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947B1 - 컵 세척도구 - Google Patents

컵 세척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947B1
KR102199947B1 KR1020180082430A KR20180082430A KR102199947B1 KR 102199947 B1 KR102199947 B1 KR 102199947B1 KR 1020180082430 A KR1020180082430 A KR 1020180082430A KR 20180082430 A KR20180082430 A KR 20180082430A KR 102199947 B1 KR102199947 B1 KR 10219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washing
cleaning
cleaning too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371A (ko
Inventor
정순우
Original Assignee
정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우 filed Critical 정순우
Priority to KR102018008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9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컵 세척도구가 제공된다. 상기 컵 세척도구는 컵의 바닥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바닥 세척 몸체, 상기 바닥 세척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되, 컵의 내면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내면 세척 몸체, 및 컵의 외면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외면 세척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컵 세척도구{Cup Cleaning Tool}
본 발명은 컵 세척도구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면 세척이 가능한 컵 세척도구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깊이가 깊지 않은 컵, 그릇 및 용기는 설거지용 행주나 수세미 등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지만, 깊이가 깊은 컵, 용기는 특히 최근에는 환경 문제로 인해 일회용 컵의 사용보다는 개인컵 특히 텀블러(tumbler)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상기 텀블러는 키가 크고 높은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텀블러 등을 세척하기 위한 도구가 요구된다.
종래의 세척용 도구는 세척솔 또는 스펀지 형태의 수세미를 결합한 세척솔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세척솔 또는 수세미는 사용 후 별도로 세척해야 되고, 주기적으로 건조해야 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실제로 미국위생재단(National Sanitation Foundation)의 한 연구에 따르면 관리가 부주의한 세척솔의 경우 대장균 박체리아로 오염되어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 식인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캄필로박터(Campylobacter)균이 다수 발견되었다는 것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다수의 인원이 공동으로 생활하는 공간에서는 상기 세척솔의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고, 다수가 빈번히 사용함으로 충분히 건조하는것도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다수가 생활하는 공간에서 세척솔이 오염될경우 다수의 인원이 질병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 이러한 이유로 관리가 용이한 컵 세척도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세척이 용이한 컵 세척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컵 세척도구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컵 세척도구 일 면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컵 세척도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컵 세척도구는 컵의 바닥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바닥 세척 몸체, 상기 바닥 세척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되, 컵의 내면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내면 세척 몸체, 및 컵의 외면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외면 세척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컵 세척도구는 상면 세척 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면 세척 몸체는 상기 내면 세척 몸체와 상기 외면 세척 몸체를 연결하며, 컵의 상면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르면,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와 상기 상면 세척 몸체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손잡이와 상기 상면 세척 몸체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 조절부의 외면에는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 세척 몸체의 일 측에는 제2 결합부재 형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의 제1 결합부재가 상기 상면 세척 몸체의 제2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와 상기 상면 세척 몸체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컵 세척도구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길이 조절부가 노출되는 노출홈이 마련된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컵 세척도구의 보관 시, 상기 손잡이가 상기 길이 조절부에 의하여 상기 덮개와 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컵 세척도구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의 일 면에는 상기 바닥 세척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거치홈이 마련되고, 상기 바닥 세척 몸체가 상기 거치홈에 끼움 고정된 경우, 상기 손잡이에 컵이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컵 세척도구는 컵의 바닥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바닥 세척 몸체, 상기 바닥 세척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되, 컵의 내면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내면 세척 몸체, 및 컵의 외면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외면 세척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도구는 세척솔 또는 스펀지가 포함되지 않은 세척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생적으로 컵을 사용할 수 있으며, 컵 사용자가 질병에 노출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컵 세척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컵 세척도구로 컵의 내면을 세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컵 세척도구로 컵의 외면 및 상면을 세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c는 컵 세척도구로 컵의 바닥 및 내면을 세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포함한 컵 세척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컵 세척도구의 채결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 세척도구와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컵 세척도구에 컵을 거치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컵의 일 면을 세척하는 컵 세척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컵 세척도구는 바닥 세척 몸체, 내면 세척 몸체, 외면 세척 몸체 및 상면 세척 몸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컵의 바닥, 내면, 외면 상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을 마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컵 일 면상에 위치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컵 