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918B1 -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 Google Patents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918B1
KR102202918B1 KR1020190006305A KR20190006305A KR102202918B1 KR 102202918 B1 KR102202918 B1 KR 102202918B1 KR 1020190006305 A KR1020190006305 A KR 1020190006305A KR 20190006305 A KR20190006305 A KR 20190006305A KR 102202918 B1 KR102202918 B1 KR 102202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wheelchair
coupling
receiving 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89496A (en
Inventor
신강목
김경희
최일항
신시경
신창용
곽정현
윤대환
Original Assignee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엠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9000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918B1/en
Publication of KR2020008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4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9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2Front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에 기반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듈; 상기 전동 모듈에서 발생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견인될 휠체어를 상기 전동 모듈에 연결하는 링크 모듈;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기 전동 모듈을 상대 회전시키면서 상기 전동 모듈을 상기 링크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전방 결합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로부터 상기 전방 결합 모듈보다 멀리 위치하고, 상기 링크 모듈을 상기 휠체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후방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결합 모듈은, 수용홀을 구비하고,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바디 유닛; 및 상기 수용홀에 삽입된 상기 링크 모듈을 상기 바디 유닛에 대해 구속시키도록 구성되는 구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유닛은, 구속홈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홀 내로 삽입되는 어댑터; 및 상기 수용홀 내에서 상기 구속홈에 삽입되는 구속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 유닛에 설치되는 인덱스 플런저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 module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based on electric power; A link module for connecting a wheelchair to be towed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dule to the electric module; A front coupling modul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electric module to the link module while rotating the electric module relative to the link module; And a rear coupling module located farther from the electric module than the front coupling module and detachably coupling the link module to the wheelchair, wherein the rear coupling module includes a receiving hole and installed on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 body unit; And a confinement unit configured to constrain the link module inserted in the receiving hole with respect to the body unit, wherein the constraining unit has a constraining groove, and is coupled to the link module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adapter; And a restrain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 in the receiving hole, and including an index plunger installed in the body unit, providing 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Description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Auxiliary power system for wheelchair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장애인, 노약자 그리고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설치한 의자를 말한다.In general, a wheelchair refers to a chair equipped with wheels so that a person with a disability, an elderly person, and a person with limited legs or a person with disabilities can move from a seated state to a desired place.

휠체어는 그 구동방법에 따라 이용자가 손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휠체어로 구분된다.Wheelchairs are classified into manual wheelchairs in which the user drives wheels by hand and electric wheelchairs in which wheels ar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수동휠체어는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바퀴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장거리 운행이 어렵고 불편하다. 또한, 경사도에서 운행시 이용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뒤로 밀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호자 또는 이용자가 직접 힘을 가하여 수동휠체어를 구동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약한 노약자는 수동휠체어를 구동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Manual wheelchairs are difficult and inconvenient to drive over long distances because the user must manually drive the wheels. In addition, when driving on an incli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is pushed back due to the load of the user, so that the help of others is required. Therefore, since a guardian or a user must directly apply a force to drive the manual wheelchair, the elderly and the weak have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drive the manual wheelchair.

한편, 전동휠체어는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써 이용자의 편리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으나, 실외용으로 사용되어 실내에서는 별도의 수동휠체어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wheelchair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user convenience by driving the wheel through an electric motor, but it is used outdoors and has a problem that a separate manual wheelchair must be provided indoors.

최근에는 수동휠체어에 별도의 보조동력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 방식 또는 전동 방식으로 휠체어를 운용할 수 있게 하기도 한다. 이의 일 형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5128호(2018.07.26.)에 개시되어 있다. In recent years, by allowing a separate auxiliary power device to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manual wheelchai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operate the wheelchair in a manual method or an electric method as needed. One form thereof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8-0085128 (July 26, 2018).

그에 따라, 보조동력장치에서 휠체어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은 사용 편의성 및 안정성에서 중요한 이슈가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들은 그 결합을 위한 구성을 이용하여 보조동력장치와 휠체어를 결합하고 분리하는 과정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하였다. Accordingly,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with a wheelchair in an auxiliary power device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ease of use and stability. However, conventional devices have made it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to combine and separate the auxiliary power device and the wheelchair by using the configuration for the combin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동력장치와 휠체어 간의 결합과 분리를 보다 간편하게 하면서도 그 결합의 견고성을 높일 수 있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which can increase the robustness of the coupling while making the coupling and separation between the auxiliary power device and the wheelchair more convenien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듈; 상기 구동력에 의해 견인되는 대상이 되는 휠체어를 상기 구동 모듈에 연결하는 링크 모듈; 상기 링크 모듈과 상기 구동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전방 결합 모듈; 및 상기 링크 모듈을 상기 휠체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후방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결합 모듈은, 영전자석과 금속 부재 중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모듈에 설치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영전자석과 상기 금속 부재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 유닛과 정렬되어 상기 제1 결합 유닛에 대해 자력 결합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결합 모듈은, 수용홀을 구비하고,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바디 유닛; 및 상기 링크 모듈이 상기 수용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링크 모듈을 상기 바디에 대해 구속시키는 구속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driving module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 link module for connecting a wheelchair, which is a target to be traction by the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module; A front coupling module detachably coupling the link module and the driving module; And a rear coupling module detachably coupling the link module to the wheelchair, wherein the front coupling module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having one of a zero electromagnet and a metal member, and installed on the drive module; And the other one of the zero electromagnet and the metal member, installed on the link module, and aligned with the first coupling unit as the driving module is rotated relative to the link modu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upling unit. And a second coupling unit magnetically coupled, wherein the rear coupling module includes: a body unit having an accommodation hole and installed on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a constraining unit constraining the link module to the body while the link modul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여기서, 상기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제2 결합 유닛 중 하나는, 상기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제2 결합 유닛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삽입 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제2 결합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 블럭을 수용하여 상기 영전자석 및 상기 금속 부재가 서로에게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도록 상기 삽입 블럭을 지지하는 지지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Here, one of the first coupling unit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block protruding toward the other one of the first coupling unit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and the first coupling unit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The other of the two coupling units may include a support block that accommodates the insertion block and supports the insertion block so as to prevent the zero electromagnet and the metal member from rotating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바디 유닛은, 상기 휠체어의 상기 프레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방 블럭과 후방 블럭; 및 상기 프레임의 측방에 배치된 채로 상기 전방 블럭과 상기 후방 블럭을 체결하고, 상기 수용홀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체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ody unit includes: a front block and a rear block disposed to surround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a fastening element that fastens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while being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rame, and is disposed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eceiving hole.

