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598B1 -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598B1
KR102202598B1 KR1020180037865A KR20180037865A KR102202598B1 KR 102202598 B1 KR102202598 B1 KR 102202598B1 KR 1020180037865 A KR1020180037865 A KR 1020180037865A KR 20180037865 A KR20180037865 A KR 20180037865A KR 102202598 B1 KR102202598 B1 KR 102202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ar wall
front wall
doubl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171A (ko
Inventor
유병훈
Original Assignee
유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훈 filed Critical 유병훈
Priority to KR102018003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59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지반에 형성시킨 트렌치 형태의 굴착공에 이중벽체를 삽입 삽입한 후, 지중에서 벽체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시켜 지중구조물을 시공하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는 전면벽체에 일측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연장되어 타측이 배면벽체에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형강에 의하여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이중벽체로서, 상기 일체형형강은 전면벽체와 배면벽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적어도 1개이상 연장된 일체형형강은 굴착공 하부에, 전면벽체와 배면벽체는 굴착공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전면벽체와 배면벽체는 벽체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중에서 서로 합성되도록 하게 된다.

Description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DOUBLE WALL STRUCTURE FOR TOP-DOWN CONSTRUCTION AND TOP-DOW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본 발명은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반에 형성시킨 트렌치 형태의 굴착공에 이중벽체를 삽입 삽입한 후, 지중에서 벽체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시켜 지중구조물을 시공하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지하차도 등을 프리캐스트 벽체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종래 SLIT 공법의 시공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SLIT 공법은 프리캐스트 부재인 측벽 부재(40)를 제작한 이후에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50)을 먼저 설치하여 개착식 지하 구조물 시공과 대비하여 복공판을 설치하지 않고 지상부를 조기에 완성하고 내부를 굴착 및 구축하는 개착 지하 구조물 구축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SLIT 공법에 사용되는 측벽 부재(40)는 프리캐스트 부재(41)의 바닥 면에 시공 시의 지지 말뚝 및 측방 토압에 저항하는 H빔(42)을 서로 연결한 것을 지중에 서로 연결하여 지하 구조물의 측벽을 시공하게 되는데, 이는 지하 구조물 측벽 전부를 프리캐스트 부재로 시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운반과 시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이로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하지만 프리캐스트 부재(41)와 H빔(42)을 서로 앵커볼트와 연결강판을 이용하여 서로 각각 제작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실제 이러한 연결작업은 품질관리에 한계가 있고, 프리캐스트 부재(41)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장비의 대형화로 인하여 역시 시공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게 된다.
도 1b는 종래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즉,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에 반입된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10,20)를 이때 연결철근(14,24)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현장의 바닥에 눕혀 놓고,
다음으로는 상기 눕혀진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10,20)에 앞서 살펴본 벽체내부철근(30:31,32,33)을 배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10,20)의 높이가 2m만 넘더라도 수직으로 세워진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10,20)에 상기 벽체내부철근(30:31,32,33)을 배근하는 작업은 매우 어렵기 때문이라고 개시되어 있다.
