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335B1 -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335B1
KR102194335B1 KR1020180152953A KR20180152953A KR102194335B1 KR 102194335 B1 KR102194335 B1 KR 102194335B1 KR 1020180152953 A KR1020180152953 A KR 1020180152953A KR 20180152953 A KR20180152953 A KR 20180152953A KR 102194335 B1 KR102194335 B1 KR 102194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direction
boundary
wheel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5973A (ko
Inventor
이인하
송민우
이선호
심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180152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335B1/ko
Priority to PCT/KR2019/016880 priority patent/WO2020111917A1/ko
Publication of KR2020006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335B1/ko
Priority to US17/335,372 priority patent/US2021028395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60B27/0021Hubs for driven wheels characterised by torque transmission means from drive axle
    • B60B27/0026Hubs for driven wheels characterised by torque transmission means from drive axle of the radial type, e.g. splined k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6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 B60B27/065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the hub to th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05Hubs with bal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3Hubs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18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adhesive bonding, e.g. glu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21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overm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60/00Materials; Physical forms thereof
    • B60B2360/10Metall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11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11Rigidity or stiff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휠 허브는, 제1 재질로 형성되고, 내측 축방향으로 돌출된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가진 이너 허브부; 및 상기 제1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고 상대적으로 중량이 작은 제2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 허브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아우터 허브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부는, 휠과 체결되기 위해 축방향으로 관통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 홀을 형성하고,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체결 홀 각각의 위치를 향해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복수의 연장 기준선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메인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메인 연장부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원주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는, 대응하는 상기 연장 기준선을 중심으로 제1 원주방향의 경계와 제2 원주방향의 경계를 가진다.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는 내측 반경방향 및 제1 원주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는 내측 반경방향 및 제2 원주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WHEEL HUB AND WHEEL BEARING ASSEMBLY COMPRISING SAME}
본 개시는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광역협력권산업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고유번호: P0002115, 연구과제명: 이종 소재를 적용한 자동차용 경량 휠 베어링 개발].
휠 베어링 조립체는 차체의 회전하는 요소와 회전하지 않는 요소 사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요소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장치이다. 차량의 휠 베어링 조립체는 차체에 휠을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킴으로써, 차량이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휠 베어링 조립체는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와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종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로 구별될 수 있다.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는 회전 요소와 비회전 요소를 포함한다. 회전 요소는 엔진에서 발생하여 변속기를 통과한 토크에 의하여, 구동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비회전 요소는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전 요소와 비회전 요소 사이에는 전동 장치가 개재되어 있다. 종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는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나, 구동륜 휠 베어링 조립체와 달리, 회전 요소가 구동축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차이점이 있다.
종래의 휠 베어링 조립체는 차량의 구동계에서 상당한 무게를 차지하고 있어, 구동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휠 베어링 조립체의 무게를 줄일 필요가 있다. 그런데, 설계 과정에서 요구되는 강도를 확보하면서 휠 베어링 조립체의 경량화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휠 베어링 조립체의 경량화를 위해 이종 재료를 적용한 휠 허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종 재료 사이의 결합력 확보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종 재료 간의 물리적 결합력 향상을 위한 개선된 형상의 휠 허브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휠 허브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휠 허브는, 제1 재질로 형성되고, 내측 축방향으로 돌출된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가진 이너 허브부; 및 상기 제1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고 상대적으로 중량이 작은 제2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 허브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아우터 허브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부는, 휠과 체결되기 위해 축방향으로 관통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 홀을 형성하고,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체결 홀 각각의 위치를 향해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복수의 연장 기준선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메인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메인 연장부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원주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는, 대응하는 상기 연장 기준선을 중심으로 제1 원주방향의 경계와 제2 원주방향의 경계를 가진다.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는 내측 반경방향 및 제1 원주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는 내측 반경방향 및 제2 원주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체결 홀은 대응하는 상기 메인 연장부의 외측 반경방향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의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2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의 연장 방향보다 제1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의 수직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의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1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의 연장 방향보다 제2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의 수직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에서,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2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과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1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과 제2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에서,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2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과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1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과 제2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는 1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각도는 1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에서,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 및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은 상기 아우터 허브부의 외측 반경방향 바깥에서 교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 및 내측 축방향 말단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내측 반경방향 및 내측 축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경사를 가진 표면을 형성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축방향 표면의 외측 반경방향 부분 및 상기 걸림부를 덮어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축방향과 상기 걸림부의 경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1˚ 이상 45˚ 이하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축방향 길이는 반경방향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플랜지부의 축방향 폭의 1/3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으로부터 내측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내측 축방향 말단면에 연결되는 제1 단차면과, 상기 내측 축방향 말단면으로부터 외측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 및 상기 제1 단차면에 연결되는 제2 단차면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축방향 표면의 외측 반경방향 부분, 상기 제1 단차면 및 상기 제2 단차면을 덮어줄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차면은, 상기 제1 단차면의 외측 축방향 말단으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함몰 곡면; 및 상기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의 내측 축방향 말단으로부터 내측 반경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볼록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차면은, 상기 함몰 곡면 및 상기 볼록 곡면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평탄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면은 내측 반경방향 및 내측 축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경사를 가진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상기 복수의 메인 연장부의 외측 축방향 표면을 덮어주고, 상기 복수의 체결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체결 홀과 연결되는 복수의 대응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대응 홀의 지름은 상기 대응 홀의 내측 축방향 말단에서 가장 작을 수 있다. 상기 대응 홀의 내측 축방향 말단에서의 지름은 상기 체결 홀의 외측 축방향 말단에서의 지름 이상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상기 대응 홀의 지름이 외측 축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구성된 챔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이너 허브부는, 외측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강성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상기 이너 허브부의 외측 축방향 표면을 덮어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강성 보강부는, 상기 복수의 체결 홀의 위치에서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강성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강성 보강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메인 연장부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상기 복수의 메인 연장부의 개수의 배수와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부 각각의 표면의 원주방향 말단부는, 라운드지게 상기 이너 허브부의 다른 부분의 표면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부 각각의 표면의 원주방향 중앙 부분은, 외측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평탄하거나, 외측 축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강성 보강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강성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강성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내측 축방향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폭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휠 베어링 조립체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는, 외륜; 상기 외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휠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휠 허브; 및 상기 외륜 및 상기 휠 허브 사이에 배치되는 구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휠 허브는, 제1 재질로 형성되고, 내측 축방향으로 돌출된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가진 이너 허브부; 및 상기 제1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고 상대적으로 중량이 작은 제2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 허브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아우터 허브부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휠과 체결되기 위해 축방향으로 관통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 홀을 형성하고,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체결 홀 각각의 위치를 향해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복수의 연장 기준선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메인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메인 연장부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원주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는, 대응하는 상기 연장 기준선을 중심으로 제1 원주방향의 경계와 제2 원주방향의 경계를 가진다.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는 내측 반경방향 및 제1 원주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는 내측 반경방향 및 제2 원주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응력 집중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경량 소재로 대체함으로써, 휠 허브 및 휠 베어링 조립체를 경량화하면서도 설계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이너 허브부 및 상기 아우터 허브부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이너 허브부 및 상기 아우터 허브부의 결합 공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이너 허브부 및 상기 아우터 허브부 사이의 회전력 전달을 위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체결 홀이 휠 볼트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1)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허브(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휠 허브(1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휠 허브(10)에서 아우터 허브부(200)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허브(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험예에 따라 단일 재료로 형성된 일체형의 휠 허브(HUB)가 회전할 때 각 부분 별로 받는 응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도 7은 도 2의 휠 허브(10)의 내측 축방향(IA)의 입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E1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E2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inner) 허브부(10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이너 허브부(100')가 아우터(outer) 허브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도 10의 E3 부분을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이너 허브부(100')가 아우터 허브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도 10의 E4 부분을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2의 이너 허브부(100)의 외측 축방향(OA) 표면이 보이는 사시도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 보강부(150)가 도시된다.
