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518B1 -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518B1
KR102195518B1 KR1020130155897A KR20130155897A KR102195518B1 KR 102195518 B1 KR102195518 B1 KR 102195518B1 KR 1020130155897 A KR1020130155897 A KR 1020130155897A KR 20130155897 A KR20130155897 A KR 20130155897A KR 102195518 B1 KR102195518 B1 KR 10219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power
timer
screen chan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625A (ko
Inventor
김민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5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518B1/ko
Priority to EP14197455.0A priority patent/EP2884483B1/en
Priority to US14/569,371 priority patent/US9625977B2/en
Publication of KR2015006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3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disabling clock generation or distribu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8Power processing, i.e. workload management for processors involved in display operations, such as CPUs or GP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은, 화면 변경 요청시 변경할 화면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하며, 다음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 변경동작과,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절전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서 표시부에 표시데이터를 전송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동작 전원을 공급하므로, 전원 소모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 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전자장치의 표시부는 LCD 또는 LED 표시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점점 커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전자장치의 표시부에서 소모되는 전원은 점점 커지는 추세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idle state)에서는 표시부의 동작을 오프시켜 전원 소모를 줄이고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에 설정된 프레임율(frame rate)로 표시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부에 전송할 때, 소모전류를 줄이기 위해 Display Clock/Power Gating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Display Clock/Power Gating 기술은 소모 전류를 줄이기 위해서 화면 Update(UI 변경)가 없는 구간에서 휴대 단말기 CPU 내부 혹은 외부의 Display Block의 클럭 및/또는 전원을 단계별로 차단해서 소모전류를 줄이는 기술이다.
전자장치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따라 서로 다른 프레임율을 가지는 표시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Display Clock/Power Gating 기술을 이용하여 전원 소모를 줄일 때, 전원 오프 상태에서 표시데이터를 표시부에서 전송하기 위하여 전원을 온시킬 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설정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이로인해 소모전류가 증가하고 표시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자치에서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에 전송할 때 Clock/Power Gating을 결정하는 시간을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따라 동적으로 설정하여 소모전류 및 표시 지연을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은, 화면 변경 요청시, 변경할 화면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하며, 다음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 변경동작과,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절전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은, 화면 변경 이전의 설정된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과, 상기 화면 변경 요청시 변경할 화면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하며, 다음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하는 동작과,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화면 변경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부와, 화면 변경 데이터를 수신하며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하는 표시부와, 화면 변경 이벤트 감지시, 변경할 화면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며, 다음 프레임의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하여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절전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Clock/Power Gating 기술을 사용하여 배터리의 전원 소모를 줄일 때,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따른 화면 변경 주기를 분석하여 동적으로 클럭 게이팅 및/또는 전원 게이팅 시간을 설정하여 소모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에서 화면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에 미리 인지 가능한 이벤트를 이용하여 재시작을 미리 설정하여 재시작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표시 지연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전자장치에서 Display Clock/Power Gat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전자장치에서 Display Clock/Power Gating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클럭 및 전원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전자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블록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전자장치에서 화면 변경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전자장치에서 클럭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클럭/전원 게이팅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휴대단말기에서 Display Clock/Power Gating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블록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전자장치에서 표시부의 화면 변경을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도 9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전원 및 클럭의 게이팅을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9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전원 및 클럭의 게이팅을 제어하는 방법을 다른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 가운데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 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 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 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세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먼저 전자장치는 표시부에 표시데이터를 전송할 때 Display Clock/Power Gating에 필요한 여러 가지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산출하여 표시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전자장치는 화면 변경 요청시 이전 프레임들의 주기를 분석하여 다음 프레임의 화면 요청 주기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클럭/전원 게이팅을 위해 실제 클럭 및/또는 전원 인가 시에 소모된 시간을 측정하여 다음 변경해야할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전자장치는 Display Clock/Power Gating시에 재시작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추가 이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자장치는 사용자 입력(키, 터치), 2D,3D 가속기의 사용 주기, 코덱의 사용 주기, DVFS(Dynamic Voltage Frequence Scaling)의 변경에 따라서 화면 변경 요청을 분석해서 화면 변경시에 필요한 작업일 미리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디스플레이 블록은 표시부에 표시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부의 내부 구성모듈로써, 표시 이벤트를 발생 및 검출하는 구성, 클럭 및/또는 전원의 게이팅을 제어하는 구성, 그리고 표시데이타를 외부의 표시부에 전송하는 구성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시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과 동일한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그리고 클럭 타이머는 클럭을 게이팅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로써, T1 시간으로 세팅될 수 있으며, 상기 클럭 타이머는 T1 타이머와 동일한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전원 타이머는전원을 게이팅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로써, T2 시간으로 세팅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타이머는 T2 타이머와 동일한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그리고 게이팅이라는 용어는 클럭 및/또는 전원 공급을 오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게이팅 제어신호는 화면 변경 요청시점 또는 화면 변경 전의 설정된 시간에서 발생될 수 있다. 