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605B1 - 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605B1
KR102197605B1 KR1020190154566A KR20190154566A KR102197605B1 KR 102197605 B1 KR102197605 B1 KR 102197605B1 KR 1020190154566 A KR1020190154566 A KR 1020190154566A KR 20190154566 A KR20190154566 A KR 20190154566A KR 102197605 B1 KR102197605 B1 KR 10219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layer
weight
reinforcement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용
조민수
Original Assignee
(주)캐어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캐어콘 filed Critical (주)캐어콘
Priority to KR102019015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1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preformed sheet-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 E04C5/073Discrete reinforcing elements, e.g.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32B2262/0269Aromatic 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8Rockwoo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섬유 보강재는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보강섬유(11), 현무암 섬유(12) 이거나 현무암 섬유(12)와 유리섬유 또는 현무암 섬유(12)와 PET 섬유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주 섬유(13)를 포함하되, 보강섬유(11)와 주 섬유(13)가 1 : 1 ~ 2 : 10 의 체적 비율로 나란히 배열된 제1레이어(100); 제1레이어(1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제1레이어(100)의 섬유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현무암 섬유(12),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2레이어(200); 제2레이어(2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제1레이어(100)에 배열된 섬유에 30 ~ 60°의 기울기를 같도록 현무암 섬유(12),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3레이어(300); 제3레이어(3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제1레이어(100)에 배열된 섬유에 -30 ~ -60°의 기울기를 같도록 현무암 섬유(12),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4레이어(4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원발명의 섬유 보강재는 4개층의 레이어로 제작되는 시트 보강재로서, 제1레이어에는 현무암 섬유(12)와 보강섬유(11)가 혼합된다. 제2레이어, 제3레이어, 제4레이어는 제1레이어의 섬유 배열 방향과 각각 직교방향, 30 ~ 60°의 경사방향, -30 ~ -60°의 경사방향으로 배열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와 같은 레이어의 배열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섬유 보강재는 단일 섬유로 형성된 보강재보다 변형율이 우수하고, 내화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FIBER REINFORCEMENT AND METHOD OF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가 진행되면서, 초기 설계하중을 지지하지 못하는 노후 구조물이 증가되고 있다.
노후된 건물은 용도변경 및 리모델링 과정에서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노후 교량의 경우에는 초기 설계시의 하중 보다 차량 하중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태가 다양화되고 복잡해 지고 있고, 건축구조물의 리모델링이 활발해지면서 설계시의 하중보다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건축구조물의 보, 슬래브, 기둥의 강도를 향상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에 건축법에 내진관련 규정을 적용하여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관련 규정을 수정하여 왔고, 2005년에는 내진 관련 규정을 현실화하기 위해 규정을 강화하여 개정하였다. 그러나 개정된 내진설계 규정은 신축 건물에 한정되어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내진설계 규정 도입 이전에 건설된 건축구조물은 지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설계되고, 시공되었다.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건물 중 일부가 리모델링 되고, 재건축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는 내진설계 규정이 반영되지 않은 노후된 건축물이 많이 잔존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지진 발생시 내진설계 규정이 반영되지 않은 건축구조물은 붕괴 및 파손으로 인한 피해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후된 구조물을 보강하여 초과된 하중에도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공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강공법이 강판보강공법과 섬유시트 보강공법이다.
강판보강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강판을 결합하여 강성을 향상시키는 공법으로서, 가장 많이 적용된 공법이지만 강판의 자중이 무거워 작업시 중장비가 필요하고, 부식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어왔다.
섬유시트 보강공법은 보강부재가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섬유시트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탄소섬유는 가격이 고가이고, 전도체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고압전류가 흐르는 곳에서 시공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아울러, 유리섬유의 가격은 탄소섬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섬유 재단시 유리분진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내화학저항성과 내화성이 떨어지고, 폐기시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자중이 가벼운 섬유시트를 생산하되, 내화학저항성과 내화성이 우수하고, 내진성능을 향상시켜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수명을 연장시킴과 함께 경제성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인 섬유 보강재를 제시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섬유 보강재는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보강섬유(11), 현무암 섬유(12) 이거나 상기 현무암 섬유(12)와 유리섬유 또는 상기 현무암 섬유(12)와 PET 섬유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주 섬유(13)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섬유(11)와 상기 주 섬유(13)가 1 : 1 ~ 2 : 10 의 체적 비율로 나란히 배열된 제1레이어(100); 상기 제1레이어(1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레이어(100)의 섬유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현무암 섬유(12), 상기 탄소섬유, 상기 유리섬유, 상기 아라미드섬유, 상기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2레이어(200); 상기 제2레이어(2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레이어(100)에 배열된 섬유에 30 ~ 60°의 기울기를 같도록 상기 현무암 섬유(12), 상기 탄소섬유, 상기 유리섬유, 상기 아라미드섬유, 상기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3레이어(300); 상기 제3레이어(3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레이어(100)에 배열된 섬유에 -30 ~ -60°의 기울기를 같도록 상기 현무암 섬유(12), 상기 탄소섬유, 상기 유리섬유, 상기 아라미드섬유, 상기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4레이어(400);를 포함한다.