도 16은 도 2의 이너 허브부(100)의 외측 축방향(OA) 표면이 보이는 사시도로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성 보강부(150')가 도시된다.
도 17은 도 15의 이너 허브부(100)를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성 보강부(150S1)가 도시된다.
도 18은 도 15의 이너 허브부(100)를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성 보강부(150S2)가 도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기재된 '45˚'라는 치수는 '약 45˚'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반경방향"의 방향지시어는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한 방사상 방향(radial dire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외측 반경방향"의 방향지시어는 회전체의 회전축에 대한 방사상 방향(radial direction) 중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 반경방향"의 방향지시어는 외측 반경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축방향"의 방향지시어는 회전체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외측 축방향"의 방향지시어는 회전체의 회전축을 따라서 차체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내측 축방향"의 방향지시어는 회전체의 회전축을 따라서 차체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원주방향"의 방향지시어는 회전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1 원주방향"의 방향지시어는 원주방향인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의미하고, "제2 원주방향"의 방향지시어는 제1 원주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면들에는 회전체의 회전축(C), 외측 반경방향(OR), 내측 반경방향(IR), 외측 축방향(OA), 내측 축방향(IA), 제1 원주방향(C1) 및 제2 원주방향(C2)이 도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베어링 조립체(1)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휠 베어링 조립체(1)는 차체에 고정되는 외륜(20) 및 외륜(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내륜부(10, 15)를 포함한다. 외륜(20)은 내륜부(10, 15)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외륜(20)은 너클(50)에 결합된다. 외륜(20)은 외측 반경방향(OR)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미도시)를 포함한다. 외륜(20)의 상기 플랜지를 축방향(OA, IA)으로 관통하는 너클 볼트(66)를 매개로 외륜(20)와 너클(50)이 결합될 수 있다.
내륜부(10, 15)는 휠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내륜부(10, 15)는 휠 허브(10)와 내륜(15)을 포함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내륜부는 휠 허브(1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내륜부(10, 15)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내륜(15)은 휠 허브(10)의 외주면 상에 압입된다. 내륜(15)은 휠 허브(10)와 일체로 회전한다.
휠 허브(10)는 외륜(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휠 허브(10)는 상기 휠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휠 허브(10)에는 상기 휠이 결합되어, 휠 허브(10)와 상기 휠이 일체로 회전한다. 휠 허브(10)는 외측 반경방향(OR)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를 구비한다. 휠 허브(10)의 상기 플랜지를 축방향(OA, IA)으로 관통하는 휠 볼트(61)를 매개로 휠 허브(10)와 상기 휠이 결합될 수 있다.
휠 허브(10)는 내측 축방향(IA)에 배치되는 이너 허브부(100)와 이너 허브부(100)의 외측 축방향(OA)에서 결합되는 아우터 허브부(200)를 포함한다.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는 일체로 회전한다.
본 개시에서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와 "일체로 회전"한다는 것은, 제1 구성요소가 제2 구성요소와 동일 회전속도와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휠 베어링 조립체(1)는 외륜(20) 및 내륜부(10, 15)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름부재(30)를 포함한다. 구름부재(30)는 내륜부(10, 15)의 외주면과 외륜(2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된다. 구름부재(30)는 외륜(20) 및 휠 허브(10) 사이에 배치된다.
구름부재(30)는 휠 허브(10)의 외주면과 이에 대향하는 외륜(2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름부재(30)는 내륜(15)의 외주면과 이에 대향하는 외륜(20)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동체(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동체(31)는 축방향(OA, IA)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2열로 배치되나, 복수의 전동체(31)의 축방향(OA, IA)으로의 열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전동체(31)는 1열 또는 3열 이상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동체(31)는 볼 베어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전동체(31)는 롤러 베어링, 테이퍼 롤러 베어링, 니들 베어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동체(31)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나, 복수의 전동체(31)는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열에 배치된 복수의 전동체(31)는 회전축(C)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된다. 구름부재(30)는 복수의 전동체(31)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리테이너(36)(retainer)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36)는 복수의 전동체(31)의 위치를 구속한다. 리테이너(36)는 외륜(20)와 내륜부(10, 15) 사이에 위치한다.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허브(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휠 허브(1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휠 허브(10)에는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를 관통하는 홀(120h, 230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허브부(100)의 체결 홀(120h)과 아우터 허브부(200)의 대응 홀(230h)이 연결되어 휠 허브(10)의 홀(120h, 230h)을 형성한다. 휠 볼트(61)는 홀(120h, 230h)를 통과하여 휠 허브(10)에 고정된다.
이너 허브부(100)는 아우터 허브부(200)를 기준으로 내측 축방향(IA)을 향해 배치된다. 아우터 허브부(200)는 상기 이너 허브부의 외측 축방향 표면을 덮어준다. 아우터 허브부(200)는 이너 허브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휠을 향해 배치된다.