여기서, 상기 전방 블럭 및 상기 후방 블럭 각각은,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면 접촉하기 위한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선 접촉하기 위한 한 쌍의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each of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includes a reces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ame, and the recess portion includes: a curved portion disposed in the center and for surface contacting the frame; And a pair of flat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portion and for line-contacting the frame.

여기서, 상기 구속 유닛은, 상기 링크 모듈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링크 모듈을 구속하는 인덱스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straining unit may include an index plunger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ink module to restrain the link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전력에 기반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듈; 상기 전동 모듈에서 발생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견인될 휠체어를 상기 전동 모듈에 연결하는 링크 모듈;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기 전동 모듈을 상대 회전시키면서 상기 전동 모듈을 상기 링크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전방 결합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로부터 상기 전방 결합 모듈보다 멀리 위치하고, 상기 링크 모듈을 상기 휠체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후방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결합 모듈은, 수용홀을 구비하고,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바디 유닛; 및 상기 링크 모듈이 상기 수용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링크 모듈을 상기 바디에 대해 구속시키는 구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유닛은, 상기 휠체어의 상기 프레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방 블럭과 후방 블럭; 및 상기 프레임의 측방에 배치된 채로 상기 전방 블럭과 상기 후방 블럭을 체결하는 체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module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based on electric power; A link module for connecting a wheelchair to be towed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dule to the electric module; A front coupling modul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electric module to the link module while rotating the electric module relative to the link module; And a rear coupling module located farther from the electric module than the front coupling module and detachably coupling the link module to the wheelchair, wherein the rear coupling module includes a receiving hole and installed on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 body unit; And a restraint unit for restraining the link module with respect to the body while the link modul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wherein the body unit includes: a front block and a rear block disposed to surround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a fastening element for fastening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while being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rame.

여기서, 상기 체결 요소는, 상기 전방 블럭과 상기 후방 블럭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블럭은, 상기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깊이는, 상기 볼트 중 상기 삽입홈을 통해 노출되는 길이보다 깊을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element may include a bolt passing through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And a nut screwed to the bolt, and the rear block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nut is inserted, and a depth of the insertion groove may be greater than a length expos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among the bolts. .

여기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너트의 다각형 외주면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내주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sertion groove may include a polygonal inn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ut.

여기서, 상기 전방 블럭 및 상기 후방 블럭 각각은,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면 접촉하기 위한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선 접촉하기 위한 한 쌍의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each of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includes a reces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ame, and the recess portion includes: a curved portion disposed in the center and for surface contacting the frame; And a pair of flat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portion and for line-contacting the frame.

여기서, 상기 구속 유닛은, 구속홈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홀 내로 삽입되는 어댑터; 및 상기 수용홀 내에 위치하는 상기 구속홈에 삽입되는 구속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 유닛에 설치되는 인덱스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straining unit includes an adapter having a constraining groove, coupled to the link module,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And an index plunger installed in the body unit and having a constrain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nstraining groove positioned in the receiving hole.

여기서, 상기 구속 유닛은, 상기 링크 모듈에 결합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 블럭에 결합됨에 의해 상기 링크 모듈이 상기 수용홀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회전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straining unit includes an adapter coupled to the link module; And a rotation clamp installed on the adapter and configured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link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by being coupled to the front block.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는 링크 모듈과 휠체어 결합용 후방 결합 모듈은, 구동 모듈에 연결되는 링크 모듈의 사이드 로드를 휠체어에 결합시키기 위한 후방 결합 모듈로서,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바디 유닛; 및 상기 바디 유닛에 삽입된 상기 사이드 로드를 상기 바디 유닛에 대해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구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유닛은, 상기 사이드 로드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홀을 구비하는 전방 블럭;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기 전방 블럭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후방 블럭; 및 상기 전방 블럭과 상기 후방 블럭을 체결하여, 상기 전방 블럭과 상기 후방 블럭이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결합되게 하는 체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A link module and a rear coupling module for coupling a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r coupling module for coupling a side rod of a link module connected to a drive module to a wheelchair, and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frame of the wheelchair. Body unit; And a restraining unit configured to restrain the side rod inserted into the body unit with respect to the body unit, wherein the body unit comprises: a front block having a first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side rod; A rear block disposed to face the front block about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a fastening element for fastening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so that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are coupled to the frame of the wheelchair.

여기서, 상기 체결 요소는, 상기 전방 블럭과 상기 후방 블럭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상기 제1 수용홀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fastening element may include a bolt passing through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And a nut screwed to the bolt, and the bolt may be disposed parallel to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hole.

여기서, 상기 후방 블럭은, 상기 제1 수용홀에 대응하여 상기 사이드 로드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블럭은, 상기 제1 수용홀에서 상기 제2 수용홀에 삽입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수용홀과 상기 제2 수용홀을 정렬시키는 정렬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ar block includes a second receiving hole for receiving the side rod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iving hole, and the front block is extende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hole from the first receiving hole , It may include an alignment pipe for aligning the first accommodation hol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hole.

