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802B1 -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802B1
KR102196802B1 KR1020157027848A KR20157027848A KR102196802B1 KR 102196802 B1 KR102196802 B1 KR 102196802B1 KR 1020157027848 A KR1020157027848 A KR 1020157027848A KR 20157027848 A KR20157027848 A KR 20157027848A KR 102196802 B1 KR102196802 B1 KR 10219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polyamide composition
inner liner
anhydride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666A (ko
Inventor
스테펜 핸리
젠구오 리우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50127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3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e.g. by ni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60C1/0008Compositions of the inner l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3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 acids,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76Neutralised polymers, i.e. i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와 반응성인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를 포함한다.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는 폴리아미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내부 라이너를 포함한다. 내부 라이너는폴리아미드 및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반응 생성물, 및 또한 (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 {INNER LINER FOR A PNEUMATIC TIRE ASSEMBL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내부 라이너는 폴리아미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환경적 우려 및 최근 연료 비용의 증가로 연료 효율적 차량에 대한 요구가 강조되고 있다. 공기입 타이어가 차량의 연료 효율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연료 효율적인 차량에 대한 이러한 요구를 다루는 한 방식은 공기입 타이어의 개선을 통하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공기입 타이어는 내부 라이너를 포함한다. 공기입 타이어의 부품으로서, 내부 라이너는 공기입 타이어에서 기체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입 타이어 내 타이어 내 타이어 압력을 유지시키는 블라더(bladder)로서 기능한다.
공기입 타이어 내 타이어 압력이 감소하면, 연료 효율도 감소한다. 기술적으로, 공기입 타이어의 공기압을 유지하는 능력은 그의 내부 라이너의 투과성과 관련이 있다. 투과성 측정은, 특정 시간 내에, 투과물, 압력, 온도 및 내부 라이너의 두께 및 표면적에 따라 얼마나 많은 투과물 (전형적으로 공기)이 내부 라이너를 투과하는 지를 측정한다.
내부 라이너는 전형적으로 할로겐화 고무 조성물, 가장 통상적으로는 할로겐화 부틸 고무 화합물로부터 형성된다.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할로겐화 고무 조성물은 지난 50년에 걸쳐 매우 약간 변화했다. 먼 과거에 사용되던 물질로 형성된 내부 라이너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투과성을 가지는 것에도 불구하고, 할로겐화 부틸 고무 화합물로부터 형성되는 내부 라이너는 여전히 공기입 타이어 밖으로 기체가 투과되어 나가도록 하여,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타이어 압력 감소를 야기한다. 즉, 다수의 다른 중합체 물질과 비교하여 할로겐화 고무를 포함하는 내부 라이너가 낮은 투과성을 갖지만, 즉 공기입 타이어에서 기체가 빠르게 새어나가는 것을 꽤 잘 방지하지만, 타이어의 투과성을 감소시켜 후속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른 타이어 압력 감소를 최소화하여 연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개선점은 여전히 요구된다.
또한, 할로겐화 부틸 고무를 포함하는 내부 라이너는 이력(hysteresis) 손실, 즉, 회복성에서의 손실을 또한 지닐 수 있으며, 이는 증가된 구름 저항성 및 감소된 연료 효율을 야기한다. 물리적 성질, 예컨대 이력 손실을 개선시키기 위해, 충전제는 전형적으로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할로겐화 고무로 배합된다. 충전제의 사용은 밀도를 증가시켜 내부 라이너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연료 효율을 감소시킨다.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데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투과성 및 회복성에 의해 생성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대안적인 물질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물질은 내부 라이너에 요구되는 온도 저항성과 같은 물리적 성질을 모두 갖지는 않으며, 또는 비용에 영향을 주는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를 추가로 변화시키는 것이 추가로 요구된다.
따라서, 현저히 불투과성이고, 회복력있고, 온도 저항성이고 가벼운 중량인 개선된 내부 라이너를 개발할 기회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의 개요 및 장점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용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A) 폴리아미드; (B) 폴리아미드와 반응성인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C)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D) 합성 왁스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 (A+B):C의 중량 비율은 2:1 내지 4:1이고,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 C:D의 중량 비율은 10:1 내지 100:1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를 제공한다. 내부 라이너는 폴리아미드 및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반응 생성물 및 또한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을 포함한다.
그의 화학적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내부 라이너는 훌륭한 성능 특성을 지닌다. 폴리아미드 및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반응 생성물은 공유 결합되어 있고 내구성 있다. 이오노머는 폴리아미드 및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반응 생성물과 이온성 결합을 형성하여 내부 라이너의 강도 및 구조적 회복성에 추가로 기여한다. 이오노머는 폴리아미드에 공유 결합하지 않으므로, 이는 폴리아미드 및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반응 생성물과 이온성으로 상호작용하여, 내부 라이너의 증가된 균질성 및 개선된 물리적 성질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내부 라이너는 불투과성이고, 회복력있고, 온도 저항성이고 가벼운 중량이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조성물,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방법 및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를 제공한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와 반응성인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합성 왁스를 포함한다. 내부 라이너는 폴리아미드 및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반응 생성물, 및 또한 (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내부 라이너는 비제한적으로, 자동차, 트럭, 트랙터 등을 비롯한 소비자용, 잔디 관리용, 농업 및 건설 기계용 공기입 타이어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내부 라이너는 일원화 구성일 수 있거나, 함께 연결된 둘 이상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내부 라이너는 일원화 구성의 것, 즉 한 부분이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와 반응성인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를 포함하고, 한 실시양태에서, 합성 왁스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는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는 전형적으로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6/66,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 6은 또한 폴리카프로락탐으로 공지되어 있고 바스프 코포레이션(BASF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울트라미드(ULTRAMID)® B, 울트라미드® B27, 울트라미드® B32, 울트라미드® B33, 울트라미드® B36, 울트라미드® B36 LN, 울트라미드® B40 L 및 울트라미드® B40 LN으로 시판된다. 