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365B1 -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365B1
KR102196365B1 KR1020190123807A KR20190123807A KR102196365B1 KR 102196365 B1 KR102196365 B1 KR 102196365B1 KR 1020190123807 A KR1020190123807 A KR 1020190123807A KR 20190123807 A KR20190123807 A KR 20190123807A KR 102196365 B1 KR102196365 B1 KR 102196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device
information
mobile terminal
online service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180A (ko
Inventor
방용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그 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그 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그 알앤디
Priority to KR102019012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36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180A/ko
Priority to PCT/KR2020/013687 priority patent/WO202107125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K9/6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G06K2209/0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2Recognising information on displays, dials, c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을 함에 있어서, 제 1 보안 디바이스 및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가 포함된 제 2 보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 1 보안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 2 보안 디바이스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제 2 보안 디바이스는 제 1 보안 디바이스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인식부에서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 현재시각, 및 난수 알고리즘 중 두 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온라인 서비스에 입력될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에서 만들어진 정보는 온라인서비스 고유정보와 연결지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알 수 있도록 생성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 {SECURITY DEVIC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 phone)이란 휴대폰과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스마트폰은 구동할 플랫폼인 운영체제(OS)가 필요하다. 스마트폰에 탑재된 운영체제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운영체제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3-00213324호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설치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은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함으로써, 필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온라인 서비스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만들고 가입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직접 영문 등으로 입력해야 하는데, 비밀번호를 잊어버리거나 사용자 정보가 노출될 수 있는 위험이 따른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삭제
삭제
온라인서비스 이용을 위해 아이디와 비번을 만들고, 기억하였다가 이용 시 마다 입력하여야 하고, 아이디와 비번의 입력 시 아이디와 비번 유출과 서비스 제공자의 대량 개인정보 유출도 빈번히 발생된다. 온라인 서비스 이용 시 아이디와 비번을 기억하고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제 1 보안 디바이스를 통해 표시된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정보를 제 2 보안 디바이스의 인식부를 이용하여 촬영, 읽기, 스캔함으로써,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정보를 인식하도록 하는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 1 보안 디바이스 및 제 2 보안 디바이스로 구성된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보안 디바이스, 제 1 보안 디바이스로부터 읽어온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 2 보안 디바이스로 개인정보의 유출, 해킹에 대한 기본적 수단부터 차단하여 완벽한 온라인 인증을 구현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하자고 한다.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일회성 인증 승인 코드의 생성에 외부 통신, 외부 데이터에 대한 입/출력장치, 개인정보의 온라인 입력 없이 모바일 단말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 승인 절차가 구현되도록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설계함으로써, 완벽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 승인을 구현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을 함에 있어서, 제 1 보안 디바이스 및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가 포함된 제 2 보안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안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보안 디바이스에서 인식, 읽기 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보안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보안 디바이스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고유정보를 인식하는 인식, 읽기부, 및 상기 인식, 읽기부에서 획득한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정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 현재시각 및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입력될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에서 만들어진 정보는 상기 온라인서비스 고유정보와 연결지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알 수 있도록 생성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삭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 1보안 디바이스 및 제 2 보안 디바이스로 구성된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에서 다수의 온라인 서비스의 로그인 권한을 무제한으로 획득함에 따라, 로그인 정보의 입력 시간을 감소시키면서, 빠르게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의 제 1 보안 디바이스에 구비된 통신부를 이용하여 로그인할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의 제 2 보안 디바이스에 구비된 인식부를 통해 표시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난수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 서비스에 인증 요청할 암호화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고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되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 승인(로그인, 가입, 권한부여)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개인정보 보호와 유출로 인한 관련 피해와 사회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온라인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아이디, 비밀번호를 만들거나, 온라인 서비스 이용 가입을 할 필요가 없어지며, 일회성 정보로 인증 승인 절차를 거치게 되어 유출의 위험도 없으며, 외부 통신이나 입력/출력 장치가 없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의 해킹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고, 비밀번호와 아이디 만들기의 불편한 해당 정보의 기억을 위한 노력도 불필요하게 만드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의 외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보안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보안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가 모바일 단말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에서 온라인 서비스의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c의 보안 모듈의 보안장치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온라인 서비스의 보안 인증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인증 디바이스(1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제작된 제 1 보안 디바이스(120) 및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스마트폰 