여기서, 상기 전방 블럭 및 상기 후방 블럭 각각은, 상기 휠체어의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중 제1 사이즈를 갖는 것과 접촉하기 위한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 중 상기 제1 사이즈보다 큰 제2 사이즈를 갖는 것과 접촉하기 위한 한 쌍의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each of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includes a recess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the recess portion is disposed in the center, and a curved portion for contacting one having a first size among the frames ; And a pair of flat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portion and contacting one of the frames having a second size larger than the first siz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의하면, 구동 모듈은 링크 모듈을 매개로 휠체어와 연결되는데 구동 모듈과 링크 모듈은 전방 결합 모듈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전방 결합 모듈은 구동 모듈이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그들이 서로 정렬되어 결합되게 한다. 링크 모듈과 휠체어 간의 결합은 후방 결합 모듈에 의해 이루어지며 후방 결합 모듈은 휠체어의 프레임에 결합된 채로 링크 모듈의 사이드 로드를 수용하고 구속 유닛은 사이드 로드를 바디 유닛에 대해 구속하게 된다. 그에 의해, 휠체어에 사이드 로드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면서도, 구속 유닛의 손쉬운 조작에 의해 사이드 로드와 바디 유닛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odule is connected to the wheelchair via a link module. The driving module and the link modul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ront coupling module, and the front coupling module is a driving module. Rotating relative to the link module allows them to align and engage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between the link module and the wheelchair is achieved by the rear coupling module, and the rear coupling module receives the side rod of the link module while being coupled to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the restraint unit restrains the side rod to the body unit. Thereby, while firmly coupling the side rod to the wheelchair, coupling and separation between the side rod and the body unit can be made easily by the easy operation of the restraint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100, 200, 300, 및 400)와 휠체어(H) 간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링크 모듈(200)과 후방 결합 모듈(400)을 중심으로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후방 결합 모듈(400)을 중심으로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후방 결합 모듈(4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 결합 모듈(500)에 대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후방 결합 모듈(5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between the auxiliary power devices 100, 200, 300, and 400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heelchair (H).
FI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nk module 200 and the rear coupling module 400 of FIG. 1.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coupling module 400 of FIG. 1 as the center.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oupling module 400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ar coupling module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oupling module 500 of FIG. 5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similar configurations even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100, 200, 300, 및 400)와 휠체어(H) 간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링크 모듈(200)과 후방 결합 모듈(400)을 중심으로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auxiliary power devices for wheelchairs 100, 200, 300, and 400 and the wheelchair 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link module 200 of FIG. It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coupling module 400 as the center.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100, 200, 300, 400)는, 구동 모듈(100), 링크 모듈(200), 전방 결합 모듈(300), 및 후방 결합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100, 200, 300, 400) includes a drive module 100, a link module 200, a front coupling module 300, and a rear coupling module 400 can do.

구동 모듈(100)은 전력을 기반으로 휠체어(H)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구동 모듈(100)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0), 스티어링 프레임(120), 핸들(130), 구동 바퀴(140), 구동 모터(150), 지원 박스(160), 및 거치 브라켓(1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100 is a component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hat moves the wheelchair H based on electric power. The driving module 100 is, specifically, a base frame 110, a steering frame 120, a handle 130, a driving wheel 140, a driving motor 150, a support box 160, and a mounting bracket 170 ) Can be included.

베이스 프레임(110)은 대체로 중공 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중공 부분에는 스티어링 프레임(120)이 삽입된다. 스티어링 프레임(120)의 상부에는 핸들(130)이 연결된다. 이용자가 핸들(130)을 좌우로 회전 조작함에 의해, 스티어링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스티어링 프레임(120)의 하부에는 구동 바퀴(140) 및 구동 모터(150)가 연결된다. 구동 모터(150)는 구동 바퀴(14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150)에 대한 전력 공급 및 제어는 지원 박스(16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원 박스(160)는 컨트롤러(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구동 모터(15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저장하고, 컨트롤러의 제어 등에 의해 구동 모터(15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원 박스(16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듈(100)이 상기 배터리에 의해 전력 기반으로 작동함에 의해, 그는 전동 모듈이라 칭해질 수도 있다. 아울러, 거치 브라켓(170)은 구동 모듈(100)이 지면에 대해 세워지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The base frame 110 may have a generally hollow pipe shape. The steering frame 12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base frame 110. The steering wheel 13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ring frame 120. When the user rotates the steering wheel 130 left and right, the steering frame 120 rotates relative to the base frame 110. A driving wheel 140 and a driving motor 150 ar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eering frame 120. The drive motor 150 rotates the drive wheel 140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Power supply and control for the drive motor 150 may be performed by the support box 160. To this end, the support box 160 may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and a battery (not shown). The battery stor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50 and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motor 150 by control of a controller or the like. This support box 160 may be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10. Further, as the driving module 100 operates on a power basis by the battery, it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ic module. In addition, the mounting bracket 170 is a configuration that supports the base frame 110 so that the driving module 100 is erected against the ground.

링크 모듈(200)은 휠체어(H)를 구동 모듈(100)에 연결하기 위해 휠체어(H)와 구동 모듈(100)을 매개하는 구성이다. 링크 모듈(200)은 대체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 모듈(200)은 하나의 중앙 로드(210)와 한 쌍의 사이드 로드(230)로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 로드(230)가 휠체어(H)의 양측 프레임(F)에서 연장된 형태라면, 중앙 로드(210)는 한 쌍의 사이드 로드(230)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그에 의해, 중앙 로드(210)는 휠체어(H)에 앉은 이용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한 쌍의 사이드 로드(230)는 이용자의 양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The link module 200 is a component that mediates the wheelchair H and the driving module 100 in order to connect the wheelchair H to the driving module 100. The link module 200 may be formed in a generally'U' shape. Specifically, the link module 200 may include one central rod 210 and a pair of side rods 230. If the side rod 230 is a form extending from the frame (F) on both sides of the wheelchair (H), the central rod 210 is disposed to connect the pair of side rods 230. Thereby, the central rod 210 is located in front of the user seated in the wheelchair H, and the pair of side rods 230 can be located in both sides of the user.