폴리아미드 6,6은 헥사메틸렌 디아민 및 아디프산의 반응 생성물이고 바스프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상표명 울트라미드® A, 울트라미드® A27 E 01, 울트라미드® A34 01 및 울트라미드® A44 01로 시판된다. 폴리아미드 6/66은 폴리아미드 6 및 폴리아미드 66의 공중합체이고 바스프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상표명 울트라미드® C, 울트라미드® C33 01, 울트라미드® C33L 01, 울트라미드® C33LN 01, 울트라미드® C40 L 01 및 울트라미드® C40LX 01로 시판된다.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100중량부의 폴리아미드 조성물 당 전형적으로 30 내지 75, 더 전형적으로 35 내지 70, 가장 전형적으로 50 내지 6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한, 하나 초과의 폴리아미드를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포함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이 경우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모든 폴리아미드의 총량은 상기 범위 내이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또한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예컨대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는 공중합체가 다양한 조건 하에서 무수물-관능성 기와 접촉하여 관능성 기의 전체 또는 일부가 공중합체에 혼입, 그래프팅, 결합, 물리적으로 부착 및/또는 화학적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는 폴리아미드와 반응성이다. 즉,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무수물-관능성 기는 폴리아미드의 아미노 말단 기와 반응하여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지칭될 수 있는 반응 생성물을 형성한다.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는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위에 무수물-관능기가 그래프팅된 공중합체일 수 있고, 또는 무수물 관능성 모이어티의 중합 생성물일 수 있다. 즉, "무수물-관능성"은 또한, 무수물 관능성 기를 갖는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올레핀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및 무수물 관능성 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로부터 직접 (또는 관능성 기를 갖는 개시제를 사용하여) 중합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특히 바람직한 무수물 관능성 기의 예에는, 비제한적으로, 말레산 무수물, 프탈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2-메틸 말레산 무수물, 2-클로로말레산 무수물, 2,3-디메틸말레산 무수물, 비시클로[2,2,1]-5-헵텐-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및 4-메틸-4-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비시클로(2.2.2)옥트-5-엔-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 1,2,3,4,5,8,9,10-옥타히드로나프탈렌-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 2-옥사-1,3-디케토스피로(4.4)비-7-엔, 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말레오피마르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노르보른-5-엔-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 나딕산 무수물, 메틸 나딕산 무수물, 히믹산 무수물, 메틸 히믹산 무수물 및 x-메틸-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 (XMNA)이 포함된다.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포화 공중합체 위에, 전형적으로 압출을 통해 말레산 무수물을 그래프팅하여 형성된다. 말레산 무수물-관능성 중합체가 바람직하며, 이는 말레산 무수물 기의 폴리아미드의 아미노 기와의 높은 반응성도 덕분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이다. 본 실시양태에서,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전형적으로 5% 미만, 전형적으로 4% 미만, 전형적으로 3% 미만, 전형적으로 2% 미만, 가장 전형적으로 0.2 내지 1.5중량%의 말레산 무수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양태의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전형적으로 용융-그래프팅된 말레산 무수물을 포함하며, 이는 전형적으로 선형 분자 구조를 갖는 것으로 추가로 정의된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물리적 성질, 예를 들어 저온 충격 강도 및 높은 파단 신율은 (1)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충격 개질제)의 우수한 분산, (2)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와 폴리아미드 사이의 화학적 상호작용 및 (3)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의 낮은 결정도에 기인할 수 있다.
충격 개질제의 분산은 폴리아미드 및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둘 다의 점도 및 혼합 (배합) 방법의 영향을 받는다. 점도는 용융 지수 또는 모세관 레오메트리 방법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와 폴리아미드 사이의 화학적 상호작용,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과 폴리아미드의 아민 말단 기 사이의 화학 반응은, 상대적으로 경질의 폴리아미드에서 탄성 충격 개질제로 충격 응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보다 높은 옥텐 함량의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는 보다 낮은 결정도를 가지며, 이는 저온 충격 강도를 개선시킨다. 0.2중량% 미만의 말레산 무수물을 포함하는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전형적으로 열등한 저온 충격 강도를 갖는다.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100중량부의 폴리아미드 조성물 당 전형적으로 5 내지 55, 더 전형적으로 10 내지 45, 가장 전형적으로 15 내지 3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또한, 하나 초과의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가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이 경우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모든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총량은 상기 범위 내이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또한 이오노머, 예컨대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를 포함한다. 이오노머가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첨가되어 그로부터 형성된 내부 라이너의 내구성 (마모 저항성), 인장 특성 및 고온 성능을 개선시킨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길 바라면서, 이오노머는 금속 이온을 통한 "이온성" 가교결합을 추가로 도입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오노머가 내부 라이너에 부여하는 특성은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및 말레산 무수물 관능성 중합체의 특성 및 또한 내부 라이너가 형성되는 가공 파라미터에 부분적으로 좌우된다.
전형적으로 올레핀 및 카르복실산을 공중합하여 중합체 사슬을 따라 랜덤하게 분포되는 산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를 제조함으로써 이오노머가 제조된다. 일부 예에서, 부가적 단량체, 예컨대 아크릴산 에스테르는 혼입되어 삼원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원중합체는 올레핀, 아크릴레이트 및 카르복실산을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오노머성 수지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올레핀에는, 비제한적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1, 헥센-1 등이 포함된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에는, 비제한적으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에타크릴산, α-클로로아크릴산 등이 포함된다. 이오노머성 삼원중합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아크릴레이트에는, 비제한적으로,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이오노머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및 전형적으로 5 내지 40, 더 전형적으로 8 내지 15중량%의 에틸렌계 불포화 모노- 또는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며, 목적하는 정도로 금속 이온으로 중화시킨 염기성 공중합체이다. 전형적으로, 20% 이상, 더 전형적으로 30 내지 90%의 이오노머의 카르복실산 기는 금속 이온, 예컨대 소듐, 포타슘, 아연,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중화되고, 이온성 상태로 존재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이오노머는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아연 착물로, 즉, 아연으로 중화된 것으로 추가로 정의된다.