이에 수직 상태로 세워진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10,20)에 내부벽체철근(30)을 배근하지 않고, 바닥에 눕혀진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10,20)에 내부벽체철근(30)을 배근함으로서 내부벽체철근(30)의 배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특히 제작 공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상기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10,20)에 내부벽체철근(30) 배근작업이 완료되면 프리캐스트 전면벽체(10)에 위쪽으로 프리캐스트 배면벽체(10,20)를 엎어놓고, 연결철근(14,24)을 서로 커플러 및 내부연결철근(12)을 이용하여 연결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서로 연결된 프리캐스트 전면벽체(10)와 프리캐스트 배면벽체(10,20)를 수직으로 일으켜 세워 서로 연결된 프리캐스트 전면벽체(10)와 프리캐스트 배면벽체(20)를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시켜 배치하고,
내부벽체철근이 매립되도록 내부벽체콘크리트(미도시)를 타설하여 최종 벽체구조물 시공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벽체내부철근(30:31,32,33)은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10,2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보조철근으로서 벽체구조물의 주철근으로 전제하여 설계하지 못함에 따라 구조적인 면에서도 효율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프리캐스트 전면벽체(10)에 위쪽으로 프리캐스트 배면벽체(10,20)를 엎어놓고, 연결철근(14,24)을 서로 커플러 및 내부연결철근(12)을 이용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벽체 세팅용 장비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데 이는 거푸집을 이용하지 않고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전면 및 배면벽체를 제작한 후 서로 상,하 세팅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실제 이러한 벽체 세팅용 장비를 제작 및 구비에 많은 비용과 신뢰성이 요구될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1379305호(발명의 명칭: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공개일자: 2014년03월2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8194(발명의 명칭: PC부재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PC구조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06274(발명의 명칭: 조립식 보-기둥 구조물을 위한 건식 접합구조 및 이에 따른 시공방법)
이에 탑-다운 공법용 이중벽체를 전부를 프리캐스트 부재로 시공함에 따른 제작, 운반 및 시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탑-다운 공법용 이중벽체를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탑-다운 공법용 이중벽체를 보다 효율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도 단면을 최적화시켜 보다 경제적인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반에 형성시킨 굴착공에 삽입되도록 시공되며, 전면벽체에 일측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연장되어 타측이 배면벽체에 일체로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된 일체형형강에 의하여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이중벽체로서, 상기 일체형형강은 전면벽체와 배면벽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굴착공 하부에, 전면벽체와 배면벽체는 굴착공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전면벽체와 배면벽체는 벽체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중에서 서로 합성되도록 하며,
상기 전면벽체와 배면벽체는, (a) 수직벽체부 일측면에 형성된 보강리브로 형성된 T형 벽체부 및 상기 수직벽체부 내부로부터 보강리브를 경유하여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단부가 배면벽체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하여 배면벽체용 콘크리트(C1) 타설 및 양생에 의하여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서로 이격되어 합성되도록 하는 일체형형강;을 포함하는 전면벽체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전면벽체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양 측방지지대를 설치함과 더불어 전면벽체의 일체형형강, 양 측방지지대에는 브라켓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브라켓 상면에 배면벽체 제작용 벽체거푸집을 설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벽체거푸집 상면에 배면벽체용 콘크리트(C1)를 타설 및 양생시켜 전면벽체의 일체형형강에 일체로 합성된 배면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면벽체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 전면벽체와 합성되어 일체화되는 배면벽체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으로 제작되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구비하는 단계; (b) 횡방향으로 이격된 굴착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굴착공에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삽입하여, 일체형형강이 굴착공 하부에, 일체형형강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된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굴착공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굴착공에 삽입된 전면벽체와 배면벽체 사이의 이격공간에 벽체콘크리트(C2)를 타설하여 서로 지중에서 합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전면벽체와 배면벽체는 수직벽체부 일측면에 형성된 보강리브로 형성된 T형 벽체부; 및 상기 수직벽체부 내부로부터 보강리브를 경유하여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단부가 배면벽체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하여 배면벽체용 콘크리트(C1) 타설 및 양생에 의하여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서로 이격되어 합성되도록 하는 일체형형강;을 포함하는 전면벽체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전면벽체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양 측방지지대를 설치함과 더불어 전면벽체의 일체형형강, 양 측방지지대에는 브라켓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브라켓 상면에 배면벽체 제작용 벽체거푸집을 설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벽체거푸집 상면에 배면벽체용 콘크리트(C1)를 타설 및 양생시켜 전면벽체의 일체형형강에 일체로 합성된 배면벽체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면벽체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 전면벽체와 합성되어 일체화되는 배면벽체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으로 제작되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은 종래 SLIT 공법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부재와 H빔에 의한 측벽 부재를 일체형형강으로 합성된 전면 및 배면벽체로 대체하여 프리캐스트 부재와 H빔을 별도로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 없게 되고, 지중 벽체를 이중벽체로 제작하기 때문에 크기가 커짐에 따른 자중 증가에 의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는 제작과정에서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서로 일체형형강에 의하여 합성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철근을 별도로 연결하는 작업을 전제로 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공기 및 구조적 일체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은 전면벽체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 전면벽체와 합성되어 일체화되는 배면벽체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으로 제작하여 프리캐스트 방식만으로 제작함에 따른 벽체 세팅용 장비를 최적화 시켜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며,