세척도구는 내부에 상기 컵 세척도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닥 세척 몸체, 내면 세척 몸체, 상면 세척 몸체 및 외면 세척 몸체가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는 덮개가 제공되며, 상기 덮개의 일 면에는 노출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노출홈을 통해, 상기 컵 세척도구의 길이 조절부 및 손잡이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컵 세척도구는 상기 컵 세척도구 중 컵의 일 면을 세척하는 세척면을 외부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컵 세척도구는 상기 손잡이가 상기 덮개와 접하도록 상기 길이 조절부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컵 세척도구는 상기 덮개를 고정하여 상기 하우징의 이동성과 보관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컵 세척도구는 상기 컵 세척도구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대의 일 면에 거치홈을 마련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홈을 통하여 상기 컵 세척도구의 상기 바닥 세척 몸체를 끼움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거치대는 상기 컵 세척도구를 지면에 대해 기립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세척도구가 상기 거치홈에 끼움 고정된 경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컵의 일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컵 세척도구는 상기 컵을 추가로 거치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컵 세척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컵 세척도구(100)는 바닥 세척 몸체(110), 내면 세척 몸체(120), 상면 세척 몸체(130), 내면 세척 몸체(140), 길이 조절부(150), 및 손잡이(16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는 소정의 부피를 가지며, 컵(C)의 바닥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는 플레이트, 원기둥, 삼각기둥, 부채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는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컵(C)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는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의 일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가 연장되는 방향을 +Z 축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기 Z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각각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는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컵(C)의 상면을 세척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는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의 일 끝단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는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외면 세척 몸체(140)는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컵(C)의 외면을 세척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면 세척 몸체(140)는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의 일 끝단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외면 세척 몸체(140)는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에는 게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 내면 세척 몸체(120), 상면 세척 몸체(130) 및 외면 세척 몸체(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일 면에 미세한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컵(C)의 일 면과 면접촉 하여 상기 컵(C)의 일 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는 바둑판, 마름모,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150)는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되며, 후술할 손잡이(160)와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 조절부(150)는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의 일 측에서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길이 조절부(150)의 일 상면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160)는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길이 조절부(150)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 또는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길이 조절부(150)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길이 조절부(150)의 외면에는 제1 결합부재(150a)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의 일 측에는 제2 결합부제(13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150a)와 상기 제2 결합부재(130a)는 나사결합, 지퍼(zipper)결합, 요철결합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나사결합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부재 (150a)와 제2 결합부재(130a)중 어느 하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과 상기 길이 조절부(150)는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길이 조절부(150)는 상기 상면 세척 몸체(130)와 상기 손잡이(160)와의 간격(l)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컵 세척도구(1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PE(폴리 에틸렌-Polyethylene), PS(폴리 스틸렌-Polystyrene), PP(폴리 프로필렌-Polypropylene), PU(폴리우레탄-polyurethane)등의 고분자 합성 수지 또는 구리, 은, 금, 철,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금속재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실리콘 또는 유리로도 제작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는 형상 및 길이의 변경이 가능한 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는 상기한 합성 수지에 네오프렌 고무(NR),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 부타디엔고무(BR), 클로로프렌고무(CR)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혼합한 탄성중합체를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 세척도구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상기 컵 세척도구를 사용한 컵 세척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3a는 컵 세척도구로 컵의 내면을 세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컵 세척도구로 컵의 외면 및 상면을 세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c는 컵 세척도구로 컵의 바닥 및 내면을 세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컵(C)의 내면을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컵 세척도구(100)의 내면 세척 몸체(120)는 상기 컵(C)의 내면을 마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컵(C) 내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상기 컵 세척도구를 스폰지 혹은 브러쉬를 포함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스폰지 혹은 브러쉬부에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폰지 혹은 브러쉬의 세척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스폰지 