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741B1 - Laundry Treating A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741B1
KR102201741B1 KR1020140033179A KR20140033179A KR102201741B1 KR 102201741 B1 KR102201741 B1 KR 102201741B1 KR 1020140033179 A KR1020140033179 A KR 1020140033179A KR 20140033179 A KR20140033179 A KR 20140033179A KR 102201741 B1 KR102201741 B1 KR 102201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witching unit
pressing piece
rota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9814A (en
Inventor
강인철
이창헌
황인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741B1/en
Priority to PCT/KR2015/002770 priority patent/WO2015142122A1/en
Priority to EP15764928.6A priority patent/EP3119935B1/en
Priority to US15/119,342 priority patent/US10119219B2/en
Priority to CN201580012672.7A priority patent/CN106068343B/en
Publication of KR20150109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8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프레임 및 상기 이너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캐비닛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배열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과,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2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는 회전축 전환부;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회전축 전환부를 이동시키는 가압편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상단에는 도어의 수평 연장방향을 따라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함몰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편은 상기 함몰부 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단부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바닥 아래로 연장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제공된 피벗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 전환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축 전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기어이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의 제1부분의 가압에 의한 동력이 상기 회전축 전환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의 일측면에는 제2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의 도어를 제2회전방향(즉, 수직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개방할 때, 사용자는 도어에 설치된 가압편을 보다 용이하게 가압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xterior, a cabinet provided with a clothing inlet; A door having an inner frame disposed toward the inlet and an outer frame coupled to the inner frame and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arrang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 hinge portion forming a first rotation shaft for rotating the door in a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a second rotation shaft for rotating the door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 rotation shaft switching unit capable of moving so as to rotatably fix the door to one of the first rotation shaft or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a pressing piece provided on the door and pressed by a user to move the rotation axis switching unit, and a depression portion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horizontal extension direction of the door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door, and the pressing piece A first portion disposed in the recessed portion and pressed by a user; a second portion extending below the bottom of the recessed portion from an end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and a pivot shaft provid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 first gear toot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al shaft conversion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shaft conversion part, and one side of the second part of the pressing piece so that power by pressing the first part of the pressing piece is transmitted to the rotational shaft conversion part. It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gear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pening the do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ie, vertic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the user can more easily press the pressing piece installed in the door to open the door.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aratus}Laundry Treating A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를 투입하는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여러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let for putting clothes into clothes is rotated in various directions to be opened.

의류처리장치에는 세탁기능만을 갖는 세탁전용장치와 건조기능만을 갖는 건조전용장치가 있으며, 의류의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함께 갖는 건조겸용 세탁장치가 있다. 상기 세탁전용장치 및 건조겸용 세탁장치는 캐비닛 내에 제공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건조전용장치는 캐비닛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es a laundry-only device having only a washing function and a drying-only device having only a drying function, and a combined drying device having both a washing function and a drying function for clothes. The laundry-only device and the drying combined laundry device may include a tub provided in a cabinet and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and the drying-only device may include a drum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통상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의류처리장치 본체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면부를 정면으로 마주할 때, 수평방향(즉, 좌우방향) 또는 수직방향(즉,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Typically,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 input port through which clothes can be put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door through which the input por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provided. In addition, the door may open and close the inlet while rot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ie, horizont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ie, vertical direction) when facing the front sid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도어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의류처리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의 개폐 구조에서, 도어의 상단의 함몰부에 구비된 가압편을 눌러서 도어의 회전축을 수평방향 회전축으로 설정하면, 상기 도어를 수직방향으로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A structure in which a door is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o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known. In such a door opening/closing structure, if the pressing piece provided in the recessed portion of the door is pressed to set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to a horizontal rotation axis, the door can be rota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inlet.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가압편의 압점이 상기 가압편의 피벗축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가압편의 압점은 도어 상단에 구비된 함몰부의 바닥 근처에 배치되고, 가압편의 피벗축은 함몰부의 바닥으로부터 압점보다 멀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According to a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pressure point of the pressing piece pressed by the user is disposed below the pivot axis of the pressing piece. Specifically,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pressure point of the pressing piece is disposed near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oor, and the pivot shaft of the pressing piece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essure point of the depression.

따라서, 사용자는 가압편의 압점을 가압하기 위해 손가락의 끝마디(즉, 손가락의 첫째 마디) 또는 손끝을 사용해야 했다. 이 경우, 가압편의 압점을 가압하기 위한 힘이 손가락의 끝마디 또는 손끝에 집중되어야 하며, 여성의 경우 손톱이 부러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Therefore, the user had to use the tip of the finger (ie, the first joint of the finger) or the fingertip to press the pressure point of the pressing piece. In this case, the force to press the pressure point of the pressing piece must be concentrated on the tip of the finger or the fingertip,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fingernail may break in the case of a woman.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 가압편의 압점을 가압하는 방향과 도어를 당기는 방향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가압편의 압점을 누른 후에 도어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당겨야 한다. 즉, 도어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두 방향(즉, 가압편의 압점을 누르는 방향 및 도어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도어에 힘을 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pressure point of the pressing piece and the direction of pulling the door do not match. Therefore, in order to open the door by rotating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ser must pull the door toward the user's body after pressing the pressure point of the pressing piece. That is, in order to rotate the doo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must apply force to the door in two directions (ie,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point of the pressing piece is press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pulled toward the user's body).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압편의 압점이 피벗축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압점을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pressure point of a pressing piece is disposed above a pivot axis, so that a user can easily press the pressure point. .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구비된 가압편의 압점을 사용자의 손가락 중간 마디를 사용하여 가압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pressing a pressure point of a pressing piece provided in a door using a middle finger of a us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압편의 압점 및 도어에 사용자의 몸쪽을 향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도어를 수직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opening a door in a vertical direction by applying a force to the pressure point of the pressing piece and the door in the same direction toward the user's body.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 중에 회전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prevents the rotation axis from being chang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door so that the door can be stably rota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프레임 및 상기 이너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캐비닛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배열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과,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2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으며, 일 측면에 제1기어이가 형성된 회전축 전환부;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회전축 전환부를 이동시키는 가압편을 포함하고,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exterior, and a cabinet provided with a clothes inlet; A door having an inner frame disposed toward the inlet and an outer frame coupled to the inner frame and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arrang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 hinge portion forming a first rotation shaft for rotating the door in a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a second rotation shaft for rotating the door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 rotation shaft switching unit capable of moving so as to rotatably fix the door to either the first rotation shaft or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having a first gear on one side thereof; And a pressing piece provided on the door and pressed by a user to move the rotating shaft switching unit,

상기 도어의 상단에는 도어의 수평 연장방향을 따라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함몰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편은 상기 함몰부 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함몰부의 바닥 아래로 연장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제공된 피벗축을 구비하며,The upper end of the door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horizontal extension direction of the door, and the pressing piece is disposed in the recessed portion and bent from an end of the first portion and the first portion pressed by the user.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below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and a pivot shaft provid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상기 가압편의 제1부분의 가압에 의한 동력이 상기 회전축 전환부의 제1기어이로 전달되도록,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의 일측면에는 제2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Provid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gear toot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so that the power by the pressing of the first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gear tooth of the rotation shaft switching unit. .

또한, 상기 가압편의 제1부분이 가압될 때 상기 제2부분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1부분이 가압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is pressed, the free end of the second portion may move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ortion is press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함몰부의 하측에 형성된 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수직 보; 상기 수직 보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보의 회전과 연동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수직 보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보의 회전과 연동되는 제2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기어이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epression, vertical beam extending downward; A first gear coupl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beam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eam; And a second gear coupl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vertical beam to interlock with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eam, and the second gear may mesh with the first gear.

또한, 상기 회전축 전환부에 형성된 제1기어이 및 상기 제2기어는 랙과 피니언 형태(Rack Pinion type)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formed in the rotation shaft switching part are of a rack and pinion type.

또한, 상기 가압편의 제1부분이 가압되면,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이는 상기 제1기어 및 상기 수직보를 회전시키고, 상기 수직보에 결합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회전축 전환부에 형성된 제1기어이와 맞물려서 상기 회전축 전환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is pressed, the second gear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rotates the first gear and the vertical beam, and the second gear coupled to the vertical beam is the rotation shaft The rotation shaft switching unit may be moved horizontally by engaging the first gear formed in the switching unit.

또한, 상기 회전축 전환부는 도어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전환부 및 도어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전환부(또는 제2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환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전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기어이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편의 제1부분의 가압에 의한 동력은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이를 통해서 상기 제1전환부로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axis switching unit includes a first switching unit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and a second switching unit (or second bar) movabl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oor,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ncludes the first switching unit. A first gear tooth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witching unit, and the power by the pressing of the first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through a second gear tooth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

또한,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은 상기 함몰부의 바닥 아래로부터 상기 도어의 이너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로부터 도어의 아우터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i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inner frame of the door from under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t may include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outer frame of the door.

또한, 상기 제3연장부의 측면에 제2기어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gear tooth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함몰부의 하측에 형성된 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수직 보; 상기 수직 보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보의 회전과 연동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수직 보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보의 회전과 연동되는 제2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이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epression, vertical beam extending downward; A first gear coupl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beam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eam; And a second gear coupl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vertical beam and interlocked with rotation of the vertical beam, and a second gear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may mesh with the first gea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 전환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락(lock)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ck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rotation shaft switching unit.

이때, 상기 회전축 전환부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전환부 및 상기 제1전환부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4축을 캐비닛에 선택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전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락은 상기 제1전환부와 상기 제2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rotation axis switching unit includes a first switching uni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switching unit extending vertically from one end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selectively rotatably fixing the fourth axis to the cabinet, and the lock May fix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또한, 상기 제1전환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제2전환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환부와 상기 제2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or are provided to b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so that the lock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lock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when the door opens the inlet,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part and the second switching part You can fix the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구비된 가압편의 압점을 사용자의 손가락 중간 마디의 전체면적을 사용하여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은 힘으로 가압편을 눌러서 도어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sure point of the pressing piece provided in the door can be pressed using the entire area of the middle joint of the user's fingers, the door can be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by pressing the pressing piece with less force. There is this.

또한, 여성의 경우, 상기 가압편을 가압할 때 손톱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oman,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breakage of nails when pressing the pressing pie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편을 가압하는 방향과 도어를 당기는 방향이 일치하므로, 도어를 보다 편리하고 부드럽게 개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pressing piece and the direction of pulling the door coinc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oor can be opened more conveniently an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 중 회전축 변경을 방지함으로써 도어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or stably rotating the door by preventing the rotation axis change during the rotation of the do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어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힌지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힌지가 제2회전방항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서 도어의 아우터프레임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편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1은 가압편의 작동에 따른 제1전환부 및 제2전환부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편 및 제1전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및 (b)는 도 12에 따른 가압편과 제1전환부의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의 (a)는 종래 가압편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편의 작동 방식을 각각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제1전환부에 구비되는 락(Lock)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은 락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rotated in a first rotation directio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rotated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in FIG. 1.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inge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inge is rotated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6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outer frame of the door in FIG.
7 shows the structure of a pressing pie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are views show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piec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ing piece and a first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 and (b)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ssing piece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according to FIG. 12.
Figure 14 (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pressing piece, (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ach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ressing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show locks provided in the first switching unit.
17 and 18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a lock.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realiz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제1회전방향(즉, 수평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어가 제2회전방향(즉, 수직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n which the door is rotated in a first rotation direction (ie, horizontal direction or left-right direction) in FIG. 1, and FIG. It is a diagram rotated in two rotation directions (ie, vertic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수용공간(R)과 의류수용공간으로 의류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37)가 구비된 캐비닛(3),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도어(4),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회전시키되 상기 도어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힌지부(5, 6, 7)를 포함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3 provided with a clothes receiving space R and an inlet 37 through which clothes can be inserted into the clothes receiving space, a door 4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the The door 4 is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includes hinge portions 5, 6 and 7 capable of rotating the door in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캐비닛(3)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37)는 캐비닛의 일면에 구비되는 프론트패널(33)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공간(R)에 연통한다. 상기 캐비닛(3) 내에는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37)를 통해 드럼 내로 투입된 세탁물은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세탁 또는 건조될 수 있다. The cabinet 3 forms the exteri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the inlet 37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ront panel 33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binet to communicate with the clothes receiving space R. A drum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3. Accordingly, laundry injected into the drum through the inlet 37 may be washed or dried by rotation of the drum.