형태의 단말기일 경우, 스마트폰 케이스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온라인 서비스의 보안 인증 승인 절차에 사용되는 OTP(One Time Password)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매칭되고, 상기 고유정보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에 최초 입력되면 수정 또는 삭제가 불가능하며, 어떠한 형태로든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를 구성하는 제 1 보안 디바이스(120)는 모바일 단말기(100)와의 단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수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정보를 제 1보안 디바이스(12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제 2 보안 디바이스(130)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를 구성하는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제 1보안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정보를 읽을 수 있는, 예를 들어, 카메라, 스캐너, 광학 인식 장치 등과 같은 리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리드 장치는 다수의 온라인 서비스 인증 승인절차에 이용될 수 있으며, 온라인 서비스에 있어서, URL, 바코드, 큐알코드 등의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정보를 제 1 보안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리드(read)할 수 있다.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온라인 서비스와 모바일 단말기(100) 간의 1회용 승인,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1회용 승인, 인증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생성된 인증, 승인 정보는 온라인 서비스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서비스의 사용을 승인해 줄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 정보를 유추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인증, 승인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2 보안 디바이스(130)의 디스플레이 장치(140)에 출력된 1회용 승인, 인증 정보를 온라인 서비스의 로그인 정보 입력 창과 같은 인증 정보 입력 창에 입력하면, 온라인 서비스는 입력된 1회용 승인, 인증 정보와 온라인 서비스 자신의 정보를 비교한 뒤,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제 2 보안 디바이스(130)와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서버는 각각 현재 시각과 난수 알고리즘 등을 사용하여, 서로가 인지 가능한 형태의 인증, 승인 정보를 생성하도록 사전 설계된 로직을 공유할 수 있다.
제2 보안 디바이스(130)는 결합되어 사용될 특정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100)와 일체의 외부 통신이 불가능하고 on/off 이외의 외부입력을 받지 않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제2 보안 디바이스(13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입력받은 과정과 디바이스의 온/오프 동작 외에는 모바일 단말기(100) 및 외부의 다른 장치와의 어떤 통신도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단말기(100)의 분실, 파손, 기기 변경, 번호 변경 등의 경우, 보안 디바이스(110)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해 다수의 서로 다른 인증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가 모바일 단말기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의 후면에 제 1 보안 디바이스(120)가 결합되고, 제 1 보안 디바이스(120)의 후면에 제 2 보안 디바이스(13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의 상부에 제 1 보안 디바이스(120-1), 하부에 제 2 보안 디바이스(130-1)과 같이 상하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 1 보안 디바이스는(120)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 2 보안 디바이스는(130)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카메라, 스캐너, 광학 인식 장치 등과 같은 인식, 읽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기 전, 인식, 읽기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는 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 등의 사용자 식별 번호, 단말기 일련 번호, 단말기의 MAC addr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안 디바이스(120) 및 제 2 보안 디바이스(130)가 결합되어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된 후, 제 1보안 디바이스(120)는 통신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정보를 제 2 보안 디바이스(130)와 접하는 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 2보안 디바이스(130)의 인식, 읽기부는 제 1 보안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보안 디바이스(130)의 인식, 읽기부는 온라인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URL, 바코드(barcode) 및 큐알코드(QR code) 등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촬영 또는 스캔하여 읽을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보안 디바이스(130)의 후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디스플레이(140)를 구비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보안 디바이스(130)가 인식, 읽기부를 통해 제 1 보안 디바이스(12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촬영하거나 또는 스캔하여 획득한 경우,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현재시각,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100)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암호화된 정보는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제 2 보안 디바이스(130)의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표시된 암호화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의 로그인 입력창에 입력함으로써, 빠르게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는 다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접속 권한을 획득함으로써, 손쉽고, 빠르게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해 자신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온라인 서비스별로 기억하고 입력해야 했으나, 본 발명은 암호화된 정보만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보안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보안 디바이스(120)는 통신, 수신부(210) 및 표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제 1 보안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 수신부(21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수신부(210)는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같은 단거리 통신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통신,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 2 보안 디바이스(130)에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보안 디바이스(130)가 제 1 보안 디바이스(120)의 후면에 장착되는 경우, 표시부(220)는 제 1 보안 디바이스(120)의 후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보안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인식, 읽기부(310) 및 인증과 승인 정보 생성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제 2 보안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가 다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무제한 사용 권한 획득을 위해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제 1 보안 디바이스(120)를 통해 표시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인식, 읽기 및 스캔할 수 있는 장치와 기 포함된 단말기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간, 난수 생성 알고리즘, 인식, 읽기 및 스캔, 읽기장치에서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온라인 서비스에 인증을 요청할 암호화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정보는 인식, 읽기 및 스캔, 읽기 장치에서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에서, 온라인 서비스 자신의 정보와 함께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인지 가능한 형태로 생성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 읽기부(31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기 