이오노머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100중량부의 폴리아미드 조성물 당 전형적으로 5 내지 55, 더 전형적으로 15 내지 45, 가장 전형적으로 20 내지 3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당연히, 2종 이상의 이오노머가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 초과의 이오노머가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이 경우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모든 이오노머의 총량은 상기 범위 내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이오노머는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로 추가로 정의된다. 본 실시양태에서,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100중량부의 폴리아미드 조성물 당 전형적으로 5 내지 55, 더 전형적으로 10 내지 45, 가장 전형적으로 15 내지 3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윤활제로도 지칭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합성 왁스를 임의로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어 "왁스"는 상온 근처에서 가소성 (가단성(malleable))인 화학 화합물의 계열을 지칭한다. 왁스는 전형적으로 45℃ (113°F) 초과에서 용융되어 저점도 액체를 제공한다. 왁스는 또한 전형적으로 물 중에서 불용성이나 유기, 비극성 용매 중에서는 가용성이다. 모든 왁스는 합성 및 천연 발생 둘 다의 유기 화합물이다. 합성 왁스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첨가되어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가공성 및 그로부터 형성되는 내부 라이너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시킨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에틸렌 기재), 피셔-트롭쉬 왁스, 화학 개질된 (주로 에스테르화된 또는 비누화된) 왁스, 치환된 아미드 왁스, 중합된 α-올레핀 및 금속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합성 왁스가 있다. 그러므로,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폴리에틸렌 왁스, 피셔-트롭쉬 왁스, 화학 개질된 왁스, 치환된 아미드 왁스, 중합된 α-올레핀, 금속 스테아레이트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합성 왁스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치환된 아미드 왁스, 예컨대 N,N-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치환된 아미드 왁스는 지방산 아미드화의 반응 생성물이고 독특한 특성, 예컨대 상대적으로 높은 용융점 및 아미드 관능도를 갖는다. 수지 조성물 중에 포함될 때, N,N-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는 내부 라이너의 물리적 성질, 예컨대 파단 신율을 개선시키고, 용융 공정 동안 내부-외부 윤활제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치환된 아미드 왁스는 N,N-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를 포함하고, ASTM D974에 따라 시험시 130 내지 150℃의 용융점, 5 내지 10mg KOH/g의 산가를 갖는다.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치환된 아미드 왁스, 금속 스테아레이트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합성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N,N-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 및 소듐 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합성 왁스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100중량부의 폴리아미드 조성물 당 전형적으로 0.1 내지 10, 더 전형적으로 0.2 내지 5, 더욱 더 전형적으로 0.3 내지 3, 가장 전형적으로 0.3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된다. 또한, 하나 초과의 합성 왁스가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이 경우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모든 합성 왁스의 총량은 상기 범위 내이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길 바라면서, 합성 왁스는 구성요소들, 즉 폴리아미드,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및 이오노머를 상용화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되는 물품, 예를 들어, 내부 라이너의 물리적 성질이 유의하게 개선된다. 또한, 폴리아미드 조성물로의 합성 왁스의 혼입이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 가소제의 사용을 필요 없게 만드는 것으로 여겨진다. 가소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출되는 경향이 있고, 이는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되는 물품의 물리적 성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 조성물에는 가소제가 실질적으로 부재한다. 바로 위에서 사용되는 용어 "실질적으로 부재"는 100중량부의 폴리아미드 조성물 당 0.1중량부 미만의 가소제의 양을 지칭한다.
더욱이,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또는 합성 왁스가 아닌 첨가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에는, 비제한적으로, 산화 및 열 안정화제, 이형제, 난연제, 산화 저해제, 산화 스캐빈저, 중화제, 블록방지제, 염료, 안료 및 기타 착색제, 자외선 광 흡수제 및 안정화제, 강화제, 기핵제, 가소제, 핫멜트 접착제, 및 그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산화 및 열 안정화제에는, 비제한적으로, 금속 할라이드, 예컨대 소듐 할라이드, 포타슘 할라이드, 리튬 할라이드, 할로겐화 제1구리, 및 또한 각각에 상응하는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및 아이오다이드, 및 그의 조합이 포함된다. 또한, 장애 페놀, 히드로퀴논, 방향족 아민, 및 그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 가소제에는, 비제한적으로, 락탐, 예컨대 카프로락탐 및 라우릴 락탐, 술폰아미드, 예컨대 오르토- 및 파라-톨루엔술폰아미드 및 N-에틸, N-부틸벤젠 술폰아미드, N-(2-히드록시프로필) 벤젠 술폰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헥소에이트, 및 그의 조합, 및 또한 관련분야에서 공지된 기타 가소제가 포함된다. 첨가제는, 사용된다면, 100중량부의 폴리아미드 조성물 당 전형적으로 0.5 내지 15의 양, 더 전형적으로 1.0 내지 10의 양, 가장 전형적으로 1.5 내지 7.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A) 폴리아미드; (B)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C)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D) 합성 왁스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양태에서, (A+B):C의 비율은 전형적으로 1:1 내지 5:1, 더 전형적으로 2:1 내지 4:1, 가장 전형적으로 3:1 내지 4:1이고, C:D의 비율은 전형적으로 10:1 내지 100:1, 더 전형적으로 18:1 내지 70:1, 가장 전형적으로 30:1 내지 70:1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은 폴리아미드 조성물이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징을 변화시키는, 임의의 요소 또는 요소의 조합, 및 또한 임의의 양의 임의의 용소 및 요소의 조합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합성 왁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 조성물에는 관련분야에 공지된 다른 중합체 (엘라스토머 포함), 관련분야에 공지된 충전제 (강화 충전제 포함) 및 관련분야에 공지된 가소제가 실질적으로 부재한다. 바로 위에서 사용되는 용어 "실질적으로 부재"는 100중량부의 폴리아미드 조성물 당 0.1중량부 미만의 양을 지칭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A) 폴리아미드; (B)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C)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D) 합성 왁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양태에서, (A+B):C의 비율은 전형적으로 1:1 내지 5:1, 더 전형적으로 2:1 내지 4:1, 가장 전형적으로 3:1 내지 4:1이고, C:D의 비율은 전형적으로 10:1 내지 100:1, 더 전형적으로 18:1 내지 70:1, 가장 전형적으로 30:1 내지 70:1이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된 폴리아미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를 포함한다.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는 폴리아미드 및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반응 생성물 및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임의로 합성 왁스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 및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반응 생성물 및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는 내부 라이너 중에 100중량부의 내부 라이너 당 전형적으로 15 내지 99, 더 전형적으로 30 내지 99, 가장 전형적으로 60 내지 98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당연히,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는 내부 라이너 중에 100중량부의 내부 라이너의 당 전형적으로 5 내지 55, 더 전형적으로 10 내지 45, 가장 전형적으로 15 내지 3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고, 합성 왁스는, 존재한다면, 내부 라이너 중에 100중량부의 내부 라이너 당 전형적으로 0.1 내지 10, 더 전형적으로 0.2 내지 5, 더욱 더 전형적으로 0.3 내지 3, 가장 전형적으로 0.3 내지 2.0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내부 라이너는 상대적으로 저밀도이다. 즉, 내부 라이너는 전형적으로 0.8 내지 1.15, 더 전형적으로 0.9 내지 1.10, 가장 전형적으로 1.0 내지 1.05g/cm3의 비중을 갖는다.
