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985B1 -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및 약액 주입 장치 세트 - Google Patents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및 약액 주입 장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985B1
KR102192985B1 KR1020180090005A KR20180090005A KR102192985B1 KR 102192985 B1 KR102192985 B1 KR 102192985B1 KR 1020180090005 A KR1020180090005 A KR 1020180090005A KR 20180090005 A KR20180090005 A KR 20180090005A KR 102192985 B1 KR102192985 B1 KR 102192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cap
injection device
liquid
display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613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김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현 filed Critical 김용현
Priority to KR102018009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985B1/ko
Priority to CN201980049970.1A priority patent/CN112512619B/zh
Priority to PCT/KR2019/009338 priority patent/WO2020027507A1/en
Priority to TW108126630A priority patent/TWI724477B/zh
Priority to JP2021504209A priority patent/JP7175377B2/ja
Priority to EP19844635.3A priority patent/EP3829694A4/en
Priority to US17/260,817 priority patent/US20210268257A1/en
Publication of KR2020001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985B1/ko
Priority to IL280403A priority patent/IL2804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6Priming, e.g. purging, reducing backlash or clear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2Prim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iquophilic, hydrophil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1Refractivity; Phase-affecting properties, e.g. optical path length
    • G01N21/4133Refractometers, e.g. different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은, 약액 주입 장치의 유로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엔드 캡은, 1보다 큰 굴절률(nr)을 가진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90˚ 미만의 내각(θ)을 이루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굴절부;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엔드 캡은 유입되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이동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및 약액 주입 장치 세트{END CAP FOR DRUG SOLUTION INJECTION DEVICE AND DRUG SOLUTION INJECTION DEVICE SET}
본 개시는 약액의 주입을 위한 의료용 장치 및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게 약물을 공급하기 위해, 환자에게 액상의 약물을 주입하는 약액 주입 장치가 알려져 있다. 상기 약액 주입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저장 공간 내에 있는 약액이 유로를 통해 이동하여, 환자의 체내로 유입된다.
상기 약액 주입 장치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체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카테터(catheter) 또는 주사 바늘 등의 환자에게 연결되는 부재를 결합하기 전 상태에서, 약액이 이동할 유로 내부에 프라이밍(priming)용 액체(예를 들어, 주입하고자 하는 약액이나 식염수 등)를 채우는 프라이밍 작업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프라이밍 작업 시, 약액이 이동할 유로의 말단에 연결되어 유로 내의 공기의 제거를 도와주는 엔드 캡(end cap)이 알려져 있다. 엔드 캡이 유로와 연결된 상태에서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로를 채운 후 엔드 캡 내부의 공간을 채우게 되고, 이 후 엔드 캡을 유로와 분리시키고, 유로에 환자에게 연결되는 부재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국제 공개특허공보 WO2010/030602A1 (2010년 3월 18일 공개)
종래에는, 프라이밍용 액체가 약액 주입 장치의 유로를 거쳐 엔드 캡까지 도달 하였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투명할 경우에는 엔드 캡까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도달하였는지 확인하는 데에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여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종래에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약액 주입 장치의 유로를 거쳐 엔드 캡까지 도달하는 동안 의료진(의사 또는 간호사 등)이 이를 지속적으로 지켜보며 확인해야해서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약액 주입 장치의 유로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엔드 캡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은, 1보다 큰 굴절률(nr)을 가진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90˚ 미만의 내각(θ)을 이루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굴절부;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엔드 캡은 유입되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이동 가능한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굴절부는, 상기 통로에 공기가 채워진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로부터 시작된 빛은 모두 상기 제1 면에 수직한 외부 방향인 표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통로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진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로부터 시작된 빛 중 일부가 상기 표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굴절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면에서 전반사된 빛이 상기 표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로부터 시작된 빛 중 일부가 상기 제2 면에서 굴절되어 상기 표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도록 투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포함하는 굴절부의 둘레면 중 상기 투명부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상기 굴절부의 외부 방향으로 통과하는 빛을 차단하거나 산란시키거나 상기 투명부보다 낮은 투명성으로 투과시키도록 블라인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는 상기 제1 면 중 특정 영역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 중 상기 특정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2 면과 상기 내각(θ)을 이루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굴절률(np)를 가질 때, 상기 내각(θ)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01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굴절률(np)를 가질 때, 상기 굴절률(nr)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02
이상이고
Figure 112018076316770-pat00003
미만일 수 있다.
상기 굴절률(nr)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04
이상이고
Figure 112018076316770-pat00005
미만일 수 있다.
1보다 큰 굴절률(nr')을 가진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면과 상기 표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조 굴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보조 굴절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굴절률(nr')은 1.333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엔드 캡은 상기 유로로부터 상기 액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유입 포트 및 상기 통로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유출 포트를 가지는 케이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절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포함하는 굴절부의 둘레면 중 상기 제2 면을 제외한 면은 상기 케이싱부의 내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엔드 캡은 상기 제2 면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통로의 일부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를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흡수부; 및 상기 액체흡수부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통과시키는 소수성(hydrophobic)의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측면은 약액 주입 장치 세트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 세트는, 약액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펌핑 모듈; 상류측이 상기 펌핑 모듈에 연결되고, 프라이밍용 액체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유로; 및 상기 연결 유로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엔드 캡을 포함한다. 상기 엔드 캡은, 1보다 큰 굴절률(nr)을 가진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90˚ 미만의 내각(θ)을 이루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굴절부;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엔드 캡은 유입되는 상기 액체가 이동 가능한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엔드 캡 내부로 프라이밍 액체가 유입 완료된 것을 육안으로 쉽고 빠르게 알 수 있고, 의료진이 엔드 캡 내부로 프라이밍 액체의 유입 완료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서 실수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낮춰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육안으로 프라이밍용 액체의 유입 전과 후에 표시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이러한 표시 변화를 위하여 화학적 물질 반응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물리적 광학 성질을 이용한 것이어서, 인체에 유입될 수 도 있는 액체의 오염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 세트(1)의 전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 캡(700)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엔드 캡(700)의 분해 사시도들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2의 엔드 캡(700)을 라인 S1-S1'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엔드 캡(700)을 라인 S2-S2'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도 및 제1 실시예(E1), 제2 실시예(E2) 및 제3 실시예(E3)에 따른 부분 확대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엔드 캡(700)을 관찰 방향(V)으로 바라본 입면도들로서, 도 7a는 엔드 캡(700) 내에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입되기 전 상태의 도면이고, 도 7b는 엔드 캡(700) 내에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을 해칭없이 나타낸 단면도로서, 투명부(T) 및 블라인드부(B)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보조 굴절부(719)가 구비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굴절부(720) 및 표시부(731)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도 9a는 메인 통로부(P2)에 공기가 채워진 상태에서 빛의 이동 경로의 예시를 보여주고, 도 9b 및 도 9c는 메인 통로부(P2)에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진 상태에서 빛의 이동 경로의 예시를 보여준다.
도 10은 보조 굴절부(719)가 구비된 실시예에서 굴절부(720), 보조 굴절부(719) 및 표시부(731)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빛의 이동 경로의 예시를 보여준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부(720')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부(720'')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서로 다른 실시예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도면 참조부호의 뒤에 프라임(prime) 기호(') 또는 복수의 프라임 기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 세트(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약액 주입 장치 세트(1)는 약액을 가압하고 흐름을 안내하는 약액 주입 장치(100, 300)와 약액 주입 장치(100, 300)의 유로(3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엔드 캡(700)을 포함한다. 약액 주입 장치(100, 300)는 약액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펌핑 모듈(100)과, 약액을 안내하기 위한 연결 유로(300)을 포함한다. 펌핑 모듈(100)에서의 가압에 따라 펌핑 모듈(100)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이 연결 유로(300)을 통해 흐른다.
