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278B1 - Rechargeable battery - Google Patents

Rechargeable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278B1
KR102201278B1 KR1020160119098A KR20160119098A KR102201278B1 KR 102201278 B1 KR102201278 B1 KR 102201278B1 KR 1020160119098 A KR1020160119098 A KR 1020160119098A KR 20160119098 A KR20160119098 A KR 20160119098A KR 102201278 B1 KR102201278 B1 KR 102201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par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31136A (en
Inventor
권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9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278B1/en
Priority to PCT/KR2017/009662 priority patent/WO2018052209A1/en
Publication of KR20180031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1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2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이차 전지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며 벤트홀의 내부에 제1 벤트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와, 캡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제1 전극 단자와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와, 전극 조립체를 제1 전극 단자에 연결하는 제1 집전 탭과 전극 조립체를 제2 전극 단자에 연결하는 제2 집전 탭을 포함하는 리드 탭을 포함하고, 벤트홀을 덮으면서 저면은 제1 벤트와 이격되고 측면은 벤트홀의 내벽면과 이격되며 복수개의 스파크 홀이 형성된 제2 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A secondary battery is disclosed.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 case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plate coupled to an opening of the case and having a first vent formed in the vent hole, and installed on the cap plate, A lead tab including an electrode terminal including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a first current collecting tab connect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collecting tab connect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nd, while covering the vent hole, the bottom surface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nt, the side surface may include a second vent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ent hole, and a plurality of spark holes are formed.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Secondary battery {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스파크가 벤트홀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sparks are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a vent hole.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rechargeable battery is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Low-capacity secondary batteries are used in portable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 computers, and camcorders, and large-capacity batteries are widely used as power sources for driving motors such as hybrid vehicles.

대표적인 이차 전지에는 니켈 카드뮴(Ni-Cd)전지와 니켈 수소(Ni-MH)전지 및 리튬(Li) 전지와 리튬 이온(Li-ion) 이차 전지 등이 있다. 특히,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 카드뮴 전지나, 니켈 수소 전지보다 작동 전압이 약 3배나 높다. 또한,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Representative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Ni-Cd) batteries, nickel hydrogen (Ni-MH) batteries, lithium (Li) batteries, and lithium ion (Li-ion) secondary batteries. In particula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have an operating voltage that is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nickel cadmium batteries or nickel hydride batteries that are widely used as power sources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In addition, it is widely used in terms of high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이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The secondary battery mainly uses a lithium-based oxide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carbon material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general,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it is classified into a liquid electrolyte battery and a polymer electrolyte battery. A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is referred to as a lithium ion battery, and a battery using a polymer electrolyte is referred to as a lithium polymer battery.

이러한 이차 전지는 캡 플레이트에 벤트부가 형성되며, 셀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벤트부가 파단되어 캡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스파크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In such a secondary battery, a vent part is formed in the cap plate, an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ell increases, the vent part is broken and sparks are frequently generated outside the cap plate.

따라서, 이차 전지의 외부로 발생된 스파크에 의해 화재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safety accidents such as fire may occur due to sparks generated outside th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스파크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 향상 및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that improves durability and prevents safety accidents by preventing sparks from being emitt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며 벤트홀의 내부에 제1 벤트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와, 캡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제1 전극 단자와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와, 전극 조립체를 제1 전극 단자에 연결하는 제1 집전 탭과 전극 조립체를 제2 전극 단자에 연결하는 제2 집전 탭을 포함하는 리드 탭을 포함하고, 벤트홀을 덮으면서 저면은 제1 벤트와 이격되고 측면은 벤트홀의 내벽면과 이격되며 복수개의 스파크 홀이 형성된 제2 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 cas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a cap plate coupled to an opening of the case and having a first vent formed in the vent hole, and a cap An electrode terminal installed on the plate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a first collecting tab connect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collecting tab connect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 second vent including a lead tab and covering the vent hole, the bottom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nt, the side surface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ent hole, and a plurality of spark holes are formed.