화면 변경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이벤트는 이벤트 검출부에 등록되며, 게이팅제어부는 화면 변경 시점에서 설정된 시간 전에 등록된 이벤트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이벤트가 존재하면 미리 게이팅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게이팅 시점은 디스플레이 블록의 상태(클럭/전원 온 상태, 클럭오프/전원온 상태, 클럭/전원 오프상태)에 따라 다른 시간 값을 가질 수 있으며, 게이팅제어신호도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시간 위치에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Display Clock/Power Gating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과 같이 Display Clock/Power Gating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클럭 및 전원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Display Clock/Power Gating 기술을 사용하는 전자장치는 표시모듈(이하 Display Block과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의 클럭 및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면서 표시데이터를 외부의 표시부에 전송한다. 즉, 표시모듈은 제어부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표시모듈은 화면 변경시 표시데이터를 외부의 표시부에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isplay Block은 클럭 및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 전원만 공급되는 상태, 전원 및 클럭이 모두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T1은 Clock Gating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화면 변경이 없는 시간으로 정의하며, T2는 클럭이 차단된 상태에서 Power Gating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화면 변경이 없는 시간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Display Block의 클럭/전원이 모두 인가된 상태에서 T1시간 동안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경우에 Display Block의 클럭을 차단하고, 상기와 같이 클럭이 차단된 이후에 T2시간 동안 화면 변경 요청이 없다면 Display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먼저 전자장치는 도 1의 참조번호 131과 같이 Display Block이 정상인 상태(클럭 : ON, 전원 : ON)에서 참조번호 121과 같이 화면 변경 요청이 있으면 변경된 이미지를 외부의 표시부(예를들면 LCD)로 전송하며, 도 1의 참조번호 123과 같이 정해진 T1 시간이 경과되도록 화면 변경이 없으면 Display Block의 클럭을 차단한다. 두 번째로 상기 전자장치는 도 1의 133과 같이 Display Block의 클럭이 차단된 상태(클럭 : OFF, 전원 : ON)에서 화면 변경 요청이 발생되면 클럭을 공급한 후에 변경된 이미지를 LCD로 전송하며, 도 1의 참조번호 125와 같이 정해진 T2 시간이 경과되도록 화면 변경이 없으면 Display Block의 전원을 차단한다. 세 번째로 도 1의 135와 같이 Display Block의 파워가 차단된 상태(클럭 : OFF, 전원 : OFF)에서 도 1의 참조번호 127과 같이 화면 변경 요청이 있으면 Display Block에 클럭 및 전원 인가한 후에 변경된 이미지를 LCD로 전송하며,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클럭 및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1, T2가 각각 50msec라고 가정한다면, T1 (50msec) 동안 화면 변경이 없으면, Display Block의 클럭을 차단한다. 이후 T2 (50msec) 동안 화면 변경이 없으면 Display Block의 전원을 차단한다. 대기 도중에 화면 변경 요청이 있다면 클럭, 전원을 인가해서 변경된 이미지를 LCD로 전송한다.
따라서 Display Clock/Power Gating을 하게 되면, 도 1의 참조번호 110과 같이 클럭/전원 차단에 따른 소모전류는 감소한다. 그러나 클럭/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화면 변경을 위해 클럭/전원을 재 인가 해야 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이는 클럭 및/또는 전원이 차단되면 Display Block에 설정된 값들이 모두 초기화 되며, 다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이를 사용 가능하도록 재설정해야 한다. 이때 재 설정에 필요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런 경우,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lock 차단 시에는 소모전류 절감 효과는 적지만 재 시작에 따르는 지연이 짧고 CPU가 해야 할 일이 적은 반면에 Power 차단 시에는 소모전류 절감 효과는 크지만 재 시작에 따르는 지연이 길고 CPU가 해야 할 일이 많다.
소모전류 재설정 시간 CPU load
clock gating 작다 짧다(수 msec) 작다
power gating 크다 길다(수십 msec) 크다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모전류와 재시작을 위한 시간에 대한 Trade-Off 관계가 성립하며, 이런 관계는 Clock/Power Gating에 진입하는 시간 T1 및 T2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참조번호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T1 및 T2가 각각 50msec로 설정되어 Clock/Power Gating에 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105msec 마다 화면 업데이트가 요청된다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실제로 Power Gating에 의해 최대 소모전류 절감효과를 볼 수 있는 5msec 정도이며, 매 105msec 마다 재시작에 따르는 추가 S/W 동작 및 delay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재시작에 따르는 S/W 동작으로 인해 CPU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CPU가 사용하는 소모전류가 높아져 실제로 Power Gating에 따른 소모전류가 떨어졌지만, CPU 사용률 증가로 인해 소모전류가 절감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상기 전자장치에서 화면 변경 요청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에 다양한 프레임율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아주 다양하게 화면 변경 요청이 발생하게 되며, 이런 경우 T1 및 T2 시간이 고정되어 있으면 상황에 따라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없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1 및 T2 시간이 고정되어 있으면, 재설정 시간으로 인해 변경화면의 표시가 지연연될 수 있다. 즉, 상기 Display Clock/Power Gating을 수행하면, Display Block의 소모전류는 줄일 수 있지만 재 설정 시간을 필요로 한다. 도 2의 참조번호 230은 정상 동작 상태(클럭:On,전원:On), 클럭 차단(클럭:Off, 전원:On), 전원 차단(클럭:Off, 전원:Off)에서 화면 변경이 요청될 때 재설정에 따른 지연시간(D1,D2)을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2의 참조번호 231과 같이 정상 동작 상태에서 221과 같이 화면 변경 요청이 발생되면, Display Block은 지연없이 외부의 표시부(예를들면 LCD)에 변경된 표시 데이터(예를들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T1 시간이 경과되어 참조번호 233과 같이 클럭이 차단된 상태에서 223과 같이 화면 변경 요청이 발생되면 Display Block은 클럭 재설정을 위한 지연시간이 발생되어 D1 시간이 경과된 후 외부의 표시부(예를들면 LCD)에 변경된 표시 데이터(예를들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T1 및 T2시간이 참조번호 235와 같이 클럭 및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225와 같이 화면 변경 요청이 발생되면 Display Block은 클럭 및 전원 재설정을 위한 지연시간이 발생되어 D2 시간이 경과된 후 외부의 표시부(예를들면 LCD)에 변경된 표시 데이터(예를들면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Display Block의 소모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Clock/Power Gating을 결정하는 시간 T1, T2를 정적으로 설정하지 않고, 도 1의 참조번호150과 같이 이전의 설정된 프레임 구간 동안의 화면 변경 요청 주기를 분석하여 동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면 변경 요청의 경우 이전의 상태를 분석하여 이후 상태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런 예측을 통해서 도 1의 참조번호 171 및 173과 같이 T1, T2을 동적으로 조절해 소모전류 절감효과를 최대화 시킬 수 있다. 도 1의 참조번호 161과 같이 화면 변경이 요청되면 Display Block에 전원 및 클럭을 공급하여 표시데이터를 외부의 표시부에 전송하고, 동적으로 설정된 참조번호 171과 같은 T1 시간 및 173과 같은 T2t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T1 및 T2시간은 시간은 이전의 설정된 프레임 수 동안에 요청된 화면 변경 주기들의 평균 값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참조번호 161과 167과 같이 화면 변경 요청 주기가 긴 프레임 구간에서는 참조번호 175와 같이 전원 및 클럭을 오프시키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전원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Display Block의 클럭/전원의 재설정에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화면 변경 요청 전에 화면이 변경되는 상황을 보다 빨리 인지해서 사전에 준비하면 재설정 시간의 지연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Display Block은 2D/3D GPU, 내부 Codec, 사용자의 입력(터치, 키) 처리부 등을 구비하며, 이들에 의해 화면 변경이 요청된다. 