전, 해당 모바일 단말기와 해당 보안 디바이스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 읽기부(310)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기 전,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스캔, 읽기, 촬영하여 모바일 단말기(100)를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기 전에 최초의 정보 읽기, 인증, 승인 절차와 고유 정보를 스캔, 읽기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인식, 읽기부(310)는 제 1 보안 디바이스(120)를 통해 표시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부(310)는 제 1 보안 디바이스(120)의 후면에 위치하는 표시부에 표시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로부터 URL, 바코드 및 큐알코드 등에 기초하여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320)는 인식부(310)에서 획득한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및 난수 알고리증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서비스에 입력될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320)에서 만들어진 정보는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와 연결지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에서 생성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100)와 모바일 인증 보안 절차가 수행되고, 인증 절차가 완료된 모바일 단말기(100)가 온라인 서비스에 대해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에 모바일 단말기를 등록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보안 디바이스(130)에서 모바일 단말과 보안 디바이스의 인증 승인 절차는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 2 보안 디바이스(130)에서 로그인 인증 승인 절차에도 적용된다.
단계 S410에서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읽어 들일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모바일 단말과 모바일 보안 디바이스 인증 승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되기 전, 구비된 인식 및 읽기부(31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일련번호 등을 촬영하거나, 모바일 단말기(100)의 일련번호를 읽어 들여 고유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등록하기 위해 화면에 고유 정보를 출력하면,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인식 및 읽기부(31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의 화면에 출력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읽어 들여,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인증 승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등록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 제 1 보안 디바이스(120) 및 제 2 보안 디바이스(130)가 결합된 형태를 의미)가 모바일 단말기(100)에 장착된 이후, 추가적으로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30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에서 온라인 서비스의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보안 디바이스(100)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은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110)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510에서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의 제 1 보안 디바이스(12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의 제 1보안 디바이스(120)는 수신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 2 보안 디바이스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의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제 1 보안 디바이스(120)를 통해 표시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의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인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및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디바이스에서 인증 승인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사용자가 http://abc.com 이라는 특정 포털 사이트에 로그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포털 사이트의 아이디 입력창(600)에 자신의 아이디를 입력하고, 비밀번호 입력창(601)에 아이디에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로그인 버튼(602)을 터치함으로써, 포털 사이트에 로그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110)의 제 1 보안 디바이스(120)가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실행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로그인할 온라인 서비스가 "http://abc.com" 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제 1 보안 디바이스(120)는 통신, 수신부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 1 보안 디바이스(120)의 후면에 장착된 제 2 보안 디바이스(13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 1 보안 디바이스(120)의 후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제 1 보안 디바이스의 후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및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100)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보안 디바이스(130)는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생성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1 2 3 4 5")를 표시할 수 있다.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 승인을 위한 정보 입력 창(610)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제 2 보안 디바이스(130)의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표시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정보 입력 창(61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a는 스마트폰 케이스 형태의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고, 도 7b는 도 7a의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에서 보안 모듈을 분리한 도면이고, 도 7c는 도 7a의 보안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70)는 스마트폰 케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10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70)는 스마트폰 케이스를 모바일 단말(100)과 결합시키는 하우징(701) 및 보안 모듈(7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보안 모듈(700)은 보안 모듈 상부 커버(710), 보안 장치부(720), 및 보안 모듈 하부 커버(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7a 내지 도 7c의 보안 모듈의 보안장치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70)의 보안장치부(720)는 제1 보안 디바이스(721) 및 제2 보안 디바이스(7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보안 디바이스(721)는 통신부(7211) 및 제1 디스플레이부(7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2 보안 디바이스(722)는 인식부(7221), 인증정보 생성부(7222), 제2 디스플레이부(7223), 및 전원공급부(7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보안장치부(72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100)를 통해 특정 온라인 서비스에 접속하면, 상기 온라인 서비스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창을 표시하고,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통신부(7211)를 통해 제1 보안 디바이스(721)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보안 디바이스(721)는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수신한 뒤, 이를 제1 디스플레이부(7212)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는 상기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URL일 수 있으며, 상기 URL은 숫자 형태의 정보, 바코드, QR코드, 광학식 점멸 신호, 광학 변조 신호 등으로 변형된 정보 또는 신호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변형된 정보 또는 신호는 제시된 형태 또는 변조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 수단, 변조 방법의 결과물일 수 있다.