휠 허브(10)는 적어도 두 개의 이종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는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 허브부(100)는 제1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재질은 스틸(steel) 재질일 수 있다.
이너 허브부(100)는 내측 축방향(IA)으로 돌출된 중앙부(110)를 포함한다. 중앙부(110)는 플랜지부(120)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다. 중앙부(110)의 외주면은 외륜(20)의 내주면을 마주본다. 중앙부(110)와 외륜(20) 사이에 구름부재(30)가 위치한다. 중앙부(110)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은 내측 축방향(IA)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한다. 중앙부(110)의 내주면은 아우터 허브부(200)에 의해 덮어진다. 중앙부(110)는 아우터 허브부(200)의 중앙 커버부(213)에 의해 덮어진다.
이너 허브부(100)는 중앙부(110)에서 외측 반경방향(OR)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0)를 포함한다. 플랜지부(120)는 회전축(C)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플랜지부(120)는 축방향(OA, IA)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20)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은 아우터 허브부(200)에 의해 덮어진다. 플랜지부(120)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은 아우터 허브부(200)의 외측 커버부(232)에 의해 덮어진다.
플랜지부(120)는 상기 휠과 체결되기 위해 축방향(OA, IA)으로 관통되는 체결 홀(120h)을 형성한다. 복수의 체결 홀(120h)이 원주방향(C1, C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체결 홀(120h)은 원주방향(C1, C2)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120)는 회전축(C)으로부터 복수의 체결 홀(120h) 각각의 위치를 향해 외측 반경방향(OR)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를 포함한다. 메인 연장부(121)는 외측 반경방향(OR)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플랜지부(120)는 원주방향(C1, C2)으로 인접한 2개의 메인 연장부(121)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연장부(122)를 포함한다. 복수의 보조 연장부(122)와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는 원주방향으로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다. 보조 연장부(122)는 메인 연장부(121)에 비해 외측 반경방향(OR)으로 짧게 돌출된다. 메인 연장부(121)와 보조 연장부(122)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복수의 체결 홀(120h)은 플랜지부(120)의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체결 홀(120h)의 개수와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체결 홀(120h)은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에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 홀(120h)은 대응하는 메인 연장부(121)의 외측 반경방향(OR) 부분에 형성된다. 체결 홀(120h)은 대응하는 메인 연장부(121)의 내측 반경방향(IR)의 말단에 비해 외측 반경방향(OR)의 말단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아우터 허브부(200)는 상기 제1 재질과 다른 제2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재질은 상기 제1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고 상대적으로 중량이 작은 재질이다.
일 예로, 상기 제2 재질은 경량 함금 재료일 수 있다. 상기 경량 합금 재료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재질이 경량 합금 재료인 경우, 이너 허브부(100) 및 아우터 허브부(200)는 냉간 단조 방식, 온간 단조 방식 또는 열간 단조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간 단조 방식에 의할 경우, 상기 제1 재질로 이너 허브부(100)를 먼저 제조하고, 아우터 허브부(200)의 외형에 대응되는 내형을 갖는 금형 내에 이너 허브부(100)와 상기 제2 재질의 프리폼(아우터 허브부를 형성하기 위해 임시로 제조된 피단조물)을 배치한 후, 이너 허브부(100)와 상기 프리폼을 고온 및 고압의 환경에서 열간 형성하여 휠 허브(1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너 허브부(100) 및 아우터 허브부(200)는 반용융 단조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용융 단조 방식은, 피단조물이 완전한 액체 또는 완전한 고체 상태에서 압축되는 방식이 아니라, 피단조물이 반용융 상태로 가열된 후, 반용융 상태에서 압축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피단조물의 반용융 상태는 피조물이 일정한 수준 이상의 온도로 가열됨에 따라 피단조물의 일부가 녹은 상태, 즉 액체와 고체의 중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반용융 방식 하에서, 이너 허브부(100) 및 아우터 허브부(200)는 각각 일정한 수준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후 반용융 상태에서 압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조 방식은 다른 방식들에 비하여 공정이 단순하고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2 재질은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된 이너 허브부(100)와 핫 프레스용 금형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핫 프레스용 금형 내에 CFRP를 포함하는 카본칩(Carbon Chip)을 넣어 핫 프레스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이너 허브부(100)와 일체로 결합된 아우터 허브부(200)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의 사이에는 접착제나 브레이징(brazing) 용가재 등의 접착 수단이 도포되어,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 수단은 상술한 다른 결합 방식과 함께 추가로 이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방식을 통해, 아우터 허브부(200)는 이너 허브부(100)와 일체로 결합된다.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가 일체로 형성된 후, 휠 볼트(61)의 삽입을 위한 홀(120h, 230h)이 드릴과 같은 홀 형성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한번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너 허브부(100)의 체결 홀(120h) 및 아우터 허브부(200)의 대응 홀(230h)은 각각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공정을 통해 한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너 허브부(100)의 체결 홀(120h)과 아우터 허브부(200)의 대응 홀(230h)이 정확히 매칭(matching)될 수 있다.
아우터 허브부(200)는 아우터 허브부(2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대응부(210)를 포함한다. 중앙 대응부(210)는 이너 허브부(100)의 중앙부(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중앙 대응부(210)는 이너 허브부(100)의 중앙부(110)의 내주면을 덮어준다.
아우터 허브부(200)는 원주방향(C1, C2)으로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원주부(230)를 포함한다. 원주부(230)는 축방향(OA, IA)으로 바라볼 때 회전축(C)을 중심으로 한 원형을 형성할 수 있다. 원주부(230)는 중앙 대응부(210)에서 외측 반경방향(OR)으로 돌출되어 원주방향(C1, C2)으로 연장된다. 원주부(230)는 이너 허브부(100)의 플랜지부(120)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을 덮어준다.
원주부(230)는 상기 휠과 체결되기 위해 축방향(OA, IA)으로 관통되는 대응 홀(230h)을 형성한다. 복수의 대응 홀(230h)이 원주방향(C1, C2)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대응 홀(230h)은 원주방향(C1, C2)으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대응 홀(230h)은 복수의 체결 홀(120h)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대응 홀(230h)의 개수와 복수의 체결 홀(120h)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대응 홀(230h)은 복수의 체결 홀(120h)에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대응 홀(230h)은 복수의 체결 홀(120h)에 대응하는 위치에 축방향(OA, IA)으로 관통되어 체결 홀(120h)과 연결된다.