상기 프론트패널(33)에는 도어(4)에 구비된 잠금돌기(47)가 수용되는 잠금돌기 수용부(39)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4)는 잠금돌기(47)가 캐비닛에 구비된 잠금돌기 수용부(39)에 수용됨으로써 투입구를 폐쇄하게 된다.The front panel 33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39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7 provided in the door 4 is accommodated. Accordingly, the door 4 closes the input port by receiving the locking protrusion 47 in the locking protrusion accommodating portion 39 provided in the cabinet.

한편, 상기 캐비닛(3)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의 입력을 위한 컨트롤패널(31)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binet 3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31 for a user to input a control command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상기 힌지부(5, 6, 7)는 투입구(37)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A)과, 상기 투입구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되 상기 제1회전축(A)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도어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B)을 형성한다. 상기 제1회전축(A)은 캐비닛(3)의 바닥면(32)에 대해 수직방향을 이루고, 상기 제2회전축(B)은 캐비닛(3)의 바닥면(32)에 평행인 수평방향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nge part 5, 6, 7 rotates the first rotation shaft A for rotating the door 4 so that the inlet 37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door 4 is rotated so that the inlet 37 can be opened and closed. However, a second rotation shaft (B) for rotating the doo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rotation shaft (A) is formed. The first rotation axis (A) forms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cabinet (3),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B) forms a horizontal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32) of the cabinet (3). It is desirable.

제1회전축(A)은 제1힌지(5)와 제2힌지(6)를 통해 형성되고, 제2회전축(B)은 제2힌지(6)와 제3힌지(7)를 통해 형성된다.The first rotation shaft (A) is formed through the first hinge (5) and the second hinge (6),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B)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hinge (6) and the third hinge (7).

도 2 및 도 3은 제1회전축(A)이 캐비닛(3)의 수직방향(즉, 높이방향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2회전축(B)은 캐비닛의 수평방향(즉, 너비방향 또는 가로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4)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투입구를 개방할 수 있는 한(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한), 상기 제1회전축(A)과 제2회전축(B)은 캐비닛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2 and 3 show that the first rotation axis A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e, the height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abinet 3,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B is the horizontal direction (ie,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Or it shows a case form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However, as long as the door 4 rotates in different directions to open the inlet (as long as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re provided to form a certain angle), the first rotation shaft A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B may be provided in various positions of the cabinet.

제1힌지(5)는 제1회전축(A)을 형성하는 제1축(51)과, 상기 제1축(51)을 수용하는 제1수용홈(531)이 형성된 제1축 착탈부(5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축(51)은 상기 캐비닛(3)에 설치되고, 상기 제1축 착탈부(53)는 상기 도어(3)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힌지(7)는 제2회전축(B)을 형성하는 제4축(713)과, 상기 제4축(714)을 수용하는 제2수용홈(731)이 형성된 제4축 착탈부(73)를 구비한다. 상기 제4축(713)은 도어(4)에 설치되고, 상기 제4축 착탈부(73)는 캐비닛(3)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회전축(A)과 제2회전축(B)을 모두 형성할 수 있는 제2힌지(6)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hinge 5 includes a first shaft 51 forming a first rotation shaft A and a first shaft attachment/detachment part 53 having a first receiving groove 531 accommodating the first shaft 51. ). The first shaft 51 may be installed in the cabinet 3, and the first shaft detachable part 53 may be provided in the door 3. In addition, the third hinge 7 is a fourth shaft 713 that forms a second rotation shaft (B) and a fourth shaft attachment and detachment portion in which a second receiving groove 731 for accommodating the fourth shaft 714 is formed. It has (73). The fourth shaft 713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4, and the fourth shaft attachment/detachment part 73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3. A second hinge 6 capable of forming both the first and second rotational shafts A and B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힌지(5)와 상기 제2힌지(6)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캐비닛(3)에 대해 제1회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도어(4)를 캐비닛(3)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3힌지(7)에서 상기 도어(4)는 상기 캐비닛(3)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반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힌지(6)와 상기 제3힌지(7)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캐비닛(3)에 대해 제2회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도어(4)를 캐비닛(3)에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힌지(5)에서 상기 도어(4)는 상기 캐비닛(3)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first hinge 5 and the second hinge 6 are the door 4 and the cabinet 3 The door 4 is connected to the cabinet 3 so that it can be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door 4 from the third hinge 7 may be removed from the cabinet 3.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when the door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second hinge 6 and the third hinge 7 are the door 4 and the cabinet 3 The door 4 is connected to the cabinet 3 so that it can be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door 4 from the first hinge 5 may be removed from the cabinet 3.

즉, 상기 도어(4)의 회전방향과 관계없이, 제2힌지(6)에서 도어(4)는 캐비닛(3)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항상 연결된다.That is, regardless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4, the door 4 at the second hinge 6 is always connected to the cabinet 3 so as to be rotatable.

도어(4)는 프론트패널(33) 방향에 구비되는(즉, 상기 투입구(37)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프레임(43), 상기 이너프레임에 결합되고 캐비닛(3)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프레임(4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4)는 투과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투과부(45)를 통해 의류수용공간(R)을 확인할 수 있다.The door 4 is an inner frame 43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front panel 33 (that is, disposed toward the inlet 37), coupled to the inner frame and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abinet 3 It includes an outer frame (41). In addition, the door 4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ve portion 45, and a user may check the clothing accommodation space R through the transmissive portion 45.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의 상단에는 도어(4)의 수평 연장방향(즉, 폭방향 또는 가로방향)을 따라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함몰부(992)가 구비된다. 상기 함몰부(992)는 상기 도어(4)의 수평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함몰부(992)는 상기 도어(4)의 가로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 만큼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3, the upper end of the door 4 is provided with a recess 992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horizontal extension direction (ie, width direction or transverse direction) of the door 4. The depression 992 extends elongated along the horizontal extension direction of the door 4. The recessed portion 992 may extend by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of the door 4 in the transverse direction.

함몰부(992) 내에는 사용자가 손을 파지해서 가압할 수 있는 가압편(990)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편(990)은 도어(4) 상단의 중앙부에서 상기 함몰부(992)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도어(4)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상기 가압편(990)을 가압할 수 있다. In the recessed portion 992, a pressing piece 990 capable of gripping and pressing a user's hand is provided. The pressing piece 990 may be installed in the recessed portion 992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door 4, and the user may rotate the pressing piece 990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You can pressurize.

한편, 도어(4)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1회전축(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도어(4)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손잡이 또는 측면 함몰부(980)를 파지하여 도어(4)를 상기 제1회전축(A)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함몰부(992)에서 가압편(990) 이외의 부분(예를 들어, 함몰부(992)에서 제1회전축(A)으로부터 먼 부분)에 손을 파지해서 상기 도어(4)를 상기 제1회전축(A)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otate the door 4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the user grips the side handle or the side depression 980 formed on the side of the door 4 located opposite the first rotation axis A (4) can be rotated around the first rotation shaft (A). In addition, the user can hold a hand at a portion other than the pressing piece 990 in the depression 992 (e.g., a portion far from the first rotation axis A in the depression 992), and the door 4 It is also possible to rotate around the first rotation shaft (A).

도 4는 제2힌지(6)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제2힌지(6)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도어(4)의 회전방향에 따른 제2힌지(6)의 작동을 설명한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inge 6 is rotated in a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inge 6 is rotated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inge 6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상기 제2힌지(6)는 상기 캐비닛(3)과 상기 도어(4)를 연결해서,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회전방향 및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상기 제2힌지(6)는 상기 제1회전축(A) 및 상기 제2회전축(B) 둘레로 상기 도어(4)가 회전될 때에 모두, 상기 도어(4)가 상기 캐비닛(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hinge 6 connects the cabinet 3 and the door 4 to fix the door 4 so that it can be selectively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When the door 4 is rotated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A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B, the second hinge 6 can rotate the door 4 to the cabinet 3 It can be configured to be combined.

상기 제2힌지(6)는 상기 캐비닛(3)에 고정되는 캐비닛고정부(61)와 상기 도어(4)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부(65)를 포함한다. The second hinge 6 includes a cabinet fixing part 61 fixed to the cabinet 3 and a door fixing part 65 fixed to the door 4.

상기 도어고정부(65)에는 상기 제1회전축(A)을 구성하는 제2축(651)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4)는 상기 제2축(651)을 기준으로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4)는 상기 도어고정부(65)에 대해서 상기 제2축(65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door fixing part 65 is provided with a second shaft 651 constituting the first rotation shaft A. The door 4 may be rotated in a first rotation direction based on the second shaft 651. That is, the door 4 may be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651 with respect to the door fixing part 65.

상기 도어고정부(65)와 상기 캐비닛고정부(61)는 상기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을 중심을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도어(4)는 상기 제3축(63)을 기준으로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 door fixing part 65 and the cabinet fixing part 61 are rotatably coupled around a third shaft 63 constituting the second rotation shaft B. The door 4 may be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hird shaft 6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고정부(65)와 상기 캐비닛고정부(61)는 상기 제3축(63)을 중심으로 접혀지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door 4 rotates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door fixing part 65 and the cabinet fixing part 61 are centered on the third shaft 63. Does not fold.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도어고정부(65)와 상기 캐비닛고정부(61)는 상기 제3축(63)을 중심으로 접혀지게 된다. 즉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4)는 상기 제1회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도어(4)는 상기 제2축(651)에 대해서는 회전되지 않는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when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door fixing part 65 and the cabinet fixing part 61 are centered on the third shaft 63. Will be folded. That is, when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al direction, the door 4 is not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al direction, so the door 4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651 It doesn't work.

상기 도어(4)의 하단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된 리세스(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42)는 상기 캐비닛고정부(61)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세스(42)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캐비닛고정부(61)와 상기 도어(4)의 하단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 A recess 42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door 4. The recess 42 may provide a space to accommodate the cabinet fixing part 61. As shown in FIG. 5, when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recess 42 causes interference between the cabinet fixing part 61 and the lower end of the door 4 Secure enough space to prevent it from occurring.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4)가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도어(4)는 제1회전축(A)을 구성하는 제1축(51) 및 제2축(65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어(4)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될 때, 도어(4)는 제2회전축(B)을 구성하는 제3축(63) 및 제4축(713)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door 4 rotates based on the first axis 51 and the second axis 651 constituting the first rotation axis A. Can be. In addition, when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door 4 may be rotated based on the third axis 63 and the fourth axis 713 constituting the second rotation axis B. .