약액 주입 장치 세트(1)는, 연결 유로(300) 상에 배치되는 포트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 모듈(200)은, 펌핑 모듈(100) 내로 액체(예를 들어, 약액 또는 식염수 등)를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포트 모듈(200)을 통해 유입된 상기 액체는 펌핑 모듈(1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 세트(1)는 연결 유로(300)의 적어도 어느 한 지점의 개폐 여부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연결관 개폐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 세트(1)는 연결 유로(300) 내로 흐르는 액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약액 주입 장치 세트(1)는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한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을 포함한다.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은 주사 바늘(610) 등 환자의 체내로 인입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은, '주사 바늘(610) 등 환자의 체내로 인입되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인입 부품'과 '나머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 부품과 상기 나머지 부품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입 부품은 환자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나머지 부품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나머지 부품을 연결 유로(300)의 하류측에 결합시킨 후, 상기 인입 부품과 상기 나머지 부품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유로(300)를 거친 액체는 순차적으로 상기 나머지 부품과 상기 인입 부품을 거쳐, 환자의 체내로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연결 모듈은 카테터(Cathet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류" 및 "하류"는, 펌핑 모듈(100)이 약액을 가압할 때 연결 유로(300) 및 엔드 캡(700) 내에서 약액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화살표 F2 및 F3의 화살표 방향이 하류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기 하류 방향의 반대 방향이 상류 방향으로 정의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약액 주입 장치 세트(1)를 이용하여 약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과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프라이밍(Priming) 단계 및 약액 주입 단계를 포함한다.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이 환자로부터 분리된 상태' 또는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의 상기 인입 부품이 환자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나머지 부품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프라이밍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프라이밍 단계에서, 연결 유로(300)의 하류 측 말단에 엔드 캡(700)을 연결하고, 프라이밍용 액체가 연결 유로(300)를 따라 흘러가도록 한다. 연결 유로(300)를 따라 흐르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엔드 캡(700) 내로 유입되고, 연결 유로(300)의 내부의 공기는 엔드 캡(7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연결 유로(300) 및 엔드 캡(700)의 내부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진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연결 유로(300) 내를 채우기 위해 연결 유로(300)를 따라 흐르며 엔드 캡(700)으로 유입되는 액체를 의미한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환자에게 주입하려는 약액 또는 약액을 대신하는 식염수 등일 수 있다.
공기의 굴절률(na)은 1이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1보다 큰 굴절률(np)을 가진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물과 거의 비슷한 굴절률(np)을 가진다. 굴절률(np)는 약 1.333이다.
엔드 캡(700)은 연결 유로(300)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엔드 캡(700)은 공기 및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엔드 캡(700)은 공기는 외부로 유출시키되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외부로 유출시키는 것을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엔드 캡(700)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지면, 엔드 캡(700)을 연결 유로(300)로부터 분리시키고, 연결 유로(300)와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을 연결하거나, 연결 유로(300)와 상기 나머지 부품을 연결할 수 있다. 그 후, 환자 연결 모듈(600, 600')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의 내부를 채우게 할 수 있다.
환자에게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을 연결한 후, 상기 약액 주입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약액 주입 단계에서, 펌핑 모듈(100)에서의 가압에 따라 약액이 환자의 체내로 유입된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약액이 아니고 식염수 등인 경우에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먼저 환자의 체내로 유입되고,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뒤를 이어 흘러가는 상기 약액이 환자의 체내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펌핑 모듈(100)은 약액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챔버(110)를 포함한다. 챔버(110)는 가압 유닛(120)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 공간에 약액이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공간에 일시적으로 식염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챔버(110)에는, 챔버(110) 내부의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 포트부(111)가 형성된다.
펌핑 모듈(100)은 챔버(110) 내부의 액체를 가압하는 가압 유닛(120)을 포함한다. 가압 유닛(120)은, 소정의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함으로써, 챔버(110) 내부의 액체를 가압할 수 있다. 챔버(110) 내부로 액체가 충전되는 중일 때, 가압 유닛(120)은 상기 가압 방향(Ap1)의 반대 방향(Ap2)으로 이동한다. 도 1에는, 120A를 참고하여, 가압 유닛(120)이 상기 반대 방향(Ap2)으로 이동한 상태의 위치가 도시된다.
펌핑 모듈(100)은 가압 유닛(120)이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가압 동작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압 동작부(130)는, 가스(gas) 활성(activation)에 의한 부피 팽창을 이용하여 챔버(110) 내의 액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압 동작부(13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힘으로 가압 유닛(120)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예로, 가압 유닛(120)는, 벌룬(balloon) 등의 탄성체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액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유닛(120)은 상기 벌룬 내의 액체가 가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포트 모듈(200)은 챔버(110) 내로 액체를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액체가 외부로부터 포트 모듈(200)을 통해 연결 유로(300) 또는 챔버(110)로 유입될 수 있다. 포트 모듈(200)은 연결 유로(300)에 연결되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포트 모듈(200)은 챔버(1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포트 모듈(200)은 연결 유로(300)의 제1 연결부(310)의 하류 측 말단에 연결되는 제1 연장부(210)와, 연결 유로(300)의 제2 연결부(320)의 상류 측 말단에 연결되는 제2 연장부(220)를 포함한다. 포트 모듈(200)은 외부로부터 액체가 유입 가능하도록 구성된 유입부(230)와, 유입부(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유입 포트 개폐부(240)를 포함한다. 도 1의 화살표 E1은, 유입 포트 개폐부(240)의 유입부(230)에 대한 결합/분리 방향을 도시한다.
연결 유로(300)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유로(300)는 펌핑 모듈(100)로부터 엔드 캡(700)까지 약액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연결 유로(300)의 상류 측 말단은 펌핑 모듈(100)에 연결된다. 연결 유로(300)의 하류 측 말단은 엔드 캡(700)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유로(300)의 하류 측 말단은 환자 연결 모듈(600, 600')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연결 유로(300)의 상류측이 펌핑 모듈(100)에 연결된다. 연결 유로(300)는 배출 포트부(111)에 연결되는 상류 연결부(350)를 포함한다.
