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059B1 -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059B1
KR102192059B1 KR1020200034012A KR20200034012A KR102192059B1 KR 102192059 B1 KR102192059 B1 KR 102192059B1 KR 1020200034012 A KR1020200034012 A KR 1020200034012A KR 20200034012 A KR20200034012 A KR 20200034012A KR 102192059 B1 KR102192059 B1 KR 10219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melamine resin
isocyanate
foam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한
오경진
Original Assignee
태림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림산업(주) filed Critical 태림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03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0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porous or cellular articles, e.g. of foam plastics, coarse-po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2/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G12/0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 C08G12/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G12/263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t least two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G12/28 - C08G12/32
    • C08G12/26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t least two compounds covered by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G12/28 - C08G12/32 one being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6Use of inorganic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0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3/00Use of resin-bonded materials as reinforcement
    • B29K2303/04In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303/00 - B29K2307/00, as reinforcement
    • B29K2309/08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J23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J23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방화 보온 재료를 전수(全水) 발포할 때 불연 무기재료를 분사하여 일체로 성형함으로, 방화 보온 재료 안에서 끊김 없이 밀봉체가 연결되어 열 전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를 높이면서도 방화와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전수 발포를 통해 물로만 발포하므로, 발포할 때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발포제 사용으로 생기는 악취 발생을 미리 없앨 수 있다. 전수(全水) 발포 방식으로 방화 보온 재료를 성형하므로, 물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면서 생긴 CO2가 부풀면서 폼에 형성한 홈 안에 잔류하게 함으로써, 열전도도를 개선하여 기존 EPS(Expanded PolyStyrene), XPS( Extruded PolyStyrene), 그리고 폴리우레탄보다 우수한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METHOD FOR FORMING FIRE INSULATION MATERIAL}
본 발명은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멜라민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하여 전수(全水) 발포할 때, 그 안에 불연 무기재료를 직접 분사하거나 함께 혼합·발포하여 분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방화 보온 재료 안에서 불연 무기재료가 끊김 없이 연결된 밀봉체가 되게 하여 전도 효과를 차단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를 높이면서도 흡음 성능과 방화 등급을 올릴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이처럼 물을 이용하여 전수 발포하므로, 다른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발포함에 따라 고약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벽에 시공하는 건축 재료는 보온과 소음 성능 그리고 방화 효율 등을 고려하여,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제작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20-0417934호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과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패널은 보온단열 및 방음 기능이 떨어지고 화재시 방화벽으로서의 기능이 별로 없으며, 패널의 강도가 약하여 쉽게 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판과 하판으로 된 패널 몸체 내부에 보온단열재가 설치되는 조립식 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공기층용 돌출부와 통공이 형성된 1·2차 흡음판, 열반사 단열재, 난연불연성의 무기질재료, 방화판으로 방화벽판을 구성하고, 그 방화벽판을 상/하판 사이에 보온단열재와 함께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과 이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패널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방음성과 보온단열 및 방화벽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매우 크고 패널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750090호
진공포켓을 이용한 복합기능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연속식으로 만들어지는 패널은 두께에 비해 보온 단열성이 떨어지고, 화재 발생시의 방화벽 기능과 패널의 강성 증대 및 습기와 분진, 소음 차단 등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어울어진 패널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이에, 내/외측판과 보온단열재로 연속식 패널 부재를 만들고, 그 연속식 패널 부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조립식 패널을 구성함에 있어서, 표/이면에 대응된 포켓요입부가 구비되는 방화판과; 다수의 격리된 포켓이 반복 형성되고 각 포켓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며, 각 포켓요입부에 삽입되는 진공포켓유니트; 로 방화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방화벽체를 보온단열재와 함께 연속식으로 공급되는 내/외측판 사이에 접합하여 연속식 패널 부재로 형성하며, 그 연속식 패널 부재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된 패널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보온단열 특성의 향상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의 방화벽 기능이 더욱 향상되고, 패널 강성과 조립건물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습기와 분진 및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복합기능의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1949호
무기계 단열재로 이루어진 보온재의 표면에 내열성을 형성시킬 수 있는 층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내열성을 향상시킨 방화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내열성을 향상시킨 방화재는, 무기계 단열재로 이루어진 보온재 층과, 상기 보온재 층의 표면에 에멀젼으로 이루어진 피막 도포재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피막 층과, 상기 피막 층의 적어도 일면 이상에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내열 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건축물 외벽에 사용하는 건축 재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건축물의 외벽에 사용함에도 중량이 많이 나간다.
