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517B1 -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517B1
KR102203517B1 KR1020140032327A KR20140032327A KR102203517B1 KR 102203517 B1 KR102203517 B1 KR 102203517B1 KR 1020140032327 A KR1020140032327 A KR 1020140032327A KR 20140032327 A KR20140032327 A KR 20140032327A KR 102203517 B1 KR102203517 B1 KR 10220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signal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9198A (en
Inventor
윤상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517B1/en
Publication of KR2015010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1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01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2205/008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using a mobile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장치에서 실내 위치 측위 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강도 값을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 및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현재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노이즈로 인한 위치 예측에 대한 오류를 보정할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wherein the signal strength of one or more access point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urrent location is measured in a terminal device, and an access point including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value By quickly and accurately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using information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adjacent terminal devices, errors in location prediction due to noise can be corrected, and the effect of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more quickly and accurately. have.

Description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본 발명은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위치 측위 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 위치 측위 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인접 단말 장치에서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현재 위치를 측정하도록 하는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and a location positioning system therefor. In particular, the present location is quickly and accurately using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neighboring terminal device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during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o measur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는 응용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기술도 그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est in technology for application systems and services that accurately grasps the location of people or objects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and utilizes them is also increasing rapidly.

이러한 기술 중 하나로 위치 측위(LDT: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기술이 있으며, 위치 측위 기술은 사용자의 위치 파악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위치정보추적 기술로서, 망 기반(Network Based) 방식, 단말기 기반 (Handset Based) 방식 및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Hybrid) 방식이 있다. 이러한 방식들 중 단말기 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은 단말기에 GPS 수신기 등 신호 수신장치를 추가로 장착해야 하며, 네트워크 기반 방식에 비해 위치 정확도는 높으나 높은 빌딩이 많은 도심지역, 산림 숲, 실내에서는 정확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받지 못해 위치를 결정하지 못하는 문제점 있다. One of these technologies is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LDT), which is a location information tracking technology that is us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a user's location, and includes a network based method and a handset based technology. ) Method and a hybrid method in which these are mixed and used. Among these methods, the terminal-based location positioning technology requires additional installation of a signal receiving device such as a GPS receiver to the terminal, and the location accuracy is higher than that of the network-based method, but accurate 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ition cannot be determined because the signal is not received.

때문에 실내에서 위치 측위 기술은 GPS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Cell tower 등의 무선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Therefore,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does not use GPS signals, but uses wireless devices such as WiFi, Bluetooth, and cell towers.

이러한 무선 장치를 이용한 실내 위치 측위 기술은 단말 장치의 전력소모를 감소하기 위해 3~5초 간격으로 와이파이 신호를 측정하는 시간 즉, 와이파이 스캔(scan) 주기가 고정되어 있다. In the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such a wireless device, a time for measuring a Wi-Fi signal at intervals of 3 to 5 seconds, that is, a Wi-Fi scan period, is fixed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device.

따라서 실내 위치 측위 기술은 단말 장치에서 와이파이 신호를 받았을 때 무선 네트워크에서 기지국 역할을 하는 각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의 신호 강도의 변동(Fluctuation)에 따라 다소의 노이즈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이즈가 많이 발생되었을 경우, 실내 위치 측위 기술은 현재 위치를 다른 지역으로 인식하여 정확한 위치를 예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n the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echnology, when a Wi-Fi signal is received from a terminal device, some noise is generated according to fluctuation of signal strength of each access point (AP) serving as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network. Accordingly, when a lot of noise is generated, the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echnology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redict an accurate location by recognizing the current location as another area.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 위치에서 여러 번 위치 측정을 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현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가 측정되므로 위치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onventionally, a method of measuring the location several times at one location was used, but this method takes a very long time to measure the current location. For this reason, when the user mov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Since other positions are measured, the accuracy of position measurement is degraded.