혹은 브러쉬부에 세균 등 다수에 오염원들이 번식할 수 있으며,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인원이 공동으로 생활하는 경우, 상기 세척도구의 관리가 소홀해 지기 쉬우며, 이 경우 상기 세척도구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제작하고, 스폰지 혹은 브러쉬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개시된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기존의 세척도구와 달리 손쉽게 세척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관리 소홀로 인하여 세척도구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인원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에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컵(C)의 두 면 이상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가 상기 컵(C) 내면을 마찰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때, 상기 상면 세척 몸체(150)가 상기 컵(C)의 상면을 마찰하여, 상기 컵(C)의 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면 세척 몸체(140)가 상기 컵(C)의 외면을 마찰하여, 상기 컵(C)의 외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 외면 세척 몸체(140), 상면 세척 몸체(150)를 동시에 마찰하여 상기 컵(C)의 세 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컵(C)의 상면을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컵 세척도구(100)의 상면 세척 몸체(130)는 상기 컵(C)의 상면을 마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컵(C) 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 3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b에도 상기 컵(C)의 2면 이상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컵(C)의 바닥 또는 내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을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컵 세척도구(100)의 바닥 세척 몸체(110)는 상기 컵(C)의 바닥을 마찰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컵 세척도구(100)의 외면 세척 몸체(140)는 상기 컵(C)의 내면을 마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컵(C) 바닥 또는 내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컵(C)의 깊이가 다른 경우, 상기 길이 조절부(150)을 조절하여 상기 컵 세척도구(100)의 길이를 연장, 혹은 축소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컵(C)의 깊이가 상기 컵 세척도구(100)의 길이 보다 깊어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가 상기 컵(C)의 바닥에 닫지 않는 경우, 상기 길이 조절부(150)를 연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는 상기 컵(C) 바닥을 세척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컵(C)의 깊이가 상기 컵 세척도구(100)의 길이 보다 얕은 경우, 상기 길이 조절부(150)을 축소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면에 게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컵 세척도구(100) 중 의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는 형상 및 길이의 변경이 가능한 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의 길이가 상기 컵(C)의 높이 보다 낮은 경우,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를 연장하여 세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가 상기 컵의 높이 보다 낮은 경우에도, 상기 컵(C)의 2면 이상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을 포함한 컵 세척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과 컵 세척도구의 채결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컵 세척도구(100)가 수용되는 하우징(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하우징 몸체부(210)와 하우징 덮개(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몸체부(210)는 소정의 부피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컵 세척도구(100)를 수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 몸체부(2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Z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하우징 몸체부(21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 몸체부(210)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내면 세척 몸체(120)의 길이보다 같거나 클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덮개(230)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일 측에 노출홈(H)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덮개(230)는 상기 하우징 몸체부(210)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부(210) 상단을 개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컵 세척도구(100)를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하우징 몸체부(210)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에 바닥 세척 몸체(110), 내면 세척 몸체(120), 상면 세척 몸체(130) 및 외면 세척 몸체(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납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길이 조절부(150) 및 손잡이(160)는 상기 하우징 덮개(230)의 일 측에 마련된 노출홈(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컵 바닥 세척 몸체(110), 내면 세척 몸체(120), 상면 세척 몸체(130) 및 외면 세척 몸체(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 오염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00)이 상기 컵 세척도구(100)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하우징 덮개(2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손잡이(160)가 상기 하우징 덮개(230)와 접하도록 상기 길이 조절부(150)의 간격(l)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상기 길이 조절부(150)의 간격을 조절하지 못하면, 상기 길이 조절부의 수납이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길이 조절부(150) 및 손잡이(160)까지 수납할 경우, 상기 컵 세척도구(100)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의 크기가 증가하여만 하고, 상기의 이유로 인해, 상기 하우징(200)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증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우징(200)이 본 실시 예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컵 세척도구(100)를 수납하는 경우, 상기 길이 조절부(150) 또는 상기 손잡이(160)중 어느 하나 이상이 외부의 물체와 충돌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길이 조절부(15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길이 조절부(150) 또는 상기 손잡이(160)의 불필요한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160)의 일 면이 상기 하우징 덮개(230)의 일 면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하우징(200)의 밀봉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컵 세척도구와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컵 세척도구에 컵을 거치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상기 컵 세척도구(100)를 거치하는 