제2 벤트는, 벤트홀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부로부터 절곡된 상태로 벤트홀의 내부로 연장되며 인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인입 공간의 내벽면으로 스파크 홀이 형성된 측부와, 측부에 연장되고 제1 벤트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는 저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vent includes a seating portion that is seated in the vent hole, and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vent hole in a state bent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a lead-i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 spark hole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ead-in space, and the side extends to the side. And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facing away from the first vent.

스파크 홀은 측부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서 마주한 상태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park holes may be formed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on the side.

스파크 홀은 측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park holes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portion.

저면부에는 제1 벤트로부터 방출되는 스파크를 스파크 홀 부분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park emitted from the first vent to the spark hol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가이드부는, 제2 벤트의 저면부에서 측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일 수 있다.The guide portion may be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in a lateral direction from a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vent.

가이드부는, 제2 벤트의 상기 저면부에서 상기 측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일 수 있다.The guide portion may be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side direction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vent.

가이드 홈은 저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uide grooves may be radially form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제1 벤트에서 발생된 스파크는 제2 벤트를 통과하여 스파크들이 서로간에 접촉 상쇄되는 바, 이차 전지의 외부로 스파크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rk generated in the first vent passes through the second vent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l pressure, so that the sparks contact and cancel each other,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spark from being generated outside the secondary battery. I ca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차 전지의 벤트홀에 제2 벤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차 전지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1 벤트와 제2 벤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이차 전지의 Ⅴ-Ⅴ 선을 잘라서 본 제1 벤트와 제2 벤트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벤트와 제2 벤트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벤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 taken along line II-II.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vent is installed in a vent hole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vent and the second vent are installed, cut along the line IV-IV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3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vent and the second vent are installed as viewed by cutting the line V-V.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in a state in which a first vent and a second vent are instal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vent is installe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의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제1 전극(11)과 제2 전극(12)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10)와, 전극 조립체(10)를 내장하는 케이스(15)와, 케이스(15)의 개구에 결합되며 벤트홀(10a)의 내부에 제1 벤트(41)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20)와, 캡 플레이트(20)에 설치되며 제1 전극 단자(21)와 제2 전극 단자(22)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21, 22)와, 전극 조립체(10)를 제1 전극 단자(21)에 연결하는 제1 집전 탭(51)과 전극 조립체(10)를 제2 전극 단자(22)에 연결하는 제2 집전 탭(52)을 포함하는 리드 탭(51, 52)을 포함한다.1 and 2, the secondary batter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0 including a first electrode 11 and a second electrode 12, A case 15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a cap plate 20 coupled to an opening of the case 15 and having a first vent 41 formed inside the vent hole 10a, and a cap plate 20 ) And connecting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2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2,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 And lead tabs 51 and 52 including a second current collecting tab 52 connecting the tab 51 and the electrode assembly 10 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2.

전극 조립체(10)는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의 양면에 제1 전극(이하, "음극"이라 한다)(11)과 제2 전극(이하, "양극"이라 한다)(12)을 배치하고, 음극(11), 세퍼레이터(13) 및 양극(12)을 젤리롤 상태로 귄취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the electrode assembly 10, a first electr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thode”) 11 and a second electr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ositive electrode”) 12 are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separator 13 as an insulator, It may be formed by winding the negative electrode 11, the separator 13, and the positive electrode 12 in a jelly roll state.

음극(11) 및 양극(12)은, 각각 금속판의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11a, 12a), 및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서 노출된 집전체로 형성되는 무지부(11b, 12b)를 포함한다.The negative electrode 11 and the positive electrode 12 include coating portions 11a and 12a coated with an active material on a current collector of a metal plate, and uncoated portions 11b and 12b formed of a current collector exposed without applying an active material. Include.

음극(11)의 무지부(11b)는 권취되는 음극(11)을 따라 음극(11)의 한 쪽 단부에 형성된다. 양극(12)의 무지부(12b)는 권취되는 양극(12)을 따라 양극(12)의 한 쪽 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무지부들(11b, 12b)은 전극 조립체(1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The uncoated portion 11b of the cathode 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athode 11 along the cathode 11 to be wound. The uncoated portion 12b of the anode 1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anode 12 along the anode 12 to be wound. Accordingly, the uncoated portions 11b and 12b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respectively.

