와, 상기 제2 도광체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되어 상기 액체 음료 용기의 내부를 투과한 광을 상기 제2 도광체를 통해 수광 가능한 수광부를 갖고, 상기 수광부에 있어서의 수광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액체 음료의 유무 또는 잔량을 검지하며,
    상기 액체 음료 용기는, 적어도 상기 제1 도광체 및 상기 제2 도광체에 대응하는 부위가 광이 투과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 음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광체 및 상기 제2 도광체는, 각각,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관통하는 튜브 구멍(筒孔)을 갖는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도광체는,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광된 광을 상기 액체 음료 용기측으로 인도하는 제1 도광 부재를 상기 튜브 구멍 내에 갖고,
    상기 제2 도광체는, 상기 액체 음료 용기를 투과한 광을 상기 수광부측으로 인도하는 제2 도광 부재를 상기 튜브 구멍 내에 갖는, 음료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상기 제1 도광 부재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 도광체의 상기 격벽 외면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제2 도광 부재의 격벽 외면측 단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2 도광체의 상기 격벽 외면측 단부에 설치되는, 음료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광체 및 상기 제2 도광체는, 각각, 격벽 내면측 단부가 폐색된, 바닥을 갖는 튜브 형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료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광체 및 상기 제2 도광체는, 각각, 중실(中實)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음료 공급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적어도, 상기 저장실로 노출되는 내면을 갖는 내벽과, 상기 내벽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단열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 도광체 및 상기 제2 도광체는, 각각, 상기 내벽 및 상기 단열 부재를 관통하고 있는, 음료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단열 부재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는 외벽을 더 가지며,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과의 사이에 상기 단열 부재가 충전되고,
    상기 제1 도광체 및 상기 제2 도광체는, 각각, 상기 내벽, 상기 단열 부재, 및, 상기 외벽을 관통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외벽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도광체의 관통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광체의 상기 격벽 외면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외벽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도광체의 관통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광체의 상기 격벽 외면측 단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KR1020197037188A 2017-05-19 2018-04-23 음료 공급 장치 KR102206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0281A JP6822897B2 (ja) 2017-05-19 2017-05-19 飲料供給装置
JPJP-P-2017-100281 2017-05-19
PCT/JP2018/017355 WO2018211954A1 (ja) 2017-05-19 2018-04-23 飲料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888A KR20200004888A (ko) 2020-01-14
KR102206005B1 true KR102206005B1 (ko) 2021-01-20

Family

ID=6427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188A KR102206005B1 (ko) 2017-05-19 2018-04-23 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47101B2 (ko)
JP (1) JP6822897B2 (ko)
KR (1) KR102206005B1 (ko)
CN (1) CN110678108B (ko)
DE (1) DE112018002598T5 (ko)
WO (1) WO2018211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5245A1 (de) * 2016-02-12 2017-08-16 Qbo Coffee GmbH Getränkezubereitungssystem
KR20200007363A (ko) * 2018-07-13 2020-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5478B1 (ko) 2018-07-13 202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80179B2 (en) * 2021-06-10 2024-05-14 Woodstream Corporation Connected bait box
KR102558273B1 (ko) * 2022-03-07 2023-07-27 한달 스마트 광전 센싱 장치 및 스마트 센싱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7330A (en) 1997-07-08 1999-09-07 Kwangju Electronics Co., Ltd. Raw material sens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and method of sensing raw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0448A3 (en) * 1978-10-25 1980-05-14 Vgl Industries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ending machines
US5000082A (en) * 1988-07-27 1991-03-19 Food Equipment Technologies Company, Inc.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making beverage
JP3029960U (ja) * 1995-01-24 1996-10-18 伊藤工機株式会社 バッグ・イン・ボックス及び流動性内容物供給装置