원주부(230)는 원주방향(C1, C2)으로 인접한 2개의 메인 연장부(121)의 사이의 간극을 채워주는 원주 연장부(231)를 포함한다. 원주 연장부(231)는 원주방향(C1, C2)으로 연장되어 원주방향(C1, C2)으로 인접한 2개의 메인 연장부(121)를 서로 연결한다.
도 4는 도 2의 휠 허브(10)에서 아우터 허브부(200)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허브(10)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이너 허브부(100)는 아우터 허브부(200)가 걸림되는 걸림부(126)를 포함한다. 걸림부(126)를 통해,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의 축방향(OA, IA)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걸림부(126)는 이너 허브부(100)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 부분에 형성된다. 플랜지부(120)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 부분에서 외측 축방향(OA)의 단부에 비해 내측 축방향(IA)의 단부가 내측 반경방향(IR)으로 함몰됨으로써, 걸림부(126)가 형성된다.
걸림부(126)는 플랜지부(120)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126)는 메인 연장부(121)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1 걸림부(126a)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126)는 보조 연장부(121)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 부분에 위치하는 제2 걸림부(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부(126a) 및 제2 걸림부(126b)는 원주방향(C1, C2)을 따라 교대로 번갈아가며 배치된다.
아우터 허브부(200)는 걸림부(126)의 외측 반경방향(OR)의 표면을 덮어준다. 예를 들어, 상술한 단조 방식을 통해 피단조물이 걸림부(126)의 외측 반경방향(OR)의 표면과 금형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밀려 들어감으로써, 아우터 허브부(200)의 외측 반경방향(OR)의 말단부가 걸림부(126)를 덮어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허브부(200)의 원주부(230)는 플랜지부(120)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의 외측 반경방향 부분을 덮어주는 걸림 대응부(235)를 포함한다. 걸림 대응부(235)는 플랜지부(120)의 외측 반경방향(OR)의 표면을 덮어준다. 걸림 대응부(235)는 플랜지부(120)의 걸림부(126)를 덮어준다. 구체적으로, 걸림 대응부(235)는 플랜지부(120)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의 외측 반경방향 부분 및 걸림부(126)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며 덮어준다. 걸림 대응부(235)는 제1 걸림부(126a)를 덮어주는 제1 걸림 대응부(235a)와, 제2 걸림부(126b)를 덮어주는 제2 걸림 대응부(235b)를 포함한다.
아우터 허브부(200)의 원주부(230)는 원주 연장부(231)와 연결되는 외측 커버부(232)를 포함한다. 아우터 허브부(200)는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을 덮어준다. 외측 커버부(232)는 메인 연장부(121)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을 덮어주는 제1 외측 커버부(232a)를 포함한다. 외측 커버부(232)는 보조 연장부(121)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을 덮어주는 제2 외측 커버부(232b)를 포함한다.
아우터 허브부(200)의 중앙 대응부(210)는 외측 축방향(OA)으로 돌출되는 파일럿부(211)를 포함한다. 중앙 대응부(210)는 이너 허브부(100)의 중앙부(110)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을 덮어주는 중앙 커버부(213)를 포함한다.
도 6은 일 실험예에 따라 단일 재료로 형성된 일체형의 휠 허브(HUB)가 회전할 때 각 부분 별로 받는 응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도 6의 일 실험예에서, 휠 허브(HUB)의 회전축(C)을 중심으로 한 중앙 부분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응력이 측정된다. 또한, 휠 허브(HUB)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휠 볼트가 연결되는 홀이 형성된 부분으로 외측 반경방향(OR)으로 연장된 부분을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응력이 측정되고, 원주방향(C1, C2)으로 인접한 2개의 홀 사이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응력이 측정된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경계(Lp)를 도시하면 도 6과 같다. 즉, 휠 허브(HUB)에서 경계(Lp)를 기준으로 내측 반경방향(IR)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높은 응력이 걸리고, 경계(Lp)를 기준으로 외측 반경방향(OR)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낮은 응력이 걸린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6의 경계(Lp)의 형상을 따라 상기 제1 재질로 형성된 이너 허브부(100)의 플랜지부(120)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를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을 상기 제2 재질로 형성된 아우터 허브부(200)로 메운다. 이를 통해, 휠 허브(10)가 경량으로 형성되면서도, 휠 허브(10)의 강도를 위해 핵심적인 부분을 이너 허브부(100)로 할 수 있어, 구조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휠 허브(10)의 내측 축방향(IA)의 입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여, 도 6의 실험 결과에 따른 이너 허브부(100)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 형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C)으로부터 복수의 체결 홀(120h) 각각의 위치를 향해 외측 반경방향(OR)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복수의 연장 기준선(Ls)을 정의하여, 이너 허브부(100)의 경계 형상을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 기준선(Ls)은 가상의 직선으로서,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복수의 연장 기준선(Ls)은 복수의 체결 홀(120h)에 일대일 대응한다. 하나의 연장 기준선(Ls)은 회전축(C)으로부터 대응되는 체결 홀(120h)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외측 반경방향(OR)으로 연장된다.
이너 허브부(100)의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는 복수의 연장 기준선(Ls)을 따라 외측 반경방향(OR)으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는 복수의 연장 기준선(Ls)에 일대일 대응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5개의 체결 홀(120h)에 대응하는 5개의 연장 기준선(Ls1, Ls2, Ls3, Ls4, Ls5)이 도시되고, 5개의 연장 기준선(Ls1, Ls2, Ls3, Ls4, Ls5)에 대응하는 5개의 메인 연장부(121-1, 121-2, 121-3, 121-4, 121-5)가 구성된다.