상기 현무암 섬유(12)는 이산화규소(SiO2) 50~56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5~20 중량%; 산화철(Fe2O3) 8~13 중량%; 산화마그네슘(MgO) 3~7 중량%; 산화나트륨(Na2O) 1.5~5 중량%; 산화칼륨(K2O) 1~4 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1~4 중량%; 오산화인(P2O5) 0.1~0.4 중량%; 산화망간(MnO) 0.1~0.3 중량%; 산화크롬(Cr2O3) 0.02~0.0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는 이산화규소(SiO2) 50~56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2~16 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6 중량%; 산화칼륨(K2O) 19~25 중량%; 산화붕소(B2O3) 5~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은 5 ~ 2000 mm 이고, 두께는 0.1 ~ 10mm 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레이어(400)의 하면에 부직포(500)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1레이어(100), 상기 제2레이어(200), 상기 제3레이어(300), 상기 제4레이어(400), 상기 부직포(500)로 형성된 섬유 보강재(A)를 에폭시 수지(10)에 함침시킨 후 상기 에폭시 수지(10)를 경화시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500)는 상기 에폭시 수지(10)가 경화되기 전에 인장력이 도입되고, 상기 부직포(500)에 인장응력이 잔존하는 상태로 상기 에폭시 수지(10)가 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섬유 보강재(A)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은 구조물(1)의 표면을 핸드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면처리 하는 면처리단계; 에어건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1)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단계; 접착제 또는 앵커를 이용하여 상기 섬유 보강재(A)를 설치하는 섬유 보강재 부착단계; 상기 섬유 보강재(A)의 표면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재도포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섬유 보강재(A)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은 구조물(1)의 표면을 핸드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면처리 하는 면처리단계; 에어건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1)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단계; 상기 섬유 보강재(A)에 앵커홀(h)을 형성하는 앵커홀 형성단계; 상기 앵커홀(h)에 앵커를 설치하여 상기 섬유 보강재(A)를 상기 구조물(1)에 고정시키는 섬유보강재 고정단계; 상기 섬유 보강재(A)의 가장자리가 상기 구조물(1)에 접촉되도록 에폭시를 도포하는 가장에폭시 도포단계; 상기 구조물(1)과 상기 섬유 보강재(A)의 면 접합부(S)에 에폭시를 주입하는 에폭시 주입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섬유 보강재는 자중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내화학적 저항성과 내화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레이어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레이어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레이어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4레이어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섬유보강재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섬유보강재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인장 시험 시편으로서, 표 1의 시험을 위한 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인장 시험 시편으로서, 표3의 시험을 위한 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인장 시험 시편으로서, 표3의 시험을 위한 시편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인장 시험 결과로서, 표3의 시험결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섬유 보강재의 보강력을 확인하기 위한 콘크리트 보 인장시험 전경
도 12는 표 6에 대한 시험결과로서, 원형 단면을 갖는 시험체에 대한 시험결과
도 13은 표 6에 대한 시험결과로서, 사각단면 중 커팅깊이 20mm 시험체에 대한 시험결과
도 14는 표 6에 대한 시험결과로서, 사각단면 중 커팅깊이 10mm 시험체에 대한 시험결과
도 15는 표 7에 대한 시험결과로서, 무보강 시험체에 대한 시험결과
도 16은 표 7에 대한 시험결과로서, 탄소섬유가 보강된 시험체에 대한 시험결과
도 17은 표 7에 대한 시험결과로서, 본원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섬유 보강재가 보강된 시험체에 대한 시험결과
도 18은 표 9에 대한 시험결과
도 19는 표 10에 대한 시험결과
도 20은 표 4에 대한 시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섬유 보강재는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보강섬유(11), 현무암 섬유(12) 이거나 현무암 섬유(12)와 유리섬유 또는 현무암 섬유(12)와 PET 섬유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주 섬유(13)를 포함하되, 보강섬유(11)와 주 섬유(13)가 1 : 1 ~ 2 : 10 의 체적 비율로 나란히 배열된 제1레이어(100); 제1레이어(1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제1레이어(100)의 섬유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현무암 섬유(12),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2레이어(200); 제2레이어(2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제1레이어(100)에 배열된 섬유에 30 ~ 60°의 기울기를 같도록 현무암 섬유(12),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3레이어(300); 제3레이어(3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제1레이어(100)에 배열된 섬유에 -30 ~ -60°의 기울기를 같도록 현무암 섬유(12),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섬유,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4레이어(4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원발명의 섬유 보강재는 4개층의 레이어로 제작되는 시트 보강재로서, 제1레이어에는 현무암 섬유(12)와 보강섬유(11)가 혼합된다.