한국공개특허 제2013-0128777호, 2013년 11월 27일 공개(명칭: 실내 측위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128777, published on November 27, 2013 (Name: indoor positioning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 장치에서 실내 위치 측위 시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강도 값을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 및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현재 위치를 측정하도록 하는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inconvenience, and when the terminal device locates an indoor location, the signal strength of one or more access point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current location is measured, and the access point including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valu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hat enables fast and accurate current location measurement using information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adjacent terminal device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 및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와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현재 위치 주변에서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with at least one access point and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device located in the vicinity based on a current location. ; And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one or more access points, receiving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searched around the current location, collecting access point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and collecting the collected access point It may include a controller that controls to perform indoor location positioning for measuring a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상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 및 현재 위치의 측정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and measurement result information of a current loc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각 엑세스 포인트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기 각 엑세스 포인트 별 저장된 신호 강도 값들의 평균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의 계산된 평균 신호 강도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separately store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for each access point, and calculates an average of signal strength values stored for each access point, Position positioning information for measuring a current position may be generated using the calculated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of each access poi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들중 가장 큰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갖는 엑세스 포인트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rched access point is more than one, the control unit may assign a weight to the access point having the largest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among the searched access poi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위치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 값이 수신되는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된 위치를 현재 위치로 측정할 수 있다. 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ed one or more access points from a service device, and accesses the access point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using preset location analysis data. By checking the location where the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point is received, the identified location can be measured as the current loc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가 둘 이상인 경우, 검색된 엑세스 포인들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위치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영역에서 가중치가 부여된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 값이 수신되는 위치를 상기 위치 분석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현재 위치로 측정할 수 있다. In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arched access point is more than one, the control unit checks the location area between the searched access points based on the searched access point loc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eighted access point in the location area, the location where the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weighted access point is received can be checked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data, and the confirmed location can be measured as the current location. hav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현재 위치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는 서비스 장치와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및 현재 위치 주변에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를 검색하여 생성된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 및 상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이용하여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t least one access point located near a current location,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device, and a service device interworking through a network and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an access point list generated by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at least one access point and a list of adjacent terminal devices generated by searching for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device near the current location to the service device, and transmitting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list from the service device to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terminal device list and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using the access point list, and controls to perform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o measure a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received access point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및 현재 위치 주변에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를 검색하여 생성된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에 포함된 각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with one or more terminal devices through a network; And a list of access points received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a list of adjacent terminal devices generated by searching for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near the current location,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each adjacent terminal device included in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list. It may include a service provider that collects and provides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 및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includes a loca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by using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and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Position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position position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특정 단말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들에 포함된 신호 강도 값들의 평균을 각 엑세스 포인트 별로 각각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 별 평균 신호 강도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calculates an average of signal strength values included in access poi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for each access poin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nd generate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for measuring a current location by using the calculated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for each access poi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신호 강도에 따른 정확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 분석 데이터를 실제 실험 또는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분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includes location analysis data for identifying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one or more access points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list are installed. May be generated through an actual experiment or a virtual simulation, and the generated location analysis data may be stor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 사이의 위치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각 신호 강도 값에 상응하는 위치 분석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위치 영역에서 신호 반경이 겹쳐지는 지점을 상기 특정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로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when two or more access points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list, is provided between the two or more access point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wo or more access points. Check the location area, check the location analysis data corresponding to the signal strength values of the two or more access point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wo or more access points, and determine the point where the signal radius overlaps in the identified location area.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current position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transmit the predicted result information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 정보는 상기 특정 단말 장치 및 상기 인접 단말 장치에서 각각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 별로 측정된 신호 강도 값, 엑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es a signal strength value measured for each access point retrieved from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the neighboring terminal device, access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includ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생성한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및 현재 위치의 주변에서 검색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엑세스 포인트 정보 리스트 및 상기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이용하여 각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ocation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st of access points generated by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one or more access points located nearby based on a current location, and A terminal device that transmits a list of adjacent terminal devices including information on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found in the service device to a service device, and performs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o measure a current location based on access poi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rvice device; And a service provider that collects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each neighboring terminal device using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list and the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and provides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can do.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현재 위치 주변에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들을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searching for one or more access points located nearby based on a current location; Collecting access point information by measuring signal strength of the searched access point; Searching for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around a current location; Collecting access point information for measuring a current location from the searched adjacent terminal device; And performing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o measure a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에서 각 엑세스 포인트 별로 각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값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 별로 확인된 신호 강도 값들의 평균을 각각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의 계산된 평균 신호 강도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ethod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forming of indoor location positioning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comprises: each terminal for each access point in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Checking signal strength values measured by the device; Calculating an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values identified for each access point; And generating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for measuring a current location by using the calculated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of each access poin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은,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및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에 포함된 각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receiving an access point list and a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Collecting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each neighboring terminal device included in the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은,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측위 정보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및 기 저장된 위치 분석 데이터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using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access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access point and pre-stored location analysis data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은, 상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by using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list. step;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은, 상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엑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및 기 저장된 위치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및 현재 위치에 대한 예측 결과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by using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list. step;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access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generated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Predict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access point and previously stored location analysis data; And transmitting the prediction result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실내 측위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indoor positioning is recorded.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서 측정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 값을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 및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함으로써, 노이즈로 인한 위치 예측에 대한 오류를 보정할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erforming indoor location positioning using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ing signal strength values of one or more access points measured by a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adjacent terminal devices, errors in position prediction due to noise are eliminated. It can be calibrat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urrent position can be measur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주변에 위치한 인접 단말 장치들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얻기 위한 위치 측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각 단말 장치에서 측정된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 값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cation positioning system for obtaining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neighboring terminal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in a location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apparatus in a location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ositioning an indoor location i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ositioning an indoor location i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ositioning an indoor location in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strength value of an access point measured by each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is appropriate as a concept of terms for describing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alternative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a location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측위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 100a, 100b, 100c, …, 100n) 및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location positioning system may include one or more terminal devices 100 (100a, 100b, 100c, ..., 100n)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a service device 200.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terminal device 100 refers to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ccording to a user's key operation, and a tablet PC, a laptop, and a personal computer (PC). ),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TV,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100 is a terminal that performs voice or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a memory storing a browser, a program, and a protocol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device 2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 It means a terminal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etc.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various programs. That is, the terminal device 100 is capable of server-client communication with the service device 200, and any terminal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ll communication computing devices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DA can be used. It is a broad concept to include. Meanwhile, the terminal device 100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form having a touch scre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0a)는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의 인접 단말 장치들인 제2 내지 제n 단말 장치(100b, 100c, 100d, 100e)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실내 환경에서 무선 통신을 위해 접속이 가능한 주변에 설치된 엑세스 포인트들(Access Point)(20: 20a, 20b, 20c)을 검색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2,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a)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WiGig, etc. It is possible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o nth terminal devices 100b, 100c, 100d, and 100e, and in particular, access points 20: 20a, which are installed around access poi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n indoor environment, 20b, 20c) can be searched.