각각의 메인 연장부(121)는 대응하는 연장 기준선(Ls)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의 양 측으로 경계(127)를 형성한다. 각각의 메인 연장부(121)는 대응하는 연장 기준선(Ls)을 중심으로 제1 원주방향(C1)의 경계(127a)와 제2 원주방향(C2)의 경계(127b)를 가진다.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는 내측 반경방향(IR) 및 제1 원주방향(C1)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는 내측 반경방향(IR) 및 제2 원주방향(C2)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는 내측 반경방향(IR) 및 제1 원주방향(C1)의 사이 방향으로 곧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는 내측 반경방향(IR) 및 제2 원주방향(C2)의 사이 방향으로 곧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의 외측 반경방향(OR)의 말단은 메인 연장부(121)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128)와 연결된다.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의 외측 반경방향(OR)의 말단은 메인 연장부(121)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128)와 연결된다. 메인 연장부(121)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128)는 외측 반경방향(OR)으로 볼록하게 라운드(round)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의 내측 반경방향(IR)의 말단은 보조 연장부(122)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129)와 연결된다.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의 내측 반경방향(IR)의 말단은 보조 연장부(122)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129)와 연결된다. 보조 연장부(122)의 외측 반경방향(OR)의 경계(129)는 내측 반경방향(IR)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메인 연장부(121)의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는, 제2 원주방향(C2)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의 연장 방향보다 제1 원주방향(C1)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의 수직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고하여, 메인 연장부(121-1)의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는 제2 원주방향(C2)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1)의 연장 방향보다 제1 원주방향(C1)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2)의 수직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메인 연장부(121-1)의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가 연장 기준선(Ls1)과 이루는 각도보다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가 연장 기준선(Ls2)에 수직한 가상의 선과 이루는 각도가 더 작다.
각각의 메인 연장부(121)의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는, 제1 원주방향(C1)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의 연장 방향보다 제2 원주방향(C2)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의 수직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고하여, 메인 연장부(121-1)의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는 제1 원주방향(C1)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1)의 연장 방향보다 제2 원주방향(C2)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5)의 수직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메인 연장부(121-1)의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가 연장 기준선(Ls1)과 이루는 각도보다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가 연장 기준선(Ls5)에 수직한 가상의 선과 이루는 각도가 더 작다.
각각의 메인 연장부(121)에서,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는 제2 원주방향(C2)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과 제1 각도(Ag1)를 형성하고,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는 제1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과 제2 각도(Ag2)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고하여, 메인 연장부(121-1)의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는 제2 원주방향(C2)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1)과 제1 각도(Ag1)를 형성하고, 메인 연장부(121-1)의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는 제1 원주방향(C1)으로 인접한 연장 기준선(Ls1)과 제2 각도(Ag2)를 형성한다.
제1 각도(Ag1) 및 제2 각도(Ag2)는 동일할 수 있다. 제1 각도(Ag1)는 1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제2 각도(Ag2)는 1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각각의 메인 연장부(121)에서,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 및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은 휠 허브(10)의 외측 반경방향(OR) 바깥에서 교차할 수 있다. 내측 축방향(IA)으로 바라볼 때, 각각의 메인 연장부(121)에서,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의 상기 가상의 연장선 및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의 상기 가상의 연장선은 아우터 허브부(200)의 외측 반경방향(OR) 바깥에서 교차할 수 있다. 각각의 메인 연장부(121)에서,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의 상기 가상의 연장선 및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의 상기 가상의 연장선은 해당되는 연장 기준선(Ls) 상에서 교차할 수 있다. 도 7에는, 제1 원주방향의 경계(127a)의 상기 가상의 연장선 및 제2 원주방향의 경계(127b)의 상기 가상의 연장선의 교차점(P)이 도시된다.
도 8은 도 5의 E1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E2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아우터 허브부(200)의 대응 홀(230h)의 지름은 대응 홀(230h)의 내측 축방향(IA)의 말단에서 가장 작을 수 있다. 대응 홀(230h)의 내측 축방향(IA)의 말단에서의 지름은 이너 허브부(100)의 체결 홀(120h)의 외측 축방향(OA)의 말단에서의 지름 이상일 수 있다. 아우터 허브부(200)는 대응 홀의 지름이 외측 축방향(OA)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구성된 챔퍼부(233)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휠 볼트(61)를 압입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이너 허브부(100)에 의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어, 홀(120h, 230h)의 변형을 방지하고 휠 볼트(61)와 휠 허브(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챔퍼부(233)를 형성함으로써, 휠 볼트(61)가 압입될 때 휠 볼트(61)의 나사산에 의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상기 제2 재질로 이루어진 아우터 허브부(200)가 뭉개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챔퍼부(233)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예로서,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의 결합 후, 상기 홀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홀(120h, 320h)을 일체로 형성시킨 후, 대응 홀(320h)의 둘레부분을 깎아주어 챔퍼부(233)를 형성할 수 있다. 챔퍼부(233)는 외측 커버부(232)에 배치될 수 있다. 외측 커버부(232)의 축방향(OA, IA)의 두께(Ta)는 최소 0.1mm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를 설명한다. 플랜지부(12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126)는 플랜지부(120)의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125) 및 내측 축방향 말단면(124)이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한다. 걸림부(126)의 외측 축방향(OA)의 말단은 플랜지부(120)의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125)과 연결된다. 걸림부(126)의 내측 축방향(IA)의 말단은 플랜지부(120)의 내측 축방향 말단면(124)과 연결된다.
걸림부(126)는 내측 반경방향(IR) 및 내측 축방향(IA)의 사이 방향으로 경사를 가진 표면을 형성한다. 축방향(OA, IA)과 걸림부(126)의 경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Ag3)는 1˚ 이상 45˚ 이하일 수 있다. 만약 축방향(OA, IA)과 걸림부(126)의 경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Ag3)가 45˚를 초과하면, 상술한 단조 방식으로 플랜지부(120)가 걸림부(126)를 덮게 만드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만약 축방향(OA, IA)과 걸림부(126)의 경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Ag3)가 1˚ 미만이면,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의 축방향(OA, IA)의 결합력이 약해진다. 일 실시예에서, 축방향(OA, IA)과 걸림부(126)의 경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Ag3)는 약 25˚이다.
걸림부(126)의 축방향 길이(Da)는 걸림부(126)의 반경방향 길이(Db) 이상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축방향 길이(Da)는 반경방향 길이(Db)보다 크다.