(2) 특히, 건축물의 외벽에 장착함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 예를 들어서 보온과 에너지 절약, 방수와 방부 등의 기능이 중시됨에 따라 다층 구조로 제작하게 되어 그 전체 중량이 더욱더 무거워진다.
(3) 또한, 기존의 건축 재료는 충격 방지 기능이 부족하여 쉽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방화 성능이 우수하지 못하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17934호 (등록일: 2006.05.26) 한국등록특허 제10-0750090호 (등록일: 2007.08.10)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1949호 (공개일: 2011.10.12)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방화 보온 재료를 전수(全水) 발포할 때 불연 무기재료를 분사하여 일체로 성형함으로, 방화 보온 재료 안에서 끊김 없이 밀봉체가 연결되게 하여 열 전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를 높이면서도 방화와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전수 발포를 통해 물로 발포 성형하므로, 발포 성형할 때 다른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다른 발포제 사용으로 생기는 악취 발생을 미리 없앨 수 있게 한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수(全水) 발포 방식으로 방화 보온 재료를 성형하므로, 물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면서 생긴 CO2가 부풀면서 폼에 형성한 홈 안에 잔류하게 함으로써, 열전도도를 개선하여 기존 EPS(Expanded PolyStyrene), XPS( Extruded PolyStyrene), 그리고 폴리우레탄보다 우수한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은,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를 혼합하고, 동시에 불연 무기재료(C)를 함께 분사하여 전수(全水) 발포 방식으로 성형하되, 상기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의 질량비(A:B)를 1: 1~1.2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은,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를 혼합하고, 불연 무기재료(C)를 저압 주입기에 함께 주입한 다음 전수(全水) 발포 방식으로 성형하되, 상기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의 질량비(A:B)를 1: 1~1.2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멜라민 수지(A)는, (1) 히드록시메틸화 반응: 멜라민, 파라포름알데히드, 메탄올을 반응용기에 투입한 다음, 무기염기를 사용하여 pH 지수 7.5~9.5로 조절하고, 온도 60℃~70℃로 2~3시간 유지하여 헥사메틸멜라민이 결정화가 될 때까지 반응하고, (2) 에테르화 반응: 상기 히트록시메탈 반응으로 얻은 헥사메틸멜라민에 에탄올과 유기산을 넣어 pH 지수를 3~6으로 조절하여 에테르화 반응을 진행하되, 이때 온도는 60℃~70℃로 10~20시간으로 반응한 다음, 다시 무기염기를 넣어 중성으로 조절한 뒤에 진공에서 메탄올과 수분을 제거하여 얻은 헥사메틸멜라민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멜라민 수지, 파라포름알데히드와 메탄올의 반응 분자비는 1:(8~9):(15~20)이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B)는, 헥사메틸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무기염기는 수산화나트륨이고, 상기 유기산은 포름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불연 무기재료(C)는, 무기광물 섬유, 유리섬유 및 글라스 울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멜라민 수지(A): 이소시아네이트(B): 그리고 불연 무기재료(C)의 조성비는 1:(1~1.2): (0.5~1.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방화 보온 재료를 전수 발포할 때 불연 무기재료를 분사하거나 방화 보온 재료를 발포 성형할 때 불연 무기재료를 혼합하여 일체로 성형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보온 재료의 방화 성능을 높일 수 있다.
(2) 특히, 본 발명은 전수(全水) 발포 방식으로 방화 보온 재료를 발포 성형하므로, 물과 많은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생기는 CO2가 방화 보온 재료 안에 잔류하게 되고, 이 CO2는 열전도도가 비교적 높고 쉽게 열을 확산하므로 보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3) 이에, 기존의 다른 보온재인 EPS(Expanded PolyStyrene), XPS( Extruded PolyStyrene), 그리고 폴리우레탄보다 우수한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또한, 이처럼 보온 효과가 우수하므로, 전수 발포 방식과 불연 무기재료의 혼합 비율을 조절하여 원하는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두께로 방화 보온 재료를 제작할 수 있다.
(5) 그리고 이처럼 전수 발포 방식으로 물이외의 다른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발포 성형하므로, 다른 발포제 사용으로 인한 악취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쾌적한 작업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은,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를 혼합하고, 동시에 불연 무기재료(C)를 함께 분사하여 전수(全水) 발포 방식으로 성형하되, 상기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의 질량비(A:B)를 1: 1~1.2로 혼합한 것이다.
이에, 상기 불연 무기재료(C)가 전수 발포 성형한 방화 보온 재료 안에서 끊김 없이 밀봉체를 형성함으로써, 열전도를 효과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이에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전수(全水) 발포 방식으로 방화 보온 재료를 발포 성형함으로, 물과 많은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생기 CO2가 방화 보온재료 안에 잔류하게 되고, CO2의 비교적 높은 열전도도를 이용하여 쉽게 확산 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보온성능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전수 발포로 다른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로 발포 성형하므로, 발포제 사용으로 인한 악취가 생기지 않아 쾌적한 작업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발포 성형에 사용하는 재질을 먼저 설명하고, 전수 발포 성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가. 멜라민 수지
멜라민 수지(A)는 멜라민과 폼아데하이드 사이에 축합반응으로 생성하는 열경화성 재질로, 단단하고 열에 강하고 내마찰력과 열안정성 그리고 내화학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멜라민 수지(A)는, 다음과 같은 (1) 히드록시메틸화 반응과 (2) 에테르화 반응을 거쳐서 얻은 헥사메틸멜라민 수지를 사용한다.
1. 히드록시메틸화 반응
히드록시메틸화 반응은, 멜라민, 파라포름알데히드, 메탄올을 반응용기에 투입한 다음, 무기염기를 사용하여 pH 지수 7.5~9.5로 조절하고, 온도 60℃~70℃로 2~3시간 유지하여 헥사메틸멜라민이 결정화가 될 때까지 반응한다. 이때, 헥사메틸멜라민이 결정화가 이루어질 때까지는 보온을 유지한 다음 다시 온도를 낮춘다.
이때, 상기 멜라민 수지와 파라포름알데히드 그리고 메탄올의 반응 분자비는 1:(8~9):(15~20)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에테르화 반응
에테르화 반응은, 상술한 히트록시메탈 반응으로 얻은 헥사메틸멜라민에 에탄올과 유기산을 넣어 pH 지수를 3~6으로 조절하여 에테르화 반응을 진행한다. 이때, 온도는 60℃~70℃로 10~20시간으로 반응한 다음, 다시 무기염기를 넣어 중성으로 조절한 뒤에 진공에서 메탄올과 수분을 제거하여 헥사메틸멜라민 수지를 얻는다.
이때, 상기 무기염기로는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고, 상기 유기산으로는 포름산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술한 (1) 히드록시메틸화 반응과 (2) 에테르화 반응을 거쳐서 얻은 헥사메틸멜라민 수지의 물성은 다음과 같다.