아울러, 단말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2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설치된 위치 정보, 신호 강도) 또는 기존 측정된 기준 점의 엑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실내에서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장치(100)는 자신이 검색한 엑세스 포인트(20)로부터 수신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비스 장치(200)를 통해 현재 위치 주변에서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100)로부터 주변의 엑세스 포인트들(20)에 대한 정보(이하, 엑세스 포인트 정보라 칭함)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는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100 uses information on one or more access points 20 (eg, installed location information, signal strength) or information on access points of an existing measured reference point together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indoors. Indoor positioning for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To this end,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not only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ccess point 20 searched for by itself, but also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searched around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a service device 200 connected to a network. Access point information for measuring a current location may be collected by receiving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cess point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points 20 in the vicinity from 100. Using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wa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perform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o measure the current location.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하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위치 측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위치 측위 정보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즉,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단말 장치(100)에서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된 위치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nterwork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that is, access, is based o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where the point is installed may be checked, and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so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may check the current location.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정보 또는 위치 측위 정보를 요청 받으면, 요청한 단말 장치(100) 및 인접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 또는 이러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요청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a request for access point information or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quested terminal device 100 and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or such access point information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using may be transmitted to the requesting terminal device 100.

한편, 서비스 장치(2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 장치(100)와 통신망(10)을 통해 연동하는 서버에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의 내부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device 20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included in a server interworking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service device 200 is includ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It can also be configured.

이와 같은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 장치(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service device 200 are interlock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uses variou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an Internet network, an intranet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t refers to a network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combined with the service device 200 to store computing resources such as hardware and softwa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is not only a closed network such a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 ope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but also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WCDMA). Multiple Acces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Long Term Evolution (LTE), Evolved Packet Core (EPC), and other networks and next-generation networks and computing networks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in the position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in a location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nd an output unit 150.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20) 및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100)와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위치 측위 모듈(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in particular, can control a related operation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and can access one or more nearby location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int 20 and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100 to perform communication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모듈(111)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20)를 검색하고,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2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여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20)의 신호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엑세스 포인트(20) 별로 측정된 신호 강도 값 및 엑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를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형태로 출력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엑세스 포인트 정보는 기 설정된 주기로 갱신할 수 있다. 아울러, 위치 측위 모듈(111)은 인접 단말 장치(100)에서 자신의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요청하면, 자신이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에 자신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요청한 인접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First,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one or more access points 20 located in the vicinity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detects a signal from the searched access point 20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20 can be measured. Here,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ing the signal strength value and access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asured for each access point 20 can be output and stored in the form of a list, as shown in FIG. 8, and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is preset. It can be updated periodically. 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requests its own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the requested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its own terminal device i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by itself. ).

또한, 위치 측위 모듈(111)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100)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접 단말 장치(100)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값, 엑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 및 단말 장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검색된 각 인접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위치 측위 모듈(111)은 주변에 위치한 단말 장치들(100)의 신호 강도를 확인하여 기존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70dB 이상인 경우 인접 단말 장치(100)로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searches for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100 located nearby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signal strength value measured by the searched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access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each of the searched adjacent terminal devices 100. In this case,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may check the signal strength of the terminal devices 100 located nearby and recognize the signal strength as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if it is not previously registered and is -70dB or more.

이에 따라 위치 측위 모듈(111)은 자신이 측정한 각 엑세스 포인트(20)의 신호 강도 값들을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와 각 인접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각 인접 단말 장치(100) 별로 구분하여 리스트 형태로 출력 및 저장부(140)의 엑세스 포인트 정보 DB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엑세스 포인트 정보는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들(20)의 식별 정보 및 신호 강도 값과, 측정한 단말 장치(10)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collects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ing signal strength values of each access point 20 measured by itself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and collects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for each neighboring terminal device 100 and output in a list form and stored i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DB of the storage unit 140. Here,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ignal strength values of the searched access points 20, measu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 and the like.

또한, 위치 측위 모듈(111)은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예로, 위치 측위 모듈(111)은 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에서 각 엑세스 포인트(20) 별로 각 인접 단말 장치(100)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값들을 확인하고, 각 엑세스 포인트(20) 별로 확인된 신호 강도 값들과 자신이 측정한 신호 강도 값을 합하여 평균값을 각각 계산함으로써 각 엑세스 포인트(20)의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위치 측위 모듈(111)은 엑세스 포인트들(20) 중가장 큰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갖는 엑세스 포인트(20)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각 엑세스 포인트(20)의 계산된 평균 신호 강도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may control to perform indoor location positioning for measuring a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For this, as an example,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checks the signal strength values measured by each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for each access point 20 from the previously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and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of each access point 20 may be obtained by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by adding the identified signal strength values and the signal strength values measured by the user. Then, the positioning module 111 assigns a weight to the access point 20 having the largest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among the access points 20, and then uses the calculated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of each access point 20. As a result, it can be generated as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예를 들어, 위치 측위 모듈(111)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 장치(100a)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위치 측위 모듈(111)은 제1 단말 장치(100a)에서 수신한 엑세스 포인트들(AP1, AP2, AP3)(20a 20b, 20c)의 신호에 대한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측위 모듈(111)은 제1 단말 장치(100a)에서 측정된 각 엑세스 포인트들(20a 20b, 20c)의 신호 강도 값들(-70dB, N/A, -85dB)을 확인하고,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인접 단말 장치(100b, 100c, 100d, 100e)들로부터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 강도 값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위치 측위 모듈(111)은 각 엑세스 포인트(20a 20b, 20c) 별로 각 단말 장치(MD1, MD2, MD3, MD4, MD5)(100a, 100b, 100c, 100d, 100e)들의 신호 강도 값들을 합하여 각각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구한다. 일 예로, 각 엑세스 포인트(20a, 20b, 20c)에 대한 평균 신호 강도 값은 각각 -73dB, -70.03dB, -84dB로서, 구해진 평균 신호 강도 값들 중 가장 큰 평균값(-70.03dB)을 갖는 제2 엑세스 포인트(20b)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각 엑세스 포인트(20)의 계산된 평균 신호 강도 값을 이용하여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강도 값이 측정되지 않은(N/A) 단말 장치(MD1, MD3)는 평균 신호 강도 값 계산에서 제외시킨다.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 positioning module 111 wants to measu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a, as shown in FIG. 2, the position positioning module 111 ), th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s of the access points AP1, AP2, and AP3 (20a, 20b, 20c) received by the AP1, AP2, and AP3 is measure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 8,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includes signal strength values (-70dB, N/A, -) of each of the access points 20a, 20b, and 20c measured by the first terminal device 100a. 85dB) and to increase accuracy, signal strength values included in access point information received from neighboring terminal devices 100b, 100c, 100d, and 100e may be checked. Then, the positioning module 111 sums the signal strength values of each terminal device (MD1, MD2, MD3, MD4, MD5) (100a, 100b, 100c, 100d, 100e) for each access point (20a 20b, 20c). Each of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s is calculated. For example,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s for each of the access points 20a, 20b, and 20c are -73dB, -70.03dB, and -84dB, respectively, and the second having the largest average value (-70.03dB) After assigning a weight to the access point 20b, position position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the calculated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of each access point 20. Here, the terminal devices MD1 and MD3 whose signal strength values have not been measured (N/A) are excluded from calculating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s.

