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566B1 -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566B1
KR102194566B1 KR1020190029216A KR20190029216A KR102194566B1 KR 102194566 B1 KR102194566 B1 KR 102194566B1 KR 1020190029216 A KR1020190029216 A KR 1020190029216A KR 20190029216 A KR20190029216 A KR 20190029216A KR 102194566 B1 KR102194566 B1 KR 10219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similarity
information
biometric information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721A (ko
Inventor
이의철
박대희
허은정
임효주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9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5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A61B5/04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K9/0038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7Static hand or arm
    • G06V40/11Hand-related biometrics; Hand pos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 인증에 있어서 지문, 안면 또는 홍채를 이용한 방법에 위조가 거의 불가능한 손목 정맥 패턴을 추가로 생체 인증을 하는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은 다중의 생체 인증을 통해 보안성과 인식율이 높일 수 있고, 주기적인 생체 인증 정보 갱신을 통해 사용자의 편리성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BIOMETRIC AUTHENTICATION }
본 발명은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인식율과 보안성이 높은 다중 생체 인증을 수행하고 그 인증을 유지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 인식은 지문, 홍채, 안면 등을 이용한 인식 방법으로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고유한 행동학적 또는 생물학적 요소를 고려하여 정량적으로 데이터의 특징을 분석하여 사용자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지문은 위변조가 비교적 쉬고 오인식율이 높은 편이고, 홍채의 경우로 식별 성능이 뛰어나지만 콘택트 렌즈 착용이나 각도와 거리가 맞지 않은 경우 인증이 되지 않는 사례가 많다.
또한 보안성과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다중 생체 인식을 사용하면 비용이 발생하고, 인증 시 마다 각 인증 장치에 매번 새롭게 인증을 거쳐야 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도 추가된다. 그러한 이유로 현재까지는 단일 생체 인증이 주로 상용화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1758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중 생체 인증을 통해 인식율과 보안성이 높은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기적인 생체 인증 정보를 갱신하여 생체 인증 유지가 편리한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중 생체 인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생체 인식부, 생체 정보에서 생체 특정 정보를 추출하여 등록하는 생체 특징 등록부, 생체 정보와 등록된 생체 정보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부, 유사도로 본인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확인부를 포함하는 생체 인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다중 생체 인증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기록매체는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취득한 생체 정보에서 취득 생체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기 등록 생체 특징 정보와 취득 생체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유사도로 인증 요구 생체 정보의 본인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널리 상용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생체 인증 방법에 위변조가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손목 정맥 패턴을 이용하여 인식율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인증 가능한 스마트 기기에 추가로 생체 인식이 가능한 착용형 밴드 또는 시계를 이용할 수 있어 비용을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기적으로 생체 인증 정보를 갱신하여 생체 인증을 유지하므로 보안성을 높이면서 사용자의 편리성도 함께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생체 인증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생체 인증 장치가 최초 생체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생체 인증 장치가 수행하는 인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를 나타낸 일례.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생체 인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복수의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 인증을 하므로 인증의 신뢰도를 높인다.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복수 개의 생체 인식 모듈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생체 인식 모듈은 편의상 제1 인증 모듈(100)과 제2인증 모듈(200)로 설명하도록 한다. 각 생체 인증 모듈은 각각 다른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다중으로 생체 인증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인증 모듈(100)은 접촉 또는 비접촉형 생체 인식 센서를 포함하여 홍채, 안면 또는 지문 등의 인식이 가능한 스마트 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제2인증 모듈(200)은 손목밴드 또는 시계에 부착된 착용형 생체 인식 센서로 손목 정맥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제1인증 모듈(100)은 제1 인식부(110), 생체 정보 등록부(120), 유사도 산출부(130), 통신부(140) 및 판별부(150)를 포함한다.