도 6은 도 1에서 도어의 아우터프레임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도어(4)에서 상기 이너프레임(43)이 제거된 상태이며, 상기 아우터프레임(41)에 설치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개시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도어(4)가 제1회전축(A) 및 제2회전축(B) 중 어느 하나 둘레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설명한다.6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outer frame of the door in FIG. Specifically, FIG. 6 is a state in which the inner frame 43 is removed from the door 4 and discloses various components installed on the outer frame 41. Hereinafter, a structure in which the door 4 can be rotated around any one of the first rotation axis A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B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에서, 도어(4) 좌측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선은 제1회전축(A)을 나타내고, 도어(4)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선은 제2회전축(B)을 나타낸다. 즉, 도 6에서, 도어(4)의 좌측 상부에는 제1힌지(5)가 마련되고, 좌측 하부에는 제2힌지(6)가 마련되며, 우측 하부에는 제3힌지(7)가 마련된다. 한편, 도 6에는 상기 도어(4)에 설치된 구성요소만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힌지(5), 상기 제2힌지(6) 및 상기 제3힌지(7)의 구성요소 중에서 상기 캐비닛(3)에 설치된 구성요소는 도시되지 않는다.In FIG. 6, a line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left side of the door 4 represents a first rotation axis A, and a lin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door 4 represents a second rotation axis B. That is, in FIG. 6, a first hinge 5 is provided at the upper left of the door 4, a second hinge 6 is provided at the lower left, and a third hinge 7 is provided at the lower right. On the other hand, since only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door 4 are disclosed in FIG. 6, among the components of the first hinge 5, the second hinge 6, and the third hinge 7, the cabinet ( Components installed in 3) are not shown.

상기 도어(4)에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회전축(A) 또는 상기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상기 도어(4)를 상기 제1회전축(A) 또는 상기 제2회전축(B)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하는 회전축 전환부(1000, 1100)가 마련된다.In the door 4, when the door 4 rotates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A or the second rotation axis B, the door 4 rotates the first rotation axis A or the first rotation axis A or the second rotation axis B. The rotation shaft switching units 1000 and 1100 fixed to any one of the two rotation shafts B are provided.

상기 회전축 전환부(1000, 1100)는 상기 가압편(990)의 동작에 의해서 이동되는 제1전환부(1000) 및 제2전환부(1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전환부(1000) 및 제2전환부(1100)는 제1바(first bar) 및 제2바(second bar)로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편(990)에 사용자가 손을 파지해서 상기 가압편(990)이 이동되면, 상기 제1전환부(1000)는 전체적으로 도어(4)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전환부(1100)는 도어(4)의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상기 제1전환부(1000)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전환부(1100)는 상기 제1전환부(1000)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도어(4)의 하측을 향하여 이동된다.The rotating shaft switching units 1000 and 1100 include a first switching unit 1000 and a second switching unit 1100 that are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piece 990. Here, the first conversion unit 1000 and the second conversion unit 1100 may be represented by a first bar and a second bar. As indicated by the arrow in FIG. 6, when the user grips the hand of the pressing piece 990 and the pressing piece 990 is moved,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generally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oor 4. Is moved,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mov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door 4. Specifically, in FIG. 6,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moved to the righ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a lower side of the door 4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moved toward.

상기 제1전환부(1000)는 수평방향(즉, 좌우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경로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2전환부(1100)는 수직방향(즉, 상하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경로가 제한될 수 있다.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may be limited so that movement is possible only in a horizontal direction (ie, a left-right direction). In addition,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may be limited so that movement is possible only in a vertical direction (i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2전환부(1100)의 상단에는 경사면(1101)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1전환부(1000)의 수평방향 이동거리에 대해서, 상기 제2전환부(1100)는 아래 방향(즉,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101)은 상측은 좁고, 하측은 넓도록 테이퍼진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제1전환부(100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전환부(1100)는 아래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제1전환부(1000)의 수평이동은 상기 제2전환부(1100)의 수직이동으로 운동방향이 변경된다.An inclined surface 1101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so that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in a downward direction (ie,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movement distanc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Direction). Since the inclined surface 1101 has a tapered shape such that the upper side is narrow and the lower side is wide, when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moved to the right,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moved downward. That i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changes the movement direction du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상기와 같이, 상기 가압편(990)의 작동(즉, 가압)에 의해서, 상기 제1전환부(100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전환부(1100)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As described above, by the operation (ie, pressurization) of the pressing piece 990,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전환부(1000)는 상기 도어(4)가 제1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4)와 상기 캐비닛(3)이 상기 제1회전축에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한다. 특히 상기 제1전환부(1000)는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1힌지(5)에서 상기 도어(4)가 상기 캐비닛(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정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configured to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door 4 and the cabinet 3 are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axis. Fix to keep. In particular, when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binet 3 by the door 4 at the first hinge 5 It is fixed so that it is kept

상기 제1전환부(1000)는 상기 가압편(990)의 일단에 배치되어서, 상기 가압편(99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전환부(1000)도 이동된다. 한편, 상기 제1전환부(1000)의 일측에는 상기 제1전환부(100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1전환부(100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탄성부재(103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1030)는 인장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전환부(1000)를 우측으로 미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제1탄성부재(1030)는 상기 제1전환부(1000)가 우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인장된다. 반면에, 상기 제1탄성부재(1030)는 상기 제1전환부(100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에 상기 제1전환부(1000)를 좌측으로 당겨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pressing piece 990, so that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also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piece 990. On the other hand, at one sid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removed, a first elastic member 1030 that returns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to its original position. ) Is provid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1030 is a tension spring. That is, when a force pushing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to the right is applied, the first elastic member 1030 is tensioned because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moved to the r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removed, the first elastic member 1030 may pull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to the left to return it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제2전환부(1100)의 일측에는 상기 제2전환부(110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2전환부(110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부재(113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편(99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전환부(1000)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전환부(1100)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1전환부(100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2전환부(1100)에 가해진 힘도 제거되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1130)는 제2전환부(1100)를 상방으로 당겨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제2탄성부재 역시 인장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1030) 없이, 상기 제2탄성부재(1130)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제1탄성부재(1030)가 없더라도, 상기 제2탄성부재(1130)에 의해 제2전환부(1100)가 상방으로 당겨지면, 제2전환부(1100)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1101)에 의해 제1전환부(1000)가 좌측으로 밀려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In addition, at one sid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a second elastic member 1130 that returns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removed. Can be provided. That i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piece 990,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moved to the righ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moved downward. At this time,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removed, the force appli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also removed, so that the second elastic member 1130 is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Pull upwar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also a tension spr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only the second elastic member 1130 is provided without the first elastic member 1030. That is, even if the first elastic member 1030 is not present, when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pulled upwar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1130, the inclined surface 1101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may be pushed to the left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상기 도어(4)에는 상기 제1전환부(1000)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는 락(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락(70)에 대해서는 이하 다른 도면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4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lock 70 restric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The lock 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other drawings below.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편(990)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8 내지 11은 가압편(990)의 작동에 따른 제1전환부(1000) 및 제2전환부(1100)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11을 참조하여, 도어(4)의 회전방향에 따른 가압편(990), 제1전환부(1000) 및 제2전환부(1100)의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7 shows the structure of the pressing piece 9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to 11 are a first switching unit 1000 and a second switching unit 1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piece 990 It is a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Hereinafter, movements of the pressing piece 990,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가압편(990)은 상기 가압편(990)을 피벗시키기 위한 피벗축(995), 상기 피벗축으로부터 함몰부(992)의 바닥(993)을 향하여 연장하는 제1부분(996) 및 상기 제1부분(996)의 단부로부터 함몰부(992)의 바닥(993)을 관통하여 상기 함몰부(992)의 바닥(993) 아래로 연장하는 제2부분(997)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부분(996) 및 제2부분(997)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에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압점(998)이 구비되고, 상기 압점(998)은 상기 피벗축(995)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즉, 상기 압점(998)은 피벗축(995)과 함몰부(992)의 바닥(993) 사이이기만 하면, 어디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점"이라는 용어는, 상기 가압편(990)에서(즉,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에서)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을 나타낸다.The pressing piece 990 includes a pivot shaft 995 for pivoting the pressing piece 990, a first portion 996 extending from the pivot shaft toward the bottom 993 of the depression 992, and the first And a second portion 997 extending from the end of portion 996 through the bottom 993 of the depression 992 and below the bottom 993 of the depression 992. In this case, the first portion 996 and the second portion 997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first portion 996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provided with a pressure point 998 that is pressed by a user, and the pressure point 998 is disposed below the pivot shaft 995. That is, the pressure point 998 may be disposed anywhere as long as it is between the pivot shaft 995 and the bottom 993 of the depression 992. Here, the term “pressure point” refers to a portion pressed by a user in the pressing piece 990 (ie, in the first portion 996 of the pressing piece 990).

또한, 회전축 전환부의 제1전환부(1000)에는 소정 높이만큼 경사지도록 돌출된 돌출편(1002)이 형성되고, 가압편(990)의 제2부분(997)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돌출편(1002)을 향하여 돌출된 가압부(991)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편(1002)은 제1전환부(1000)의 중앙부에서 경사져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가압부(991)는 상기 돌출편(1002)을 마주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ding piece 1002 protruding so as to b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in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of the rotating shaft switching unit, and the protruding piece 1002 is at a free end of the second portion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A pressing portion 991 protruding toward) is formed. More specifically, the protruding piece 1002 may be inclined to protrude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and the pressing unit 991 may protrude to face the protruding piece 1002.

따라서, 사용자가 가압편(990)에 손을 파지하고,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즉, 제1부분(996)의 압점(998))을 가압하면, 상기 가압편(990)은 상기 피벗축(99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가압편(990)의 압점(998)이 가압되면,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 및 제2부분(997)은 상기 피벗축(99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즉, 도 7에서 좌측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도 7 참조). Therefore, when the user grips the hand on the pressing piece 990 and presses the first portion 996 of the pressing piece 990 (that is,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first portion 996), the pressing piece ( 990 rotates clockwise around the pivot shaft 995. That is, when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pressed by the user, the first portion 996 and the second portion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are clockwise around the pivot shaft 995 (That is, it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arrow in Fig. 7) (see Fig. 7).

그러면, 가압편(990)의 제2부분(997)에 형성된 가압부(991)가 제1전환부(1000)의 돌출편(1002)을 밀어서, 제1전환부(1000)는 도어(4)의 수평방향(즉, 도어의 폭방향 또는 측면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전환부(1000)의 돌출편(1002)은 상기 가압부(991)에 의해 가압될 때 제1전환부(100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 볼 때, 돌출편(1002)은 우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n, the pressing portion 991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pushes the protruding piece 1002 of the first switching portion 1000, so that the first switching portion 1000 is the door 4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e, the width direction or the side direction of the door).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the protruding piece 1002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inclined so that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moves in the right direction when pressed by the pressing unit 991. Can be formed. That is, as seen in FIG. 6, the protruding piece 100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right.

사용자에 의해 가압편(990)의 압점(998)이 가압되고, 제1전환부(1000)가 측면방향(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축(51)이 수용된 제1수용홈(531)이 개방된다. 따라서, 제1축(51)은 제1수용홈(531)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도 8 참조).When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pressed by the user,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right direction),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in which the first shaft 51 is accommodated Is open. Accordingly, the first shaft 51 may be removed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see FIG. 8 ).

한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전환부(1000)가 제1수용홈(531)을 폐쇄하고 있는 경우에, 제1축(51)은 제1수용홈(531)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기 때문에, 도어(4)는 캐비닛(3)에 대해 제1축(5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closing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the first shaft 51 can escape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Since there is no, the door 4 is rotatably coupled about the first axis 51 with respect to the cabinet 3.

그러나 상술한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1전환부(100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수용홈(531)에 수용된 상기 제1축(51)은 상기 제1수용홈(531)으로부터 빠져나오고, 결과적으로 상기 제1축(51)인 상기 제1힌지(5)를 통해서는 상기 도어(4)와 상기 캐비닛(3)에 결합되지 않는다.However, when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moved to the right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first shaft 51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comes out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As a result, it is not coupled to the door 4 and the cabinet 3 through the first hinge 5 which is the first shaft 51.