본 발명에 의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은 탑-다운 공법용 이중벽체의 종방향 구조적 일체성을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으며,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의 단면을 최적화 시킬 수 있어 자중이 크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 SLIT 공법의 시공도,
도 1b는 종래 프리캐스트 전면 및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시공도,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의 제작도,
도 3은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의 종방항 합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이용하여 시공된 지중구조물(A)의 시공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는 먼저 지반을 일정 깊이 터파기 하여 확보한 작업공간에 트렌치 굴착(일정한 폭으로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수직홀을 형성시키는 굴착)을 하고, 트렌치 굴착된 굴착공(310)에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를 삽입 하고,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의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 사이 이격공간에 벽체콘크리트(C2)를 타설하여 지중에서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를 합성시키게 된다.
이에 지중에서 합성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 상단 사이에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을 거치하는 방식으로 강결시켜 시공한 후, 터파기공간을 되메움시켜 지상부를 조기에 완성시키게 된다.
이에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과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 사이의 지반을 하방 굴착하면서 저판(130)을 추가 시공하여 지중구조물(A)을 최종 완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는 종래 SLIT 공법과 대비하여 프리캐스트 부재(41)를 전면 및 배면벽체(110,120)에 의한 이중벽체 형태로 제작하고, H빔(42)은 전면 및 배면벽체(110,120)와 제작 시 부터 일체화되어 전면 및 배면벽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일체형형강(112)으로 제작하여 종래 SLIT 공법과 달리 H빔(12)을 프리캐스트 부재(41)에 별도로 연결시킴에 따른 품질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전면 및 배면벽체는 지중에서 서로 합성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는 도 2e와 같이,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가 일체형형강(112)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합성되어 있고, 상기 일체형형강(112)은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의 연장길이 보다 더 연장된 것을 이용하여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와 일체화된 일체형형강(112)은 적어도 1개 이상을 외부로 연장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제작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일체형형강(112)은 전면벽체(110) 내부로부터 인출된 형강 단부가 배면벽체(120)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하고, 벽체콘크리트(C2) 타설 및 양생에 의하여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상기 형강에 의하여 합성되도록 하면서,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를 서로 합성시킴에 있어 형강을 별도로 현장에서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면벽체(110)에 배면벽체(120)는 벽체거푸집(270)을 이용하여 일체형형강(112)을 이용하여 서로 합성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즉, 전면벽체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 전면벽체와 합성되어 일체화되는 배면벽체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으로 제작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독립적으로 각각 제작하고,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로부터 인출시킨 내부철근을 서로 커플러, 용접등의 방법으로 연결시키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른 시공성 및 작업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형강(112)은 전체 연장길이가 전면 및 배변벽체(110,120)와 대비하여 더 연장되도록 하면서 일체형형강(112)이 굴착공 하부, 전면 및 배면벽체(110,120)가 굴착공 상부로 세팅시키게 된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및 도 2e는 상기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의 제작도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 제작방법은, 먼저, 도 2a와 같이, 전면벽체(110)는 미리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한 것을 제작장 바닥(G)에 일체형형강(112)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세팅시켜 놓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전면벽체(110)는 편의상의 지칭이고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에 있어 전면 또는 배면벽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면벽체(110)는 T형 벽체부(111)와 일체형형강(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T형 벽체부(111)는 T형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벽체부로서 돌출된 보강리브(111b)가 형성된 수직벽체부(111a)로 구성되어 있어 자중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수직벽체부(111a)는 수직판부재로서 일정한 두께와 높이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11b)는 수직벽체부(111a)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하여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데 수직벽체부(111a)의 휨 강성 및 전단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수직벽체부(111a)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연장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일체형형강(112)은 일측(플랜지)이 상기 수직벽체부(111a) 내부에 매립되어 있고, 타측은 보강리브(111b)를 경유하여 외부로 상방 돌출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체형형강(112)으로서 I형 형강을 이용함으로서 수직벽체부(111a)의 휨 강성을 보강하면서 철근들보다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적은 설치개수로도 수직벽체부(111a)의 내부 주철근으로 충분히 기능하게 된다.