전방 결합 모듈(300)은 구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전방 결합 모듈(300)은 이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구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을 결합시키거나, 그들의 결합을 해제하게 한다. 전방 결합 모듈(300)은 제1 결합 유닛(310) 및 제2 결합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유닛(310)은 구동 모듈(100)에 설치되고, 제2 결합 유닛(330)의 링크 모듈(2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유닛(310)은 영전자석(311)을 가지고, 제2 결합 유닛(330)은 영전자석(311)에 대응하는 금속 부재(331)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거치 브라켓(170)이 지면에서 상승하도록 전동 모듈(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휠체어(H)는 보조바퀴(AW)가 지면에서 상승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서로 대면 정렬되어 자력 결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결합 유닛(310)을 금속 부재로 하고, 제2 결합 유닛(330)을 영전자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결합 유닛(310)은 삽입 블럭(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블럭은 영전자석(311)의 상측에 위치하고 휠체어(H)를 향한 방향으로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블럭에 대응하여, 제2 결합 유닛(330)은 지지 블럭(33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블럭(335)은 상기 삽입 블럭을 수용하여 영전자석(311)과 금속 부재(331)가 서로에게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막도록 상기 삽입 블럭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지지 블럭(335)은 수용 공간(336)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 공간(336)은 구동 모듈(100)에서 휠체어(H)를 향한 방향을 따라 동굴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수용 공간(336)을 한정하는 지지 블럭(335)의 바닥면은 상기 삽입 돌기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영전자석(311)이 금속 부재(33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아준다. 지지 블럭(335)에 설치된 안내 롤러(337)는 상기 삽입 블럭이 수용 공간(336) 내로 진입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나아가, 잠금 부재(339)는 상기 삽입 블럭이 수용 공간(336)에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 블럭(335)에 대해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front coupling module 300 is configured to detachably couple the driving module 100 and the link module 200. The front coupling module 300 couples the driving module 100 and the link module 200 or releases the coupling as it is operated by a user. The front coupling module 30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unit 310 and a second coupling unit 330. The first coupling unit 310 may be installed on the driving module 100 and on the link module 20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330. The first coupling unit 310 may have a zero electromagnet 311,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330 may have a metal member 331 corresponding to the zero electromagnet 311. These are the electric module 100 rotates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mounting bracket 170 rises from the ground, and the wheelchair (H) must be rotated clockwise so that the auxiliary wheel (AW) rises from the ground so that they face each other so that they are magnetically coupled. Can be formed.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first coupling unit 310 as a metal member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330 as a zero electromagnet. The first coupling unit 310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block (not shown). The insertion block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zero electromagnet 311 and protrude along a direction toward the wheelchair (H).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block, the second coupling unit 33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lock 335. The support block 335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insertion block to support the insertion block to prevent the zero electromagnet 311 and the metal member 331 from rotating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To this end, the support block 335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336. The accommodation space 336 may extend in a cave shape along a direction from the driving module 100 toward the wheelchair 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335 defining the accommodation space 336 prevents the zero electromagnet 31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etal member 331 while the insertion protrusion rotates clockwise. The guide roller 337 installed on the support block 335 guides the insertion block to enter the accommodation space 336. Further, the locking member 339 serves to fix the insertion block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lock 335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lock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336.

후방 결합 모듈(400)은 링크 모듈(200)과 휠체어(H)를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후방 결합 모듈(400)은 한 쌍의 사이드 로드(230)의 자유단 측에 각각 설치되어, 링크 모듈(200)을 휠체어(H)의 프레임(F)에 대해 결합시킨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후방 결합 모듈(400)은 전방 결합 모듈(300)보다 구동 모듈(100)에서 멀리 위치하게 된다. 후방 결합 모듈(400)은 바디 유닛(410)과 구속 유닛(450)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 유닛(410)은 휠체어(H)의 프레임(F)에 설치되며, 링크 모듈(200)의 사이드 로드(2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구속 유닛(450)은 바디 유닛(410)에 직접 수용된 사이드 로드(230)가 바디 유닛(410)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바디 유닛(410)에 대해 구속하는 구성이다. The rear coupling module 400 is configured to couple the link module 200 and the wheelchair (H). Specifically, the rear coupling module 400 is install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pair of side rods 230, respectively, to couple the link module 200 to the frame (F) of the wheelchair (H). For this function, the rear coupling module 400 is located farther from the driving module 100 than the front coupling module 300. The rear coupling module 400 may include a body unit 410 and a restraint unit 450. The body unit 410 is installed on the frame F of the wheelchair H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side rod 230 of the link module 200. The constraining unit 450 is a configuration that constrains the body unit 410 so that the side rod 230 directly accommodated in the body unit 410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body unit 410.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동 모듈(100)은 링크 모듈(200)을 매개로 휠체어(H)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연결 메커니즘에서, 링크 모듈(200)의 전단은 전방 결합 모듈(300)을 통해 구동 모듈(100)에 결합되고, 링크 모듈(200)의 후단은 후방 결합 모듈(400)을 통해 휠체어(H)에 결합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driving modul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wheelchair H via the link module 200. In such a connection mechanism, the front end of the link module 200 is coupled to the driving module 100 through the front coupling module 300, and the rear end of the link module 200 is the wheelchair H through the rear coupling module 400. Is bound to

전방 결합 모듈(300)은 구동 모듈(100)이 링크 모듈(20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방식으로 그들을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구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은 영전자석(311)과 금속 부재(331)에 의해 자력 결합하고, 그 과정에서 구동 모듈(100)과 휠체어(H)가 회전되면서 지지 브라켓(170)과 보조 바퀴(AW)가 지면에서 상승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구동 바퀴(140)와 주 바퀴(MW) 만이 지면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The front coupling module 300 couples them in such a manner that the driving module 100 rotates relative to the link module 200. Specifically, the driving module 100 and the link module 200 are magnetically coupled by the zero electromagnet 311 and the metal member 331, and in the process, the driving module 100 and the wheelchair H are rotated while the support bracket 170 and the auxiliary wheel (AW) can be raised from the ground. Accordingly, only the driving wheel 140 and the main wheel MW are supported on the ground.