연결 유로(300)의 하류측이 엔드 캡(70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유로(300)는 엔드 캡(700)에 연결되는 하류 연결부(360)를 포함한다. 하류 연결부(360)는 엔드 캡(700)과 분리되어 환자 연결 모듈(600, 60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유로(300)는, 상류 연결부(350)와 포트 모듈(200)의 제1 연장부(210)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310)를 포함한다. 연결 유로(300)는, 포트 모듈(200)의 제2 연장부(220)와 필터 모듈(500)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320)를 포함한다. 연결 유로(300)는, 필터 모듈(500)과 하류 연결부(360)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연결관 개폐 모듈(400)이 구성될 수 있다. 연결관 개폐 모듈(400)은 연결 유로(300)의 외부를 눌러주어 연결 유로(300) 중 일 지점의 액체의 흐름을 막아줄 수 있다. 연결관 개폐 모듈(400)은 제1 연결부(310)의 일 지점(B1)의 개폐 여부를 변경할 수 있는 제1 개폐 모듈(410)과, 제2 연결부(320)의 일 지점(B2)의 개폐 여부를 변경할 수 있는 제2 개폐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관 개폐 모듈(400)은 클램프(clamp)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모듈(500)은 연결 유로(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500)은 연결 유로(300)와 연결되는 필터 케이싱(510)과, 필터 케이싱(510) 내에 배치되는 필터(520)를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은 하류 연결부(360)에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다. 연결 유로(300)의 내부를 통과한 액체는 환자 연결 모듈(600, 600')로 이동하여, 환자의 체내로 유입될 수 있다.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은 환자의 피부에 침습 가능하게 구성된 주사 바늘(610)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은 주사 바늘(610)을 지지하는 주사 지지부(620)를 포함한다.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은 연결 유로(300)의 하류 연결부(360)와 결합되는 모듈 결합부(630)를 포함한다. 도 1의 화살표 C2는 모듈 결합부(630)의 하류 연결부(360)에 대한 결합/분리 방향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연결 모듈(600)은 주사 바늘(610), 주사 지지부(620) 및 모듈 결합부(63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자 연결 모듈(600')은 모듈 결합부(630)의 하류 측에 연결되는 환자 연결관 고정부(650')를 더 포함한다. 환자 연결 모듈(600')은 환자 연결관 고정부(650')와 주사 지지부(620)를 연결하는 환자 연결관(640')을 더 포함한다. 환자 연결관(640')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입 부품은 주사 바늘(610) 및 주사 지지부(620)로 구성되고, 상기 나머지 부품은 모듈 결합부(630), 환자 연결관 고정부(650') 및 환자 연결관(64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및 약액 주입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서 약액이 아닌 식염수 등을 이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 엔드 캡(700)을 연결 유로(300)의 하류 연결부(360)와 연결하고, 유입 포트 개폐부(240)를 유입부(230)로부터 분리하고, 제1 연결관 개폐 모듈(410)로 제1 연결부(310)를 차단하며(B1 참고), 제1 연결부(310)를 제외한 연결 유로(300)의 나머지 부분은 개방한다. 화살표 F1 및 F3을 참고하여, 식염수 등의 프라이밍용 액체는 유입부(230), 제2 연장부(220), 제2 연결부(320), 제3 연결부(330) 및 엔드 캡(700)를 순차적으로 흐름으로써, 연결 유로(300) 및 엔드 캡(700)의 내부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 채워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후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가 진행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에서, 연결 유로(300)의 하류 연결부(360)에 엔드 캡(700) 대신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을 연결하고, 유입 포트 개폐부(240)를 유입부(230)로부터 분리하고, 제2 연결관 개폐 모듈(420)로 제2 연결부(320)를 차단하며, 제1 연결관 개폐 모듈(410)을 제1 연결부(310)로부터 분리하여 제1 연결부(310)를 개방한다. 화살표 F0을 참고하여, 약액이 포트 모듈(200) 및 제1 연결부(310)를 거쳐 챔버(110) 내로 유입되면서, 가압 유닛(120)은 상기 방향(Ap2)로 이동한다. 그 후, 유입 포트 개폐부(240)를 유입부(230)에 결합시키고, 제2 연결관 개폐 모듈(420)을 제2 연결부(320)로부터 분리하여 연결 유로(300)을 개방 상태로 만든다. 화살표 F2 및 F3을 참고하여, 그 후 가압 유닛(120)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시켜, 약액이 연결 유로(300) 및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및 약액 주입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서 약액을 이용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에서, 챔버(110) 내에 약액을 채우고, 엔드 캡(700)을 연결 유로(300)의 하류 연결부(360)와 연결하고, 유입 포트 개폐부(240)로 유입부(230)를 차단하며, 연결관 개폐 모듈(400)을 연결 유로(300)로부터 분리하여 연결 유로(300)을 개방 상태로 만든다. 화살표 F2 및 F3을 참고하여, 그 후 가압 유닛(120)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이동시켜, 프라이밍용 액체인 약액이 연결 유로(300) 및 엔드 캡(700)을 순차적으로 흐름으로써, 연결 유로(300) 및 엔드 캡(700)의 내부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로 채워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밍 단계 후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가 진행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액 주입 단계에서, 연결 유로(300)의 하류 연결부(360)에 엔드 캡(700) 대신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을 연결한다. 화살표 F2 및 F3을 참고하여, 그 후 가압 유닛(120)을 상기 가압 방향(Ap1)으로 더 이동시켜, 약액이 연결 유로(300) 및 환자 연결 모듈(600, 6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드 캡(7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7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드 캡(700)은 연결 유로(300)와 연결되는 바디부(710)를 포함한다. 바디부(710)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부(710)는 전체적으로 삼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바디부(710)는 서로 결합하는 하우징 부재(710A)와 캡 부재(71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710A)는 상류측에 위치하고 캡 부재(710B)는 하류측에 위치한다.
하우징 부재(710A)의 유입 포트(port)(711b)를 통해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엔드 캡(7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 부재(710A)는 후술할 표시 방향(D)을 바라보는 제1 측면부(711e1)를 포함할 수 있다.
캡 부재(710B)의 유출 포트(port)(711b)를 통해 엔드 캡(700) 내부의 공기가 엔드 캡(70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캡 부재(710B)는 하류 방향을 바라보는 하류측면(711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엔드 캡(700)의 분해 사시도들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엔드 캡(700)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드 캡(700)은 바디부(710), 굴절부(720), 표시 부재(730), 액체흡수부(740) 및 필터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7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부(7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싱부(711)는 캡 부재(710B)의 일부 및 하우징 부재(710A)의 일부로 구성되나, 케이싱부(711)가 구성되는 방식은 제한될 필요가 없다.
케이싱부(711)는 연결 유로(300)로부터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유입 포트(711a)를 포함한다. 유입 포트(711a)는 내부의 공간과 연결되는 홀을 형성한다. 유입 포트(711a)는 케이싱부(711)의 상류측면(711c)에서 상류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 포트(711a)는 연결 유로(300)의 하류측 말단과 결합되기 위한 스크류 형상의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부(711)는 엔드 캡(700)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유출 포트(711b)를 포함한다. 유출 포트(711b)는 케이싱부(711)의 하류측면(711d)에 형성될 수 있다. 유출 포트(711b)는 케이싱부(711)의 하류측면(711d)을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싱부(711)의 외표면은 상류측면(711c), 하류측면(711d) 및 둘레측면(711e)을 포함한다. 상류측면(711c)은 상류 방향을 바라보고, 하류측면(711d)은 하류 방향을 바라본다. 둘레측면(711e)은 상하류 방향을 중심으로 한 둘레를 둘러싸는 면이다. 둘레측면(711e)은 상류측면(711c)과 하류측면(711d)의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된다.
둘레측면(711e)은 굴절부(720)의 제1 면(721a)에 대응하는 제1 측면부(711e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부(711e1)의 내측면은 제1 면(721a)과 마주본다. 제1 측면부(711e1)의 내측면은 제1 면(721a)과 접촉할 수 있다.
둘레측면(711e)은 굴절부(720)의 제2 면(721b)에 대응하는 제2 측면부(711e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면부(711e2)의 내측면은 제2 면(721b)과 마주본다. 제2 측면부(711e2)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면(721b)과 이격된다.