상기 일체형형강(112)의 타측(타측 플랜지)은 도 2d와 같이, 배면벽체(120)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므로 역시 배면벽체에 있어서도 내부 주철근으로 충분히 기능하게 되며, 상기 일체형형강(112)의 타측이 타설되는 벽체콘크리트(C2)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면벽체(120)는 일체형형강(112)을 이용하여 전면벽체(110)와 서로 합성된다.
상기 일체형형강(112)은 양 플랜지 사이에 복부가 형성된 I형 형강으로서 보강리브(111b)를 따라 연속 또는 필요구간에만 형성되도록 하되, 전면벽체(110)의 연장길이 보다 더 연장되도록 하여 전면벽체(110)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일체형형강(112)은 전면벽체(110) 제작 시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배면벽체(120)를 전면벽체(110)에 일체화시켜 합성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배면벽체(120)를 전면벽체(110)와 일체형형강(112)을 이용하여 서로 일체로 합성시키기 위하여 벽체거푸집(270)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벽체거푸집(270) 세팅을 위해 도 2b와 같이, 먼저, 전면벽체(110) 양 측방으로 양 측방지지대(230)를 먼저 배치시키게 된다.
양 측방지지대(230)는 도 2b와 같이, 하단은 제작장 바닥(G)에 지지되도록 하여 배면벽체(120) 형성위치를 고려하여 일정한 높이를 가진 수직벽체구조물로서 배면벽체(120)를 제작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벽체거푸집(27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탈형 후 추후 해체가 가능하도록 철골조립체등을 이용하면 된다.
이에 상기 양 측방지지대(230)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전면벽체(110)가 내측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때 양 측방지지대(230)의 연장길이도 일체형형강(112)보다는 짧게 형성될 것이다.
이때 상기 전면벽체(110)의 일체형형강(112), 양 측방지지대(230)에는 브라켓(240)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브라켓(240)은 도 2b와 같이, 벽체거푸집(270)을 지지하기 위하여 양 측방지지대(230)의 양 내측면(A1), 일체형형강(112)의 복부 외주면에 제작장 바닥(G)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세팅되며,
양 측방지지대(230)의 양 내측면(A1), 일체형형강(112)의 복부 외주면에 접하는 L형 연결판 및 삼각단면의 보강판으로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최종 양 내측면(A1), 일체형형강(112)의 복부 외주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볼트와 같은 체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설치하면 된다.
다음으로는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상기 브라켓(240) 상면에 높이조절장치(260)를 설치하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260) 상면에 벽체거푸집(27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260)는 벽체거푸집(270)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벽체거푸집(270)을 수평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양 측방지지대(230)와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로부터 탈형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도 2b와 같이, 브라켓(240) 상면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한 롤러(261)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몸통부(262)와 상기 몸통부(262) 상면에 일체화된 인상잭(263)을 포함하여 형성시키면 되고 브라켓(240) 상면에 다수를 벽체거푸집(270) 연장방향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에 인상잭(263)을 작동시켜 지지하고 있는 벽체거푸집(270)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벽체거푸집(270)을 상기 롤러(261)를 이용하여 벽체거푸집(270)이 수평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시키면서 탈형 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벽체거푸집(270)은 도 2c 및 도 2d와 같이, 배면벽체용 콘크리트(C1)를 타설하여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를 일체형형강(112)을 이용하여 합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배면벽체(120)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제작된 것을 브라켓(240) 상면에 설치된 높이조절장치(260) 상면에 수평으로 세팅시켜 형성시키게 된다.