걸림부(126)의 축방향 길이(Da)는 플랜지부(120)의 축방향 폭(Dc)의 1/3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축방향 길이(Da)는 축방향 폭(Dc)의 1/2보다 크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상술한 걸림부(126)에 대한 설명은, 도 8의 제1 걸림부(126a) 및 도 9의 제2 걸림부(126b)에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허브부(10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이너 허브부(100')가 아우터 허브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도 10의 E3 부분을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이너 허브부(100')가 아우터 허브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도 10의 E4 부분을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허브부(100) 및 아우터 허브부(2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허브부(100') 및 아우터 허브부(200')를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플랜지부(12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126')는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125) 및 내측 축방향 말단면(124)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단차진 형상을 형성한다. 걸림부(126')는 플랜지부(120)의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125)에 대해 내측 반경방향(IR)으로 단차를 형성한다. 걸림부(126')는 플랜지부(120)의 내측 축방향 말단면(124)에 대해 외측 반경방향(OR)으로 단차를 형성한다. 단차를 가진 걸림부(126')의 형상을 통해,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의 축방향(OA, IA)의 물리적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너 허브부(100')의 플랜지부(120)의 걸림부(126')는 플랜지부(120)의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125)으로부터 내측 반경방향(IR)으로 이격되는 제1 단차면(126P')을 포함한다. 제1 단차면(126P')은 플랜지부(120)의 내측 축방향 말단면(124)에 연결된다. 제1 단차면(126P')의 내측 축방향(IA)의 말단은 내측 축방향 말단면(124)과 연결된다.
걸림부(126')는 플랜지부(120)의 내측 축방향 말단면(124)으로부터 외측 축방향(OA)으로 이격되는 제2 단차면(126Q')을 포함한다. 제2 단차면(126Q')은 플랜지부(120)의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125) 및 제1 단차면(126P')에 연결된다. 제2 단차면(126Q')의 내측 반경방향(IR)의 말단은 제1 단차면(126P')의 외측 축방향(OA)의 말단에 연결된다. 제2 단차면(126Q')의 외측 반경방향(OR)의 말단은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125)에 연결된다.
제1 단차면(126P')은 내측 반경방향(IR) 및 내측 축방향(IA)의 사이 방향으로 경사를 가진 표면을 포함한다. 축방향(OA, IA)과 제1 단차면(126P')의 상기 경사를 가진 표면 사이의 각도(Ag4)는 1˚ 이상 45˚ 이하일 수 있다.
제2 단차면(126Q')은 제1 단차면(126P')의 외측 축방향(OA)의 말단으로부터 외측 반경방향(OR)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함몰 곡면(126Q1')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 곡면(126Q1')의 곡률반경은 0.5mm 이상일 수 있다.
제2 단차면(126Q')은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125)의 내측 축방향(IA)의 말단으로부터 내측 반경방향(IR)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볼록 곡면(126Q2')을 포함할 수 있다. 볼록 곡면(126Q2')의 곡률반경은 0.5mm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함몰 곡면(126Q1')의 외측 반경방향(OR)의 말단은 볼록 곡면(126Q2')의 내측 반경방향(IR)의 말단에 연결된다.
걸림부(126')의 축방향 길이(Dd)는 걸림부(126')의 반경방향 길이(De) 이상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축방향 길이(Dd)는 반경방향 길이(De) 보다 크다.
걸림부(126')의 축방향 길이(Da)는 플랜지부(120)의 축방향 폭(Df)의 1/3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축방향 길이(Da)는 축방향 폭(Df)의 1/2보다 크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상술한 걸림부(126')에 대한 설명은, 도 11의 제1 걸림부(126a') 및 도 12의 제2 걸림부(126b')에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허브부(200')는, 플랜지부(120)의 외측 축방향(OA) 표면의 외측 반경방향(OR) 부분을 덮어준다. 아우터 허브부(200')는 제1 단차면(126P') 및 상기 제2 단차면(126Q')을 덮어준다.
도 13은 도 11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허브부(100'')와 아우터 허브부(200'')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허브부(100') 및 아우터 허브부(2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허브부(100'') 및 아우터 허브부(200'')를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플랜지부(12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126'')의 제2 단차면(126Q'')은 평탄면(126Q3'')을 포함한다. 제2 단차면(126Q'')은 함몰 곡면(126Q1'') 및 볼록 곡면(126Q2'')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면(126Q3'')은 함몰 곡면(126Q1'') 및 볼록 곡면(126Q2'')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차면(126P''), 함몰 곡면(126Q1'') 및 볼록 곡면(126Q2'')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126')의 내용과 중복되어 생략한다.
걸림부(126'')의 제2 단차면(126Q'')의 평탄면(126Q3'')은 외측 반경방향(OR)에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외측 반경방향(OR)에 대해 예각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평탄면(126Q3'')은 외측 반경방향(OR)에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외측 반경방향(OR) 및 외측 반경방향(OR)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축방향(OA, IA)과 평탄면(126Q3'') 사이의 각도(Ag5)는 9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도 13에서는 축방향(OA, IA)에 평행한 가상의 직선(lb)과 평탄면(126Q3'')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가상의 직선(la) 사이의 각도(Ag5)가 도시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여 상술한 걸림부(126'')에 대한 설명은, 도 13의 제1 걸림부(126a'') 및 도 14의 제2 걸림부(126b'')에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허브부(200'')는, 플랜지부(120)의 외측 축방향(OA) 표면의 외측 반경방향(OR) 부분을 덮어준다. 아우터 허브부(200'')는 제1 단차면(126P'') 및 상기 제2 단차면(126Q'')을 덮어준다.
도 15는 도 2의 이너 허브부(100)의 외측 축방향(OA) 표면이 보이는 사시도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 보강부(150)가 도시된다. 도 16은 도 2의 이너 허브부(100)의 외측 축방향(OA) 표면이 보이는 사시도로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성 보강부(150')가 도시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여, 강성 보강부(150, 15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너 허브부(100)는, 외측 축방향(OA)으로 돌출되어 반경방향(OR, IR)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강성 보강부(150, 150')를 포함한다. 강성 보강부(150, 150')는 이너 허브부(100)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복수의 강성 보강부(150, 150')는 원주방향(C1, C2)으로 서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강성 보강부(150, 150')의 개수는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의 개수의 배수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되는 "개수의 배수"란 개수에 2이상의 자연수를 곱한 값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휠 허브(10)의 무게 중심이 회전축(C)을 중심으로 일 측으로 쏠리지 않게 할 수 있다.