그리고 상기 T1 및 T2 시간은 이전 프레임들의 화면변경 요청 주기에 의해 동적으로 설정되며, 이로인해 화면 변경 요청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도 2의 참조번호 210과 같이 221, 223 및 225와 같이 실제 화면 변경 요청이 발생되기 전에 Display Block의 상태에 따라 참조번호 211, 213 및 215와 같이 Display Block을 재설정하기 위한 게이팅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271과 같이 클럭 및 전원이 온 된 상태에서 화면 변경 요청이 예측되는 경우, 전자장치는 참조번호 211 및 221과 같이 게이팅 시점을 화면변경 요청 시점에 근접시켜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참조번호 273과 같이 클럭이 오프된 상태(즉, 전원만 온된 상태)에서 화면 변경 요청이 예측되는 경우, 전자장치는 Display Block이 클럭을 재설정할 수 있는 시간을 예측하여 참조번호 223과 같이 발생되는 화면 변경 요청 시점에 앞서 참조번호 213과 같이 게이팅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참조번호 275와 같이 클럭 및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화면 변경 요청이 예측되는 경우, 전자장치는 Display Block이 클럭 및 전원을 재설정할 수 있는 시간을 예측하여 참조번호 225와 같이 발생되는 화면 변경 요청 시점에 앞서 참조번호 215와 같이 게이팅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재설정 시간은 클럭 및 전원 오프 상태에서 가장 길고, 클럭 및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가장 짧다. 따라서 상기 참조번호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팅을 수행할 시점은 Display Block의 상태에 따라 211 및 221, 213 및 223 그리고 215 및 225와 같이 각각 다르게 발생시켜 Display Block의 클럭 및/또는 전원을 재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참조번호 283과 같이 클럭 재설정을 위한 지연시간D1 및 참조번호 235와 같이 클럭 및 전원 재설정을 위한 지연시간 D2 시간을 고려하여 각각 참조번호 213 및 215와 같이 게이팅 제어신호를 화면변경 요청 전에 미리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참조번 29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외부의 표시부에 전송되는 표시데이터의 지연을 293 및 295와 같이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전자장치에서 표시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도 4와 같은 표시모듈은 제어부 내부의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00은 전자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310은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설정된 데이터 들 및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부340은 전자장치의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부330은 화면 표시를 각종 데이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부320은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수신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은 Display Block을 포함하며, 상기 Display Block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설정된 프레임율로 표시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3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제어부3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벤트 발생부330은 표시부320에 표시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한 각종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키입력, 센서입력 및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 데이터의 변경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발생부33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벤트 처리부440은 해당하는 이벤트를 처리하며, 이벤트 검출부410은 처리된 이벤트를 검출한다. 그러면 게이팅제어부400은 상기 이벤트검출부410에 등록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검출부410에 등록된 이벤트가 존재하면 클럭공급부420 및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하여 표시제어부450에 클럭 및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팅제어부400은 클럭 및 전원 인가 시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 후 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제어부450은 상기 클럭 및 전원 공급에 의해 검출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표시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3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화면 변경은 처리되는 이벤트에 따라 다른 프레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UI 화면의 변경은 60 fps(frame per sec)를 가지며, 동영상의 경우에는 30fps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시간을 표시하는 화면의 경우 초 또는 분의 변경을 표시하는 화면에 따라 100ms 또는 10ms의 화면 변경 주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팅 제어부400은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율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다음 프레임에서의 화면 변경을 할 수 있도록 T1 및 T2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변경을 실행한 후 상기 게이팅제어부100은 이전 프레임들의 화면 변경 요청주기들을 분석하여 다음의 화면변경 주기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T1 및 T2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T1 및 T2 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은 화면 변경된 시간을 화면 변경 요청 순서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산출된 평균값과, 클럭 인가시에 측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해서 T1, T2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팅제어부400은 T1 시간으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게이팅제어부400은 상기 설정된 T1 시간 및 T2 시간을 이용하여 클럭공급부420 및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팅 제어부400은 상기 T1 타이머가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클럭공급부420 및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하여 상기 표시제어부450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T1 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게이팅제어부400은 클럭공급부420을 제어하여 표시제어부450에 인가되는 클럭 공급을 차단하고 T2 타이머를 구동한다. 이때 전원 공급은 유지되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T2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게이팅제어부400은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하여 표시제어부450에 인가되는 전원 공급도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전자장치에서 화면 변경을 제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이벤트가 발생되어 화면 변경을 하여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은 511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551동작에서 클럭공급부420 및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하여 상기 표시제어부450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고, 553동작에서 변경된 화면의 표시데이터를 표시부32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은 화면 변경 요청 시점의 상태에 따라 클럭 및/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Display Block의 상태가 클럭 온 및 전원 온 상태이면 변경된 화면의 데이터를 표시부320에 전송한다. 