예를 들면, 케이스(15)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10)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설정하도록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를 직육면체의 일면에 형성한다. 개구는 전극 조립체(10)를 케이스(15)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한다.For example, the case 15 is mad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o as to establis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electrolyte therein, and an opening connect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spaces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opening allows the electrode assembly 10 to be inserted into the case 15.

캡 플레이트(20)는 케이스(15)의 개구에 설치됨으로써 케이스(15)를 밀폐한다. 예를 들면, 케이스(15)와 캡 플레이트(2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서로 용접될 수 있다. The cap plate 20 seals the case 15 by being installed in the opening of the case 15. For example, the case 15 and the cap plate 20 are formed of aluminum and may be welded to each other.

또한, 캡 플레이트(20)는 전해액 주입구(29)와 벤트홀(20a) 및 단자홀을 구비한다. 전해액 주입구(29)는 케이스(15)에 캡 플레이트(20)를 결합한 후, 케이스(15)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게 한다. 전해액 주입 후, 전해액 주입구(29)는 밀봉 마개(27)로 밀봉된다. 벤트홀(20a)에는 제1 벤트(41)가 이차 전지(100)의 내부 압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cap plate 20 includes an electrolyte injection port 29, a vent hole 20a, and a terminal hole.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29 allows the electrolyte to be injected into the case 15 after the cap plate 20 is coupled to the case 15. After injection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injection port 29 is sealed with a sealing stopper 27. The first vent 41 is formed in the vent hole 20a to discharg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100.

한편, 전극 단자(21, 22)는 제1 전극 단자(21)와 제2 전극 단자(22)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캡 플레이트(20)에 설치되고 전극 조립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전극 단자(21)는 음극 단자 이고, 제2 전극 단자(22)는 양극 단자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electrode terminals 21 and 22 are composed of a first electrode terminal 21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22, are installed on the cap plate 2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0. Here,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21 is a negativ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22 is composed of a positive terminal.

음극 단자(21)는 전극 조립체(10)의 음극(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극 단자(22)는 캡 플레이트(20)에 용접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에 제2 집전 탭(52)을 통해 연결된다.The negative terminal 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11 of the electrode assembly 10, and the positive terminal 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p plate 20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tab 52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

음극 단자(21)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극 단자(21)는 단자홀을 통과하며 일단은 제1 집전 탭(51)에 연결되고 타단은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When the negative terminal 21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negative terminal 21 passes through a terminal ho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urrent collecting tab 51 and the other end may protrude outside the cap plate 20.

양극 단자(22)는 단자홀을 통과하여 일단은 제2 집전 탭(52)에 연결되고 타단은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positive terminal 22 may pass through the terminal hole and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current collecting tab 52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outward of the cap plate 20.

도 3은 도 1의 이차 전지의 벤트홀에 제2 벤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차 전지의 Ⅳ-Ⅳ 선을 따라 잘라서 본 제1 벤트와 제2 벤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이차 전지의 Ⅴ-Ⅴ 선을 잘라서 본 제1 벤트와 제2 벤트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vent is installed in the vent hole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 and FIG. 4 is a first vent and a second vent cut along line IV-IV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3. It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nt is installed,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3 in a state where the first vent and the second vent are installed, as viewed by cutting the line V-V.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홀(10a)에는 제1 벤트(41)의 상측으로 제2 벤트(4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3 to 5, a second vent 40 is installed above the first vent 41 in the vent hole 10a.

제2 벤트(40)는 제1 벤트(41)로부터 발생되는 스파크(41a)가 굴곡된 경로를 형성하면서 배출되도록 하여, 스파크가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발산되지 않도록 감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vent 40 is intended to be attenuated so that the sparks 41a generated from the first vents 41 are discharged while forming a curved path, so that the sparks are not 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cap plate 20.