이에 따라 위치 측위 모듈(111)은 현재 위치에서 자신이 검색한 엑세스 포인트들(20) 중 간헐적으로 신호 강도가 측정되지 않는 특정 엑세스 포인트(20)가 존재하더라도 각 엑세스 포인트(20)의 평균 신호 강도 값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is the average signal strength of each access point 20 even if there is a specific access point 20 whose signal strength is not measured intermittently among the access points 20 searched by itself at the current location. You can use the value to check the exact location.

또한, 위치 측위 모듈(111)은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 시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가 위치 측위 정보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즉,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In addition,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may transmit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generated when performing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o the service device 200. At this time, the service device 200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that i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where the access point is installed, based o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device 100 Transfer to.

이에 따라 위치 측위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측위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해당 엑세스 포인트(20)가 설치된 위치 정보와 함께 위치 분석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치 측위 모듈(111)은 위치 분석 데이터를 통해 보다 정확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측위 모듈(111)은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엑세스 포인트 정보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엑세스 포인트들 사이에 위치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영역에서 가중치가 부여된 엑세스 포인트(20)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평균 신호 강도 값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반경을 위치 분석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된 엑세스 포인트(20)의 평균 신호 강도 값이 -70dB인 경우, 위치 측위 모듈(111)은 위치 분석 데이터에 -70dB에 상응하는 지점의 반경이 1m로 설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측위 모듈(111)은 단말 장치(100)가 해당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반경 1m 내에 위치하고, 확인된 위치 영역 내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may measure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In this case,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may receive location analysis data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long with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20 is installed. In this case,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may perform more accurate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hrough location analysis data. For example,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s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to check the location area between the access points, and the weight in the confirmed location area is A radius at which a signal for an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can be receiv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ssigned access point 20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data. Accordingly, when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access point 20 to which the weight is assigned is -70dB, the position positioning module 111 can confirm that the radius of the point corresponding to -70dB in the position analysis data is set to 1m. Accordingly,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can confirm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is located within a radius of 1m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and is located within the identified location area.

또한, 위치 측위 모듈(111)은 확인된 위치 영역에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엑세스 포인트 정보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들(20)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각 엑세스 포인트(20)의 신호 강도 값에 상응하는 위치 분석 데이터를 확인하여 신호 반경이 겹쳐지는 지점을 현재 위치로 측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is a signal strength value of each access point 2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access points 20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in order to check the correct location in the identified location area. By checking the location analysis data corresponding to, the point where the signal radius overlaps can be measured as the current location.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위 모듈(111)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20)를 검색하고,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들(20)에 대한 리스트(이하,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라 칭함)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는 각 엑세스 포인트들의 식별 정보, 측정된 신호 강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one or more access points 20 located nearby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a list of the searched access points 20 (hereinafter, The access point lis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ice 200. Here, the access point list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access point and a measured signal strength value.

또한, 위치 측위 모듈(111)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100)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접 단말 장치(100)에 대한 리스트(이하,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생성하여 생성된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측위 모듈(111)은 주변에 위치한 단말 장치들(100)의 신호 강도를 확인하여 기존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기 설정된 신호 강도(예를 들어, -70dB) 이상인 단말 장치를 인접 단말 장치로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searches for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100 located in the vicinity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generates a list of the searched adjacent terminal devices 100 (hereinafter, a list of adjacent terminal devices). The generated list of adjacent terminal devices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ice 200. At this time, the positioning module 111 checks the signal strength of the terminal devices 100 located in the vicinity and selects a terminal device that is not previously registered and has a preset signal strength (for example, -70dB) or higher. It can be recognized as.

이에 따라 위치 측위 모듈(111)은 자신이 직접 측정한 신호 강도 값을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 및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각 인접 단말 장치(100)의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측위 모듈(111)은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직접 정제하여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collects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ing signal strength values directly measured by itself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of each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collects the collected access point. It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indoor positioning to measure the current location using th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may directly refine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to generate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또한, 위치 측위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200)에서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아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정제하여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positioning module 111 may receive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rvice device 200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control to perform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this case,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y purifying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rvice device 200.