후방 결합 모듈(400)은 링크 모듈(200)의 사이드 로드(230)가 바디 유닛(410)에 직접 삽입된 상태에서 구속 유닛(450)으로 그 상태를 유지한다. 그에 의해, 사이드 로드(230)와 바디 유닛(410), 나아가 링크 모듈(200)과 휠체어(H)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구속 유닛(450)에 대한 원터치 조작에 의해서, 사이드 로드(230)와 바디 유닛(410) 간의 결합은 쉽게 이루어지고, 또한 쉬운 조작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The rear coupling module 400 maintains the state as the restraint unit 450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rod 230 of the link module 200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body unit 410. Thereb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ide rod 230 and the body unit 410, and further, the link module 200 and the wheelchair (H). In addition, by one-touch operation on the restraint unit 450, the coupling between the side rod 230 and the body unit 410 is easily achieved, and can be released by an easy operation.

이상의 후방 결합 모듈(40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추가 설명한다.The above rear coupling module 400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도 1의 후방 결합 모듈(400)을 중심으로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후방 결합 모듈(4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coupling module 400 of FIG. 1 as a center, and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oupling module 400 of FIG. 3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바디 유닛(410)은 전방 블럭(411), 후방 블럭(421), 및 체결 요소(43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ody unit 410 may include a front block 411, a rear block 421, and a fastening element 431.

전방 블럭(411)과 후방 블럭(421)은 휠체어(H)의 프레임(F, 도 2 참조)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방 블럭(411)은 후방 블럭(421)보다는 구동 모듈(10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이들은 각기 제1 수용홀(413)과 제2 수용홀(423)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수용홀(413)만을 지칭하여, 또는 제1 수용홀(413)과 제2 수용홀(423)을 통칭하여 수용홀이라 칭해질 수도 있다. 상기 수용홀에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사이드 로드(230)가 삽입되어 수용된다. 상기 수용홀은 휠체어(H)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한 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역시 동일한 방향을 따르도록 배열된 사이드 로드(230)가 상기 수용홀에 그대로 삽입될 수 있다. The front block 411 and the rear block 421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ased on the frame F of the wheelchair H (see FIG. 2 ). The front block 411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driving module 100 than the rear block 421. Each of them may have a first receiving hole 413 and a second receiving hole 423. In some cases, only the first receiving hole 413 may be referred to, or the first receiving hole 413 and the second receiving hole 423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receiving hole. As described above, the side rod 230 is inserted and received in the receiving hole. The receiving hole is aligned along a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wheelchair H, and the side rod 230 arranged to follow the same direc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as it is.

전방 블럭(411)과 후방 블럭(421)에는 각각 리세스부(415 및 425)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415 및 425)는 휠체어(H)의 프레임(F)과 밀착되는 부분으로서 대략 반원형 구조를 가진다. 리세스부(425)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보다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 리세스부(425)는, 곡면부(425a)와 평면부(425b-1 및 425b-2)를 가질 수 있다. 곡면부(425a)는 프레임(F) 중 사이즈(직경)가 작은 것에 대응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의해, 곡면부(425a)는 프레임(F)을 감싸서 전면적으로 접촉되는 면 접촉 관계를 이룰 수 있다. 평면부(425b-1 및 425b-2)는 프레임(F) 중 사이즈가 큰 것에 대응하며, 곡면부(425a)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의해, 평면부(425b-1 및 425b-2)는 프레임(F)과는 선 접촉 관계를 이룰 수 있다. 평면부(425b-1 및 425b-2)는 한 쌍의 평면으로 설명하였으나, 한 개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Recess portions 415 and 425 may be formed in the front block 411 and the rear block 421, respectively. The recess portions 415 and 425 are portion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F of the wheelchair H and have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tructure. Taking the recess portion 425 as an example, in a more specific structure, the recess portion 425 may have a curved portion 425a and flat portions 425b-1 and 425b-2. The curved portion 425a may form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a smaller size (diameter) of the frame F. Thereby, the curved portion 425a may form a surface contact relationship that surrounds the frame F and is in full contact. The flat portions 425b-1 and 425b-2 correspond to the larger ones among the frames F, and may be formed of a pair of flat surfac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portion 425a. Thereby, the planar portions 425b-1 and 425b-2 can establish a line contact relationship with the frame F. The plane portions 425b-1 and 425b-2 have been described as a pair of planes, but may be formed as a single plane.

전방 블럭(411)은 정렬 파이프(4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정렬 파이프(417)는 제1 수용홀(413)과 제2 수용홀(423)을 정렬시켜서, 사이드 로드(230)의 진입시 그들의 비정렬로 인한 사이드 로드(230)와의 간섭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정렬 파이프(417)는 제1 수용홀(413)에서 제2 수용홀(423)에 삽입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block 411 may further include an alignment pipe 417. Alignment pipe 417 is a configuration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side rod 230 due to their misalignment when entering the side rod 230 by aligning the first receiving hole 413 and the second receiving hole 423 to be. To this end, the alignment pipe 417 may be extended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hole 423 from the first receiving hole 413.