내부 라이너는 ISO 1133에 따라 시험했을 때, 0.5 내지 15, 더 전형적으로 1 내지 10, 가장 전형적으로 1 내지 5g/10분의 용융 유량을 가지고, ISO 178에 따라 시험했을 때, 실온에서 전형적으로 350 내지 700, 더 전형적으로 450 내지 600, 가장 전형적으로 500 내지 550MPa의 굴곡 탄성률을 갖는다. 용융 점도 및 굴곡 탄성률은 내부 라이너의 가공성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내부 라이너는 특출한 내구성을 지니면서 우수한 투과 특성을 갖는다. 내부 라이너의 장벽 특성과 특히 관련하여, 내부 라이너는 ASTM F3985에 따라 시험시 전형적으로 100 미만, 더 전형적으로 1 내지 15, 가장 전형적으로 2 내지 10cm3·mm/(m2·일)의 산소 투과율을 갖는다. 강도 및 탄성과 특히 관련하여, 내부 라이너는 ISO 527에 따라 시험시 전형적으로 5 내지 50, 더 전형적으로 8 내지 40, 가장 전형적으로 10 내지 30MPa의 50% 신장에서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내부 라이너는 ISO 527에 따라 시험시 전형적으로 200 초과, 더 전형적으로 300 내지 700, 가장 전형적으로 400 내지 600%의 파단 신율을 갖는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의 부품으로서, 내부 라이너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층은, 내부 라이너의 적어도 하나의 층이 상기 기재된 폴리아미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부 라이너는 내부 라이너 접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 및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반응 생성물 및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임의로 합성 왁스를 포함하는 내부 라이너는 임의의 공지된 적층 기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방식으로 내부 라이너 접착 조성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라이너 접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내부 라이너는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내부 라이너 접착 조성물의 다중-층 공-압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임의로, 접착 층은 폴리아미드 조성물에 침지 코팅, 분무 코팅 또는 접착제를 적용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에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폴리아미드,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를 배합하고, 그로부터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방법은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이축 스크류 압출을 통해 배합하고, 주조 또는 취입 필름 압출을 통해 배합된 폴리아미드 조성물로부터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조 필름 압출 공정 동안,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주어진 두께의 슬롯 다이를 통해 공급하고, 다이로부터 배출시 이를 냉각 롤 상에서 켄칭시켜 폴리아미드 조성물 필름을 형성한다. 폴리아미드 조성물 필름은 스풀에 권취되기 전에 여러 냉각 롤러 위를 통과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배합은 폴리아미드,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합성 왁스를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합의 단계는, 비제한적으로, 직접 압출, 벨트 압출, 반응 압출, 반응 사출 성형, 수직 혼합, 수평 혼합, 공급 혼합, 및 그의 조합을 비롯한 관련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합의 단계는 폴리아미드,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임의로, 합성 왁스를 이축 스크류 압출기 내에서 조합하는 것으로 추가로 정의된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배합은 폴리아미드 전체 또는 일부가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와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배합은, 배합 장치 내부, 배합 장치 외부, 또는 배합 장치 외부 및 배합 장치 내부 모두에서 폴리아미드,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합성 왁스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가열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방법은 또한 배합된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펠릿화, 다이싱(dicing) 또는 과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합된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수중 펠릿화기 또는 스트랜드 펠릿화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방법은 폴리아미드 조성물로부터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주로 펠릿 형태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필름 또는 얇은 시트로 압출하고, 그로부터 내부 라이너를 형성한다. 그러나,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방법은 압출 공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내부 라이너는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방법은 내부 라이너 접착 조성물 및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적층시켜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단계를 임의로 포함한다. 내부 라이너 접착 조성물은 다중-층 공-압출, 다중-층 인플레이션 성형 등과 같은 공정으로 폴리아미드 조성물 위에 적층시킬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된다.
실시예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본 발명에 따라 형성했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포뮬러는 아래 표 1에 기재했다.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와 반응성인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합성 왁스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이축 스크류 압출기로 배합했다. 배합/압출 직후,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펠릿화했다. 일단 펠릿화하면,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건조하고 단일축 스크류 압출 주조 필름 라인을 사용하여 시험 시트로 압출했다. 시험 시트를 23분 동안 170℃에서 노화시켜, 타이어 생산 공정의 경화 단계를 시뮬레이션했다. 폴리아미드 및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는 배합 및 후속 압출 및 가열 공정 동안 반응하여 물품, 예컨대 내부 라이너를 형성했다. 이제 폴리아미드 및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의 반응 생성물,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합성 왁스,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시험 시트를 분석하여 물리적/성능 특성을 측정했다.
이제 표 1을 참고하며,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 구성요소의 양 및 유형을, 모든 값을 100중량부의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기준으로 한 중량부로 기재했다.
Figure 112015096960875-pct00001
폴리아미드는 폴리아미드 6/66이다.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이다.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는 에틸렌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연 이오노머이다.
합성 왁스 1은 N,N-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이다.
합성 왁스 2는 소듐 스테아레이트이다.
첨가제 2는 열 안정화제이다.
폴리아미드 조성물은 이축 스크류 동시-회전 압출기 상에서 배합했다. 관련분야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배합은 혼합물을 제조하는 기법이다. 여기서,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혼합물의 스트랜드를 형성했다. 이축 스크류 압출기는 금속 배럴 안에서 특정 속도 (RPM)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스크류를 포함하여, 폴리아미드,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합성 왁스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의 혼합물을 이동시킨다. 배럴 및 스크류는 혼합물에 전단을 부여하는 베어링 표면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양의 전단 혼합을 생성하기 위해 여러 스크류 기하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가열 매체는 배럴 주변에 장착되고, 관련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가공 조건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배럴 내 온도 구역을 확립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정 배합 조건은 아래 표 2에 기재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개별 구성요소를 제1 구역 (구역 1) 내 이축 스크류 압출기에 첨가하고, 다양한 온도로 가열된 일련의 9개의 부가적 구역 (구역 2-10)에 통과시킨다. 약 100mbar의 진공을 구역 8에 적용하여 원치않는 휘발물질을 제거했다. 그 후,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스트랜드 다이에 통과시켜 스트랜드를 형성하고, 이를 물로 냉각시키고 펠릿화했다. 이제 펠릿화된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후속하여, 아래 기재된 바와 같은 주조 필름 다이를 갖는 단일축 스크류 압출기 상에서 시험 시트로 압출했다.