통신부(12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서비스 장치(200)로 위치 측위 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위치 측위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는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및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각 인접 단말 장치(100)의 엑세스 포인트 정보 또는 위치 측위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as well as wired and wireless methods.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and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each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1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access point list and the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to the service device 200, and the access point of each neighboring terminal device 100 from the service device 200 Information or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10.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may generate a user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 request or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nd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input means that are commercially available or can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for example, a keyboard, a mouse. , A joystick, a touch screen, a touch pad, and the like, as well as a gesture input means for generating a specific input signal by detecting a user's motion.

저장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저장부(140)는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 검색된 각 엑세스 포인트(20)에서 측정한 신호 강도 값 및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 및 각 인접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위치 측위 정보 및 측정된 위치 정보와,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출력부(150)에 출력될 화면 이미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출력부(15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40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40 stores an access point list, a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and a signal strength value measured by each searched access point 20.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may be store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measur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program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he storage unit 140 include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a such as a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and a digital video disk (DVD). ,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ROM, RAM (Random Access Memory), and flash memory.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ed for a functio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a screen image to be output to the output unit 150. In addition, when the output unit 15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key map or a menu map for operating a touch screen.

출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실내 위치 측위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각 단말 장치들에서 엑세스 포인트 별로 측정된 신호 강도 값을 표시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50 is a means for providing a user to recognize the operation result or state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includes, for example, a display unit visually outputting through a screen, a speaker outputting an audible sound, and the like. can do.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related to indoor location positioning driven b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displayed, and signal strength values measured for each access point in each terminal device may be display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device in a location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apparatus in a location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부(210), 서비스 제공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service device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a service providing unit 220, and a storage unit 230.

통신부(210)는 통신망(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1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특정 단말 장치(100)로부터 위치 측위 정보를 수신하고, 특정 단말 장치(100)로 위치 측위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및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수신하고, 특정 단말 장치(100)로 각 인접 단말 장치(100)의 엑세스 포인트 정보 또는 위치 측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terminal device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to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as well as a wired method and a wireless metho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and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that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and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ed based on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access point list and a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or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of each neighboring terminal device 100 to a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Can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220)는 서비스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위치 확인 서비스를 위한 동작 등의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서비스 제공부(220)는 특정 단말 장치(100)로부터 위치 측위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위치 측위 정보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즉,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특정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에서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통해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ice device 200 and an operation for a location service. In particular, the service providing unit 220 is a specific terminal device ( 100), based o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that i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where the access point is installed, is checked, and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is specified. It transmi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measure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220)는 특정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또는 엑세스 포인트 정보와,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에 포함된 각 인접 단말 장치(100)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요청하여 각 인접 단말 장치(100)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ing unit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access point list or access point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and a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and included in the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By requesting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each neighboring terminal device 100, access point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from each neighboring terminal device 100, and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또한, 서비스 제공부(220)는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특정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부(220)는 일 예로,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에서 각 엑세스 포인트(20) 별로 각 인접 단말 장치(100)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값들을 확인하고, 각 엑세스 포인트(20) 별로 확인된 신호 강도 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각각 계산하여 각 엑세스 포인트(20)의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비스 제공부(220)는 엑세스 포인트들(20) 중 가장 큰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갖는 엑세스 포인트(20)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각 엑세스 포인트(20)의 평균 신호 강도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220 generates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of a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and transfers the generated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It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is end, the service provider 220 checks the signal strength values measured by each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for each access point 20 from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for example, and checks each access point 20 An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of each access point 20 may be obtained by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each of the obtained signal strength values. Then, the service provider 220 assigns a weight to the access point 20 having the largest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among the access points 20, and then uses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of each access point 20 It can be created as location information for measuring a location.

이러한 실시예는 특정 단말 장치(100)가 직접 인접 단말 장치(100)의 신호 강도를 확인할 수 없거나, 단말 간 무선 통신을 할 수 없어서 직접 인접 단말 장치(100)의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직접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cannot directly check the signal strength of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or cannot directly receive access point information of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becaus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not possible. Applicable in ca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220)는 현재 위치한 건물 등의 실내 상세 지도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부(220)는 해당 엑세스 포인트(2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신호 강도에 따른 정확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 분석 데이터 즉, 실제 실험 또는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부(220)는 해당 엑세스 포인트(20)가 설치된 위치 정보 및 위치 분석 데이터를 포함한 위치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220)는 위치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00)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된 위치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22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detailed indoor map information such as a currently located building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220 converts the location analysis data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access point 20 is installed, that is, data obtained through an actual experiment or a virtual simulation. Can be managed.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ing unit 220 may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analysis data in which the access point 20 is install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220 may check the exact loca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by using the location analysis data and transmit the confirm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100.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220)는 정확한 위치를 확인 시 엑세스 포인트 정보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들(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엑세스 포인트들(20) 사이에 위치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장치(200)는 확인된 위치 영역에서 가중치가 부여된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갖는 엑세스 포인트(20)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평균 신호 강도 값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반경을 위치 분석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평균 신호 강도 값이 -70dB인 경우, 위치 분석 데이터에 이에 상응하는 지점의 반경이 1m로 설정되어 있으면, 서비스 제공부(220)는 단말 장치(100)가 해당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m 내에 위치하고, 확인된 위치 영역 내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checking the correct location, the service provider 220 ma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s 20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to check the location area between the access points 20. In addition, the service device 200 determines the radius at which the signal for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can be receiv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20 having the weighted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in the identified location area. You can check it through. Accordingly, when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is -70dB, if the radius of the corresponding point in the location analysis data is set to 1m, the service provider 220 determines the location where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is installed. It can be seen that it is located within a 1m radius as a reference and is located within the identified location area.