제2레이어, 제3레이어, 제4레이어는 제1레이어의 섬유 배열 방향과 각각 직교방향, 30 ~ 60°의 경사방향, -30 ~ -60°의 경사방향으로 배열되는 특징이 있는데 이와 같은 레이어의 배열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섬유 보강재는 단일 섬유로 형성된 보강재보다 변형율이 우수하고, 내화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현무암 섬유(12)는 이산화규소(SiO2) 50~56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5~20 중량%; 산화철(Fe2O3) 8~13 중량%; 산화마그네슘(MgO) 3~7 중량%; 산화나트륨(Na2O) 1.5~5 중량%; 산화칼륨(K2O) 1~4 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1~4 중량%; 오산화인(P2O5) 0.1~0.4 중량%; 산화망간(MnO) 0.1~0.3 중량%; 산화크롬(Cr2O3) 0.02~0.0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현무암 섬유(12)에는 이산화 규소가 대량 포함되기 때문에 내화성능이 향상된다.
유리섬유는 이산화규소(SiO2) 50~56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2~16 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6 중량%; 산화칼륨(K2O) 19~25 중량%; 산화붕소(B2O3) 5~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에 따른 섬유 보강재는 폭 5 ~ 2000 mm, 두께 0.1 ~ 10mm 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원발명에 따른 섬유 보강재는 제4레이어(400)의 하면에 부직포(500)를 추가로 접촉시키고, 제1레이어(100), 제2레이어(200), 제3레이어(300), 제4레이어(400), 부직포(500)로 형성된 섬유 보강재(A)를 에폭시 수지(10)에 함침시킨 후 에폭시 수지(10)를 경화시켜 하드한 판넬 구조로도 제작 할 수 있다.
이는 하드한 판넬 구조로 구조물을 보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특히 습도가 높은 곳에 노출된 구조물 또는 교량의 거더 하면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섬유 보강재가 높은 습도에 노출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폭시 수지(10)로 섬유 보강재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500)는 에폭시 수지(10)가 경화되기 전에 인장력이 도입되고, 부직포(500)에 인장응력이 잔존하는 상태로 에폭시 수지(10)가 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섬유 보강재(A)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은 구조물(1)의 표면을 핸드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면처리 하는 면처리단계; 에어건을 이용하여 구조물(1)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단계; 접착제 또는 앵커를 이용하여 섬유 보강재(A)를 설치하는 섬유 보강재 부착단계; 섬유 보강재(A)의 표면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마감재도포단계;를 포함한다.
에폭시 수지(10)로 코팅된 판넬 구조의 실시예에 따른 섬유 보강재(A)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은 구조물(1)의 표면을 핸드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면처리 하는 면처리단계; 에어건을 이용하여 구조물(1)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단계; 섬유 보강재(A)에 앵커홀(h)을 형성하는 앵커홀 형성단계; 앵커홀(h)에 앵커를 설치하여 섬유 보강재(A)를 구조물(1)에 고정시키는 섬유보강재 고정단계; 섬유 보강재(A)의 가장자리가 구조물(1)에 접촉되도록 에폭시를 도포하는 가장에폭시 도포단계; 구조물(1)과 상기 섬유 보강재(A)의 면 접합부(S)에 에폭시를 주입하는 에폭시 주입단계;를 포함한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인 섬유 보강재(실시예)와 탄소섬유로 제작된 보강재(비교예 1), 아라미드섬유로 제작된 보강재(비교예 2), 유리섬유로 제작된 보강재(비교예 3)에 대한 직접인장 시험 결과로서, 실시예와 비교예의 변형률에 대한 시험결과이다. 인장 시험 시편은 도7과 같은 시편을 사용하여 시험 하였다.