체결 요소(431)는 전방 블럭(411)과 후방 블럭(421)을 체결하여 그들이 프레임(F)에 결합되게 하는 구성이다. 체결 요소(431)는, 구체적으로 볼트(433)와 너트(435)를 가질 수 있다. 볼트(433)는 전방 블럭(411) 및 후방 블럭(421)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볼트(43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프레임(F)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볼트(433)는 제1 수용홀(413)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 결과, 제1 수용홀(413)의 연방 방향이 휠체어(H)의 전/후 방향과 정렬된 상태에서, 구동 모듈(100)이 휠체어(H)로부터 분리되려는 힘은 볼트(433)에는 인장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력은 볼트(433)가 보다 강인하게 견딜 수 있는 힘이어서, 그러한 힘에 의해 볼트(433)가 늘어나거나 끊어져서 전방 블럭(411)과 후방 블럭(421) 간의 결합이 느슨해지거나 해제될 일이 없게 된다. 너트(435)는 후방 블럭(421) 측에 위치하여, 볼트(433)에 나사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너트(435)는 후방 블럭(421)의 삽입홈(427)에 삽입된 채로 볼트(433)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홈(427)은 너트(435)의 다각형 외주면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내주면을 가져서, 너트(435)가 삽입홈(427) 내에서 회전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삽입홈(427)의 깊이는 볼트(433) 중 삽입홈(427)을 통해 노출되는 길이보다 깊을 수 있다. 그 경우라면, 볼트(433)의 자유단이 후방 블럭(421)을 넘어서 외부로 돌출될 일이 없게 된다. 후방 블럭(421)에는 프레임(F)에 대응하여 체결홈(429)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429)은 프레임(F)과 바디 유닛(410) 간의 결합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나사가 투입될 수 있다. The fastening element 431 is configured to fasten the front block 411 and the rear block 421 so that they are coupled to the frame (F). The fastening element 431 may specifically have a bolt 433 and a nut 435. The bolt 433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front block 411 and the rear block 421. A plurality of bolts 433 may be provided, and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both sides around the frame (F). The bolt 433 is disposed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hole 413. As a result, in a state in which the federation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hole 413 is aligned with the front/rear directions of the wheelchair H, the force that the driving module 100 tries to separate from the wheelchair H is a tensile force on the bolt 433 Will act as. This tensile force is a force that the bolt 433 can withstand more strongly, so that the bolt 433 is stretched or broken by such force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block 411 and the rear block 421 is not loose or released. do. The nut 435 is located on the rear block 421 side, and is screwed to the bolt 433. Specifically, the nut 435 may be screwed with the bolt 433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7 of the rear block 421. Here, the insertion groove 427 has a polygon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ut 435, so that the nut 435 may not be rotated within the insertion groove 427. Furthermore, the depth of the insertion groove 427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expos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427 among the bolts 433. In that case, the free end of the bolt 433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beyond the rear block 421. A fastening groove 429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 the rear block 421 to correspond to the frame F. In order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between the frame (F) and the body unit 410, an additional screw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429.

구속 유닛(450)은 상기 수용홀에 삽입된 사이드 로드(230)에 걸려서, 사이드 로드(230)가 상기 수용홀에서 빠져나기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속 유닛(450)은, 구체적으로 인덱스 플런저(451)와 어댑터(461)를 구비할 수 있다. The restraint unit 450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side rod 23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so that the side rod 230 does not escape from the receiving hole. The restraining unit 450 may specifically include an index plunger 451 and an adapter 461.

인덱스 플런저(451)는 전방 블럭(411)에 설치될 수 있다. 인덱스 플런저(451)는 링크 모듈(200), 구체적으로 사이드 로드(230)의 연장 방향이자 제1 수용홀(413)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인덱스 플런저(451)에서 진퇴 이동되는 구속 돌기(453)는 전진 상태에서 제1 수용홀(413) 내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인덱스 플런저(451)의 구속 돌기(453)의 진퇴는 사용자가 인텍스 플런저(451)를 잡아당기는 간단한 원터치 조작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인덱스 플런저(451)는 스프링에 의해 구속 돌기(453)가 돌출 상태에 있게 하는 구성으로서, 알려진 구성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The index plunger 451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block 411. The index plunger 451 may be disposed along a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ink module 200, specifically the side rod 230 and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hole 413. The restraining protrusion 453 moving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index plunger 451 is in a state protruding into the first receiving hole 413 in the advanced state. Advance and retreat of the restraining protrusion 453 of the index plunger 451 may be performed by only a simple one-touch operation in which the user pulls the index plunger 451. The index plunger 451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straining protrusion 453 is in a protruding state by a spring, and a known configuration may be employed.

어댑터(461)는 사이드 로드(230)에 설치되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461)에는 사이드 로드(230)와 결합을 위한 결합홀(463)이 형성된다. 결합홀(463)은 어댑터(461)의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어댑터(461)의 몸체에는 또한 구속 돌기(453)에 대응하는 구속홈(46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속홈(465)에는 인덱스 플런저(451)의 전진된 구속 돌기(453)가 삽입되게 된다. 어댑터(461)의 몸체의 선단에는 점차로 직경이 커지는 안내면(467)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dapter 461 may have a ring shape installed on the side rod 230. Specifically, a coupling hole 463 for coupling with the side rod 230 is formed in the adapter 461.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463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of the adapter 461. The body of the adapter 461 may also be formed with a constraining groove 465 corresponding to the constraining protrusion 453. The advanced restraining protrusion 453 of the index plunger 451 is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 465. A guide surface 467 gradually increasing in diameter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of the adapter 461.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방 블럭(411)과 후방 블럭(421)은 체결 요소(431)에 의해 휠체어(H)의 프레임(F)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 결합의 견고함은 리세스부(415 및 425)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F)의 직경이 작으면 곡면부(425a)와 프레임(F)이 면 접촉하여 프레임(F)을 클램핑한다. 프레임(F)의 직경이 큰 경우는 곡면부(425a)는 프레임(F)과 접촉되지 않고 평면부(425b-1 및 425b-2)가 프레임(F)과 선 접촉하면서 프레임(F)을 클램핑하게 된다. 그에 의해, 프레임(F)의 직경에 따라 리세스부(415 및 425) 사이에 인서트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도 없게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ront block 411 and the rear block 421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frame F of the wheelchair H by the fastening element 431. The tightness of the coupling can be reinforced by the recesses 415 and 425. Specifically, when the diameter of the frame F is small, the curved portion 425a and the frame F contact each other to clamp the frame F. When the diameter of the frame (F) is large, the curved portion (425a) is not in contact with the frame (F), and the flat portions (425b-1 and 425b-2) are in line contact with the frame (F) to clamp the frame (F). Is done. Thereby,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arrange an insert between the recesses 415 and 425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frame F.

체결 요소(431)로서 볼트(433)가 너트(435)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너트(435)는 삽입홈(427)의 구조에 의해 회전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삽입홈(427)의 깊이에 의해 볼트(433)의 자유단은 삽입홈(427)을 넘어서서 외부로 돌출되지도 않는다.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bolt 433 as the fastening element 431 to the nut 435, the nut 435 does not rotat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insertion groove 427. Further, the free end of the bolt 433 by the depth of the insertion groove 427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beyond the insertion groove 427.