둘레측면(711e)은 굴절부(720)의 제3 면(721c)에 대응하는 제3 측면부(711e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부(711e3)의 내측면은 제3 면(721c)과 마주본다. 제3 측면부(711e3)의 내측면은 제3 면(721c)과 접촉할 수 있다.
바디부(710)는 굴절부(720)가 위치하는 배치 공간(710s)을 형성한다. 하우징 부재(710A)가 형성하는 배치 공간(710s)은 상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치 공간(710s)에 굴절부(720)가 배치된 상태에서 캡 부재(710B)가 배치 공간(710s)의 하류측을 덮을 수 있다.
바디부(710)는 표시부(731)가 위치하는 삽입 홀(710h)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부재(710A)가 형성하는 삽입 홀(710h)은 상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홀(710h)에 표시부(731)가 배치된 상태에서 캡 부재(710B)가 삽입 홀(710h)의 하류측을 덮을 수 있다.
바디부(710)는 필터부(750)가 안착되는 필터 안착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안착부(713)는 하류측면(711d)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 안착부(713)에 유출 포트(711b)의 홀이 형성된다. 필터 안착부(713)는 필터부(750)의 둘레의 위치를 안내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710)는 액체흡수부(740)를 필터부(750)로부터 이격시키는 간격 유지부(714)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부(714)는 하류측면(711d)의 내측면에서 상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유지부(714)는 리브(rib)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유지부(714)의 상류측 말단이 액체흡수부(740)에 접촉함으로써 액체흡수부(740)의 하류 방향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바디부(710)는 보조 굴절부(7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굴절부(719)는 하우징 부재(A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굴절부(719)는 배치 공간(710s)과 삽입 홀(710h)의 사이에 배치된다. 보조 굴절부(719)는 굴절부(720)와 표시부(731)의 사이에 배치된다. 보조 굴절부(719)는 빛을 투과시키는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엔드 캡(700)은 보조 굴절부(719)를 포함하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 굴절부(719)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들도 구현 가능하다.
굴절부(720)는 1보다 큰 굴절률(nr)을 가진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굴절부(720)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굴절률(np)보다 큰 굴절률(nr)을 가진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도 9b 참고), 굴절률(np) 이하의 굴절률(nr)을 가진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9c 참고).
굴절부(720)는 전체적으로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굴절부(720)는 프리즘(prism)일 수 있다.
굴절부(720)는 케이싱부(711)에 배치된다. 굴절부(720)는 케이싱부(7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굴절부(720)는 상류 방향으로 유입 포트(711a)를 마주볼 수 있다. 굴절부(720)는 하류 방향으로 유출 포트(711b)를 마주볼 수 있다.
굴절부(720)의 외표면은 상류면(725), 하류면(723) 및 둘레면(721)을 포함한다. 상류면(725)은 상류 방향을 바라보고, 하류면(723)은 하류 방향을 바라본다. 둘레면(721)은 상하류 방향을 중심으로 한 둘레를 둘러싸는 면이다. 둘레면(721)은 상류면(725)과 하류면(723)의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된다.
둘레면(721)은 90˚ 미만의 내각(θ)을 이루는 제1 면(721a) 및 제1 면(721a)을 포함한다. 제1 면(721a) 및 제2 면(721b)은 각각 평면을 형성한다.
둘레면(721)은 제1 면(721a) 및 제2 면(721b)과 다른 방향을 바라보는 제3 면(72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721c)은 둘레면(721) 중 제1 면(721a) 및 제2 면(721b)을 제외한 면일 수 있다. 제3 면(721c)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둘레면(721)은 제1 면(721a), 제2 면(721b) 및 제 3면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둘레면(721)은 3개 초과의 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둘레면(721)은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굴절부(720)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굴절부(720)의 굴절률(nr)은 약 1.518이다. 굴절부(720)의 굴절률(nr)이 1.518이고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굴절률(np)이 1.333인 경우, 내각(θ)은 41.2˚ 이상이고 61.4˚ 미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각(θ)은 60˚이다. 내각(θ)은 60˚이고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굴절률(np)이 1.333인 경우, 굴절부(720)의 굴절률(nr)은 1.155 이상이고 1.539 미만일 수 있다.
표시 부재(730)는 바디부(710)와 결합될 수 있다. 표시 부재(730)는 케이싱부(711)의 내부에 배치된다. 표시 부재(730)는 전체적으로 상하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표시 부재(730)는 제2 면(721b)을 마주보며 이격된 표시부(731)를 포함한다. 표시부(731)는 불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731)는 표시부(731)의 주변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731)는 별도의 부재인 표시 부재(730)의 일부로 구성되나, 미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바디부(710)의 제2 면(721b)을 마주보는 내측면에 색상 입힌 것 등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표시 부재(730)는 바디부(710)에 걸림되는 걸림부(73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733)는 표시부(731)의 하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733)는 보조 굴절부(719)의 하류측 말단에 접촉되어 걸릴 수 있다. 걸림부(733)는 표시부(731)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액체흡수부(740)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를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액체흡수부(740)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를 흡수하면서 공기의 통과를 돕는다. 액체흡수부(740)는 스펀지(Sponge) 형상일 수 있다. 액체흡수부(740)는 굴절부(720)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흡수부(740)는 필터부(750)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흡수부(740)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를 흡수함으로써,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필터부(750)에 접촉하여 액체막을 형성하고 공기 배출을 방해하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
공기를 통과시키는 소수성(hydrophobic)의 필터부(750)를 구성할 수 있다. 필터부(750)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통과를 막는다. 필터부(750)는 액체흡수부(740)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필터부(750)는 케이싱부(711)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부(750)는 초음파 접착 또는 기타 접착 방법들을 통해 필터 안착부(713)에 고정될 수 있다.
엔드 캡(700)은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 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엔드 캡(700) 내부로 유입된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입 포트(711a)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체크 밸브는 유입 포트(711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엔드 캡(700)을 라인 S1-S1'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를 참고하여, 엔드 캡(700)의 내부 모습 및 통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드 캡(700)은 유입되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이동 가능한 통로를 형성한다. 유입 포트(711a)는 상기 통로 내부로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유출 포트(711b)는 상기 통로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표시부(731)는 굴절부(720)의 제2 면(721b)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통로의 일부는 제2 면(721b)과 표시부(731)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통로는 유입 포트(711a)로부터 제2 면(721b) 및 표시부(731)의 사이 공간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통로는 제2 면(721b) 및 표시부(731)의 사이 공간으로부터 액체흡수부(740)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통로는 제2 면(721b) 및 표시부(731) 사이에 위치하는 메인 통로부(P2)를 포함한다. 도 5에서 메인 통로부(P2)는 제2 면(721b)과 보조 굴절부(719) 사이의 간극일 수 있으나, 보조 굴절부(719)가 구비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메인 통로부(P2)는 제2 면(721b)과 표시부(731) 사이의 간극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메인 통로부(P2)를 따라 굴절부(720)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유입 포트(711a)를 통해 유입된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를 메인 통로부(P2)로 안내하는 상류 통로부(P1)를 포함한다(도 5의 화살표 F 참고). 상기 통로는 메인 통로부(P2)를 거친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를 액체흡수부(740)로 안내하는 하류 통로부(P4)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는 제2 면(721b) 및 표시부(731) 사이에 위치하고 메인 통로부(P2)와 별도로 구성되는 보조 통로부(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통로부(P3)는 보조 굴절부(719)와 표시부(731) 사이의 간극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상류 통로부(P1)를 통해 메인 통로부(P2) 및 보조 통로부(P3)로 분리되어 흐를 수 있다. 도 5에서는 보조 통로부(P3)가 구성되나, 보조 굴절부(719)와 표시부(731)가 접촉되는 다른 실시예 또는 보조 굴절부(719)가 구비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통로부(P3)가 구성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액체흡수부(740)는 제2 면(721b)과 표시부(73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통로의 일부(메인 통로부(P2))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액체흡수부(740)는 굴절부(720)와 간격 유지부(714)의 사이에 끼여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엔드 캡(700)을 라인 S2-S2'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도 및 제1 실시예(E1), 제2 실시예(E2) 및 제3 실시예(E3)에 따른 부분 확대도들이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1 면(721a)에 수직한 외부 방향을 "표시 방향(D)"으로 정의하고, 표시 방향(D)의 반대 방향을 "관찰 방향(V)"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관찰 방향(V)으로 바라보는 상태에서 제1 면(721a)이 제2 면(721b)과 내각(θ)을 이루는 방향을 "우측 방향(R)"으로 정의하고, 우측 방향(R)의 반대 방향을 "좌측 방향(L)"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1 실시예(E1)에서, 엔드 캡(700)은 보조 굴절부(719)를 포함하고, 메인 통로부(P2) 및 보조 통로부(P3)를 형성한다. 제2 면(721b)과 표시부(731) 사이에 보조 굴절부(719)가 배치되고, 제2 면(721b)과 보조 굴절부(719)가 이격되며, 보조 굴절부(719)와 표시부(731)가 이격된다.