즉, 사용자가 제1회전방향으로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회전축의 일부인 상기 제1축(51)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4)가 회전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4)와 상기 제1축(51)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rotate the door 4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door 4 must rotate around the first axis 51 which is a part of the first rotation axis. Therefore, the door 4 and the first shaft 51 must be kept fixed.

따라서, 이 경우에, 사용자는 도어(4)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손잡이(980)를 파지하여 도어(4)를 상기 제1회전축(A) 둘레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함몰부(992)에서 가압편(990) 이외의 부분(예를 들어, 함몰부(992)에서 제1회전축(A)으로부터 먼 부분)을 파지하여 도어(4)를 제1회전축(A)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편(990)이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전환부(100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전환부(1000)는 상기 제1수용홈(531)을 밀폐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축(51)은 상기 제1수용홈(531)으로부터 탈거되지 않고, 상기 제1회전축을 형성해서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case, the user grips the side handle 980 formed on the side of the door 4 and rotates the door 4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A, or presses the recessed portion 992. The door 4 may be rotated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A by holding a portion other than the piece 990 (for example, a portion far from the first rotation axis A in the depression 992 ). At this time, since the pressing piece 990 is not pressurized,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remains in a stopped state,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seals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Maintain the state. Therefore, the first shaft 51 is not removed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and forms the first rotation shaft so that the door 4 can be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도 9 내지 11은 제3힌지(7) 부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다. 상기 제3힌지(7)는 상기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제4축(713)과, 상기 제4축(713)이 착탈 가능한 제2수용홈(731)이 형성된 제4축 착탈부(73)를 포함한다. 상기 제4축(713)은 상기 도어(4)에 구비되고, 상기 제4축 착탈부(73)는 상기 캐비닛(3)에 구비되며, 상기 제4축(713)은 상기 제4축 착탈부(73)에 착탈될 수 있다. 9 to 11 show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hird hinge 7 portion. The third hinge 7 includes a fourth shaft 713 forming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a fourth shaft attachment/detachment part 73 having a second receiving groove 731 detachable from the fourth shaft 713 Includes. The fourth shaft 713 is provided in the door 4, the fourth shaft attaching and detaching part 73 is provided at the cabinet 3, and the fourth shaft 713 is the fourth shaft attaching and detaching part (73) can be attached or detached.

도 9에서는 상기 도어(4)가 상기 투입구(37)를 폐쇄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4축(713)은 상기 제2수용홈(731)에 완전히 인입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제1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4축(713)은 수평 방향(즉,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2수용홈(731)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전환부(1100)는 상기 제2수용홈(731)의 수평 방향 입구를 밀폐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4축(713)은 상기 제2전환부(1100)의 간섭을 받지 않고, 상기 제2수용홈(731)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FIG. 9, since the door 4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37 is closed, the fourth shaft 713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731. At this time, when the user rotates the door 4 along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fourth shaft 713 is the second receiving groove 7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e, the arrow direction shown in FIG. 9 ). ) Can be withdrawn. That is, since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does not seal the horizontal entrance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731, the fourth axis 713 is not interfered with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 It may be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second receiving groove 731.

상기 제4축(713)의 단면은 일측이 편평한 제1편평면(71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축(713)은 전체적으로 'D'자 형상으로 상측에 상기 제1편평면(714)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4축 착탈부(73)는 상기 제4축(713)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톱퍼(74)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74)에는 상기 제1편평면(714)에 대응하는 제2편평면(74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4축(713)이 소정각도 회전하면, 상기 제1편평면(714)과 상기 제2편평면(741)이 서로 면접촉을 하게 되어, 상기 제4축(713)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The cross section of the fourth shaft 713 may have a first flat surface 714 having a flat side. At this time, the fourth shaft 713 may have a'D' shape as a whole and may have the first flat surface 714 on the upper side. Meanwhile, the fourth shaft attachment/detachment part 73 is provided with a stopper 74 that restricts rotation of the fourth shaft 713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e stopper 74 may include a second flat surface 7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flat surface 714. Therefore, when the fourth shaft 713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flat surface 714 and the second flat surface 741 come into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on of the fourth shaft 713 stops. Can be.

도 10은 도 9에서의 제2전환부(1100)가 아래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제2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가압편(990), 즉, 상기 가압편(990)의 압점(998)을 가압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압편(990)이 가압되면 상기 제1전환부(1000)가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전환부(1100)아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즉,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전환부(1100)는 도 9에 도시된 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전환부(1100)는 상기 제2수용홈(731)을 밀폐하고, 상기 제2수용홈(731)으로부터 상기 제4축(713)이 수평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n FIG. 9 is moved downward. When the user desires to rotate the door 4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iece 990, that is,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6 and 7, when the pressing piece 990 is pressed,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moved to the right. Then,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moves downward.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10,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moved downward than the position illustrated in FIG. 9. Accordingly,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may seal the second receiving groove 731 and prevent the fourth shaft 713 from being drawn out from the second receiving groove 7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때, 캐비닛(3)에는 상기 제2전환부(1100)의 자유단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제2전환부(1100)의 자유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안내되는 안내홈(73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3)에 설치되는 제4축 착탈부(73)는 상기 안내홈(73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 guide groove 732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rotatable may b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ee end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n the cabinet 3. . For example, the fourth shaft attachment/detachment part 73 installed in the cabinet 3 may include the guide groove 732.

상기 제4축(713)이 수평 방향으로 인출된다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상기 제1회전방향으로 상기 도어(4)가 회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압편(990)을 가압하여 제2전환부(110)가 제4축 착탈부(73)의 제2수용홈(731)을 밀폐하면,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도어(4)가 상기 제1회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제1힌지(5)와 제3힌지(7)에서 도어가 캐비닛으로부터 동시에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fourth shaft 713 is drawn o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means that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pressing piece 990 is pressed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 seals the second receiving groove 731 of the fourth shaft attachment/detachment part 73, the door 4 is mov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During rotation, the door 4 is prevented from simultaneously rotating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at is, the do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from the cabinet at the same time in the first hinge 5 and the third hinge 7.

한편, 상기 가압편(990)이 작동되면(즉, 가압되면), 상기 제1전환부(1000)도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축(51)이 상기 제1수용홈(531)으로부터 탈거되어, 상기 제1힌지(5)에서 상기 도어(4)와 상기 캐비닛(3)이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상기 제2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ing piece 990 is operated (that is, when it is pressed),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also moved to the right, and the first shaft 51 is removed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Thus, the door 4 and the cabinet 3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hinge 5. Therefore, the door 4 can be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제1회전방향으로 상기 도어(4)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가압편(990)이 사용자에 의해서 가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전환부(1000) 및 상기 제2전환부(1100)는 동작하지 않고 원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제2전환부(1100)는 하강하지 않고, 도 9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4축(713)은 상기 제2수용홈(731)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4)는 상기 제1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tries to rotate the door 4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pressing piece 990 is not press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do not operate and maintain their original state. That is, since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does not descend and is disposed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9, the fourth shaft 713 can be removed from the second receiving groove 731. Therefore, the door 4 can be rotated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도 11은 도어(4)가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도어(4)가 상기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도어(4)에 설치된 구성요소인, 상기 제4축(713)과 상기 제2전환부(1100)도 상기 도어(4)를 따라서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다.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When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fourth shaft 713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which ar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door 4, also follow the door 4 Rotated at the same angle.

도어(4)가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제4축(713)의 상기 제1편평면(714)이 상기 스톱퍼(74)의 상기 제2편평면(741)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4축(713)의 회전은 정지된다. 이때, 상기 도어(4)의 상기 제2회전방향 회전 각도는 대략 30도 내지 40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When the door 4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irst flat surface 714 of the fourth shaft 7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flat surface 741 of the stopper 74, the fourth shaft The rotation of 713 is stopped. At this time, the rotation angle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of the door 4 may be approximately 30 degrees to 40 degrees. This angl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도 12와 도 1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편(990) 및 제1전환부(1000)를 나타낸다. 가압편(990)의 가압에 의해 제1전환부(1000)가 측면(즉,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전환부(1100)가 하방(즉,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술한 가압편(990) 및 제1전환부(1000)의 작동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가압편(990)에 가해진 힘이 제1전환부(1000)로 전달되는 구체적인 구조가 도 6 및 7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므로, 이하 그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12 and 13 (a) and (b) show a pressing piece 990 and a first switching unit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piece 990,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moves to the side (ie, righ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moves downward (ie, downward). It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990)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However, since the specific structure in which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piece 99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n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S. 6 and 7, 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focus on such differences.

즉, 아래 설명되는 차이점 이외에, 상기 설명된 가압편(990)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 전환부(1000, 1100)가 움직이는 구조는 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at is,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s described below, the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al shaft switching units 1000 and 1100 are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piece 990 described above may be equally applied to this embodiment.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편(990)을 가압하는 이유는, 도어(4)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6 및 7에 도시된 가압편(990)과 달리, 본 실시예(도 12와 도 13의 (a) 및 (b))에 따른 가압편(990)은 가압편(990)의 피벗축(995)이 압점(998)보다 아래쪽에 위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가압편(990)의 피벗축(995)은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과 제2부분(997)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벗축(995)은 함몰부(992)의 바닥(993) 부근에 위치되고, 압점(998)은 함몰부(992)의 바닥(993)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어 함몰부(992) 내의 상측에 위치되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부분(996) 및 제2부분(997)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for pressing the pressing piece 990 is to rotate the door 4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Unlike the pressing piece 990 shown in FIGS. 6 and 7, the pressing piece 99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S. 12 and 13 (a) and (b)) is a pivot shaft of the pressing piece 990 ( 995) is located below the pressure point 998.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pivot shaft 995 of the pressing piece 99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portion 996 and the second portion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For example, the pivot shaft 995 is located near the bottom 993 of the depression 992, and the pressure point 998 is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993 of the depression 992 so that the depression 992 It can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Meanwhile, the first portion 996 and the second portion 997 may be integrally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편(990)은 함몰부(992) 내에 배치되는 제1부분(996) 및 상기 제1부분(996)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함몰부(992)의 바닥(003) 아래로 연장하는 제2부분(997)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편(990)을 피벗시키기 위한 피벗축(995)은 상기 함몰부(992)의 바닥(993)에 제공된다. 따라서, 가압편(990)의 상측 또는 가압편(990)의 압점(998)이 가압될 때, 상기 제2부분(997)의 자유단부는 상기 가압편(990)의 압점(998)이 가압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을 좌측 화살표 방향(즉, 도어(4)의 아우터프레임 방향)으로 누르면, 가압편(990)의 제2부분(997)은 우측 화살표 방향(즉, 도어(4)의 이너프레임(43)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너프레임(43)은 상기 가압편(99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우터프레임(41)과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이너프레임(43)과 아우터프레임(41) 사이에 상기 가압편(990)이 배치된다. 또한, 아우터프레임(41)과 상기 가압편(990)의 제2부분(997) 사이에 제1전환부(1000)가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essing piece 990 is bent from the end of the first portion 996 and the first portion 996 disposed in the depression 992 to extend below the bottom 003 of the depression 992 The second part 997 may be provided. Further, a pivot shaft 995 for pivoting the pressing piece 990 is provided on the bottom 993 of the depression 992. Therefore, when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piece 990 or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pressed, the free end of the second part 997 is pressed by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It can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first part 996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arrow (ie, the outer frame direction of the door 4) in FIG. 12, the second part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right arrow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inner frame 43 of the door 4). Here, the inner frame 43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outer frame 41 with the pressing piece 990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pressing piece 990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43 and the outer frame 41. In addition, a first switching unit 10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frame 41 and the second portion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상기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의 가압에 의한 동력을 상기 회전축 전환부(1000, 1100)로 전달하도록, 가압편(990)의 제2부분(997)의 측면에는 상기 제1전환부(100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2기어이(97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편(990)의 제2부분(997)의 측면에는 상기 가압편(990)을 가압하는 힘을 제1전환부(1000)로 전달하기 위한 제2기어이(97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편(990)의 제2부분(997)은 함몰부(992)의 바닥(993) 아래로부터 상기 도어(4)의 이너프레임(43)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1연장부(950), 상기 제1연장부(95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960), 및 상기 제2연장부(960)로부터 도어(4)의 아우터프레임(41)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3연장부(9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연장부(970)의 일측면에 기어이(971)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ortion 996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portion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so as to transmit the power due to the pressing of the first portion 996 to the rotation shaft switching units 1000 and 1100. A second gear tooth 971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conversion unit 1000 may be formed. That is, a second gear tooth 971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portion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to transmit the force pressing the pressing piece 990 to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 Specifically, the second portion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a first extension portion 950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inner frame 43 of the door 4 from under the bottom 993 of the recessed portion 992 ), a second extension part 96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950, and a third extension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outer frame 41 of the door 4 from the second extension part 960 It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970. In addition, a gear tooth 97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970.