그러나 Display Block의 상태가 클럭 오프 및 전원 온 상태이면 클럭을 온 시킨 후 변경된 화면의 데이터를 표시부320에 전송하며, 클럭 인가 시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 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isplay Block의 상태가 클럭 오프 및 전원 오프상태이면, 클럭 및 전원을 모두 온 시킨 후 변경된 화면의 데이터를 표시부320에 전송하고, 클럭 및 전원 인가 시에 소요된 시간을 측정 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럭 인가시에 소요된 시간은 클럭 및 전원 인가시에 소요된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될 수 있으며, 클럭 및/또는 전원 인가시의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는 이후 T1 및 T2 타이머 구동시 이를 고려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 제어부300은 555동작에서 T1 시간 및 T2 시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은 555동작에서 T1 및 T2 시간 산출하는데, 이는 화면 변경된 시간을 화면 변경 요청 순서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산출된 평균값과 상기 클럭/전원을 인가할 때 측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해서 T1, T2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전자장치에서 클럭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은 611동작에서 이전의 설정된 프레임들의 화면 변경 요청 주기들을 구하고, 구해진 각 프레임들의 화면 변경 요청 주기들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한 후 이를 합산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설정된 프레임의 수가 5 프레임이고, 가중치는 최근 프레임에서 높은 가중치를 적용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00은 이전의 5 프레임들 각각에서 요청된 화면 변경 요청 주기를 구한 후, 이들 각각에 각각 대응되는 프레임들의 가중치를 곱한 후, 가중치가 곱해진 5프레임 구간의 프레임 요청 주기를 합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300은 613에서 상기 합산된 가중치가 적용된 이전 5프레임 구간의 화면 변경 요청 주기를 평균화시켜(즉, 가중치가 적용된 이전 프레임들의 프레임 요청주기 합산 값을 가중치들의 전체 합과 프레임 수를 더한 값으로 나누어) 평균 화면 변경 주기 ave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300은 설정된 clock resume 값 R1, power resume 값 R2 및 상기 평균화면 변경주기 ave를 분석한 후, 617동작에서 분석 결과에 따른 T1 및 T2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615동작 및 617동작에서 상기 제어부300은 상기 ave 값의 변경 여부(증가, 감소 또는 변경없음), ave 값과 R1 값의 비교 및 ave 값과 R2 값의 비교 결과에 따라 T1 및 T2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T1 시간은 ave 값이 증가되거나 또는 변경이 없는 상태에서 ave 값이 R1 및 R2보다 큰 경우에는 T1=0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외의 상태에서는 T1 시간은 R1 또는 1프레임 주기 중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2시간은 R2 값 또는 ave 중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도 6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T1 시간 및 T2 시간을 결정한 후, 상기 제어부300은 557동작에서 T1시간 타이머를 구동하며,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513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513동작에서 구동되는 타이머의 값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T1타이머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300은 515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517동작에서 클럭공급부420 및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하여 표시제어부450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T1 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300은 519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521동작 및 523동작에서 클럭공급부420을 제어하여 표시제어부450에 클럭 공급을 중단하고 T2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Diplay Block은 클럭 공급은 중단된 상태에서 전원은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T2타이머가 구동되는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300은 525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클럭 공급을 오프시키고 전원은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클럭공급부420 및 430을 제어하며, 상기 T2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클럭공급부420 및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하여 클럭 및 전원 공급이 중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클럭/전원 게이팅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휴대단말기에서 Display Clock/Power Gating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블록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휴대단말기는 휴대전화기 및 MP3단말기, 타블렛, 컴퓨터, 카메라 장치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300은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00은 화면 변경 요청시 diplay block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한 후 변경할 화면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전송하고, 설정된 프레임들의 화면변경 주기를 분석하여 다음 프레임의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한 후 클럭 및 전원을 게이팅 제어하기 위한 시간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300은 화면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를 구동하며, 클럭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가 종료되면 diplay block에 클럭 공급을 오프시키고 전원 공급 상태는 유지하며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이후 화면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300은 diplay block에 클럭 및 전원 공급을 오프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은 다음 화면의 변경 요청이 예측되는 시점 이전에 현재의 상태(전원 및/또는 클럭의 on/off 상태)에 따라 클럭/전원 재설정 시간을 고려하여 클럭 및/또는 전원의 온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저장부310은 전자장치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처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320은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화면 변경을 위한 데이터/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20은 LCD, LED 또는 OLED가 될 수 있으며, 제어부300의 display block에서 화면 변경 시점에서 전송되는 표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750은 휴대단말기의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750은 터치패널이 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은 터치패널에 터치되는 입력 또는 호버링되는 입력의 위치(좌표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750은 펜터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20 및 입력부7500은 일체형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76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76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MAX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760이 LTE, WIFI, bluetooh, NFC 등의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센서770은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액션)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770은 가속도센서, 지자기 센서 및/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의 기울기(tilt) 및/또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움직임(액션)은 기울기인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780은 이미지센서를 구비하며, 외부 영상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 및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780은 듀얼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카메라는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며, 제2카메라는 장치의 전면 베젤 영역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카메라는 제2카메라보다 더 큰 화소수를 가지는 고화소의 이미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는 제어부300의 제어하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도 1과 같은 구성에서, 입력부750, 통신부760, 센서770 및 카메라780은 도 3의 이벤트발생부330이 될 수 있다.
도 8은 제어부300의 내부 블록 구성도로써, diplay block 및 이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이벤트 발생부3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화면 변경을 수행하여야 하는 각종 이벤트들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발생부3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부750, 통신부760, 센서770 및 카메라780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벤트는 키입력, 센서입력, 통신, 카메라 구동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발생부33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벤트 처리부440은 해당하는 이벤트를 처리하며, 이벤트 검출부410은 처리된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처리부440은 pheripheral device(I2C, GPIO 등), CPU, GPU(2D/3D), codec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처리부440은 processor hardware이며, 상기 제어부300은 이에 각각 대응되는 device software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processor hardware에 대응되는 device software 구성은 pheripheral(key, touch, sensor 등) driver, DVFS(Dynamic Voltage Frequence Scaling) driver, GPU driver, codec driver가 될 수 있다.