예컨대 배면벽체(120) 형성을 위한 철근을 벽체거푸집(270) 내측에 배근하고 배면벽체용 콘크리트(C1)를 타설하여 배면벽체(120)를 전면벽체(110)의 일체형형강(112)을 이용하여 합성시키면 된다.
이에 상기 일체형형강(112)의 타측은 배면벽체(120)의 내측까지 타측이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어 달리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철근 등의 조립작업이 필요 없게 되고,
상기 일체형형강(112)은 주철근으로서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 사이에 별도의 주철근을 다량 배근해야 하는 작업을 배제시키게 되며,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에 의한 이중벽체의 인양, 설치 시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 좌굴에 매우 유리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의 휨강성 확보, 전단 및 타설압의 효과적인 저항도 가능하게 하며,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 사이 이격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형강의 역할도 하게 된다.
이에 도 2e와 같이, 일체형형강(112)에 설치된 브라켓(240)도 분리하여 양 측방지지대(230) 내측에 위치한 일체형형강(112)에 의하여 서로 합성된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를 바로 인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배면벽체(120) 역시 전면벽체(110)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2e와 같이, 상기 배면벽체(120)도 T형 단면의 철근콘크리트 벽체부로서 보강리브(121b)가 형성된 수직벽체부(121a)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벽체부(121a)도 수직판부재로서 일정한 두께와 높이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보강리브(121b)도 수직벽체부(121a)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하여 수직벽체부(121a)의 휨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일체형형강(112)은 타측이 상기 수직벽체부(121a) 내부에 매립되어 있고, 일측은 보강리브(121b)를 경유하여 전면벽체(110)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므로 역시 전면벽체에 있어 내부 주철근으로 충분히 기능하면서 전면벽체(110)와 서로 합성된다.
이와 같이 일체형형강(112)에 의하여 서로 합성되면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가 구조적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전제 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전제로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의 단면을 보다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철근사용량을 크게 절감할 수 있어 자중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안정적인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의 단면 최적화에 의한 자중감소는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를 서로 연결시킴에 따른 설비의 용량, 제작비용을 좌우하게 되며,
또한 일체형형강(112)을 사용함에 따른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 사이에 배근해야 하는 주철근의 양도 상당수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일체형형강(112)은 전면벽체(110)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배면벽체(120)를 전면벽체(110)와 합성시키되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의 단부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e와 같이, 일체형형강(112)은 피복콘크리트(B)에 의하여 피복되도록 함으로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러한 피복콘크리트(B)는 브라켓(240)의 역할을 하면서 노출된 일체형형강(112)을 보호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상기 일체형형강(112)은 예컨대 2개가 설치하여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의 연장길에 따른 설치개수가 자유로움을 알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는 지중구조물의 지중벽체 시공을 위하여 일체형형강이 하부로 향하도록 굴착공에 삽입 시공한 이후에 벽체콘크리트(C2)에 의하여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서로 지중에서 합성되도록 하여, 이중벽체 형태가 아닌 프리캐스트 부재(41)에 H빔(42)을 연결시키고, H빔(42)이 하부로 향하도록 굴착공에 삽입 시공하는 종래 SLIT 공법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에 의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의 종방향 합성]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의 종방항 합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면벽체와 배면벽체의 내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일체형형강(112)이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에 합성된 상태에서는 제작, 운만 및 설치에 있어 각각은 종방향 연장길이와 높이(길이방향)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또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는 일체형형강(112)이 굴착공(310) 내측 하부로 세팅되고 일체형형강(112)에 의하여 서로 합성된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지반에 형성시킨 굴착공(310) 상부에 세팅되도록 시공되게 된다.