상기 함몰부(992)의 하측에는 수직 보(20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수직 보(2000)는 함몰부(992)의 바닥(993) 아래쪽으로 연장하되 함몰부(992)의 바닥(993) 하측에 형성된 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수직 보(2000)의 단부에는 상기 수직 보(200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1기어(210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보(2000)의 길이방향 중간부에는 상기 수직 보(200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는 제2기어(2200)가 구비될 수 있다. A vertical beam 20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depression 992. The vertical beam 2000 extends below the bottom 993 of the depression 992 and is rotatably coupled to a groove formed under the bottom 993 of the depression 992. A first gear 2100 capable of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eam 2000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vertical beam 2000, and the vertical beam ( 200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gear 2200 capable of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또한, 제3연장부(97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이(971)가 상기 제1기어(2100)와 맞물리도록, 수직 보(2000) 및 가압편(990)의 제2부분(997)이 배열될 수 있다. 즉, 제3연장부(970)에 형성되는 제2기어이(971)는 제3연장부(970)의 측면 중 제1기어(2100)를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어 제1기어(2100)와 맞물린다. 따라서,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을 가압함에 따라서, 가압편(990)의 제2부분(997)이 도어(4)의 이너프레임(43)을 향하여 움직이면, 제2부분(997)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이(971)는 제1기어(2100)를 반시계 방향(즉,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21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수직 보(2000) 및 제2기어(2000)가 동일한 방향(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beam 2000 and the second portion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so that the second gear tooth 971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970 engages with the first gear 2100. Can be arranged. That is, the second gear tooth 971 formed in the third extension part 97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970 facing the first gear 2100 to mesh with the first gear 2100 . Therefore, as the first portion 996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pressed, when the second portion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moves toward the inner frame 43 of the door 4, the second portion ( The second gear tooth 971 formed on one side of the 997 rotates the first gear 2100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e, leftward direction). An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2100, the vertical beam 2000 and the second gear 2000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ie, counterclockwise).

또한, 회전축 전환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축 전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기어이(105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전환부(10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전환부(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기어이(10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부(1000)에 형성된 제1기어이(1050)는 상기 제2부분(997)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이(99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환부(1000)에 형성된 제1기어이(1050)는 상기 수직 보(2000)의 제2기어(2200)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즉, 제1전환부(1000)에 형성된 제1기어이(1050)와 상기 제2기어는 랙과 피니언 형태(Rack Pinion type)로 맞물릴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gear tooth 105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on axis conversion un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conversion unit. Specifically, a first gear tooth 105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The first gear tooth 1050 formed on the first conversion unit 10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second gear tooth 997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rtion 997. For example, the first gear tooth 1050 formed on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disposed so as to mesh with the second gear 2200 of the vertical beam 2000. That is, the first gear teeth 1050 and the second gears formed in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may be engaged in a rack and pinion type.

여기서, 제1기어(2100)의 회전은 수직 보(2000)를 회전시키고, 상기 수직 보(2000)의 회전은 제2기어(2200)를 제1기어(21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제2기어(2200)의 회전은 상기 제2기어(2200)와 맞물려 있는 제1전환부(1000)의 제1기어이(1050)에 전달된다. 따라서, 제2기어(2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전환부(1000)는 수평방향(즉,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Here,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2100 rotates the vertical beam 2000, and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eam 2000 rotates the second gear 220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gear 2100. Further,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22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gear tooth 1050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2200. Accordingly, when the second gear 2200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ie, rightward).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와, 가압편(990)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인 도 13의 (a) 및 가압편(990)이 작동된 상태인 도 13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어(4)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 또는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에 구비된 압점(998)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996) 또는 압점(998)이 가압되면, 가압편(990)의 제2부분(997)은 피벗축(995)을 중심으로 이너프레임(43) 방향(즉, 도 13의 (b)에서 우측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More specifically,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and FIG. 13(a) in which the pressing piece 990 is not operated and FIG. 13(b) in which the pressing piece 990 is operated. In order to rotate the door 4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point 998 provided in the first part 996 of the pressing piece 990 or the first part 996 of the pressing piece 990 can do. When the first part 996 or the pressure point 998 is pressed, the second part 997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frame 43 around the pivot shaft 995 (that is, the ( b) in the direction of the right arrow).

이때, 제2부분(997)의 제3연장부(97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이(971)가 수직 보(2000)의 제1기어(2100)와 맞물려서, 제1기어(2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기어(2100)의 회전은 수직 보(2000)를 통해 제2기어(2200)로 전달되어, 제2기어(2200)는 제1기어(21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gear tooth 971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970 of the second part 997 meshes with the first gear 2100 of the vertical beam 2000, so that the first gear 2100 It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21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gear 2200 through the vertical beam 2000, and the second gear 2200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gear 2100.

또한, 제2기어(2200)는 제1전환부(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기어이(1050)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제2기어(2200)의 회전은 제1전환부(1000)를 수평방향(즉,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2기어(2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전환부(1000)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편을 가압하는 힘이 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제1전환부(1000) 및 제2전환부(1100)에 전달되기 때문에, 힘의 전달 과정에서 미끄럼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gear 2200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tooth 105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2200 causes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to rotate. I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e, right direction). That is, when the second gear 2200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moves to the righ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force pressing the pressing pie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by the meshing of the gear, there is no fear of slipping or the like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force. There is an advantage.

상기 제1전환부(100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전환부(1000)의 단부가 제2전환부(1100)의 경사면을 밀고, 제2전환부(1100)가 아래쪽(즉, 하방)으로 이동되는 특징은 상기 도 1 내지 11을 통해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When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moved to the right, the end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pushe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moves downward (that is, downward). )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환부(1000)의 제1기어이(1050)가 제1전환부(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예를 들어, 도어의 폭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부분(997)은 아우터프레임(41)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부분(997)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전환부(100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부분(997)의 자유단부에서 상기 제1전환부(1000)를 마주하는 측면에 상기 제1기어이(1050)와 맞물리도록 제1기어이(1050)가 경사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기어이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가압편(990)이 가압되면, 상기 제2부분(997)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기어이가 상기 제1기어이(1050)를 측면으로 밀어서 상기 제1전환부(1000)가 측면방향(즉, 도어의 폭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가압편(990)이 가압되는 힘이, 제2부분(997)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기어이로부터 상기 제1전환부(1000)에 형성된 제1기어이(105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수직보(2000), 제1기어(2100) 및 제2기어(2200)의 구성은 필요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ear tooth 1050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for example, It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and the second part 997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41 so that the free end of the second part 997 is above the first switching part 1000. Or it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At this time, the first gear tooth 1050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clined direction so as to engage the first gear tooth 1050 on the side facing the first switching part 1000 at the free end of the second part 997. Inclined gear teeth can be formed. Therefore, when the pressing piece 990 is pressed by the user, a gear tooth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second part 997 pushes the first gear tooth 1050 to the side so that the first switching part 1000 is lateral direction. (That is, it can m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That is, the force by which the pressing piece 990 is pressed may be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gear teeth formed at the free end of the second part 997 to the first gear teeth 1050 formed in the first switching part 1000. In this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vertical beam 2000, the first gear 2100, and the second gear 2200 are not required.

도 14의 (a)는 종래 가압편의 작동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편의 작동 방식을 각각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4의 (a)는 피벗축이 가압편의 압점 위쪽에 배치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가압편을 가압하는 형태의 개념도이고, 도 14의 (b)는 피벗축이 가압편의 압점 아래쪽에 배치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가압편을 가압하는 형태의 개념도이다.Figure 14 (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pressing piece, (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each of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ressing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ure 14 (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orm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iece when the pivot shaft is disposed above the pressure point of the pressing piece, and Figure 14 (b) is the pivot shaft is arranged below the pressure point of the pressing piece It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form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iece in the case of being.

먼저, 도 14의 (a)를 참조하면, 피벗축(995)이 가압편(990)의 압점(998)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즉, 압점(998)은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에 배치되는 동시에, 피벗축(995)과 함몰부(992)의 바닥(993)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4)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가압편(990)의 압점(998)을 가압할 때, 사용자는 손가락 끝마디(즉, 손끝)을 사용하여 압점(998)을 가압해야 한다. 즉, 손가락 끝마디에 힘이 집중되어야 하기 때문에, 아래 설명할 실시예에 비해 손가락 끝에 많은 힘이 필요하다. 이 경우, 여성의 경우 손톱이 부러질 위험성이 있다. 또한, 손가락을 구부려서 상기 압점(998)을 가압해야 하므로, 손가락의 관절부분(3000)이 굴곡부(992)의 일측벽(3100)에 접촉되는 불편함이 생긴다. First, referring to FIG. 14A, the pivot shaft 995 is disposed above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That is, the pressure point 998 is disposed at the first portion 996 of the pressing piece 99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pivot shaft 995 and the bottom 993 of the depression 992.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to rotate the door 4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point 998 using a fingertip (ie, fingertip). Should be. That is, since the force must be concentrated on the fingertip, more force is required on the fingertip than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In this case, women are at risk of breaking their nails. In addition, since the finger must be bent to press the pressure point 998, the joint portion 3000 of the finger may contact one side wall 3100 of the bent portion 992, causing inconvenience.

또한, 손가락의 끝으로 압점(998)을 가압하는 방향은 사용자의 몸쪽을 향하면서 비스듬히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이고(도 14의 (a)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 도어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은 사용자의 몸쪽을 향하는 수평방향이다. 따라서, 도어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두 개의 방향(즉, 압점(998)을 가압하는 방향 및 도어(4)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수평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point 998 is pressed with the tip of the finger is a direction facing the user's body and obliquely downward (refer to the arrow shown in Fig. 14(a)), and rotating the door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direction is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user's body. Therefore, in order to rotate the door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user must apply force in two directions (i.e.,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pressure point 998 and the direction of pulling the door 4 horizontally toward the user's body). There is discomfort.