이벤트검출부(event detector)410은 상기 각 드라이버( pheripheral(key, touch, sensor 등) driver, DVFS driver, GPU driver, codec driver)에서 이벤트 발생시 이를 검출하여 게이팅제어부(clock/powr gating controller)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게이팅제어부400은 상기 이벤트검출부410에 등록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이벤트검출부410에 등록된 이벤트가 존재하면 클럭공급부(CMU: Clock Management Unit)420 및 전원공급부(PMU: Power Management Unit)430을 제어하여 표시제어부450에 클럭 및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제어부450은 processor hardware 구성인 표시제어모듈(display control module)853 및 표시 물리제어모듈(display physical control module)852와 device driver software 구성인 display control driver와 display physical control driv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이팅제어부410은 화면 변경 요청이 발생되기 전에 표시제어부450의 현재 상태(즉, 전원 및 클럭 온 상태, 전원 온 및 클럭 오프 상태, 전원 및 클럭 오프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태에 따라 클럭/전원 재설정 시간을 계산하여 미리 게이팅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클럭공급부420 및 전원공급부430은 상기 표시제어부450에 미리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여 재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화면 변경 요청시 클럭 및 전원이 재설정된 상태의 표시제어부450은 화면 변경을 위한 표시데이터를 외부의 표시부32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표시부320은 제어부300의 display block의 재설정 시간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표시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을 변경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화면 변경은 처리되는 이벤트에 따라 다른 프레임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UI 화면의 변경은 60 fps(frame per sec)를 가지며, 동영상의 경우에는 30fps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시간을 표시하는 화면의 경우 초 또는 분의 변경을 표시하는 화면에 따라 100ms 또는 10ms의 화면 변경 주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팅 제어부400은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변경율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다음 프레임에서의 화면 변경을 할 수 있도록 T1 및 T2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 변경을 실행한 후 상기 게이팅제어부100은 이전 프레임들의 화면 변경 주기들을 분석하여 다음의 화면변경 주기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T1 및 T2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T1 및 T2 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은 이전 프레임들의 화면 변경 주기들 중에서 최근 프레임의 화면변경 주기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산출된 평균값과, 클럭 인가시에 측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해서 T1, T2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팅제어부400은 T1 시간으로 타이머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게이팅제어부400은 상기 설정된 T1 시간 및 T2 시간을 이용하여 클럭공급부420 및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게이팅 제어부400은 상기 T1 타이머가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클럭공급부420 및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하여 상기 표시제어부450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T1 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게이팅제어부400은 클럭공급부420을 제어하여 표시제어부450에 인가되는 클럭 공급을 차단하고 T2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은 유지되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T2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게이팅제어부400은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하여 표시제어부450에 인가되는 전원 공급도 차단할 수 있다.
도 9는 전자장치에서 표시부의 화면 변경을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는 화면 변경이 예측되는 시점에서 미리 제어부300의 diplay block에 전원 및 클럭이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도 7 및 도 8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전원 및 클럭의 게이팅을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전원 및 클럭의 게이팅을 제어하는 방법을 다른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9 - 도 11을 참조하면, 이벤트가 존재하여 화면 변경을 하여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은 913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961동작에서 diplay block의 현재 상태를 분석한 후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게이팅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diplay block이 전원 및 클럭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 및 클럭을 재설정하는데 필요한 시간, diplay block이 전원은 공급되고 클럭은 오프된 상태에서 클럭을 재설정하는데 필요한 시간 등을 미리 알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diplay block의 각 상태에서 클럭 및/또는 전원을 재설정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게이팅 제어할 시간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diplay block이 클럭 및 전원이 오프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961동작 및 963동작을 수행하면서 이를 감지하고, 965동작에서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하여 상기 diplay block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967동작에서 클럭공급부420을 제어하여 상기 diplay block에 클럭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diplay block이 클럭오프 및 전원 온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961동작 및 963동작을 수행하면서 이를 감지하고, 967동작에서 클럭공급부420을 제어하여 상기 diplay block에 클럭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diplay block이 클럭 및 전원이 온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961동작에서 감지하고, diplay block에 클럭 및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iplay block의 클럭 및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재설정 시간은 diplay block에 클럭만 오프된 상태에서 재설정 시간보다 더 큰 시간이 필요하므로. 이런, 재설정 시간을 고려하여 diplay block의 클럭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럭 및/또는 전원 인가시의 소요된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이는 T1 및 T2 타이머 구동시 고려하기 위함이다.
이후 화면 변경이 요청되면, 상기 제어부300은 911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951동작에서 diplay block을 제어하여 표시부330에 화면을 변경할 표시데이터를 전송하며, 953동작에서 이전의 화면변경 주기들을 분석하여 다음 프레임의 화면변경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T1 시간 및 T2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1 시간 및 T2산출 시간은 도 6과 같은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된 프레임 수는 5 프레임이라고 가정하고 하기 <표 2>와 같이 파라미터들을 정의한다.