멜라민 수지

점성
25℃,CPS 200~1000

비중
20℃ 1.15-1.25

수분
% ≤0.5

산도
mgkoh/g ≤0.5
나.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네이트(B)는, 폴리우레탄을 제조할 때 폴리올과 함께 주원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졌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B)로는 헥사메틸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고, 상술한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의 질량비(A:B)는 1:(1~1.2)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다. 불연 무기재료
불연 무기재료(C)는 상술한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를 혼합하여 전수 발포할 때 함께 혼합함에 따라 방화 보온 재료 안에서 넓게 분산하여 끊김 없이 밀봉체가 연결되게 하여 열 전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를 높이면서도 방화와 보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불연 무기재료(C)로는 무기광물 섬유, 유리섬유 및 글라스 울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라. 전수 발포
전수 발포는, 상술한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 그리고 불연 무기재료(C)의 조성비는 1:(1~1.2): (0.5~1.5)인 준비하고, 상기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를 혼합할 때, 상기 불연 무기재료(C)를 함께 분사하여 방화 보온 재료를 형성하는 발포 방식이다.
이러한 전수 발포 방식은 물을 기반으로 사용하므로, 발포 과정에서 물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하여 CO2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CO2가 발포한 홈 안에 잔류하여 방화 보온 재료가 발포 생성된다. 이때, CO2는 열전도도가 비교적 높아 열이 잘 확산하므로 보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전수 발포 방식의 열전도도가 대략 0.024-0.028w/m·k 정도로, 보온재로 사용하는 기존 EPS(Expanded PolyStyrene), XPS( Extruded PolyStyrene), 그리고 폴리우레탄보다는 우수한 보온 효과를 얻는다.
특히, 이러한 전수발포 방식은 발포 성형할 때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로 발포 성형한다. 이에, 멜라민 수지(A)를 발포 성형할 때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발포제 사용으로 인한 악취가 생기지 않아 쾌적한 작업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수 발포는, 아래의 [표 2]와 같은 조건에서 전수 발포가 이루어지게 한다.