한편, 도 14의 (b)를 참조하면, 피벗축(995)은 가압편(990)의 압점(998)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즉,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압점(998)은 피벗축(995)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압점(998)은 가압편(990)의 제1부분(996)에 배치되는 동시에, 피벗축(995)과 함몰부(992)의 상측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4)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가압편(990)의 압점(998)을 가압할 때, 사용자는 손가락의 중간 마디(예를 들어, 손가락의 둘째 마디 또는, 손가락의 첫째와 둘째 마디)를 사용하여 압점(998)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손가락의 중간 마디의 전체 면적으로 압점(998)을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도 14의 (a)를 통해 설명한 실시예에 비해 손가락 끝에 힘이 집중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손가락의 둘째 마디의 전체 면적을 통해 압점(998)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의 경우 손톱이 부러질 위험성이 없다. 또한, 도 14의 (a)를 통해 설명한 실시예에 비해, 손가락을 구부릴 필요가 없으므로, 손가락의 관절부분(3000)이 손가락의 관절부분(3000)이 함몰부(992)의 일측벽(3100)에 접촉되는 불편함이 생기지 않는다. 즉, 압점(998)을 가압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의 관절부분(3000)이 함몰부(992)의 일측벽(3100)에 접촉되지 않는다.Meanwhile, referring to (b) of FIG. 14, the pivot shaft 995 is disposed below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That is, the pressure point 998 pressed by the user is disposed above the pivot shaft 995. For example, the pressure point 998 is disposed at the first portion 996 of the pressing piece 99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pivot shaft 995 and the upper side of the depression 992.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in order to rotate the door 4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user has the middle finger (for example, the second finger or the finger The pressure point 998 can be pressurized using the first and second nodes of That is, since the pressure point 998 is pressed with the entire area of the middle joint of the finger, the force on the fingertip is not concentrated compar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A. For example, the pressure point 998 may be pressed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second joint of the finger. Therefore, there is no risk of broken nails for women. In addition, compar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through (a) of FIG. 14, since there is no need to bend the finger, the joint part 3000 of the finger is the joint part 3000 of the finger and one side wall 3100 of the depression 992 There is no discomfort in contact with. That is, when the pressure point 998 is pressed, the joint portion 3000 of the user's finger does not contact the one side wall 3100 of the depression 992.

또한, 손가락의 마디 전체 면으로 압점(998)을 가압하는 방향은 사용자의 몸쪽을 향하는 수평방향이고(도 14의 (b)에 도시된 화살표 참조), 도어(4)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당기는 방향 역시, 사용자의 몸쪽을 향하는 수평방향이다. 즉, 도 14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 경우, 도어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압점(998)을 가압한 후에 도어를 당겨야 한다. 이에 비해, 도 14의 (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압점(998)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가압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어를 당겨서, 도어를 제2회전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point 998 is press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finger joint is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user's body (refer to the arrow shown in Fig. 14(b)), and the door 4 is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direction of pulling to make it is also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user's body. That i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4A, in order to rotate the door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user must press the pressure point 998 and then pull the door. 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4B, the user can open the door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by pressing the pressure point 998 and pulling the doo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ssing direction.

따라서, 도어(4)를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하나의 방향(즉, 사용자의 몸쪽을 향하는 수평방향)으로 압점(998) 및 도어(4)에 힘을 가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도 14의 (a)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도어(4)를 제2회전방향으로 보다 편리하고 부드러운 연결동작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otate the door 4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the user only needs to apply a force to the pressure point 998 and the door 4 in one direction (ie,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user's body). Compared to the case shown in FIG. 14A, the door 4 can be rotated in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with a more convenient and smooth connection operation.

한편,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도어(4)가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사용자가 가압편(990)의 압점(998)을 누르면 제1축(51)이 제1축 착탈부(53)의 제1수용홈(53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Meanwhile,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only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when the door 4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axis A, the first axis 51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of the one-axis detachable part 53.

또한, 도어(4)가 제2회전축(B)에 의해 회전할 경우,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가압편(990)의 압점(998)이 가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해야만 제4축(713)이 제4축 착탈부(73)의 제2수용홈(73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4 rotates by the second rotation shaft B,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only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ust keep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pressed until the fourth axis (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71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receiving groove 731 of the fourth shaft attachment/detachment part 73.

따라서, 상술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도어(4)가 투입구(37)를 개방하면(즉, 도어가 프론트패널(33)로부터 분리되면) 제1전환부(1000)나 제2전환부(1100)의 위치를 고정(즉, 제1전환부 또는 제2전환부를 구속)시키는 락(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될 락(70)의 특징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disadvantage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when the door 4 opens the inlet 37 (that is, when the door is separated from the front panel 33). ) Or a lock 7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e, restraining the first switching unit or the second switching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Features of the lock 70 to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re applicable to bo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70)은 도어(4) 내부에 구비되며, 도어(4)의 두께방향(T)을 따라서 이동 가능한 락 바디(lock body, 710), 락 바디(710)에 구비되되 이너프레임(43)을 관통하여 도어(4)의 외부에 노출되는 바디 가압부(730), 락 바디(710)의 작동여부에 따라 제1전환부(1000)에 착탈 가능한 전환부 전환부 고정부(77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the lock 70 is provided inside the door 4, and a lock body 710 and a lock body 710 movabl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door 4 Switching the switching unit detachable to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depending on whether the body pressing unit 730 and the lock body 71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4 through the inner frame 43 are operated It may include a secondary fixing portion 770.

상술한 락(70)이 도어(4) 내부에 구비될 경우, 아우터프레임(41)에는 락 바디(710)가 수용되는 락 바디 수용홈(317)이 더 구비되고, 이너프레임(43)에는 바디 가압부(730)가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313, 도 16 참고)이 더 구비되며, 제1전환부(1000)에는 전환부 고정부(770)가 결합되는 체결부(617)가 더 구비된다.When the above-described lock 70 is provided inside the door 4, the outer frame 41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 body receiving groove 317 in which the lock body 710 is accommodated, and the inner frame 43 has a body A frame through hole 313 (refer to FIG. 16) through which the pressing part 730 passes is further provided, and the first switching part 10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617 to which the switching part fixing part 770 is coupled. .

락 바디 수용홈(317)은 락 바디(710)의 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이너프레임(43)을 향하는 면이 개방된 중공 바(hollow 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lock body receiving groove 317 is a means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lock body 710 and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llow bar with an open surface facing the inner frame 43.

락 바디 수용홈(317)은 락 바디(710)의 왕복운동이 제1전환부(1000)와 간섭되지 않는 한 아우터프레임(41)의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다.The lock body receiving groove 317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of the outer frame 41 as long a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lock body 71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도 15는 락 바디 수용홈(317)이 제1전환부(1000)의 상부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락 바디 수용홈(317) 내부에는 락 바디(710)를 탄성지지하는 바디지지부(790)가 구비되며, 바디지지부(790)는 락 바디(710)를 이너프레임(43)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락 바디(710)에 제공한다.FIG. 15 is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lock body receiving groove 317 is located above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and a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ock body 710 in the lock body receiving groove 317 A support part 790 is provided, and the body support part 79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lock body 710 that pushes the lock body 710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frame 43.

한편, 락 바디(710)가 도어의 높이방향(H)을 기준으로 제1전환부(1000)의 상부에 구비될 경우, 전환부 고정부(770)는 락 바디(710)에서 제1전환부(1000)와 아우터프레임(41) 사이의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바디플랜지(750)에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k body 71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based on the height direction (H) of the door, the switching unit fixing unit 770 is the first switching unit in the lock body 710 It may be provided on the body flange 750 extending toward the space between the outer frame (1000) and the outer frame (41).

즉,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플랜지(750)는 락 바디(710)에서 도어(4)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전환부(1000)와 아우터프레임(41) 사이에 위치하고, 전환부 고정부(770)는 바디플랜지(750)에서 제1전환부(1000)에 구비된 체결부(617)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6, the body flange 750 extends from the lock body 710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4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and the outer frame 41, and The secondary fixing part 77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body flange 750 toward the fastening part 617 provided in the first switching part 1000.

체결부(617)는 도어의 너비방향(W)을 다라 구비되는 제1체결부(617a) 및 제2체결부(617b)로 구비될 수 있는데,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1000e)에서 제2체결부(617b)까지의 거리는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1000e)에서 제1체결부(617a)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part 617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part 617a and a second fastening part 617b provided in different width directions (W) of the door. In the first free end 1000e of the first switching part The distance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617b is preferably provided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free end 1000e of the first switching part to the first fastening part 617a.

각 체결부(617a, 617b)는 제1전환부(100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체결홀 또는 제1전환부(1000)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되는 체결홈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5 및 16은 체결부가 체결홀로 구비된 경우를 일 실시예로 도시한 것이다.Each of the fastening parts 617a and 617b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irst conversion part 1000 or a fastening groove provided by bending the first conversion part 1000 to be concave, FIGS. 15 and 16 The case where the fastening part is provided as a fastening hole is shown as an embodiment.

전환부 고정부(770)는 바디플랜지(750)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고정돌기(771)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제1고정돌기(771)는 제1전환부(1000)의 위치에 따라 제1체결부(617a)나 제2체결부(617b)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가능하다. 즉, 제1체결부(617a)와 제2체결부(617b)의 너비(w1)가 동일할 경우, 제1고정돌기(771)의 너비(w2)는 체결부의 너비(w1) 이하가 된다.The conversion part fixing part 770 may include a first fixing protrusion 771 protruding from the body flange 750, and the first fixing protrusion 771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version part 1000. It can be inserted into either the first fastening part 617a or the second fastening part 617b. That is, when the width w1 of the first fastening part 617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617b is the same, the width w2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771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w1 of the fastening part.

한편, 제1전환부(1000)가 도어(4)의 너비방향(W)을 다라 이동하는 거리는 사용자가 가압편(990)의 압점(998)을 누르는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전환부 고정부(770)가 제1고정돌기(771)로만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가압편(990)의 압점(990)을 충분히 누르지 않으면, 제1고정돌기(771)가 두 체결부(671a, 671b)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tance that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moves along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door 4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Therefore, when the switching part fixing part 770 is provided only as the first fixing protrusion 771, if the user does not sufficiently press the pressure point 990 of the pressing piece 990, the first fixing protrusion 771 is two fastening parts (671a, 671b) can not be combined with any of the problems may occur.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구비된 락(70)은 제1고정돌기(771)의 너비(w2)보다 작은 너비(w3)를 가지는 제2고정돌기(773)가 제1고정돌기(771)에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lock 7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fixing protrusion 773 having a width w3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771. Can be provided in.

제2고정돌기(773)가 제1고정돌기(771)의 상부면 중앙 또는 제1고정돌기(771)의 상부면 중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1000e)을 향하는 모서리(즉, 제1힌지(5)를 향하는 모서리)에 구비되면, 제2체결부(671b)의 하부에 위치된 제2고정돌기(773)의 상부로 제1체결부(671a)가 이동하기 위해 제1전환부(1000)가 이동해야 하는 거리는 제2체결부(671b)의 하부에 위치된 제1고정돌기(771)의 상부로 제1체결부(671a)가 이동하기 위해 제1전환부(1000)가 이동해야하는 거리에 비해 짧다.The edge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773 facing the first free end 1000e of the first transition part of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771 or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771 (that is, the first When provided at the corner facing the hinge 5), the first switching portion (671a) mov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773 located below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71b. The distance that the first fastening part 671a should move is the distance that the first fastening part 671a should move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771 located under the second fastening part 671b. It is short for the distance.

따라서, 제1고정돌기의 너비(w2)보다 작은 너비(w3)를 가진 제2고정돌기(773)가 제1고정돌기(771)에 구비되면, 가압편(990)의 압점(998)을 조금만 가압해도 전환부 고정부(770)의 위치를 제2체결부(671b)에서 제1체결부(671a)로 전환할 수 있어 전환부 고정부(770)를 쉽게 체결부(671)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773 having a width w3 smaller than the width w2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in the first fixing protrusion 771,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slightly reduced. Even if pressurized, the position of the conversion part fixing part 770 can be changed from the second fastening part 671b to the first fastening part 671a, so that the conversion part fixing part 77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671. There will be.

락(70)이 구비된 도어(4)에 의해 투입구(37)가 개방되는 과정 및 회전축의 전환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opening the inlet 37 by the door 4 provided with the lock 70 and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rotation shaft are as follows.