또한, 서비스 제공부(220)는 확인된 위치 영역에서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엑세스 포인트 정보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들(20) 각각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각 엑세스 포인트들(20)의 신호 강도 값에 상응하는 위치 분석 데이터를 확인하여 신호 반경이 겹쳐지는 지점을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로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220 determines the signal strength of each access point 2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access points 20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correct location in the identified location area. Position analysis data corresponding to the value may be checked to predict a point where the signal radius overlaps a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predicted resul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저장부(230)는 실내 위치 측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위치 서버(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확인된 엑세스 포인트들(20)의 위치 정보, 특정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측위 정보,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The storage unit 230 stores related information to provide an indoor location location service. Specifically, the storage unit 230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s 20 checked from a location server (not shown),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an access point list, and a list of adjacent terminal devices. Etc. can be store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230 may stor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storage unit 230 include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a such as a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and a digital video disk (DVD). ,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ROM, RAM (Random Access Memory), and flash memory.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위치 측위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n, a method for positioning an indoor loca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cation positioning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a method for positioning an indoor location i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ositioning an indoor location i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20)를 검색하고,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20)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한다. Referring to FIG. 5, in step 1101, the terminal device 100 searches for one or more access points 20 located nearby based on a current location, and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searched access point 20 to obtain access point information. To collect.

그리고 1102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현재 위치 주변에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100)를 검색하고, 1103단계에서 검색된 인접 단말 장치(100)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검색된 인접 단말 장치(100)는 자신이 측정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20)의 신호 강도 값 및 엑세스 포인트(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생성한다. In step 1102, the terminal device 100 searches for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100 around the current location, and requests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found in step 1103. Accordingly, the searched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generates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ing signal strength values of at least one access point 20 measured by itself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20.

그러면 1104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각 인접 단말 장치(100)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신하여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한다. Then, in step 1104,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each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and collects access point information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이에 따라 1105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들을 분석하여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한다. 일 예로, 단말 장치(100)는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에서 각 엑세스 포인트 별로 각 단말 장치(100)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 값들을 확인한다. 그런 다음 단말 장치(100)는 각 엑세스 포인트(20) 별로 확인된 신호 강도 값들의 평균을 계산하여 각 엑세스 포인트(20)의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구하고, 각 엑세스 포인트(20)의 계산된 평균 신호 강도 값들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로 생성한다. Accordingly, in step 1105, the terminal device 100 analyzes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to generate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100 checks the signal strength values measured by each terminal device 100 for each access point from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Then, the terminal device 100 calculates the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values identified for each access point 20 to obtain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of each access point 20, and calculates the average signal strength of each access point 20. Using the intensity values, it is generated as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다른 예로, 단말 장치(100)는 간헐적으로 신호 강도가 측정되지 않는 엑세스 포인트(20)가 존재하면,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에서 해당 엑세스 포인트(20)의 가장 큰 신호 강도 값을 확인하고, 확인된 신호 강도 값이 다른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 값들보다 큰 경우 확인된 신호 강도 값을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로 생성한다. As another example, if there is an access point 20 whose signal strength is not measured intermittently, the terminal device 100 checks the largest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20 from the received access point information, and When the signal strength value is greater than the signal strength values of other access points, the identified signal strength value is generated as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그런 다음 1106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100)가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위치 측위 정보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위치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출력부(150)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 상에 현재 위치를 표시하거나, 실내 상세 지도를 표시할 수 있는 경우, 실내 상세 지도 정보에 파악된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n, in step 1106, the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indoor location positioning to measure the current location using the generated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Specifically,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0, the service device 200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access point included in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arch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by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At this time, the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the current location on a map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output unit 150 accor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r if it can display a detailed indoor map, the location identified in the detailed indoor map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mapped and outpu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method for positioning an indoor location i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positioning an indoor location in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2101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20)를 검색하고,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한다. Referring to FIG. 6, in step 2101, the terminal device 100 searches for one or more access points 20 located nearby based on a current location, measures signal strength of the searched access points, and collects access point information.

그리고 2102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현재 위치 주변에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100)를 검색하여 검색된 인접 단말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생성한다. In step 2102, the terminal device 100 searches for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100 around the current location and generates a list of adjacent terminal devices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ed adjacent terminal devices 100.

그런 다음 2103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들(2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또는 자신의 측정한 엑세스 포인트(20)들의 신호 강도 값을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와, 생성된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Then, in step 2103,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n access point list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ed access points 20 or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ing signal strength values of the measured access points 20, and the generated The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ice 200.

이후, 2104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에서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에 포함된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신하거나, 서비스 장치(200)에서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분석하여 위치 측위 정보가 생성된 경우 위치 측위 정보를 수신한다. Thereafter, in step 2104,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included in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list from the service device 200, or analyzes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rvice device 200. Thus, when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이에 따라 2105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자신이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 또는 수신된 위치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만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 및 자신이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한다. Accordingly, in step 2105, the terminal device 100 may measure the current location by performing indoor location positioning using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itself or the received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Here, when the terminal device 100 receives only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rvice device 200, the terminal device 100 analyzes the received access point information and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by itself and analyzes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Generat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method for positioning an indoor location in 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ositioning an indoor location in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2201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특정 단말 장치(100)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또는 엑세스 포인트 정보와,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수신하면,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2202단계에서 확인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100)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확인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100)는 자신이 측정한 엑세스 포인트들(20)의 신호 강도 값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 상기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7, in step 2201, when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an access point list or access point information and a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the service device 200 check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Thereafter, access point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100 identified in step 2202. Accordingly, the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device 100 identified accordingly transmits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ing the signal strength value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s 20 measured by itself to the service device 200.