제1 인식부(110)는 다양한 생체 인식 센서를 통해 개인 인증을 위한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제 1인증 모듈(100)은 홍채, 안면 또는 지문 등의 생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 등록부(120)는 최초 인증 시 취득한 생체 정보를 등록한다. 제1인식부(110)에서 취득한 생체 정보에서 생체 정보의 특징을 추출하여 이를 전산화한다. 예를 들면 제1인식부(110)는 취득한 생체 정보 중 특징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이진화 또는 암호화 등으로 전산화를 거쳐 저장할 수 있다. 생체 정보의 특징을 추출하여 전산화함으로 악의적인 의도로 정보가 유출되더라도 완전한 생체정보로 복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유사도 산출부(130)는 취득한 생체 정보와 생체 정보 등록부(120)에 등록된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한다.
통신부(14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1인증 모듈(100)과 제2인증 모듈(200)이 서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14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중 P2P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속도와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40)는 제1인증모듈(100)을 포함한 스마트 폰을 타인이 취득 또는 도난 상태에서 금융거래를 위한 개인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인증을 거부할 수 있다.
판별부(150)는 산출한 유사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넘는 경우 본인으로 판별한다. 제1인증 모듈(100)은 개인 인증 시 제2 인증 모듈(200)에서 취득한 생체 정보와 등록된 생체 정보의 유사도를 요청할 수 있다 판별부(150)는 전송받은 제2인증 모듈(200)의 생체 유사도와 제1인증 모듈(100)의 생체 유사도를 정규화(Normalization) 한다. 예를 들면 판별부(150)는 최소-최대(Min-Max) 정규화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유사도를 0과 1사이의 상대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판별부(150)는 생체 정보 유사도 패턴을 학습하고 본인 인증 성공 및 실패여부를 구분하기 위해 서포트 벡터 머신(SVM: Support Vector Machine)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서포트 벡터 머신(SVM)모델은 패턴 알고리즘 이론으로 두 가지 혼재된 값을 구분할 때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판별부(500)는 제1인증 모듈(100)과 제2인증 모듈(200)에서 각각 산출된 유사도를 정규화하고 하나의 벡터값으로 계산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넘으면 등록된 정보와 입력된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한다. 또는 제1인증 모듈(100)과 제2인증 모듈(200)의 임계값을 달리하여 각각 산출된 유사도를 개별로 임계값과 비교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판별부는 제1인증 모듈(100)과 제2 인증 모듈(200)의 유사도가 각각의 정해진 임계값을 넘으면 생체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제2 인증 모듈(200)은 손목 정맥 패턴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손목밴드 또는 시계형 착용형 생체 인식 장치이다. 예를 들면 제2인증 모듈(200)은 심박 센서로 사용되는 심박(PPG:Photoplethysmo-graphy) 센서와 손목정맥 패턴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인증 모듈(200)은 심박(PPG) 센서로 심박수를 확인하여 제2인증 모듈(200)이 착용자에게 해체된 상태이거나 이상 심박일 때는 생체 정보 인식을 거부할 수 있다. 제2인증 모듈(200)은 제2 인식부(210), 생체 정보 등록부(220), 유사도 산출부(230), 통신부(240) 및 심박수 확인부(250)를 포함한다.
제2인식부(210)는 손목 정맥 패턴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제2 인식부(210)는 항시 손목에 접촉된 상태로 손목 정맥 패턴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로 취득하여 갱신한다. 또는 제 2인식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이나 제1 인증 모듈(100)의 요청에 의해 손목 패턴 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제2인증부(210)는 주기적으로 생체 정보를 갱신하므로 제1 인증 모듈(100)이 인증정보를 요청할 때 취득된 최신 생체 인식 정보를 바로 전송한다. 제 2 인식부(210)는 손목 정맥 패턴을 취득하기 위해 스캐너의 원리를 이용한 라인스캐너(270)를 이용할 수 있다. 라인스캐너(270)는 적외선 조명을 이용하여 카메라가 이동을 하면서 손목 정맥의 패턴을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밴드의 시계의 뒷면에 창작되어 적외선을 이용해 손목 정맥의 패턴을 취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 등록부(220)는 최초 인증 시 취득한 생체 정보를 등록한다. 생체 정보 등록부(220)는 제2 인식부(210)가 착용자의 손목을 따라 이동하거나 손목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착용위치에 따라 여러 각도에서 손목 정맥을 스캔하여 등록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최초 인증 시 다양한 각도의 손목 정맥 패턴을 저장하여 착용자의 손목 정맥 패턴과 기 등록된 사용자의 손목 정맥 패턴의 인식 위치에 따른 불일치 정도를 줄일 수 있다.