거치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300)는 플레이트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거치대(300)는 소정의 바닥면이 마련되며, 상기 바닥면으로 인해 평평한 일 면에 안정하게 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300)는 일 면에 거치홈(300H)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홈(300H)은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의 적어도 일부를 끼움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홈(300H)은 상기 컵 세척도구(100)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기립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의 밑면 또는 측면을 끼움 고정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컵 세척도구(100)가 상기 거치대(300)에 거치된 경우, 다시 말해, 상기 바닥 세척 몸체(110)가 상기 거치홈(300H)에 끼움 고정된 경우, 상기 손잡이(160)에 컵(C)이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160) 상면이 상기 컵(C)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컵의 상면이 바닥 방향을 향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컵(C)의 상부는 -Z축 방향을 향하도록 뒤집힌 상태로 상기 컵 세척도구(100)에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컵(C), 컵 세척도구(100), 및 지지대(300)는 -Z축 방향으로 순서대로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컵 세척도구(100)는 주방, 욕실, 및 공용 화장실 등 상기 컵 세척도구(100)를 사용하는 일체의 장소에서 컵(C)을 세척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할 뿐 만 아니라 컵 거치대로도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컵 거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 또는 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컵 세척도구
110: 바닥 세척 몸체
120: 내면 세척 몸체
130: 상면 세척 몸체
140: 내면 세척 몸체
150: 길이 조절부
160: 손잡이
200: 하우징
300: 거치대

Claims (6)

  1. 컵의 바닥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바닥 세척 몸체;
    상기 바닥 세척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되, 컵의 내면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내면 세척 몸체;
    상기 내면 세척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되, 컵의 상면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상면 세척 몸체;
    상기 상면 세척 몸체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되되, 컵의 외면을 세척하는 일 면을 가지는 외면 세척 몸체;
    상기 바닥 세척 몸체, 상기 내면 세척 몸체, 상기 상면 세척 몸체, 및 상기 외면 세척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컵을 세척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와 상기 상면 세척 몸체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손잡이와 상기 상면 세척 몸체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는 길이 조절부;
    상기 바닥 세척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거치대; 및
    상기 바닥 세척 몸체, 상기 내면 세척 몸체, 상기 상면 세척 몸체, 및 상기 외면 세척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상기 손잡이 또는 상기 길이 조절부는 외부로 노출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대의 일 면에는 상기 바닥 세척 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거치홈이 마련되고,
    상기 바닥 세척 몸체가 상기 거치홈에 끼움 고정된 경우, 상기 손잡이에 컵이 거치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길이 조절부가 노출되는 노출홈이 마련된 덮개를 포함하며,
    보관 시, 상기 손잡이가 상기 길이 조절부에 의하여 상기 덮개와 접하는 컵 세척도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세척 몸체는 상기 내면 세척 몸체와 상기 외면 세척 몸체를 연결하는, 컵 세척도구.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의 외면에는 제1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 세척 몸체의 일 측에는 제2 결합부재 형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의 제1 결합부재가 상기 상면 세척 몸체의 제2 결합부재에 결합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와 상기 상면 세척 몸체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컵 세척도구.
  5. 삭제
  6. 삭제
KR1020180082430A 2018-07-16 2018-07-16 컵 세척도구 KR102199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30A KR102199947B1 (ko) 2018-07-16 2018-07-16 컵 세척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430A KR102199947B1 (ko) 2018-07-16 2018-07-16 컵 세척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371A KR20200008371A (ko) 2020-01-28
KR102199947B1 true KR102199947B1 (ko) 2021-01-08

Family

ID=6937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430A KR102199947B1 (ko) 2018-07-16 2018-07-16 컵 세척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9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668Y1 (ko) * 2003-10-29 2004-01-16 백남수 식기 세척 장치
KR100685173B1 (ko) * 2001-02-07 2007-02-22 이상웅 젖병세척용 실리콘 세척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663U (ja) * 1992-06-30 1994-06-28 純良 磯部 洗浄用具
KR950002463B1 (ko) * 1993-07-03 1995-03-20 신석균 컵 건조 걸이대
KR101383578B1 (ko) * 2012-07-30 2014-04-09 최명귀 세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173B1 (ko) * 2001-02-07 2007-02-22 이상웅 젖병세척용 실리콘 세척솔
KR200338668Y1 (ko) * 2003-10-29 2004-01-16 백남수 식기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371A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7521B2 (en) Implement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83042Y1 (ko) 화장용 브러시 세척키트
US20110253180A1 (en) Toilet plunger cleaning receptacle
KR102199947B1 (ko) 컵 세척도구
US6804839B1 (en) Combination toilet brush/plunger apparatus
KR20110000730U (ko) 누름회전 설거지 브러시
KR101089800B1 (ko) 세척용 브러시
KR200480774Y1 (ko) 신발 소제기구
KR101135028B1 (ko) 몹과 세탁탈수통 조립체
KR100732570B1 (ko) 유리창 닦는 장치
KR200383513Y1 (ko) 핸디형 다목적 초음파 세정기
CN212939620U (zh) 一种免手洗盆和免手洗清洁套件
US20090260998A1 (en) Toilet plunger cleaning receptacle
US8122852B2 (en) Pet paw washer
KR200485093Y1 (ko) 변기청소기
KR200333018Y1 (ko) 자동세척기
KR20180021600A (ko) 봉투 거치대
KR102339299B1 (ko) 다기능 걸레장치
CN211093304U (zh) 一种新型有机硅涂层不粘锅
KR20110009486U (ko) 변기 세척 브러쉬
KR20180003517U (ko) 화장 브러시의 세척과 건조가 동시에 가능한 기계
KR102146160B1 (ko) 지지대가 구비된 화장용 브러시
KR200489025Y1 (ko) 변기용 청소용구
KR20170017310A (ko) 벽걸이형 타일 청결구
KR20090008690U (ko) 흡착 고무를 겸비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