그러면 2203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100)로부터 각각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신하고, 2204단계에서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들을 분석하여 특정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서비스 장치(200)는 위치 측위 정보를 직접 생성하지 않은 경우, 특정 단말 장치(100)로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Then, in step 2203,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100, respectively, and analyzes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2204 to measur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Generate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for In this case, the service device 200 may provid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when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is not directly generated.

그런 다음 2205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특정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Then, in step 2205, the service device 200 transmits the generated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이후, 특정 단말 장치(100)에서 위치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 시 서비스 장치(200)는 특정 단말 장치(1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요청 받는다. 이에 따라 서비스 장치(200)는 특정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수신하거나, 위치 정보 요청에 따라 저장된 위치 측위 정보를 독출한다. Thereafter, when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indoor location positioning by using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a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ly, the service device 200 receives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using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or reads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response to a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그런 다음 서비스 장치(200)는 수신된 또는 독출된 위치 측위 정보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및 기 저장된 위치 분석 데이터를 특정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Then, the service device 200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access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or read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specifi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access point and the previously stored location analysis data. It transmits to the terminal device 100.

한편, 서비스 장치(200)는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엑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및 기 저장된 위치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직접 예측하고, 현재 위치에 대한 예측 결과 정보를 특정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device 200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access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generated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and us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access point and the previously stored location analysis data.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vice 100 may be directly predicted, and prediction result information for the current location may be provided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100.

한편,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Meanwhile, the recorded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i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medium such as a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a digital video disk (DVD), and a floppy disk.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etc. do.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se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mounted o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or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It can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and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standalone programs, modules,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Computer programs do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files in the file system. A program may be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ve files (e.g., files that store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or part of a file that holds other programs or data.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with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run on on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located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a plurality of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 network.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또한,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Further, although this specification includes details of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s, thes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o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able, but rather to features that may be peculiar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n explanation. Certain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more, although features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scrib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a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and the claimed combination may be a subcombination. Or sub-combination variations.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at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result. In addition,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are generally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You should understand that you can.

본 발명은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위치 측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단말 장치에서 측정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 값을 포함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 및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함으로써, 노이즈로 인한 위치 예측에 대한 오류를 보정할 수 있으며,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and to a location positioning system therefor, wherein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ing signal strength values of one or more access points measured by a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adjacent terminal devices are provided. By performing indoor location positioning by using, it is possible to correct an error in the location prediction due to nois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urrent location can be measur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아울러,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sufficiently commercially available or commercially possible, but also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can be implemented clearly in reality.

10: 통신망 20: 엑세스 포인트(AP) 100: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11: 위치 측위 모듈 120: 통신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출력부
200: 서비스 장치 210: 통신부 220: 서비스 제공부
230: 저장부
10: communication network 20: access point (AP) 100: terminal device
110: control unit 111: positioning module 120: communication unit
130: input unit 140: storage unit 150: output unit
200: service device 210: communication unit 220: service providing unit
230: storage unit

