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420B1 -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420B1
KR102197420B1 KR1020190058016A KR20190058016A KR102197420B1 KR 102197420 B1 KR102197420 B1 KR 102197420B1 KR 1020190058016 A KR1020190058016 A KR 1020190058016A KR 20190058016 A KR20190058016 A KR 20190058016A KR 102197420 B1 KR102197420 B1 KR 10219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opper
contents
sealing plate
in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120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90058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420B1/ko
Priority to US16/866,235 priority patent/US20200361694A1/en
Priority to CN202010406691.0A priority patent/CN111942752A/zh
Priority to FR2004863A priority patent/FR3096039A1/fr
Priority to JP2020086153A priority patent/JP2020189693A/ja
Publication of KR2020013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7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arranged parallel or concentrically and permitting simultaneous dispensing of the two materials without prior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 B01F33/501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portable during use, e.g. hand-held
    • B01F33/50111Small portable bottles, flasks, vials, e.g. with means for mixing ingredients or for homogenizing their content, e.g. by hand sh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2Receptacles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01F35/522Receptacles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comprising compartments keeping the materials to be mixed separated until the mixing is init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3Feed mechanisms comprising breaking packages or parts thereof, e.g. piercing or opening sealing elements between compartments or cartridges
    • B01F35/7139Removing separation walls, plugs which close off the different compartments, e.g. by rotation or axially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ontainers for feeding or mixing the components
    • B01F35/7161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ontainers for feeding or mixing the components the containers being connected coaxially before contact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제1 내용물이 수용되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수직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제2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판; 상기 외부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캡; 상기 회전캡과 함께 회전되며, 사선가이드부가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내부용기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작동부재 및 상기 외부용기에 수용된 제1, 2 내용물을 흡입, 배출하는 스포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Spuit type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본 발명은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가 수직으로 이동되면서 내부용기로부터 밀폐판을 분리하여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각각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손쉽게 혼합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된 작동부재가 스포이드부의 삽입 유도관 역할을 하며, 밀폐판을 항상 누르고 있어 상기 밀폐판이 외부용기 내에서 유동되지 않게 되는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수용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 중에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혼합 사용되는 내용물을 처음부터 혼합하여 하나의 용기에 함께 수용한 후, 유통 또는 보관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서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 내용물이 응고 또는 침전되면서 배출 불량이 발생하거나, 내용물이 변색 또는 변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 분리된 다른 용기에 보관하였다가, 사용 시 두 용기의 입구를 각각 개방하고 별도의 용기에 혼합하여 사용해 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사용의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의 분실 우려가 있으며, 또한 별도의 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하나의 용기에 투입할 때 내용물이 흘러내려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나의 용기에 이종 내용물을 격리 저장하여 보관한 후, 필요 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혼합 용기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12587호의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출원, 등록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에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에 삽입되며, 수직이동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제2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에 결합되며,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판과, 상기 내부용기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이동바가 형성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부착캡과, 상기 탈부착캡의 상부에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스포이드관 및 상기 누름버튼을 보호하는 누름버튼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작동부재를 회전시켜 잠금을 해제한 다음, 누름버튼커버를 누르면 탈부착캡과 작동부재가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탈부착캡에 결합된 스포이드관이 밀폐판을 밀어 내부용기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에 분리 수용되어 있던 이종의 내용물이 섞이면서 혼합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누름버튼커버의 가압에 의해 스포이드관이 직접 밀폐판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이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여성들이 쉽게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오히려 상기 누름버튼커버를 과도한 힘으로 누를 경우 스포이드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누름버튼커버가 누름버튼을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작동부재를 일정구간 회전시킨 다음, 상기 누름버튼커버를 강제로 눌러 밀폐판이 내부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등 여러 단계를 거쳐 이종 내용물을 혼합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 특허 제10-1911587호(2018. 