Fiber Strain
(%)
Density
(g/㎟)
실시예 2.7 0.0027
비교예 1 1.16 0.0018
비교예 2 2.43 0.00144
비교예 3 1.28 0.00254
아래 표 2는 현무암 섬유(12)와 탄소섬유(11)의 혼합률을 결정하기 위한 혼합률을 나타낸 것으로서, 실시예 2 ~ 8은 현무암 섬유(12)와 탄소섬유(11)의 혼합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혼합비율은 부피비로 계산된 것이다.
시편 현무암섬유/탄소섬유
by volume
탄소섬유
(EA)㎟
현무암섬유
(EA)㎟
Epoxy /
fiber by volume
실시예 2 1.0 (10)4.44 (10)4.44 1.5
실시예 3 5.0 (3)1.33 (15)6.65
실시예 4 6.0 (3)1.33 (18)7.98
실시예 5 7.0 0.89(2) (14)6.23
실시예 6 8.0 0.89(2) (16)7.12
실시예 7 9.0 0.89(2) (18)8.01
실시예 8 10.0 0.89(2) (20)8.9
실시예 2~8에 대한 직접인장 시험 결과는 도 10에 도시하였고, 실시예 6의 강도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6은 현무암섬유/탄소섬유의 부피비율이 8인 예이다. 본 시험을 위한 시험 시편은 도 8과 같고, 시편 제작은 도 9에 도시 하였다.
아래 표 3은 실시예 2~8에 대한 직접인장 시험 결과이다.
하중
(N)
변위
(mm)
단면적
(㎟)
인장강도
(MPa)
변형율
(%)
실시예 2 17,349 7.53 8.9 1,949 3.01
실시예 3 16,250 8.18 8.0 2,032 3.27
실시예 4 18,406 7.74 9.3 1,973 3.10
실시예 5 14,457 7.71 7.1 2,034 3.08
실시예 6 16,966 8.27 8.0 2,122 3.31
실시예 7 13,760 7.82 8.9 1,549 3.13
실시예 8 15,300 8.59 9.8 1,566 3.44
실험결과, 표 3과 같이 현무암 섬유와 탄소섬유의 비율이 7 : 1 ~ 8 : 1인 경우 최대하중 이후에 하중 증가 없이 변형율이 증가하는 연성적인 파괴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아래 표 4는 본원발명과 탄소섬유의 보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결과로서, 철근콘크리트 보에 본원발명의 보강섬유와 탄소섬유를 설치하여 시험한 결과이다. 보 단면은 200(B)×200(H)mm, 보 길이는 2m로 하였으며, 시험전경은 도 11과 같다.
도 11에서와 같이 보는 인장시험기에 셋팅되고, 섬유의 보강은 인장을 받는 보의 상면에 설치된다.
시험체 보강량 항복하중
(kN)
최대하중
(kN)
비고
기준시험체 - 66.69 81.76 100%
탄소섬유보강 1겹 65.25 87.84 107%
본원발명의
섬유보강재 보강
BF: 8겹
CF: 1겹
68.25 88.24 108%
표 5와 6은 압축부재인 기둥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섬유 보강재의 콘크리트 내측구속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원형 및 사각단면의 기둥 공시체를 제작하고 공시체의 외주면에 섬유 보강재를 감싼 후 압축강도를 테스트한 결과이다. 사각단면의 공시체는 횡보강시 모서리 부분 및 각진 부분에 섬유들뜸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컷팅 후 라운딩 처리를 하였고, 커팅깊이를 10mm, 20mm로 하였다.
아래 표 5의 시험에 적용된 본원 발명의 섬유 보강재는 실시예 6의 섬유 보강재를 적용하였다.
표 5에서 무보강은 공시체 외주면에 섬유 보강재를 설치하지 않은 것이고, 보강은 섬유 보강재를 설치한 것이다.