Figure 112015096960875-pct00002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주조 필름 라인을 갖는 단일축 스크류 압출기 상에서 시험 시트로 압출했다. 시험 시트의 두께는 대략 0.1 내지 0.8mm이다.
Figure 112015096960875-pct00003
시험 시트를 일정 범위의 온도에 걸쳐 시험하여 다양한 물리적 및 성능 특성을 측정했다. 일단 형성되면, 시험 시트를 분석하여 투과율, 23℃에서 50% 신장에서의 인장 강도, 23℃에서 파단 신율, -40℃에서 아이조드(Izod) 충격 강도 및 용융점을 측정했다. 사용된 시험 방법 및 결과는 아래 표 4에 기재했다.
Figure 112015096960875-pct00004
표 4의 결과가 입증하는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그로부터 형성된 물품은 넓은 범위의 온도에 걸쳐 훌륭한 물리적 성질을 지닌다. 이러한 시험 결과를 고려하면, 폴리아미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물품을, 다른 중합체 물질, 예를 들어 할로겐화 부틸 고무를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적용예, 예를 들어 타이어 내부 라이너에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구체적인 실시양태들 사이에서 가변적일 수 있는 표현 및 구체적인 화합물, 조성물 또는 방법으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양태들의 구체적인 특징부 또는 측면을 기술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의존하는 임의의 마쿠시(Markush) 군과 관련하여, 모든 다른 마쿠시 구성원과 관계없이 각 마쿠시 군의 각 구성원으로부터 상이하고/거나, 특별하고/거나 예상되지 않는 결과가 수득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마쿠시 군의 각 구성원은 개별적으로 및/또는 조합으로써 의존될 수 있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구체적인 실시양태에 대한 적정한 지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들을 기술함에 있어서 의존하는 모든 범위 및 하위범위들은 독립적 및 집합적으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며, 본원에 해당 값들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할지라도, 그 안의 자연수 및/또는 분수 값들을 포함한 모든 범위를 기술 및 고려하는 것으로 양해된다는 것 역시 이해되어야 한다. 관련분야의 기술자라면, 열거된 범위 및 하위범위들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들을 충분히 기술하여 가능케 한다는 것, 그리고 그와 같은 범위 및 하위범위들이 관련 절반, 3분의 1, 4분의 1, 5분의 1 등으로 더 서술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단지 한 예로서, "0.1 내지 0.9"의 범위는 하위 3분의 1, 즉 0.1 내지 0.3, 중간 3분의 1, 즉 0.4 내지 0.6, 및 상위 3분의 1, 즉 0.7 내지 0.9로 더 서술될 수 있는데, 이들은 개별적 및 집합적으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며, 개별적 및/또는 집합적으로 의존됨으로써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범주 내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들에 대하여 적정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초과", "미만", "이하" 등과 같이 범위를 정의하거나 수식하는 언어와 관련하여, 하위범위 및/또는 상한 또는 하한이 그와 같은 언어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 다른 예로서, "10 이상"의 범위에는 본질적으로 10 이상 내지 35의 하위범위, 10 이상 내지 25의 하위범위, 25 내지 35의 하위범위 등이 포함되며, 각 하위범위는 개별적 및/또는 집합적으로 의존됨으로써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범주 내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들에 대하여 적정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시된 범위 내의 개별 숫자에 의존하여,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범주 내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들에 대하여 적정한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 내지 9"의 범위에는 3과 같은 여러 개별 정수들은 물론, 4.1과 같이 소수점을 포함하는 개별 숫자 (또는 분수)도 포함되며, 이에 의존하여,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범주 내의 구체적인 실시양태들에 대하여 적정한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식으로 기술되었으며, 사용된 용어가 제한보다는 설명의 언어적 특성을 가지도록 의도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당연히, 상기 교시에 비추어,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변이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과 다르게 본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8)

  1.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용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기 위한 폴리아미드 조성물이며,
    A) 폴리아미드;
    B) 상기 폴리아미드와 반응성인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C)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D) 합성 왁스
    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 (A+B):C의 중량 비율은 2:1 내지 4:1이고;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 중 C:D의 중량 비율은 10:1 내지 100:1이고,
    단 할로겐화 이소올레핀 파라알킬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은 제외되는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상기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상기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및 상기 합성 왁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실질적으로 부재한 폴리아미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가 아연 착물로서 추가로 정의되는 것이거나, 상기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가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로서 추가로 정의되는 것이거나, 또는 양쪽 모두인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가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 100중량부 당 5 내지 5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거나, 상기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가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 100중량부 당 5 내지 5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거나, 상기 폴리아미드가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 100중량부 당 30 내지 7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거나, 또는 이들 중 임의의 조합인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왁스가 N,N-에틸렌 비스-스테아르아미드 또는 소듐 스테아레이트,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거나, 상기 합성 왁스가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 100중량부 당 0.1 내지 10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거나, 또는 양쪽 모두인 것인 폴리아미드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내부 라이너 중 적어도 1개의 층이
    A) i. 폴리아미드; 및
    ii.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의 반응 생성물; 및
    B)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
    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조성물을 포함하고,
    단,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로부터 할로겐화 이소올레핀 파라알킬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은 제외되는 것인,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가 아연 착물로서 추가로 정의되는 것이거나, 상기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가 말레산 무수물 개질된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로서 추가로 정의되는 것이거나,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이 치환된 아미드 왁스, 금속 스테아레이트 및 그의 조합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합성 왁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거나, 또는 이들 중 임의의 조합인 것인 내부 라이너.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생성물이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 100중량부 당 15 내지 99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가 상기 폴리아미드 조성물 100중량부 당 5 내지 5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내부 라이너.
  16. 제11항에 있어서, 0.8 내지 1.15g/cm3의 비중을 갖는 내부 라이너.
  17. 제11항에 있어서, ASTM F3985에 따라 시험시 100cm3·mm/(m2·일) 미만의 산소 투과율을 갖는 내부 라이너.