이에 도 3과 같이, 각각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는 전면벽체와 배면벽체 사이에 벽체콘크리트(C2)가 타설되어 양생되면서 전면벽체와 배면벽체를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일체형형강(112)만으로는 전단력 저항에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도 3과 같이, 수직벽체부(111a,121a) 사이의 공간에 전단저항용 철근조립체(180)를 추가로 배치하여 휨 강성 및 특히, 전단력 증진에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지중구조물(A)은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를 먼저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시공한 이후에, 벽체콘크리트(C2)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의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를 서로 종방향으로도 합성시키고,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을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 상면 사이에 얹어지도록 거치한 이후,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 상부를 되메움시켜 복원시켜, 지상부는 차량등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의 하방으로 지반을 추가 굴착하면서 저판(130)을 시공하는 방식으로 하여 지중구주몰을 탑-다운방식으로 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5a와 같이,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가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굴착공(310)을 형성시키게 된다. 예컨대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트렌치(Trench) 굴착을 통해 굴착공(310)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굴착공(310)은 폭이 크지 않기 때문에 공벽유지에 유리하지만 시멘트밀크등와 같은 충진재를 채워 넣어 공벽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굴착공(310)간 형성을 위해서는 트렌치용 굴착기를 사용하면 된다.
이에 상기 굴착공간은 종방향으로 연속해서 시공하게 되며 2열식 지중구조물 시공을 위해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을 횡방향으로 이격시켜 시공하게 되며 물론 1열식 지중구조물의 경우에는 2개의 굴착공간을 형성시키면 된다.
이에 상기 굴착공(310)에 미리 준비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를 삽입하여 종방향으로 서로 전면 및 배면벽체의 측면들이 종방향으로 접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는 종방향으로 일체화되어 합성된 상태는 아니다.
이에 도 5b와 같이,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의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벽체콘크리트(C2)를 타설하여 지중에서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를 서로 합성시키게 되며,
이에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는 종방향으로도 서로 합성시킬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굳이 종방향으로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 연결을 위하여 전단키, 전단홈을 형성시키지 않을 수 있고,
도 3과 같이, 전면벽체와 배면벽체의 수직벽체부(111a,121a) 사이의 공간에 전단저항용 철근조립체(180)를 추가 배치하여 벽체콘크리트(C2)와 합성시켜 전체적으로 휨 강성 및 특히, 전단력 증진에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는 2열 공간을 위해 횡방향으로 3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를 시공하는 동안은 차량을 통제할 수밖에 없지만
일단 벽체콘크리트(C2)에 의하여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 시공이 완료되면 바로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미리 공장에서 제작된 것을 현장에 반입된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을 바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은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 상면에 거치후 서로 강결되도록 하여 일체화되도록 하면 되며, 이는 미도시하였지만 상판마감콘크리트, 체결봉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별도로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은 도 3b와 같이,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사이사이 지반을 하방으로 일정 깊이만 굴착하고,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을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의 전면벽체와 배면벽체 상면 사이사이에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거치시키는 방식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에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에 설치된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 상부의 터파기 공간을 되메움하여 복원시킨 상태에서 지상부는 차량 등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도 5c와 같이,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 상부의 되메움된 굴착공간에 작용하는 차량하중에 의한 지지력도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에 의하여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 하부 지반을 하방으로 더 굴착함에 있어 구조적인 안전성이 확보되며 하부굴착공간을 형성시켜 감에 따라 저판(130)을 시공하는 위치까지 굴착시키게 되어 일종의 탑-다운 공법으로 실시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저판(130)은 노출된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 사이사이에 철근을 배근하고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으로 시공하게 되어 최종 지중구조물 시공을 완성시킬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일체형형강(112)은 저판(130)보다 하방으로 더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저판 하부 지반은 지중벽체 하단의 토압을 그대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를 보다 슬림하게 최적화시켜 제작하더라도 토압에 의한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최종 2열 구조의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의 시공이 완료되면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의 내측을 포장 등의 작업을 마감시키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110: 전면벽체