구분 단면형태 컷팅 깊이
(mm)
사용섬유 섬유비율
무보강 원형 - - -
사각형 10
20
보강 원형 - 탄소섬유+현무암섬유 탄소섬유(1)
현무암섬유(8)
사각형 10
20
구분 무보강 콘크리트 보강된 콘크리트 섬유보강 효과
압축강도
(MPa)
압축변형율
(%)
압축강도
(MPa)
압축변형율
(%)
강도증가 연성증가
원형 30.08 0.24% 34.14 1.38% 1.1 5.8
사각형
(컷팅깊이 20mm)
27.79 0.26% 29.52 0.45% 1.1 1.7
사각형
(컷팅깊이 10mm)
25.85 0.25% 27.69 0.31% 1.1 1.2
표 6에서와 같이 섬유 보강재가 보강된 콘크리트 공시체가 보강하지 않은 공시체에 비해 압축강도가 증가하고 연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표 7은 실시예 6의 섬유보강재와 탄소섬유가 보강된 구조물의 내진성능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실험체는 섬유보강재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무보강), 탄소섬유 1겹으로 보강된 탄소섬유 보강 시험체, 본원발명의 실시예 6이 적용된 시험체 총 3가지 경우에 대한 시험 결과이다.
시험결과 탄소섬유로 보강한 실험체의 최대하중은 172kN이었으며, 최대 하중시의 변위는 78.4mm이었다. 실시예가 적용된 실험체의 최대하중은 174kN이며, 최대변위는 98.5mm이었다. 무보강 시험체와 탄소섬유로 보강된 시험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시험체의 최대하중을 비교하면, 각각 116%, 117%로 보강성능이 비슷하지만, 연성지수의 경우는 각각 9.8, 10.9로 실시예 6이 적용된 시험체가 높은 연성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실험체 보강량 항복하중
(MPa)
항복변위
(mm)
최대하중
(kN)
최대변위
(mm)
연성지수
(최대변위/항복변위)
무보강 - 132 12.0 148 49.4 4.12
탄소섬유 CF 1겹 105 8.0 172 78.4 9.8
본원발명의보강재적용 실시예 6 110 9.0 174 98.5 10.9
아래 표 8은 탄소섬유, 유리섬유 및 실시예 6이 적용된 본원발명의 섬유 보강재에 대하여 내알칼리성 및 내열성을 확인한 시험결과 이다.
실험조건은 열화를 촉진시킬 목적으로 온도조건을 60℃로 설정하였다. 또한, 내알칼리성 시험을 위한 알칼리 용액에는 높은 알칼리농도에서 시험가능하도록 5%의 NaOH용액을 사용하였다. 침지기간은 각각 7, 14, 21, 28일로 설정하고, 기간이 지난 후 섬유침지용액으로 부터 꺼내어 증류수에서 세정한 후 1일간 건조시킨 다음 인장강도 시험을 실시하여 강도변화를 확인하였다.
내열성시험의 경우, 각 섬유에 대해 고온 전기로를 이용한 환경온도를 100℃, 200℃, 400℃, 600℃ 조건으로 설정한 후 이들 온도에서 각각 2시간 정도 폭로하여 1일 상온에서 방치한 후의 인장강도 시험을 실시하여 강도변화를 확인하였다.
섬유종류 내구성
종류
열화
조건
시험편 수
탄소섬유 내알칼리성 NaOH
(농도: 5%, 온도: 60℃)
(침적기간: 7, 14, 21, 28일)
각 10개
내열성 고온전기로(가열: 2시간)
100℃~600℃
유리섬유 내알칼리성 NaOH
(농도: 5%, 온도: 60℃)
(침적기간: 7, 14, 21, 28일)
내열성 고온전기로(가열: 2시간)
100℃~600℃
본원발명의
실시예 6 적용
내알칼리성 NaOH
(농도: 5%, 온도: 60℃)
(침적기간: 7, 14, 21, 28일)
내열성 고온전기로(가열: 2시간)
100℃~600℃
아래 표 9는 인장강도와 강도 변화율 시험결과로서, 유리섬유의 경우, 28일 침적 후 강도변화율은 21.4% 정도였고, 본원발명의 경우, 강도변화율은 30.5%로 유리섬유에 비하여 양호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탄소섬유의 경우는 인장강도의 변화가 거의 없어 알칼리성에 의한 침식영향이 다른 섬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것을 확인하였다.