10. 30. 공고.),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본 발명은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각각 이종의 내용물을 수용하고, 상기 내부용기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판으로 폐쇄하여 외부용기 내에 삽입하되,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가 수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밀폐판을 하측으로 밀어 내부용기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내, 외부용기에 수용되어 있던 이종의 내용물을 손쉽게 혼합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된 작동부재가 스포이드부의 삽입 유도관 역할을 하며, 밀폐판을 항상 누르고 있어 상기 밀폐판이 외부용기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제1 내용물이 수용되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수직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제2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판; 상기 외부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캡; 상기 회전캡과 함께 회전되며, 사선가이드부가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내부용기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작동부재 및 상기 외부용기에 수용된 제1, 2 내용물을 흡입, 배출하는 스포이드부를 포함하는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가 수직으로 이동되면서 밀폐판을 하측으로 밀어 상기 밀폐판을 내부용기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분리 수용된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이 섞여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판의 중앙에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작동부재의 중앙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스포이드부가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외부용기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캡에는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에는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는 밀폐판을 밀면서 외부용기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스포이드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 유도관이 되며, 밀폐판을 눌러 외부용기의 내부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에는 수직유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작동부재가 외부용기의 하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수직유통홀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부용기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이드부는 탄성재질의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하측으로 연결된 스포이드관 및 상기 누름버튼과 스포이드관 외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가 수직으로 이동되면서 밀폐판을 밀어 상기 밀폐판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내부용기를 개방함으로써,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각각 수용된 이종의 내용물을 손쉽게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이 누름버튼과 스포이드관 및 손잡이로 이루어진 스포이드부에 의해 소량으로 흡입 또는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혼합된 이종의 내용물이 과도하게 사용되면서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수직 이동된 작동부재가 내부용기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스포이드부의 삽입 유도관 역할을 하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수직 이동된 작동부재가 밀폐판을 항상 누르고 있어 상기 밀폐판이 외부용기 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상기 밀폐판에 의해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캡을 회전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작동부재를 완전히 수직 이동시킨 모습을 예시한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커버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을 가압하는 모습을 예시한 B-B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는 모습을 예시한 B-B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포이드부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B-B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의 B-B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는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와, 밀폐판(30)과, 회전캡(40)과, 회전부재(50)와, 작동부재(60) 및 스포이드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된 경질의 원통 형태로써, 내부 공간에 제1내용물(C1)이 수용된다. 물론, 상기 외부용기(10)는 경질의 원통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10)의 개방된 상부로 제1 내용물(C1)이 충전되며, 개방된 부분의 단부에는 고정홈(11)이 형성되어 내부용기(20)가 끼워질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10)의 내측 바닥에는 밀폐판 삽입홈(12)이 형성되는데, 상기 밀폐판 삽입홈(12)에는 내부용기(20)로부터 분리된 밀폐판(30)이 삽입되고, 상기 밀폐판 삽입홈(12)의 외측에는 제1고정돌기(1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용기(10)의 상부 외주연에는 제1결합돌기(14)가 형성되어 회전캡(4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용기(20)는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용기(10)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내부용기(20)의 내측에는 제2 내용물(C2)이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내용물(C2)은 제1 내용물(C1)와 서로 다른 내용물로써, 제1 내용물(C1)과 혼합 사용되었을 때 효능이나 효과를 배가시키게 되는 내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용기(20)의 상부에는 상부내벽(22)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부내벽(22)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외벽(24)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내벽(2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가이드홈(22a)이 