복수의 강성 보강부(150, 150')는 복수의 체결 홀의 위치에서 내측 반경방향(IR)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강성 보강부(150A)를 포함한다. 제1 강성 보강부(150A)는 내측 축방향(IA)으로 갈수록 원주방향(C1, C2)의 폭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강성 보강부(150A)는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와 대응된다. 복수의 제1 강성 보강부(150A)는 상술한 복수의 연장 기준선(Ls)과 대응된다. 각각의 제1 강성 보강부(150A)는 대응되는 메인 연장부(121)를 따라 연장된다.
한편, 아우터 허브부(200)의 내측 축방향(IA)의 표면은 이너 허브부(100)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의 형상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우터 허브부(200)의 내측 축방향(IA)의 표면은 이너 허브부의 복수의 강성 보강부(150, 150')의 표면을 둘러싼다.
도 15를 참고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강성 보강부(150)의 개수는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의 개수와 동일하다. 복수의 강성 보강부(150)는 제1 강성 보강부(150A)를 포함하되, 후술하는 제2 강성 보강부(150B)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16을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강성 보강부(150')의 개수는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의 개수의 배수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강성 보강부(150')의 개수는 복수의 메인 연장부(121)의 개수의 2배수와 동일하다.
복수의 강성 보강부(150')는 복수의 제1 강성 보강부(150A)를 포함한다. 복수의 강성 보강부(150')는 복수의 제1 강성 보강부(150A)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강성 보강부(150B)를 더 포함한다. 제2 강성 보강부(150B)는 보조 연장부(122)의 외측 축방향(OA)의 표면을 가로질러 반경방향(OR, IR)으로 연장된다. 제2 강성 보강부(150B)는 내측 축방향(IA)으로 갈수록 원주방향(C1, C2)의 폭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강성 보강부(150B)의 반경방향(OR, IR)의 길이는 제1 강성 보강부(150A)의 반경방향(OR, IR)의 길이보다 짧다.
도 17은 도 15의 이너 허브부(100)를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성 보강부(150S1)가 도시된다. 도 18은 도 15의 이너 허브부(100)를 라인 S1-S1'를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성 보강부(150S2)가 도시된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여, 강성 보강부(150S1, 150S2)의 단면 형상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여, 강성 보강부(150S1, 150S2) 각각의 표면의 원주방향(C1, C2)의 중앙 부분(151, 151')은, 외측 축방향(O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평탄하거나, 외측 축방향(OA)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다. 강성 보강부(150S1, 150S2)는 표면의 원주방향(C1, C2)의 중앙 부분을 형성하는 탑부(151, 151')를 포함한다.
강성 보강부(150S1, 150S2) 각각의 표면의 원주방향(C1, C2)의 말단부는, 라운드지게 이너 허브부(100)의 다른 부분의 표면(120I)과 연결된다. 강성 보강부(150S1, 150S2)는 표면의 원주방향(C1, C2)의 말단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152, 15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52, 152')는 라운드지게 함몰된 표면을 형성한다.
도 17을 참고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성 보강부(150S1)의 탑부(151)는 외측 축방향(OA)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표면을 형성한다. 탑부(151)의 제1 원주방향(C1)의 말단은 제1 베이스부(152a)와 연결되고, 탑부(151)의 제2 원주방향(C2)의 말단은 제2 베이스부(152b)와 연결된다.
도 18을 참고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성 보강부(150S2)의 탑부(151')는 외측 축방향(OA)에 수직한 평탄면을 형성한다. 강성 보강부(150S2)는 탑부(151')의 원주방향(C1, C2)의 양 단부에 연결되는 탑 연결부(154')를 더 포함한다. 탑 연결부(154')는 라운드지게 돌출된 표면을 형성한다. 탑부(151')의 제1 원주방향(C1)의 말단은 제1 탑 연결부(154a')와 연결되고, 탑부(151')의 제2 원주방향(C2)의 말단은 제2 탑 연결부(154b')와 연결된다.
강성 보강부(150S2)는 베이스부(152a', 152b') 및 탑 연결부(154')의 사이를 연결하는 측면 연결부(153')를 더 포함한다. 제1 측면 연결부(153a')는 제1 베이스부(152a')와 제1 탑 연결부(154a')의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된다. 제2 측면 연결부(153b')는 제2 베이스부(152b')와 제2 탑 연결부(154b')의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된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휠 베어링 조립체, 10: 휠 허브, 15: 내륜, 20: 외륜, 30: 구름부재, 100, 100', 100'': 이너 허브부, 110: 중앙부, 120: 플랜지부, 120h: 체결 홀, 121: 메인 연장부, 126, 126', 126'': 걸림부, 127: 메인 연장부의 원주방향의 경계, 150, 150', 150S1, 150S2: 강성 보강부, 200, 200', 200'': 아우터 허브부, 210: 중앙 대응부, 230: 원주부, 230h: 대응 홀, 233: 챔퍼부, Ls: 연장 기준선

Claims (22)

  1. 제1 재질로 형성되고, 내측 축방향으로 돌출된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가진 이너 허브부; 및
    상기 제1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고 상대적으로 중량이 작은 제2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 허브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아우터 허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휠과 체결되기 위해 축방향으로 관통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 홀을 형성하고,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체결 홀 각각의 위치를 향해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복수의 연장 기준선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는 복수의 메인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메인 연장부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원주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는, 대응하는 상기 연장 기준선을 중심으로 제1 원주방향의 경계와 제2 원주방향의 경계를 가지고,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는 내측 반경방향 및 제1 원주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는 내측 반경방향 및 제2 원주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의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2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의 연장 방향보다 제1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의 수직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의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1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의 연장 방향보다 제2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의 수직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 및 내측 축방향 말단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며 외측 축방향 단부에 비해 내측 축방향 단부가 내측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축방향 표면의 외측 반경방향 부분 및 상기 걸림부를 덮어주는,
    휠 허브.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체결 홀은 대응하는 상기 메인 연장부의 외측 반경방향 부분에 형성되는,
    휠 허브.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에서,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2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과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1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과 제2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는 동일한,
    휠 허브.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에서,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2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과 제1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는 제1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연장 기준선과 제2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각도는 10˚ 이상 60˚ 이하이고,
    상기 제2 각도는 10˚ 이상 60˚ 이하인,
    휠 허브.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메인 연장부에서, 상기 제1 원주방향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 및 상기 제2 원주방향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은 상기 아우터 허브부의 외측 반경방향 바깥에서 교차하는,
    휠 허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내측 반경방향 및 내측 축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경사를 가진 표면을 포함하는,
    휠 허브.