반응시간
지표(Sse)

CT(유화시간)
2-5

GT(교화시간)
4-12

TRT(Track free Time)
10-15
여기서, CT(Cream Time)은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를 혼합하기 시작할 때부터 반응 혼합액이 크림(Cream) 상태로 변화가 일어났을 때까지의 시간(Sec)을, GT(Gel Time)는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를 혼합한 뒤에 점도가 상승하여 굳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TFT(Track free Time)은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의 반응 혼합물로 얻은 폼 표면의 접착성이 없어지는 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한편, 이처럼 전수 발포 방식으로 얻은 방화 보온 재료는, 다음이 [표 3]과 같은 제품 성능을 갖는다.

구분
단위 측정지표

밀도
(kg/m3 ≥35 ≥35

열전도도
(w/m·k) ≤0.030 ≤0.030

압축강도
(kpa) ≥150 ≥150

폐공률
(%) ≥95 ≥95

흡수율
(%) ≤2 ≤2

치수안정성(70℃,48h)
(%) ≤1.0 ≤1.0

산소농도지수
(%) ≥28 ≥26
이상과 같이 전수 발포하면서 불연 무기재료를 함께 분사하면서 전수(全水) 발포 방식으로 제작한 방화 보온 재료는 악취가 많이 나지 않으면서도 열전도도가 우수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음 효과도 뛰어나며 내부에 불연 무기재료가 포함되어 방화 등급을 올릴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이나, 불연 무기재료(C)를 혼합·주입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 구성인 불연 무기재료(C)를 혼합·주입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2]는, (1)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를 함께 혼합하고, (2) 이렇게 혼합한 혼합물과 함께 불연 무기재료(C)를 저압 주입기에 함께 주입한 다음 전수 발포하여 방화 보온 재료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2]는 혼합한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 안에 불연 무기재료(C)를 분산할 수 있게 되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를 혼합하고, 동시에 불연 무기재료(C)를 함께 분사하여 전수(全水) 발포 방식으로 성형하되,
    상기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의 질량비(A:B)를 1: 1~1.2로 혼합하고,
    상기 멜라민 수지(A)는,
    (1) 히드록시메틸화 반응: 멜라민, 파라포름알데히드, 메탄올을 반응용기에 투입한 다음, 무기염기를 사용하여 pH 지수 7.5~9.5로 조절하고, 온도 60℃~70℃로 2~3시간 유지하여 헥사메틸멜라민이 결정화가 될 때까지 반응하고,
    (2) 에테르화 반응: 상기 히드록시메틸화 반응으로 얻은 헥사메틸멜라민에 에탄올과 유기산을 넣어 pH 지수를 3~6으로 조절하여 에테르화 반응을 진행하되, 이때 온도는 60℃~70℃로 10~20시간으로 반응한 다음, 다시 무기염기를 넣어 중성으로 조절한 뒤에 진공에서 메탄올과 수분을 제거하여 얻은 헥사메틸멜라민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2.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를 혼합하고, 불연 무기재료(C)를 저압 주입기에 함께 주입한 다음 전수(全水) 발포 방식으로 성형하되,
    상기 멜라민 수지(A)와 이소시아네이트(B)의 질량비(A:B)를 1: 1~1.2로 혼합하고,
    상기 멜라민 수지(A)는,
    (1) 히드록시메틸화 반응: 멜라민, 파라포름알데히드, 메탄올을 반응용기에 투입한 다음, 무기염기를 사용하여 pH 지수 7.5~9.5로 조절하고, 온도 60℃~70℃로 2~3시간 유지하여 헥사메틸멜라민이 결정화가 될 때까지 반응하고,
    (2) 에테르화 반응: 상기 히드록시메틸화 반응으로 얻은 헥사메틸멜라민에 에탄올과 유기산을 넣어 pH 지수를 3~6으로 조절하여 에테르화 반응을 진행하되, 이때 온도는 60℃~70℃로 10~20시간으로 반응한 다음, 다시 무기염기를 넣어 중성으로 조절한 뒤에 진공에서 메탄올과 수분을 제거하여 얻은 헥사메틸멜라민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멜라민 수지, 파라포름알데히드와 메탄올의 반응 분자비는 1:(8~9):(15~20)이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B)는, 헥사메틸에틸렌글리콜이며,
    상기 무기염기는 수산화나트륨이고,
    상기 유기산은 포름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불연 무기재료(C)는,
    무기광물 섬유, 유리섬유 및 글라스 울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멜라민 수지(A): 이소시아네이트(B): 그리고 불연 무기재료(C)의 조성비는 1:(1~1.2): (0.5~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KR1020200034012A 2020-03-19 2020-03-19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KR10219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012A KR102192059B1 (ko) 2020-03-19 2020-03-19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012A KR102192059B1 (ko) 2020-03-19 2020-03-19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059B1 true KR102192059B1 (ko) 2020-12-17