침지일수


섬유종류
인장강도(MPa)
(강도 변화율(%))
0일 7일 14일 21일 28일
탄소섬유 1,970
(100)
1,945
(98.7)
1,931
(98.0)
1,904
(96.6)
1,902
(96.6)
유리섬유 858
(100)
575
(67.2)
395
(46.1)
275
(31.8)
180
(21.4)
본원발명의
실시예 6 적용
704
(100)
476
(67.7)
354
(50.3)
232
(33.0)
215
(30.5)
아래 표 10은 내열성을 평가한 결과로서, 실험결과, 400℃조건 이상부터 온도증가에 따른 열화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해 탄소섬유와 유리섬유 모두 고온 폭로에 의한 강도열화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원발명의 실시예 6이 적용된 경우는 600℃에 이르는 고온조건하에서도 강도변화가 90%대까지 유지되어 고온폭로에 따른 내열성이 타 섬유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월등히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노출온도


섬유종류
인장강도(MPa)
(강도 변화율(%))
20℃(상온) 100℃ 200℃ 400℃ 600℃
탄소섬유 1,970
(100)
1,931
(98.2)
1,891
(95.9)
1,619
(82.2)
1,206
(61.2)
유리섬유 858
(100)
841
(98.1)
807
(94.3)
611
(71.2)
482
(56.2)
본원발명의
실시예 6 적용
704
(100)
697
(98.8)
701
(99.6)
690
(98.6)
648
(92)
P : 프리스트레스 1 : 구조물
10 : 섬유 10 : 에폭시 수지
11 : 보강섬유 12 : 현무암 섬유
100 : 제1레이어 200 : 제2레이어
300 : 제3레이어 400 : 제4레이어

Claims (8)

  1.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보강섬유(11),
    현무암 섬유(12) 이거나 상기 현무암 섬유(12)와 유리섬유 또는 상기 현무암 섬유(12)와 PET 섬유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주 섬유(13)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섬유(11)와 상기 주 섬유(13)가 1 : 1 ~ 2 : 10 의 체적 비율로 나란히 배열된 제1레이어(100);
    상기 제1레이어(1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레이어(100)의 섬유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현무암 섬유(12), 상기 탄소섬유, 상기 유리섬유, 상기 아라미드섬유, 상기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2레이어(200);
    상기 제2레이어(2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레이어(100)에 배열된 섬유에 30 ~ 60°의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현무암 섬유(12), 상기 탄소섬유, 상기 유리섬유, 상기 아라미드섬유, 상기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3레이어(300);
    상기 제3레이어(3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1레이어(100)에 배열된 섬유에 -30 ~ -60°의 기울기를 갖도록 상기 현무암 섬유(12), 상기 탄소섬유, 상기 유리섬유, 상기 아라미드섬유, 상기 PET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배열되어 형성되는 제4레이어(400);를 포함하고,
    상기 현무암 섬유(12)는
    이산화규소(SiO2) 50~56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5~20 중량%;
    산화철(Fe2O3) 8~13 중량%;
    산화마그네슘(MgO) 3~7 중량%;
    산화나트륨(Na2O) 1.5~5 중량%;
    산화칼륨(K2O) 1~4 중량%;
    이산화티타늄(TiO2) 1~4 중량%;
    오산화인(P2O5) 0.1~0.4 중량%;
    산화망간(MnO) 0.1~0.3 중량%;
    산화크롬(Cr2O3) 0.02~0.08 중량%;를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유리섬유는
    이산화규소(SiO2) 50~56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2~16 중량%;
    산화마그네슘(MgO) 1~6 중량%;
    산화칼륨(K2O) 19~25 중량%;
    산화붕소(B2O3) 5~1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제4레이어(400)의 하면에 부직포(500)를 접촉시키고, 상기 제1레이어(100), 상기 제2레이어(200), 상기 제3레이어(300), 상기 제4레이어(400), 상기 부직포(500)로 형성된 섬유 보강재(A)를 에폭시 수지(10)에 함침시킨 후 상기 에폭시 수지(10)를 경화시키며,
    상기 부직포(500)는
    상기 에폭시 수지(10)가 경화되기 전에 인장력이 도입되고, 상기 부직포(500)에 인장응력이 잔존하는 상태로 상기 에폭시 수지(10)가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폭은 5 ~ 2000 mm 이고, 두께는 0.1 ~ 10mm 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보강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4항의 섬유 보강재(A)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으로서,
    구조물(1)의 표면을 핸드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면처리 하는 면처리단계;
    에어건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1)의 표면을 청소하는 청소단계;
    상기 섬유 보강재(A)에 앵커홀(h)을 형성하는 앵커홀 형성단계;
    상기 앵커홀(h)에 앵커를 설치하여 상기 섬유 보강재(A)를 상기 구조물(1)에 고정시키는 섬유보강재 고정단계;
    상기 섬유 보강재(A)의 가장자리가 상기 구조물(1)에 접촉되도록 에폭시를 도포하는 가장에폭시 도포단계;
    상기 구조물(1)과 상기 섬유 보강재(A)의 면 접합부(S)에 에폭시를 주입하는 에폭시 주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보강공법.