제2 실시예(E2)에서, 엔드 캡(700)은 보조 굴절부(719)를 포함하고, 메인 통로부(P2)를 형성하나, 보조 통로부(P3)를 형성하지 않는다. 제2 면(721b)과 표시부(731) 사이에 보조 굴절부(719)가 배치되고, 제2 면(721b)과 보조 굴절부(719)가 이격되며, 보조 굴절부(719)와 표시부(731)가 접촉된다.
제3 실시예(E3)에서, 엔드 캡(700)은 보조 굴절부(719)를 포함하지 않고, 메인 통로부(P2)를 형성하며, 보조 통로부(P3)를 형성하지 않는다. 제2 면(721b)과 표시부(731) 사이에 메인 통로부(P2)가 배치된다.
또한, 제1 면(721a) 및 제2 면(721b)을 포함하는 굴절부(720)의 둘레면(721) 중 제2 면(721b)을 제외한 면(711e1, 711e3)은 케이싱부(711)의 내측면에 접촉한다. 제1 면(721a)은 케이싱부(711)의 제1 측면부(711e1)에 접촉할 수 있다. 제3 면(721c)은 케이싱부(711)의 제3 측면부(711e3)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면(721b)은 케이싱부(711)의 제2 측면부(711e2)로부터 이격되며, 보조 굴절부(719)가 구비된 실시예에서 제2 면(721b)은 제2 측면부(711e2) 및 보조 굴절부(719)로부터 이격된다. 이를 통해,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표시부(731)와 제2 면 사이의 공간에 집중하여 흐를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엔드 캡(700)을 관찰 방향(V)으로 바라본 입면도들로서, 도 7a는 엔드 캡(700) 내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입되기 전인 "제1 상태"의 도면이고, 도 7b는 엔드 캡(700) 내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진 후인 "제2 상태"의 도면이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통로에 공기가 채워진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통로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진다.
도 7a를 참고하여, 굴절부(72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표시부(731)로부터 시작된 빛이 모두 표시 방향(D)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상태에서 표시부(731)로부터 시작된 빛이 모두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관찰 방향(V)에서 바라볼 때 투명부(T)를 통해 표시부(731)의 상(image)이 보이지 않는다. 상기 제1 상태에서는 관찰 방향(V)에서 바라볼 때, 제2 면(721b)에 전반사된 상이 투명부(T)에 보여질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여, 굴절부(72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부(731)로부터 시작된 빛 중 일부가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표시부(731)로부터 시작된 빛 중 소정 각도로 발산된 빛이 제2 면(721b)에서 굴절되어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관찰 방향(V)에서 바라볼 때 투명부(T)를 통해 표시부(731)의 상(Im)이 보인다.
도 8은 도 6을 해칭없이 나타낸 단면도로서, 투명부(T) 및 블라인드부(B)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화살표 L0, L1, L2 및 L3은 빛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화살표에 "X" 표시가 된 것은 블라인드부(B)에 의해 빛의 이동이 간섭받는 것을 의미한다.
도 8을 참고하여,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하는 빛(L0)을 외부로 투과시키도록 투명부(T)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투명부(T)에 대응하는 제1 면(721a)의 특정 영역(721T)은 표면이 매끈하게 형성될 수 있고, 투명부(T)에 대응하는 둘레측면(711e)의 일부 영역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빛(L0)이 투명부(T)를 통해 투과하여, 관찰 방향(V)에서 상기 빛(L0)에 의한 상(image)를 관찰할 수 있다.
제1 면(721a) 및 제2 면(721b)을 포함하는 둘레면(721) 중 투명부(T)에 대응하는 영역(721T) 이외의 영역(721aB, 721bB, 721cB)을 굴절부(720)의 외부 방향으로 통과하는 빛을 간섭하는 블라인드부(B)가 형성된다. 여기서, 블라인드부(B)가 빛을 간섭한다는 것은, 빛을 차단하거나, 빛을 산란시키거나, 투명부(T)보다 낮은 투명성으로 투과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블라인드부(B)는 케이싱부(711) 또는 굴절부(720)에 부착되는 테이프(tape) 등의 별도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부재는 불투명 또는 투명부(T)보다 낮은 투명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블라인드부(B)는 케이싱부(711) 또는 굴절부(720)에 칠해지는 별도의 도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별도의 도장면은 불투명 또는 투명부(T)보다 낮은 투명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블라인드부(B)는 케이싱부(711)의 표면 또는 굴절부(720)의 표면을 부식 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블라인드부(B)는 불투명한 재질 또는 투명부(T)보다 낮은 투명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 케이싱부(711)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블라인드부(B)는 다양한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 제2 면(721b)에 대응하는 블라인드부(B)는 케이싱부(711)에 배치되고, 제2 면(721b)은 빛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부(T)는 제1 면(721a) 중 특정 영역(721T)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블라인드부(B)는 굴절부(720)의 둘레측면(711e) 중 특정 영역(721T)을 제외한 가림 영역(721aB, 721bB, 721cB)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가림 영역(721aB, 721bB, 721cB)은 제1 면(721a)에 위치한 가림 영역(721aB)과, 제2 면(721b)에 위치한 가림 영역(721bB)을 포함할 수 있다. 가림 영역(721aB, 721bB, 721cB)은 제3 면(721c)에 위치한 가림 영역(721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라인드부(B)는 빛(L1)이 가림 영역(721aB)을 투과하여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간섭하고, 빛(L2)이 가림 영역(721bB)을 투과하여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간섭하고, 빛(L3)이 가림 영역(721cB)을 투과하여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간섭한다.
특정 영역(721T)은 둘레면(721) 중 제1 면(721a)에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면(721b) 전체가 가림 영역(721bB)이 되고, 제3 면(721c) 전체가 가림 영역(721cB)이 된다.