R1: clock resume 시간 (ex = 10ms)
R2: power resume 시간 (ex = 50ms)
T1: normal 상태에서 T1시간 동안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경우에 clock gating에
진입하는 시간
T2: normal/clock off 상태에서 T2 시간 동안 면 변경 요청이 없는 경우에
powor gating에 진입하는 시간
ave: 가중치를 적용한 이전 5 frame의 평균 프레임 주기
(예를들면 n 프레임=10, n-1프레임=4, n-2 프레임=3, n-3 프레임 = 2,
n-4 프레임=1)
1frame 시간: 시스템 설정된 fps(frame per second)에서 1프레임에 해당하는 시간
(ex = 60 fps = 1/60s = 16.6(이하 17이라 함)msec
가중치를 고려한 ave 계산 필요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T1=R1, T2=R2
상기 제어부300은 611동작에서 이전의 5프레임들의 화면 변경 요청 주기들을 구하고, 구해진 각 프레임들의 화면 변경 요청 주기들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한 후 이를 합산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00은 이전의 5 프레임들 각각에서 요청된 화면 변경 요청 주기를 구한 후, 이들 각각에 각각 대응되는 프레임들의 가중치를 곱한 후, 가중치가 곱해진 5프레임 구간의 프레임 요청 주기를 합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300은 613에서 상기 합산된 가중치가 적용된 이전 5프레임 구간의 화면 변경 요청 주기를 평균화시켜(즉, 가중치가 적용된 이전 프레임들의 프레임 요청주기 합산 값을 가중치들의 전체 합과 프레임 수를 더한 값으로 나누어) 평균 화면 변경 주기 ave를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300은 설정된 clock resume 값 R1, power resume 값 R2 및 상기 평균 화면 변경주기 ave를 분석한 후, 617동작에서 분석 결과에 따른 T1 및 T2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T1 및 T2시간은 ave 값의 변경 여부(조건 1), ave 값과 R1 값의 관계(조건 2), ave 값과 R2 값의 관계(조건 3)를 분석하여 T1 및 T2를 구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 F5-F1 구간은 가중치를 고려한 ave 계산의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며, 따라서 참조번호 1000 - 1004dhk 같이 T1시간은 10ms로, T2시간은 50ms로 결정한다. 이후 F6 프레임의 프레임 변경 주기가 100ms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각 F6 - F2 프레임 변경 주기에 각각 대응되는 가중치를 곱한 후 평균값을 취하면 ave는 100msec가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00은 ave, R1, R2를 분석하여 T1시간 및 T2시간을 결정한다. F1 프레임 - F10 프레임에서의 T1 및 T2시간은 하기 <표 3>과 같은 분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프레임 R1 R2 ave 조건분석 T1 T2
F1 10ms 50ms 100 가중치계산 불필요 R1 R2
F2 10ms 50ms 100 가중치계산 불필요 R1 R2
F3 10ms 50ms 100 가중치계산 불필요 R1 R2
F4 10ms 50ms 100 가중치계산 불필요 R1 R2
F5 10ms 50ms 100 가중치계산 불필요 R1 R2
F6 10ms 50ms 100 ave 증가,
ave≥R1, ave≥R2
0 1F 시간
F7 10ms 50ms 100 ave 변경없음,
ave≥R1, ave≥R2
0 1F 시간
F8 10ms 50ms 58 ave 감소,
ave≥R1, ave≥R2
R1/1F 시간 중에서 큰값 R2/ave 중에서 큰 값
F9 10ms 50ms 41 ave 감소
ave≥R1, ave<R2
R1/1F 시간 중에서 큰값 R2/ave 중에서 작은 값
F10 10ms 50ms 16 ave 변경없음
ave≥R1, ave<R2
R1/1F 시간 중에서 큰값 R2/ave 중에서 작은 값
따라서 상기 도 10의 F1-F10과 같은 프레임 변경주기를 가지는 경우, 제어부300은 상기 <표 3>과 같은 ave, R1, R2 분석에 따라 참조번호 1000 - 1009와 같은 T1시간 T2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Display Block은 상기 1000 - 1000의 T1시간 및 T2시간에 따라 클럭 및 전원 공급이 제어되어 1050-1059와 같은 소모되는 전류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f1 프레임 - f7 프레임에서의 T1 및 T2시간은 하기 <표 4>과 같은 분석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프레임 R1 R2 ave 조건분석 T1 T2
f1 10ms 50ms 16 ave 증가,
ave≥R1, ave<R2
R1/1F 시간 중에서 큰값 R2/ave 중에서 작은 값
f2 10ms 50ms 38 ave 증가,
ave≥R1, ave<R2
R1/1F 시간 중에서 큰값 R2
f3 10ms 50ms 47 ave 증가,
ave≥R1, ave≥R2
R1/1F 시간 중에서 큰값 R2
f4 10ms 50ms 53 ave 증가,
ave≥R1, ave≥R2
R1/1F 시간 중에서 큰값 R1
f5 10ms 50ms 58 ave 증가,
ave≥R1, ave≥R2
R1/1F 시간 중에서 큰값 R1
f6 10ms 50ms 60 ave 증가,
ave≥R1, ave≥R2
R1/1F 시간 중에서 큰값 R1
f7 10ms 50ms 60 ave 변경없음,
ave≥R1, ave≥R2
0 R1
따라서 상기 도 11의 f1-f7과 같은 프레임 변경주기를 가지는 경우, 제어부300은 상기 <표 4>와 같은 ave, R1, R2 분석에 따라 참조번호 1111 - 1117과 같은 T1시간 T2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Display Block은 상기 1111 - 1117의 T1시간 및 T2시간에 따라 클럭 및 전원 공급이 제어되어 1161-1167과 같은 소모되는 전류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은 953동작에서 도 6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T1 시간 및 T2 시간을 결정한 후, 971동작에서 T1시간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이후 상기 T1 타이머가 구동된 상태에서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구동되는 타이머의 값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T1타이머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300은 915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941동작에서 클럭공급부420 및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하여 표시제어부450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T1 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300은 915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921동작에서 클럭공급부420을 제어하여 표시제어부450에 클럭 공급을 중단하고 923동작에서 T2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Diplay Block은 클럭 공급은 중단된 상태에서 전원은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T2타이머가 구동되는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300은941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클럭 공급을 오프시키고 전원은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클럭공급부420 및 4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T2타이머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300은 915동작에서 이를 감지하고, 931동작에서 상기 클럭공급부420 및 전원공급부430을 제어하여 클럭 및 전원 공급이 중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에서 제어부가 화면 변경을 위한 데이터를 표시부에 전송할 때 Display Clock/Power Gating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동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Clock/Power Gating 방법은 화면 변경 요청에 대한 요청 주기를 분석해서 다음 화면 요청 주기를 예측하고, 실제 클럭 및/또는 전원을 인가할 때 소모된 시간을 측정하여 다음 변경해야할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 변경 주기를 학습/분석해서 동적으로 T1, T2에 대한 시간을 산출하기 때문에 전자장치의 전체 시나리오에서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Display Clock/Power Gating시에 재시작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화면을 변경하는 시점 이전에 화면 변경시에 필요한 동작(즉, 전원 및/또는 클럭을 미리 공급함)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 변경이 발생되는 경우에 미리 인지 가능한 이벤트를 이용해서 Display Block의 재시작을 미리 하기 때문에 재시작 시간을 최소화 하여 사용자 반응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면 변경 요청시, 변경할 화면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하며,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이전 화면 변경 주기에 기초해 다음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면 변경동작과,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절전 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 변경동작은 상기 표시부를 절전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클럭 타이머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변경동작은 화면 변경 요청시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며, 예측된 다음 화면 변경 주기의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전원 타이머를 설정하며,
    상기 절전 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은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상기 전원 타이머를 분석하여 상기 클럭 타이머 종료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전원 타이머를 구동하며, 상기 전원 타이머 종료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변경동작은,