유사도 산출부(230)는 개인 인증 요구가 있을 때 제1 인증 모듈(100) 및 제2인증 모듈(200)에서 각각 취득한 생체 정보와 각 생체 인식 장치에 등록된 생체 정보와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제2 인증 모듈(200)은 정해진 주기마다 생체 정보를 갱신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므로 제1인증 모듈(100)의 인증 요청으로부터 즉시 유사도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제2인증 모듈(200)은 기 지정된 주기마다 손목 정맥 패턴 인증을 갱신하여 제1인증 모듈(100)의 인증 요청 시 사용자가 직접 인증 행위를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오인식에 대한 불편을 감소시킨다. 제2인증 모듈(200)은 손목으로부터 해체되지만 않으면 인증이 자동으로 갱신되어 사용자 편리성을 증대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1인증 모듈(100)과 제2인증 모듈(200)이 서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240)는 제2 인증 모듈(200)의 생체 유사도 결과를 제1인증 모듈(100)로 전송한다. 통신부(240)는 제1 인증 모듈(100)의 생체 정보 일치 또는 불일치 정보 즉, 생체 판별여부를 제2 인증 모듈(200)로 전송한다. 통신부(2400)는 제2 인증 모듈(200)가 정해진 주기에 따라 취득한 생체 정보가 기 등록된 정보와 불일치하는 경우 제1 인증 모듈(100)에 불일치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통신부(240)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 중 P2P모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속도와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심박수 확인부(250)는 심박(PPG) 센서로 측정한 심박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안정 심박 범위를 계산한다. 심박수 확인부(250)는 제2인식부(210)가 손목 패턴 생체 인증을 할 때 안정 심박 범위를 벗어나면 위조 생체 정보로 인식한다. 심박수 확인부(250)는 위조 생체 정보임이 확인되면 인증을 거부하고 제1인증 모듈(100)로 위조 생체 정보임을 통보하고 인증 거부 정보를 전달한다. 즉, 제2인증 모듈(200)은 안정 심박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만 손목 정맥 패턴 정보를 갱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생체 인증 장치가 최초 생체 정보 를 등록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단계S210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생체 인식 센서인 제1인식부(110) 및 제2인식부(210)를 통해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제1인식부(110) 및 제2인식부(210)는 생체 정보 촬영 시 여러 번 촬영하여 조금씩 다른 다양한 각도와 위치의 생체 정보를 취득하여 생체 인식 위치에 따른 오인율을 줄인다.
단계 S220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취득된 생체 정보의 특징을 추출한다.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생체 정보의 특징을 추출해 전산화하여 저장하므로 생체 정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완전한 생체 정보가 아니므로 유출된다 하더라도 완전한 생체 정보로 복원이 불가능하므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지문의 경우 분기점, 끝 점의 위치, 홍채의 경우 홍채의 모양 및 정맥의 경우 뻗어 나가는 모양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개인 식별이 가능한 특징만을 추출한 생체 특정 정보를 등록한다.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생체 정보의 인식 위치에 따른 오인율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각도와 위치에서 취득한 복수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등록한다. 등록된 복수의 생체 특징 정보는 이후 생체 인증 시 입력된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본인 판별을 하는 기준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생체 인증 장치가 수행하는 인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인증요청이 시작되면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단계 S310에서 제1인증 모듈(100)이 제2인증 모듈(200)에 생체 인식 정보를 요청한다.
단계 S311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제1인식부(110)를 이용해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313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생체 정보에서 특징만을 추출한다.
단계 S315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기 등록된 생체 특징 정보와 인증 요구 생체 특징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한다.