제1 면(721a) 중 특정 영역(721T)을 제외한 영역(721aB)을 기준으로, 특정 영역(721T)은 제1 면(721a)이 제2 면(721b)과 내각(θ)을 이루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특정 영역(721T)은 가림 영역(721aB)의 우측 방향(R)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상태에서 관찰 방향(V)과 우측 방향(R)의 사이 방향으로 바라봄으로써 표시부(731)의 상이 보이는 영역을 가림 영역(721aB)에 대응하는 블라인드부(B)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3 면(721c)에 반사되어 보이는 표시부(731)의 상이 보이는 영역을 가림 영역(721aB)에 대응하는 블라인드부(B)로 차단할 수 있다.
특정 영역(721T)과 가림 영역(721aB)의 경계는 굴절부(720)의 높이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굴절부(720)의 "높이 방향"이란 표시 방향(D), 관찰 방향(V), 우측 방향(R) 및 좌측 방향(L)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특정 영역(721T)과 가림 영역(721aB)의 경계는 제1 면(721a)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R)에 위치할 수 있다. 특정 영역(721T)의 면적은 가림 영역(721aB)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특정 영역(721T)과 가림 영역(721aB)의 경계로 제1 면(721a)이 좌우로 약 2:1의 비율로 구분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보조 굴절부(719)가 구비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굴절부(720) 및 표시부(731)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도 9a는 메인 통로부(P2)에 공기가 채워진 상태에서 빛의 이동 경로의 예시를 보여주고, 도 9b 및 도 9c는 메인 통로부(P2)에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진 상태에서 빛의 이동 경로의 예시를 보여준다. 도 9a 내지 도 9c에서 LR, LF, LD는 빛의 경로를 나타내고, 빛의 경로(LR, LF)의 도시에 있어서 제1 면(721a) 상에서의 굴절은 생략한다.
굴절부(720)의 굴절률(nr)은 공기의 굴절률(na)인 1보다 크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굴절률(np)도 1보다 크다. 도 9b는 굴절률(nr)이 굴절률(np)보다 큰 경우의 빛의 경로를 보여주고, 도 9c는 굴절률(nr)이 굴절률(np)보다 작은 경우의 빛의 경로를 보여준다.
도 9a를 참고하여, 상기 제1 상태에서 메인 통로부(P2)에는 굴절률(na)의 공기가 채워진다. 굴절부(72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면(721b)에서 전반사된 빛(LD)이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제2 면(721b)의 내면으로 입사되는 빛의 임계각(crtical angle)(A1)은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8076316770-pat00006
Figure 112018076316770-pat00007
제2 면(721b)에 수직한 가상의 법선(z)에 대하여 A1 미만의 각도(Ao)로 제2 면(721b)에서 굴절된 빛(LR)이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빛(LR)은 제2 면(721b)에 입사각(Ai)로 입사하여 굴절각(Ao)으로 굴절된다. 반면, 법선(z)에 대하여 A1 이상의 각도로 바라보면, 제2 면(721b)에서 굴절된 빛을 볼 수 없다. 법선(z)에 대하여 A1을 초과하는 각도(FA)로, 제2 면(721b)의 내면에 전반사된 빛(LF)이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 면(721b)의 내면에 반사각(θ)로 전반사된 빛(LD)이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법선(z)과 표시 방향(D)이 이루는 각은 제1 면(721a)과 제2 면(721b)이 이루는 내각(θ)과 같다. 따라서, 상기 제1 상태에서는 제2 면(721b)에서 전반사된 빛(LD)이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하도록, 내각(θ)이
Figure 112018076316770-pat00008
이상이다. 여기서, 굴절률(nr)을 정의하는 식으로 변환하면, 굴절률(nr)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09
이상이다.
도 9b를 참고하여, 상기 제2 상태에서 메인 통로부(P2)에는 굴절률(np)의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진다. 도 9b의 굴절률(nr)이 굴절률(np)보다 큰 실시예에서, 굴절부(72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부(731)로부터 시작된 빛(SP) 중 일부(LD)가 제2 면(721b)에서 굴절되어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제2 면(721b)의 내면으로 입사되는 빛의 임계각(A2)은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8076316770-pat00010
Figure 112018076316770-pat00011
,
np=1.333 일 때,
Figure 112018076316770-pat00012
제2 면(721b)에 수직한 가상의 법선(z)에 대하여 A2 미만의 각도(Ao)로 제2 면(721b)에서 굴절된 빛(LD)이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빛(LD)은 제2 면(721b)에 입사각(Ai)로 입사하여 굴절각(Ao)으로 굴절된다.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하는 빛(LD)는 제2 면(721b)에서 굴절각(θ)으로 굴절된 빛이다. 반면, 법선(z)에 대하여 A2 이상의 각도로 바라보면, 제2 면(721b)에서 굴절된 빛을 볼 수 없다. 법선(z)에 대하여 A2를 초과하는 각도(FA)로, 제2 면(721b)의 내면에 전반사된 빛(LF)이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 면(721b)의 내면에 반사각(A2)로 전반사된 빛(LF)이 표시 방향(D)과 우측 방향(R)의 사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법선(z)과 표시 방향(D)이 이루는 각은 제1 면(721a)과 제2 면(721b)이 이루는 내각(θ)과 같다. 따라서,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제2 면(721b)에서 굴절된 빛(LD)이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하도록, 내각(θ)이
Figure 112018076316770-pat00013
미만이다. 굴절률(np)이 1.333인 경우, 내각(θ)이
Figure 112018076316770-pat00014
미만이다. 여기서, 굴절률(nr)을 정의하는 식으로 변환하면, 굴절률(nr)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15
미만이다. 굴절률(np)이 1.333인 경우, 굴절률(nr)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16
미만이다.
도 9c를 참고하여, 굴절률(nr)이 굴절률(np)보다 작은 실시예에서, 굴절부(72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부로부터 시작된 빛(SP) 중 일부(LD)가 제2 면(721b)에서 굴절되어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도 9c의 실시예에서는 도 9b의 실시예와 달리 제2 면(721b)의 내면에 입사되는 빛의 임계각을 구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는, 굴절부(720)보다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밀한 매질(굴절률이 큰 매질)이므로, 제2 면(721b)의 내면에 입사되는 빛은 전반사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제2 면(721b)에 수직한 가상의 법선(z)에 대하여 각도(θ)로 제2 면(721b)에서 굴절된 빛(LD)이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빛(LD)은 제2 면(721b)에 입사각(Ai)로 입사하여 굴절각(Ao)으로 굴절된다.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하는 빛(LD)는 제2 면(721b)에서 굴절각(θ)으로 굴절된 빛이다.
여기서, 법선(z)과 표시 방향(D)이 이루는 각은 제1 면(721a)과 제2 면(721b)이 이루는 내각(θ)과 같다. 도 9c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상태에서는 제2 면(721b)에서 굴절된 빛(LD)이 표시 방향(D)으로 이동하도록, 내각(θ)은 90˚ 미만이기만 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는, 굴절률(nr)이 굴절률(np) 이하인 경우에 적용된다. 굴절률(np)이 1.333인 경우, 굴절률(nr)은 1.333 이하이다.
도 9a 내지 도 9c를 통해, 상술한 내용을 결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각(θ)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17
이상이다. 굴절률(nr)이 굴절률(np)보다 큰 경우 내각(θ)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18
이상
Figure 112018076316770-pat00019
미만이고, 굴절률(nr)이 굴절률(np) 이하인 경우 내각(θ)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20
이상 90˚ 미만이다.