사이드 로드(230)가 상기 수용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구속 돌기(453)는 상기 수용홀 내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기본 상태로 유지한다. 어댑터(461)의 안내면(467)은 구속 돌기(453)가 탄성력을 이기고 점진적으로 후퇴하게 한다. 구속 돌기(453)는 구속홈(465)에 이르러서 상기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전진하면서 구속홈(465)에 걸리게 된다. 그에 의해, 어댑터(461) 및 사이드 로드(230)는 상기 수용홀에 삽입된 후에 그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사용자는 사이드 로드(230)를 바디 유닛(4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인덱스 플런저(451)를 당기는 원터치 조작에 의해, 구속 돌기(453)가 구속홈(465)에서 벗어나게 한 후에 사이드 로드(230)를 상기 수용홀의 밖으로 인출하면 된다.While the side rod 23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the restraining protrusion 453 maintains a state protruding into the receiving hole as a basic state. The guide surface 467 of the adapter 461 causes the constraining protrusion 453 to overcome the elastic force and gradually retreat. The constraining protrusion 453 reaches the constraining groove 465 and is caught in the constraining groove 465 while advancing again by the elastic force. Thereby, the adapter 461 and the side rod 230 are not allowed to escap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When the user wants to separate the side rod 230 from the body unit 410, a one-touch operation of pulling the index plunger 451 allows the restraining protrusion 453 to escape from the restraining groove 465, and then the side rod ( 230) can be drawn out of the receiving hole.

다른 형태의 후방 결합 모듈(500)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nother type of rear coupling module 5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방 결합 모듈(500)에 대한 부분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후방 결합 모듈(5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oupling module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coupling module 500 of FIG. 5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후방 결합 모듈(500)은,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바디 유닛(510)과 구속 유닛(550)으로 구성된다. 바디 유닛(510) 역시 전방 블럭(511), 후방 블럭(521), 및 체결 요소(531)로 형성되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하다. 본 도면들에서 앞선 실시예의 정렬 파이프(417)에 대응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그것이 추가될 수도 있다. 다만, 구속 유닛(550)의 구성에 있어서는, 회전 클램프(551)와 어댑터(561)의 구성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한 바, 그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ar coupling module 500,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 is composed of a body unit 510 and a restraint unit 550. The body unit 510 is also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it is formed of a front block 511, a rear block 521, and a fastening element 531. In these drawing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alignment pipe 417 of the previous embodiment is not shown, but it may be added. Howev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straining unit 550, the configurations of the rotation clamp 551 and the adapter 561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us the description will be mainly given.

구속 유닛(550) 중 회전 클램프(551)의 일부는 어댑터(561)에 설치된다. 먼저 어댑터(561)는 사이드 로드(230)에 결합된다. 이는 어댑터(561)의 결합홀(563)에 나사를 투입하여 조임에 의해 달성된다. 어댑터(561) 중 사이드 로드(230)의 중심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에는 회전 클램프(551) 중 조작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 클램프(551)는 사이드 로드(230) 및 상기 수용홀의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 클램프(551)의 구속 돌기(553)는 강구일 수 있다. 이러한 구속 돌기(553)는 상기 조작부에 대한 사용자의 원터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 클램프(551)의 몸체의 외부로 돌출하거나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이다. 회전 클램프(551)의 나머지 부분은 전방 블럭(511)에 설치된다. 상기 나머지 부분에는 외부로 출된 구속 돌기(553)가 삽입되어 걸리는 구속홈(5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클램프(551)로는 기존에 알려진 것이 채용될 수 있다.Part of the rotation clamp 551 of the restraint unit 550 is installed on the adapter 561. First, the adapter 561 is coupled to the side rod 230. This is achieved by tightening by inserting a screw into the coupling hole 563 of the adapter 561. In the portion of the adapter 561 that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side rod 230, an operation part of the rotation clamp 551 is installed. The rotation clamp 55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side rod 230 and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eceiving hole. The constraining protrusion 553 of the rotation clamp 551 may be a steel ball. The restraining protrusion 553 is a configuration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rotation clamp 551 or is inserted into the body of the rotation clamp 551 by a user's one-touch rotation operation on the manipulation unit. The rest of the rotation clamp 551 is installed on the front block 511. A restraining groove 555 through which the restraining protrusion 553 extending outward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remaining portion. As the rotation clamp 551, a conventionally known one may be employe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전 클램프(551)의 조작부는 어댑터(561)와 함께 사이드 로드(230)에 설치되게 된다. 사이드 로드(230)가 상기 수용홀에 삽입된 후에,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회전 조작하면 구속 돌기(553)가 외부로 돌출하여 구속홈(555)에 삽입 고정된다. 그에 의해, 사이드 로드(230)는 바디 유닛(510)에 고정되어 그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사이드 로드(230)를 바디 유닛(5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회전 클램프(551)의 상기 조작부를 회전 조작하여 구속 돌기(553)가 구속홈(555)에서 벗어나게 한 후에 사이드 로드(230)를 상기 수용홀의 외부로 이동시키면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rotation clamp 551 is installed on the side rod 230 together with the adapter 561. After the side rod 23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unit, the restraining protrusion 553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restraining groove 555. Thereby, the side rod 230 is fixed to the body unit 510 and is not separated therefrom. 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side rod 230 from the body unit 510,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part of the rotation clamp 551 so that the restraining protrusion 553 is out of the restraining groove 555, and then the side rod ( 230) can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hole.