  8. 제7항에 있어서,
    축방향과 상기 걸림부의 경사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1˚ 이상 45˚ 이하인,
    휠 허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축방향 길이는 반경방향 길이 이상인,
    휠 허브.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플랜지부의 축방향 폭의 1/3 이상인,
    휠 허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으로부터 내측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내측 축방향 말단면에 연결되는 제1 단차면과, 상기 내측 축방향 말단면으로부터 외측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 및 상기 제1 단차면에 연결되는 제2 단차면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차면은,
    상기 제1 단차면의 외측 축방향 말단으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함몰 곡면; 및
    상기 외측 반경방향 말단면의 내측 축방향 말단으로부터 내측 반경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볼록 곡면을 포함하는,
    휠 허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차면은,
    상기 함몰 곡면 및 상기 볼록 곡면 사이를 연결하며 연장되는 평탄면을 더 포함하는,
    휠 허브.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면은 내측 반경방향 및 내측 축방향의 사이 방향으로 경사를 가진 표면을 포함하는,
    휠 허브.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상기 복수의 메인 연장부의 외측 축방향 표면을 덮어주고, 상기 복수의 체결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체결 홀과 연결되는 복수의 대응 홀을 형성하고,
    상기 대응 홀의 지름은 상기 대응 홀의 내측 축방향 말단에서 가장 작고,
    상기 대응 홀의 내측 축방향 말단에서의 지름은 상기 체결 홀의 외측 축방향 말단에서의 지름 이상인,
    휠 허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상기 대응 홀의 지름이 외측 축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구성된 챔퍼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허브부는, 외측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강성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허브부는, 상기 이너 허브부의 외측 축방향 표면을 덮어주고,
    상기 복수의 강성 보강부는, 상기 복수의 체결 홀의 위치에서 내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강성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강성 보강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메인 연장부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상기 복수의 메인 연장부의 개수의 배수와 동일하고,
    휠 허브.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부 각각의 표면의 원주방향 말단부는, 라운드지게 상기 이너 허브부의 다른 부분의 표면과 연결되는,
    휠 허브.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부 각각의 표면의 원주방향 중앙 부분은, 외측 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평탄하거나, 외측 축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휠 허브.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강성 보강부는,
    상기 복수의 제1 강성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강성 보강부를 포함하는,
    휠 허브.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강성 보강부는 내측 축방향으로 갈수록 원주방향 폭이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휠 허브.
  22. 외륜;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휠 허브; 및
    상기 외륜 및 상기 휠 허브 사이에 배치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0180152953A 2018-11-30 2018-11-30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KR102194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953A KR102194335B1 (ko) 2018-11-30 2018-11-30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PCT/KR2019/016880 WO2020111917A1 (ko) 2018-11-30 2019-12-02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US17/335,372 US20210283951A1 (en) 2018-11-30 2021-06-01 Wheel hub and wheel bearing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953A KR102194335B1 (ko) 2018-11-30 2018-11-30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973A KR20200065973A (ko) 2020-06-09
KR102194335B1 true KR102194335B1 (ko) 2020-12-22

Family

ID=7085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953A KR102194335B1 (ko) 2018-11-30 2018-11-30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83951A1 (ko)
KR (1) KR102194335B1 (ko)
WO (1) WO2020111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030B1 (ko) * 2021-06-10 2024-02-08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엔드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3635A (ja) * 2007-11-06 2009-05-28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17077858A (ja) * 2015-10-22 2017-04-27 日本精工株式会社 ハブユニット軸受
US20180154691A1 (en) * 2016-12-05 2018-06-07 Hendrickson Usa, L.L.C. Hub for heavy-duty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812B1 (ko) * 2008-07-26 2015-01-20 아크티에볼라겟 에스케이에프 휠 베어링 유닛
WO2012176772A1 (ja) * 2011-06-21 2012-12-27 日本精工株式会社 転がり軸受ユニット
ITTO20130841A1 (it) * 2013-10-17 2015-04-18 Skf Ab Mozzo per una ruota di un veicolo a motore
KR20170004769A (ko) *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허브
FR3038542B1 (fr) * 2015-07-06 2017-08-18 Ntn-Snr Roulements Moyeu de roue, roulement de roue, et assemblage de roue de vehic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3635A (ja) * 2007-11-06 2009-05-28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JP2017077858A (ja) * 2015-10-22 2017-04-27 日本精工株式会社 ハブユニット軸受
US20180154691A1 (en) * 2016-12-05 2018-06-07 Hendrickson Usa, L.L.C. Hub for heavy-duty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3951A1 (en) 2021-09-16
WO2020111917A1 (ko) 2020-06-04
KR20200065973A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7983B2 (ja) 風車のローター
US8444322B2 (en) Face spline for a driven wheel hub
EP2303604B1 (en) Wheel bearing unit
US9457619B2 (en) Hub for a motor vehicle wheel
CN101098791B (zh) 用于轮子轮毂-接头-单元的恒速万向接头的外接头部件
WO2007037477A1 (ja) 車輪用軸受装置
WO2014057770A1 (ja) 車輪用軸受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94335B1 (ko)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체
US8002640B2 (en) Wheel hub/universal joint assembly with end teeth and wheel bearing
US8992092B2 (en) Flanged bearing ring for the hub of a motor vehicle wheel
JPS62231801A (ja) 自動車の従動ホイルの軸受装置
WO2011147435A1 (en) Wheel bearing assembly comprising a joint and corresponding method of manufacturing
CN107405951A (zh) 车轮轴承装置
EP2303605B1 (en) Method for producing a wheel bearing unit and wheel bearing unit
JP4251332B2 (ja) 車輪用軸受装置
US4775190A (en) Hub assembly for drivable wheel
US8770851B2 (en) Wheel rolling bearing apparatus
KR102091149B1 (ko)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KR20170043045A (ko) 휠 베어링 및 그 제작 방법
WO2010116883A1 (ja) ドライブシャフト用中間軸
JP2003156054A (ja) 車輪駆動用車軸ユニット
KR102490078B1 (ko) 휠 베어링 조립체
JP2010249145A (ja) ドライブシャフト用中間軸
US20080119295A1 (en) Compact hub unit featuring assymmetrical bearings and constant velocity joint outer race
KR102269558B1 (ko)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