    화면 변경 요청시 디스플레이 블록의 상태에 클럭 또는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과,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을 통해 상기 표시부에 화면 변경을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과,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전원 타이머를 설정할 때 설정된 수의 이전 프레임 구간에서 발생된 화면 변경 주기들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평균값을 구하며, 상기 평균값을 분석하여 다음 프레임의 화면 변경 주기에 대응되는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상기 전원 타이머의 값을 결정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상기 전원 타이머의 값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평균값의 증가 또는 감소를 분석하고, 상기 평균값과 클럭 레쥬메 시간을 비교 분석하며, 상기 평균값과 전원 레쥬메 시간을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클럭 타이머의 값 및 상기 전원 타이머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의 상태에 클럭 또는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의 게이팅 상태를 분석하는 동작과,
    상기 분석하는 동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공급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면 전원 공급을 유지하며 클럭을 공급하는 동작과,
    상기 분석하는 동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 공급이 오프된 상태이면 상기 전원을 공급한 후 클럭을 공급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은,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클럭 타이머 구동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과,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클럭 타이머 종료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공급을 오프시키고 전원 공급을 유지하며, 상기 전원 타이머를 구동하는 동작과,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원 타이머 구동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공급을 오프시키고 전원 공급을 유지하는 동작과,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전원 타이머 오프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 공급을 오프시키는 동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면 변경 이전의 설정된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과,
    상기 화면 변경 요청시 변경할 화면의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하며,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이전 화면 변경 주기에 기초해 다음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하는 동작과,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다음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하는 동작은, 상기 표시부를 절전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클럭 타이머를 조절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하는 동작은 예측된 화면 변경 주기의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전원 타이머를 설정하고, 상기 클럭 타이머를 구동하고 화면을 변경하며,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은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상기 전원 타이머를 분석하며, 상기 클럭 타이머 종료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전원 타이머를 구동하며, 상기 전원 타이머 종료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변경 동작은,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상기 전원 타이머를 설정할 때 설정된 수의 이전 프레임 구간에서 발생된 화면 변경 주기들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평균값을 구하는 동작과,
    상기 평균값을 분석하여 다음 프레임의 화면 변경주기에 대응되는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상기 전원 타이머의 값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상기 전원타이머의 값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평균값의 증가 또는 감소를 분석하고, 상기 평균값과 클럭 레쥬메 시간을 비교 분석하며, 상기 평균값과 전원레쥬메 시간을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클럭 타이머의 값 및 상기 전원 타이머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의 상태에 클럭 또는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의 게이팅 상태를 분석하는 동작과,
    상기 분석하는 동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공급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면 전원 공급을 유지하며 클럭을 공급하는 동작과,
    상기 분석하는 동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 공급이 오프된 상태이면 상기 전원을 공급한 후 클럭을 공급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은,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클럭 타이머 구동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과,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클럭 타이머 종료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공급을 오프시키고 전원 공급을 유지하며, 상기 전원타이머를 구동하는 동작과,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전원 타이머 구동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공급을 오프시키고 전원 공급을 유지하는 동작과,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전원 타이머 오프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 공급을 오프시키는 동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전자장치에 있어서,
    화면 변경 이벤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부와,
    화면 변경 데이터를 수신하며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하는 표시부와,
    화면 변경 이벤트 감지시, 변경할 화면의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며,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이전 화면 변경 주기에 기초해 다음 프레임의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하여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상기 절전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클럭 타이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변경 이벤트 감지시 내부의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고, 예측된 다음 화면 변경 주기의 클럭 타이머 및 전원 타이머를 설정하며,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상기 클럭 타이머를 분석하여 상기 클럭 타이머 종료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공급을 중단하고 전원 타이머를 구동하며, 상기 전원 타이머 종료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이벤트검출부와,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공급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화면 변경을 위한 표시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는 표시제어부와,
    상기 이벤트검출부에서 이벤트 검출시 화면 변경 요청에 의해 상기 클럭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제어부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고, 다음 프레임의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하여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상기 전원 타이머를 설정하며, 화면 변경 요청이 없으면 상기 클럭 타이머를 분석하여 상기 클럭 타이머 종료시 상기 클럭공급부를 제어하여 표시제어부에 클럭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전원타이머를 구동하며, 상기 전원 타이머 종료시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제어부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게이팅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팅제어부는,
    화면 변경 이전의 설정된 시점에서 상기 클럭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화면 요청 시점에서 지연없이 화면 변경 출력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제어부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고, 이후 상기 화면 변경 요청시 다음 프레임의 화면 변경 주기를 예측하여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상기 전원 타이머를 설정하고, 상기 클럭 타이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부는,
    터치입력 및 키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와,
    장치의 상태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외부장치 및/또는 시스템들과 통신하는 통신부와,
    외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팅제어부는,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상기 전원 타이머를 설정할 때 설정된 수의 이전 프레임 구간에서 발생된 화면 변경 주기들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상기 평균값을 분석하여 다음 프레임의 화면 변경 주기에 대응되는 상기 클럭 타이머 및 상기 전원 타이머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팅제어부는,