이러한 제2 벤트(40)는, 벤트홀(10a)에 안착되는 안착부(42)와, 안착부(42)로부터 절곡된 상태로 벤트홀(10a)의 내부로 연장되며 스파크 홀(44a)이 형성된 측부(44)와, 측부(44)에 연장되고 제1 벤트(4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는 저면부(4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vent 40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vent hole 10a in a state bent from the seating portion 42 seated in the vent hole 10a and the seating portion 42, and the spark hole 44a is It may include a formed side portion 44 and a bottom portion 46 extending to the side portion 44 and facing away from the first vent 41.

안착부(42)는 벤트홀(10a)의 개구된 위치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벤트홀(10a)이 형성된 부분의 캡 플레이트(2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eating portion 42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opened position of the vent hole 10a, and may be fixed to the cap plate 20 in the portion where the vent hole 10a is formed.

즉, 안착부(42)는 벤트홀(10a)의 개구된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단차부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42)에는 벤트홀(10a)의 내부 방향으로 측부(44)가 연장될 수 있다.That is, the seating portion 42 may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stepped portion formed at the opened edge portion of the vent hole 10a. The side portion 44 may exten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vent hole 10a in the seating portion 42.

측부(44)는 일측은 안착부(42)에 연결되고 타측은 벤트홀(10a)의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측부(44)는 벤트홀(10a)의 내벽면과 이격된 상태로 제1 벤트(4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side portion 44 is connected to the seating portion 42 and the other side extend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vent hole 10a. The side portion 44 may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vent 4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ent hole 10a.

이와 같이, 측부(44)가 벤트홀(10a)의 내벽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은 제1 벤트(41)에서 발생된 스파크(41a)가 측부(44)와 벤트홀(10a)의 내벽면의 사이 부분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way, the side portion 44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ent hole 10a. The spark 41a generated in the first vent 41 is a portion between the side portion 44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ent hole 10a. It is to make it flow into.

측부(44)에는 제1 벤트(41)의 파단에 의해 발생된 스파크(41a)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스파크 홀(44a)이 형성된다. The side portion 44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park holes 44a through which the sparks 41a generated by the breakage of the first vent 41 are discharged.

측부(44)에는 인입 공간이 형성되는 바, 스파크 홀(44a)은 인입 공간의 내벽면에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lead-in space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44, and the spark hole 44a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ead-in space.

이와 같이, 스파크 홀(44a)이 측부(44)에 형성되는 것은, 제1 벤트(41)에서 발생된 스파크(41a)가 스파크 홀(44a)을 통과하면서 상쇄되도록 하여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으로 스파크(41a)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is way, the spark hole 44a is formed on the side portion 44 so that the spark 41a generated in the first vent 41 is cance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rk hole 44a, so that the outer side of the cap plate 20 This is to prevent the spark (41a) from being discharg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스파크 홀(44a)은 측부(44)의 인입 공간의 내벽면에서 서로간에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spark holes 44a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ead-in space of the side portion 44.

이러한 스파크 홀(44a)은 측부(44)의 대향하는 양측에서 복수개가 복수개의 행과 열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스파크 홀(44a)은 원통형으로 개구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 형상으로 개구되는 것도 가능하다.A plurality of spark holes 44a may b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side portion 44 to form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The spark hole 44a is exemplarily described to be open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opened in a polygonal shape.

이와 같이, 스파크 홀(44a)이 인입 공간의 내벽면에 마주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바, 제1 벤트(41)에서 발생된 스파크는 마주하는 스파크 홀(44a)을 각각 통과하여 인입 공간의 내부에서 접촉하여 상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스파크는 제2 벤트(40)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인입 공간의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감쇄 또는 소멸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spark hole 44a is formed through the state fac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ead-in space, and the sparks generated from the first vent 41 pass through the facing spark hole 44a, respectively, in the interior of the lead-in space. It is possible to cancel by contact. Accordingly, the spark may not be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vent 40 and may be effectively attenuated or extinguished within the lead-in space.

스파크 홀(44a)은 본 실시예에서 마주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벤트(40)의 측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park hole 44a is exemplarily described to be formed on each side facing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of the second vent 40.