형성되어 작동부재(6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게 되고, 상기 상부외벽(24)의 외주연에는 고정돌기(24a)가 형성되어 외부용기(10)의 고정홈(11)에 삽입되면서 상기 내부용기(20)가 외부용기(10)로부터 헛돌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외벽(24)에는 유통홀(24b)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유통홀(24b)을 통해 제1, 2 내용물(C1, C2)이 외부용기(10)의 내부 공간과 내부용기(20)의 상부 내측 공간 사이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20)의 하부에는 하부내벽(26)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부내벽(26) 외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외벽(28)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내벽(26)과 하부외벽(28) 사이의 공간에는 제2 내용물(C2)이 수용되며, 상기 하부내벽(26)과 하부외벽(28)의 단부가 밀폐판(30)에 결합되면서 상기 하부내벽(26)과 하부외벽(28) 사이의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의 사이 및 내부용기(20)와 회전부재(50) 사이에는 각각 제1 밀폐링(R1)과 제2 밀폐링(R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밀폐링(R1)과 제2 밀폐링(R2)은 외부용기(10)에 수용된 제1내용물(11)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폐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2 밀폐링(R1, R2)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되,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1 내지 2 밀폐링(R1, R2)은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한 탄성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판(30)은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용기(20)의 하단에 결합되어 외부용기(10)의 내부 공간과 내부용기(20)의 내부 공간을 차단하게 되고, 이를 통해 외부용기(10)에 수용된 제1 내용물(C1)과 내부용기(20)에 수용된 제2 내용물(C2)이 혼합되기 전에 섞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밀폐판(30)의 중앙에는 제1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스포이드부(70)가 관통되고, 상기 제1 관통홀(31)의 외측에는 상부연장돌륜(32)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작동부재(6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장돌륜(32)의 내주연에는 제1 단턱(32a)이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연장돌륜(32)의 내측으로 작동부재(6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면서 상기 작동부재(60)의 단부가 제1 단턱(32a)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연장돌륜(32)의 외벽에는 내용물유통슬릿(32b)이 형성되는데, 상기 밀폐판(30)이 내부용기(20)로부터 분리되어 제1 내용물(C1)과 제2 내용물(C2)이 혼합되었을 때, 이와 같이 혼합된 제1, 2 내용물(C1, C2)이 상기 내용물유통슬릿(32b)을 통해 이동되어 스포이드부(70)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장돌륜(32)의 외측에는 제1 끼움홈(33)과 제2 끼움홈(35)이 형성되어 각각 내부용기(20)의 하부내벽(26)과 하부외벽(28)이 끼움 결합되며, 이에 따라 내부용기(20)의 개방된 일측을 막아 상기 내부용기(20)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밀폐판(30)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돌출리브(34)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밀폐판(30)이 내부용기(20)로부터 분리되어 하측으로 이동될 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돌출리브(34) 사이로 제1 내용물(C1)이 통과하여 제2 내용물(C2)과 섞이게 된다.
또한, 상기 밀폐판(30)의 하부에는 돌출부(36)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36)는 내부용기(20)로부터 밀폐판(30)이 분리되었을 때,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용기(10)의 밀폐판 삽입홈(12)에 삽입되면서 상기 돌출부(36)의 외주연이 밀폐판 삽입홈(12)의 제1고정돌기(12a)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회전캡(40)은 외부용기(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전력을 회전부재(50)로 전달하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캡(4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걸림돌기(42)가 형성되어 회전부재(50)와 체결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42)의 하부에는 제2 결합돌기(44)가 형성되어 외부용기(10)의 제1결합돌기(14)와 회전 가능하게 언더컷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50)는 적어도 일부분이 회전캡(4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회전캡(40)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회전부재(50)의 일측에는 스포이드부(70)가 삽입 또는 입출되는 입구부(51)가 형성되는데, 상기 입구부(51)는 회전캡(40)의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용기(10)의 상부로 노출되며, 상기 입구부(51)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포이드부(7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50)의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걸림돌기(52)가 형성되어 회전캡(40)의 제1 걸림돌기(42)와 서로 맞물린다. 다시 말해, 회전부재(50)의 제2 걸림돌기(52)가 회전캡(40)의 제1 걸림돌기(42) 사이에 끼워지면서 체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50)가 회전캡(40)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50)의 타측에는 하부연장부(54)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연장부(54)의 내주연에는 사선면(56a)을 갖는 사선가이드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재(50)가 회전캡(40)에 의해 제자리 회전될 때, 상기 사선가이드부(56)의 사선면(56a)이 회전부재(6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작동부재(60)의 가이드돌기(66)를 사선 방향으로 밀어 상기 가이드돌기(66)가 내부용기(20)의 수직가이드홈(22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부연장부(54)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내부용기(20)의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 또는 홈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50)의 입구부(51)에는 스포이드부(70)의 스포이드관(74) 인출 시 상기 스포이드관(74) 외주연에 묻은 내용물을 훑어내는 와이퍼(9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60)는 내부용기(20)와 회전부재(50)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용기(20)로부터 밀폐판(30)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6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이며, 중앙에 제2 관통홀(61)이 형성되어 스포이드부(70)가 관통된다.