120: 배면벽체
112: 일체형형강
200: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
310: 굴착공

Claims (10)

  1. 지반에 형성시킨 굴착공(310)에 삽입되도록 시공되며, 전면벽체(110)에 일측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연장되어 타측이 배면벽체(120)에 일체로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된 일체형형강(112)에 의하여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이중벽체로서,
    상기 일체형형강(112)은 전면벽체와 배면벽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굴착공 하부에, 전면벽체와 배면벽체는 굴착공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전면벽체와 배면벽체는 벽체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중에서 서로 합성되도록 하며,
    상기 전면벽체와 배면벽체(110,120)는, (a) 수직벽체부(111a) 일측면에 형성된 보강리브(111b)로 형성된 T형 벽체부(111); 및 상기 수직벽체부 내부로부터 보강리브를 경유하여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단부가 배면벽체(120)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하여 배면벽체용 콘크리트(C1) 타설 및 양생에 의하여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서로 이격되어 합성되도록 하는 일체형형강(112);을 포함하는 전면벽체(110)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전면벽체(110)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양 측방지지대(230)를 설치함과 더불어 전면벽체(110)의 일체형형강(112), 양 측방지지대(230)에는 브라켓(240)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브라켓(240) 상면에 배면벽체(120) 제작용 벽체거푸집(270)을 설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벽체거푸집(270) 상면에 배면벽체용 콘크리트(C1)를 타설 및 양생시켜 전면벽체(110)의 일체형형강(112)에 일체로 합성된 배면벽체(120)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면벽체(110)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 전면벽체와 합성되어 일체화되는 배면벽체(120)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으로 제작되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벽체와 배면벽체(110,120)는
    수직벽체부(111a,121a) 일측면에 형성된 보강리브(111b,121b)로 형성된 T형 벽체부(111,121); 및 상기 수직벽체부 내부로부터 보강리브를 경유하여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단부가 배면벽체(120)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하여 배면벽체용 콘크리트(C1) 타설 및 양생에 의하여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서로 이격되어 합성되도록 하는 일체형형강(112);을 포함하며, 상기 일체형형강은 전면벽체와 배면벽체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되, 피복콘크리트에 의하여 피복되도록 함으로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 의하여 제작된 일체형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100)은 인양하여 수직으로 세팅하고, 상기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의 수직벽체부(111a,121a) 사이의 공간에 전단저항용 철근조립체(180)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 내측에 일체형형강(112)과 전단저항용 철근조립체(180)가 매립되도록 벽체콘크리트(C2)를 타설하여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5. (a) 제 1항에 의하여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를 구비하는 단계;
    (b) 횡방향으로 이격된 굴착공(310)을 형성시키고, 상기 굴착공(310)에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를 삽입하여, 일체형형강(112)이 굴착공(310) 하부에, 일체형형강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된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굴착공(31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굴착공(310)에 삽입된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 사이의 이격공간에 벽체콘크리트(C2)를 타설하여 서로 지중에서 합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전면벽체와 배면벽체(110,120)는 수직벽체부(111a) 일측면에 형성된 보강리브(111b)로 형성된 T형 벽체부(111); 및 상기 수직벽체부 내부로부터 보강리브를 경유하여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단부가 배면벽체(120) 내측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하여 배면벽체용 콘크리트(C1) 타설 및 양생에 의하여 전면벽체와 배면벽체가 서로 이격되어 합성되도록 하는 일체형형강(112);을 포함하는 전면벽체(11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전면벽체(110)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양 측방지지대(230)를 설치함과 더불어 전면벽체(110)의 일체형형강(112), 양 측방지지대(230)에는 브라켓(240)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브라켓(240) 상면에 배면벽체(120) 제작용 벽체거푸집(270)을 설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벽체거푸집(270) 상면에 배면벽체용 콘크리트(C1)를 타설 및 양생시켜 전면벽체(110)의 일체형형강(112)에 일체로 합성된 배면벽체(120)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면벽체(110)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 전면벽체와 합성되어 일체화되는 배면벽체(120)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으로 