제2 보안 디바이스(722)의 인식부(7221)는 제1 디스플레이부(7212)에 출력된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취득하여 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7212)에 출력된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가 URL을 나타내는 문자, 바코드 또는 QR코드인 경우, 상기 인식부(7221)는 카메라 또는 광학식 스캐너일 수 있으며, 상기 인식부(7221)는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촬영하거나 스캔하여 고유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7212)가 LED 등의 발광 장치일 경우,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는 주파수, 파장 등이 변조된 광 변조 신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식부(7221)는 구비된 수광 센서를 통해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나타내는 광 변조 신호를 수신하여 해석함으로써 상기 고유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7212)는 영상 표시 장치가 아닌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신호 발생기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인식부(7221)는 음향신호를 취득하는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7212)와 인식부(7221) 사이의 정보 전송이 영상 출력 및 영상 촬영/스캔 등의 광학 방식일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부(7212)와 인식부(7221)는 대향하도록 각각 제1 보안 디바이스(721)와 제2 보안 디바이스(722) 상에 배치되어 인식부(7221)의 영상 취득 센서가 제1 디스플레이부(7212)에 표시된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에 대한 영상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7212)와 인식부(7221)가 대향하지 않더라도 도파관, 프리즘, 광케이블 등의 수단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부(7212)에 출력된 영상 정보 또는 광학 정보를 인식부(7221)로 전달할 수 있다.
인증정보 생성부(7222)는 인식부(7221)로부터 제공받은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 현재 시각 정보 및 난수 생성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창에 입력될 사용자 인증 정보는 상기 온라인 서비스의 관리 서버가 온라인 서비스의 고유 정보와 관련된 모바일 단말기(100)의 고유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생성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7223)는 인증정보 생성부(7222)에서 생성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문자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부(7223)에서 출력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에 출력된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인증정보 입력 창에 입력함으로써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부(7223)로서 영상 출력 장치를 예로 들었지만, 실시 예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부(7223)는 음향 출력 장치로 대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출력되는 음향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7224)는 배터리 형태의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여 보안장치부(720)의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원공급부(7224)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구비하여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무선 전력을 전송받아 보안장치부(720)의 각 구성요소에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원공급부(7224)는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보안장치부(720)의 각 구성요소에 구동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보안장치부(720)를 구성하는 제1 보안 디바이스(721)와 제2 보안 디바이스(722)는 서로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되게 구성되어, 제2 보안 디바이스(722)의 사용자 인증정보 생성 과정에 제1 보안 디바이스(721) 또는 모바일 단말기(100)가 전혀 개입하지 못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6d를 통해 설명된 보안 디바이스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6d를 통해 설명된 보안 디바이스에서 로그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형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모바일 단말기
110: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
120: 제 1 보안 디바이스
130: 제 2 보안 디바이스

Claims (1)

  1.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 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을 함에 있어서, 제 1 보안 디바이스 및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가 포함된 제 2 보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안 디바이스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및
    상기 수신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를 상기 제 2 보안 디바이스에서 인식, 읽기(READING)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제 1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보안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보안 디바이스의 제 1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정보를 인식, 읽기(READING)하는 인식 및 읽기부;
    상기 인식 및 읽기부에서 획득한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고유 정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 현재시각 및 난수 알고리즘 중 두가지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온라인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및