Family

ID=7408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012A KR102192059B1 (ko) 2020-03-19 2020-03-19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0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934Y1 (ko) 2006-03-22 2006-06-02 김미경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과 그 제조장치
KR100750090B1 (ko) 2007-01-22 2007-08-21 김미경 진공포켓을 이용한 복합기능 패널
KR20080080609A (ko) * 2005-12-09 2008-09-04 바스프 에스이 고체 함량이 높고 점도가 낮은 에테르화된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
KR20110111949A (ko) 2010-04-06 2011-10-12 임현석 내열성이 향상된 방화재
JP2011252111A (ja) * 2010-06-03 2011-12-15 Bridgestone Corp 高難燃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20120090032A (ko) * 2009-08-26 2012-08-16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내염성 (경질) pur 분무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20130045519A (ko) * 2011-10-26 2013-05-06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0609A (ko) * 2005-12-09 2008-09-04 바스프 에스이 고체 함량이 높고 점도가 낮은 에테르화된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
KR200417934Y1 (ko) 2006-03-22 2006-06-02 김미경 복합기능의 조립식 패널과 그 제조장치
KR100750090B1 (ko) 2007-01-22 2007-08-21 김미경 진공포켓을 이용한 복합기능 패널
KR20120090032A (ko) * 2009-08-26 2012-08-16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내염성 (경질) pur 분무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20110111949A (ko) 2010-04-06 2011-10-12 임현석 내열성이 향상된 방화재
JP2011252111A (ja) * 2010-06-03 2011-12-15 Bridgestone Corp 高難燃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20130045519A (ko) * 2011-10-26 2013-05-06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12737A (zh) 一种100%水基发泡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
JPS6044137B2 (ja) 積層体
KR20130007987A (ko) 페놀 수지 경화 발포체로 이루어진 샌드위치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19087A (ko)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KR20130085305A (ko) 페놀 폼을 이용한 hvac 덕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530015B1 (ko) 건축내장재용 흡음판넬의 조성,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729826B1 (ko) 공동주택의 습식구조 조건을 만족하며 건축물의 바닥충격음저감을 위한 완충성능을 구현하는 완전수발포 폴리우레탄스프레이 조성물과 그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우레탄스프레이폼 구조체 및 바닥충격음 저감층의 시공방법
HU210580B (en) Cellular gypsum with porous structure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CN105348726A (zh) 一种制造抗压、抗翘曲、憎水、阻燃保温泡沫材料的方法
KR102192059B1 (ko) 방화 보온 재료의 발포 성형방법
JPS5852491B2 (ja) 耐火性積層体
KR101164580B1 (ko) 단열, 내수성, 내화성을 가지는 초경량 실리카 에어로겔 시멘트 몰탈의 제조방법
JPH10219866A (ja) 断熱パネル及び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494305B1 (ko) 난연성이 우수한 자기소화형 발포우레탄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체 시공방법
CA2618363C (en) A non-structural multi-part panel
CN204266482U (zh) 一种保温防水屋顶
KR102415013B1 (ko)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불연단열보드
KR20100027451A (ko) 왕겨를 이용한 난연성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H0571623B2 (ko)
CN204225296U (zh) 一种阴阳角保温防水层
JP3652968B2 (ja) 断熱性不燃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断熱性不燃壁の施工法
KR102259908B1 (ko)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준불연 단열재
CN204266384U (zh) 一种外墙保温防水体系
KR100445672B1 (ko) 내화기능을 갖는 비내력벽체
KR102409298B1 (ko) 복합패널 결합부위의 화재 확산 방지 조립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