제작되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벽체콘크리트(C2) 의하여 서로 지중에 합성된 전면벽체와 배면벽체 상면에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이 얹어지도록 설치하고,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 상부의 터파기된 공간을 되메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 상부의 터파기된 공간을 되메움한 이후에, 프리캐스트 상판구조물(200)의 하부 지반을 굴착하여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 사이에 저판(130)을 더 형성시키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을 인양하여 수직으로 세팅하고, 상기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의 수직벽체부(111a,121a) 사이의 공간에 전단저항용 철근조립체(180)를 배치한 후, 전면벽체(110)와 배면벽체(120) 사이에 전단저항용 철근조립체(180)가 매립되도록 벽체콘크리트(C2)를 타설하여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굴착공(310)은 지반을 터파기 하여 확보한 작업공간에 트렌치 굴착을 하고, 트렌치 굴착된 굴착공(310)에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100)를 삽입하는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10. 삭제
KR1020180037865A 2018-04-02 2018-04-02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KR102202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865A KR102202598B1 (ko) 2018-04-02 2018-04-02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865A KR102202598B1 (ko) 2018-04-02 2018-04-02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171A KR20190115171A (ko) 2019-10-11
KR102202598B1 true KR102202598B1 (ko) 2021-01-13

Family

ID=6821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865A KR102202598B1 (ko) 2018-04-02 2018-04-02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0054B (zh) * 2017-03-01 2023-01-31 同济大学 预制钢筋混凝土剪力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844B1 (ko) * 2016-11-14 2017-11-02 유병훈 주열식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KR101836086B1 (ko) * 2017-01-19 2018-03-09 유병훈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6274A (ko) 2010-09-07 2010-10-0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식 보-기둥 구조물을 위한 건식 접합구조 및 이에 따른 시공방법
KR101364805B1 (ko) * 2012-06-18 2014-02-19 윤진숙 단위블록벽체 지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79305B1 (ko) 2013-08-21 2014-03-28 안창일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KR101568194B1 (ko) 2014-12-15 2015-11-12 (주)서현컨스텍 Pc부재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pc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844B1 (ko) * 2016-11-14 2017-11-02 유병훈 주열식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KR101836086B1 (ko) * 2017-01-19 2018-03-09 유병훈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171A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097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KR102208793B1 (ko) 주열식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88158B1 (ko) 슬러리월공법을 이용한 지하차도 시공공법
KR20180014793A (ko) 연결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47924A (ko) 거푸집이 필요없는 pc 판넬을 이용한 사면보강용 현장타설 계단식옹벽 대체시공법
KR100971200B1 (ko)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KR101396517B1 (ko) 지하터널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슬래브용 지지구조체
KR102196532B1 (ko) 우각부 프리캐스트벽체와 주열식 강관벽체를 이용한 탑다운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중구조물
JP5634931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792844B1 (ko) 주열식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JP2004232328A (ja) 半プレキャスト式アーチカルバート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202598B1 (ko) 탑-다운공법용 이중벽체 및 이를 이용한 탑다운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84615B1 (ko)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02786B1 (ko) 합성쉬트파일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중구조물
KR101902791B1 (ko) 합성강관파일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중구조물
JP6678487B2 (ja) 地下構造躯体構築方法
KR101271290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JP7232714B2 (ja) 基礎の構築方法
KR101054718B1 (ko) 부벽과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829319B2 (ja) 地下中空構造物の施工方法とその地下中空構造物
KR101975502B1 (ko) 석재와 콘크리트의 합성블록 및 그 제작방법
KR20190107317A (ko) 일체형형강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이중벽체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KR100562686B1 (ko) 강널말뚝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지하 구조체 및그의 시공방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2092558B1 (ko) 일체형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