상기 작동부재(60)의 하측에는 삽입부(62)가 형성되는데,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62)는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 밀폐판(30)의 상부연장돌륜(32) 안쪽에 삽입되면서, 단부가 상기 상부연장돌륜(32)의 단턱(32a)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60)와 밀폐판(30)은 서로 단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재(60)의 상부 외주연에는 가이드돌기(66)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66)는 내부용기(20)의 수직가이드홈(22a)을 관통하는 동시에, 회전부재(50)에 형성된 사선가이드부(56)의 사선면(56a)과 밀착되어 상기 사선면(56a)에 의해 사선 방향으로 밀리면서 수직가이드홈(22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60)의 외주연에는 수직유통홀(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유통홀(64)은 작동부재(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제1, 2 내용물(C1, C2) 또는 공기의 이동 통로가 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수직유통홀(64)은 상기 작동부재(60)가 회전캡(4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외부용기(10)의 하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적어도 일부분이 내부용기(20)의 하측으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60)의 제2 관통홀(61)로 스포이드부(70)가 삽입 또는 인출될 때, 제1, 2 내용물(C1, C2) 또는 공기가 상기 수직유통홀(64)을 통해 외부용기(10)의 내부 공간과 작동부재(60)의 내부 공간 사이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는, 회전캡(40)의 회전 작동에 의해 작동부재(60)가 외부용기(10)의 바닥을 향해 직선 이동되면서 밀폐판(30)을 밀어 내부용기(20)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상기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에 각각 분리 수용된 제1, 2 내용물(C1, C2)이 섞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부재(60)가 내부용기(2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스포이드부(70)의 삽입 유도관 역할을 하게 되어 스포이드부(70)를 보다 손쉽게 용기에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60)가 밀폐판(30)의 상부를 항상 누르고 있어 상기 밀폐판(30)이 외부용기(10) 내에서 유동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밀폐판(30)의 유동에 의해 혼합 용기의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포이드부(70)는 외부용기(10)의 상부에 착탈되며, 상기 외부용기(10) 내에 수용된 제1, 2 내용물(C1. C2)을 흡입 또는 배출한다.
상기 스포이드부(70)는 탄성재질의 누름버튼(72)과 상기 누름버튼(72)의 하측으로 연결된 스포이드관(74) 및 상기 누름버튼(72)과 스포이드관(74) 외측에 결합되는 손잡이(7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72)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내부 체적이 변화되면서 스포이드관(74)을 통해 제1, 2 내용물(C1, C2)을 빨아들이거나 밀어내게 되고, 상기 스포이드관(74)은 누름버튼(7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밀폐판(30)과 작동부재(60)의 제1, 2 관통홀(31, 61)을 관통하면서 외부용기(10) 내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누름버튼(72)은 복원력을 갖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특히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고무 및 실리콘고무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76)는 누름버튼(72)과 스포이드관(74)의 외측에 결합되고,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부재(50)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에서는 스포이드부(70)와 회전부재(50)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더컷 결합 또는 돌기와 홈의 결합 또는 강제 끼움 결합 또는 자력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72)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72)의 내부 체적이 줄어들게 되는 동시에, 누르는 압력에 의해 누름버튼(72)과 스포이드관(74)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게 된다. 이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72)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72)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내부 체적이 늘어나는 동시에 흡입력에 의해 외부용기(10)에 수용된 혼합 제1, 2 내용물(C1, C2)을 스포이드관(74)으로 빨아들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포이드부(70)의 누름버튼(72) 상부에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 또는 보관 시 상기 누름버튼(72)을 보호하는 누름버튼커버(8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누름버튼커버(80)는 누름버튼(72)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즉, 스포이드부(70)의 누름버튼(72)이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통 또는 휴대 시 외력에 의해 의도치 않게 눌려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누름버튼(72)의 외측에 경질의 누름버튼커버(80)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조립 및 사용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의 조립 및 사용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혼합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10)의 내부 공간에 제1 내용물(C1)을 충전한다.