    상기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 2 표시부
    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온라인 서비스에 입력될, 인증과 승인정보 생성부에서 만들어진 정보는 상기 온라인 서비스 고유 정보와 연결지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알 수 있도록 생성되는 것인,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
KR1020190123807A 2019-10-07 2019-10-07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 KR102196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07A KR102196365B1 (ko) 2019-10-07 2019-10-07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
PCT/KR2020/013687 WO2021071259A1 (ko) 2019-10-07 2020-10-07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807A KR102196365B1 (ko) 2019-10-07 2019-10-07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180A KR20190122180A (ko) 2019-10-29
KR102196365B1 true KR102196365B1 (ko) 2020-12-30

Family

ID=6842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807A KR102196365B1 (ko) 2019-10-07 2019-10-07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6365B1 (ko)
WO (1) WO20210712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320A (ko) 2021-03-15 2021-04-02 방용정 범용 온라인 서비스의 보안 인증 승인 로그인을 위한 로그 오티피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436B1 (ko) * 2021-04-26 2023-05-15 조영록 온라인서비스의 인증과 승인에 사용되는 보안 otp
KR102532445B1 (ko) * 2021-04-27 2023-05-16 조영록 온라인 서비스 서버의 otp pw 인증 시스템
KR102532431B1 (ko) * 2021-05-10 2023-05-15 조영록 발급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서비스 서버의 otp pw 인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448B1 (ko) * 2011-01-20 2012-12-07 주식회사 케이지모빌리언스 Qr 코드를 이용하는 motp 인증 시스템 및 motp 인증 방법
KR101287989B1 (ko) * 2011-12-20 2013-07-22 이영현 케이스
PL2885904T3 (pl) * 2012-08-03 2018-09-28 Vasco Data Security International Gmbh Dogodny dla użytkownika sposób uwierzytelniania i urządzenie stosujące mobilną aplikację uwierzytelniania
GB2519825B (en) * 2013-10-29 2021-06-30 Cryptomathic Ltd Secure mobile user interface
KR101738468B1 (ko) * 2015-12-04 2017-05-23 조승철 사용자 고유 식별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방법 및 코드 정보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320A (ko) 2021-03-15 2021-04-02 방용정 범용 온라인 서비스의 보안 인증 승인 로그인을 위한 로그 오티피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180A (ko) 2019-10-29
WO2021071259A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365B1 (ko) 모바일 단말기용 개인정보 보안 디바이스
US10177816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and signing purposes
US11924197B1 (en) User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056722B1 (ko) 인증 시스템 및 그에 따르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및 권한 인증 방법
US10299118B1 (en) Authenticating a person for a third party without requiring input of a password by the person
KR100992573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JP6380551B2 (ja) ペアリング管理方法、ペアリング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CN103561072B (zh) 一种基于互联网的云数据处理方法及云数码相框
US20170085561A1 (en) Key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US119218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ssword managers
KR20200115387A (ko) 온라인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인증과 승인을 하는 방법
KR102031913B1 (ko)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EP3748522A1 (en) Method of registration and access control of identity for third-party certification
US20160063274A1 (en) Data Processing Device with Light Indicator Unit
US106717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KR20210034976A (ko) 모바일 단말기용 보안 디바이스
KR20190015555A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비스 통신 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372170B1 (ko) 이미지 정보 처리방법
CN110837630B (zh) 登录方法、图像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101496049B1 (ko) 영상 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KR101603988B1 (ko)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CN111414604B (zh) 认证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20130093794A (ko) 이중 인증정보 등록 및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US11445071B2 (en) Document processing device, document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utilization of exclusive phone number information
CN113196262A (zh) 一种真伪查询方法及其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