    상기 평균값의 증가 또는 감소를 분석하고, 상기 평균값과 클럭 레쥬메 시간을 비교 분석하며, 상기 평균값과 전원레쥬메 시간을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클럭 타이머의 값 및 상기 전원 타이머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팅제어부는,
    상기 화면 변경전에 표시제어부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할 때 상기 표시제어부의 상태를 검사하며, 상기 표시제어부에 클럭 공급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면 전원 공급을 유지하며 클럭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 공급이 오프된 상태이면 상기 전원을 공급한 후 클럭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팅제어부는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클럭 타이머 구동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클럭 타이머 종료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공급을 오프시키고 전원 공급을 유지하며, 상기 전원타이머를 구동하며,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전원타이머 구동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공급을 오프시키고 전원 공급을 유지하며, 상기 화면 변경 요청이 없는 상태에서 전원타이머 오프시 상기 디스플레이 블록에 클럭 및 전원 공급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155897A 2013-12-13 2013-12-13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19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897A KR102195518B1 (ko) 2013-12-13 2013-12-13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EP14197455.0A EP2884483B1 (en) 2013-12-13 2014-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in electronic device
US14/569,371 US9625977B2 (en) 2013-12-13 2014-12-12 Apparatus and method for screen power saving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897A KR102195518B1 (ko) 2013-12-13 2013-12-13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625A KR20150069625A (ko) 2015-06-24
KR102195518B1 true KR102195518B1 (ko) 2020-12-29

Family

ID=5214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897A KR102195518B1 (ko) 2013-12-13 2013-12-13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25977B2 (ko)
EP (1) EP2884483B1 (ko)
KR (1) KR102195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5560A1 (ja) * 2013-02-12 2014-08-21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20150228119A1 (en) 2014-02-11 2015-08-13 Osterhout Group, Inc. Spatial location presentation in head worn computing
US9753288B2 (en) 2014-01-21 2017-09-05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9766463B2 (en) 2014-01-21 2017-09-19 Osterhout Group, In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US10878775B2 (en) 2015-02-17 2020-12-29 Mentor Acquisition One, Llc See-through computer display systems
JP6240627B2 (ja) * 2015-02-27 2017-11-29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面生成方法
CN105183156B (zh) * 2015-08-31 2019-03-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屏幕控制方法及装置
US10591728B2 (en) 2016-03-02 2020-03-17 Mentor Acquisition One, Llc Optical systems for head-worn computers
US10667981B2 (en) 2016-02-29 2020-06-02 Mentor Acquisition One, Llc Reading assistance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CN106527664B (zh) * 2016-11-07 2020-10-30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自助终端节能控制方法及装置
CN107608728A (zh) * 2017-09-04 2018-0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移动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8830A1 (en) * 2005-10-14 2009-11-12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US20130262896A1 (en) * 2012-03-29 2013-10-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rocessor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0159B2 (ja) * 2001-01-12 2005-12-2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表示装置
KR100413686B1 (ko) * 2001-07-14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의 절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471101B1 (ko) * 2002-02-18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25765B1 (ko) * 2002-04-12 2004-04-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484162B1 (ko) * 2002-09-13 2005-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저 전력 장치
TWI254202B (en) * 2003-12-05 2006-05-01 Mediatek Inc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US20070262946A1 (en) * 2006-05-11 2007-11-15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7930564B2 (en) * 2006-07-31 2011-04-19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cessor low power states
TW201035956A (en) * 2009-03-27 2010-10-0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low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thereof
KR101897011B1 (ko) * 2010-11-30 2018-09-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29982B1 (ko) * 2010-12-30 2017-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WO2013090584A1 (en) * 2011-12-16 2013-06-20 Intel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of display controller
KR101365231B1 (ko) 2012-04-17 2014-02-1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8830A1 (en) * 2005-10-14 2009-11-12 Panasonic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US20130262896A1 (en) * 2012-03-29 2013-10-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rocessor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9038A1 (en) 2015-06-18
US9625977B2 (en) 2017-04-18
EP2884483B1 (en) 2017-08-16
KR20150069625A (ko) 2015-06-24
EP2884483A1 (en)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518B1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 제어장치 및 방법
EP3340009B1 (en) Electronic device and heat control method based on temperature of battery in electronic device
US10909946B2 (en) Low power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reof
US992163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CN103782634B (zh) 智能终端的唤醒控制方法及装置
US9285864B2 (en) Mobile terminal device, medium and control method
US102634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battery
EP410284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5202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ynamic voltage frequency scaling in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US10809791B2 (en)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83704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pdating screen of display panel thereof
CN109164858B (zh) 用于控制电流的方法和电子设备
EP2985675B1 (en)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CN107506251B (zh) 对智能设备进行复位的方法及装置
CN105468347A (zh) 暂停视频播放的***及方法
CN110995324B (zh) 蓝牙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KR102417186B1 (ko) 노트북 컴퓨터의 동작 방법
CN109445566B (zh) Otg节电处理方法、***、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8976163B2 (en) Using clock detect circuitry to reduce panel turn-on time
CN115917470A (zh) 延迟产生方法及相关设备
CN112379778A (zh) 一种显示调节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6737284A (zh)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