  18. 폴리아미드 조성물, 무수물-관능성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코-메타크릴산) 이오노머를 배합하는 단계 및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1항, 제12항 및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내부 라이너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157027848A 2013-03-13 2014-03-04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 KR102196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79682P 2013-03-13 2013-03-13
US61/779,682 2013-03-13
PCT/US2014/020244 WO2014164054A1 (en) 2013-03-13 2014-03-04 Inner liner for a pneumatic tir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666A KR20150127666A (ko) 2015-11-17
KR102196802B1 true KR102196802B1 (ko) 2020-12-30

Family

ID=5044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848A KR102196802B1 (ko) 2013-03-13 2014-03-04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546266B2 (ko)
EP (1) EP2970663B1 (ko)
JP (1) JP6433971B2 (ko)
KR (1) KR102196802B1 (ko)
CN (1) CN105209548B (ko)
BR (1) BR112015022110A2 (ko)
CA (1) CA2902328A1 (ko)
MX (1) MX2015012044A (ko)
WO (1) WO2014164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127A (ko) * 2014-12-19 2017-08-25 바스프 에스이 복합 물품
EP3034577A1 (en) * 2014-12-19 2016-06-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thermoplastic innerliner
KR102149520B1 (ko) * 2014-12-30 2020-08-2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분자 필름
BR112020005633B1 (pt) * 2017-09-20 2023-10-03 Basf Se Composição de poliamida resistente ao calor, método para formar um material de poliamida resistente ao calor e material de poliamida resistente ao calor
KR102275120B1 (ko) * 2018-09-28 2021-07-07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20206108A1 (en) * 2019-04-04 2020-10-08 Arkema France Impact resistant hydrophobic high heat optical acrylic copolymers
US11891466B2 (en) 2022-03-04 2024-02-06 Trinseo Europe Gmbh Heat resistant PMMA copolymers having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al stability for electronic component appl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5645A (ja) * 2010-06-11 2011-12-2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積層体
JP2012046614A (ja) * 2010-08-26 2012-03-08 Yokohama Rubber Co Ltd:The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0534A (en) 1976-12-27 1978-12-19 Monsanto Company Elastoplastic compositions of butyl rubber and polyolefin resin
US4121642A (en) 1977-03-04 1978-10-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neumatic tire
US4214619A (en) 1977-04-28 1980-07-29 The B. F. Goodrich Company Puncture-sealing tire
US4284742A (en) 1977-04-28 1981-08-18 The B. F. Goodrich Company Puncture-sealing tire
US4263075A (en) 1977-04-28 1981-04-21 The B. F. Goodrich Company Method of making a puncture-sealing tire with sealant consisting of a vinylidene-terminated liquid polymer and an amine
MX153272A (es) 1978-09-08 1986-09-08 Lim Kunststoff Tech Gmbh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llanta neumatica mejorada
JPS57151402A (en) 1981-03-13 1982-09-18 Bridgestone Corp Pneumatic tyre
US4502520A (en) 1984-04-02 1985-03-0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having air retention innerliner
US5085942A (en) 1985-01-22 1992-02-04 The Uniroyal Goodrich Tire Company Sealant product, laminate thereof, and pneumatic tire constructed therewith
US4913209A (en) 1985-01-22 1990-04-03 The Uniroyal Goodrich Tire Company Sealant product, laminate thereof, and pneumatic tire constructed therewith
JPS6262849A (ja) 1985-09-12 1987-03-19 Bridgestone Corp インナ−ライナ−用ゴム組成物
JPS63149209A (ja) 1986-06-19 1988-06-22 Bridgestone Corp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4928741A (en) 1986-11-14 1990-05-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ubber tire having polyvinylidene chloride/elastomer inner liner coating
US4874670A (en) 1987-11-30 1989-10-1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having cured photopolymer air barrier coating
US5036113A (en) 1987-11-30 1991-07-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having radiation cured air barrier coating
EP0452305B1 (en) * 1987-12-14 1994-11-30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mproved nylon compositions for blowmolding
DE68919714T2 (de) * 1987-12-14 1995-05-11 Du Pont Nylonzusammensetzung geeignet zum Blasformen.
JPH01223004A (ja) 1988-03-01 1989-09-06 Bridgestone Corp 高内圧・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5040583A (en) 1988-04-11 1991-08-20 Hercules Incorporated Tire innerliner
JP2693612B2 (ja) * 1989-01-04 1997-12-24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吹込成型のための改良ナイロン配合物
JPH045104A (ja) 1990-04-23 1992-01-09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法
JPH0459403A (ja) 1990-06-28 1992-02-26 Yokohama Rubber Co Ltd:The ランフラット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870703B2 (ja) 1990-11-28 1999-03-17 住友ゴム工業 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S2077424T3 (es) 1991-05-24 1995-11-16 Dow Chemical Co Peliculas de barrera elastomeras para cubiertas.
US5228938A (en) 1991-06-12 1993-07-2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ubber surface treatment and products derived therefrom
US5265660A (en) 1991-07-11 1993-11-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construction combining the toeguard and inner liner
EP0644918B1 (en) 1992-06-11 1999-11-10 Zeon Chemicals Usa, Inc. Curable halobutyl rubber/poly-epihalohydrin rubber blends
US5392830A (en) 1993-03-10 1995-02-28 General Tire, Inc. Protective barrier for tire sidewall
JP3240057B2 (ja) 1993-04-05 2001-12-17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複合材料タイヤ用インナーライナー及びチューブ
DE69413143T2 (de) 1993-07-08 1999-01-28 Sumitomo Rubber Ind Kautschukmischung für Innenschichten von Reifen
JP2962658B2 (ja) 1994-08-22 1999-10-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チューブレスタイヤ
US5992486A (en) 1994-09-13 1999-11-30 Gunze Limited Laminate gas barrier layer for pneumatic tires
US6079465A (en) 1995-01-23 2000-06-27 The Yokohama Rubber Co., Ltd. Polymer composition for tire and pneumatic tire using same
JP3212470B2 (ja) 1995-02-16 2001-09-25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ポリマー組成物
JPH08217922A (ja) 1995-02-16 1996-08-2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3217239B2 (ja) 1995-01-23 2001-10-09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空気入りタイヤ
JP3153093B2 (ja) 1995-02-16 2001-04-0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3150561B2 (ja) 1995-01-25 2001-03-2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3620882B2 (ja) 1995-02-16 2005-02-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16285A (ja) 1995-02-15 1996-08-27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EP0952010B1 (en) 1995-01-27 2009-03-18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0162158B1 (ko) * 1995-02-17 1999-01-15 홍건희 내피로성 타이어 가황 브래더의 고무조성물