저면부(4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벤트(41)와 이격된 상태로 벤트홀(10a)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벤트(41)에서 방출된 스파크는 저면부(46)에 최초 접촉된 상태에서 측부(44)와 벤트홀(10a)의 내벽면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portion 46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vent hole 10a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nt 41. Accordingly, the spark emitted from the first vent 41 may be moved to a space between the side portion 44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vent hole 10a in a state of first contacting the bottom portion 46.

저면부(46)는 본 실시예에서 편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벤트(41)로부터 발생된 스파크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표면의 일부분 또는 전체가 일정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bottom surface 46 is illustratively described to be formed as a flat surface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part or the whole of the surface to induce the movement of the spark generated from the first vent 41 It is also possible to transform into a certain shap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는,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제1 벤트(41)의 파단이 발생되어 스파크가 방출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ary battery increases, the first vent 41 is ruptured and sparks are emitted.

그리고, 제1 벤트(41)로부터 방출된 스파크는 제2 벤트(40)의 저면으로부터 측부(44)로 경로가 변경되면서 이동되어 측부(44)에 형성된 스파크 홀(44a)을 통해 제2 벤트(40)의 인입 공간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ark emitted from the first vent 41 is moved while the path is chang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ent 40 to the side 44, and through the spark hole 44a formed in the side 44, the second vent ( 40) can be moved to the interior of the entrance space.

이와 같이, 제1 벤트(41)에서 발생된 스파크(41a)는 굴곡된 경로를 통해 제2 벤트(40)의 스파크 홀(44a)을 통해 인입 공간으로 방출되는 바, 인입 공간의 내부에서 스파크들이 서로간에 접촉하여 효과적인 상쇄 작용이 발생되어 폭발 안전 사고 발생의 위험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sparks 41a generated from the first vent 41 are discharged into the lead-in space through the spark hole 44a of the second vent 40 through a curved pat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occurrence of an explosion safety accident by contacting each other and causing an effective offset.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벤트와 제2 벤트가 설치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in a state in which a first vent and a second vent are instal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5 denote the same or similar members of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2 벤트(40)에 제1 벤트(41)로부터 방출된 스파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7)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6, in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part 147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park emitted from the first vent 41 is formed in the second vent 40 do.

가이드부(147)는 제2 벤트(40)의 저면(146)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벤트(41)로부터 방출된 스파크는 가이드부(147)의 경사면을 따라 측부(44)에 형성된 스파크 홀(44a) 부분으로 가이드되어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guide part 147 may be applied 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146 of the second vent 40. Accordingly, the spark discharged from the first vent 41 may be guided to the spark hole 44a formed in the side 44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part 147 to be effectively moved.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벤트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vent is installe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6 denote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가이드부(247)는 제2 벤트(40)의 저면(246)에 가이드 홈(247)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가이드 홈과 가이드부는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As shown in FIG. 7, the guide part 247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a guide groove 247 in the bottom surface 246 of the second vent 40. Hereinafter,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ortion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가이드 홈(247)은 제2 벤트(40)의 저면부(46)의 중심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벤트(41)에서 방출된 스파크는 가이드 홈(247)에 의해 스파크 홀(44a)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247 may be radially forme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46 of the second vent 40 to the edge direction. Accordingly, the spark emitted from the first vent 41 can be effectively guided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park hole 44a by the guide groove 247.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10...전극 조립체 11...제1 전극
12...제2 전극 20...캡 플레이트
20a..벤트홀 21...제1 전극 단자
22...제2 전극 단자 27...밀봉마개
29..전해액 주입구 40...제2 벤트
40a..스파크 홀 41...제1 벤트
42...안착부 44...측부
46...저면부 147, 247.. 가이드부
10...electrode assembly 11...first electrode
12...second electrode 20...cap plate
20a..vent hole 21...first electrode terminal
22...second electrode terminal 27...sealing plug
29..Electrolyte injection port 40...2nd vent
40a..spark hall 41...first vent
42...Seat 44...Side
46...Bottom part 147, 247.. Guide part