도 1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회전축(B)을 통해 회전하는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하면, 바디 가압부(730)는 프론트패널(33)에 의해 가압되므로, 락 바디(710)는 락 바디 수용홈(317) 내부에서 아우터프레임(41)을 향해 이동한다. 이때, 탄성지지부(790)는 락 바디(710)에 의해 압축된다.As shown in (b) of FIG. 16, when the door 4 rotating through the second rotation shaft B closes the inlet 37, the body pressing unit 730 is pressed by the front panel 33 Therefore, the lock body 710 moves toward the outer frame 41 in the lock body receiving groove 317. At this time, the elastic support part 790 is compressed by the lock body 710.

락 바디(710)가 락 바디 수용홈(317) 내부에서 아우터프레임(41)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환부 고정부(770)는 제1체결부(617a)로부터 인출되며, 제1전환부(1000)는 제1탄성부재(1030)에 의해 제1힌지(5)를 향해 이동한다.When the lock body 71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41 from the inside of the lock body receiving groove 317, the conversion part fixing part 770 is withdrawn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617a, and the first conversion part 1000 ) Moves toward the first hinge 5 by the first elastic member 1030.

제1전환부(1000)가 제1탄성부재(1030)에 의해 제1힌지(5)를 향해 이동하면, 전환부 고정부(770)의 상부에는 제2체결부(671b)가 위치하고, 제1전환부(1000)의 제1자유단(1000e)은 제1축(51)이 제1수용홈(53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가 되며, 제2전환부(1100)의 제1자유단(1100e)은 안내홈(732)에서 인출된 상태가 된다.When the first switching part 1000 moves toward the first hinge 5 by the first elastic member 1030, the second fastening part 671b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witching part fixing part 770, and the first The first free end 1000e of the switching unit 1000 is in a state to prevent the first shaft 5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and the first free end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1100e) is brought out from the guide groove (732).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편(990)의 압점(998)을 누르지 않고, 함몰부(992)에 손을 넣어 도어(4)를 당기거나 또는 측면 손잡이(980)를 당기면, 도어(4)는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does not press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ure piece 990, puts a hand in the depression 992 and pulls the door 4 or pulls the side handle 980, the door 4 It rotates based on the first rotation axis (A).

도어(4)가 제1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바디 가압부(730)와 프론트패널(33)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므로 바디 가압부(730)를 아우터프레임(41)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사라진다.When the door 4 starts to rotate based on the first rotation axis A,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body pressing unit 730 and the front panel 33 is released, so that the body pressing unit 730 is moved toward the outer frame 41 The external force that pressurizes disappears.

따라서, 락 바디(710)는 탄성지지부(790)의 복원력에 의해 이너프레임(43)을향해 이동하고, 락 바디(710)가 이너프레임(43)을 향해 이동하면 전환부 고정부(770)는 제2체결부(671b)에 삽입된다.Therefore, the lock body 710 moves toward the inner frame 43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part 790, and when the lock body 710 moves toward the inner frame 43, the conversion part fixing part 770 is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part 671b.

전환부 고정부(770)가 제2체결부(671b)에 삽입되면, 제1전환부(1000)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도어(4)가 제1회전축(A)을 통해 회전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가압편(990)의 압점(998)을 누르더라도 제1축(5)은 제1수용홈(531)에서 분리되지 않는다.When the switching unit fixing unit 77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unit 671b, the posi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fixed,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door 4 through the first rotation axis A. Even if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pressed, the first shaft 5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한편, 제1회전축(A)을 통해 회전하는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하면, 바디 가압부(730)는 프론트패널(33)에 의해 가압되고, 락 바디(710)는 락 바디 수용홈(317) 내부에서 아우터프레임(41)을 향해 이동한다. 따라서, 전환부 고정부(770)는 제2체결부(617a)로부터 인출된다(즉, 제1전환부(1000)의 구속상태가 해소됨).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4 rotating through the first rotation shaft A closes the inlet 37, the body pressing part 730 is pressed by the front panel 33, and the lock body 710 is a lock body. It moves toward the outer frame 41 in the receiving groove 317. Accordingly, the switching portion fixing portion 770 is withdrawn from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17a (that is, the constraint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portion 1000 is resolv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편(990)을 누르면, 제1전환부(1000)의 제2자유단(1000f)은 제2전환부(1100)의 제2자유단(1100f)에 구비된 경사면(1101)을 밀게 된다. 따라서, 제1전환부의 제1자유단(1000e)은 제1축(51)이 제1수용홈(531)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제1수용홈(531)을 개방하고,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1100e)은 안내홈(732)에 삽입되며, 전환부 고정부(770)의 전방에는 제1체결부(617a)가 위치하게 될 것이다.In such a state,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iece 990, the second free end 1000f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is an inclined surface provided at the second free end 1100f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1101) is pushed. Accordingly, the first free end 1000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opens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so that the first shaft 51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and the first The free end 1100e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732,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617a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switching part fixing part 770.

이때 사용자가 가압편(990)을 가압한 상태에서 도어(4)를 당기면 도어(4)는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4 while pressing the pressing piece 990, the door 4 will start to rotate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axis B.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바디 가압부(730)와 프론트패널(33)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바디 가압부(730)를 아우터프레임(41)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전환부 고정부(770)는 제1체결부(617a)에 삽입되어 제1전환부(1000)가 제2전환부(1100)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시킨다.When the door 4 starts to rotate based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B,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body pressing part 730 and the front panel 33 is released. When the external force pressing the body pressing unit 730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41 disappears, the switching unit fixing unit 770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unit 617a so that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becomes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kept pressed.

따라서, 본 발명은 제2회전축(B)을 통해 도어(4)가 회전할 때 가압편(990)의 압점(998)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도어(4)의 회전 중에 제4축(714)이 제4축 착탈부(73)로부터 분리되는 것(즉, 상기 제4축(714)이 제2수용홈(73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aintain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pressure point 998 of the pressing piece 990 when the door 4 rotates through the second rotation shaft B, the fourth axis ( It is possible to prevent 714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ourth shaft attachment/detachment part 73 (ie, the fourth shaft 714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receiving groove 731 ).

한편, 상술한 락(70)은 전환부 고정부(770)가 제1전환부(100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에 구비된 락(70)은 제2전환부(110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lock 70 is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witching unit fixing unit 770 is provid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but the lock 7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2 It may be provid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switching unit 1100.

이 경우, 제1체결부(617a) 및 제2체결부(617b)는 제2전환부(1100)에 구비되어야 하고, 제2전환부의 제1자유단(1100e)에서 제1체결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자유단(1100e)에서 제2체결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된다. 따라서, 전환부 고정부(770)가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도어(4)는 제1회전축(A)에 결합되고, 전환부 고정부(770)가 제2체결부에 결합되면 도어(4)는 제2회전축(B)에 결합될 것이다.In this case, the first fastening part 617a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617b should be provided in the second switching part 1100, and the distance from the first free end 1100e of the second switching part to the first fastening part is It is provided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free end 1100e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Therefore, when the switching unit fixing unit 770 is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unit, the door 4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A, and when the switching unit fixing unit 770 is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unit, the door 4 ) Will be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B).

도 17은 상술한 락(70)이 가압편(990)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8은 바디 가압부(730)가 도어의 두께방향(T)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락(70)이 가압편(990)을 고정하는 구조로 구비될 경우, 가압편(990)에는 락(7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 제1체결부(451), 바디 체결부(451)의 하부에 위치되는 바디 제2체결부(453)가 구비되는데, 바디 제1체결부(451)와 바디 제2체결부(453)는 바디회전축(43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17 shows a case where the above-described lock 70 is provided to fix the pressing piece 990, and FIG. 18 is a case in which the body pressing part 730 reciprocates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door It is shown as an example. When the lock 70 is provided in a structure to fix the pressing piece 990, the first fastening part 451 and the body fastening part 451 in which the lock 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ressing piece 990 The body second fastening part 453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ody is provided, and the body first fastening part 451 and the body second fastening part 453 are provided to be located on an arc centered on the body rotation axis 430 Can be.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락(70)은 도어(4)의 너비방향(W)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바디 제1체결부(451) 및 바디 제2체결부(453) 각각에 삽입 가능한 락 바디(710), 락 바디(710)를 탄성지지하되 락 바디(710)를 가압편(990)이 위치된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디 지지부(790), 락 바디(710)에 구비되는 바디 경사면(720),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하면 바디 경사면(720)에 접촉하여 락 바디(710)를 이동시키는 바디 가압부(730)로 구비될 수 있다.17 and 18, the lock 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as to reciprocate along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door 4, so that the body first fastening part 451 and the body second A body support 790, a lock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ock body 710 and the lock body 710 that can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fastening parts 453, but presses the lock body 7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iece 990 is located When the body inclined surface 720 provided in the 710 and the door 4 close the inlet 37, it may be provided as a body pressing part 730 that contacts the body inclined surface 720 and moves the lock body 710. have.

바디 가압부(730)는 도어(4) 내부에서 도어의 두께방향(T)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프론트패널(33)에 구비되어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한 때 바디 경사면(720)을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body pressurizing part 730 may be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door inside the door 4, and is provided on the front panel 33 so that the door 4 passes the inlet 37 It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body inclined surface 720 when closed.

도 18은 바디 가압부(730)가 도어의 두께방향(T)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18 shows as an example a case in which the body pressing part 730 can reciprocate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T of the door.

도어(4)에는 바디 가압부(73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압부 가이더(3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 가이더(318)는 회전축 전환부(6)와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도 18은 가압부 가이더(318)가 제1전환부(1000)의 상부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door 4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ressing part guider 318 for guid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body pressing part 730. The pressing part guider 318 must be provi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al shaft switching part 6, and FIG. 18 shows an example of a case where the pressing part guider 318 is located above the first switching part 1000. .

한편, 바디 가압부(730)는 바디 가압부(730)에서 바디 경사면(720)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바디 제1가압부(740), 바디 가압부(730)에서 프론트패널(33)을 향해 돌출되는 바디 제2가압부(78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ressing unit 730 is a body first pressing unit 740 protruding toward the body inclined surface 720 from the body pressing unit 730, the body pressing unit 730 toward the front panel 33 It may include a protruding body second pressing portion 780.

이 경우,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하면 바디 제2가압부(780)는 프론트패널(33)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바디 제1가압부(740)는 바디 경사면(720)에 접촉하여 락 바디(710)를 가압편(99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18 (a)).In this case, when the door 4 closes the inlet 37, the body second pressing part 780 is pressed by the front panel 33. Accordingly, the body first pressing unit 740 may contact the body inclined surface 720 to move the lock body 71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ressing piece 990 (FIG. 18(a)).

한편, 도어(4)가 투입구(37)를 개방하면 바디 제2가압부(780)에 공급되는 외력이 사라진다. 따라서, 락 바디(710)는 바디 지지부(790)에 의해 가압편(990)을 향해 이동하고, 바디 제1가압부(740)는 바디 경사면(720)에 의해 이너프레임(43)을 향해 이동하므로 바디 제2가압부(780)는 이너프레임(43)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초기위치, 도 18 (b))로 복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4 opens the inlet 37, the external force supplied to the body second pressing part 780 disappears. Therefore, the lock body 710 moves toward the pressing piece 990 by the body support part 790, and the body first pressing part 740 moves toward the inner frame 43 by the body inclined surface 720. The body second pressing unit 780 returns to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frame 43 (initial position, FIG. 18(b)).

바디 가압부(73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도어(4)에는 바디 가압부(730)를 탄성지지하는 가압부 지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In order to help the body pressing unit 730 return to its initial position, the door 4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unit support (not shown)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body pressing unit 730.