또한, 굴절률(nr)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21
이상이다. 굴절률(nr)이 굴절률(np)보다 큰 경우 굴절률(nr)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22
이상
Figure 112018076316770-pat00023
미만이고, 굴절률(nr)이 굴절률(np) 이하인 경우 굴절률(nr)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24
이상 np 이하이다.
Figure 112018076316770-pat00025
보다 np 이 작기 때문에, 두 실시예를 종합하면, 굴절률(nr)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26
이상
Figure 112018076316770-pat00027
미만이다.
도 10은 보조 굴절부(719)가 구비된 실시예에서 굴절부(720), 보조 굴절부(719) 및 표시부(731)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로서, 빛의 이동 경로의 예시를 보여준다. 메인 통로부(P2) 및 보조 통로부(P3)의 매질의 굴절률(nx)은, 상기 제1 상태에서는 굴절률(na)이고, 상기 제2 상태에서는 굴절률(np)이다.
보조 굴절부(719)는 1보다 큰 굴절률(nr')을 가진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보조 굴절부(719)는 제2 면(721b)과 표시부(731)의 사이에 위치한다. 보조 굴절부(719)는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조 굴절부(719)는 표시부(731)와 접촉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보조 굴절부(719)가 표시부(731)와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통로의 일부는 제2 면(721b)과 보조 굴절부(719) 사이에 위치한다. 구제적으로 메인 통로부(P2)는 제2 면(721b)과 보조 굴절부(719) 사이에 위치한다. 보조 통로부(P3)는 보조 굴절부(719)와 표시부(731) 사이에 위치한다.
보조 굴절부(719)가 구비된 실시예에서도 제2 면(721b)은 메인 통로부(P2)와 경계를 이루는 바, 내각(θ) 및 굴절률(nr)의 범위에 대한 설명은 도 9a 내지 도 9c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다. 보조 굴절부(719)가 구비된 실시예에서는 빛의 이동 경로에 차이가 있고,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을 참고하여, 표시부(731)로부터 시작된 빛(SP) 중 일부(LR)가 보조 통로부(P3)와 보조 굴절부(719)의 경계에 입사각(Aa)로 입사되어, 굴절각(Ab)으로 굴절된다. 보조 굴절부(719)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빛(LR)은 보조 굴절부(719)와 메인 통로부(P2)의 경계에서 입사각(Ab)로 입사되어, 굴절각(Ac)로 굴절된다. 메인 통로부(P2)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빛(LR)은 메인 통로부(P2)와 제2 면(721b)의 경계에서 입사각(Ac)로 입사되어, 굴절각(Ad)로 굴절된다. 여기서, 메인 통로부(P2)를 채우는 매질과 보조 통로부(P3)를 채우는 매질이 같으므로, 상기 입사각(Aa)은 상기 굴절각(Ac)과 같아지고, 결과적으로 상기 입사각(Aa)는 상기 입사각(Ac)와 같아진다. 보조 굴절부(719)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제2 상태에서의 표시 기능을 발휘하면서도, 제2 면(721b)에 대한 표시부(731)의 상대적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상기 통로의 체적(메인 통로부 및 보조 통로부의 체적)을 줄일 수 있다.
보조 굴절부(719)의 굴절률(nr')은 굴절부(720)의 굴절률(nr)과 동일할 수 있다. 보조 굴절부(719)의 굴절률(nr')은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의 굴절률(np)보다 클 수 있다. 굴절률(np)이 1.333인 경우, 굴절률(nr')은 1.333보다 크다. 굴절률(nr')이 굴절률(np)보다 큼으로써, 상기 제2 상태에서 관찰 방향(V)에서 바라볼 때 표시부(731)의 상(image)이 맺히는 부분을 좌측 방향(L)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부(720')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10의 굴절부(720)의 내각(θ)은 60˚이나, 도 11을 참고하여 굴절부(720')의 내각(θ)은 60˚보다 작은 각을 이룬다. 상술한 내각(θ)의 범위를 만족한다면, 내각(θ)의 크기는 60˚보다 작을 수도 있고, 60˚보다 클 수도 있다. 도 11은 여러가지 내각(θ)의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부(720'')를 수평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이다. 제1 면(721a) 및 제2 면(721b)이 내각(θ)을 이룬다. 도 9a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제1 면(721a) 및 제2 면(721b)이 모서리를 형성하며 만남으로써 내각(θ)을 이룬다. 도 12를 참고하여, 제1 면(721a)의 가상의 연장면 및 제2 면(721b)의 가상의 연장면이 내각(θ)을 이룬다. 즉, 제1 면(721a) 및 제2 면(721b)이 내각(θ)을 이룬다는 것은, 제1 면(721a) 및 제2 면(721b)이 모서리를 형성하며 만나는 것뿐만 아니라, 제1 면(721a)의 가상의 연장면 및 제2 면(721b)의 가상의 연장면이 내각(θ)을 이루는 것까지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약액 주입 장치 세트, 100: 펌핑 모듈, 200: 포트 모듈, 300: 연결 유로, 400: 개폐 모듈, 500: 필터 모듈, 600, 600': 환자 연결 모듈, 700: 엔드 캡, 710: 바디부, 711: 케이싱부, 711a: 유입 포트, 711b: 유출 포트, 719: 보조 굴절부, 720, 720', 720'': 굴절부, 721a: 제1 면, 721b: 제2 면, 730: 표시 부재, 731: 표시부, 740: 액체흡수부, 750: 필터부, P2: 메인 통로부, P3: 보조 통로부, T: 투명부, B: 블라인드부, D: 표시 방향, V: 관찰 방향, θ: 내각, np: 프라이밍용 액체의 굴절률, nr: 굴절부의 굴절률

Claims (15)

  1. 약액 주입 장치의 유로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엔드 캡(end cap)에 있어서,
    1보다 큰 굴절률(nr)을 가진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90˚ 미만의 내각(θ)을 이루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굴절부;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유입되는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이동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위치하는,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상기 통로에 공기가 채워진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로부터 시작된 빛은 모두 상기 제1 면에 수직한 외부 방향인 표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통로에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채워진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로부터 시작된 빛 중 일부가 상기 표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면에서 전반사된 빛이 상기 표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부로부터 시작된 빛 중 일부가 상기 제2 면에서 굴절되어 상기 표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도록 투명부가 형성되는,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포함하는 굴절부의 둘레면 중 상기 투명부에 대응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상기 굴절부의 외부 방향으로 통과하는 빛을 차단하거나 산란시키거나 상기 투명부보다 낮은 투명성으로 투과시키도록 블라인드부가 형성되는,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상기 제1 면 중 특정 영역에 대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면 중 상기 특정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2 면과 상기 내각(θ)을 이루는 방향에 위치하는,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각(θ)은
    Figure 112020038199219-pat00028
    이상인,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는 굴절률(np)를 가질 때, 상기 굴절률(nr)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29
    이상이고
    Figure 112018076316770-pat00030
    미만인,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nr)은
    Figure 112018076316770-pat00031
    이상이고
    Figure 112018076316770-pat00032
    미만인,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10. 제1항에 있어서,
    1보다 큰 굴절률(nr')을 가진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면과 상기 표시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조 굴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보조 굴절부 사이에 위치하는,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nr')은 1.333 보다 큰,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로부터 상기 액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유입 포트 및 상기 통로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유출되도록 구성된 유출 포트를 가지는 케이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굴절부는 상기 케이싱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포함하는 굴절부의 둘레면 중 상기 제2 면을 제외한 면은 상기 케이싱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통로의 일부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액체를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액체흡수부; 및
    상기 액체흡수부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공기를 통과시키는 소수성(hydrophobic)의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15. 약액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펌핑 모듈;
    상류측이 상기 펌핑 모듈에 연결되고, 프라이밍용 액체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연결 유로; 및
    상기 연결 유로의 하류측에 연결되어 상기 프라이밍용 액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엔드 캡을 포함하고,
    상기 엔드 캡은,
    1보다 큰 굴절률(nr)을 가진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90˚ 미만의 내각(θ)을 이루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굴절부;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엔드 캡은 유입되는 상기 액체가 이동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2 면과 상기 표시부 사이에 위치하는,
    약액 주입 장치 세트.