Claims (8)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며 벤트홀의 내부에 제1 벤트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제1 전극 단자와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상기 제1 전극 단자에 연결하는 제1 집전 탭과 상기 전극 조립체를 상기 제2 전극 단자에 연결하는 제2 집전 탭을 포함하는 리드 탭;
을 포함하고,
상기 벤트홀을 덮으면서 저면은 상기 제1 벤트와 이격되고, 측면은 상기 벤트홀의 내벽면과 이격되며 복수개의 스파크 홀이 형성된 제2 벤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 case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 cap plate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case and having a first vent formed in the vent hole;
An electrode terminal installed on the cap plate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And
A lead tab including a first current collecting tab connect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current collecting tab connecting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second vent having a bottom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nt while covering the vent hole, a side surface spaced apart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vent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spark holes form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는,
상기 벤트홀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절곡된 상태로 상기 벤트홀의 내부로 연장되며 인입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인입 공간의 내벽면으로 상기 스파크 홀이 형성된 측부; 및
상기 측부에 연장되고 상기 제1 벤트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는 저면부;
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vent,
A seating portion seated in the vent hole;
A side portion bent from the seating portion and extending into the vent hole, a lead-in space formed therein, and a spark hole formed as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lead-in space; And
A bottom part extending to the side and facing away from the first vent;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크 홀은 상기 측부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서 마주한 상태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ary battery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rk holes facing each other in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on the 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크 홀은 상기 측부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ary battery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rk hol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에는 상기 제1 벤트로부터 방출되는 스파크를 상기 스파크 홀 부분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2,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spark emitted from the first vent to the spark hole portion on the bottom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벤트의 상기 저면부에서 상기 측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인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part,
A secondary battery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vent toward the s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벤트의 상기 저면부에서 상기 측부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인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5,
The guide part,
A secondary battery that is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side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v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저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ary battery has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radial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KR1020160119098A 2016-09-19 2016-09-19 Rechargeable battery KR1022012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98A KR102201278B1 (en) 2016-09-19 2016-09-19 Rechargeable battery
PCT/KR2017/009662 WO2018052209A1 (en) 2016-09-19 2017-09-04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098A KR102201278B1 (en) 2016-09-19 2016-09-19 Rechargeable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136A KR20180031136A (en) 2018-03-28
KR102201278B1 true KR102201278B1 (en) 2021-01-08

Family

ID=6161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098A KR102201278B1 (en) 2016-09-19 2016-09-19 Rechargeable batter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1278B1 (en)
WO (1) WO201805220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783A1 (en)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8890A (en) * 2022-04-18 2023-10-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smatic secondary battery
EP4318739A1 (en) * 2022-04-18 2024-02-07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9156A1 (en) 2009-07-09 2010-11-04 Yong-Sam Kim Rechargeable battery
KR101155887B1 (en) 2010-02-25 2012-06-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JP2015023025A (en) 2013-07-19 2015-02-02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Ltd.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362B1 (en) * 2007-03-15 2008-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otection circuit board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20090081175A (en) * 2008-01-23 2009-07-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KR101502162B1 (en) * 2008-04-18 2015-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KR101863091B1 (en) * 2011-11-24 2018-06-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econdary batte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9156A1 (en) 2009-07-09 2010-11-04 Yong-Sam Kim Rechargeable battery
KR101155887B1 (en) 2010-02-25 2012-06-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JP2015023025A (en) 2013-07-19 2015-02-02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Ltd. Secondary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783A1 (en)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136A (en) 2018-03-28
WO2018052209A1 (en)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306B1 (en) Secondary Battery
KR102397857B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US9478789B2 (en) Rechargeable battery
US10910626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bottom retainer
KR102279223B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protection tape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hereof
KR20140119615A (en)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EP3799198A1 (en) Secondary battery
KR102201278B1 (en) Rechargeable battery
US9559341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vent unit at a joint in a cap plate
US10431845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119049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insulation case
US9698407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50115558A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KR102235283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insulatiing member
KR102281736B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50102631A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op insulation member
US20150349317A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50115510A (en) Secondary battery
US10651454B2 (en) Rechargeable battery
US9887394B2 (en)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fluorescent coating layer
KR102164010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571183B1 (en) Rechargeable battery
US20230238503A1 (en) Secondary battery
KR102612061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663724B1 (en) Rechargeabl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