본 실시예 역시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한 상태에 있으면 제1전환부(1000)는 제1축(51)이 제수용홈(531)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락 바디(710)는 가압편(990)을 구속하지 않는다(락 바디(710)는 바디 제1체결부(451)에 삽입되지 않는다, 도 18 (a)).Also in this embodiment, when the door 4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37 is closed,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prevents the first shaft 51 from being withdrawn from the receiving groove 531, and the lock body ( 710 does not restrain the pressing piece 990 (the lock body 710 is not inserted into the body first fastening portion 451, FIG. 18(a)).

그러나, 도어(4)가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구를 개방하면, 바디 제2가압부(780)에 공급되는 외력이 사라지므로 락 바디(710)의 자유단(free end)은 바디 지지부(790)에 의해 바디 제1체결부(451)에 삽입된다.However, when the door 4 rotates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A to open the inlet, the external force supplied to the body second pressing unit 780 disappears, so the free end of the lock body 710 The silver is inserted into the body first fastening part 451 by the body support part 790.

따라서, 본 실시예 역시 도어(4)가 제1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가압편(990)이 작동됨으로써 제1축(51)이 제1수용홈(531)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is embodiment also prevents the first shaft 51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first receiving groove 531 by operating the pressing piece 990 when the door 4 rotates around the first rotation shaft (A). can do.

한편,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락 바디(710)의 자유단은 바디 제2체결부(453)에 결합되어 가압편(990)을 구속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or 4 rotates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B, the free end of the lock body 710 is coupled to the body second fastening part 453 to constrain the pressing piece 990.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하려면, 사용자는 제2전환부(1100)가 가압되도록 가압편(990)을 통해 제1전환부(1000)를 이동시켜야 한다.In order for the door 4 to rotate around the second rotation axis B, the user must move the first switching unit 1000 through the pressing piece 990 so that the second switching unit 1100 is press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 제1체결부(451)의 하부에는 바디회전축(430)을 중심으로 하고 바디 제1체결부(451)를 지나는 원주 상에 바디 제2체결부(453)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가압편(990)을 회전시키면, 바디 제1체결부(451)는 락 바디(710)의 왕복운동 경로를 벗어나고, 바디 제2체결부(453)는 락 바디(710)의 왕복운동 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ody second fastening part 453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ce passing through the body first fastening part 451 with the body rotation axis 430 as the center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first fastening part 451. When the pressing piece 990 is rotated, the body first fastening part 451 deviates from the reciprocating motion path of the lock body 710, and the body second fastening part 453 is on the reciprocating motion path of the lock body 710. Will be located in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4)를 프론트패널(33)에서 분리시키면 락 바디(710)의 자유단은 가압편(990)을 향해 이동하여 바디 제2체결부(453)에 삽입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separates the door 4 from the front panel 33, the free end of the lock body 710 moves toward the pressing piece 990 and is inserted into the body second fastening part 453.

따라서, 본 실시예는 도어(4)가 제2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가압편(990)이 작동됨으로써 제4축(713)이 제2수용홈(731)에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is embodiment prevents the fourth shaft 713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second receiving groove 731 by operating the pressing piece 990 while the door 4 rotates around the second rotation shaft (B). can do.

도 17의 (b)는 바디 제1체결부(451)와 바디 제2체결부(453)가 가압편(990)을 관통하는 홀(hole) 또는 가압편(990)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groove)의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17B shows a hole through which the body first fastening part 451 and the body second fastening part 453 pass through the pressing piece 990 or the surface of the pressing piece 990 is concavely bent. It is shown as an example a case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groove).

그러나, 바디 제1체결부(451)와 바디 제2체결부(453)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으며, 도 17의 (c)는 바디 제1체결부와 바디 제2체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압편(990)의 가장자리에 홈의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도 도시한 것이다.However, the body first fastening part 451 and the body second fastening part 453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tructures as long as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and FIG. 17C shows the body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body. An example is also shown when at least on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s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oove at the edge of the pressing piece 990.

나아가, 본 발명에 구비되는 락(70)은 바디 가압부(730), 바디 가압부(730)에서 바디 경사면(720)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바디 제1가압부(740), 프론트패널(33)에 구비되어 도어(4)가 투입구를 폐쇄할 때 바디 제1가압부(740)를 바디 경사면(720)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디 제2가압부(780)로 구비될 수도 있다.Further, the lock 7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ressing unit 730, a body first pressing unit 740, and a front panel 33 protruding from the body pressing unit 730 toward the body inclined surface 720. ) May be provided as a body second pressing unit 780 that presses the body first pressing unit 740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inclined surface 720 when the door 4 closes the inlet opening.

이 경우, 도어의 이너프레임(43)에는 도어(4)가 투입구(37)를 폐쇄할 때 바디 제2가압부(780)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고, 바디 가압부(730)는 상기 삽입홀에 바디 제2가압부(780)가 삽입될 때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inner frame 43 of the door should be further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body second pressing unit 780 is inserted when the door 4 closes the inlet 37, and the body pressing unit 730 Should be provided to enable contact when the body second pressing part 78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3: 캐비닛 5: 제1힌지
6: 제2힌지 7: 제3힌지
990: 가압편 992: 함몰부
1000: 제1전환부 1100: 제2전환부
1200: 안전바
3: cabinet 5: first hinge
6: second hinge 7: third hinge
990: pressing piece 992: depression
1000: first switching unit 1100: second switching unit
1200: safety bar

Claims (13)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 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이너프레임 및 상기 이너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캐비닛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는 아우터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배열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제1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회전축과,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부;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상기 제2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으며, 일 측면에 제1기어이가 형성된 회전축 전환부;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회전축 전환부를 이동시키는 가압편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상단에는 도어의 수평 연장방향을 따라서 소정 깊이만큼 함몰된 함몰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편은 상기 함몰부 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단부로부터 상기 함몰부의 바닥 아래로 연장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제공된 피벗축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편의 제1부분의 가압에 의한 동력이 상기 회전축 전환부의 제1기어이로 전달되도록,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의 일측면에는 제2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nd provided with a clothing inlet;
A door having an inner frame disposed toward the inlet and an outer frame coupled to the inner frame and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arrang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 hinge portion forming a first rotation shaft for rotating the door in a first rotation direction and a second rotation shaft for rotating the door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A rotation shaft switching unit capable of moving so as to rotatably fix the door to one of the first rotation shaft or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having a first gear on one side thereof; And
It is provided on the door and includes a pressing piece that is pressed by a user to move the rotating shaft switching unit,
The upper end of the door is provided with a depression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along the horizontal extension direction of the door,
The pressing piece is disposed in the depression and a first portion pressed by a user, a second portion extending below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portion, and a pivot provid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Has an ax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gear toot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so that the power due to the pressing of the first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gear tooth of the rotation shaft switch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의 제1부분이 가압될 때 상기 제2부분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1부분이 가압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first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is pressed, the free end of the second portion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ortion is pres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하측에 형성된 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수직 보;
상기 수직 보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보의 회전과 연동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수직 보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보의 회전과 연동되는 제2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기어이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vertical beam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a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epression and extends downward;
A first gear coupl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beam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eam;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ear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vertical beam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eam,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erein the second gear meshes with the first ge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전환부에 형성된 제1기어이 및 상기 제2기어는 랙과 피니언 형태(Rack Pinion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formed in the rotational shaft switching portion are of a rack and pinion ty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의 제1부분이 가압되면,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이는 상기 제1기어 및 상기 수직보를 회전시키고, 상기 수직보에 결합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회전축 전환부에 형성된 제1기어이와 맞물려서 상기 회전축 전환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first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is pressed, a second gear tooth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rotates the first gear and the vertical beam, and the second gear coupled to the vertical beam is the rotation shaft switching uni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the rotation axis switching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engaging with the first gear formed in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전환부는 도어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1전환부 및 도어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환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전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1기어이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편의 제1부분의 가압에 의한 동력은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이를 통해서 상기 제1전환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on axis switching unit includes a first switching unit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and a second switching unit movabl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oor,
A first gear toot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by pressing the first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witching unit through a second gear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은 상기 함몰부의 바닥 아래로부터 상기 도어의 이너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로부터 도어의 아우터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under the bottom of the depression toward the inner frame of the door,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door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outer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장부의 측면에 제2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gear tooth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하측에 형성된 홈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수직 보;
상기 수직 보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보의 회전과 연동되는 제1기어; 및
상기 수직 보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보의 회전과 연동되는 제2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제2기어이는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 vertical beam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a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epression and extends downward;
A first gear coupl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beam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eam;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ear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vertical beam and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beam,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erein a second gear tooth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meshes with the first gea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프레임과 상기 가압편의 제2부분 사이에 상기 제1전환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witch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frame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pressing 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전환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락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lock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rotation axis switching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전환부는 상기 도어의 너비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제1회전축에 연결하는 제1전환부, 및 상기 제1전환부의 일단에서 상기 도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도어를 상기 제2회전축에 연결하는 제2전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락은 상기 제1전환부와 상기 제2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rotation axis switching unit is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the first switching unit connecting the door to the first rotation axis,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oor at one end of the door It is provided to include a second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two rotation shaft,
The lock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ixing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환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거나 상기 제2전환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락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은 상기 도어가 상기 투입구를 개방하면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환부와 상기 제2전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 first fasten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which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switching unit or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so that the lock is detachably coupled; Including more,
When the door opens the inlet, the lock is coupled to one of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to fix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witch parts. Clothing treatment device made by.
KR1020140033179A 2014-03-21 2014-03-21 Laundry Treating Aparatus KR102201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179A KR102201741B1 (en) 2014-03-21 2014-03-21 Laundry Treating Aparatus
PCT/KR2015/002770 WO2015142122A1 (en) 2014-03-21 2015-03-20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5764928.6A EP3119935B1 (en) 2014-03-21 2015-03-20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5/119,342 US10119219B2 (en) 2014-03-21 2015-03-20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1580012672.7A CN106068343B (en) 2014-03-21 2015-03-20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179A KR102201741B1 (en) 2014-03-21 2014-03-21 Laundry Treating A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814A KR20150109814A (en) 2015-10-02
KR102201741B1 true KR102201741B1 (en) 2021-01-12

Family

ID=5434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179A KR102201741B1 (en) 2014-03-21 2014-03-21 Laundry Treating A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7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898B1 (en) 2016-09-23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85492B1 (en) 2016-09-23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85491B1 (en) 2016-09-23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94899B1 (en) 2016-09-23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208B1 (en) * 2011-12-21 201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814A (en)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741B1 (en) Laundry Treating Aparatus
EP311993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248938B1 (en) Door lock device of drum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216733B1 (en) Grip type handle for locking apparatus
EP2740830B1 (en)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KR10213953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ITRM20110118A1 (en) DOOR-LOCK DEVICE WITH PUSH-BUTTON OPENING.
KR101307136B1 (en) a handle apparatus for a sliding door
JP3664689B2 (en) Washing machine with door lock device
US11131463B2 (en) Oven with an internal water tank, in particular for humidified or steam cooking
KR10220174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20174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90368114A1 (en) Garment processing device
ITTO20070062U1 (en) DISPENSER DEVICE FOR A WASHING AND / OR RINSING AGENT, PARTICULARLY FOR A DISHWASHER MACHINE AND PROVIDED WITH A PERFECT MANUAL OPENING MECHANISM
KR101372269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943733B1 (en) Grip type locking device for sliding window
JP2009233215A (en) Electric washing machine
JP5957436B2 (en) Dishwasher
US10753131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JP2015195975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040098560A (en) Door opening or closing instrument and tableware washing device with the same
JP5656518B2 (en) Dishwasher
JP4349420B2 (en) dishwasher
KR200426484Y1 (en) Locking device for window
JP6755115B2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