다음으로, 내부용기(20)를 뒤집은 후, 상기 내부용기(20)의 내부 공간 즉, 하부내벽(26)과 하부외벽(28) 사이의 공간에 제2 내용물(C2)을 충전하고, 상기 내부용기(20)의 단부에 밀폐판(30)을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2 내용물(C2)이 충전되고, 밀폐판(30)이 결합된 내부용기(20)의 내, 외측에 제1, 2 밀폐링(R1, R2)을 끼우고, 상기 내부용기(20)를 다시 뒤집어 외부용기(10)의 개방된 상부로 삽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용기(20)의 상부로 작동부재(60)를 삽입하고, 회전부재(50)로 상기 작동부재(60)를 덮으면서 상기 회전부재(50)를 내부용기(20)에 끼우고, 회전캡(40)으로 상기 회전부재(50)와 내부용기(20)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기 회전캡(40)을 외부용기(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60)의 삽입부(62)는 내부용기(20)의 중앙을 관통하여 밀폐판(30)의 상부연장돌륜(32) 안쪽으로 삽입되고, 가이드돌기(66)는 내부용기(20)의 수직가이드홈(22a)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부재(50)의 사선면(56a)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캡(40)의 제1 걸림돌기(42)와 회전부재(50)의 제2 걸림돌기(52)가 맞물리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재(50)의 입구부(51) 내측으로 와이퍼(90)를 결합한 후, 누름버튼(72)과 스포이드관(74) 및 손잡이(76)로 이루어진 스포이드부(70)를 상기 입구부(51)로 삽입하면서 나사 결합하고, 상기 스포이드부(70)의 누름버튼(72) 상부에 누름버튼커버(80)를 씌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스포이드부(70)의 스포이드관(74)은 작동부재(60)의 제2 관통홀(61)과 밀폐판(30)의 제1 관통홀(31)을 관통하여 외부용기(10) 내에 삽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회전캡을 회전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작동부재를 완전히 수직 이동시킨 모습을 예시한 A-A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혼합 용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외부용기(10)로부터 회전캡(4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캡(40)이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캡(40)의 내측에 맞물려 있는 회전부재(50)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부재(50)의 사선가이드부(56)에 형성된 사선면(56a)이 작동부재(60)의 가이드돌기(66)를 옆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66)는 내부용기(20)의 수직가이드홈(22a)에 삽입되어 회전되지 못하고, 상기 사선면(56a)에 의해 눌리면서 수직가이드홈(22a)을 따라 하측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60)의 단부에 밀착되어 있던 밀폐판(30)이 상기 작동부재(60)에 의해 밀리면서 내부용기(20)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20)에 분리 수용되어 있던 제2 내용물(C2)이 외부용기(10)의 내로 유입되어 제1 내용물(C1)과 섞이면서 혼합된다.
이후, 상기 작동부재(60)를 더 회전시키게 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60)가 밀폐판(30)을 외부용기(10)의 바닥까지 밀게 되어 상기 밀폐판(30)의 돌출부(36)가 외부용기(10)의 밀폐판 삽입홈(1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60)는 내부용기(2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스포이드부(70)의 삽입 유도관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작동부재(60)가 외부용기(10)의 바닥에 삽입된 밀폐판(30)을 계속 누르고 있어 상기 밀폐판(30)이 외부용기(10) 내에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커버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B-B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을 가압하는 모습을 예시한 B-B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누름버튼의 가압을 해제하는 모습을 예시한 B-B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포이드부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B-B 단면도이다.