JP4478467B2 (ja) * 2003-08-07 2010-06-09 フジコーン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用のミルクの供給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4170234B2 (ja) * 2003-08-07 2008-10-22 フジコーン株式会社 飲料ディスペンサにおけるミルク処理蒸気の供給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20050066314A (ko)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기영역 확보형 프린터
US7017408B2 (en) * 2004-02-13 2006-03-28 Be Intellectual Property, Inc. Electro-optic liquid level sensing system for aircraft beverage brewing
PL1810598T3 (pl) * 2006-01-24 2010-06-30 Rhea Vendors Spa Urządzenie i sposób kontrolowania automatów dozujących napoje
JP5243847B2 (ja) * 2008-05-29 2013-07-24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排出システム
AU2009278229B2 (en) * 2008-08-08 2015-04-16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machine with carrying handle and configurable appearance and side functions
DE102009019265A1 (de) * 2009-04-28 2010-11-11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Durchlauferhitzers
US9534831B2 (en) * 2010-10-29 2017-01-03 Whirlpool Corporation Liquid dispenser with collapsible container
EP2511226A1 (en) * 2011-04-11 2012-10-17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preventing bacterial growth i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8985395B2 (en) * 2011-09-09 2015-03-24 Fountain Master Llc Beverage maker
BR112014032684B1 (pt) * 2012-06-29 2020-10-13 Koninklijke Douwe Egberts B.V sistema
CN103245396B (zh) * 2013-04-23 2016-01-13 上海凡宜科技电子有限公司 具模拟功能的物液位传感器
EP3003100B1 (en) * 2013-05-29 2017-08-16 Nestec S.A. Beverage mixing device
CN203468335U (zh) * 2013-09-23 2014-03-12 刘宗熹 中央定温供水饮料制备装置
CN105962781B (zh) * 2016-07-08 2019-09-13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液位检测组件及饮料制备装置
DE102016115228B4 (de) * 2016-08-17 2021-12-16 Kriwan Industrie-Elektro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Ölspiegels in einer Maschine
FR3058390B1 (fr) * 2016-11-09 2019-06-07 Dassault Aviation Reservoir de carburant d'un aeronef avec un systeme de controle visuel de l'interieur du reservoir, aeronef et procede de controle visuel associes
US10175167B2 (en) * 2017-03-28 2019-01-08 Te Connectivity Corporatio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accumulation of a material
US20200158555A1 (en) * 2018-11-15 2020-05-21 Hizero Technoogies Co., Ltd. Liquid level detection system and liquid level dete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7330A (en) 1997-07-08 1999-09-07 Kwangju Electronics Co., Ltd. Raw material sens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 and method of sensing raw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93109A (ja) 2018-12-06
US20200165117A1 (en) 2020-05-28
US10947101B2 (en) 2021-03-16
WO2018211954A1 (ja) 2018-11-22
JP6822897B2 (ja) 2021-01-27
CN110678108A (zh) 2020-01-10
DE112018002598T5 (de) 2020-03-05
KR20200004888A (ko) 2020-01-14
CN110678108B (zh)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005B1 (ko) 음료 공급 장치
KR0160414B1 (ko) 냉장고의 자동음료 보충장치
US8833100B2 (en) Water reservoir pressure vessel
US7269968B2 (en) Chilled water dispensing arrangement for a refrigerator
JP5984383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およびその給水方法
US8827477B2 (en) Refrigerator appliance
US9441874B2 (en) Water heat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2008092A1 (ja) 冷蔵庫
KR20150133822A (ko) 워터 서버
KR101485981B1 (ko) 얼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JP2020180703A (ja) 略一定の温度を維持するための熱シールド
KR20210156195A (ko) 냉장고
JP5543438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313440B1 (ko) 냉장고용 자동 급수기
KR840002351B1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탱크 컨테이너
KR101349412B1 (ko) 자동 급수 시스템
CA3057113A1 (en) A thermal shield for maintaining a generally constant temperature
KR200351926Y1 (ko) 커피 및 차 공급기능이 구비된 냉온수기
JP4820710B2 (ja) 冷蔵庫
KR100765378B1 (ko) 자동판매기
KR100984917B1 (ko) 무동력으로 급수하는 차량용 냉온수기
KR100766107B1 (ko) 냉장고의 물탱크 온도감지장치
JP2023069366A (ja) 冷蔵庫
JP6301221B2 (ja) 貯湯タンクユニット
KR102226561B1 (ko) 제빙 장치,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