KR1020190154566A 2019-11-27 2019-11-27 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 KR10219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566A KR102197605B1 (ko) 2019-11-27 2019-11-27 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566A KR102197605B1 (ko) 2019-11-27 2019-11-27 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605B1 true KR102197605B1 (ko) 2021-01-04

Family

ID=74127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566A KR102197605B1 (ko) 2019-11-27 2019-11-27 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6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757A (ja) * 2008-07-23 2011-11-24 エスゲーエル カーボン ソシエタス ヨーロピア 繊維不織布強化複合材料の製法、及び繊維不織布強化複合材料及びその使用
KR101404487B1 (ko) * 2013-08-22 2014-06-10 주식회사 로하스기술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의 보수 보강 공법
KR101502517B1 (ko) * 2014-08-29 2015-03-20 에프알앤디건설(주) 구조물 보강용 섬유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KR101504514B1 (ko) * 2013-07-22 2015-03-30 (주)비에프 현무암 연속섬유 제조 방법 및 장치
JP5831667B2 (ja) * 2013-11-29 2015-12-09 日東紡績株式会社 ガラス繊維織物−樹脂組成物積層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757A (ja) * 2008-07-23 2011-11-24 エスゲーエル カーボン ソシエタス ヨーロピア 繊維不織布強化複合材料の製法、及び繊維不織布強化複合材料及びその使用
KR101504514B1 (ko) * 2013-07-22 2015-03-30 (주)비에프 현무암 연속섬유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404487B1 (ko) * 2013-08-22 2014-06-10 주식회사 로하스기술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의 보수 보강 공법
JP5831667B2 (ja) * 2013-11-29 2015-12-09 日東紡績株式会社 ガラス繊維織物−樹脂組成物積層体
KR101502517B1 (ko) * 2014-08-29 2015-03-20 에프알앤디건설(주) 구조물 보강용 섬유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Experimental study on the fatigue behavior of steel beams strengthened with different fiber-reinforced composite plates
Yin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f the bending fatigue performance of TRC-strengthened RC beams in conventional and aggressive chlorate environments
Akbari Hadad et al. Static and fatigue performance of FRCM-strengthened concrete beams
Oluwadahunsi et al. Performance of corroded reinforced-concrete beams in flexure strengthened using different basalt fiber textile-reinforced mortar schemes
Lee et al. Flexural behavior of RC slabs strengthened in flexure with basalt fabric-reinforced cementitious matrix
KR102197605B1 (ko) 섬유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 공법
Carloni et al. An overview of the design approach to strengthe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ith SRG
KR100537407B1 (ko) 보강재 수직 삽입식 구조물의 보강방법
Chen et al. The shear behavior of beams strengthened with FRP grid
KR101502517B1 (ko) 구조물 보강용 섬유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CN211923632U (zh) 一种高延性混凝土纤维网格布加固砖柱装置
Hassan et al. Rehabilitation of reinforced concrete deep beams using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s (CFRP)
Hawileh et al. Flexural and Bond Behavior of Concrete Beams Strengthened with CFRP and Galvanized Steel Mesh Laminates
US20170101774A1 (en) Method of strengthening an existing infrastructure using sprayed-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KR20200063545A (ko) 구조물 내진보강용 섬유 직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 보강 방법
YAĞAR et al. FRP Strengthening of RC structures: sustainable,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evaluations
Monni et al. Basalt ropes: a new product for the rehabilitation of historical masonry
KR102188961B1 (ko)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제작방법
US20130139469A1 (en) Use of a textile material as a safety barrier to protect users of any type of construction on the occurrence of damage to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elements
Wu et al. Concrete confined with fiber reinforced cement based thin sheet composites
KR10225385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RU2744905C2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надежности и долговечност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Lejano Confinement effects of different retrofitting materials on the axial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Cai et al. Flexural behaviors of high-performance TRM-retrofitted RC beams under cyclic loading
KR10154024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섬유보강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