상기와 같은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a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구동(전동) 모듈 200: 링크 모듈
210: 중앙 로드 230: 사이드 로드
300: 전방 결합 모듈 310: 제1 결합 유닛
330: 제2 결합 유닛 400,500: 후방 결합 유닛
410,510: 바디 유닛 450,550: 구속 유닛
100: drive (electric) module 200: link module
210: central rod 230: side rod
300: front coupling module 310: first coupling unit
330: second coupling unit 400,500: rear coupling unit
410,510: body unit 450,550: restraint unit

Claims (15)

전력에 기반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듈;
상기 전동 모듈에서 발생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견인될 휠체어를 상기 전동 모듈에 연결하는 링크 모듈;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기 전동 모듈을 상대 회전시키면서 상기 전동 모듈을 상기 링크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전방 결합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로부터 상기 전방 결합 모듈보다 멀리 위치하고, 상기 링크 모듈을 상기 휠체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후방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결합 모듈은,
수용홀을 구비하고,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바디 유닛; 및
상기 수용홀에 삽입된 상기 링크 모듈을 상기 바디 유닛에 대해 구속시키도록 구성되는 구속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유닛은,
구속홈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 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홀 내로 삽입되는 어댑터; 및
상기 수용홀 내에서 상기 구속홈에 삽입되는 구속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 유닛에 설치되는 인덱스 플런저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An electric module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based on electric power;
A link module for connecting a wheelchair to be towed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ic module to the electric module;
A front coupling modul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electric module to the link module while rotating the electric module relative to the link module; And
It is located farther from the electric module than the front coupling module, and comprises a rear coupling modul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link module to the wheelchair,
The rear coupling module,
A body unit having an accommodation hole and installed in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And a restraint unit configured to restrain the link modul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with respect to the body unit,
The restraint unit,
An adapter having a constraining groove, coupled to the link module, and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And
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having a restrain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 in the receiving hole, and including an index plunger installed in the bod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유닛은,
상기 휠체어의 상기 프레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방 블럭과 후방 블럭; 및
상기 프레임의 측방에 배치된 채로 상기 전방 블럭과 상기 후방 블럭을 체결하는 체결 요소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unit,
A front block and a rear block disposed to surround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And a fastening element for fastening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while being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요소는,
상기 전방 블럭과 상기 후방 블럭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블럭은,
상기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깊이는,
상기 볼트 중 상기 삽입홈을 통해 노출되는 길이보다 깊은,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astening element,
A bolt passing through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And
Including a nut screwed to the bolt,
The rear block,
It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nut is inserted,
The depth of the insertion groove,
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that is deeper than the length of the bolts expos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너트의 다각형 외주면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내주면을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sertion groove,
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comprising a polygonal inner peripher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u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블럭 및 상기 후방 블럭 각각은,
상기 프레임에 대응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면 접촉하기 위한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선 접촉하기 위한 한 쌍의 평면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front block and the rear block,
Comprising a recess corresponding to the frame,
The recess portion,
A curved portion disposed in the center and for surface contact with the frame; And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portion, including a pair of flat portions for line contact with the frame, 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은,
상기 전방 블럭에 형성되는 제1 수용홀; 및
상기 후방 블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2 수용홀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 모듈은,
상기 제1 수용홀 및 상기 제2 수용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iving hole,
A first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front block; And
It is formed in the rear block and includes a second receiving hol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eiving hole,
The link module,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first receiving hole and the second receiving hole, 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결합 모듈은,
영전자석과 금속 부재 중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영전자석과 상기 금속 부재 중 다른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전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 결합 유닛과 정렬되어 상기 제1 결합 유닛에 대해 자력 결합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coupling module,
A first coupling unit provided with one of a zero electromagnet and a metal member and installed in the electric module; And
The other one of the zero electromagnet and the metal member is provided, installed on the link module, and aligned with the first coupling unit as the electric module is rotated relative to the link module, and magnetic force relative to the first coupling unit Including a second coupling unit to be coupled, an auxiliary power device for a wheelch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06305A 2019-01-17 2019-01-17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KR1022029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05A KR102202918B1 (en) 2019-01-17 2019-01-17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05A KR102202918B1 (en) 2019-01-17 2019-01-17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96A KR20200089496A (en) 2020-07-27
KR102202918B1 true KR102202918B1 (en) 2021-01-14

Family

ID=7189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305A KR102202918B1 (en) 2019-01-17 2019-01-17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91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387U (en)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An electric assist device to provide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a wheelchair
KR20240026633A (en)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An electric assist device to provide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a wheel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852B1 (en) * 2020-08-19 2022-05-10 주식회사 프론테크 The electromotion aid device to be used by supplementary power in transfering apparatus
KR20220042693A (en) * 2020-09-28 202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raction module of personal mobility, personal mobility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personal mobility
KR102532981B1 (en) * 2021-08-19 2023-05-16 (주)네오엘에프엔 Connection structure of wheelchair and wheelchair auxiliary power devices
KR102522093B1 (en) * 2021-08-19 2023-04-14 (주)네오엘에프엔 Connection structure of wheelchair and wheelchair auxiliary power devices with motor bracket that integrally forms mudguard and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220B1 (en) * 2017-01-18 2018-11-21 (주)디앤엠솔루션즈 Power Assistive Device for Manual Wheelch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387U (en)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An electric assist device to provide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a wheelchair
KR20240026633A (en)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An electric assist device to provide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a wheel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496A (en) 2020-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918B1 (en)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US6769669B2 (en) Pulling apparatus
KR102199618B1 (en)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US7097191B2 (en) Adjustable kickstand with reinforced parking position lock
US8336904B2 (en) Modular wheelchair with in-line chassis
KR101598484B1 (en) Removable Wheelchair Drive Auxiliary Devices
US8297147B2 (en) Guiding-wire controlling rod device for chair adjustment
KR20160000075A (en) Driving Auxiliary Device Having Separable the Mounting Frame Unit
KR102161710B1 (en)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US7111826B2 (en) Pulling apparatus
KR101552963B1 (en) Position Adjustable Driving Auxiliary Equipment for Wheel Chair
KR100633186B1 (en) Fixing device of medical instrument
KR20220089554A (en) Connecting Frame for Assistant power apparatus and wheelchair
KR102532981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wheelchair and wheelchair auxiliary power devices
KR20110118055A (en) A crutch
CN215954674U (en) Multidirectional electric power warning sign
KR20160000074A (en) Driving Auxiliary Device Having Extra Mounting Frame
JP2001105350A (en) Peg driver
CN221348448U (en) Foot rest ground connection device and foot rest
TWI327466B (en)
KR102052091B1 (en)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CN215227979U (en) Prostate drag hook for urinary surgery operation
CN113180938B (en) Modularized automatic power assisting device
KR101016395B1 (en) Holding device for fishing rod
KR200397623Y1 (en) Fixing device of medical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