Claims (21)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 및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와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현재 위치 주변에서 검색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들을 각 엑세스 포인트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 별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의 신호 강도 값들의 평균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의 계산된 평균 신호 강도 값 중 가장 큰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갖는 엑세스 포인트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with at least one access point and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device located around the current location; And
By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one or more access points, receiving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searched around the current locatio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is collected for each access point. It is classified and stored, and the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values of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stored for each access point is calculated, and the access point having the largest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among the calculated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s of each access poin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perform indoor positioning for measuring a current position by assigning a weight;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 및 현재 위치의 측정 결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and measurement result information of a current location;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기 설정된 위치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 값이 수신되는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된 위치를 현재 위치로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ed one or more access points from the service device, and checks the location where the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access point is received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using preset location analysis data, and determines the identified location.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easuring by posi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가 둘 이상인 경우, 검색된 엑세스 포인들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들 사이의 위치 영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영역에서 가중치가 부여된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 값이 수신되는 위치를 상기 위치 분석 데이터를 통해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현재 위치로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If the searched access point is more than one, the location area between the searched access points is check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ed access points, and the weight i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assigned a weight in the identified location area. A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location at which a signal strength value of an access point assigned is received is checked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data, and the confirmed location is measured as a current location.
현재 위치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는 서비스 장치와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및 현재 위치 주변에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를 검색하여 생성된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 및 상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들을 각 엑세스 포인트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 별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의 신호 강도 값들의 평균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의 계산된 평균 신호 강도 값 중 가장 큰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갖는 엑세스 포인트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with one or more access points located around a current location,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and service devices interworking through a network; And
An access point list generated by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one or more access points and a list of adjacent terminal devices generated by searching for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near the current location are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ice, and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from the service devic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is received using a device list and the access point list, and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is separately stored for each access point, and each of the The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values of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stored for each access point is calculated, and a weight is assigned to the access point having the largest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among the calculated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s of each access poin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perform indoor position positioning for measuring the signal;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와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및 현재 위치 주변에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를 검색하여 생성된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에 포함된 각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들에 포함된 신호 강도 값들의 평균을 각 엑세스 포인트 별로 각각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 별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의 평균 신호 강도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측위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의 계산된 신호 강도 값 중 가장 큰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갖는 엑세스 포인트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with one or more terminal devices through a network; And
Receive an access point list received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a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generated by searching for one or more neighboring terminal devices near the current location, and collect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each neighboring terminal device included in the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Thus, an average of signal strength values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is calculated for each access point, and the calculated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for each access point An access point having the largest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among the calculated signal strength values of each access point by generating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using and providing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 service providing unit to perform indoor location positioning by assigning a weight to;
Service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신호 강도에 따른 정확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 분석 데이터를 실제 실험 또는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분석 데이터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rvice providing uni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one or more access points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list are installed, location analysis data to determin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is generated through an actual experiment or virtual simulation, and the generated location analysis data is stored.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 사이의 위치 영역을 확인하고, 상기 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의 각 신호 강도 값에 상응하는 위치 분석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위치 영역에서 신호 반경이 겹쳐지는 지점을 상기 특정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로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rvice providing unit,
When there are two or more access points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list, the location area between the two or more access points is check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wo or more access point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wo or more access points is By checking the location analysis data corresponding to the signal strength values of two or more access points, the point where the signal radius overlaps in the identified location area is predicted a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the predicted result information is used for the specific terminal.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ing to the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 정보는 상기 특정 단말 장치 및 상기 인접 단말 장치에서 각각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 별로 측정된 신호 강도 값, 엑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es a signal strength value measured for each access point retrieved from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access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삭제delete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엑세스 포인트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엑세스 포인트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여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현재 위치 주변에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들을 각 엑세스 포인트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 별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의 신호 강도 값들의 평균을 계산하고,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의 계산된 평균 신호 강도 값 중 가장 큰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갖는 엑세스 포인트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
Searching for one or more access points located nearby based on a current location;
Collecting access point information by measuring signal strength of the searched access point;
Searching for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around a current location;
Collecting access point information for measuring a current location from the searched adjacent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is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access point, the average of signal strength values of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stored for each access point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ion of each access point Performing indoor location positioning for measuring a current location by assigning a weight to the access point having the largest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among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s;
Method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a terminal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 및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접 단말 장치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들에 포함된 신호 강도 값들의 평균을 각 엑세스 포인트 별로 각각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 별 상기 하나 이상의 인접 단말 장치의 평균 신호 강도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측위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각 엑세스 포인트의 계산된 신호 강도 값 중 가장 큰 평균 신호 강도 값을 갖는 엑세스 포인트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실내 위치 측위를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
Receiving an access point list and a neighboring terminal device list from a specific terminal device;
Collecting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included in the adjacent terminal device list; And
The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values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is calculated for each access point, and the calculated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of the one or more adjacent terminal devices for each access point is used. The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for measuring the current location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and weighted to the access point having the largest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among the calculated signal strength values of each access point. Giving a to perform indoor location positioning;
Method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a service device comprising a.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수집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위치 측위 정보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및 기 저장된 위치 분석 데이터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Receiving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generated by using the collected access point information from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access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access point and pre-stored location analysis data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Method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a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엑세스 포인트 리스트에 포함된 엑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 측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위치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엑세스 포인트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엑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 및 기 저장된 위치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단말 장치의 현재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및
현재 위치에 대한 예측 결과 정보를 상기 특정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에서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7,
Generating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for measur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by using access poi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cess point list;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access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ing the generated location positioning information;
Predict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access point and previously stored location analysis data; And
Transmitting prediction result information on a current location to the specific terminal device;
Method for indoor location positioning in a servi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5항, 제17항, 제18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indoor position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17, 18 and 20.
KR1020140032327A 2014-03-19 2014-03-19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KR102203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27A KR102203517B1 (en) 2014-03-19 2014-03-19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327A KR102203517B1 (en) 2014-03-19 2014-03-19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98A KR20150109198A (en) 2015-10-01
KR102203517B1 true KR102203517B1 (en) 2021-01-15

Family

ID=5433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327A KR102203517B1 (en) 2014-03-19 2014-03-19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5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937B1 (en) * 2017-01-03 2023-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Location data correction apparatus for location based service and method and location data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964509B1 (en) * 2017-01-09 2019-04-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positioning indoor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KR102365727B1 (en) * 2021-04-22 2022-02-23 주식회사 디비콤 Indoor positioning device using complex position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758B1 (en) * 2010-07-05 2016-11-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osition Estimating Server therefor
KR101435663B1 (en) * 2011-06-23 2014-08-2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information of access point, posi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access point
KR101666890B1 (en) 2012-05-18 2016-10-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Indoor Positioning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198A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4513B1 (e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US9544866B2 (en) Position estimation of a wireless terminal in a structure using base station signal information
US2017026504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door positioning
KR102243027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loc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of hybrid form
CN107528906B (en) Positioning method, terminal, Bluetooth nod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7534949B (en) Indoor positioning method and equipment
EP3346434A1 (en) Generating geofences
KR101174542B1 (en) Mobi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KR1022035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determination
CN114554402A (en) Building positioning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163339B1 (en)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recognization of local information
KR101242973B1 (en)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of mobile device
KR1017912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ing Terminal, Position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loud Computing Servic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Access Poi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KR101639204B1 (en) Mechanism for employing and facilitating geodetic triangulation for determining global positioning of computing devices
KR201600901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indoor position using wireless signal
KR1018151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itted Information Service by Using Context-awareness, Cloud Computing Servic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53134B1 (en) Fire alarm servi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loc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KR1014457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 tracking between users
KR101553540B1 (e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reasoning of boarding vehicle
KR20150139714A (en) Location based servic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using loc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JP6430873B2 (en) Position analysis device
KR20170106152A (en) Operating method of server for indoor positioning
CN110049189B (en) Terminal motion state determination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KR101851593B1 (en) Position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loud Computing Service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18227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plurarity of terminal based on ibeac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