이후,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커버(80)를 분리하여 스포이드부(70)의 누름버튼(72)을 외부로 노출하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 재질의 누름버튼(72)을 가압하면 상기 누름버튼(72)의 내부 체적이 줄어들게 되는 동시에, 누르는 압력에 의해 누름버튼(72)과 스포이드관(74) 내의 공기가 외부용기(10)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72)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72)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내부 체적이 늘어나고, 이에 따른 흡입력에 의해 외부용기(10) 내에 혼합된 제1, 2 내용물(C1, C2)을 스포이드관(74) 내부로 빨아들이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포이드부(70)의 손잡이(76)를 잡고 회전시켜 상기 스포이드부(70)를 회전부재(50)로부터 분리하고, 혼합 내용물이 흡입된 스포이드관(74)을 외부용기(10)와 내부용기(20)에서 빼낸다.
이후, 상기 스포이드관(74)의 단부를 피부에 근처에 위치시키고, 탄성 재질의 누름버튼(72)을 가압하면 상기 누름버튼(72)의 내부 체적이 줄어들면서, 누르는 압력에 의해 스포이드관(74) 내에 흡입되어 있던 혼합 내용물이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외부용기 20: 내부용기
30: 밀폐판 32: 상부연장돌륜
40: 회전캡 42: 제1 걸림돌기
50: 회전부재 52: 제2 걸림돌기
60: 작동부재 62: 삽입부
64: 수직유통홀 66: 가이드돌기
70: 스포이드부 72: 누름버튼
74: 스포이드관 76: 손잡이
80: 누름버튼커버 90: 와이퍼
C1: 제1 내용물 C2: 제2 내용물

Claims (7)

  1. 내부에 제1 내용물이 수용되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내측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며, 수직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제2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이 섞이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판;
    상기 외부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캡;
    상기 회전캡과 함께 회전되며, 사선가이드부가 형성된 회전부재;
    상기 내부용기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작동부재 및
    상기 외부용기에 수용된 제1, 2 내용물을 흡입, 배출하는 스포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재의 외주연에는 작동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유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가 외부용기의 하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수직유통홀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부용기의 하측으로 노출되면서 제1, 2 내용물 또는 공기의 이동 통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작동부재가 수직으로 이동되면서 밀폐판을 하측으로 밀어 상기 밀폐판을 내부용기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외부용기와 내부용기에 분리 수용된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이 섞여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판의 중앙에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작동부재의 중앙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스포이드부가 상기 제1 관통홀과 제2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외부용기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에는 제1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에는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밀폐판을 밀면서 외부용기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스포이드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 유도관이 되며, 밀폐판을 눌러 외부용기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부는 탄성재질의 누름버튼과 상기 누름버튼의 하측으로 연결된 스포이드관 및 상기 누름버튼과 스포이드관 외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0190058016A 2019-05-17 2019-05-17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197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016A KR102197420B1 (ko) 2019-05-17 2019-05-17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US16/866,235 US20200361694A1 (en) 2019-05-17 2020-05-04 Spuit type heterogeneous contents mixing container
CN202010406691.0A CN111942752A (zh) 2019-05-17 2020-05-14 滴液式异质内容物混合容器
FR2004863A FR3096039A1 (fr) 2019-05-17 2020-05-15 Récipient de mélange de contenus de type seringue
JP2020086153A JP2020189693A (ja) 2019-05-17 2020-05-15 スポイト型異種内容物混合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016A KR102197420B1 (ko) 2019-05-17 2019-05-17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120A KR20200133120A (ko) 2020-11-26
KR102197420B1 true KR102197420B1 (ko) 2021-01-04

Family

ID=7323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016A KR102197420B1 (ko) 2019-05-17 2019-05-17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361694A1 (ko)
JP (1) JP2020189693A (ko)
KR (1) KR102197420B1 (ko)
CN (1) CN111942752A (ko)