단계 S320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제2인증 모듈(200)은 요청에 따라 생체 인식을 시작한다. 예를 들면 제2인증 모듈(200)은 손목 정맥 패턴을 취득하기 위한 착용형 생체 인식 센서를 포함한다.
단계 S321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제2인증 모듈(200) 착용자의 심박수를 확인한다.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심박수가 기 등록된 안정 범위에 속한다면 생체 인식을 계속 진행하고 안정 범위를 벗어나면 위조 사용자 또는 제2인증 모듈(200)에 착용자로부터 해체된 것으로 판단하고 생체 인식을 중단하고 제1인증 모듈(100)로 생체 인식 거부를 통보한다.
단계 S323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제2인식부(210)를 이용해 생체 정보인 손목 정맥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325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취득한 생체 정보에서 특징을 추출한다.
단계 S327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기 등록된 생체 특징 정보와 취득한 생체 특징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여 판별부(150)에 전송한다.
단계 S330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제1인증 모듈(100)에서 산출한 유사도와 제2인증 모듈(200)에서 수신한 유사도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유사도가 임계값을 넘으면 등록 생체 정보와 취득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고 취득 생체 정보에 대해 본인으로 판별한고, 임계값보다 적으면 타인으로 판별한다.
단계 S340에서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제2인증 모듈(200)에 본인 판별 여부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의 일례이다. 도 5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의 제2인증 모듈(200)에 대한 일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의 제2인증 모듈(200)은 밴드 또는 시계와 같은 착용형 모듈로 신체에 접촉되는 뒷면을 활용한다.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라인스캐너(270)와 심박(PPG) 센서(260)를 포함한다.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신체 접촉면에 삽입되어 있어 착용하고 있는 동안에는 주기적으로 생체 정보를 갱신한다.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별도의 사용자 작업없이 주기적 생체 정보 갱신을 통해 생체 인증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다중 생체 인증 장치(10)는 생체 인증 요청 시 생체 인증 유지 정보를 바로 전송하여 생체 인증 시마다 사용자가 직접 생체 인증을 시도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처리 속도도 높일 수 있다.
다중 생체 인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생체 인증 장치
100: 제1인증 모듈
110: 제1인식부
120: 생체 정보 등록부
130: 유사도 산출부
140: 통신부
150: 판별부
200: 제2인증 모듈
210: 제2 인식부
220: 생체 정보 등록부
230: 유사도 산출부
240: 통신부
250: 심박수 확인부
260: 심박 센서
270: 라인스캐너

Claims (11)

  1. 다중 생체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생체 인식부;
    상기 생체 정보에서 생체 특정 정보를 추출하여 등록하는 생체 특징 등록부;
    상기 생체 정보와 등록된 생체 정보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유사도 산출부;
    상기 유사도로 본인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확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 인식부는
    비접촉형 또는 접촉형 생체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제1인식부; 및
    손목 정맥 패턴 인식 센서 및 심박 센서(PPG센서)를 포함하는 제2인식부를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인식부는
    정해진 주기마다 생체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유사도 산출부는
    상기 제2인식부가 주기적으로 생체 정보를 갱신하면 유사도도 갱신하고,
    상기 유사도 산출부는
    상기 생체 특징 등록부에 등록된 생체 특징 정보와 상기 생체 인식부에서 취득한 생체 정보에서 추출한 생체 특징 정보를 서포트 벡터 머신 모델을 이용하여 유사도 산출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유사도를 최소-최대(Min-Max) 정규화 방법을 이용하여 정규화하고,
    상기 정규화한 유사도가 미리 지정된 임계값을 넘는 경우 본인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인식부가 취득한 생체 정보의 유사도와 상기 제2인식부가 취득한 생체 정보의 유사도를 하나의 벡터값으로 산출하여 미리 지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거나 각각의 유사도를 개별로 미리 지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심박수 확인부는
    착용자의 심박수를 확인하여 안정 심박 범위를 산출하고,
    상기 생체 인식부는 상기 안정 심박 범위에서만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생체 인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생체 인증 장치.