JP3126286B2 (ja) 1995-03-15 2001-01-2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29594B1 (ko) 1995-03-24 1999-11-15 하기와라 세이지 공기타이어
EP0761477B1 (en) 1995-03-24 2002-08-07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DE69622505T2 (de) 1995-05-02 2002-12-12 Yokohama Rubber Co Lt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luftreifen
WO1997043136A1 (fr) 1996-05-14 1997-11-20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que
KR100272125B1 (ko) 1996-05-29 2000-11-15 하기와라 세이지 저투과성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기체 투과 방지층에 사용하는 공기 주입 타이어 및 이에 사용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JP3786471B2 (ja) * 1996-07-03 2006-06-1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26291B2 (ja) 1996-08-07 2005-03-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3232262B2 (ja) 1997-05-30 2001-11-2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CN1153686C (zh) 1997-06-09 2004-06-16 英麦特股份股份有限公司 水性阻隔涂料混合物、有阻隔涂层的制品和轮胎以及制造涂覆制品的方法
JP3198077B2 (ja) 1997-06-27 2001-08-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WO1999036471A1 (fr) 1998-01-13 1999-07-22 The Yokohama Rubber Co., Ltd. Composition elastomere thermoplastique, son procede de production, pneumatique et tube fabrique avec ce dernier
EP0997325B1 (en) 1998-10-29 2003-08-20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neumatic tyre
US6827115B1 (en) 1999-10-18 2004-12-07 John See Van Hoose Bead construction
US6964719B1 (en) 1999-10-18 2005-11-1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tires
WO2001062846A1 (fr) 2000-02-28 2001-08-30 Bridgestone Corporation Composition de caoutchouc pour gomme interieure
US6617383B2 (en) 2000-04-11 2003-09-09 The Yokohama Rubber Co., Ltd.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and tire using the same
US6376598B1 (en) 2000-06-15 2002-04-23 Exxon Mobil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blend
JP2002052907A (ja) 2000-08-11 2002-02-19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053719B2 (ja) 2000-09-08 2008-02-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ランフラット性を向上したタイヤ
JP4880810B2 (ja) 2000-09-27 2012-02-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EP1201414B2 (en) 2000-10-30 2019-12-0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idewall of a pneumatic tire
WO2002036367A1 (en) 2000-10-31 2002-05-10 Continental Automotive Licensing Corp. Pneumatic tire with cords adhered directly to inner liner
DE60219417T2 (de) 2001-01-11 2007-08-2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Kobe Druckluftreifen
JP4501097B2 (ja) 2001-01-12 2010-07-1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装着用トランスポンダ及びトランスポンダ装着タイヤの製造方法
WO2002096676A1 (fr) 2001-05-29 2002-12-05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neu et procede de fabrication
US7117911B2 (en) 2001-09-05 2006-10-10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having run flat capability
US20040084120A1 (en) 2001-11-30 2004-05-06 Jesse Arnold Tire with marked layers
WO2003061991A1 (fr) 2002-01-24 2003-07-31 Bridgestone Corporation Pneu radial et procede de production
US6756443B2 (en) * 2002-01-25 2004-06-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onomer/polyamide blends with improved flow and impact properties
JP4162519B2 (ja) 2002-03-27 2008-10-08 横浜ゴム株式会社 有機化処理された層状粘土鉱物並びにそれを含む有機重合体組成物及びタイヤ用インナーライナー
JP4090264B2 (ja) 2002-04-18 2008-05-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インナーライナー用ゴム組成物及びタイヤ
US6877538B2 (en) 2002-11-25 2005-04-1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new bead bundle
US6988522B2 (en) 2002-12-12 2006-01-2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elf-supporting pneumatic tire with a partial inner liner
US7017635B2 (en) 2002-12-27 2006-03-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outside-in ply construction
JP3938386B2 (ja) 2005-03-31 2007-06-27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補強用繊維コード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043403B2 (ja) 2003-05-13 2008-02-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WO2004103688A1 (ja) 2003-05-20 2006-07-2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の製造方法
WO2005007392A1 (ja) 2003-07-16 2005-01-27 The Yokohama Rubber Co., Ltd.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タイヤ成形ドラム装置
US7284582B2 (en) 2003-10-23 2007-10-2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cord extending between a bead portion and a tread portion of the tire
WO2005063482A1 (ja) 2003-12-25 2005-07-14 The Yokohama Rubber Co., Ltd. 耐候性が改良された熱可塑性樹脂エラストマー/ゴム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2005225278A (ja) 2004-02-10 2005-08-25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4613508B2 (ja) 2004-04-06 2011-01-19 横浜ゴム株式会社 酸素吸収剤を含む空気入りタイヤ
EP1747878A4 (en) 2004-05-20 2010-10-13 Bridgestone Corp SHUTTERING DEVICE OF SEALING AGENT, METHOD FOR POURING A SEALING AGENT AND APPARATUS FOR PUMPING SEALING AGENT
KR101063972B1 (ko) 2004-06-24 2011-09-1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공기 타이어의 이너라이너
KR101085033B1 (ko) 2004-06-28 2011-11-1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공기 타이어의 다층 공기투과방지층
JP4537806B2 (ja) 2004-08-31 2010-09-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US7891394B2 (en) 2004-09-23 2011-02-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with puncture resistant sidewall
JP4546812B2 (ja) 2004-12-02 2010-09-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3995707B2 (ja) 2005-01-11 2007-10-2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4570526B2 (ja) 2005-07-20 2010-10-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US7976666B2 (en) 2005-09-30 2011-07-12 The Yokohama Rubber Co., Ltd. Poorly air-permeable rubber laminate composed of poorly air-permeable resin and rubb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4004518B2 (ja) 2005-10-04 2007-11-07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ム積層体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2007099146A (ja) 2005-10-06 2007-04-19 Yokohama Rubber Co Ltd:The 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CA2627299C (en) 2005-10-27 2011-12-2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onstruction comprising tie layer
RU2406609C2 (ru) 2005-10-27 2010-12-20 Эксонмобил Кемикал Пэйтентс Инк. Конструкция, содержащая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слой
CN101356065B (zh) 2006-01-10 2011-12-14 横滨橡胶株式会社 具有低空气渗透性的热塑性聚合物组合物的层压材料及使用该层压材料作为内衬的充气轮胎
CN101370652B (zh) 2006-01-17 2012-07-18 横滨橡胶株式会社 低透气性橡胶叠层体和使用它的充气轮胎
US20090311548A1 (en) 2006-02-23 2009-12-17 The Yokohama Rubber Co., Ltd. Multilayer body and pneumatic tire using same
WO2007100159A1 (ja) 2006-03-03 2007-09-07 The Yokohama Rubber Co., Ltd. 低透過性ゴム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CN101395214B (zh) 2006-03-03 2012-12-12 横滨橡胶株式会社 弹性体组合物和其制造方法、及使用该弹性体组合物的充气轮胎