KR1020180090005A 2018-08-01 2018-08-01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및 약액 주입 장치 세트 KR10219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005A KR102192985B1 (ko) 2018-08-01 2018-08-01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및 약액 주입 장치 세트
CN201980049970.1A CN112512619B (zh) 2018-08-01 2019-07-26 用于医用液体注射装置的端盖及医用液体注射装置组合
PCT/KR2019/009338 WO2020027507A1 (en) 2018-08-01 2019-07-26 End cap for medic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and medic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set
TW108126630A TWI724477B (zh) 2018-08-01 2019-07-26 用於醫用液體注射裝置的端蓋及醫用液體注射裝置組合
JP2021504209A JP7175377B2 (ja) 2018-08-01 2019-07-26 薬液注入装置用エンドキャップ及び薬液注入装置セット
EP19844635.3A EP3829694A4 (en) 2018-08-01 2019-07-26 END CAP FOR MEDICAL FLUID INJECTION DEVICE AND MEDICAL FLUID INJECTION DEVICE ASSEMBLY
US17/260,817 US20210268257A1 (en) 2018-08-01 2019-07-26 End cap for medic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and medic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set
IL280403A IL280403A (en) 2018-08-01 2021-01-26 End cap for medical fluid injection device and medical fluid injection device k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005A KR102192985B1 (ko) 2018-08-01 2018-08-01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및 약액 주입 장치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613A KR20200014613A (ko) 2020-02-11
KR102192985B1 true KR102192985B1 (ko) 2020-12-18

Family

ID=6923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005A KR102192985B1 (ko) 2018-08-01 2018-08-01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및 약액 주입 장치 세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268257A1 (ko)
EP (1) EP3829694A4 (ko)
JP (1) JP7175377B2 (ko)
KR (1) KR102192985B1 (ko)
CN (1) CN112512619B (ko)
IL (1) IL280403A (ko)
TW (1) TWI724477B (ko)
WO (1) WO2020027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10759A1 (en) * 2020-08-25 2023-10-05 Yong Hyun Kim Medicinal liquid pumping apparatus and preparation method for medicinal liquid injection using same
WO2023163244A2 (ko) * 2022-02-23 2023-08-31 김용현 약액 펌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약액 주입 준비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1480A1 (en) 2008-04-08 2011-03-24 B. Braun Melsungen Ag Spinal cannula having liquor detection
US20120145729A1 (en) 2010-12-08 2012-06-14 Holger Dirac Priming Cap, Infusion System, and Method for Priming an Infu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386A (en) 1996-07-25 1998-12-29 Alaris Medical Systems, Inc. Infusion device with disposable elements
AU2003252546B2 (en) * 2002-08-09 2007-01-25 E-Wha Fresenius Kabi Inc. Cap of tube for supplying liquid
WO2005101971A2 (en) * 2004-04-20 2005-11-03 Qualisense Technologies Ltd. Packaging or container with optical indicator
US8414534B2 (en) * 2006-11-09 2013-04-09 Abbott Medical Optics Inc. Holding tank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urgical fluidics cassette
US8094307B2 (en) * 2007-07-05 2012-01-10 Baxter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resence and concentration of pharmaceutical substances in a medical fluid administered by a medication delivery system
US8398590B2 (en) * 2008-09-09 2013-03-19 Baxter International Inc. Device to indicate priming of an infusion line
US9498570B2 (en) * 2010-10-25 2016-11-22 Bayer Healthcare Llc Bladder syringe fluid delivery system
CN106535962B (zh) 2014-06-10 2020-04-21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用于确定与表面反射特征相关的信息的设备
DE102015205517A1 (de) * 2015-03-26 2016-09-29 B. Braun Melsungen Ag Medizinische Fluidsteuervorrichtung für ein medizinisches Fluidleitungssystem
WO2017046179A1 (en) * 2015-09-15 2017-03-23 Daniel Aili End-cap suitable for optical fiber devices and nanoplasmonic sens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1480A1 (en) 2008-04-08 2011-03-24 B. Braun Melsungen Ag Spinal cannula having liquor detection
US20120145729A1 (en) 2010-12-08 2012-06-14 Holger Dirac Priming Cap, Infusion System, and Method for Priming an Infu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07414A (zh) 2020-02-16
US20210268257A1 (en) 2021-09-02
JP7175377B2 (ja) 2022-11-18
TWI724477B (zh) 2021-04-11
EP3829694A4 (en) 2021-09-15
KR20200014613A (ko) 2020-02-11
CN112512619B (zh) 2022-10-04
IL280403A (en) 2021-03-01
JP2021531896A (ja) 2021-11-25
CN112512619A (zh) 2021-03-16
EP3829694A1 (en) 2021-06-09
WO2020027507A1 (en)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8842A2 (en) Flushing apparatus for injecting hazardous medical liqui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hazardous medical liquid
KR102192985B1 (ko) 약액 주입 장치용 엔드 캡 및 약액 주입 장치 세트
KR101118380B1 (ko) 탈기 장치 및 이 탈기 장치를 포함하는 필터용 단부 캡조립체
US11752255B2 (en) Pump systems with positioning features
JP6445513B2 (ja) 支持部材を備える無針コネクタ
US7614426B2 (en) Cap for connector
BR112019022075A2 (pt) sistemas e métodos de cateter intravenoso
JP2018515264A (ja) 注射器用フィルター構造体およびこれを具備した注射器
WO2016194944A1 (ja) 医療用液圧検出装置
EP3160543B1 (en) Drip chamber with multiple ports for fluid input
ES2322783T3 (es) Procedimiento para llenar un sistema de tubos flexibles con un liquido de lavado y sistema de tubos flexibles para utilizarlo en el procedimiento.
US8308856B2 (en) Air separator, external functional means, blood circuit, and treatment apparatus
JP7447492B2 (ja) ハブ組立体
CN109663162A (zh) 血浆吸附器及其吸附剂的封装结构
US20220395431A1 (en) Medicinal liquid supply control apparatus, reservoir assembly for medicinal liquid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2157609B1 (ko) 약물 혼합 장치, 이를 포함하는 약물 혼합 키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240058549A1 (en)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and medicinal liquid injection preparation method
KR102157623B1 (ko) 공기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JP7035436B2 (ja) 圧力測定用容器および血液浄化装置
KR20220136741A (ko) 주사기용 필터기구
KR20210053069A (ko) 약액 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 주입 장치
JP2021194480A (ja) 血液回路用圧力測定器具
JP2010011901A (ja) 混注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