  6. 삭제
  7. 다중 생체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생체 정보에서 취득 생체 특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기 등록 생체 특징 정보와 상기 취득 생체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로 인증 요구 생체 정보의 본인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심박수를 측정하여 기 등록된 안정 범위에 속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안정 범위에 있는 경우에만 생체 정보 인식을 진행하는 심박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제1인식부는 비접촉형 또는 접촉형 생체 인식 센서를 포함하고,
    제2인식부는 손목 정맥 패턴 인식 센서 및 심박 센서(PPG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인식부는
    정해진 주기마다 생체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기 등록 생체 특징 정보와 상기 취득 생체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서포트 벡터 머신 모델을 이용하여 유사도 산출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사도로 인증 요구 생체 정보의 본인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유사도를 최소-최대(Min-Max) 정규화 방법을 이용하여 정규화하고, 상기 정규화한 유사도가 미리 지정된 임계값을 넘는 경우 본인 인증을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인식부가 주기적으로 생체 정보를 갱신하면 유사도도 갱신하고,
    상기 제1인식부가 취득한 생체 정보의 유사도와 상기 제2인식부가 취득한 생체 정보의 유사도를 하나의 벡터값으로 산출하여 미리 지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거나 각각의 유사도를 개별로 미리 지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다중 생체 인증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7 항의 다중 생체 인증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29216A 2019-03-14 2019-03-14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219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216A KR102194566B1 (ko) 2019-03-14 2019-03-14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216A KR102194566B1 (ko) 2019-03-14 2019-03-14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721A KR20200109721A (ko) 2020-09-23
KR102194566B1 true KR102194566B1 (ko) 2020-12-23

Family

ID=7270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216A KR102194566B1 (ko) 2019-03-14 2019-03-14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941A (ko) * 2020-12-28 2022-07-0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기 인증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6775A (ja) * 2014-12-30 2016-07-11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生体信号を利用したユーザ認証方法及び装置
KR101796352B1 (ko) * 2015-06-30 2017-12-01 김훈 정맥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인 인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993A (ko) * 2015-12-29 2017-07-07 한국과학기술원 심박수를 이용한 실제 생체 지문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6775A (ja) * 2014-12-30 2016-07-11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生体信号を利用したユーザ認証方法及び装置
KR101796352B1 (ko) * 2015-06-30 2017-12-01 김훈 정맥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인 인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941A (ko) * 2020-12-28 2022-07-05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기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522603B1 (ko) * 2020-12-28 2023-04-14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기 인증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721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aver Biometric authentication
JP4740251B2 (ja) バイオメトリクスに基づく識別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30129164A1 (en) Identit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hybrid biometrics
AlMahafzah et al. A survey of multibiometric systems
JP2010020785A (ja) アクセス制御のための無線通信でのバイオメトリックベースの認証の方法
Asha et al. Biometrics: an overview of the technology, issues and applications
KR20090011127U (ko) 다중 생체인식 장치
Chikkerur Online fingerprint verification system
CN101853542A (zh) 一种集成了手指静脉识别技术的ic卡消费***
Khairwa et al. A comprehensive study of various biometric identification techniques
KR102194566B1 (ko) 다중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0404650Y1 (ko) 홍채인식 마우스
CN105184571A (zh) 一种手背静脉与多指纹结合的支付认证***
Angle et al. Biometrics: A further echelon of security
Ashok et al. An overview of biometrics
Vanthana et al. Iris authentication using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and Hausdorff dimension
Kalsoom et al. Iris recognition: existing methods and open issues
Manjunath et al. Analysis of unimodal and multimodal biometric system using iris and fingerprint
CN108416882B (zh) 便携式指纹识别装置
KR101853266B1 (ko) 지문인식방법을 채용한 휴대용 보안인증기
Basha et al. Fast multimodal biometric approach using dynamic fingerprint authentication and enhanced iris features
Sainis et al. ’Biometrics: Cardless Secured Architecture for Authentication in ATM using IRIS Technology
KR101950212B1 (ko) 착용형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Tripathi et al. A literature survey on multi model bio-metric system
Mitra et al. ◾ Overview of Biometric Authent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