JP4122031B2 (ja) 2006-03-29 2008-07-2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EP2008809B1 (en) 2006-04-18 2013-12-25 The Yokohama Rubber Co., Ltd. Layered low-permeability rubber product and pneumatic tire comprising the same
JP5205714B2 (ja) 2006-05-30 2013-06-05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インナーライナー用ゴム組成物
JP5121708B2 (ja) 2006-06-02 2013-01-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DE102006025794A1 (de) 2006-06-02 2007-12-06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ahrzeugluftreifen mit Notlaufeigenschaften
CN101495329B (zh) 2006-07-25 2012-03-21 横滨橡胶株式会社 重载用充气轮胎
JP4992902B2 (ja) 2006-09-04 2012-08-08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用インナーライナーの成形方法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CN101511609B (zh) 2006-09-04 2011-02-16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JP2008105667A (ja) 2006-09-29 2008-05-08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8336592B2 (en) 2006-10-30 2012-12-25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20080105352A1 (en) 2006-11-03 2008-05-08 Kiyoshi Ueyoko Reduced weight aircraft tire
JP4897466B2 (ja) 2006-12-19 2012-03-1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7604031B2 (en) 2006-12-21 2009-10-2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JP5473606B2 (ja) 2007-01-18 2014-04-16 横浜ゴム株式会社 優れた伸長性及び屈曲疲労を有する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使用する空気入りタイヤ及びホース
DE102007005281A1 (de) 2007-02-02 2008-08-07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Festigkeitsträgerlage aus Hybridcorden für elastomere Erzeugnisse, insbesondere für die Gürtelbandage von Fahrzeugluftreifen
JP4703583B2 (ja) 2007-02-06 2011-06-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WO2008111556A1 (ja) 2007-03-08 2008-09-18 Bridgestone Corporation 自動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4760760B2 (ja) 2007-04-06 2011-08-3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720780B2 (ja) 2007-05-01 2011-07-1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688030B (zh) 2007-05-15 2012-05-30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轮胎用橡胶组合物及充气轮胎
EP2151331B1 (en) 2007-05-30 2012-03-21 The Yokohama Rubber Co., Ltd. Low-permeability laminate, and pneumatic tire utilizing the same
CN101754867B (zh) 2007-07-23 2012-07-18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US20090084482A1 (en) 2007-09-28 2009-04-02 Ramendra Nath Majumdar Pneumatic tire having built-In sealant layer and preparation thereof
US8316903B2 (en) 2007-10-01 2012-11-2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having built-in sealant layer and preparation thereof
US20090151846A1 (en) 2007-12-15 2009-06-18 Junling Zhao Tire with innerliner containing low melting polyamide
JP4346666B2 (ja) 2008-02-26 2009-10-2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130969B2 (ja) 2008-03-17 2013-01-3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用インナーライナー材料の製造方法
JP4435253B2 (ja) 2008-03-26 2010-03-1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ライナー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US20090288750A1 (en) 2008-05-21 2009-11-26 Ramendra Nath Majumdar Tire with air barrier layer
JP4636126B2 (ja) 2008-06-17 2011-02-2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4525801B2 (ja) 2008-06-20 2010-08-18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騒音低減装置
JP2010013543A (ja) 2008-07-03 2010-01-21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インナーライナー用ゴム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4811436B2 (ja) 2008-08-06 2011-11-09 横浜ゴム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JP2010047074A (ja) 2008-08-20 2010-03-04 Yokohama Rubber Co Ltd:The 低騒音空気入りタイヤ
JP4725624B2 (ja) 2008-09-26 2011-07-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95310B2 (ja) 2008-11-05 2013-05-0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0137820A (ja) 2008-12-15 2010-06-24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5493683B2 (ja) 2008-12-22 2014-05-1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5287281B2 (ja) 2009-01-19 2013-09-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4723659B2 (ja) 2009-02-24 2011-07-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二輪自動車用空気入りタイヤ
JP4821868B2 (ja) 2009-03-13 2011-11-24 横浜ゴム株式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US20110020573A1 (en) * 2009-07-22 2011-01-2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amide composition containing ionomer
JP4888868B2 (ja) 2009-09-08 2012-02-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300679B2 (ja) * 2009-09-30 2013-09-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インナーライナー用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US20130059142A1 (en) 2010-03-31 2013-03-07 Kolon Industries, Inc. Film for a tyre inner lin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9375980B2 (en) 2010-07-16 2016-06-2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dhesive extrusion for dynamically vulcanized thermoplastic elastomer lamina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5645A (ja) * 2010-06-11 2011-12-22 Yokohama Rubber Co Ltd:The 積層体
JP2012046614A (ja) * 2010-08-26 2012-03-08 Yokohama Rubber Co Ltd:The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09548A (zh) 2015-12-30
EP2970663B1 (en) 2022-02-02
JP2016512277A (ja) 2016-04-25
WO2014164054A1 (en) 2014-10-09
EP2970663A1 (en) 2016-01-20
CN105209548B (zh) 2018-04-24
KR20150127666A (ko) 2015-11-17
US9546266B2 (en) 2017-01-17
MX2015012044A (es) 2015-12-16
BR112015022110A2 (pt) 2017-07-18
US20160002453A1 (en) 2016-01-07
CA2902328A1 (en) 2014-10-09
JP6433971B2 (ja)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802B1 (ko) 공기입 타이어 조립체용 내부 라이너
EP3201274B1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US20110207838A1 (en) Recycled thermoplastic with toughener
JP2010518217A (ja) 油の影響に対し改善された耐性を有する可撓性熱可塑性組成物と該組成物の使用
JP2020007563A (ja) 溶融状態で高いレベルの流動性を有する、新規耐衝撃性改質熱可塑性組成物
JP611538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タイヤ及びホース
JP2017052819A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RU2409604C2 (ru) Полиам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CN111479872A (zh) 轮胎用热塑性弹性体组合物及轮胎
JP2006161045A (ja)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コポリマー及び反応性基を有する架橋性ゴムの混合物、並びに、良好なバリア特性を有する成形品の製造のためのその使用
JPH0496946A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
US10611929B2 (en) Composite article
US6077905A (en) Impact-resistant injected polyamide components
KR101735653B1 (ko) 젤화 억제 열가소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JP2019206695A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4010008A1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それを含む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積層体、並びにペレット混合物
WO2022039170A1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US20130289148A1 (en) Toughened polyamid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