FR (1) FR30960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153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연우 내용물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3858A1 (de) * 2019-03-21 2020-09-24 Henkel Ag & Co. Kgaa Verpackungssystem für zumindest eine Produktzubereitungskomponente sowie zugehöriges Verfahren zur Handhabung der Produktzubereitungskomponente
DE102019203857A1 (de) * 2019-03-21 2020-09-24 Henkel Ag & Co. Kgaa Verpackungssystem für zumindest eine Produktzubereitungskomponente sowie zugehöriges Verfahren zur Handhabung der Produktzubereitungskomponente
KR102132301B1 (ko) * 2019-05-03 2020-07-10 펌텍코리아(주)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CA3139056A1 (en) * 2019-05-27 2020-12-03 Rpc Bramlage Gmbh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KR102343446B1 (ko) * 2021-11-15 2021-12-27 주식회사 파우코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KR200497848Y1 (ko) * 2022-09-29 2024-03-18 주식회사 고운세상코스메틱 화장품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284B1 (ko) * 2012-04-06 2014-03-05 (주)연우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75601Y1 (ko) 2013-05-20 2014-12-24 펌텍코리아 (주)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하는 화장품용기
KR101912587B1 (ko) * 2017-09-14 2018-10-30 펌텍코리아(주)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338Y2 (ja) * 1993-09-07 2000-01-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ポイト容器
KR200362397Y1 (ko) * 2004-06-30 2004-09-18 (주)연우 스포이트 타입 화장품 용기
JP4627006B2 (ja) * 2005-04-27 2011-02-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付き二剤混合容器
KR101280530B1 (ko) * 2011-11-21 2013-07-01 (주)연우 이종 액상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101478978B1 (ko) * 2013-01-15 2015-01-07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481959B1 (ko) * 2013-03-05 2015-02-04 (주)연우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911587B1 (ko) 2015-08-03 2018-10-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인 인트라 예측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284B1 (ko) * 2012-04-06 2014-03-05 (주)연우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75601Y1 (ko) 2013-05-20 2014-12-24 펌텍코리아 (주)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하는 화장품용기
KR101912587B1 (ko) * 2017-09-14 2018-10-30 펌텍코리아(주)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153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연우 내용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42752A (zh) 2020-11-17
FR3096039A1 (fr) 2020-11-20
JP2020189693A (ja) 2020-11-26
US20200361694A1 (en) 2020-11-19
KR20200133120A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420B1 (ko)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JP3725190B2 (ja) 一方向性の閉鎖部材が取り付けられた分与アセンブリ
JP3935514B2 (ja) 制御して空気吸入される分与アセンブリ
JP5985061B2 (ja) 自動充填及び定量吐出スポイト型容器キャップ
KR101332704B1 (ko) 일회용 분배 장치
KR20210005426A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05382B1 (ko) 차단부재에 의해 내용물 오염 및 누출이 방지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469765B1 (ko) 매니큐어 용기
EP2301377A2 (en) Liquid container with application function
KR101912587B1 (ko)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180134504A (ko) 이종 내용물 혼합 스포이드 용기
JP4808415B2 (ja) 2成分混合容器
US10220406B2 (en) Applicator having press button for discharging gel-type contents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KR102169977B1 (ko) 밀폐 기능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10224338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EP1626909A2 (en) System for supplying liquid or paste-like substances
KR102281825B1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101684846B1 (ko) 밸브구조를 포함한 회전식 온 오프 화장품용기
KR102614204B1 (ko) 저장 및 디스펜서 기기
KR102036479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40102886A (ko) 치약 용기 조립체
KR10260773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30174891A (ko) 이종 내용물 혼합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604245B1 (ko) 다수 내용물의 동시 토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